KR101745909B1 -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909B1
KR101745909B1 KR1020160159894A KR20160159894A KR101745909B1 KR 101745909 B1 KR101745909 B1 KR 101745909B1 KR 1020160159894 A KR1020160159894 A KR 1020160159894A KR 20160159894 A KR20160159894 A KR 20160159894A KR 101745909 B1 KR101745909 B1 KR 101745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pin shaft
chair
lever
press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4941A (ko
Inventor
장종현
Original Assignee
장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현 filed Critical 장종현
Priority to KR1020160159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90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909B1/ko
Priority to PCT/KR2017/009636 priority patent/WO2018101580A1/ko
Priority to CN201780072481.9A priority patent/CN109982752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무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회전의자의 지지기둥에 다리 근력을 강화하게 되는 가압레버가 구비된 운동기구를 간단한 조작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가압레버를 어깨 폭의 범위에서 양측으로 분할되게 배치하여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하체운동을 하게 됨과 아울러 운동기구를 사용한 후 수납을 용이하게 하여 회전의자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즉, 전방을 향해 출몰되게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슈트가 구비되고, 어깨 폭의 범위에서 평행하게 양측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리브로 연결되며, 회전의자의 지지기둥에 결합되게 핀축에 의해 연결되는 반구홈을 갖춘 브라켓과 이에 상응하는 보조브라켓이 구비된 한 쌍의 프레임; 상기 슬라이더의 선단부에 핀축을 기점으로 회동되면서 어느 시점부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이 가해지게 설치된 가압레버; 상기 가압레버의 하부에 핀축을 기점으로 접고 펼 수 있게 설치되어 슬라이더를 인출시켰을 하단이 지면에 닿으면서 안정적으로 지탱되게 하는 지지대; 및, 상기 가압레버의 상단부위에 핀축을 기점으로 거리를 달리하는 다수의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어느 한 곳에 가압레버를 기립시킨 상태에서 다리의 힘을 가하도록 볼트축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패달이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The lower part of the body sporting apparatus for swivel chair}
본 발명은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업무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회전의자의 지지기둥에 다리 근력을 강화하게 되는 가압레버가 구비된 운동기구를 간단한 조작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가압레버를 어깨 폭의 범위에서 양측으로 분할되게 배치하여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하체운동을 하게 됨과 아울러 운동기구를 사용한 후 수납을 용이하게 하여 회전의자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에서 업무를 하는 작업자에게 근거리의 움직임과 방향전환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케스터를 갖춘 지지축의 상부에 좌판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회전의자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회전의자의 편의성과 별개로 의자에서 장시간 업무를 하는 대부분의 사람은 운동부족으로 인한 피로를 실감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의자에서 업무를 하는 도중에 피로회복을 위하여 수시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회전의자 또는 의자에 다양한 형태의 운동기구가 장착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종래에 제안된 특허 제10-1025293호의 의자 부착용 운동기구는, 의자의 다리 또는 좌판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운동효과를 유발하는 페달유닛과, 와전류 브레이크와, 제1 증속유닛 및 제2 증속유닛으로 구성되어, 페달을 돌리는 행위를 통하여 하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운동 부하량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 운동기구의 크기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책상이나 테이블의 아래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의자 부착용 운동기구의 경우에는 하체운동을 통해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고 있으나, 각 구성요소가 장착된 프레임이 항상 의자의 외측으로 현저하게 돌출된 상태이므로 운동 이외의 시간에는 거추장스러운 장애물이 되면서 활동에 많은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다른 예로 제안된 바 있는 특허 제10-1204172호의 운동기구를 장치한 회전의자다리는, 회전의자다리에 스텝운동기구와 허리회전 운동기구를 장치하여 회전의자의 좌대 밑에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회전의자를 사용하는 중에 수시로 스텝운동이나 허리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좌대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기술은 좌대를 분해결합 및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과정에 구조와 조작이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고, 스텝운동기구와 허리회전 운동기구가 이동이 자유로운 의자다리에 전적으로 지지된 상태이므로 어느 한 종류의 기구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과정에 별도의 물체에 기댈 수 없거나 무게중심 또는 균형을 잃게 될 경우에는 지지력을 상실하면서 낙상사고가 초래되는 위험이 상존하였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운동기구는 의자의 다리부위와 회전축 및 좌판에 운동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공이나 축공 등의 체결요소가 구비된 경우에 한해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이미 사용하고 있는 회전의자에는 설치가 극히 제한적이거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또 다른 예로 공개된 공개특허 10-2014- 0029822는 의자에 장착해서 사용하는 운동기구로, 기존 사무용 의자 좌대부의 의자 조립축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운동기구로서 의자 다리부와 좌대부를 분리한 후 의자 다리부의 중심에 보관함 고정대와 보관함을 안착시키고, 좌대부의 조립축이 보관함의 중심홀을 통과하게 끼워서 조립을 완성하며, 상기 보관함의 내부를 3 내지 4등분 하여 각기 다른 종류의 운동기구를 장착한 상태에서 필요로 하는 운동기구만 돌출시켜 운동을 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의자 조립축에 보관함을 장착하기 위한 구성요소와 장착방법이 매우 복잡하여 전문적인 기술이 없는 경우에는 설치가 매우 어려웠고, 협소한 공간으로 된 보관함에 다수 종류의 운동기구를 돌출 또는 삽입되게 조작하는 과정에 부상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 공개된 공개특허 10-2010-0110938은 의자 프레임에 복수의 파이프를 밀어 넣었다가 인출시킬 수 있는 구조의 지지대를 설치하여 그 선단에 구비된 페달을 자전거와 같이 밟아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하체운동을 하게 된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하체운동장치를 고정 부착하기 위한 의자 프레임이 제조업체별로 안장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과 바닥에 닿는 지지다리의 형태도 각기 달리하고 있으므로, 상기 의자 프레임에 부합되는 규격이나 형상을 갖추지 않은 경우에는 부착이 매우 어려웠을 뿐 아니라 부착이 극히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동부하를 발생시키는 페달이 의자 프레임에 부착 고정된 하나의 지지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페달을 밟아 자전거와 같이 회전시키는 운동과정에서 사용자의 상체와 다리의 힘이 전방으로 가해질 때 균형을 상실하면서 좌, 우 양측이나 앞으로 넘어질 염려가 있었을 뿐 아니라 심한 경우 전복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025293(2011. 03. 21)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204172(2012. 11. 16)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29822(2014. 03. 11)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110938(2010. 10. 14)
본 발명은 종래의 회전의자에 부착되는 운동기구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회전의자를 회전 가능하게 지탱하는 지지기둥의 규격에 구애됨이 없이 간편하게 설치 가능하고, 양측 다리의 힘을 가하게 되는 한 쌍의 가압레버를 인체의 운동특성을 고려하여 어깨 폭의 범위로 배치되게 하여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리의 근력을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을 향해 출몰되게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슈트가 구비되고, 어깨 폭의 범위에서 평행하게 양측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리브로 연결되며, 회전의자의 지지기둥에 결합되게 핀축에 의해 연결되는 반구홈을 갖춘 브라켓과 이에 상응하는 보조브라켓이 구비된 한 쌍의 프레임; 상기 슬라이더의 선단부에 핀축을 기점으로 회동되면서 어느 시점부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이 가해지게 설치된 가압레버; 상기 가압레버의 하부에 핀축을 기점으로 접고 펼 수 있게 설치되어 슬라이더를 인출시켰을때 하단이 지면에 닿으면서 안정적으로 지탱되게 하는 지지대; 및, 상기 가압레버의 상단부위에 핀축을 기점으로 거리를 달리하는 다수의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어느 한 곳에 가압레버를 기립시킨 상태에서 다리의 힘을 가하도록 볼트축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패달; 을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는, 회전의자의 종류에 구애됨이 없이 간편하고 편리하게 붙이고 뗄 수 있으며, 운동이 끝난 후에는 의자에 구비된 케스터의 상부 위치로 몰입시킨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므로 의자를 사용하는 본인은 물론 주변 사람의 활동에 미칠 수 있는 장애나 불편의 우려를 불식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양측 다리의 힘을 가하게 되는 한 쌍의 가압레버를 인체의 운동특성을 고려하여 어깨 폭의 범위로 배치되게 하여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운동이 가능하고, 의자를 사용하는 사람의 체격에 따라 가압하는 힘의 조절이 용이하므로 안전한 상태에서 운동효과를 현저히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와 그 분해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상기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에 대한 평면구성도와 그 일부를 절취한 측면구성도,
도 4 및 도 5는 상기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를 돌출되게 전개한 상태와 그 하체운동장치를 회전의자의 지지기둥에 결합한 상태 사시도,
도 6a 및 6b는 상기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의 작동 전, 후 상태를 각각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의 결합상태와 그 분해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상기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의 평면구성도와 그 일부를 절취한 측면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회전의자에 다리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장치를 설치할 때 양측 다리의 압력이 각각 가해지는 가압레버(30)를 어깨 폭의 범위 내에서 양측으로 분할된 한 쌍의 프레임(10)에 슬라이더(20)를 매개로 배치되게 하여 안정적이면서 균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하체운동을 하게 된 것이다.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의 내측에는 전방을 향해 출몰되게 슬라이더(20)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슈트(11)가 구비되고, 어깨 폭의 범위 내에서 양측으로 분할된 한 쌍의 프레임(10)의 사이에는 서로 평행을 이루면서 일체로 연결하는 리브(12)가 형성되며, 이 리브(12)에는 슈트(11)에서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더(20)의 출몰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13)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10)의 후단에는 회전의자의 지지기둥(P)이 여유있게 삽입되게 후방을 향해 개방된 반구홈(14')을 갖춘 브라켓(14)이 핀축(K)에 의해 굴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14)의 상부면 후방에는 그 반구홈(14')에 대해 상반된 위치에서 지지기둥의 나머지 부분을 구속되게 감싸는 반구홈(15')을 갖춘 보조브라켓(15)이 플랜지(16')가 구비된 볼트(16)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20)의 선단부에는 핀축(K)을 기점으로 회동되면서 어느 시점부터 탄성스프링(31)의 탄성력이 가해지게 되는 가압레버(30)가 설치되고, 상기 가압레버(30)의 하부에는 슬라이더(20)를 인출시켰을때 하단이 지면에 닿으면서 안정적으로 지탱되게 핀축(K)을 기점으로 접고 펼 수 있는 지지대(21)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21)의 내측면에는 그 지지대를 접을 때 프레임의 저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게 자석(21')이 부설되어 있다.
슬라이더(20)의 상부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걸림홈(22)이 형성되어 그 어느 하나의 걸림홈에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을 연결하는 리브(12)에 형성된 스토퍼(13)가 맞물리면서 슬라이더(20)의 인출거리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의 바닥에는 이에 형성된 슈트(11)의 길이방향을 향하게 슬롯(11')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11')에는 슬라이더(20)의 저면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돌기(23)가 삽입되어 슬라이더(20)의 슬라이딩 동작시 직진성을 유지되게 하였다.
상기 가압레버(30)의 상단부위에는 핀축(K)을 기점으로 거리를 달리하는 다수의 결합공(3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2)의 어느 한 곳에는 가압레버(30)를 기립시킨 상태에서 다리의 힘을 가하게 되는 패달(33)이 볼트축(34)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핀축(K)으로부터 가장 근접된 위치의 결합공(32)에 패달(33)을 설치할 때에는 원거리의 결합공에 설치할 때에 비해 탄성스프링(31)의 탄성력을 받고있는 가압레버(30)에 비교적 큰 힘을 가해야 회동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하체운동장치를 돌출되게 전개한 상태와 그 하체운동장치를 회전의자의 지지기둥에 결합한 상태 사시도이고, 도 6a 및 6b는 상기 하체운동장치를 전개하여 작동시키기 전, 후 상태를 각각 나타낸 측면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하체운동장치는 회전의자의 좌판을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축과 다수의 캐스터를 구비한 지지기둥(P)을 한 쌍의 프레임(10)의 후단부에 구비된 브라켓(14)의 반구홈(14')과 이에 상응하여 볼트(16)로 결합된 보조브라켓(15)의 반구홈(15')에 삽입되게 설치한 상태에서 하체운동을 하게 된 것이다.
즉, 프레임(10)의 후단에 핀축(K)에 의해 굴절 가능하게 결합된 브라켓(14)의 반구홈(14')에 지지기둥(P)의 아래 부위를 삽입되게 한 후 그 지지기둥의 나머지 부분을 보조브라켓(15)의 반구홈(15')에 의해 감싸지게 구속하여 설치를 완료하게 됨으로써, 상기 각 반구홈(14')(15')의 크기를 여유 있게한 경우에는 지지기둥의 규격에 구애됨이 없이 거의 모든 종류의 회전의자에 설치 가능함은 물론 설치와 분리에 따른 조작을 손쉽게 할 수 있다.
이때, 브라켓(14)과 보조브라켓(15)을 결합하는 볼트(16)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16')는 도 6a에서와 같이 지지기둥의 저면에 걸쳐지도록 하여 프레임(1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프레임(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이에 구비된 슈트(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20)를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인출시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다리를 뻗는 위치로 슬라이더(20)의 선단부에 구비된 가압레버(30)를 도달되게 하며, 이때 리브(12)의 상부에 설치된 스토퍼(13)를 조작하여 슬라이더(20)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홈(22)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지도록 하여 운동하는 사람의 체격에 맞도록 슬라이더(20)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슬라이더(20)의 인출동작에 의해 길이조절이 완료되면, 슬라이더(20)의 선단 하부에 핀축(k)을 기점으로 지지대(21)를 전개되게 하여 지면에 지탱되게 하며, 상기 지지대(21)는 안정적인 지지작용을 하도록 슬라이더(20)의 전방을 향해 직각 이상의 기울기로 전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더(20)의 선단부에 핀축(K)을 기점으로 회동되게 설치된 가압레버(30)를 기립되게 하면, 핀축을 매개로 설치된 탄성스프링(31)의 한쪽 끝이 슬라이더(20)에 닿게되는 반면 다른 쪽 끝은 가압레버(30)에 닿게되면서 그 가압레버에 탄성력을 가해지게 함으로써, 가압레버(30)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패달(33)을 외측을 향헤 전개되게 한 상태에서 스프링의 탄성력을 상쇄되도록 양측 발을 이용하여 패달(33)에 힘을 가하는 반복동작을 하게 됨으로써, 하체를 강화 내지 단련하는 운동을 하게 됨과 아울러 인체에 누적된 피로를 해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한 쌍의 프레임(10)을 어께 폭의 범위에서 각기 격리되게 한 후 프레임에 구비된 각각의 슈트(11)에 가압레버(30)를 구비한 슬라이더(20)를 슬라이딩 되게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양측 다리로 각각의 패달(33)을 가압하게 될 때 기마자세와 같이 양측 발을 벌릴 수 있으므로 안정감과 균형감을 유지하게 되고, 상기 가압레버(30)에 결합되는 패달(33)의 회동기점으로부터 위치를 달리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환경에서 하체운동을 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하체운동장치는 회전의자의 종류에 구애됨이 없이 간편하고 편리하게 붙이고 뗄 수 있으며, 운동이 끝난 후에는 의자에 구비된 케스터의 상부 위치로 몰입시킨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므로 의자를 사용하는 본인은 물론 주변 사람의 활동에 미칠 수 있는 장애나 불편의 우려를 불식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양측 다리의 힘을 가하게 되는 한 쌍의 가압레버를 인체의 운동특성을 고려하여 어깨 폭의 범위로 배치되게 하여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운동이 가능하고, 의자를 사용하는 사람의 체격에 따라 가압하는 힘의 조절이 용이하므로 안전한 상태에서 운동효과를 현저히 높일 수 있는 것이다.
10 : 프레임 11 : 슈트
11' : 슬롯 12 : 리브
13 : 스토퍼 14 : 브라켓
14', 15' 반구홈 15 : 보조브라켓
16 : 볼트 16' : 플랜지
20 : 슬라이더 21 : 지지대
22 : 걸림홈 23 : 돌기
30 : 가압레버 31 : 탄성스프링
32 : 결합공 33 : 패달
34 : 볼트축
P : 지지기둥
K : 핀축

Claims (4)

  1. 양측으로 평행하게 분할된 슈트(11)의 사이를 리브(12)로 연결하여 된 한 쌍의 프레임(10)에 전방을 향해 출몰되게 슬라이더(20)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20)의 선단부에 핀축(K)을 기점으로 탄성스프링(31)의 탄성력이 가해지게 가압레버(30)를 설치하되 이 가압레버의 상단에 패달(33)이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에 다수의 걸림홈(22)을 형성하여 리브(12)에 구비된 스토퍼(13)에 의해 맞물리게 하고,
    상기 프레임의 바닥에 슬롯(11')을 형성하여 이에 슬라이더(20)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23)가 삽입된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의 후단에 반구홈(14')을 갖춘 브라켓(14)을 핀축(K)으로 연결하되 상기 브라켓(14)의 일측에 그 반구홈(14')에 상응하는 반구홈(15;)을 갖춘 보조브라켓(15)을 마주보도록 하여 하단에 플랜지(16')가 구비된 볼트(16)에 의해 회전의자 지지기둥(P)의 하단에 결합되게 하고,
    상기 패달(33)이 결합되는 가압레버(30)에는 힌지 작용을 하는 핀축(K)으로 부터 거리를 달리하는 다수의 결합공(32)을 각각 형성하여 어느 하나의 결합공에 볼트축(34)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0)의 선단부 하부에 핀축을 기점으로 접고 펼 수 있도록 결합되어 지면에 지탱하게 되는 지지대(21)의 내측면에 프레임의 저면과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자석(21')이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
KR1020160159894A 2016-11-29 2016-11-29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 KR101745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894A KR101745909B1 (ko) 2016-11-29 2016-11-29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
PCT/KR2017/009636 WO2018101580A1 (ko) 2016-11-29 2017-09-04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
CN201780072481.9A CN109982752A (zh) 2016-11-29 2017-09-04 旋转椅子用下身运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894A KR101745909B1 (ko) 2016-11-29 2016-11-29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941A KR20160144941A (ko) 2016-12-19
KR101745909B1 true KR101745909B1 (ko) 2017-06-13

Family

ID=57735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894A KR101745909B1 (ko) 2016-11-29 2016-11-29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45909B1 (ko)
CN (1) CN109982752A (ko)
WO (1) WO20181015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3276A (zh) * 2018-01-24 2018-09-18 合肥图腾龙医疗用品开发有限公司 一种全身性肌肉康复训练装置
KR102037024B1 (ko) * 2019-01-09 2019-10-28 허민 의자를 이용한 상체운동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001Y1 (ko) * 1998-02-27 2000-06-01 장웅걸 페달 운동 장치
KR100819127B1 (ko) * 2007-10-16 2008-04-03 김재현 의자 부착용 스트레칭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1634B2 (en) * 2005-02-09 2010-06-08 Precor Incorporated Elliptical exercise equipment with stowable arms
KR20100110938A (ko) 2009-04-06 2010-10-14 김영모 의자 부착용 하체 운동장치
KR101025293B1 (ko) 2010-12-29 2011-03-29 양길성 의자 부착용 운동기구
KR101204172B1 (ko) 2011-08-17 2012-11-22 남연옥 운동기구를 장치한 회전의자용 의자다리
JP5542170B2 (ja) * 2012-05-16 2014-07-09 大東電機工業株式会社 腰部運動機
KR101506066B1 (ko) 2012-08-30 2015-03-26 이재부 의자에 장착해서 사용하는 운동 기구
US9301618B2 (en) * 2013-03-15 2016-04-05 Christoph Leonhard Exercise device, connector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160053862A (ko) * 2016-04-25 2016-05-13 장종현 회전의자를 이용한 운동기구
CN106512324B (zh) * 2016-12-01 2018-12-14 江西三木家具实业有限公司 一种具有健身功能的办公椅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001Y1 (ko) * 1998-02-27 2000-06-01 장웅걸 페달 운동 장치
KR100819127B1 (ko) * 2007-10-16 2008-04-03 김재현 의자 부착용 스트레칭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82752A (zh) 2019-07-05
WO2018101580A1 (ko) 2018-06-07
KR20160144941A (ko) 201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0995B1 (en) Exerciser
US6652425B1 (en) Cyclocentric ergometer
US5299997A (en) Horse-riding type exerciser
US6135930A (en) Exercise device for recuperation
KR102092669B1 (ko)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US9168416B2 (en) Abdomen exercise machine
US10342355B2 (en) Stowable exercise chair for standing desks
US11260265B2 (en) Stationary bike
KR101745909B1 (ko)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
US9044639B2 (en) Support frame for exercise apparatus
US20160058194A1 (en) Power leisure reclining chair
US20200085198A1 (en) Stowable exercise chair for standing desks
US20110300997A1 (en) Exercise Apparatus
US9707449B2 (en) Waist twisting apparatus
KR20160091478A (ko) 전기 자전거의 페달 스탠드
KR101903343B1 (ko) 킥보드 장치
EP3315109B1 (en) Walker
KR101281675B1 (ko) 의자 좌판에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된 의자
GB2482136A (en) A portable exercise device with a rotatable lever or leg support
US11154139B2 (en) Fitness stool
KR20160053862A (ko) 회전의자를 이용한 운동기구
KR101739685B1 (ko) 복합운동 헬스자전거
KR101514386B1 (ko) 허리운동장치가 구비된 의자
JP6950949B2 (ja) 移動補助椅子
KR101196317B1 (ko)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