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968A -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car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968A
KR20210094968A KR1020200008899A KR20200008899A KR20210094968A KR 20210094968 A KR20210094968 A KR 20210094968A KR 1020200008899 A KR1020200008899 A KR 1020200008899A KR 20200008899 A KR20200008899 A KR 20200008899A KR 20210094968 A KR20210094968 A KR 20210094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vehicle
transmitter
charging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8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6420B1 (en
Inventor
김성필
박병훈
노양환
이태연
정재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8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420B1/en
Publication of KR20210094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9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4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6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by positioning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where wireless charging positions are aligned by considering an arrangement state of a vehicle parked in a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with respect to a reception unit installed in the vehicle, comprises: a base unit installed on a floor of the charging station where the vehicle is parked; a transmission unit installed in the base unit to form a magnetic field in the reception unit through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supplied current; and a first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base unit to adjust a distance (r) and a direction (Θ) on a plane of the transmission uni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se unit.

Description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CAR}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소에 주차된 차량의 배치상태를 고려하여 무선 충전 위치가 정렬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in which wireless charging positions are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arrangement state of a vehicle parked at a charging station.

오늘날 전기자동차는 새로운 이동 수단으로서 주목 받고 있는데, 전기 에너지는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기존의 화석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원이며, 전기 자동차는 이러한 전기를 연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매연과 이산화탄소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는 친환경 이동 수단으로서 그 역할이 더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Today, electric vehicl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means of transportation, and electric energy is an eco-friendly energy source that can replace the existing fossil fuels that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doesn't happen Accordingly, the electric vehicle is expected to play a greater role as an eco-friendly transportation means.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함에 있어서 다양한 충전방식이 이용되고 있는데, 충전소에 설치된 충전기의 케이블을 차량에 직접 연결하여 충전하는 방식(플러그 인 방식)과 1차 코일과 2차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는 비접촉식 충전 방식(무선 충전 방식)을 예로 들 수 있다.Various charging methods are used to charge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The method of charging by directly connecting the cable of the charger installed in the charging station to the vehicle (plug-in method) and electromagnetic induction generated by the primary and secondary coils A non-contact charging method (wireless charging method) using development can be exemplified.

이 중에서 플러그 인 방식은 충전을 할 때마다 플러그를 꽂고 빼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야외에 설치된 충전기의 경우에 눈, 비, 바람 등에 따라서 훨씬 더 불편한 단점을 갖는다. 이런 단점은 전기자동차의 보급 확산에 큰 장애물이 될 수도 있다.Among them, the plug-in method h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insert and remove the plug every time it is charg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harger installed outdoors, it has a much more inconvenient disadvantage depending on snow, rain, wind, etc. These shortcomings may become a major obstacle to the spread of electric vehicles.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 시도되고 있는 무선 충전 방식은, 충전소에 매설된 급전부의 급전코일로부터 전기자동차의 집전코일에 자기유도 작용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배터리를 충전한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wireless charging method that has been recently attempted uses magnetic induction to the current collecting coil of an electric vehicle from a power feeding coil of a power feeding unit buried in a charging station to wirelessly supply power and charge a battery.

그러나, 이러한 무선 충전 방식의 경우, 급전코일과 집전코일이 지나치게 멀리 떨어져 있거나 대향 각도가 지나치게 어긋나게 된다면 자기유도 작용을 통한 충전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wireless charging method, if the power supply coil and the current collecting coil are too far apart or the opposite angles are too far apart, the charging efficiency through magnetic induction may be reduced.

따라서, 충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충전소에 매설된 급전부의 급전코일에 대하여 전기자동차의 집전코일이 항상 일정한 거리 및 각도로 배치되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charging efficiency, there is a restriction that the current collecting coil of the electric vehicle should always be disposed at a certain distance an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power feeding coil of the power feeding unit buried in the charging station.

상기와 같은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10-1627798호(이하, '선행문헌'이라고 함)는 무선충전 전기 자동차 및 무선충전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In relation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s described above, Korean Patent No. 10-162779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literature') discloses a wireless charging electric vehicle and a wireless charging method.

구체적으로, 급전부로부터 전력을 전송 받는 복수의 집전모듈을 구비한 집전부, 충전구역으로의 진입여부 및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기 집전부를 지면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급전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집전모듈에 유기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집전모듈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거나, 직렬 또는 병렬의 조합으로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등이 선행문헌에 개시되어 있다.Specifically, a current collect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current collecting modules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feeding unit, a driving unit for raising or lowering the current collecting unit with respect to the ground depending on whether the vehicle enters the charging area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power supply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current collection modules to be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or a combination of series or parallel,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induced in the plurality of current collection modules, and the like are disclosed in the prior literature.

그러나, 선행문헌의 무선충전 방법은 차량에 설치된 집전장치의 지면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여 충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구성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무선 충전을 위한 차량이 급전장치에 대하여 어긋나게 배치되었을 때 이를 적절히 반영하여 무선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명시적으로 개시하고 있지 않다.However,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of the prior document discloses only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harging efficiency is improv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urrent collector installed in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It does not explicitly disclose a configuration that allows wireless charging to be performed smoothly by reflecting it.

이상과 같이, 충전소에 매설된 급전부의 급전코일에 대하여 전기자동차의 집전코일이 일정 부분 어긋나게 배치되더라도 여전히 무선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과제를 안고 있으나, 종래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는 이러한 과제를 적절히 해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current collecting coil of the electric vehicle is displaced to a certain extent with respect to the power feeding coil of the power feeding unit buried in the charging station, there is a problem to still perform wireless charging smoothly.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be properly solved.

본 발명은 종래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가 가지고 있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a conventional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충전소에 주차된 차량이 무선 충전 위치에서 일정 부분 어긋나더라도 무선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moothly perform wireless charging even if a vehicle parked at a charging station is partially shifted from a wireless charging 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충전소에 주차된 차량의 특성 및 무선 충전 위치의 조절 필요성이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파악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more easily and accurately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a vehicle parked at a charging station and the need to adjust the wireless charging 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 없이도 무선 충전 위치의 정렬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user convenience by automatically arranging wireless charging positions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by the user.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는 차량의 수신부에 대한 충전소 바닥의 송신부의 배치상태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조절부를 통해 베이스부의 중심에 대한 송신부의 평면상 거리(r)와 방향(θ)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s,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transmitter of the charging station floor relative to the receiver of the vehicle is adjusted. Specifically, 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in-plane distance r and the direction θ of the transmitt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se part through the first adjusting part.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제1 조절부는 회전판, 회전내륜기어, 회전기어, 랙기어 및 피니언기어를 통하여 송신부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justing unit may control the transmitting unit through the rotating plate, the inner rotating gear, the rotating gear, the rack gear, and the pinion gear.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송신부는 패드, 코일 및 케이블을 통해 자기장을 형성하여 수신부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er may form a magnetic field through the pad, the coil, and the cable to perform wireless charging for the receiver.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충전 위치의 정렬 여부가 감지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센서부를 통해 차량의 종류 및 수신부에 대한 송신부의 배치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wireless charging position is aligned. Specifically, 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type of vehicle and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transmitter with respect to the receiver through the sensor unit.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충전 위치의 정렬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사항에 따라 제어부가 송신부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align the wireless charging position.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matter sensed by the sensor unit.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소 바닥에 설치된 베이스부를 충전소 바닥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parate the base part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charging station from the floor of the charging st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는 차량의 수신부에 대한 충전소 바닥의 송신부의 배치상태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조절부를 통해 베이스부의 평면 상에서 송신부의 제1 방향의 위치(x)와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위치(y)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djust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transmitter of the charging station floor with respect to the receiver of the vehicle. Specifically, 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position (x)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transmitter and the position (y) in the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on the plane of the base unit through the second adjust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제2 조절부는 이동판, 제1 랙기어, 제1 피니언기어, 제2 랙기어 및 제2 피니언기어를 통하여 송신부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djusting unit may control the transmitter through the moving plate, the first rack gear, the first pinion gear, the second rack gear, and the second pinion gear.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의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s to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olutions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are clear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able to be understoo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1 조절부를 통해 베이스부의 중심에 대한 송신부의 평면상 거리(r)와 방향(θ)을 조절하므로, 충전소에 주차된 차량이 무선 충전 위치에서 일정 부분 어긋나더라도 무선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tance (r) and the direction (θ) in a plane of the transmitt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se part are adjusted through the first adjusting part, the vehicle parked at the charging station is a certain part in the wireless charging position. Even if there is a deviation, wireless charging can be performed smooth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1 조절부는 회전판, 회전내륜기어, 회전기어, 랙기어 및 피니언기어를 통하여 송신부를 조절하므로, 베이스부의 중심에 대한 송신부의 평면상 거리(r)와 방향(θ)을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adjusting unit adjusts the transmitting unit through a rotating plate, a rotating inner ring gear, a rotating gear, a rack gear, and a pinion gear, the distance (r) on a plane of the transmitting uni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se unit ) and direction (θ) can be adjusted more easily and accurate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송신부는 패드, 코일 및 케이블을 통해 자기장을 형성하여 수신부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하므로, 송신부가 유동되는 과정에서도 안정적으로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ransmitter forms a magnetic field through the pad, the coil, and the cable to wirelessly charge the receiver, it is possible to stably form a magnetic field even when the transmitter mov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센서부를 통해 차량의 종류 및 수신부에 대한 송신부의 배치상태를 감지하므로, 충전소에 주차된 차량의 특성 및 무선 충전 위치의 조절 필요성이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ype of vehicle and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transmitter with respect to the receiver are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it is easier and more accurate to adju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parked at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wireless charging position. can be comprehen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사항에 따라 제어부가 송신부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므로,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 없이도 무선 충전 위치의 정렬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roller automatically controls the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matters sensed by the sensor unit, the wireless charging position is automatically arranged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by the user for user convenience. can impro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충전소 바닥에 설치된 베이스부를 충전소 바닥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교체나 보수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se part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charging station can be separated from the floor of the charging station, replacement or repair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can be made more easi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2 조절부를 통해 베이스부의 평면 상에서 송신부의 제1 방향의 위치(x)와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위치(y)를 조절하므로, 충전소에 주차된 차량이 무선 충전 위치에서 일정 부분 어긋나더라도 무선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x) of the transmitter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position (y) in the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re adjusted on the plane of the base unit through the second adjusting unit. , even if the vehicle parked at the charging station is partially shif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position, wireless charging can be performed smooth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2 조절부는 이동판, 제1 랙기어, 제1 피니언기어, 제2 랙기어 및 제2 피니언기어를 통하여 송신부를 조절하므로, 송신부의 제1 방향의 위치(x)와 제2 방향의 위치(y)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adjusting unit adjusts the transmitting unit through the moving plate, the first rack gear, the first pinion gear, the second rack gear and the second pinion gear, the first The position (x) in the direction and the position (y) in the second direction can be adjusted more easily and accurately.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 대한 차량의 배치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베이스부, 송신부 및 제1 조절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제1 조절부를 통해 송신부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베이스부, 송신부 및 제1 조절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베이스부, 송신부 및 제1 조절부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베이스부, 송신부 및 제1 조절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베이스부, 송신부 및 제2 조절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제2 조절부를 통해 송신부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베이스부, 송신부 및 제2 조절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베이스부, 송신부 및 제2 조절부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베이스부, 송신부 및 제2 조절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1 and 2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ate of a vehicle with respect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base unit, a transmitter, and a first adjuster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ransmitter is adjusted through a first adjusting unit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base unit, a transmitter, and a first adjuster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a base unit, a transmitter, and a first adjuster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se unit, a transmitting unit, and a first adjusting unit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base unit, a transmitter, and a second adjuster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ransmitter is adjusted through a second controller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base unit, a transmitting unit, and a second adjusting unit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a base unit, a transmitting unit, and a second adjusting unit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se unit, a transmitting unit, and a second adjusting unit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 대한 차량의 배치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and 2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ate of a vehicle with respect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는 차량(10)에 설치된 수신부(11)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한다.1 to 3 ,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wireless charging on the receiver 11 installed in the vehicle 10 .

이 경우, 수신부(11)는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 받는 부분으로, 충전소에 설치된 급전코일로부터 자기유도에 의해 전압이 유기되는 집전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1)는 유기된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정류기 및 발생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ceiving unit 11 may include a current collecting coil in which a voltage is induced by magnetic induction from a power feeding coil installed in a charging station as a part receiving power by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In addition, the receiver 11 may include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induced voltage to output a DC voltage, and a battery for storing the generated power.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을 통해 차량(10)을 충전하기 위해서, 충전소 바닥(20)에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특히, 베이스부(100))가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 in order to charge the vehicle 10 through wireless charg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1000 for a vehicle (particularly, the base unit 100 ) may be installed on the floor 20 of the charging station. .

이 경우, 사용자의 운전 숙련도 및 성향에 따라 차량(10)의 주차 위치는 각기 다를 수 있으며, 충전소 바닥(20)에 설치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와의 정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10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driving skill and tendency of the user, and an alignment problem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0 for a vehicle installed on the floor 20 of the charging station may occur.

무선 충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차량(10)의 수신부(11)와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가 서로 일정 거리 및 각도 이내로 정렬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receiver 11 of the vehicle 10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0 for a vehicle need to be align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gle to each other in order to efficiently perform wireless charging.

이를 위해, 사용자가 매번 차량(10)의 주차 위치를 수정하는 것은 사용자 입장에서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차량(10)의 종류에 따라 그 규격이 각기 다를 수 있다는 점에서, 항상 무선 충전 위치가 정렬되도록 하기는 사실상 곤란하다고 할 수 있다.To this end, it is not only very cumbersome for the user to modify the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10 every time, but also the specifications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vehicle 10, so that the wireless charging position is always aligned. It can be said that it is actually difficult to do.

이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는, 충전소 바닥(20)에 대한 차량(10)의 주차 위치가 일정 부분 어긋나더라도, 차량(10)의 이동 없이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의 배치가 조절되도록 하여 무선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S. 1 and 2 ,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the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10 with respect to the charging station floor 20 is partially shifted, the vehicle 10 ) so that the arrangemen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0 for a vehicle is adjusted without movement, so that wireless charging can be performed smoothly.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베이스부, 송신부 및 제1 조절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제1 조절부를 통해 송신부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base unit, a transmitter, and a first adjuster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ransmitter is adjusted through a first adjusting unit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는 베이스부(100), 송신부(200) 및 제1 조절부(300)를 포함한다.4 and 5 ,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unit 100 , a transmitter 200 , and a first adjuster 300 .

베이스부(100)는 차량(10)이 주차된 충전소 바닥(20)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의 주요 외관을 이룬다. 즉, 베이스부(100)는 충전소 바닥(20)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 송신부(200) 및 제1 조절부(300)가 수용될 수 있다.The base part 100 is a part installed on the floor 20 of the charging station where the vehicle 10 is parked, and forms the main exterior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0 for a vehicle. That is, the base unit 100 can accommodate the transmitter 200 and the first adjustment unit 300 therein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unit 100 is installed on the floor 20 of the charging station.

이 경우, 베이스부(100)는 바닥판(110)과 덮개판(120)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져, 덮개판(120)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0)는 차량(10)의 하중이나 외력에 의한 변형 및 손상이 방지되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 부재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se part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bottom plate 110 and the cover plate 120 so that the cover plate 120 is opened and closed. In addition, the base part 100 may be formed of a member and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to prevent deformation and damage caused by a load or external force of the vehicle 10 .

송신부(200)는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을 통하여 수신부(11)에 자기장을 형성시키도록 베이스부(100)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전술한 수신부(11)와 함께 전자기 유도가 일어나는 부분이다.The transmitter 200 is a part installed in the base part 100 to form a magnetic field in the receiver 11 through a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supplied current, and is a part where electromagnetic induction occurs together with the receiver 11 described above.

즉, 송신부(200)에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이러한 송신부(200)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송신부(200)와 일정 거리 및 각도로 배치된 수신부(11)에 자기장이 유도되어 수신부(11)에 전압이 유기될 수 있다.That is, when current is supplied to the transmitter 200 , a magnetic field may be formed in the transmitter 200 . In addition, a magnetic field may be induced in the receiver 11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gle from the transmitter 200 to induce a voltage in the receiver 11 .

제1 조절부(300)는 베이스부(100)의 중심에 대한 송신부(200)의 평면상 거리(r)와 방향(θ)을 조절하도록 베이스부(100)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송신부(200)를 이동시켜 수신부(11)와 무선 충전 위치로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adjusting unit 300 is a part installed in the base unit 100 to adjust the distance r and the direction θ in a plane of the transmitting unit 200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se unit 100, and the transmitting unit 200 ) can be moved to be aligned with the receiver 11 and the wireless charging position.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 내에서 제1 조절부(300)에 의해 송신부(200)는 베이스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10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5 , the transmitting unit 200 may be rotated based on the center of the base unit 100 by the first adjusting unit 300 within the base unit 100 , and the base unit 100 may be rotated based on the center of the base unit 100 . ) can be moved away from or closer to the center of the

이에 따라, 송신부(200)는 베이스부(100) 내부의 사실상 모든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의 수신부(11)가 베이스부(100)의 상부 공간에 위치한다면 송신부(200)를 이동시켜 수신부(11)와 무선 충전 위치로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ransmitter 200 may be moved to virtually any position inside the base unit 100 . Accordingly, if the receiver 11 of the vehicle 10 is located in the upper space of the base part 100 , the transmitter 200 may be moved to be aligned with the receiver 11 and the wireless charging positio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는, 제1 조절부(300)를 통해 베이스부(100)의 중심에 대한 송신부(200)의 평면상 거리(r)와 방향(θ)을 조절하므로, 충전소에 주차된 차량(10)이 무선 충전 위치에서 일정 부분 어긋나더라도 무선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such,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plane distance r and the direction θ of the transmitter 200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se unit 100 through the first adjustment unit 300 . ), even if the vehicle 10 parked at the charging station is partially shif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position, wireless charging can be performed smoothly.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베이스부, 송신부 및 제1 조절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베이스부, 송신부 및 제1 조절부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베이스부, 송신부 및 제1 조절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base unit, a transmitter, and a first adjuster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a base unit, a transmitter, and a first adjuster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se unit, a transmitting unit, and a first adjusting unit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에서, 제1 조절부(300)는 회전판(350), 회전내륜기어(310), 회전기어(320), 랙기어(330) 및 피니언기어(340)를 포함할 수 있다.6 to 8 ,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justing unit 300 includes a rotating plate 350 , a rotating inner ring gear 310 , and a rotating gear. 320 , a rack gear 330 and a pinion gear 340 may be included.

회전판(350)은 송신부(200)가 탑재되는 부분으로, 베이스부(100) 내에서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판(350)의 회전 시 이러한 회전판(350)에 탑재된 송신부(200) 역시 베이스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rotating plate 350 is a part on which the transmitter 200 is mounted, and may be install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base part 100 . Accordingly, when the rotating plate 350 is rotated, the transmitter 200 mounted on the rotating plate 350 may also be rotated based on the center of the base unit 100 .

회전내륜기어(310)는 베이스부(100)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링형상의 기어로서, 베이스부(100) 내에서 회전되는 회전판(350)의 회전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The inner rotating gear 310 is a ring-shaped gear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ase unit 100 , and may guide the rotation path of the rotating plate 350 rotated in the base unit 100 .

회전기어(320)는 회전판(350)에 설치된 상태로 회전내륜기어(310)에 치합되는 기어로서, 회전기어(320)의 회전 시 이에 치합된 회전내륜기어(310)를 따라 회전기어(320)가 이동될 수 있다. 그 결과, 회전기어(320)가 설치된 회전판(350)이 베이스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rotary gear 320 is a gear meshed with the rotary inner ring gear 310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on the rotary plate 350. When the rotary gear 320 rotates, the rotary gear 320 follows the inner rotary gear 310 meshed therewith. can be moved As a result, the rotation plate 350 on which the rotation gear 320 is installed can be rotated based on the center of the base part 100 .

한편, 회전기어(320)에는 별도의 모터(7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700)의 구동 시 회전기어(320)에 대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 separate motor 700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gear 320 . When the motor 700 is driven,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gear 320 may be provided.

이상과 같이, 회전판(350), 회전내륜기어(310) 및 회전기어(320)를 통해 송신부(200)는 베이스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ssion unit 200 may be rotated based on the center of the base unit 100 through the rotating plate 350 , the rotating inner ring gear 310 , and the rotating gear 320 .

랙기어(330)는 회전판(3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는 기어로서, 회전판(3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송신부(20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The rack gear 330 is a gear install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plate 350 , and may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transmitter 200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plate 350 .

피니언기어(340)는 송신부(200)에 설치된 상태로 랙기어(330)에 치합되는 기어로서, 피니언기어(340)의 회전 시 이에 치합된 랙기어(330)를 따라 피니언기어(340)가 이동될 수 있다. 그 결과, 피니언기어(340)가 설치된 송신부(200)가 회전판(3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The pinion gear 340 is a gear that meshes with the rack gear 330 while installed in the transmitter 200. When the pinion gear 340 rotates, the pinion gear 340 moves along the rack gear 330 meshed therewith. can be As a result, the transmission unit 200 in which the pinion gear 340 is installed may b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plate 350 .

한편, 피니언기어(340)에는 별도의 모터(7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700)의 구동 시 피니언기어(340)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 separate motor 700 may be coupled to the pinion gear 340 . When the motor 700 is driven, a rotational force for rotation of the pinion gear 340 may be provided.

이상과 같이, 회전판(350), 랙기어(330) 및 피니언기어(340)를 통해 송신부(200)는 베이스부(10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tting unit 200 may be moved away from or closer to the center of the base unit 100 through the rotating plate 350 , the rack gear 330 , and the pinion gear 340 .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에서, 제1 조절부(300)는 회전판(350), 회전내륜기어(310), 회전기어(320), 랙기어(330) 및 피니언기어(340)를 통하여 송신부(200)를 조절하므로, 베이스부(100)의 중심에 대한 송신부(200)의 평면상 거리(r)와 방향(θ)을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As such,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djusting unit 300 includes the rotating plate 350, the rotating inner wheel gear 310, the rotating gear 320, the rack gear 330 and the pinion. Since the transmitter 200 is adjusted through the gear 340, the distance r and the direction θ of the transmitter 200 in a plan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se part 100 can be adjusted more easily and accurat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에서, 송신부(200)는 패드(230), 코일(210) 및 케이블(220)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er 200 may include a pad 230 , a coil 210 , and a cable 220 .

패드(230)는 피니언기어(340)의 회전 시 랙기어(33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부분으로, 코일(210)을 탑재한 상태로 회전판(350)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The pad 230 is a part slidable along the rack gear 330 when the pinion gear 340 rotates, and may be moved on the rotating plate 350 with the coil 210 mounted thereon.

코일(210)은 패드(230) 상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급전코일 역할을 수행하여 공급되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코일(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패드(230) 상에 탑재되므로, 패드(230)의 이동 시에도 안정적으로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il 210 is a part installed on the pad 230 , and serves as a power supply coil to form a magnetic field by the supplied current. Since the coil 210 is mounted on the pad 230 as described above, a magnetic field may be stably formed even when the pad 230 is moved.

케이블(220)은 코일(210)로 전류를 공급하도록 회전판(350) 상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패드(230)의 이동 시에도 코일(210)로 안정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도록 플레이트 구조 또는 플렉서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able 220 is a portion installed on the rotating plate 350 to supply current to the coil 210 , and has a plate structure or a flexible structure to stably supply current to the coil 210 even when the pad 230 moves. can be don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에서, 송신부(200)는 패드(230), 코일(210) 및 케이블(220)을 통해 자기장을 형성하여 수신부(11)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하므로, 송신부(200)가 유동되는 과정에서도 안정적으로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As such,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nsmitter 200 forms a magnetic field through the pad 230 , the coil 210 and the cable 220 to wirelessly charge the receiver 11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ably form a magnetic field even while the transmitter 200 flow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는 차량(10)의 종류 및 수신부(11)에 대한 송신부(200)의 배치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type of the vehicle 10 and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transmitter 200 with respect to the receiver 11 . I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500 .

예를 들어, 센서부(500)는 블루투스(Bluetooth) 및/또는 라이다(Lidar)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500)는 블루투스를 통해 충전소 바닥(20)에 주차된 차량(10)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500)는 라이다 센서를 통해 차량(10) 바퀴의 위치 및 수신부(11)의 위치를 감지하여 송신부(200)와의 배치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500 may include a Bluetooth and/or Lidar sensor. Accordingly, the sensor unit 500 may detect information on the vehicle 10 parked on the charging station floor 20 through Bluetooth. In addition, the sensor unit 500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wheels of the vehicle 10 and the position of the receiver 11 through the lidar sensor to determine the arrangement state with the transmitter 200 .

또한, 센서부(500)는 저주파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500)는 저주파 안테나를 통해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와 차량(10) 사이의 거리 및 틀어짐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Also, the sensor unit 500 may include a low-frequency antenna. Accordingly, the sensor unit 500 may detect the distance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0 for a vehicle and the vehicle 10 and the degree of distortion through the low-frequency antenna.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는, 센서부(500)를 통해 차량(10)의 종류 및 수신부(11)에 대한 송신부(200)의 배치상태를 감지하므로, 충전소에 주차된 차량(10)의 특성 및 무선 충전 위치의 조절 필요성이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다.As su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tects the type of the vehicle 10 and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transmitter 200 with respect to the receiver 11 through the sensor unit 500, 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ked vehicle 10 and the need to adjust the wireless charging position can be more easily and accurately grasped.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는 센서부(500)에 의하여 감지된 사항에 따라 베이스부(100)의 중심에 대한 송신부(200)의 평면상 거리(r)와 방향(θ)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r) on a plane of the transmitter 200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se unit 100 according to the matter detected by the sensor unit 500 .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600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θ).

즉, 상기와 같은 감지 과정을 통해 무선 충전 위치의 정렬이 필요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별도의 사용자의 조작이 없더라도 자동적으로 제어부(600)를 통한 송신부(200)의 위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when it is detected that alignment of the wireless charging position is required through the sens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transmitter 200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hrough the control unit 600 even without a separate user operation.

예를 들어, 차량(10)이 충전소 바닥(20)에 주차되고, 충전의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600)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를 작동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vehicle 10 is parked on the charging station floor 20 and it is determined that charging is necessary, the controller 600 may operat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0 for a vehicle.

그리고, 센서부(500)를 통해 차량(10)의 종류 및 수신부(11)의 위치를 감지하게 되고, 감지결과 무선 충전 위치가 정렬된 것으로 파악된다면 즉시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nd, the type of the vehicle 10 and the position of the receiver 11 are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50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charging position is aligned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perform wireless charging immediately.

반면, 상기의 감지결과 무선 충전 위치가 어긋난 것으로 파악된다면 제어부(600)는 제1 조절부(300)를 작동시켜 송신부(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 충전 위치가 정렬되도록 한 후 무선 충전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charging position is shifted as a result of the above detection, the control unit 600 may operate the first control unit 300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transmitter 200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wireless charging to be performed after the wireless charging position is align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는, 센서부(500)에 의하여 감지된 사항에 따라 제어부(600)가 송신부(200)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므로,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 없이도 무선 충전 위치의 정렬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ontrol unit 600 automatically controls the transmission unit 200 according to the matter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500, a separate operation by the user The alignment of the wireless charging position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without the need for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에서, 베이스부(100)는 충전소 바닥(2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art 100 may be install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harging station floor 20 .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정적인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소정의 강성을 갖는 베이스부(100)가 충전소 바닥(20)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achieve stable wireless charging,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base part 100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is fixedly installed on the charging station floor 20 .

그러나, 베이스부(100) 내부의 송신부(200) 및 제1 조절부(300) 등이 고장 또는 파손되는 경우나 베이스부(100) 자체의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한 경우, 이를 교체 또는 보수할 필요가 있다.However, when the transmission unit 200 and the first adjustment unit 300 inside the base unit 100 are broken or damaged or the base unit 100 itself is damaged or damaged, there is no need to replace or repair it. there is.

이러한 경우, 베이스부(100)가 충전소 바닥(2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면, 일정부분 충전소 바닥(20)을 손상시킨 후 베이스부(100)를 분리시켜 이를 교체하거나 보수 후 재설치 하여야 한다는 제약이 있을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base part 100 is not separated from the charging station floor 20, there may be a restriction that the charging station floor 20 is partially damaged and then the base part 100 is separated and replaced or reinstalled after repair. there is.

따라서, 베이스부(100)를 충전소 바닥(2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교체 또는 보수의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 베이스부(100)를 분리시켜 그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by detachably installing the base part 100 with respect to the charging station floor 20, when there is a need for replacement or repair, the base part 100 can be separated to perform the operation more easily.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는, 충전소 바닥(20)에 설치된 베이스부(100)를 충전소 바닥(2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의 교체나 보수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separate the base part 100 installed on the charging station floor 20 from the charging station floor 20, replacemen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0 for a vehicle I can make repairs more easily.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베이스부, 송신부(200) 및 제2 조절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제2 조절부를 통해 송신부(200)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base unit, a transmitter 200, and a second adjuster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ransmitter 200 is adjusted through the second adjusting unit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는 베이스부(100), 송신부(200) 및 제2 조절부(400)를 포함한다.9 and 10 ,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unit 100 , a transmitter 200 , and a second adjuster 400 .

베이스부(100) 및 송신부(200)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에서의 설명과 사실상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Since the base unit 100 and the transmitter 20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overlapping contents will be omitted.

제2 조절부(400)는 베이스부(100)의 평면 상에서 송신부(200)의 제1 방향의 위치(x)와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위치(y)를 조절하도록 베이스부(100)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송신부(200)를 이동시켜 수신부(11)와 무선 충전 위치로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adjusting unit 400 adjusts the position (x) of the transmitter 200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position (y) in the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on the plane of the base unit 100 to adjust the position (y) of the base unit ( 100), it is possible to move the transmitter 200 to be aligned with the receiver 11 and the wireless charging position.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 내에서 제2 조절부(400)에 의해 송신부(200)는 베이스부(100)의 평면 상에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각각 이동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0 , the transmitter 200 moves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on the plane of the base unit 100 by the second adjusting unit 400 in the base unit 100 , respectively. can be

이에 따라, 송신부(200)는 베이스부(100) 내부의 사실상 모든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의 수신부(11)가 베이스부(100)의 상부 공간에 위치한다면 송신부(200)를 이동시켜 수신부(11)와 무선 충전 위치로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ransmitter 200 may be moved to virtually any position inside the base unit 100 . Accordingly, if the receiver 11 of the vehicle 10 is located in the upper space of the base part 100 , the transmitter 200 may be moved to be aligned with the receiver 11 and the wireless charging positio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는, 제2 조절부(400)를 통해 베이스부(100)의 평면 상에서 송신부(200)의 제1 방향의 위치(x)와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위치(y)를 조절하므로, 충전소에 주차된 차량(10)이 무선 충전 위치에서 일정 부분 어긋나더라도 무선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position (x) and the first position of the transmitter 200 in the first direction on the plane of the base unit 100 through the second adjustment unit 400 . Since the position y in the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s adjusted, wireless charging can be performed smoothly even if the vehicle 10 parked at the charging station is partially shif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posi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베이스부, 송신부 및 제2 조절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베이스부, 송신부 및 제2 조절부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베이스부, 송신부 및 제2 조절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base unit, a transmitting unit, and a second adjusting unit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a base unit, a transmitting unit, and a second adjusting unit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se unit, a transmitting unit, and a second adjusting unit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에서, 제2 조절부(400)는 이동판(450), 제1 랙기어(410), 제1 피니언기어(430), 제2 랙기어(420) 및 제2 피니언기어(440)를 포함할 수 있다.11 to 13 ,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djusting unit 400 includes a moving plate 450 , a first rack gear 410 , It may include a first pinion gear 430 , a second rack gear 420 , and a second pinion gear 440 .

이동판(450)은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송신부(200)가 탑재되는 부분으로, 베이스부(100) 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판(450)의 이동 시 이러한 이동판(450)에 탑재된 송신부(200) 역시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The moving plate 450 is formed to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s a portion on which the transmitter 200 is mounted, and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base unit 100 . Accordingly, when the moving plate 450 is moved, the transmitter 200 mounted on the moving plate 450 may also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제1 랙기어(410)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는 기어로서, 베이스부(100) 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판(45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The first rack gear 410 is a gear installed to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and may guide a movement path of the moving plate 450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base part 100 .

제1 피니언기어(430)는 이동판(450)에 설치된 상태로 제1 랙기어(410)에 치합되는 기어로서, 제1 피니언기어(430)의 회전 시 이에 치합된 제1 랙기어(410)를 따라 제1 피니언기어(430)가 이동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피니언기어(430)가 설치된 이동판(450)이 베이스부(100) 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pinion gear 430 is a gear that meshes with the first rack gear 410 while installed on the moving plate 450, and the first rack gear 410 meshes with the first pinion gear 430 when the first pinion gear 430 rotates. Accordingly, the first pinion gear 430 may be moved. As a result, the moving plate 450 on which the first pinion gear 430 is installed may be moved in the base part 100 in the first direction.

한편, 제1 피니언기어(430)에는 별도의 모터(7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700)의 구동 시 제1 피니언기어(430)에 대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 separate motor 7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inion gear 430 . When the motor 700 is driven, a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pinion gear 430 may be provided.

이상과 같이, 이동판(450), 제1 랙기어(410) 및 제1 피니언기어(430)를 통해 송신부(200)는 베이스부(100) 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tting unit 200 may be moved in the base unit 100 in the first direction through the moving plate 450 , the first rack gear 410 , and the first pinion gear 430 .

제2 랙기어(420)는 이동판(4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는 기어로서, 이동판(4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송신부(20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The second rack gear 420 is a gear install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plate 450 , and may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transmitter 200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plate 450 .

제2 피니언기어(440)는 송신부(200)에 설치된 상태로 제2 랙기어(420)에 치합되는 기어로서, 제2 피니언기어(440)의 회전 시 이에 치합된 제2 랙기어(420)를 따라 제2 피니언기어(440)가 이동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 피니언기어(440)가 설치된 송신부(200)가 이동판(4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The second pinion gear 440 is a gear that meshes with the second rack gear 420 while being installed in the transmitter 200. When the second pinion gear 440 rotates, the second rack gear 420 meshed therewith is used. Accordingly, the second pinion gear 440 may be moved. As a result, the transmitter 200 in which the second pinion gear 440 is installed may b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plate 450 .

한편, 제2 피니언기어(440)에는 별도의 모터(7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700)의 구동 시 제2 피니언기어(440)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 separate motor 70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inion gear 440 . When the motor 700 is driven, a rotational force for rotation of the second pinion gear 440 may be provided.

이상과 같이, 이동판(450), 제2 랙기어(420) 및 제2 피니언기어(440)를 통해 송신부(200)는 베이스부(100) 내에서 제2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tting unit 200 may be moved in the base unit 100 in the second direction through the moving plate 450 , the second rack gear 420 , and the second pinion gear 440 .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0)에서, 제2 조절부(400)는 이동판(450), 제1 랙기어(410), 제1 피니언기어(430), 제2 랙기어(420) 및 제2 피니언기어(440)를 통하여 송신부(200)를 조절하므로, 송신부(200)의 제1 방향의 위치(x)와 제2 방향의 위치(y)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As such,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adjusting unit 400 includes a moving plate 450 , a first rack gear 410 , a first pinion gear 430 , and a second rack. Since the transmission unit 200 is adjusted through the gear 420 and the second pinion gear 440, the position (x)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position (y)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unit 200 can be adjusted more easily and accurately than the position (y) in the second direction. there i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설명되는 주요 구성은, 상술한 특징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설명되는 주요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main components describ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main components describ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above-described features,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shown, but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said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차량 11: 수신부
20: 충전소 바닥 100: 베이스부
110: 바닥판 120: 덮개판
200: 송신부 210: 코일
220: 케이블 230: 패드
300: 제1 조절부 310: 회전내륜기어
320: 회전기어 330: 랙기어
340: 피니언기어 350: 회전판
400: 제2 조절부 410: 제1 랙기어
420: 제2 랙기어 430: 제1 피니언기어
440: 제2 피니언기어 450: 이동판
500: 센서부 600: 제어부
700: 모터 1000: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10: vehicle 11: receiver
20: charging station floor 100: base part
110: bottom plate 120: cover plate
200: transmitter 210: coil
220: cable 230: pad
300: first adjustment unit 310: rotating inner ring gear
320: rotation gear 330: rack gear
340: pinion gear 350: rotating plate
400: second adjustment unit 410: first rack gear
420: second rack gear 430: first pinion gear
440: second pinion gear 450: moving plate
500: sensor unit 600: control unit
700: motor 1000: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Claims (12)

차량에 설치된 수신부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차된 충전소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부;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을 통하여 상기 수신부에 자기장을 형성시키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송신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에 대한 상기 송신부의 평면상 거리(r)와 방향(θ)을 조절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제1 조절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for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with respect to a receiver installed in the vehicle,
a base part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charging station where the vehicle is parked;
a transmitter installed in the base to form a magnetic field in the receiver through a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supplied current; and
a first adjusting unit installed in the base unit to adjust a distance (r) and a direction (θ) in a plane of the transmitt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se unit;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송신부가 탑재되는 회전판,
상기 베이스부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링형상의 회전내륜기어,
상기 회전판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회전내륜기어에 치합되는 회전기어,
상기 회전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는 랙기어 및
상기 송신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djustment unit
a rotating plate on which the transmitter is mounted;
A ring-shaped rotating inner ring gear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ase part;
a rotating gear engaged with the rotating inner ring gear in a state installed on the rotating plate;
a rack gear install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plate;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pinion gear meshed with the rack gear in a state installed in the transmitt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 시 상기 랙기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패드,
상기 패드 상에 설치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로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회전판 상에 설치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ransmitter
a pad capable of sliding along the rack gear when the pinion gear rotates;
a coil installed on the pad;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cable installed on the rotating plate to supply current to the coil.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종류 및 상기 수신부에 대한 상기 송신부의 배치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type of the vehicle and an arrangement state of the transmitter with respect to the receiver;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사항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에 대한 상기 송신부의 평면상 거리(r)와 방향(θ)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distance (r) and a direction (θ) on a plane of the transmitting uni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se unit according to the matter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충전소 바닥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base portion is install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loor of the charging station,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차량에 설치된 수신부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차된 충전소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부;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을 통하여 상기 수신부에 자기장을 형성시키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송신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평면 상에서 상기 송신부의 제1 방향의 위치(x)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위치(y)를 조절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제2 조절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for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with respect to a receiver installed in the vehicle,
a base part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charging station where the vehicle is parked;
a transmitter installed in the base to form a magnetic field in the receiver through a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supplied current; and
a second adjusting unit installed in the base unit to adjust a position (x) in a first direction and a position (y) in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on the plane of the base unit;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송신부가 탑재되는 이동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는 제1 랙기어,
상기 이동판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제1 랙기어에 치합되는 제1 피니언기어,
상기 이동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는 제2 랙기어 및
상기 송신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제2 랙기어에 치합되는 제2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adjustment unit
a moving plate formed to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on which the transmitter is mounted;
a first rack gear installed to extend along the first direction;
a first pinion gear engaged with the first rack gear while installed on the moving plate;
a second rack gear install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plate; and
and a second pinion gear meshed with the second rack gear while installed in the transmitt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2 피니언기어의 회전 시 상기 제2 랙기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패드,
상기 패드 상에 설치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로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이동판 상에 설치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ransmitter
a pad capable of sliding along the second rack gear when the second pinion gear rotates;
a coil installed on the pad;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cable installed on the moving plate to supply current to the coil.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종류 및 상기 수신부에 대한 상기 송신부의 배치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type of the vehicle and an arrangement state of the transmitter with respect to the receiver;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사항에 따라 상기 송신부의 상기 제1 방향의 위치(x)와 상기 제2 방향의 위치(y)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position (x)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position (y)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matters sensed by the sensor unit;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충전소 바닥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The base portion is install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loor of the charging station,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KR1020200008899A 2020-01-22 2020-01-22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car KR1023464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899A KR102346420B1 (en) 2020-01-22 2020-01-22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899A KR102346420B1 (en) 2020-01-22 2020-01-22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968A true KR20210094968A (en) 2021-07-30
KR102346420B1 KR102346420B1 (en) 2021-12-31

Family

ID=77148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899A KR102346420B1 (en) 2020-01-22 2020-01-22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42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75328A (en) * 2022-02-28 2022-05-13 全芯科微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New energy automobile wireless charg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4593A (en) * 2010-05-31 2011-12-15 Toyota Motor Corp Charger
KR20140022867A (en) * 2011-04-13 2014-02-2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Antenna alignment and vehicle guidance for wireless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JP2014054133A (en) * 2012-09-10 2014-03-20 Ihi Transport Machinery Co Ltd Vehicle power supply device
KR20180011701A (en) * 2016-07-25 2018-02-02 최봉호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4593A (en) * 2010-05-31 2011-12-15 Toyota Motor Corp Charger
KR20140022867A (en) * 2011-04-13 2014-02-2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Antenna alignment and vehicle guidance for wireless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JP2014054133A (en) * 2012-09-10 2014-03-20 Ihi Transport Machinery Co Ltd Vehicle power supply device
KR20180011701A (en) * 2016-07-25 2018-02-02 최봉호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75328A (en) * 2022-02-28 2022-05-13 全芯科微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New energy automobile wireless charg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4475328B (en) * 2022-02-28 2023-06-13 全芯科微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New energy automobile wireless charg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420B1 (en) 2021-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812828U (en) One kind is automatically position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106040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harging of a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JP5900636B2 (en) Mobile system
US9809125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for electric car
EP2905865B1 (en)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relative position between coils
KR101985490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100123452A1 (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system
US20120319644A1 (en) Contactless charging system
CN107078548B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harge provided to a charge receiving element in a series-tuned resonant system
GB2500691A (en) Charging system for a vehicle
CN204391771U (en) For the charging device of inductive charging
KR101610397B1 (en)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JP2010246348A (en) Power-receiving device and power-transmitting device
KR20120081051A (en)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car and charging method therefor
KR101526589B1 (en) Non-contact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KR102346420B1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car
CN206790194U (en) Unmanned plane vehicle-mounted charging device and vehicle
JP2013055803A (en) Non-contact charger
US20190118663A1 (en) Automatic lateral alignment for wireless charging systems
KR101807268B1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s without limitation of movement within the radius
KR20200113134A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KR20110000012A (en) Non-contact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JP5966332B2 (en) Mobile vehicle and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device
CN109217484B (en) Wireless charging alignment device and system
KR20210050170A (en) Portab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