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890A - 위치 기반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890A
KR20210094890A KR1020200008686A KR20200008686A KR20210094890A KR 20210094890 A KR20210094890 A KR 20210094890A KR 1020200008686 A KR1020200008686 A KR 1020200008686A KR 20200008686 A KR20200008686 A KR 20200008686A KR 20210094890 A KR20210094890 A KR 20210094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information
job search
matching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민
Original Assignee
캐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캐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8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4890A/ko
Publication of KR20210094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8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기반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른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구인 단말기, 구직 단말기 및 운영서버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구인 단말기로 구인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는 구인정보 수집부, 상기 구직 단말기로 구직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는 구직정보 수집부, 수집된 상기 구인정보 및 상기 구직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DB 관리부, 수집된 상기 구인정보 및 상기 구직정보를 분석하여 구인 및 구직 조건에 상응하는 구인자와 구직자를 매칭하는 정보 매칭부, 상기 정보 매칭부에서 매칭된 구직자의 상기 구직 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부, 상기 정보 매칭부에서 매칭된 구직자의 상기 구직 단말기에 구인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구인정보에 따른 근무장소가 존재하는 일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구직 단말기를 상대로 구인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푸싱부, 구인정보가 제공된 하나 이상의 상기 구직 단말기로 수락 여부의 승인을 요청하여 가장 먼저 승인한 구직 단말기로부터 캐치정보를 수집하는 캐치정보 수집부, 및, 캐치정보 수집된 상기 구직 단말기와 매칭된 상기 구인 단말기 사이에 대화채널을 제공하는 채널 제공부를 포함하다.

Description

위치 기반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Interactive employment matching service system based on LBS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위치 기반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용불안과 취업난이 심각해지면서 이직을 하는 이직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회사에서도 적절한 인재를 찾지 못하여 발생하는 구인난도 심각해지고 있다. 구인 및 구직을 중개하는 사이트가 존재하지만, 개인간의 구인구직에 대한 중개는 전혀 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매칭의 부적절성이나 정확하게 해당 업무를 이해를 하지 못하는 헤드헌터에 의하여, 매칭되는 구인 데이터 및 구직 데이터가 스팸으로 취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구인 측에서는 최저임금의 상승 등으로 인하여 장기간 직원을 고용하기가 어려워 직원이 꼭 필요한 시간대에만 파트 타임 형태로 임시 직원을 채용하고자 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구직 측에서는 개인 생활이 중요시됨에 따라 어느 특정 직업에 장기간 소속되려 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파트 타임 형식으로 즉흥적으로 일을 하고 나머지 시간을 즐기고자 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즉, 최근의 구인구직은 일 단위 또는 시간 단위의 단기 또는 초단기 형태를 요구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960918호, 한국등록특허 10-1764379호 등에서 소개되고 있는 온라인 상의 구인구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구인구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최근의 구인구직 경향에 따라 즉흥적인 구인구직 서비스 제공에는 효율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 제공되고 있는 구인구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구인자 또는 구직자에 대하여 무작위로 구인 또는 구직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무의미한 정보가 함께 제공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구인구직 서비스 제공시스템에서는 구인 또는 구직 활동이 종료된 상태에서도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구인구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구인자 및 구직자 사이의 매칭 만족도를 담보하기 위하여, 일을 이미 완료한 다른 구인자 또는 구직자의 경험을 토대로 매칭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매칭 방식은 구인구직 당사자가 아닌 제3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것으로, 구인구직 당사자 사이에서의 업무 적합성이나 만족도를 담보하기에는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구인 및 구직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지역적 특성, 업무 특성, 구인 또는 구직 측의 만족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당 구인 또는 구직 측에 적합하면서 유익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960918호(2019.03.15.등록, 일용직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한국등록특허 10-1764379호(2017.07.27.등록, LBS 기반 개인간 구인구직 서비스 제공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인자와 구직자 사이에 특정 위치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 내의 구인구직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즉흥적으로 구인구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인 또는 구직 당사자의 직접적인 경험을 정보로 하여 구인구직 매칭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업무 적합성이나 만족도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른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구인 단말기, 구직 단말기 및 운영서버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구인 단말기로 구인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는 구인정보 수집부, 상기 구직 단말기로 구직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는 구직정보 수집부, 수집된 상기 구인정보 및 상기 구직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DB 관리부, 수집된 상기 구인정보 및 상기 구직정보를 분석하여 구인 및 구직 조건에 상응하는 구인자와 구직자를 매칭하는 정보 매칭부, 상기 정보 매칭부에서 매칭된 구직자의 상기 구직 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부, 상기 정보 매칭부에서 매칭된 구직자의 상기 구직 단말기에 구인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구인정보에 따른 근무장소가 존재하는 일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구직 단말기를 상대로 구인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푸싱부, 구인정보가 제공된 하나 이상의 상기 구직 단말기로 수락 여부의 승인을 요청하여 가장 먼저 승인한 구직 단말기로부터 캐치정보를 수집하는 캐치정보 수집부, 및, 캐치정보 수집된 상기 구직 단말기와 매칭된 상기 구인 단말기 사이에 대화채널을 제공하는 채널 제공부를 포함하다.
본 실시예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캐치정보 수집부는 캐치정보가 수집된 구직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구직 단말기를 상대로 제공된 구인정보를 회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에 의한 근로가 종료된 후 상기 구인 단말기 및 상기 구직 단말기에 만족도 입력을 요청하여 구인자 및 구직자의 만족도를 수집하는 만족도 수집부, 및, 수집된 구인자 및 구직자의 만족도 정보를 기초로 매칭레벨을 산출하는 매칭레벨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 매칭부는 이 후 수집되는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에 대한 매칭에서 상기 매칭레벨 산출부에서 산출된 매칭레벨에 따라 만족도가 높은 구인자와 구직자를 우선으로 매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른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은, 구인 단말기, 구직 단말기 및 운영서버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a) 구인 단말기에 구인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는 구인정보 수집단계, (b) 구직 단말기에 구직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는 구직정보 수집단계, (c) 수집된 상기 구인정보 및 상기 구직정보를 분석하여 구인 및 구직 조건에 상응하는 구인자와 구직자를 매칭하는 정보 매칭단계, (d) 상기 정보 매칭단계에서 매칭된 구직자의 상기 구직 단말기로부터 구직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단계, (e) 상기 정보 매칭단계에서 매칭된 구직자의 상기 구직 단말기에 구인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위치정보 수집단계에서 수집된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구인정보에 따른 근무장소가 존재하는 일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구직 단말기를 상대로 구인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푸싱단계, (f) 구인정보가 제공된 하나 이상의 상기 구직 단말기로 수락 여부의 승인을 요청하여 가장 먼저 승인한 구직 단말기로부터 캐치정보를 수집하는 캐치정보 수집단계, 및, (g) 캐치정보가 수집된 상기 구직 단말기와 매칭된 상기 구인 단말기 사이에 대화 채널을 제공하는 채널 제공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캐치정보 수집은, 캐치정보가 수집된 구직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구직 단말기를 상대로 제공된 구인정보를 회수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h)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에 의한 근로가 종료된 후 상기 구인 단말기 및 상기 구직 단말기에 만족도 입력을 요청하여 구인자 및 구직자의 만족도를 수집하는 만족도 수집단계, 및, (i) 수집된 구인자 및 구직자의 만족도 정보를 기초로 매칭레벨을 산출하는 매칭레벨 산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정보 매칭은 이 후 수집되는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에 대한 매칭에서 상기 매칭레벨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매칭레벨에 따라 만족도가 높은 구인자와 구직자를 우선으로 매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근무장소에 위치하는 구직자를 상대로 구인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구인구직이 즉흥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칭이 이루어진 다른 구직자에 대해서는 구인정보가 회수됨으로써, 무의미한 정보 제공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인 또는 구직 당사자의 직접적인 경험을 정보로 구인구직이 이루어짐으로써, 업무 적합성이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매칭레벨 산출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운영서버(100), 구인 단말기(200) 및 구직 단말기(300)가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연결된다.
운영서버(100)는 네트워크(400) 상에서 다수의 구인 단말기(200)와 다수의 구직 단말기(300) 사이에서 구인구직인 정보가 교환되도록 하고, 교환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매칭을 유도하여 구인 또는 구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한 운영서버(100)는 구인 단말기(200)와 구직 단말기(300)에 구인과 구직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고 수신하는 프로그램을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하고, 구인지와 구직자는 구인 단말기(200)와 구직 단말기(3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구인 또는 구직 활동을 하게 된다. 또한, 운영서버(100)는 구인 단말기(200) 및 구직 단말기(300)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때 구인자와 구직자를 회원으로 가입시켜 관리한다.
따라서 구인자는 구인 단말기(200)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구인정보를 입력하고, 매칭된 구직자 정보(즉, 구직정보)를 확인하여 구직자와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구인활동을 진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구직자는 구직 단말기(300)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구직정보를 입력하고, 매칭된 구인자 정보(즉, 구인정보)를 확인하여 구인자와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구직활동을 진행할 수 있다.
운영서버(100)는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자 측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운영서버(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구인 단말기(200)는 구인을 필요로 하는 자가 소지하는 것으로, PC 또는 스마트 폰 등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 구인 단말기(200)에는 본 실시예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실행된다.
구직 단말기(300)는 구직을 필요로 하는 자가 소지하는 것으로, 휴대가 가능한 스마트 폰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직 단말기(300)는 구직자의 실시간 위치 확인이 가능한 위치 추적 기능이 구비되고, 본 실시예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실행된다.
구인 단말기(200)와 구직 단말기(300)에 제공되어 실행되는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동일 종류의 프로그램이거나 구인자 전용 또는 구직자 전용 프로그램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구인정보 수집부(110), 구직정보 수집부(120), DB 관리부(130), 위치정보 수집부(140), 정보 매칭부(150), 정보 푸싱부(160), 캐치정보 수집부(170), 채널 제공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구인정보 수집부(110)는 구인자로부터 구인정보를 입력받는다. 구인정보는 근무시간, 급여, 근무장소, 업무형태, 근무자격, 연령, 성별 등 업무 수행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구인정보 수집부(110)는 구인 단말기(2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구인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구인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되는 구인정보는 정보 매칭부(150)로 제공됨과 동시에 구인자 정보와 함께 DB 관리부(130)에 누적적으로 저장되고 관리된다.
구직정보 수집부(120)는 구직자로부터 구직정보를 입력받는다. 구직정보는 희망업종, 급여, 근무 가능장소, 근무 가능시간 등 구직자가 수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구직정보 수집부(120)는 구직 단말기(3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구직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구직정보 수집부(120)에서 수집되는 구인정보는 정보 매칭부(150)로 제공됨과 동시에 구인자 정보와 함께 DB 관리부(130)에 누적적으로 저장되고 관리된다.
DB 관리부(130)는 구인자 및 구직자 개인 또는 업체의 회원정보,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회원정보는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인 단말기(200) 및 구직 단말기(300)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수집될 수 있다. 또한,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는 구인 단말기(200) 및 구직 단말기(3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구인자 또는 구직자의 실시간 정보 입력으로 수집된다. DB 관리부(130)에 저장 및 관리되는 정보는 정보 매칭부(150)로 제공된다.
위치정보 수집부(140)는 구직자의 위치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구직자가 소지하는 구직 단말기(300)에 구비된 GPS 모듈을 통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위치정보 수집부(140)에서 수집되는 위치정보는 정보 푸싱부(160)로 제공된다.
정보 매칭부(150)는 구인정보 수집부(110)와 구직정보 수집부(120)에서 제공되는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를 분석하여 구인 및 구직 조건에 상응하는 구인자와 구직자를 매칭한다. 이때, 하나의 구인자에 대하여 다수의 구직자가 매칭될 수 있다.
정보 푸싱부(160)는 구인 조건에 매칭되는 다수의 구직 단말기(300)로 구인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또한, 정보 푸싱부(160)는 구인 조건에 매칭되는 다수의 구직 단말기(300) 중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구인정보 따른 근무장소가 존재하는 특정 지역내에 위치하는 구인 단말기(200)로 구인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즉흥적인 구인구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간 구인구직은, 구인자 측에서는 근무장소 근처에서 구직을 희망하는 사람을 즉시 채용할 수 있고, 구직자 측에서도 현재 본인이 위치하는 일정 범위 내의 장소에서 즉시 일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위치 기반의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최근 시간 단위로 단기 또는 초단기로 구인구직을 희망하는 경향에 있어서 매칭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캐치정보 수집부(170)는 구인정보가 제공된 다수의 구직 단말기(300)로부터 구직을 결정한 캐치(catch) 신호를 수집한다. 즉, 정보 푸싱부(160)가 특정 지역 내의 다수의 구직 단말기(300)에 구인정보를 제공하면서 수락 여부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면, 구직자는 구직 단말기(300)를 통하여 구인정보를 확인한 후 본인이 구직을 원하는 경우 구인을 승인하는 캐치 신호를 입력한다. 이때, 캐치정보 수집부(170)는 다수의 구직 단말기(300)에서 가장 먼저 구직을 승인한 구직 단말기(300)로부터 캐치정보를 수집하고, 나머지 구직 단말기(300)에 대해서는 제공된 구인정보를 회수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다수의 구직자에 대하여 가장 먼저 구인정보를 캐치한 구인자를 구직자와 매칭시킴으로써, 구인이 종료된 무의미한 정보가 다른 구직자에게 제공되지 않도록 한다.
채널 제공부(180)는 구인자와 구직자 사이에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채널 제공부(180)는 캐치정보 수집부(170)에서 구인정보를 가장 먼저 캐치한 구직 단말기(300)와 구인을 요청한 구인 단말기(200) 사이에 대화 채널을 제공하여, 양자 사이에 직접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대화 채널은 SMS 또는 MMS 등의 서비스일 수 있다. 따라서, 구인자와 구직자는 대화 채널을 통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매칭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90)는 구인정보, 구직정보 및 를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하며, 구인구직 정보에 따라 구인자와 구직자를 매칭시키기 위한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실행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운영서버(100)의 구인정보 수집부(110)와 구직정보 수집부(120)는 구인 단말기(200) 및 구직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되는 구인정보와 구직정보를 수집한다(S11,S12). 또한, DB 관리부(130)는 수집된 구인정보와 구직정보를 DB에 저장 및 관리하고(S13), 동시에 정보 매칭부(150)로 제공한다. 정보 매칭부(150)는 제공된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구인자의 요청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구인자를 매칭한다(S14).
그리고, 정보 매칭부(150)에서 처리된 매칭정보와 위치정보 수집부(140)에서 수집된 위치정보에 따라 정보 푸싱부(160)는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 구직 단말기(300)로 구인정보를 제공한다(S15,S16). 하나 이상의 구직 단말기(300)에 구인정보를 제공한 후, 캐치정보 수집부(170)는 구인정보를 캐치한 구직 단말기(300)에 대한 캐치정보를 수집하고 나머지 구직 단말기(300)를 대상으로 구인정보를 회수한다(S17,S18).
이어서, 채널 제공부(180)는 푸시 및 캐치로 매칭된 구인 단말기(200)와 구직 단말기(300) 사이에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제공하여 구인자와 구직자 사이에 직접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9).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매칭레벨 산출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매칭이 이루어진 구인자와 구직자 사이에 근로가 완료된 후 상호간의 만족도를 기초로 이 후 과정에서 다시 매칭을 위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족도 수집부(210)와 매칭레벨 산출부(22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족도 수집부(210)는 근로가 완료된 후 구인자 및 구직자에 대하여 근로 수행에 대한 상호간의 만족도 정보를 수집한다. 만족도는 수치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만족도에 따라 5점, 4점, 3점, 2점, 1점으로 구분되는 점수를 기준으로 만족도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만족도는 근로가 완료된 후 구인 단말기(200) 및 구직 단말기(300)에 만족도 입력을 요청함으로써 수집될 수 있다. 만족도 수집부(210)에서 수집되는 만족도 정보는 DB 관리부(130)에 의하여 누적적으로 저장 및 관리된다.
매칭레벨 산출부(220)는 만족도 수집부(210)에서 수집된 만족도에 대한 매칭레벨을 산출하는 구성이다. 다수의 구인자 및 구직자로부터 수집된 만족도 정보가 계속하여 수집, 저장 및 관리되는 경우, 도 5와 같은 테이블로 정리될 수 있다. 매칭레벨 산출부(220)는 수집된 만족도 수치를 기초로 구인자 및 구직자 측의 만족도를 합산하여 매칭레벨을 산출한다.
일 예로, A, B, C의 3명의 구인자와 가, 나, 다, 라의 4명의 구직자 사이에 만족도 테이블이 도 5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이때, 매칭레벨 산출부(220)는 'A' 구인자와 '가' 구직자 사이에서 각각 만족도 3점 및 3점에 의한 6레벨을 산출할 수 있고, 'A' 구인자와 '나' 구직자 사이에서 만족도 5점 및 4점에 의한 9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인자와 구직자 사이에는 최소 2레벨부터 최대 10레벨까지 매칭레벨이 산출될 수 있다.
매칭레벨 산출부(220)에서 산출된 매칭레벨은 이후 구인 및 구직 요청에 따라 정보 매칭부(150)에서 구인자와 구직자를 매칭하는 정보로 활용할 수 있으며, 매칭레벨이 높은 구인자와 구직자를 우선적으로 매칭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도 5의 테이블을 참고하면, 'A' 구인자는 '나' 구직자와의 관계에서 가장 높은 9레벨이 산출되므로, 이 후 다시 'A' 구인자로부터 구인정보가 수집되는 경우, '나' 구직자를 우선적으로 매칭하여 구인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우선순위의 구직자가 구직을 승인하지 않는 경우 차순위의 매칭레벨을 나타내는 구직자를 매칭하고 구인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매칭레벨이 동일한 경우 구인자의 만족도를 우선순위로 하거나 구직자 만족도를 우선순위로 하는 등 우선순위를 임의로 지정하여 매칭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인자와 구직자에 의한 직접적인 만족도 정보를 기초로 이 후의 구인구직에 대한 매칭 정보로 활용함으로써, 매칭의 만족도에 대한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인정보를 제공하는 대상에 있어서도, 매칭레벨 정보를 우선으로 지정하거나 위치정보를 우선으로 지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 운영서버 200 : 구인 단말기
300 : 구직 단말기 400 : 네트워크
110 : 구인정보 수집부 120 : 구직정보 수집부
130 : DB 관리부 140 : 위치정보 수집부
150 : 정보 매칭부 160 : 정보 푸싱부
170 : 캐치정보 수집부 180 : 채널 제공부
210 : 만족도 수집부 220 : 매칭레벨 산출부

Claims (8)

  1. 구인 단말기, 구직 단말기 및 운영서버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인 단말기로 구인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는 구인정보 수집부;
    상기 구직 단말기로 구직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는 구직정보 수집부;
    수집된 상기 구인정보 및 상기 구직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DB 관리부;
    수집된 상기 구인정보 및 상기 구직정보를 분석하여 구인 및 구직 조건에 상응하는 구인자와 구직자를 매칭하는 정보 매칭부;
    상기 정보 매칭부에서 매칭된 구직자의 상기 구직 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부;
    상기 정보 매칭부에서 매칭된 구직자의 상기 구직 단말기에 구인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구인정보에 따른 근무장소가 존재하는 일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구직 단말기를 상대로 구인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푸싱부;
    구인정보가 제공된 하나 이상의 상기 구직 단말기로 수락 여부의 승인을 요청하여 가장 먼저 승인한 구직 단말기로부터 캐치정보를 수집하는 캐치정보 수집부; 및
    캐치정보 수집된 상기 구직 단말기와 매칭된 상기 구인 단말기 사이에 대화채널을 제공하는 채널 제공부;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정보 수집부는, 캐치정보가 수집된 구직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구직 단말기를 상대로 제공된 구인정보를 회수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기반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에 의한 근로가 종료된 후 상기 구인 단말기 및 상기 구직 단말기에 만족도 입력을 요청하여 구인자 및 구직자의 만족도를 수집하는 만족도 수집부; 및
    수집된 구인자 및 구직자의 만족도 정보를 기초로 매칭레벨을 산출하는 매칭레벨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매칭부는, 이 후 수집되는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에 대한 매칭에서 상기 매칭레벨 산출부에서 산출된 매칭레벨에 따라 만족도가 높은 구인자와 구직자를 우선으로 매칭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기반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구인 단말기, 구직 단말기 및 운영서버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구인 단말기에 구인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는 구인정보 수집단계;
    (b) 구직 단말기에 구직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는 구직정보 수집단계;
    (c) 수집된 상기 구인정보 및 상기 구직정보를 분석하여 구인 및 구직 조건에 상응하는 구인자와 구직자를 매칭하는 정보 매칭단계;
    (d) 상기 정보 매칭단계에서 매칭된 구직자의 상기 구직 단말기로부터 구직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단계;
    (e) 상기 정보 매칭단계에서 매칭된 구직자의 상기 구직 단말기에 구인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위치정보 수집단계에서 수집된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구인정보에 따른 근무장소가 존재하는 일정 지역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구직 단말기를 상대로 구인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푸싱단계;
    (f) 구인정보가 제공된 하나 이상의 상기 구직 단말기로 수락 여부의 승인을 요청하여 가장 먼저 승인한 구직 단말기로부터 캐치정보를 수집하는 캐치정보 수집단계; 및
    (g) 캐치정보가 수집된 상기 구직 단말기와 매칭된 상기 구인 단말기 사이에 대화 채널을 제공하는 채널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캐치정보 수집은, 캐치정보가 수집된 구직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구직 단말기를 상대로 제공된 구인정보를 회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위치 기반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h)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에 의한 근로가 종료된 후 상기 구인 단말기 및 상기 구직 단말기에 만족도 입력을 요청하여 구인자 및 구직자의 만족도를 수집하는 만족도 수집단계; 및
    (i) 수집된 구인자 및 구직자의 만족도 정보를 기초로 매칭레벨을 산출하는 매칭레벨 산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정보 매칭은, 이 후 수집되는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에 대한 매칭에서 상기 매칭레벨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매칭레벨에 따라 만족도가 높은 구인자와 구직자를 우선으로 매칭하는, 위치 기반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00008686A 2020-01-22 2020-01-22 위치 기반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94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686A KR20210094890A (ko) 2020-01-22 2020-01-22 위치 기반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686A KR20210094890A (ko) 2020-01-22 2020-01-22 위치 기반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890A true KR20210094890A (ko) 2021-07-30

Family

ID=77148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686A KR20210094890A (ko) 2020-01-22 2020-01-22 위치 기반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48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794B1 (ko) * 2021-10-05 2022-02-08 이주헌 스케쥴 관리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454289B1 (ko) * 2021-11-10 2022-10-14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스마트 캘린더를 기반으로 간병인에게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하는 방법,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간병인 단말 및 서버
KR102620374B1 (ko) * 2023-02-15 2024-01-04 주식회사 가사앤육아 잡미스매칭 해소를 위한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379B1 (ko) 2015-01-29 2017-08-02 주식회사아즈온 Lbs 기반 개인간 구인구직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60918B1 (ko) 2017-09-01 2019-03-22 박병근 일용직 구인 구직 중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379B1 (ko) 2015-01-29 2017-08-02 주식회사아즈온 Lbs 기반 개인간 구인구직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60918B1 (ko) 2017-09-01 2019-03-22 박병근 일용직 구인 구직 중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794B1 (ko) * 2021-10-05 2022-02-08 이주헌 스케쥴 관리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454289B1 (ko) * 2021-11-10 2022-10-14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스마트 캘린더를 기반으로 간병인에게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하는 방법,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간병인 단말 및 서버
KR102620374B1 (ko) * 2023-02-15 2024-01-04 주식회사 가사앤육아 잡미스매칭 해소를 위한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4890A (ko) 위치 기반의 실시간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A3016091C (en) Extrapolating trends in trust scores
US10380703B2 (en) Calculating a trust score
US872571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formation categorization
US20190332994A1 (en) Generating insights about meetings in an organization
US7519173B2 (en) Method for managing resources in a multi-channeled customer service environment
CA3015926A1 (en) Crowdsourcing of trustworthiness indicators
KR102147450B1 (ko) 프리랜서 서비스 플랫폼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US200601679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gmenting content from an instant messaging transcript and applying commands contained within the content segments
US201701479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ourcing and matching a candidate to jobs
US11392835B2 (en) Employee concierge
US11456990B2 (en) Managing connection strengths using alliance data
EP3905162A2 (en)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AU2021200188A1 (en) Digital content management platform
CN116601652A (zh) 用于支持创业的专家匹配系统
KR102129873B1 (ko) 아르바이트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US9940361B2 (en) Intelligent presence server systems and methods
KR20180009499A (ko) 고용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2116512A (zh) 基于互联网+的智慧型无偿献血服务系统
US200301772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referrals
US20180336523A1 (en) System for enhancing on-campus communications through vector correlation quantification for employee request submissions
KR20230007991A (ko) 간호사 인력 해외 취업을 위한 제공 시스템
KR20190115398A (ko) 큐브 체인을 이용한 챗봇 기반의 콜센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80104208A (ko) 모바일과 인터넷을 융합한 일용직 구인 또는 구직 정보등록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1297A (ko) 인터넷을 이용한 구인구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