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871A - 통신 장애 복구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장애 복구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871A
KR20210094871A KR1020200008645A KR20200008645A KR20210094871A KR 20210094871 A KR20210094871 A KR 20210094871A KR 1020200008645 A KR1020200008645 A KR 1020200008645A KR 20200008645 A KR20200008645 A KR 20200008645A KR 20210094871 A KR20210094871 A KR 20210094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ink
failure
doub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5159B1 (ko
Inventor
이주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008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159B1/ko
Publication of KR20210094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55Preven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 H04L49/557Error correction, e.g. fault recovery or fault tole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3Performing the actions predefined by failover planning, e.g. switching to standby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2Alternate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8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route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41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acting on aggregated flows o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25Routing or path finding in a switch fabr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25Routing or path finding in a switch fabric
    • H04L49/253Routing or path finding in a switch fabric using establishment or release of connections between 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55Preven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 H04L49/555Error detection
    • H04L61/200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4Address processing for routing
    • H04L45/745Address table lookup; Address filtering
    • H04L45/748Address table lookup; Address filtering using longest matching pref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은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1 링크 및 제2 링크들 각각에 대응하는 트리거 값들을 기초로, 제1 링크와 제2 링크들에서 이중 장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이중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제2 링크들 중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를 확인하며,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제2 스위치에게 전송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애 복구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COMMUNICATION MEHTOD AND APPARATUS OF RECOVERING COMMUNICATION FAULT}
실시예들은 이중 장애(double fault)가 발생한 상황에서 통신 장애 복구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MC-LAG(Multi Chassis Link Aggregation Group)이란 복수의 스위치들의 물리적인 포트 여러 개를 하나의 논리적인 포트로 만들어 줌으로써 대역폭을 늘리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송신 측의 두 개의 스위치들이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된 경우, 수신 측의 스위치는 송신 측의 두 개의 스위치들을 하나의 스위치로 인식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된 송신 측의 두 개의 스위치들은 트래픽 공유를 위한 별도의 프로토콜을 필요로 하며, 수신 측의 스위치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3 스위치들 간의 인터 링크(Inter Link)와 L3 스위치와 L3 스위치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들 사이의 다운스트림 링크(Down Stream Link)에서 이중 장애(Double Fault)가 발생한 상황에서도 트래픽을 복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C-LAG(Multi Chassis Link Aggregation Group)를 구성함으로 써 액티브-액티브(Active-Active) 방식으로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단일 장애(Single Fault)뿐만 아니라, 이중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트래픽 복구를 통해 안정적으로 망을 운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1 링크 및 제2 링크들 각각에 대응하는 트리거 값들을 기초로,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들에서 이중 장애(double fault)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중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2 링크들 중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의 포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상기 제2 스위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중 장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들 각각에서 발생한 장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들 각각에 대응하는 트리거 값들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트리거 값들을 기초로, 상기 이중 장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 값들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 사이의 상기 제1 링크에서 발생한 장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링크에 대응하는 제1 트리거 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 스위치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들 사이의 상기 제2 링크들에서 발생한 장애에 응답하여, 상기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에 대응하는 제2 트리거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중 장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트리거 값과 상기 제2 트리거 값의 합을 기초로, 상기 이중 장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중 장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합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이중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합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이중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P 주소를 상기 제2 스위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하위 스위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유니캐스트(unicast) 통신에 의해 상기 제2 스위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P 주소를 상기 제2 스위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하위 스위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이중 장애 메시지(Double Fault Message)에 의해 상기 제2 스위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하위 스위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통해 상기 제2 스위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제2 스위치로부터, 상기 IP 주소에 기초하여 광고된 상기 라우팅 정보에 따라, IPS에 의해 상기 제2 스위치로 우회된 트래픽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는 복수의 스위치들의 물리적인 포트들을 하나의 논리적인 포트로 그룹핑하는 MC-LAG(Multi Chassis Link Aggregation Group)에 속한 L3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스위치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1 링크 및 제2 링크들에서의 이중 장애의 발생을 알리는 이중 장애 메시지- 상기 이중 장애 메시지는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포함함 -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IP 주소를 미리 정해진 라우팅 정보에 따라 수정하여 광고하는 단계; ISP로부터, 상기 광고된 라우팅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에서 상기 제2 스위치로 우회된 트래픽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래픽을 상기 제1 스위치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라우팅 정보는 상기 ISP의 라우터가 라우팅 경로를 계산함에 있어 상기 제2 스위치를 우선하도록 특정된 프리픽스(prefix)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우팅 정보는 상기 ISP의 라우터가 라우팅 경로를 계산함에 있어 최적 경로(best path) 선출 기준을 만족하도록 특정된 프리픽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 사이의 인터 링크(inter link)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 스위치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들 사이의 다운로드 링크(download link)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중 장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ISP를 통해 유니캐스트 통신에 의해 상기 이중 장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중 장애의 발생은 상기 제1 링크와 제2 링크들 각각에 대응하는 트리거 값들의 합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는 복수의 스위치들의 물리적인 포트들을 하나의 논리적인 포트로 그룹핑하는 MC-LAG에 속한 L3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1 링크 및 제2 링크들 각각에 대응하는 트리거 값들을 기초로,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들에서 이중 장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이중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2 링크들 중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의 포트를 확인하고, 상기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IP 주소를 상기 제2 스위치에게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스위치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1 링크와 제2 링크들에서의 이중 장애의 발생을 알리는 이중 장애 메시지- 상기 이중 장애 메시지는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포함함 -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IP 주소를 미리 정해진 라우팅 정보에 따라 수정하여 광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ISP로부터, 상기 광고된 라우팅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에서 상기 제2 스위치로 우회된 트래픽을 수신하여 상기 제1 스위치에 전달한다.
일 측에 따르면, L3 스위치들 간의 인터 링크(Inter Link)와 L3 스위치와 L3 스위치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들 사이의 다운스트림 링크(Down Stream Link)에서 이중 장애(Double Fault)가 발생한 상황에서도 트래픽을 복구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MC-LAG(Multi Chassis Link Aggregation Group)를 구성함으로 써 액티브-액티브(Active-Active) 방식으로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단일 장애(Single Fault)뿐만 아니라, 이중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트래픽 복구를 통해 안정적으로 망을 운영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장애가 발생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장애가 발생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위치(L3 #1)(101), 제2 스위치(L3 #2)(103), ISP(Internet Service Provider)(105), 하위 스위치 1(SW#1)(106), 하위 스위치 2(SW#2)(107), 하위 스위치 3(SW#3)(108), 및 다수의 링크들(110, 120, 130, 140, 150, 160)이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위치(101) 및 제2 스위치(103)는 복수의 스위치들의 물리적인 포트들을 하나의 논리적인 포트로 그룹핑하는 MC-LAG(Multi Chassis Link Aggregation Group)에 속한 L3 스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L3 스위치는 라우팅 기능을 가지며, IP 정보(예를 들어, 라우팅 테이블)에 의해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다. L3 스위치는 전송 중에 패킷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패킷의 목적지로 지정할 포트를 직접 전송할 수 있다. L3 스위치는 예를 들어, 자신에게 온 패킷의 목적지가 외부에 존재하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인 경우, 해당 패킷을 외부에 연결된 라우터로 전송할 수 있다. L3 스위치는 포트 간의 패킷 스위칭을 위해 패킷의 IP 주소나 IPX((Internetwork Packet Exchange) 주소를 읽어서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신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L3 스위치는 해당 프로토콜을 쓰는 패킷에 대해 스위칭이 가능하다. IP 주소 또는 IPX 주소가 OSI 7계층 중 3계층에 해당하기 때문에 Layer 3 스위치라는 의미로 'L3 스위치'라 부른다.
L3 스위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L3 스위치는 예를 들어, 부팅 시에 각 포트로 연결된 노드의 상태를 확인하고, 노드의 주소를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하며, 패킷을 전달할 때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주소)를 바탕으로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다. L3 스위치는 스위치 자체에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L3 스위치는 각 포트 별 IP 주소 할당 내역 등을 설정하여 스위칭할 때 설정된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스위칭은 정보 전달의 수단과 회선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 입/출력 상태를 감시하며, 전송 경로에서의 장애 발생 시에 스위칭을 통해 현재 상태에서 예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치(101)와 제2 스위치(103)는 MC-LAG에 의해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되어 있고, 제1 스위치(101)와 제2 스위치(103)는 ISP(105)를 향해 동일하게 10.10.10.0/24 대역을 광고한다고 하자. 또한, 제1 스위치(101)는 제2 스위치(103)에 비해 코스트(Cost)가 적은 최단 경로(shortest path)에 해당하고, 이에 따라 트래픽은 제1 스위치(101)를 경유해 하위 스위치들(106, 107, 108)에게 전달된다고 하자.
예를 들어, 제1 스위치(101) 및 제2 스위치(103)와 연결된 링크들에서 장애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하자. 이 경우, 다운스트림 트래픽(downstream traffic)은 인터 링크인 링크(140)를 통해 제2 스위치(103)로 전달되고, 제2 스위치(103)로부터 하위 스위치들(106, 107, 108)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때, 하위 스위치 1(106)로 전달되는 트래픽은 링크(150) 및 링크(160)로 분산되어 전달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망 구조에서, 예를 들어, 하위 스위치 1(106)로 가는 링크(140), 링크(150), 및 링크(160) 중 어느 하나의 링크에서 단일 장애(single fault)가 발생한 경우, 트래픽은 예비 경로로 우회하여 전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위 스위치 1(106)로 가는 링크(140) 및 링크(150)에서 동시에 장애가 발생했다고 하자. 이 경우, ISP(105)의 라우터는 하위 스위치 1(106)로 도달할 수 있는 링크(120) 및 링크(160)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단 경로인 링크(110)로 트래픽을 전달하게 된다. 도 1에서 제1 스위치(101)와 제2 스위치(103)는 둘 다 동일하게 10.10.10.0/24 대역을 광고하고, 이 경우, ISP(105)의 라우터는 두 경로 중 최적 경로 우선 법칙을 고려하여 최단 경로인 링크(110)을 우선하여 트래픽을 전송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ISP(105)의 라우터는 링크(110)로 트래픽을 전달하지 않고, 링크(140) 및 링크(150)에서 이중 장애에 의해 하위 스위치 1(106)로 가는 트래픽은 소실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MC-LAG에 의해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 중 제1 스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 도 2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통신 장치를 제1 스위치로 기재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는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1 링크 및 제2 링크들 각각에 대응하는 트리거 값들을 기초로, 제1 링크와 제2 링크들에서 이중 장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210). 이하에서, '제1 링크'는 예를 들어,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 사이의 인터 링크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들'은 예를 들어, 제1 스위치와 제1 스위치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들 사이의 다운스트림 링크들에 해당할 수 있다.
단계(210)에서, 제1 스위치는 제1 링크 및 제2 링크들 각각에서 발생한 장애에 응답하여, 제1 링크 및 제2 링크들 각각에 대응하는 트리거 값들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스위치는 예를 들어, 제1 링크에서 발생한 장애에 응답하여 제1 링크에 대응하는 제1 트리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위치는 예를 들어, 제2 링크들에서 발생한 장애에 응답하여,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에 대응하는 제2 트리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트리거 값과 제2 트리거 값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 트리거 값은 제2 트리거 값에 비해 클 수 있다. 제1 트리거 값은 예를 들어, 300 이고, 제2 트리거 값은 예를 들어, 10 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210)에서, 제1 스위치는 트리거 값들을 기초로, 이중 장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스위치는 예를 들어, 제1 트리거 값과 제2 트리거 값의 합(sum)을 기초로, 이중 장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스위치는 제1 트리거 값과 제2 트리거 값의 가중합(weighted sum)을 기초로, 이중 장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제1 스위치는 예를 들어, 제1 트리거 값과 제2 트리거 값의 합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이중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위치는 제1 트리거 값과 제2 트리거 값의 합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이중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은 예를 들어, 제1 트리거 값(300)과 제2 트리거 값(10)의 합(310)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스위치는 제1 트리거 값과 제2 트리거 값의 합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31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1 스위치와 연결된 2개 이상의 링크들에서 장애가 발생한 상황임을 파악하고, 이중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스위치는 단계(210)에서 이중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제2 링크들 중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의 포트를 확인한다(220).
제1 스위치는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제2 스위치에게 전송한다(230). 제1 스위치는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unicast) 통신에 의해 제2 스위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1 스위치는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이중 장애 메시지(Double Fault Message)에 의해 제2 스위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이중 장애 메시지는 ISP를 통해 제2 스위치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후, 제1 스위치는 제2 스위치로부터, 하위 스위치에 할당된 IP 주소에 기초하여 광고된 라우팅 정보에 따라 IPS에 의해 제2 스위치로 우회된 트래픽을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MC-LAG에 의해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 중 제2 스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 도 3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통신 장치를 제2 스위치로 기재하기로 한다.
제2 스위치는 제1 스위치로부터,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1 링크 및 제2 링크들에서의 이중 장애의 발생을 알리는 이중 장애 메시지를 수신한다(310). 제2 스위치는 ISP를 통해 유니캐스트 통신에 의해 이중 장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중 장애 메시지는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1 링크와 제2 링크들 중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포함한다. 이때, 이중 장애의 발생은 예를 들어, 제1 링크와 제2 링크들 각각에 대응하는 트리거 값들의 합에 기초하여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제2 스위치는 IP 주소를 미리 정해진 라우팅 정보에 따라 수정하여 광고한다(320). 이때, 라우팅 정보는 ISP의 라우터가 라우팅 경로를 계산함에 있어 제2 스위치를 우선하도록 특정된 프리픽스(prefix)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라우팅 정보는 예를 들어, ISP의 라우터가 라우팅 경로를 계산함에 있어 최적 경로(best path) 선출 기준을 만족하도록 특정된 프리픽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3 스위치는 다른 장비가 어느 경로를 최적 경로로 선출하는지와 무관하게, 자신이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 정보들을 기반으로 독립적으로 최적 경로를 선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든 장비들이 최적 경로를 산출하는 기준이 서로 상이한 경우,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중간 노드들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루프를 도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들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최적 경로를 선출할 수 있다.
Step 1. 스위치들은 각각의 라우팅 프로토콜이 자신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각자의 알고리즘을 통해 최적의 경로를 선출할 수 있다. 각각의 라우팅 프로토콜 알고리즘은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모든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최적의 경로를 선출하는 기준이 동일할 필요는 없다. 해당 라우팅 프로토콜에서만 동일한 기준, 즉,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최적의 경로를 선출하면 된다. 라우팅 프로토콜마다 자신의 알고리즘에 의해 계산된 값을 '매트릭(Metric)' 또는 '코스트(Cost)'라 하고, 가장 낮은 값이 최적의 경로로 선출될 수 있다.
라우팅 프로토콜도 마찬가지로 각각의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선출한 최적의 경로를 기반으로 장비에서 최적 경로를 선출할 수 있다. 이때, 라우팅 프로토콜마다 최적의 경로를 선출하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예를 들어, AD(Administrative Distance) 값과 같은 새로운 기준이 필요하다. AD 값은 제조회사 마다 각 라우팅 프로토콜에 설정된 고유값이 존재하지만, 각 장비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각각의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선출한 정보 중 최적 경로만이 라우팅 테이블에 올라가게 된다. 이때, 라우팅 테이블은 라우팅 프로토콜마다 다른 방식으로 계산된 매트릭의 값을 비교하지 않고, AD 값만을 비교하여 낮은 값을 최적 경로로 라우팅 데이터에 등록할 수 있다.
Step 2. 이후, 스위치들은 앞서 선출한 최적의 경로들의 AD 값을 비교하여 가장 낮은 값을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할 수 있다. 라우팅 테이블이 완성되면, 스위치들은 패킷들(packets)이 들어왔을 목적지 주소를 보고 라우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우팅 테이블에 일치하는 네트워크 정보가 여러 개인 경우, 스위치는 서브넷(subnet)의 길이가 더 긴 정보를 우선하게 되는 'Longest-matching'에 의해 라우팅을 수행할 수 있다.
Step 3. 스위치들은 패킷의 목적지 주소와 일치하는 네트워크 중 'Longest-matching'에 의해 최적 경로를 선출하여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위치는 광고되는 라우팅 정보가 구체적일수록 우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최적 경로 산출 기준'은 전술한 라우팅 프로토콜 알고리즘, 'Administrative Distance' 및 'Longest-matching'이고, 그 우선 순위는 1. 'Longest-matching', 2. 'Administrative Distance', 및 3. 라우팅 프로토콜 알고리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위치는 IP 주소를 미리 정해진 라우팅 정보에 따라 'Longest-matching'이 적용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수정하여 광고함으로써 특정 경로(예를 들어, 제2 스위치로 우회된 경로)를 통해 트래픽이 전달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제2 스위치는 ISP로부터, 단계(330)에서 광고된 라우팅 정보에 따라 제1 스위치에서 제2 스위치로 우회된 트래픽을 수신하여 제1 스위치에 전달한다(330).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장애 복구를 위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위치(L3 #1)(401), 제2 스위치(L3 #2)(403), ISP(405), 하위 스위치 1(SW#1)(406), 하위 스위치 2(SW#2)(407), 하위 스위치 3(SW#3)(408), 및 다수의 링크들(410, 420, 430, 440, 450,460, 470, 480)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401)와 제2 스위치(403) 사이의 인터 링크인 링크(440) 및 제1 스위치(401)와 제1 스위치(401)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 1(406) 사이의 다운스트림 링크인 링크(450)에서 장애가 발생했다고 하자.
이 경우, 제1 스위치(401)는 링크(440)의 트리거 값을 3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위치(401)는 다수 개의 다운스트림 링크들 중 장애가 발생한 링크(450)의 트리거 값을 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이 링크(440)의 트리거 값과 링크(450)의 트리거 값을 합친 310이라고 하자. 제1 스위치(401)는 링크(440)의 트리거 값과 링크(450)의 트리거 값의 합이 기준 값에 해당하므로 이중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고, 다운스트림 링크들 중 어느 다운스트림 링크의 포트에서 장애가 발생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1 스위치(401)는 장애가 발생한 링크(450)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 1(406)를 확인하고, 하위 스위치 1(406)에 할당되어 있는 IP 주소(10.10.10.2/24)를 포함하는 이중 장애 메시지(Double Fault Message)를 생성하여 제2 스위치(403)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위치(401)는 ISP(405)를 거치는 링크(430)를 통해 유니캐스트 형태로 IP 주소(예를 들어, '10.10.10.2/24')를 제2 스위치(403)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2 스위치(403)는 이중 장애 메시지에 포함된 IP 주소(10.10.10.2/24)를 특정한 라우팅 정보(예를 들어, /32 정보)에 의해 10.10.10.2/32와 같은 라우팅 정보로 수정하여 광고할 수 있다. 여기서, 라우팅 정보('10.10.10.2/32')는 제1 스위치(401)가 광고하는 라우팅 정보('10.10.10.0/24')보다 더 구체적이고, 긴 정보에 해당한다. 따라서, ISP(405)의 라우터는 라우팅 경로를 계산함에 있어 라우팅 정보('10.10.10.2/32')를 우선하게 된다. 제1 스위치(401)가 광고하는 라우팅 정보('10.10.10.0/24')보다 제2 스위치(403)가 광고하는 라우팅 정보('10.10.10.2/32')를 우선함에 따라, ISP(405)의 라우터는 하위 스위치 1(406)로 향하는 트래픽이 제2 스위치(403)를 경유하는 링크(420) 및 링크(460)를 통해 하위 스위치 1(406)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중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나머지 하위 스위치들(407, 408)에 전송되는 트래픽은 제1 스위치(401)를 거치는 링크(410) 및 링크(470,48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ulti-homed MC-LAG 구성에서 다운스트림 링크와 인터 링크의 이중 장애를 복구함으로써 액티브-액티브(Active-Active) 구조와 같은 이중화 구성에서의 망 생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액티브-액티브 구조는 예를 들어, 하위 스위치 1(406)이 제1 스위치(401)과 연결된 링크(450) 및 제2 스위치(403)과 연결된 링크(460)에 대해 모두 트래픽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구조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스트림 링크와 인터 링크의 이중 장애가 복구된 경우, 하위 스위치 1(406)는 제1 스위치(401)와 연결된 링크(450), 및 제2 스위치(403)와 연결된 링크(460)에 대해 모두 트래픽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링크(450) 및 링크(460) 만큼의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하위 스위치 1(406)는 액티브-스탠바이(Active-Standby) 구조보다 대역폭을 2배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하위 스위치 1(406)는 큰 용량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비 교체 없이 링크의 갯수를 늘려줌으로써 저렴하게 증가된 대역폭을 가지는 한편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500)는 프로세서(510), 및 통신 인터페이스(520)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500)는 메모리(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 통신 인터페이스(520), 및 메모리(530)는 통신 버스(505)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500)는 예를 들어, 전술한 제1 스위치일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1 링크 및 제2 링크들 각각에 대응하는 트리거 값들을 기초로, 제1 링크와 제2 링크들에서 이중 장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프로세서(510)는 이중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제2 링크들 중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의 포트를 확인한다. 프로세서(510)는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결정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20)는 IP 주소를 제2 스위치에게 전송한다.
또한, 프로세서(510)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4를 통해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대응되는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목적하는 동작들(desired operations)을 실행시키기 위한 물리적인 구조를 갖는 회로를 가지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하는 동작들은 프로그램에 포함된 코드(code)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통신 장치(5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530)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530)는 상술한 프로세서(510)에서의 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메모리(530)는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3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30)는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 매체를 구비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600)는 통신 인터페이스(610) 및 프로세서(620)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600)는 메모리(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610), 프로세서(620), 및 메모리(630)는 통신 버스(605)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600)는 예를 들어, 전술한 제2 스위치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610)는 제1 스위치로부터,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1 링크와 제2 링크들에서의 이중 장애의 발생을 알리는 이중 장애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중 장애 메시지는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610)는 ISP로부터, 광고된 라우팅 정보에 따라 제1 스위치에서 제2 스위치로 우회된 트래픽을 수신하여 제1 스위치에 전달한다.
프로세서(620)는 통신 인터페이스(610)가 수신한 IP 주소를 미리 정해진 라우팅 정보에 따라 수정하여 광고한다.
또한, 프로세서(620)는 도 1, 도 3 내지 도 4를 통해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대응되는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목적하는 동작들(desired operations)을 실행시키기 위한 물리적인 구조를 갖는 회로를 가지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하는 동작들은 프로그램에 포함된 코드(code)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통신 장치(6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630)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630)는 상술한 프로세서(620)에서의 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메모리(620)는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6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20)는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 매체를 구비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제1 스위치
103: 제2 스위치
105: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106: 하위 스위치 1
107: 하위 스위치 2
108: 하위 스위치 3
110, 120, 130, 140, 150, 160 : 다수의 링크들

Claims (20)

  1.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1 링크 및 제2 링크들 각각에 대응하는 트리거 값들을 기초로,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들에서 이중 장애(double fault)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중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2 링크들 중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의 포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상기 제2 스위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장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들 각각에서 발생한 장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들 각각에 대응하는 트리거 값들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트리거 값들을 기초로, 상기 이중 장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값들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 사이의 상기 제1 링크에서 발생한 장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링크에 대응하는 제1 트리거 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 스위치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들 사이의 상기 제2 링크들에서 발생한 장애에 응답하여, 상기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에 대응하는 제2 트리거 값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장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트리거 값과 상기 제2 트리거 값의 합을 기초로, 상기 이중 장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장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합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이중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합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이중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P 주소를 상기 제2 스위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하위 스위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유니캐스트(unicast) 통신에 의해 상기 제2 스위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P 주소를 상기 제2 스위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하위 스위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이중 장애 메시지(Double Fault Message)에 의해 상기 제2 스위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하위 스위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통해 상기 제2 스위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로부터, 상기 IP 주소에 기초하여 광고된 상기 라우팅 정보에 따라, IPS에 의해 상기 제2 스위치로 우회된 트래픽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는
    복수의 스위치들의 물리적인 포트들을 하나의 논리적인 포트로 그룹핑하는 MC-LAG(Multi Chassis Link Aggregation Group)에 속한 L3 스위치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1.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1 링크 및 제2 링크들에서의 이중 장애의 발생을 알리는 이중 장애 메시지- 상기 이중 장애 메시지는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포함함 -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IP 주소를 미리 정해진 라우팅 정보에 따라 수정하여 광고하는 단계;
    ISP로부터, 상기 광고된 라우팅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에서 상기 제2 스위치로 우회된 트래픽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래픽을 상기 제1 스위치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정보는
    상기 ISP의 라우터가 라우팅 경로를 계산함에 있어 상기 제2 스위치를 우선하도록 특정된 프리픽스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정보는
    상기 ISP의 라우터가 라우팅 경로를 계산함에 있어 최적 경로(best path) 선출 기준을 만족하도록 특정된 프리픽스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 사이의 인터 링크(inter link)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 스위치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들 사이의 다운로드 링크(download link)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장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ISP를 통해 유니캐스트 통신에 의해 상기 이중 장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장애의 발생은
    상기 제1 링크와 제2 링크들 각각에 대응하는 트리거 값들의 합에 기초하여 결정된,
    통신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는
    복수의 스위치들의 물리적인 포트들을 하나의 논리적인 포트로 그룹핑하는 MC-LAG에 속한 L3 스위치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8.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9.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1 링크 및 제2 링크들 각각에 대응하는 트리거 값들을 기초로,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들에서 이중 장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이중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2 링크들 중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의 포트를 확인하고, 상기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IP 주소를 상기 제2 스위치에게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20.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1 링크와 제2 링크들에서의 이중 장애의 발생을 알리는 이중 장애 메시지- 상기 이중 장애 메시지는 장애가 발생한 제2 링크의 포트에 수용된 하위 스위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포함함 -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IP 주소를 미리 정해진 라우팅 정보에 따라 수정하여 광고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ISP로부터, 상기 광고된 라우팅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에서 상기 제2 스위치로 우회된 트래픽을 수신하여 상기 제1 스위치에 전달하는,
    통신 장치.
KR1020200008645A 2020-01-22 2020-01-22 통신 장애 복구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295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645A KR102295159B1 (ko) 2020-01-22 2020-01-22 통신 장애 복구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645A KR102295159B1 (ko) 2020-01-22 2020-01-22 통신 장애 복구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871A true KR20210094871A (ko) 2021-07-30
KR102295159B1 KR102295159B1 (ko) 2021-08-27

Family

ID=77148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645A KR102295159B1 (ko) 2020-01-22 2020-01-22 통신 장애 복구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1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226A (ko) * 2000-11-04 2002-05-11 남민우 마스크레이딩을 사용하는 인터넷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JP2013046164A (ja) * 2011-08-23 2013-03-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故障回避方法
JP2014096656A (ja) * 2012-11-08 2014-05-22 Hitachi Metals Ltd 通信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中継装置
JP2017184076A (ja) * 2016-03-31 2017-10-05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ネットワークの制御装置及び経路計算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226A (ko) * 2000-11-04 2002-05-11 남민우 마스크레이딩을 사용하는 인터넷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JP2013046164A (ja) * 2011-08-23 2013-03-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故障回避方法
JP2014096656A (ja) * 2012-11-08 2014-05-22 Hitachi Metals Ltd 通信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中継装置
JP2017184076A (ja) * 2016-03-31 2017-10-05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ネットワークの制御装置及び経路計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159B1 (ko)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6565B2 (en) Method and node for packet transmission in network
US11032197B2 (en) Reroute detection in segment routing data plane
US82649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between available neighbors in a rapid alternate path calculation
JP7052049B2 (ja) インテリアゲートウェイプロトコルフラッディング最小化
EP3619896B1 (en) Mechanism and apparatus for path protection when using compressed segment routing label stacks
US10148554B2 (en) System and methods for load placement in data centers
US76567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ing alternate multicast/broadcast paths in a routed network
CN102640463B (zh) 动态路由分支系统和动态路由分支方法
EP3072274B1 (en) Source routing with entropy-header
JP7443537B2 (ja) パケット処理方法、パケット処理装置、およびパケット処理システム
US20060250948A1 (en) Dynamic path protection in an optical network
EP1821472A2 (en) Resilient routing systems and methods
US20220124025A1 (en) Method for forwarding packet in data center network and related apparatus
WO2021174985A1 (zh) 一种sr策略的发布、接收方法及装置
CN105144627A (zh) 操作网络节点以负载均衡的技术
US11102109B1 (en) Switching a service path over to an alternative service path
CN101562575A (zh) Mpls te frr快速切换的方法和装置
KR102295159B1 (ko) 통신 장애 복구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
Kanagavelu et al. A pro-active and adaptive mechanism for fast failure recovery in SDN data centers
JP2015012343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および転送ノード
US20110026523A1 (en) Network Node Of A Packet Switching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For The Distribution Of Data Traffic In A Packet Switching Communications Network
JP5071202B2 (ja) ルータ
CN117278466A (zh) 针对容错流量工程场景下的候选路径选择方法
WO2012176067A2 (en) Method for supporting mpls transport entity recovery with multiple protection entities
CN118101558A (zh) 一种异构路由切换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