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254A - 블록체인을 활용한 bim 기반의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활용한 bim 기반의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254A
KR20210094254A KR1020200007774A KR20200007774A KR20210094254A KR 20210094254 A KR20210094254 A KR 20210094254A KR 1020200007774 A KR1020200007774 A KR 1020200007774A KR 20200007774 A KR20200007774 A KR 20200007774A KR 20210094254 A KR20210094254 A KR 20210094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struction
construction design
design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8338B1 (ko
Inventor
박은수
서희창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7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338B1/ko
Publication of KR20210094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사업 참여자 단말과 연결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업 참여자 정보를 관리하며, 하나 이상의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에 의해 접근되고 각각의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에 상응하는 블록체인 노드를 포함하는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제어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로부터 시설물의 건설 또는 설계와 관련된 개별 기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개별 기록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부; 생성된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메모리; 및 상기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에게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활용한 BIM 기반의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CONSTRUCTION DESIGN INFORMATION BASED ON BIM USING BLOCK CHAIN TECHNOLOGY}
본 발명은 건설 설계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반의 건설 설계 정보를 관리하는 기술로서 건설 관계자와 이해 관계인 등에게 통합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3차원 정보 모델을 기반으로 시설물의 생애 주기에 걸쳐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통합하여 활용이 가능하도록 표현한 디지털 모델을 나타낸다.
BIM의 목적은 시설물의 디자인 정보를 명확하게 하여 해당 시설물의 설계 의도와 프로그램을 빠른 시간 내에 이해하고 평가함으로써 시설물과 관련된 의사 결정을 신속히 할 수 있도록 유도하도록 하는 것이다. BIM은 건축, 토목, 플랜트를 포함한 계획, 설계, 엔지니어링 시공, 유지 관리 등의 전 분야에 걸쳐 빠르게 보급되고 있으며,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BIM은 시설물의 물리적 혹은 기능적 특성에 의하여 시설물 수명주기 동안 해당 시설물에 관한 의사 결정을 하는 데에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디지털 모델과 그의 작성을 위한 업무 절차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시설물 건설 시 건설공사의 건설업체는 건설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정보를 사업 참여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을 위해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설계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설계 요건 검토에 의해 설계 정보의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경우 설계자들 간의 정보의 신뢰성과 체계적인 관리에 문제가 생긴다.
또한 설계 사업 참여자뿐만 아니라 발주자(민간 또는 정부) 및 시공사, 시공하도급(전문건설업체) 간의 설계 정보 공유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민간 공사를 비롯한 관급 공사의 건설 과정에 있어 투명성과 신뢰도가 낮은 것이 현실이다. 이는 정부 및 민간 건설공사의 불공정 거래에 대한 이해관계자들 간의 불신과 산업 전반에 걸친 부정 부패 등에도 그 원인이 있다.
또한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설계정보를 포함한 건설정보관리 시스템은 주로 발주자 또는 시공사 중심으로 운영되어 오고 있었다. 따라서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보안 상의 이유와 정보 제공의 편의성 등을 위해 위와 같은 건설정보관리 시스템이 제공하고 관리하는 정보는 주로 발주자, 시공사 측에서 확인과 관리가 필요한 내용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이로 인해 단위 업무에 의해 세분화된 기능으로 구성된 기존 시스템은 설계 이해관계자 간 의사소통을 위한 정보 관리가 아닌 업무 결과를 등록하는 기록 관리 시스템으로만 주로 사용되는 한계가 있었다.
일본등록특허 제6617383호(2019.11.22)는 건축물의 유지 관리에 관한 것인 정보를, 건축물의 구성요소와 관련지어 직감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모양으로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건축물 관리 지원 방법은 구성요소의 집합으로서 삼차원 모델로 나타내지는 건축물의 유지 관리에 관한 것인 기록인 관리 이력 정보에 근거하여, 그 관리 이력 정보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며, 상기 삼차원 모델과 함께 표시하기 위한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생성 스텝과 생성된 상기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스텝을 컴퓨터가 실행한다.
일본등록특허 제3179234호(2012.10.03)는 신용 있는 시공 업자가 성실한 대응을 약속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으며 플레이트를 통해 애프터 메인터넌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공 후의 건축물의 관리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견고한 소재로 구성한 구형 모양 플레이트 1 본체를 마련하고, 플레이트 1의 표면에는 시공 업자의 표시부 2를 마련해 하단에는 관리 넘버 3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마련한다.
일본등록특허 제6617383호(2019.11.22) 일본등록특허 제3179234호(2012.10.03)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BIM을 이용한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설 설계 정보 관리 기술에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함으로써 각각의 노드에 실시간으로 생성된 건설 설계 정보가 기록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투명하고 정확한 정보의 공유를 가능케 하며, 각 노드 간 신뢰가 발생시키고자 한다. 또한 사업 참여자들의 설계 정보 이해도를 상승시키고 사업 진행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사업 참여자 단말과 연결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은, 하나 이상의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에 의해 접근되며 각각의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에 상응하는 블록체인 노드를 포함하는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로부터 시설물의 건설 또는 설계와 관련된 개별 기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개별 기록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상기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에게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이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에 대해 수정, 편집, 변경, 삭제 중 하나 이상을 할 수 있는 권한인 재작성 권한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에 접근하거나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독출할 수 있는 권한인 읽기 권한 정보를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와 함께 상기 메모리에 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재작성 권한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읽기 권한 정보는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내용이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작성 권한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에 의해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에 대한 재작성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작성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전에 각각의 상기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로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업데이트에 대한 컨펌을 요청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상기 업데이트에 대한 상기 컨펌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펌이 완료되면 각각의 상기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상기 컨펌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는 상기 시설물의 설계 계획에 대한 설계 계획 관리 정보, 상기 시설물의 건설 또는 설계에 대한 계약과 관련된 계약 관리 정보, 상기 시설물에 대한 설계 도면을 포함하는 설계 도면 관리 정보, 상기 시설물의 공사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공사 관리 정보, 상기 공사의 적어도 일부를 외주를 통해 수행하는 경우 상기 외주와 관련된 외주 관리 정보, 상기 시설물 또는 상기 공사에 대한 품질환경안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품질환경안정 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은 상기 시설물의 공사를 위탁하는 발주자의 단말, 상기 시설물의 상기 공사 과정에서 상기 발주자의 자문에 응하고 상기 공사 과정에 대한 감리를 시행하는 감리자의 단말, 상기 시설물의 설계 도서를 작성하는 설계자의 단말, 상기 시설물의 상기 공사를 시행하는 시공자의 단말 및 상기 시설물에 관한 하도급을 받아 상기 공사의 적어도 일부를 직접 시공하는 하도급자의 단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은 상기 발주자의 단말, 상기 감리자의 단말, 상기 설계자의 단말, 상기 시공자의 단말, 상기 하도급자의 단말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하위 그룹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하위 그룹의 구성에 따라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내용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사업 참여자 단말과 연결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업 참여자 정보를 관리하며, 하나 이상의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에 의해 접근되고 각각의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에 상응하는 블록체인 노드를 포함하는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제어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로부터 시설물의 건설 또는 설계와 관련된 개별 기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개별 기록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부; 생성된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메모리 및 상기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에게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BIM을 이용한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건설 설계 정보 관리 기술에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함으로써 각각의 노드에 실시간으로 생성된 건설 설계 정보가 기록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투명하고 정확한 정보의 공유를 가능케 하며, 각 노드 간 신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사업 참여자들의 설계 정보에 대한 이해도를 상승시키고 사업 진행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방식의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 사업 참여자들이 구성하는 네트워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방식의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시스템(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방식의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시스템(10)은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 및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2 이상의 사업 참여자 단말(제1 단말(200), 제2 단말(202), 제3 단말(204), …)을 포함할 수 있다.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은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와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은 셀룰러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 등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과 건설 설계 관련 정보 및 해당 정보의 처리에 필요한 신호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업 참여자는 특정 시설물의 설계 또는 건설 등과 관련된 사업에 참여하는 사용자로, 시설물의 공사를 위탁하는 발주자, 시설물의 공사 과정에서 발주자의 자문에 응하고 공사 과정에 대한 감리를 시행하는 감리자, 시설물의 설계 도서를 작성하는 설계자, 시설물의 공사를 시행하는 시공자, 시설물에 관한 하도급을 받아 해당 공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직접 시공하는 하도급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업 참여자 단말은 시설물의 공사를 위탁하는 발주자의 단말, 시설물의 공사 과정에서 발주자의 자문에 응하고 공사 과정에 대한 감리를 시행하는 감리자의 단말, 시설물의 설계 도서를 작성하는 설계자의 단말, 시설물의 공사를 시행하는 시공자의 단말, 시설물에 관한 하도급을 받아 해당 공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직접 시공하는 하도급자의 단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발주자는 시설물이나 건축물 등의 건설공사 전부를 최초로 위탁하는 자 또는 공사를 공사업자 또는 건설업체 등에게 도급하는 자를 주로 의미한다. 발주자는 시설물 건설 계약에서 최상위 주문자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주자는 경영자, 발주 담당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리자는 시설물 공사의 시공과정에서 전문기술자의 지식, 기술, 경험 등을 활용하여 발주관서의 자문에 응하고 설계서등, 기타 관계서류대로 시공되는가의 여부를 확인하는 등 감리를 시행하는 자이다. 감리자는 해당 시설물 공사가 설계도서, 기타 관계서류의 내용대로 시공되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하고, 시공관리, 공정관리, 안전 및 환경관리 등에 대한 기술지도를 하며, 발주자의 위탁에 의하여 관계법령에 따라 발주자의 감독권한을 대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감리자에는 감리단장(책임감리원), 감리원, 시험감리원, 건설사업관리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설계자는 발주자 등의 의뢰에 따라 전문적인 기술과 창의에 의해 건축물, 공작물, 시설물 등을 디자인하여 설계 도서를 작성한다. 설계의 세부 분야에 따라 2 이상의 설계자가 존재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설계 세부 분야는 건축, 토콕, 기계, 조경 등으로 예시될 수 있다.
시공자는 건축주와 계약을 맺고 계약에 따라서 공사를 완성한다. 시공자는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는 자본과 기술을 가지고 하도급자나 건설근로자를 지휘하고 통제하며, 공사를 설계도서대로 바르게 진행하여 정해진 기간에 목적한 건축물을 완성한다. 시공자에는 시공사 본사 또는 시공사 본사의 담당자, 현장 소장(현장 대리인), 공무담당자, 현장 사용자(노무자), 안전 관리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건축주와 직접 도급계약을 맺은 사람을 원도급자 또는 수급인이라 하고, 원도급자가 계약한 공사의 일부를 원도급자로부터 다시 도급받아 시공하는 사람을 하도급자 또는 하수급인이라 한다.  따라서 하도급자는 시설물에 관한 하도급을 받아 해당 공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직접 시공한다. 본 발명에서 하도급자는 하도급업체 본사 또는 하도급업체 본사의 담당자, 하도급 소장, 하도급 담당자, 하도급 사용자(노무자), 안전 관리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의 특징인 분산형 정보 공유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설계 프로세스 상에서의 정보 공유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또한 설계 과정에서 사업 참여자들 간의 협업 효율성 향상을 위한 정보관리 체계의 혁신 및 정보의 투명성,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BIM을 활용한 건설 설계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설 분야에서의 설계 정보의 체계가 점차 복잡화되고, 건설 정보화 기술의 혁신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4차 산업혁명의 선도적인 기술인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형태의 BIM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건설 설계 정보 관리 기술에 블록체인 기술이 결합되었다 함은,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시스템를 통해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들 간 건설 설계 정보의 공유를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하였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정보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는 각각의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에 상응하는 노드가 제공되며, 노드를 통해 작성되는 정보는 네트워크 전체에 공유될 수 있다. 이러한 노드를 본 발명에서는 블록체인 노드라고 지칭하도록 한다.
또한, 사업 참여자 단말들은 각 사업 참여자의 권한 이외에는 별도의 제한 없이 정보를 전송하고 공유할 수 있으며, 중앙 서버뿐만이 아니라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다른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들에도 동일하게 정보가 저장되고 업데이트됨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러한 건설 설계 정보의 처리와 관리를 위한 장치 또는 방법은, 건설 설계 정보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 사업 참여자들이 구성하는 네트워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기존의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시 사업 참여자들 간의 구성도이며,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에 따른 사업 참여자 및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 간의 구성도로서, 블록체인 노드를 포함하는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일 예를 나타낸다.
시설물 등의 건설, 설계, 건축 시 사업 참여자들 간의 정보 공유를 위한 네트워크를 기존의 방식으로 도시하면 도 2의 (a)와 같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노드를 포함하는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도 2의 (b)와 같은 형태로 도시될 수 있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종래에는 발주자의 제1 단말(200)가 네트워크의 중심에 있게 되며, 대부분의 건설 설계 정보가 발주자에게 집중된다. 그리고 발주자와 설계자, 발주자와 시공자, 발주자와 하도급자 등이 사실상 각각 1:1의 관계를 형성하며, 각각의 1:1 관계를 벗어나서는 정보가 단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르면 발주자의 제1 단말(200)과 그 이외의 사업 참여자 단말(202, 204, 206, …)들이 중앙 집중형의 제한적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방식에 따르면, 발주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업 참여자들은 반드시 발주자를 통해서만이 타인이 작성한 건설 설계 정보로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즉 시공사, 하도급자, 감리자 등은 발주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발주자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이며, 이 외의 사업 참여자로부터 작성된 정보를 열람하거나, 제공받기 용이하지 않으며 사업 참여자들 간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나 정보 공유가 어렵다.
따라서 다수의 사업 참여자가 정보를 공유하며 협업하여야 하는 시설물의 건설에 있어서, 각각의 정보들은 일방향의 보고 형식으로 정보 전달이 이루어지고, 정보 접근에 대해서는 제한이 가해진다. 여기서 정보는, 설계 계획과 공정, 엔지니어링 관리, 수행 실적 관리, 비용 관리, 품질 관리, 계약 관리 등 수많은 건설 설계 관련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사업 참여자들은 정보에 접근하거나 정보에 노출될 기회가 적어지면서 사업에 대한 이해 부족과 시행 능력의 저하, 사업 참여자 간 보유 정보의 불일치, 사업 신뢰도의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도 2의 (b)는 블록체인 노드를 포함하는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도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사업 참여자들은 각 사업 참여자들이 제공하는 개별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으므로, 투명성을 확보한 정보공유 시스템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의 (b)에 도시된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는 전체적인 정보의 중심이 발주자가 아니며, 모든 사업 참여자가 다른 사업 참여자와 분산형으로 직접 상호 연결되어 분산형 정보 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록체인 방식에 따르면,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를 중심으로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206, 208)들이 상호 연결되면서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는 각각의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206, 208)에 상응하는 블록체인 노드를 제공한다. 그리고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와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206, 208) 각각은 무선통신이나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206, 208)은 노드를 통해 실시간으로 건설 설계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노드들은 서로 공유되거나 동기화되므로, 노드 간에는 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드 간, 즉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와 각각의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206, 208) 간에 투명한 정보 공유가 가능해지며, 이를 통해 사업 참여자들은 해당 시설물과 건설 사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게 되고, 공유 정보의 일관성을 토대로 협업을 통한 사업 진행의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206, 208) 각각이 노드를 통해 입력하는 개별 정보는 개별 기록 정보로 지칭할 수 있으며,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는 개별 기록 정보를 입력받아 건설 설계 정보를 누적 및 취합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가 개별 기록 정보를 취합하고 누적하여 생성한 정보를 통합 건설 설계 정보라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통합 건설 설계 정보는 시설물의 설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설계 계획, 설계 일정, 일정 별 설계 내용 등에 대한 설계 계획 관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건설 설계 정보는 시설물의 건설 또는 설계에 대하여 체결되었거나 체결 예정에 있는 하나 이상의 계약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계약과 관련된 계약 관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계약 관리 정보는 계약 당사자, 계약의 내용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건설 설계 정보는 설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특히 해당 시설물에 대한 설계 도면에 대한 정보인 설계 도면 관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는 설계 도면 자체를 이미지 파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여러가지 버전이 존재하는 경우 버전 별로 분류된 설계 도면이 통합 건설 설계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시설물의 부분 별로 2 이상의 설계 도면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설계 도면들이 모두 설계 도면 관리 정보에 포함되어 통합 관리될 수 있다.
또한 통합 건설 설계 정보는 시설물의 공사와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공사 관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사의 진행 내용, 진행 일정, 공사 내용의 수정이 요구된 경우 요구된 수정 내용 등이 공사 관리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공사의 적어도 일부를 외주를 통해 수행하는 경우 해당 외주와 관련된 외주 관리 정보가 통합 건설 설계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시설물 또는 해당 시설물의 공사에 대해 품질환경안전 관련 정보가 있는 경우, 예컨대 품질 인증이나 환경 관련 인증 내용, 품질이나 환경성 관련 시험 성적서, 품질 또는 환경 각종 규제와 관련된 승인 내역 등 품질안전 관련 정보는 품질환경안전 관리 정보로서 통합 건설 설계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206, 208 중 하나)들은 다른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206, 208 중 다른 하나)이 입력한 개별 기록 정보에 접근할 수도 있고,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통합 건설 설계 정보에 접근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는 제어부(110), 정보 처리부(120), 메모리(130), 정보 출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는 각각의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 별로 제공되는 노드를 통해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과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업 참여자 정보를 관리한다. 여기서 관리되는 사업 참여자 정보에는 각각의 사업 참여자 식별 정보, 사업 참여자 단말의 식별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업 참여자 정보에는 해당 사업 참여자가 발주자인지, 감리자인지, 시공자인지, 설계자인지, 하도급자인지 등을 나타내는 분류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업 참여자 정보에는 각 사업 참여자의 아이디 등 해당 사업 참여자가 누구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업 참여자 정보에는 각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를 식별할 수 있는 단말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업 참여자 정보에는 각 사업 참여자의 권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업 참여자의 권한에 대한 정보에는, 개별 기록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의 여부와 범위, 통합 건설 설계 정보에 접근하거나,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열람하거나 수정, 편집 또는 추가 등 재작성할 수 있는 권한의 여부와 해당 권한의 범위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각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 별 접근 권한, 열람 권한, 재작성 권한을 저장하며,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에 의한 접근 또는 열람, 재작성 등의 이벤트 발생 시 해당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의 권한을 확인하여 접근, 정보 열람, 정보 재작성 등의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사업 참여자 단말이 통합 건설 설계 정보에 대한 수정, 편집, 변경, 삭제 중 하나 이상을 할 수 있는 권한인 재작성 권한에 대한 정보, 또는 통합 건설 설계 정보에 접근하거나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독출할 수 있는 권한인 읽기 권한 정보 등을 통합 건설 설계 정보와 함께 메모리(130)에 더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재작성 권한에 대한 정보나 읽기 권한 정보 등은 사업 참여자 별로 각각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업 참여자의 권한 여부나 권한 범위에 대한 재작성 권한 정보나 읽기 권한 정보는 각각의 사업 참여자 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재작성 권한에 대한 정보 또는 읽기 권한 정보는 인적 요소, 즉 사업 참여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으나,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내용이나 종류에 따라서도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건설 설계 정보 중 특정 정보, 예컨대 계약 정보나 설계 정보, 환경인증정보 등의 특정 정보는 미리 지정된 일부의 사업 참여자에게만 오픈되거나 편집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사업 참여자 그룹이 정해지면, 해당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들을 포함하여 건설 설계 정보의 공유를 위한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각각의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들에 상응하는 노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블록체인 노드라고 지칭할 수 있다. 블록체인 노드는 정보 공요용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기록된 정보를 공유하며, 하나의 노드에서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발생 시 이를 실시간으로 모든 노드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정보 처리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로부터 시설물의 건설 또는 설계와 관련된 개별 기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처리부(120)는 개별 기록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정보 처리부(120)는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실시간으로 기록되는 개별 기록 정보들을 누적하여 저장하고, 이들 개별 기록 정보들을 취합하여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추가로 입력되는 개별 기록 정보들을 이용하여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30)는 정보 처리부(120)에 의해 생성되고 업데이트 되는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되거나, 포함된다. 메모리(130)는 최초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생성 시간과 생성 주체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는 실시간으로 계속하여 업데이트되는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업데이트 일시와 버전 정보, 그리고 수정된 내용에 대한 정보를 최종 통합 건설 설계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정보 출력부(140)는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에게 통합 건설 설계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부(140)는 통합 건설 설계 정보가 생성된 경우, 또는 생성 후 재작성된 경우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에게 이에 대한 알림 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재작성에 의해 업데이트된 최종 버전의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 중 하나 이상이 정당한 재작성 권한에 근거하여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재작성한 경우, 제어부(110)는 통합 건설 설계 정보에 대한 재작성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재작성 이벤트의 발생 사실을 정보 처리부(120)에 알릴 수 있다. 정보 처리부(120)는 제어부(110)의 재작성 이벤트 알림 또는 새로운 개별 기록 정보의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메모리(130)에 기 저장된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처리부(120)는 업데이트된 최종 버전의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다시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재작성 이벤트의 발생과 관련하여,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 중 하나 이상의 단말에게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에 대한 컨펌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재작성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전에 각각의 상기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로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업데이트에 대한 컨펌을 요청하는 컨펌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컨펌 요청 신호를 수신한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로부터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컨펌 요청 신호에 상응한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업데이트에 대한 컨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업데이트에 대한 컨펌이 완료되면 제어부(110)는 다시,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업데이트에 대한 컨펌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컨펌 완료 시, 컨펌 요청 신호를 수신하였던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에게 다시 컨펌 완료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은 하나 이상의 상위 그룹 및 하위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 전부를 포함하는 그룹이 최상위 그룹이라면, 제어부(110)는 이들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들 중 서로 상이한 일부만을 포함하는 그룹들을 하위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하위 그룹에는 발주자의 단말, 감리자의 단말, 설계자의 단말, 시공자의 단말, 하도급자의 단말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마찬가리조 각각의 하위 그룹마다 사업 참여자의 구성은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 또는 정보 처리부(120)는 해당 하위 그룹의 구성에 따라 제공되는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내용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하위 그룹 1에게는 계약 관련 정보는 열람되지 않도록 설정하고, 하위 그룹 2에게는 설계 도면 관련 정보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등, 하위 그룹 별 및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내용 별로 제공될 수 있는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내용과 범위가 상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는 사업 참여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S410). 사업 참여자 정보는 사업 참여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정보와 각각의 사업 참여자가 사용하는 사업 참여자 단말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업 참여자 식별정보나 사업 참여자 단말의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업 참여자 정보에는 각 사업 참여자들의 권한의 범위와 내용에 대한 사항이 포함될 수도 있다.
사업 참여자 단말 정보 또는 사업 참여자 정보를 획득하면,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는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들과 함께 시설물의 건설 또는 설계 공사 등에 대한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S420).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와 각각의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들을 그물망 형식으로 각각 상호 연결하며, 정보를 분산형으로 공유할 수 있다.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는 이후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개별 기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430).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은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가 형성한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각각의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마다 제공된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개별 기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는 개별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생성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S440).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는 생성 또는 업데이트된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S450). 이후,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는 메모리에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된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에 제공할 수 있다(S460),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는 정당한 권한에 근거하여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열람 등을 요청하여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여서는 통합 건설 설계 정보가 재작성을 거쳐 업데이트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각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의 개별 기록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통합 건설 설계 정보가 생성 및/또는 업데이트된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에 의해 통합 건설 설계 정보가 수정, 삭제, 편집, 추가 등 재작성되는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S510).
그러면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는 해당 재작성 이벤트가 해당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 중 어느 하나의 정당한 권한에 의해 발생되었는지, 즉,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재작성한 해당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이 재작성에 관한 정당한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520). 여기서 재작성 이벤트는 각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이 개별 기록 정보를 추가로 입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재작성에 관한 정당한 권한이 확인된 경우,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는 재작성에 의한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컨펌을 수행하여, 컨펌을 완료할 수 있다(S530).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업데이트에 대한 컨펌은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 중 전부 또는 일부의 단말에 업데이트에 대한 컨펌 요청 신호를 보내거나 업데이트 컨펌 여부를 묻는 신호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컨펌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업데이트에 대한 컨펌을 완료할 수 있다.
재작성에 관한 정당한 권한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업데이트에 관한 프로세스는 종료될 수 있다.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업데이트에 대한 컨펌이 완료되면,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는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540). 업데이트가 완료된 통합 건설 설계 정보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100)에 다시 저장될 수 있으며, 각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사업 참여자 단말(200, 202, 204, …)들로 제공될 수 있다(S55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시스템
100: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
110: 제어부
120: 정보 처리부
130: 메모리
140: 정보 제공부
200: 사업 참여자 단말

Claims (16)

  1. 하나 이상의 사업 참여자 단말과 연결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에 의해 접근되며 각각의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에 상응하는 블록체인 노드를 포함하는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로부터 시설물의 건설 또는 설계와 관련된 개별 기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개별 기록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상기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에게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이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에 대해 수정, 편집, 변경, 삭제 중 하나 이상을 할 수 있는 권한인 재작성 권한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에 접근하거나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독출할 수 있는 권한인 읽기 권한 정보를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와 함께 상기 메모리에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작성 권한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읽기 권한 정보는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내용이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작성 권한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에 의해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에 대한 재작성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작성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전에
    각각의 상기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로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업데이트에 대한 컨펌을 요청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상기 업데이트에 대한 상기 컨펌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펌이 완료되면 각각의 상기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상기 컨펌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는
    상기 시설물의 설계 계획에 대한 설계 계획 관리 정보, 상기 시설물의 건설 또는 설계에 대한 계약과 관련된 계약 관리 정보, 상기 시설물에 대한 설계 도면을 포함하는 설계 도면 관리 정보, 상기 시설물의 공사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공사 관리 정보, 상기 공사의 적어도 일부를 외주를 통해 수행하는 경우 상기 외주와 관련된 외주 관리 정보, 상기 시설물 또는 상기 공사에 대한 품질환경안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품질환경안정 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은
    상기 시설물의 공사를 위탁하는 발주자의 단말,
    상기 시설물의 상기 공사 과정에서 상기 발주자의 자문에 응하고 상기 공사 과정에 대한 감리를 시행하는 감리자의 단말,
    상기 시설물의 설계 도서를 작성하는 설계자의 단말,
    상기 시설물의 상기 공사를 시행하는 시공자의 단말 및
    상기 시설물에 관한 하도급을 받아 상기 공사의 적어도 일부를 직접 시공하는 하도급자의 단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은 상기 발주자의 단말, 상기 감리자의 단말, 상기 설계자의 단말, 상기 시공자의 단말, 상기 하도급자의 단말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하위 그룹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하위 그룹의 구성에 따라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내용이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
  9. 하나 이상의 사업 참여자 단말과 연결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업 참여자 정보를 관리하며, 하나 이상의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에 의해 접근되고 각각의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에 상응하는 블록체인 노드를 포함하는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제어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로부터 시설물의 건설 또는 설계와 관련된 개별 기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개별 기록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부;
    생성된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메모리; 및
    상기 정보 공유용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에게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이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에 대해 수정, 편집, 변경, 삭제 중 하나 이상을 할 수 있는 권한인 재작성 권한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에 접근하거나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독출할 수 있는 권한인 읽기 권한 정보를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와 함께 상기 메모리에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작성 권한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읽기 권한 정보를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내용이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재작성 권한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에 의한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에 대한 재작성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작성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전에
    각각의 상기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로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업데이트에 대한 컨펌을 요청하고,
    각각의 상기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상기 업데이트에 대한 상기 컨펌을 수신하며,
    상기 컨펌이 완료되면 각각의 상기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상기 컨펌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는
    상기 시설물의 설계 계획에 대한 설계 계획 관리 정보, 상기 시설물의 건설 또는 설계에 대한 계약과 관련된 계약 관리 정보, 상기 시설물에 대한 설계 도면을 포함하는 설계 도면 관리 정보, 상기 시설물의 공사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공사 관리 정보, 상기 공사의 적어도 일부를 외주를 통해 수행하는 경우 상기 외주와 관련된 외주 관리 정보, 상기 시설물 또는 상기 공사에 대한 품질환경안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품질환경안전 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은
    상기 시설물의 공사를 위탁하는 발주자의 단말,
    상기 시설물의 상기 공사 과정에서 상기 발주자의 자문에 응하고 상기 공사 과정에 대한 감리를 시행하는 감리자의 단말,
    상기 시설물의 설계 도서를 작성하는 설계자의 단말,
    상기 시설물의 상기 공사를 시행하는 시공자의 단말 및
    상기 시설물에 관한 하도급을 받아 상기 공사의 적어도 일부를 직접 시공하는 하도급자의 단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 참여자 단말은 상기 발주자의 단말, 상기 감리자의 단말, 상기 설계자의 단말, 상기 시공자의 단말, 상기 하도급자의 단말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하위 그룹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정보 처리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하위 그룹의 구성에 따라 상기 통합 건설 설계 정보의 내용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설계 정보 관리 장치.
KR1020200007774A 2020-01-21 2020-01-21 블록체인을 활용한 bim 기반의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338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774A KR102338338B1 (ko) 2020-01-21 2020-01-21 블록체인을 활용한 bim 기반의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774A KR102338338B1 (ko) 2020-01-21 2020-01-21 블록체인을 활용한 bim 기반의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254A true KR20210094254A (ko) 2021-07-29
KR102338338B1 KR102338338B1 (ko) 2021-12-10

Family

ID=77127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774A KR102338338B1 (ko) 2020-01-21 2020-01-21 블록체인을 활용한 bim 기반의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3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6534A (ko) 2021-12-23 2023-06-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블록체인을 이용한 bim 데이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CN117035365A (zh) * 2023-09-16 2023-11-10 海南华筑国际工程设计咨询管理有限公司 一种bim建筑设计的综合管理方法与系统
CN117575538A (zh) * 2023-12-15 2024-02-20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电子计算技术研究所 一种基于工程分解的多行业数字化实时交互系统
KR102649767B1 (ko) * 2023-03-17 2024-03-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인프라 bim 라이브러리 통합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1694A (ko) 2022-01-18 2023-07-2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 시설물 조달 설치 통합관리시스템 및 통합관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1390A (ko) * 2002-05-15 2002-06-01 주식회사 인터빌드노아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사업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JP3179234U (ja) 2012-05-22 2012-10-25 株式会社トータテハウジング 施工後の建築物の管理プレート
JP6617383B2 (ja) 2015-06-09 2019-12-11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建築物管理支援方法、建築物管理支援プログラム及び建築物管理支援装置
KR102061448B1 (ko) * 2019-03-20 2019-12-31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1390A (ko) * 2002-05-15 2002-06-01 주식회사 인터빌드노아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사업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JP3179234U (ja) 2012-05-22 2012-10-25 株式会社トータテハウジング 施工後の建築物の管理プレート
JP6617383B2 (ja) 2015-06-09 2019-12-11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建築物管理支援方法、建築物管理支援プログラム及び建築物管理支援装置
KR102061448B1 (ko) * 2019-03-20 2019-12-31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6534A (ko) 2021-12-23 2023-06-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블록체인을 이용한 bim 데이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649767B1 (ko) * 2023-03-17 2024-03-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인프라 bim 라이브러리 통합관리 시스템
CN117035365A (zh) * 2023-09-16 2023-11-10 海南华筑国际工程设计咨询管理有限公司 一种bim建筑设计的综合管理方法与系统
CN117575538A (zh) * 2023-12-15 2024-02-20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电子计算技术研究所 一种基于工程分解的多行业数字化实时交互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338B1 (ko) 202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8338B1 (ko) 블록체인을 활용한 bim 기반의 건설 설계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Li et al. Applications of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DLT) and Blockchain-enabled smart contracts in construction
US20210110347A1 (en) Automated, integrated and complete computer program/project management solutions standardizes and optimizes management processes and procedures utilizing customizable and flexible systems and methods
Kassem et al. BIM in facilities management applications: a case study of a large university complex
Succar et al. Model uses: foundations for a modular requirements clarification language
Tserng et al. Developing BIM-assisted as-built schedule management system for general contractors
Pirzadeh et al.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construction decision making and the impact on work health and safety
US20220058552A1 (en) Project management system, method of operating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Lin et al. Developing as-built BIM model 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general contractors: a case study
Fernande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BIM platforms on construction site
Chen et al. Using images to detect, plan, analyze, and coordinate a smart contract in construction
Kang et al. Blockchain opportunities for construction industry in Hong Kong: a case study of RISC and site diary
KR20220000857A (ko)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elik et al. Leveraging BIM and blockchain for digital twins
Sarkar et al. Automation in monitoring of construction projects through BIM-IoT-blockchain model
Bahsani et al. Towards a pooling of ITIL V3 and COBIT
Jawadekar A case study of the use of BIM and construction operations building information exchange (COBie) for facility management
Piao Case studie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pplying blockchain technology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on the workflow of water infrastructure projects
CN104408568A (zh) 用于业主项目部的任务信息处理方法和装置
Greenwald BIM, blockchain, and smart contracts
US202203511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ve information construct and integrated and collaboration platform using the same
CN114175599B (zh) 用于楼宇管理环境的警报问题管理
El Baz Mourad et al. Combination between Cobit 5 and ITIL V3 2011
May et al. BIM in Real Estate Operations: Application, Implementation, Digitalization Trends and Case Studies
CN112801446A (zh) 上云服务站和上云服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