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724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724A
KR20210093724A KR1020200070934A KR20200070934A KR20210093724A KR 20210093724 A KR20210093724 A KR 20210093724A KR 1020200070934 A KR1020200070934 A KR 1020200070934A KR 20200070934 A KR20200070934 A KR 20200070934A KR 20210093724 A KR20210093724 A KR 20210093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shroud
air purifie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0889B9 (ko
KR102350889B1 (ko
Inventor
서동진
오용주
김민석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로
Priority to PCT/KR2020/01102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145528A1/en
Priority to US17/268,821 priority patent/US11873842B2/en
Priority to CN202080004557.6A priority patent/CN113423993B/zh
Publication of KR20210093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889B1/ko
Publication of KR10235088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88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 및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로부터 상기 토출부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팬 모듈은, 회전축을 형성하고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팬 및 상기 팬을 수용하며, 상기 흡입부와 상기 토출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부로 안내하는 쉬라우드를 포함하고,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토출부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상기 공기의 흐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공기 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 등을 필터 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흡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공기청정기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소재의 필터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한 후, 토출구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토출한다.
상술한 기류를 형성하기 위해 공기청정기 내부에는 송풍팬이 구비된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용량이 제한되어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의 전체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청정기의 주변 공기는 정화될 수 있는 반면, 공기 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의 공기는 정화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공기청정기의 정화면적을 넓히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의 정화면적을 넓히기 위해 고속 팬 모터를 사용하고, 흡입구를 공기 청정기의 하부측에 형성하고, 토출구를 공기 청정기의 상부측에 형성한다.
고속 팬 모터의 경우 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열이 일반적인 팬 모터 보다 더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발열을 위한 구조가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토출구 측과 상기 모터가 연통되어 열을 배출하는 구조이다. 왜냐하면, 팬이 회전하는 공간은 공기의 빠른 기류를 형성하기 위해 압력차가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밀폐율을 높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 토출구조가 채택된 공기청정기의 경우, 중력방향을 따라 이물질이 유입되어 팬 모터 내부에 축적됨으로써 상기 팬 모터의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토출구를 통해 유체가 유입될 경우 합선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공기청정기의 토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가이드 하여 팬 모터 내부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공기청정기의 쉬라우드에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중력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로부터 상기 토출부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FAN)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팬 모듈은, 회전축을 형성하고 구동력을 생성하는 팬 모터와 상기 팬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송풍 팬 및 상기 팬 모터와 상기 송풍 팬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부와 상기 토출부 사이에 고정되고, 내면에 상기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중력방향을 따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는, 외면에 상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필터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바디 및 외면에 상기 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팬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바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경계면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상기 제2바디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 및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로부터 상기 토출부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팬 모듈은, 회전축을 형성하고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팬 및 상기 팬을 수용하며, 상기 흡입부와 상기 토출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부로 안내하는 쉬라우드를 포함하고,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토출부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상기 공기의 흐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일면에 상기 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팬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바디 및 상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제2 바디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흡입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2 바디의 내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단면이 넓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쉬라우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 바디 측으로 안내하는 유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쉬라우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디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 형성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로부터 상기 제1 바디의 내측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부재로부터 상기 제2 바디를 향해 연장되는 제3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 바디 측으로 안내하는 유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팬 모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팬 모터 내부의 합선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실수로 공기청정기 흡입구에 물, 음료수 등과 같은 유체를 떨어트리더라도, 상기 유체를 공기청정기의 하부로 안내함으로써 공기청정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바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바디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a),(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제1 바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10,20), 흡입부(21), 토출부(11), 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0)는 일면에 토출부(11)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팬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1)는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바디(10)와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바디(20)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바디(10)와 상기 제2 바디(20)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10,20)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단면이 직사각형 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21)와 상기 토출부(11)는 상기 바디(10,20)의 내부와 연통하여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1)의 토출부(11)는 바디의 상면에, 흡입부(21)는 바디의 하측에 형성된다. 왜냐하면 사용자의 실생활 공간에 정화된 공기를 토출함과 동시에 토출되는 공기의 확산 면적을 넓히기 위해서는 공기청정기의 상부 측에 토출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흡입구는 공기청정기의 상면에 구비된다. 보다 자세히 상기 토출부(11)는 제1 바디(1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고, 흡입부(21)는 제2 바디(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부(21)는 상기 공기청정기 상면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의 상면 중 나머지 일부에는 표시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는 현재 공기청정기가 구비되어 있는 실내 공간의 공기질(PM 수치에 기반한)을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표시부(13)는 시간, 공기청정기에 입력된 공기청정모드, 공기청정기의 운행시간 등 다양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3)를 통해 사용자는 상술한 요소들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의 상면 중 일부에 표시부(13)가 구비될 경우, 상기 표시부(13)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상면 중앙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11)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둘레를 따라 상기 공기청정기의 상면 중 나머지 면적에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토출부(11)의 면적을 최대한 넓게 해야 정화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청정기의 상면 전부가 토출부(11)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술한 표시부(13)는 공기청정기의 측면 중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흡입부(21)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흡입부(21)는 공기의 흡입량을 높이기 위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흡입부(21)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하부 둘레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는 하부에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청정기의 내부에서 정화한 뒤, 공기청정기의 상부에서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상부 토출 구조의 공기청정기이다.
한편, 상기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바디(10)의 하부에는 결합부(17)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바디(20)와 끼워 맞추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의 용이한 결합 및 분리를 위해 제1 바디(10)에는 버튼(15)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사용자는 상기 버튼(15)을 눌러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의 결합을 해제한 뒤 제1 바디(10)를 제2 바디(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제1 바디(10)의 하부 내측에는 관통부(20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2031)는 제2 바디(20)의 흡입부(21)로 유입된 외기가 제1 바디(10)로 이동하는 유로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부(2031)를 통해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는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바디(10)의 하부면은 제2 바디(20)의 상면과 접촉하는 접촉면(1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19)은 상기 관통부(2031)의 둘레에 형성되어 제1 바디(10)를 제2 바디(20)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할 시, 제1 바디(10)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1 바디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1 바디(10)의 내부에는 팬 모듈(Fan module)이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21)로부터 상기 토출부(11)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은 회전축을 형성하고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101), 상기 구동부(10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105), 상기 구동부(101)와 상기 팬(105)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고 흡입부(21)와 토출부(1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2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부(11)로 안내하는 쉬라우드(1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105)은, 상기 구동부(101)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쉬라우드(103)는 관통부(2031)에 대응되는 팬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허브는 송풍모터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이동경로를 변경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부(21)에서 유입된 외기는 공기청정기(1)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청정기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팬 모듈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퍼지며 토출부(11)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일예로써 상기 팬(105)은 사류형 팬이 채택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공기의 흐름을 살펴보면, 공기는 팬 흡입구를 통해 모터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공기청정기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이동경로가 모터의 측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하부가 관통된 원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의 관통된 부분으로 모터의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부의 관통된 부분은 상기 결합공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에서 외기를 흡입하여 상부 측으로 토출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흡입부(21)는 제2 바디(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제2 바디(20)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부(21)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2 바디(20)의 내둘레를 따라 필터(20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201)는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바디(10)와 상기 제2 바디(20)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제2 바디(20)는 상기 제1 바디(10)에 호환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가 설치되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외기를 흡입하는 양이 달리 설정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공기청정기의 흡입량을 제어할 수 있지만, 하드웨어적으로 공기청정기의 물리적인 흡입량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공기청정기는 상대적인 높이차이에 따른 상부바디와 하부바디로 구비되어 2개의 분리 가능한 몸체가 결합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제2 바디(20)는 제1 바디(10)에 호환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바디(20)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의 형태로 구현된다. 상기 제2 바디(20)의 하우징은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바디(20)의 내부 빈 공간에는 필터(201)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2 바디(20)의 외둘레면에는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21)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부(21)는 상기 제2 바디(20)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360도 전면에 구비되어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전방향으로 흡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정화장치는 설치되는 환경에 제약을 받지 않고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모든 방향에서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21)는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관통 형성된 소정 크기의 유입홀 또는 유입 슬릿 등이 복수 개 나열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2 바디(20)의 개방된 상부 둘레 중 적어도 일부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필터(201)와의 견고한 결합구조를 위해 마련되는 구성으로써, 필터(201)는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기 제2 바디(2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필터(201)는 필요에 따라 상기 결합홈에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201)는 제2 바디(2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201)는 상기 흡입부(21)가 제2 바디(20)의 외부 둘레면을 따라 360도 전면에 구비되는 것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필터(201)는 외측을 따라 360도 전방향으로 필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바디(20)로부터 필터(201)를 들어올려 분리시킬 수 이도록 상기 필터(201)의 상부 둘레에는 라벨형태의 분리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재의 일측은 제2 바디(20)의 개방된 상부 둘레에 결합되고, 상기 분리부재의 타측은 제2 바디(20)의 상부로부터 개방된 방향을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리부재의 일부는 필터(201)가 하부 바디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재는 하부바디의 개방된 상부 둘레에 복수 개의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2 바디(20)의 빈 공간에 삽입된 필터(201)를 교체 또는 세척 상의 이유로 제2 바디(2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된 분리부재를 잡아 들어올림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제2 바디(20)는 서로 다른 크기로 구현 및 호환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10)는 구현되는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고 제2 바디(20)와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제1 바디(10)는 상이한 용량을 가지는 제2 바디(20)와 호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공기를 정화하고자 하는 공간의 크기, 환경 등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제2 바디(20)를 제1 바디(10)에 결합함으로써 대상공간의 공기정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2 바디(20)의 공기정화 용량에 따라 공기정화장치의 팬 회전수가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왜냐하면 제2 바디(20)의 공기정화 용량이 클수록 공기청정기의 공기 정화 범위는 넓어지기 때문에 팬 회전수가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상기 팬 회전수의 자동 설정의 일 예로써, 상기 제2 바디(20)의 용량은 각각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바디(20)에 입력되어 있는 고유의 값에 따라 접점부를 통해 상기 제1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팬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제1 바디(10)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공간은 본 실시예의 토출부(11)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10)의 하부는 상기 제2 바디(20)의 개방된 상부와 결합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상기 제1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쉬라우드(103)의 하부 개방된 공간과 제2 바디(20)의 상면에 제 1바디(10)측을 향해 연장되는 관통부재(203)가 형성하는 개방된 공간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즉, 관통부(2031)는 상기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가 연통하여 제2 바디(20)로부터 유입된 외기가 이동하는 유로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는 서로 맞닿는 둘레면에 서로 다른 자성을 가지도록 구현되는 자성체가 구비되어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2 바디(10)의 상부 둘레와 상기 제1 바디(10)의 하부 둘레는 서로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바디(20)의 하부에는 공기청정기의 용이한 이동을 위한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퀴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이 고정되어 공기청정기의 위치가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바디(20)의 상부 둘레면에는 제1 바디(10)와 결합되기 위해 접하는 부분인 접점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제1 바디(10) 및 제2 바디(20)가 보다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점부를 통해 제2 바디(20)로 공급되는 전원이 제1 바디(10)로 공급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바디(10)는 외부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쉬라우드(103)는, 상기 공기청정기(1)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부(21)와 상기 토출부(11) 사이에 구비되고, 내면에 상기 토출부(11)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중력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가이드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103)는 상기 공기청정기(1)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부(21) 보다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토출부(11)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구비된다. 즉 상기 쉬라우드(103)는 흡입부(21)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토출부(11)로 안내한다.
본 실시예의 토출부(11)는 제1 바디(10)의 상면에서 표시부(13)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므로 상기 쉬라우드(103)는 상기 흡입부(21)로 유입된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단면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쉬라우드(103)의 내둘레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쉬라우드(103)가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단면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비됨에 따라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쉬라우드(103)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103)의 하부 둘레는 상기 쉬라우드(103)의 상부 둘레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103)의 내부에는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함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기류의 이동경로를 변경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외주둘레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팬 모듈의 구동부(101)는 쉬라우드(103)의 중앙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팬(105)의 외주 둘레는 상기 쉬라우드(103)의 하부 둘레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103)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기 팬(105)의 회전에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직진성을 가지고 이동하는 기류를 방사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방사방향으로 안내된 공기는 상기 쉬라우드(103)의 상부 외주 둘레에 근접한 공간으로 토출된다. 왜냐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쉬라우드(103)의 중앙부분에는 회전축을 형성하며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101)가 구비되므로, 상기 쉬라우드(103)의 중앙부분을 통해 공기가 토출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는 상술한 제1 바디(10)의 디스플레이(13)와 토출부(11)의 구조와도 연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바디(10)의 전면을 토출구로 구비하여도 상기 쉬라우드, 팬 모터의 구조에 있어서 제1 바디(10)의 상부 전면을 통해 공기가 토출될 수 없다. 만약, 상기 제1 바디(10)의 상부 전면을 통해 공기를 토출시키려면, 별도의 유로가 형성되어 구동부(101)의 상부 즉, 쉬라우드(103)의 중앙부분으로 기류를 안내해야 되므로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기류의 저항이 높아지게 되므로 오히려 정화된 공기의 토출량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디(10)의 상면의 중앙부분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 바디(10)의 외주 둘레와 상기 중앙부분의 디스플레이 외주 둘레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쉬라우드(103)의 단부는 상기 제2 바디(20)와 상기 제1 바디(10)의 경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는 둘레면이 모두 흡입부(21)로 형성되어 공기청정기의 흡입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팬 모듈은 상기 흡입부(21)와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하여 흡입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제2 바디(20)의 상단면에 상기 쉬라우드(103)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20)의 상단면의 둘레는 상기 제1 바디(10)의 하단면의 둘레와 대응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제1 바디(10)와 상기 제2 바디(20)가 결합할 시, 공기청정기의 외면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가 결합되어 상기 공기청정기 내부에 밀폐율을 높여야 압력차이를 더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2 바디(20)의 내부에 구비된 필터(201)는 중공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쉬라우드(103)의 하부 둘레는 상기 필터(201)의 둘레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쉬라우드(103)의 하부에서는 상기 제2 바디(20) 내부 공간을 통과한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므로, 상기 제 1바디(10)와 상기 제2 바디(20) 내부 공간의 밀폐율을 높이는 것이 더 큰 압력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고, 압력차가 높아질수록 흡입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상기 제2 바디(20)는 위주 둘레면을 따라 흡입부(21)가 형성되고 내부에 원통형의 필터(20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21)로부터 상기 원통형의 필터(201) 외주면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필터(201)의 외주면이 상기 흡입부(21)와 접촉하거나, 매우 근접하게 위치할 경우 충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어려울 수 있으며, 상기 필터(201)의 외주면이 상기 흡입부(21)와 밀착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제1 바디(10)를 제2 바디(20)와 분리한 뒤, 상기 제1 바디(10) 내부의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하면, 본 실시예의 쉬라우드(103)의 하부 둘레는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로써, 상기 쉬라우드(103)의 하부 둘레는 제2 바디(20) 내부에 위치하는 원통형의 필터(201) 둘레와 대응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조의 공기청정기(1)를 통한 공기의 이동경로를 살펴보면, 팬 모듈의 구동에 의해 외기가 흡입부(21)를 통해 유입되는 유동(f1)이 발생된다. 상기 유입된 외기는 상기 흡입부(21)를 통해 유입된 후, 필터부(201)를 거쳐 정화된다.
그리고 상기 정화된 공기는 관통부(2031)를 거치며 제2 바디(20)에서 제1 바디(10)로 이동(f2)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바디(10)의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는 쉬라우드(103)의 굴곡진 내주면을 따라 토출부(11) 측으로 이동(f3)되고, 상기 토출부(11)를 통해 외부로 토출(f4)된다.
한편, 영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공기청정기의 팬 안쪽으로 다양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 경우 팬 안쪽에 이물질이 끼거나, 안쪽에서 밖으로 배출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여 완전 분해를 해야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물, 주스 등의 액체를 넣는 경우에도 공기청정기 내부에 고이게 되어 배출이 어렵고 이로 인하여 제조사 또는 유통사에서 AS를 받아야 하는 문제가 있고, 제조사 또는 유통사에서도 실비용보다 높은 비용이 발생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이물질 또는 액체를 주입하였을 때 바로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흘러 내려가는 구조를 통하여 공기청정기의 기능 및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공기 토출구가 상부를 향하고 있는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이물질 및 액체가 걸리지 않는 디자인의 송풍팬 및 이물질 및 액체가 들어갔을 때 중력에 의해 바로 아래로 내려갈 수 있도록 구성된 송풍팬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공기 청정기 상부의 공기 배출구에서 이물질이 유입되었을 때, 들어간 이물질은 내부 송풍팬에 걸리지 않고, 송풍팬이 들어있는 케이스에도 걸리지 않은 채 아래 필터부로 모두 흘러내리는 구조를 개시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의 상부와 하부는 분리가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공기청정기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간 경우, 사용자는 상기 공기청정기를 분리하여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공기청정기의 상부를 뒤집었을 때에도 걸리는 부분이 없이 이물질 및 액체가 중력에 의해 흘러 내릴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와 같이 토출부(11)가 상부에 형성되고 흡입부(21)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청정기의 구조에 있어서, 토출부(11)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어 팬 모듈 측으로 중력방향(f5)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된 이물질은 쉬라우드(103)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왜냐하면,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의 팬에 있어서, 회전축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방사방향으로 기류가 형성되므로 상기 이물질은 쉬라우드(103)의 내주면을 따라(f6) 이동될 것이다.
상기 쉬라우드(103)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물질은 상기 팬(105)과 쉬라우드(103) 하부측의 간극을 통해 이동(f7)되어 상기 가이드부(107)에 의해 제2 바디(20) 측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 구조에 있어서, 팬 모듈 내부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부(11)를 통해 이물질이 공기청정기 내부로 유입되었다 하더라도 사용자는 제1 바디(10)를 제2 바디(20)로부터 분리시킨 후, 제2 바디(20) 내부에 축적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청정기의 상부에는 송풍팬, 회로, 센서 및 조작부 등이 포함되어 있고 하부에 필터가 있는 구조이다. 이 경우 외부 전력은 하부 또는 상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하부와 상부의 전기적 연결은 상술한 접점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쉬라우드(103)는 공기청정기의 내부에서 흡입부(21)와 토출부(11)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토출부(11)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중력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가이드부(107)가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쉬라우드는 사출성형 시 쉬라우드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이상의 수축률이 보장되어야 하고, 압력 차이를 발생시키기 위해 팬 모터가 회전하는 곳의 밀폐율을 높이기 위해 쉬라우드의 하부 둘레에는 쉬라우드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재의 두께, 형상 등을 이용하여 공기청정기 내부에서 하우징을 고정시키는 실정이다. 상술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토출부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걸려 축적되는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쉬라우드(103)의 하부에 가이드부(107)를 형성하여 토출부(11)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걸려 축적되는 문제를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토출부(11)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제2 바디(20)로 이동시켜 사용자는 제2 바디(20)를 청소하여 상기 유입된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는 제1 바디(10)의 내부에는 팬 모듈, 디스플레이, 회로기판 등이 내장되기 때문에 상기 제1 바디(10)의 내부에 이물질이 축적될 경우 이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축적된 이물질에 의해 전장제품들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제2 바디(20)의 내부 필터(201)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상기 이물질을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201)가 수용된 공간으로 안내된 이물질은 사용자가 상기 필터(201)를 교체하면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107)는 중력방향을 따라 소정의 경사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부(107)의 단부가 형성하는 둘레는 상기 필터(201)의 둘레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107)는 토출부(11)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공기청정기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소정의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상기 가이드부(107)는 상기 쉬라우드(103)의 단부에 형성되어 제1 바디(10)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 형성되는 제1 부재(1071) 및 상기 제1 부재(1071)로부터 상기 제1 바디(10)의 내측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부재(10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1072)는 쉬라우드(103)의 사출성형 시, 수축률을 보장하고, 팬 모듈 내부의 밀폐율을 보장하기 위해 제1 바디(10)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부재(1072)의 면적을 이용해 상기 쉬라우드(103)가 제2 바디(20) 상부 또는 제1 바디(10)의 하부에 고정되는 체결부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제2 부재(1072)가 연장되는 길이를 줄이고 제2 부재(1072)의 높이방향 두께를 늘려 강성을 보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제2 부재(1072)가 제1 바디(1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만큼 이물질이 제2 바디(20)측으로 안내되는 것에 방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2 부재(1072)는 상기 쉬라우드(103)의 하부 둘레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되, 상기 제1 부재(1071)와 같이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07)는 상기 제2 부재(1072)로부터 상기 제2 바디(20)를 향해 연장되는 제3 부재(10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103)와 가이드부(107)는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3 부재(1073)가 형성하는 둘레는 상기 제2 바디(20)에서 제1 바디(10)측으로 이동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3 부재(1073)가 형성됨에 따라 쉬라우드(103)의 사출 성형 시 쉬라우드의 수축률을 보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공기청정기
10: 제1 바디
20: 제2 바디
101: 구동부
103: 쉬라우드
105: 팬
107: 가이드부

Claims (10)

  1.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 및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로부터 상기 토출부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팬 모듈은,
    회전축을 형성하고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팬; 및
    상기 팬을 수용하며, 상기 흡입부와 상기 토출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부로 안내하는 쉬라우드;를 포함하고,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토출부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상기 공기의 흐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일면에 상기 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팬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바디; 및
    상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제2 바디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흡입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2 바디의 내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단면이 넓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쉬라우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 바디 측으로 안내하는 유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쉬라우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디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 형성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로부터 상기 제1 바디의 내측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부재로부터 상기 제2 바디를 향해 연장되는 제3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 바디 측으로 안내하는 유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KR1020200070934A 2020-01-17 2020-06-11 공기청정기 KR102350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1027 WO2021145528A1 (en) 2020-01-17 2020-08-19 Air cleaner
US17/268,821 US11873842B2 (en) 2020-01-17 2020-08-19 Air cleaner
CN202080004557.6A CN113423993B (zh) 2020-01-17 2020-08-19 空气净化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804 2020-01-17
KR20200006804 2020-01-17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724A true KR20210093724A (ko) 2021-07-28
KR102350889B1 KR102350889B1 (ko) 2022-01-17
KR102350889B9 KR102350889B9 (ko) 2023-02-23

Family

ID=77126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934A KR102350889B1 (ko) 2020-01-17 2020-06-11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50889B1 (ko)
CN (1) CN11342399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492A (ko) 2021-09-30 2023-04-0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듈형 공기 살균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988A (ko) * 2016-11-21 2018-05-30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90059729A (ko) * 2017-11-23 2019-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53227B1 (ko) * 2018-05-31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2275299B1 (ko) * 2014-09-03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 워셔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60716A (de) * 1964-07-14 1968-08-15 Ajem Lab Inc Einrichtung zur Erzeugung eines Sprühnebels und ihre Verwendung
JP2008249307A (ja) * 2007-03-30 2008-10-16 Aisin Aw Co Ltd 空気清浄機
US20160309661A1 (en) * 2015-04-23 2016-10-27 Ac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Leaf Blower Having A Guard
KR101551328B1 (ko) * 2015-05-11 2015-09-18 오문섭 습식형 공기청정기
CN108061342A (zh) * 2017-12-29 2018-05-22 成都柒瑰科技有限公司 一种自备风能空气净化器
KR101998780B1 (ko) * 2017-12-29 2019-07-10 주식회사 교원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299B1 (ko) * 2014-09-03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 워셔
KR20180056988A (ko) * 2016-11-21 2018-05-30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90059729A (ko) * 2017-11-23 2019-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53227B1 (ko) * 2018-05-31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492A (ko) 2021-09-30 2023-04-0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듈형 공기 살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889B9 (ko) 2023-02-23
CN113423993B (zh) 2022-11-04
CN113423993A (zh) 2021-09-21
KR102350889B1 (ko) 202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3842B2 (en) Air cleaner
EP2993420B1 (en) Air washer
JP2018516754A (ja) 湿式型空気清浄器
KR100818365B1 (ko) 습식 공기청정기
KR100908474B1 (ko) 습식 공기청정기
GB2467828A (en) Fan motor apparatus having a diffuser unit for a vacuum cleaner
KR101874419B1 (ko) 공기정화장치
KR101606890B1 (ko) 디퓨저유닛을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팬모터 장치
JP2007275867A (ja) サイクロン、サイクロン空気清浄機及びその空気清浄方法
KR101881667B1 (ko) 가습청정장치
JP2006167708A (ja) サイクロン空気清浄機
KR102457136B1 (ko) 가습청정장치
JP2008520422A (ja) 湿式空気清浄機
JP2008518775A (ja) 湿式空気清浄機
KR102350889B1 (ko) 공기청정기
KR20120051018A (ko) 입자 함유 공기를 펌핑하고 공기로부터 입자를 분리하기 위한 유닛
KR101938647B1 (ko) 공기 청정기
KR100929140B1 (ko) 습식 공기청정기
KR102492418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550119A (zh) 干式清洁壳体,干式清洁装置,以及分离板的安装方法
JP2008048799A (ja) 電気掃除機
KR100989773B1 (ko) 습식 공기청정기의 물분사장치 고정시스템
KR101924470B1 (ko) 공기 청정기
EP4230103A1 (en) Vacuum cleaner
KR20030058054A (ko) 이중 필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