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659A -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 - Google Patents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659A
KR20210093659A KR1020200007528A KR20200007528A KR20210093659A KR 20210093659 A KR20210093659 A KR 20210093659A KR 1020200007528 A KR1020200007528 A KR 1020200007528A KR 20200007528 A KR20200007528 A KR 20200007528A KR 20210093659 A KR20210093659 A KR 20210093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reinforcement
underwater cable
insert
core
arm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민
이재복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7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3659A/ko
Publication of KR20210093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6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1865Sheaths comprising braided non-metallic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01B7/045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attached to marine objects, e.g. buoys, diving equipment, aquatic probes, marine towl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1855Sheaths comprising helical wrapped non-metallic lay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 대상 수중케이블의 섬유 보강층이 제공하는 항장력을 균일하게 분배하고, 수중케이블을 구성하는 섬유 보강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손상 등을 방지하며, 수중케이블을 구성하는 섬유 보강층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FIBER ARMOUR FIXING DEVICE AND UNDERWATER CABLE CONNECT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연결 대상 수중케이블의 섬유 보강층이 제공하는 항장력을 균일하게 분배하고, 수중케이블을 구성하는 섬유 보강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손상 등을 방지하며, 수중케이블을 구성하는 섬유 보강층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잠수함 또는 기뢰 등을 탐지하기 위한 수중 탐지기는 함정 등에 구비되며, 탐지 작업시 수중 탐지기를 수중케이블로 연결하여 수중에 배치하여 탐지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수중 탐지기와 함정 등을 연결하는 수중케이블은 통신 연결 및 전력 공급 등의 케이블의 일반적인 기능과 함께 수중 탐지기의 유실을 방지하며 탐지 대상물의 종류 등에 따라 배치 수심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해저 등의 수중 환경에 적용되는 수중케이블은 인장력을 보강하기 위한 편조된 섬유 보강재로 구성된 섬유 보강층을 구비하거나, 거친 수중 환경에서 전력 또는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코어를 보호하기 위한 아머 와이어로 구성된 금속 아머층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섬유 보강층 또는 금속 아머층은 수중케이블의 환경, 용도 또는 요구되는 부력 등에 따라 한가지만 구비될 수도 있다.
수중 탐지기는 수중 조류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탐지 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긴 바 형태로 구성되어 수중에서 수평 배치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수중 탐지기를 요구되는 수심에 수평하게 배치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수중케이블 중 금속 아머층을 구비한 중량 수중케이블로 요구되는 수심 근방까지 탐지기를 배치하고, 섬유 보강층 및 부력 발생을 위한 발포층 등을 구비한 경량 또는 부력을 갖는 수중케이블을 상기 중량 수중케이블과 수중 탐지기를 연결하여 수중 탐지기가 완만하게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섬유 보강층을 구비하는 수중케이블 또는 금속 아머층을 구비하는 수중케이블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 연결되는 한 쌍의 수중케이블 내부에 구비되어 전력 또는 통신을 제공하는 코어는 각각의 구성을 일반적인 접속구조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고, 금속 아머층을 구성하는 아머 와이어 역시 양 수중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에 연결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러나, 섬유 보강층이 구비된 수중케이블을 연결 시스템에 단단하게 고정하는 방법은 쉽지 않다.
종래 섬유 보강층을 구성하는 섬유를 서너개의 묶음으로 분할하여 연결 시스템에 고정하는 방법이 소개되었으나, 각각의 섬유별 길이차가 발생하여 섬유 보강층에 의한 인장력의 편차가 발생되어 인장력 배분을 어렵게 하며, 섬유 보강층을 고정하기 위한 압착용 쐐기 구조 등을 적용하는 섬유 보강층을 압착력에만 의존하는 경우 고정부위에서 충분한 고정력을 보장하기 어렵고 섬유가 끊어지는 등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연결 대상 수중케이블의 섬유 보강층이 제공하는 항장력을 균일하게 분배하고, 수중케이블을 구성하는 섬유 보강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손상 등을 방지하며, 수중케이블을 구성하는 섬유 보강층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중케이블에 구비된 편조된 섬유 보강층을 고정하기 위한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중케이블의 편조 보강층이 분할되어 구성되는 복수 개의 섬유 보강재가 각각 고정된 복수 개의 인서트 유닛; 및, 일단으로 상기 수중케이블이 도입되고 타단은 상기 수중케이블의 코어가 인출되며, 내부에 상기 인서트 유닛이 각각 안착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를 구비한 아머팟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인서트 유닛은 분할된 섬유 보강재가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횡권되는 바형태의 인서트 코어; 및 상기 섬유 보강재가 횡권된 인서트 코어가 수용되는 컵형태의 슬리브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 코어의 외주면에 섬유 보강재가 횡권되기 위한 나선형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나선형 홈은 서로 반대 방향의 이중 나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아머팟 부재의 고정부는 반원기둥 형상의 안착홈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슬리브 부재의 입구에 플랜지가 구비되어, 상기 인서트 유닛이 상기 고정부에 안착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아머팟 부재의 고정부 입구에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 보강재가 횡권된 인서트 코어가 상기 슬리브 부재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 코어와 슬리브 부재 사이로 에폭시를 주입하여 섬유 보강재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인서트 유닛은 상기 아머팟 부재의 고정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머팟 부재의 내부 공간에 에폭시가 충진되어 아머팟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편조된 섬유재질의 보강층이 구비된 수중케이블을 코어가 동일하게 구성된 다른 수중케이블과 연결하기 위한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연결되는 한 쌍의 수중케이블의 코어를 연결하는 코어 연결장치; 및, 상기 코어 연결장치의 길이방향 단부에 구비되고, 연결되는 수중케이블의 섬유 보강층을 복수 개의 섬유 보강재로 분할하여 고정하는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는 분할된 섬유 보강재가 각각 고정된 복수 개의 인서트 유닛 및 일단으로 수중케이블이 도입되고 타단은 상기 코어 연결장치에 체결되며 내부에 상기 인서트 유닛이 각각 안착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를 구비한 아머팟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상기 인서트 유닛은 분할된 섬유 보강재가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횡권되는 바형태의 인서트 코어; 및 상기 섬유 보강재가 횡권된 인서트 코어가 수용되는 컵형태의 슬리브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서트 코어의 외주면에 섬유 보강재가 횡권되기 위한 나선형 홈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선형 홈은 서로 반대 방향의 이중 나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머팟 부재의 고정부는 반원기둥 형상의 안착홈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슬리브 부재의 입구에 플랜지가 구비되어, 상기 인서트 유닛이 상기 고정부에 안착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아머팟 부재의 고정부 입구에 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섬유 보강재가 횡권된 인서트 코어가 상기 슬리브 부재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 코어와 슬리브 부재 사이로 에폭시를 주입하여 섬유 보강재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인서트 유닛은 상기 아머팟 부재의 고정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머팟 부재의 내부 공간에 에폭시가 충진되어 아머팟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에 의하면, 수중케이블의 섬유 보강층이 제공하는 항장력을 균일하게 분배하고, 수중케이블을 구성하는 섬유 보강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손상 등을 방지하며, 수중케이블을 구성하는 섬유 보강층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이 적용된 수중케이블과 수중 탐지기의 탐지 상황을 도시한다.
도 2는 섬유 보강층이 구비된 부력 수중케이블의 하나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케이블 연결시스템의 하나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의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인서트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의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아머팟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의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에 섬유 보강재의 고정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100)이 적용된 수중케이블과 수중 탐지기(400)의 탐지 상황을 도시한다.
잠수함 등의 수중 탐지를 위해서 함정(500) 등에 수중 탐지기(400)가 구비될 수 있다. 수중 탐지기(400)는 복수 개의 음파 발생기 또는 음파 센서 등이 탑재되어 다양한 탐지물의 탐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수중 탐지기(400)는 다양한 음파 발생기 또는 음파 센서를 탑재하며 해류 등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중에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중 탐지기(400)는 함정(500)에 구비된 윈치(600)에 권취된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중 탐지기(400)는 탐지 대상물에 따라 다양한 수심에 배치될 수 있으며, 수중 탐지기(400)의 수심은 금속 아머층을 구비한 중량 수중케이블(200)의 길이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수중 탐지기(400)를 원하는 수심에 수평하게 배치하여 수중 탐지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금속 아머층을 구비한 하중 수중케이블(200)과 수중 탐지기(400)를 직접 연결하는 경우 수중 탐지기(400)의 꺾임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섬유 보강층을 구비하여 어느 정도의 부력을 구비한 부력 수중케이블(300)을 매개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함정의 윈치에는 하중 수중케이블(200)이 권취되고, 하중 수중케이블(200)에는 부력 수중케이블(300)이 연결되고 부력 수중케이블(300)의 단부에 수중 탐지기(400)가 연결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구되는 수심에 수중 탐지기(400)가 안정적으로 수평 배치되어 탐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하중 수중케이블(200)과 부력 수중케이블(300)의 연결이 필요하며, 하중 수중케이블(200)과 부력 수중케이블(300)은 본 발명의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10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하중 수중케이블(200)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 재질의 아머 와이어가 적용되고, 이를 연결장치 등에 고정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그러나 편조된 섬유로 구성된 섬유 보강층을 구비한 부력 수중케이블(300)을 이종 케이블과 연결시 섬유 보강층은 인장력이 골고루 분산되고, 섬유 보강층의 손상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고정될 필요가 있다.
도 2는 섬유 보강층이 구비된 부력 수중케이블(300)의 하나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수중케이블은 중심인장선(310), 상기 중심인장선(310) 둘레에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유닛(330)과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용 도체 또는 광섬유를 구비한 통신유닛(350) 등이 구비된 코어(C)가 구비되고, 수밀 또는 부력 발생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력층(360, 380)을 구비하고, 부력층의 내측 또는 외측에 인장 보강을 위한 섬유 보강층(37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부력 수중케이블(300)의 최외부에는 케이블 자켓(390)이 구비되고, 각각의 층별로 바인딩, 차수 또는 수밀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테이핑층(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 보강층(370)은 인장섬유를 편조한 편조부재를 감아 구성될 수 있으므로 케이블 연결시 섬유 보강층(370)은 수중케이블에 인가되는 인장력이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면서도 섬유 보강층(370)의 손상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이하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100)의 하나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섬유 보강층(370)이 구비된 부력 수중케이블(300)과 금속 아머층을 구비하는 하중 수중케이블(200)을 연결하기 위한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100)은 이종 수중케이블을 연결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섬유 보강층이 구비된 수중케이블을 중간접속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편조된 섬유 보강재가 구비된 수중케이블을 코어가 동일하게 구성된 다른 수중케이블과 연결하기 위한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100)에 있어서, 연결되는 한 쌍의 수중케이블의 코어를 연결하는 코어 연결장치(110); 및, 상기 코어 연결장치(110)의 길이방향 단부에 체결되고, 연결되는 수중케이블의 섬유 보강재를 복수 개로 분할하여 고정하는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130);을 구비하는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10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100)은 구동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유닛(330, 도 2 참조) 또는 제어신호, 센서신호 등의 통신을 위한 통신유닛(350, 도 2 참조)의 연결을 위한 코어 연결장치(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어 연결장치(110)는 후술하는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130) 사이에 구비되어 전력유닛 또는 통신유닛의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코어 연결장치(110)는 내측의 이격된 위치에서 커넥터 방식 또는 개별 접합 방식으로 연결되어 전력 공급 또는 통신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코어 연결장치(110)의 적어도 일단에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130)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100)에 접속되는 수중케이블이 하나인 경우, 하나의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130)는 한 개가 코어 연결장치(110) 일측에 체결되고,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100)에 접속되는 수중케이블이 두개인 경우 두개의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130)가 코어 연결장치(110)의 양단에 체결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100)의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130)를 구성하는 인서트 유닛(133)의 구성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상기 인서트 유닛(133)을 구성하는 인서트 코어(131)를 도시하며, 도 5는 상기 인서트 유닛(133)을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132)를 도시하며, 도 6은 상기 인서트 코어(131)에 전술한 섬유 보강층에서 분할된 섬유 보강재(371)가 슬리브 부재(132)로 도입된 후 인서트 코어(131)에 나선형으로 횡권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7은 섬유 보강재가 횡권된 인서트 코어(131)가 슬리브 부재(132)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인서트 코어(131)와 슬리브 부재(132) 사이로 에폭시(e)가 주입되어, 인서트 유닛(133)에 섬유 보강재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상기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130)는 분할된 섬유 보강재(371)가 각각 고정된 복수 개의 인서트 유닛(133) 및 일단으로 수중케이블이 도입되고 타단은 상기 코어 연결장치(110)에 체결되며 내부에 복수 개의 상기 인서트 유닛(133)이 안착되는 고정부가 구비된 후술하는 아머팟 부재(134, 도 5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인서트 코어(131)는 바 형태로 구성되되 외주면에 나선형 홈(131g)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선형 홈(131g)은 반대방향으로 형성, 예를 들면 S 방향 및 Z 방향으로 형성되어 편조된 섬유 보강층의 분할된 섬유 보강재(371)의 횡권 방향을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부재(132)는 분할된 섬유 보강재(371)가 횡권된 인서트 코어(131)가 수용되는 구성으로 입구(1320)에 플랜지(132f)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에 분할된 섬유 보강재(371)가 관통 및 도입되는 관통구(132h)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32f)는 후술하는 아머팟 부재(134)의 고정부 입구에 걸림 고정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섬유 보강재(371)를 슬리브 부재(132) 내부로 도입한 후 인서트 코어(131)의 나선형 홈(131g)에 안착되도록 횡권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코어(131)를 슬리부 부재에 안착한 후 인서트 코어(131)와 슬리브 부재(132) 사이의 빈공간에 에폭시(e) 수지를 주입하여 분할된 섬유 보강재(371)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섬유 보강재(131g)는 인서트 코어(131)의 나선형 홈(131g)에 안착되므로 나선형으로 이격되어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마찰력에 의한 항장력이 극대화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에폭시(e) 수지가 충진되어 빈공간을 마감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분할된 섬유 보강재(371)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중케이블의 코어 외측을 감싸는 섬유 보강층은 인서트 유닛(133)의 개수만큼의 섬유 보강재로 분할되어 수중케이블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골고루 분배하여 특정 영역에 인장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100)의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130)를 구성하는 아머팟 부재(134)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130)는 코어 연결장치(110)의 적어도 일단에 체결되는 구성으로 수중케이블의 섬유 보강층을 인장력이 골고루 분배되며 섬유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아머팟 부재(134)는 내측에 수용공간(139)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139)에 전술한 인서트 유닛(133)이 장착되기 위한 복수 개의 고정부(135)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머팟 부재(134)의 하단에는 수중케이블이 도입되는 케이블 도입구(137)가 구비되고, 입구 근방에는 코어 연결장치(110)와 체결을 위한 플랜지(138)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아머팟 부재(134)의 수용공간(139)에 구비된 고정부(135)는 반원기둥 형태로 구성되고, 입구는 아머팟 부재(134)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면(136)에 형성되어 인서트 유닛(133)이 장착되는 경우 단차면(136)에 인서트 유닛(133)을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132)의 플랜지(132f)가 지지되도록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아머팟 부재(134)에 형성된 고정부(135)는 10개 내외가 형성될 수 있으나, 그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고정부와 인서트 유닛(133)의 개수는 편조된 섬유 보강층의 타수 등을 고려하여 분할된 섬유 보강재(371)의 개수로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100)의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130)가 섬유 보강재의 고정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아머팟 부재(134)의 하부의 케이블 도입구로 도입된 수중케이블(300)은 탈피되어 섬유 보강층이 복수 개로 분할되어 각각 전술한 인서트 유닛(133)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분할된 섬유 보강재(371)를 고정한 인서트 유닛(133)은 아머팟 부재(134)의 내부 수용공간에 형성된 고정부(135)에 안착된다.
복수 개의 고정부(135)에 인서트 유닛(133)이 안착된 후 아머팟 부재(134)의 내부 빈공간에 에폭시(e) 수지가 충진되면, 수중케이블의 섬유 보강층 또는 분할된 섬유 보강재(371)의 고정이 완료될 수 있으며, 섬유 보강재의 고정이 완료된 수중케이블의 코어만 아머팟 부재(134)의 중심부로 인출되고 코어 연결장치(110)로 진입되어 코어를 구성하는 전력유닛(330, 도 2 참조) 또는 통신유닛(350, 도 2 참조)이 연결되어 수중케이블 연결이 완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중케이블을 구성하는 섬유 보강층을 복수 개로 분할하고, 각각 인서트 코어(131)에 형성된 나선형 홈(131g)에 횡권하여 인장력에 대한 마찰 저항을 제공하며, 인서트 코어(131)와 슬리브 부재(132) 사이에 충진되는 에폭시(e) 수지로 고정을 완료하며, 아머팟 부재(134)에 인서트 유닛(133)을 장착한 후 아머팟 부재(134) 내부의 빈공간에 에폭시(e) 수지를 충진하여 인서트 유닛(133)을 아머팟 부재(134)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100)에 의하면, 수중케이블에 가해지는 인장력은 분할된 섬유 보강재(371)로 골고루 분배될 수 있고, 쐐기 방식으로 섬유를 고정하지 않으므로 섬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섬유 보강층의 안정적 고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
200, 300 : 수중 케이블
110 : 코어 연결장치
130 :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

Claims (15)

  1. 수중케이블에 구비된 편조된 섬유 보강층을 고정하기 위한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중케이블의 편조 보강층이 분할되어 구성되는 복수 개의 섬유 보강재가 각각 고정된 복수 개의 인서트 유닛; 및,
    일단으로 상기 수중케이블이 도입되고 타단은 상기 수중케이블의 코어가 인출되며, 내부에 상기 인서트 유닛이 각각 안착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를 구비한 아머팟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인서트 유닛은 분할된 섬유 보강재가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횡권되는 바형태의 인서트 코어; 및 상기 섬유 보강재가 횡권된 인서트 코어가 수용되는 컵형태의 슬리브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코어의 외주면에 섬유 보강재가 횡권되기 위한 나선형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홈은 서로 반대 방향의 이중 나선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머팟 부재의 고정부는 반원기둥 형상의 안착홈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슬리브 부재의 입구에 플랜지가 구비되어, 상기 인서트 유닛이 상기 고정부에 안착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아머팟 부재의 고정부 입구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보강재가 횡권된 인서트 코어가 상기 슬리브 부재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 코어와 슬리브 부재 사이로 에폭시를 주입하여 섬유 보강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인서트 유닛은 상기 아머팟 부재의 고정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머팟 부재의 내부 공간에 에폭시가 충진되어 아머팟 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
  8. 편조된 섬유재질의 보강층이 구비된 수중케이블을 코어가 동일하게 구성된 다른 수중케이블과 연결하기 위한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연결되는 한 쌍의 수중케이블의 코어를 연결하는 코어 연결장치; 및,
    상기 코어 연결장치의 길이방향 단부에 구비되고, 연결되는 수중케이블의 섬유 보강층을 복수 개의 섬유 보강재로 분할하여 고정하는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는 분할된 섬유 보강재가 각각 고정된 복수 개의 인서트 유닛 및 일단으로 수중케이블이 도입되고 타단은 상기 코어 연결장치에 체결되며 내부에 상기 인서트 유닛이 각각 안착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를 구비한 아머팟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인서트 유닛은 분할된 섬유 보강재가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횡권되는 바형태의 인서트 코어; 및 상기 섬유 보강재가 횡권된 인서트 코어가 수용되는 컵형태의 슬리브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코어의 외주면에 섬유 보강재가 횡권되기 위한 나선형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홈은 서로 반대 방향의 이중 나선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머팟 부재의 고정부는 반원기둥 형상의 안착홈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슬리브 부재의 입구에 플랜지가 구비되어, 상기 인서트 유닛이 상기 고정부에 안착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아머팟 부재의 고정부 입구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보강재가 횡권된 인서트 코어가 상기 슬리브 부재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 코어와 슬리브 부재 사이로 에폭시를 주입하여 섬유 보강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인서트 유닛은 상기 아머팟 부재의 고정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머팟 부재의 내부 공간에 에폭시가 충진되어 아머팟 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
KR1020200007528A 2020-01-20 2020-01-20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 KR202100936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528A KR20210093659A (ko) 2020-01-20 2020-01-20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528A KR20210093659A (ko) 2020-01-20 2020-01-20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659A true KR20210093659A (ko) 2021-07-28

Family

ID=7712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528A KR20210093659A (ko) 2020-01-20 2020-01-20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36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1352C (en) Ocean bottom seismic station
US6477111B1 (en) Method of making a marine seismic streamer
EP0765485B1 (en) Semi-dry marine seismic streamer cable section
EP2293115B1 (en) Towed marine sensor streamer having concentric stress member
JPH0457992B2 (ko)
US5838871A (en) Device for organizing optical fiber cable connections and optical cable joint box
EP0113623B1 (en) Construction and method for elongated towed underwater sonar
US7184365B2 (en) Unitary multi-cable towing system
NO336410B1 (no) Permanent installert seismisk havbunnskabel
US10234586B2 (en) System and method of a buoyant tail section of a geophysical streamer
US5054881A (en) Submarine fiber optic cable assembly
KR20210093659A (ko) 섬유 보강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케이블 연결 시스템
US5199100A (en) Wet end termination for towed cable
US4965411A (en) Splice for joining the armoring of two wire-armored cables, and a method of making the splice
NO155267B (no) Armert sjoekabel.
GB1594702A (en) Armoured cables
KR102431911B1 (ko) 부력 광케이블
JP3625179B2 (ja) 光ファイバ接続部余長収納方法
CN105824046B (zh) 用于拖缆的电子单元
Furukawa et al. Structural design and sea trial results for a submarine optical-fiber cable joint box
MXPA01004253A (en) Method of making a marine seismic streamer
NO342889B1 (en) Divisible spacer and method for assembling structure components of a marine seismic streamer
GB2161446A (en) Strainwire term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