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446A -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 - Google Patents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446A
KR20210093446A KR1020200006955A KR20200006955A KR20210093446A KR 20210093446 A KR20210093446 A KR 20210093446A KR 1020200006955 A KR1020200006955 A KR 1020200006955A KR 20200006955 A KR20200006955 A KR 20200006955A KR 20210093446 A KR20210093446 A KR 20210093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power
human body
tap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7550B1 (ko
Inventor
장석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닝커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닝커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닝커머스
Priority to KR1020200006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5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93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책상의 상판에 형성되는 전선구멍에 간단히 거치한 상태에서 책상의 상판이나 책상 하부 또는 주변의 다양한 전기기기의 전원 플러그를 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책상 상판의 전선구멍에 전선이 통과하여 사용중인 상태에서도 간단히 거치하여 책상 주변의 전선 정리도 쉽게 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내장하여 편리하고 복수의 전기기기를 연결하더라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 { multifunctional power multiple-tap }
본 발명은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책상에 형성되는 전선구멍에 간단히 지지하여 책상 상부 또는 주변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전기기기의 전원 플러그를 연결가능하고 각종 전선 정리에 유용하며 다양한 기능이 구비되어 사용이 편리한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또는 공부용 책상은 컴퓨터,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모뎀, 프린터 및 각종 전기기기들이 놓이기 때문에 전원선이나 통신선 등과 같은 전선들이 책상의 뒷면에 정리되지 않고 서로 꼬인 상태로 지저분하게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최근의 전기기기들은 각각 전선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각종 선들이 서로 복잡하게 결합되며, 각 기기들을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배선이나 전화용 배선 등으로 인해 각 책상에 연결되는 전선이나 통신선의 수가 점차 많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각종 책상 위의 전기기기들의 가정용 전원을 원활하게 공급하고 전선 정리가 가능하도록 책상 상판에는 통상 원형의 전선통과공을 형성하여 각종 전선을 통과시키지만, 전기기기의 전선이 짧은 경우 원할한 전원공급에 어려움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책상 상판의 전선통과공에 지지하여 사용가능하며 전기기기의 전원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는 책상 거치형 멀티탭(또는 콘센트)의 일례로 등록특허 제10-1373215호(참고문헌 1)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참고문헌 1은 책상에 형성되는 전선 구멍에 장착되는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책상에 형성된 전선 구멍에 삽입 안착되되,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브라킷; 상기 책상 하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브라킷의 몸통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브라킷을 상기 책상에 고정시키는 고정구; 상기 브라킷의 관통공에 삽입 장착되되, 상부면에 복수개의 플러그 삽입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플러그삽입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코드 전선이 연결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는 상기 복수개의 플러그 삽입부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브라킷의 관통공에 밀착 삽입되는 삽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브라킷의 관통공 내주연에는 상기 삽입구의 하단이 걸쳐지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상기 삽입구는 상기 바디의 하부면이 상기 책상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브라킷의 관통공에 밀착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참고문헌 1의 멀티탭은 본체 하부로 돌출되는 바디의 길이가 짧아 본체의 바디를 책상의 전선 구멍에 단순히 삽입하는 경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참고문헌 1의 멀티탭은 복수개의 플러그 삽입부는 본체의 상부면에만 형성됨에 따라, 예를 들어 비좁은 책상 상판의 공간 확보를 위해 PC본체를 바닥에 놓거나 책상 주변에 선풍기, 히터 등을 놓고 사용하는 경우 불필요하게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책상 상부로 노출되는 본체의 플러그 삽입부로 끌어와 접속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에 놓여진 전기기기의 선이 짧으면 멀티탭을 사용하기도 불가능하다.
또한, 참고문헌 1의 본체에는 통상 220V의 가정용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복수개의 플러그 삽입부만을 구비함에 따라 최근 활발히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의 충전전원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별도로 어댑터를 더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그 기능이 제한적이다.
참고문헌 1 : 등록특허 제10-1373215호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책상의 상판에 형성되는 전선구멍에 간단히 거치하여 책상의 상판은 물론 책상이 놓여지는 바닥 주변의 다양한 전기기기의 전원 플러그를 쉽게 연결가능하며 전선 정리도 쉽게 할 수 있는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20V의 가정용 전원은 물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을 별도의 어댑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충전할 수 있고 이미 전선이 통과하여 사용하고 있는 책상 상판의 전선구멍에서 전선을 분리하지 않고서도 그대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을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원공급 기능 이외에도 안전하게 사용가능하고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갖는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책상의 상판에 형성되는 전선구멍 가장자리에 지지되며 가정용 전원을 공급하는 제1 플러그 소켓과 직류상태의 유에스비 전원을 공급하는 유에스비 소켓이 구비되는 헤드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헤드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책상 상판의 전선구멍을 관통하며 표면에 가정용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제2 플러그 소켓이 구비되는 지지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플러그 소켓과 유에스비 소켓은 전원공급용 플러그를 통해 공급되는 주전원을 분배하는 전원분배부에서 가정용 전원과 유에스비 전원을 분배받고, 상기 헤드에는 상기 전원공급용 플러그를 통해 공급되는 주전원을 온오프하는 메인전원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헤드에는 상기 전원분배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점등되는 조명모듈과, 상기 조명모듈을 점소등시키는 조명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전원분배부의 입력단에는 전원분배부로 투입되는 주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제어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스위치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며, 상기 제어부는 전원공급용 플러그를 통해 공급되는 주전원을 아답터부를 통해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헤드의 내부에는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의 상측에는 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 설정시간 동안 인체감지신호가 미입력되면 상기 제어스위치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에는 부저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거나 인체감지센서로부터 설정시간 동안 인체감지신호가 미입력되면 상기 부저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고 상기 제어스위치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 1차 설정시간 동안 인체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부저를 통해 1차 경고음을 출력한 후 인체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로 2차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상기 부저를 통해 2차 경고음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은 책상의 상판에 형성되는 전선구멍에 간단히 거치한 상태에서 책상의 상판이나 책상 하부 또는 주변의 다양한 전기기기의 전원 플러그를 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책상 주변의 전선 정리도 쉽게 할 수 있으며, 바닥에 놓고 사용하지 않아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은 220V의 가정용 전원은 물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을 별도의 어댑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충전가능하며, 책상 상판의 전선구멍에 전선이 통과하여 사용중인 상태에서도 간단히 거치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부하 증가로 인해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거나 주변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주전원을 차단하고 경고음도 출력하여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하여 화재를 예방하고 대비할 수 있어 복수의 전기기기를 연결하더라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의 제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100)은 책상(1)의 상판(10)에 형성되는 전선구멍(12)에 간단히 지지하여 책상(1) 상부 또는 책상(1)이 설치된 바닥 주변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전기기기의 전원플러그를 연결가능하고 각종 전선 정리에 유용하며 다양한 기능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책상은 사무용 책상과 공부용 책상은 물론, 통상 회의용 테이블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하며, 이러한 책상 또는 테이블에 전선구멍(12)이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멀티탭(100)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100)은 책상(1)의 상판(10)에 형성되는 전선구멍(12) 가장자리에 지지되며 전기기기에 가정용 전원을 공급하는 제1 플러그 소켓(111)과 직류상태의 유에스비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유에스비 소켓(112)이 구비되는 헤드(110)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헤드(110)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책상 상판(10)의 전선구멍(12)을 관통하며 표면에 전기기기에 가정용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제2 플러그 소켓(121)이 구비되는 지지대(12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상기 헤드(110)는 하부 가장자리가 책상 상판(10)의 전선구멍(12) 상부면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것으로, 이러한 헤드(110)는 후측에 상하로 전선이 관통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되는 전선안내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안내부(113)의 후측에는 전선이 삽입 가능한 입구(114)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책상(1)의 상판(10)에 형성되는 전선구멍(12)을 이미 통과하여 사용중인 전선은 입구(114)를 통해 전선안내부(113)로 이동시킬 수 있어 멀티탭(100)을 책상(1)의 전선구멍(12)에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헤드(110)의 상면에는 제1 플러그 소켓(111)과 메인전원스위치(115)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110)의 정면에는 유에스비 소켓(11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유에스비 소켓(112)은 헤드(110)의 정면에 복수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플러그 소켓(111)은 책상(1)의 상판(10) 위에 올려 놓고 사용하는 프린터, 노트북 등의 전기기기에 교류 220V의 가정용 전원공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유에스비 소켓(112)은 휴대용으로 잦은 충전이 필요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의 충전을 위해 5V의 직류상태의 유에스비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1 플러그 소켓(111)은 헤드(110)의 상면에 구비되어 강한 힘으로 전기기기의 전원플러그를 접속가능하며, 유에스비 단자는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유에스비 소켓(112)에 접속 또는 분리 가능하므로 헤드(110)의 정면에 구비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110)의 상부에는 메인전원스위치(115)가 구비되어 모든 전원을 동시에 온오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120)는 대략 상하로 긴 사각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헤드(110)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책상 상판(10)의 전선구멍(12)을 관통하며 일측면에는 가정용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제2 플러그 소켓(121)이 등간격을 유지하며 연속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 플러그 소켓(121)은 예를 들어 지지대(120)의 길이방향 즉 상하를 따라 3 ~ 5개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책상(1)의 상판(10) 하부 또는 바닥에 놓고 사용하는 PC본체, 선풍기, 히터 등의 전원 플러그는 책상(1)의 상판(10)에 형성되는 전선구멍(12)을 통해 책상 상판(10)의 상부로 끌어오지 않고서도 제2 플러그 소켓(121)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PC본체, 선풍기, 히터 등의 전원선이 짧아도 전원접속을 유리하게 할 수 있으며, 책상(1) 상부로 전원선이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선 관리에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20)의 하단에는 전원공급선(130)이 연결되어 그 전원공급선(130)의 일단에 구비되는 전원공급용 플러그(131)를 통해 주전원인 가정용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와 같이 전원공급용 플러그(131)를 통해 공급받는 주전원은 메인전원스위치(115)에 의해 온오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주전원을 완전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간단히 메인전원스위치(115)를 눌러 오프시킬 수 있으며, 메인전원스위치(115)를 눌러 온상태를 유지하면 멀티탭(100)을 통해 다양한 전기기기에 전원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용 플러그(131)를 통해 공급되는 주전원은 교류 형태의 가정용 전원으로 이는 제1 및 제2 플러그 소켓(111,121)에 분산 제공함은 물론, 주전원을 직류상태의 유에스비 전원으로 변환하여 복수의 유에스비 소켓(112)에 공급해야 한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용 플러그(131)를 통해 공급되는 주전원은 전원분배부(132)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플러그 소켓(111,121)에 가정용 전원으로 분배함은 물론, 상기 전원공급용 플러그(131)의 주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유에스비 소켓(112)에 분배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플러그 소켓(111,121)은 동일한 구조로서, 2개의 플러그 단자 삽입공 이외에 접지단자가 구비되는 일반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유에스비 소켓(112)은 제1 및 제2 플러그 소켓(111,121)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면적을 차지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10)의 정면에 복수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헤드(110)의 양측면에도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20)는 사각 막대 형상 이외에도 삼각, 육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지지대(120)가 사각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적어도 2개 이상의 측면에 복수의 제2 플러그 소켓(121)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110)에는 메인전원스위치(115) 이외에도 조명모듈(140) 및 조명스위치(141)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메인전원스위치(115)은 헤드(110)의 상면 중앙에 상향 돌출되게 구비하고, 조명모듈(140)와 조명스위치(141)는 헤드(110)의 상면 일측에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메인전원스위치(115)와 조명모듈(140) 및 조명스위치(141)의 설치 위치는 헤드(110)의 표면 임의의 위치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내에 속함이 자명하다.
그리고 상기 조명모듈(140)은 LED(140a)가 실장된 LED기판(140b)과 상기 LED기판(140b)을 감싸며 상부로 돌출되는 반구 형상의 커버(140c)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원분배부(132)를 통해 공급되는 직류전원 형태의 조명용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된다. 이때 상기 커버(140c)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LED기판(140b)의 LED(140a)가 점등시 은은한 조도를 갖는 광을 조사하여 조명등 또는 무드등으로 사용시 눈부심이 방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LED기판(140b)의 LED(140a)는 2색 LED로 구성하여 조명스위치(141) 조작에 따라 다양한 서로 다른 색상을 상황에 따라 표시하도록 함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원분배부(132)로부터 출력되는 조명용 전원은 조명스위치(141)의 온오프 조작에 따라 LED기판(140b)으로 투입되거나 차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명스위치(141)를 온시키는 경우 전원분배부(132)로부터 조명용 전원이 LED기판(140b)으로 공급되어 점등되어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주된 조명등이 소등된 경우에도 조명기구 또는 무드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제1 플러그 소켓(111)과 유에스비 소켓(112)의 위치도 확인 가능해 각종 전기기기의 플러그 또는 유에스비 단자를 쉽게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분배부(132)는 실내 벽면의 콘센트 등에 접속시킨 전원공급용 플러그(131)를 통해 공급되는 주전원인 AC220V의 가정용 전원을 제1 및 제2 플러그 소켓(111,121), 유에스비 소켓(112), 조명모듈(140) 등에 분배한다.
이러한 전원분배부(132)는 주전원을 AC220V의 가정용 전원 형태로 복수의 제1 및 제2 플러그 소켓(111,121)으로 분산 제공하고, 주전원을 변압 및 정류하여 DC 5V의 유에스비 전원으로 변환하여 복수의 유에스비 소켓(112)으로 분산 제공하고, 주전원을 변압 및 정류하여 DC 5V의 조명용 전원으로 변환하여 조명모듈(140)로 제공한다.
이와 같은 전원분배부(132)는 통상의 소형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SMPS를 통해 주전원을 다양한 크기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분배부(132)의 입력단에는 전원분배부(132)로 투입되는 주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제어스위치(133)가 구비되며, 이러한 제어스위치(133)는 마이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부(134)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상기 전원분배부(132)로 주전원을 투입하거나 또는 차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스위치(133)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 릴레이, 이외 다양한 스위치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 스위칭 소자 또는 릴레이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전원분배부(132)로 공급되는 주전원을 온오프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4)는 전원공급용 플러그(131)를 통해 공급되는 주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도록 통상의 아답터와 같이 변압 및 정류기능을 갖는 아답터부(135)를 통해 공급받아 구동되며, 이러한 아답터부(135)는 헤드(110) 또는 지지대(120) 내부에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110)의 내부에는 온도센서(136)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134)는 온도센서(136)에서 측정되는 감지온도가 설정온도(예를 들어 60℃)를 초과하면 상기 제어스위치(133)를 제어하여 오프시킴으로서 상기 전원분배부(132)의 출력단을 통해 제1 및 제2 플러그 소켓(111,121), 유에스비 소켓(112), 조명모듈(140)로 공급되는 모든 전원을 차단한다. 이는 과부하로 인한 화재 발생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헤드(110)의 상측에는 인체감지센서(137)가 구비된다. 이러한 인체감지센서(137)는 열감지센서, 적외선감지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체감지센서(137)의 인체감지신호는 제어부(134)로 입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134)는 인체감지센서(137)로부터 인체감지신호가 입력되고 설정시간(예를 들어 1시간) 경과한 후 다시 인체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스위치(133)를 오프시킴으로서 상기 전원분배부(132)로 투입되는 주전원을 차단한다. 이는 전원분배부(132)의 출력단을 통해 제1 및 제2 플러그 소켓(111,121), 유에스비 소켓(112), 조명모듈(140)로 공급되는 모든 전원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34)는 인체감지센서(137)로부터 인체감지신호가 입력된 후 설정시간인 1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주변에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부하측으로의 전원출력을 차단한다. 즉, 제어부(134)는 인체감지신호가 입력된 후 인체감지센서(137)로부터 설정시간 동안 인체감지신호가 미입력되면 상기 제어스위치(133)를 오프한다. 이는 사용자가 외출 등으로 인해 멀티탭(100)의 사용 상태를 감시 또는 관리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하여 멀티탭(100)에 연결하여 사용중인 각종 전기기기의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전기기기로 투입되는 대기전력도 차단하여 에너지 절감 효과도 있다.
한편, 상기 헤드(110)의 상면 또는 측면에는 부저(138)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34)는 상기 온도센서(136)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예를 들어 60℃)를 초과하거나 인체감지센서(137)로부터 설정시간(예를 들어 1시간) 동안 인체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스위치(133)를 오프시켜 전원분배부(132)로 공급되는 주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부저(138)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한다. 이는 주변에 사용자가 있는 경우 주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경고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제어부(134)는 상기 온도센서(136)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예를 들어 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어스위치(133)를 오프시켜 전원분배부(132)로 공급되는 주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부저(138)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고, 인체감지센서(137)로부터 1차 설정시간(예를 들어 1시간) 동안 인체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부저(138)를 통해 1차 경고음을 출력한 후 2차 설정시간(예를 들어 10분)이 다시 경과하여도 인체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비로소 제어스위치(133)를 오프시켜 전원분배부(132)로 공급되는 주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부저(138)를 통해 2차 경고음을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1차 경고음과 2차 경고음의 발생 주기 또는 출력시간은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저(138)는 통상의 스피커로 대신할 수 있는 구성으로, 스피커를 통해 다양한 안내방송을 음성출력할 수 있고,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아울러 이러한 제어부(134)의 설정온도 및 설정시간은 다양하게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10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책상 상판의 전선구멍(12)에 지지대(120)를 통과시켜 전선구멍(12) 가장자리에 헤드(110) 하부를 지지시키고, 실내 벽면의 콘센트 또는 바닥에 놓고 사용하는 멀티 콘센터에 전원공급용 플러그(131)를 접속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후 예를 들어 책상(1)의 상판(10) 위에 놓고 사용하되 가정용 전원(예를 들어 AC 220V의 상용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노트북PC, 탁상용 가습기, 오디오 등의 일반 가전기기의 플러그를 제1 플러그 소켓(111)에 접속시키고, 유에스비 전원 공급이 필요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이들의 밧데리 등의 휴대 가전기기 등의 유에스비 단자를 유에스비 소켓(112)에 접속시킨다.
한편, 책상(1)의 상판(10) 하부 또는 바닥에 놓고 사용하는 PC본체, 선풍기, 히터 등의 전원 플러그는 책상(1)의 상판(10)에 형성되는 전선구멍(12)을 통해 책상 상판(10)의 상부로 끌어오지 않고서도 지지대(120)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2 플러그 소켓(121)에 접속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메인전원스위치(115)를 조작하여 주전원을 켜면 전원분배부(132)를 통해 제1 및 제2 플러그 소켓(111,121)과 유에스비 소켓(112)으로 가정용 전원과 유에스비 전원이 제공된다.
한편, 사용자는 주변이 어두우면 조명스위치(141)를 켜 조명모듈(140)을 점등시킴으로서 조명등 또는 무드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메인전원스위치(115)를 조작하여 주전원을 켜면 아답터부(135)를 통해 구동전원을 공급받은 제어부(134)가 구동되며, 헤드(110) 내외측의 온도센서(136)와 인체감지센서(137)로부터 감지온도와 인체감지신호를 입력받는다.
이에 제어부(134)는 온도센서(136)에서 측정되는 감지온도가 설정온도(예를 들어 60℃)를 초과하거나 인체감지센서(137)로부터 설정시간(예를 들어 1시간) 동안 인체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스위치(133)를 오프시켜 전원분배부(132)로 공급되는 주전원을 차단하고 부저(138)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한다.
물론 상기 제어부(134)는 온도센서(136)에서 측정되는 감지온도가 설정온도(예를 들어 60℃)를 초과하거나 인체감지센서(137)로부터 설정시간(예를 들어 1시간) 동안 인체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부저(138)를 통해 경고음을 우선 출력하고 설정시간(예를 들어 1분)이 경과하면 제어스위치(133)를 오프하도록 제어함으로서, 사용자가 주전원 자동 차단 전에 인지 및 대처할 수 있도록 함도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제어순위 및 설정시간의 설계변경 역시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은 자명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 책상 10: 상판
12: 전선구멍 100: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
110: 헤드 111: 제1 플러그 소켓
112: 유에스비 소켓 120: 지지대
121: 제2 플러그 소켓 130: 전원공급선
132: 전원분배부 133: 제어스위치
134: 제어부 135: 아답터부
136: 온도센서 137: 인체감지센서
138: 부저 140: 조명모듈
141: 조명스위치

Claims (6)

  1. 책상(1)의 상판(10)에 형성되는 전선구멍(12) 가장자리에 지지되며 가정용 전원을 공급하는 제1 플러그 소켓(111)과 직류상태의 유에스비 전원을 공급하는 유에스비 소켓(112)이 구비되는 헤드(110)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헤드(110)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책상 상판(10)의 전선구멍(12)을 관통하며 표면에 가정용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제2 플러그 소켓(121)이 구비되는 지지대(120)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플러그 소켓(111,121)과 유에스비 소켓(112)은 전원공급용 플러그(131)를 통해 공급되는 주전원을 분배하는 전원분배부(132)에서 가정용 전원과 유에스비 전원을 분배받고,
    상기 헤드(110)에는 상기 전원공급용 플러그(101)를 통해 공급되는 주전원을 온오프하는 메인전원스위치(1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10)에는 상기 전원분배부(132)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점등되는 조명모듈(140)과, 상기 조명모듈(140)을 점소등시키는 조명스위치(14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분배부(132)의 입력단에는 전원분배부(132)로 투입되는 주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제어스위치(133)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스위치(133)는 제어부(134)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며, 상기 제어부(134)는 전원공급용 플러그(131)를 통해 공급되는 주전원을 아답터부(135)를 통해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10)의 내부에는 온도센서(136)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110)의 상측에는 인체감지센서(137)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34)는 상기 온도센서(136)에서 측정되는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인체감지센서(137)로부터 설정시간 동안 인체감지신호가 미입력되면 상기 제어스위치(133)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10)에는 부저(138)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34)는 상기 온도센서(136)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거나 인체감지센서(137)로부터 설정시간 동안 인체감지신호가 미입력되면 상기 부저(138)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고 상기 제어스위치(133)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4)는 상기 인체감지센서(137)로부터 1차 설정시간 동안 인체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부저(138)를 통해 1차 경고음을 출력한 후 인체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로 2차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스위치(133)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상기 부저(138)를 통해 2차 경고음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
KR1020200006955A 2020-01-19 2020-01-19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 KR102347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955A KR102347550B1 (ko) 2020-01-19 2020-01-19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955A KR102347550B1 (ko) 2020-01-19 2020-01-19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446A true KR20210093446A (ko) 2021-07-28
KR102347550B1 KR102347550B1 (ko) 2022-01-06

Family

ID=77126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955A KR102347550B1 (ko) 2020-01-19 2020-01-19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5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879U (ko) * 1997-03-18 1998-11-05 주석화 안전 멀티탭
KR101373215B1 (ko) 2013-01-25 2014-03-12 박영준 책상에 형성되는 전선 구멍에 장착되는 멀티탭
US20160027278A1 (en) * 2014-02-06 2016-01-28 Empoweryu,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indirect monitoring of subject for well-being in unattended setting
KR20170001522A (ko) * 2015-06-27 2017-01-04 김일환 스마트 전기 콘센트
KR20180064358A (ko) * 2018-06-01 2018-06-14 이귀봉 대기전력 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879U (ko) * 1997-03-18 1998-11-05 주석화 안전 멀티탭
KR101373215B1 (ko) 2013-01-25 2014-03-12 박영준 책상에 형성되는 전선 구멍에 장착되는 멀티탭
US20160027278A1 (en) * 2014-02-06 2016-01-28 Empoweryu,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indirect monitoring of subject for well-being in unattended setting
KR20170001522A (ko) * 2015-06-27 2017-01-04 김일환 스마트 전기 콘센트
KR20180064358A (ko) * 2018-06-01 2018-06-14 이귀봉 대기전력 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op Up kitchen Socket Flush Fit in Worktop (2018.02.27.)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550B1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2844B2 (en) Active receptacle cover
KR102120708B1 (ko) 전력 전달 버스 시스템
US9472955B2 (en) Emergency light and charger system
US8496342B2 (en) Configurable safety light receptacle
JP2009501430A (ja) 小型電源出力システム
KR102275216B1 (ko) 수직형 멀티 콘센트
KR101843820B1 (ko)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US20140308844A1 (en) Modular Electrical Apparatus
US10483796B2 (en) Power control system
EP3352530A1 (en) Automatic light control devices and sockets
KR20100083393A (ko)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CN214249295U (zh) 一种led灯具
US8333491B1 (en) Emergency light
KR102347550B1 (ko) 책상 거치식 다기능 멀티탭
US11653421B2 (en) Electric heating apparatus with multiple heating lamps
KR102347549B1 (ko) 책상 거치식 멀티탭
CN201167179Y (zh) 带有低压直流电源和照明的多功能插座
US9583977B1 (en) Back-up lamp light system
TW202119717A (zh) Usb插座
CN218216000U (zh) 一种简易安装一体电源面板
US20150042175A1 (en) Power Supply Device For A Fixed Power Socket
KR101370384B1 (ko) 절전 및 과부하 방지장치
TW201505313A (zh) 固定式供電座之供電結構
CN210441021U (zh) 一种多功能智能台灯
CN210296813U (zh) 带夜灯和适配器的转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