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254A - 면역요법의 애주번트로서의 구아나벤즈 - Google Patents

면역요법의 애주번트로서의 구아나벤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254A
KR20210093254A KR1020217014857A KR20217014857A KR20210093254A KR 20210093254 A KR20210093254 A KR 20210093254A KR 1020217014857 A KR1020217014857 A KR 1020217014857A KR 20217014857 A KR20217014857 A KR 20217014857A KR 20210093254 A KR20210093254 A KR 20210093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nabenz
cells
cancer
immunotherap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4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덴 에인드 베누와 반
징징 주
Original Assignee
위니베르시트카솔리끄드루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베르시트카솔리끄드루뱅 filed Critical 위니베르시트카솔리끄드루뱅
Publication of KR20210093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55Amidines (), e.g. guanidine (H2N—C(=NH)—NH2), isourea (N=C(OH)—NH2), isothiourea (—N=C(SH)—NH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11Cancer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1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cell type used
    • A61K39/4611T-cells, e.g.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 lymphokine-activated killer cells [LAK] or regulatory T cells [Tr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2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zed by the effect or the function of the cells
    • A61K39/4622Antigen presenting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3Vertebrate antigens
    • A61K39/4644Cancer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3Vertebrate antigens
    • A61K39/4644Cancer antigens
    • A61K39/464452Transcription factors, e.g. SOX or c-MYC
    • A61K39/464453Wilms tumor 1 [WT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3Vertebrate antigens
    • A61K39/4644Cancer antigens
    • A61K39/46449Melanoma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6Small organic molecules e.g. cocaine or nico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838Viral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2Local antise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15Animal cells
    • A61K2039/5154Antigen presenting cells [APCs], e.g. dendritic cells or macroph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31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z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38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서 면역요법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다. 특히, 구아나벤즈는 면역요법, 예컨대 암 면역요법 또는 백신화의 애주번트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은 더욱 구체적으로 암의 치료에서 입양 세포 요법, 치료 백신,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 또는 T 세포 작용제 요법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감염성 질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백신화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면역요법의 애주번트로서의 구아나벤즈
본 발명은 면역요법 분야, 특히 암 면역요법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면역요법의 애주번트 (adjuvant)로서의 구아나벤즈 (guanabenz)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면역요법은 특이적 표적, 예를 들어 바이러스, 박테리아, 진균 또는 원생동물 기생충과 같은 감염성 물질 또는 암 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 및/또는 향상시키기 위한 요법으로 광범위하게 규정될 수 있다. 그 치료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면역요법은 종종 애주번트와 조합 투여된다. 따라서, 애주번트 화합물은 특히 상기 면역 반응을 향상, 가속화 및/또는 연장함으로써 특이적 표적에 대한 면역 반응을 강화하거나 조절하려고 한다.
최근 몇 년 동안, 면역요법은 암 치료에서 가장 유망한 발전 중 하나로 입증되었다. 암 면역요법은 암세포에 대한 대상체(subject)의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고 따라서 암세포의 특이적 파괴를 유도하기 위해 대상체 면역계를 조작한다.
현재, 암 치료에서의 면역요법은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세포, 특히 세포독성 세포의 입양 전달(adoptive transfer), 체크포인트 (checkpoint) 억제제의 투여, T-세포 작용제의 투여, 단일클론 항체의 투여 또는 사이토카인의 투여를 포함한다 (문헌[Ribas&Wolchok, 2018, Science 359, 1350-1355; Galluzzi et al., 2014, Oncotarget 5, 12472-12508; Sharma&Allison, 2015, Science 348, 56-61]). 암 치료에서의 면역요법에는 치료 백신과 BCG (Bacillus Calmette-Guerin)의 사용이 또한 포함되며, 후자는 방광암 치료에 사용된다 (문헌[Ribas&Wolchok, 2018, Science 359, 1350-1355; Garg et al., 2017, Trends Immunol 38, 577-593; Durgeau et al.,2018, Front Immunol 9, 14]).
암 면역요법의 핵심 전제 중 하나는 암세포에서 선택적으로 또는 다량 발현되거나 돌연변이되어 암세포의 특이적 인식 및 후속 파괴를 가능하게 하는 항원의 존재이다 (문헌[Wirth&Kuhnel, 2017, Front Immunol 8, 1848; Hugo et al., 2016, Cell 165, 35-44, Coulie et al., 2014, Nature Reviews Cancer 14, 135-146]). 암 면역요법의 또 다른 핵심 전제는 종양에서 면역 세포, 특히 림프구의 존재이다 (문헌[Tumeh et al., 2014, Nature 515, 568-571]). 일반적으로 종양 침윤 림프구 (TIL)로 지칭되는 이러한 림프구는 특히 상기 언급된 종양 특이적 항원의 인식을 통해 종양 세포를 표적화하고 사멸시킬 수 있는 효과기 TIL을 포함한다 (문헌[Durgeau et al.,2018, Front Immunol 9, 14; Tumeh et al., 2014, Nature 515, 568-571]).
그러나, 암의 유형과 개별 반응에 따라, 종양은 면역 세포, 특히 림프구에 의해 다양한 정도로 침윤된다. 림프구가 다량 존재하는 종양은 일반적으로 "뜨거운 종양"으로 지칭되며, 림프구가 소량 존재하는 종양은 일반적으로 "차가운 종양"으로 지칭된다 (문헌[Sharma&Allison, 2015, Science 348, 56-61]).
종양으로의 증가된 효과기 T 세포 침윤 및 이에 따른 종양 세포에 대한 증가된 T 세포 반응은 많은 상이한 유형의 암에 대한 증가된 생존율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다수의 암 면역요법은 종양 내에서 효과기 T 세포의 침윤 및/또는 활성화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면역요법 중 하나는 종양 침윤 T 세포와 같은 종양 표적화 면역 세포의 대상체에의 전달, 즉 주입으로 구성된다. 입양 세포 전달(adoptive cell transfer)로 지칭되는 이러한 전달는 1988년에 처음 기재되었다 (문헌[Rosenberg et al., 1988, N Engl J Med 319, 1676-1680]). 또 다른 이러한 면역요법은 체크포인트 억제제의 투여로 구성된다.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T 세포에서 발현되는 억제 수용체와 그 리간드 간의 상호작용을 차단한다.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종양 세포에 의해 발현되는 인자에 의한 T 세포의 억제를 방지하고 따라서 상기 종양 세포에 대한 T 세포 반응을 향상시키기 위해 투여된다 (문헌[Marin-Acevedo et al., 2018, J Hematol Oncol 11, 39]).
그러나, 면역요법의 전반적인 효능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제한적이다 (문헌[Jenkins et al., 2018, Br J Cancer 118, 9-16; Ladanyi. 2015, Pigment Cell Melanoma Res 28, 490-500]). 한 가지 중요한 문제는 종양에 존재하는 종양 특이적 T 세포의 수와 상기 종양 침윤 T 세포의 고갈이며, 상기 고갈은 불량한 효과기 기능, 억제 수용체의 지속적인 발현 및/또는 기능적 효과기 또는 기억 T 세포와 구별되는 전사 적합도를 특징으로 한다 (문헌[Jochems&Schlom, 2011, Exp Biol Med (Maywood) 236, 567-579]).
따라서, 더욱 효과적인 면역요법, 특히 더욱 효과적인 암 면역요법이 필요하다. 특히, 면역요법, 특히 암 면역요법과 함께 투여되는 애주번트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하며, 상기 애주번트는 특히 예를 들어 종양에서 T 세포 침윤의 증가, 암 특이적 T 세포의 생존 증가 및/또는 암 특이적 T 세포의 효과기 기능 증가를 통해 암 세포에 대한 세포 면역 반응을 개선함으로써 면역요법을 강화시킨다.
구아나벤즈는 알파-2 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로 특히 공지된 소분자이다. 따라서 구아나벤즈 (Wytensin®)는 경구 투여용 항고혈압제(antihypertensive agent)로 처방되었다. 암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을 강화할 수 있는 화합물을 찾는 동안, 본 출원인은 놀랍게도 구아나벤즈가 면역 반응, 특히 T 세포 면역 반응과 같은 세포 면역 반응을 자극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은 놀랍게도 구아나벤즈가 생체내에서 항 종양 T 세포의 기능적 활성과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능력을 자극함으로써 암 면역요법의 효능을 크게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출원인은 또한 구아나벤즈가 백신화(vaccination)의 효과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실제로, 본 출원인은 놀랍게도 항원 백신과 함께 구아나벤즈를 투여하면 항원에 대한 재 노출에 의해 유도되는 특이적 세포 면역 반응이 크게 향상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따라서 면역요법의 애주번트로서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서 면역요법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다.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구아나벤즈는 면역요법, 특히 암 면역요법의 애주번트로서 작용한다. 특히, 본 발명은 암의 치료에서 입양 세포 요법, CAR 면역 세포 요법,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 T 세포 작용제 요법, 치료 백신화, 항체 요법 (예를 들어 단일클론 항체 및/또는 이중특이적 항체),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 요법, 또는 사이토카인 요법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감염성 질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백신화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서 면역요법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구아나벤즈는 면역요법의 애주번트로서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구아나벤즈는 면역요법의 조건화 요법(conditioning regimen)으로서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구아나벤즈는 면역요법의 조건화 요법으로서 사용되고, 조건화 요법은 면역요법의 대상체를 준비하기 위한 요법(therapy)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구아나벤즈는 급성 림프아구성 백혈병(acute lymphoblastic leukemia), 급성 골수아구성 백혈병 부신 암종(acute myeloblastic leukemia adrenal gland carcinoma), 담관암(bile duct cancer), 방광암(bladder cancer), 유방암(breast cancer), 자궁경부암(cervical cancer), 결장직장암(colorectal cancer), 자궁내막암(endometrial cancer), 식도암(esophageal cancer), 위암(gastric cancer), 위장관 기질 종양(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교모세포종(glioblastoma), 두경부암(head and neck cancer), 간세포 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 호지킨 림프종(Hodgkin's lymphoma), 신장암(kidney cancer), 폐암(lung cancer), 흑색종(melanoma), 메르켈 세포 피부암(Merkel cell skin cancer), 중피종(mesothelioma),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골수증식성 장애(myeloproliferative disorder), 비호지킨 림프종(non-Hodgkin lymphoma), 난소암(ovarian cancer), 췌장암(pancreatic cancer), 전립선암(prostate cancer), 타액선암(salivary gland cancer), 육종(sarcoma), 편평 세포 암종(squamous cell carcinoma), 고환암(testicular cancer), 갑상선암(thyroid cancer), 요로상피세포 암종(urothelial carcinoma), 및 포도막 흑색종(uveal carcinoma)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암의 치료에서 면역요법과 함께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구아나벤즈는 흑색종(melanoma), 유방 암종(breast carcinoma), 결장 암종(colon carcinoma), 신장 암종(renal carcinoma), 부신피질 암종(adrenocortical carcinoma), 고환 기형종(testicular teratoma), 피부 육종(skin sarcoma), 섬유육종(fibrosarcoma), 폐 암종(lung carcinoma), 선암종(adrenocarcinoma), 간 암종(liver carcinoma), 교모세포종(glioblastoma), 전립선 암종(prostate carcinoma) 및 췌장 암종(pancreatic carcinoma)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암의 치료에서 면역요법과 함께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구아나벤즈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진균 또는 원생동물 기생충에 의해 야기되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서 면역요법과 함께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구아나벤즈는 면역요법 이전 및/또는 그와 동시에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구아나벤즈는 약 0.01 mg/킬로 체중 (mg/kg) 내지 약 15 mg/kg의 범위의 용량(dose)으로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면역요법은 면역 세포의 입양 전달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면역 세포는 T 세포 또는 자연 살해 (NK) 세포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면역 세포는 CAR T 세포 또는 CAR NK 세포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면역 세포는 자가 면역 세포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면역 세포는 CD8+ T 세포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면역요법은 체크포인트 억제제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PD-1의 억제제, 예컨대 펨브롤리주맙 (pembrolizumab), 니볼루맙 (nivolumab), 세미플리맙 (cemiplimab), 티슬렐리주맙 (tislelizumab), 스파르탈리주맙, ABBV-181 및 JNJ-63723283, PD-L1의 억제제, 예컨대 아벨루맙 (avelumab), 아테졸리주맙 (atezolizumab) 및 두르발루맙 (durvalumab), CTLA-4의 억제제, 예컨대 이필리무맙 (ipilimumab) 및 트레멜리무맙 (tremelimumab), 및 이의 임의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면역요법은 백신화를 포함한다.
정의
본 발명에서 다음 용어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수치 앞의 "약"은 상기 수치 값의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10% 이하를 포함한다. 용어 "약"이 지칭하는 값은 그 자체가 또한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개시된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서 "애주번트"는 면역요법을 강화시키는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조합을 지칭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애주번트는 암 치료에서 면역요법과 함께 사용되어 암 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을 강화시킨다. 예를 들어, 애주번트는 림프구, 특히 종양 침윤 림프구의 수를 증가시키고; 림프구, 특히 종양 침윤 림프구의 활성화를 증가시키고; 림프구, 특히 종양 침윤 림프구의 적합도를 증가시키고/거나; 림프구, 특히 종양 침윤 림프구의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애주번트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서 면역요법과 함께 사용되어 감염성 물질에 대한 면역 반응을 강화시킨다. 예를 들어, 애주번트는 림프구, 특히 효과기 림프구의 수를 증가시키고; 림프구, 특히 효과기 림프구의 활성화를 증가시키고; 림프구, 특히 효과기 림프구의 적합도를 증가시키고/거나; 림프구, 특히 효과기 림프구의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동종이형" 또는 "동종이계"는 물질이 도입될 대상체와 동일한 종의 다른 대상체로부터 획득되거나 유래된 임의의 물질을 지칭한다. 둘 이상의 대상체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좌위(loci)에서 유전자가 동일하지 않을 때 서로 동종이형으로 언급된다. 일부 양상에서, 동일한 종의 대상체로부터의 동종이형 물질은 항원으로서 상호작용하도록 유전적으로 충분히 다를 수 있다.
"자가"는 후에 재 도입될 동일한 대상체로부터 획득되거나 유래된 임의의 물질을 지칭한다.
"암 면역요법"은 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을 지칭하고, 상기 면역요법은 암세포에 대한 대상체의 면역 반응을 유도 및/또는 자극하기 위해 대상체의 면역 반응을 조절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암 면역요법은 면역 세포, 특히 T 세포 (예컨대 알파 베타 (αβ) T 세포 또는 감마 델타 T 세포), NK 세포 또는 NK T 세포의 입양 전달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암 면역요법은 체크포인트 억제제의 투여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암 면역요법은 체크포인트 작용제의 투여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암 면역요법은 항체의 투여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암 면역요법은 치료 항-암 백신의 투여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조건화 요법"은 암과 같은 질병의 치료에 사용되는 후속 요법을 위해 대상체를 준비하기 위해 투여되는 화합물 또는 요법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면역 세포의 입양 전달 전에 조건화 요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요법" 또는 "유도 요법"으로도 공지된 "1차 요법"은 질병, 예를 들어 암의 치료를 위해 투여되는 첫 번째 요법을 지칭한다. 1차 요법은 완료되거나 다른 요법으로 대체될 수 있다.
"면역요법"은 특이적 표적, 예를 들어 감염성 물질 예컨대 바이러스, 박테리아, 진균 또는 원생동물 기생충, 또는 암 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 및/또는 향상시키기 위한 요법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면역요법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백신화, 예컨대 예방 및 치료 백신화; 면역 세포, 특히 T 세포 (예컨대 알파 베타 (αβ) T 세포 또는 감마 델타 T 세포) 또는 NK 세포의 입양 전달; 체크포인트 억제제; 체크포인트 작용제; 항체를 포함한다.
"감염성 질병"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진균 (예를 들어 효모), 조류 또는 원생동물 기생충 (예를 들어 아메바)과 같은 감염성 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을 지칭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특히 임의의 모든 용매, 분산 매질, 코팅제, 항박테리아 및 항진균 제제, 등장성 및 흡수 지연 제제를 포함하여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되고 사용되는 부형제 또는 담체를 지칭한다. 따라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는 무독성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충전제, 희석제, 캡슐화 물질 또는 제형화 보조제의 임의 유형을 지칭한다. 인체 투여의 경우, 제조물은 FDA (미국 식품의약국) 또는 EMA (유럽의약국)와 같은 규제 기관에서 요구하는 멸균성, 발열성, 일반 안전 및 순도 표준을 충족해야 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생물학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유리 산 또는 유리 염기의 염을 지칭하며 일반적으로 유리 염기를 적합한 유기 또는 무기산과 반응시키거나 유리 산을 적합한 유기 또는 무기 염기와 반응시켜 제조된다. 적합한 산 부가 염은 무독성 염을 형성하는 산으로부터 형성된다. 예로는 아세테이트, 아디페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조에이트, 베실레이트, 바이카보네이느/카보네이트, 바이술페이트/술페이트, 보레이트, 캠실레이트, 시트레이트, 시클라메이트, 에디실레이트, 에실레이트, 포르메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셉테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쿠로네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히벤제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요오다이드, 이세티오네이트, 락테이트, 말레이트, 말레에이트, 말로네이트, 메실레이트, 메틸술페이트, 나프틸레이트, 2-나프실레이트, 니코티네이트, 니트레이트, 오로테이트, 옥살레이트, 팔미테이트, 파모에이트, 포스페이트/수소, 포스페이트/이수소, 포스페이트, 피로글루타메이트, 사카레이트, 스테아레이트, 숙시네이트, 탄네이트, 타르트레이트, 토실레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및 지노포에이트 (xinofoate) 염을 포함한다. 적합한 염기 염은 무독성 염을 형성하는 염기로부터 형성된다. 예에는 알루미늄, 아르기닌, 벤자틴, 칼슘, 콜린, 디에틸아민, 디올아민, 글리신, 리신, 마그네슘, 메글루민, 올아민, 칼륨, 나트륨, 트로메타민,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에탄올아민, 모르폴린, 4-(2-하이드록시에틸)모르폴린 및 아연 염이 포함된다. 산 및 염기의 반염, 예를 들어 헤미-술페이트 및 헤미-칼슘 염이 또한 형성될 수 있다.
"대상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지칭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암 또는 감염성 질병으로 진단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의료 치료를 받기 위해 기다리고 있거나, 받고 있거나, 또는 의료 절차의 대상체이었거나/이거나/일 것이거나, 질병, 예컨대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발병 또는 진행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환자, 바람직하게는 인간 환자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발병 또는 진행에 대해 치료 및/또는 모니터링되는 인간 환자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남성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여성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성인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소아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면역요법에 내성이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암 면역요법에 내성이 있다.
"T 세포 면역 반응"은 T 세포 매개 면역 반응을 지칭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T 세포 면역 반응"은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효과기 T 세포 매개 반응, 바람직하게는 세포독성 T 세포 매개 반응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T 세포 면역 반응"은 알파 베타 (αβ) T 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면역 반응 및 감마 델타 (γδ) T 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면역 반응을 포함한다.
"치료 유효량" 또는 "치료 유효 용량"은 대상체에게 심각한 부정적이거나 유해한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1) 대상체에서 병리적 병태(pathologic condition) 또는 장애(disorder), 특히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발병을 지연 또는 예방하거나; (2) 병리적 병태 또는 장애, 특히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중증도 또는 발생률을 감소시키거나; (3) 대상체에 발병한 병리적 병태 또는 장애, 특히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진행, 악화 또는 악질화를 지연 또는 중지시키거나; (4) 대상체에 발병한 병리적 병태 또는 장애, 특히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증상을 개선시키거나; (5) 대상체에 발병한 병리적 병태 또는 장애, 특히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의 양 또는 용량을 지칭한다. 치료 유효량은 예방학적 또는 예방적 작용을 위해 병리적 병태 또는 장애, 특히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발병 전에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치료 작용을 위해 병리적 병태 또는 장애, 특히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개시 후에 치료 유효량을 투여할 수 있다.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요법적 치료; 예방학적 또는 예방적 조치 또는 둘 모두를 지칭하고, 그 목적은 표적화된 병리적 병태 또는 장애, 예를 들어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을 예방, 지연 (완화) 또는 치료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요법적 치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예방학적 또는 예방적 치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예방학적 (또는 예방적) 치료 및 요법적 치료 둘 모두를 지칭한다. 치료가 필요한 자들은 이미 병리적 병태 또는 장애, 예를 들어 암 또는 감염성 질병뿐만 아니라, 병리적 병태 또는 장애, 예를 들어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이 발병하기 쉬운 자들, 또는 병리적 병태 또는 장애, 예를 들어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을 예방해야 하는 자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을 앓고 있는 대상체는 치료 유효량의 구아나벤즈, 특히 면역요법과 함께 치료 유효량의 구아나벤즈가 제공된 후, 대상체가 암세포의 수 또는 감염성 물질의 수의 관찰 가능하고/거나 측정 가능한 감소; 암인 전체 세포의 퍼센트 또는 감염된 전체 세포의 퍼센트의 감소; 암 또는 감염성 질병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상의 일정 정도까지의 완화; 질환 및/또는 암 또는 감염성 질병과 관련된 사망 위험 감소 및/또는 삶의 질의 향상을 의미하는 이환율 및 사망률의 감소를 나타내는 경우 성공적으로 "치료"된 것이다. 질병의 성공적인 치료 및 개선을 평가하기 위한 위의 매개변수는 의사에게 익숙한 통상적인 절차로 쉽게 측정할 수 있다.
"종양 침윤 림프구" 또는 "TIL"은 면역요법 전 또는 면역요법 후, 예를 들어 입양 세포 전달 또는 치료 백신화 후 종양에 존재하는 T 세포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T 세포는 알파 베타 (αβ) T 세포 및 감마 델타 (γδ) T 세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T 세포는 CD4+ T 세포 및 CD8+ T 세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T 세포는 또한 T 조절 (Treg) 세포, 예컨대 CD4+ Treg 세포 또는 CD8+ Treg 세포, 및 T 효과기 세포, 예컨대 CD4+ 효과기 T 세포 및 CD8+ 효과기 T 세포를 포함한다. 특히, CD8+ 효과기 T 세포는 세포독성 CD8+ T 세포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효과기 종양 침윤 림프구, 또는 효과기 TIL은 면역요법 전 또는 면역요법, 예를 들어 입양 세포 전달 또는 치료 백신화 후 종양에 존재하는 CD4+ 또는 CD8+ 효과기 T 세포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조절 종양 침윤 림프구, 또는 조절 TIL은 면역요법 전 또는 면역요법, 예를 들어 입양 세포 전달 또는 치료 백신화 후 종양에 존재하는 CD4+ 또는 CD8+ Treg 세포이다.
"종양-특이적 항원" 또는 "종양-연관 항원"은 암 세포 또는 종양 세포에 의해 특이적으로 및/또는 다량 발현되는 항원을 지칭한다. 상기 항원을 인식하고 결합하는 T 세포 수용체를 발현하는 T 세포는 종양-특이적 또는 종양-연관 항원을 인식하는 T 세포, 종양-특이적 또는 종양-연관 항원에 특이적인 T 세포, 종양-특이적 또는 종양-연관 항원의 특이적 T 세포, 또는 종양-특이적 또는 종양-연관 항원에 대해 유도된 T 세포로 지칭될 수 있다.
"백신화"는 대상체에서 감염성 물질 (예컨대 바이러스, 박테리아, 진균 또는 원생동물 기생충) 또는 암 세포에 대해 표적화된 면역 반응을 유도 및/또는 향상시키기 위한 물질 또는 물질 그룹 (즉, 백신)을 포함하는 제조물의 사용을 지칭한다. 예방 백신화는 대상체가 특정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하거나 질병이 경미한 경우에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예방 백신은 감염성 질병의 원인이 되는 감염성 물질 (사멸, 불활성화 또는 생존하지만 약화됨) 또는 감염성 물질으로부터 단리되거나 유전자 조작된 그 성분 (들) (예를 들어, 감염성 물질 또는 감염성 물질에 의해 분비되는 독소 (들)의 표면에 존재하는 분자)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백신화는 대상체의 특정 질병, 예를 들어 암 또는 포진 또는 B형 간염과 같은 감염성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치료 항암 백신은 종양 연관 항원 또는 종양 연관 항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종양-연관 항원 (들)을 발현하는 암 세포에 대해 유도되는 세포-매개 면역 반응, 특히 T 세포 면역 반응을 유도 및/또는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T 세포 기능에 대한 구아나벤즈의 효과를 보여준다. 마우스 TCRP1A CD8+ T 세포를 구아나벤즈와 함께 16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표적 세포로서 L1210-P1A-B7.1 세포와 공동 배양하였다. 도 1a는 공동 배양 동안 CD107a의 FACS 검출에 의해 평가된 CD8+ T 세포의 탈과립화를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마우스 TCRP1A CD8+ T 세포를 구아나벤즈와 함께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표적 세포로서 L1210-P1A-B7.1 세포와 공동 배양하였다. 공동 배양 16시간 후, 상청액을 수집하였다. 도 1b는 수집된 상청액에서 ELISA에 의해 측정된 분비된 IFNγ를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인간 항-WT1 CD8+ T 세포 클론의 세포를 구아나벤즈와 함께 16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WT1 펩타이드로 펄싱 (pulsing)된 표적 세포와 공동 배양하였다. 도 1c는 CD107a의 FACS 검출에 의해 측정된 인간 CD8+ T 세포의 탈과립화를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도 1d는 ELISA (D)에 의해 정량화된 하룻밤 공동 배양의 상청액 중 IFNγ의 분비를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도 2는 T429.11 이식된 종양 보유 마우스에서 구아나벤즈의 효과를 보여준다. T429.11 이식된 종양 보유 마우스는 종양 크기가 약 1000 mm3 (1일)인 날부터 희생 당일 (6일)까지 구아나벤즈 (5 mg/kg, i.p.) 또는 비히클 (PBS, i.p.)을 매일 주사하였다. 도 2a는 1일째에서 희생 당일 (6일) 사이에 T429.11 이식된 종양 보유 마우스에서 종양 성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b는 희생 당일 (6일)에 FACS에 의해 평가된 T429.11 이식된 종양 보유 마우스에서 CD8+ T 세포의 종양 침윤을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도 3은 종양 크기가 약 400 mm3 (0일)인 날부터 희생 당일 (12일)까지 구아나벤즈 (5 mg/kg, i.p.) 또는 비히클 (PBS, i.p.)을 매일 주사한 TiRP+/+ 마우스에서 종양 성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TiRP 종양을 유도하기 위해 4-OH-타목시펜 (Tamoxifen)을 주사한 면역결핍 Rag1-/-TiRP+/+ 마우스의 종양 크기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종양이 500 mm3 (0일)에 도달하면, 종양 보유 마우스를 무작위로 분류하고 희생 당일 (15일)까지 구아나벤즈 (5 mg/kg, i.p.) 또는 비히클 (PBS, i.p.)을 매일 주사하였다.
도 5는 P1A-특이적 CD8+ T 세포의 입양 전달을 받은 TiRP 마우스에서 구아나벤즈의 효과를 보여준다. 도 5a는 종양 크기가 약 500 mm3 (0일)인 ACT 당일부터 희생 당일 (18일)까지 1,000만개의 P1A 특이적 활성화된 CD8+ T 세포의 입양 세포 전달 (ACT) 및 구아나벤즈 (5 mg/kg, i.p.) 또는 비히클 (PBS, i.p.)의 매일 주사를 받은 TiRP 마우스에서 종양 성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b는 희생 당일 (18일)에 측정된 TiRP 마우스의 종양 무게를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P1A 특이적 CD8+ 세포의 종양 침윤을 FACS에 의해 ACT 10일 후에 평가하였다. 도 5c는 종양 미세 환경에서 전체 생존 세포 중 P1A 4량체(tetramer)+ CD8+ T 세포의 백분율로 표시된 P1A-특이적 CD8+ 세포의 종양 침윤을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도 5d는 전체 CD8+ T 세포 중 P1A 4량체+ 세포의 백분율로 표시된 P1A-특이적 CD8+ 세포의 종양 침윤을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도 5e는 ACT 10일 후 평가된 종양 침윤 P1A-특이적 CD8+ TIL에서 아폽토시스(apoptosis)의 FACS 분석을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도 5f는 ACT 10일 후에 평가된 종양 침윤 P1A-특이적 CD8+ T 세포에서 T 세포 활성화 마커 CD69의 FACS 분석을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도 6은 구아나벤즈 (5 mg/kg, i.p.) 또는 비히클 (PBS, i.p.)을 받은 마우스에서 FACS에 의해 나이브 TCRP1A CD8+ T 세포의 ACT 4일 후 평가된 P1A 특이적 CD8+ T 세포의 종양 침윤을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도 7은 조사된 L1210-P1A-B7.1 세포로 구성된 백신을 사용한 마우스 면역화 모델에서 구아나벤즈의 효과를 보여준다. DBA/2 마우스는 106개의 방사선 조사된 L1210-P1A-B7.1 세포로 구성된 백신을 단독으로 (면역화) 또는 100 μg (5 mg/kg) 구아나벤즈 (면역화 + 구아나벤즈)와 함께 제공받았다. 면역화를 받지 않은 마우스는 음성 대조군 (대조군)으로 포함되었다. 면역화 1주일 후, 비장을 수집하고 비장 세포를 단리하였다. 그런 다음 비장 세포를 L1210-P1A-B7.1 세포를 1:1 비율로 4일 동안 시험관내에서 자극하여 P1A 특이적 CD8+ T 세포를 확장하였다. 도 7a는 자극 4일 후 PE-접합된 P1A 사량체 및 APC-접합된 항-CD8 항체로 염색하여 평가된 CD8+ T 세포의 총 수 중 P1A-항원 특이적 CD8+ T 세포의 백분율을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4일의 시험관내 자극 후, 비장 세포를 밤새 1:1의 비율로 L1210-P1A-B7.1 세포로 추가로 재자극하였다. 도 7b는 비장 세포에서 분비되는 IFNγ의 양을 ELISA로 측정한 것을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도 8은 마우스에서 OVA 면역화 모델에서 구아나벤즈의 효과를 보여준다. C57BL/6J 마우스는 Alhydrogel 애주번트 2% (Sigma)에 흡착된 200 μg의 OVA 단백질을 복강내 주사하여 1회 면역화시켰다. 마우스에 면역화 (구아나벤즈) 2시간 전과 후 매일 100 μg의 구아나벤즈를 투여하였다. 면역화를 받지 않은 마우스는 음성 대조군 (대조군)으로 포함되었다. 면역화 1주일 후, 면역화된 마우스의 혈액과 비장을 수집하고 혈액과 비장에서 유래한 세포를 10 μM OVA 펩타이드 존재 하에서 배양하였다. 도 8a는 면역화된 마우스의 혈액으로부터 유래된 세포 배양물에서 CD8+ T의 총 수 중 IFNγ 생성 CD8+ T 세포의 백분율을 평가함으로써 평가된 면역 반응을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도 8b는 면역화된 마우스의 비장으로부터 유래된 세포 배양물에서 CD8+ T의 총 수 중 IFNγ 생성 CD8+ T 세포의 백분율을 평가함으로써 평가된 면역 반응을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도 9는 구아나벤즈 단독, 항-PD-1 단독 또는 구아나벤즈 및 항-PD-1 둘 모두를 투여받은 B16F10 이식 흑색종 보유 마우스에서의 종양 성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따라서 마우스는 종양 접종 7일 후 희생 당일까지 구아나벤즈 (2.5 mg/kg, i.p.) 또는 비히클 (PBS, i.p.)을 매일 주사하였다. 마우스는 구아나벤즈 또는 비히클 투여 1일 후 시작하여 3일 간격으로 항-PD-1 항체 (BioXcell, 클론 RMP1-14, 200 μg/마우스) 또는 이소형 대조군을 4회 주사 (i.p.) 받았다. 종양 크기를 매일 모니터링하였다.
도 10은 NK 세포 기능에 대한 구아나벤즈의 효과를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마우스 NK 세포를 항-CD49b 자기 비드(bead)를 사용하여 TiRP 10B 마우스의 비장 세포로부터 단리하였다. 단리 후 NK 세포를 RMA-S 세포를 사용하여 활성화시켰다. 활성화 4일 후, NK 세포를 수집하고 20 μM 구아나벤즈로 16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된 NK 세포를 표적 세포로서 RMA-S 세포와 공동 배양하였다. NK 세포의 탈과립화를 공동 배양 동안 CD107a의 FACS 검출에 의해 평가하였다.
도 11은 입양 세포 전달과 조합하여 T 세포 기능에 대한 알프레놀롤 (Alprenolol)의 효과를 평가한다. 도 11a는 T 세포 기능에 대한 알프레놀롤의 효과를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마우스 TCRP1A CD8+ T 세포를 지정된 바와 같이 알프레놀롤 5 μM 또는 20 μM과 함께 16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처리된 T 세포를 표적 세포로서 L1210-P1A B7.1 세포와 공동 배양하였다. CD8+ T 세포의 탈과립화를 공동 배양 동안 CD107a의 FACS 검출에 의해 평가하였다. 도 11b도 11c는 P1A-특이적 CD8+ T 세포의 입양 전달을 받은 TiRP 마우스에서 알프레놀롤의 효과를 보여준다. 도 11b는 종양 크기가 약 500 mm3 (0일)인 ACT 당일부터 희생 당일 (10일)까지 1000만개의 P1A 특이적 활성화된 CD8+ T 세포의 입양 세포 전달 (ACT) 및 알프레놀롤 (5 mg/kg, i.p.) 또는 비히클 (PBS, i.p.)의 매일 주사를 받은 TiRP 마우스에서 종양 성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c는 FACS에 의해 ACT 7일 후에 평가된 P1A-특이적 CD8+ 세포의 종양 침윤을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P1A 특이적 CD8+ 세포의 종양 침윤은 종양 미세 환경에서 총 CD45+ 세포 중 P1A 4량체+ CD8+ T 세포의 백분율로 표시된다. "ns"는 유의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도 12는 입양 세포 전달과 조합하여 T 세포 기능에 대한 수니티닙 (sunitinib)의 효과를 평가한다. 도 12a는 T 세포 기능에 대한 수니티닙의 효과를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마우스 TCRP1A CD8+ T 세포를 지정된 바와 같이 20 μM 구아나벤즈 또는 상이한 농도의 수니티닙과 함께 16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처리된 T 세포를 표적 세포로서 L1210-P1A-B7.1 세포와 공동 배양하였다. CD8+ T 세포의 탈과립화를 공동 배양 동안 CD107a의 FACS 검출에 의해 평가하였다. 도 12b도 12c는 P1A-특이적 CD8+ T 세포의 입양 전달을 받은 TiRP 마우스에서 수니티닙의 효과를 보여준다. 도 12b는 종양 크기가 약 500 mm3 (0일)인 ACT 당일에서 희생 당일 (10일)까지 1000만개의 P1A-특이적 활성화된 CD8+ T 세포의 입양 세포 전달 (ACT) 및 수니티닙 (20 mg/kg) 또는 비히클 (PBS)의 매일 투여를 받은 TiRP 마우스의 종양 성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2c는 P1A-특이적 CD8+ T 세포의 입양 전달을 받은 TiRP 마우스에서 수니티닙의 효과를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수니티닙 그룹의 마우스는 매일 수니티닙을 20 mg/kg의 용량으로 경구 위관법으로 투여받았다. P1A 특이적 CD8+ 세포의 종양 침윤은 종양 미세 환경에서 총 생존 세포 중 P1A 4량체+ CD8+ T 세포의 백분율로 표시된다. "ns"는 유의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면역 반응의 조절이 필요한 질병 또는 병태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면역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면역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면역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면역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고, 상기 구아나벤즈는 면역조절제(immunomodulatory agent)로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면역 장애"는 면역계의 기능 부전으로부터 유발되는 질병 또는 병태를 지칭한다. 면역 장애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면역결핍(immunodeficiency), 자가면역 질병, 알레르기, 염증성 질병, 천식, 및 숙주대이식편 질병 (graft-versus-host disease) (GVHD)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강화된 면역 반응이 필요한 질병 또는 병태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면역결핍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면역결핍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면역결핍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면역결핍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고, 상기 구아나벤즈는 면역 반응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면역결핍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AIDS) 및 X-연관 무감마글로불린혈증 (XLA) 및 상염색체 열성 무감마글로불린혈증 (ARA)을 포함하는 1차 면역결핍 질병 (PID)으로도 지칭되는 1차 면역결핍 질병 (PI 또는 PIDD), 모세혈관확장성운동실조, 만성 육아종성 질병 및 기타 식세포 장애, 공통 가변 면역결핍, 보체 결핍, 디조지 증후군 (DiGeorge syndrome), 혈구참식성림프조직구증식증 (hemophagocytic lymphohistiocytosis) (HLH), 고 IgE 증후군, 고 IgM 증후군, IgG 하위부류 결핍, 선천성 면역 결함, 핵 인자-카파 B 필수 조절제 (NEMO) 결핍 증후군, 선택적 IgA 결핍, 선택적 IgM 결핍, 중증 복합 면역결핍 및 복합 면역결핍, 특이적 항체 결핍, 유아기의 일시적인 저감마글로불린혈증, WHIM 증후군 (사마귀, 저감마글로불린혈증, 감염 및 골수이식증 (myelokathexis)), 위스콧-알드리치 증후군 (Wiskott-Aldrich syndrom)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고, 상기 구아나벤즈는 각각 암 세포 또는 감염성 물질에 대한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으로, 구아나벤즈는 1차 요법으로 투여된 면역요법에 이어 2차 요법으로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으로, 구아나벤즈는 이전에 투여된 면역요법 후에 후속 요법으로 투여된다.
본 발명은 또한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서 면역요법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서 면역요법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고, 상기 구아나벤즈는 면역요법의 애주번트로서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서 면역요법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고, 상기 구아나벤즈는 면역요법의 조건화 요법으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구아나벤즈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위한 면역요법의 애주번트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구아나벤즈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암 면역요법의 애주번트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구아나벤즈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백신화의 애주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위한 구아나벤즈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면역요법의 조건화 요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구아나벤즈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암 면역요법의 조건화 요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구아나벤즈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백신화의 조건화 요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놀랍게도 구아나벤즈가 면역 반응, 특히 세포 면역 반응을 자극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본 출원인은 놀랍게도 구아나벤즈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암 면역요법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암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을 크게 강화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하기 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구아나벤즈와 함께 T 세포의 시험관내 인큐베이션은 증가된 T 세포 기능을 유도하였으며, 이는 항원 인식시 증가된 T 세포 탈과립화 및 인터페론 감마 (IFNγ) 분비를 통해 관찰되는 바와 같다. 더욱이, 구아나벤즈를 마우스에 생체내 투여하는 경우, 특히 T 세포의 입양 전달과 조합될 때 종양에서 T 세포의 침윤 및 지속성이 증가되었으며, 또한 종양에 침윤한 T 세포의 활성이 또한 증가되었다. 구아나벤즈의 생체내 투여는, 특히 T 세포의 입양 전달과 조합될 때, 따라서 종양 성장 억제 및 생존율 증가를 초래하였다. 본 출원인은 놀랍게도 구아나벤즈가 조사된 종양 세포 또는 오브알부민(ovalbumin) 단백질을 사용하여 백신화의 효과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실제로, 본 출원인은 구아나벤즈가 면역화에 의해 유도된 특이적 면역 반응, 특히 T 세포 면역 반응을 유의하게 강화시킨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하기 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조사된 L1210 P1A 종양 세포 또는 재조합 오브알부민을 사용하여 마우스를 면역화했을 때, 구아나벤즈의 조합 투여는 면역화된 마우스의 비장 및 혈액에서 활성 CD8+ T 세포 수의 증가를 통해 관찰된 바와 같이 면역 반응을 증가시켰다.
구아나벤즈 (CAS 번호 5051-62-7)는 또한 2-[(E)-(2,6-디클로로페닐)메틸리덴아미노]구아니딘으로도 공지되어 있다. 구아나벤즈를 지칭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명칭으로는 2-[(2,6-디클로로페닐)메틸리덴아미노]구아니딘; N-(2,6-디클로로벤질리덴)-N'-아미디노히드라진; 2-((2,6-디클로로페닐)메틸렌)히드라진카복시미다미드; 히드라진카복시미다미드, 2-((2,6-디클로로페닐)메틸렌)-; 및 WY-8678이 포함된다. 구아나벤즈의 상표명에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Wytensin®, Wytens®, Lisapres® 및 Rexitene®이 포함된다. 구아나벤즈는 또한 때때로 GBZ로 지칭된다.
구아나벤즈는 다음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pct00001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구아나벤즈"는 임의의 전구약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포함한다. 특히, 용어 "구아나벤즈"는 그의 아세테이트 및 모노아세테이트 염, 예를 들어 구아나벤즈 아세테이트 및 구아나벤즈 모노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용어 "구아나벤즈"는 또한 상기 화합물의 결정질 형태를 포함한다.
구아나벤즈는 1966년에 공개된 특허 출원 GB1019120에서 제초제 화합물로 처음 기재되었다. 이후 구아나벤즈의 수의학 및 의학적 용도가, 특히 동물의 진정제 또는 안정제 및 인간의 항고혈압제로서 연구되어 왔다. 따라서 구아나벤즈는 고혈압 치료를 위해 오랫동안 임상에서 사용되었다. 구아나벤즈는 α2-아드레날린 수용체의 작용제이며 그 항 고혈압 효과는 중심 알파-아드레날린 자극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서 면역요법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를 포함하는 제1 부분 및 면역요법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부품 키트(kit)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부품 키트는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를 포함하는 제1 부분 및 예를 들어 체크포인트 억제제와 같은 면역요법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면역요법은 특이적 표적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 및/또는 향상시키기 위해 대상체의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요법으로 규정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면역요법은 입양 세포 요법, 특히 입양 T 세포 요법, 입양 NK 세포 요법 및/또는 CAR 면역 세포 요법,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 T 세포 작용제 요법, 백신화, 예컨대 예방 백신화 또는 치료 백신화, 항체 요법, 사이토카인 요법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면역요법은 입양 세포 요법, 특히 입양 T 세포 요법, 입양 NK 세포 요법 및/또는 CAR 면역 세포 요법,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 백신화, 예컨대 예방 백신화 또는 치료 백신화, 항체 요법,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면역요법은 입양 세포 요법, 특히 입양 T 세포 요법, 입양 NK 세포 요법 및/또는 CAR 면역 세포 요법,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 백신화, 예컨대 예방 백신화 또는 치료 백신화,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면역요법은 입양 세포 요법, 특히 입양 T 세포 요법 또는 입양 NK 세포 요법,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 백신화, 예컨대 예방 백신화 또는 치료 백신화,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면역요법은 입양 세포 요법, 특히 입양 T 세포 요법, 입양 NK 세포 요법 및/또는 CAR 면역 세포 요법, 백신화, 예컨대 예방 백신화 또는 치료 백신화,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면역요법은 입양 세포 요법, 특히 입양 T 세포 요법 또는 입양 NK 세포 요법, 또는 백신화, 예컨대 예방 백신화 또는 치료 백신화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면역요법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암 면역요법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 치료로서의 면역요법, 즉 암 면역요법은 암세포에 대한 대상체의 면역 반응을 유도 및/또는 향상시키기 위해 대상체의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요법으로 규정된다.
암 면역요법의 핵심 전제 중 하나는 암세포에서 선택적으로 또는 다량 발현되거나 돌연변이되어 암세포의 특이적 인식 및 후속 파괴를 가능하게 하는 항원의 존재이다. 이러한 항원은 일반적으로 종양 특이적 항원으로 지칭된다. 암 면역요법의 또 다른 핵심 전제는 종양에 림프구, 즉 종양 침윤 림프구 (TIL), 특히 위에서 언급한 종양 특이적 항원의 인식을 통해 종양 세포를 표적화하고 사멸시킬 수 있는 효과기 TIL의 존재이다.
암 면역요법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면역 세포의 입양 전달; 체크포인트 억제제; 또한 체크포인트 작용제로 지칭되는 T 세포 작용제; 단일클론 항체, 항체 도메인, 항체 단편, 이중특이적 항체를 포함하는 항체; 사이토카인;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 예방 및 치료 백신, BCG (바실루스 Calmette-Guerin); 예를 들어 RNA 간섭 (또한 RNAi로 공지되어 있음) 또는 RNA-기반 백신에 의해 생체외에서 변형된 면역 세포와 같은 ARN 요법을 기반으로 하는 면역요법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와 함께 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은 입양 세포 요법, 특히 입양 T 세포 요법 또는 입양 NK 세포 요법, CAR 면역 세포 요법,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 T 세포 작용제 요법, 치료 백신화, 항체 요법,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 요법, 사이토카인 요법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와 함께 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은 세포의 입양 전달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고, 또한 입양 세포 요법 (둘 모두 또한 ACT로 지칭됨), 특히 T 세포 또는 NK 세포의 입양 전달로 지칭되고, 또한 각각 입양 T 세포 요법 또는 입양 NK 세포 요법으로 지칭된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와 함께 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은 입양 세포 요법, 특히 입양 T 세포 요법 또는 입양 NK 세포 요법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세포의 입양 전달 또는 입양 세포 요법은 예를 들어, 면역 세포의 대상체로의 전달, 예를 들어 주입으로 규정된다. 암 치료로서, 대상체에 대한 면역 세포의 입양 전달은 암 세포에 대한 대상체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달 면역 세포는 T 세포 또는 자연 살해 (NK) 세포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달 면역 세포는 T 세포, 특히 CD8+ T 세포, 및/또는 자연 살해 (NK) 세포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달 면역 세포는 세포독성 세포이다. 세포독성 세포의 예는 자연 살해 (NK) 세포, CD8+ T 세포, 및 자연 살해 (NK) T 세포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달 면역 세포는 자연 살해 (NK) 세포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달 면역 세포는 T 세포, 특히 효과기 T 세포이다. 효과기 T 세포의 예는 CD4+ T 세포 및 CD8+ T 세포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달 면역 세포는 알파 베타 (αβ) T 세포이다.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전달 면역 세포는 감마 델타 (γδ) T 세포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달 면역 세포는 CD4+ T 세포, CD8+ T 세포, 또는 자연 살해 (NK) T 세포, 바람직하게는 전달 T 세포는 CD8+ T 세포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달 면역 세포는 항원-특이적 면역 세포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달 면역 세포는 항원-특이적 면역 세포이고, 상기 항원은 암 세포에 의해 특이적으로 및/또는 다량 발현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달 면역 세포는 종양-특이적 면역 세포이고, 즉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달 면역 세포는 암 세포 또는 종양 세포를 특이적으로 인식하지만, 항원은 상기 암 세포 또는 종양 세포에 의해 특이적으로 및/또는 다량 발현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달 면역 세포는 종양-특이적 효과기 T 세포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달 면역 세포는 종양-특이적 CD8+ 효과기 T 세포, 특히 종양-특이적 세포독성 CD8+ T 세포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달 면역 세포는 종양-특이적 세포독성 세포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달 면역 세포는 종양-특이적 NK 세포이다.
종양-특이적 항원, 즉, 암 세포에 의해 특이적으로 및/또는 다량 발현되는 항원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신생항원 (또한 신규 항원 또는 돌연변이 항원으로 지칭됨), 9D7, ART4, β-카테닌 (β-catenin), BING-4, Bcr-abl, BRCA1/2, 칼슘 활성화 클로라이드 채널 2, CDK4, CEA (암배아 항원), CML66, Cyclin B1, CypB, EBV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 (Epstein-Barr virus)) 연관 항원 (예컨대 LMP-1, LMP-2, EBNA1 및 BARF1), EGFRvIII, Ep-CAM, EphA3, 피브로넥틴 (fibronectin), Gp100/pmel17, Her2/neu, HPV (인간 파필로마바이러스 (papillomavirus)) E6, HPV E7, hTERT, IDH1, IDH2, 미성숙 라미닌 수용체, MC1R, Melan-A/MART-1, MART-2, 메소텔린 (mesothelin), MUC1, MUC2, MUM-1, MUM-2, MUM-3, NY-ESO-1/LAGE-2, p53, PRAME, 전립선-특이적 항원 (PSA), PSMA (전립선-특이적 막 항원), Ras, SAP-1, SART-I, SART-2, SART-3, SSX-2, 서비빈 (survivin), TAG-72, 텔로머라제, TGF-βRII, TRP-1/-2, 티로시나제, WT1, BAGE 패밀리의 항원, CAGE 패밀리의 항원, GAGE 패밀리의 항원, MAGE 패밀리의 항원, SAGE 패밀리의 항원, 및 XAGE 패밀리의 항원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신생항원 (또한 신규 항원 또는 돌연변이 항원으로 지칭됨)은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종양에 의해 획득된 체세포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재배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단백질로부터 유래된 항원에 해당한다. 신생항원은 각 대상체에 특이적일 수 있으므로 개체화된 면역요법 개발을 위한 표적을 제공한다. 신생항원의 예는 예를 들어,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CDK4의 R24C 돌연변이체, CDK4의 R24L 돌연변이체, 코돈 12에서 돌연변이된 KRAS, 돌연변이된 p53, BRAF의 V600E 돌연변이체 및 IDH1의 R132H 돌연변이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달 면역 세포는 CTA의 부류 (암/고환 항원, MAGE-유형 항원으로도 공지됨), 신행항원의 부류 및 바이러스 항원의 부류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종양 항원에 특이적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CTA의 부류는 종양 세포에서 발현되지만 남성 생식 세포를 제외한 정상 조직에서는 발현되지 않는 유전자에 의해 인코딩되는 항원에 해당한다. CTA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MAGE-A1, MAGE-A3, MAGE-A4, MAGE-C2, NY-ESO-1, PRAME 및 SSX-2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바이러스 항원의 부류는 바이러스 발암 단백질로부터 유래된 항원에 해당한다. 바이러스 항원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HPV (인간 파필로마바이러스) 연관 항원 예컨대 E6 및 E7, 및 EBV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 연관 항원 예컨대 LMP-1, LMP-2, EBNA1 및 BARF1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달 면역 세포는 자가 면역 세포, 특히 자가 T 세포이다.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달 면역 세포는 동종이계 (또는 동종) 면역 세포, 특히 동종이계 NK 세포이다.
예를 들어, 자가 T 세포는 대상체로부터 단리된 항원 특이적 T 세포의 확장 또는 유전공학을 통한 대상체의 T 세포의 재유도에 의해 생체외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주입될 면역 세포는 대상체에 주입되기 전에 생체외에서, 특히 RNA 간섭 (RNAi로도 공지됨)으로 변형된다.
대상체, 특히 항원-특이적 T 세포, 예를 들어 종양-특이적 T 세포로부터 T 세포를 단리하는 방법은 당 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문헌[Rosenberg&Restifo, 2015, Science 348, 62-68; Prickett et al., 2016, Cancer Immunol Res 4, 669-678; 또는 Hinrichs&Rosenberg, 2014, Immunol Rev 257, 56-71] 참조). 생체외에서 T 세포를 확장하는 방법은 당 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문헌[Rosenberg&Restifo, 2015, Science 348, 62-68; Prickett et al., 2016, Cancer Immunol Res 4, 669-678; or Hinrichs&Rosenberg, 2014, Immunol Rev 257, 56-71] 참조). 주입 전 조건화 요법을 포함하여 대상체에서 T 세포의 주입을 위한 프로토콜은 당 업계에 잘 알려져있다 (예를 들어 문헌[Rosenberg&Restifo, 2015, Science 348, 62-68; Prickett et al., 2016, Cancer Immunol Res 4, 669-678; or Hinrichs&Rosenberg, 2014, Immunol Rev 257, 56-71] 참조).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와 함께 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은 CAR 면역 세포 요법, 특히 CAR T 세포 요법 또는 CAR NK 세포 요법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와 함께 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은 CAR 면역 세포 요법, 특히 CAR T 세포 요법 또는 CAR NK 세포 요법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CAR 면역 세포 요법은 입양 세포 요법으로, 전달되는 세포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CAR)를 발현하도록 유전자 조작된 T 세포 또는 NK 세포와 같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 세포이다. 암 치료로서, 대상체에의 CAR 면역 세포의 입양 전달은 암 세포에 대한 대상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CAR은 단일 융합 분자 또는 다수의 분자에서 하나 이상의 신호전달 도메인과 연관된 표적화 모이어티로 구성된 합성 수용체이다. 일반적으로 CAR의 결합 모이어티는 가요성 링커에 의해 연결된 단일클론 항체의 경쇄 및 가변 단편을 포함하는 단일 사슬 항체 (scFv)의 항원 결합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수용체 또는 리간드 도메인에 기반한 결합 모이어티가 또한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 1세대 CAR에 대한 신호전달 도메인은 일반적으로 CD3제타 또는 Fc 수용체 감마 사슬의 세포질 영역으로부터 유래한다. 1세대 CAR은 T 세포 세포독성을 성공적으로 재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생체내에서 장기간 확장 및 항 종양 활성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CD28, OX-40 (CD134) 및 4-1BB (CD137)를 포함한 공자극 분자로부터의 신호전달 도메인은 CAR이 변형된 T 세포의 생존율을 향상시키고 증식을 증가시키기 위해 단독으로 (2세대) 또는 조합으로 (3세대) 추가되었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달 T 세포는 CAR T 세포이다. CAR의 발현은 T 세포가 암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는 항원과 같은 선택된 항원에 대해 재유도되도록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달 CAR T 세포는 종양-특이적 항원을 인식한다.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달 NK 세포는 CAR NK 세포이다. CAR의 발현은 NK 세포가 암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는 항원과 같은 선택된 항원에 대해 재유도되도록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달 CAR NK 세포는 종양-특이적 항원을 인식한다.
종양-특이적 항원의 예는 본 명세서 상기에 언급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달 CAR T 세포 또는 CAR NK 세포는 EGFR 및 특히 EGFRvIII, 메소텔린, PSMA, PSA, CD47, CD70, CD133, CD171, CEA, FAP, GD2, HER2, IL-13Rα, αvβ6 인테그린, ROR1, MUC1, GPC3, EphA2, CD19, CD21, 및 CD20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종양-특이적 항원을 인식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CAR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 세포는 자가 CAR 면역 세포, 특히 자가 CAR T 세포이다.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CAR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 세포는 동종이계 (또는 동종) CAR 면역 세포, 특히 동종이계 CAR NK 세포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와 함께 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은 적어도 하나의 체크포인트 억제제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와 함께 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은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은 적어도 하나의 체크포인트 억제제의 대상체에의 투여로서 규정된다.
체크포인트 억제제 (CPI, 또한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또는 ICI로도 지칭될 수 있음)는 T 세포에서 발현되는 억제 수용체와 이의 리간드 사이의 상호작용을 차단한다. 암 치료로서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은 종양 세포가 발현하는 리간드에 의해 T 세포에서 발현되는 억제 수용체의 활성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은 종양에 존재하는 T 세포, 즉, 종양 침윤 T 세포의 억제를 방지하여 종양 세포에 대한 대상체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체크포인트 억제제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또한 CD279 (분화 클러스터 279)로 공지된 세포 표면 수용체 PD-1 (프로그래밍된 아폽토시스(cell death) 단백질 1)의 억제제; 또한 CD274 (분화 클러스터 274) 또는 B7-H1 (B7 상동체 1)로 공지된 리간드 PD-L1 (프로그래밍된 사멸-리간드 1)의 억제제; 또한 CD152 (분화 클러스터 152)로 공지된 세포 표면 수용체 CTLA4 또는 CTLA-4 (세포독성 T-림프구-연관 단백질 4)의 억제제; IDO (인돌레아민 2,3-디옥시게나제)의 억제제 및 TDO (트립토판 2,3-디옥시게나제)의 억제제; 또한 CD223 (분화 클러스터 223)으로 공지된 LAG-3 (림프구-활성화 유전자 3)의 억제제; 또한 HAVCR2 (A형 간염 바이러스 세포 수용체 2) 또는 CD366 (분화 클러스터 366)으로 공지된 TIM-3 (T 세포 면역글로불린 및 뮤신-도메인 포함-3)의 억제제; 또한 VSIG9 (V-Set 및 면역글로불린 도메인-포함 단백질 9) 또는 VSTM3 (V-Set 및 막관통 도메인-포함 단백질 3)으로 공지된 TIGIT (Ig 및 ITIM 도메인을 갖는 T 세포 면역수용체)의 억제제; 또한 CD272 (분화 클러스터 272)로 공지된 BTLA (B 및 T 림프구 약화인자)의 억제제; 또한 CD66a (분화 클러스터 66a)로 공지된 CEACAM-1 (암배아 항원(carcinoembryonic antigen)-연관 세포 부착 분자 1)의 억제제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억제제 또는 PD-1, PD-L1의 억제제, CTLA-4의 억제제 및 이의 임의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펨브롤리주맙, 니볼루맙, 세미플리맙, 티슬렐리주맙, 스파르탈리주맙, ABBV-181, JNJ-63723283, BI 754091, MAG012, TSR-042, AGEN2034, 아벨루맙, 아테졸리주맙, 두르발루맙, LY3300054, 이필리무맙, 트레멜리무맙, 및 이의 임의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펨브롤리주맙, 니볼루맙, 세미플리맙, 티슬렐리주맙, 스파르탈리주맙, ABBV-181, JNJ-63723283, 아벨루맙, 아테졸리주맙, 두르발루맙, 이필리무맙, 트레멜리무맙, 및 이의 임의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PD-1의 억제제이며, 또한 항-PD-1로 지칭된다.
PD-1의 억제제는 PD-1을 표적화하는 항체, 특히 단일클론 항체, 및 비-항체 억제제, 예컨대 소분자 억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PD-1의 억제제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펨브롤리주맙, 니볼루맙, 세미플리맙, 티슬렐리주맙, 스파르탈리주맙, ABBV-181, JNJ-63723283, BI 754091, MAG012, TSR-042, 및 AGEN2034를 포함한다.
펨브롤리주맙은 또한 MK-3475, MK03475, 람브롤리주맙 (lambrolizumab), 또는 SCH-900475로 공지되어 있다. 펨브롤리주맙의 상표명은 Keytruda®이다.
니볼루맙은 또한 ONO-4538, BMS-936558, MDX1106, 또는 GTPL7335로 공지되어 있다. 니볼루맙은의 상표명은 Opdivo®이다.
세미플리맙은 또한 REGN2810 또는 REGN-2810으로 공지되어 있다.
티슬렐리주맙은 또한 BGB-A317로 공지되어 있다.
스파르탈리주맙은 또한 PDR001 또는 PDR-001로 공지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펨브롤리주맙, 니볼루맙, 세미플리맙, 티슬렐리주맙, 스파르탈리주맙, ABBV-181, JNJ-63723283, BI 754091, MAG012, TSR-042, AGEN2034, 및 이의 임의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펨브롤리주맙, 니볼루맙, 세미플리맙, 티슬렐리주맙, 스파르탈리주맙, ABBV-181, JNJ-63723283, 및 이의 임의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PD-L1의 억제제이며, 또한 항-PD-L1로 지칭된다.
PD-L1의 억제제는 PD-L1을 표적화하는 항체, 특히 단일클론 항체, 및 비-항체 억제제, 예컨대 소분자 억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PD-L1의 억제제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아벨루맙, 아테졸리주맙, 두르발루맙 및 LY3300054를 포함한다.
아벨루맙은 또한 MSB0010718C, MSB-0010718C, MSB0010682, 또는 MSB-0010682로 공지되어 있다. 아벨루맙의 상표명은 Bavencio®이다.
아테졸리주맙은 또한 MPDL3280A (클론 YW243.55.S70), MPDL-3280A, RG-7446 또는 RG7446으로 공지되어 있다. 아테졸리주맙의 상표명은 Tecentriq®이다.
두르발루맙은 또한 MEDI4736 또는 MEDI-4736으로 공지되어 있다. 두르발루맙의 상표명은 Imfinzi®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아벨루맙, 아테졸리주맙, 두르발루맙, LY3300054, 및 이의 임의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아벨루맙, 아테졸리주맙, 두르발루맙, 및 이의 임의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또한 항-CTLA-4로 지칭되는 CTLA-4의 억제제이다.
CTLA-4의 억제제는 CTLA-4를 표적화하는 항체, 특히 단일클론 항체, 및 비-항체 억제제, 예컨대 소분자 억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CTLA-4의 억제제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이필리무맙 및 트레멜리무맙을 포함한다.
이필리무맙은 또한 BMS-734016, MDX-010, 또는 MDX-101로 공지되어 있다. 이필리무맙의 상표명은 Yervoy®이다.
트레멜리무맙은 또한 티실리무맙 (ticilimumab), CP-675, 또는 CP-675,206으로 공지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이필리무맙, 트레멜리무맙, 및 이의 임의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IDO의 억제제 또는 TDO의 억제제이며, 이는 또한 각각 항-IDO 또는 항-TDO로 지칭된다.
IDO의 억제제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메틸-D-트립토판 (또한 인독시모드 (indoximod)로 공지되어 있음), 에파카도스타트 (epacadostat) (또한 INCB24360으로 공지되어 있음), 나복시모드 (navoximod) (또한 IDO-IN-7 또는 GDC-0919로 공지되어 있음), 린로도스타트 (linrodostat) (또한 BMS-986205로 공지되어 있음), PF-06840003 (또한 EOS200271로 공지되어 있음), TPST-8844, 및 LY3381916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와 함께 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은 적어도 하나의 T 세포 작용제 (때때로 또한 체크포인트 작용제로 지칭됨)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와 함께 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은 T 세포 작용제 요법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T 세포 작용제 요법은 적어도 하나의 T 세포 작용제의 대상체에의 투여로 규정된다.
T-세포 작용제는 T 세포와 같은 면역 세포에서 발현되는 자극 수용체를 활성화함으로써 작용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자극 수용체"는 활성화시 자극 신호를 유도하여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는 수용체를 지칭한다. 암 치료로서 T 세포 작용제 요법은 종양에 존재하는 면역 세포에서 발현되는 자극 수용체를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T 세포 작용제 요법은 종양에 존재하는 T 세포, 즉, 종양 침윤 T 세포의 활성화를 향상시키고 따라서 종양 세포에 대한 대상체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현재, T 세포 작용제 치료에 대한 많은 잠재적 표적이 확인되었다.
T 세포 작용제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또한 4-1BB 또는 TNFRS9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 슈퍼패밀리, 멤버 9)로 공지된 CD137의 작용제 (분화 클러스터 137); 또한 CD134의 작용제 (분화 클러스터 134) 또는 TNFRSF4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 슈퍼패밀리, 멤버 4)로 공지된 OX40 수용체; GITR의 작용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유도 TNF 수용체 패밀리-연관 단백질); ICOS의 작용제 (유도성 공자극인자); CD27-CD70의 작용제 (분화 클러스터 27-분화 클러스터 70); 및 CD40의 작용제 (분화 클러스터 40)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T 세포 작용제는 CD137의 작용제, OX40의 작용제, GITR의 작용제, ICOS의 작용제, CD27-CD70의 작용제, CD40의 작용제 및 이의 임의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CD137의 작용제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우토밀루맙 (utomilumab) 및 우렐루맙 (urelumab)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와 함께 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은 백신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와 함께 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은 백신화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와 함께 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은 치료 백신 (때때로 또한 치료 백신으로 지칭됨)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와 함께 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은 치료 백신화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치료 백신은 적어도 하나의 종양 특이적 항원 (예를 들어, 긴 합성 펩타이드 또는 SLP), 또는 상기 종양 특이적 항원을 인코딩하는 핵산의 투여; 종양 세포에 선택적으로 유입되고/거나 복제하는 재조합 바이러스 벡터의 투여; 종양 세포의 투여; 및/또는 종양 특이적 항원을 제시하고 이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발하도록 조작된 면역 세포 (예를 들어, 수지상 세포)의 투여로 규정된다.
암 치료제로서, 치료 백신은 종양 세포에 대한 대상체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종양 세포에 대한 대상체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치료 백신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이러스-벡터 기반 치료 백신, 예컨대 아데노바이러스 (예를 들어, 종양 용해성 아데노바이러스), 백시니아 바이러스 (vaccinia virus) (예를 들어, 변형된 백시니아 앙카라 (vaccinia Ankara) (MVA)), 알파 바이러스 (예를 들어, 셈리키 포레스트 바이러스 (Semliki Forrest virus) (SFV)), 홍역 바이러스, 단순 포진 바이러스 (HSV) 및 콕사키바이러스 (coxsackievirus); 긴 합성 펩타이드 (SLP) 백신; RNA 기반 백신 및 수지상 세포 백신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와 함께 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은 항체 요법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와 함께 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은 항체 요법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항체 요법은 적어도 하나의 항체의 대상체에의 투여로 규정된다.
암 치료로서, 항체 요법은 특히 파괴하기 위한 암세포를 표적화하거나, 종양에 존재하는 T 세포의 활성화를 자극하거나, 종양에 존재하는 T 세포의 억제를 방지함으로써 암세포에 대한 대상체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거나, 암세포의 성장 또는 확산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항체 요법"은 단일클론 항체, 다클론 항체, 다중 사슬 항체, 단일 사슬 항체, 단일-도메인 항체, 항체 단편, 항체 도메인, 항체 모방체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 예컨대 이중특이적 항체의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항체는 파괴하기 위해 암 세포 또는 종양 세포를 표적화하기 위한 것이다.
파괴를 위해 암 세포 또는 종양 세포를 표적화하는 항체, 특히 단일클론 항체의 예는 종양-특이적 항체, 특히 종양-특이적 단일클론 항체를 포함한다. 종양-특이적 항체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암 세포 또는 종양 세포의 세포 표면 마커를 표적화하는 항체, 암 세포 또는 종양 세포의 성장 또는 확산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표적화하는 항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항체는 종양에 존재하는 T 세포의 활성화를 자극하기 위한 것이거나 자극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양에 존재하는 T 세포의 활성화를 자극하는 항체, 특히 단일클론 항체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항-CD137 항체 및 항-OX40 항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항체는 종양에 존재하는 T 세포의 억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거나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양에 존재하는 T 세포의 억제를 방지하는 항체, 특히 단일클론 항체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항-PD-1 항체 (예컨대 펨브롤리주맙, 니볼루맙, 세미플리맙, 티슬렐리주맙, 및 스파르탈리주맙), 항-PD-L1 항체 (예컨대 아벨루맙, 아테졸리주맙, 및 두르발루맙) 및 항-CTLA-4 항체 (예컨대 이필리무맙 및 트레멜리무맙)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항체는 암 세포의 성장 또는 확산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거나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암 세포의 성장 또는 확산을 억제하는 항체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항-HER2 항체 (예컨대 트라스투주맙 (trastuzumab))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와 함께 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은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 요법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와 함께 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은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 요법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 요법은 적어도 하나의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의 대상체에의 투여로 규정된다.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는 정상의 비암세포보다 암세포를 우선적으로 감염시키고 사멸시키는 바이러스로 규정된다. 암 치료로서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 요법은 암세포를 사멸시키고/거나 암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발 또는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변형된 단순 포진 1형 바이러스, 예컨대 탈리모겐 라헤르파렙벡 (talimogene laherparepvec) (T-VEC로도 공지됨) 또는 HSV-1716; Ad5-DNX-2401과 같은 변형된 아데노바이러스; MV-NIS와 같은 변형된 홍역 바이러스; 백시니아 바이러스 TG6002와 같은 변형된 백시니아 바이러스 (VV); 및 PVS-RIPO와 같은 변형된 폴리오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와 함께 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은 사이토카인 요법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와 함께 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은 사이토카인 요법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사이토카인 요법은 적어도 하나의 사이토카인, 특히 재조합 사이토카인의 대상체의 투여로 규정된다.
암 치료로서, 사이토카인 요법은 특히 면역 세포의 활성화를 자극함으로써 암 세포에 대한 대상체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사이토카인 요법으로서 투여될 수 있는 사이토카인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인터루킨-2 (IL-2) 및 인터페론-알파 (IFN-α)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서 면역요법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염성 질병에 대한 치료로서의 면역요법은 감염성 질병의 원인이 되는 감염성 물질에 대한 대상체의 면역 반응을 유도 및/또는 향상시키기 위해 대상체의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요법으로 규정된다.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방 백신, 치료 백신, 단일클론 항체, 사이토카인, T 세포의 입양 전달, 과립구 수혈, 및 체크포인트 억제제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와 함께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은 예방 백신화, 치료 백신화, 입양 T 세포 요법, 항체 요법,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와 함께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은 예방 백신 또는 치료 백신을 포함하는 백신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와 함께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요법은 백신화, 특히 예방 백신화 또는 치료 백신화이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 특히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암 면역요법 또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백신화의 애주번트로서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는 면역요법, 특히 암 면역요법 또는 백신화의 애주번트로서 사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는 면역요법, 특히 암 면역요법 또는 백신화를 강화(potentiate)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애주번트, 특히 암 면역요법 또는 백신화의 존재 하의 면역요법의 강화는 단독 투여되는 면역요법, 특히 암 면역요법 또는 백신화와 비교하여 규정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암 면역요법의 애주번트, 즉 구아나벤즈에 의한 상기 강화는 상기 암 면역요법의 대상체 수용체에서 관찰되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로서 규정된다:
- 림프구 (예를 들어, 세포독성 CD8+ T 세포 또는 NK 세포), 특히 종양-침윤 효과기 림프구의 수의 증가;
- 림프구 (예를 들어, 세포독성 CD8+ T 세포 또는 NK 세포), 특히 종양-침윤 효과기 림프구의 활성화의 증가;
- 림프구 (예를 들어, 세포독성 CD8+ T 세포 또는 NK 세포), 특히 종양-침윤 효과기 림프구의 적합도의 증가로서, 적합도는 상기 림프구에 의한 TCR-촉발 신호전달, 증식 및/또는 사이토카인 생성 및/또는 상기 림프구의 생존율에 의해 평가되는 증가;
- 림프구 (예를 들어, 세포독성 CD8+ T 세포 또는 NK 세포), 특히 종양-침윤 효과기 림프구의 생존율 또는 지속성의 증가;
- 억제 면역 세포, 예컨대 억제 골수 세포 (예를 들어 MDSC 및/또는 종양-연관 대식세포) 및/또는 억제 림프구 (예를 들어 T 조절 세포), 특히 종양-침윤 억제 면역 세포의 수의 감소;
- 억제 면역 세포, 예컨대 억제 골수 세포 (예를 들어 MDSC 및/또는 종양-연관 대식세포) 및/또는 억제 림프구 (예를 들어 T 조절 세포), 특히 종양-침윤 억제 면역 세포의 활성화의 감소;
- 억제 면역 세포, 예컨대 억제 골수 세포 (예를 들어 MDSC 및/또는 종양-연관 대식세포) 및/또는 억제 림프구 (예를 들어 T 조절 세포), 특히 종양-침윤 억제 면역 세포의 적합도의 감소로서, 적합도는 상기 억제 면역 세포에 의한 활성화, 증식 및/또는 사이토카인 생성 및/또는 상기 억제 면역 세포의 생존율로서 평가되는 감소;
- 억제 면역 세포, 예컨대 억제 골수 세포 (예를 들어 MDSC 및/또는 종양-연관 대식세포) 및/또는 억제 림프구 (예를 들어 T 조절 세포), 특히 종양-침윤 억제 면역 세포의 생존율의 감소;
- 종양 성장 및/또는 종양 크기의 감소; 및/또는
- 생존율의 증가.
상기 열거된 매개변수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또한, T 세포 또는 NK 세포와 같은 림프구의 수, 활성화, 적합도 및/또는 생존율을 결정하는 방법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대상체로부터 획득된 샘플, 특히 종양 샘플에 대해 수행된 FACS 분석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문헌[Zhu et al., 2017, Nat Commun 8, 1404] 참조).
일 실시형태에서, 백신화의 애주번트, 즉 구아나벤즈에 의한 상기 강화는 상기 백신화의 대상체 수용체에서 관찰되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로서 규정된다:
- 효과기 림프구 예컨대, 예를 들어, 세포독성 CD8+ T 세포, 특히 특이적 효과기 림프구의 수의 증가;
- 효과기 림프구 예컨대, 예를 들어, 세포독성 CD8+ T 세포, 특히 특이적 효과기 림프구의 활성화의 증가;
- 항원-특이적 항체의 양의 증가.
상기 열거된 매개변수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또한 림프구의 수, 활성화, 생존율을 결정하는 방법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대상체로부터 획득된 혈액 또는 종양 샘플과 같은 샘플에 대해 수행된 FACS 분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아나벤즈는 면역요법, 특히 암 면역요법 또는 백신화와 동시에, 개별적으로 또는 후속하여 투여되고, 이는 애주번트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후속 면역요법, 특히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암 면역요법의 조건화 요법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 (즉, 조건화 요법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는 후속 면역요법, 특히 암 면역요법의 대상체의 준비를 위한 것임)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구아나벤즈는 따라서 면역요법, 특히 입양 세포 요법,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 또는 백신화 전에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구아나벤즈는 면역요법, 특히 입양 세포 요법,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 또는 백신화 이전 및 그와 동시에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구아나벤즈는 면역요법, 특히 입양 세포 요법,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 또는 백신화 이전, 및 이후 연속하여 투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한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 특히 세포 면역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면역 반응, 특히 세포 면역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 치료 유효 용량의 구아나벤즈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한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 특히 세포 면역 반응을 자극 또는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면역 반응, 특히 세포 면역 반응을 자극 또는 강화하기 위한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 치료 유효 용량의 구아나벤즈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면역 반응, 특히 세포 면역 반응은 T 세포 반응 또는 NK 세포 반응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T 세포 반응은 알파 베타 (αβ) T 세포 반응 또는 감마 델타 (γδ) T 세포 반응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T 세포 반응은 세포독성 T 세포 반응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면역요법, 특히 입양 세포 요법을 위해 대상체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필요한 대상체에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은 면역요법, 특히 입양 세포 요법을 위해 대상체를 준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면역요법은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면역요법, 특히 입양 세포 요법을 위해 대상체를 준비하기 위한 상기 방법은 필요한 대상체에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치료 유효 용량의 구아나벤즈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을 대상체에 투여하기 전에, 동시에 및/또는 후에 연속하여 대상체에 투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한 대상체에서 면역요법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은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서 면역요법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필요한 대상체에서 면역요법을 강화하기 위한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치료 유효 용량의 구아나벤즈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을 대상체에 투여하기 전에, 동시에 및/또는 후에 연속하여 대상체에 투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고,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 면역요법 및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아나벤즈는 조건화 요법으로서 사용되어, 면역요법 및/또는 면역요법의 애주번트를 위해 대상체를 준비함으로써, 면역요법을 강화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 면역요법 및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치료 유효 용량의 구아나벤즈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을 대상체에 투여하기 전에, 동시에 및/또는 후에 연속하여 대상체에 투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한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고,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 면역요법 및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아나벤즈는 조건화 요법으로서 사용되어, 면역요법 및/또는 면역요법의 애주번트를 위해 대상체를 준비함으로써, 면역요법을 강화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필요한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기 위한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 면역요법 및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치료 유효 용량의 구아나벤즈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을 대상체에 투여하기 전에, 동시에 및/또는 후에 연속하여 대상체에 투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감염성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고,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 면역요법, 특히 백신화, 및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아나벤즈는 조건화 요법으로서 사용되어, 면역요법 및/또는 면역요법의 애주번트를 위해 대상체를 준비함으로써, 면역요법을 강화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필요한 대상체에서 감염성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 면역요법, 특히 백신화, 및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치료 유효 용량의 구아나벤즈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 특히 백신화를 대상체에 투여하기 전에, 동시에 및/또는 후에 연속하여 대상체에 투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한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한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 특히 세포 면역 반응을 자극 또는 강화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의 용도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면역 반응, 특히 세포 면역 반응은 T 세포 반응 또는 NK 세포 반응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T 세포 반응은 알파 베타 (αβ) T 세포 반응 또는 감마 델타 (γδ) T 세포 반응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T 세포 반응은 세포독성 T 세포 반응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속 면역요법을 위해 대상체를 준비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의 용도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암 면역요법 또는 백신화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한 대상체에서 면역요법을 강화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의 용도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암 면역요법 또는 백신화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의 용도이고, 상기 약제는 대상체에 후속 투여될 면역요법의 조건화 요법으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의 용도이고, 상기 약제는 대상체에 투여되거나 투여될 면역요법의 애주번트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과 조합한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면역요법과 조합한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과 조합하여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 특히 백신화와 조합한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 및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며,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애주번트 또는 면역요법의 조건화 요법으로서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및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 예컨대, 예를 들어, 체크포인트 억제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 및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1 부품 및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 예컨대, 예를 들어, 체크포인트 억제제를 포함하는 제2 부품을 포함하는 부품 키트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이온 교환기, 알루미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혈청 단백질, 예를 들어, 인간 혈청 알부민, 완충 물질, 예를 들어, 포스페이트, 글리신, 소르브산, 소르브산칼륨, 포화 식물성 지방산, 물, 염 또는 전해질의 부분 글리세리드 혼합물, 예를 들어 프로타민 술페이트,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수소칼륨, 염화나트륨, 아연 염, 콜로이드성 실리카,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폴리비닐 피롤리돈, 셀룰로스 기반 물질 (예를 들어,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아크릴레이트, 왁스, 폴리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양모 지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 또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부품 키트를 포함하는 약제이며, 상기 약제는 애주번트 또는 면역요법의 조건화 요법으로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과 동시에, 개별적으로 또는 후속하여 투여되고, 이는 애주번트 또는 조건화 요법으로서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구아나벤즈,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본 발명의 약제 또는 본 발명의 부품 키트는 대상체에의 투여를 위해 제형화된다. 본 발명의 구아나벤즈, 약제학적 조성물, 약제 또는 부품 키트는 경구, 비경구, 국소, 흡입 스프레이, 직장, 비강, 협측, 질 또는 이식된 저장소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는 경구 투여에 적합한 형태이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구아나벤즈는 예를 들어 분말, 정제, 캡슐 등으로 또는 연장 또는 지속 방출을 위해 제형화된 정제로서 대상체에게 경구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약제 또는 부품 키트는 경구 투여에 적합한 형태이다. 즉,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약제 또는 부품 키트는 경구 투여에 적합한 형태의 구아나벤즈 및 선택적으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을 포함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형태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액체, 페이스트 또는 고체 조성물, 더욱 특히 정제, 연장 또는 지속 방출을 위해 제형화된 정제, 캡슐, 알약, 당의정, 액체, 겔, 시럽, 슬러리(slurry) 및 현탁액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는 주사에 적합한 형태이다. 따라서, 하나의 경우, 구아나벤즈는 정맥내, 근육내, 복강내, 흉막내, 피하, 경피 주사 또는 주입에 의해 대상체에 주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약제 또는 부품 키트는 예를 들어 정맥내, 피하, 근육내, 피내, 경피 주사 또는 주입와 같이 주사에 적합한 형태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약제 또는 부품 키트는 예를 들어 정맥내, 근육내, 복강내, 흉막내, 피하, 경피 주사 또는 주입와 같은 주사에 적합한 형태의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 및 선택적으로 면역요법을 포함한다.
구아나벤즈의 멸균 주사 형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약제는 용액 또는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일 수 있다. 이러한 현탁액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를 사용하여 당 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멸균 주사 제조물은 또한 비 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멸균 주사 용액 또는 현탁액일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허용 가능한 비히클 및 용매 중에는 물, 링거 용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또한, 멸균 고정 오일은 일반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 사용된다. 이를 위해 합성 모노글리세리드 또는 디글리세리드를 포함한 임의의 블랜드 고정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올레산 및 이의 글리세리드 유도체와 같은 지방산은 특히 폴리옥시에틸화 버전의 올리브유 또는 피마자유와 같은 천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오일과 같이 주사제 제조에 유용하다. 이러한 오일 용액 또는 현탁액은 또한 장쇄 알코올 희석제 또는 분산제, 예를 들어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또는 에멀젼 및 현탁액을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투여 형태의 제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사한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고체, 액체 또는 다른 투여 형태의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Tweens, Spans 및 기타 유화제 또는 생체이용률 향상제와 같은 기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가 또한 제형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는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형태이다. 따라서 하나의 경우 구아나벤즈는 비경구적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약제 또는 부품 키트는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형태이다. 즉,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약제 또는 부품 키트는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형태의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 및 선택적으로 면역요법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는 국소 투여에 적합한 형태이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구아나벤즈는 국소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약제 또는 부품 키트는 국소 투여에 적합한 형태이다. 즉,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약제 또는 부품 키트는 국소 투여에 적합한 형태의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 및 선택적으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을 포함한다.
국소 투여에 적합한 형태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액체, 페이스트 또는 고체 조성물, 더욱 특히 수용액, 점적, 분산액, 스프레이, 마이크로캡슐, 마이크로 또는 나노입자, 중합체 패치 또는 제어 방출 패치 등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는 직장 투여에 적합한 형태이다. 따라서 하나의 경우 구아나벤즈는 직장으로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약제 또는 부품 키트는 직장 투여에 적합한 형태이다. 즉,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약제 또는 부품 키트는 직장 투여에 적합한 형태의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 및 선택적으로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을 포함한다.
직장 투여에 적합한 형태의 예에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좌약, 미세 관장, 관장, 겔, 직장 폼, 크림, 연고 등이 포함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부품 키트는 경구 투여에 적합한 형태인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 및 주사, 예를 들어, 정맥내, 근육내, 복강내, 흉막내, 피하, 경피 주사 또는 주입에 적합한 형태의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을 포함한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부품 키트는 대상체에게 경구 투여되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 및 대상체에 주사, 예를 들어, 정맥내, 근육내, 복강내, 흉막내, 피하, 경피 주사 또는 주입에 의해 투여되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부품 키트는 주사, 예를 들어 정맥내, 근육내, 복강내, 흉막내, 피하, 경피 주사 또는 주입에 적합한 형태인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 및 경구 투여에 적합한 형태인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을 포함한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부품 키트는 대상체에 주사, 예를 들어 정맥내, 근육내, 복강내, 흉막내, 피하, 경피 주사 또는 주입에 의해 투여되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 및 대상체에 경구 투여되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구아나벤즈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 이전에 및/또는 그와 동시에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구아나벤즈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 1주 내지 1시간 전,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 1일 전에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면역요법은 입양 세포 요법이며, 구아나벤즈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 세포가 전달된 날 (들) 이전에 또는 동일한 날 (들)에 투여된다.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면역요법은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checkpoint inhibitor therapy)이며, 구아나벤즈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체크포인트 억제제가 투여된 날 (들) 이전에 또는 동일한 날 (들)에 투여된다.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면역요법은 백신화이며, 구아나벤즈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백신화가 투여된 날 (들) 이전에 또는 동일한 날 (들)에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구아나벤즈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 이전에 1, 2, 3회 이상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구아나벤즈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 이전에 및/또는 그와 동시에 및 이후 연속하여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구아나벤즈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 이전에 또는 그와 동시에 및 이후 후속하여 적어도 1, 2, 3, 4, 5, 6, 7, 8, 9, 또는 10일 동안 투여된다.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구아나벤즈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 이전에 또는 그와 동시에 및 이후 후속하여 적어도 1, 2, 3, 4, 5, 6, 7, 8, 9, 또는 10주 동안 투여된다.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구아나벤즈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 이전에 또는 그와 동시에 및 이후 후속하여 적어도 1, 2, 3, 4, 5, 6, 7, 8, 9, 또는 10개월 동안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면역요법은 입양 세포 요법이며, 구아나벤즈는 상기 입양 세포 요법 이전에 및/또는 그와 동시에 및 이후 연속하여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면역요법은 입양 세포 요법이며, 구아나벤즈는 상기 입양 세포 요법 이전에 및/또는 그와 동시에 및 이후 후속하여 적어도 1, 2, 3, 4, 5, 6, 7, 8, 9, 또는 10주 동안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면역요법은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이며, 구아나벤즈는 상기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 이전에 및/또는 그와 동시에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면역요법은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이며, 구아나벤즈는 상기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 이전에 및/또는 그와 동시에 및 이후 연속하여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면역요법은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이며, 구아나벤즈는 상기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 이전에 또는 그와 동시에 및 이후 후속하여 적어도 1, 2, 3, 4, 5, 6, 7, 8, 9, 또는 10주 동안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면역요법은 백신화이며 구아나벤즈는 상기 백신화 이전에 및/또는 그와 동시에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면역요법은 백신화이며 구아나벤즈는 상기 백신화 이전에 및/또는 그와 동시에 및 이후 연속하여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면역요법은 백신화이며, 구아나벤즈는 상기 백신화 이전에 및/또는 그와 동시에 및 이후 후속하여 적어도 1, 2, 3, 4, 5, 6, 7, 8, 9, 또는 10주 동안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치료 유효 용량의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는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해 투여되고, 상기 구아나벤즈는 애주번트 또는 면역요법의 조건화 요법으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약제 또는 부품 키트는 치료 유효 용량의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아나벤즈 및 선택적으로 치료 유효 용량의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면역요법을 포함한다.
구아나벤즈의 1일 총 사용량은 건전한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주치의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임의의 특정 대상체에 대한 특정 용량은 치료할 암 또는 감염성 질병;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및 의학 분야에서 잘 공지된 인자 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달라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이고, 구아나벤즈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치료 유효 용량은 약 0.01 mg/킬로 체중 (mg/kg) 내지 약 30 mg/kg, 바람직하게는 약 0.01 mg/kg 내지 약 15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1 mg/kg 내지 약 7 mg/kg 범위의 용량이다.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며, 구아나벤즈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치료 유효 용량은 약 0.01 mg/kg 내지 약 4.5 mg/kg, 바람직하게는 약 0.01 mg/kg 내지 약 2 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1 mg/kg 내지 약 1 mg/kg의 범위의 용량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며, 구아나벤즈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치료 유효 용량은 약 0.01 mg/킬로 체중/일 (mg/kg/일) 내지 약 30 mg/kg/일, 바람직하게는 약 0.01 mg/kg/일 내지 약 15mg/kg/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1 mg/kg/일 내지 약 7 mg/kg/일의 범위의 용량이다.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며, 구아나벤즈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치료 유효 용량은 약 0.01 mg/kg/일 내지 약 4.5 mg/kg/일, 바람직하게는 약 0.01 mg/kg/일 내지 약 2 mg/kg/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1 mg/kg/일 내지 약 1 mg/kg/일의 범위의 용량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며, 구아나벤즈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치료 유효 용량은 약 1 mg 내지 약 2000 mg, 바람직하게는 약 1 mg 내지 약 1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mg 내지 약 500 mg의 범위의 용량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며, 구아나벤즈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치료 유효 용량은 약 1 mg 내지 약 320 mg, 바람직하게는 약 1 mg 내지 약 150 mg의 범위의 1일 용량이다.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며, 구아나벤즈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치료 유효 용량은 약 1 내지 약 100 mg, 바람직하게는 약 1 mg 내지 약 70 mg의 범위의 용량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며, 구아나벤즈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치료 유효 용량은 약 1 mg 내지 약 2000 mg, 바람직하게는 약 1 mg 내지 약 1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mg 내지 약 500 mg의 범위의 1일 용량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며, 구아나벤즈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치료 유효 용량은 약 1 mg 내지 약 320 mg, 바람직하게는 약 1 mg 내지 약 150 mg의 범위의 1일 용량이다.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며, 구아나벤즈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치료 유효 용량은 약 1 내지 약 100 mg, 바람직하게는 약 1 mg 내지 약 70 mg의 범위의 1일 용량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며, 구아나벤즈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치료 유효 용량은 적어도 약 0.01, 0.02, 0.07, 0.15, 0.30, 0.42, 0.55, 0.70 또는 0.85 mg/kg의 용량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며, 구아나벤즈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치료 유효 용량은 적어도 약 0.01, 0.02, 0.07, 0.15, 0.30, 0.42, 0.55, 0.70 또는 0.85 mg/kg/일의 용량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며, 구아나벤즈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치료 유효 용량은 적어도 약 1, 2, 5, 10, 20, 30, 40, 50 또는 60 mg의 용량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며, 구아나벤즈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치료 유효 용량은 적어도 약 1, 2, 5, 10, 20, 30, 40, 50 또는 60 mg의 1일 용량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며, 구아나벤즈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치료 유효 용량은 약 0.057, 0.115, 0.23, 0.46 또는 0.92 mg/kg의 용량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며, 구아나벤즈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치료 유효 용량은 약 0.057, 0.115, 0.23, 0.46 또는 0.92 mg/kg/일의 용량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며, 구아나벤즈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치료 유효 용량은 약 4, 8, 16, 32 또는 64 mg의 용량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며, 구아나벤즈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치료 유효 용량은 약 4, 8, 16, 32 또는 64 mg의 1일 용량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며, 구아나벤즈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치료 유효 용량은 1, 2, 3회 이상 투여되는 1일 용량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며, 구아나벤즈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치료 유효 용량은 1, 또는 2회 투여되는 1일 용량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암은 급성 림프아구성 백혈병, 급성 골수아구성 백혈병 부신 암종, 담관암, 방광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결장직장암, 자궁내막암, 식도암, 위암, 위장관 기질 종양, 교모세포종, 두경부암, 간세포 암종, 호지킨 림프종, 신장암, 폐암, 흑색종, 메르켈 세포 피부암, 중피종, 다발성 골수종, 골수증식성 장애, 비호지킨 림프종, 난소암, 췌장암, 전립선암, 타액선암, 육종, 편평 세포 암종, 고환암, 갑상선암, 요로상피세포 암종, 및 포도막 흑색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암은 부인과 암 또는 종양이 아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암은 난소 암 또는 종양이 아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암은 급성 림프아구성 백혈병, 급성 골수아구성 백혈병 부신 암종, 담관암, 방광암, 유방암, 결장직장암, 식도암, 위암, 위장관 기질 종양, 교모세포종, 두경부암, 간세포 암종, 호지킨 림프종, 신장암, 폐암, 흑색종, 메르켈 세포 피부암, 중피종, 다발성 골수종, 골수증식성 장애, 비호지킨 림프종, 췌장암, 전립선암, 타액선암, 육종, 편평 세포 암종, 고환암, 갑상선암, 요로상피세포 암종, 및 포도막 흑색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암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암 면역요법에 내성인 암이다.
면역요법에 내성인 암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결장직장암, 췌장암 및 전립선암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암을 앓고 있는 대상체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암 면역요법에 내성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암은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고형 암"은 덩어리를 형성하지 않고 조직에 확산에 의해 침윤되는 암 (또는 악성 종양)과는 다른 별개의 종양 덩어리를 형성하는 임의의 암 (악성 종양으로도 지칭됨)을 포함한다.
고형 암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부신피질 암종, 항문암, 기저 세포 암종, 담관암, 방광암, 골암, 뇌 암 예컨대 교모세포종 또는 중추신경계 (CNS) 종양, 유방암 (예컨대 삼중 음성 유방암 및 염증성 유방암), 자궁경부암, 자궁암, 자궁내막암, 결장직장암 (CRC) 예컨대 결장 암종, 식도암, 안암 예컨대 망막모세포종, 담낭암, 위암 (또한 위장암으로 지칭됨), 위장관 암종, 위장관 기질 종양 (GIST), 두경부암 (예컨대 예를 들어 후두암, 구강인두암, 비인두 암종, 또는 인후암), 간암 예컨대 간세포 암종 (HCC), 호지킨 림프종, 카포시 육종 (Kaposi Sarcoma), 비만세포증, 골수섬유증, 폐암 (예컨대 폐 암종, 비-소세포 폐 암종 (NSCLC), 및 소세포 폐암), 늑막 중피종, 흑색종 예컨대 포도막 흑색종, 신경내분비계 종양, 신경모세포종, 난소암, 원발성 복막암, 췌장암, 부갑상선암, 음경암, 뇌하수체 선종, 전립선암 예컨대 거세 전달성 전립선암, 직장암, 신장암 예컨대 신장 세포 암종 (RCC), 흑색종 이외의 피부암 예컨대 메르켈 세포 피부암, 소장암, 육종 예컨대 연조직 육종, 편평 세포 암종, 고환암, 갑상선암, 및 요도암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암은 흑색종, 유방 암종, 결장 암종, 신장 암종, 부신피질 암종, 고환 기형종, 피부 육종, 섬유육종, 폐 암종, 선암종, 간 암종, 교모세포종, 전립선 암종 및 췌장 암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암은 흑색종, 유방 암종, 결장 암종, 신장 암종, 부신피질 암종, 고환 기형종, 피부 육종, 섬유육종, 폐 암종, 선암종, 간 암종, 교모세포종, 전립선 암종 및 췌장 암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고;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입양 세포 전달 요법,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 또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백신화, 특히 치료 백신화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암은 흑색종, 유방 암종, 결장 암종, 신장 암종, 부신피질 암종, 고환 기형종, 피부 육종, 섬유육종, 폐 암종, 선암종, 간 암종, 교모세포종, 전립선 암종 및 췌장 암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고;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입양 세포 전달 요법 또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백신화, 특히 치료 백신화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암은 흑색종, 유방 암종, 결장 암종, 신장 암종, 부신피질 암종, 고환 기형종, 피부 육종, 섬유육종, 폐 암종, 선암종, 간 암종, 교모세포종, 전립선 암종 및 췌장 암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고;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 또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백신화, 특히 치료 백신화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암은 흑색종, 유방 암종, 결장 암종, 신장 암종, 부신피질 암종, 고환 기형종, 피부 육종, 섬유육종, 폐 암종, 선암종, 간 암종, 교모세포종, 전립선 암종 및 췌장 암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고;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입양 세포 전달 요법 또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암은 흑색종, 유방 암종, 결장 암종, 신장 암종, 부신피질 암종, 고환 기형종, 피부 육종, 섬유육종, 폐 암종, 선암종, 간 암종, 교모세포종, 전립선 암종 및 췌장 암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고;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입양 세포 전달 요법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암은 흑색종, 유방 암종, 결장 암종, 신장 암종, 부신피질 암종, 고환 기형종, 피부 육종, 섬유육종, 폐 암종, 선암종, 간 암종, 교모세포종, 전립선 암종 및 췌장 암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고;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암은 흑색종, 유방 암종, 결장 암종, 신장 암종, 부신피질 암종, 고환 기형종, 피부 육종, 섬유육종, 폐 암종, 선암종, 간 암종, 교모세포종, 전립선 암종 및 췌장 암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고;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백신화, 특히 치료 백신화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전달성 고형 암, 즉, 적어도 하나의 전달성 종양이 원발성 종양 이외에 관찰되는 고형 암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높은 면역원성의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 즉, 면역요법에 쉽게 반응하는 고형 암 또는 종양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흑색종, 유방 암종, 결장 암종, 신장 암종, 부신피질 암종, 피부 육종, 폐 암종 및 간 암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높은 면역원성을 갖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흑색종, 유방 암종, 결장 암종, 신장 암종, 부신피질 암종, 피부 육종, 폐 암종 및 간 암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높은 면역원성을 갖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고;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입양 세포 전달 요법,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 또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백신화, 특히 치료 백신화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흑색종, 유방 암종, 결장 암종, 신장 암종, 부신피질 암종, 피부 육종, 폐 암종 및 간 암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높은 면역원성을 갖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고;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입양 세포 전달 요법 또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백신화, 특히 치료 백신화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흑색종, 유방 암종, 결장 암종, 신장 암종, 부신피질 암종, 피부 육종, 폐 암종 및 간 암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높은 면역원성을 갖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고;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 또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백신화, 특히 치료 백신화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흑색종, 유방 암종, 결장 암종, 신장 암종, 부신피질 암종, 피부 육종, 폐 암종 및 간 암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높은 면역원성을 갖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고;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입양 세포 전달 요법 또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흑색종, 유방 암종, 결장 암종, 신장 암종, 부신피질 암종, 피부 육종, 폐 암종 및 간 암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높은 면역원성을 갖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고;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입양 세포 전달 요법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흑색종, 유방 암종, 결장 암종, 신장 암종, 부신피질 암종, 피부 육종, 폐 암종 및 간 암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높은 면역원성을 갖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고;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흑색종, 유방 암종, 결장 암종, 신장 암종, 부신피질 암종, 피부 육종, 폐 암종 및 간 암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높은 면역원성을 갖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고;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백신화, 특히 치료 백신화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저 면역원성의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 즉, 면역요법에 쉽게 내성이 되는 고형 암 또는 종양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전립선 암종, 피부 육종, 섬유육종, 교모세포종, 췌장 암종 및 고환 기형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낮은 면역원성을 갖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전립선 암종, 피부 육종, 섬유육종, 교모세포종, 췌장 암종 및 고환 기형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낮은 면역원성을 갖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고;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입양 세포 전달 요법,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 또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백신화, 특히 치료 백신화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전립선 암종, 피부 육종, 섬유육종, 교모세포종, 췌장 암종 및 고환 기형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낮은 면역원성을 갖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고;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입양 세포 전달 요법 또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백신화, 특히 치료 백신화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전립선 암종, 피부 육종, 섬유육종, 교모세포종, 췌장 암종 및 고환 기형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낮은 면역원성을 갖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고;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 또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백신화, 특히 치료 백신화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전립선 암종, 피부 육종, 섬유육종, 교모세포종, 췌장 암종 및 고환 기형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낮은 면역원성을 갖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고;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입양 세포 전달 요법 또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전립선 암종, 피부 육종, 섬유육종, 교모세포종, 췌장 암종 및 고환 기형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낮은 면역원성을 갖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고;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입양 세포 전달 요법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전립선 암종, 피부 육종, 섬유육종, 교모세포종, 췌장 암종 및 고환 기형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낮은 면역원성을 갖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고;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전립선 암종, 피부 육종, 섬유육종, 교모세포종, 췌장 암종 및 고환 기형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낮은 면역원성을 갖는 고형 암 또는 고형 종양이고;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백신화, 특히 치료 백신화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흑색종, 예컨대 포도막 흑색종, 췌장암, 폐암 예컨대 폐 암종 또는 비-소세포 폐암, 늑막 중피종, 난소암, 원발성 복막암, 전립선암, 예컨대 거세 전달성 전립선암, 위장관 암종, 유방암, 간 암 예컨대 간세포 암종, 육종, 및 중추신경계 (CNS) 종양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흑색종, 예컨대 포도막 흑색종, 췌장암, 폐암 예컨대 폐 암종 또는 비-소세포 폐암, 늑막 중피종, 원발성 복막암, 전립선암, 예컨대 거세 전달성 전립선암, 위장관 암종, 유방암, 간 암 예컨대 간세포 암종, 육종, 및 중추신경계 (CNS) 종양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흑색종, 메르켈 세포 피부암, 호지킨 림프종, 폐암, 두경부암, 방광암, 및 신장 암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자궁경부암, 췌장암, 전립선암, 유방암, 위암, 및 교모세포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췌장암, 전립선암, 유방암, 위 암 및 교모세포종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흑색종, 결장직장 암 예컨대 결장 암종, 폐암, 두경부암, 및 방광 암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흑색종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흑색종이며,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입양 세포 전달 요법,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 또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백신화, 특히 치료 백신화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흑색종이며,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입양 세포 전달 요법 또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백신화, 특히 치료 백신화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흑색종이며,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 또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백신화, 특히 치료 백신화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흑색종이며,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입양 세포 전달 요법 또는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흑색종이며,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입양 세포 전달 요법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흑색종이며,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체크포인트 억제제 요법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고형 암은 흑색종이며, 면역요법은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백신화, 특히 치료 백신화이다.
본 명세서 상기에 규정된 바와 같이, "감염성 질병"은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감염성 물질 예컨대 바이러스, 박테리아, 진균 또는 원생동물 기생충에 의해 유발되는 임의의 질병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감염성 질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된다. 즉,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감염성 질병은 바이러스 감염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감염성 질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고, 면역요법은 백신화, 예컨대 예방 또는 치료 백신화이다.
바이러스 감염의 원인이될 수 있는 바이러스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아레나비리다 (Arenaviridae), 아스트로비리다 (Astroviridae), 비나비리다 (Birnaviridae), 브로모비리다 (Bromoviridae), 분이아비리다 (Bunyaviridae), 칼리시비리다 (Caliciviridae), 플로스테로비리다 (Closteroviridae), 코모비리다 (Comoviridae), 시스토비리다 (Cystoviridae), 플라비리다 (Flaviviridae), 플렉시비리다 (Flexiviridae), 헤파드나비리다 (Hepadnaviridae), 헤페비루스 (Hepevirus), 헤르페스비리다 (Herpesviridae), 레비비리다 (Leviviridae), 루테오비리다 (Luteoviridae), 모노네가비루세스 (Mononegaviruses), 모자이크 바이러스 (Mosaic virus), 지도비루세스 (Nidoviruses), 노다비리다 (Nodaviridae), 오르토믹소비리다 (Orthomyxoviridae), 파라믹소비리다 (Paramyxoviridae), 파필로마비리다 (Papillomaviridae), 피코비나비루스 (Picobirnavirus), 피코나비리다 (Picornaviridae), 포티비리다 (Potyviridae), 레오비리다 (Reoviridae), 레트로비리다 (Retroviridae), 세퀴비리다 (Sequiviridae), 테투이비루스 (Tenuivirus), 토가비리다 (Togaviridae), 톰부스비리다 (Tombusviridae), 토티비리다 (Totiviridae), 및 티모비리다 (Tymoviridae) 과의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감염성 질병은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HIV)에 의해 유발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감염성 질병은 에볼라바이러스 (ebolavirus), 예컨대 자이레 에볼라바이러스 (Zaire ebolavirus)에 의해 유발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감염성 질병은 박테리아에 의해 유발된다. 즉,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감염성 질병은 박테리아 감염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감염성 질병은 박테리아에 의해 유발되고, 면역요법은 백신화, 예컨대 예방 또는 치료 백신화이다.
박테리아 감염의 원인이될 수 있는 박테리아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실루스 안트라시스 (Bacillus anthracis) 및 락토바실루스를 포함하는 바실루스 (Bacillus); 브루셀라 (Brucella); B. 퍼투시스 (B. pertussis) 및 B. 브론치셉티카 (B. bronchiseptica)를 포함하는 보데텔라 (Bordetella); 캄플리오박터 (Camplyobacter); C. 시타시 (C. psittaci) 및 C. 트라코나티스 (C. trachornatis)를 포함하는 클라미디아 (Chlamydia); C. 디프테리아 (C. diphtheriae)를 포함하는 코리네박테리아 (Corynebacterium); E. 아에로게네스 (E. aerogenes)를 포함하는 엔테로박터 (Enterobacter); 엔테로코쿠스 (Enterococcus); E. 콜라이 (E. coli)를 포함하는 에세리키아 (Escherichia); F. 메닝고셉티쿰 (F. meningosepticum) 및 F. 오도라턴 (F. odoraturn)을 포함하는 플라보박테리아 (Flavobacterium); G. 바지날리스 (G. vaginalis)를 포함하는 가드네렐라 (Gardnerella); 클렙시엘라 (Klebsiella); L. 네우모필라 (L. pneumophila)를 포함하는 레지오넬라 (Legionella); 리스테리아 (Listeria); M. 투베쿨로시스 (M. tuberculosis), M. 인트라셀룰라 (M. intracellulare), M. 폴루이턴 (M. folluiturn), M. 라프라 (M. laprae), M. 아비움 (M. avium), M. 보비스 (M. bovis), M. 아프리카눔 (M. africanum), M. 칸사시 (M. kansasii), 및 M. 레프라에누리움 (M. lepraernurium)을 포함하는 미코박테리아 (Mycobacterium); N. 고노호에아 (N. gonorrhoeae) 및 N. 메닝지티데스 (N. meningitides)를 포함하는 네이세리아 (Neisseria); 노카디아 (Nocardia); P. 미라빌리스 (P. mirabilis) 및 P. 불가리스 (P. vulgaris)를 포함하는 프로테우스 (Proteus); P. 아에루기노사 (P. aeruginosa)를 포함하는 슈도모나스 (Pseudomonas); R. 리케트시 (R. rickettsii)를 포함하는 리케트시아 (Rickettsia); S. 마세센스 (S. marcescens) 및 S. 리쿠에파시엔스 (S. liquefaciens)를 포함하는 세라티아 (Serratia); 스타필로코쿠스 (Staphylococcus); S. 소말리엔시스 (S. somaliensis)를 포함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Streptomyces); S. 피오게네스 (S. pyogenes)를 포함하는 스트렙토코쿠스 (Streptococcus); 및 트레포네마 (Treponema)의 속의 박테리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감염성 질병은 결핵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감염성 질병은 진균에 의해 유발된다. 즉,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감염성 질병은 진균 감염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감염성 질병은 진균에 의해 유발되고, 면역요법은 백신화, 예컨대 예방 또는 치료 백신화이다.
진균 감염의 원인이될 수 있는 진균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아스퍼길루스 (Aspergillus), 칸디다 (Candida), 크립토코쿠스 (Cryptococcus), 에피더모피톤 (Epidermophyton), 마이크로스포룸 (Microsporum) 및 트리코피톤 (Trichophyton)의 속의 진균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감염성 질병은 원생동물 기생충에 의해 유발된다. 즉,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감염성 질병은 원생동물 감염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감염성 질병은 원생동물 기생충에 의해 유발되고, 면역요법은 백신화, 예컨대 예방 또는 치료 백신화이다.
원생동물 감염의 원인이될 수 있는 원생동물 기생충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코시디아 (Coccidia), 레이스마니아 (Leishmania), 플라스모디움 (Plasmodium), 톡소플라스마 (Toxoplasma) 및 트리바노소마 (Trypanosoma)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감염성 질병은 말라리아이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된다.
실시예 1:
재료 및 방법
재료
마우스
TiRP 마우스: Ink4a/Arfflox/flox 마우스를 티로시나제 프로모터에 의해 제어되는 트랜스제닉 작제물을 보유하고 MAGE-유형 종양 항원 P1A를 인코딩하는 H-Ras12V 및 Trap1a의 발현을 유도하는 마우스와 교배시켜 TiRP 마우스를 생성하였고; 상기 프로모터는 플록화된 (floxed) 자가-결실 CreER로 구성된 정지 카세트에 의해 코딩 영역으로부터 분리된다 (문헌[Huijbers et al., 2006, Cancer Res 66, 3278-3286]). 이 마우스를 B10.D2 백그라운드로 역교배시키고 동형접합성으로 사육하였다. H-2Ld/P1A35-43 특이적 TCR 전이유전자에 대해 이형접합성인 TCRP1A 마우스를 B10.D2;Rag1-/- 백그라운드에 유지시켰다 (문헌[Shanker et al., 2004, J Immunol 172, 5069-5077]). 이 연구에 사용된 모든 마우스는 Ludwig 암 연구소의 동물 시설에서 특정 병원균이 없는 (SPF) 조건에서 생성하였다. 동물 복지에 관한 모든 규칙을 2010/63/EU 지침에 따라 준수하였다. 모든 절차는 2015/UCL/MD/15를 참조하여 지역 동물 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수행하였다.
TiRP 유래 T429.11 이식 흑색종 모델: T429.11 클론을 T429로 지칭되는 유도된 Amela TiRP 종양으로부터 유도하였다. 이를 T429 유도 흑색종 원발 종양 계통으로부터 클로닝(cloning)하였다. 종양 확립을 위해 2백만개의 T429.11 종양 세포를 수용체 마우스에 피하 주사하였다 (문헌[Zhu et al, Nat Commun. 2017, 10;8(1):1404]).
세포
마우스 TCRP1A CD8+ T 세포: P1A-특이적 (TCRP1A) CD8+ T 세포를 항-마우스 CD8α (Ly-2) MicroBeads (Miltenyi Biotec)를 사용하여 TCRP1A 마우스의 비장 및 림프절로부터 단리하였다.
인간 항-WT1 CD8 + T 세포: HLA A2에 의해 제시된 WT1 126-134 펩타이드에 대한 재조합 TCR을 인코딩하는 cDNA 작제물을 혈색소침착증 환자의 PBMC (말초 혈액 단핵 세포)에 도입한 다음 TCR+ CD8+ T 세포를 분류하고 WT1126-134 HLA2 사량체를 사용하여 클로닝하였다. T 세포를 이어서 IL2 (100 U/mL)의 존재하에 조사된 동종이형 EBVB 세포 및 WT1126-134 펩타이드로 펄싱된 조사된 T2 세포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방법
시험관내 T 세포 기능
CD107 세포독성 분석 (탈과립화 분석): TCRP1A CD8+ T 세포를 다양한 농도의 구아나벤즈와 함께 96 U 플레이트에 웰당 50,000개 세포로 플레이팅하고 다음 날 분석에 사용하기 전에 밤새 37℃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분석 당일, 배양 상청액을 세포로부터 제거하고 세포를 완전 배지로 1회 세척하여 약물을 제거하였다. 표적 세포 L1210-P1A-B7.1을 1:1의 비율로 웰에 첨가하였다. T 세포 또는 표적 세포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대조군 웰이 또한 각 플레이트에 포함되었다. CD107a-APC를 표적 세포의 첨가와 동시에 각 웰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37℃에서 9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기간이 끝날 때 세포를 수확하고 PBS로 1회 세척하였다. 이를 항-마우스 CD8-Bv421 항체로 15분 동안 염색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세척하고 PBS에 재현탁시키고 FACS Fortessa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인간 CD8+ T 세포 탈과립화를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CD8+ T 세포 탈과립화를 유도하기 위해, 합성 WT1126-134 펩타이드가 로딩된 T2 세포 (106개의 T2 세포를 37℃에서 100 μmol/L 합성 펩타이드가 포함된 200 μL Optimem 배지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함)를 표적 세포로 사용하였다.
IFNγ 분비 분석: CD8+ T 세포를 IL2가 보충된 전체 배지에서 상이한 농도의 구아나벤즈와 함께 96 U 플레이트에서 웰당 50,000개 세포로 플레이팅하고 다음 날 분석에 사용하기 전에 밤새 37℃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분석 당일, 배양 상청액을 세포로부터 제거하고 세포를 완전 배지로 1회 세척하여 약물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WT1126-134 펩타이드가 로딩된 표적 세포 L1210-P1A-B7.1 또는 T2 세포를 1:1의 비율로 웰에 첨가하였다. T 세포 또는 효과기 세포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대조군 웰이 또한 각 플레이트에 포함되었다. 그 다음 플레이트를 37℃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기간이 끝날 때 상청액을 수집하고 IFNγ의 양을 제조업체의 지침 (R&D)에 따라 ELISA로 측정하였다.
4OH-타목시펜에 의한 종양 유도
4OH-타목시펜 (Imaginechem)을 100% 에탄올과 미네랄 오일 (비율 1:9)에 용해시킨 다음 30분 초음파 처리하여 4OH-타목시펜의 새로운 용액을 제조하고, 성별이 일치하는 7주령 TiRP 마우스의 목 부위에 피하 주사하였다 (2 mg/200 μL/마우스). 종양 출현을 매일 모니터링하고 종양을 주 3회 측정하였다. 종양 부피 (mm3)를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부피 = 너비2 x 길이/2. 지정된 바와 같이 평균 부피가 400 mm3, 500 mm3 또는 1000 mm3일 때 종양-보유 TiRP 마우스를 종양 크기를 기반으로 하여 무작위 분류하였다.
구아나벤즈 투여
T 세포를 지정된 바와 같이 16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구아나벤즈 (10, 20, 또는 40 μM)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마우스에 무작위 분류 당일 (및 적용 가능한 경우 ACT 당일)부터 희생 당일까지 구아나벤즈 (5 mg/kg) 또는 비히클 (PBS)의 복강내 주사를 매일 제공하였다.
TCRP1A CD8 + T 세포에 의한 입양 세포 전달
입양 세포 전달 (ACT)을 위해, P1A-특이적 (TCRP1A) CD8+ T 세포를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TCRP1A 마우스의 비장 및 림프절로부터 단리하고 L-아르기닌 (0.55 mM, Merck), L-아스파라긴 (0.24 mM, Merck), 글루타민 (1.5 mM, Merck), 베타머캅토에탄올 (50 μM, Sigma), 50 UmL-1 페니실린 및 50 mg mL-1 스트렙토마이신 (Life Technologies)이 보충되고 10% 소 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IMDM (GIBCO)에서 1:2 비율 (0.5x105 CD8+ T 세포 및 105 L1210-P1A-B7.1 세포/웰, 48-웰 플레이트)로 조사된 (10.000 rads) L1210-P1A-B7.1 세포 (문헌[Gajewski et al., 1995, J Immunol 154, 5637-5648])와의 공동 배양에 의해 시험관내에서 자극하였다. 4일 후, TCRP1A CD8+ T 세포를 Lymphoprep 구배 (StemCell)에서 정제하고 200 μL PBS 중 107개의 생존 세포를 무작위 분류 당일 TiRP-종양 보유 마우스에 정맥내 주사하였다.
결과
T 세포 기능에 대한 구아나벤즈의 시험관내 효과
P1A 항원을 발현하는 L1210-P1A 세포와 공동 배양된 뮤린 P1A-특이적 (TCRP1A) CD8+ T 세포를 구아나벤즈와 함께 16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터페론 감마 (IFNγ)의 탈과립화 및 분비를 검출하여 항원 인식 후 T 세포 기능을 평가하였다. 도 1a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아나벤즈와 뮤린 T 세포의 인큐베이션은 T 세포 탈과립화 (도 1a)와 IFNγ의 분비 (도 1b)를 모두 증가시켰다. WT1 펩타이드로 펄싱된 표적 세포와 공동 배양되고 구아나벤즈와 함께 인큐베이션된 인간 항-WT1 CD8+ T 세포에서 유사한 결과가 획득되었다 (도 1c도 1d). 따라서 도 1에 나타난 결과는 구아나벤즈가 시험관내에서 T 세포 기능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TiRP 유래 T429.11 이식 흑색종 모델에서의 생체내 효과
T429.11 이식 흑색종 모델은 이전에 항-PD-1 및 항-CTLA4 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헌[Zhu et al., Nature Communications. Nov 10 2017;8 (1):1404]). T429.11 이식 종양 보유 마우스에 종양 크기가 약 1000 mm3 (1일)인 날부터 희생 당일 (6일)까지 구아나벤즈 (5 mg/kg, i.p.) 또는 비히클 (PBS, i.p.)을 매일 주사하였다.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아나벤즈는 항-PD-1 및 항-CTLA4 요법의 부재 하에 구아나벤즈의 투여가 후기 단계 (1000 mm3 크기의 종양)에서 개시된 경우에도 종양 성장을 억제하였다.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감소된 종양 성장은 CD8+ T 세포의 증가된 종양 침윤을 수반하였다.
TiRP 흑색종 모델에서의 생체내 효과
TiRP는 P1A로도 지칭되는 것으로 MAGE 유형의 특이적 종양 항원의 발현과 함께 H-RasG12V의 타목시펜 유도 Cre 매개 발현 및 멜라닌 세포에서 Ink4A/Arf의 결실을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조작된 마우스 흑색종 모델이다. TiRP 모델은 입양 세포 전달 (ACT)과 같은 면역요법에 국소적으로 공격적이고 비감응성인 종양이 특징이다. 특히, TiRP 모델은 P1A 항원에 특이적인 활성화된 CD8+ T 세포 (TCRP1A CD8+ T 세포)의 ACT에 반응하지 않는다. 반응의 부재는 전달된 TCRP1A CD8+ T 세포가 아폽토시스를 겪고 며칠 안에 종양에서 사라진다는 사실에 의해 설명된다. TiRP 종양의 면역내성에 관여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는 Fas/Fas-리간드 축을 통한 종양 침윤 림프구 (TIL), 예를 들어, 종양-침윤 TCRP1A CD8+ T 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할 수 있는 다형핵 골수 유래 억제 세포 (PMN-MDSC)의 종양 농축이다 (문헌[Zhu et al., Nature communications. Nov 10 2017;8(1):1404]).
TiRP-종양 보유 마우스에 종양 크기가 약 400 mm3인 날부터 희생 당일까지 매일 구아나벤즈 주사를 투여하였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구아나벤즈는 예상컨대 내인성 항 종양 면역 반응을 강화함으로써 TiRP 종양 성장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대조군으로서, Rag1 유전자의 결실로 인해 T 세포가 부재하는 면역결핍 TiRP 마우스 (Rag 1-/-TiRP+/+ 마우스)에서 종양을 유도하였다. 종양이 약 500 mm3에 도달했을 때 TiRP-종양 보유 마우스에 희생 당일까지 매일 구아나벤즈 주사를 제공하였다. 놀랍게도, 구아나벤즈는 더 이상 효과적이지 않았으며 대조군과 비교할 때 TiRP 종양 성장의 감소를 유도하지 않았다 (도 4). 이 결과는 종양 성장에 대한 구아나벤즈의 억제 효과가 면역 매개임을 확인시켜 준다.
TiRP-종양 보유 마우스에 구아나벤즈 및 1000만개의 P1A-특이적 활성화된 CD8+ T 세포의 입양 세포 전달 (ACT)을 투여하였다. 따라서 구아나벤즈의 매일 주사를 종양 크기가 약 500 mm3인 ACT 당일부터 희생 당일까지 투여하였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구아나벤즈에 의해 면역내성 자가 흑색종 종양 (TiRP)이 입양 세포 전달 (ACT)에 강력하게 감응성(sensitized)이 되었다. 희생 당일 종양 성장 (도 5a) 및 종양 중량 (도 5b)은 둘 모두 ACT 단독과 비교하여 ACT와 함께 사용된 구아나벤즈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구아나벤즈 투여 후, CD8+ T 세포의 종양 침윤이 증가하고 (도 5c도 5d) 입양 전달된 CD8+ T 세포의 아폽토시스가 감소되었다 (도 5e). 더욱이, 종양 침윤된 CD8+ T 세포는 또한 CD69+ P1A-특이적 CD8+ T 세포의 증가된 백분율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구아나벤즈가 제공된 마우스에서 더 활성화되었다 (도 5f). 이러한 결과는 구아나벤즈가 입양 세포 전달의 치료 효능을 개선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앞선 실험에서, TiRP-종양 보유 마우스로의 전달 전에, P1A-특이적 CD8+ T를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사된 L1210-P1A-B7.1 세포와의 공동 배양에 의해 시험관내에서 사전 활성화시켰다. 실제로, 이전 연구에 따르면 나이브 TCRP1A CD8+ T 세포를 TiRP-종양 보유 마우스에 전달했을 때, 상기 나이브 CD8+ T 세포는 적절하게 프라이밍(priming)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헌[Soudja et al., Cancer research. May 1 2010;70(9):3515-3525]). ACT 당일부터 TiRP-종양 보유 마우스에 2백만개의 나이브 P1A 특이적 CD8+ T 세포의 입양 세포 전달 (ACT)을 투여하고 구아나벤즈를 매일 주사하였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아나벤즈가 제공된 TiRP 마우스에서 ACT 4일 후 P1A-특이적 CD8+ T 세포의 종양 침윤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마우스에 구아나벤즈를 투여했을 때, 전달된 나이브 CD8+ T 세포가 적절하게 프라이밍되고 종양을 점유하였다. 이 데이터는 구아나벤즈가 면역 억제 파괴를 해제하고 T 세포 항 종양 기능을 회복시키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와 같은 단일 면역요법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2:
재료 및 방법
재료
마우스
DBA/2 마우스 및 C57BL/6J 마우스를 면역 실험에 사용하였다.
방법
면역화
조사된 L1210-P1A-B7.1 종양 세포에 의한 면역화: DBA/2 마우스에 P1A 항원을 발현하는 1백만개의 조사된 L1210-P1A-B7.1 세포로 구성된 백신을 단독으로 또는 100 μg (5 mg/kg) 구아나벤즈와 함께 제공하였다. 투여시 구아나벤즈를 면역화 1시간 전(before)과 면역화 후 매일 제공하였다. 면역화가 제공되지 않은 마우스를 음성 대조군으로 포함시켰다.
오브알부민에 의한 면역화: C57BL/6J 마우스를 Alhydrogel 애주번트 2% (Sigma)에 흡착된 OVA 단백질 200 ug을 복강내 (ip) 주사하여 1회 면역화하였다. 이들 마우스에 100 μg (5 mg/kg)의 구아나벤즈 면역화 2시간 전 및 면역화 후 매일 투여하였다. 면역화가 제공되지 않은 마우스를 음성 대조군으로 포함시켰다.
면역 반응의 평가
세포내 IFNγ 염색: 면역화 1주일 후, 각 마우스의 혈액 및 비장을 수집하였다. 각각의 면역화된 마우스의 비장 및 혈액으로부터 유래된 세포를 10 μM OVA 펩타이드의 존재하에 37℃에서 96웰 U 바닥 플레이트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브레펠딘 A (Brefeldin A) (10 μg/mL)를 각 웰에 첨가하고 세포를 추가로 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CD8 및 IFNγ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IFNγ 생성 CD8+ T 세포의 양을 측정하여 각 마우스의 면역 반응을 평가하였다. 그런 다음 FACS Fortessa 유세포 분석에 의해 샘플을 조사하였다.
4량체 염색: 면역화 1주일 후 각 마우스의 비장을 수집하였다. 면역화된 마우스로부터 단리된 비장 세포를 배양하고 1:1의 비율로 L1210-P1A-B7.1 세포로 재자극하였다. 재자극 4일 후, P1A-항원 특이적 CD8+ T 세포를 PE-접합 P1A 사량체 및 APC-접합 항-CD8 항체로 염색하였다.
인터페론 감마 분비: 면역화 1주일 후 각 마우스의 비장을 수집하였다. 면역화된 마우스의 비장 세포를 1:1 비율로 L1210-P1A-B7.1 세포로 재자극하였다. 재자극 4일 후, 비장 세포를 수집하고 96 U 플레이트에서 웰당 50,000개 세포로 플레이팅하였다. L1210-P1A-B7.1 세포를 1:1의 비율로 각각의 표적 세포에 첨가하였다. 그 다음 플레이트를 37℃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이 끝날 때 세포로부터 상청액을 수집하고 분비된 IFNγ의 양을 제조업체의 지시 (R&D)에 따라 ELISA로 측정하였다.
결과
DBA/2 마우스를 106개의 조사된 L1210-P1A-B7.1 세포 (P1A 및 B7-1을 발현하는 L1210 백혈병 세포)로 구성된 백신으로 단독으로 또는 100 μg (5 mg/kg) 구아나벤즈와 함께 면역화하였다. 투여시 구아나벤즈를 백신 1 시간 전과 면역화 후 매일 제공하였다. 면역화되지 않은 마우스를 음성 대조군으로 포함시켰다.
면역 1주일 후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비장을 수집하였다. 단리된 비장 세포를 1:1 비율로 L1210-P1A-B7.1 세포로 재자극하였다. 재자극 4일 후, P1A-항원 특이적 CD8+ T 세포를 PE-접합된 P1A 사량체 및 APC-접합된 항-CD8 항체로 염색하였다. 따라서, 비장 세포 배양물에 포함된 CD8+ T 세포 총 수 중 P1A-항원 특이적 CD8+ T 세포의 백분율을 P1A-항원으로 재자극한 후 결정하였다. 도 7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아나벤즈를 백신과 함께 투여했을 때 P1A-항원으로 재자극한 후 음성 대조군 (즉, 면역화되지 않은 마우스)과 비교하여 또한 면역화 단독 (즉, 구아나벤즈 부재 하의 백신)과 비교하여 P1A-항원 특이적 CD8+ T 세포의 백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1A에 대한 면역화와 관련하여 구아나벤즈의 투여는 P1A-항원 특이적 CD8+ T 세포의 수를 증가시켰다.
면역 반응을 비장 유래 CD8+ T 세포로부터 IFNγ 분비를 평가함으로써 추가로 확인하였다. 단리된 비장 세포는 96 U 플레이트에서 웰당 50,000개 세포로 플레이팅하였다. L1210-P1A-B7.1 세포를 1:1의 비율로 각각의 표적 세포에 첨가하였다. 그 다음 플레이트를 37℃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이 끝날 때 세포로부터 상청액을 수집하고 분비된 IFNγ의 양을 ELISA로 측정하였다. 도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아나벤즈가 백신과 함께 투여되었을 때 L1210-P1A-B7.1 세포로 활성화된 후 비장 세포 IFNγ 분비가 음성 대조군 (즉, 면역화되지 않은 마우스)과 비교하여 또한 면역화 단독 (즉, 구아나벤즈 부재 하의 백신)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1A에 대한 면역화와 관련하여, 구아나벤즈의 투여는 P1A의 존재에 의해 활성화된 비장 세포의 기능을 증가시켰다.
종합하면, 이들 결과는 106개의 조사된 L1210-P1A-B7.1 세포로 구성된 백신을 사용하는 마우스 면역화 모델에서 구아나벤즈가 P1A에 대한 세포 면역 반응을 향상시키고, 특히 P1A-항원 특이적 CD8+ T 세포의 수를 증가시키고 P1A의 존재하에 활성화된 비장 세포의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애주번트로서 작용함을 보여준다.
애주번트로서 구아나벤즈의 효과를 또한 마우스에서 OVA 면역화 모델에서 평가하였다 (도 8). C57BL/6J 마우스를 Alhydrogel 애주번트 2% (Sigma)에 흡착된 200 μg의 OVA 단백질을 복강내 (i.p.) 주사하여 1회 면역화하였다. 마우스에 면역 2 시간 전과 후 매일 100 μg (5 mg/kg)의 구아나벤즈를 제공하였다. 면역화되지 않은 마우스를 음성 대조군으로 포함시켰다. 면역화 1주일 후 각 마우스의 혈액과 비장을 수집하였다. 마우스의 혈액 (도 8a) 또는 비장 (도 8b)에서 유래한 세포 배양물에서 CD8+ T의 총 수 중 IFNγ 생성 CD8+ T 세포의 백분율을 평가하여 면역 반응을 평가하였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아나벤즈를 백신과 함께 투여했을 때 OVA 펩타이드로 활성화한 후 IFNγ 생성 CD8+ T 세포의 백분율이 음성 대조군 (즉, 면역되지 않은 마우스)과 비교하여 현저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OVA 면역화 모델에서 구아나벤즈가 특히 T 세포 기능을 자극함으로써 OVA에 대한 세포 면역 반응을 향상시킴으로써 애주번트로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3:
재료 및 방법
재료
마우스
성별 및 주령이 일치하는 CD57BL/6 야생형 마우스를 B16F10 이식된 흑색종 모델에 사용하였다.
방법
종양 유도 및 마우스 치료
성별이 일치하는 7 내지 9주령 CD57BL/6 야생형 마우스에 100만개의 B16F10 종양 세포를 피하 주사하였다. 마우스를 종양 세포 주사 1주일 후에 종양 크기에 따라 무작위 분류하였다. 종양 접종 7일 후, 구아나벤즈 (2.5 mg/kg, i.p.) 또는 비히클 (PBS, i.p.)의 매일 주사를 마우스에 투여하였다. 구아나벤즈 또는 비히클 투여 1일 후 개시하여 3일 간격으로 200 μg/마우스 항-PD-1 항체 (BioXcell, 클론 RMP1-14) 또는 RatIgG2a 이소형 (클론 2A3, Bio-X-Cell)의 용량의 4회 주사 (복강내, i.p.로 지칭됨)를 마우스에 제공하였다.
결과
PD-1 억제제와 관련하여 구아나벤즈의 종양 성장에 대한 효과를 B16F10 이식된 흑색종 보유 마우스에서 평가하였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 조건 (PBS 및 이소형 투여)과 비교하여, B16F10 흑색종 종양의 성장은 항-PD-1 항체 단독 투여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구아나벤즈 단독 투여는 B16F10 흑색종 종양의 성장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놀랍게도, 구아나벤즈와 항-PD-1 항체의 조합 투여는 대조군 조건 (PBS 및 이소형의 투여)과 비교하여 항-PD-1 항체 단독 투여와 비교하여, 뿐만 아니라 구아나벤즈 단독 투여와 비교하여 B16F10 흑색종 종양의 성장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구아나벤즈와 항-PD-1 항체의 조합 투여의 효과는 구아나벤즈 단독의 효과 및 항-PD-1 항체 단독의 효과보다 유의하게 더 컸다.
이들 결과는 구아나벤즈와 항-PD-1 항체가 B16F10 흑색종 종양의 성장을 감소시키는데 상승작용을 하였으며, 구아나벤즈가 항-PD-1 항체의 작용을 강화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구아나벤즈가 체크포인트 억제제의 치료 효능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4:
재료 및 방법
재료
세포
마우스 NK 세포: 항-CD49b 자기 비드를 사용하여 뮤린 NK 세포를 마우스 비장 세포로부터 단리하였다.
방법
시험관내 NK 세포 기능
항-CD49b 자기 비드를 사용하여 뮤린 NK 세포를 마우스 비장 세포로부터 단리하고 조사된 RMA-S 세포와의 공동 인큐베이션에 의해 시험관내에서 활성화하였다. 활성화 4일 후, 이를 수집하고 20 μM의 구아나벤즈 하에 96 U 플레이트에 웰당 50,000개 세포를 플레이팅하고 다음날 분석에 사용하기 전에 밤새 37℃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분석 당일, 배양 상청액을 세포로부터 분리하고 세포를 완전 배지로 1회 세척하여 약물을 분리하였다. 표적 세포 (RMA-S 세포)를 1:1 비율로 웰에 첨가하였다. NK 세포 또는 표적 세포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대조군 웰을 또한 각 플레이트에 포함시켰다. CD107a-APC는 표적 세포의 첨가와 동시에 각 웰에 첨가시켰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37℃에서 9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기간이 끝날 때 세포를 수확하고 PBS로 1회 세척하였다. 이를 항-마우스 CD49b-PE 항체로 15분 동안 염색시켰다. 이어서 세포를 세척하고 PBS에 재현탁시키고 FACS Fortessa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NK 세포 기능에 대한 구아나벤즈의 시험관내 효과
마우스 비장 세포로부터 뮤린 NK 세포를 단리하고 조사된 RMA-S 세포와의 공동 인큐베이션에 의해 시험관내에서 활성화시켰다. 활성화 4일 후, NK 세포를 구아나벤즈 (20 μM)와 함께 37℃에서 16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NK 세포 기능을 NK 세포와 표적 세포 (RMA-S 세포)의 공동 배양 후 탈과립화를 검출하여 평가하였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뮤린 NK 세포와 구아나벤즈의 인큐베이션은 NK 세포 탈과립화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따라서 도 10에 나타난 결과는 구아나벤즈가 시험관내에서 NK 세포 기능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5:
알프레놀롤 및 수니티닙의 효과를 구아나벤즈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사용된 동일한 모델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알프레놀롤은 항고혈압제, 항협심증제 및 항부정맥제로서 사용되는 베타-아드레날린성 수용체 길항제이다.
수니티닙은 T 세포 매개 암 면역요법에 대한 애주번트로서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된 소분자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RTK) 억제제이다 (문헌[Kujawski et al., Cancer Res. 2010 Dec 1;70(23):9599-610]).
재료 및 방법
재료
마우스
TiRP 마우스: TiRP 마우스를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생성시킨다 (실시예 1 참조).
세포
마우스 TCRP1A CD8 + T 세포: P1A-특이적 (TCRP1A) CD8+ T 세포를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리하였다 (실시예 1 참조).
방법
시험관내 T 세포 기능
CD107 세포독성 분석 (탈과립화 분석): 지정된 바와 같이, 상이한 20 μM 구아나벤즈 또는 상이한 농도의 알프레놀롤 또는 수니티닙을 사용하여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 참조).
구아나벤즈 투여
T 세포를 지정된 바와 같이 16시간 동안 20 μM 구아나벤즈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알프레놀롤 투여
T 세포를 지정된 바와 같이 16시간 동안 알프레놀롤 (5 또는 20 μM)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마우스에 ACT 당일로부터 희생 당일까지 매일 알프레놀롤 (5 mg/kg) 또는 비히클 (PBS)의 복강내 주사를 제공하였다.
수니티닙 투여
T 세포를 지정된 바와 같이 16시간 동안 수니티닙 (0.1, 0.3, 0.8, 2.5 또는 4 μM)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마우스에 ACT 당일부터 희생 당일까지 경구 위관법에 의해 수니티닙 (20 mg/kg) 또는 비히클 (PBS)의 1일 용량을 제공하였다.
결과
T 세포 기능에 대한 알프레놀롤의 시험관내 효과
P1A 항원을 발현하는 L1210-P1A 세포와 공동 배양한 뮤린 P1A 특이적 (TCRP1A) CD8+ T 세포를 알프레놀롤 5 μM 또는 20 μM와 함께 16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항원 인식 후 T 세포 기능을 탈과립화를 검출하여 평가하였다.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프레놀롤과 함께 뮤린 T 세포의 인큐베이션은 대조군 (PBS 투여)과 비교할 때 T 세포 탈과립화를 유의하게 증가시키지 않았다.
따라서 구아나벤즈에서 관찰된 것과 달리 (도 1 참조), 알프레놀롤은 5 μM 농도 또는 20 μM 농도에서 시험관내 T 세포 기능을 증가시킬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TiRP 흑색종 모델에서 알프레놀롤의 생체내 효과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획득된 TiRP-종양 보유 마우스 (실시예 1 참조)에 알프레놀롤 및 1000만개의 P1A-특이적 활성화된 CD8+ T 세포의 입양 세포 전달 (ACT)을 투여하였다. 따라서 알프레놀롤 5 mg/kg의 매일 주사 (복강내 또는 짧은 i.p.)를 종양 크기가 약 500 mm3인 ACT 당일 (0일)부터 희생 당일 (10일)까지 투여하였다. 도 1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양 성장은 단독 투여된 ACT (PBS 투여에 해당하는 대조군 조건)와 비교하여 알프레놀롤로 투여된 ACT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지 않았다. 따라서, 알프레놀롤 투여 후, CD8+ T 세포의 종양 침윤은 증가하지 않았다 (도 11c). 이러한 결과는 알프레놀롤이 구아나벤즈에서 관찰된 것과는 달리 입양 세포 전달의 치료 효능을 개선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도 5 참조).
T 세포 기능에 대한 수니티닙의 시험관내 효과
P1A 항원을 발현하는 L1210-P1A 세포와 함께 공동 배양된 뮤린 P1A-특이적 (TCRP1A) CD8+ T 세포를 20 μM 구아나벤즈 또는 수니티닙 (0.1 μM, 0.3 μM, 0.8 μM, 2.5 μM 또는 4 μM)과 함께 16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항원 인식 후 T 세포 기능을 탈과립화를 검출하여 평가하였다.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니티닙과 뮤린 T 세포의 인큐베이션은 대조군 (PBS 투여)과 비교할 때 T 세포 탈과립화를 유의하게 증가시키지 않았다. 이와 달리, 20 μM 구아나벤즈와 뮤린 T 세포의 인큐베이션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T 세포 탈과립화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따라서 구아나벤즈에서 관찰되는 것과는 달리 수니티닙은 저 농도 (즉, 0.1 μM) 또는 고 농도 (즉, 4 μM)에서 시험관내 T 세포 기능을 증가시킬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TiRP 흑색종 모델에서 알프레놀롤의 생체내 효과
본 명세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획득된 TiRP-종양 보유 마우스 (실시예 1 참조)에 수니티닙 및 1000만개의 P1A-특이적 활성화된 CD8+ T 세포의 입양 세포 전달 (ACT)을 투여하였다. 따라서 수니티닙 20 mg/kg의 1일 경구 위관법을 종양 크기가 약 500 mm3인 ACT 당일 (0일)부터 희생 당일 (10일)까지 투여하였다. 도 1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양 성장은 단독으로 투여된 ACT (PBS 투여에 해당하는 대조군 조건)와 비교하여 수니티닙으로 투여된 ACT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지 않았다. 따라서, 수니티닙 투여 후, CD8+ T 세포의 종양 침윤은 증가하지 않았다 (도 12c). 이러한 결과는 구아나벤즈에서 관찰된 것과 달리 수니티닙이 입양 세포 전달의 치료 효능을 개선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도 5 참조).

Claims (15)

  1.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 또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서 면역요법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 (guanabenz).
  2. 제1항에 있어서, 구아나벤즈는 면역요법의 애주번트 (adjuvant)로서 사용되는,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
  3. 제1항에 있어서, 구아나벤즈는 면역요법의 조건화 요법(conditioning regimen)으로서 사용되고, 조건화 요법은 면역요법의 대상체를 준비하기 위한 요법인,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아나벤즈는 흑색종(melanoma), 유방 암종(breast carcinoma), 결장 암종(colon carcinoma), 신장 암종(renal carcinoma), 부신피질 암종(adrenocortical carcinoma), 고환 기형종(testicular teratoma), 피부 육종(skin sarcoma), 섬유육종(fibrosarcoma), 폐 암종(lung carcinoma), 선암종(adenocarcinoma), 간 암종(liver carcinoma), 교모세포종(glioblastoma), 전립선 암종(prostate carcinoma) 및 췌장 암종(pancreatic carcinom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형 암의 치료에서 면역요법과 함께 사용되는,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아나벤즈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진균 또는 원생동물 기생충에 의해 야기되는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서 면역요법과 함께 사용되는,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아나벤즈는 면역요법 이전에 및/또는 그와 동시에 투여되는,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아나벤즈는 약 0.01 mg/킬로 체중 (mg/kg) 내지 약 15 mg/kg의 범위의 용량(dose)으로 투여되는,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요법은 면역 세포의 입양 전달(adoptive transfer)을 포함하는,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세포는 T 세포 또는 자연 살해 (NK) 세포인,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
  10. 제8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세포는 CAR T 세포 또는 CAR NK 세포인,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세포는 자가 면역 세포인,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세포는 CD8+ T 세포인,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
  13.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요법은 체크포인트 (checkpoint) 억제제를 포함하는,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PD-1의 억제제, 예컨대 펨브롤리주맙 (pembrolizumab), 니볼루맙 (nivolumab), 세미플리맙 (cemiplimab), 티슬렐리주맙 (tislelizumab), 스파르탈리주맙, ABBV-181 및 JNJ-63723283, PD-L1의 억제제, 예컨대 아벨루맙 (avelumab), 아테졸리주맙 (atezolizumab) 및 두르발루맙 (durvalumab), CTLA-4의 억제제, 예컨대 이필리무맙 (ipilimumab) 및 트레멜리무맙 (tremelimumab), 및 이의 임의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
  15.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요법은 백신화(vaccination)를 포함하는, 사용하기 위한 구아나벤즈.




KR1020217014857A 2018-10-23 2019-10-23 면역요법의 애주번트로서의 구아나벤즈 KR202100932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202122.0 2018-10-23
EP18202122 2018-10-23
PCT/EP2019/078867 WO2020083982A1 (en) 2018-10-23 2019-10-23 Guanabenz as an adjuvant for immunotherap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254A true KR20210093254A (ko) 2021-07-27

Family

ID=64270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4857A KR20210093254A (ko) 2018-10-23 2019-10-23 면역요법의 애주번트로서의 구아나벤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353749A1 (ko)
EP (1) EP3870161A1 (ko)
JP (1) JP2022505565A (ko)
KR (1) KR20210093254A (ko)
CN (1) CN113316449A (ko)
CA (1) CA3117064A1 (ko)
EA (1) EA202100145A1 (ko)
IL (1) IL282394A (ko)
WO (1) WO20200839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38803A1 (en) 2020-04-21 2023-03-01 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 Alpha-2 adrenergic receptor agonist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5894A2 (en) * 2004-12-14 2006-06-22 University Of South Florida Methods for inhibiting stat3 signaling in immune cells
WO2008156644A2 (en) * 2007-06-14 2008-12-24 Frank David A Stat modulators
CN107847481A (zh) * 2015-06-03 2018-03-27 波士顿生物医药有限公司 包含癌症干性抑制剂的组合物和用于治疗癌症的免疫治疗剂
WO2018183908A1 (en) * 2017-03-31 2018-10-04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varian tumors
US11285149B2 (en) * 2017-07-28 2022-03-29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Enhanced immunotherapy of cancer using targeted transcriptional modul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2100145A1 (ru) 2022-02-02
CN113316449A (zh) 2021-08-27
EP3870161A1 (en) 2021-09-01
IL282394A (en) 2021-06-30
US20210353749A1 (en) 2021-11-18
WO2020083982A1 (en) 2020-04-30
JP2022505565A (ja) 2022-01-14
CA3117064A1 (en)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nd et al. Immune checkpoint blockade, immunogenic chemotherapy or IFN-α blockade boost the local and abscopal effects of oncolytic virotherapy
Kyi et al. Immune checkpoint inhibitor combinations in solid tumor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Patel et al. Agonist anti-GITR monoclonal antibody and stereotactic radiation induce immune-mediated survival advantage in murine intracranial glioma
Draghiciu et al. Sunitinib depletes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s and synergizes with a cancer vaccine to enhance antigen-specific immune responses and tumor eradication
Goel et al. Cancer immunotherapy in clinical practice—the past, present, and future
Mortenson et al. Effective anti-neu–initiated antitumor responses require the complex role of CD4+ T cells
KR20180063320A (ko) T 세포 요법을 위한 t 세포를 제조하는 방법
Côté et al. Stimulation of the glucocorticoid-induced TNF receptor family-related receptor on CD8 T cells induces protective and high-avidity T cell responses to tumor-specific antigens
Datta et al. Rationale for a multimodality strategy to enhance the efficacy of dendritic cell-based cancer immunotherapy
JP2021529741A (ja) がん治療
Lin et al. Crosstalk between PD-1/PD-L1 blockade and its combinatorial therapies in tumor immune microenvironment: a focus on HNSCC
Zhou et al. Mature B cells are critical to T-cell-mediated tumor immunity induced by an agonist anti-GITR monoclonal antibody
Natarajan et al. Novel immunotherapeutic agents and small molecule antagonists of signalling kinases for the treatment of metastatic melanoma
Ribas Anti-CTLA4 antibody clinical trials in melanoma
Sznol Blockade of the B7-H1/PD-1 pathway as a basis for combination anticancer therapy
Adler et al. Betting on improved cancer immunotherapy by doubling down on CD134 and CD137 co-stimulation
US20240033257A1 (en) Use of ppar-delta inhibitor in combination with immunotherapeutic drug for preparing anti-tumor drug
EP2939690A1 (en) Vaccine
JP2021528393A (ja) 後細胞シグナル伝達因子の調節による免疫活性の上昇
Wang et al. What happens to the immune microenvironment after PD-1 inhibitor therapy?
van Rooijen et al. Immunotherapeutic options on the horizon in breast cancer treatment
WO2018106958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vaccinating and boosting cancer patients
Bai et al. Development of immunotherapy strategies targeting tumor microenvironment is fiercely ongoing
JP2022512161A (ja) 免疫療法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KR20210093254A (ko) 면역요법의 애주번트로서의 구아나벤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