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214A - Kimchi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Kimchi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214A
KR20210093214A KR1020210094342A KR20210094342A KR20210093214A KR 20210093214 A KR20210093214 A KR 20210093214A KR 1020210094342 A KR1020210094342 A KR 1020210094342A KR 20210094342 A KR20210094342 A KR 20210094342A KR 20210093214 A KR20210093214 A KR 20210093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allulose
parts
weight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3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5688B1 (en
Inventor
박윤경
김수정
임주희
변성배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210094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688B1/en
Publication of KR20210093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2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6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Kimchi containing allulos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ovides Kimchi that has high storage stability as a texture, a yield, acidity, and a vitamin-C content are improved. 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can provide a seasoning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Kimchi containing allulos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Kimchi using the same.

Description

김치 및 이의 제조 방법{Kimchi and preparing method thereof}Kimchi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imchi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출원은 김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은 김치 제조용 양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kimchi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seasoning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kimchi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kimchi using the same.

김치는 배추와 같은 채소를 주재료로 하여 제조되는 발효식품으로, 한국의 전통적인 식품 중 하나이다. 발효되어 만들어져 유산균 등 다양한 건강에 유익한 균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김치의 건강에 대한 유용성이나 고유의 풍미 때문에 최근에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주목 받고 있으며 김치를 찾는 소비자의 수요가 늘고 있다.Kimchi is a fermented food made with vegetables such as Chinese cabbage as the main ingredient, and is one of the traditional foods in Korea. Kimchi, which is made by fermenting and contains a large amount of various health-beneficial bacteria such as lactic acid bacteria,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not only in Korea but also around the world because of its usefulness to health and its unique flavor, and consumer demand for kimchi is increasing.

오랜 기간 동안 숙성 및 발효 단계를 거쳐야 하는 김치의 특성상, 김치는 장시간의 보관 및 저장 과정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김치를 보관하는 과정에서 채소를 절이는 과정에서 완전히 빠져 나오지 않은 수분이 지속적으로 방출되어 이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pH가 낮아져 산도가 높아진다. 또한, 김치 특유의 군덕내가 발생하여 부정적인 이취가 날 수 있어 저장성이 훌륭한 김치를 제조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Due to the nature of kimchi that has to undergo aging and fermenta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long-term storage and storage of kimchi is essential. In the process of storing kimchi, moisture that has not completely escaped during the pickling process may be continuously released, which may cause syneresis, and as the fermentation progresses, the pH gradually lowers and the acidity increase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manufacture kimchi with excellent storability because the unique smell of kimchi may be generated and negative odor may be generated.

김치의 저장성 향상 수단으로 열살균, 방사선 조사 등 물리적인 방법과 보존료(항미생물 제재), 산 또는 염 등의 첨가 또는 김치 스타터 균주 개량(한국 특허공개공보 제2017-0034493) 등이 연구되고 있으나, 경제성과 안정성 및 김치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많아 실용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Physical methods such as heat sterilization and irradiation, addition of preservatives (antimicrobial agents), acids or salts, or improvement of kimchi starter strains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7-0034493) are being studied as means to improve the storage of kimchi. There are many factors that affect economic efficiency, stability, and quality of kimchi, making it difficult to put them into practical use.

본 출원은 김치를 저장하고 보관시키는 과정에서 경도는 증가하고, 이수율은 낮아지며, pH 및 산도 변화는 적고, 비타민 C의 함량은 증가하여 저장안정성이 개선된, 김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kimchi, which has improved storage stability by increasing hardness, decreasing water yield, small changes in pH and acidity, and increasing vitamin C content in the process of storing and storing kimchi.

또한,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김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kimchi as described above.

또한,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김치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는, 김치 제조용 양념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seasoning composition for kimchi production, which can be used in the production of kimchi as described above.

또한,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김치 제조용 양념 조성물을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kimchi using the seasoning composition for kimchi as described abov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일 측면은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김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kimchi containing allulose.

본 출원의 다른 측면은 채소를 절임수에 절이는 단계; 상기 절여진 채소를,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당류 및 양념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김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pickling vegetables in pickled water;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kimchi comprising; mixing the pickled vegetables with sugars and seasonings containing allulose.

본 출원의 다른 측면은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김치 제조용 양념 조성물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seasoning composition for preparing kimchi comprising allulose.

본 출원의 다른 측면은 채소를 상기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김치 제조용 양념 조성물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김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kimchi comprising; mixing vegetables with a seasoning composition for preparing kimchi containing allulose.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김치는 저장안정성이 개선된 효과가 있으며, 소비자가 섭취하였을 때의 전반적인 기호도를 상승시켜 소비자의 입맛에 더 부합하는 발효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발효식품 중에서도 김치를 보관 및 저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이취인 군덕내를 감소시키며 이수율을 낮춰 저장성이 높은 김치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김치의 조직감을 유지하여 김치에 아삭한 식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산도의 증가나 유기산 함량의 증가 현상을 저감시켜 저장성이 좋고, 김치로부터 생산되어 용출되는 비타민 C의 함량을 증가시키켜 영향 성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The kimchi provid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has the effect of improved storage stability, and increases the overall preference when consumed by the consumer, thereby producing fermented food that more satisfies the taste of the consumer. In particular, among fermented foods,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gundeok, a negative odor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storing and storing kimchi, and lowering the yield to produce kimchi with high storage properties. In addition, it can give kimchi a crisp texture by maintaining the texture of kimchi, and has good storage properties by reducing the increase in acidity or organic acid content. has an improvement effect.

나아가, 희소당인 저열량을 내는 알룰로스를 포함함으로써 당도는 설탕을 비롯한 다른 종류의 당류와 유사하면서도 열량은 낮춰 소비자의 건강에 더 좋고 저열량의 제품을 선호하는 최근 소비자의 기호에 부합하는 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more, by including allulose, which is a rare sugar, which produces low calorie, the sugar content is similar to other types of saccharides including sugar, but the calorie is lower, which is better for the health of consumers and provides kimchi that meets the tastes of recent consumers who prefer low-calorie products. There are advantages that can be

다만, 본 출원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제조예 1 및 비교예 1의 김치를 15일 동안 보관하면서 2, 5, 7, 13, 15일차의 김치의 경도를 측정하고 조직감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제조예 1 및 비교예 1의 김치를 15일 동안 보관하면서 2, 5, 7, 13, 15일차의 김치의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a는 제조예 1 및 비교예 1의 김치를 15일 동안 보관하면서 2, 5, 7, 13, 15일차의 김치의 pH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b는 제조예 1 및 비교예 1의 김치를 15일 동안 보관하면서 2, 5, 7, 13, 15일차의 김치의 산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제조예 1 및 비교예 1의 김치를 15일 동안 보관하면서 2, 5, 7, 13, 15일차의 김치의 비타민 C 함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제조예 1 및 비교예 1의 김치를 7일간 보관한 후 실시한 김치의 강도 속성에 대한 관능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b는 제조예 1 및 비교예 1의 김치를 7일간 보관한 후 실시한 김치의 기호도 속성에 대한 관능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제조예 2 내지 4, 비교예 2 내지 6의 김치를 13일 동안 보관하면서 5, 7, 13일차의 김치의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제조예 2 내지 4, 비교예 3 내지 6의 김치를 13일 동안 보관하면서 5, 7, 13일차의 김치의 경도를 측정하여 보관 기간 별로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제조예 3 내지 4, 비교예 3, 5 내지 6의 김치를 13일 동안 보관하면서 0, 5, 7, 13일차의 김치의 pH를 측정하여 보관 기간 별로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제조예 2 내지 4, 비교예 3 내지 6의 김치를 13일 동안 보관하면서 0, 5, 7, 13일차의 김치의 산도를 측정하여 당류 농도 별로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제조예 2 내지 4, 비교예 3 내지 6의 김치를 13일 동안 보관한 후, 13일차의 김치의 유기산(젖산 및 아세트산)의 함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제조예 2 내지 4, 비교예 3 내지 6의 김치를 13일 동안 보관하면서 0, 5, 7, 13일차의 김치의 이수율을 측정하여 보관 기간 별로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a는 제조예 3, 비교예 2, 3 및 5의 김치를 7일 동안 보관한 후 실시한 김치의 강도 속성에 대한 관능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b는 제조예 3, 비교예 2, 3 및 5의 김치를 7일 동안 보관한 후 실시한 김치의 기호도 속성에 대한 관능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graph showing the hardness of kimchi on days 2, 5, 7, 13, and 15 while storing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for 15 days and comparing the texture.
2 is a photograph of the state of the kimchi on the 2nd, 5th, 7th, 13th, and 15th days while storing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for 15 days.
Figure 3a is a graph showing the measurement of the pH of the kimchi on the 2nd, 5th, 7th, 13th, and 15th days while storing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for 15 days.
Figure 3b is a graph showing the measurement of the acidity of the kimchi on the 2nd, 5th, 7th, 13th, and 15th days while storing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for 15 days.
4 is a graph showing the measurement of the vitamin C content of the kimchi on the 2nd, 5th, 7th, 13th, and 15th days while storing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for 15 days.
5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f the strength properties of kimchi after storing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for 7 days.
5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n the preference attribute of kimchi after storing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for 7 days.
6 is a photograph of the state of the kimchi on the 5th, 7th, and 13th days while storing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s 2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2 to 6 for 13 days.
7 is a graph showing the comparison by storage period by measuring the hardness of the kimchi on the 5th, 7th, and 13th days while storing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s 2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3 to 6 for 13 days.
8 is a graph showing the comparison by storage period by measuring the pH of kimchi on days 0, 5, 7, and 13 while storing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s 3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3 and 5 to 6 for 13 days.
9 is a graph showing the comparison by saccharide concentration by measuring the acidity of kimchi on days 0, 5, 7, and 13 while storing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s 2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3 to 6 for 13 days.
10 is a graph showing the contents of organic acids (lactic acid and acetic acid) of the kimchi on the 13th day after storing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s 2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3 to 6 for 13 days.
11 is a graph showing the comparison of kimchi yields of 0, 5, 7, and 13 days of storing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s 2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3 to 6 for 13 days and comparing them for each storage period.
12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n the strength properties of kimchi after storing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s 2, 3 and 5 for 7 days.
12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n the preference attribute of kimchi after storing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s 2, 3 and 5 for 7 days.

이하,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출원의 일 측면은 김치를 제공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kimchi.

본 출원에서 김치는 고형의 식물성 식재료 및 양념을 포함하는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김치는 소금 또는 소금물을 비롯한 절임수에 절여진 식물성 재료를 양념에 버무려 제조될 수 있으며, 미생물에 의한 발효 과정을 더 거쳐 제조되는 발효식품일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식재료는 채소 또는 과일을 포함하며, 예컨대 배추, 무, 오이, 열무, 갓, 파, 쪽파, 양파, 깻잎, 콩잎, 미나리, 쑥갓, 우엉, 더덕, 부추, 시금치, 가지, 양배추, 호박 또는 연근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채소들 중 둘 이상이 함께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채소는 절임수, 예컨대 소금물에 절여진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kimchi refers to food containing solid vegetable ingredients and seasonings. The kimchi may be prepared by mixing vegetable materials pickled in pickled water including salt or brine with seasoning, and may be a fermented food manufactured through a fermentation process by microorganisms. The vegetable ingredients include vegetables or fruits, for example, Chinese cabbage, radish, cucumber, radish, mustard, green onion, chives, onion, sesame leaf, bean leaf, water parsley, mugwort, burdock, deodeok, leek, spinach, eggplant, cabbage, pumpkin or It may be a lotus root, and in some cases, two or more of the above vegetables may be used together. In addition, the vegetables may be included in pickled water, for example, pickled in brine.

본 출원의 김치는 배추김치, 깍두기, 백김치, 갓김치, 총각김치, 열무김치, 무김치, 오이김치, 파김치, 양파김치, 깻잎김치, 콩잎김치, 미나리김치, 쑥갓김치, 우엉김치, 나박김치, 더덕김치, 물김치, 부추김치, 시금치김치, 가지김치, 양배추김치, 호박김치 또는 연근김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출원의 김치는 굴, 젓갈, 생선 등의 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조기, 동태, 대구, 홍어, 오징어, 낙지, 멸치젓, 새우젓, 까나리액젓, 갈치속젓, 생굴젓, 멍게젓, 오징어젓, 꼴뚜기젓, 소라젓, 해삼젓 또는 조기젓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kimchi of this application is cabbage kimchi, kkakdugi, white kimchi, gat kimchi, bachelor kimchi, yeol radish kimchi, radish kimchi, cucumber kimchi, green onion kimchi, onion kimchi, sesame leaf kimchi, bean leaf kimchi, water parsley kimchi, mugwort kimchi, burdock kimchi, nabak kimchi, deodeok kimchi , water kimchi, leek kimchi, spinach kimchi, eggplant kimchi, cabbage kimchi, pumpkin kimchi, or lotus root kimchi,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kimchi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ingredients such as oysters, salted fish, and fish, for example, kimchi, dongtae, cod, skate, squid, octopus, anchovy, shrimp sauce, canary fish sauce, salted cutlassfish sauce, raw oyster sauce, and salted sea urchin. , salted squid, salted octopus, salted conch, salted sea cucumber, or salted kimchi,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출원의 김치는 알룰로스를 포함한다. The kimchi of the present application contains allulose.

상기 알룰로스는 D-알룰로스 또는 L-알룰로스를 지칭할 수 있으며, 사이코스(또는 프시코스, psicose)라고도 호칭되는 희소당의 일종으로, 설탕 대비 70%의 감미도를 갖는 단당류이다. 과당이나 설탕과는 달리 인체 내에서 대사되지 않아 칼로리가 적은 것이 특징이다. 상기 알룰로스는 자연물에서의 추출, 화학적 합성 또는 알룰로스 에피머화 효소를 이용한 생물학적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알룰로스는 상기 알룰로스 에피머화 효소,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균주의 균체,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및 상기 파쇄물 또는 배양물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알룰로스 생산용 조성물을, 과당을 함유하는 원료와 반응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The allulose may refer to D-allulose or L-allulose, and is a kind of rare sugar also called psicose (or psicose), and is a monosaccharide having a sweetness of 70% compared to sugar. Unlike fructose or sugar, it is not metabolized in the human body, so it is characterized by low calorie. The allulose may be synthesized by extraction from a natural product, chemical synthesis, or a biological method using an allulose epimerase. For example, the allulose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allulose epimerase enzyme, the cells of the strain producing the enzyme, the culture of the strain, the lysate of the strain, and the lysate or extract of the culture The composition for production of allulose may be prepared by reacting a raw material containing fructose.

상기 알룰로스는 김치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0.1 중량부 이상, 0.2 중량부 이상, 0.3 중량부 이상, 0.5 중량부 이상, 0.7 중량부 이상, 0.9 중량부 이상, 1 중량부 이상, 1.2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상, 2 중량부 이상, 2.5 중량부 이상, 3 중량부 이상, 3.5 중량부 이상, 4 중량부 이상, 4.5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상, 5.5 중량부 이상, 6 중량부 이상, 6.5 중량부 이상, 7 중량부 이상, 7.5 중량부 이상, 8 중량부 이상, 8.5 중량부 이상, 9 중량부 이상, 9.2 중량부 이상, 9.5 중량부 이상, 9.7 중량부 이상, 9.8 중량부 이상, 9.9 중량부 이상, 또는 10 중량부 이상의 함량 및/또는 10 중량부 이하, 9.9 중량부 이하, 9.8 중량부 이하, 9.5 중량부 이하, 9.2 중량부 이하, 9 중량부 이하, 8.5 중량부 이하, 8 중량부 이하, 7.5 중량부 이하, 7 중량부 이하, 6.5 중량부 이하, 6 중량부 이하, 5.5 중량부 이하, 5 중량부 이하, 4.5 중량부 이하, 4 중량부 이하, 3.5 중량부 이하, 3 중량부 이하, 2.5 중량부 이하, 2 중량부 이하, 1.5 중량부 이하, 1 중량부 이하, 0.9 중량부 이하, 0.7 중량부 이하, 0.5 중량부 이하, 0.3 중량부 이하, 0.2 중량부 이하, 또는 0.1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allulos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kimchi, for example, 0.1 parts by weight or more, 0.2 parts by weight or more, 0.3 parts by weight or more, 0.5 parts by weight or more, 0.7 parts by weight or more, 0.9 parts by weight or more. parts by weight or more, 1 part by weight or more, 1.2 parts by weight or more, 1.5 parts by weight or more, 2 parts by weight or more, 2.5 parts by weight or more, 3 parts by weight or more, 3.5 parts by weight or more, 4 parts by weight or more, 4.5 parts by weight or more, 5 parts by weight or more parts by weight or more, 5.5 parts by weight or more, 6 parts by weight or more, 6.5 parts by weight or more, 7 parts by weight or more, 7.5 parts by weight or more, 8 parts by weight or more, 8.5 parts by weight or more, 9 parts by weight or more, 9.2 parts by weight or more, 9.5 parts by weight or more parts by weight or more, 9.7 parts by weight or more, 9.8 parts by weight or more, 9.9 parts by weight or more, or 10 parts by weight or more and/or 10 parts by weight or less, 9.9 parts by weight or less, 9.8 parts by weight or less, 9.5 parts by weight or less, 9.2 parts by weight or less, 9 parts by weight or less, 8.5 parts by weight or less, 8 parts by weight or less, 7.5 parts by weight or less, 7 parts by weight or less, 6.5 parts by weight or less, 6 parts by weight or less, 5.5 parts by weight or less, 5 parts by weight or less, 4.5 parts by weight or less or less, 4 parts by weight or less, 3.5 parts by weight or less, 3 parts by weight or less, 2.5 parts by weight or less, 2 parts by weight or less, 1.5 parts by weight or less, 1 part by weight or less, 0.9 parts by weight or less, 0.7 parts by weight or less, 0.5 parts by weight or less I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3 parts by weight or less, 0.2 parts by weight or less, or 0.1 parts by weight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알룰로스의 함량이 상기의 함량보다 낮을 때는 제조되는 김치의 경도의 감소, 산도의 증가, 이취의 생성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저장성 및 품질이 떨어지게 되고, 알룰로스의 함량이 상기의 함량보다 높을 때는 김치의 제조단가가 증가하고 제조되는 김치가 지나치게 단맛을 내어 기호도가 감소할 수 있다. When the content of allulose is lower than the above content, phenomena such as a decrease in hardness, an increase in acidity, and generation of off-flavors occur in the kimchi produced, resulting in poor storage and quality, and when the content of allulose is higher than the above content The manufacturing cost of kimchi may increase, and the manufactured kimchi may be too sweet, which may decrease the taste.

상기 알룰로스는 결정 형태 또는 액상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룰로스가 결정 형태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알룰로스 결정의 순도는 95% 이상, 예컨대, 95.5% 이상, 96% 이상, 96.5% 이상, 97% 이상, 97.5% 이상, 98% 이상, 98.5% 이상, 99% 이상, 또는 99.5%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룰로스가 액상 형태로 포함되는 경우, 알룰로스 액상의 Brix는 65 내지 80, 예컨대 67 내지 77, 68 내지 75, 69 내지 74, 70 내지 73, 또는 70 내지 72일 수 있고, 상기 알룰로스 액상의 고형분 함량 대비 순도는 90% 이상, 예컨대 92% 이상, 95% 이상, 90% 이상, 92% 이상, 95% 이상, 95.5% 이상, 96% 이상, 96.5% 이상, 97% 이상, 97.5% 이상, 98% 이상, 98.5% 이상, 99% 이상, 또는 99.5% 이상일 수 있다. The allulose may be included in a crystalline form or a liquid form. When the allulose is included in crystalline form, the purity of the allulose crystals is 95% or more, for example, 95.5% or more, 96% or more, 96.5% or more, 97% or more, 97.5% or more, 98% or more, 98.5% or more. or greater, or greater than or equal to 99%, or greater than or equal to 99.5%. In addition, when the allulose is contained in a liquid form, the Brix of the liquid allulose may be 65 to 80, such as 67 to 77, 68 to 75, 69 to 74, 70 to 73, or 70 to 72, and the allulose liquid The purity relative to the solids content of the roast liquid is 90% or more, such as 92% or more, 95% or more, 90% or more, 92% or more, 95% or more, 95.5% or more, 96% or more, 96.5% or more, 97% or more, 97.5 % or greater, 98% or greater, 98.5% or greater, 99% or greater, or 99.5% or greater.

상기 김치는 고춧가루, 무, 파, 마늘, 생강, 배채, 양파, 액젓, 소금 등과 같이 김치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식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상기 식재료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믹서기로 분쇄된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The kimchi may further include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the production of kimchi, such as red pepper powder, radish, green onion, garlic, ginger, cabbage, onion, fish sauce, salt, and the like, and if necessary, all or part of the ingredients may be pulverized with a blender may be included in the form.

상기 김치는 알룰로스를 제외한 다른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고감미료, 당알코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 말토오스, 이소말토오스, 설탕,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키토올리고당, 셀로올리고당, 대두올리고당, 엿류, 당시럽류, 덱스트린, 맥아당, 꿀, 수크랄로스(sucralose), 트레할로스(trehalos),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아스파탐(Aspartame), 라피노오스(raffinose), 솔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만니톨(mannitol), 말티톨(maltitol), 람니톨(rhamnitol), 이노시톨(Inos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팔라티노스(palatinose), 이소말트(isomalt), 아세설팜 K(acesulfame K) 및 나한과추출물(mogros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kimchi may further contain other monosaccharides, disaccharides, polysaccharides, high sweeteners, sugar alcohols, etc. other than allulose, for example, glucose, fructose, galactose, maltose, isomaltose, sugar, maltooligosaccharide, isomaltooligosaccharide, fructose. Oligosaccharide, galactooligosaccharide, xylooligosaccharide, xylooligosaccharide, chitooligosaccharide, cellooligosaccharide, soybean oligosaccharide, syrup, sugar syrup, dextrin, maltose, honey, sucralose, trehalos, stevioside, Aspartame, raffinose, sorbitol, xylitol, mannitol, maltitol, rhamnitol, inositol, erythritol, palatinose (palatinose), isomalt (isomalt), acesulfame K (acesulfame K), and may further includ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fruit extract (mogros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출원의 김치는 알룰로스를 포함하지 않는 김치에 비해, 조직감 유지능이 증가된 것을 포함한다. The kimchi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n increased ability to retain a texture compared to kimchi that does not contain allulose.

본 출원의 김치는, 알룰로스를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김치에 포함된 알룰로스와 동량의 과당 또는 설탕을 알룰로스 대신 포함하는 김치와 비교하여 조직감 유지능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조직감 유지능의 증가는 김치를 보관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김치의 경도가 더 많이 증가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김치의 경도는 8,000 g/force이상, 8,200 g/force이상, 8,400 g/force이상, 8,600 g/force이상, 8,800 g/force이상, 9,000 g/force이상, 9,200 g/force이상, 9,400 g/force이상, 9,500 g/force이상, 9,700 g/force이상, 10,000 g/force이상, 10,500 g/force이상, 11,000 g/force이상, 및/또는 13,000 g/force 이하, 12,500 g/force 이하, 12,000 g/force 이하, 11,500 g/force 이하, 11,000 g/force 이하, 10,500 g/force 이하, 10,000 g/force 이하, 9,500 g/force 이하, 9,000 g/force 이하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8,200 g/force 내지 13,000 g/force, 또는 9,500 g/force 내지 11,000 g/force일 수 있다. The kimchi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ability to maintain a texture compared to kimchi that does not contain allulose or contains fructose or sugar equivalent to allulose contained in the kimchi instead of allulose. The increase in the ability to retain the texture means that the hardness of the kimchi increases more as time passes after storing the kimchi. The hardness of the kimchi is 8,000 g/force or more, 8,200 g/force or more, 8,400 g/force or more, 8,600 g/force or more, 8,800 g/force or more, 9,000 g/force or more, 9,200 g/force or more, 9,400 g/force or more. force greater than or equal to 9,500 g/force, greater than or equal to 9,700 g/force, greater than or equal to 10,000 g/force, greater than or equal to 10,500 g/force, greater than or equal to 11,000 g/force, and/or less than or equal to 13,000 g/force, less than or equal to 12,500 g/force, or less than or equal to 12,000 g /force or less, 11,500 g/force or less, 11,000 g/force or less, 10,500 g/force or less, 10,000 g/force or less, 9,500 g/force or less, 9,000 g/force or less, more specifically 8,200 g/force or less to 13,000 g/force, or 9,500 g/force to 11,000 g/force.

상기 조직감 유지능은 김치의 보관 과정에서 더 경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더 아삭한 식감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의 알룰로스 대신 동량의 과당을 포함하는 김치와 비교할 때, 본 출원의 김치는 과당을 포함하는 김치보다 경도가 2% 내지 30%, 2% 내지 28%, 2% 내지 27%, 3% 내지 26%, 또는 4% 내지 25% 증가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5% 내지 24% 증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과당 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김치는 알룰로스를 제외한 어떠한 다른 당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김치의 경도 또는 다른 당류를 포함하는 김치와 김치 경도의 비교는 보관 3일, 5일 또는 7일차에 측정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보관은 13 ℃ 내지 17 ℃의 온도에서 보관한 것일 수 있다.The ability to retain the texture is to be able to maintain more hardness during the storage process of kimchi, and can provide a crisper texture. When compared to kimchi containing the same amount of fructose instead of allulose, the kimchi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 hardness of 2% to 30%, 2% to 28%, 2% to 27%, 3% to more than that of kimchi containing fructose. It may be increased by 26%, or 4% to 25%,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increased by 5% to 24%. The kimchi containing fructose or sugar may include any other sugars except allulose. Comparison of the hardness of kimchi or the hardness of kimchi containing other sugars and kimchi may be measured on the 3rd, 5th or 7th day of storage, and the storage may be stored at a temperature of 13°C to 17°C.

본 출원의 김치는 알룰로스를 포함하지 않는 김치에 비해, 이수율이 감소된 것을 포함한다.The kimchi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reduced yield of kimchi compared to kimchi not containing allulose.

본 출원의 김치는, 알룰로스를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김치에 포함된 알룰로스와 동량의 과당 또는 설탕을 알룰로스 대신 포함하는 김치와 비교하여 이수율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김치의 이수율은 14% 이하, 12.5% 이하, 11% 이하, 10.3% 이하, 10% 이하, 9.5% 이하, 9% 이하, 8.5% 이하, 및/또는 1% 이상, 3% 이상, 5% 이상, 6% 이상, 6.4% 이상, 6.8% 이상, 7% 이상, 7.2% 이상, 7.6% 이상, 8% 이상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1% 내지 14%, 6% 내지 12.5%, 또는 6%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김치의 보관 과정에서 김치로부터 빠져나오는 물의 양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저장성이 향상된 김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알룰로스 대신 동량의 과당을 포함하는 김치와 비교할 때, 본 출원의 김치는 과당을 포함하는 김치보다 이수율이 5% 내지 55%, 5% 내지 50%, 5% 내지 45%, 5% 내지 43%, 5% 내지 40%, 5% 내지 35%, 5% 내지 30%, 8% 내지 55%, 8% 내지 50%, 8% 내지 45%, 8% 내지 43%, 8% 내지 40%, 8% 내지 35%, 12% 내지 55%, 12% 내지 50%, 12% 내지 45%, 12% 내지 43%, 12% 내지 40%, 12% 내지 35%, 12% 내지 30%, 또는 12% 내지 25% 감소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30% 감소된 것일 수 있다.The kimchi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yield compared to kimchi that does not contain allulose or contains fructose or sugar in the place of allulose in the same amount as allulose contained in the kimchi. The yield of the kimchi is 14% or less, 12.5% or less, 11% or less, 10.3% or less, 10% or less, 9.5% or less, 9% or less, 8.5% or less, and/or 1% or more, 3% or more, 5% or less or more, 6% or more, 6.4% or more, 6.8% or more, 7% or more, 7.2% or more, 7.6% or more, 8% or more. More specifically, it may be 1% to 14%, 6% to 12.5%, or 6% to 10%. Since the amount of water escaping from the kimchi is reduced during the storage process of the kimchi, kimchi with improved storability can be manufactured. Compared with kimchi containing the same amount of fructose instead of allulose, the kimchi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 yield of 5% to 55%, 5% to 50%, 5% to 45%, 5% to 5% to kimchi containing fructose. 43%, 5% to 40%, 5% to 35%, 5% to 30%, 8% to 55%, 8% to 50%, 8% to 45%, 8% to 43%, 8% to 40% , 8% to 35%, 12% to 55%, 12% to 50%, 12% to 45%, 12% to 43%, 12% to 40%, 12% to 35%, 12% to 30%, or It may be reduced by 12% to 25%,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reduced by 20% to 30%.

상기 과당 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김치는 알룰로스를 제외한 어떠한 다른 당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김치의 이수율 또는 다른 당류를 포함하는 김치와 비교한 이수율은 보관 7일, 11일 또는 13일차에 측정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보관은 13 ℃ 내지 17 ℃의 온도에서 보관한 것일 수 있다. The kimchi containing fructose or sugar may include any other sugars except allulose. The yield of the kimchi or the yield of kimchi compared to that of kimchi containing other sugars may be measured on the 7th, 11th or 13th day of storage, and the storage may be stored at a temperature of 13°C to 17°C.

본 출원의 김치는 알룰로스를 포함하지 않는 김치에 비해, 산도 증가율이 감소된 것을 포함한다. The kimchi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reduced rate of increase in acidity compared to kimchi that does not contain allulose.

본 출원의 김치는, 알룰로스를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김치에 포함된 알룰로스와 동량의 과당 또는 설탕을 알룰로스 대신 포함하는 김치와 비교하여 산도 증가율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김치의 산도는 0.2% 이상, 0.25% 이상, 0.3% 이상, 0.4% 이상, 0.5% 이상, 0.7% 이상, 0.8% 이상, 0.9% 이상, 1.0% 이상, 1.1% 이상, 1.15% 이상, 1.2% 이상, 1.3% 이상, 및/또는 1.7% 이하, 1.6% 이하, 1.5% 이하, 1.4% 이하, 1.3% 이하, 1.2% 이하, 1.1% 이하, 1.0% 이하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0.2% 내지 1.5%, 0.8% 내지 1.5%, 또는 0.8% 내지 1.3%일 수 있다.The kimchi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n effect of reducing the increase in acidity compared to kimchi that does not contain allulose or contains fructose or sugar in the place of allulose in the same amount as allulose contained in the kimchi. The acidity of the kimchi is 0.2% or more, 0.25% or more, 0.3% or more, 0.4% or more, 0.5% or more, 0.7% or more, 0.8% or more, 0.9% or more, 1.0% or more, 1.1% or more, 1.15% or more, 1.2 % or more, 1.3% or more, and/or 1.7% or less, 1.6% or less, 1.5% or less, 1.4% or less, 1.3% or less, 1.2% or less, 1.1% or less, 1.0% or less, more specifically 0.2% or less to 1.5%, 0.8% to 1.5%, or 0.8% to 1.3%.

상기 김치의 보관 과정에서 pH가 감소하고 산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저감시켜 김치의 맛 변화와 저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의 알룰로스 대신 동량의 과당을 포함하는 김치와 비교할 때, 본 출원의 김치는 과당을 포함하는 김치보다 0.05% 내지 0.4%, 0.05% 내지 0.3%, 0.05% 내지 0.2%, 0.1% 내지 0.4%, 0.1% 내지 0.3%, 또는 0.1% 내지 0.2% 감소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과당 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김치는 알룰로스를 제외한 어떠한 다른 당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김치의 산도 또는 다른 당류를 포함하는 김치와 비교한 산도는 보관 0일, 3일, 7일 또는 13일차에 측정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보관은 13 ℃ 내지 17 ℃의 온도에서 보관한 것일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aste change and storability of the kimchi by reducing the pH decrease and the increase in acidity during the storage process of the kimchi. Compared with the kimchi containing the same amount of fructose instead of allulose, the kimchi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0.05% to 0.4%, 0.05% to 0.3%, 0.05% to 0.2%, 0.1% to 0.4%, than the kimchi containing fructose. , 0.1% to 0.3%, or 0.1% to 0.2% may be reduced. The kimchi containing fructose or sugar may include any other sugars except allulose. The acidity of the kimchi or the acidity compared to kimchi containing other sugars may be measured on the 0th, 3rd, 7th or 13th day of storage, and the storage may be stored at a temperature of 13°C to 17°C. there is.

본 출원의 김치는 알룰로스를 포함하지 않는 김치에 비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것을 포함한다. The kimchi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n increased vitamin C content compared to kimchi that does not contain allulose.

본 출원의 김치는, 알룰로스를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김치에 포함된 알룰로스와 동량의 과당 또는 설탕을 알룰로스 대신 포함하는 김치와 비교하여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비타민 C 함량은 0.4 ppm 이상, 0.5 ppm 이상, 0.7 ppm 이상, 1 ppm 이상, 1.5 ppm 이상, 2 ppm 이상, 2.5 ppm 이상, 3 ppm 이상, 3.5 ppm 이상, 4 ppm 이상, 5 ppm 이상, 6 ppm 이상, 7 ppm 이상, 8 ppm 이상, 9 ppm 이상, 9.5 ppm 이상, 10 ppm 이상, 10.5 ppm 이상, 11 ppm 이상, 11.5 ppm 이상, 12 ppm 이상, 12.5 ppm 이상 및/또는 12.5 ppm 이하, 12 ppm 이하, 11.5 ppm 이하, 11 ppm 이하, 10.5 ppm 이하, 10 ppm 이하, 9.5 ppm 이하, 9 ppm 이하, 8 ppm 이하, 7 ppm 이하, 6 ppm 이하, 5 ppm 이하, 4 ppm 이하, 3.5 ppm 이하, 3 ppm 이하, 2.5 ppm 이하, 2 ppm 이하, 1.5 ppm 이하, 1 ppm 이하, 0.7 ppm 이하, 0.5 ppm 이하, 0.4 pp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김치의 보관 과정에서 비타민 C가 더 많이 생성되므로 영양적으로 더 유용한 상태의 김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알룰로스 대신 동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김치와 비교할 때, 본 출원의 김치는 설탕을 포함하는 김치보다 비타민 C 함량이 0.5% 내지 36%, 1% 내지 35%, 1% 내지 30%, 1.5% 내지 20% 또는 3% 내지 17% 증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과당 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김치는 알룰로스를 제외한 어떠한 다른 당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김치의 비타민 C 함량 또는 다른 당류를 포함하는 김치와 비교한 비타민 C 함량은 보관 2일, 5일, 7일, 13일 또는 15일차에 측정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보관은 13 ℃ 내지 17 ℃의 온도에서 보관한 것일 수 있다. The kimchi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vitamin C content compared to kimchi that does not contain allulose or contains fructose or sugar in the same amount as allulose contained in the kimchi instead of allulose. The vitamin C content is 0.4 ppm or more, 0.5 ppm or more, 0.7 ppm or more, 1 ppm or more, 1.5 ppm or more, 2 ppm or more, 2.5 ppm or more, 3 ppm or more, 3.5 ppm or more, 4 ppm or more, 5 ppm or more, 6 At least 7 ppm, at least 8 ppm, at least 9 ppm, at least 9.5 ppm, at least 10 ppm, at least 10.5 ppm, at least 11 ppm, at least 11.5 ppm, at least 12 ppm, at least 12.5 ppm and/or at most 12.5 ppm, 12 ppm or less, 11.5 ppm or less, 11 ppm or less, 10.5 ppm or less, 10 ppm or less, 9.5 ppm or less, 9 ppm or less, 8 ppm or less, 7 ppm or less, 6 ppm or less, 5 ppm or less, 4 ppm or less, 3.5 ppm or less , 3 ppm or less, 2.5 ppm or less, 2 ppm or less, 1.5 ppm or less, 1 ppm or less, 0.7 ppm or less, 0.5 ppm or less, 0.4 ppm or less. Since more vitamin C is generated during the storage process of the kimchi, kimchi in a nutritionally more useful state can be prepared. Compared with kimchi containing the same amount of sugar instead of allulose, the kimchi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 vitamin C content of 0.5% to 36%, 1% to 35%, 1% to 30%, 1.5 than that of kimchi containing sugar. % to 20% or 3% to 17% may be increased. The kimchi containing fructose or sugar may include any other sugars except allulose. The vitamin C content of the kimchi or the vitamin C content compared to kimchi containing other sugars may be measured on the 2nd, 5th, 7th, 13th or 15th day of storage, and the storage is at 13°C to 17°C. It may be stored at a temperature of

본 출원의 다른 측면은 김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kimchi.

상기 김치의 제조 방법은 채소를,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당류 및 양념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method for producing kimchi includes mixing vegetables with saccharides and seasonings containing allulose.

상기 알룰로스 및 채소에 관한 내용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The content of allulose and vegetable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상기 채소를,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당류 및 양념과 혼합하는 단계의 상기 당류에는 알룰로스를 제외한 다른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고감미료, 당알코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 말토오스, 이소말토오스, 설탕,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키토올리고당, 셀로올리고당, 대두올리고당, 엿류, 당시럽류, 덱스트린, 맥아당, 꿀, 수크랄로스(sucralose), 트레할로스(trehalos),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아스파탐(Aspartame), 라피노오스(raffinose), 솔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만니톨(mannitol), 말티톨(maltitol), 람니톨(rhamnitol), 이노시톨(Inos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팔라티노스(palatinose), 이소말트(isomalt), 아세설팜 K(acesulfame K) 및 나한과추출물(mogros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념과 혼합하는 단계의 상기 양념에는 고춧가루, 무, 파, 마늘, 생강, 배채, 양파, 액젓, 소금 등과 같이 김치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식재료가 포함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상기 식재료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믹서기로 분쇄된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The saccharides in the step of mixing the vegetable with saccharides and seasonings containing allulose may further include monosaccharides, disaccharides, polysaccharides, high sweeteners, sugar alcohols, etc. other than allulose, for example, glucose, fructose, galactose , maltose, isomaltose, sugar, maltooligosaccharide, isomaltooligosaccharide, fructooligosaccharide, galactooligosaccharide, xylooligosaccharide, xylooligosaccharide, chitooligosaccharide, cellooligosaccharide, soybean oligosaccharide, syrup, sugar syrup, dextrin, maltose, honey , sucralose, trehalos, stevioside, aspartame, raffinose, sorbitol, xylitol, mannitol, maltitol, ram nitol (rhamnitol), inositol (Inositol), erythritol (Erythritol), palatinose (palatinose), isomalt (isomalt), acesulfame K (acesulfame K), and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fruit extract (mogroside) can do. In addition, the seasoning in the step of mixing with the seasoning may include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the production of kimchi, such as red pepper powder, radish, green onion, garlic, ginger, cabbage, onion, fish sauce, salt, and the like, and, if necessary, the ingredients of the ingredients. All or part of it may be included in the form of grinding with a mixer.

상기 채소를,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당류 및 양념과 혼합하는 단계는 당을 미온수에 용해시켜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당을 미온수에 용해시키는 경우 당이 더 잘 용해될 수 있어 용해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상기 미온수는 온도가 30 ℃ 내지 45 ℃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당을 미온수에 용해시키는 과정을 거친 후의 당류를 양념과 혼합하기 전에 상온에서 식히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The step of mixing the vegetable with the sugar and seasoning containing allulose may be mixing by dissolving the sugar in lukewarm water. When the sugar is dissolved in lukewarm water, the sugar can be dissolved better and the time taken for dissolution can be shortened. The lukewarm water may have a temperature of 30°C to 45°C, and has undergone a process of dissolving the sugar in lukewarm water. The sugar may be cooled at room temperature before mixing with the seasoning.

또한, 상기 김치의 제조 방법은 채소를,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당류 및 양념과 혼합하는 단계;에 앞서 채소를 절임수에 절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producing kimchi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mixing vegetables with sugars and seasonings containing allulose; pickling the vegetables in pickled water prior to;

상기 채소를 절임수에 절이는 단계의 상기 절임수는 예컨대 소금물일 수 있으며, 삼투압을 형성하여 채소로부터 수분을 배출시킬 수 있는 작용을 할 수 있는 용액이면 어느 것이든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절이는 단계는 채소를 상기 절임수에 잠기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채소를 절단 또는 세절된 형태로 이용하여 절임수에 채소 전체가 모두 잠기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절이는 단계는 5시간 내지 15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예컨대 6시간 내지 14시간, 7시간 내지 12시간, 또는 8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의 시간보다 더 적은 시간 동안 절이는 경우 채소의 수분 함량이 많아 충분히 절여지지 않아 채소의 경도가 지나치게 높아질 수 있다. The pickled water in the step of pickling the vegetables in the pickled water may be, for example, brine, and any solution capable of forming an osmotic pressure to drain moisture from the vegetables may be used. The pickling may include a process of immersing the vegetables in the pickled water, and using the vegetables in a cut or minced form, the whole vegetables may be submerged in the pickled water. The pickling may be performed for 5 hours to 15 hours, for example, 6 hours to 14 hours, 7 hours to 12 hours, or 8 hours to 10 hours, and the pickling for a time less than the range of time In this case, the hardness of vegetables may be excessively high because vegetables are not sufficiently pickled due to their high moisture content.

상기 채소는 절임수에 절인 후에 탈수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채소를 쌓은 후 저절로 물기가 빠져나가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탈수통에 넣어 강제 탈수시킴으로써 탈수 시간을 줄이고 탈수 효율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탈수하는 과정을 거친 채소는 더 오랜 시간 동안 아삭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다. The vegetables may be subjected to a process of dehydration after being pickled in pickled water, and by using a method that allows the water to drain out by itself after stacking the vegetables or forcibly dehydrating it by putting it in a dehydration contain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hydration time and improve the dehydration efficiency . Vegetables that have been dehydrated can retain their crunchy texture for a longer period of time.

또한, 상기 김치를 제조하는 방법은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성 과정은 당류 및 양념과 혼합된 절여진 채소를 김장독에 넣어 땅에 파묻거나 냉장고에 보관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냉장고는 김치냉장고일 수 있다. 상기 숙성 과정 동안 김치를 -5℃ 내지 20℃에서 보관할 수 있으며, 0℃ 내지 10℃ 또는 2℃ 내지 8℃ 에서 보관할 수 있다. 숙성 기간은 1일 내지 200일일 수 있으며, 2일 내지 180일 또는 5일 내지 30일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kimchi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aging. The aging process may be accomplished by putting pickled vegetables mixed with sugars and seasonings in a kimjang-dok, burying them in the ground or storing them in a refrigerator, and the refrigerator may be a kimchi refrigerator. During the aging process, kimchi may be stored at -5°C to 20°C, and may be stored at 0°C to 10°C or 2°C to 8°C. The aging period may be 1 day to 200 days, 2 days to 180 days, or 5 days to 30 days.

본 출원의 다른 측면은 김치 제조용 양념 조성물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seasoning composition for preparing kimchi.

본 출원의 상기 김치 제조용 양념 조성물은 알룰로스를 포함한다.The seasoning composition for preparing kimchi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llulose.

상기 알룰로스는 전체 김치 제조용 양념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5 중량부 이상, 6 중량부 이상, 7 중량부 이상, 8 중량부 이상, 9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상, 12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상, 17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상, 22 중량부 이상, 25 중량부 이상, 27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상, 32 중량부 이상, 35 중량부 이상, 37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상, 42 중량부 이상, 45 중량부 이상, 47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상의 함량 및/또는 50 중량부 이하, 47 중량부 이하, 45 중량부 이하, 42 중량부 이하, 40 중량부 이하, 37 중량부 이하, 35 중량부 이하, 32 중량부 이하, 30 중량부 이하, 27 중량부 이하, 25 중량부 이하, 22 중량부 이하, 20 중량부 이하, 17 중량부 이하, 15 중량부 이하, 12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하, 9 중량부 이하, 8 중량부 이하, 7 중량부 이하, 6 중량부 이하, 5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allulos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kimchi seasoning composition, for example, 5 parts by weight or more, 6 parts by weight or more, 7 parts by weight or more, 8 parts by weight or more, 9 parts by weight or more. , 10 parts by weight or more, 12 parts by weight or more, 15 parts by weight or more, 17 parts by weight or more, 20 parts by weight or more, 22 parts by weight or more, 25 parts by weight or more, 27 parts by weight or more, 30 parts by weight or more, 32 parts by weight or more , 35 parts by weight or more, 37 parts by weight or more, 40 parts by weight or more, 42 parts by weight or more, 45 parts by weight or more, 47 parts by weight or more, 50 parts by weight or more and/or 50 parts by weight or less, 47 parts by weight or less, 45 parts by weight or less, 42 parts by weight or less, 40 parts by weight or less, 37 parts by weight or less, 35 parts by weight or less, 32 parts by weight or less, 30 parts by weight or less, 27 parts by weight or less, 25 parts by weight or less, 22 parts by weight or less, 20 A content of not more than 17 parts by weight, not more than 15 parts by weight, not more than 12 parts by weight, not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not more than 9 parts by weight, not more than 8 parts by weight, not more than 7 parts by weight, not more than 6 parts by weight, not more than 5 parts by weight. may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알룰로스의 함량이 상기의 함량보다 낮을 때는 제조되는 김치의 경도의 감소, 산도의 증가, 이취의 생성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저장성 및 품질이 떨어지게 되고, 알룰로스의 함량이 상기의 함량보다 높을 때는 김치의 제조단가가 증가하고 제조되는 김치가 지나치게 단맛을 내어 기호도가 감소할 수 있다.When the content of allulose is lower than the above content, phenomena such as a decrease in hardness, an increase in acidity, and generation of off-flavors occur in the kimchi produced, resulting in poor storage and quality, and when the content of allulose is higher than the above content The manufacturing cost of kimchi may increase, and the manufactured kimchi may be too sweet, which may decrease the taste.

알룰로스에 관한 내용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The content of allulose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상기 김치 제조용 양념 조성물은 고춧가루, 무, 파, 마늘, 생강, 배채, 양파, 액젓 및 소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식재료를 믹서기로 분쇄한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The seasoning composition for preparing kimchi may includ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 pepper powder, radish, green onion, garlic, ginger, cabbage, onion, fish sauce and sal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gredients are pulverized with a blender. may be included in the form.

본 출원의 다른 측면은 상기 김치 제조용 양념 조성물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kimchi using the seasoning composition for preparing kimchi.

본 출원의 상기 김치 제조용 양념 조성물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 방법은 채소를, 상기 김치 제조용 양념 조성물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producing kimchi using the seasoning composition for preparing kimchi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mixing vegetables with the seasoning composition for preparing kimchi.

상기 김치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설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The description of the composition for preparing kimchi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된 김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김치와 마찬가지로 조직감 유지능, 이수율, 산도 증가율 또는 비타민 C의 함량이 개선되어 저장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The kimchi prepared through the above method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orability by improving the texture retention ability, the yield, the acidity increase rate, or the vitamin C content, like the kimchi containing allulose described above.

이하, 본 출원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단, 하기 실시예는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출원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specifically illustrate the present application,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제조예 1][Production Example 1]

양념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of seasoning composition

알룰로스(CJ제일제당, 결정, 순도 99%이상), 고춧가루(영농조합법인 정담원, 국내산 고춧가루, 건고추 100%), 마늘(CJ제일제당, 하선정 국산 다진마늘), 생강(가나유통, 다진생강), 멸치액젓(CJ제일제당, 하선정 멸치액젓) 및 물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혼합하여 양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llulose (CJ CheilJedang, crystal, purity 99% or more), red pepper powder (Jeongdamwon farming association, domestic red pepper powder, dried red pepper 100%), garlic (CJ Cheiljedang, domestic minced garlic Hasunjeong), ginger (Gana distribution, minced) Ginger), anchovy fish sauce (CJ Cheiljedang, Haseonjeong anchovy fish sauce), and water were mixed in the same amount as shown in Table 1 below to prepare a seasoning composition.

김치의 제조production of kimchi

상기와 같이 제조된 양념 조성물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에 따라 절임배추에 첨가하여 제조예 1의 김치를 제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대에서 약 5㎝ 아래의 줄기 부분을 도려낸 후 세척하여 2 내지 4 cm 크기로 세절한 배추(한국)를 잎과 줄기가 골고루 섞이게 한 다음, 15% 소금(CJ제일제당, 천일염, 순도 99%이상)물에 2시간 동안 절였다. 상기와 같이 절여진 배추를 물로 2 내지 3회 세척하고, 30분 동안 방치하여 탈수시켜 절임배추를 제조하였다. 결정 형태의 알룰로스는 고춧가루 등의 양념 재료에 첨가함으로써 양념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양념 조성물을 절임배추와 혼합하여 김치를 제조하였다.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was prepared by adding the seasoning composition prepared as described above to pickled cabbage according to the contents shown in Table 1 below. More specifically, after cutting out the stem about 5 cm below the stem, wash and cut Chinese cabbage (Korea) into 2 to 4 cm pieces so that the leaves and stems are evenly mixed, and then 15% salt (CJ Cheiljedang, Sea Salt) , over 99% purity) and soaked in water for 2 hours. The pickled cabbage as described above was washed 2 to 3 times with water, and left for 30 minutes to dehydrate to prepare pickled cabbage. The crystalline form of allulose was added to seasoning materials such as red pepper powder to prepare a seasoning composition, and the seasoning composition was mixed with pickled cabbage to prepare kimchi.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양념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of seasoning composition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성분을 이용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양념 조성물을 제조하되, 알룰로스 대신 설탕(CJ제일제당, 결정, 순도 98%이상)을 첨가하여 양념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seasoning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using the same ingredients as in Preparation Example 1, but sugar (CJ Cheiljedang, crystals, purity of 98% or more) was added instead of allulose to prepare a seasoning composition.

제조예1과 비교예1의 양념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1과 같다. Ingredients and contents of the seasoning compositions of Prepar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are shown in Table 1 below.

김치의 제조production of kimchi

기본적으로 상기 제조예 1의 김치를 제조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의 김치를 제조하되, 양념 조성물은 하기 표 1과 같이 알룰로스 대신 설탕을 첨가한 것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Basically, the kimchi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but the seasoning composition was prepared using sugar added instead of allulose as shown in Table 1 below.

성분ingredient 제조예1Preparation Example 1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절임배추pickled cabbage 82.782.7 82.782.7 알룰로스allulose 55 -- 설탕sugar -- 55 고춧가루chili powder 33 33 마늘garlic 2.52.5 2.52.5 생강ginger 0.80.8 0.80.8 멸치액젓anchovy fish sauce 33 33 water 33 33 합계 (중량%)Total (wt%) 100100 100100

[실험예 1. 김치의 저장 과정 중 품질변화에 알룰로스가 미치는 영향][Experimental Example 1. Effect of allulose on quality change during storage of kimchi]

김치의 조직감 개선 효과 확인Confirmation of the texture improvement effect of kimchi

제조예 1 및 비교예 1을 대상으로 김치의 조직감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김치를 유리 용기(280ml)에 담아 15℃ 인큐베이터(KMBI-150-4, Lab Corporation, Korea)에서 15일간 보관하며, 2일, 5일, 7일, 13일, 15일차에 꺼내어 각각의 김치의 조직감을 확인하였다. 조직감은 김치의 줄기 부분만을 선별하여 시료로 사용하였고, 물성분석기(texture analysis)를 이용하여 하기 표 2에 따른 측정 조건에 따라 경도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다. 5 내지 6회 반복하여 측정한 시료의 경도 평균값을 표 3에 표기하였다. The texture of kimchi was confirmed for Prepar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The prepared kimchi is placed in a glass container (280ml) and stored in an incubator (KMBI-150-4, Lab Corporation, Korea) at 15°C for 15 days, then taken out on the 2nd, 5th, 7th, 13th, and 15th The texture of kimchi was confirmed. The texture was confirmed by selecting only the stem part of kimchi and using it as a sample, and measuring the hardnes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conditions according to Table 2 below using a texture analysis. Table 3 shows the average hardness values of the samples measured repeatedly 5 to 6 times.

항목Item 측정 조건Measuring conditions Probeprobe Light knife BladeLight knife Blade Test ModeTest Mode compressioncompression Test Speedtest speed 0.5 mm/sec0.5 mm/sec Posttest SpeedPosttest Speed 10 mm/sec10 mm/sec DistanceDistance 10 mm10 mm

그 결과,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제조예 1의 김치는 경도가 2일, 5일, 7일, 13일, 15일차에 각각 7,712, 12,159, 20,870, 20,562, 13,812 g/force로 측정되어, 설탕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의 7,272, 9,879, 15,520, 16,358, 11,687 g/force에 비하여, 경도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표 3 및 도 1 참고). 제조예 1의 김치는 경도가 더 증가하여 김치를 섭취하였을 때의 조직감이 유의적으로 높아져 아삭한 식감을 더 오랫동안 유지하여 저장성이 좋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the hardness of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containing allulose was measured to be 7,712, 12,159, 20,870, 20,562, 13,812 g/force on the 2nd, 5th, 7th, 13th, and 15th days, respectively. 7,272, 9,879, 15,520, 16,358, 11,687 g / force of Comparative Example 1 includ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hardness increased (see Table 3 and Figure 1). It was confirmed that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had a good storability effect by maintaining the crispy texture for a longer period of time by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texture when the kimchi was ingested due to the increased hardness.

분석 항목analysis items 시료sample 보관 2일2 days storage 보관 5일Storage 5 days 보관 7일Storage 7 days 보관 13일Storage 13 days 보관 15일15 days of storage 경도 (g/force)Hardness (g/force)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77127712 1215912159 2087020870 2056220562 138121381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72727272 98799879 1552015520 1635816358 1168711687 P-valueP-value 0.7000.700 0.1360.136 0.0110.011 0.0270.027 0.0270.027

김치의 군덕내 및 이수 발생 개선 효과 확인Confirmation of improvement effect of kimchi in Gundeok

제조예 1 및 비교예 1을 대상으로 외관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김치를 유리 용기에 담아 15℃ 인큐베이터에서 15일간 보관하며, 2일, 5일, 7일, 13일, 15일차에 꺼내어 각각의 김치의 군덕내와 이수 발생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The appearance was confirmed for Prepar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The prepared kimchi was placed in a glass container and stored in an incubator at 15° C. for 15 days, and then taken out on the 2nd, 5th, 7th, 13th, and 15th days to visually check the Gundeok and the degree of syneresis of each kimchi.

그 결과,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제조예 1의 김치는 설탕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의 김치에 비하여, 군덕내 및 이수가 더 적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참고). 제조예 1의 김치는 군덕내와 이수가 더 적게 발생하여 보관 기간 동안 더 섭취하기 좋은 상태를 유지하여 저장성이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containing allulose produced less water in Gundeok and water compared to the kimchi of Comparative Example 1 containing sugar (see FIG. 2 ). It was confirmed that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had better storage properties by maintaining a better condition for consumption during the storage period because less water in Gundeok and water were generated.

김치의 pH 및 산도 변화 확인Confirmation of changes in pH and acidity of kimchi

제조예 1 및 비교예 1을 대상으로 pH 및 산도를 측정하여 김치의 기초적인 품질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김치를 유리 용기에 담아 15℃ 인큐베이터에서 15일간 보관하며, 2일, 5일, 7일, 13일, 15일차에 꺼내어 김치 50 g을 믹서기(HR2860, Ya Horng Ele.CO.,Ltd, 중국)로 마쇄하여 거즈로 즙을 짠 뒤, pH 미터(Seven Compact pH/Ion S220, Mettler Toledo, Switzerland)를 이용하여 pH를 측정하였다. 산도는 상기의 김치 50 g을 0.1N의 NaOH 용액(0.1N NaOH, 대정화금)으로 pH가 8.3이 될 때까지 적정하면서, 소비된 0.1N NaOH의 양을 하기의 식을 통해 계산하였다. The basic quality of kimchi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pH and acidity of Prepar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Put the prepared kimchi in a glass container and store it in an incubator at 15℃ for 15 days, take it out on the 2nd, 5th, 7th, 13th, and 15th, and put 50 g of kimchi in a blender (HR2860, Ya Horng Ele.CO.,Ltd, After grinding with gauze and squeezing the juice with gauze, pH was measured using a pH meter (Seven Compact pH/Ion S220, Mettler Toledo, Switzerland). For acidity, 50 g of the kimchi was titrated with 0.1N NaOH solution (0.1N NaOH, Daejeonghwageum) until the pH reached 8.3, and the amount of 0.1N NaOH consumed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formula.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그 결과,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제조예 1의 김치는 pH가 2일, 5일, 7일, 13일, 15일차에 각각 5.6, 4.3, 4.2, 4.0, 4.0로 측정되어, 설탕을 포함하는 비교예 2의 5.7, 4.3, 4.1, 3.9, 3.8에 비하여, pH가 높음을 확인하였다(표 4 및 도 3a 참고). 또한, 제조예 1의 김치는 산도가 각각 0.34, 0.80, 0.95, 1.31, 1.31%로 측정되어, 비교예 1의 0.43, 0.89, 1.23, 1.58, 1.69%에 비하여 산도가 낮음을 확인하였다(표 4 및 도 3b 참고). As a result,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containing allulose had a pH of 5.6, 4.3, 4.2, 4.0, and 4.0 on the 2nd, 5th, 7th, 13th, and 15th days,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aining sugar. Compared with 5.7, 4.3, 4.1, 3.9, and 3.8 of Example 2, it was confirmed that the pH was high (see Table 4 and FIG. 3a ). In addition, the acidity of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was measured to be 0.34, 0.80, 0.95, 1.31, and 1.31%, respectivel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cidity was low compared to 0.43, 0.89, 1.23, 1.58, and 1.69% of Comparative Example 1 (Table 4). and Figure 3b).

보관 기간이 진행될수록 김치의 pH는 감소하고 산도는 증가하는데, 제조예 1의 김치는 보관 5일차부터 급격히 감소하다가 보관 13일차부터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보관 7일차부터는 비교예 1의 김치보다 pH가 유의적으로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산도 역시 제조예 1의 김치가 비교예 1의 김치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의 김치는 보관 기간이 진행되더라도 pH가 덜 낮아지고 산도는 덜 높아져 저장성이 좋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the storage period progressed, the pH of the kimchi decreased and the acidity increased.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rapidly decreased from the 5th day of storage, then decreased gently from the 13th day of storage, and from the 7th day of storage, the p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kimchi of Comparative Example 1.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cidity of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was maintain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kimchi of Comparative Example 1. It was confirmed that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had a good storability effect because the pH was lowered and the acidity was less increased even if the storage period was progressed.

분석 항목analysis items 시료sample 보관 2일2 days storage 보관 5일Storage 5 days 보관 7일Storage 7 days 보관 13일Storage 13 days 보관 15일15 days of storage pHpH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5.65.6 4.34.3 4.24.2 4.04.0 4.04.0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5.75.7 4.34.3 4.14.1 3.93.9 3.83.8 P-valueP-value 0.3650.365 0.2000.200 0.0160.016 0.0030.003 0.0040.004 산도 (%)Acidity (%)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0.340.34 0.800.80 0.950.95 1.311.31 1.311.3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0.430.43 0.890.89 1.231.23 1.581.58 1.691.69 P-valueP-value 0.0180.018 0.0020.002 0.0020.002 0.0230.023 0.0030.003

김치의 비타민 C 함량 증가 효과 확인Confirmation of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vitamin C content of kimchi

제조예 1 및 비교예 1을 대상으로 비타민 C의 함량을 측정하여 영양 성분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김치를 유리 용기에 담아 15℃ 인큐베이터에서 15일간 보관하며, 2일, 5일, 7일, 13일, 15일차에 꺼내어 김치 20 g을 믹서기로 마쇄하여 50 ml 정용 플라스크에 넣은 후, 500 g/L이 되도록 증류수로 녹여 정용한 다음, 3,000 rpm, 15분, 4℃의 조건으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이용하였다. 상기 상등액 1 ml만큼을 0.2 mm 필터로 여과하여 비타민 C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 용액을 제조하였다. 비타민 C의 표준 용액은 아스코르브 산 표준품(L(+)-Ascorbic acid, 순도 99.5% 이상, 대정화금) 0.01 g을 계량하여 10 ml 정용 플라스크에 취한 후 증류수로 녹여 10 ml만큼 정용(1 g/L, 1,000 ppm)한 후 10배 희석하여 0.1 g/L(100 ppm) 수준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표준 용액을 50, 25, 12.5, 6.25, 3.125 ppm으로 6 포인트 정도 희석하여 0.2 mm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이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험 용액 및 표준 용액을 HPLC((Alliance, Waters, e2695 Separation Modules, USA/ Waters column Heater Module/ RI detector Water 2414/ Empower™ Software)를 사용하여 하기 표 5의 분석조건으로 분석하였다. Nutritional components were confirmed by measuring the content of vitamin C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Put the prepared kimchi in a glass container and store it in an incubator at 15°C for 15 days, take it out on the 2nd, 5th, 7th, 13th, and 15th, grind 20 g of kimchi with a blender, put it in a 50 ml vial, 500 It was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so as to become g/L, and then centrifuged at 3,000 rpm, 15 minutes, and 4°C to use the supernatant. As much as 1 ml of the supernatant was filtered through a 0.2 mm filter to prepare a test solution for measuring the content of vitamin C. The standard solution of vitamin C is 0.01 g of ascorbic acid standard (L(+)-Ascorbic acid, purity 99.5% or more, Daejeong Hwa-geum), taken into a 10 ml flask,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and used for 10 ml (1 g/ L, 1,000 ppm) and then diluted 10-fold to prepare a level of 0.1 g/L (100 ppm). The standard solution was diluted by about 6 points to 50, 25, 12.5, 6.25, 3.125 ppm and filtered through a 0.2 mm filter for use. The test solution and standard solution prepared as described above were analyzed under the analysis conditions of Table 5 below using HPLC ((Alliance, Waters, e2695 Separation Modules, USA/Waters column Heater Module/RI detector Water 2414/Empower™ Software). .

이동상mobile phase 50mM H2PO4 50 mM H 2 PO 4 컬럼column Ineritisil ODS-3 5um, 4.6X250nmIneritisil ODS-3 5um, 4.6X250nm 유속flow rate 1.0ml/min1.0ml/min 온도temperature 40℃40 주입량injection volume 10㎕10 μl 검출기detector DAD(Diode Array Detector)DAD(Diode Array Detector)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HLPC 분석 후에 횡축은 아스코르브산 함량(ppm), 종축은 크로마토그램의 면적으로 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다음, 하기 식에 따라 제조예 1 및 비교예 1의 시험 용액의 비타민 C 함량 면적을 읽어 검량선으로부터 비타민 C 함량을 계산하였다. After HPLC analysis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above, a calibration curve was prepared with the abscissa axis as ascorbic acid content (ppm) and the ordinate axis as the area of the chromatogram, and then, the vitamin C content area of the test solutions of Prepar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Read and calculate the vitamin C content from the calibration curve.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그 결과,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제조예 1의 김치는 비타민 C의 함량이 2일, 5일, 7일, 13일, 15일차에 0.60, 3.88, 6.20, 10.66, 7.47 ppm으로 측정되어, 설탕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의 0.48, 3.76, 5.91, 10.06, 7.19 ppm에 비하여, 함량이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표 6 및 도 4 참고). As a result,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containing allulose had a vitamin C content of 0.60, 3.88, 6.20, 10.66, and 7.47 ppm on the 2nd, 5th, 7th, 13th, and 15th day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was higher than 0.48, 3.76, 5.91, 10.06, 7.19 ppm of Comparative Example 1 including (see Table 6 and FIG. 4).

비타민 C의 함량은 보관 13일차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제조예 1의 김치는 보관 7일차부터 비교예 1의 김치와 비교하여 비타민 C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여, 김치의 보관 및 숙성 과정에서 비타민 C가 더 많이 생성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content of vitamin C increased until the 13th day of storage, and then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thereafter. It was found that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had a significantly higher vitamin C content than the kimchi of Comparative Example 1 from the 7th day of storag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n effect of generating more vitamin C during the storage and aging process of kimchi.

분석 항목analysis items 시료sample 보관 2일2 days storage 보관 5일Storage 5 days 보관 7일Storage 7 days 보관 13일Storage 13 days 보관 15일15 days of storage 비타민 C (ppm)Vitamin C (ppm)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0.600.60 3.883.88 6.206.20 10.6610.66 7.477.47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0.480.48 3.763.76 5.915.91 10.0610.06 7.197.19 P-valueP-value 0.0580.058 0.5120.512 0.0400.040 0.0260.026 0.0350.035

김치의 관능 평가Sensory evaluation of kimchi

제조예 1 및 비교예 1을 대상으로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김치의 강도 및 기호도를 확인하였다. 유리 용기에 담아 15℃ 인큐베이터에서 적숙기간인 7일간 보관한 김치를 이용하여, 훈련된 전문 패널 10명을 대상으로 강도 속성 2항목(군덕내(이취) 및 김치 풍미 강도), 기호도 속성 2항목(김치 풍미 기호도, 전반 기호도)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on Prepar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to confirm the strength and preference of kimchi. Using kimchi stored in a glass container and stored in an incubator at 15°C for 7 days, which is the ripening period, 2 items of strength attributes (gundeoknae (off-flavor) and kimchi flavor strength), 2 items of preference attributes ( The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for kimchi flavor preference and overall preference).

그 결과,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제조예 1의 김치는 부정적인 이미나 이취에 해당하는 군덕내의 강도가 비교예 1의 김치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 김치 풍미의 강도는 유의적으로 높았다(표 7 및 도 5a 참고). 또한, 제조예 1의 김치는 비교예 1과 비교하여 김치 풍미 기호도 및 전반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표 7 및 도 5b 참고). 따라서 알룰로스를 포함하여 제조된 제조예 1의 김치는 알룰로스 대신 설탕을 이용한 김치에 비하여 부정적인 냄새는 더 적고 풍미는 더 좋아 소비자의 기호에 더 부합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in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containing allulose, the strength in Gundeok corresponding to the negative imin and off-flavo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kimchi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intensity of the kimchi flavor was significantly higher (Table 7 and Figs. 5a). In addition,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was evaluate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kimchi flavor preference and overall preference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 (see Table 7 and FIG. 5B ).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prepared including allulose had less negative odor and better flavor than kimchi using sugar instead of allulose, so that it had an effect that more satisfies consumer preferences.

관능 속성 (5점 척도)Sensory attributes (5-point scale)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p-valuep-value 강도robbery 군덕내 (이취)Gundeoknae (flavor) 2.332.33 4.174.17 0.0390.039 김치 풍미Kimchi flavor 4.004.00 2.672.67 0.0280.028 기호도symbol 김치 풍미Kimchi flavor 4.084.08 2.672.67 0.0140.014 전반 기호도first half symbol 4.174.17 2.832.83 0.0050.005

[제조예 2 내지 4][Preparation Examples 2 to 4]

양념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of seasoning composition

알룰로스 최소 첨가량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성분을 이용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양념 조성물을 제조하되, 함량을 줄이면서 하기 표 8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혼합하여 양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2 내지 4의 양념 조성물은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김치의 저장안정성 개선을 위한 알룰로스의 유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알룰로스의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것이다.In order to confirm the minimum amount of allulose added, a seasoning composition was prepared by using the same ingredients as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preparing a seasoning composition in the same manner, while reducing the content, and mixing the same in the amount as shown in Table 8 below to prepare a seasoning composition. The seasoning compositions of Preparation Examples 2 to 4 were prepared by varying the content of allulose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ive amount of allulose for improving the storage stability of kimchi prepared using the same.

김치의 제조production of kimchi

기본적으로 상기 제조예 1의 김치를 제조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예 2 내지 4의 김치를 제조하되, 양념 조성물은 하기 표 8과 같이 알룰로스 함량을 달리하여 첨가한 것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Basically,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s 2 to 4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but the seasoning composition was prepared by adding different allulose content as shown in Table 8 below.

[비교예 2 내지 6][Comparative Examples 2 to 6]

양념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of seasoning composition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성분을 이용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양념 조성물을 제조하되, 성분과 함량을 조금씩 달리하여 하기 표 8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혼합하여 양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2는 제조예 1과 달리 양념 조성물에 당류를 포함하지 않고, 비교예 3은 알룰로스를 포함하지 않고 설탕(CJ제일제당, 결정, 순도 98%이상)을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비교예 4 내지 6은 알룰로스 대신 같은 단당류(ketohexose)인 과당을 함량별로 포함하여 제조하였다.A seasoning composition was prepared by using the same ingredients as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using the same method, but with slightly different ingredients and contents, and mixing to the same content as shown in Table 8 below to prepare a seasoning composition. More specifically, Comparative Example 2 did not contain saccharides in the seasoning composition, unlike Prepar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3 did not contain allulose and was prepared by adding sugar (CJ Cheiljedang, crystals, purity of 98% or more). , Comparative Examples 4 to 6 were prepared by including fructose, which is the same monosaccharide (ketohexose), by content instead of allulose.

김치의 제조production of kimchi

김치의 제조 또한, 기본적으로 상기 제조예 1의 김치를 제조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2 내지 6의 김치를 제조하되, 양념 조성물은 하기 표 8과 같이 당원을 첨가하지 않거나(비교예 2), 알룰로스 대신 설탕을 첨가하거나(비교예 3), 또는 과당을 첨가한 것(비교예 4 내지 6)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Preparation of Kimchi Also, basically, the kimchi of Comparative Examples 2 to 6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1, but the seasoning composition did not add a sugar source as shown in Table 8 below (Comparative Example 2) , was prepared by adding sugar instead of allulose (Comparative Example 3), or adding fructose (Comparative Examples 4 to 6).

성분ingredient 제조예2Preparation Example 2 제조예3Preparation 3 제조예4Preparation 4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5Comparative Example 5 비교예6Comparative Example 6 절임배추pickled cabbage 87.787.7 87.787.7 87.787.7 87.787.7 87.787.7 87.787.7 87.787.7 87.787.7 고춧가루chili powder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마늘garlic 2.52.5 2.52.5 2.52.5 2.52.5 2.52.5 2.52.5 2.52.5 2.52.5 생강ginger 0.80.8 0.80.8 0.80.8 0.80.8 0.80.8 0.80.8 0.80.8 0.80.8 멸치액젓anchovy fish sauce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water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과당fruit sugar     0.50.5 1.01.0 3.03.0 설탕sugar   1.01.0       알룰로스allulose 0.50.5 1.01.0 3.03.0           합계(g)Total (g) 100.5100.5 101.0101.0 103.0103.0 100.0100.0 101.0101.0 100.5100.5 101.0101.0 103.0103.0

상기 표 8의 김치에 포함된 성분의 함량을 하기 표 9에 백분율로 나타냈다.The content of the ingredients included in the kimchi of Table 8 is shown in percentage in Table 9 below.

성분ingredient 제조예2Preparation Example 2 제조예3Preparation 3 제조예4Preparation 4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5Comparative Example 5 비교예6Comparative Example 6 절임배추pickled cabbage 87.2687.26 86.8386.83 85.1585.15 86.8386.83 87.2687.26 86.8386.83 85.1585.15 83.5283.52 고춧가루chili powder 2.992.99 2.972.97 2.912.91 2.972.97 2.992.99 2.972.97 2.912.91 2.862.86 마늘garlic 2.492.49 2.482.48 2.432.43 2.482.48 2.492.49 2.482.48 2.432.43 2.382.38 생강ginger 0.800.80 0.790.79 0.780.78 0.790.79 0.800.80 0.790.79 0.780.78 0.760.76 멸치액젓anchovy fish sauce 2.992.99 2.972.97 2.912.91 2.972.97 2.992.99 2.972.97 2.912.91 2.862.86 water 2.992.99 2.972.97 2.912.91 2.972.97 2.992.99 2.972.97 2.912.91 2.862.86 과당fruit sugar           0.500.50 0.990.99 2.912.91 설탕sugar         0.990.99       알룰로스allulose 0.500.50 0.990.99 2.912.91           합계(%)Sum(%) 100.00100.00 100.00100.00 100.00100.00 100.00100.00 100.00100.00 100.00100.00 100.00100.00 100.00100.00

[실험예 2.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김치의 저장안정성 개선 효과에 대한 알룰로스의 유효량 확인] [Experimental Example 2. Confirmation of effective amount of allulose on the effect of improving storage stability of kimchi containing allulose]

김치의 외관 확인Check the appearance of kimchi

제조예 2 내지 4 및 비교예 2 내지 6을 대상으로 김치의 외관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김치를 유리 용기에 담아 15℃ 인큐베이터에서 숙성시키며 보관 5일, 7일, 13일차에 꺼내어 각각의 김치를 사진 촬영하고 외관 형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외관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For Preparation Examples 2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2 to 6, the appearance of kimchi was confirmed. The prepared kimchi was placed in a glass container, aged in an incubator at 15°C, and taken out on the 5th, 7th, and 13th days of storage.

그 결과, 보관기간이 증가할수록 당류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2, 그리고 알룰로스 대신 과당 또는 설탕을 첨가한 비교예 3 내지 6에 비해, 제조예 2 내지 4의 배추김치는 색상이 더 선명하고 물러지는 현상이 적어 외관 기호도가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표 10 및 도 6 참고). 따라서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김치는, 알룰로스를 포함하지 않거나 알룰로스 대신 과당 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김치와 비교할 때 보관 기간을 거치더라도 김치의 외관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가 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2 in which no sugar was added, and Comparative Examples 3 to 6 in which fructose or sugar was added instead of allulose, the color of the cabbag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s 2 to 4 was clearer and softer. It was evaluated that the appearance preference was more excellent because the loss phenomenon was less (refer to Table 10 and FIG. 6).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kimchi containing allulose has a better effect on consumer preference for the appearance of kimchi even after a storage period compared to kimchi that does not contain allulose or contains fructose or sugar instead of allulose. .

외관 기호도 (5점 척도)Appearance preference (5-point scale) 보관 5일Storage 5 days 보관 7일Storage 7 days 보관 13일Storage 13 days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2.82.8 2.92.9 3.33.3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3.23.2 3.43.4 3.33.3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2.82.8 2.92.9 3.03.0 제조예 3Preparation 3 3.73.7 3.63.6 3.63.6

김치의 조직감 확인Checking the texture of kimchi

제조예 2 내지 4 및 비교예 2 내지 6을 대상으로 김치의 조직감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김치를 유리 용기(280ml)에 담아 15℃ 인큐베이터에서 13일간 보관하며 보관 3일, 7일, 13일차에 꺼내어 각각의 김치의 조직감을 확인하였다. 조직감은 김치의 줄기 부분만을 선별하여 시료로 사용하였고, 물성분석기(texture analysis)를 이용하여 하기 표 11에 따른 측정 조건에 따라 경도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다. 5 내지 7회 반복하여 측정한 시료의 경도 평균값을 표기하였다. 이와 같은 경도의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냈다. The texture of kimchi was confirmed for Preparation Examples 2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2 to 6. The prepared kimchi was placed in a glass container (280ml) and stored in an incubator at 15° C. for 13 days, and taken out on the 3rd, 7th, and 13th days of storage to check the texture of each kimchi. The texture was confirmed by selecting only the stem part of kimchi and using it as a sample, and measuring hardnes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conditions according to Table 11 below using a texture analysis. The average hardness value of the samples measured repeatedly 5 to 7 times was indicated. The measurement results of such hardness are shown in Table 12 below.

항목Item 측정 조건Measuring conditions Probeprobe Light knife BladeLight knife Blade Test ModeTest Mode compressioncompression Test Speedtest speed 0.5 mm/sec0.5 mm/sec Posttest SpeedPosttest Speed 10 mm/sec10 mm/sec Target modeTarget mode Strain 90%Strain 90%

경도 (g/force)Hardness (g/force) 보관 3일storage 3 days 보관 7일Storage 7 days 보관 13일Storage 13 days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1099310993 94129412 69166916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1076410764 82438243 81878187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1050010500 92239223 79477947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1079110791 91509150 75657565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1049310493 88978897 72847284 제조예 2Preparation 2 1131811318 1025110251 82998299 제조예 3Preparation 3 1181511815 1011310113 8869** 8869 ** 제조예 4Preparation 4 1162911629 97479747 8392*** 8392 ***

**: 동일 보관 일차에서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5에 대해서 제조예 3이 p<0.05 수준에서 유의적 차이 있음을 의미***: 동일 보관 일차에서 비교예 2, 비교예 6에 대해서 제조예 4가 p<0.05 수준에서 유의적 차이 있음을 의미 **: Meaning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paration Example 3 at p <0.05 level with respect to Comparative Examples 2, 3, and 5 on the same storage day ***: Comparative Example 2, Comparative Example 6 on the same storage day mean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paration Example 4 at the p <0.05 level

그 결과, 모든 김치 시료는 보관 기간이 지남에 따라 경도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제조예 2 내지 제조예 4의 김치는 당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비교예 2)나 설탕을 첨가한 김치(비교예 3), 과당을 첨가한 김치(비교예 4 내지 6)에 비해 경도가 높게 측정되었음을 확인하였다(표 12 참고). 특히 제조예 2 내지 제조예 4의 김치는 보관 7일 이후에도, 과당을 포함하는 김치의 보관 초기 상태와 동등한 수준의 조직감을 유지함을 확인하여, 아삭한 식감을 더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어 저장성이 좋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all of the kimchi samples showed a tendency to gradually decrease in hardness over the storage period.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s 2 to 4 containing allulose was kimchi without added sugar (Comparative Example 2) or It was confirmed that the hardness was measured to be higher than that of kimchi with added sugar (Comparative Example 3) and kimchi with added fructose (Comparative Examples 4 to 6) (see Table 12).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s 2 to 4 maintains the same level of texture as the initial storage state of the fructose-containing kimchi even after 7 days of storage, so that the crisp texture can be maintain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which has a good storability effect. was able to confirm

김치의 pH, 산도 및 유기산의 변화 확인Confirmation of changes in pH, acidity and organic acid of kimchi

제조예 2 내지 4 및 비교예 2 내지 6을 대상으로 pH 및 산도를 측정하여 김치의 기초적인 품질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김치를 유리 용기에 담아 15℃ 인큐베이터에서 13일간 보관하며 제조 직후, 보관 7일, 11일, 13일차에 꺼내어 김치 100 g을 믹서기(HR2860, Ya Horng Ele.CO.,Ltd, China)로 마쇄하여 멸균된 거즈로 즙을 짠 뒤, pH 미터(Seven Compact pH/Ion S220, Mettler Toledo, Switzerland)를 이용하여 pH를 측정하여 하기의 표 13에 비교하였다. By measuring the pH and acidity of Preparation Examples 2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2 to 6, the basic quality of kimchi was confirmed. Put the prepared kimchi in a glass container and store it in an incubator at 15℃ for 13 days. Immediately after production, take it out on the 7th, 11th, and 13th days of storage, and transfer 100 g of kimchi to a blender (HR2860, Ya Horng Ele.CO.,Ltd, China). After grinding and squeezing the juice with sterilized gauze, the pH was measured using a pH meter (Seven Compact pH/Ion S220, Mettler Toledo, Switzerland) and compared in Table 13 below.

pHpH 보관 0일Storage 0 days 보관 7일Storage 7 days 보관 11일storage 11 days 보관 13일Storage 13 days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5.45.4 4.04.0 3.93.9 3.83.8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5.55.5 4.14.1 3.93.9 3.83.8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5.55.5 4.04.0 3.93.9 3.73.7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5.65.6 4.04.0 3.93.9 3.73.7 제조예 3Preparation 3 5.65.6 4.14.1 4.0** 4.0 ** 3.9** 3.9 ** 제조예 4Preparation 4 5.65.6 4.04.0 4.0*** 4.0 *** 4.0*** 4.0 ***

**: 동일 보관 일차에서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5에 대해서 제조예 3이 p<0.05 수준에서 유의적 차이 있음을 의미 **: means that Preparation Example 3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p <0.05 level with respect to Comparative Example 2, Comparative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5 on the same storage day

***: 동일 보관 일차에서 비교예 2, 비교예 6에 대해서 제조예 4가 p<0.05 수준에서 유의적 차이 있음을 의미***: Means that Preparation Example 4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p <0.05 level with respect to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6 on the same storage day

그 결과, 동일한 함량의 당을 포함하는 김치를 기준으로 비교할 때, 보관 기간이 지날수록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pH가 4 미만이면 과숙된 것으로 판단할 때, 같은 보관 기간을 기준으로 과당을 포함하는 김치에 비해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김치가 더 높은 pH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s a result, when comparing kimchi containing the same amount of sugar as a standard, the pH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s the storage period passed. When the pH is less than 4, it was confirmed that the kimchi containing allulose maintained a higher pH than the kimchi containing fructose based on the same storage period when judged to be overripe.

구체적으로, 알룰로스가 1% 이상 첨가될 경우, 보관 기간이 길어질수록 동량의 과당을 포함하는 경우보다 높은 pH를 유지하였고, 특히 보관 11일차까지 적숙기에 해당하는 pH를 유지하여 11일차 이후부터는 과숙기 pH를 나타낸 동량의 과당을 포함하는 김치에 비해 pH 감소 현상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pecifically, when 1% or more of allulose was added, the longer the storage period, the higher the pH was maintained than when the same amount of fructose was included. It was confirmed that the pH decrease was improved compared to the kimchi containing the same amount of fructose that showed the pH of the ripening phase.

산도는 상기 제조예 2 내지 4 및 비교예 2 내지 6의 김치 시료 중 5ml를 취하여, 자동 적정 산도계(TA-70, TOA DKK, Japan)를 이용해 산도를 하기 표 14의 조건으로 측정하였고, 산도의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6에 비교하였다. For acidity, 5 ml of the kimchi samples of Preparation Examples 2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2 to 6 were taken, and the acidity was measured using an automatic titration acidity meter (TA-70, TOA DKK, Japan) under the conditions of Table 14 below, and the acidity was compared in Table 16 below.

항목Item 측정 조건Measuring conditions 적정 모드Titration mode Lactic acidlactic acid 적정 시약Titration reagent 0.1N NaOH0.1N NaOH 적정 종말점Titration endpoint pH 8.3pH 8.3 시료 부피sample volume 5 ml5 ml

상기 산도 측정 데이터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의 김치 시료를 대상으로 유기산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유기산 측정은 보관된 김치에서는 주로 생성되는 젖산과 아세트산으로 분석하였다. 제조된 김치를 유리 용기에 담아 15℃ 인큐베이터에서 13일간 보관하면서, 보관 13일차에 꺼내어 김치 20 g을 믹서기로 마쇄하여 50 ml 정용 플라스크에 넣은 후, 400 g/L이 되도록 증류수로 녹여 정용한 다음, 3,000 rpm, 15분, 4℃의 조건으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이용하였다. 상기 상등액 1 ml만큼을 0.2 mm 필터로 여과하여 유기산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 용액을 제조하였다. 유기산의 표준 용액은 젖산 표준품(Lactic acid, 순도 90% 이상, 남영상사)과 아세트산 표준품(Acetic acid, 순도 99% 이상, 대정화금) 각각 0.05 g을 계량하여 10 ml 정용 플라스크에 취한 후 증류수로 녹여 10 ml만큼 정용(5 g/L, 5,000 ppm)하여 표준용액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표준 용액을 2,500, 1,250, 625, 312.5, 156.25 ppm으로 6 포인트 정도 희석하여 0.2 mm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이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험 용액 및 표준 용액을 HPLC((Alliance, Waters, e2695 Separation Modules, USA/ Waters column Heater Module/ RI detector Water 2414/ Empower™ Software)를 사용하여 하기 표 15의 분석조건으로 분석하였다.In order to supplement the acidity measurement data, the content of organic acids was analyzed in the kimchi sample. Organic acids were analyzed using lactic acid and acetic acid, which are mainly produced in stored kimchi. Put the prepared kimchi in a glass container and store it in an incubator at 15°C for 13 days, take it out on the 13th day of storage, grind 20 g of kimchi with a blender, put it in a 50 ml flask, dissolve it in distilled water to 400 g/L and use it, The supernatant was used by centrifugation at 3,000 rpm, 15 minutes, and 4°C. As much as 1 ml of the supernatant was filtered through a 0.2 mm filter to prepare a test solution for measuring the organic acid content. For the standard solution of organic acid, weigh 0.05 g each of lactic acid standard (Lactic acid, purity 90% or more, Nam Youngsang) and acetic acid standard (Acetic acid, purity 99% or more, Daejung Hwageum), take it into a 10 ml diaphragm flask, and use distilled water Dissolved and 10 ml of tablets (5 g/L, 5,000 ppm) were prepared as standard solutions. The standard solution was diluted by about 6 points to 2,500, 1,250, 625, 312.5, and 156.25 ppm and filtered through a 0.2 mm filter for use. The test solution and standard solution prepared as described above were analyzed under the analysis conditions of Table 15 below using HPLC ((Alliance, Waters, e2695 Separation Modules, USA/ Waters column Heater Module/ RI detector Water 2414/ Empower™ Software). .

이동상mobile phase 5mM H2SO4 5 mM H 2 SO 4 컬럼column Aminex HPX-87H (300 x 7.8 ㎜)Aminex HPX-87H (300 x 7.8 mm) 유속flow rate 0.6ml/min0.6ml/min 온도temperature 35℃35℃ 주입량injection volume 20㎕20 μl 검출기detector DAD(Diode Array Detector)파장: 210/Ref.360nmDAD(Diode Array Detector) Wavelength: 210/Ref.360nm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HLPC 분석 후에 횡축은 젖산 함량(ppm), 종축은 크로마토그램의 면적으로 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다음, 하기 식에 따라 시료의 시험 용액의 젖산 함량 면적을 읽어 검량선으로부터 젖산 함량을 계산하였다.After HPLC analysis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above, a calibration curve was prepared with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ing the lactic acid content (ppm)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ing the area of the chromatogram. Then, the lactic acid content area of the test solution of the sample was rea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and the lactic acid content was calculated from the calibration curve. .

아세트산 함량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한 후, 젖산과 아세트산 함량을 합하여 유기산으로써 결과를 나타내어, 하기의 표 17 및 도 10에 비교하였다. After the acetic acid content was also calculated in the same way as above, the results were shown as organic acids by combining the lactic acid and acetic acid contents, and compared in Table 17 and FIG. 10 below.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산도(%)Acidity (%) 보관 0일Storage 0 days 보관 7일Storage 7 days 보관 11일storage 11 days 보관 13일Storage 13 days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0.40.4 1.11.1 1.41.4 1.4 1.4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0.30.3 1.21.2 1.31.3 1.51.5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0.30.3 1.11.1 1.31.3 1.41.4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0.30.3 1.21.2 1.51.5 1.71.7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0.30.3 1.21.2 1.51.5 1.71.7 제조예 2Preparation 2 0.30.3 1.11.1 1.2* 1.2 * 1.4* 1.4 * 제조예 3Preparation 3 0.30.3 1.0** 1.0 ** 1.3** 1.3 ** 1.3** 1.3 ** 제조예 4Preparation 4 0.30.3 1.0*** 1.0 *** 1.2*** 1.2 *** 1.3*** 1.3 ***

*: 동일 보관 일차에서 비교예 2, 비교예 4에 대해서 제조예 2가 p<0.05 수준에서 유의적 차이 있음을 의미 *: Means that Preparation Example 2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p <0.05 level with respect to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4 on the same storage day

**: 동일 보관 일차에서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5에 대해서 제조예 3이 p<0.05 수준에서 유의적 차이 있음을 의미**: means that Preparation Example 3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p <0.05 level with respect to Comparative Example 2, Comparative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5 on the same storage day

***: 동일 보관 일차에서 비교예 2, 비교예 6에 대해서 제조예 4가 p<0.05 수준에서 유의적 차이 있음을 의미 ***: Means that Preparation Example 4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p <0.05 level with respect to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6 on the same storage day

유기산(ppm)Organic acids (ppm) 보관 13일Storage 13 days 젖산lact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합계Sum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66436643 16421642 82858285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58245824 20572057 78817881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61616161 22722272 84328432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68336833 22872287 91209120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55105510 24082408 79187918 제조예 2Preparation 2 61706170 18441844 8014* 8014 * 제조예 3Preparation 3 58345834 19901990 7824** 7824 ** 제조예 4Preparation 4 51415141 22282228 7369*** 7369 ***

*: 동일 보관 일차에서 비교예 2, 비교예 4에 대해서 제조예 2가 p<0.05 수준에서 유의적 차이 있음을 의미 *: Means that Preparation Example 2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p <0.05 level with respect to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4 on the same storage day

**: 동일 보관 일차에서 비교예 2, 비교예 5에 대해서 제조예 3이 p<0.05 수준에서 유의적 차이 있음을 의미**: means that Preparation Example 3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p <0.05 level with respect to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5 on the same storage day

***: 동일 보관 일차에서 비교예 2, 비교예 6에 대해서 제조예 4가 p<0.05 수준에서 유의적 차이 있음을 의미***: Means that Preparation Example 4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p <0.05 level with respect to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6 on the same storage day

그 결과, 동일한 함량의 당을 포함하는 김치를 기준으로 비교할 때, 보관 기간이 지날수록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산도가 1% 이상이면 과숙된 것으로 판단할 때, 당류를 0.5% 첨가한 김치의 경우 당의 종류와 무관하게 보관 7일차에서 과숙기 상태의 산도를 나타냈다. 또한, 1% 이상의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김치의 경우 보관 7일차까지 적숙기 내의 산도를 유지하는 것에 반해, 동량의 과당을 포함하는 김치의 경우 7일차부터 과숙기의 산도를 나타내었다. As a result, when comparing kimchi containing the same amount of sugar as a standard, the acidity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storage period passed. When the acidity was over 1%, it was judged that the kimchi was overripe, and the kimchi with 0.5% added sugar showed the acidity of the overripe stage on the 7th day of storage regardless of the type of sugar. In addition, in the case of kimchi containing 1% or more allulose, the acidity was maintained until the 7th day of storage, whereas in the case of kimchi containing the same amount of fructose, the acidity of the ripening period was shown from the 7th day.

동일한 보관 기간을 기준으로 할 때, 당류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과당을 포함하는 김치에 비해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김치의 산도가 더 낮은 것으로 보아, 알룰로스를 첨가한 김치의 저장안정성이 더 개선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sed on the same storage period, the higher the sugar content, the lower the acidity of kimchi containing allulose compared to kimchi containing fructose.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또한, 보관 13일차일 때의 유기산의 함량을 확인한 결과,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김치는 보관 과정의 대사 산물 중 하나인 유기산(젖산과 아세트산)의 함량이 과당을 포함하는 김치에 비해 더 낮게 측정되었으므로, 저장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In addition, as a result of checking the content of organic acids on the 13th day of storage, the content of organic acids (lactic acid and acetic acid), one of the metabolites of the storage process, of kimchi containing allulose was measured to be lower than that of kimchi containing fructose. , it could be indirectly confirmed that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torage properties.

김치의 이수 현상 개선 효과 확인Confirmation of improvement effect of syneresis

제조예 2 내지 4 및 비교예 2 내지 6을 대상으로 보관 기간 중 이수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수율은 제조 직후 배추 김치의 무게를 측정하고, 15℃ 인큐베이터에서 보관 7일, 11일, 13일 간격으로 시료를 꺼내어 배추 김치에서 나온 이수량을 측정한 뒤, 하기 식에 의한 각 시료의 이수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18에 비교하였다.For Preparation Examples 2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2 to 6, the change of water absorption during storage period was confirmed. Yield rate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weight of cabbage kimchi immediately after production, taking out samples every 7 days, 11 days, and 13 days from storage in an incubator at 15 ° C. It was measured and compared in Table 18 below.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이수율(%)Yield rate (%) 보관 0일Storage 0 days 보관 7일Storage 7 days 보관 11일storage 11 days 보관 13일Storage 13 days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0.00.0 7.87.8 6.56.5 8.68.6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0.00.0 9.79.7 12.412.4 13.413.4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0.00.0 8.88.8 9.99.9 10.410.4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0.00.0 9.69.6 11.211.2 11.311.3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0.00.0 13.913.9 14.414.4 14.514.5 제조예 2Preparation 2 0.00.0 7.77.7 8.0* 8.0 * 8.2* 8.2 * 제조예 3Preparation 3 0.00.0 7.2** 7.2 ** 9.1** 9.1 ** 6.4** 6.4 ** 제조예 4Preparation 4 0.00.0 12.2*** 12.2 *** 10.0*** 10.0 *** 8.5*** 8.5 ***

*: 동일 보관 일차에서 비교예 2, 비교예 4에 대해서 제조예 2가 p<0.05 수준에서 유의적 차이 있음을 의미*: Means that Preparation Example 2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p <0.05 level with respect to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4 on the same storage day

**: 동일 보관 일차에서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5에 대해서 제조예 3이 p<0.05 수준에서 유의적 차이 있음을 의미**: means that Preparation Example 3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p <0.05 level with respect to Comparative Example 2, Comparative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5 on the same storage day

***: 동일 보관 일차에서 비교예 2, 비교예 6에 대해서 제조예 4가 p<0.05 수준에서 유의적 차이 있음을 의미 ***: Means that Preparation Example 4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p <0.05 level with respect to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6 on the same storage day

그 결과, 당류를 첨가하지 않은 김치(비교예 2)에서 이수율이 가장 낮게 측정되어, 김치의 당류 함량이 높아질수록 이수의 발생 현상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과당을 포함하는 김치에 비해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김치의 이수율이 더 낮은 것으로 계산되었고, 알룰로스를 0.5% 내지 5% 포함하는 김치에서 과당 첨가 김치에 비해 유의적인 이수율의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특히, 알룰로스를 1% 이상 첨가할 경우 동량의 과당을 포함하는 김치에 비해 이수량의 저감 효과가 크게 나타나 알룰로스의 저장안정성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the syneresis was measured to be the lowest in kimchi without added sugar (Comparative Example 2), and as the saccharide content of kimchi increased, the occurrence of syneresis increased. However, it was calculated that the yield rate of kimchi containing allulose was lower than that of kimchi containing fructose. did. In particular, when 1% or more of allulose was added, compared to kimchi containing the same amount of fructose, the effect of reducing the amount of dilution was greater, confirm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orage stability of allulose.

김치의 관능평가Sensory evaluation of kimchi

상업적 당류 첨가량인 1%의 당류를 포함하는 비교예 3, 비교예 5, 제조예 3, 그리고 대조군으로 비교예 2를 대상으로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김치 맛의 강도 및 기호도를 확인하였다. 유리 용기에 담아 15℃ 인큐베이터에서, 상기 pH/산도 측정 결과에 따라 적숙 기간으로 판단되는 보관 5일부터 시작하여 보관 7일, 13일 보관한 김치를 이용하여, 훈련된 전문 패널 10명을 대상으로 맛의 강도 속성 6항목(상큼한 냄새;신선도, 군덕내;이취, 텍스쳐;아삭함, 김치 풍미, 단맛, 신맛 강도), 기호도 속성 6항목(단맛, 신맛, 텍스쳐, 외관, 김치 풍미, 전반 기호도)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진행하여 하기 표 19 내지 표 21에 비교하였다. The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on Comparative Example 3, Comparative Example 5, Preparation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2 as a control containing 1% of the commercial sugar added amount to confirm the strength and preference of the kimchi taste. Using kimchi stored in a glass container at 15 ° C in an incubator at 15 ° C. 6 items of taste intensity attribute (fresh smell; freshness, gundeok; off-flavor, texture; crispiness, kimchi flavor, sweetness, acidity intensity), 6 items of preference attribute (sweetness, sour taste, texture, appearance, kimchi flavor, overall preference) The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and compared to Tables 19 to 21 below.

보관 5일차Day 5 of storage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제조예 3Preparation 3 상큼한 냄새(신선도) 강도Fresh odor (freshness) intensity 3.43.4 3.43.4 3.33.3 3.73.7 군덕내(이취) 강도Gundeoknae (off-flavor) strength 2.52.5 2.62.6 2.82.8 2.22.2 텍스쳐(아삭함) 강도Texture (Crunchy) Strength 3.33.3 3.53.5 3.73.7 3.83.8 김치 풍미 강도Kimchi flavor intensity 3.33.3 3.33.3 3.03.0 3.33.3 단맛 강도sweetness intensity 2.02.0 2.72.7 2.92.9 2.62.6 신맛 강도sour intensity 3.23.2 3.53.5 3.43.4 3.13.1 단맛 기호도sweet taste 3.23.2 3.43.4 3.33.3 3.53.5 신맛 기호도sour taste 3.03.0 3.03.0 3.23.2 3.73.7 텍스쳐 기호도texture symbol map 3.13.1 3.33.3 3.33.3 3.63.6 외관 기호도exterior sign 2.82.8 3.23.2 2.82.8 3.73.7 김치 풍미 기호도Kimchi flavor symbol map 3.03.0 3.33.3 3.13.1 3.43.4 전반 기호도first half symbol 3.13.1 3.43.4 3.33.3 3.73.7

보관 7일차Storage Day 7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제조예 3Preparation 3 상큼한 냄새(신선도) 강도Fresh odor (freshness) intensity 3.33.3 2.92.9 3.23.2 3.73.7 군덕내(이취) 강도Gundeoknae (off-flavor) strength 3.23.2 3.33.3 3.23.2 2.62.6 텍스쳐(아삭함) 강도Texture (Crunchy) Strength 3.23.2 3.53.5 3.23.2 3.63.6 김치 풍미 강도Kimchi flavor intensity 3.43.4 3.13.1 3.53.5 3.63.6 단맛 강도sweetness intensity 2.32.3 3.03.0 2.82.8 2.52.5 신맛 강도sour intensity 3.63.6 3.13.1 3.63.6 3.63.6 단맛 기호도sweet taste 3.23.2 2.82.8 3.03.0 3.43.4 신맛 기호도sour taste 3.13.1 2.92.9 2.82.8 3.43.4 텍스쳐 기호도texture symbol map 3.33.3 3.13.1 3.13.1 3.93.9 외관 기호도exterior sign 2.92.9 3.43.4 2.92.9 3.63.6 김치 풍미 기호도Kimchi flavor symbol map 3.33.3 2.92.9 3.13.1 3.53.5 전반 기호도first half symbol 3.23.2 2.92.9 3.13.1 3.83.8

보관 13일차Storage Day 13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제조예 3Preparation 3 상큼한 냄새(신선도) 강도Fresh odor (freshness) intensity 3.13.1 3.13.1 2.82.8 3.23.2 군덕내(이취) 강도Gundeoknae (off-flavor) strength 3.03.0 3.23.2 3.63.6 3.13.1 텍스쳐(아삭함) 강도Texture (Crunchy) Strength 3.73.7 3.53.5 3.33.3 3.83.8 김치 풍미 강도Kimchi flavor intensity 3.43.4 3.63.6 3.73.7 3.83.8 단맛 강도sweetness intensity 2.52.5 2.42.4 2.62.6 2.32.3 신맛 강도sour intensity 3.83.8 3.73.7 4.34.3 3.73.7 단맛 기호도sweet taste 3.03.0 3.23.2 3.03.0 3.03.0 신맛 기호도sour taste 3.13.1 3.73.7 3.13.1 3.43.4 텍스쳐 기호도texture symbol map 3.33.3 3.63.6 3.33.3 3.33.3 외관 기호도exterior sign 3.33.3 3.33.3 3.03.0 3.63.6 김치 풍미 기호도Kimchi flavor symbol map 3.33.3 3.43.4 3.33.3 3.63.6 전반 기호도first half symbol 3.43.4 3.43.4 3.13.1 3.53.5

그 결과, 5일, 7일, 13일의 보관 기간을 거친 김치 모두에서 알룰로스를 1%만큼 포함하는 제조예 2의 김치가 맛의 강도 속성과 기호도 속성 모두에서 비교예 2, 3 및 5의 김치에 비해 높은 관능 품질 점수를 받았다.김치의 보관 기간이 길어지더라도 알룰로스를 포함하지 않거나 과당 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비교예 2, 3, 5의 김치에 비해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김치는 군덕내가 적고 김치의 신선도, 풍미, 아삭함의 강도가 높아 관능적인 기호도가 높게 유지되어 저장 과정에서 김치 관능 품질의 유지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a result, the kimchi of Preparation Example 2 containing as much as 1% of allulose in all of the kimchi that had been stored for 5 days, 7 days, and 13 days was the same as those of Comparative Examples 2, 3, and 5 in both the taste intensity attribute and the preference attribute. It received a higher sensory quality score compared to kimchi. Even if the storage period of kimchi is prolonged, kimchi containing allulose has a Gundeok natura compared to the kimchi of Comparative Examples 2, 3, and 5 containing no allulose or containing fructose or sugar. It was confirmed that the sensory quality of kimchi was excellent in maintaining the sensory quality during the storage process as the sensory preference was maintained high due to the high intensity of freshness, flavor, and crunchiness of kimchi.

통계처리Statistical processing

통계분석은 SAS 9.4 program (SAS Inc., Cary, NC, USA)을 이용하였으며, 상기 실험예 1은 독립표본 T-test(Independent Two -sample T-test) 방법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상기 실험예 2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 방법으로 유의성을 검증 하였고, 사후검증은 Turkey test를 사용하였다. 모든 분석은 유의수준 p<0.05 수준 하에서 검정하였다.For statistical analysis, SAS 9.4 program (SAS Inc., Cary, NC, USA) was used, and the significance of Experimental Example 1 was verified by the independent two-sample T-test method. In Experimental Example 2, the significance was verified by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 method, and the Turkey test was used for the post-test. All analyzes were tested under the significance level p<0.05.

이상에서 본 출원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출원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applica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t is natural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Claims (13)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김치로서,
상기 알룰로스는 김치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7 내지 1.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김치.
As kimchi containing allulose,
The allulose will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7 to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kimchi, kimchi.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김치는 배추를 포함하는 것인, 김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kimchi will include Chinese cabbage, kimchi.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김치는 알룰로스를 포함하지 않는 김치에 비해 경도가 증가한 것인, 김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kimchi is that the hardness is increased compared to kimchi that does not contain allulose, kimchi.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김치는 알룰로스를 포함하지 않는 김치에 비해 이수율이 낮은 것인, 김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kimchi is that the yield is lower than that of kimchi that does not contain allulose, kimchi.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김치는 알룰로스를 포함하지 않는 김치에 비해 보관 과정 중의 산도 증가가 적은 것인, 김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kimchi will have a small increase in acidity during storage compared to kimchi that does not contain allulose, kimchi.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김치는 알룰로스를 포함하지 않는 김치에 비해 비타민 C의 함량이 많은 것인, 김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kimchi has a higher content of vitamin C than kimchi that does not contain allulose, kimchi.
채소를,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당류 및 양념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김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알룰로스는 김치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7 내지 1.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김치의 제조 방법.
A method of producing kimchi comprising; mixing vegetables with sugars and seasonings containing allulose, comprising:
The method for producing kimchi, wherein the allulose is included in an amount of 0.7 to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kimchi.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혼합하는 단계는 당을 미온수에 용해시켜 혼합하는 것인, 김치의 제조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ixing step is a method of producing kimchi by dissolving sugar in lukewarm water and mixing.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채소는 배추, 무, 오이, 열무, 갓, 파, 쪽파, 양파, 깻잎, 콩잎, 미나리, 쑥갓, 우엉, 더덕, 부추, 시금치, 가지, 양배추, 호박 및 연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김치의 제조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vegetable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bbage, radish, cucumber, radish, mustard, green onion, chive, onion, sesame leaf, bean leaf, water parsley, mugwort, burdock, deodeok, leek, spinach, eggplant, cabbage, pumpkin and lotus root The above, the method for producing kimchi.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김치의 제조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ging the mixture, the method for producing kimchi.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김치 제조용 양념 조성물로서,
상기 알룰로스는 전체 김치 제조용 양념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김치 제조용 양념 조성물.
As a seasoning composition for kimchi production comprising allulose,
Wherein the allulose is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seasoning composition for kimchi production.
청구항 11에 있어서,
고춧가루, 무, 파, 마늘, 생강, 배채, 양파, 액젓, 소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김치 제조용 양념 조성물.
12. The method of claim 11,
A seasoning composition for kimchi production, further compris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 pepper powder, radish, green onion, garlic, ginger, cabbage, onion, fish sauce, and salt.
채소를, 청구항 11의 김치 제조용 양념 조성물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김치의 제조 방법.
A method of producing kimchi, including; mixing vegetables with the seasoning composition for kimchi of claim 11 .
KR1020210094342A 2019-06-17 2021-07-19 Kimchi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1025556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342A KR102555688B1 (en) 2019-06-17 2021-07-19 Kimchi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747A KR20200143982A (en) 2019-06-17 2019-06-17 Kimchi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1020210094342A KR102555688B1 (en) 2019-06-17 2021-07-19 Kimchi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747A Division KR20200143982A (en) 2019-06-17 2019-06-17 Kimchi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214A true KR20210093214A (en) 2021-07-27
KR102555688B1 KR102555688B1 (en) 2023-07-17

Family

ID=740871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747A KR20200143982A (en) 2019-06-17 2019-06-17 Kimchi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1020210094342A KR102555688B1 (en) 2019-06-17 2021-07-19 Kimchi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747A KR20200143982A (en) 2019-06-17 2019-06-17 Kimchi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143982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1378B1 (en) * 2021-10-27 2024-06-04 최서영 Manufacturing method of kimchi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948A (en) * 2017-05-22 2017-05-31 주식회사 삼양사 Beverage with improved taste including fragment of fruit or plan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948A (en) * 2017-05-22 2017-05-31 주식회사 삼양사 Beverage with improved taste including fragment of fruit or plan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닥터키친, 김장철 나트륨 관리할 저염 김치 3종 소개, 뉴스탭, (2018.11.22.) (http://www.newstap.co.kr/news/articleView.html?idxno=79713)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688B1 (en) 2023-07-17
KR20200143982A (en) 2020-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62139A1 (en) Dried vegetables comprising saccharides, their preparation and uses
KR20090036366A (en) Producing method for fermentation vinegar of blueberry and apple mixing juice and beverage formulation using it
EP0867125B1 (en) Preservatives and method for preservation against decay
KR20140004421A (en) Functional kimchi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0226995A (en) Frozen food and drink
KR102555688B1 (en) Kimchi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101718304B1 (en) White radish cabbage having fructose polym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amer et al. The use of vacuum impregnation for debittering green olives
KR100822305B1 (en) Manufacturing process of seasoning liquid for pomegranate radish-wrapped and seasoning liquid and pomegranate radish-wrapped thereby
KR101240297B1 (en) aqueous soaking solution for manufacturing fresh-cut banana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resh-cut banana using it
KR101478058B1 (en) Composition for semi-dried persimmon dipping and method for producing semi-dried persimmon using the same
CN109619526A (en) A kind of Western-style ham composite sweetener,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KR101019235B1 (en) Colloid type kimchi source comprising extracts from Schisandrachinensis and Rubus coranus Miqu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56251B1 (en) Gelato comprising fruit pulps and method of preparing therefor
KR102259803B1 (en) Water for salting
KR102149547B1 (en) Fermented vinegar using unripe apple jin-hong and use thereof
KR101987955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low salt Kimchi using sugar-treated liquid of Prunus mume or Schisandra chinensis
KR101080348B1 (en) Colloid type kimchi source using vegetables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s of natural vitamin 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90072590A (en) A composition for seasoning and aging of melon pickle and a preparation method of melon pickle
KR102479908B1 (en) Apple juice applicable to various varieties and with increased nutritional and storage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701570B1 (en) Pear ja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pear
KR101278252B1 (en) Method for preparing sea tangle pickle, and sea tangle pickle prepared thereby
KR101144625B1 (en) Method for producing salted fruits and vegetalbes with reduced contents of NaCl and improved texture
KR101987947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low salt Kimchi using sugar-treated liquid of Prunus mume or Schisandra chinensis and sugar-treated liquid of C3G-containing plant material
KR101440113B1 (en) Flavor enhanced low salt-fermented Ascidian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