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104A - Shoe manage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Shoe manage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104A
KR20210093104A KR1020200006857A KR20200006857A KR20210093104A KR 20210093104 A KR20210093104 A KR 20210093104A KR 1020200006857 A KR1020200006857 A KR 1020200006857A KR 20200006857 A KR20200006857 A KR 20200006857A KR 20210093104 A KR20210093104 A KR 20210093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air
inner space
hous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8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성우
강석규
양희수
오민규
이수영
김자연
최화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6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3104A/en
Priority to PCT/KR2020/012434 priority patent/WO2021145531A1/en
Priority to US17/073,511 priority patent/US20210220496A1/en
Publication of KR20210093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10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2Shoe-cleaning machines,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47L23/205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6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 A47L23/263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with moving or driven parts,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care device. A housing (10) forms the exteri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nner space (16) inside a housing body (12) is opened and closed by a cover (14). Th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of shoes placed in the inner space (16) can be removed by an airflow provided from a flow generating unit (50). In addition, moisture and bacteria inside the shoes are removed with hot air, ultraviolet rays, plasma ions, and the like provided by a care unit (40). The shoe car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shoes to be cared more cleanly and hygienically.

Description

신발관리장치{Shoe management apparatus}Shoe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신발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을 사용하기에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 줄 수 있는 신발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car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care device that can make shoes in an optimal state for use.

신발은 현대인의 생활에서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것이고,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하루 종일 신발을 사용한다. 도시 생활을 하는 현대인들은 하루동안 대부분 하나의 신발을 사용하고, 많은 경우 하나의 신발을 여러 날 동안 계속 사용한다.Shoes are a must in modern life, and most modern people use shoes all day. Modern people living in the city use one shoe most of the day, and in many cases continue to use one shoe for several days.

신발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도시생활을 하는 현대인들은 주로 발 전체를 감싸는 신발을 사용한다. 따라서 신발을 하루종일 사용하고 나면, 신발 내부에는 사람의 몸에서 나온 땀 등의 체액이 남아 있게 되어, 습도가 높아지고 사람의 체온에 의해 신발 내부에서 세균이 많이 번식하여 냄새가 나는 경우도 많다.There are various types of shoes, but modern people living in cities mainly use shoes that cover the entire foot. Therefore, after using the shoes all day, body fluids such as sweat from the human body remain inside the shoes, and the humidity increases and bacteria multiply inside the shoes due to the person's body temperature, which often causes odor.

그리고, 신발의 외관에는 흙, 먼지, 수분 등 다양한 이물질들이 묻게 된다. 이러한 이물질들은 신발을 빨리 노후하게 만들고 외관을 지저분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various foreign substances such as soil, dust, and moisture are attached to the exterior of the shoe. These foreign substances have the problem of quickly aging the shoes and making them look messy.

종래에도 신발의 관리를 위한 장치가 많이 제공되고 있었지만, 흙, 먼지, 이물질의 제거 및 세균, 냄새, 습기의 제거를 동시에 같이 제공할 수 있는 것은 없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22910호에서는 신발 내의 습기, 냄새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신발 외관의 먼지를 제거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lthough many devices for managing shoes have been provided in the prior art, there is no one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viding removal of dirt, dust, foreign substances and removal of bacteria, odors, and moisture.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122910 discloses a device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odor, and the like in shoes,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remove dust from the exterior of the sho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3879호에서는 신발의 위생관리를 위해 신발의 내부에 삽입되는 인서트부재가 제습기능, 향균기능, 탈취기능 및 향발산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역시 신발 외관의 먼지를 제거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3178호 및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1858호에서도 마찬가지였다.In the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93879, the insert member inserted into the shoe for hygiene management has a dehumidifying function, an antibacterial function, a deodorizing function and a fragrance emitting function, but it also cannot remove the dust on the exterior of the shoe. There was a problem. This was also the case in the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83178 and the 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2009-0001858.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55288호에서는 광촉매를 이용한 살균기능을 제공하고 히터를 구비하여 건조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도 신발 외관의 먼지를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장치의 크기가 커져서 가정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8-0055288, a sterilization function using a photocatalyst is provided and a drying function is provided by providing a heater. However, even he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ust on the exterior of the shoe cannot be removed, and the size of the device is increased, so it is inconvenient to use it for home use.

(선행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22910호(Prior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22910 (선행문헌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3879호(Prior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93879 (선행문헌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3178호(Prior Document 3)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83178 (선행문헌4)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1858호(Prior Document 4) 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2009-0001858 (선행문헌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55288호(Prior Document 5)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55288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과 관련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토출시켜 신발 표면의 흙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뿐아니라 신발 내부의 온도, 습도, 냄새를 최적화할 수 있는 신발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related to shoes, and it is possible to not only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soil on the surface of the shoe by discharging air into the inner space, but also to optimize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odor inside the shoe. It provides a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발을 외부와 구획된 내부공간에 둔 상태로 내부공간에 공기를 토출시켜 신발에 묻어 있는 이물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charge air into the inner space with the shoe placed in the internal space partitioned from the outsid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ho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발관리장치가 위치된 실내공간의 공기질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affect the air quality of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shoe care device is loc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 내부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ximize the use of space inside the housing.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팬모터를 구비하는 유동발생부가 있어서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신발에 공기를 토출하여 먼지나 이물을 분리하고, 신발의 내부로 케어유니트를 삽입하여 살균소독을 수행하도록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 표면의 먼지나 이물이 제거되고 신발 내부의 살균소독이 이루어져 신발 내외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ow generator having a fan motor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to discharge air to the shoes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to separate dust or foreign substances, , to perform sterilization by inserting the care unit into the inside of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dust or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shoe are removed and the inside of the shoe is sterilized to sanitarily manag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ho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팬모터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노즐은 신발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기를 토출한다. 따라서 팬모터에서 공급된 공기가 보다 균일하게 토출노즐로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n motor is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an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and the discharge nozzle is inclined toward the shoe to discharge air. Accordingly, the air supplied from the fan motor can be more uniformly delivered to the discharge nozzl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팬모터를 가지는 유동발생부가 있어서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신발에 공기를 경사지게 토출하여 먼지나 이물을 분리하고, 토출노즐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모터가 토출노즐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신발의 내부로 케어유니트를 삽입하여 살균소독을 수행하도록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토출노즐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강력하게 분출되어 신발 표면의 먼지나 이물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고, 신발 내부의 살균소독이 이루어져 신발 내외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flow generating unit having a fan motor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to discharge air obliquely to the shoes located in the inner space to separate dust or foreign substances, and to supply air to the discharge nozzle. The fan motor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discharge nozzle, and the care unit is inserted into the shoe to perform steriliz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nozzle is strongly ejected, so that dust or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shoe can be more reliably removed, and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hoe can be sanitarily managed by sterilizing the inside of the shoe. .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토출노즐은 좌측신발과 우측신발에 대응되게 각각 일직선의 영역에 다수개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노즐공의 직경은 상기 팬모터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전체 토출노즐에서 균일하게 공기가 토출될 수 있어 신발의 표면으로 공기가 균일하게 전달되어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nozzle is configured by forming a plurality of nozzle holes in a straight area corresponding to the left shoe and the right shoe, respectively, and the diameter of the nozzle hole becomes larger as the distance from the fan motor increases. . Accordingly, air can be uniformly discharged from the entire discharge nozzle, so that air is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surface of the sho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부공간을 순환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공의 입구에는 출구필터와 방향시트가 설치되는데, 이에 의해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에 먼지가 섞이지 않고 향기가 추가되어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utlet filter and a directional sheet are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air circulated through the inner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reby dust is not mixed in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fragrance is added and delivered. there i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토출공에는 토출팬이 설치되어 상기 토출공을 통해 내부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토출공을 통해 공기 토출이 보다 신속하게 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charge fan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hole so that air in the inner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Accordingly, air may be discharged more quickly through the discharge hol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부공간을 순환한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벽체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상기 유동발생부로 유동되고, 상기 유로에는 출구필터가 설치된다. 따라서, 신발을 정화한 공기가 외부로 전달되지 않아 신발관리장치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순환되는 공기가 출구필터에 의해 정화되어 신발의 먼지 제거가 원활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irculating in the inner space flows to the flow generating unit through a flow path formed on the wall of the housing, and an outlet filter is installed in the flow path. Therefore, the air purified by the shoes is not transmitted to the outside and does not affect the indoor space where the shoe management device is installed, and the circulated air is purified by the outlet filter, so that the dust removal of the shoes is facilitat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로에는 순환팬이 설치되어 상기 유동발생부로 내부공간의 공기가 유동된다. 따라서, 신발관리 장치 내부를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순환하면서 신발을 정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irculation fan is installed in the flow path so that the air in the internal space flows to the flow generating uni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urify the shoes while the air more smoothly circulates inside the shoe care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에 있는 이물을 제거하는 에지테이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에지테이터는 외면에 탄성변형이 가능한 제거리브가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데, 이에 의해 신발 저면의 먼지나 이물을 보다 잘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gitato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hoe is further provided, and the agitator has a plurality of elastically deformable removal ribs installed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gitator, thereby removing dust or foreign substances from the bottom of the shoe. can be removed bett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유동발생부가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데, 이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하우징의 크기가 소형화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ncludes a housing body in which the inner space is formed, and a cover that is installed to be rotated around a hinge on the housing body to open and close the inner space and to which the flow generating unit is installed, whereby the housing The size of the housing is miniaturized as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can be efficiently utiliz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팬모터를 가지는 유동발생부가 있어서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신발을 향해 수직하부로 형성되어 공기를 신발을 향해 수직 하부로 토출되게 하여 먼지나 이물을 분리하고, 신발의 내부로 케어유니트를 삽입하여 살균소독을 수행하도록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토출노즐에서 신발을 향해 수직하방으로 공기가 분출되어 신발 표면의 먼지나 이물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고, 신발 내부의 살균소독이 이루어져 신발 내외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ow generating unit having a fan motor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which is formed vertically downward toward the shoe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to discharge air vertically downward toward the shoe, thereby discharging dust. The age is separated, and the care uni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hoe to perform steriliz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ir is eject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discharge nozzle toward the shoe, so that dust or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of the shoe can be more reliably removed, and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hoe can be sanitarily managed by sterilizing the inside of the shoe. there will b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있는 신발로 유동발생부의 토출노즐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데, 이를 위해 내부공간을 순환한 공기를 유동발생부로 보내는 순환팬이 하우징에 형성된 유로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 내면에는 신발의 내부로 삽입되어 신발 내부를 살균, 소독하는 케어유니트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내부공간을 순환한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유동시켜 내부공간으로 재순환되도록 할 수 있어, 신발관리장치가 설치된 실내공간에 내부공간의 공기가 전달되지 않게 하여 실내공간의 공기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nozzle of the flow generating unit to the shoes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For this purpose, a circulation fan that sends the air circulated in the inner space to the flow generating uni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It is located in the formed flow path, and on on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there is a care unit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hoe to sterilize and disinfect the inside of the sho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air circulated in the inner space can be flowed more quickly and recirculated to the inner space, so that the air in the inner space is not transmitted to the indoor space where the shoe management device is installed, thereby affecting the air in the indoor space. won't giv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순환팬이 설치된 유로에는 공기중에 있는 이물을 제거하는 출구필터가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순환하는 공기에 먼지나 이물질이 없도록 하여, 신발을 보다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utlet filt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is installed in the flow path where the circulation fan is installed, so that there is no dust o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circulating in the inner space, so that the shoes can be managed more cleanly.

본 발명에 의한 신발관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진다.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신발관리장치는 하우징 내에 적어도 케어유니트와 유동발생부를 가지므로 내부공간 내에서의 공기유동을 통해 신발 표면의 먼지나 이물 등을 제거할 수 있고, 케어유니트를 통해 신발 내부의 습기제거, 살균, 소독을 할 수 있어 신발을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shoe car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a care unit and a flow generating unit in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remove dust or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shoe through air flow in the inner space, and to remove moisture from the inside of the shoe through the care unit,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manage shoes more hygienically because it can sterilize and disinfect.

특히, 본 발명에서는 유동발생부가 내부공간에서 신발관리를 위한 공기유동을 만들어내어 신발 표면에 있는 이물과 수분 등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신발의 외관을 보다 깔끔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low generating unit creates an air flow for shoe management in the inner spac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moisture on the surface of the shoe, there is an effect of making the appearance of the shoe cleaner.

본 발명에서는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본체 내에 신발을 넣고, 신발에 있는 먼지, 수분, 세균 등을 제거하고, 이들 제거된 먼지, 수분, 세균 등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내부공간에서 공기가 나가는 위치에 출구필터 및/또는 방향시트를 설치하여 공기에 섞인 이물을 제거하고 향기를 첨가해서 실내공간으로 보내거나, 이물을 제거한 공기를 내부공간으로 순환시켜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가 사용되는 공간이 신발에서 나는 냄새나 이물 등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hoe is placed in a housing body having an inner space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a cover, and dust, moisture, bacteria, etc. in the shoe are removed, and the removed dust, moisture, bacteria, etc. are not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at is, by installing an outlet filter and/or directional sheet at the position where the air exits from the internal space, foreign substances mixed with the air are removed and fragrance is added to send it to the indoor space, or the air with the foreign substances removed is circulated to the internal space and delivered to the outside. make sure not to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pace in which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s not affected by odors or foreign substances from shoes.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내부공간 내에 케어유니트가 위치되고 신발의 표면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노즐을 가지는 유동발생부가 케어유니트와 간섭하지 않도록 커버의 저면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하우징의 크기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e unit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a flow generating part having a discharge nozzle for discharging air to the surface of the shoe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are uni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ize of 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inimized by such a 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관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하우징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내부프레임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에지테이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케어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례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례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례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실시례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fram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gitato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re uni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 8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is operated;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is operated;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is operated;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3 is operated;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5 is operated;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면들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신발관리장치의 실시례들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신발관리장치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하우징본체(12)와 상기 하우징본체(12)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커버(14)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본체(12)는 본 실시례에서는 육면체 형상으로 되고, 내부에는 신발을 넣을 수 있는 내부공간(16)이 있다. 상기 내부공간(16)은 상기 커버(14)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커버(14)는 일단부에,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14')가 있어서, 상기 힌지(14')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내부공간(16)을 개폐한다. Embodiments of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the drawings. As can be seen in FIG. 1 , the shoe care devic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he housing 10 . The housing 10 is composed of a housing body 12 and a cover 14 covering the open top of the housing body 12 . The housing body 12 has a hexahedral shape in this embodiment, and has an internal space 16 in which shoes can be placed. The inner space 16 is opened and closed by the cover 14 . As shown in FIGS. 1 and 3 , the cover 14 has a hinge 14 ′ at one end thereof, and is rotated around the hinge 14 ′ to open and close the inner space 16 .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우징(10)은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사용자가 상기 커버(14) 상에 앉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하우징(10)은 일종의 의자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상기 내부공간(16)에서 관리된 신발을 꺼내서 상기 커버(14)를 닫고, 상기 커버(14)에 앉은 상태로 신발을 신을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10 has a hexahedral shape as a whole, so that a user may sit on the cover 14 . In this way, the housing 10 may serve as a kind of chair. The user can take out the shoes managed from the inner space 16 , close the cover 14 , and put on the shoes while sitting on the cover 14 .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하우징(10)의 하단부에 레그(18)가 있다. 상기 레그(18)는 상기 하우징(10)이 위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커버(14)의 높이가 일정 이상이 되도록 한다. 즉, 상기 레그(18)의 길이를 특정한 값으로 설정함에 의해 상기 커버(14)의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일반적인 의자의 높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상기 레그(18)를 두어 의자로서의 역할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하우징(10)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상기 레그(18)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하거나 없애서, 하우징(10) 자체적으로 의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there is a leg 18 at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0 . The leg 18 allows the height of the cover 14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level from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housing 10 is located. That is, by setting the length of the leg 18 to a specific value, the height of the cover 14 from the floor may be the height of a general chair. That is, when the height of the housing 10 is relatively low, the leg 18 is placed to enable it to serve as a chair, and when the height of the housing 10 is relatively high, the length of the leg 18 . is relatively short or eliminated, so that the housing 10 itself can serve as a chair.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외면 하부에는 트레이입출구(20)가 있다. 상기 트레이입출구(20)를 통해서는 이물트레이(22)가 서랍식으로 입출된다. 상기 이물트레이(22)는 상기 내부공간(16)의 바닥에 설치되어 신발로부터 낙하되는 이물들이 모이는 부분이다. 상기 이물트레이(22)는 상기 내부공간(16)의 바닥 거의 전체를 차지하게 만들어진다. 상기 이물트레이(2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에지테이터(32)의 동작에 의해 신발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모인다.A tray inlet/outlet 20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housing 10 . The foreign material tray 22 is put in and out of the drawer through the tray inlet and outlet 20 . The foreign material tray 22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16 and is a part where foreign materials falling from the shoes are collected. The foreign material tray 22 is made to occupy almost the entire bottom of the inner space 16 . In the foreign material tray 22,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shoes by the operation of the agitator 32 to be described below are collected.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6)의 하단 내면을 둘러서는 내부프레임(24)이 설치된다. 상기 내부프레임(24)은 본 실시례에서 도 2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각격자모양으로 된다. 상기 내부프레임(24)은, 서로 나란히 연장되는 제1단부부재(26)와 제2단부부재(26')가 있고, 상기 제1단부부재(26)와 제2단부부재(26')를 연결하는 2개의 측단부재(27)에 의해 사각격자모양으로 된다. 상기 내부프레임(24)은 내부공간(16)의 하단 내면을 둘러서 하우징(10)에 설치된다. An inner frame 24 surrounding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16 of the housing 10 is installed. The inner frame 24 has a rectangular grid shape as can be seen in FIGS. 2 and 5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frame 24 has a first end member 26 and a second end member 26' extending side by side, and connecting the first end member 26 and the second end member 26'. The two side end members 27 to form a square grid. The inner frame 24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0 to surround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16 .

상기 제1단부부재(26)와 제2단부부재(26')의 중간부분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획부재(28)가 있다. 상기 구획부재(28)를 기준으로 양측에 우측 신발과 좌측 신발이 위치된다. 상기 측단부재(27)의 하단에는 곡면홈(27')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곡면홈(27')이 있음으로 해서 아래에서 설명될 에지테이터(32)와의 간섭이 방지되고 신발의 바닥 및 외면에 에지테이터(32)의 제거리브(34)가 보다 많이 닿게 된다.A partition member 28 is provided to connect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end member 26 and the second end member 26' to each other. A right shoe and a left shoe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member 28 . A plurality of curved grooves 27 ′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end member 27 . The presence of the curved groove 27' prevents interference with the agitator 32,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nd allows the removal rib 34 of the agitator 32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o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hoe more.

상기 내부프레임(24)에는 다수개의 제1지지부재(30)와 제2지지부재(30')가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30)와 제2지지부재(30')는 서로 직교하게 만들어진다. 상기 제1지지부재(30)의 양단은 상기 제1단부부재(26)와 제2단부부재(26')에 각각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부재(30')의 양단은 상기 측단부재(27)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30')는 상기 구획부재(28)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30)와 제2지지부재(30')에 의해 신발이 지지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에지테이터(32)에 신발이 직접 지지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지지부재(30)에는 굴곡이 있어서 에지테이터(32)의 틈 사이에 굴곡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The inner frame 24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members 30 and second support members 30'. The first support member 3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30' are made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end member 26 and the second end member 26', respectively, and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30' are the side end members. (27) can be combined. The second support member 30 ′ may be installed through the partition member 28 . The shoe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ing member 30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30' so that the shoe is not directly supported by the agitator 32 to be described below. The first support member 30 is curved, so that the curved portion is positioned between the gaps of the agitator 32 .

상기 내부프레임(24)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는 다수개의 에지테이터(32)가 설치된다. 상기 에지테이터(32)는 원기둥형상으로 되고, 외면을 둘러서 다수개의 제거리브(3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거리브(34)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에지테이터(32)의 외면에 소정의 각도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거리브(34)는 에지테이터(32)의 회전에 의해 신발의 저면과 외면에 밀착되어 이동하면서 신발에 있는 이물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제거리브(34)는 본 실시례에서는 하나의 에지테이터(32)에 4개가 설치되어 있으나, 그 설치 갯수는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거리브(34)는 일직선으로 되지 않고 곡선형태로 될 수 있다. 상기 제거리브(34)가 곡선으로 됨에 의해 신발에 붙은 이물질을 보다 잘 제거할 수 있다.A plurality of agitators 32 are installed in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inner frame 24 . The agitator 32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removal ribs 34 ar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The removal ribs 34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r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gitator 32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The removal rib 34 is mov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and outer surfaces of the shoe by the rotation of the agitator 32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shoe. Four of the removal ribs 34 are installed in one agitator 32 in this embodiment, but the number of the removal ribs 34 may vary. The removal rib 34 may be curved rather than straight. Since the removal rib 34 is curved, it is possible to better remov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hoe.

참고로, 상기 에지테이터(32)는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신발의 저면과 측면 하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에지테이터(32)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For reference, the agitator 32 is not necessarily used. For example, the agitator 32 may not be used when it is not necessary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he lower side of the shoe.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에지테이터(32)는 상기 제1단부부재(26)와 제2단부부재(26')와 나란히 연장되고, 상기 구획부재(28)를 중심으로 양측에 하나씩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에지테이터(32)들은 제1단부부재(26)와 제2단부부재(26') 사이에 2개의 열을 이루도록 다수개가 배치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편의상 상기 에지테이터(32)의 구동을 위한 구성을 도시하지 않았는데, 다수개의 에지테이터(32)를 기어열을 사용하여 연결하고 하나 또는 2개의 구동원에서 나온 동력을 사용하여 에지테이터(32)를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지테이터(32)는 하나의 열에서 인접한 것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한 에지테이터(3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의해 신발이 에지테이터(32)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힘을 받지 않게 되어 신발이 내부공간(16) 내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agitator 32 extends side by side with the first end member 26 and the second end member 26', and is installed one at a time o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member 28 as the center. Accordingly, a plurality of the agitators 32 are arranged to form two rows between the first end member 26 and the second end member 26'. Although the configuration for driving the agitator 32 is not shown in this embodiment for convenience, a plurality of agitators 32 are connected using a gear train and the agitator ( 32) can be drive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gitator 32 may b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adjacent ones in one row. In this way, as the adjacent agitators 32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 shoes do not receive a force in only one direction by the agitators 32 to prevent the tendency of the shoes to move in one direction within the inner space 16. can

상기 내부프레임(24) 또는 하우징(10)의 내면에는 걸이컬럼(3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걸이컬럼(36)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걸이컬럼(36)의 높이는 수동 또는 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걸이컬럼(36)의 높이조절을 위한 구성을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걸이컬럼(38)의 선단에는 걸이고리(38)가 있다. 상기 걸이고리(3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케어유니트(40)가 걸어진다.A hanging column 36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24 or the housing 10 . The height of the hanging column 36 may be adjusted inside the housing 10 . The height of the hanging column 36 can be adjusted manually or automatically using a moto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anging column 36 is not shown for convenience. There is a hook ring 38 at the tip of the hook column 38 . A care unit 40 to be described below is hung on the hook 38 .

케어유니트(4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6) 내에 상기 걸이컬럼(36)의 걸이고리(38)에 걸어져 설치된다. 상기 케어유니트(40)는 정면에서 볼 때, 좌우로 연장된 몸체부(41)에 정면으로 돌출되게 손잡이(43)가 있다. 상기 몸체부(41)의 양단에서는 하부로 연장되어 연장부(45,45')가 있고, 상기 연장부(45,45')의 선단에는 상기 손잡이(43)의 연장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동작수행부(47,47')가 각각 돌출되어 있다. 상기 동작수행부(47,47')는 상기 케어유니트(40)가 수행하는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한다.The care unit 40 is installed by being hung on the hook 38 of the hanging column 36 in the inner space 16 of the housing 10 .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care unit 40 has a handle 43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41 extending from side to side.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41 extend downward and have extension portions 45 and 45 ′, and the ends of the extension portions 45 and 45 ′ oper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andle 43 . The portions 47 and 47' protrude, respectively. The operation performing units 47 and 47 ′ perform various functions performed by the care unit 40 .

상기 동작수행부(47,47')의 선단에는 살균조명(48)이 설치된다. 상기 살균조명(48)은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UV)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조명(48)은 박테리아 또는 다른 미생물을 죽이거나 비활성화시키도록 된 UV-C라이트(예를 들면, 220~280 nm사이의 파장을 가지는 광)와 같은 자외선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살균조명(48)은 살균을 수행함에 의해 미생물의 번식을 차단하여 냄새방지효과도 가질 수 있다. 상기 살균조명(48)은 신발 내부에 있는 균들을 죽이거나 비활성화시키는데, 주로 신발 내부 공간에 부유하고 있는 균에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신발 내부 표면에 있는 균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A sterilizing light 48 is installed at the ends of the operation performing units 47 and 47'. The sterilization light 48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ultraviolet (UV) light emitting diode (LED). The sterilizing light 48 may emit ultraviolet rays such as UV-C light (eg, light having a wavelength between 220 and 280 nm) designed to kill or inactivate bacteria or other microorganisms. The sterilization light 48 may also have an odor prevention effect by block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by performing sterilization. The sterilization light 48 kills or inactivates the bacteria inside the shoe, and can be mainly applied to the bacteria floating in the shoe interior space. Of course, it can also be applied to bacteria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hoe.

상기 동작수행부(47,47')의 상부와 하부에는 제1토출부(49)와 제2토출부(49')가 있다. 상기 제1토출부(49)와 제2토출부(49')는 신발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것을 토출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토출부(49)를 통해 열풍을 토출하고, 상기 제2토출부(49')를 통해 플라즈마이온을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부(49)를 통해 토출되는 열풍은 건조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제2토출부(49')를 통해 토출되는 플라즈마이온은 살균과 탈취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플라즈마이온도 신발 내부에 있는 균들을 죽이거나 비활성화시키는데, 주로 신발 내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균에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신발 내부 공간에 부유하고 있는 균에도 적용될 수 있다.A first discharge unit 49 and a second discharge unit 49' are provid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peration performing units 47 and 47'. The first discharge unit 49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49 ′ discharge what is needed to manage shoes. For example, hot ai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unit 49 , and plasma ions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unit 49 ′. The hot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unit 49 performs a drying function, and the plasma ion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unit 49 ′ may perform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functions. For reference, the plasma ion also kills or inactivates the bacteria inside the shoe, but it can be mainly applied to the bacteria attached to the inside surface of the shoe. Of course, it can also be applied to bacteria floating in the space inside the shoe.

상기 제1토출부(49)와 제2토출부(49')를 통해서는 동시에 열풍만이 토출되거나, 동시에 플라즈마이온만이 토출될 수 있고, 위에서와 같이, 제1토출부(49)를 통해서 열풍이 토출되고 제2토출부(49')를 통해서 플라즈마이온이 토출될 수 있다.Only hot air may be simultaneously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unit 49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49', or only plasma ions may be discharged at the same time, as above, through the first discharge unit 49 The hot air may be discharged and plasma ions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unit 49 ′.

여기서 상기 열풍과 플라즈마이온은 케어유니트(40) 자체에서 생성될 수도 있고,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있는 구성요소에서 생성된 열풍이나 플라즈마이온이 상기 케어유니트(40)에 연결된 관 등을 통해 전달되어 제1토출부(49)와 제2토출부(49')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동작수행부(47,47')는 2개가 나란히 돌출되어 있어, 한 쌍의 신발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필요한 기능을 수행한다.Here, the hot air and plasma ions may be generated by the care unit 40 itself, and the hot air or plasma ions generated from the components inside the housing 10 are transmitted through a tube connected to the care unit 40 , etc.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unit 49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49'. Two of the operation performing units 47 and 47' protrude side by side, and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a pair of shoes to perform a necessary function.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유동발생부(50)가 있다. 상기 유동발생부(50)는 상기 내부공간(16)에서의 공기유동을 만드는 것이다. 상기 유동발생부(50)에 의해 발생된 공기유동은 신발 표면에 있는 먼지 등의 상대적으로 미세한 이물을 제거한다. 또한, 케어유니트(40)에서 나와 수분을 머금은 상태의 열풍을 유동시키는 역할도 한다.Inside the housing 10 is a flow generating unit 50 . The flow generating unit 50 creates an air flow in the inner space 16 .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flow generating unit 50 removes relatively fin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n the surface of the shoe. In addition, it also serves to flow the hot air in a state of moisture coming out of the care unit (40).

상기 유동발생부(50)는 상기 커버(14)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부(50)의 외관을 구획커버(51)가 형성한다. 상기 구획커버(51)는 유동발생부(50)를 구성하는 부품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한다. 상기 구획커버(51)는 상기 커버(14)의 저면과 협력하여 소정의 공간을 만든다. 상기 구획커버(51)의 일측 외면에는 토출면(51')이 있다. 상기 토출면(51')은 상기 내부공간(16)에 있는 신발쪽으로 경사지게 향하도록 된다.The flow generating unit 50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14 . A partition cover 51 forms the exterior of the flow generating unit 50 . The partition cover 51 shields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low generating unit 5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 partition cover 51 cooperates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14 to create a predetermined space. A discharge surface 51 ′ is provided on one outer surface of the partition cover 51 . The discharge surface 51 ′ is inclined toward the shoe in the inner space 16 .

상기 구획커버(51)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는 팬모터(52)가 설치된다. 상기 팬모터(52)는 아래에서 설명될 흡입구(58)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여기서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을 형성하는 벽체에 인접한 위치에 팬모터(52)가 설치되어 있다.A fan motor 52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partition cover 51 . The fan motor 52 is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uction port 58 to be described below. Here, the fan motor 52 is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wall formi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

상기 팬모터(52)의 위치가 흡입구(58)에 인접하므로, 상기 토출면(51')에 있는 토출노즐(56)과의 사이에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공기안내덕트(54)가 구획커버(51)에 의해 구획된 공간 내에 위치된다. 상기 공기안내덕트(54)는 상기 팬모터(52)에서 상기 토출면(51')쪽으로 가면서 점차 유동단면적이 넓어지게 된다.Since the position of the fan motor 52 is adjacent to the suction port 58, the air guide duct 54 for guiding the flow of air between the discharge nozzle 56 on the discharge surface 51' is provided as a partition cover. It is located in the space demarcated by (51).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guide duct 54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fan motor 52 toward the discharge surface 51 ′.

상기 팬모터(52)와 공기안내덕트(54)는 본 발명에서는 2개씩 구비된다. 이는 우측신발과 좌측신발에 각각 별도의 팬모터(52)와 공기안내덕트(54)를 통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한짝의 신발중에서 어느 하나만 관리가 필요한 경우, 예를 들면, 우측 신발만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이에 대응되는 팬모터(52)만 구동시켜 신발관리를 할 수 있다.The fan motor 52 and the air guide duct 54 are provided two each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o supply air to the right shoe and the left shoe through separate fan motors 52 and air guide ducts 54, respectively. Therefore, when only one of the pair of shoes needs to be managed, for example, when only the right shoe needs to be managed, only the corresponding fan motor 52 is driven to manage the shoes.

상기 구획커버(51)의 토출면(51')에는 토출노즐(56)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토출노즐(56)이 상기 토출면(51')을 따라 일직선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노즐(56)에는 다수개의 토출공(도시되지 않음)이 일직선의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토출노즐(56)은 우측 신발과 좌측 신발에 대응되게 2개가 각각 일직선으로 되어 있다. 상기 토출노즐(56)에 형성된 토출공의 직경은 상기 팬모터(52)에서 멀어질 수록 크게 하는 것이 좋다. 이는 토출노즐(56) 전체 영역에서 공기가 균일하게 토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A discharge nozzle 56 is provided on the discharge surface 51 ′ of the partition cover 51 .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nozzle 56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discharge surface 51'.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not shown)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the discharge nozzle 56 . Two of the discharge nozzles 56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to correspond to the right shoe and the left sho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discharge nozzle 56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fan motor 52 increases. This is to ensure that air is uniformly discharged from the entire area of the discharge nozzle 56 .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외면으로 개방되게 흡입구(58)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58)는 상기 구획커버(51)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있는 팬모터(52)로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가 된다. 상기 흡입구(58)가 형성된 벽체에 있는 유로를 통해서 상기 팬모터(52)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팬모터(52)의 입구에는 입구필터(59)를 설치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될 때,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입구필터(59)는 먼지를 거를 수 있는 프리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A suction port 58 is formed to be opened to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housing 10 . The suction port 58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to the fan motor 52 in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cover 51 . Air may flow to the fan motor 52 through a flow path in the wall in which the suction port 58 is formed. An inlet filter 59 is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fan motor 52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dust from entering when outside air is introduced. The inlet filter 59 may be a pre-filter capable of filtering out dust.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외면으로 개방되게 토출구(60)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60)는 상기 내부공간(16) 내부를 유동한 공기가 내부공간(16)의 외부로 토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토출구(60)는 상기 내부공간(16)과 상기 하우징(10)의 벽체를 관통해서 연통된다. 상기 토출구(60)를 통해서는 상기 내부공간(16)을 유동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토출구(60)에는 별도의 토출팬(62)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토출팬(62)은 상기 내부공간(16) 내의 공기가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토출팬(62)을 사용하게 되면 내부공간(16)의 공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참고로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토출팬(62)이 없더라도 토출구(60)를 통해 공기 유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면, 토출팬(62)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A discharge port 60 is formed to be opened to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 The discharge port 60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ner space 16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space 16 . The discharge port 60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16 through the wall of the housing 10 .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ner space 16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60 . A separate discharge fan 62 may be installed at the discharge port 60 . The discharge fan 62 is for discharging the air in the inner space 16 to the outside more quickly. When the discharge fan 62 is used, the air in the inner space 16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For reference, depending on the design conditions, if the air flow through the discharge port 60 can be smoothly even without the discharge fan 62, the discharge fan 62 may not be used.

상기 토출구(60)에는 출구필터(6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출구필터(64)는 내부공간(16)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장치가 실내에서 사용되는 경우, 신발에서 분리된 먼지나 이물질이 하우징(10) 외부의 실내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상기 출구필터(64)는 먼지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프리필터가 사용될 수 있고, 냄새의 제거를 위한 헤파필터도 함께 사용될 수 있다. An outlet filter 64 may be installed at the discharge port 60 . The outlet filter 64 is for removing dust o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ner space 16 to the outside. This is to block the transmission of dust or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shoes to the indoor space outside the housing 10 whe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doors. As the outlet filter 64 , a pre-filter for filtering out dust or foreign substances may be used, and a HEPA filter for removing odor may also be used.

한편, 상기 출구필터(64)와 함께 방향시트(66)를 설치할 수도 있다. 방향시트(66)는 토출구(6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향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방향시트(66)를 토출구(60)에 설치하면, 원하는 향기가 하우징(10) 외부의 실내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rection sheet 66 may be installed together with the outlet filter 64 . The direction sheet 66 is for providing fragrance to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60 . When the direction sheet 66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ort 60 , a desired fragrance can be delivered to the indoor space outside the housing 10 .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6)에는 습기를 흡수하기 위한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이물트레이(22)의 일측 구성 등의 위치에 흡습제를 설치하여 내부공간(16)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수분을 일정 이상 흡수한 흡습제는 이물트레이(22)를 하우징(10)의 외부로 취출하여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nfiguration for absorbing moisture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16 of the housing 10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moisture present in the internal space 16 can be removed by installing a desiccant at a position such as one side of the foreign material tray 22 . The desiccant that has absorbed moisture more than a certain amount can be replaced by taking out the foreign material tray 22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

다음으로,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례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100번대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하우징본체(112)의 내부공간(116)에서 유동된 공기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하우징(100)의 벽체 내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다시 유동발생부(150)로 유동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0)에는 별도의 토출구(위의 실시례에서 하우징의 외면으로 개방되는 토출구(60))가 없다. 물론, 상기 토출구(60)를 그대로 두면서 토출구(60)의 내부나 외부에 별도의 도어를 두어 필요에 따라 토출구(60)를 개폐할 수도 있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9 .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will be described by assigning reference numerals 100 to th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 In this embodiment, the air flowing in the inner space 116 of the housing body 112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but flows back to the flow generating unit 150 through the flow path formed in the wall of the housing 100 . do. Accordingly, the housing 100 does not have a separate outlet (the outlet 60 that is op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in the above embodiment). Of course, while leaving the discharge port 60 as it is, a separate door may be placed inside or outside the discharge port 60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60 as necessary.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유동발생부(150)를 구성하는 팬모터(152)가 흡입구(158)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팬모터(152)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흐름은 공기안내덕트(154)를 따라 유동되어 구획커버(151)에 형성된 토출노즐(156)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공간(116)으로 토출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an motor 152 constituting the flow generating unit 150 is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uction port 158 , and the flow of air formed by the fan motor 152 is directed to the air guide duct 154 . It flows along and is discharged into the inner space 116 of the housing 110 through the discharge nozzle 156 formed in the partition cover 151 .

상기 내부공간(116)을 유동한 공기가 상기 유동발생부(150)로 전달되어 다시 내부공간(116)을 유동하도록 하기 위해 순환팬(162)이 사용된다. 상기 순환팬(162)은 상기 흡입구(158)가 형성된 벽체 내에 있는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발생부(150)쪽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상기 순환팬(162)의 입구쪽에는 순환필터(164)가 설치되어 내부공간(116)에서 발생한 먼지 및/또는 냄새 등을 걸러준다. 상기 순환필터(164)는 프리필터 및/또는 헤파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순환팬(162)을 사용하지 않아도 공기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면, 상기 순환팬(162)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The circulation fan 162 is used so that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ner space 116 is transferred to the flow generating unit 150 to flow the inner space 116 again. The circulation fan 162 is installed in the flow path in the wall where the suction port 158 is formed to flow the air toward the flow generating unit 150 . A circulation filter 164 is installed at the inlet side of the circulation fan 162 to filter dust and/or odors generated in the inner space 116 . The circulation filter 164 may be a pre-filter and/or a HEPA filter. For reference, if the air flow can be made smoothly without using the circulation fan 162 , the circulation fan 162 may not be used.

상기 내부공간(160)의 하부에는 이물트레이(122)가 있고, 상기 이물트레이(122)의 상부에는 에지테이터(132)들이 설치되고 신발의 내부에 삽입되는 케어유니트(140)가 상기 내부공간(116)에 위치된다. 도면부호 118은 레그이다.There is a foreign material tray 122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160, and the agitators 132 are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tray 122 and the care unit 140 inserted into the shoe is the inner space ( 116) is located. Reference numeral 118 denotes a leg.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례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200번대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 하우징본체(212)의 일측 외면에는 외부에서 공기가 내부공간(216)으로 들어가는 흡입구(258)가 있고, 또한 내부공간(216)을 유동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260)가 하우징본체(212)의 외면에 있다.11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will be described by assign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number 200 for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 In this embodiment,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212 has an inlet 258 through which air enters the inner space 216 from the outside, and a discharge port 260 through which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ner space 216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212 .

하우징(210) 내에서의 공기 유동을 위한 유동발생부(250)가 있는데, 상기 유동발생부(250)를 구성하는 팬모터(252)가 상기 흡입구(258)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유동발생부(250)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팬모터(252)에서 발생된 공기유동은 공기안내덕트(254)를 따라 안내되어 구획커버(251)에 있는 토출노즐(256)로 유동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팬모터(252)가 상기 토출노즐(256)에 인접한 위치인 구획커버(251)에 설치된다. 상기 구획커버(251)에 있는 토출노즐(256)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안내덕트(254)는 일직선으로 길게 형성된 토출노즐(256)에 대응되게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토출노즐(256)에 형성된 토출공은 상기 팬모터(252)에서 멀리 떨어질 수록 직경이 크다.There is a flow generating unit 250 for air flow in the housing 210, and the fan motor 252 constituting the flow generating unit 250 is relatively far from the inlet 258. 250) is located inside.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fan motor 252 is guided along the air guide duct 254 and flows to the discharge nozzle 256 in the partition cover 251 . In this embodiment, the fan motor 252 is installed on the partition cover 251 adjacent to the discharge nozzle 256 . The air guide duct 254 for guiding the air to the discharge nozzle 256 in the partition cover 251 is elongated in one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discharge nozzle 256 formed in a straight line.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discharge nozzle 256 has a larger diameter as it is further away from the fan motor 252 .

상기 하우징본체(212)의 일측 외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토출구(260)에는 토출팬(26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팬(262)은 내부공간(216)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킨다. 참고로,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토출팬(262)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토출팬(262)에 인접하여서는 출구필터(264)가 설치된다. 상기 출구필터(264)는 먼지와 같은 이물을 걸러주는 프리필터 및/또는 냄새를 제거하는 헤파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260)에 인접하여서는 또한 방향시트(26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향시트(266)는 토출구(26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에 향기가 섞이도록 한다. A discharge fan 262 may be installed in the discharge port 260 formed to be opened to on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212 . The discharge fan 262 discharges the air in the inner space 216 to the outside. For reference, the discharge fan 262 may not be used depending on design conditions. An outlet filter 264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discharge fan 262 . The outlet filter 264 may be a pre-filter that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or a HEPA filter that removes odors. A direction sheet 266 may also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260 . The direction sheet 266 allows the fragrance to be mixed with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60 .

상기 내부공간(216)의 하부에는 이물트레이(222)가 있고, 상기 이물트레이(222)의 상부에는 에지테이터(232)들이 설치되고, 신발의 내부에 삽입되는 케어유니트(240)가 상기 내부공간(216)에 위치된다. 도면부호 218은 레그이다.A foreign material tray 222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216, agitators 232 ar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tray 222, and the care unit 240 inserted into the shoe is the inner space. is located at 216 . Reference numeral 218 denotes a leg.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300번대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 하우징본체(312)의 일측 외면에는 외부에서 공기가 내부공간(316)으로 들어가는 흡입구(358)가 있고, 내부공간(316)을 유동한 공기는 유동발생부(350)로 전달되어 다시 내부공간(316)을 순환한다.1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300s are assigned to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will b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312 has a suction port 358 through which air enters the inner space 316 from the outside, and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ner space 316 is delivered to the flow generating unit 350 and The inner space 316 circulates again.

하우징(310) 내에서의 공기 유동을 위한 유동발생부(350)가 있는데, 상기 유동발생부(350)를 구성하는 팬모터(352)가 상기 흡입구(358)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유동발생부(350)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팬모터(352)에서 발생된 공기유동은 공기안내덕트(354)를 따라 안내되어 구획커버(351)에 있는 토출노즐(356)로 유동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팬모터(352)가 상기 토출노즐(356)에 인접한 위치인 구획커버(351)에 설치된다. 상기 구획커버(351)에 있는 토출노즐(356)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안내덕트(354)는 일직선으로 길게 형성된 토출노즐(356)에 대응되게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토출노즐(356)에 형성된 토출공은 상기 팬모터(352)에서 멀리 떨어질 수록 직경이 크다.There is a flow generating unit 350 for air flow in the housing 310, and the fan motor 352 constituting the flow generating unit 350 is relatively far from the inlet 358. 350) is located inside.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fan motor 352 is guided along the air guide duct 354 and flows to the discharge nozzle 356 in the partition cover 351 . In this embodiment, the fan motor 352 is installed on the partition cover 351 adjacent to the discharge nozzle 356 . The air guide duct 354 for guiding air to the discharge nozzle 356 in the partition cover 351 is elongated in one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discharge nozzle 356 formed in a straight line.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discharge nozzle 356 has a larger diameter as it is further away from the fan motor 352 .

상기 내부공간(316)을 유동한 공기가 상기 유동발생부(350)로 전달되어 다시 내부공간(316)을 유동하도록 하기 위해 순환팬(362)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순환팬(362)은 상기 흡입구(358)가 형성된 벽체 내에 있는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발생부(350)쪽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물론, 상기 순환팬(362)이 없더라도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면, 순환팬(362)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A circulation fan 362 may be used so that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ner space 316 is transferred to the flow generating unit 350 to flow the inner space 316 again. The circulation fan 362 is installed in a flow path in the wall in which the suction port 358 is formed to flow air toward the flow generating unit 350 . Of course, even if the circulation fan 362 is absent, if the circulation of air can be made smoothly, the circulation fan 362 may not be used.

상기 순환팬(362)의 입구쪽에는 순환필터(364)가 설치되어 내부공간(316)에서 발생한 먼지 등을 걸러준다. 상기 순환필터(364)는 프리필터 및/또는 헤파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A circulation filter 364 is installed at the inlet side of the circulation fan 362 to filter dust generated in the inner space 316 . As the circulation filter 364, a pre-filter and/or a HEPA filter may be used.

상기 내부공간(360)의 하부에는 이물트레이(322)가 있고, 상기 이물트레이(322)의 상부에는 에지테이터(332)들이 설치되고 신발의 내부에 삽입되는 케어유니트(340)가 상기 내부공간(316)에 위치된다. 도면부호 318은 레그이다.There is a foreign material tray 322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360, and the agitator 332 is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tray 322 and the care unit 340 inserted into the shoe is the inner space ( 316) is located. Reference numeral 318 denotes a leg.

도 1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례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400번대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 하우징본체(412)의 일측 외면에는 외부에서 공기가 내부공간(416)으로 들어가는 흡입구(458)가 있고, 또한 내부공간(416)을 유동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460)가 하우징본체(412)의 외면에 있다.1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5 will be described by assign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number 400 for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 In this embodiment,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412 has an inlet 458 through which air enters the inner space 416 from the outside, and a discharge port 460 through which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ner space 416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412 .

본 실시례에서는 하우징(410) 내에서의 공기 유동을 위한 유동발생부(450)가 있는데, 상기 유동발생부(450)의 외관을 구성하는 구획커버(451)의 토출면(451')이 하부의 에지테이터(432)와 직접 마주보게 된다. 즉, 상기 토출면(451')이 앞의 실시례들과 같이 경사가 있지 않고 하우징(410)의 바닥면에 대해 평행하게 된다. 따라서 토출면(451')의 토출노즐(456)을 통해 토출된 공기가 신발을 향해 경사지지 않고 직하방으로 유동된다.In this embodiment, there is a flow generating unit 450 for air flow in the housing 410 , and the discharge surface 451 ′ of the partition cover 451 constituting the exterior of the flow generating unit 450 is the lower portion. It directly faces the agitator 432 of That is, the discharge surface 451 ′ is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410 without being inclined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s. 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nozzle 456 of the discharge surface 451 ′ flows directly downward without being inclined toward the shoe.

본 실시례에서 상기 유동발생부(450)를 구성하는 팬모터(452)가 상기 흡입구(458)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유동발생부(450) 내부에 위치되어 있으나, 팬모터(452)가 흡입구(458)에 인접한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an motor 452 constituting the flow generating unit 450 is located inside the flow generating unit 450 relatively far from the suction port 458, but the fan motor 452 is the suction port ( 458).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하우징본체(412)의 일측 외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토출구(460)에 토출팬(462)이 설치된다. 상기 토출팬(462)은 내부공간(416)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킨다. 참고로, 상기 토출팬(462)은 토출구(460)를 통한 공기 유동이 토출팬(462) 없이도 가능하다면,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fan 462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ort 460 formed to be opened to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412 . The discharge fan 462 discharges the air in the inner space 416 to the outside. For reference, the discharge fan 462 may not be used if the air flow through the discharge port 460 is possible without the discharge fan 462 .

상기 토출팬(462)에 인접하여서는 출구필터(464)가 설치된다. 상기 출구필터(464)는 먼지와 같은 이물을 걸러주는 프리필터 및/또는 냄새를 제거하는 헤파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460)에 인접하여서는 또한 방향시트(46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향시트(466)는 토출구(46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에 향기가 섞이도록 한다.An outlet filter 464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discharge fan 462 . The outlet filter 464 may be a pre-filter that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or a HEPA filter that removes odors. A direction sheet 466 may also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460 . The direction sheet 466 allows the fragrance to be mixed with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460 .

한편, 상기 토출구(460)를 두지 않고 토출팬(462)을 순환팬으로 사용하여 내부공간(416)을 순환한 공기를 다시 유동발생부(450)로 보내어 내부공간(416)을 다시 순환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by using the discharge fan 462 as a circulation fan without the discharge port 460, the air circulated in the inner space 416 is sent back to the flow generating unit 450 to circulate the inner space 416 again. may b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신발관리장치의 실시례들이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8을 참고하여 도 1에 도시된 실시례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First, ope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사용자가 상기 커버(14)를 개방하여 상기 내부공간(16)으로 신발을 넣는다. 신발은 상기 내부프레임(24)의 제1지지부재(30)와 제2지지부재(30') 상에 위치된다. 내부공간(16)에 위치된 우측신발과 좌측신발에 상기 케어유니트(40)의 동작수행부(47)가 각각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신발의 높이에 따라 상기 케어유니트(40)의 설치위치를 상기 걸이컬럼(36)의 높이를 조절하여 달리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신발의 내부에 상기 케어유니트(40)의 동작수행부(47)가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The user opens the cover 14 and puts the shoe into the inner space 16 . The shoe is position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3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30 ′ of the inner frame 24 . The operation performing unit 47 of the care unit 40 i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right shoe and the left shoe located in the inner space 16 .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are unit 40 is chang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anging column 36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hoe. In this way, the operation performing unit 47 of the care unit 40 is accurately positioned inside the sho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14)를 닫으면 상기 내부공간(16)이 외부와 격리되고, 상기 유동발생부(50)의 구획커버(51)의 일면인 토출면(51')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의 상부를 향하도록 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면(51')에 있는 토출노즐(56)은 좌측신발과 우측신발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커버(14)가 닫히면, 이를 감지하여 신발관리장치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될 수 있다. When the cover 14 is closed in this state, the inner space 16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the discharge surface 51 ′, which is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cover 51 of the flow generating unit 50 , is shown in FIG. 8 . It will face the top of the shoe as shown. Accordingly, the discharge nozzle 56 on the discharge surface 51'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shoe and the right shoe. For reference, when the cover 14 is closed, the operation of the shoe care device may be detected by sensing it.

신발관리장치의 동작은 크게 3가지가 있다. 즉, 에지테이터(32), 케어유니트(40) 그리고 유동발생부(50)의 동작이다. 먼저, 에지테이터(32)의 동작은, 에지테이터(32)의 회전에 의해 제거리브(34)가 신발의 저면을 긁고 지나가면서 흙이나 먼지 등의 이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에지테이터(32)는 인접한 것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신발 저면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신발은 케어유니트(40)에 의해 내부공간(16)의 상부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에지테이터(32)들의 반대방향 회전에 의해 신발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신발이 상기 내부프레임(24)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신발 저면의 이물이 원활하게 제거된다.There are three main operations of the shoe management device.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agitator 32 , the care unit 40 , and the flow generating unit 50 . First, the operation of the agitator 32 i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soil or dust while the removal rib 34 scrapes the bottom of the shoe by the rotation of the agitator 32 . The agitator 32 may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bottom of the shoe while adjacent ones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At this time, the shoes are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upper part of the inner space 16 by the care unit 40 , and the shoes are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opposite rotation of the agitators 32 .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shoe is positioned on the inner frame 24, foreign substances on the bottom of the shoe are smoothly removed.

상기 에지테이터(32)가 동작되면서 신발에서 분리된 이물을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상기 이물트레이(22) 상으로 전달된다. 상기 이물트레이(22) 상에는 많은 이물이 낙하되어 있을 수 있는데, 어느 정도 사용 후에 상기 이물트레이(22)를 하우징(10)의 외부로 꺼내어 이물을 버리고, 다시 이물트레이(22)를 상기 트레이입출구(20)를 통해 내부공간(16)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As the agitator 32 is operated, the foreign material separated from the shoe is dropped by its own weight and transferred onto the foreign material tray 22 . There may be many foreign substances falling on the foreign material tray 22. After a certain amount of use, the foreign material tray 22 is taken out of the housing 10 to discard the foreign material, and the foreign material tray 22 is again connected to the tray inlet/outlet ( 20) through the inner space 16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그리고 상기 에지테이터(32)의 동작에 의해서 신발의 저면 뿐만 아니라 측면 하단부에 있는 이물이나 흙도 제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거리브(32)가 탄성이 있는 재질로 되어 있어서 제거리브(32) 일측 단부가 신발의 측면 하단부에도 닿을 수 있기 때문이다.And, by the operation of the agitator 32 , foreign matter or soil in the lower side of the shoe as well as the bottom of the shoe may be removed. This is because the removal rib 32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one end of the removal rib 32 can also contact the lower end of the side of the shoe.

두번째로 상기 케어유니트(40)의 동작에 의해 신발 내부 수분이 제거되거나, 살균 및 탈취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어유니트(40)의 동작수행부(47)가 신발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예를 들어, 상기 제1토출부(49)에서 열풍이 토출되면 신발 내부로 열풍이 전달되어 신발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열풍이 수분을 머금고 신발의 외부인 내부공간(16)으로 유동되고, 상기 내부공간(16)에 상기 유동발생부(150)에 의해 형성된 공기유동과 함께 유동된다.Second, by the operation of the care unit 40, moisture inside the shoe may be removed, or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may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operation performing unit 47 of the care unit 40 is installed inside the shoe, for example, when hot air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unit 49, the hot air is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shoe. can be dried. The hot air holds moisture and flows into the inner space 16 , which is the outside of the shoe, and flows together with the air flow formed by the flow generating unit 150 in the inner space 16 .

상기 케어유니트(40)의 살균조명(48)은 신발 내부에서 살균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살균조명(48)에 의해 신발 내부에 서식하고 있던 박테리아 등의 세균을 죽이거나 활동력을 저하시킴에 의해 신발 내부를 보다 위생적으로 만들 수 있다. 상기 살균조명(48)은 동작수행부(47)의 선단에 있어 신발의 내부로 보다 깊숙이 들어갈 수 있어서 신발 내부 선단까지 살균 및 탈취가 가능하다. 살균조명(48)의 경우 주로 신발 내부공간에 부유하고 있는 균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sterilization light 48 of the care unit 40 may sterilize the inside of the shoe. The interior of the shoe can be made more hygienic by killing germs such as bacteria or the like living inside the shoe by the sterilization light 48 or lowering the activity. The sterilization light 48 is at the tip of the operation performing unit 47, so it can go deeper into the inside of the shoe, so that it is possible to sterilize and deodorize up to the inside tip of the shoe. In the case of the sterilization light 48, it can be mainly used to remove bacteria floating in the inner space of the shoe.

다음으로 상기 케어유니트(40)의 동작수행부(47)에 있는, 예를 들어, 제2토출부(49')를 통해 플라즈마이온이 토출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신발 내부의 살균 및 탈취가 가능하다. 특히, 플라즈마이온은 살균조명(48)이 닿을 수 없는 위치까지 유동되어 신발 내부의 구석구석까지 살균 및 탈취를 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플라즈마이온의 경우 주로 신발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균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Next, plasma ions may be discharged through, for example, the second discharge unit 49' in the operation performing unit 47 of the care unit 40, whereby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of the inside of the shoe is possible. do. In particular, the plasma ions flow to a position where the sterilization light 48 cannot reach, so that it is possible to sterilize and deodorize every corner of the inside of the shoe. For reference, plasma ions can be mainly used to remove bacteria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shoes.

그리고, 상기 제1토출부(49)와 제2토출부(49')에서 열풍과 플라즈마이온이 별도로 토출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제1토출부(49)와 제2토출부(49')에서 동시에 열풍이 토출되고 이후에 또 동시에 플라즈마이온이 토출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hot air and plasma ions are separately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unit 49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49', the first discharge unit 49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49' are simultaneously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unit 49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49'. After the hot air is discharged, the plasma ions may be discharged at the same time.

세번째로, 상기 유동발생부(50)의 동작에 의해서는 신발 표면에 있는 먼지 등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부(50)에 의해 제거되는 먼지 등의 이물은 상기 에지테이터(32)에 의해 제거되는 이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세한 것들이다. 유동발생부(50)의 팬모터(52)에 의해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는데, 이 공기의 유동은 상기 토출노즐(56)을 통해 토출되어 신발의 외면에 부딪힌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은 신발에서 분리되면 낙하되어 에지테이터(32)를 통해 이물트레이(22)로 전달되고, 공기의 유동과 함께 유동할 수 있는 미세한 먼지 등은 상기 유동발생부(50)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 흐름에 의해 제거된다.Third, by the operation of the flow generating unit 50, it is possibl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n the surface of the sho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removed by the flow generating unit 50 are relatively finer than the foreign substances removed by the agitator 32 . A flow of air is generated by the fan motor 52 of the flow generating unit 50, and the flow of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nozzle 56 and collides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hoe. When a relatively large foreign material is separated from the shoe by this action, it falls and is transferred to the foreign material tray 22 through the agitator 32, and fine dust that can flow with the flow of air is removed from the flow generating unit ( 50) is removed by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상기 토출노즐(56)을 통해 토출되어 신발로 분사된 공기는 도 8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60)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출구필터(64)를 통과하면서 공기 속에 포함된 이물이 제거되고, 이취 또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60)를 통과하면서 상기 방향시트(66)에 의해 공기에 향기가 섞인 상태로 상기 토출팬(62)에 의해 토출구(60)를 통해 공기가 토출된다.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nozzle 56 and injected into the sho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hrough the discharge port 60 as shown by an arrow in FIG. 8 . At this time, while passing through the outlet filter 64,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is removed, and odor can also be remov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60 by the discharge fan 62 in a state where the fragrance is mixed with the air by the direction sheet 66 while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ort 60 .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일측에 흡습제를 두게 되면 신발에 있던 수분이 흡습제에 흡수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60)를 통해 외부로 수분이 전달되지 않게 되어 본 발명의 장치가 위치되는 공간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And, when the moisture absorbent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the moisture in the shoes is absorbed by the moisture absorbent and removed. Therefore, moisture is not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60, so that the environment of the space in which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can be maintained comfortably.

여기서, 상기 유동발생부(50)의 팬모터(52)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팬모터(52)가 동작되면, 상기 흡입구(58)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팬모터(52)쪽으로 공기가 유동될 때, 입구필터(59)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의 이물이 제거된다. 상기 팬모터(52)이 동작에 의해 발생된 기류는 상기 공기안내덕트(54)를 따라 안내되고, 상기 토출노즐(56)을 통해 토출된다. 상기 토출노즐(56)의 토출공은 팬모터(52)와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직경을 설정하므로, 토출노즐(56) 전체 영역에 걸쳐서 거의 균일하게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Here, the air flow formed by the fan motor 52 of the flow generating unit 50 will be briefly described. When the fan motor 52 is operated, external air is sucked in through the suction port 58 . When air flows toward the fan motor 52 ,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re remo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let filter 59 .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fan motor 52 is guided along the air guide duct 54 an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nozzle 56 . Since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of the discharge nozzle 56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from the fan motor 52 , air can be discharged almost uniformly over the entire area of the discharge nozzle 56 .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0)의 내부공간(16) 내에서, 에지테이터(32), 케어유니트(40), 유동발생부(50)의 동작을 통해 먼지 등의 이물제거, 습기제거, 냄새제거 및 살균 등을 할 수 있어, 신발을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ner space 16 of the housing 10, the agitator 32, the care unit 40, and the flow generating unit 50 are operat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moisture, and odor. It can be removed and sterilized, so that the shoes can be managed more hygienically.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실시례의 동작을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

도 9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에지테이터(132)와 케어유니트(140)의 동작은 앞의 실시례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유동발생부(150)에 의해 발생한 공기유동에 대해 설명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 the operations of the agitator 132 and the care unit 14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so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flow generating unit 150 will be described.

상기 유동발생부(150)의 팬모터(152)에 의해 형성된 기류는 공기안내덕트(154)를 통해 안내되어 토출노즐(156)로 전달된다. 토출노즐(156)에서 토출된 공기는 내부공간(116)에 있는 신발의 표면으로 전달되고, 신발 표면의 먼지, 수분 등을 흡수하여 함께 유동하게 된다. 이 공기의 유동은 내부공간(116)에서 외부로 전달되지 않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벽체에 형성된 유로 내의 순환팬(162)에 의해 다시 상기 팬모터(152)로 전달된다. 이때, 순환필터(164)에 의해 공기에 섞인 이물 및/또는 냄새가 제거된다.The air flow formed by the fan motor 152 of the flow generating unit 150 is guided through the air guide duct 154 and delivered to the discharge nozzle 156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nozzle 156 is delivered to the surface of the shoe in the inner space 116, and absorbs dust, moisture, etc. on the surface of the shoe to flow together. This flow of air is not transmitted from the inner space 116 to the outside, and is returned to the fan motor 152 by the circulation fan 162 in the flow path formed on the wall of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 10 . is transmitted At this time, foreign substances and/or odors mixed with the air are removed by the circulation filter 164 .

그리고, 상기 팬모터(152)로 공기가 유동될 때, 상기 입구필터(159)에 의해 다시 한번 이물이 제거될 수 있다. 입구필터(159)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내부공간(116)을 순환한 공기 뿐만 아니라 상기 흡입구(158)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도 있다. 이들 공기는 상기 입구필터(159)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상기 팬모터(152)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공기안내덕트(154)를 따라 안내되어 토출노즐(156)을 통해 내부공간(116)으로 토출되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발 표면의 수분 및 이물을 제거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air flows to the fan motor 152 , foreign substances may be removed once again by the inlet filter 159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let filter 159 includes not only the air circulated through the inner space 116 but also the external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58 . These air are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let filter 159, pressurized by the fan motor 152, guided along the air guide duct 154, and discharged into the inner space 116 through the discharge nozzle 156. As described above, moisture and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shoe are removed.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실시례가 동작되는 것을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도 에지테이터(232)와 케어유니트(240)의 동작은 동일하므로, 편의상 설명을 생갹한다.Next, ope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 Here too, since the operations of the agitator 232 and the care unit 240 are the same, a description is omitted for convenience.

본 실시례에서도 상기 유동발생부(250)의 동작에 의해서 신발 표면에 있는 먼지 등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부(250)에 의해 제거되는 먼지 등의 이물은 상기 에지테이터(232)에 의해 제거되는 이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세한 것들이다. 여기서의 공기유동은 팬모터(252)에 의해 발생하는데, 상기 토출노즐(56)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어 신발의 외면에 부딪힌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은 신발에서 분리되면 낙하되어 에지테이터(232)를 통해 이물트레이(222)로 전달되고, 공기의 유동과 함께 유동할 수 있는 미세한 먼지 등은 상기 유동발생부(250)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 흐름에 의해 제거된다.In this embodiment as well,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n the surface of the shoe can be re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flow generating unit 250 .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removed by the flow generating unit 250 are relatively finer than the foreign substances removed by the agitator 232 . Here, the air flow is generated by the fan motor 252, and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nozzle 56 and collides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hoe. When a relatively large foreign material is separated from the shoe by this action, it falls and is transferred to the foreign material tray 222 through the agitator 232, and fine dust that can flow with the flow of air is removed from the flow generating unit ( 250) and is removed by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상기 토출노즐(256)을 통해 토출되어 신발로 분사된 공기는 도 12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260)를 통해 하우징(2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출구필터(264)를 통과하면서 공기 속에 포함된 이물이 제거되고, 이취 또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260)를 통과하면서 상기 방향시트(266)에 의해 공기에 향기가 섞인 상태로 상기 토출팬(262)에 의해 토출구(60)를 통해 공기가 토출된다.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nozzle 256 and injected into the sho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10 through the discharge port 260 as shown by an arrow in FIG. 12 . At this time, while passing through the outlet filter 264,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is removed, and the odor can also be remo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ort 260 ,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60 by the discharge fan 262 in a state where the fragrance is mixed with the air by the direction sheet 266 .

따라서, 하우징(210) 외부로 내부공간(216)의 공기가 토출되더라도 수분, 먼지, 냄새가 없고 방향시트(266)에 의해 제공된 향기가 실내공간으로 전달되어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air in the inner space 216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10, there is no moisture, dust, and odor, and the fragrance provided by the fragrance sheet 266 is transmitted to the indoor space to maintain a comfortable state.

다음으로, 도 13에 도시된 실시례의 동작을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

본 실시례에서도 에지테이터(332)와 케어유니트(340)의 동작은 다른 실시례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유동발생부(350)에 의해 발생한 공기유동에 대해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as well, since the operations of the agitator 332 and the care unit 34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other embodiments,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flow generating unit 350 will be described.

상기 유동발생부(350)의 팬모터(352)에 의해 형성된 기류는 공기안내덕트(354)를 통해 안내되어 토출노즐(356)로 전달된다. 토출노즐(356)에서 토출된 공기는 내부공간(316)에 있는 신발의 표면으로 전달되고, 신발 표면의 먼지, 수분 등을 흡수하여 함께 유동하게 된다. 이 공기의 유동은 내부공간(316)에서 외부로 전달되지 않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0)의 벽체에 형성된 유로 내의 순환팬(362)에 의해 다시 상기 팬모터(352)로 전달된다. 이때, 순환필터(364)에 의해 공기에 섞인 이물 및/또는 냄새가 제거된다.The airflow formed by the fan motor 352 of the flow generator 350 is guided through the air guide duct 354 and delivered to the discharge nozzle 356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nozzle 356 is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shoe in the inner space 316 , and absorbs dust and moisture on the surface of the shoe to flow together. This flow of air is not transmitted from the inner space 316 to the outside, and is returned to the fan motor 352 by the circulation fan 362 in the flow path formed on the wall of the housing 310 as shown in FIG. 14 . is transmitted At this time, foreign substances and/or odors mixed in the air are removed by the circulation filter 364 .

그리고, 상기 팬모터(352)로 공기가 유동될 때, 상기 입구필터(359)에 의해 다시 한번 이물이 제거될 수 있다. 입구필터(359)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내부공간(316)을 순환한 공기 뿐만 아니라 상기 흡입구(358)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도 있다. 이들 공기는 상기 입구필터(359)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상기 팬모터(352)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공기안내덕트(354)를 따라 안내되어 토출노즐(156)을 통해 내부공간(116)으로 토출되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발 표면의 수분 및 이물을 제거하게 된다.And, when air flows to the fan motor 352 , foreign substances may be removed once again by the inlet filter 359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let filter 359 includes not only the air circulated through the inner space 316 but also external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358 . These air are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let filter 359, are pressurized by the fan motor 352, are guided along the air guide duct 354, and are discharged into the inner space 116 through the discharge nozzle 156. As described above, moisture and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shoe are removed.

다음으로, 도 15에 도시된 실시례가 동작하는 것을 도 1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구획커버(451)의 토출면(451')이 경사없이 하우징(410) 바닥의 에지테이터(432)와 평행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토출면(451')에 있는 토출노즐(456)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내부공간(416) 내에서 수직 하방으로 유동되어 신발 표면의 먼지와 이물을 제거하게 되고, 제거된 이물중 큰 것은 이물트레이(422)로 낙하되고, 미세한 이물은 공기에 섞인 상태로 토출팬(462)의 구동에 의해 내부공간(416)에서 빠져나가게 된다.Next, ope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6 .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surface 451' of the partition cover 451 is parallel to the agitator 432 of the bottom of the housing 410 without inclination. 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nozzle 456 on the discharge surface 451 ′ flows vertically downward in the inner space 416 to remove dust and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of the shoe, and a large one of the removed foreign material is the foreign material tray. It falls to 422 , and the fine foreign matter escapes from the inner space 416 by the driving of the discharge fan 462 in a state of being mixed with air.

이 과정에서 출구필터(464)가 공기에 섞인 이물을 걸러서 하우징(410) 외부로 보내게 되고, 방향시트(466)를 사용한 경우에는 향기가 섞인 상태의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보내지게 된다.In this process, the outlet filter 464 filters foreign matter mixed in the air and sends i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10 , and when the direction sheet 466 is used, the air mixed with the fragrance is sent to the indoor spac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as one combined or combin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so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도시된 실시례들에서는, 하우징(10)에 팬모터(52)를 두어 하우징(10)의 내부공간(16)에서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고 있으나, 팬모터(52) 대신에 하우징(10)의 벽체 내에 있는 유로에 순환팬을 설치하여 하우징(10)의 내부공간 전체의 공기 유동을 만들어 낼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위에서 설명된 여러 실시례들 중에서 토출구가 없이 구성된 것에 적용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16)을 유동한 공기를 다시 내부공간(16)으로 순환시키도록 순환팬에 의해 가압된 공기가 토출노즐을 통해 내부공간(16)으로 토출되도록 한다.For referenc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s, the fan motor 52 is placed in the housing 10 to allow air to flow in the inner space 16 of the housing 10 , but instead of the fan motor 52 , the housing 10 ), a circulation fan may be installed in the flow path in the wall to create an air flow throughout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 This case may be applied to a configuration without a discharge port among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air pressurized by the circulation fan to circulate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ner space 16 back to the inner space 16 is performed through the discharge nozzle. to be discharged into the inner space 16 through the

10: 하우징 12: 하우징본체
14: 커버 16: 내부공간
18: 레그 20: 트레이입출구
22: 이물트레이 24: 내부프레임
26: 제1단부부재 26': 제2단부부재
27: 측단부재 27': 곡면홈
28: 구획부재 30: 제1지지부재
30': 제2지지부재 32: 에지테이터
34: 제거리브 36: 걸이컬럼
38: 걸이고리 40: 케어유니트
41: 몸체부 43: 손잡이
45,45': 연장부 47,47': 동작수행부
48: 살균조명 49: 제1토출부
49': 제2토출부 50: 유동발생부
51: 구획커버 51': 토출면
52: 팬모터 54: 공기안내덕트
56: 토출노즐 58: 흡입구
59: 입구필터 60: 토출구
62: 토출팬 64: 출구필터
66: 방향시트
10: housing 12: housing body
14: cover 16: interior space
18: leg 20: tray entry/exit
22: foreign material tray 24: inner frame
26: first end member 26': second end member
27: side end member 27': curved groove
28: partition member 30: first support member
30': second support member 32: agitator
34: removal rib 36: hanging column
38: hook 40: care unit
41: body 43: handle
45,45': extension part 47,47': operation execution part
48: sterilization lighting 49: first discharge unit
49': second discharge unit 50: flow generation unit
51: compartment cover 51': discharge surface
52: fan motor 54: air guide duct
56: discharge nozzle 58: suction port
59: inlet filter 60: outlet
62: discharge fan 64: outlet filter
66: direction sheet

Claims (20)

신발이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팬모터와 상기 팬모터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신발을 향해 토출하는 토출노즐을 구비하는 유동발생부와,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 내면에 설치되고 신발의 내부로 삽입되어 신발 내부를 살균, 소독하는 케어유니트를 포함하는 신발관리장치.
A hou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shoes are located;
a flow generat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fan motor for sucking air from the outside and a discharge nozzle for discharging air flowing by the fan motor toward the shoe;
A shoe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care unit installed on on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and inserted into the shoe to sterilize and disinfect the inside of the sho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모터는 상기 하우징의 벽체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노즐은 신발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신발관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n motor is formed on the wall of the housing is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an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and the discharge nozzle is inclined toward the shoe to discharge ai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노즐은 좌측신발과 우측신발에 대응되게 각각 일직선의 영역에 다수개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노즐공의 직경은 상기 팬모터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크게 형성되는 신발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scharge nozzle is configured by forming a plurality of nozzle holes in a straight area to correspond to the left shoe and the right shoe, and the diameter of the nozzle hole is formed to in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fan motor increases. A shoe management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을 순환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공이 상기 하우징의 벽체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공의 입구에는 출구필터와 방향시트가 설치되는 신발관리장치.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air circulated in the inner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formed in a wall of the housing, and an outlet filter and a direction sheet are installed at an inlet of the discharge ho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공에는 토출팬이 설치되어 상기 토출공을 통해 내부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신발관리장치.
[Claim 5]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discharge fan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hole so that air in the inner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을 순환한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벽체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상기 유동발생부로 유동되고, 상기 유로에는 출구필터가 설치되는 신발관리장치.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air circulating in the inner space flows to the flow generating unit through a flow path formed on the wall of the housing, and an outlet filter is installed in the flow path.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에는 순환팬이 설치되어 상기 유동발생부로 내부공간의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신발관리장치.
[Claim 5]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circulation fan is installed in the flow path so that air in the inner space flows to the flow generat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에 위치되어 신발에 있는 이물을 제거하는 에지테이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에지테이터는 외면에 탄성변형이 가능한 제거리브가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신발관리장치.
The sho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gitator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shoe, wherein the agitator has a plurality of elastically deformable removal ribs installed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gitator. managemen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유동발생부가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신발관리장치.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housing main body in which the inner space is formed, and a cover installed to rotate around a hinge on the housing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inner space and to which the flow generating unit is installed. .
신발이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신발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기를 신발을 향해 토출하는 토출노즐과 상기 토출노즐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노즐로 전달하는 팬모터를 구비하는 유동발생부와,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 내면에 설치되고 신발의 내부로 삽입되어 신발 내부를 살균, 소독하는 케어유니트를 포함하는 신발관리장치.
A hou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shoes are located;
A flow generating unit having a discharge nozzle that is inclined toward the shoe in the housing and discharges air toward the shoe, and a fan motor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ischarge nozzle and sucking air from the outside and transferring it to the discharge nozzle Wow,
A shoe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care unit installed on on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and inserted into the shoe to sterilize and disinfect the inside of the sho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노즐은 좌측신발과 우측신발에 대응되게 각각 일직선의 영역에 다수개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노즐공의 직경은 상기 팬모터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크게 형성되는 신발관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ischarge nozzle is configured by forming a plurality of nozzle holes in a straight area corresponding to the left shoe and the right shoe, respectively, and the diameter of the nozzle hole is formed to in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fan motor increases. A shoe management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을 순환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공이 상기 하우징의 벽체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공의 입구에는 출구필터와 방향시트가 설치되는 신발관리장치.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air circulated in the inner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formed in a wall of the housing, and an outlet filter and a direction sheet are installed at an inlet of the discharge hol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공에는 토출팬이 설치되어 상기 토출공을 통해 내부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신발관리장치.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a discharge fan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hole to discharge air in the inner space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을 순환한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벽체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상기 유동발생부로 유동되고, 상기 유로에는 출구필터가 설치되는 신발관리장치.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air circulating in the inner space flows to the flow generating unit through a flow path formed on a wall of the housing, and an outlet filter is installed in the flow path.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에는 순환팬이 설치되어 상기 유동발생부로 내부공간의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신발관리장치.
[Claim 15]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a circulation fan is installed in the flow path so that air in the inner space flows to the flow generating uni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에 위치되어 신발에 있는 이물을 제거하는 에지테이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에지테이터는 외면에 탄성변형이 가능한 제거리브가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신발관리장치.
The shoe according to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n agitator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shoe, wherein the agitator has a plurality of elastically deformable removal ribs installed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gitator. management de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유동발생부가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신발관리장치.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housing main body in which the inner space is formed, and a cover that is installed to rotate around a hinge on the housing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inner space and to which the flow generating unit is installed. .
신발이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신발을 향해 수직 하부로 형성되어 공기를 신발을 향해 토출하는 토출노즐과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노즐로 전달하는 팬모터를 구비하는 유동발생부와,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 내면에 설치되고 신발의 내부로 삽입되어 신발 내부를 살균, 소독하는 케어유니트를 포함하는 신발관리장치.
A hou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shoes are located;
A flow generating unit having a discharge nozzl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vertically downward toward the shoe to discharge air toward the shoe, and a fan motor that sucks air from the outside and delivers it to the discharge nozzle;
A shoe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care unit installed on on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and inserted into the shoe to sterilize and disinfect the inside of the shoe.
신발이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신발을 향해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노즐이 구비되는 유동발생부와,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 내면에 설치되고 신발의 내부로 삽입되어 신발 내부를 살균, 소독하는 케어유니트와,
상기 내부공간을 순환한 공기를 상기 유동발생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벽체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유동시키는 순환팬을 포함하는 신발관리장치.
A hou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shoes are located;
a flow generating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provided with a discharge nozzle for discharging air toward the shoe;
A care unit installed on on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and inserted into the shoe to sterilize and disinfect the inside of the shoe;
and a circulation fan for flowing the air circulated in the inner space through a flow path formed in the wall of the housing to guide the air to the flow generating unit.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팬이 설치된 유로에는 공기중에 있는 이물을 제거하는 출구필터가 설치되는 신발관리장치.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claim 19, wherein an outlet filt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is installed in the flow path in which the circulation fan is installed.
KR1020200006857A 2020-01-17 2020-01-17 Shoe management apparatus KR20210093104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857A KR20210093104A (en) 2020-01-17 2020-01-17 Shoe management apparatus
PCT/KR2020/012434 WO2021145531A1 (en) 2020-01-17 2020-09-15 Shoe management device
US17/073,511 US20210220496A1 (en) 2020-01-17 2020-10-19 Shoe manage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857A KR20210093104A (en) 2020-01-17 2020-01-17 Shoe management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104A true KR20210093104A (en) 2021-07-27

Family

ID=76863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857A KR20210093104A (en) 2020-01-17 2020-01-17 Shoe manage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93104A (en)
WO (1) WO2021145531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790B1 (en) * 2022-09-01 2023-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Shoes car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403A (en) * 2021-12-07 2023-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Shoes care device
USD1029424S1 (en) * 2023-02-06 2024-05-28 Leon Kay Lion Shoe crease remov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178Y1 (en) 2002-04-30 2002-07-26 김승근 A shoe cleaner
KR200393879Y1 (en) 2005-06-10 2005-08-25 이재관 a health administrator insert for shoes
KR20080055288A (en) 2006-12-15 2008-06-19 (주)테크하임 Sterilizing device for footwear, shoes cabinet and shoes vending machine with photocatalyst
KR20090001858U (en) 2007-08-23 2009-02-26 이재관 Insert member for sanitary management of shoes
KR20120122910A (en) 2011-04-28 2012-11-07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for detecting s-sch in cell searching and receiver using i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5940A (en) * 1995-08-31 1997-03-11 Wada Denki Kk Shoe storage box
KR200253977Y1 (en) * 2001-08-18 2001-11-23 권명하 a shoes hygiene cabinet
KR20070034807A (en) * 2005-09-26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Semiconductor Wafer Drying Apparatus and Drying Method
KR101260063B1 (en) * 2012-08-31 2013-04-30 (주) 인슈텍 Portable sterilization deodorant and drying for shoes
KR20140124216A (en) * 2013-04-16 2014-10-24 (주)마미로봇 Automatic shoes cleaning robo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178Y1 (en) 2002-04-30 2002-07-26 김승근 A shoe cleaner
KR200393879Y1 (en) 2005-06-10 2005-08-25 이재관 a health administrator insert for shoes
KR20080055288A (en) 2006-12-15 2008-06-19 (주)테크하임 Sterilizing device for footwear, shoes cabinet and shoes vending machine with photocatalyst
KR20090001858U (en) 2007-08-23 2009-02-26 이재관 Insert member for sanitary management of shoes
KR20120122910A (en) 2011-04-28 2012-11-07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for detecting s-sch in cell searching and receiver using 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790B1 (en) * 2022-09-01 2023-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Shoes car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5531A1 (en)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1471B2 (en) Shoe management device
US20210220496A1 (en) Shoe management device
KR20210093104A (en) Shoe management apparatus
KR101132397B1 (en) A ultraviolet rays sterilizer for shoes
KR101937181B1 (en) Pet healthcare device with sterilization and sterilization system
KR100899948B1 (en) Fixture furniture with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KR20110134049A (en) Human body disinfection device for entrance to domestic animals shed
KR102230674B1 (en) Shoes disinfection, deodorization and drying machine
KR100672242B1 (en) Shoes sterilization capture device
KR20110060686A (en) Sanitary shoes cabinet
JP2005342496A (en) Finger dryer
KR101451758B1 (en) Cabinet with shoes care system
KR102350241B1 (en) Sterilization and drying, deodorization device for mask
KR100996307B1 (en) A shoe chest gas-induction apparatus for sterilization and a dry function of footwear
KR100416317B1 (en) Shoes Sterilizer with Ultraviolet lamp
KR20210093105A (en) Shoe management apparatus
KR20160093849A (en) Bacteria removal dryer for shoes
KR100768293B1 (en) Device for shoes sterilization capturing multi-stage with storage function of boots
KR200427782Y1 (en) Device for shoes sterilization deodorize multi-stage with storage function of boots
KR200427783Y1 (en) Device for shoes sterilization deodorize having intercept function air using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KR200406438Y1 (en) Shoes sterilization capture device
KR101568978B1 (en) Height-adjustable safety deposit protection Jiulong sterilization drying
KR101244848B1 (en) Book sterilizer
KR20200138998A (en) bathroom sterilizer and dryer
KR200162499Y1 (en) A shoe case for steri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