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790B1 - Shoes care device - Google Patents

Shoes car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790B1
KR102601790B1 KR1020220110952A KR20220110952A KR102601790B1 KR 102601790 B1 KR102601790 B1 KR 102601790B1 KR 1020220110952 A KR1020220110952 A KR 1020220110952A KR 20220110952 A KR20220110952 A KR 20220110952A KR 102601790 B1 KR102601790 B1 KR 102601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inner cabinet
nozzle
dry air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9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연아
장주혁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0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7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7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47L23/205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4Wardrobes for shoes, hats, umbrella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5Drying-steam gene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3Humidity by using sorbent or hygroscopic materials, e.g. chemical substances, molecular si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Advancing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는 이너캐비닛, 흡입구, 노즐덕트, 연결유로, 송풍부, 제습부, 건조공기덕트, 힌지지지부 및 제1 덕트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너캐비닛 내부의 공기가 제습된 후 다시 이너캐비닛 내부로 공급되는 순환 기류 구조를 가지고, 다양한 형태 및 소재로 이루어진 각 신발의 특성에 맞는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제습된 공기의 토출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건조공기덕트와 노즐덕트의 연결지점에서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진다.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cabinet, an inlet, a nozzle duct, a connecting passage, a blowing unit, a dehumidifying unit, a dry air duct, a hinge support unit, and a first duct fix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a circulating airflow structure in which the air inside the inner cabinet is dehumidified and then supplied back into the inner cabinet, and management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hoe made of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can be performed, and the dehumidified air is dehumidified. The air discharge position can be adjusted, and a stable connection is achieved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dry air duct and the nozzle duct.

Description

신발 관리기{SHOES CARE DEVICE}Shoe care device {SHOES CARE DEVICE}

본 발명은 신발 관리기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순환 기류(air circulation)에 의하여 신발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신발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care machin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hoe care machine capable of treating shoes by air circulation.

신발은, 착용자의 땀이 차거나, 외부의 오염물질이 묻거나, 비나 눈 등에 의하여 젖을 수 있다. 이러한 신발의 착용은 착용자를 불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상태에서는 신발에 세균이 번식하거나 악취를 풍길 수 있다.Shoes may become wet due to the wearer's sweat, external contaminants, or rain or snow. Wearing such shoes not only makes the wearer uncomfortable, but in this condition, bacteria may multiply in the shoes or create a bad odor.

따라서, 신발에 소정의 처리를 하여 세균이나 악취를 제거함으로써 항상 쾌적한 상태의 신발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관리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shoe care devices that allow people to always wear shoes in a comfortable condition by treating shoes with a predetermined treatment to remove bacteria or bad odors.

상기와 같은 신발관리기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37245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 함)는 "신발 살균 처리 장치(Apparatus for sterilization disposal of shoes)"를 개시하며, 이에 따른 신발 살균 처리 장치는 본체, 자외선 방출 모듈, 탈취 모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relation to the above-mentioned shoe care device, Korean Patent No. 103724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Document 1') discloses "Apparatus for sterilization disposal of shoes," and sterilization of shoes accordingly. The device includes a main body, an ultraviolet ray emitting module, a deodorizing module, etc.

그리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00-0009653호(이하, '선행문헌 2'라 함)는 "위생처리용 신발장(The shoes cabinet for the sanitization)"를 개시하며, 이에 따른 신발장은 본체, 원적외선 방사부, 순환팬, 공기순환통로, 위생필터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0-000965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Document 2') discloses "The shoes cabinet for the sanitization", and the shoe cabinet according to this includes a main body and a far-infrared radiation shield. It consists of a sanitary unit, a circulation fan, an air circulation passage, a sanitary filter unit, etc.

신발에 소정의 처리를 하여 세균이나 악취를 제거하는 신발 관리기의 경우, 신발에 대한 처리 과정에서는 제습 및 탈취에 사용된 공기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신발 처리에 대한 성능이 항상 적절하게 유지되기 위하여 해결되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In the case of a shoe care device that removes bacteria or bad odors by subjecting shoes to a certain treatment, the air used for dehumidification and deodorization is not exposed to the user during the shoe treatment process, and the shoe treatment performance is always maintained appropriately. There are challenges that must be solved.

그러나, 선행문헌 1 및 선행문헌 2에 따른 장치에 의할 경우 이러한 과제를 적절히 해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device according to Prior Document 1 and Prior Document 2 cannot properly solve this problem, so improvement is required.

그리고 다양한 형태 및 소재로 이루어진 각 신발의 특성에 맞는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신발관리기의 개발이 필요하고, 이때, 장치의 원활한 작동과 높은 완성도는 개발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될 요소이다.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hoe care device that can provide management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hoe made of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At this time, smooth operation and high completeness of the device are important factors to be considered during development.

또한, 신발의 관리를 위하여 제올라이트와 같은 제습제를 포함하는 장치를 설계 및 제조할 때, 제습제의 제습 효율을 어떻게 더욱 높일 수 있을지, 제습제의 재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 신발 관리기의 사용 및 제습재의 재생시 발생되는 수증기의 제거 내지는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 신발관리기의 사용 및 제습제의 재생시 의도하지 않은 곳에 물기가 남게되지 않는지, 한정된 공간에서 구성의 배치가 적합하게 이루어졌는지, 사용편의성이 우수한지 등도 고려하여야 하며, 이러한 점들을 두루 고려한 신발 관리기의 개발이 요구된다.In addition, when designing and manufacturing a device containing a dehumidifying agent such as zeolite for shoe care, how can the dehumidifying efficiency of the dehumidifying agent be further increased, how can the regeneration of the dehumidifying agent be effectively achieved, the use of a shoe care device, and the regeneration of the dehumidifying material? Whether the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can be effectively removed or managed, whether water is not left in unintended places when using the shoe care device and regenerating the dehumidifier, whether the configuration is properly arranged in a limited space, and whether the convenience of use is excellent. etc. must als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e development of a shoe care device that takes these factors into account is requir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신발이 배치되는 이너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제습제를 이용하여 제습하고 제습된 공기가 다시 이너캐비닛 내부로 공급될 수 있는 순환 기류 구조를 가지는 신발 관리기로서, 다양한 형태 및 소재로 이루어진 각 신발의 특성에 맞는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습된 공기의 토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면서도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며 안정된 구조를 갖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is a shoe care device that dehumidifies the air inside the inner cabinet where shoes are placed using a dehumidifier and has a circulating airflow structure that allows the dehumidified air to be supplied back into the inner cabinet, and has various forms. To provide a shoe care device that operates smoothly and has a stable structure while controlling the discharge position of dehumidified air so that management can be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hoe made of material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이너캐비닛에 힌지결합되는 노즐덕트의 노즐덕트힌지축과 인접한 지점에서 이너캐비닛의 움직임 또는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이너캐비닛과 건조공기덕트 간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a shoe that can maintain airtightness between the inner cabinet and the dry air duct even if movement or deformation of the inner cabinet occurs at a point adjacent to the nozzle duct hinge axis of the nozzle duct hinged to the inner cabinet. It provides a manag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이너캐비닛, 건조공기덕트 및 외부캐비닛 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고, 신발 관리기의 조립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to provide a shoe care device that provides stable coupling between the inner cabinet, dry air duct, and external cabinet, and makes it easy to assemble and maintain the shoe care device.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신발 관리기는, 이너캐비닛, 흡입구, 노즐덕트, 연결유로, 송풍부, 제습부, 건조공기덕트, 힌지지지부 및 제1 덕트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e care device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may include an inner cabinet, an intake port, a nozzle duct, a connection passage, a blower unit, a dehumidifier unit, a dry air duct, a hinge support unit, and a first duct fixing unit.

상기 이너캐비닛은,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다.The inner cabinet has a receiving space where shoes are accommodated.

상기 흡입구는,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를 이룰 수 있다.The intake port may form an inlet through which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is sucked.

상기 노즐덕트는 노즐덕트힌지축에서 상기 이너캐비닛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덕트는 공기의 통로를 이룬다.The nozzle duct is hinged to the inner cabinet at the nozzle duct hinge axis and protrudes into the receiving space. The nozzle duct forms an air passage.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노즐덕트로 연결되는 공기의 이동통로를 이룬다.The connection passage forms an air movement path connected from the intake port to the nozzle duct.

상기 송풍부는 상기 연결유로의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이루어진다.The blower is configured to blow air in the connection passage.

상기 제습부는 상기 연결유로 중에 설치되어 공기를 제습하도록 이루어진다.The dehumidifying unit i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assage to dehumidify the air.

상기 건조공기덕트는 상기 이너캐비닛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건조공기덕트는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를 이룬다.The dry air duct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binet. The dry air duct forms part of the connection passage.

상기 힌지지지부는 상기 노즐덕트힌지축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지지부는 상기 이너캐비닛에 고정된다.The hinge support portion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nozzle duct hinge axis. The hinge support portion is fixed to the inner cabinet.

상기 제1 덕트고정부는 상기 힌지지지부와 인접한 지점에서 상기 건조공기덕트를 상기 이너캐비닛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덕트고정부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duct fixing part is configured to fix the dry air duct to the inner cabinet at a point adjacent to the hinge support part. The first duct fixing portion may be comprised of a plurality of units.

상기 건조공기덕트는, 상기 이너캐비닛의 외측면과 함께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The dry air duct may form part of the connection passage along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binet.

상기 힌지지지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노즐덕트힌지축의 축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The hinge support portions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nozzle duct hinge axis.

상기 제1 덕트고정부는, 한 쌍의 상기 힌지지지부 간의 이격거리보다 짧게 상기 힌지지지부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건조공기덕트를 상기 이너캐비닛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duct fixing part may be configured to fix the dry air duct to the inner cabinet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hinge support part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hinge support parts.

상기 제1 덕트고정부는, 상기 건조공기덕트의 테두리의 바로 내측에서 상기 건조공기덕트를 상기 이너캐비닛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duct fixing part may be configured to fix the dry air duct to the inner cabinet just inside the edge of the dry air duct.

상기 이너캐비닛은 일측에서 관통된 덕트홀을 구비할 수 있다.The inner cabinet may have a duct hole penetrated on one side.

상기 노즐덕트는 그 일측 단부가 상기 덕트홀에 위치하며 상기 이너캐비닛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nozzle duct is located in the duct hole and may be hinged to the inner cabinet.

상기 건조공기덕트는 상기 덕트홀을 차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dry air duct may be configured to shield the duct hole.

상기 제1 덕트고정부는 상기 덕트홀의 테두리와 상기 건조공기덕트의 테두리의 사이에서 상기 건조공기덕트를 상기 이너캐비닛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duct fixing part may be configured to fix the dry air duct to the inner cabinet between the edge of the duct hole and the edge of the dry air duct.

상기 건조공기덕트의 내부의 공기가 상측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건조공기덕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측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dry air duct may be formed to face upward so that the air inside the dry air duct moves upward.

상기 신발 관리기는 제2 덕트고정부 및 제3 덕트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e manager may include a second duct fixing unit and a third duct fixing unit.

상기 제2 덕트고정부는 상기 건조공기덕트를 상기 이너캐비닛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덕트고정부는 상기 연결유로에서 상기 제1 덕트고정부보다 상류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덕트고정부는 상기 제1 덕트고정부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duct fixing part is configured to fix the dry air duct to the inner cabinet. The second duct fixing part may be located upstream of the first duct fixing part in the connection passage. The second duct fixing part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first duct fixing part.

상기 제3 덕트고정부는 상기 건조공기덕트를 상기 이너캐비닛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3 덕트고정부는 상기 제1 덕트고정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덕트고정부의 반대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 덕트고정부는 상기 제1 덕트고정부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third duct fixing part is configured to fix the dry air duct to the inner cabinet. The third duct fixing part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duct fixing part with respect to the first duct fixing part. The third duct fixing part may be located above the first duct fixing part.

상기 노즐덕트힌지축은 수평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nozzle duct hinge axis may be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1 덕트고정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노즐덕트힌지축의 양 단부에 인접하여 각각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duct fixing parts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respectively position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nozzle duct hinge axis.

상기 신발 관리기는 노즐실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e care device may include a nozzle sealing unit.

상기 노즐실링부는 상기 노즐덕트의 외측에서 상기 덕트홀을 밀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노즐실링부는 상기 노즐덕트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이너캐비닛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즐실링부는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nozzle seal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seal the duct hole from the outside of the nozzle duct. The nozzle sealing part may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ozzle duct and be coupled to the inner cabinet. The nozzle sealing part may be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상기 신발 관리기는 외부캐비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e care machine may include an external cabinet.

상기 외부캐비닛은 상기 건조공기덕트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신발 관리기의 외형을 이룰 수 있다.The external cabinet is located outside the dry air duct and may have the appearance of the shoe care device.

상기 제1 덕트고정부는 볼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캐비닛, 상기 건조공기덕트 및 상기 이너캐비닛을 함께 체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duct fixing part may be in the form of a bolt to fasten the external cabinet, the dry air duct, and the inner cabinet toge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는 이너캐비닛, 흡입구, 노즐덕트, 연결유로, 송풍부, 제습부, 건조공기덕트, 힌지지지부 및 제1 덕트고정부를 포함한다. 연결유로를 통하여 이너캐비닛 내부의 공기는 제습된 후 다시 이너캐비닛 내부로 토출되고, 노즐덕트는 이너캐비닛에 힌지 결합되어 이너캐비닛 내부의 소정의 위치 및 방향에서 건조공기가 토출되도록 한다. 힌지지지부는 노즐덕트힌지축을 지지하며 이너캐비닛에 고정되고, 제1 덕트고정부는 힌지지지부와 인접한 지점에서 건조공기덕트를 이너캐비닛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너캐비닛 내부의 공기가 제습된 후 다시 이너캐비닛 내부로 공급되는 순환 기류 구조를 가지고, 다양한 형태 및 소재로 이루어진 각 신발의 특성에 맞는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제습된 공기의 토출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건조공기덕트와 노즐덕트의 연결지점에서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진다.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cabinet, an inlet, a nozzle duct, a connection passage, a blower unit, a dehumidifier unit, a dry air duct, a hinge support unit, and a first duct fixing unit. The air inside the inner cabinet is dehumidified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and then discharged back into the inner cabinet, and the nozzle duct is hinged to the inner cabinet to discharge dry air at a predetermined location and direction inside the inner cabinet. The hinge support part supports the nozzle duct hinge axis and is fixed to the inner cabinet, and the first duct fixing part fixes the dry air duct to the inner cabinet at a point adjacent to the hinge suppor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a circulating airflow structure in which the air inside the inner cabinet is dehumidified and then supplied back into the inner cabinet, and management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hoe made of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can be performed, and the dehumidified air is dehumidified. The air discharge position can be adjusted, and a stable connection is achieved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dry air duct and the nozzle du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이너캐비닛은 덕트홀을 구비하고, 노즐덕트의 일측 단부가 덕트홀에 위치하며 이너캐비닛에 힌지 결합되고, 건조공기덕트는 덕트홀을 차폐하며 결합될 수 있다. 제1 덕트고정부는 덕트홀의 테두리와 건조공기덕트의 테두리의 사이에서 건조공기덕트를 이너캐비닛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너캐비닛에 힌지결합되는 노즐덕트가 움직이는 경우 노즐덕트힌지축과 인접한 지점에서 이너캐비닛의 움직임 또는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이너캐비닛과 건조공기덕트 간의 긴밀한 밀착에 의하여 기밀이 유지되며 각 구성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In the shoe car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cabinet has a duct hole, one end of the nozzle duct is located in the duct hole and is hinged to the inner cabinet, and the dry air duct can be coupled to shield the duct hole. there is. The first duct fixing part may be configured to fix the dry air duct to the inner cabinet between the edge of the duct hole and the edge of the dry air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ozzle duct hinged to the inner cabinet moves, airtightness is maintained by close contact between the inner cabinet and the dry air duct even if movement or deformation of the inner cabinet occurs at a point adjacent to the nozzle duct hinge axis. And stable bonding between each component can be maintai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제1 덕트고정부는 외부캐비닛, 건조공기덕트 및 이너캐비닛을 함께 체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너캐비닛, 건조공기덕트 및 외부캐비닛 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고, 신발 관리기의 조립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다.I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uct fixing part may be configured to fasten the external cabinet, the dry air duct, and the inner cabinet toge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inner cabinet, dry air duct, and external cabinet is achieved, and assembly and maintenance of the shoe care device are eas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 따른 추가적인 효과 및 상세한 효과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Additional effects and detailed effects of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신발 관리기에서 도어 및 외부캐비닛의 일부가 제거된 모습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에서 도어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를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기계실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각 구성간의 연결관계 및 유체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b는 도 11a에서 건조공기덕트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9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신발 관리기에서 노즐덕트가 힌지회전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는 노즐덕트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노즐덕트의 길이방향이 수평방향과 평행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는 노즐덕트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노즐이 하강하도록 노즐덕트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door being opened in the shoe car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oe care machine of Figure 2 with the door and part of the external cabinet removed, as seen from another direc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oe care device shown in Figure 3 as seen from another direc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oor removed from the shoe care machine shown in Figure 1.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oe care device shown in FIG. 5 viewed from line A-A'.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oe care machine shown in FIG. 3 as seen from another direction, and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machine room.
Figure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and the flow of fluid i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rear view showing a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shoe car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rtion of a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B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dry air duct removed from FIG. 11A.
FIG. 1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a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along line B-B' of FIG. 9. Figure 12b is a diagram showing the hinged rotation of the nozzle duct in the shoe care device of Figure 12a.
Figure 13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gle of the nozzle duct is adjusted, and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ozzle duct is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Figure 13b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gle of the nozzle duct is adjusted, and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gle of the nozzle duct is adjusted so that the nozzle descend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assigned identical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은 관리기(1)를 개시한다. 관리기(1)는 그 내부에 물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해당 물품이 청결해지거나 해당 물품의 물리/화학적인 상태가 개선되도록 해당 물품을 관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anager (1). The management device 1 may be configured to manage the article so that the article is kept clean or the physical/chemical condition of the article is improved while the article is accommodated t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은 각각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X), the second direction (Y), and the third direction (Z)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ach be orthogonal to each other.

제1 방향(X)과 제2 방향(Y) 각각은 수평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고, 제3 방향(Z)은 연직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X)이 좌우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때 제2 방향(Y)은 전후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X)이 전후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때 제2 방향(Y)은 좌우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Each of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second direction (Y) may be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Z) may be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first direction (X) is parallel to the left-right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Y) may be parallel to the front-to-back direction. When the first direction (X)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ront-to-back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Y) may be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eft-right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신발 관리기(1)는 신발로부터 냄새 또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신발의 물리/화학적인 상태가 개선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스팀이 신발에 스며들거나 통과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신발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제어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신발을 건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발은 관리 이전의 상태보다, 청결해질 수 있고, 및/또는 신발을 이루는 소재가 부드러워질 수 있고, 및/또는 신발에 형성된 주름 등이 펴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e care device 1 may be used to remove odors or contaminants from shoes and may be used to improve the physical/chemical condition of the shoes. The shoe care device 1 may be configured to allow steam to penetrate or pass through the shoes. The shoe manager 1 can control the temperature and/or humidity of the shoes. The shoe care machine (1) can dry shoes. Accordingly, the shoes can become cleaner than before the care, and/or the material making up the shoes can become softer, and/or wrinkles, etc. formed on the shoes can be smoothed ou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수용공간(101) 및 외부캐비닛(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송풍부(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ceiving space 101 and an external cabinet 20. The shoe care device 1 may include a blower 310.

외부캐비닛(20)은 신발 관리기(1)의 외형을 이룰 수 있다.The external cabinet 20 may have the appearance of the shoe care machine 1.

외부캐비닛(20)은 외부뒷판(21) 및 외부측판(22, 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측판(22, 23)은 외부뒷판(21)의 양쪽에 구비된다.The external cabinet 20 may include an external back plate 21 and external side plates 22 and 23. The outer side plates 22 and 23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back plate 21.

수용공간(101)은 신발 관리기(1)의 내부 공간으로서 신발이 수용되는 공간을 이룬다.The receiving space 101 is an internal space of the shoe manager 1 and forms a space where shoes are accommodated.

송풍부(310)는 수용공간(101)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blower 310 may be configured to circulate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10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어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0)는 신발 관리기(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제어부(10)는, 신발 관리기(1)에서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신발 관리기(1)의 각 구성의 구동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unit 10. The control unit 1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hoe care machine 1. The control unit 10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from the shoe manager 1, and may include a memory storing an application program for driving each component of the shoe manager 1. You ca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door 30 opened 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 및 외부캐비닛(20)의 일부가 제거된 모습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oe care machine 1 of FIG. 2 with the door 30 and part of the external cabinet 20 removed, as seen from another direc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oe care device 1 shown in FIG. 3 as seen from another direction.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에는 이너캐비닛(100)에 수용된 신발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oor 30 removed from the shoe care machine 1 shown in FIG. 1. In Figure 5, shoes accommodated in the inner cabinet 100 are shown together.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를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에서, 신발 관리기(1)에 도어(30)가 포함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고, 신발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oe care device 1 shown in FIG. 5 viewed from line A-A'. In Figure 6, the shoe manager 1 is shown with a door 30, and shoes are not shown.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기계실(50)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oe care machine 1 shown in FIG. 3 as seen from another direction, and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machine room 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도어(30), 이너캐비닛(100) 및 기계실(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프레임(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oor 30, an inner cabinet 100, and a machine room 50. The shoe care device 1 may include a frame 5.

외부캐비닛(20)과 도어(30)는 신발 관리기(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신발 관리기(1)의 외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외부캐비닛(20)과 도어(30)가 서로 결합되고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신발 관리기(1)의 외형은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가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입체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xternal cabinet 20 and the door 30 can form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shoe care machine 1. The exterior of the shoe care device 1 may have a hexahedral shape. That is, when the external cabinet 20 and the door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door 30 is closed,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shoe care machine 1 may be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However,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and may have various three-dimensional shapes.

프레임(5)은 신발 관리기(1)의 전체적인 골격을 이룰 수 있다. 프레임(5)은 육면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rame 5 may form the overall framework of the shoe care device 1. The frame 5 may have a hexahedral structure.

외부캐비닛(20)은 프레임(5)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external cabinet 20 can be detachably fixed to the frame 5.

도어(30)는 신발 관리기(1)의 내부(고내)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도어(30)는 신발 관리기(1)의 어느 한 쪽 면을 이룰 수 있다. 도어(30)는 신발 관리기(1)의 왼쪽면 또는 오른쪽면을 이룰 수 있고, 또는 신발 관리기(1)의 앞면을 이룰 수 있다. The door 30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interior (interior) of the shoe care machine 1. The door 30 may form either side of the shoe manager (1). The door 30 may form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shoe manager 1, or may form the front side of the shoe manager 1.

도어(30)의 외측에는 신발 관리기(1)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33)이 마련된다. 컨트롤 패널(33)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30)의 내측 공간부에는 컨트롤 패널(33)과 연계되어 신발 관리기(1)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제어부(10))이 구비된다. 제어부(10)는 기계실(5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33)에는 유아이(UI, user interface)가 배치되어,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33)에 배치된 유아이를 조작하여 신발 관리기(1)의 각 구성에 대한 작동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A control panel 33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30 to control the shoe manager 1. The control panel 33 may be made of a touch screen. A control unit (control unit 10)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oor 30 in connection with the control panel 33 to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shoe manager 1. The control unit 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chine room 50. A UI (user interface) is disposed on the control panel 33, and the user can input operating signals for each component of the shoe care machine 1 by manipulating the UI disposed on the control panel 33.

일 실시예에서 도어(30)는 프레임(5)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30)는 외부캐비닛(20)에 힌지결합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30)는 이너캐비닛(100) 및/또는 기계실(50)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oor 30 may be hinged to the frame 5. In another embodiment, the door 30 may be hinged to the outer cabinet 20, 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door 30 may be hinged to the inner cabinet 100 and/or the machine room 50.

도어(30)의 힌지회전축(31)은 연직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는 연직방향의 회전축(31)(rotation axis)을 중심으로 양방향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inge rotation axis 31 of the door 30 may be vertical. That is, in the shoe care machine 1, the door 30 can be rotated in both directions about a vertical rotation axis 31.

이하에서는,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도어(30)가 신발 관리기(1)의 앞쪽에 형성되는 것으로 정하여 설명한다. 즉,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가 형성되는 면을 신발 관리기(1)의 앞면으로 정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limited,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assuming that the door 30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shoe care machine 1. That is,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by assuming that the surface of the shoe manager 1 where the door 30 is formed is the front of the shoe manager 1.

또한, 이하에서는,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1 방향(X)은 전후방향과 평행하고, 제2 방향(Y)은 좌우방향과 평행하고, 제3 방향(Z)은 상하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정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hereinafter,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limited, the first direction ( Each is determined and explained in a parallel direction.

이너캐비닛(100) 및 기계실(50)은 외부캐비닛(2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inner cabinet 100 and the machine room 50 may be provided inside the external cabinet 20.

이너캐비닛(100)은 상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의 내부의 공간은 수용공간(101)을 이루고, 이러한 수용공간(101)에 신발(S)이 수용될 수 있다.The inner cabinet 100 is shaped like a box, and a predetermined space may be formed inside it. The space inside the inner cabinet 100 forms a receiving space 101, and shoes (S) can be accommodated in this receiving space 101.

이너캐비닛(100)은 내부뒷판(110) 및 내부측판(120, 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측판(120, 130)은 내부뒷판(110)의 양쪽에 구비된다.The inner cabinet 100 may include an inner back plate 110 and inner side plates 120 and 130. The inner side plates 120 and 13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back plate 110.

복수 개의 신발(S)이 하나의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에서 함께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hoes (S) may be arranged together in the receiving space (101) of one inner cabinet (100).

이너캐비닛(100)은 프레임(5)에 고정될 수 있다.The inner cabinet 100 may be fixed to the frame 5.

이너캐비닛(100)은 어느 한쪽으로 개구된 상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너캐비닛(100)은 신발 관리기(1)의 앞쪽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의 개구인 메인개구(140)는 도어(30)에 의해 밀폐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The inner cabinet 100 is shaped like a box with an opening on one side. The inner cabinet 100 may be opened in front of the shoe manager 1. The main opening 140, which is an opening of the inner cabinet 100, may be sealed or opened by the door 30.

일 실시예에서 기계실(50)은 이너캐비닛(10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기계실(50)에는, 신발 관리기(1)를 이루는 일부의 구성들이 수용될 수 있고, 이때 기계실(50)에 수용되는 구성들은 프레임(5)에 고정되거나 이너캐비닛(100) 또는 외부캐비닛(20)에 고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chine room 50 may be provided below the inner cabinet 100. Som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hoe care machine 1 may be accommodated in the machine room 50. At this time, the components accommodated in the machine room 50 may be fixed to the frame 5 or installed in the inner cabinet 100 or the outer cabinet 20. can be fixed t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관리장치(2a, 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신발 관리기(1)에서 관리장치(2a, 2b)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발 관리기(1)는 제1 관리장치(2a) 및 제2 관리장치(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신발 관리기(1)는, 2개로 구분된 관리장치(2a, 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anagement devices 2a and 2b. In the shoe care machine 1, a plurality of management devices 2a and 2b may be provided. In one embodiment, the shoe care device 1 may include a first care device 2a and a second care device 2b. That is, the shoe management device 1 may include two separate management devices 2a and 2b.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관리장치'는,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를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management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to mean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and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respectively, except in cases where it is specifically limited.

관리장치(2a, 2b)는 상술한 이너캐비닛(100)을 포함한다.The management devices 2a and 2b include the inner cabinet 100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과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은 서로 구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은 제1 이너캐비닛(100a)으로 칭하여 질 수 있고,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은 제2 이너캐비닛(100b)로 칭하여 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cabinet 100 of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and the inner cabinet 100 of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accordingly,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inner cabinet 100a, and the inner cabinet 100 of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inner cabinet 100b.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이너캐비닛(100)'은,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1 이너캐비닛(100a)' 및 '제2 이너캐비닛(100b)' 각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inner cabinet 100'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each of the 'first inner cabinet 100a' and the 'second inner cabinet 100b', except in cases where it is specifically limited. It can be understood.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가 닫히면, 도어(30)는 제1 관리장치(2a)의 메인개구(140)를 닫고, 또한 제2 관리장치(2b)의 메인개구(140)를 닫는다. 즉, 도어(30)는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과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을 동시에 밀폐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과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은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door 30 is closed in the shoe management device 1, the door 30 closes the main opening 140 of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and also closes the main opening 140 of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 That is, the door 30 can simultaneously seal the receiving space 101 of the inner cabinet 100 of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and the receiving space 101 of the inner cabinet 100 of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You can. And at this time, the accommodation space 101 of the inner cabinet 100 of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and the accommodation space 101 of the inner cabinet 100 of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may be configured not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과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은 서로 독립된 공간을 이룰 수 있고, 또한 서로 차단된(서로 연통되지 않는) 공간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의 온도 및 습도와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의 온도 및 습도는 서로 다르게 제어될 수 있고,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에서 서로 개별적인 신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As such,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modation space 101 of the inner cabinet 100 of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and the accommodation space 101 of the inner cabinet 100 of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It can form spaces, and it can also form spaces that are blocked from each other (not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1 of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1 of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1 of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Individual shoe management can be performed in (2a) and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각 구성간의 연결관계 및 유체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and the flow of fluid 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관리장치(2a, 2b)는 연결유로(F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송풍부(310) 및 제습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흡입구(203) 및 노즐(8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nagement devices 2a and 2b may include a connection passage F10. The management devices 2a and 2b may include a blowing unit 310 and a dehumidifying unit 330. The management devices 2a and 2b may include an inlet 203 and a nozzle 820.

흡입구(203)는 수용공간(101)의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를 이룰 수 있다. 흡입구(203)는 이너캐비닛(100)의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The intake port 203 may form an inlet through which air in the receiving space 101 is sucked. The intake port 203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cabinet 100.

관리장치(2a, 2b)는 연결유로(F10)를 이루는 모듈하우징(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nagement devices 2a and 2b may include a module housing 200 forming a connection passage F10.

관리장치(2a, 2b)는 재생유로(F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가열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nagement devices 2a and 2b may include a regeneration passage F20. The management devices 2a and 2b may include a heating unit 320.

관리장치(2a, 2b)는 변환유로(F1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nagement devices 2a and 2b may include a conversion passage F10a.

관리장치(2a, 2b)는 댐퍼(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nagement devices 2a and 2b may include a damper 350.

신발 관리기(1)는 스팀제너레이터(700), 스팀밸브(710) 및 스팀세퍼레이터(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e care device 1 may include a steam generator 700, a steam valve 710, and a steam separator 720.

신발 관리기(1)는 섬프(600),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e care device 1 may include a sump 600, a water tank 60, and a drain tank 70.

연결유로(F10)는 유체(流體)의 이동통로를 이룬다.The connection passage (F10) forms a passage for fluid.

연결유로(F10)는, 신발 관리기(1) 내부의 공기 및/또는 응축수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The connection passage F10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and/or condensate inside the shoe care machine 1 moves.

제습부(330)는 연결유로(F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습제(3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습부(330)는 그 전부가 제습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그 일부가 제습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부(33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dehumidifying unit 330 is disposed inside the connection passage F10 and includes a dehumidifying agent 331. The dehumidifying unit 330 may be made entirely of a dehumidifying agent, or may be partially made of a dehumidifying agent. Additional description of the dehumidifying unit 330 will be provided la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신발이 배치되는 이너캐비닛(100)의 내부의 공기를 연결유로(F10) 내부로 흡입하여 제습제(331)를 이용하여 제습하도록 이루어지고, 제습된 공기가 다시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는 순환 기류(air circulation) 구조를 갖는다.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ck the air inside the inner cabinet 100 where the shoes are placed into the connection passage F10 and dehumidify it using a dehumidifier 331. It has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in which the heated air can be supplied back into the inner cabinet 100.

연결유로(F10)는, 신발 관리기(1)에서 이러한 순환 기류 구조를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연결유로(F10)는, 그 전부 또는 일부가 파이프, 호스, 튜브, 덕트, 하우징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on passage (F10) can be used as a means to achieve such a circulating airflow structure in the shoe care device (1). The connection passage F10 may be formed in whole or in part in the form of a pipe, hose, tube, duct, housing, or a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하우징(200)은 연결유로(F10)의 일부를 이룬다.The module housing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part of the connection passage (F10).

모듈하우징(200)에는 흡입구(203)가 형성된다. 흡입구(203)는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지고,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의 공기가 모듈하우징(200)의 내부로 흡입되는 모듈하우징(200)의 입구를 이룬다. An intake port 203 is formed in the module housing 200. The intake port 203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space 101 of the inner cabinet 100, and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101 of the inner cabinet 100 is sucked into the module housing 200. ) forms the entrance.

신발 관리기(1) 내부에서, 이너캐비닛(100)과 기계실(50)은 서로 분리된 공간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이너캐비닛(100)과 기계실(50)의 사이에 관리장치(2a, 2b)의 일부인 모듈하우징(200)이 구비될 수 있다. Inside the shoe care machine 1, the inner cabinet 100 and the machine room 50 may form separate spaces. Additionally, a module housing 200, which is part of the management devices 2a and 2b,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cabinet 100 and the machine room 5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송풍부(310), 제습부(330) 및 가열부(320)는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ing unit 310, the dehumidifying unit 330, and the heating unit 32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module housing 200.

그리고 기계실(50)에는, 제어부(10), 섬프(600), 스팀제너레이터(700) 및 스팀밸브(710)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계실(50)은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machine room 50 can accommodate the control unit 10, sump 600, steam generator 700, and steam valve 710. Additionally, the machine room 50 may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a water tank 60 and a drain tank 70.

관리장치(2a, 2b)를 이루는 구성들 중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에 수용되지 않는 구성들은, 이너캐비닛(100)과 모듈하우징(200)의 외부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고, 또는 프레임(5)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anagement devices 2a and 2b, components that are not accommodated inside the module housing 20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cabinet 100 and the outside of the module housing 200, or may be attached to a frame ( 5) It can be fixedly coupled to.

기계실(50)에 결합되거나 수용되는 구성들은 각각, 기계실(5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Components coupled to or accommodated in the machine room 50 may each be fixedly coupled to the machine room 50 .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은 각각 물을 수용하는 용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ter tank 60 and the water tank 70 may each be in the form of a container that holds water.

급수통(60)은 그 내부에, 신발 관리기(1)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통(60)은, 스팀제너레이터(700)로 공급되는 물이 내부에 저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통(60)의 물을 신발 관리기(1) 내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급수통(60)에는 워터펌프(제1 워터펌프(61))가 연결될 수 있다.The water tank 60 may be configured to store water supplied into the shoe care machine 1 therein. The water tank 60 may be configured to store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700 therein. In order to supply water from the water tank 60 into the shoe care machine 1, a water pump (first water pump 61)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60.

배수통(70)은 그 내부에, 신발 관리기(1)에서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배수통(70)은 신발 관리기(1) 내부에서 응축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배수통(70)은 섬프(600)에서 배수된 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배수통(70)으로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배수통(70)에는 워터펌프(제2 워터펌프(71))가 연결될 수 있다.The drain tank 70 may be configured to store water discharged from the shoe care machine 1 therein. The water sump 70 can store water condensed inside the shoe care machine 1. The sump 70 may be configured to store water drained from the sump 600. In order to discharge water into the drain tank 70, a water pump (second water pump 71)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tank 70.

급수통(60)과 배수통(70)은, 기계실(50)의 어느 한쪽 벽면 외측에서 노출되도록 기계실(50)에 결합될 수 있다.The water tank 60 and the water tank 70 may be coupled to the machine room 50 so as to be exposed on the outside of one wall of the machine room 50.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은, 기계실(50)에서 착탈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통(60)과 배수통(70)의 착탈의 용이를 위하여, 급수통(60)의 외측면에 급수통(60)의 손잡이(60a)가 형성될 수 있고, 배수통(70)의 외측면에 배수통(70)의 손잡이(70a)가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tank 60 and the water tank 70 may be detachable from the machine room 50 . In order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water tank 60 and the water tank 70, a handle 60a of the water tank 6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tank 60, and a handle 60a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70. A handle 70a of the drain tank 70 may be formed on the side.

제어부(10)는, 신발 관리기(1)를 이루는 각 구성들과 연계되어 각 구성들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 may be connected to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shoe manager 1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제어부(10)의 제어를 위하여 신발 관리기(1)에는,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가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10)는, 신발 관리기(1)로 입력되는 정보, 신발 관리기(1)에서 출력되는 정보 등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신발 관리기(1)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For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 the shoe manager 1 may be provided with a storage medium in which an application program is stored, and the control unit 10 controls information input to the shoe manager 1 and output from the shoe manager 1. The shoe manager 1 may be controlled by running an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available information.

제어부(10)는, 신발 관리기(1)를 이루는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가 개별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가 각각 서로 다른 상태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관리장치(2a)에서의 신발(예컨대, 운동화)과 제2 관리장치(2b)에서의 신발(예컨대, 구두)이 서로 다른 조건에서 관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가 서로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 can control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and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which constitute the shoe care device 1, to operate individually. The control unit 10 can control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and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to operate in different states, and the shoes (e.g., sneakers) and the shoes (e.g., sneakers) in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2 Shoes (eg, shoes) in the management device 2b can be controlled to be manag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0 can control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and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신발 관리기(1)에는, 이너캐비닛(100) 내부에 수분이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스팀제너레이터(700)가 구비된다. 스팀제너레이터(700)는, 스팀을 생성하고,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수분 및 스팀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The shoe care machine 1 is equipped with a steam generator 700 as a device to generate moisture inside the inner cabinet 100. The steam generator 700 generates steam and selectively supplies moisture and steam into the inner cabinet 100.

스팀제너레이터(700)에 의해 형성된 습한 공기가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 쪽으로 공급되고, 습기는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을 순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발(S)에 습기가 공급될 수 있다. The moist air formed by the steam generator 700 is supplied toward the receiving space 101 of the inner cabinet 100, and the moisture can circulate in the receiving space 101 of the inner cabinet 100, and thus the shoes (S ) can be supplied with moisture.

스팀제너레이터(700)는 그 내부공간의 물을 가열하는 별도의 히터(700a)를 구비하고,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여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으로 공급하게 된다.The steam generator 700 is equipped with a separate heater 700a that heats water in its internal space, heats water to generate steam, and supplies it to the receiving space 101 of the inner cabinet 100.

스팀제너레이터(70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으로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이 사용되거나, 또는 기계실(50)의 일측에 제공되는 컨테이너(container) 타입의 급수탱크가 사용될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700)는 급수통(6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As a water supply sour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700, an external faucet or the like may be used, or a container-type water tank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chine room 50 may be used. The steam generator 700 can generate steam by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60.

물의 이동을 위한 급수통(60)과 스팀제너레이터(700)의 연결은 파이프, 호스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on between the water tank 60 and the steam generator 700 for movement of water may be made by a pipe, hose, et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신발을 리프레쉬(refresh)하는 리프레셔(refresher) 장치일 수 있다.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refresher device that refreshes shoes.

여기서, 리프레쉬라 함은 신발을 향해 공기(air), 열풍(heated air), 수분(water), 미스트(mist), 스팀(steam) 등을 제공하여 신발의 오물제거, 냄새제거(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제거(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또는 가열(warming) 등을 수행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Here, refresh means providing air, heated air, water, mist, steam, etc. to the shoes to remove dirt, deodorize, and sterilize the shoes. It may mean a process of performing sanitizing,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or warming.

스팀제너레이터(700)는 신발(S)이 수용되는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으로 스팀을 공급하여 신발에 대한 스팀 처리를 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의 효과와 함께 신발 재질의 부풀림 등에 의한 리프레쉬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것이다.The steam generator 700 supplies steam to the accommodation space 101 of the inner cabinet 100 where the shoes S are accommodated, thereby providing steam treatment for the shoes. Furthermore, the high-temperature steam provides a sterilization effect. This is to exert a refreshing effect due to swelling of the shoe material.

스팀제너레이터(700)는 급수통(6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The steam generator 700 can generate steam by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60.

스팀밸브(710)는, 스팀제너레이터(700)와 연결되고,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 및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 각각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The steam valve 710 is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700 and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communicate with each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1 of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and the accommodation space 101 of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

스팀밸브(710)는, 스팀제너레이터(700)의 스팀이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 및/또는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으로 공급됨에 있어서, 스팀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도록 작동하며, 스팀밸브(710)의 작동은 제어부(10)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steam valve 710 supplies steam from the steam generator 700 to the accommodation space 101 of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and/or the accommodation space 101 of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It operates to control the supply of steam, and the operation of the steam valve 710 i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0.

스팀밸브(710)는 스팀세퍼레이터(720)와 연결된다. 스팀세퍼레이터(720)는 제1 관리장치(2a) 및 제2 관리장치(2b) 각각에 구비된다. 스팀제너레이터(70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밸브(710) 및 스팀세퍼레이터(720)를 거친 후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스팀의 이동을 위한, 스팀제너레이터(700)와 스팀밸브(710)의 연결은 파이프, 호스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스팀밸브(710)와 스팀세퍼레이터(720)의 연결은 파이프, 호스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팀밸브(710)로부터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로 공급된 스팀은 스팀세퍼레이터(720)의 세퍼레이팅연결구(722)를 통하여 배출되고, 이 스팀은 스팀유입구(204)를 거쳐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으로 공급된다.The steam valve 710 is connected to the steam separator 720. The steam separator 720 is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and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700 may be supplied into the inner cabinet 100 after passing through the steam valve 710 and the steam separator 720. At this time, for the movement of steam, the connection between the steam generator 700 and the steam valve 710 can be made by a pipe, hose, etc.,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steam valve 710 and the steam separator 720 can be made by a pipe, hose, etc. It can be accomplished by: Steam supplied from the steam valve 710 into the steam separator 720 is discharged through the separating connection port 722 of the steam separator 720, and this steam passes through the steam inlet 204 to the inner cabinet 100. It is 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10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부(330)는 공기를 제습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humidifying unit 330 can be used as a means to dehumidify the air.

제습부(330)는 그 자체로 다공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부(330)에는 그 부피 전체에 걸쳐 다수의 공극이 형성될 수 있고, 공기가 이러한 공극을 통하여 제습부(330)를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The dehumidifying unit 330 may itself be porous. A plurality of voids may be formed throughout the volume of the dehumidifier 330, and air may move through the dehumidifier 330 through these voids.

제습부(330)는 제습제(dehumidifying material)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습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dehumidifying unit 330 may be made of a dehumidifying material and includes a dehumidifying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331)는,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습도를 낮출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습제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거나 흡착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물질 또는 물질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humidifier 3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terial that can reduce humidity by absorbing moisture in the air. Dehumidifiers may be made of various substances or combinations of substances to the extent that they absorb or adsorb moisture in the air, and may have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는, 데시컨트(desiccant), 흡습제(absorbent) 또는 흡착제(adsorbent)로 칭하여질 수 있다.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alled a desiccant, absorbent, or adsorb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는 미세 다공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는, 실리카겔, 활성탄, 활성 알루미나(AL2O3), 규조토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microporous material.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silica gel, activated carbon, activated alumina (AL2O3), diatomaceous earth, etc.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는 제올라이트(zeolite)로 이루어지거나 제올라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zeolite or may include zeolite.

송풍부(310)는 연결유로(F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송풍부(310) 내부에 송풍팬이 구비될 수 있다. 송풍부(310)가 연결유로(F10) 내부에 구비됨으로써, 송풍부(310)의 작동시 연결유로(F10)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이 발생되고, 또한 연결유로(F10)는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과 연통되어 있으므로, 송풍부(310)의 작동에 의하여 수용공간(101)에서도 공기의 흐름 및 이동이 발생된다.The blowing unit 310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passage (F10). A blowing fan may be provided inside the blowing unit 310. Since the blower 310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passage (F10), when the blower 310 operates, a flow of air is generated inside the connection passage (F10), and the connection passage (F10) is connected to the inner cabinet (100). Since it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101, air flow and movement occurs in the receiving space 101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310.

이처럼, 송풍부(310)의 작동(송풍팬의 회전)에 의하여 이너캐비닛(100)으로부터 공기를 연결유로(F10)로 흡입할 수 있고, 연결유로(F10) 내부의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In this way,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310 (rotation of the blower fan), air can be sucked from the inner cabinet 100 into the connection passage F10, and the air inside the connection passage F10 can be blown.

일 실시예에서 송풍부(310)는 연결유로(F10)를 이루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되고, 송풍부(310)는 이너캐비닛(100) 내부의 공기가 흡입구(203)로 흡입되도록 작동한다. 연결유로(F10) 내부의 공기는 연결유로(F10)를 이루는 모듈하우징(200), 건조공기덕트(370) 및 노즐덕트(810)를 거친 후 노즐(820)을 통하여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다시 토출된다.In one embodiment, the blower 310 is provided inside the module housing 200 forming the connection passage F10, and the blower 310 operates to suck the air inside the inner cabinet 100 into the intake port 203. do. The air inside the connection passage (F10) passes through the module housing (200), the dry air duct (370), and the nozzle duct (810) that form the connection passage (F10), and then flows into the inner cabinet (100) through the nozzle (820). It is ejected again.

이처럼, 송풍부(310)의 작동에 의하여 신발 관리기(1)에서 공기의 흐름이 발생될 수 있다.In this way, a flow of air may be generated in the shoe care device 1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310.

연결유로(F10) 내부에서 제습부(330) 및 송풍부(310)의 일측에는 가열부(320)가 구비된다. 가열부(320)는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송풍부(310),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모듈하우징(200)의 흡입구(203)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부(310),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 순으로 거치면서 연결유로(F10)를 이동하게 된다.Inside the connection passage (F10), a heating unit 3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ehumidifying unit 330 and the blowing unit 310. The heating unit 3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module housing 200. Based on the direction of air movement inside the module housing 200, the blowing unit 310, the heating unit 320, and the dehumidifying unit 330 may be arranged in that order. That is, the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203 of the module housing 200 passes through the blowing unit 310, the heating unit 320, and the dehumidifying unit 330 in that order and moves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F10).

가열부(320)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의 모듈챔버(210)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이루어진다. The heating unit 320 is configured to heat the air in the module chamber 210 inside the module housing 200.

가열부(320)는 제습부(330)를 가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ting unit 320 may heat the dehumidifying unit 330.

송풍부(310)의 작동에 의하여 가열부(3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제습부(330)로 바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제습부(330)가 가열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가열부(320)는 제습부(330)와 인접하여 모듈하우징(200) 내부에 배치된다. 특히,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공기의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가열부(320)는 제습부(330)와 인접하여 모듈하우징(200) 내부에 배치된다.By operating the blower 310, the air heated by the heating unit 320 moves directly to the dehumidifying unit 330, and thus the dehumidifying unit 330 can be heated. For this purpose, the heating unit 320 is disposed inside the module housing 200 adjacent to the dehumidifying unit 330. In particular, the heating unit 320 is disposed inside the module housing 200 adjacent to the dehumidifying unit 330 based on the air movement path inside the module housing 200.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에서, 가열부(320)가 선택적으로 가열됨으로써, 제습제에 의한 제습 또는 제습제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Inside the module housing 200, the heating unit 320 is selectively heated, so that dehumidification or regeneration of the dehumidifier can be achieved.

가열부(320)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거나 제습부(330)에 열을 공급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장치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부(320)는 전기 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eating unit 320 may be made of various devices and structures within the range of heating the air inside the module housing 200 or supplying heat to the dehumidifying unit 330. The heating unit 320 may be made of an electric hea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풍부(310), 가열부(320), 제습부(330) 및 모듈하우징(200)은 하나의 셋트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셋트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상기 셋트는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세트는 제1 관리장치(2a) 및 제2 관리장치(2b)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ing unit 310, the heating unit 320, the dehumidifying unit 330, and the module housing 200 may form one set. These sets may be provided in plural pieces. 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t may be provided in two pieces. This set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and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이러한 셋트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DM)을 이룰 수 있다.This set can form a drying module (DM) 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건조모듈(DM)은, 모듈하우징(200), 송풍부(310),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건조모듈(DM)은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 각각에 구비된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ing module (DM) may include a module housing 200, a blowing unit 310, a heating unit 320, and a dehumidifying unit 330. And the drying module (DM) is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and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DM)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rying modules (DM)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DM)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DM)이 한 쌍으로 구비될 때, 어느 하나의 건조모듈(DM)은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로서 '건조모듈 A(DM1)'를 이루고, 다른 하나의 건조모듈(DM)은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로서 '건조모듈 B(DM2)'를 이룰 수 있다. 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ing modules (DM) may be provided as a pair. When a pair of drying modules (DM) is provided in the shoe management device (1), one drying module (DM) forms a 'drying module A (DM1)' as a drying module of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The other drying module (DM) is a drying module of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and can form 'drying module B (DM2)'.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건조모듈'은,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건조모듈 A' 및 '건조모듈 B'를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drying module'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to mean 'drying module A' and 'drying module B', respectively, except in cases where it is specifically limi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 A(DM1)와 건조모듈 B(DM2)는 서로 다른 모드로 작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건조모듈 A(DM1)가 흡습모드로 작동될 때, 건조모듈 B(DM2)는 재생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반대로, 건조모듈 A(DM1)가 재생모드로 작동될 때, 건조모듈 B(DM2)는 흡습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ying module A (DM1) and drying module B (DM2) may be operated in different modes. When drying module A (DM1) operates in moisture absorption mode, drying module B (DM2) may operate in regenerative mode. Conversely, when drying module A (DM1) operates in regenerative mode, drying module B (DM2) may operate in moisture absorption mode.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흡습모드'는 제습부(330)가 공기 중의 습기를 흡착하는 경우를 의미하고, '재생모드'는 제습부(330)를 가열하여 제습부(330)에 흡착된 습기가 분리되는 경우를 의미한다.The 'moisture absorption mod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case where the dehumidifying unit 330 absorbs moisture in the air, and the 'regeneration mode' refers to a case where the dehumidifying unit 330 is heated to absorb moisture in the dehumidifying unit 330. This means separation.

건조모듈 A(DM1) 및 건조모듈 B(DM2)가 모두 흡습모드로 작동되거나, 또는 모두 재생모드로 작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both drying module A (DM1) and drying module B (DM2) can be operated in the moisture absorption mode, or both can be operated in the regenerative m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재생유로(F20)를 이루는 컨덴서(400)를 포함한다.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denser 400 that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binet 100 and forms a regeneration passage F2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스팀제너레이터(700)에서 생성된 스팀은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으로 공급되며, 이를 위하여 신발 관리기(1)는 스팀유입구(204)를 포함한다.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700 is 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101 of the inner cabinet 100, and for this purpose, the shoe care device 1 has a steam inlet 204. ) includes.

스팀유입구(204)는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으로 스팀이 공급되는 입구를 이룬다.The steam inlet 204 forms an inlet through which steam is 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101 of the inner cabinet 100.

연결유로(F10)는 흡입구(203)로부터 노즐(820)까지 연결되는 공기의 이동 통로를 이룬다. 즉, 흡입구(203)는 연결유로(F10)의 입구를 이루고, 노즐(820)은 연결유로(F10)의 출구를 이룰 수 있다.The connection passage (F10) forms an air movement path connected from the intake port (203) to the nozzle (820). That is, the suction port 203 may form the inlet of the connection passage F10, and the nozzle 820 may form the outlet of the connection passage F10.

연결유로(F10)는 변환유로(F10a) 및 건조유로(F10b)로 구분될 수 있다. 변환유로(F10a) 및 건조유로(F10b)는 순차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공기의 이동 통로를 이룬다. 연결유로(F10) 내부의 공기는 변환유로(F10a) 및 건조유로(F10b)를 순차적으로 거쳐 이동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ssage (F10) can be divided into a conversion passage (F10a) and a drying passage (F10b). The conversion passage (F10a) and the drying passage (F10b) form air movement passages sequent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air inside the connection passage (F10) can move sequentially through the conversion passage (F10a) and the drying passage (F10b).

변환유로(F10a)는 흡입구(203)와 연결되는, 연결유로(F10)의 상류 구간을 이룬다. 변환유로(F10a)는 송풍부(310),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가 위치하는 구간일 수 있다. 변환유로(F10a)는 모듈하우징(2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모듈하우징(200) 내부의 모듈챔버(210)가 변환유로(F10a)를 이룰 수 있다.The conversion passage (F10a) is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203 and forms an upstream section of the connection passage (F10). The conversion passage F10a may be a section where the blowing unit 310, the heating unit 320, and the dehumidifying unit 330 are located. The conversion passage F10a may be formed by the module housing 200, and the module chamber 210 inside the module housing 200 may form the conversion passage F10a.

변환유로(F10a)는 다습한 공기가 이동하면서 건조되는 구간일 수 있다. 변환유로(F10a)는 제습부(330)에 의한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는 구간일 수 있다.The conversion passage (F10a) may be a section where humid air moves and dries. The conversion passage F10a may be a section in which air is dehumidified by the dehumidifier 330.

한편, 변환유로(F10a)는 제습부(330)의 재생이 이루어지는 구간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nversion passage F10a may be a section in which regeneration of the dehumidification unit 330 is performed.

건조유로(F10b)는, 변환유로(F10a)와 노즐(820)을 연결하는, 연결유로(F10)의 하류 구간을 이룬다. 건조공기덕트(370), 노즐덕트(810) 및 노즐(820)이 형성하는 유로가 건조유로(F10b)를 이룰 수 있다.The drying passage (F10b) forms a downstream section of the connection passage (F10) connecting the conversion passage (F10a) and the nozzle 820. The flow path formed by the dry air duct 370, the nozzle duct 810, and the nozzle 820 may form a dry flow path (F10b).

건조유로(F10b)는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공기가 이동하는 구간일 수 있다.The drying passage (F10b) may be a section through which dry air from which moisture has been removed moves.

건조모듈(DM)이 흡습모드로 작동할 때 건조유로(F10b)는 변환유로(F10a)와 연통되고, 건조모듈(DM)이 재생모드로 작동할 때 건조유로(F10b)는 변환유로(F10a)와 연통되지 않고 건조유로(F10b)와 변환유로(F10a)는 서로 차단될 수 있다.When the drying module (DM) operates in moisture absorption mode, the drying passage (F10b) communicates with the conversion passage (F10a), and when the drying module (DM) operates in regeneration mode, the drying passage (F10b) communicates with the conversion passage (F10a). The drying passage (F10b) and the conversion passage (F10a) may be blocked from each other without being in communication with.

따라서, 변환유로(F10a)에서 제습부(330)에 의한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면, 건조된 공기가 건조유로(F10b)를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air is dehumidified by the dehumidifying unit 330 in the conversion passage F10a, the dried air moves through the drying passage F10b.

상술한 바와 같이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의 습한 공기는 변환유로(F10a)로 유입된 후 제습부(330)에 의해 제습되어 건조한 공기로 전환되며 건조한 공기가 건조유로(F10b)를 통하여 다시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으로 재공급될 수 있으며, 공기가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과 연결유로(F10)를 순환하면서 건조가 이루어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moist air in the receiving space 101 of the inner cabinet 100 flows into the conversion passage (F10a) and is then dehumidified by the dehumidifier 330 and converted into dry air, and the dry air flows into the dry passage (F10b). It can be re-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101 of the inner cabinet 100, and drying occurs as the air circulate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101 of the inner cabinet 100 and the connection passage (F10).

재생유로(F20)는 유체(流體)의 이동통로를 이룬다.The regeneration passage (F20) forms a passage for fluid.

재생유로(F20)는, 신발 관리기(1) 내부의 공기 및/또는 응축수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The regeneration passage F20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and/or condensate inside the shoe care machine 1 moves.

재생유로(F20)는, 제습부(330)의 제습제의 재생시, 제습부(330)를 거친 공기 및/또는 응축된 물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재생유로(F20)는, 그 전부 또는 일부가 파이프, 호스, 튜브, 덕트, 하우징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generation passage F20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and/or condensed wate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unit 330 moves when the dehumidifying agent of the dehumidifying unit 330 is regenerated. The regeneration flow path F20 may be formed in whole or in part in the form of a pipe, hose, tube, duct, housing, or a combination thereof.

제습제(331)의 재생 과정에서 발생된 수분은, 건조공기가 이동하는 유로인 건조유로(F10b)와 분리된 별도의 유로를 통해 배출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재생유로(F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습제의 재생 시에는 제습부(330)를 통과한 공기가 노즐(820)로 송풍되지 않고 재생유로(F20)를 통하여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Moisture generated during the regeneration process of the dehumidifier 331 needs to be discharged through a separate flow path separate from the drying flow path F10b, which is a flow path through which dry air moves. Accordingly,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generation passage F20, and when the dehumidifier is regenerate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ier 330 is not blown to the nozzle 820. It is made to move through the regeneration passage (F20).

재생유로(F20)는 연결유로(F10)에서 분기되는 유로이다. 재생유로(F20)는 연결유로(F10)의 건조유로(F10b)와 다른 경로를 이루도록 연결유로(F10)에서 분기될 수 있다. 재생유로(F20)는 섬프(600)로 이어진다.The regeneration flow path (F20) is a flow path that branches off from the connection flow path (F10). The regeneration passage (F20) may branch from the connection passage (F10) to form a different path from the drying passage (F10b) of the connection passage (F10). The regeneration passage (F20) leads to the sump (600).

섬프(600)는 그 내부에 물이 저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섬프(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저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mp 600 is configured to store water therein. The sump 600 may be configured to stor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재생유로(F20)는, 변환유로(F10a)와 섬프(600)를 연결하는 구간일 수 있다.The regeneration passage (F20) may be a section connecting the conversion passage (F10a) and the sump (600).

재생유로(F20)는 제습부(330)에서 분리된 습한 공기가 이동하는 구간일 수 있다.The regeneration passage (F20) may be a section through which the moist air separated from the dehumidifying unit 330 mov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덴서(400)는 재생유로(F20)를 이룬다. 제습제(331)로부터 분리된 수분은 재생유로(F2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와 함께 컨덴서(400)로 이동한 후 응축될 수 있다. 그리고, 컨덴서(400)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재생유로(F20)를 통해 섬프(600)로 이동하여 섬프(600)의 하부에서 집수된 후, 배수통(70)으로 배출되거나 외부로 배출되거나 스팀제너레이터(700) 등으로 압송될 수 있다.The condenser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regeneration passage (F20). The moisture separated from the dehumidifier 331 may move to the condenser 400 together with the air moving along the regeneration passage (F20) and then condense. In addition, 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in the condenser 400 moves to the sump 600 through the regeneration passage (F20), is collect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mp 600, and is then discharged to the sump 70, to the outside, or to the steam generator. It can be transported to (700), etc.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DM)이 재생모드로 작동할 때 재생유로(F20)는 변환유로(F10a)와 연통되고, 건조모듈(DM)이 흡습모드로 작동할 때 재생유로(F20)는 변환유로(F10a)와 연통되지 않고 재생유로(F20)와 변환유로(F10a)는 서로 차단될 수 있다.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ying module (DM) operates in the regeneration mode, the regeneration passage (F20) communicates with the conversion passage (F10a), and the drying module (DM) operates in the moisture absorption mode. When operating, the regeneration passage (F20)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conversion passage (F10a), and the regeneration passage (F20) and the conversion passage (F10a) may be blocked from each other.

따라서, 변환유로(F10a)에서 제습부(330)의 재생이 이루어지면, 제습부(330)에서 분리된 습기를 포함하는 습한 공기가 재생유로(F20)를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regeneration of the dehumidification unit 330 is performed in the conversion passage F10a, humid air containing moisture separated from the dehumidification unit 330 moves through the regeneration passage F2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댐퍼(350)는 댐퍼 밸브(damper valve)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mper 350 may be in the form of a damper valve.

댐퍼(350)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제습제를 거친 공기의 이동경로를 제어한다. 댐퍼(350)의 작동에 따라 제습제를 거친 공기는, 노즐(820)을 통하여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이동할 수 있고, 또는, 재생유로(F20)로 이동할 수 있다.The damper 350 controls the movement path of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ehumidifier inside the module housing 200.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damper 350,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ehumidifier may move into the inner cabinet 100 through the nozzle 820, or may move into the regeneration passage F20.

댐퍼(350)는, 건조유로(F10b)를 차단하면서 재생유로(F20)를 개방하거나, 또는 재생유로(F20)를 차단하면서 건조유로(F10b)를 개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damper 350 may be configured to open the regeneration passage (F20) while blocking the drying passage (F10b), or to open the drying passage (F10b) while blocking the regeneration passage (F20).

도 8을 참조하면,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에서는 변환유로(F10a)가 건조유로(F10b)와 연통되되 재생유로(F20)와 연통되지 않도록 댐퍼(350)가 작동하고,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에서는 변환유로(F10a)가 재생유로(F20)와 연통되되 건조유로(F10b)와 연통되지 않도록 댐퍼(350)가 작동할 수 있고, 이 경우, 제1 관리장치(2a)의 변환유로(F10a)에서 공기는 건조유로(F10b)를 따라 흐르고, 제2 관리장치(2b)의 변환유로(F10a)에서 공기는 재생유로(F20)를 따라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는 흡습모드로 작동하고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는 재생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the drying module A (DM1) of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the damper 350 operates so that the conversion passage (F10a) communicates with the drying passage (F10b) but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regeneration passage (F20). In the drying module B (DM2) of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the damper 350 may be operated so that the conversion passage (F10a) communicates with the regeneration passage (F20) but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drying passage (F10b), In this case, the air in the conversion passage (F10a) of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flows along the drying passage (F10b), and the air in the conversion passage (F10a) of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flows through the regeneration passage (F20). It can flow along. And at this time, drying module A (DM1) of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may operate in the moisture absorption mode and drying module B (DM2) of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may operate in the regeneration mode.

반대로,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에서 변환유로(F10a)가 재생유로(F20)와 연통되되 건조유로(F10b)와 연통되지 않도록 댐퍼(350)가 작동하고,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에서 변환유로(F10a)가 건조유로(F10b)와 연통되되 재생유로(F20)와 연통되지 않도록 댐퍼(350)가 작동할 수 있고, 이 경우, 제1 관리장치(2a)의 변환유로(F10a)에서 공기는 재생유로(F20)를 따라 흐르고, 제2 관리장치(2b)의 변환유로(F10a)에서 공기는 건조유로(F10b)를 따라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는 재생모드로 작동하고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는 흡습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Conversely, in the drying module A (DM1) of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the damper 350 operates so that the conversion passage (F10a) communicates with the regeneration passage (F20) but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drying passage (F10b), and the second In the drying module B (DM2) of the management device (2b), the damper 350 may be operated so that the conversion passage (F10a) communicates with the drying passage (F10b) but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regeneration passage (F20). In this case, 1 In the conversion passage (F10a) of the management device (2a), air flows along the regeneration passage (F20), and in the conversion passage (F10a) of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air may flow along the drying passage (F10b). . And at this time, drying module A (DM1) of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may operate in a regenerative mode and drying module B (DM2) of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may operate in a moisture absorption mode.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 및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 모두에서, 변환유로(F10a)가 건조유로(F10b)와 연통되되 재생유로(F20)와 연통되지 않도록 댐퍼(350)가 작동하는 경우, 건조모듈 A(DM1) 및 건조모듈 B(DM2)는 모두 흡습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In both the drying module A (DM1) of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and the drying module B (DM2) of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the conversion passage (F10a)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rying passage (F10b) and the regeneration passage (F20). ), both drying module A (DM1) and drying module B (DM2) can operate in moisture absorption mode.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 및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 모두에서, 변환유로(F10a)가 재생유로(F20)와 연통되되 건조유로(F10b)와 연통되지 않도록 댐퍼(350)가 작동하는 경우, 건조모듈 A(DM1) 및 건조모듈 B(DM2)는 모두 재생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In both the drying module A (DM1) of the first management device (2a) and the drying module B (DM2) of the second management device (2b), the conversion passage (F10a)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egeneration passage (F20) and the drying passage (F10b) ), both drying module A (DM1) and drying module B (DM2) can operate in regenerative mod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를 도시한 배면도이다.Figure 9 is a rear view showing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서 건조공기덕트(370)는 이너캐비닛(100)에서 분리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0, the dry air duct 370 is shown separated from the inner cabinet 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모듈하우징(200)과 이너캐비닛(100)을 서로 연통되게 연결하는 건조공기덕트(370)를 포함한다.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y air duct 370 that connects the module housing 200 and the inner cabinet 100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건조공기덕트(370)는 연결유로(F10)의 일부를 이룬다.The dry air duct 370 forms part of the connection passage (F10).

건조공기덕트(370)는 이너캐비닛(100)의 외측 벽면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고, 노즐덕트(810)는 이너캐비닛(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dry air duct 37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inner cabinet 100, and the nozzle duct 8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inner cabinet 100.

일 실시예에서, 건조공기덕트(370)는 그 자체로 덕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건조공기덕트(370)는, 이너캐비닛(100)의 외측면과 함께 연결유로(F10)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후자의 경우, 건조공기덕트(370)는 이너캐비닛(100)의 외측면과 결합되는 쪽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건조공기덕트(370)가 이너캐비닛(100)의 외측면에 결합되면서 비로소 덕트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후자의 경우, 건조공기덕트(370) 자체의 제조가 용이하며(예컨대, 건조공기덕트(370)의 사출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짐), 다만, 건조공기덕트(370)와 이너캐비닛(100) 간의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자간의 결합이 중요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In one embodiment, the dry air duct 370 may itself be in the form of a duct. In another embodiment, the dry air duct 370 may form part of the connection passage F10 together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binet 100. In the latter case, the dry air duct 370 is formed in an open form on the sid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binet 100, and the dry air duct 37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binet 100. It can take the form of a duct. In the latter case, the dry air duct 370 itself is easy to manufacture (e.g., injection molding of the dry air duct 370 is easily performed), but there is a need for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dry air duct 370 and the inner cabinet 100. Coupling between the two is important so that contact can be achieved, and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with this in mind.

건조공기덕트(370)가 이너캐비닛(100)의 외측면(이너캐비닛(100)의 내부뒷판(110)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면서, 건조공기덕트(370)와 이너캐비닛(100)(이너캐비닛(100)의 내부뒷판(110)) 사이에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유로가 건조유로(F10b)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건조공기덕트(370)는 그 하측 부분이 모듈하우징(200)의 출구와 연통되고 그 상측 부분이 노즐덕트(810)와 연통되며,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와 노즐덕트(810)의 내부를 서로 연통되게 연결한다. As the dry air duct 370 is tight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binet 100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ack plate 110 of the inner cabinet 100), the dry air duct 370 and the inner cabinet 100 ( A flow path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back plate 110 of the inner cabinet 100, and this flow path may form part of the drying flow path F10b. The dry air duct 370 has its lower part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of the module housing 200 and its upper part communicating with the nozzle duct 810, and connects the inside of the module housing 200 and the inside of the nozzle duct 810. connect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이너캐비닛(100)의 내부측판(120)과 외부캐비닛(20)의 외부측판(22)의 사이에 컨덴서(400)가 배치되고,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뒷판(110)과 외부캐비닛(20)의 외부뒷판(21) 사이에 건조공기덕트(370)가 배치될 수 있다.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enser 400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side plate 120 of the inner cabinet 100 and the outer side plate 22 of the outer cabinet 20, and A dry air duct 37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back plate 110 of 100 and the outer back plate 21 of the outer cabinet 20.

모듈하우징(200)에서 흡입구(203)는 제1 방향(X)의 앞쪽에서 형성되고, 건조공기덕트(370)는 제1 방향(X)의 뒤쪽에서 모듈하우징(200)과 이너캐비닛(100)을 서로 연통되게 연결한다. 따라서, 모듈하우징(200)을 이너캐비닛(100)에 먼저 결합 후 건조공기덕트(370)를 이너캐비닛(100) 및 모듈하우징(200)에 결합할 수 있고, 공기가 이너캐비닛(100)의 내부와 모듈하우징(200)의 내부를 순환할 수 있는 구조의 신발 관리기(1)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In the module housing 200, the intake port 203 is formed at the front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dry air duct 370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module housing 200 and the inner cabinet 100 in the first direction (X). Connect them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module housing 200 can be first coupled to the inner cabinet 100, and then the dry air duct 370 can be coupled to the inner cabinet 100 and the module housing 200, and the air can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binet 100. It is possible to easily form a shoe manager (1) with a structure that can circulate inside the module housing (200).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b는 도 11a에서 건조공기덕트(370)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1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rtion of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B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dry air duct 370 removed from FIG. 11A.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9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신발 관리기(1)에서 노즐덕트(810)가 힌지회전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along line B-B' of FIG. 9. FIG. 12B is a diagram showing the hinged rotation of the nozzle duct 810 in the shoe care machine 1 of FIG. 12A.

이너캐비닛(100)은 일측에서 관통된 덕트홀(111)을 구비한다. 덕트홀(111)은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뒷판(110)에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cabinet 100 has a duct hole 111 penetrated from one side. The duct hole 111 may be formed in the inner back plate 110 of the inner cabinet 100.

노즐덕트(810)는 그 일측 단부가 덕트홀(111)에 위치하면서 이너캐비닛(100)에 결합될 수 있다. 노즐덕트(810)는 강제 송풍되는 공기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nozzle duct 81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cabinet 100 with one end located in the duct hole 111. The nozzle duct 810 may form a passage for forcefully blown air.

건조공기덕트(370)는 덕트홀(111)을 차폐하면서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뒷판(110) 외측면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건조공기덕트(370)와 노즐덕트(810)가 서로 연통된다.The dry air duct 37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ack plate 110 of the inner cabinet 100 while shielding the duct hole 111, and thus the dry air duct 370 and the nozzle duct 81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노즐덕트(810)는 이너캐비닛(10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노즐덕트(810)의 일단에 형성된 노즐덕트힌지축(813)이 이너캐비닛(100)에 결합되어, 노즐덕트(810)가 노즐덕트힌지축(813)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duct 810 may be hinged to the inner cabinet 100. That is,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formed at one end of the nozzle duct 810 is coupled to the inner cabinet 100, so that the nozzle duct 810 can rotate around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에 노즐덕트(810)가 힌지 결합되므로, 필요에 따라 이너캐비닛(100)에 대하여 노즐덕트(810)를 힌지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nozzle duct 810 is hinged to the inner cabinet 100, so the nozzle duct 810 is hinged and rotated with respect to the inner cabinet 100 as needed to adjust the angle. can be adjuste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는, 노즐덕트(810) 및 노즐(8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노즐(820)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의 위치 및 방향을 각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형태 및 소재로 이루어진 각 신발의 특성에 맞는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s of the nozzle duct 810 and the nozzle 820 can be adjusted, and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air sprayed through the nozzle 820 can be adjusted in each situation. Since it can be adjusted accordingly, management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hoe made of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노즐덕트(810)는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뒷판(110)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duct 810 may be install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inner back plate 110 of the inner cabinet 100.

따라서, 노즐(820)의 사용 여부에 따라, 노즐덕트(810)가 이너캐비닛(100) 내부에서 힌지 회전하며 각도가 조절되어 이너캐비닛(100)의 내부 공간 상의 다양한 위치에 노즐(820)을 배치시킬 수 있다.Therefore, depending on whether the nozzle 820 is used, the nozzle duct 810 hinges and rotates inside the inner cabinet 100 and the angle is adjusted to place the nozzle 820 at various positions in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cabinet 100. You can do it.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의 후방벽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노즐덕트(810)가 설치되므로, 이너캐비닛(100)의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As such,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effectively utilize the internal space of the inner cabinet 100 because the nozzle duct 810 is installed from the rear wall of the inner cabinet 100 toward the front.

노즐(820)은 공기가 토출되는 부분으로서 노즐덕트(810)의 타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노즐덕트(810)는 강제 송풍된 공기가 노즐(820)로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The nozzle 820 is a par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nozzle duct 810. Therefore, the nozzle duct 810 may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forcedly blown air moves to the nozzle 820.

노즐(820)은 신발로 공기를 분사하는 구성이다. The nozzle 820 is configured to spray air into the shoe.

노즐(820)은 이너캐비닛(100)의 내부에서 신발에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연결유로(F10)를 거친 공기는 노즐(820)을 통하여 이너캐비닛(100) 내부에서 신발로 분사될 수 있다.The nozzle 820 is made to be insertable into a shoe from inside the inner cabinet 100. Accordingly,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F10) may be sprayed from the inside of the inner cabinet 100 to the shoes through the nozzle 820.

노즐덕트(810)의 각도를 조정하면, 노즐(820)의 적어도 일부는 신발 안쪽에 삽입될 수 있다. 노즐(820)이 분사한 공기는 수용공간(101) 내에서 신발의 안쪽으로 분사될 수 있다.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nozzle duct 810, at least a portion of the nozzle 820 can be inserted into the shoe. The air sprayed by the nozzle 820 may be sprayed into the inside of the shoe within the receiving space 101.

노즐(820)이 신발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기가 분사됨으로써, 신발의 내부로 공기가 원활하게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By spraying air while the nozzle 820 is inserted into the shoe, air can be smoothly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shoe.

노즐(820)은 노즐덕트(81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노즐(820)은 노즐덕트(810)의 타단에 형성된 노즐힌지축(825)에 결합되어, 노즐(820)이 노즐힌지축(825)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nozzle 820 may be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nozzle duct 810. That is, the nozzle 820 is coupled to the nozzle hinge axis 825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nozzle duct 810, so that the nozzle 820 can rotate around the nozzle hinge axis 825.

노즐(820)은 노즐몸체부(822) 및 노즐돌출부(82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nozzle 820 may include a nozzle body portion 822 and a nozzle protrusion portion 823.

노즐몸체부(822)는 노즐덕트(8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노즐몸체부(822)는 노즐덕트(810)의 타단에 형성된 노즐힌지축(825)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820)은 노즐힌지축(825)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nozzle body portion 822 may be hinged to the nozzle duct 810. That is, the nozzle body portion 822 may be coupled to the nozzle hinge shaft 825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nozzle duct 810. Therefore, the nozzle 820 can be rotated about the nozzle hinge axis 825.

노즐돌출부(823)는 노즐몸체부(822)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노즐돌출부(823)는 아래쪽 단부에 하부토출구(821)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820)은 노즐돌출부(823)의 하부 일부가 신발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토출구(821)를 통해 하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The nozzle protrusion 823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nozzle body 822. The nozzle protrusion 823 may have a lower discharge port 821 formed at its lower end. The nozzle 820 may spray air downward through the lower discharge port 821 while the lower part of the nozzle protrusion 823 is inserted into the shoe.

노즐몸체부(822)에 노즐손잡이(826)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손잡이(826)는 노즐몸체부(822)의 제1 방향(X) 앞쪽 면에서 제1 방향(X)으로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노즐손잡이(826)를 잡고 힘을 가하여 노즐덕트(8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A nozzle handle 826 may be formed on the nozzle body portion 822. The nozzle handle 826 may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nozzle body 822 in the first direction (X). The user can adjust the angle of the nozzle duct 810 by holding the nozzle handle 826 and applying force.

노즐손잡이(826)는 기준면(RP)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노즐손잡이(826)는 수용공간(101)의 가운데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The nozzle handle 826 can be moved up and down on the reference surface (RP). Based on the second direction (Y), the nozzle handle 826 can be moved up and down in the center of the receiving space 10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힌지지지부(801)는 노즐덕트(810)의 노즐덕트힌지축(813)을 지지하며 이너캐비닛(100)에 고정된다. 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support portion 801 supports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of the nozzle duct 810 and is fixed to the inner cabinet 100.

힌지지지부(801)는 힌지축저항부(8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hinge support portion 801 may include a hinge axis resistance portion 814.

힌지지지부(801)는 고정볼트(8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hinge support portion 801 may include a fixing bolt 802.

힌지축저항부(814)는 노즐덕트힌지축(813)을 커버하며 이너캐비닛(100)에 결합되고, 노즐덕트힌지축(813)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축저항부(814)의 내측면과 노즐덕트힌지축(813)의 외측면이 서로 접촉하면서 양자간에 마찰력이 발생될 수 있다.The hinge axis resistance unit 814 covers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and is coupled to the inner cabinet 100, and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friction on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As the inner surface of the hinge axis resistance portion 814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contact each other, frictional force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two.

노즐덕트(810)가 힌지축저항부(814)를 통해 이너캐비닛(100)에 지지되므로, 노즐덕트(810)의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Since the nozzle duct 810 is supported on the inner cabinet 100 through the hinge axis resistance portion 814, the angle of the nozzle duct 810 can be maintained constant.

힌지축저항부(814)는 노즐덕트힌지축(813)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설치되는 부분으로, 노즐덕트힌지축(813)이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The hinge axis resistance unit 814 is a part installed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and can restrict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from rotating.

즉, 노즐덕트(8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힌지축저항부(814)에 의해 노즐덕트힌지축(813)의 회전이 제한되어 노즐덕트(810)의 각도가 유지될 수 있고, 노즐덕트(810)를 회전시키는 소정의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노즐덕트힌지축(813)이 회전하여 노즐덕트(810)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That is, in a state where no separat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rotate the nozzle duct 810, the rotation of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is limited by the hinge axis resistance unit 814, so that the angle of the nozzle duct 810 is maintained. When an external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or greater is applied to rotate the nozzle duct 810,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may rotate and the angle of the nozzle duct 810 may chang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노즐덕트(810)가 노즐덕트힌지축(813)을 통해 이너캐비닛(100)에 힌지 결합되면서, 노즐덕트(810)가 힌지축저항부(814)를 통해 이너캐비닛(100)에 지지되므로, 필요에 따라 이너캐비닛(100)에 대하여 노즐덕트(810)를 힌지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노즐덕트(810)의 각도 변경을 의도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노즐덕트(810)의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nozzle duct 810 is hinged to the inner cabinet 100 through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and the nozzle duct 810 is connected to the hinge axis resistance portion. Since it is supported on the inner cabinet 100 through 814, the angle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nozzle duct 810 with respect to the inner cabinet 100 as needed, and the angle of the nozzle duct 810 is not intended to be changed. In this state, the angle of the nozzle duct 810 can be maintained consta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힌지축저항부(814)와 노즐덕트힌지축(813) 간의 마찰력이 조절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hinge shaft resistance portion 814 and the nozzle duct hinge shaft 813 can be adjusted.

이를 위하여 일 실시예에서, 힌지축저항부(814)는 제1 힌지축저항부(814a)와 제2 힌지축저항부(814b)로 구분될 수 있고, 신발 관리기(1)는 제1 힌지축저항부(814a)와 제2 힌지축저항부(814b)의 결합을 조절할 수 있는 고정볼트(8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o this end, in one embodiment, the hinge axis resistance unit 814 may be divided into a first hinge axis resistance unit 814a and a second hinge axis resistance unit 814b, and the shoe manager 1 has a first hinge axis It may include a fixing bolt 802 that can adjust the combination of the resistance portion 814a and the second hinge axis resistance portion 814b.

한편, 이너캐비닛(100)의 외측면에는 고정볼트(802)가 결합되는 제1 보스(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스(112)는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뒷판(110)의 외측면에서 돌출형성되고, 고정볼트(802)가 제1 보스(11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a first boss 112 to which a fixing bolt 802 is coupled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binet 100. The first boss 112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ack plate 110 of the inner cabinet 100, and a fixing bolt 802 can be screwed to the first boss 112.

제1 힌지축저항부(814a)와 제2 힌지축저항부(814b) 사이에 노즐덕트힌지축(813)이 개재되고, 고정볼트(802)가 제1 힌지축저항부(814a)와 제2 힌지축저항부(814b)를 관통하며 나사결합되며, 또한 이너캐비닛(100)의 제1 보스(112)에 나사결합된다. 고정볼트(802)의 회전정도에 따라 제1 힌지축저항부(814a)와 제2 힌지축저항부(814b)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고, 또는 제1 힌지축저항부(814a)와 제2 힌지축저항부(814b)의 밀착된 정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즐덕트힌지축(813)과 힌지축저항부(814)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이 조절될 수 있다.The nozzle duct hinge shaft 813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hinge shaft resistance portion 814a and the second hinge shaft resistance portion 814b, and the fixing bolt 802 is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shaft resistance portion 814a and the second hinge shaft resistance portion 814b. It is screwed through the hinge axis resistance portion 814b and is also screwed to the first boss 112 of the inner cabinet 100. Depending on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xing bolt 802,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hinge shaft resistance portion 814a and the second hinge shaft resistance portion 814b may be adjusted, or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hinge shaft resistance portion 814a and the second hinge shaft resistance portion 814a may be adjusted. The degree of close contact of the hinge shaft resistance portion 814b can be adjusted, and thus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nozzle duct hinge shaft 813 and the hinge shaft resistance portion 814 can be adjusted.

고정볼트(80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볼트(802)는 노즐덕트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re may be a plurality of fixing bolts 802. Fixing bolts 802 may be provid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around the nozzle duct hinge axis.

노즐덕트힌지축(813)이 회전하려 할 때, 힌지축저항부(814)에 의해 발생된 마찰력보다 작은 세기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노즐덕트힌지축(813)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When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attempts to rotate, if an external force smaller than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by the hinge axis resistance unit 814 is applied, the rotation of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may be restricted.

힌지축저항부(814)는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세탈(POM) 등과 같이 강도와 탄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inge axis resistance portion 814 may be made of a member containing an elastic material,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excellent strength and elasticity, such as acetal (POM).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노즐덕트힌지축(813)에 대하여 힌지축저항부(814)가 마찰력을 발생시키므로, 발생되는 마찰력보다 작은 세기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노즐덕트(810)의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안정적인 상태를 이룰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hinge axis resistance portion 814 generates frictional force with respect to the nozzle duct hinge shaft 813, so when an external force of less intensity than the generated friction force is applied, the nozzle The angle of the duct 810 is maintained constant to achieve a stable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노즐덕트힌지축(813)은 노즐덕트(810)의 양 측면에 대칭되게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노즐덕트힌지축(813)은 노즐덕트(81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may be installed in a pair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nozzle duct 810.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nozzle duct 810.

노즐덕트힌지축(813)은 수평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may be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노즐덕트힌지축(813)이 노즐덕트(810)의 양쪽에 각각 형성될 때, 각 노즐덕트힌지축(813)을 지지할 수 있도록 힌지지지부(801)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힌지지지부(801)는 노즐덕트힌지축(813)의 축방향에서 서로 이격된다. When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nozzle duct 810, the hinge support portion 801 is provided in pairs to support each nozzle duct hinge axis 813, and the pair of hinges The support portions 80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또한, 힌지축저항부(814)는 노즐덕트(810)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각 힌지축저항부(814)를 고정하는 고정볼트(802)가 노즐덕트(810)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inge axis resistance portion 814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nozzle duct 810, and fixing bolts 802 for fixing each hinge shaft resistance portion 814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nozzle duct 810. It can be provid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노즐덕트(810)의 양 측면에 한 쌍의 노즐덕트힌지축(813) 및 힌지지지부(801)가 설치되므로, 노즐덕트(810)의 힌지 회전 시 편심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pair of nozzle duct hinge shafts 813 and a hinge support portion 801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nozzle duct 810, so that the hinge of the nozzle duct 810 Eccentricity during rotation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노즐실링부(8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nozzle sealing unit 815.

노즐실링부(815)는 노즐덕트(810)와 이너캐비닛(100)의 결합 부분에서 노즐덕트(810)의 외주면을 감싸며 노즐덕트(810)와 이너캐비닛(100)의 사이에 개재된다.The nozzle sealing portion 815 surround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ozzle duct 810 at a joint portion between the nozzle duct 810 and the inner cabinet 100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nozzle duct 810 and the inner cabinet 100.

이러한 노즐실링부(815)는 노즐덕트(810)의 외측에서 덕트홀(111)을 밀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노즐실링부(815)의 바깥쪽 테두리 전체가 덕트홀(111)의 테두리 전체를 따라 빈틈없이 결합되고, 노즐실링부(815) 안쪽 테두리 전체가 노즐덕트(810)의 외주면에 빈틈없이 결합된다. This nozzle sealing part 815 may be formed to seal the duct hole 111 on the outside of the nozzle duct 810. The entire outer rim of the nozzle sealing portion 815 is tightly coupled along the entire rim of the duct hole 111, and the entire inner rim of the nozzle sealing portion 815 is tightly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ozzle duct 810.

노즐실링부(815)는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노즐실링부(815) 탄성고무, 실리콘 등의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nozzle sealing portion 815 may be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The nozzle sealing portion 815 may be made of materials such as elastic rubber and silic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노즐덕트(810)가 노즐실링부(815)를 통해 이너캐비닛(100)과의 관통 부분 이외의 결합면이 밀봉되므로, 이너캐비닛(100)에 대한 노즐덕트(810)의 유동성을 일정 부분 확보하면서도 연결유로(F10) 이외의 부분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surface of the nozzle duct 810 other than the penetrating portion with the inner cabinet 100 is sealed through the nozzle sealing portion 815, so that the nozzle duct 810 with respect to the inner cabinet 100 is sea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ir from leaking to parts other than the connection passage (F10) while securing a certain amount of fluidity.

상술한 바와 같이, 노즐덕트(810)는 일단이 이너캐비닛(100)을 관통하며 결합되는 경우, 이러한 결합 부위에는 기밀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nozzle duct 810 is coupled with one end penetrating the inner cabinet 100, an airtightness problem may occur at this coupling site.

특히, 노즐덕트(810)는 일단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이너캐비닛(100)에 결합된다는 점에서, 노즐덕트(810)의 힌지 회전과 간섭되지 않으면서도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In particular, since the nozzle duct 810 is coupled to the inner cabinet 100 so as to be hinged and rotatable about one end, a structure that can maintain airtightness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hinge rotation of the nozzle duct 810 is required.

이에 따라,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실링부(815)가 노즐덕트(810)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되어 노즐덕트(810)의 외주면으로 공기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1B, the nozzle sealing part 815 is coupl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ozzle duct 810 to prevent air from mov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ozzle duct 810.

또한, 노즐실링부(815)는 소정의 탄성재질을 갖는 부재로 이루어져 노즐덕트(810)의 힌지 회전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zzle sealing part 815 is made of a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material, so that interference with the hinge rotation of the nozzle duct 810 can be minimiz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노즐덕트(810)가 노즐실링부(815)를 통해 이너캐비닛(100)과의 관통 부분 이외의 결합면이 밀봉되므로, 이너캐비닛(100)에 대한 노즐덕트(810)의 유동성을 일정 부분 확보하면서도 연결유로(F10) 이외의 부분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oupling surface other than the part where the nozzle duct 810 penetrates the inner cabinet 100 is sealed through the nozzle sealing portion 815, so the inner cabinet 100 ) It is possible to prevent air from leaking to parts other than the connection passage (F10) while securing a certain degree of fluidity of the nozzle duct 810.

한편, 노즐덕트(810)의 힌지 회전 시 노즐실링부(815)가 탄성복원력을 통해 노즐덕트(810)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덕트(810)가 수평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힘이 노즐실링부(815)에 의해 노즐덕트(810)에 가해질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hinge of the nozzle duct 810 rotates, the nozzle sealing unit 815 may pressurize the nozzle duct 810 through elastic restoring force. Accordingly, a force to return the nozzle duct 810 to a horizontal state may be applied to the nozzle duct 810 by the nozzle sealing unit 815.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축저항부(814)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이 상기의 노즐실링부(815)가 탄성복원력보다 큰 경우에는 노즐덕트(810)가 수평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고 현재의 각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by the hinge axis resistance portion 814 is greater than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nozzle sealing portion 815, the nozzle duct 810 does not return to the horizontal state and returns to its current angular state. can be maintai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1 덕트고정부(3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uct fixing part 375.

제1 덕트고정부(375)는 건조공기덕트(370)를 이너캐비닛(100)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제1 덕트고정부(375)는 건조공기덕트(370)를 이너캐비닛(1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덕트고정부(375)는 리벳, 클립 등과 같은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덕트고정부(375)는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덕트고정부(375)가 볼트로 이루어질 때, 건조공기덕트(370)를 이너캐비닛(10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또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The first duct fixing part 375 is configured to fix the dry air duct 370 to the inner cabinet 100. The first duct fixing part 375 may be formed by various means within the range of fixing the dry air duct 370 to the inner cabinet 100. The first duct fixing part 375 may be made of means such as rivets, clips, etc. The first duct fixing part 375 may be made of a bolt. When the first duct fixing part 375 is made of a bolt, the dry air duct 370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inner cabinet 100 and can also be easily separated.

제1 덕트고정부(375)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노즐덕트힌지축(813)의 양 단부에 인접하여 각각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duct fixing parts 375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position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respectively.

제1 덕트고정부(375)와의 결합을 위하여 건조공기덕트(370)에는 제1 덕트체결홀(37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덕트체결홀(371)은 건조공기덕트(370)를 관통하는 구멍이며, 제1 덕트고정부(375)는 제1 덕트체결홀(371)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고 또한 이너캐비닛(10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A first duct fastening hole 371 may be formed in the dry air duct 370 for coupling to the first duct fixing part 375. The first duct fastening hole 371 is a hole that penetrates the dry air duct 370, and the first duct fixing part 375 is inserted into the first duct fastening hole 371 and screwed to the inner cabinet 100. Can be screwed to.

제1 덕트고정부(375) 및 제1 덕트체결홀(371)은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duct fixing portion 375 and the first duct fastening hole 371 may each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제1 덕트고정부(375) 및 제1 덕트체결홀(371)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노즐덕트힌지축(813)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The first duct fixing portion 375 and the first duct fastening hole 371 may each be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제1 덕트고정부(375)는 힌지지지부(801)와 인접한 지점에서 건조공기덕트(370)를 이너캐비닛(100)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The first duct fixing part 375 is configured to fix the dry air duct 370 to the inner cabinet 100 at a point adjacent to the hinge support part 801.

힌지지지부(801) 및 제1 덕트고정부(375)가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힌지지지부(801) 및 제1 덕트고정부(375)는 서로 쌍을 이루면서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hinge support part 801 and the first duct fixing part 375 may each be provided in plural pieces, and the hinge support part 801 and the first duct fixing part 375 may be provided in pairs and adjacent to each other.

이너캐비닛(100)의 외측면에는 제1 덕트고정부(375)가 결합되는 제2 보스(1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스(113)는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뒷판(110)의 외측면에서 돌출형성되고, 제1 덕트고정부(375)가 제2 보스(113)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A second boss 113 to which the first duct fixing part 375 is coupled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binet 100. The second boss 113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ack plate 110 of the inner cabinet 100, and the first duct fixing part 375 can be screwed to the second boss 113.

제2 보스(113)는 제1 보스(112)와 인접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스(113)는 제1 보스(112)의 바로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oss 113 may be formed at a point adjacent to the first boss 112. The second boss 113 may be formed immediately below the first boss 112.

제1 덕트고정부(375)는, 한 쌍의 힌지지지부(801) 간의 이격거리(HD)보다 짧게 어느 하나의 힌지지지부(801)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건조공기덕트(370)를 이너캐비닛(100)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duct fixing part 375 connects the dry air duct 370 to the inner cabinet 100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one hinge support part 801 shor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HD) between the pair of hinge support parts 801. ) can be fixed to.

제1 덕트고정부(375)는, 건조공기덕트(370)의 테두리의 바로 내측에서 건조공기덕트(370)를 이너캐비닛(100)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건조공기덕트(370)의 테두리의 바로 내측에 제1 덕트체결홀(371)이 형성된다.The first duct fixing part 375 may be configured to fix the dry air duct 370 to the inner cabinet 100 just inside the edge of the dry air duct 370. For this purpose, a first duct fastening hole 371 is formed just inside the edge of the dry air duct 370.

제1 덕트고정부(375)는 덕트홀(111)의 테두리와 건조공기덕트(370)의 테두리의 사이에서 건조공기덕트(370)를 이너캐비닛(100)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보스(113)는 이너캐비닛(100)의 덕트홀(111)의 테두리와 건조공기덕트(370)의 테두리의 사이의 지점에서 돌출형성된다.The first duct fixing part 375 may be configured to fix the dry air duct 370 to the inner cabinet 100 between the edge of the duct hole 111 and the edge of the dry air duct 370. For this purpose, the second boss 113 is formed to protrude at a point between the edge of the duct hole 111 of the inner cabinet 100 and the edge of the dry air duct 370.

건조공기덕트(370)의 내부의 공기가 상측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건조공기덕트(370)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dry air duct 370 may b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air inside the dry air duct 370 moves upward.

신발 관리기(1)는 제2 덕트고정부(376) 및 제3 덕트고정부(37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e manager 1 may include a second duct fixing unit 376 and a third duct fixing unit 377.

제2 덕트고정부(376) 및 제3 덕트고정부(377)는 각각 건조공기덕트(370)를 이너캐비닛(100)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The second duct fixing part 376 and the third duct fixing part 377 are respectively configured to fix the dry air duct 370 to the inner cabinet 100.

제2 덕트고정부(376) 및 제3 덕트고정부(377)는 건조공기덕트(370)를 이너캐비닛(100)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제2 덕트고정부(376) 및 제3 덕트고정부(377)는 건조공기덕트(370)를 이너캐비닛(1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덕트고정부(376) 및 제3 덕트고정부(377)는 리벳, 클립 등과 같은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덕트고정부(376) 및 제3 덕트고정부(377)는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덕트고정부(376) 및 제3 덕트고정부(377)가 볼트로 이루어질 때, 건조공기덕트(370)를 이너캐비닛(10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또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The second duct fixing part 376 and the third duct fixing part 377 are configured to fix the dry air duct 370 to the inner cabinet 100. The second duct fixing part 376 and the third duct fixing part 377 may be formed by various means within the range of fixing the dry air duct 370 to the inner cabinet 100. The second duct fixing part 376 and the third duct fixing part 377 may be made of means such as rivets, clips, etc. The second duct fixing part 376 and the third duct fixing part 377 may be made of bolts. When the second duct fixing part 376 and the third duct fixing part 377 are made of bolts, the dry air duct 370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inner cabinet 100 and can also be easily separated. .

제2 덕트고정부(376)와의 결합을 위하여 건조공기덕트(370)에는 제2 덕트체결홀(37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덕트체결홀(372)은 건조공기덕트(370)를 관통하는 구멍이며, 제2 덕트고정부(376)는 제2 덕트체결홀(372)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고 또한 이너캐비닛(10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A second duct fastening hole 372 may be formed in the dry air duct 370 for coupling to the second duct fixing part 376. The second duct fastening hole 372 is a hole that penetrates the dry air duct 370, and the second duct fixing part 376 is inserted into the second duct fastening hole 372 and screwed to the inner cabinet 100. Can be screwed to.

제2 덕트고정부(376) 및 제2 덕트체결홀(372)은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duct fixing portion 376 and the second duct fastening hole 372 may each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제2 덕트체결홀(372)은 건조공기덕트(370)의 테두리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duct fastening hole 372 may be formed outside the edge of the dry air duct 370.

제2 덕트고정부(376)는 연결유로에서 제1 덕트고정부(375)보다 상류쪽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덕트고정부(376)는 제1 덕트고정부(375)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duct fixing part 376 may be located upstream of the first duct fixing part 375 in the connection passage. The second duct fixing part 376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first duct fixing part 375.

제3 덕트고정부(377)와의 결합을 위하여 건조공기덕트(370)에는 제3 덕트체결홀(373)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덕트체결홀(373)은 건조공기덕트(370)를 관통하는 구멍이며, 제3 덕트고정부(377)는 제3 덕트체결홀(373)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고 또한 이너캐비닛(10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A third duct fastening hole 373 may be formed in the dry air duct 370 for coupling to the third duct fixing part 377. The third duct fastening hole 373 is a hole that penetrates the dry air duct 370, and the third duct fixing part 377 is inserted into and screwed into the third duct fastening hole 373 and is also connected to the inner cabinet 100. Can be screwed to.

제3 덕트고정부(377) 및 제3 덕트체결홀(373)은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duct fixing portion 377 and the third duct fastening hole 373 may each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제3 덕트체결홀(373)은 건조공기덕트(370)의 테두리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duct fastening hole 373 may be formed outside the edge of the dry air duct 370.

제3 덕트고정부(377)는 제1 덕트고정부(375)를 기준으로 제2 덕트고정부(376)의 반대쪽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덕트고정부(377)는 제1 덕트고정부(375)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third duct fixing part 377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duct fixing part 376 with respect to the first duct fixing part 375. The third duct fixing part 377 may be located above the first duct fixing part 375.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덕트고정부(375)는 외부캐비닛(20), 건조공기덕트(370) 및 이너캐비닛(100)을 함께 체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덕트고정부(375)는 신발 관리기(1)의 외측에서 외부캐비닛(20), 건조공기덕트(370) 및 이너캐비닛(100)에 나사결합되며 외부캐비닛(20), 건조공기덕트(370) 및 이너캐비닛(100)이 서로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uct fixing part 375 may be configured to fasten the external cabinet 20, the dry air duct 370, and the inner cabinet 100 together. The first duct fixing part 375 is screwed to the external cabinet 20, the dry air duct 370, and the inner cabinet 100 from the outside of the shoe care device 1, and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cabinet 20 and the dry air duct 370. ) and the inner cabinet 100 can be firmly fastened to each other.

이때, 제2 덕트고정부(376) 및 제3 덕트고정부(377)는 각각 건조공기덕트(370)가 이너캐비닛(100)에 고정되도록 건조공기덕트(370)를 체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duct fixing part 376 and the third duct fixing part 377 may respectively fasten the dry air duct 370 so that the dry air duct 370 is fixed to the inner cabinet 100.

신발 관리기(1)의 제조시, 제2 덕트고정부(376) 및 제3 덕트고정부(377)에 의하여 건조공기덕트(370)를 이너캐비닛(100)에 먼저 고정시키고, 이후 제1 덕트고정부(375)에 의하여 외부캐비닛(20), 건조공기덕트(370) 및 이너캐비닛(100)이 서로 고정되도록 조립할 수 있다.When manufacturing the shoe care machine (1), the dry air duct 370 is first fixed to the inner cabinet 100 by the second duct fixing part 376 and the third duct fixing part 377, and then the first duct is fixed to the inner cabinet 100. The outer cabinet 20, the dry air duct 370, and the inner cabinet 100 can be assembled so that they are fixed to each other by the top 37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노즐덕트(810)는 이너캐비닛(100)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노즐덕트(810)가 이너캐비닛(100)에 결합되는 지점에서 노즐덕트(810)의 작동에 의하여 이너캐비닛(100)의 움직임 또는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In the shoe care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duct 810 is hinged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cabinet 100, and the nozzle duct 810 is coupled to the inner cabinet 100 at the point where the nozzle duct 810 is coupled to the inner cabinet 100. Movement or deformation of the inner cabinet 100 may occur due to the operation of the duct 810.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이너캐비닛(100)과 건조공기덕트(370) 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노즐덕트(810)가 이너캐비닛(100)에 결합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하중이 작용하면서 이너캐비닛(100)과 건조공기덕트(370) 사이의 틈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틈을 통하여 건조공기가 누설될 수 있다.At this time, unlik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stable coupling between the inner cabinet 100 and the dry air duct 370 is not achieved, the load is centered around the point where the nozzle duct 810 is coupled to the inner cabinet 100. During operation, a gap may be created between the inner cabinet 100 and the dry air duct 370, and dry air may leak through this gap.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는, 제1 덕트고정부(375)가 힌지지지부(801)와 바로 인접한 지점에서 건조공기덕트(370)를 이너캐비닛(100)에 고정시키며, 노즐덕트(810)가 이너캐비닛(100)에 결합되는 지점에서 이너캐비닛(100)과 건조공기덕트(370) 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며, 이너캐비닛(100)에 힌지결합되는 노즐덕트(810)가 움직이는 경우 노즐덕트힌지축(813)과 인접한 지점에서 이너캐비닛(100)의 움직임 또는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hoe 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uct fixing part 375 connects the dry air duct 370 to the inner cabinet 100 at a point immediately adjacent to the hinge support part 801. It is fixed, and a stable coupling is achieved between the inner cabinet 100 and the dry air duct 370 at the point where the nozzle duct 810 is coupled to the inner cabinet 100, and the nozzle duct ( When 810) moves, movement or deformation of the inner cabinet 100 at a point adjacent to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노즐덕트힌지축(813)과 인접한 지점에서 이너캐비닛(100)의 움직임 또는 변형이 일부 발생되더라도, 노즐덕트(810)가 이너캐비닛(100)에 결합되는 지점과 매우 가까운 지점에서 이너캐비닛(100)과 건조공기덕트(370)간의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이너캐비닛(100)과 건조공기덕트(370) 간의 긴밀한 밀착이 유지되고, 연결유로의 기밀이 유지되며, 각 구성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some movement or deformation of the inner cabinet 100 occurs at a point adjacent to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the inner cabinet ( 100) and the dry air duct 370 are fixed, so close contact between the inner cabinet 100 and the dry air duct 370 is maintained, the airtightness of the connection passage is maintained, and stable coupling between each component is maintained. You can.

도 13a는 노즐덕트(810)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노즐덕트(810)의 길이방향이 수평방향과 평행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3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gle of the nozzle duct 810 is adjusted, and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ozzle duct 810 is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13b는 노즐덕트(810)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노즐(820)이 하강하도록 노즐덕트(810)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3B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gle of the nozzle duct 810 is adjusted, and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gle of the nozzle duct 810 is adjusted so that the nozzle 820 descends.

노즐연결체(830)는 노즐덕트(810)와 별개로 설치되어, 일단이 이너캐비닛(10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노즐(820)에 힌지 결합되는 부분으로, 노즐덕트(810)의 힌지 회전 시에도 노즐(820)의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The nozzle connector 830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nozzle duct 810, and one end is hinged to the inner cabinet 100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nozzle 820, and the hinge rotation of the nozzle duct 810 Even during operation, the angle of the nozzle 820 can be maintained constant.

그리고,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덕트(810)의 각도가 변경되는 경우, 이와 대응되게 노즐연결체(830)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13B, when the angle of the nozzle duct 810 changes, the angle of the nozzle connection body 830 may change correspondingly.

노즐연결체(830)의 일단은 내부뒷판(1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노즐연결체(830)의 일단에 제1 연결힌지축(8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힌지축(831)은 내부뒷판(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연결체(830)는 제1 연결힌지축(83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nozzle connector 830 may be hinged to the inner back plate 110. A first connection hinge shaft 831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nozzle connector 830. The first connection hinge shaft 83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back plate 110. Therefore, the nozzle connection body 830 can rotate around the first connection hinge axis 831.

노즐연결체(830)의 타단은 노즐(82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노즐연결체(830)의 타단에 제2 연결힌지축(8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힌지축(832)은 노즐몸체부(8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연결체(830)는 제2 연결힌지축(83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nozzle connector 830 may be hinged to the nozzle 820. A second connection hinge shaft 832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nozzle connector 830. The second connection hinge shaft 83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nozzle body portion 822. Accordingly, the nozzle connection body 830 can rotate around the second connection hinge axis 832.

노즐덕트힌지축(813)과 제1 연결힌지축(831)은 내부뒷판(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덕트힌지축(813)과 제1 연결힌지축(831)은 내부뒷판(110)의 특정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and the first connection hinge axis 83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back plate 110. Accordingly,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and the first connection hinge axis 831 can be rotatably fixed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inner back plate 110.

즉, 이너캐비닛(100)을 기준으로, 노즐덕트힌지축(813)과 제1 연결힌지축(831)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That is, with respect to the inner cabinet 100, the positions of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and the first connection hinge axis 831 may not change.

노즐힌지축(825)과 제2 연결힌지축(832)은 노즐몸체부(8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힌지축(825)과 제2 연결힌지축(832)은 노즐몸체부(822)의 특정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The nozzle hinge shaft 825 and the second connection hinge shaft 83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nozzle body portion 822. Accordingly, the nozzle hinge axis 825 and the second connection hinge axis 832 can be rotatably fixed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nozzle body portion 822.

즉, 노즐몸체부(822)를 기준으로, 노즐힌지축(825)과 제2 연결힌지축(832)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너캐비닛(100)을 기준으로, 노즐덕트(810)가 회전하는 경우, 노즐힌지축(825)과 제2 연결힌지축(832)의 위치는 변화할 수 있다. That is, with respect to the nozzle body portion 822, the positions of the nozzle hinge axis 825 and the second connection hinge axis 832 may not change. However, when the nozzle duct 81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inner cabinet 100, the positions of the nozzle hinge axis 825 and the second connection hinge axis 832 may change.

일 실시예에서, 노즐덕트힌지축(813)과 노즐힌지축(825) 간 거리(Ld)와 제1 연결힌지축(831)과 제2 연결힌지축(832) 간 거리(Lc)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노즐덕트힌지축(813)과 제1 연결힌지축(831) 간 거리(Le)와 노즐힌지축(825)과 제2 연결힌지축(832) 간 거리(Lf)는 동일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istance (Ld) between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and the nozzle hinge axis 825 and the distance (Lc)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hinge axis 831 and the second connection hinge axis 832 may be the same. You can. Additionally, the distance (Le) between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and the first connection hinge axis 831 and the distance (Lf) between the nozzle hinge axis 825 and the second connection hinge axis 832 may be the same.

따라서 노즐덕트힌지축(813), 노즐힌지축(825), 제1 연결힌지축(831) 및 제2 연결힌지축(832)은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한 평행사변형의 각 꼭지점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Therefore, the nozzle duct hinge axis 813, the nozzle hinge axis 825, the first connection hinge axis 831, and the second connection hinge axis 832 form each vertex of a parallelogram in which two pairs of opposite sides are parallel. can do.

따라서, 이너캐비닛(100)을 기준으로, 노즐덕트(810)가 회전하더라도 노즐덕트(810)와 노즐연결체(830)는 서로 나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너캐비닛(100)을 기준으로, 노즐덕트(810)가 회전하더라도 노즐몸체부(822)는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nozzle duct 81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inner cabinet 100, the nozzle duct 810 and the nozzle connection body 830 can maintain a state parallel to each other. Additionally, even if the nozzle duct 81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inner cabinet 100, the nozzle body portion 822 can maintain its angle.

따라서 이너캐비닛(100)을 기준으로, 노즐덕트(810)가 회전하더라도 노즐(820)은 일정한 방향 즉, 아래쪽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nozzle duct 81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inner cabinet 100, the nozzle 820 can spray air in a constant direction, that is, downward.

그리고 이너캐비닛(100)을 기준으로, 노즐덕트(810)가 회전하더라도 노즐손잡이(826)는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덕트(810)가 회전하더라도, 노즐손잡이(826)를 잡은 손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손잡이(826)의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And, with respect to the inner cabinet 100, even if the nozzle duct 810 rotates, the nozzle handle 826 can maintain a constant angle. Therefore, even if the nozzle duct 810 rotates, the hand holding the nozzle handle 826 can maintain a constant angle. Therefore, the operability of the nozzle handle 826 can be improved.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shown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y the invention to other specific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modified and transformed.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term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rather by the technical idea stated in the claims.

1 : 신발 관리기 2a : 제1 관리장치
2b : 제2 관리장치
10 : 제어부 20 : 외부캐비닛
21 : 외부뒷판 22 : 제1 외부측판
23 : 제2 외부측판
30 : 도어 33 : 컨트롤패널
50 : 기계실
60 : 급수통 61 : 제1 워터펌프
70 : 배수통 71 : 제2 워터펌프
100 : 이너캐비닛
101 : 수용공간 110 : 내부뒷판
111 : 덕트홀 112 : 제1 보스
113 : 제2 보스
120 : 제1 내부측판 130 : 제2 내부측판
140 : 메인개구 200 : 모듈하우징
203 : 흡입구 204 : 스팀유입구
210 : 모듈챔버
310 : 송풍부 320 : 가열부
330 : 제습부 331 : 제습제
350 : 댐퍼
370 : 건조공기덕트 371 : 제1 덕트체결홀
372 : 제2 덕트체결홀 373 : 제3 덕트체결홀
375 : 제1 덕트고정부 376 : 제2 덕트고정부
377 : 제3 덕트고정부
400 : 컨덴서 600 : 섬프
700 : 스팀제너레이터 710 : 스팀밸브
720 : 스팀세퍼레이터
801 : 힌지지지부 802 : 고정볼트
810 : 노즐덕트
813 : 노즐덕트힌지축 814 : 힌지축저항부
814a : 제1 힌지축저항부 814b : 제2 힌지축저항부
815 : 노즐실링부 820 : 노즐
822 : 노즐몸체부 823 : 노즐돌출부
825 : 노즐힌지축 826 : 노즐손잡이
830 : 노즐연결체 831 : 제1 연결힌지축
832 : 제2 연결힌지축
DM, DM1, DM2 : 건조모듈 F10 : 연결유로
F10a : 변환유로 F10b : 건조유로
F20 : 재생유로 RP : 기준면
X : 제1 방향 Y : 제2 방향
Z : 제3 방향
1: Shoe management device 2a: First management device
2b: second management device
10: Control unit 20: External cabinet
21: External back plate 22: First external side plate
23: Second outer side plate
30: Door 33: Control panel
50: Machine room
60: water tank 61: first water pump
70: Sump 71: Second water pump
100: Inner cabinet
101: Accommodation space 110: Internal back panel
111: duct hole 112: first boss
113: 2nd boss
120: first inner side plate 130: second inner side plate
140: main opening 200: module housing
203: Inlet 204: Steam inlet
210: module chamber
310: blowing unit 320: heating unit
330: Dehumidifying unit 331: Dehumidifying agent
350: damper
370: dry air duct 371: first duct fastening hole
372: 2nd duct fastening hole 373: 3rd duct fastening hole
375: first duct fixing unit 376: second duct fixing unit
377: Third duct fixing unit
400: Condenser 600: Sump
700: Steam generator 710: Steam valve
720: Steam separator
801: Hinge support 802: Fixing bolt
810: nozzle duct
813: nozzle duct hinge axis 814: hinge axis resistance unit
814a: first hinge axis resistance part 814b: second hinge axis resistance part
815: nozzle sealing part 820: nozzle
822: nozzle body 823: nozzle protrusion
825: nozzle hinge axis 826: nozzle handle
830: Nozzle connector 831: First connection hinge shaft
832: Second connection hinge axis
DM, DM1, DM2: Drying module F10: Connection channel
F10a: Conversion flow path F10b: Drying flow path
F20: Regeneration flow path RP: Reference surface
X: first direction Y: second direction
Z: third direction

Claims (16)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이너캐비닛;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노즐덕트힌지축에서 상기 이너캐비닛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돌출되며, 공기의 통로를 이루는 노즐덕트;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노즐덕트로 연결되는 연결유로;
상기 연결유로의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부;
상기 연결유로 중에 설치되어 공기를 제습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습부;
상기 이너캐비닛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를 이루는 건조공기덕트;
상기 노즐덕트힌지축을 지지하며 상기 이너캐비닛에 고정되는 힌지지지부; 및
상기 힌지지지부와 인접한 지점에서 상기 건조공기덕트를 상기 이너캐비닛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제1 덕트고정부;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An inner cabinet having a space for storing shoes;
an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is sucked;
a nozzle duct hinged to the inner cabinet at a nozzle duct hinge axis, protruding into the receiving space, and forming an air passage;
a connection passage connected from the suction port to the nozzle duct;
A blowing unit that blows air into the connection passage;
A dehumidifying unit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assage to dehumidify the air;
a dry air duc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binet and forming part of the connection passage;
a hinge support portion that supports the nozzle duct hinge axis and is fixed to the inner cabinet; and
A plurality of first duct fixing parts that secure the dry air duct to the inner cabinet at points adjacent to the hinge support part,
Shoe care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기덕트는, 상기 이너캐비닛의 외측면과 함께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를 이루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ry air duct forms part of the connection passage along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binet,
Shoe care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지지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노즐덕트힌지축의 축방향에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덕트고정부는, 한 쌍의 상기 힌지지지부 간의 이격거리보다 짧게 상기 힌지지지부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건조공기덕트를 상기 이너캐비닛에 고정시키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ing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as a pai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nozzle duct hinge axis,
The first duct fixing part fixes the dry air duct to the inner cabinet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hinge support part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hinge support parts.
Shoe care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고정부는, 상기 건조공기덕트의 테두리의 바로 내측에서 상기 건조공기덕트를 상기 이너캐비닛에 고정시키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duct fixing part fixes the dry air duct to the inner cabinet just inside the edge of the dry air duct,
Shoe care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캐비닛은 일측에서 관통된 덕트홀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덕트는 일측 단부가 상기 덕트홀에 위치하며 상기 이너캐비닛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건조공기덕트는 상기 덕트홀을 차폐하며,
상기 제1 덕트고정부는 상기 덕트홀의 테두리와 상기 건조공기덕트의 테두리의 사이에서 상기 건조공기덕트를 상기 이너캐비닛에 고정시키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ner cabinet has a duct hole penetrated on one side,
One end of the nozzle duct is located in the duct hole and is hinged to the inner cabinet,
The dry air duct shields the duct hole,
The first duct fixing part fixes the dry air duct to the inner cabinet between the edge of the duct hole and the edge of the dry air duct,
Shoe care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관리기는,
상기 건조공기덕트를 상기 이너캐비닛에 고정시키되, 상기 연결유로에서 상기 제1 덕트고정부보다 상류쪽에 위치하는 제2 덕트고정부; 및
상기 건조공기덕트를 상기 이너캐비닛에 고정시키되, 상기 제1 덕트고정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덕트고정부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제3 덕트고정부;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hoe manager,
a second duct fixing part that fixes the dry air duct to the inner cabinet and is located upstream of the first duct fixing part in the connection passage; and
A third duct fixing part that secures the dry air duct to the inner cabinet and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duct fixing part with respect to the first duct fixing part.
Shoe care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기덕트의 내부의 공기가 상측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건조공기덕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측을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신발 관리기는,
상기 건조공기덕트를 상기 이너캐비닛에 고정시키되, 상기 제1 덕트고정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덕트고정부; 및
상기 건조공기덕트를 상기 이너캐비닛에 고정시키되, 상기 제1 덕트고정부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제3 덕트고정부;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paragraph 1,
At least a portion of the dry air duct is formed to face upward so that the air inside the dry air duct moves upward,
The shoe manager,
a second duct fixing part that fixes the dry air duct to the inner cabinet and is located lower than the first duct fixing part; and
A third duct fixing part that secures the dry air duct to the inner cabinet and is located above the first duct fixing part.
Shoe care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덕트힌지축은 수평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1 덕트고정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노즐덕트힌지축의 양 단부에 인접하여 각각 위치하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nozzle duct hinge axis is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duct fixing parts are provided in a pair and are respectively locat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nozzle duct hinge axis,
Shoe care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캐비닛은 일측에서 관통된 덕트홀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덕트의 일측 단부가 상기 덕트홀에 위치하며 상기 이너캐비닛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신발 관리기는,
상기 노즐덕트의 외측에서 상기 덕트홀을 밀폐하도록 상기 노즐덕트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이너캐비닛에 결합되고,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노즐실링부;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ner cabinet has a duct hole penetrated on one side,
One end of the nozzle duct is located in the duct hole and is hinged to the inner cabinet,
The shoe manager,
A nozzle sealing portion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coupled to the inner cabinet and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ozzle duct to seal the duct hole on the outside of the nozzle duct, comprising:
Shoe care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관리기는,
상기 건조공기덕트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신발 관리기의 외형을 이루는 외부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덕트고정부는 볼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캐비닛, 상기 건조공기덕트 및 상기 이너캐비닛을 함께 체결하도록 이루어지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hoe manager,
An external cabinet located outside the dry air duct and form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shoe care machine,
The first duct fixing part is made in the form of a bolt and is configured to fasten the external cabinet, the dry air duct, and the inner cabinet together,
Shoe care machine.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 및 일측에서 관통된 덕트홀을 구비하는 이너캐비닛;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일측 단부가 상기 덕트홀에 위치하며 상기 이너캐비닛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돌출되며, 공기의 통로를 이루는 노즐덕트;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노즐덕트로 연결되는 연결유로;
상기 연결유로의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부;
상기 연결유로 중에 설치되어 공기를 제습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습부;
상기 이너캐비닛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덕트홀을 차폐하며,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를 이루는 건조공기덕트; 및
상기 덕트홀의 테두리와 상기 건조공기덕트의 테두리의 사이에서 상기 건조공기덕트를 상기 이너캐비닛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제1 덕트고정부;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An inner cabinet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storing shoes and a duct hole penetrating from one side;
an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is sucked;
a nozzle duct whose one end is located in the duct hole, is hinged to the inner cabinet, protrudes into the receiving space, and forms an air passage;
a connection passage connected from the suction port to the nozzle duct;
A blowing unit that blows air into the connection passage;
A dehumidifying unit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assage to dehumidify the air;
a dry air duc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binet to shield the duct hole and forming part of the connection passage; and
A plurality of first duct fixing parts for fixing the dry air duct to the inner cabinet between the edge of the duct hole and the edge of the dry air duct.
Shoe care machin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기덕트는, 상기 이너캐비닛의 외측면과 함께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를 이루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clause 11,
The dry air duct forms part of the connection passage along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binet,
Shoe care machin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기덕트는 상기 덕트홀을 차폐하며,
상기 제1 덕트고정부는 상기 덕트홀의 테두리와 상기 건조공기덕트의 테두리의 사이에서 상기 건조공기덕트를 상기 이너캐비닛에 고정시키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clause 11,
The dry air duct shields the duct hole,
The first duct fixing part fixes the dry air duct to the inner cabinet between the edge of the duct hole and the edge of the dry air duct,
Shoe care machin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관리기는,
상기 건조공기덕트를 상기 이너캐비닛에 고정시키되, 상기 연결유로에서 상기 제1 덕트고정부보다 상류쪽에 위치하는 제2 덕트고정부; 및
상기 건조공기덕트를 상기 이너캐비닛에 고정시키되, 상기 제1 덕트고정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덕트고정부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제3 덕트고정부;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clause 11,
The shoe manager,
a second duct fixing part that fixes the dry air duct to the inner cabinet and is located upstream of the first duct fixing part in the connection passage; and
A third duct fixing part that secures the dry air duct to the inner cabinet and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duct fixing part with respect to the first duct fixing part.
Shoe care machin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관리기는,
상기 노즐덕트의 외측에서 상기 덕트홀을 밀폐하도록 상기 노즐덕트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이너캐비닛에 결합되고,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노즐실링부;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clause 11,
The shoe manager,
A nozzle sealing portion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coupled to the inner cabinet and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ozzle duct to seal the duct hole on the outside of the nozzle duct, comprising:
Shoe care machin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관리기는,
상기 건조공기덕트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신발 관리기의 외형을 이루는 외부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덕트고정부는 상기 외부캐비닛, 상기 건조공기덕트 및 상기 이너캐비닛을 함께 체결하도록 이루어지는,
신발 관리기.


According to clause 11,
The shoe manager,
An external cabinet located outside the dry air duct and form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shoe care machine,
The first duct fixing part is configured to fasten the external cabinet, the dry air duct, and the inner cabinet together,
Shoe care machine.


KR1020220110952A 2022-09-01 2022-09-01 Shoes care device KR1026017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952A KR102601790B1 (en) 2022-09-01 2022-09-01 Shoes car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952A KR102601790B1 (en) 2022-09-01 2022-09-01 Shoes car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790B1 true KR102601790B1 (en) 2023-11-13

Family

ID=8874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952A KR102601790B1 (en) 2022-09-01 2022-09-01 Shoes car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79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856A (en) * 2019-09-10 2021-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Shoe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93104A (en) * 2020-01-17 2021-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Shoe management apparatus
KR20210158764A (en) * 2020-06-24 2021-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Shoe management device
KR102396976B1 (en) * 2020-11-27 2022-05-11 경일대학교 산학협력단 Shoe styler based on shoe condition
KR20220109870A (en) * 2021-01-29 2022-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Shoe care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856A (en) * 2019-09-10 2021-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Shoe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93104A (en) * 2020-01-17 2021-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Shoe management apparatus
KR20210158764A (en) * 2020-06-24 2021-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Shoe management device
KR102396976B1 (en) * 2020-11-27 2022-05-11 경일대학교 산학협력단 Shoe styler based on shoe condition
KR20220109870A (en) * 2021-01-29 2022-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Shoe care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09619B (en) Drying apparatus
KR102601790B1 (en) Shoes care device
TWI809618B (en) Drying apparatus
KR20220136866A (en) Shoes care device
KR102603566B1 (en) Shoes care device
KR102662599B1 (en) Shoes care device
KR102664497B1 (en) Shoes care device
KR102662601B1 (en) Shoes care device
EP4066676B1 (en) Shoe care device
KR102609894B1 (en) Shoes care device
EP4316335A1 (en) Shoe care apparatus
KR20240031760A (en) Shoes care device
US20240156324A1 (en) Shoe care apparatus
TW202327505A (en) Shoes care device
KR20220136867A (en) Shoes care device
KR20220136863A (en) Shoes care device
KR20220136864A (en) Shoes care device
KR20240003632A (en) Shoes car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136865A (en) Shoes care device
KR20240003634A (en) Shoes car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26192A (en) Shoes care device
KR20230026190A (en) Shoes care device
KR20230026186A (en) Shoes care device
KR20230026193A (en) Shoes care device
KR20230026124A (en) Shoes car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