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2676A - 유체 카트리지를 위한 적층형 유체 회로 - Google Patents

유체 카트리지를 위한 적층형 유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2676A
KR20210092676A KR1020207037040A KR20207037040A KR20210092676A KR 20210092676 A KR20210092676 A KR 20210092676A KR 1020207037040 A KR1020207037040 A KR 1020207037040A KR 20207037040 A KR20207037040 A KR 20207037040A KR 20210092676 A KR20210092676 A KR 20210092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ayer
flexible conduit
fluid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크리벨리
키릴 델라트르
Original Assignee
일루미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루미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루미나,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92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6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0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e of the container or its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1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interfacing components, e.g. fluidic, electrical, optical or mechanical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3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integrat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2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dispensing a reagent
    • B01L3/527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dispensing a reagent for a plurality of re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B29C53/06Forming folding lines by pressing or sco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02Reagent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2Specific details about manufactu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6Reagents, handling or stor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4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pierceable, e.g. films,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7Additional chamber,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 B01L2300/0636Integrated biosensor, micro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 B01L2300/0645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72Integrated pierc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16Cards, e.g. flat sample carriers usually with flow in two horizontal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61Configuration of multiple channels and/or chambers in a single devices
    • B01L2300/0877Flow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87Laminate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2Specific details abou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2Specific details about materials
    • B01L2300/123Flexible; Elasto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 B01L2300/1805Conductive heating, heat from thermostatted solids is conducted to receptacles, e.g. heating plates, blocks
    • B01L2300/1827Conductive heating, heat from thermostatted solids is conducted to receptacles, e.g. heating plates, blocks using resistive he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6Valves, specific form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6Valves, specific forms thereof
    • B01L2400/0633Valves, specific forms thereof with mov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6Valves, specific forms thereof
    • B01L2400/0633Valves, specific forms thereof with moving parts
    • B01L2400/0655Valves, specific forms thereof with moving parts pinch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6Valves, specific forms thereof
    • B01L2400/0677Valves, specific forms thereof phase change valves; Meltable, freezing, dissolvable plugs; Destructible barriers
    • B01L2400/0683Valves, specific forms thereof phase change valves; Meltable, freezing, dissolvable plugs; Destructible barriers mechanically breaking a wall or membrane within a channel or chamber

Abstract

장치는 유체 저장소 및 유체 저장소 위에 배치된 적층형 유체 회로를 포함한다. 적층형 유체 회로는 실질적으로 평면의 기판을 획정하도록 함께 적층된 2개 이상의 층 및 기판 내에 획정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한다. 적층형 유체 회로는 기판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한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신장부를 포괄하는 기판의 부분에 의해 획정되는 가요성 도관을 포함한다. 가요성 도관이 유체 저장소를 향하여 평면의 기판에 대해 편향 가능하여 가요성 도관이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유체 저장소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Description

유체 카트리지를 위한 적층형 유체 회로
관련 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미국 특허 가출원 일련번호 제62/768,278호(출원일: 2018년 11월 16일)의 출원일의 이득을 주장하고, 상기 기초출원의 개시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임상 처리 및 분자 처리를 위한 다양한 분석 프로토콜은 다양한 유형의 유체를 처리 기구(예를 들어, 시퀀서)에 수용하는 카트리지를 설치함으로써 구현되고, 다양한 유형의 유체가 유체 디바이스로 선택적으로 전달되어 하나 이상의 유체 작동, 예컨대, 혼합, 처리, 반응, 검출 등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카트리지가 다양한 유체 소자, 예컨대, 펌프, 채널, 매니폴드 및 밸브를 포함하여, 처리 기구가 선택된 유체를 계량하고 선택된 유체를 유체 디바이스로 전달하게 한다. 카트리지를 모든 필요한 유체 소자에 제공하기 위해, 일부 카트리지는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본체로 형성되고, 홈이 플라스틱 본체의 표면을 따라 형성되고 플라스틱 본체의 표면 위에 적용되는 플라스틱 필름 또는 포일에 의해 밀봉되어 카트리지 내에 유체 채널을 형성한다. 그러나, 단단한 플라스틱 본체, 예컨대,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카트리지를 형성하는 것은 더 긴 개발 주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하기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일부 양상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간략화된 요약을 제시한다. 이 요약은 청구된 주제의 광범위한 개요가 아니다. 청구된 주제의 중요하거나 또는 중심 요소를 식별하거나 또는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설명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유일한 목적은 나중에 제시되는 더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막으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일부 개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은 유체 저장소 및 유체 저장소 위에 배치된 적층형 유체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적층형 유체 회로는 실질적으로 평면의 기판을 획정하도록 함께 적층된 2개 이상의 층, 상기 기판 내에 획정된 하나 이상의 채널, 및 상기 기판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한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신장부(extent)를 포괄(encompass)하는 상기 기판의 부분에 의해 획정되는 가요성 도관을 포함한다. 상기 가요성 도관은 상기 기판의 상기 부분 및 상기 채널의 포괄된 신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요성 도관이 상기 유체 저장소를 향하여 상기 평면의 기판에 대해 편향 가능하여 상기 가요성 도관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상기 유체 저장소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은 채널을 제1 층에 형성하고 하나 이상의 층을 상기 제1 층에 적층하여 평면의 다층 기판을 형성해서 상기 채널이 상기 기판 내에 획정되는 과정, 및 상기 채널의 신장부를 포괄하는 상기 기판의 부분을 단절하여 단절된 부분이 상기 기판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여 상기 기판의 상기 부분 및 상기 채널의 포괄된 신장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도관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가요성 도관은 평면의 기판에 대해 편향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채널을 상기 제1 층에 형성하는 과정은 홈을 상기 제1 층의 표면에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에 적층된 상기 하나 이상의 층은 홈을 동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채널을 상기 제1 층에 형성하는 과정은 슬롯을 상기 제1 층을 통해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에 적층된 상기 하나 이상의 층은 상기 슬롯을 동봉한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은 실질적으로 평면의 기판을 획정하도록 함께 적층된 2개 이상의 층; 상기 기판 내에 획정된 하나 이상의 채널, 및 상기 기판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한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신장부를 포괄하는 상기 기판의 부분에 의해 획정되는 가요성 도관을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도관은 상기 기판의 상기 부분 및 상기 채널의 포괄된 신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도관은 상기 평면의 기판에 대해 편향 가능하다.
본 개시내용의 주제의 다른 특징 및 특성, 뿐만 아니라 작동 방법, 구조체의 관련된 소자의 기능 및 부품의 조합, 및 제작 비용은 유사한 참조 부호가 다양한 도면에서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전부가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를 고려할 때 더 분명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개시내용의 주제의 다양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소자를 나타낸다.
도 1은 복수의 유체 저장소를 포함하는 트레이를 덮는 적층형 유체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적층형 유체 회로를 구성하도록 사용되는 3개의 층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다층 기판을 형성하도록 함께 적층된 3개의 층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적층형 유체 회로의 사시도이고, 적층형 유체 회로는 비편향된 위치에 놓인 가요성 도관을 포함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적층형 유체 회로의 사시도이고, 적층형 유체 회로는 편향된 위치에 놓인 가요성 도관을 포함한다.
도 6은 절삭부에 의해 형성된 가요성 도관을 포함하는 다층 기판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적층형 유체 회로의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
도 7은 도 6의 라인(A-A)을 따라 취해진 예시적인 적층형 유체 회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도 6의 라인(B-B)을 따라 취해진 예시적인 적층형 유체 회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도 6의 라인(A-A)을 따라 취해진 예시적인 적층형 유체 회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은 도 6의 라인(B-B)을 따라 취해진 예시적인 적층형 유체 회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은 스코어 라인에 의해 형성된 가요성 도관을 포함하는 다층 기판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적층형 유체 회로의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라인(C-C)을 따라 취해진 예시적인 적층형 유체 회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라인(C-C)을 따라 취해진 예시적인 적층형 유체 회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4는 적층형 유체 회로, 및 제1 유체 저장소와 제1 유체 저장소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유체 저장소를 포함하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장치의 측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장치의 분해도.
도 16은 트레이, 트레이 상에 장착된 적층형 유체 회로, 및 적층형 유체 회로 상에 배치된 단단한 덮개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7은 적층형 유체 회로 및 적어도 하나의 유체 저장소를 포함하는 유체 카트리지를 조립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
본 개시내용의 주제의 양상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은 단지 이 형태의 일부를 주제의 특정한 실시예로서 개시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주제는 그렇게 설명되고 예시된 형태 또는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달리 규정되지 않는다면, 모든 기술 용어, 기호 및 다른 기술적 용어 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본 개시내용에 속하는 당업자라면 흔히 이해하는 바와 같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모든 특허, 출원, 공개된 출원 및 본 명세서에 참조되는 다른 공보는 전문이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이 섹션에서 제시된 정의가 특허, 출원, 공개된 출원 및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되는 다른 공보에 제시된 정의와 반대이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불일치한다면, 이 섹션에 제시된 정의는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되는 정의보다 우위이다.
달리 나타내지 않거나 또는 문맥이 달리 제안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단수 관사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본 설명은 컴포넌트, 장치, 위치, 특징 또는 이들의 부분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설명할 때 상대적인 공간 및/또는 방향 용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특별히 언급되지 않거나 또는 본 설명의 맥락에서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상단부, 하단부, 위, 아래, 아래의, 상단부의, 상부, 하부, 좌측, 우측, 정면, 후면, 옆, 인접한, 사이, 수평, 수직, 사선, 길이방향, 횡방향, 방사, 축방향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이러한 용어가 도면에서 이러한 컴포넌트, 장치, 위치, 특징 또는 이들의 부분을 참조할 때 편의를 위해 사용되고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게다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 설명에서 언급된 임의의 특정한 치수는 본 개시내용의 양상을 구현하는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단지 대표하고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용어 "약"의 사용은 명백히 나타내든 아니든, 본 명세서에 명시된 모든 수치값에 적용된다.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당업자라면 본 개시내용의 맥락에서 언급된 수치값(즉, 등가 기능 또는 결과를 가짐)에 대한 편차의 합리적인 양으로서 고려할 다양한 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그리고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면서, 이 용어는 이러한 편차가 값의 최종 기능 또는 결과를 변경하지 않는다면, 주어진 수치값의 ±10 퍼센트의 편차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이해할 바와 같은 일부 환경하에서, 약 1%의 값은 0.9% 내지 1.1%의 범위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인접한"은 근방에 있거나 또는 이웃한 것을 나타낸다. 인접한 물체는 서로로부터 이격될 수 있거나 또는 서로에 대해 실제로 또는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인접한 물체는 서로에 대해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서로에 대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실질적으로" 및 "상당한"은 상당한 정도 또는 크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이벤트, 상황, 특성, 또는 속성과 함께 사용될 때, 용어는 이벤트, 상황, 특성, 또는 속성이 정확하게 발생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벤트, 상황, 특성, 또는 속성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일반적인 허용 오차 레벨 또는 변동성을 고려하는 것과 같이, 거의 근사로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임의의" 및 "임의적으로"는 후속하여 설명되는 컴포넌트, 구조, 소자, 이벤트, 상황, 특성, 속성 등이 포함될 수도 있거나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거나 또는 발생하는 것 그리고 설명이 컴포넌트, 구조, 소자, 이벤트, 상황, 특성, 속성 등이 포함되거나 또는 발생하는 경우 및 행해지지 않거나 또는 행해지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조립체 및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소자, 예를 들어, 채널, 분기 채널, 밸브, 흐름 분할기, 환기구, 포트, 액세스 영역, 비아, 비드, 시약 함유 비드, 덮개층, 반응 컴포넌트, 이들의 임의의 조합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체 처리 통로를 포함할 수도 있는 유체 카트리지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임의의 소자는 또 다른 소자와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거나 또는 청구범위에서 언급되는 소자 및 컴포넌트의 모든 가능한 조합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인 것으로 고려되고 간주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전술한 개념과 부가적인 개념(이러한 개념이 서로 불일치하지 않은 경우)의 모든 조합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주제의 일부인 것으로 고려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본 개시내용의 끝에서 나타나는 청구범위의 주제의 모든 조합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주제의 일부인 것으로 고려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용어 "포함하는(including)"은 각각의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의 평이한 영어의 등가물로서 사용된다.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과 "포함하는(including)"은 개방형인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의도되어, 언급된 소자를 포함하는 것뿐만 아니라, 임의의 부가적인 소자를 더 포함한다. 게다가, 하기의 청구범위에서, 용어 "제1", "제2" 및 "제3" 등이 단지 라벨로서 사용되고 수치적 요건을 물체에 부과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용어 "유체 연통"이 직접적인 유체 연통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2개의 구역이 2개의 구역을 연결시키는 비차단된 유체 처리 통로를 통해 서로에 대해 유체 연통할 수 있거나 또는 유체 연통 가능할 수 있고, 예를 들어, 2개의 구역은 이 구역이 내부에 배치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는 유체 처리 통로를 통해 연결될 때 서로에 대해 유체 연통할 수 있고, 유체 연통은 밸브를 활성화시킬 때, 예를 들어, 해제 가능한 밸브를 해제하고, 열림 가능한 밸브를 열거나 또는 유체 처리 통로에 배치된 밸브를 다른 방식으로 개방함으로써, 2개의 구역 사이에 확립될 수 있다.
용어 "동결 건조"는 일반적으로 부패성 물질을 보존하고/하거나 부패성 물질의 수송을 용이하게 하도록 사용되는 탈수 공정을 나타낸다. 동결 건조를 위한 조건은 물질 내 얼어 있는 물을 고체상으로부터 기체상으로 직접적으로 승화시키기 위해 주위 압력을 감소시키는 동안 액체 물질 및/또는 액체 물질을 함유하는 용기가 동결 조건을 겪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결은 물질을 물질의 고체상과 액체상이 공존할 수 있는 가장 낮은 온도("삼중점"으로서 기술에 알려짐) 미만으로 냉각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보통, 동결 온도가 -50℃ 내지 -80℃이지만, 당업자는 자동화된 생화학적 분석에서 사용되는 시약을 동결 건조시키기 위한 적절한 동결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유체 카트리지
유체 카트리지의 개발 주기를 사실상 연장시키는 일 없이 유체 회로의 설계에 대한 변경이 신속하게 구현되게 하는 개선된 유체 카트리지 장치가 필요하다. 개선된 유체 카트리지가 대응하는 유체 회로 아래에 시약 저장소를 포함할 수도 있어서, 유체 회로 위에 시약을 저장하는 카트리지 설계를 위해 구현될 수도 있는 밸브를 제거한다. 이러한 설계는 시약 저장소에 대한 유체 회로의 위치가 시약의 배출을 제한하거나 또는 단절하기 때문에 유체 카트리지가 액체 형태인 시약을 수송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가 다양한 유형의 유체(예를 들어, 시약, 버퍼, 반응 매체)를 수용하고 유체 처리 기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유체 카트리지를 포함하여, 유체 카트리지는 저장된 유체가 관심 구역으로 선택적으로 전달되어 하나 이상의 유체 작동(예를 들어, 혼합, 처리, 반응, 검출)을 겪게 한다. 유체 카트리지는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저장소 및 유체 저장소 위에 배치된 적층형 유체 회로를 포함한다. 적층형 유체 회로가 실질적으로 평면의 다층 기판, 다층 기판 내에 획정된 하나 이상의 채널, 및 각각의 채널의 신장부를 포괄하는 다층 기판의 일부에 의해 획정된 가요성 도관을 포함하고 기판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여, 가요성 도관이 유체 저장소를 향하여 다층 기판에 대해 편향되어 하나 이상의 채널을 유체 저장소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적층형 유체 회로는 유체가 다층 기판 아래에 저장되게 한다. 게다가, 적층형 유체 회로는 변경이 더 많은 층을 기판에 추가하고 더 많은 채널을 부가적인 층으로부터 형성함으로써 다층 기판에 쉽게 적용되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장치는 유체 작동을 위한 다양한 유형의 유체를 수용하고 지향시키기 위한 유체 카트리지(10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체 카트리지(100)가 다양한 유형의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체 저장소를 획정하는 트레이(110) 및 트레이(110) 상에 작동 가능하게 장착된 적층형 유체 회로(120)를 포함하여 적층형 유체 회로(120)는 트레이(110)에 수용된 다양한 유형의 유체가 하나 이상의 유체 저장소로부터 지향되어 하나 이상의 유체 작동을 위해 사용되게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트레이(110)는 하나 이상의 유체 저장소(112)를 포함하고, 각각의 유체 저장소(112)는 지정된 유체 작동 동안 사용되도록 의도된 유체를 수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유체 저장소(112)가 하단부 및 하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벽을 포함하여 유체 저장소(112)가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동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저장소(112)는 지정된 유체 작동 동안 사용될 유체의 용적에 따라 가변적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층형 유체 회로(120)는 트레이(110) 상에 장착되고 유체 저장소(들)(112)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실질적으로 평면의 다층 기판(122)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층형 유체 회로(120)는 기판(122) 내 유체를 적층형 유체 회로(120)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다층 기판(122) 내에 획정된 하나 이상의 채널(124)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층형 유체 회로(120)는 유체 저장소(112)로 편향될 때 채널(124)을 트레이(110)의 유체 저장소(112)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도관(126)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가요성 도관(126)이 유체가 연관된 유체 저장소(112)로부터 흡입되게 하도록 구성되어, 유체 저장소(112)에 수용된 유체가 다층 기판(122) 내에 배치된 채널(124)로 전송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채널(124) 및 가요성 도관(126)의 치수가 높은 종횡비(예를 들어, 길이/내경 ≥ 5)를 포함할 수도 있어서 적층형 유체 회로를 통한 더 효율적인 유체 흐름을 촉진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가요성 도관(126)의 길이는, 가요성 도관(126)이 유체 저장소(112)의 하단부에 도달하여 유체 저장소(112)에 수용된 유체 시약의 완전한 추출을 보장하도록 선택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가요성 도관(126)은 1개 초과의 채널(12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가요성 도관(126)은 2개의 채널(124), 예컨대, 유입 채널 및 유출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 채널은 유체, 예컨대, 또 다른 시약 또는 공기를 대응하는 유체 저장소(112) 내에 포함된 유체에 도입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유입 채널이 1개 초과의 시약을 대응하는 유체 저장소(112)로 도입할 수 있어서 유체 저장소(112)를 혼합 저장소로서 활용한다. 일부 경우에, 유입 채널은 공기를 대응하는 유체 저장소(112)에 도입할 수 있다. 도입된 공기는 대응하는 유체 저장소(112) 내 유체를 버블링하고, 혼합하고/하거나 가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공기의 가열되거나 또는 냉각된 용적이 내부의 유체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도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요성 도관(126)은 다층 기판(122)을 통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절삭부(128)에 의해 획정된다. 각각의 절삭부(128)가 각각의 채널(124)의 신장부를 포괄하는 다층 기판(122)의 부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기판(122)의 부분이 기판(122)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된다. 각각의 가요성 도관(126)은 기판(122)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고 각각의 채널(124)의 신장부를 포괄하는 다층 기판(122)의 부분에 의해 획정된다.
적층형 유체 회로(120)가 트레이(110) 상에 작동 가능하게 장착될 때, 다층 기판(122)은 각각의 절삭부(128) 및 가요성 도관(126)을 대응하는 유체 저장소(112) 위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트레이(110)와 정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가요성 도관(126)은 가요성 도관의 대응하는 유체 저장소(112)를 향하여 다층 기판(122)에 대해 (예를 들어, 수동으로 또는 자동화된 디바이스에 의해) 편향되도록 구성된다. 가요성 도관의 대응하는 유체 저장소(112)를 향하여 편향될 때, 가요성 도관(126)은 각각의 채널(124)을 연관된 유체 저장소(112)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가요성 도관(126)의 편향이 가요성 도관의 적어도 일부를 유체 저장소(112)로 활처럼 휘게 하고(bowing), 벤딩(bending)시키고, 만곡(curving)시키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반면 가요성 도관(126) 내 채널은 유체 저장소(112) 내로부터 가요성 도관(126) 내 채널을 통해 다층 기판(122)의 하나 이상의 채널(124) 내로의 유체의 유체 흐름을 허용하도록 온전하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층형 유체 회로(120)는 절삭부(128) 중 하나의 절삭부에 의해 노출되지 않은 유체 저장소(112) 중 하나의 유체 저장소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된 포트(13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포트(130)는 다층 기판(122)을 통해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채널(124)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된 개구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유체 카트리지(100)가 하나 이상의 채널(124)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된 유체 디바이스(140)(예를 들어, 흐름 셀)를 포함하여 적층형 유체 회로(120)는 유체가 유체 저장소(112)와 유체 디바이스(140) 사이에 선택적으로 전송되게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유체 디바이스(140)가 채널(124) 중 하나의 채널에 연결된 유체 유입부(142), 채널(124) 중 하나의 채널에 연결된 유체 유출부(144) 및/또는 유체 유입부(142) 및 유체 유출부(144)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유체 통로(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어서 유체 처리, 예컨대, 화학적 또는 생화학적 분석 또는 다른 반응이 발생하게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유체 디바이스(140)는 유체 유입부(142)로의 다양한 유형의 유체(예를 들어, 시약, 버퍼, 반응 매체)의 도입을 허용하여 하나 이상의 유체 통로 내에서 유체 처리를 겪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유체 디바이스(140)는 다양한 유형의 유체가 하나 이상의 유체 통로로부터 유체 유출부(144)로 플러시되게 하도록 더 구성된다.
유체 디바이스(140)가 적층형 유체 회로(120)의 내장된 부분일 수도 있고, 유체 디바이스(140)가 (예를 들어, 유체 유입부(142) 및 유체 유출부(144)를 기판(122) 내에 획정된 채널(124)에 연결시키는 유체 연결기를 통해) 적층형 유체 회로(120)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또는 결합될 수도 있고/있거나 유체 디바이스(140)가 적층형 유체 회로(120)로부터 원격에 배치되는 별개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층형 유체 회로(120)는 다층 기판(122)을 따라 배치되고 전력을 전력원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기 접촉부(15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층형 유체 회로(120)는 가요성 도관(126) 상에 배치되고 적층형 유체 회로(120)에 그리고 그 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전기 경로를 통해 전기 접촉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전극(미도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가요성 도관(126)은 개회로에서 단자로서 역할을 하는 적어도 2개의 전극(132a, 132b)을 포함한다. 따라서, 가요성 도관(126)이 유체 저장소(112)로 편향될 때, 유체 접촉 전극이 전도성 본체로서 역할을 하여, 전극은 유체 레벨 또는 유체 저장소(112)에 수용된 유체의 존재가 유체 카트리지(100)와 작동 가능하게 연관된 처리 기구에 의해 검출되게 한다. 예를 들어, 처리 기구는 용량성으로, 가요성 도관(126)과 전극(132a, 132b)이 액체와 접촉할 때 변경되는 개회로 간의 용량성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액체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요성 도관(126) 상에 배치된 전극은 유체 저장소(112)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전기 가열기로서 역할을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다른 전기 컴포넌트는 가요성 도관(126)(예를 들어, 센서, MEMS 디바이스 등)에 그리고/또는 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유체 회로(120)의 3층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형 유체 회로(120)는 서로에 대해 겹쳐진 제1 층(201), 제2 층(202) 및 제3 층(203)을 포함한다. 제1 층(201)은 제2 층(202)과 제3 층(203)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층(201)을 통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롯(204)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층(201)은 또한 또는 하나 이상의 슬롯(204)에 대한 대안으로, 제1 층(201)에 형성된 채널, 함몰부, 또는 다른 특징부를 포함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분(210, 214)이 층(201 내지 203)의 각각의 하나의 단부에서 트리밍되어 유체 디바이스(140)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층(201 내지 203)의 각각은 폴리머 물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PVC), 폴리다이메틸실록산(PDMS), 환식 올레핀 코폴리머(COP) 등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제2 및 제3 층(201 내지 203)이 함께 적층되어 실질적으로 평면의 다층 기판(122)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제2 및 제3 층(201 내지 203)이 예를 들어,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를 층(201 내지 203)의 측면에 적용함으로써 층(201 내지 203)의 측면을 서로에 대해 열 결합하고, 용매 결합하고, 레이저 용접하거나 또는 접착함으로써 함께 적층된다. 층(201 내지 203)이 함께 적층된 후, 제2 층(202)과 제3 층(203)이 제1 층(201)에 형성된 슬롯(204) 및/또는 다른 특징부를 동봉해서 다층 기판(122) 내에 획정된 채널(124)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개의 채널(124)은 각각의 가요성 도관(126)에 대해 획정될 수 있다. 층(201 내지 203)이 함께 적층됨에 따라, 트리밍된 부분(210, 214)이 정렬되어 다층 기판(122)의 하나의 단부에 유체 디바이스(140)를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트리밍된 부분(210, 214)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채널(124)의 신장부를 포괄하는 다층 기판(122)의 선택적인 부분은 다층 기판(122)을 통해 절삭부(128)를 형성함으로써 단절된다. 실례가 되는 실시예에서, 절삭부(128)가 채널(124)의 신장부(예를 들어, 단자 단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성형되어(예를 들어, U자 형상임), 다층 기판(122)의 단절된 부분이 다층 기판(122)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가요성 도관(126)을 형성한다. 각각의 가요성 도관(126)은 다층 기판(122)의 단절된 부분 및 그 각각의 채널(124)의 포괄된 신장부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도관(126)이 비편향된 위치에 설정되고, 가요성 도관(126)은 다층 기판(122)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즉,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일부 경우에, 적층형 유체 회로(120)가 트레이(110)로부터 최종 사용자로 별도로 수송되거나 또는 발송되는 동안 가요성 도관(126)이 비편향된 위치에 설정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개의 채널(124)이 각각의 가요성 도관(126)에 대해 획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요성 도관(126)이 편향된 위치에 설정되어 다층 기판(122)의 단절된 부분 및 채널(124)의 포괄된 신장부가 나머지 평면의 다층 기판(122)에 대해 기울어지고, 만곡되고, 벤딩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동된다. 일단 적층형 유체 회로(120)가 트레이(110) 상에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유체 저장소(112)에 수용된 유체를 유체 디바이스(140)로 전달한다면 가요성 도관(126)은 편향된 위치에 설정될 수도 있다.
다층 기판(122) 내에 획정된 채널(124) 및 다층 기판(122)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단절된 가요성 도관(126)의 상세사항이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다.
도 6은 가요성 도관(126)이 다층 기판(122)을 통해 절삭부(128)를 절삭함으로써 형성되는, 적층형 유체 회로(120)의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개의 채널(124)이 각각의 가요성 도관(126)에 대해 획정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서 각각 라인(A-A 및 B-B)을 따라 취한 다층 기판(122)의 3층 구성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라인(A-A 및 B-B)을 따라 취한 다층 기판(122)의 2층 구성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기판(122)의 3층 구성에 대해, 채널(124)은 층(701)의 상부면(706)으로부터 제1 층(701)의 하부면(708)으로 슬롯(704)을 절삭함으로써 형성된다. 채널(124)은 제2 층(702)의 접합면(705)을 제1 층(701)의 상부면(706)에 고정시키고 제3 층(703)의 접합면(707)을 제1 층(701)의 하부면(708)에 고정시킴으로써 동봉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각각의 가요성 도관(126)은 제1, 제2 및 제3 층(701 내지 703)을 통해 절삭부(128)를 절삭함으로써 형성된다. 다층 기판(122)의 층(701 내지 703)을 통해 절삭부(128)를 절삭함으로써, 가요성 도관(126)의 측면(712)은 다층 기판(122)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개의 채널(124)이 각각의 가요성 도관(126)에 대해 획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채널(124)은 다층 기판(122)의 나머지를 따라 가요성 도관(126)으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124)은 제1 층(701)을 통해 연장되는 슬롯(704)에 의해 획정되고 제2 층(702)의 접합면(705) 및 제3 층(703)의 접합면(707)에 의해 동봉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기판(122)의 2층 구성에 대해, 채널(124)은 제1 층(901)의 접합면(903)을 따라 제1 홈(906) 그리고 제2 층(902)의 접합면(904)을 따라 제2 홈(908)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채널(124)은 채널(124)을 획정하기 위해 제1 홈(906)을 제2 홈(908)과 정렬하는 방식으로 제1 층(901)의 접합면(903)을 제2 층(902)의 접합면(904)에 고정시킴으로써 동봉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124)은 제1 및 제2 층(901, 902)의 접합면 중 단 하나의 접합면을 따라 홈을 형성하고 홈을 다른 층(901, 902)의 접합면으로 동봉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요성 도관(126)은 제1 및 제2 층(901 및 902)을 통해 절삭부(128)를 절삭함으로써 형성된다. 다층 기판(122)의 층(901, 902)을 통해 절삭부(128)를 절삭함으로써, 가요성 도관(126)의 측면(912)은 다층 기판(122)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개의 채널(124)이 각각의 가요성 도관(126)에 대해 획정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채널(124)은 다층 기판(122)의 나머지를 따라 가요성 도관(126)으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124)은 제1 및 제2 층(901, 902)의 정렬된 홈(906, 908)에 의해 획정된다.
도 11은 가요성 도관(126)이 스코어 라인(1102)을 다층 기판(122)에 또는 다층 기판을 통해 형성하고 채널(124)의 신장부(예를 들어, 단자 단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쌈으로써 형성되는 적층형 유체 회로(120)의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를 도시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스코어 라인(1102)은 적층형 유체 회로(120)에 형성된 구멍 또는 다른 부분적인 절삭부, 만입부 등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개의 채널(124)이 각각의 가요성 도관(126)에 대해 획정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라인(C-C)을 따라 취한 다층 기판(122)의 3층 구성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1의 라인(C-C)을 따라 취한 다층 기판(122)의 2층 구성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기판(122)의 3층 구성하에서, 채널(124)은 제1 층(1201)의 상부면(1206)으로부터 제1 층(1201)의 하부면(1208)으로 슬롯(1204)을 절삭함으로써 형성된다. 채널(124)은 제2 층(1202)의 접합면(1205)을 제1 층(1201)의 상부면(1206)에 고정시키고 제3 층(1203)의 접합면(1207)을 제1 층(1201)의 하부면(1208)에 고정시킴으로써 동봉된다. 가요성 도관(126)은 실시예에서, 제1, 제2 및 제3 층(1201 내지 1203) 중 하나 이상의 층을 통해 형성되는, 스코어 라인(1102)을 다층 기판(122)에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스코어 라인(1102)이 부분적인 홈, 천공된 라인, 선형 만입부, 또는 라인(1102)을 따라 기판(122)을 국부적으로 약하게 하고 외부 힘의 인가 시 스코어 라인(1102)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다층 기판(122)의 부분이 기판(122)의 나머지로부터 제어 가능하게 분리되게 하는 임의의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어서, 스코어 라인(1102)이 가요성 도관(126)의 측면을 획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개의 채널(124)이 각각의 가요성 도관(126)에 대해 획정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기판(122)의 2층 구성하에서, 채널(124)은 제1 층(1301)의 접합면(1303)을 따라 제1 홈(1306) 그리고 제2 층(1302)의 접합면(1304)을 따라 제2 홈(1308)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채널(124)은 채널(124)을 획정하기 위해 제1 홈(1306)을 제2 홈(1308)과 정렬하는 방식으로 제1 층(1301)의 접합면(1303)을 제2 층(1304 )의 접합면(1304)에 고정시킴으로써 동봉된다. 가요성 도관(126)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층(1301, 1302) 중 하나 이상의 층을 통해 형성되는, 스코어 라인(1102)을 다층 기판(122)에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다시, 스코어 라인(1102)이 부분적인 홈, 천공된 라인, 선형 만입부, 또는 라인(1102)을 따라 기판(122)을 국부적으로 약하게 하고 외부 힘의 인가 시 스코어 라인(1102)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다층 기판(122)의 부분이 기판(122)의 나머지로부터 제거되게 하는 임의의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어서, 스코어 라인(1102)이 가요성 도관(126)의 측면을 획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개의 채널(124)이 각각의 가요성 도관(126)에 대해 획정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트레이(110)는 제1 저장소(1402) 및 제1 저장소(1402)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2 저장소(1404)(예시된 구현예에서 3개)를 포함한다. 제1 저장소(1402)는 하단부(1410), 하단부(1410)로부터 연장되는 벽(1412)의 세트, 벽(1412)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저장소(1402)를 둘러싸는 플랜지(1414)를 포함한다. 제2 저장소(1404)가 플레이트(1420)를 스탬핑함으로써 형성되어, 각각의 제2 저장소(1404)는 플레이트(1420)의 평면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하단부(1422) 및 하단부(1422)로부터 플레이트(1420)의 평면의 표면으로 연장되는 벽(1424)의 세트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420)가 제1 저장소(1402)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플랜지(1414)에 의해 지지되어, 제2 저장소(1404)가 제1 저장소(1402) 내에 존재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저장소(1402)는 제2 저장소(1404)의 각각보다 더 큰 용적의 유체를 수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저장소(1402)는 제2 저장소(1404)에 수용된 유체의 유형보다 더 빈번하게 또는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유체, 예컨대, 수화 버퍼 또는 세척 용액을 수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저장소(1404)는 제1 저장소(1402)에 저장된 수화 버퍼의 도입을 통해 건조 상태로부터 액체 상태로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동결 건조된 시약을 수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레이(110)가 트레이의 목적지로 수송되는 동안 그리고 트레이(110)가 다층 기판(122)에 처음에 연결될 때 제2 저장소(1404)가 비어 있을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비어 있는 제2 유체 저장소(1404)가 혼합 웰(mixing well)로서 사용될 수도 있어서 비어 있는 제2 유체 저장소(114)가 유체 작동 동안 2개 이상의 다른 유체 저장소로부터 시약 유체를 수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비어 있는 제2 유체 저장소(1404)가 스테이징 웰(staging well)(예를 들어, 캐시 저장소)로서 사용될 수도 있어서 비어 있는 제2 유체 저장소(114)는 유체 작동 동안 또 다른 유체 저장소에 저장되는 시약 유체의 부분 표본을 수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유체 저장소(1404)는 내부에 밀봉되는(예를 들어, 관통 가능한 포일에 의해 내부에 밀봉되는) 액체 시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저장소(1402)가 가요성 도관(126) 중 임의의 가요성 도관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되지 않지만, 오히려 포트(130)를 통해 채널(124)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레이(110)가 적층형 유체 회로(110)의 포트(130)에 연결되고 제1 저장소(1402)로 연장되는 도관(1406)을 포함하여 도관(1406)은 제1 저장소(1402)를 채널(124)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2 저장소(1404)는 적층형 유체 회로(120)의 기판(122)을 통해 형성된 대응하는 절삭부(128) 아래에 배치되고 대응하는 가요성 도관(126)에 의해 채널(124)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저장소(1402)는 가요성 도관(126)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6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카트리지(100)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다. 실례가 되는 실시예에서, 적층형 유체 회로(120)는 제1 층(1601), 제2 층(1602), 및 제3 층(1603)을 포함한다. 제2 층(1602)은 제1 층(1601)과 제3 층(1603)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층(1602)은 제1 층(1601) 및 제3 층(1603)에 의해 동봉된 하나 이상의 채널(124)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슬롯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 16의 트레이(110)는 제1 저장소(1402) 및 제1 저장소(1402) 내에 배치된 제2 저장소(1404)를 포함한다. 제1 저장소(1402)는 수화 버퍼 유체(1622)를 수용할 수도 있고 유체 포트(130)에 연결된 도관(1406)에 의해 적층형 유체 회로(120)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저장소(1404)는 동결 건조된 시약(1624)을 건조 상태로 수용할 수도 있다. 제2 저장소(1404)가 제2 유체 저장소(1404)의 개구를 덮는 포일(1620)에 의해 밀봉될 수도 있어서 포일(1620)이 수분이 제2 저장소(1404)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해서, 동결 건조된 시약(1624)을 건조 상태로 유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유체 저장소(1404)는 내부에 밀봉되는(예를 들어, 관통 가능한 포일(1620)에 의해 내부에 밀봉되는) 액체 시약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카트리지(100)는 적층형 유체 회로(120) 상에 배치되고 트레이(110)의 반대편에 있는 단단한 덮개(16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단한 덮개(1610)가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져서 단단한 덮개(1610)는 강성도를 적층형 유체 회로(120)의 다층 기판(122)에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단한 덮개(1610)는 덮개(1610)의 평면의 표면(1611)에 대해 피벗되도록 구성되는 펀치(1612)를 포함한다. 덮개(1610)가 적층형 유체 회로(120) 상에 작동 가능하게 장착될 때, 덮개(1610)는 펀치(1612)를 대응하는 가요성 도관(126)의 적어도 일부 위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다층 기판(122)에 대해 정렬된다. 덮개(1610)가 다층 기판(122) 상에서 정렬되는 경우에, 펀치(1612)는 가요성 도관(126)을 다층 기판(122)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유체 저장소,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유체 저장소(1404)로 편향시키도록 (예를 들어, 수동으로 또는 기계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가요성 도관(126)을 편향시키는 동안, 펀치(1612) 자체가 가요성 도관(126)을 천공하거나 또는 가요성 도관이 제2 유체 저장소(1404)를 덮는 포일(1620)을 통해 천공되게 하여, 가요성 도관(126)이 천공된 포일(1620)을 통해 편향되어 채널(124)을 제2 유체 저장소(1604)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개의 채널(124)이 각각의 가요성 도관(126)에 대해 획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덮개(1610)는 제2 유체 저장소(1404)와 대응하는 채널(124) 사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제2 유체 저장소(1404) 및 채널(124) 중 하나의 채널과 작동 가능하게 연관된 밸브(161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1614)는 소형의 둥근 딥으로 이루어진 핀치 밸브이고 대응하는 채널(124)을 밀봉하기 위해 (예를 들어, 외부 핀치 로드를 사용하여) 압축될 수도 있다.
유체 카트리지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7은 적층형 유체 회로(120) 및 적어도 하나의 유체 저장소(112)를 포함하는 유체 카트리지(100)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1700)을 예시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1700)은 기판 물질의 층의 표면 내 홈 또는 기판 물질의 층을 통한 슬롯을 형성하는 단계(1702)를 포함한다. 도 7,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면, 다층 기판(122)의 3층 구성하에서, 단계(1702)는 층(701, 1201)을 통해 슬롯(704, 1204)을 절삭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롯(704, 1204)을 형성하는 단계(1702)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층(701, 1201)을 통해 절삭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9, 도 10 및 도 13을 참조하면, 다층 기판(122)의 2층 구성하에서, 단계(1702)는 제1 홈(906, 1306)을 제1 층(901, 1301)의 접합면(903, 1303)에 형성하고, 임의로, 제2 홈(908, 1308)을 제2 층(902, 1302)의 접합면(904, 1304)에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방법(1700)은 하나 이상의 층을 홈 또는 슬롯을 포함하는 층에 적층하여 실질적으로 평면의 다층 기판(122)을 형성하고 홈 또는 슬롯을 동봉하여 채널(124)을 형성하는 단계(170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층은 폴리머 또는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하고, 단계(1704)는 다양한 플라스틱 층을 함께 접착식으로 또는 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7,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면, 다층 기판(122)의 3층 구성하에서, 단계(1704)는 층(702, 1202)(상단층)과 층(703, 1203)(하단층)을 층(701, 1201)(중간층)에 적층하여 층(702, 1202)과 층(703, 1203)이 층(701, 1201)에 형성된 슬롯(704, 1104)을 동봉하여 채널(124)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9, 도 10 및 도 13을 참조하면, 다층 기판(122)의 2층 구성하에서, 단계(1704)는 제1 층(901, 1301)을 제2 층(902, 1302)에 적층하여 제1 층(901, 1301)의 접합면(903, 1303)을 따라 형성된 제1 홈(906, 1306)이 제2 층(902, 1302)의 접합면(904, 1304)을 따라 형성된 제2 홈(908, 1308)과 정렬되어 채널(124)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방법(1700)은 채널(124)의 신장부를 포괄하는 다층 기판(122)의 부분을 단절하여 단절된 부분이 다층 기판(122)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여 가요성 도관(126)을 형성하는 단계(1706)를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단절하는 단계(1706)는 다층 기판(122)의 하나 이상의 층(701 내지 703, 901 및 902)을 통해 절삭부(128)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절삭부(128)가 다층 기판(122)의 단절된 부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가요성 도관(126)을 형성하도록 성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절삭부(128)는 펀치를 포함하는 다이 커터(미도시)를 사용하고 절삭부(128)를 형성하기 위해 다층 기판(122)을 통해 펀치를 누름으로써 또는 다층 기판(122)에서 홈 및 절삭부를 절삭하는 레이저 커터에 의해 형성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단절하는 단계(1706)는 스코어 라인(1102)을 다층 기판(122)에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스코어 라인(1102)이 채널(124)의 신장부를 포괄하는 다층 기판(122)의 단절된 부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성형되어, 스코어 라인(1102)은 다층 기판(122)의 단절된 부분이 기판(122)의 단절된 부분에 대한 외부 힘의 인가 시 다층 기판(122)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게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구멍 또는 다른 부분적인 단절부는 스코어 라인(1102) 대신에 또는 스코어 라인에 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방법(1700)은 유체 저장소(112)가 가요성 도관(126) 아래에 배치되도록 다층 기판(122)을 유체 저장소(112)에 연결시키는 단계(1708)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시키는 단계(1708)는 다층 기판(122)을 복수의 유체 저장소(112)를 포함하는 트레이(110) 상에 장착하는 것을 포함하고, 단계(1708)는 각각의 가요성 도관(126)을 대응하는 유체 저장소(112)의 적어도 일부 위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다층 기판(122)을 트레이(110)에 대해 정렬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층 기판(122)은 다양한 공정, 예컨대, 풀 또는 감압 접착제를 사용하여 다층 기판(122)의 하단면을 트레이(110)의 상단면에 접착하는 것 또는 다층 기판(122)을 트레이(110)의 상단면에 레이저 용접하는 것에 의해 트레이(1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방법(1700)은 가요성 도관(126)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펀치(1612)를 포함할 수도 있는, 단단한 덮개(1610)에 다층 기판을 연결시키는 단계(171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계(1710)는 펀치(1612)를 가요성 도관(126)의 적어도 일부 위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덮개(1610)를 다층 기판(122)과 정렬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방법(1700)은 예를 들어, 펀치(1612)를 가요성 도관(126)에 대해 작동시킴으로써, 가요성 도관(126)을 유체 저장소(112)를 향하여 다층 기판(122)에 대해 편향시키는 단계(171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계(1712)는 유체 저장소(112)를 덮는 포일(1620)을 천공하여, 가요성 도관(126)이 천공된 포일(1620)을 통해 편향되어 다층 기판(122) 내 채널(124)을 유체 저장소(112)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단계(1712)는 저장소(112)가 발송 및 저장 동안 건조된 채로 있다면 제작 과정 동안 행해질 수 있거나 또는 단계(1712)는 유체 카트리지(100)를 사용하기 직전에 처리 기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전술한 개념과 부가적인 개념(이러한 개념이 서로 불일치하지 않은 경우)의 모든 조합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주제의 일부인 것으로 고려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본 개시내용의 끝에서 나타나는 청구범위의 주제의 모든 조합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주제의 일부인 것으로 고려된다. 참조에 의해 원용되는 임의의 개시내용에 또한 나타날 수도 있는 본 명세서에서 명백히 채용되는 전문용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한 개념과 의미적으로 가장 일치한 것으로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구현예
구현예 1. 장치로서, 유체 저장소; 및 유체 저장소 위에 배치된 적층형 유체 회로로서, 실질적으로 평면의 기판을 획정하도록 함께 적층된 2개 이상의 층; 기판 내에 획정된 하나 이상의 채널, 및 기판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한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신장부를 포괄하는 기판의 부분에 의해 획정되는 가요성 도관을 포함하는, 적층형 유체 회로를 포함하되, 가요성 도관은 기판의 부분 및 채널의 포괄된 신장부를 포함하고, 가요성 도관이 유체 저장소를 향하여 평면의 기판에 대해 편향 가능하여 가요성 도관이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유체 저장소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장치.
구현예 2. 구현예 1에 있어서, 기판은 기판을 통해 형성되고 채널의 신장부를 포괄하는 기판의 부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절삭부를 포함하는, 장치.
구현예 3. 구현예 1에 있어서, 기판은 채널의 신장부를 포괄하는 기판의 부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스코어 라인을 포함하고, 스코어 라인은 기판의 부분에 대한 외부 힘의 인가 시 기판의 부분이 기판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게 하는, 장치.
구현예 4. 구현예 1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층은 제1 층, 제2 층 및 제3 층을 포함하고, 제1 층은 제2 층과 제3 층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층과 제3 층에 의해 반대측에서 덮일 때 하나 이상의 채널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하는, 장치.
구현예 5. 구현예 1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층은 제1 층 및 제1 층에 적층된 제2 층을 포함하고, 적어도 제1 층은 층의 표면에 형성되고 제2 층에 의해 덮일 때 하나 이상의 채널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장치.
구현예 6. 구현예 1에 있어서, 기판은 함께 접착식으로 또는 열적으로 결합된 폴리머 물질의 2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장치.
구현예 7. 구현예 1에 있어서, 가요성 도관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전극을 더 포함하는, 장치.
구현예 8. 구현예 7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전극은 유체 저장소에 수용된 유체의 유체 레벨을 검출하는 것, 유체 저장소에 수용된 유체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 또는 유체 저장소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위한 것인, 장치.
구현예 9. 구현예 1에 있어서, 유체 저장소와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사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및 유체 저장소와 작동 가능하게 연관된 밸브를 더 포함하는, 장치.
구현예 10. 구현예 1에 있어서, 유체 회로 상에 배치되고 가요성 도관을 평면의 기판으로부터 멀리 유체 저장소로 편향시키기 위한 펀치를 포함하는 단단한 덮개를 더 포함하는, 장치.
구현예 11. 유체 저장소가 밀봉되도록 유체 저장소의 개구를 덮는 관통 가능한 포일을 더 포함하되, 펀치가 포일을 천공하고 가요성 도관을 천공된 포일을 통해 편향시켜서 가요성 도관을 유체 저장소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장치.
구현예 12. 방법으로서, 채널을 제1 층에 형성하고 하나 이상의 층을 제1 층에 적층하여 평면의 다층 기판을 형성해서 채널이 기판 내에 획정되는 단계; 및 채널의 신장부를 포괄하는 기판의 부분을 단절하여 단절된 부분이 기판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여 기판의 부분 및 채널의 포괄된 신장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도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가요성 도관은 평면의 기판에 대해 편향 가능한, 방법.
구현예 13. 구현예 12에 있어서, 채널을 제1 층에 형성하는 단계는 홈을 제1 층의 표면에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1 층에 적층된 하나 이상의 층은 홈을 동봉하는, 방법.
구현예 14. 구현예 12에 있어서, 채널을 제1 층에 형성하는 단계는 슬롯을 제1 층을 통해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1 층에 적층된 하나 이상의 층은 슬롯을 동봉하는, 방법.
구현예 15. 구현예 12에 있어서, 기판의 부분을 단절시키는 단계는 채널의 신장부를 포괄하는 기판의 부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절삭부를 기판을 통해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구현예 16. 구현예 12에 있어서, 기판의 부분을 단절시키는 단계는 채널의 신장부를 포괄하는 기판의 부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스코어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스코어 라인은 기판의 부분에 대한 외부 힘의 인가 시 기판의 부분이 기판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게 하는, 방법.
구현예 17. 구현예 12에 있어서, 가요성 도관이 비편향된 위치에 설정되는 동안 유체 저장소가 다층 기판 및 가요성 아래에 배치되도록 다층 기판을 유체 저장소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구현예 18. 구현예 17에 있어서, 가요성 도관 내 채널의 포괄된 신장부가 기판 내에 획정된 채널을 유체 저장소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가요성 도관을 유체 저장소를 향하여 기판에 대해 편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구현예 19. 구현예 18에 있어서, 가요성 도관을 편향시키는 단계 후에, 유체 저장소에 수용된 유체를 가요성 도관 내 채널의 포괄된 신장부를 통해 기판에 획정된 채널로 흡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구현예 20. 구현예 18에 있어서, 가요성 도관을 편향시키는 단계 후에, 유체를 기판 내에 획정된 채널 및 가요성 도관 내 채널의 포괄된 신장부를 통해 유체 저장소로 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구현예 21. 구현예 12에 있어서, 다층 기판을 단단한 덮개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구현예 22. 구현예 18에 있어서, 단단한 덮개는 가요성 도관을 평면의 기판에 대해 편향시키기 위한 펀치를 포함하는, 방법.
구현예 23. 구현예 16에 있어서, 제1 층 및 제1 층에 적층된 하나 이상의 층은 폴리머 물질의 2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층을 제1 층에 적층하는 단계는 층을 함께 접착식으로 또는 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구현예 24. 구현예 12에 있어서, 전극을 가요성 도관을 형성하는 기판의 부분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구현예 25. 장치로서, 실질적으로 평면의 기판을 획정하도록 함께 적층된 2개 이상의 층; 기판 내에 획정된 하나 이상의 채널, 및 기판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한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신장부를 포괄하는 기판의 부분에 의해 획정되는 가요성 도관을 포함하되, 가요성 도관은 기판의 부분 및 채널의 포괄된 신장부를 포함하고, 가요성 도관은 평면의 기판에 대해 편향 가능한, 장치.
구현예 26. 구현예 25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층은 제1 층, 제2 층 및 제3 층을 포함하고, 제1 층은 제2 층과 제3 층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층과 제3 층에 의해 반대측에서 덮일 때 하나 이상의 채널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하는, 장치.
구현예 27. 구현예 25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층은 제1 층 및 제1 층에 적층된 제2 층을 포함하고, 적어도 제1 층은 층의 표면에 형성되고 제2 층에 의해 덮일 때 하나 이상의 채널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장치.
구현예 28. 구현예 25에 있어서, 유체 저장소를 더 포함하되, 기판이 유체 저장소 위에 배치되어 가요성 도관이 유체 저장소를 향하여 편향 가능해서 기판 내에 획정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유체 저장소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가요성 도관은 유체 저장소에 수용된 유체를 기판 내에 획정된 채널로 흡입하기 위한 제1 채널 및 유체를 유체 저장소로 도입하기 위한 제2 채널을 포함하는, 장치.
구현예 29. 구현예 28에 있어서, 유체 저장소에 수용된 유체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가요성 도관 상에 배치된 센서를 더 포함하는, 장치.
구현예 30. 구현예 25에 있어서,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다층 기판을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전기 접촉부; 및 가요성 도관 상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전기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더 포함하는, 장치.
구현예 31. 구현예 25에 있어서, 가요성 도관은 비편향된 위치와 하나 이상의 편향된 위치 간에서 편향 가능하고, 가요성 도관은 비편향된 위치에서 기판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고, 가요성 도관은 하나 이상의 편향된 위치에서 기판에 대해 기울어지고, 만곡되거나 또는 벤딩되는, 장치.
본 개시내용의 주제가 특징부의 다양한 조합 및 하위조합을 포함하는, 특정한 실례가 되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당히 상세하게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 및 변형 및 변경을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쉽게 이해할 것이다. 게다가, 이러한 실시예, 조합 및 하위조합의 설명은 청구된 주제가 청구범위에서 분명히 언급되는 것과는 다른 특징부 또는 특징부의 조합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전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하기의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31)

  1. 장치로서,
    유체 저장소; 및
    상기 유체 저장소 위에 배치된 적층형 유체 회로로서,
    실질적으로 평면의 기판을 획정하도록 함께 적층된 2개 이상의 층;
    상기 기판 내에 획정된 하나 이상의 채널, 및
    상기 기판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한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신장부(extent)를 포괄(encompass)하는 상기 기판의 부분에 의해 획정되는 가요성 도관을 포함하는, 상기 적층형 유체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가요성 도관은 상기 기판의 상기 부분 및 상기 채널의 포괄된 신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도관이 상기 유체 저장소를 향하여 상기 평면의 기판에 대해 편향 가능하여 상기 가요성 도관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상기 유체 저장소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채널의 상기 신장부를 포괄하는 상기 기판의 상기 부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절삭부를 포함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채널의 상기 신장부를 포괄하는 상기 기판의 상기 부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스코어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스코어 라인은 상기 기판의 상기 부분에 대한 외부 힘의 인가 시 상기 기판의 상기 부분이 상기 기판의 상기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게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층은 제1 층, 제2 층 및 제3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은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에 의해 반대측에서 덮일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층은 제1 층 및 상기 제1 층에 적층된 제2 층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제1 층은 층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층에 의해 덮일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함께 접착식으로 또는 열적으로 결합된 폴리머 물질의 2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도관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전극을 더 포함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극은 상기 유체 저장소에 수용된 유체의 유체 레벨을 검출하는 것, 상기 유체 저장소에 수용된 유체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 또는 상기 유체 저장소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위한 것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저장소와 상기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사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및 상기 유체 저장소와 작동 가능하게 연관된 밸브를 더 포함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회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가요성 도관을 상기 평면의 기판으로부터 멀리 상기 유체 저장소로 편향시키기 위한 펀치를 포함하는 단단한 덮개를 더 포함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저장소가 밀봉되도록 상기 유체 저장소의 개구를 덮는 관통 가능한 포일을 더 포함하되,
    상기 펀치가 상기 포일을 천공하고 상기 가요성 도관을 천공된 포일을 통해 편향시켜서 상기 가요성 도관을 상기 유체 저장소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장치.
  12. 방법으로서,
    채널을 제1 층에 형성하고 하나 이상의 층을 상기 제1 층에 적층하여 평면의 다층 기판을 형성해서 상기 채널이 상기 기판 내에 획정되는 단계; 및
    상기 채널의 신장부를 포괄하는 상기 기판의 부분을 단절하여 단절된 부분이 상기 기판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여 상기 기판의 상기 부분 및 상기 채널의 포괄된 신장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도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가요성 도관은 평면의 기판에 대해 편향 가능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을 상기 제1 층에 형성하는 단계는 홈을 상기 제1 층의 표면에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에 적층된 상기 하나 이상의 층은 홈을 동봉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을 상기 제1 층에 형성하는 단계는 슬롯을 상기 제1 층을 통해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에 적층된 상기 하나 이상의 층은 상기 슬롯을 동봉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부분을 단절시키는 단계는 상기 채널의 상기 신장부를 포괄하는 상기 기판의 상기 부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절삭부를 상기 기판을 통해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부분을 단절시키는 단계는 상기 채널의 상기 신장부를 포괄하는 상기 기판의 상기 부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스코어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스코어 라인은 상기 기판의 상기 부분에 대한 외부 힘의 인가 시 상기 기판의 상기 부분이 상기 기판의 상기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게 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도관이 비편향된 위치에 설정되는 동안 유체 저장소가 상기 다층 기판 및 상기 가요성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다층 기판을 상기 유체 저장소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도관 내 상기 채널의 상기 포괄된 신장부가 상기 기판 내에 획정된 상기 채널을 상기 유체 저장소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상기 가요성 도관을 상기 유체 저장소를 향하여 상기 기판에 대해 편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도관을 편향시키는 단계 후에, 상기 유체 저장소에 수용된 유체를 상기 가요성 도관 내 상기 채널의 상기 포괄된 신장부를 통해 상기 기판에 획정된 상기 채널로 흡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도관을 편향시키는 단계 후에, 유체를 상기 기판 내에 획정된 상기 채널 및 상기 가요성 도관 내 상기 채널의 상기 포괄된 신장부를 통해 상기 유체 저장소로 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기판을 단단한 덮개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단한 덮개는 상기 가요성 도관을 상기 평면의 기판에 대해 편향시키기 위한 펀치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1 층에 적층된 상기 하나 이상의 층은 폴리머 물질의 2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층을 상기 제1 층에 적층하는 단계는 층을 함께 접착식으로 또는 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4. 제12항에 있어서, 전극을 상기 가요성 도관을 형성하는 상기 기판의 부분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장치로서,
    실질적으로 평면의 기판을 획정하도록 함께 적층된 2개 이상의 층;
    상기 기판 내에 획정된 하나 이상의 채널, 및
    상기 기판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한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신장부를 포괄하는 상기 기판의 부분에 의해 획정되는 가요성 도관을 포함하되, 상기 가요성 도관은 상기 기판의 상기 부분 및 상기 채널의 포괄된 신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도관은 상기 평면의 기판에 대해 편향 가능한,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층은 제1 층, 제2 층 및 제3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은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에 의해 반대측에서 덮일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하는,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층은 제1 층 및 상기 제1 층에 적층된 제2 층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제1 층은 층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층에 의해 덮일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유체 저장소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기판이 상기 유체 저장소 위에 배치되어 상기 가요성 도관이 상기 유체 저장소를 향하여 편향 가능해서 상기 기판 내에 획정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상기 유체 저장소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가요성 도관은 상기 유체 저장소에 수용된 유체를 상기 기판 내에 획정된 상기 채널로 흡입하기 위한 제1 채널 및 유체를 상기 유체 저장소로 도입하기 위한 제2 채널을 포함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저장소에 수용된 유체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가요성 도관 상에 배치된 센서를 더 포함하는, 장치.
  30. 제25항에 있어서,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상기 다층 기판을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전기 접촉부; 및
    상기 가요성 도관 상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더 포함하는, 장치.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도관은 비편향된 위치와 하나 이상의 편향된 위치 간에서 편향 가능하고,
    상기 가요성 도관은 상기 비편향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고, 상기 가요성 도관은 상기 하나 이상의 편향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대해 기울어지고, 만곡되거나 또는 벤딩되는, 장치.
KR1020207037040A 2018-11-16 2019-11-14 유체 카트리지를 위한 적층형 유체 회로 KR202100926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68278P 2018-11-16 2018-11-16
US62/768,278 2018-11-16
PCT/US2019/061461 WO2020102521A1 (en) 2018-11-16 2019-11-14 Laminate fluidic circuit for a fluid cart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676A true KR20210092676A (ko) 2021-07-26

Family

ID=70731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040A KR20210092676A (ko) 2018-11-16 2019-11-14 유체 카트리지를 위한 적층형 유체 회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11511274B2 (ko)
EP (1) EP3880363A4 (ko)
JP (1) JP7449876B2 (ko)
KR (1) KR20210092676A (ko)
CN (1) CN112654427B (ko)
AU (1) AU2019378009A1 (ko)
BR (1) BR112020026480A2 (ko)
CA (1) CA3103828A1 (ko)
IL (1) IL279679B2 (ko)
MX (1) MX2020014071A (ko)
SG (1) SG11202012644TA (ko)
TW (1) TWI822905B (ko)
WO (1) WO20201025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1100A1 (ko) * 2021-12-24 2023-06-29 한국과학기술원 진단을 위한 센서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8722A (en) 1987-12-11 1989-07-18 Integrated Fluidics, Inc. Valve with flexible sheet member
US6293012B1 (en) 1997-07-21 2001-09-25 Ysi Incorporated Method of making a fluid flow module
US6167910B1 (en) 1998-01-20 2001-01-02 Caliper Technologies Corp. Multi-layer microfluidic devices
US6572830B1 (en) 1998-10-09 2003-06-03 Motorola, Inc. Integrated multilayered microfludic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100865105B1 (ko) 1999-06-28 2008-10-24 캘리포니아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마이크로 가공된 탄성중합체 밸브 및 펌프 시스템
ATE372830T1 (de) 1999-07-07 2007-09-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ikrofluidischer artikel
US6431212B1 (en) 2000-05-24 2002-08-13 Jon W. Hayenga Valve for use in microfluidic structures
US7097809B2 (en) 2000-10-03 2006-08-29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Combinatorial synthesis system
EP1345698A4 (en) 2000-11-16 2006-05-17 Fluidigm Corp MICROFLUID DEVICES FOR THE INTRODUCTION AND DISPOSAL OF FLUIDS FROM MICROFLUID SYSTEMS
US6767194B2 (en) * 2001-01-08 2004-07-27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Valves and pumps for microfluidic systems and method for making microfluidic systems
WO2002072264A1 (en) 2001-03-09 2002-09-19 Biomicro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microfluidic interfacing to arrays
US6981522B2 (en) 2001-06-07 2006-01-03 Nanostream, Inc. Microfluidic devices with distributing inputs
US6729352B2 (en) 2001-06-07 2004-05-04 Nanostream, Inc. Microfluidic synthesis devices and methods
US7069952B1 (en) 2001-11-14 2006-07-04 Caliper Life Sciences, Inc. Microfluidic device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WO2003072255A1 (en) 2002-02-23 2003-09-04 Nanostream, Inc. Microfluidic multi-splitter
US8080221B2 (en) * 2002-08-05 2011-12-20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Capillary-channel probes for liquid pickup, transportation and dispense using stressy metal
US7241420B2 (en) 2002-08-05 2007-07-10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Capillary-channel probes for liquid pickup, transportation and dispense using stressy metal
US7390457B2 (en) 2002-10-31 2008-06-24 Agilent Technologies, Inc. Integrated microfluidic array device
US7402279B2 (en) 2002-10-31 2008-07-22 Agilent Technologies, Inc. Device with integrated microfluidic and electronic components
JP2006512092A (ja) 2002-12-30 2006-04-13 ザ・リージェンツ・オブ・ジ・ユニバーシティ・オブ・カリフォルニア 病原体の検出および分析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476363B2 (en) 2003-04-03 2009-01-13 Fluidigm Corporation Microfluidic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same
CA2563406C (en) * 2004-04-23 2013-09-17 Research Triangle Institute Flexible electrostatic actuator
US7608160B2 (en) 2004-10-13 2009-10-27 Rheonix, Inc. Laminated microfluidic structures and method for making
WO2006053588A1 (en) * 2004-11-17 2006-05-26 Agilent Technologies, Inc. Supply arrangement with supply reservoir element and fluidic device
GB0511132D0 (en) 2005-06-01 2005-07-06 Plastic Logic Ltd Layer-selective laser ablation patterning
US20080218934A1 (en) * 2005-09-09 2008-09-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Manufacturing a Microsystem, Such a Microsystem, a Stack of Foils Comprising Such a Microsystem,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uch a Microsystem and Use of the Electronic Device
JP2009509134A (ja) * 2005-09-20 2009-03-0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微小流体調節装置
US9056291B2 (en) * 2005-11-30 2015-06-16 Micronics, Inc. Microfluidic reactor system
WO2007110671A2 (en) 2006-03-29 2007-10-04 Plastic Logic Limited Techniques for device fabrication with self-aligned electrodes
US8147774B2 (en) 2006-07-05 2012-04-03 Aida Engineering, Ltd. Micro passage chip and fluid transferring method
WO2008101196A1 (en) 2007-02-15 2008-08-21 Osmetech Molecular Diagnostics Fluidics devices
US8506908B2 (en) * 2007-03-09 2013-08-13 Vantix Holdings Limited Electrochemical detection system
WO2009126826A1 (en) 2008-04-11 2009-10-15 Fluidigm Corporation Multilevel microfluidic systems and methods
US8573259B2 (en) 2009-03-25 2013-11-0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odular microfluidic assembly block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EP2438154A1 (en) 2009-06-02 2012-04-11 Integenx Inc. Fluidic devices with diaphragm valves
GB2472321B (en) * 2009-07-31 2014-03-05 Oxley Hughes Ltd Means for improved liquid handling in a microplate
WO2011019516A2 (en) 2009-08-11 2011-02-17 Baril Corporation Microfluidic diagnostic device
US9759718B2 (en) 2009-11-23 2017-09-12 Cyvek, Inc. PDMS membrane-confined nucleic acid and antibody/antigen-functionalized microlength tube capture elements, and systems employing them, and methods of their use
DE102011015184B4 (de) * 2010-06-02 2013-11-21 Thinxxs Microtechnology Ag Vorrichtung für den Transport kleiner Volumina eines Fluids, insbesondere Mikropumpe oder Mikroventil
GB2481187B (en) 2010-06-04 2014-10-29 Plastic Logic Ltd Processing substrates
KR20120015593A (ko) 2010-08-12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 밸브를 갖는 미세 유체 소자
MX337943B (es) 2011-05-18 2016-03-29 Focus Diagnostics Inc Sistemas y metodos para detectar la presencia de un volumen seleccionado de material en un dispositivo de procesamiento de muestra.
ITTO20120703A1 (it) 2012-08-03 2014-02-04 Biomerieux Sa Dispositivo microfluidico monouso, cartuccia includente il dispositivo microfluidico, apparecchio per eseguire una amplificazione di acido nucleico, metodo di fabbricazione del dispositivo microfluidico, e metodo di uso del dispositivo microfluidico
US8961904B2 (en) 2013-07-16 2015-02-24 Premium Genetics (Uk) Ltd. Microfluidic chip
AU2014305889B2 (en) * 2013-08-08 2017-06-29 Illumina, Inc. Fluidic system for reagent delivery to a flow cell
US8951825B1 (en) * 2013-09-10 2015-02-10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olar cell texturing
US10286395B2 (en) 2014-03-20 2019-05-14 Nec Corporation Microchip, microchip controlling method and microchip controlling apparatus
EP3154691B1 (en) * 2014-06-16 2022-06-29 Siemens Healthineers Nederland B.V. Cartridge for fast sample intake
CN106065391A (zh) 2016-07-20 2016-11-02 国家纳米科学中心 用于单细胞分选和单细胞全基因组扩增的微流控芯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1100A1 (ko) * 2021-12-24 2023-06-29 한국과학기술원 진단을 위한 센서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22905B (zh) 2023-11-21
EP3880363A4 (en) 2022-08-10
US11511274B2 (en) 2022-11-29
MX2020014071A (es) 2021-05-27
SG11202012644TA (en) 2021-01-28
US20230048094A1 (en) 2023-02-16
AU2019378009A1 (en) 2021-01-14
CN112654427B (zh) 2022-12-27
JP2022505003A (ja) 2022-01-14
US20200254450A1 (en) 2020-08-13
CA3103828A1 (en) 2020-05-22
EP3880363A1 (en) 2021-09-22
JP7449876B2 (ja) 2024-03-14
CN112654427A (zh) 2021-04-13
BR112020026480A2 (pt) 2021-05-18
IL279679B1 (en) 2023-04-01
WO2020102521A1 (en) 2020-05-22
IL279679A (en) 2021-03-01
TW202024598A (zh) 2020-07-01
IL279679B2 (en)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581B1 (ko) 평행한 공압 계면판을 갖춘 마이크로 유체 카트리지
US8425863B2 (en) Micro fluidic device
US7357898B2 (en) Microfluidics package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8808641B2 (en) Assembly of a microfluidic device for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WO2007125468A2 (en) Fluid sample transport device with reduced dead volume for processing, controlling and/or detecting a fluid sample
US8808648B2 (en) Disposable for analyzing a liquid sample by nucleic acid amplification
CA2971921A1 (en) Heterogeneous membrane electrodes
JP6216451B2 (ja) 生化学用試薬類保存デバイス、及び生化学用分析装置
US9259731B2 (en) Liquid reagent containing microchip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and packaged liquid reagent containing microchip
US20230048094A1 (en) Laminate fluidic circuit for a fluid cartridge
US20080073019A1 (en) Microfluidics Chips and Methods of Using Same
RU2807078C2 (ru) Слоистый контур текучей среды для картриджа текучей среды
US20140166113A1 (en) Fluid handling device, fluid handling method, and fluid handling system
CN211339448U (zh) 微流体装置及基因测序仪
CN110684640A (zh) 微流体装置及基因测序仪
CA3067184A1 (en) Flow cell with flexible connection
JP2006003145A (ja) マイクロチ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117424A (ja) 流体取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