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2461A - 화물 선적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물 선적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2461A
KR20210092461A KR1020200005883A KR20200005883A KR20210092461A KR 20210092461 A KR20210092461 A KR 20210092461A KR 1020200005883 A KR1020200005883 A KR 1020200005883A KR 20200005883 A KR20200005883 A KR 20200005883A KR 20210092461 A KR20210092461 A KR 20210092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information
deck
area
manag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7517B1 (ko
Inventor
배유수
최진석
이훈
Original Assignee
(주)토탈소프트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탈소프트뱅크 filed Critical (주)토탈소프트뱅크
Priority to KR1020200005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517B1/ko
Priority to PCT/KR2020/018774 priority patent/WO2021145579A1/ko
Publication of KR20210092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선적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의 길이와 크기 및 높이를 고려하여 화물 선적 계획을 설정하고 설정된 계획에 따라 화물을 배치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화물 선적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물 선적 관리 장치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ARGO SHIP MANAGEMENT}
본 발명은 화물 선적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의 길이와 크기 및 높이를 고려하여 화물 선적 계획을 설정하고 설정된 계획에 따라 화물을 배치하는 화물 선적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물이 선박에 적재되는 순서는,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 및 선박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화물의 선적 순서가 계획되지 않은 경우, 화물의 선적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고 시간 및 비용 측면에서 손해가 발생될 수 있다.
일반적인 선적의 경우에는 각종 시설들이 선박운항형태의 변화에 따른 즉각적인 요구를 수용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대형의 고가 장비 도입에 따른 채산성 부족의 이유로 시설의 확충보다는 기존 운영방식의 개선이나 자동화 및 전산화하는 형태로의 전환을 우선적인 대안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하지만, 단기간의 전산화의 도입으로 운영시스템의 질적 효과를 감안하지 않은 외향적 전산화가 상당수이며, 단순히 인력에 의한 수작업을 컴퓨터에 의한 업무로 전환한 것에 불과한 것도 있고, 중복적인 작업이나 비효율적인 작업의 형태가 전산화된 운영시스템에 여전히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이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115274호
본 발명은 특정 선박 기준 선적 계획 수립 기준 설정, 선적 대상 화물 식별, 선적 공간에 대한 적재 현황 식별 및 규칙 및 제약 조건을 고려하여 화물 배치하는 화물 선적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물 선적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선적 관리 장치는 기본 계획 정보, 기준 정보, 화물 정보, 데크 정보 및 제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설정부, 초기화 정보, 개별 화물 정보, 개별 데크 정보 및 개별 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고 설정부의 설정 값을 전달 받아 화물 선적 계획의 초기화를 진행하는 전처리부 및 계획 실행 정보를 입력 받고, 전처리부의 초기화 값을 전달 받는 계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화물 선적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선적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는 장축 화물의 선적 궤적 생성 방법에 있어서, 기본 계획 정보, 기준 정보, 화물 정보, 데크 정보 및 제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단계, 초기화 정보, 개별 화물 정보, 개별 데크 정보 및 개별 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고 설정부의 설정 값을 전달 받아 화물 선적 계획의 초기화를 진행하는 단계 및 계획 실행 정보를 입력 받고, 전처리부의 초기화 값을 전달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 및 선박의 형상에 따라 화물 선적 계획을 설정하고 설정된 계획에 따라 화물을 배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선적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선적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선적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물 선적 관리 장치(100)는 설정부(200), 전처리부(300) 및 계획부(400)를 포함한다.
설정부(200)는 화물 선적 관리 장치의 화물 선적 계획에 사용되는 설정값을 외부로부터 입력 받아 전처리부(300)로 전달한다.
설정부(200)는 기본 계획 정보, 기준 정보, 화물 정보, 데크 정보 및 제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다.
여기서 기본 계획 정보는 화물 검색 간격, 화물 높이 여유 간격, 화물 안전거리, 화물 배치 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 할 수 있다.
기준 정보는 화물의 중량, 장축 화물 여부, 세로(수직) 적재 영역, 세로(수직) 적재 넓이의 수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 할 수 있다.
화물 정보는 사용할 화물 선택, 화물 배치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 할 수 있다.
데크 정보는 데크 배치 방식, 데크별 가중치, 데크 영역 사용 방식, 사용할 데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 할 수 있다.
제약 정보는 데크의 높이 제한, 데크의 총 무게 제한, 데크 축 당 무게 제한, 라싱(Lashing) 작업 제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전처리부(300)는 설정부(200)의 설정 값을 전달 받아 화물 선적 계획의 실행 초기화를 실행하여 계획부(400)로 전달한다.
전처리부(300)는 초기화 정보, 개별 화물 정보, 개별 데크 정보 및 개별 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다.
여기서 초기화 정보는 화물 설정에 따른 대상 화물 조기화 정보, 데크 영역 식별 정보, 데크 영역의 공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 할 수 있다.
개별 화물 정보는 선적할 물량 정보를 포함 할 수 있다.
개별 데크 정보는 적재 영역 배치 정보, 데크 영역 식별 정보의 갱신 유무, 데크 적재 가능 여부, 데크 영역의 사용방식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 할 수 있다.
개별 영역 정보는 선택된 데크의 사용 여부, 화물 이동 동선의 데크 사용여부, 선택된 데크 영역의 제약 여부, 선택된 데크의 공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내지 도 4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계획부(400)는 전처리부(300)에서 설정된 초기화 값을 전달 받아 선적 계획을 시뮬레이션 한다. 선적 계획 시뮬레이션 후 발생되는 수정 및 보완 사항은 설정부(200) 및 전처리부(300)로 전달하여 수정된 값을 요청 한다.
계획부(400)는 계획 실행 정보를 입력 받는다.
여기서 계획 실행 정보는 축당 무게 제한 검사, 데크 높이 제한 검사, 화물 안전거리 반영유무, 화물 시작 위치, 적재할 화물의 존재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입력 받는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정부(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설정부(200)는 화물 선적 계획에 사용되는 설정값을 입력 받는 화면을 제공하며, 설정부(200)에서 설정된 설정값은 전처리부(300)로 전달된다.
설정부(200)는 화물 높이 여유 간격 설정, X축 방향 검색 간격, Y축 방향 검색 간격의 수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라인 플래닝 기능 활성화 유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화물 클래스 별로 안전거리를 지정하여 화물 과 화물 사이의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부는(200)는 중량 화물의 기준 중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량 화물을 10ton으로 설정한다면 10ton 이상의 화물은 중량 화물로 분류된다. 전술 한 방법으로, 높이가 높은 화물의 높이값, 장축 화물의 기준 길이, 수직 적재 영역의 너비, 데크가 가득 찼다고 판단하는 설정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부는(200)는 선적 계획의 대상 화물을 지정할 수 있다. 도2와 같이 모든 화물(201) 혹은 선택된 화물(202)을 선택하여 선적 계획의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지정된 화물의 배치 방식은 높은 높이의 화물 우선 적재(203), 고 중량 화물 우선 적재(204), 장축 화물 우선 적재(205)와 같이 가중치를 부여하여 배치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부는(200)는 사용 데크의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높이가 높은 데크, 수직이동 가능한 데크, 고정 데크, 하부 데크 중 하나를 설정 값으로 지정하여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으며, 데크의 제약 여부 또한 설정할 수 있다. 데크의 높이, 수직이동 가능한 데크의 높이, 데크의 총무게, 데크 축 당 무게, 라싱 제한의 제약 여부를 설정 할 수 있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처리부(3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전처리부(300)는 설정부(200)에서 전달 받은 설정값을 기본으로 대상 화물을 선택하여 선택된 화물의 설정 값을 초기화 한다.
전처리부(300)는 대상 화물을 선택하며, 선택된 대상 화물의 배치 순서를 화물 선적항(POL : Port of Loading) 기준 혹은 화물 도착항(POD : Port of Dischare) 기준으로 초기화 한다. 이후 설정부는(200)에서 설정된 배치 우선순위인 높은 높이의 화물 우선 적재(203), 고 중량 화물 우선 적재(204), 장축 화물 우선 적재(205)중 우선 순위가 높은 화물 순으로 배치를 시작한다.
전처리부(300)는 화물 배치를 시작하기 전 데크 높이를 초기화 하며, 화물을 적재할 선박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데크 구조 객체 초기화 후 화물 적재 방향을 초기화 한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화물 진입 램프가 제 5데크 영역(309)에 존재 한다면 데크 별 하역 작업 기준 진행 방향 램프와 그 반대 방향 램프를 식별하고, 두 램프를 기준으로 제1 데크 영역(305), 제2 데크 영역(306), 제3 데크 영역(307), 제4 데크 영역(308), 제5 데크 영역(309)으로 분할하여 화물 적재 방향을 결정한다.
전처리부(300)는 데크에서 특정 영역을 선택하여 지정 할 수 있고, 선택된 특정 영역을 제외 하여 데크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특정영역이 선택 되지 않은 데크(401)에 제1 선택영역(402)을 지정하면, 데크(401)에서 제1 선택영역(402)을 제외한 데크 영역(403)에 데크 영역을 분할 하여 화물 배치를 초기화 한다.
전처리부(300)는 화물 적재 방향을 초기화 후 개별 화물 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화물 정보를 초기화 한다.
전처리부(300)는 데크 영역이 화물을 적재 할 수 있는 빈 공간을 검사하기 위해
분할 된 데크 영역(305,306,307,308,309)과 개별 화물 정보를 이용하여 화물 적재 영역에 적재가 가능한지 계산하며, 계산하는 방법은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해당 데크 영역에 적재가 불가능 하다고 판단한다. 또한, 개별 화물의 안전 거리를 고려하여 화물의 넓이에 0%~20%를 더할 수 있고, 화물 적재 방향 영역의 넓이가 일정 수치 이하이거나, 램프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사용량 수치를 낮게 하여 판단 가능하다.
전처리부(300)는 다른 실시예로 선박에 AEU(Hyundai Accent Equivalent Unit) 기준 적재 대수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데크 AEU 값과 화물의 환산 AEU 값을 가지고 데크 사용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 계산하는 방법은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계획부(400)는 전처리부(300)에서 설정된 초기화 값을 전달 받아 선적 계획을 시뮬레이션 하고, 설정부(200)와 전처리부(300)에서 입력된 값을 동일한 포맷으로 변경하여 통일된 매개변수를 지정한다. 이후, 설정부(200)에서 설정된 제약정보를 기초로 축당 무게 제한 및 데크 높이 제한을 비교한 후 시뮬레이션을 시작 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선적 관리 방법 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00에서 화물 선적 관리장치(100)는 화물 선적 계획 설정값을 입력 받는다.
단계 S505에서 화물 선적 관리장치(100)는 대상 화물을 선택 한다.
단계 S510에서 화물 선적 관리장치(100)는 데크 영역을 선택 한다.
단계 S515에서 화물 선적 관리장치(100)는 화물 배치 방향을 결정 한다.
단계 S520에서 화물 선적 관리장치(100)는 데크 영역에서 화물을 적재하는 공간이 있는지 계산한다.
단계 S525에서 화물 선적 관리장치(100)는 데크 영역에서 화물을 적재하는 공간이 있는지 계산 후 화물 간 충돌이 발생하는지 판단 한다.
단계 S530에서 화물 선적 관리장치(100)는 화물 간 충돌이 발생하면 데크 영역의 제반 사항을 확인한다.
단계 S535에서 화물 선적 관리장치(100)는 화물 크기 및 정보를 수집한다.
단계 S540에서 화물 선적 관리장치(100)는 화물을 이동한다.
단계 S545에서 화물 선적 관리장치(100)는 이동된 화물의 배치 라인을 확인한다.
단계 S550에서 화물 선적 관리장치(100)는 다음 화물을 선택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 예 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화물 선적 관리 장치
200 : 설정부
201 : 모든 화물
202 : 선택된 화물
203 : 제1 배치 우선 순위
204 : 제2 배치 우선 순위
205 : 제3 배치 우선 순위
300 : 전처리부
301 : 제1 데크
302 : 제2 데크
303 : 제3 데크
304 : 수직 적재 영역
305 : 제1 데크 영역
306 : 제2 데크 영역
307 : 제3 데크 영역
308 : 제4 데크 영역
309 : 제5 데크 영역
400 : 계획부
401 : 데크
402 : 제1 선택 영역
403 : 제외 영역
404 : 제2 선택 영역

Claims (8)

  1. 화물 선적 관리 장치에 있어서,
    기본 계획 정보, 기준 정보, 화물 정보, 데크 정보 및 제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설정부;
    초기화 정보, 개별 화물 정보, 개별 데크 정보 및 개별 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고 상기 설정부의 설정 값을 전달 받아 화물 선적 계획의 초기화를 진행하는 전처리부; 및
    계획 실행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전처리부의 초기화 값을 전달 받는 계획부를 포함하는 화물 선적 관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계획 정보는
    화물 검색 간격, 화물 높이 여유 간격, 화물 안전거리, 화물 배치 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선적 관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정보는
    화물의 중량, 장축 화물 여부, 세로(수직) 적재 영역, 세로(수직) 적재 넓이의 수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선적 관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대상 화물을 선택하며, 선택된 대상 화물의 배치 순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선적 관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데크의 진행 방향 램프와 그 반대 방향 램프를 식별하고 데크 영역으로 분할 하여 화물 적재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선적 관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데크 에서 특정 영역을 선택하여 지정 하면 선택된 특정 영역을 제외 하여 데크 영역을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선적 관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데크 영역이 화물을 적재 할 수 있는 빈 공간을 계산하여 화물의 적재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선적 관리 장치.
  8. 화물 선적 관리 방법에 있어서,
    기본 계획 정보, 기준 정보, 화물 정보, 데크 정보 및 제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단계;
    초기화 정보, 개별 화물 정보, 개별 데크 정보 및 개별 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고 상기 설정부의 설정 값을 전달 받아 화물 선적 계획의 초기화를 진행하는 단계; 및
    계획 실행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전처리부의 초기화 값을 전달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물 선적 관리 방법.
KR1020200005883A 2020-01-16 2020-01-16 화물 선적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427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883A KR102427517B1 (ko) 2020-01-16 2020-01-16 화물 선적 관리 장치 및 방법
PCT/KR2020/018774 WO2021145579A1 (ko) 2020-01-16 2020-12-21 화물 선적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883A KR102427517B1 (ko) 2020-01-16 2020-01-16 화물 선적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461A true KR20210092461A (ko) 2021-07-26
KR102427517B1 KR102427517B1 (ko) 2022-08-02

Family

ID=7712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883A KR102427517B1 (ko) 2020-01-16 2020-01-16 화물 선적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5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256B1 (ko) * 2022-09-01 2023-05-04 엘케이시스(주) 클라우드를 이용한 화물 하역 계획 관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5274A (ko) 2008-05-01 2009-11-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
KR20130093253A (ko) * 2012-02-14 2013-08-22 주식회사 싸이버로지텍 컨테이너 선적 위치 결정 시스템, 그 시스템을 이용한 컨테이너 선적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034558A (ko) * 2014-09-22 2016-03-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램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5274A (ko) 2008-05-01 2009-11-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
KR20130093253A (ko) * 2012-02-14 2013-08-22 주식회사 싸이버로지텍 컨테이너 선적 위치 결정 시스템, 그 시스템을 이용한 컨테이너 선적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034558A (ko) * 2014-09-22 2016-03-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램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517B1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itsker GASP
CN109155013A (zh) 仓库中物品的托盘的自主重排
Evers Hidden benefits of emergency transshipments
EP1864924A1 (en) Stowage information creating device, stowage information creating method using same, method of lading cargo in transport container,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ed for them, and program
Wang et al. Real‐Time Trailer Scheduling for Crossdock Operations
Brouer et al. Big data optimization in maritime logistics
US20120310706A1 (en) Revenue manageme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US20180300683A1 (en) Joint Delivery Planning Apparatus and Joint Delivery Planning Method
KR102427517B1 (ko) 화물 선적 관리 장치 및 방법
Zajac et al. An unloading work model at an intermodal terminal
EP2236444A1 (en) Transportaion planning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KR20010017928A (ko) 컨테이너 터미널의 설계시 시뮬레이션 방법
JP2012141755A (ja) 配送管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Grubišić et al. A solution of berth allocation problem in inland waterway ports
KR20220068664A (ko) 화물 선적 계획 방법을 이용한 화물선적관리장치 및 방법
JP2010001114A (ja) 船舶運航計画作成方法および装置
KR102529256B1 (ko) 클라우드를 이용한 화물 하역 계획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704818B1 (ko) 수송 관리 장치 및 방법, 그 기억 매체
Olson et al. Medium-range scheduling for a freighter fleet
Loke et al. Analysis of variables of vessel calls in a container terminal
KR20220068662A (ko) 화물 선적 정렬 방법을 이용한 화물선적관리장치 및 방법
Coindreau et al. Integrating workload smoothing and inventory reduction in three intermodal logistics platforms of a European car manufacturer
JP7148960B2 (ja) 車両割当装置、車両割り当て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166938A (ja) トラックバース仕様決定システム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70365028A1 (en) Shipping support device, shipping suppor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