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2157A - 단열갱폼 - Google Patents

단열갱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2157A
KR20210092157A KR1020210076346A KR20210076346A KR20210092157A KR 20210092157 A KR20210092157 A KR 20210092157A KR 1020210076346 A KR1020210076346 A KR 1020210076346A KR 20210076346 A KR20210076346 A KR 20210076346A KR 20210092157 A KR20210092157 A KR 20210092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plate
curtain film
gang form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석호
강정기
이광길
김무성
김대년
정수호
Original Assignee
에스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6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2157A/ko
Publication of KR20210092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7Plugs to close openings in forms'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갱폼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부벽체 형성용 콘크리트를 양생하기 위한 단열재가 마련된 갱폼에 있어서, 내부 거푸집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내부 거푸집과의 사이에 양생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지지부재로서,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판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배치되는 제2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을 연결하는 코너판을 포함하는 판부재;
상기 제1지지판의 일면에 배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1수평지지대와, 상기 제2지지판의 일면에 배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2수평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판의 일면에 배치되며 제1수평지지대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제1단열재와, 상기 제2지지판의 일면에 배치되며 제2수평지지대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제2단열재와, 상기 코너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3단열재를 포함하는 단열갱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열갱폼{Insulating gang form}
본 발명은 단열갱폼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너 부위에서도 단열성능이 향상된 단열갱폼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물과 시멘트의 화학반응, 즉 수화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수화열에 의해서 경화한다. 콘크리트 경화는 외기온도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게 되는데, 겨울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수화반응의 지연과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동결로 인한 동해는 콘크리트의 경화 또는 강도 형성을 억제한다. 또한, 여름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수분의 급격한 증발로 인해 습윤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수화열과 외기온도로 인해 콘크리트의 온도가 필요 이상으로 상승함에 따라 균열이 발생하여, 콘크리트에 치명적인 결함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보안 대책으로서, 서중 및 한중 콘크리트 양생 공정시에, 콘크리트 타설 후 구조물에 천막 또는 그늘막으로 감싸거나, 거푸집에 부직포를 접착제로 붙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천막은 급변하는 기후, 예컨대 장마, 해풍, 태풍, 또는 폭설에 쉽게 훼손될 수 있어 외기온도가 침입하여 콘크리트의 동해를 유발하기도 하고, 양생 중인 콘크리트가 외부에 노출되어 품질이 저하되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보수공사로 인해서 공사기간이 지연되기도 한다. 한편, 부직포는 외부에 노출되어 쉽게 훼손되고,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없어서 비효율적이며 비경제적이다.
이러한 외기온도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를 갱폼에 설치하는 기술이 등록특허 제1224293호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철판(10) 상면의 폼타이홀(11) 주변에 제2접착층(52)이 형성된다. 이때 폼타이홀(11)은 내부 거푸집과의 이격 형성을 위해 외부거푸집인 갱폼의 철판(10) 상면에 형성되는 구멍이다. 통상의 거푸집 형성시 상기 폼타이홀(11)을 통해 장볼트 형상의 고정쇠(60)가 체결되는 바, 상기 폼타이홀(11)을 통해 외부의 수분 또는 콘크리트 슬러지 등이 흘러 들어오거나 거푸집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로부터 수분이 흘러나와 단열보드(40)와 철판(10) 사이에 침투하게 되면 단열 효과가 현저히 감소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상기 폼타이홀(11) 주변에 제2접착층(52)이 형성되어 외부의 수분 침투와 내부의 유출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것이고, 그로 인해 단열보드(40)의 접착효과는 물론이고 폼타이홀(11) 형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분 침투를 방지하며, 아울러 국부적인 부위에만 접착층이 형성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 단열보드(40)의 박리가 용이해지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접착층(52)은 상기 폼타이홀(11) 주변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갱폼 단열구조는 건축물의 평면부분에는 적용하기 용이한 측면이 있으나 건축물의 코너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건축물의 코너는 단열재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단열재를 설치한 후에도 쉽게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단열성능을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게 된다.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은 어느 한 층의 콘크리트가 모두 경화된 후에야 비로서 새로운 층에 대한 공사가 가능한데 코너 부분이 겨울철에 외기에 접촉되어 쉽게 경화되지 않는 경우에는 공사를 진척하기 어렵고 이는 전체적인 공사지연의 요인이 되거나, 부실시공의 원인이 되는 일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갱폼의 코너 부분까지 단열재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단열갱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열 갱폼은, 건축물의 외부벽체 형성용 콘크리트를 양생하기 위한 단열재가 마련된 갱폼에 있어서,
내부 거푸집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내부 거푸집과의 사이에 양생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지지부재로서,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판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배치되는 제2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을 연결하는 코너판을 포함하는 판부재;
상기 제1지지판의 일면에 배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1수평지지대와, 상기 제2지지판의 일면에 배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2수평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판의 일면에 배치되며 제1수평지지대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제1단열재와, 상기 제2지지판의 일면에 배치되며 제2수평지지대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제2단열재와, 상기 코너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3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갱폼에 있어서,
상기 제3단열재는 제1단열재와 제2단열재 사이에 끼워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갱폼에 있어서,
상기 제3단열재는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일측은 제1단열재에 간섭되고, 타측은 제2단열재에 간섭될 수 있다.
상기 단열갱폼에 있어서,
상기 제3단열재는 상기 일면에 접착면이 형성되고 타측에 은박지가 부착된 접착식 단열시트로서, 접착면이 형성된 일면이 코너판에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단열갱폼은, 건축물의 외부벽체 형성용 콘크리트를 양생하기 위한 단열재가 마련된 갱폼에 있어서,
내부 거푸집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내부 거푸집과의 사이에 양생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지지부재로서, 일측에 제1연결판재가 마련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연결판재와 연결되는 제2연결판재가 마련되는 제2지지판이 마련된 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단열재와, 상기 제2지지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단열재와, 상기 제1연결판재와 제2연결판재를 적어도 일부분 접촉하여 감싸서 단열시키는 제3단열재로 구성된 단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갱폼에서,
상기 제1연결판재는, "ㄴ" 단면형상을 가지고, 제2연결판재는 일자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연결판재의 내측 코너에 단열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갱폼에서,
상기 제1연결판재의 내측 코너에는 제1연결판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내측 코너를 외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덮개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내측코너와 덮개부재의 사이에는 단열재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단열재 수용공간에 제3단열재가 끼워져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단열갱폼에서,
상기 제1연결판재와, 제2연결판재에는 상기 제1연결판재와 제2연결판재를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용 쐐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결속용 쐐기는 단열부재에 간섭되지 않게 단열부재의 두께보다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갱폼에서,
상기 제3단열재는, 제1연결판재와 제2연결판재를 모두 덮어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단열갱폼에서,
상기 제3단열재는, 일단이 제1연결판재의 내측코너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연결판재의 내측코너 타측에 탈부착가능하게 연결가능하며, 상기 제3단열재가 제2연결판재의 내측코너를 감싸면서 상기 내측 코너를 외기로부터 단열시킬 수 있다.
상기 단열갱폼에서,
상기 제3단열재는, 구부러짐이 용이한 은박단열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열갱폼은, 코너부에 단열부재가 마련되고 오픈 부분이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으로서 오픈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수개가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수평지지대;
상기 수평지지대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수직지지대;
상기 지지부재의 오픈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수평지지대 사이에 삽입되고 지지부재에 접촉되는 단열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오픈 부분을 폐쇄할 수 있는 커튼막을 구비하되,
상기 커튼막은, 오픈 부분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제1커튼막과 제2커튼막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커튼막과 제2커튼막은 작업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가능할 수 있다.
상기 단열갱폼에서,
상기 제1커튼막에서 제2커튼막에 근접한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제1자석이 일렬 배치되고, 상기 제2커튼막의 일측으로서 상기 제1커튼막과 겹쳐지는 부분에는 제1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하방향으로 제2자석이 일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갱폼에서,
상기 제1커튼막과 제2커튼막은 지퍼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갱폼의 코너 측에 단열재를 마련함으로서 더욱 향상된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단열갱폼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단면갱폼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단열갱폼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단열갱폼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단열갱폼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단열갱폼의 분리도.
도 7은 도 6의 결합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단열갱폼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단열갱폼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작동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따른 단열갱폼의 전면도.
도 12는 도 11의 커튼막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1의 커튼막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갱폼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갱폼은 건축물의 외부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의 양생 및 보온을 위한 것으로서, 외부 거푸집과 내부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 주입공간을 형성하고 있게 된다. 갱폼은 외기와 직접 접촉하고 있는 부분이므로 외부 온도에 민감한 영향을 받고 있는 바, 외부 온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단열재를 마련하고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갱폼이라고 하면 외부 거푸집과 내부 거푸집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단열과 관련되고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한 외부 거푸집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제1실시형태에 따른 단열갱폼(100)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에 따른 단열갱폼(100)은, 판부재(110), 지지부재(120) 및 단열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단열갱폼(100)의 내부에는 그 사이에 콘크리트 주입공간이 마련된 내부 거푸집(140)이 마련된다.
상기 판부재(110)는, 갱폼의 기본틀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제1지지판(111), 제2지지판(112) 및 코너판(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판(111)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지고 금속판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지지판(111)은 갱폼의 일면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평평한 판형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판(111)은 하나의 금속판일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여러장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지지판(112)은, 제1지지판(111)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정한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갱폼의 타면을 구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지지판(112)는 제1지지판(111)에 대해서 직각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사각형태의 건축물을 시공하는 경우 갱폼은 사각틀형태로 구성되는데, 이때 전면이 제1지지판(111)이라면 측면이 제2지지판(112)일 수 있다. 이때 제1지지판(111)과 제2지지판(112)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지지판(112)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지고 금속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지지판(112)은 갱폼의 타면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평평한 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지지판(112)은 하나의 금속판일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여러장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코너판(113)은, 상호 이격되고 서로 직각으로 배치된 상기 제1지지판(111)과 제2지지판(112)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갱폼의 코너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코너판(113)은 제1지지판(111)의 일측과 제2지지판(112)의 일측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비스듬하게 경사진 형태를 가지게 된다. 상기 코너판(113)은 금속소재의 금속판으로서 평평한 판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코너판(113)은 사각틀형상의 갱폼이라면 각 코너부마다 4개의 위치에 각각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상기 지지부재(12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로서 제1지지판(111), 제2지지판(112)에 각각 설치되며, 제1수평지지대(121)와, 제2수평지지대(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수평지지대(121)는, 제1지지판(111)의 일면에 배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수평지지대(121)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금속바의 형태를 가지며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제1지지판(111)의 일면에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지지판(111)의 외면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수평지지대(122)는, 제2지지판(112)의 일면에 배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수평지지대(122)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금속바의 형태를 가지며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제2지지판(112)의 일면에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2지지판(112)의 외측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열부재(130)는 판부재(110)에 일면에 부착되어 콘크리트의 수화열이 외기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단열부재(130)는 판부재(110)의 내면에 부착되어 콘크리트의 수화열이 금속판을 통하여 외기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단열부재(130)는, 제1단열재(131)와, 제2단열재(132)와, 제3단열재(1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열재(131)는, 각각의 제1수평지지대(121)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단열재(131)는, 공장 성형품인 단열보드로서 제1수평지지대(121)의 간격에 맞춰서 미리 폭과 길이를 정해둔 상태로 현장에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단열재(131)의 두께는 현장여건에 따라서 다양한 치수가 가능하나 30~40mm 사이를 가지는 것이 좋고 35mm 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단열재(131)는 제1지지판(111)과 마주보면서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콘크리트 양생시 제1단열재(131)를 통해 콘크리트 측으로 외부의 열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단열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갱폼 처리를 위하여 박리되어 제거되는 구성이다. 제1단열재(131)는 제거되어 폐기되고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지지판(111)은 녹여서 새로운 판부재(110)로 제작하여 재활용된다. 이때 제1단열재(131)는 재활용과정에서 불순물로 작용함으로서 고철가격이 매우 낮아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제1단열재(131)를 접착제 등으로 부착하지 않고 간편한 구조로 분리가능하게 제1지지판(111)에 설치되는 것이 중요하다.한편, 제1단열재(131)는 그 재질이 폴리우레탄 재질의 경질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단열성능이 높은 소재라면 그 외에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제2단열재(132)는 제2지지판(112)의 일면에 배치되며 수평지지대 사이에 마련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단열재(132)는 제1단열재(13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에 놓여진 상태로 상기 제2지지판(112)에 설치되게 된다. 상기 제2단열재(132)는 상기 제1단열재(131)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폴리우레탄 재질의 경질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3단열재(133)는, 상기 코너판(113)의 일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갱폼의 코너부를 단열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3단열재(133)는 제1단열재(131)의 가장자리와 제2단열재(132)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어 끼워져 배치되어 있으며 그 사이 공간을 채우도록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다만 제3단열재(133)의 단면형상이 삼각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다리꼴이나 기타 다양한 형상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단열재(131)를 제1지지판(111)의 일면에 설치한 후에 코너판(113)에 이러한 제3단열재(133)가 설치되고, 그 이후에 제2단열재(132)를 제2지지판(112)의 일면에 설치함으로서 제2단열재(132)를 설치한 후에는 제3단열재(133)가 제1단열재(131) 및 제2단열재(132)에 의하여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3단열재(133)는 제1, 2단열재와 동일한 폴리우레탄 재질의 경질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단열성능이 높은 소재라면 그 외에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단열갱폼(100)은, 동해를 입기 쉬운 가장 취약부위중의 하나인 코너에 해당하는 코너판(113)에 제3단열재(133)가 설치되어 있어서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3단열재(133)는 제1, 2단열재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어서 설치 및 고정이 간편하고 설치후에는 빠지지 않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단열갱폼(100)은,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2실시형태에 따른 단열갱폼(100)은 제3단열재의 구조면에서 제1실시형태의 단열갱폼(100)과 차이가 난다.
구체적으로 제2실시형태에 따른 단열갱폼(100)은, 내부 거푸집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내부 거푸집과의 사이에 양생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지지부재(120)로서, 제1지지판(111)과, 상기 제1지지판(111)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지지판(112)과, 상기 제1지지판(111)과 제2지지판(112)의 사이에 배치되는 코너판(113)을 포함하는 판부재(110);
상기 제1지지판(111)의 일면에 배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1수평지지대(121)와, 상기 제2지지판(112)의 일면에 배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2수평지지대(122)를 포함하는 지지부재(120); 및
상기 제1지지판(111)의 일면에 배치되며 제1수평지지대(121)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제1단열재(131)와, 상기 제2지지판(112)의 일면에 배치되며 제2수평지지대(122)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제2단열재(132)와, 상기 코너판(113)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3단열재(133')를 포함한다.
이때 제3단열재(133')는, 코너판(113)에 접착형태로 부착되어 있게 되며 구체적으로는 일면에는 접착면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은박지가 부착된 접착식 단열시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3단열재(133')는 은박 단열시트로 구성되어 단열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접착식 단열시트이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후에는 코너판(113)에서 이탈되지 않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단열갱폼(20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단열갱폼(200)은, 지지부재(210)와, 단열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210)는, 내부 거푸집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내부 거푸집과의 사이에 양생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제1지지판(220)과 제2지지판(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판(220)은 갱폼의 일면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제2지지판(230)과 연결을 위한 제1연결판재(221)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1연결판재(221)는 제2지지판(230)의 제2연결판재(231)와 연결되어 제1지지판(220)과 제2지지판(230)이 서로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연결판재(221)는 전체적으로 "ㄴ"자 단면형상을 가지면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연결판재(221)는 제1지지판(220)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진 제1부분(222)과, 제1지지판(220)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부분(222)과 직각인 제2부분(2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부분(222)과 제2부분(223)의 사이 부분에는 내측 코너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제1연결판재(221)의 내측 코너에는 제1연결판재(22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내측 코너를 외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덮개부재(224)가 마련된다.
이때 덮개부재(224)는 "r"형상을 가지면서 일단은 제1부분(222)에 부착되고 타측은 제2부분(223)에 부착되며 내측코너와 협동하여 단열재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부분(223)에는 결속용 쐐기(250)가 삽입되는 제1결속구멍(2231)이 형성되어 있게 되며, 상기 제1결속구멍(2231)은 결속용 쐐기(25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지지판(230)은, 상기 제1연결판재(221)와 연결되는 제2연결판재(231)가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판재(231)는, 상기 제2지지판(230)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1연결판재(221)의 제2부분(223)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연결판재(231)에는 결속용 쐐기(250)가 삽입되는 제2결속구멍(2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속용 쐐기(250)는 상기 제1결속구멍(2231)과 제2결속구멍(2311)을 통과하여 삽입됨으로서 제1연결판재(221)와 제2연결판재(231)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결속용 쐐기(250)는 제2단열재(242)가 놓이는 위치보다 높게 위치하는데, 즉, 제2지지판(230)에서 떨어진 위치가 제2단열재(242)의 두께보다 멀게 위치함으로서 제2단열재(242)에 간섭되지 않게 한다.
상기 단열부재(240)는, 상기 제1지지판(220)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단열재(241)와, 상기 제2지지판(230)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단열재(242)와, 상기 제1연결판재(221)와 제2연결판재(231)를 적어도 일부분 접촉하여 감싸서 단열시키는 제3단열재(243)로 구성된다.
상기 제1단열재(241)와 제2단열재(242)는 판형태로 이루어지고 폴리우레탄 재질의 경질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단열성능이 높은 소재라면 그 외에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3단열재(243)는 제1연결판재(221)의 내측 코너와 덮개부재(224)에 의하여 형성된 단열재 수용공간 내에 삽입되어 배치됨으로서 갱폼의 코너를 단열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제3단열재(243)는 상기 단열재 수용공간과 대응되는 단면형태를 가지고 상기 단열재 수용공간을 채우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제3단열재(243)로 인하여 갱폼의 코너에서의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열부재(240)의 상하부 끝단은 외기에 노출되지 않게 막혀 있어야 하며 이에 따라서 외기는 단열갱폼 내부에 침투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하부 끝단이 막혀야 한다는 것은 본 발명의 대부분의 실시형태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단열갱폼(200)은, 도 8에 도시되어 있게 된다.
이때 제3단열재(243')는 제1연결판재(221)와 제2연결판재(231)를 모두 덮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한다. 구체적으로 제1연결판재(221)는 제1지지판(220)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이며, 제2연결판재(231)는 제2지지판(230)에 수평하게 에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1연결판재(221)와 제2연결판재(231)는 서로 접촉되어 배치됨으로서 제1지지판(220)과 제2지지판(230)을 서로 결속되게 한다. 이때 제3단열재(243')가 상기 제1연결판재(221)와 제2연결판재(231)를 모두 덮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코너를 통하여 콘크리트의 수화열이 외기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단열갱폼(20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단열갱폼(200)은 내부 거푸집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내부 거푸집과의 사이에 양생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지지부재(210)로서, 일측에 제1연결판재(221)가 마련되는 제1지지판(220)과, 상기 제1연결판재(221)와 연결되는 제2연결판재(231)가 마련되는 제2지지판(230)이 마련된 지지부재(210); 및
상기 제1지지판(220)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단열재(241)와, 상기 제2지지판(230)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단열재(242)와, 상기 제1연결판재(221)와 제2연결판재(231)를 적어도 일부분 접촉하여 감싸서 단열시키는 제3단열재(243'')로 구성된 단열부재(240)를 포함한다.
이때, 제3단열재(243'')는, 일단이 제1연결판재(221)의 내측코너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연결판재(231)의 내측코너 타측에 탈부착가능하게 연결가능하며, 상기 제3단열재(243'')가 제2연결판재(231)의 내측코너를 감싸면서 상기 내측 코너를 외기로부터 단열시키게 한다. 이때, 상기 제3단열재(243'')는, 구부러짐이 용이한 은박단열재로 구성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3단열재(243'')는 일측을 제1연결판재(221)의 일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타측을 구부려서 제1연결판재(221)의 다른 부분에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제1연결판재(221)의 내측 코너를 외기와 직접 닿지 않게 하고 보다 확실한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제3단열재(243'')를 타측에 결합시키는 구조로서는 클립부재(244)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단열갱폼(3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10), 수평지지대(320), 수직지지대(330), 단열부재(340), 커튼막(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310)는, 코너부에 단열부재(340)가 마련되고 오픈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판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대(320)는, 상기 지지부재(310)의 상면으로서 오픈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수개가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배치된 것이다.
상기 수직지지대(330)는, 상기 수평지지대(32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이다. 수직지지대(330)는 수평지지대(320)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어서 수평지지대(320)의 굽힘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열부재(340)는, 상기 지지부재(310)의 오픈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수평지지대(320) 사이에 삽입되고 지지부재(310)에 접촉되는 것이다. 이러한 단열부재(340)는 지지부재(310)의 일면에 배치되어 있어서 외기가 직접적으로 콘크리트에 침투되지 않게 한다.
상기 커튼막(350)은, 상기 지지부재(310)의 오픈 부분을 폐쇄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오픈 부분을 가로지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커튼막(350)은 평상시에는 오픈 부분을 폐쇄하여 외기가 내부에 유입되지 않게 하고 작업자가 내부에 진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오픈되어 작업자의 진입을 허용하고, 작업자가 진입한 후에는 오픈 부분을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기존에는 오픈부분(311)이 비닐등으로 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진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비닐을 칼로 찢은 후에 진입하게 되어 1회용으로만 사용되고 있었으며, 필요시 차단막을 재시공해야 해서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반해서 본 발명은 상기 커튼막(350)은, 오픈 부분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제1커튼막(351)과 제2커튼막(352)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커튼막(351)과 제2커튼막(352)은 작업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커튼막(351)과 제2커튼막(352)은 각각 상단과 일측이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며 오픈 부분의 중앙부분에 해당되는 부분이 열려질 수 있도록 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커튼막(351)은 도 11에서 오픈 부분의 중앙 왼쪽에 배치되는 비닐막으로서, 상단과 좌측 가장자리는 소정의 고정체에 의하여 프레임에 고정되고, 제2커튼막(352)과 일부 겹쳐지는 제1커튼막(351)의 우측면과 하면은 프레임에 고정되지 않는다. 제1커튼막(351)의 우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제1자석(3511)이 일렬배치된다. 이때 자석은 네오디움 자석이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커튼막(352)은 도 11에서 오픈 부분의 중앙 오른쪽에 배치되는 비닐막으로서, 상단과 우측 가장자리는 소정의 고정체에 의하여 프레임에 고정되고, 제1커튼막(351)과 일부 겹쳐지는 제2커튼막(352)의 좌측면과 하면은 프레임에 고정되지 않는다. 제2커튼막(352)에서 제1커튼막(351)과 겹쳐지는 부분에는 제1자석(35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자석(3521)이 상하방향으로 일렬배치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단열시트는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서 내부에 진입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커튼막(350)의 중앙부분을 가볍게 밀어내어 제1자석(3511)과 제2자석(3521)을 서로 분리만 시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막(350)이 오픈되고, 이후에 작업자가 내부에 진입한 후에는 제1자석(3511)과 제2자석(3521)이 서로 붙음으로서 커튼막(350)이 오픈부분(311)을 외부로부터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오픈부분을 개폐하는 구조로서 제1, 2 커튼막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커튼막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커튼막을 가운데에 두고 양쪽에 제1, 3 커튼막이 배치되고 제1, 2 커튼막과, 제2, 3 커튼막이 자석에 의하여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3개의 커튼막이 설치된 경우에는 가운데에 배치되는 제2커튼막만을 밀어서 오픈 부분에 진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오픈부분을 개폐하는 구조는 제4커튼막을 추가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자석이 일렬로 배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자석이 2열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그외 다양한 배열이 가능하다.
도 13는 다른 형태의 커튼막(350)으로서 커튼막(350)은 제1커튼막(351)과 제2커튼막(352) 사이에 지퍼(353)를 이용하여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퍼(353)는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지퍼(353)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쉽게 커튼막(350)을 오픈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3에서는 지퍼 부분에 제1, 2 커튼막이 겹쳐지지 않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1, 2커튼막이 서로 겹쳐져서 지퍼 부분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2 및 도 13은 자석과 지퍼를 통하여 커튼막을 개폐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자석과 지퍼가 동시에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필요하다면 다른 구성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내지 6실시형태에 나타난 단열갱폼은 폼타이 체결부, 코너부위, 창호 등 출입구에서의 단열성능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들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100...단열갱폼 110...판부재
111...제1지지판 112...제2지지판
113...코너판 120...지지부재
121...제1수평지지대 122...제2수평지지대
130...단열부재 131...제1단열재
132...제2단열재 133...제3단열재

Claims (3)

  1. 코너부에 단열부재가 마련되고 오픈 부분이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으로서 오픈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수개가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수평지지대;
    상기 수평지지대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수직지지대;
    상기 지지부재의 오픈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수평지지대 사이에 삽입되고 지지부재에 접촉되는 단열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오픈 부분을 폐쇄할 수 있는 커튼막을 구비하되,
    상기 커튼막은, 오픈 부분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제1커튼막과 제2커튼막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커튼막과 제2커튼막은 작업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갱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튼막에서 제2커튼막에 근접한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제1자석이 일렬 배치되고, 상기 제2커튼막의 일측으로서 상기 제1커튼막과 겹쳐지는 부분에는 제1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제2자석이 일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갱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튼막과 제2커튼막은 지퍼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갱폼.
KR1020210076346A 2020-01-15 2021-06-11 단열갱폼 KR20210092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346A KR20210092157A (ko) 2020-01-15 2021-06-11 단열갱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603A KR102340320B1 (ko) 2020-01-15 2020-01-15 단열갱폼
KR1020210076346A KR20210092157A (ko) 2020-01-15 2021-06-11 단열갱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603A Division KR102340320B1 (ko) 2020-01-15 2020-01-15 단열갱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157A true KR20210092157A (ko) 2021-07-23

Family

ID=7715538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603A KR102340320B1 (ko) 2020-01-15 2020-01-15 단열갱폼
KR1020210076346A KR20210092157A (ko) 2020-01-15 2021-06-11 단열갱폼
KR1020210076345A KR20210092156A (ko) 2020-01-15 2021-06-11 단열갱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603A KR102340320B1 (ko) 2020-01-15 2020-01-15 단열갱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345A KR20210092156A (ko) 2020-01-15 2021-06-11 단열갱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40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58965A (zh) * 2023-05-30 2023-08-29 山东省六竣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复合石墨烯取暖墙板及其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470B1 (ko) * 2019-02-21 2019-07-30 미진정공(주) 버블시트를 이용한 갱폼 개구 차단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58965A (zh) * 2023-05-30 2023-08-29 山东省六竣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复合石墨烯取暖墙板及其加工方法
CN116658965B (zh) * 2023-05-30 2024-04-16 山东省六竣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复合石墨烯取暖墙板及其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320B1 (ko) 2021-12-20
KR20210092077A (ko) 2021-07-23
KR20210092156A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0185B1 (en) Buck for use with insulated concrete forms
US81226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nishing an edge of an insulated concrete form (ICF) wall
US7596915B2 (en) Slab edge insulating form system and methods
US20040200171A1 (en) Exterior building cladding having rigid foam layer with drain channels
CA1294792C (en) Air barrier sealing device
KR102508320B1 (ko) 갱폼에 단열재를 고정하는 방법
WO2020204515A1 (ko) 블록형 단열 거푸집
CA2900237A1 (en) Form board and method of constructing form using the same
KR102316502B1 (ko) 단열갱폼 및 단열갱폼을 이용한 건물벽체 시공방법
KR102340320B1 (ko) 단열갱폼
US10132077B2 (en) Fast construction of energy-efficient buildings
CA2659984C (en) Fastener element and system for curing concrete
KR101377248B1 (ko) 외벽 패널 고정구조
KR101043751B1 (ko) 슬라브용 단열 데크플레이트
US20150075095A1 (en) Construction device for releasing moisture from a building
KR102367435B1 (ko)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및 시공방법
RU2626980C2 (ru) Фасадная система и угловой элемент для такой системы
CN211499258U (zh) 一种预制保温外墙板
JP6901296B2 (ja) 配管構造、建物、および配管設置方法
KR100650500B1 (ko) 시공이 용이한 공동주택의 기초부 외단열구조
KR102159321B1 (ko) 단열 갱폼 및 건물벽체 시공 방법
KR102108862B1 (ko)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JP3269044B2 (ja) 建物の床下断熱構造及び建物の床下断熱方法
WO2016043784A1 (en) A construction device for releasing moisture from a building
JPS5835801Y2 (ja) 建築用断熱下地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