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2049A -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2049A
KR20210092049A KR1020200005539A KR20200005539A KR20210092049A KR 20210092049 A KR20210092049 A KR 20210092049A KR 1020200005539 A KR1020200005539 A KR 1020200005539A KR 20200005539 A KR20200005539 A KR 20200005539A KR 20210092049 A KR20210092049 A KR 20210092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tating member
wind power
power rotating
engin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연철
양병희
Original Assignee
양연철
양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연철, 양병희 filed Critical 양연철
Priority to KR1020200005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2049A/ko
Publication of KR20210092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8/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L8/006Converting flow of air into electric energy, e.g. by using wind tur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horizon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2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moving objects, e.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K2016/006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wind power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4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movable wheeled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0Energy harvesting concepts as power supply for auxiliaries' energy consumption, e.g. photovoltaic sun-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브래킷부재; 상기 한 쌍의 브래킷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엔진룸으로 유입된 바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풍력회전부재; 상기 풍력회전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너레이터; 상기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된 배터리;를 마련하여 풍력회전부재에 의해 제너레이터를 구동시킬 수 있고, 엔진룸에 설치된 2개의 풍력회전부재 및 제너레이터에 의해 배터리를 보조적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뒷좌석에 설치된 풍력회전부재에 의해서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종래의 라디에이터에 의한 저항이 있었으나, 저항이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Car Battery Charger}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를 보조적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프론트 엔드모듈은 차체의 전방부(front part of the body framework)를 형성한다.
차량용 프론트 엔드모듈은 열교환기(라디에이터, 콘덴서 등), 헤드램프, 범퍼 등을 지지하는 캐리어를 포함한다.
캐리어는 어퍼 멤버, 로어 멤버, 사이드멤버 등을 가진다. 내연기관이 장착된 차량은 차체의 전방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냉각성능이 요구되고, 이에 내연기관이 장착된 차량의 범퍼 커버는 그 상부영역에 형성된 어퍼 그릴(upper grille) 및 그 하부영역에 형성된 로어 그릴(lower grille)를 가진다.
이에 따라 내연기관이 장착된 차량의 프론트 엔드모듈은 어퍼 그릴 및 로어 그릴에 부합하는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캐리어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그 높은 강성이 요구된다.
한편, 캐리어의 로어 멤버는 차체의 전방부에 배치된 다른 부품과의 간섭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차체의 전방부 설계 시에 여러가지 제한이 수반될 수 있었다.
이에 캐리어의 로어 멤버를 삭제할 경우에는 다른 부품과의 간섭 문제, 중량 감소, 원가 절감 등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캐리어의 로어 멤버를 삭제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이에 반해, 전기자동차는 차체의 전방부에 내연기관이 장착되지 않음에 따라 차체의 전방부에 대한 냉각성능이 상대적으로 낮게 요구되고, 이에 전기자동차의 범퍼 커버는 그 상부 영역은 폐쇄되고, 그 하부영역에는 로어 그릴(lower grille)이 형성된다.
이러한 로어 그릴에 인접하여 액티브 에어 플랩(active air flap)이 배치되고, 액티브 에어 플랩의 개방에 의해 외부 공기가 열교환기 측으로 가이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수냉식 냉각장치는 실린더와 연소실을 둘러싸는 워터재킷, 물을 실린더 내로 압송 순환시키는 워터펌프, 온도가 높은 냉각수의 열을 외기에 전달하여 냉각하는 라디에이터, 라디에이터의 통풍을 돕는 팬, 시동 직후에 냉각수를 빨리 적정 온도로 올리기 위한 서모스탯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냉식 냉각장치는 실린더 블록, 실린더 헤드에 냉각수의 통로를 만들어 여기에 물을 통과시켜 엔진 각부를 냉각하고, 실린더 블록을 냉각한 냉각수는 크랭크축 풀리로 구동되는 워터펌프에 의해 강제적으로 라이에이터 호스에서 라디에이터로 보내지고, 상기 라디에이터로 보내진 냉각수는 라디에이터에서 방열하고, 다시 엔진으로 돌아와서 엔진을 냉각한다.
상기 라디에이터는 큰 방열 면적을 가지며 다량의 물을 담을 수 있는 일종의 탱크로서, 라디에이터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파이프와 공기가 접촉할 수 있는 핀 부분으로 구성되어 가능한 한 많은 열을 대기 중으로 발산하기 위하여 큰 방열 면적을 갖도록 형성하고 있는바, 상기한 라디에이터를 차량의 외부와 분리시키고 차량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하여 차량의 프런트범퍼의 소정 부위에는 라디에이터그릴이 장착된다.
상기 라디에이터그릴은 차량의 전면부로부터 유입되는 바람을 일정하게 제한함과 더불어 차량의 외부에서 공기와 함께 들어오는 이물질로부터 라디에이터를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자동차의 프론트엔드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장치를 구성하는 콘덴서(condenser, 10)와, 엔진 냉각계를 구성하는 라디에이터(radiator, 20)와, 터보차저 엔진에서 과급 에어를 냉각시켜 주기 위한 인터쿨러(intercooler, 30)가 설치되어 차량 주행시 엔진룸으로 유입되는 주행풍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콘덴서(10)가 가장 앞쪽에 배치되고, 그 뒤에 근접하여 라디에이터(20)가 설치되며, 도시된 사이드바이사이드(side by side) 타입의 차량에서는 인터쿨러(30)가 콘덴서(10) 및 라디에이터(20)의 측부에 나란히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라디에이터(20)의 후방에는 공기의 유입과 엔진쪽으로의 송풍을 원활히 하기 위한 냉각팬(40)이 설치된다.
따라서, 주행시 라디에이터그릴과 범퍼커버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홀을 통해 유입되는 주행풍이 상기 콘덴서(10)와 라디에이터(20) 및 인터쿨러(30)를 통과하면서 상기 방열기들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냉매, 냉각수, 흡입공기를 냉각하게 된다.
한편, 상기 콘덴서(10)의 냉각성능이 향상되면 차량 실내 냉방성능이 향상되고, 라디에이터(20)의 경우에는 보다 원활하게 엔진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인터쿨러(30)의 경우에는 충진효율의 향상으로 엔진 출력과 연비가 향상된다.
따라서 상기 방열기들의 냉각성능 향상을 위해서 라디에이터그릴이나 범퍼커버 개구홀의 개구면적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라디에이터그릴 및 범퍼커버는 차량의 전면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 차량 외관 디자인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요소인 바, 개구면적을 크게 확보하는 것은 디자인 자유도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며, 더욱이 최근의 디자인 트렌드(trend)는 상기 개구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자동차의 충전기를 이용한 배터리충전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자동차의 충전기를 이용한 배터리충전시스템은 교류전원부의 출력단에 연결가능한 PFC 컨버터, 상기 PFC 컨버터와 고전압배터리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충전기의 구동 제어를 위한 것으로, 상기 교류전원부에서 출력하는 충전기 입력전압의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제1과정 및 상기 충전기 입력전압의 미발생 시, DC-DC 컨버터의 출력전류 지령을 충전기 입력전압의 발생 시의 출력전류 지령보다 작은 전류값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DC-DC 컨버터의 출력전력 지령을 충전기 입력전압의 발생 시의 출력전력 지령보다 작은 전력값으로 결정함으로써, PFC 컨버터의 출력단과 DC-DC 컨버터의 입력단 사이에 위치된 제1커패시터의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DC-DC 컨버터 입력전압이 충전기 구동이 가능한 최소 전압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시켜 충전기의 최소구동시간을 확보하는 제2과정을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그릴'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그릴은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그릴에 있어서, 복수개의 메탈필름 조각이 라디에이터 그릴의 전면에서 외관상 광택감이 필요한 미리 정해진 부위에 각각 배치되어 인서트되고, 인서트된 상기 메탈필름(10)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수지로 사출성형되어 제품 형상을 형성하여, 상기 전면에서 광택감을 가지는 복수개의 메탈필름이 광택감을 요하는 부분에만 인서트된 구조의 외관 형상을 가진다.
상기 메탈필름(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부위(10a)가 형성되고, 외관상 전면에서 볼 때 상기 메탈필름(10)의 절곡부위(10a)와 상기 수지로 성형된 부분의 경계부위를 따라서는 골(20a)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사출성형시 상기 메탈필름(10)의 절곡부위(10a)의 높이는 금형의 돌출부 높이에 비해 낮게 형성되도록 성형되며, 제품의 일부분에 대해 메탈필름(10)이 인서트되고, 메탈필름(10)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수지 부분은 엠보싱 처리되어 무도장한 제품으로 제조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137343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63159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3528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주행에 따라 차량의 엔진룸 내부로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전원을 발생시켜 이를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엔진룸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저면에서 뒷좌석으로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전원을 발생시켜 이를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는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브래킷부재(110); 상기 한 쌍의 브래킷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엔진룸 전면에서 유입된 바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풍력회전부재(130); 상기 풍력회전부재(1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너레이터(150); 상기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된 배터리(170);를 포함하며,
상기 제너레이터(150)는 상기 배터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래킷부재(110)는 상기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제1 고정브래킷(111); 상기 제1 고정브래킷(111)이 상기 차량의 엔진룸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구멍(112); 상기 풍력회전부재(130)의 회전축(131)이 결합되게 상기 제1 고정브래킷(111)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고정브래킷(113); 상기 제2 고정브래킷(113)에 상기 회전축(131)이 결합되도록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회전구멍(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풍력회전부재(13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회전축(131); 상기 엔진룸을 통해 유입된 바람에 의해 상기 회전축(131)이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축(131)의 외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회전날개(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풍력회전부재(130)는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엔진룸을 통해 유입된 바람이 상기 회전날개(13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풍력회전부재(130)는 상기 엔진룸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풍력회전부재(135)와, 상기 엔진룸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풍력회전부재(13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너레이터(150)는 상기 제1 풍력회전부재(135)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제너레이터(151)와, 상기 제2 풍력회전부재(136)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제너레이터(15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제너레이터(151)와 제2 제너레이터(152)는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풍력회전부재(130)는 차량의 뒷좌석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바닥면에는 차량의 주행에 따라 상기 풍력회전부재(130)가 회전되게 바람이 유입되는 뒷좌석 개구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뒷좌석 개부구(210)에는 바람의 유입을 개폐시키는 개폐댐퍼(2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에 의하면, 풍력회전부재에 의해 제너레이터를 구동시킬 수 있고, 엔진룸에 설치된 2개의 풍력회전부재 및 제너레이터에 의해 배터리를 보조적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뒷좌석에 설치된 풍력회전부재에 의해서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종래의 라디에이터에 의한 저항이 있었으나, 저항이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자동차 프론트엔드부에 설치되는 콘덴서와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설치 상태 평면도와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는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브래킷부재(110)와, 상기 한 쌍의 브래킷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엔진룸을 통해 유입된 바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풍력회전부재(130)와, 상기 풍력회전부재(1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너레이터(150)와, 상기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된 배터리(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는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설치되거나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에 따라 발생된 전원을 배터리(170)에 공급하여 충전시킴으로써 배터리(170)가 충전된 상태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는 풍력회전부재(130)를 차량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브래킷부재(110)와, 상기 한 쌍의 브래킷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풍력회전부재(130)와, 상기 풍력회전부재(130)에 의해 회전되는 제너레이터(150)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되는 배터리(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래킷부재(110)는 상기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제1 고정브래킷(111)와, 상기 제1 고정브래킷(111)이 상기 차량의 엔진룸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구멍(112)와, 상기 풍력회전부재(130)의 회전축(131)이 결합되게 상기 제1 고정브래킷(111)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고정브래킷(113)와, 상기 제2 고정브래킷(113)에 상기 회전축(131)이 결합되도록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회전구멍(114)을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부재(11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제1 고정브래킷(111)과, 상기 제1 고정브래킷(111)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고정브래킷(1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고정브래킷(111)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며,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구멍(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고정브래킷(111)은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구멍(112)은 엔진룸 내부의 멤버 부재에 볼트 등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고정브래킷(111)은 고정구멍(112)에 볼트 등을 끼운 상테에서 볼트를 멤버 등에 체결시킴으로써 제1 고정브래킷(111)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브래킷(111)에는 제2 고정브래킷(113)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풍력회전부재(130)를 안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브래킷(11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 고정브래킷(113)에는 풍력회전부재(13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회전구멍(114)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구멍(114)은 풍력회전부재(130)의 회전축(131)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구멍(114)과 회전축(131)에는 풍력회전부재(13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풍력회전부재(13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회전축(131)과, 상기 엔진룸을 통해 유입된 바람에 의해 상기 회전축(131)이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축(131)의 외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회전날개(132)를 포함한다.
상기 풍력회전부재(130)는 브래킷부재(110)에 의해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풍력회전부재(13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회전축(131)과, 상기 회전축(131)의 외면에 다수로 형성되는 회전날개(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풍력회전부재(130)는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날개(132)는 엔진룸을 통해 유입된 바람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들 회전날개(132)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다수개가 배치되고, 바람에 의해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게 임펠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32)의 일단에는 회전에 의해 전원을 발생시키는 제너레이터(150)가 설치되며, 상기 제너레이터(150)는 배터리(170, 도 5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브래킷(111)은 고정구멍(111)에 체결되는 볼트 등에 의해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설치된다.
아울러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 고정브래킷(111)은 각각 엔진룸 내부에 고정되고, 이들 한 쌍의 제1 고정브래킷(111)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2 고정브래킷(113)은 풍력회전부재(130)의 회전축(131) 길이만큼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브래킷(113)의 회전구멍(114)에는 풍력회전부재(130)의 회전축(13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회전구멍(114)과 회전축(131) 사이에는 베어링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링에 의해 상기 풍력회전부재(13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회전축(131)의 일측에는 전원을 배터리(170)와 전기전으로 연결되는 제너레이터(150)가 설치되며, 상기 차량에는 배터리(170)가 설치된다.
상기 풍력회전부재(130)는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엔진룸을 통해 유입된 바람이 상기 회전날개(13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풍력회전부재(130)는 상기 엔진룸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풍력회전부재(135)와, 상기 엔진룸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풍력회전부재(13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너레이터(150)는 상기 제1 풍력회전부재(135)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제너레이터(151)와, 상기 제2 풍력회전부재(136)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제너레이터(15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제너레이터(151)와 제2 제너레이터(152)는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엔진룸에는 풍력회전부재(130)가 설치되는데, 상기 풍력회전부재(130)는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된다.
이들 풍력회전부재(130)는 엔진룸의 일측에 제1 풍력회전부재(135)가 설치되고, 상기 엔진룸의 타측에 제2 풍력회전부재(136)가 설치된다.
아울러 이들 풍력회전부재(130)에는 제너레이터(15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1 풍력회전부재(135)에는 제1 제너레이터(151)가 설치되며, 상기 제2 풍력회전부재(136)에는 제2 제너레이터(152)가 설치된다.
이들 제1 제너레이터(151) 및 제2 제너레이터(152)는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풍력회전부재(130)는 차량의 뒷좌석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바닥면에는 차량의 주행에 따라 상기 풍력회전부재(130)가 회전되게 바람이 유입되는 뒷좌석 개구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뒷좌석 개부구(210)에는 바람의 유입을 개폐시키는 개폐댐퍼(220)가 설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풍력회전부재(130)는 차량의 뒷좌석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뒷좌석의 저면에는 차량의 주행 중에 바람이 유입되도록 뒷좌석 개구부(210)가 형성된다.
이러한 뒷좌석 개구부(210)는 차량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차량의 주행 시 차량의 바닥면을 통해 바람이 유입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뒷좌석 개구부(210)에는 개폐댐퍼(220)가 설치되며, 상기 개폐댐퍼(220)는 개구부(210)를 통해 바람의 유입을 개폐하게 된다. 즉, 상기 개폐댐퍼(220)는 풍력회전부재(130)를 구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개방되고, 상기 개폐댐퍼(220)는 풍력회전부재(130)를 정지시키고자 하는 경우 폐쇄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된 제1 풍력회전부재(135) 및 제2 풍력회전부재(136)는 차량의 주행에 따라 엔진룸을 통해 차량 외부의 바람이 유입된다.
상기 엔진룸을 통해 유입된 바람은 풍력회전부재(130)의 회전날개(132)에 맞닿게 되고, 상기 회전날개(132)는 바람에 의해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날개(132)가 회전됨에 따라 제너레이터(150)를 회전시키게 되고, 제너레이터(150)에서 발생된 전원은 배터리(170)에 공급된다.
또한 차량의 뒷좌석에 설치된 풍력회전부재(130)는 개폐댐퍼(220)의 개방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개폐댐퍼(220)의 폐쇄에 의해 상기 풍력회전부재(130)는 회전을 정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브래킷부재 111: 제1 고정브래킷
112: 고정구멍 113: 제2 고정브래킷
114: 회전구멍
130: 풍력회전부재 131: 회전축
132: 회전날개 135: 제1 풍력회전부재
136: 제2 풍력회전부재
150: 제너레이터 151: 제1 제너레이터
152: 제2 제너레이터
170: 배터리
210: 뒷좌석 개구부 220: 개폐댐퍼

Claims (5)

  1.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브래킷부재(110);
    상기 한 쌍의 브래킷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엔진룸을 통해 유입된 바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풍력회전부재(130);
    상기 풍력회전부재(1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너레이터(150);
    상기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된 배터리(170);를 포함하며,
    상기 제너레이터(150)는 상기 배터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부재(110)는 상기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제1 고정브래킷(111);
    상기 제1 고정브래킷(111)이 상기 차량의 엔진룸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구멍(112);
    상기 풍력회전부재(130)의 회전축(131)이 결합되게 상기 제1 고정브래킷(111)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고정브래킷(113);
    상기 제2 고정브래킷(113)에 상기 회전축(131)이 결합되도록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회전구멍(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회전부재(13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회전축(131);
    상기 엔진룸을 통해 유입된 바람에 의해 상기 회전축(131)이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축(131)의 외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회전날개(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회전부재(130)는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엔진룸을 통해 유입된 바람이 상기 회전날개(13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엔진룸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상기 풍력회전부재(130)는 상기 엔진룸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풍력회전부재(135)와, 상기 엔진룸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풍력회전부재(13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너레이터(150)는 상기 제1 풍력회전부재(135)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제너레이터(151)와, 상기 제2 풍력회전부재(136)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제너레이터(15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제너레이터(151)와 제2 제너레이터(152)는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회전부재(130)는 차량의 뒷좌석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바닥면에는 차량의 주행에 따라 상기 풍력회전부재(130)가 회전되게 바람이 유입되는 뒷좌석 개구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뒷좌석 개부구(210)에는 바람의 유입을 개폐시키는 개폐댐퍼(2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
KR1020200005539A 2020-01-15 2020-01-15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 KR20210092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539A KR20210092049A (ko) 2020-01-15 2020-01-15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539A KR20210092049A (ko) 2020-01-15 2020-01-15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049A true KR20210092049A (ko) 2021-07-23

Family

ID=77155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539A KR20210092049A (ko) 2020-01-15 2020-01-15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204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159A (ko) 2007-12-13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그릴 및 제조방법
KR20110035280A (ko) 2009-09-30 2011-04-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플랩 개폐장치
KR20150137343A (ko) 2014-05-29 2015-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충전기를 이용한 배터리충전시스템 및 이의 충전기 구동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159A (ko) 2007-12-13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그릴 및 제조방법
KR20110035280A (ko) 2009-09-30 2011-04-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플랩 개폐장치
KR20150137343A (ko) 2014-05-29 2015-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충전기를 이용한 배터리충전시스템 및 이의 충전기 구동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68597B1 (en) Total cooling assembly for i.c. engine-powered vehicles
JP7509500B2 (ja) 自動車の冷却装置
KR101195839B1 (ko)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자동차용 보조 냉난방장치
US20030226653A1 (en) Structure for cooling high-voltage built-in units in hybrid vehicle
US20060254838A1 (en) Cooling device for use on a vehicle
US20110123370A1 (en) Electric water pump
US20090016021A1 (en) Cooling structure for high voltage electrical parts of hybrid electric vehicle
CN108437779B (zh) 发动机散热系统和车辆、以及发动机的散热方法
CN114502403B (zh) 用于机动车辆的冷却设备
JP3572901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冷却装置
KR20080078543A (ko) 차량용 배터리 냉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63117A (ko) 차량용 쿨링 장치
KR20210092049A (ko) 차량용 배터리 충전장치
US6923166B2 (en) Supercharging assembly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motor vehicle
JP3937624B2 (ja) 車両用冷却装置
JP2894033B2 (ja) 車両用内燃機関の冷却装置
CN208428952U (zh) 发动机散热系统和车辆
US20050155559A1 (en) Engine-driven work machine
KR101596688B1 (ko) 연료전지 차량용 쿨링 모듈 및 시스템
WO2020054589A1 (ja) エアガイド構造
JP2914532B2 (ja) 車両用水冷式内燃機関の冷却装置
KR20060028594A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냉각시스템
KR100836372B1 (ko) 엔진 냉각수온 조절이 가능한 인터쿨러
KR20150104939A (ko) 자동차의 인터쿨러 인캡슐레이션 장치
CN216008939U (zh) 一种贯流式汽车冷却风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