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579A - 연속정수장치 및 연속정수방법 - Google Patents

연속정수장치 및 연속정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579A
KR20210091579A KR1020200004941A KR20200004941A KR20210091579A KR 20210091579 A KR20210091579 A KR 20210091579A KR 1020200004941 A KR1020200004941 A KR 1020200004941A KR 20200004941 A KR20200004941 A KR 20200004941A KR 20210091579 A KR20210091579 A KR 20210091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aw water
supply pipe
water purifica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3880B1 (ko
Inventor
강경석
박현종
이호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주) 시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주) 시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200004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8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91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1Capacitive deio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1Reverse-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I정수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사용처에 정수를 공급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발명이며, 구체적으로 복수의 축전식탈염전극(10)이 적층 내장되는 정수장치(100); 밀폐되며, 내부에 체적가변식 정수공간(S1) 및 원수공간(S2)으로 구획되는 버퍼장치(200); 외부에서 원수가 공급되는 원수공급관(310); 상기 원수공급관 및 상기 정수장치를 연통하는 제1공급관(321); 상기 정수장치 및 상기 버퍼장치 정수공간(S1)과 연통하는 제2공급관(322); 상기 원수공급관 및 상기 버퍼장치 원수공간(S2)과 연통하는 연결관(340); 상기 버퍼장치 정수공간(S1) 및 복수의 사용처(400)를 연통되는 사용관(3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연속정수장치 및 연속정수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ly purifying water}
본 발명은 CDI정수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사용처에 정수를 공급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발명이다.
특허발명 001은 연속식 결정화기 및 그것을 이용한 수산화칼륨의 재결정화방법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라운딩 형상의 바닥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결정화될 화합물이 용해된 모액이 연속적으로 유입 및 유출되는 사각 관형 연속식 결정화 용기 내에 냉각매체가 유입 및 유출되어 모액을 냉각시키고 중앙부에는 회전축이 지나가고 회전축이 지나가는 위치의 아래부분으로는 모액이 흘러갈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형 냉각판과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복수개의 회전날개를 가지는 프로펠러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연속식 결정화기를 사용하여 수산화칼륨을 재결정으로 정제하게 되면, 냉각수의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수행되어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모액이 부분적으로 정체됨이 없이 연속적으로 흐르게 되는 것을 제시한다.
특허발명 002는 용량의 반응기로 처리가 가능한 쿠에트-테일러 반응기를 사용하며, 원료 용액의 정제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원료의 농도, 체류시간, 혼합 속도, 내·외부 원통의 크기를 변화하여 에너지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속식 Drowning-out 결정화 분리공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분리공정 방법은 연속식 결정화 분리공정을 위해 용질을 선택하고, 용액 선택 후 교반기 내에서 혼합하는 제 1 과정; 용매를 상기 용질과 용액에 따라 상기 용질이 잘 정제될 수 있도록 해당 용매를 선정하고, 교반기 내에 혼합하는 제 2 과정; 쿠에트-테일러 반응기의 용액유입구로 용질과 용액이 결합된 물질이 유입되고, 용매 유입구로 용매가 유입되는 제 3 과정; 직류전동기로 상기 쿠에트-테일러 반응기를 구동하면, 내부원통과 외부원통 사이로 유체가 흐르고, 상기 내부원통이 회전함에 따라 축 방향으로 테일러 와류가 형성되는 제 4 과정; 쿠에트-테일러 반응기의 상부 부분에 다수개로 구성된 샘플링 입구로 테일러 와류의 발생에 따라 유입된 두 물질의 결정화 여부를 샘플형태로 확인하는 제 5 과정; 및 쿠에트-테일러 반응기 내 위치한 배수구를 통해 정제, 결정화된 물질을 상기 쿠에트-테일러 반응기 외부로 유출하는 제 6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개발명 10-2012-0129086 A (공개일자 2012년11월28일) 공개발명 10-2006-0130521 A (공개일자 2006년12월19일)
본 발명은 CDI정수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사용처에 정수를 공급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발명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복수의 축전식탈염전극(10)이 적층 내장되는 정수장치(100); 밀폐되며, 내부에 체적가변식 정수공간(S1) 및 원수공간(S2)으로 구획되는 버퍼장치(200); 외부에서 원수가 공급되는 원수공급관(310); 상기 원수공급관 및 상기 정수장치를 연통하는 제1공급관(321); 상기 정수장치 및 상기 버퍼장치 정수공간(S1)과 연통하는 제2공급관(322); 상기 원수공급관 및 상기 버퍼장치 원수공간(S2)과 연통하는 연결관(340); 상기 버퍼장치 정수공간(S1) 및 복수의 사용처(400)를 연통되는 사용관(3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수공급관, 상기 제1공급관, 상기 연결관에 위치하는 제1밸브(511); 상기 제2공급관의 중간에서 분지되는 제2밸브(512); 상기 제1공급관의 중간에 위치하며, 전도도를 측정하는 제1센서(521); 상기 사용관의 중간에 위치하며, 유량을 계측하는 제2센서(522); 상기 제1공급관에 위치하는 제1펌프(53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 및 제2센서 신호를 계측하며, 상기 제1펌프, 제1밸브, 제2밸브의 작동을 구동하는 제어기(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수장치를 세정하는 세정수단(7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퍼장치는 밀폐공간으로 형성되는 버퍼챔버(210); 상기 버퍼챔버 내부에 수용되며, 원수 및 정수를 분리하는 분리수단(2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정수연속공급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원수가 원수공급관을 통해 정수장치 투입구로 공급되는 제1공급단계(S100); 상기 공급단계 후, 원수가 정수장치 내부를 통과하며, 흡착, 탈염 또는 관통하는 처리단계(S200); 상기 처리단계 후, 탈염된 정수를 버퍼챔버에 충전하는 제1충전단계 및/또는 상기 처리단계 중, 원수공급관과 연통된 연결관을 통해 원수를 버퍼챔버에 충전하는 제2충전단계로 이루어진 충전단계(S300); 상기 충전단계 후, 버퍼챔버의 정수가 사용유량에 따라 사용처로 공급되는 배출단계(S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정수연속공급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계 후, 버퍼챔버의 원수가 연결관을 통해 정수장치 투입구로 공급되는 제2공급단계(S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정수연속공급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처리단계 후, 정수장치 투입구 및 정수장치 배출구를 별도로 연통하여 순환하는 순환관을 통해 흡착수 또는 관통수를 순환하는 재생단계(S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정수연속공급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단계 중, 사용처로 공급되는 정수의 사용유량을 감지하는 제1센서의 정보를 감지하는 제1정보감지단계(S811); 상기 제2공급단계중, 원수의 전도도축정단계 후, 전도도값을 감지하는 제2센서의 정보를 감지하는 제2정보감지단계(8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CDI의 정수, 폐수, 세정과정의 조건에서 연속적인 정수를 사용처에 공급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버퍼챔버에 수용된 원수를 정수시켜 재충전 할 수 있으며, 정수과정 중, 실시간으로 전도도를 판단하여 설정된 조건의 수질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CDI 정수장치의 세정을 필요에 따라 다양한 조건으로 구현 가능하므로 CDI의 최적운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유지하며,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전도도센서 및 유량센서에 의해 사용조건을 실시간으로 모니터하며, 축적된 데이터에 의해 최상의 운전조건 충족 프로그램을 인공지능으로 업그레이드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관계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상정수모드의 작동상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정수모드의 작동상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세정모드 작동상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버퍼챔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버퍼챔버의 다양한 격박배치 실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버퍼장치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복수의 축전식탈염전극(10)이 적층 내장되는 정수장치(100);
밀폐되며, 내부에 체적가변식 정수공간(S1) 및 원수공간(S2)으로 구획되는 버퍼장치(200);
외부에서 원수가 공급되는 원수공급관(310);
상기 원수공급관 및 상기 정수장치를 연통하는 제1공급관(321);
상기 정수장치 및 상기 버퍼장치 정수공간(S1)과 연통하는 제2공급관(322);
상기 원수공급관 및 상기 버퍼장치 원수공간(S2)과 연통하는 연결관(340);
상기 버퍼장치 정수공간(S1) 및 복수의 사용처(400)를 연통되는 사용관(3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축전식탈염전극은 모노폴라전극 또는 바이폴라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정수장치는 복수의 단위정수장치(110)가 직렬로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축전식탈염전극에 직류전원이 공급되는 정수전원공급장치(121);를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와 결선되며, 직류전원을 주기적으로 교차시키는 정수전원제어기(1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1-1, 도1참조)은 CDI를 이용한 물의 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다. CDI의 작동특성상, 정수기능이 연속적으로 발휘되지 못하며, 간헐적 또는 주기적으로 폐수기능을 수행해야 된다. 폐수기능이 수행되는 중에는 정수를 공급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장치는 2개의 CDI를 교차 사용하였으며, 이는 비용증대의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나의 CDI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정수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는 정수장치에서 정수되며, 정수된 물은 버퍼장치에 일정수량을 저장한 후, 사용처(복수의 정수사용시설)로 공급된다. 정수장치가 세정, 폐수, 교체, 수리 등에 의해 정지되어도, 버퍼장치는 연속적인 정수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버퍼장치는 제한된 용량을 가진다. 또한 버퍼장치는 언제나 완충된 요건을 충족해야 된다. 그러나, 사용처의 사용량이 과도하거나 정수장치가 정수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폐수작동, 세정작동 등)에는 버퍼장치의 정수는 부족량을 발생시킨다. 상기 부족량은 원수공급관으로부터 연결관을 통해 공급된 원수를 임시로 보충한다. 즉, 버퍼장치는 원수 및 정수가 함께 충전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원수 및 정수가 혼합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해, 버퍼장치는 후술되는 분리수단을 형성한다. 버퍼장치에 채워진 원수는 정수로 교체되어야 한다. 이는 연결관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관은 버퍼장치의 원수를 인출하여 정수장치로 공급하며, 정수장치에서 생산된 정수는 버퍼장치로 채워진다. 따라서, 버퍼장치의 원수 및 정수교체가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수장치는 전기흡착탈염(Capacitive deionization : CDI)방식을 사용한다. 즉, 직류전류를 공급받는 전극판 사이로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전극판에는 상이한 극성의 전류를 통전하며, 상기 전극판은 이온교환막을 위치시킨다. 따라서 전류에 의해 원수의 이온이 분리되어 탈염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축전식탈염전극은 모노폴라전극 또는 바이폴라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수장치는 직렬로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정수장치를 조합하여, 하나의 정수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정수량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CDI장치는 주기적인 극전환을 요구한다. 이는 이온교환막에 침전된 이온을 탈착시켜 폐수시키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의 전원제어기는 전원공급장치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목적을 가진다. 상기 전원제어기는 후술되는 제1센서의 전도도측정으로 얻어진 결과에 의해 작동됨을 원칙으로 하며, 정수장치의 기능이 요구되지 않는 시간에 작동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내용은 실시예 2-1에 언급됨)
[실시예 2-1]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원수공급관, 상기 제1공급관, 상기 연결관에 위치하는 제1밸브(511);
상기 제2공급관의 중간에서 제2밸브(512)에 의해 분지되며, 제1공급관의 중간에 연통되는 순환관(710);
상기 제1공급관의 중간에 위치하며, 전도도를 측정하는 제1센서(521);
상기 사용관의 중간에 위치하며, 유량을 계측하는 제2센서(522);
상기 제1공급관에 위치하는 제1펌프(531);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는 TDS센서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는 유량센서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 중간에서 분지되어 연통되는 드레인관(360);을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관에 형성되며, 드레인관 개폐를 제어하는 제3밸브(5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2-1 내지 2-5, 실시예 3-1)은 연속정수장치의 다양한 작동모드 변환을 목적으로 한다. 본 장치는 정상정수모드(제1모드), 추가정수모드(제2모드), 세정모드(제3모드), 배출모드(제4모드) 의 작동형태를 형성한다.
정상정수모드는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가 정수장치를 통해 버퍼장치로 연통되어, 정수된 원수를 버퍼장치로 충전하는 것이다.
추가정수모드는 버퍼장치의 원수를 정수로 변환시키는 것이며, 버퍼장치의 원수가 연결관, 제1밸브를 통해 정수장치로 공급되며, 정수장치에서 정수된 후 버퍼장치로 충전되는 것이다.
세정모드는 제1, 2밸브에 의해 정수장치를 순환관과 연통시키며, 세정수의 순환으로 정수장치를 세정한다.
배출모드는 세정모드 진행중 제3밸브의 작동으로 연통되는 드레인관을 통해 세정수 일부를 외부로 방출한다.
본 발명의 제1센서는 정수 또는 원수의 전도도를 측정하며, 이는 버퍼장치의 정수상태 및 원수의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제1센서의 측정상태를 파악하여, 버퍼장치의 정수상태를 판별하며, 이는 제2모드(추가정수모드)의 작동시간을 결정된다. 또한, 외부에서 공급되는 원수 상태를 파악하여, 정수장치의 작동량을 결정한다. 또한, 세정상태를 파악하여, 배출모드를 결정한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 및 제2센서 신호를 계측하며, 상기 제1펌프, 제1밸브, 제2밸브의 작동을 구동하는 제어기(60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형성되며, 제1센서 및 제2센서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장치(610);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형성되며, 저장장치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장치(620);를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형성되며, 상기 분석장치의 분석결과 및 제1, 2센서 신호의 학습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어기 운용 프로그램을 수정하며, 수정된 운용프로그램을 제어기에 인식시키는 자동프로그램장치(630);를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형성되며, 상기 분석장치 결과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하며, 사용자 휴대용단말기(650)의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기를 원격 작동시키는 송수신장치(6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3-5)은 연속정수장치의 효과적인 작동운용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속정수장치를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작동모드(정상정수모드, 추가정수모드, 세정모드, 배출모드)의 운용시간 및 횟수를 최적화 해야 된다. 또한, 적정한 소모품교체시기 및 첨가물교체시기를 확보해야 된다. 또한, 비정상 운영에 따른 대응정보를 사용자에게 사전 공지해야 된다. 또한, 자동으로 효과적인 작동모드 변한시점을 확보해야 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어기는 제1, 2센서, 제1, 2밸브 작동상태, 제1펌프 구동상태의 작동신호를 실시간으로 확보해야 되며, 확보된 신호는 대용량 저장장치에 로데이타로 저장되어야 된다. 저장된 데이터는 프로그램에 의해 지표화 처리되며, 지표화된 결과는 사전 입력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한다. 분석된 결과에 의해 현재의 작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송신해야 된다. 사용자는 송신된 결과에 의해 작동상태를 확인하며, 필요한 경우, 휴대용단말기의 조작으로 제1, 2밸브 및 제1펌프의 작동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센서2(유량센서)는 사용처의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지하므로 시간, 위치, 계절 등에 따른 연속정수장치의 운전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패턴에 따른 다양한 작동모드 변환조건을 조절해야 된다. 이는 제어기 내부에 탑재된 자동프로그램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타이머에 의해 시간 및 계절데이터를 확보하며, 제2센서에 의해 정수사용량 데이터를 확보한다. 데이터 확보는 복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보하여, 운용패턴을 인지하고, 최적의 운용조건에 부합된 새로운 프로그램 수정을 자동으로 형성한다. 새롭게 작성된 프로그램은 제어기 운용프로그램에 저장하여, 실시간으로 수정된 프로그램을 운용하게 한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정수장치를 세정하는 세정수단(700);을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관 및 상기 제2공급관을 연통하는 순환관(7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4-1, 실시예 4-2)은 정수장치에 사용되는 축전식탈염전극의 세정작업용 구성을 구체적으로 한정한다. 정수장치는 장시간 사용시 바이오이물질 및 석회질(칼슘, 마그네슘) 성분의 스케일이 형성되며, 이는 정수장치의 기능을 감소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세정수단을 통해 정수장치를 주기적으로 세정해야 된다. 본 발명의 정수장치는 각각의 양단에 투입구 및 배출구를 형성하며, 세정장치는 상기 투입구 및 배출구를 연통하는 순환관(710)에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에는 원수공급용 제1공급관을 형성하며, 상기 배출구는 정수배출용 제2공급관을 형성하므로, 상기 순환관 일측은 제1공급관과 연통되며, 상기 순환관 타측은 제2공급관과 연통된다. 즉,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은 제2공급관을 통해 배출되나, 제2밸브를 통해 순환관으로 유동방향이 변동되며, 순환관을 통과한 물은 제1공급관을 통해 정수장치의 투입구로 순환된다. 순환과정 중, 정수장치의 이온교환막은 세정기능을 수행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에 형성되며, 물을 가열하는 가열기(7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2-3)은 상기 세정기능에 사용되는 물(세정수)의 가열에 의해 이온교환막을 세정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상기 세정수는 일정한 온도(약 50℃ 내지 100℃)를 유지해야 된다. 바람직하게는 80℃의 온도로 순환됨이 좋다. 순환수에 열을 공급하기 위해, 순환관에는 가열기를 형성한다. 상기 가열기는 가열챔버(721)를 형성하며, 상기 가열챔버 내부에는 열공급소자(722)를 형성하여, 전기에 의해 순환수를 가열한다. 상기 가열챔버에는 온도센서(723)를 형성하며, 순환제어기(724)는 온도센서의 신호를 계측하여 열공급소자의 작동을 제어하므로 일정한 온도를 실시간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열공급소자 및 온도센서는 정수장치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4-4]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에 연통되는 전해살균기(7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2-4)는 전해살균을 목적으로 한다. 용기형상의 전해살균조(751)는 밀폐된 형상이며, 전해살균조 양단면은 순환관과 연통되는 유입구 및 유출구를 형성한다. 상기 전해살균조 내부에는 일정간격 이격되며, 직류전류가 통전되는 전해전극(752)을 형성한다. 상기 전해전극의 전류공급은 전해제어기(753)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전해제어기는 후술되는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어기는 세척수 및 정수장치 오염정도에 따라 작동을 제어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에 연통되며,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용기(731);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2-4)은 정수장치의 화학적 세정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인 구성으로 상기 세정용기 및 상기 순환관을 연통하는 세정관(732);을 포함한다. 상기 세정관에 위치하며, 세정액 공급하는 제2펌프(733);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관에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순환관에 세정관을 연통하며, 상기 세정관에는 세정용기(731)를 장착한다. 상기 세정용기에는 세정액을 위치시키며, 제2펌프에 의해 일정량의 세정액을 순환수에 공급한다. 상기 제2펌프는 세정제어기(734)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세정제어기는 후술되는 전도도센서 및 제어기에 의해 작동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버퍼장치는 밀폐공간으로 형성되는 버퍼챔버(210);
상기 버퍼챔버 내부에 수용되며, 원수 및 정수를 분리하는 분리수단(220);을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버퍼챔버 내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판재로 형성되며, 버퍼챔버 내부를 분리하는 격막(221); 상기 격막에 형성되며, 원수 및/또는 정수가 유동하는 유동구(222); 상기 격막에 관통되며, 상기 연결관이 결합되는 관입구(2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5-1, 및 5-2)은 버퍼장치를 구체화 한다. 본 발명의 버퍼장치는 내부에 정수 및 원수를 채운다. 상기 정수는 정수장치와 연통되어 정수를 공급받으며, 사용관과 연통되어 정수를 배출한다. 상기 원수는 연결관과 연통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원수가 진입되거나, 다시 연결관을 통해 정수장치로 원수를 배출한다. 액체상태의 원수 및 정수를 수용해야 되므로 밀폐공간으로 이루어진 버퍼챔버를 형성한다. 상기 버퍼챔버 내부에는 분리수단을 형성한다. 상기 분리수단은 복수의 판재로 형성되며, 각각의 판재는 유동구를 형성한다. 상기 유동구를 통해 정수 또는 원수를 유동하며, 격막은 원수 및 정수의 혼합을 저지한다. 버퍼챔버의 하부에는 원수가 공급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연결관은 복수의 격막을 관통하여 버퍼챔버의 하부에 개구를 위치시킨다. 반면, 정수가 공급되는 제2공급관 및 정수가 배출되는 사용관은 버퍼챔버의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하부에 채워지는 원수 및 상부에서 채워지는 정수는 분리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버퍼챔버 및 분리수단은 내식성 소재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금속 또는 폴리머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정수 및 원수가 채워지며,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연결관과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제2공급관 및 사용관을 연통하는 저장관(225); 구형상이며, 상기 저장관 내부에 위치하며, 외경이 상기 저장관의 내경보다 작은 차단구(226);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5-3)은 실시예 5-2의 다른 실시예를 형성한다. 다량의 액체(원수 및 정수)를 수용하기 위해, 저장관을 형성한다. 상기 저장관은 공간을 축소시키기 위해 코일형상으로 말려지거나, 바닥면에 말려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관 일측은 원수가 진입 또는 토출되는 곳이며, 상기 연결관과 연통된다. 반면, 상기 저장관 타측은 정수가 공급되며, 배출되는 곳이다. 따라서, 제2연통관 및 사용관과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관에 저장된 원수 및 정수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 저장관의 중심부에는 차단구를 형성한다. 상기 차단구는 저장관의 내부에서 물의 흐름과 함께 유도되어야 한다. 따라서, 저장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형성한다. 상기 저장관 및 차단구는 스테인레스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이는 우수한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5-4] 본 발명은 연속정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버퍼챔버 내부에 위치하며, 버퍼챔버 내경과 밀착되어 이동되는 플렌저; 상기 버퍼챔버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는 제1결합구; 상기 버퍼챔버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공급관과 연통되는 제2결합구; 상기 버퍼챔버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사용관과 연통되는 제3결합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5-4)은 원수 및 정수의 완전분리를 실현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체적이 한정된 버퍼챔버 내부에 정수공간 및 원수공간을 플렌저로 차단한다. 상기 플렌저는 버퍼챔버 내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플렌저의 이동은 일면에 위치하는 정수, 타면에 위치하는 원수의 공급량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즉, 플렌저의 일면은 정수의 공급 및 토출을 위해, 제2결합구 및 제3결합구를 형성하며, 플렌저의 타면의 원수의 공급 및 토출을 위해 제1결합구를 형성한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정수연속공급방법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원수가 원수공급관을 통해 정수장치 투입구로 공급되는 제1공급단계(S100);
상기 공급단계 후, 원수가 정수장치 내부를 통과하며, 흡착, 탈염 또는 관통하는 처리단계(S200);
상기 처리단계 후, 탈염된 정수를 버퍼챔버에 충전하는 제1충전단계 및/또는 상기 처리단계 중, 원수공급관과 연통된 연결관을 통해 원수를 버퍼챔버에 충전하는 제2충전단계로 이루어진 충전단계(S300);
상기 충전단계 후, 버퍼챔버의 정수가 사용유량에 따라 사용처로 공급되는 배출단계(S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정수연속공급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계 후, 버퍼챔버의 원수가 연결관을 통해 정수장치 투입구로 공급되는 제2공급단계(S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은 정수연속공급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상기 제2공급단계 중, 원수의 전도도를 측정하는 전도도측정단계(S600);를 포함한다.
[실시예 8-1] 본 발명은 정수연속공급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상기 처리단계 후, 정수장치 투입구 및 정수장치 배출구를 별도로 연통하여 순환하는 순환관을 통해 흡착수 또는 관통수를 순환하는 재생단계(S700);를 포함한다.
[실시예 8-2] 본 발명은 정수연속공급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8-1에 있어서,상기 재생단계 중, 순환수를 가열하는 가열단계(S710);를 포함한다.
[실시예 8-3] 본 발명은 정수연속공급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재생단계 중, 순환수에 세정액을 선택적으로 투입하는 세정단계(S720);를 포함한다.
[실시예 8-4] 본 발명은 정수연속공급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재생단계 중, 순환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단계(S730);를 포함한다.
[실시예 9-1] 본 발명은 정수연속공급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상기 배출단계 중, 사용처로 공급되는 정수의 사용유량을 감지하는 제1센서의 정보를 감지하는 제1정보감지단계(S811);
상기 제2공급단계중, 원수의 전도도측정단계 후, 전도도값을 감지하는 제2센서의 정보를 감지하는 제2정보감지단계(812);를 포함한다.
[실시예 9-2] 본 발명은 정수연속공급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9-1에 있어서,상기 제1정보감지단계 및 제2정보감지단계 후, 상기 제1정보감지단계 및 제2정보감지단계의 정보등을 서버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820);를 포함한다.
[실시예 9-3] 본 발명은 정수연속공급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9-2에 있어서,상기 저장단계 후, 저장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분석단계(S830);를 포함한다.
[실시예 9-4] 본 발명은 정수연속공급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9-3에 있어서, 상기 분석단계 후, 정수연속공급장치의 운전프로그램을 수정하는 재프로그래밍단계(S840);를 포함한다.
[실시예 9-5] 본 발명은 정수연속공급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9-4에 있어서, 재프로그래밍단계 후, 프로그램을 정수연속공급장치에 인식시키는 설치단계(S850);를 포함한다.
[실시예 9-6] 본 발명은 정수연속공급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9-3에 있어서,상기 분석단계 후, 분석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거나 열람 가능하게 하는 정보제공단계(S860);를 포함한다.
[실시예 9-7] 본 발명은 정수연속공급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9-3에 있어서,상기 분석단계 후, 분석데이터의 결과값이 경계점을 초과한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를 발송하는 알람단계(S870);를 포함한다.
10 : 축전식탈염전극 100 : 정수장치
110 : 단위정수장치 121 : 정수전원공급장치
122 : 정수전원제어기 200 : 버퍼장치
210 : 버퍼챔버 220 : 분리수단
221 : 격막 222 : 유동구
223 : 관입구 225 : 저장관
226 : 차단구 310 : 원수공급관
321 : 제1공급관 322 : 제2공급관
340 : 연결관 350 : 사용관
360 : 드레인관 400 : 사용처
511 : 제1밸브 512 : 제2밸브
513 : 제3밸브 521 : 제1센서
522 : 제2센서 531 : 제1펌프
600 : 제어기 610 : 저장장치
620 : 분석장치 630 : 자동프로그램장치
640 : 송수신장치 650 : 휴대용단말기
700 : 세정수단 710 : 순환관
720 : 가열기 721 : 가열챔버
722 : 열공급소자 723 : 온도센서
724 : 순환제어기 731 : 세정용기
732 : 세정관 733 : 제2펌프
734 : 세정제어기 750 : 전해살균기
751 : 전해살균조 752 : 전해전극
753 : 전해제어기
S100 : 제1공급단계 S200 : 처리단계
S300 : 충전단계 S400 : 배출단계
S500 : 제2공급단계 S600 : 전도도측정단계
S700 : 재생단계 S710 : 가열단계
S720 : 세정단계 S730 : 드레인단계
S811 : 제1정보감지단계 S812 : 제2정보감지단계
S820 : 저장단계 S830 : 분석단계
S840 : 재프로그래밍단계 S850 : 설치단계
S860 : 정보제공단계 S870 : 알람단계

Claims (9)

  1. 연속정수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축전식탈염전극(10)이 적층 내장되는 정수장치(100);
    밀폐되며, 내부에 체적가변식 정수공간(S1) 및 원수공간(S2)으로 구획되는 버퍼장치(200);
    외부에서 원수가 공급되는 원수공급관(310);
    상기 원수공급관 및 상기 정수장치를 연통하는 제1공급관(321);
    상기 정수장치 및 상기 버퍼장치 정수공간(S1)과 연통하는 제2공급관(322);
    상기 원수공급관 및 상기 버퍼장치 원수공간(S2)과 연통하는 연결관(340);
    상기 버퍼장치 정수공간(S1) 및 복수의 사용처(400)를 연통되는 사용관(350);을 포함하는 연속정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수공급관, 상기 제1공급관, 상기 연결관에 위치하는 제1밸브(511);
    상기 제2공급관의 중간에서 분지되는 제2밸브(512);
    상기 제1공급관의 중간에 위치하며, 전도도를 측정하는 제1센서(521);
    상기 사용관의 중간에 위치하며, 유량을 계측하는 제2센서(522);
    상기 제1공급관에 위치하는 제1펌프(531);를 포함하는 연속정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 및 제2센서 신호를 계측하며, 상기 제1펌프, 제1밸브, 제2밸브의 작동을 구동하는 제어기(600);를 포함하는 연속정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수장치를 세정하는 세정수단(700);을 포함하는 연속정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퍼장치는 밀폐공간으로 형성되는 버퍼챔버(210);
    상기 버퍼챔버 내부에 수용되며, 원수 및 정수를 분리하는 분리수단(220);을 포함하는 연속정수장치.
  6. 정수연속공급방법에 있어서,
    원수가 원수공급관을 통해 정수장치 투입구로 공급되는 제1공급단계(S100);
    상기 공급단계 후, 원수가 정수장치 내부를 통과하며, 흡착, 탈염 또는 관통하는 처리단계(S200);
    상기 처리단계 후, 탈염된 정수를 버퍼챔버에 충전하는 제1충전단계 및/또는 상기 처리단계 중, 원수공급관과 연통된 연결관을 통해 원수를 버퍼챔버에 충전하는 제2충전단계로 이루어진 충전단계(S300);
    상기 충전단계 후, 버퍼챔버의 정수가 사용유량에 따라 사용처로 공급되는 배출단계(S400);를 포함하는 정수연속공급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계 후, 버퍼챔버의 원수가 연결관을 통해 정수장치 투입구로 공급되는 제2공급단계(S500);를 포함하는 정수연속공급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처리단계 후, 정수장치 투입구 및 정수장치 배출구를 별도로 연통하여 순환하는 순환관을 통해 흡착수 또는 관통수를 순환하는 재생단계(S700);를 포함하는 정수연속공급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출단계 중, 사용처로 공급되는 정수의 사용유량을 감지하는 제1센서의 정보를 감지하는 제1정보감지단계(S811);
    상기 제2공급단계중, 원수의 전도도측정단계 후, 전도도값을 감지하는 제2센서의 정보를 감지하는 제2정보감지단계(812);를 포함하는 정수연속공급방법.

KR1020200004941A 2020-01-14 2020-01-14 연속정수장치 및 연속정수방법 KR102333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941A KR102333880B1 (ko) 2020-01-14 2020-01-14 연속정수장치 및 연속정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941A KR102333880B1 (ko) 2020-01-14 2020-01-14 연속정수장치 및 연속정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579A true KR20210091579A (ko) 2021-07-22
KR102333880B1 KR102333880B1 (ko) 2021-12-03

Family

ID=77158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941A KR102333880B1 (ko) 2020-01-14 2020-01-14 연속정수장치 및 연속정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8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0521A (ko) 2006-07-20 2006-12-19 케이엔디티앤아이 주식회사 연속식 용석 결정화 분리공정 방법
KR20120129086A (ko) 2011-05-19 2012-11-28 (주) 은진캐미컬 연속식 결정화기 및 그것을 이용한 수산화칼륨의 재결정화방법
KR101675749B1 (ko) * 2010-12-30 2016-11-16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882806B1 (ko) * 2017-04-24 2018-08-24 (주)테크윈 전기 흡착 세정장치
KR20190111684A (ko) * 2018-03-23 2019-10-0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0521A (ko) 2006-07-20 2006-12-19 케이엔디티앤아이 주식회사 연속식 용석 결정화 분리공정 방법
KR101675749B1 (ko) * 2010-12-30 2016-11-16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20120129086A (ko) 2011-05-19 2012-11-28 (주) 은진캐미컬 연속식 결정화기 및 그것을 이용한 수산화칼륨의 재결정화방법
KR101882806B1 (ko) * 2017-04-24 2018-08-24 (주)테크윈 전기 흡착 세정장치
KR20190111684A (ko) * 2018-03-23 2019-10-0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880B1 (ko)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73718B2 (ja) 電気脱イオン法による被処理水の処理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装置
JP3465367B2 (ja) イオンリッチ水生成装置
AU2018345674A1 (en) Electrolytic biocide generating system for use on-board a watercraft
KR100776205B1 (ko) 여과 및 전기분해 방식의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구동방법
EP2487138B1 (en) Water treatment device and water heater
EP2971253A1 (en) Electrochemical water softening system
BRPI1104058B1 (pt) Dispositivo de osmose reversa
MXPA00004951A (es) Metodo y aparato para el tratamiento de agua de desperdicio.
WO2013063578A1 (en) Ion removal using a capacitive deionization system
KR20130108546A (ko) 전기분해식 온-사이트 발전기
WO2013063567A2 (en)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on of a capcitive deionization system
CN109319985B (zh) 一种在线清洗除垢水处理系统
KR101854437B1 (ko) 냉각수의 스케일 자동제거장치
JP6374619B2 (ja) 水から異物を取り除くための電気吸着システム
US5271814A (en) Thin film electrocoagulation for removal for contaminants from liquid media
KR20200130972A (ko) 살균세정 가능한 전기탈이온 필터를 이용한 정수장치 및 전기탈이온 필터의 살균세정 방법
KR102333880B1 (ko) 연속정수장치 및 연속정수방법
CN106573798B (zh) 水处理系统储罐及组装方法
US20100224497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metals from liquids
CN209383571U (zh) 一种在线清洗除垢水处理系统
KR102154032B1 (ko) 제빙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WO2021153824A1 (ko) 복합 축전식 탈염 전극의 제조방법, 복합 축전식 탈염 전극 및 조립체
CN212127639U (zh) 一种具有调节控制功能的电渗析实验设备
KR200457725Y1 (ko) 이온수 생성장치
JP2944297B2 (ja) 連続通水式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の逆電洗浄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機構を備えた連続通水式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