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575A - 휴대용 초음파발생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초음파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575A
KR20210091575A KR1020200004925A KR20200004925A KR20210091575A KR 20210091575 A KR20210091575 A KR 20210091575A KR 1020200004925 A KR1020200004925 A KR 1020200004925A KR 20200004925 A KR20200004925 A KR 20200004925A KR 20210091575 A KR20210091575 A KR 20210091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ltrasonic
body unit
main bod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7853B1 (ko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김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성 filed Critical 김진성
Priority to KR1020200004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853B1/ko
Publication of KR20210091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22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B06B2201/70Specific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유닛의 이동성, 잔 전류에 대한 안정성, 본체유닛의 활용 다양성을 만족시키고, 별도의 시공이 필요하지 않아 설치 위치에서 본체유닛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함은 물론 설치 위치에서 본체유닛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본체유닛의 탈부착 편리성을 확보하기 위한 휴대용 초음파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휴대용 초음파발생기는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초음파가 발생되는 본체유닛과, 본체유닛에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초음파를 제어하는 전원유닛과, 본체유닛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고 자력과 흡착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설치 위치에서 본체유닛의 탈부착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탈착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초음파발생기{PORTABLE ULTRASONIC GENERATOR}
본 발명은 휴대용 초음파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유닛의 이동성, 잔 전류에 대한 안정성, 본체유닛의 활용 다양성을 만족시키고, 별도의 시공이 필요하지 않아 설치 위치에서 본체유닛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함은 물론 설치 위치에서 본체유닛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본체유닛의 탈부착 편리성을 확보하기 위한 휴대용 초음파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과일, 야채 등과 같은 피세척물을 씻을 때, 흐르는 물에 소정의 세제를 사용하여 세척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경우에는 세제에 의한 하수의 오염이 발생할 염려가 있고 세제가 피세척물에 잔류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손으로 피세척물의 표면을 비비며 씻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피세척물의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초음파 세척기가 개발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세척기는 사람의 가청범위를 벗어난 높은 주파수의 강한 에너지를 가지는 초음파의 파동현상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여 깨끗이 세척하도록 하는 세척기로서,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부분까지도 깨끗이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초음파세척기는 피세척물의 손상없이 원활한 세척이 가능하여 귀금속, 안경렌즈, 광학부품, 시계 등의 정밀부품, 의료용구, 인쇄기구 등의 세척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초음파 세척기는 고정형의 완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싱크대 내 초음파 단자를 내장시키기 위한 별도의 시공을 거쳐야 했으므로, 불편함과 아울러 과다한 시공비용이 발생하였다. 또한, 초음파 기기로써의 역할이 한정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5498호 (발명의 명칭 : 과일세척장치, 2007. 07. 24.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2681호 (발명의 명칭 :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세탁기, 2013. 01. 09.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0575호 (발명의 명칭 : 헹굼 및 마사지 장치, 2014. 07. 10.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7621호 (발명의 명칭 : 산란모듈을 포함하는 의료용 욕조, 2015. 01. 22.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7400호 (발명의 명칭 : 초음파를 이용하는 피부 미용기기, 2014. 10. 2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5773호 (발명의 명칭 : 싱크대용 초음파 세척기의 절연장치, 2017. 02. 06.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78465호 (발명의 명칭 : 초음파 집중에 의해 세척 효과가 향상된 초음파 식기세척기, 2019. 05. 0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0957호 (발명의 명칭 : 복합 세척 기능을 수행하는 초음파 세척기, 2019. 10. 30.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1798호 (발명의 명칭 : 휴대용 초음파 세척장치, 2018. 07. 19.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유닛의 이동성, 잔 전류에 대한 안정성, 본체유닛의 활용 다양성을 만족시키고, 별도의 시공이 필요하지 않아 설치 위치에서 본체유닛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함은 물론 설치 위치에서 본체유닛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본체유닛의 탈부착 편리성을 확보하기 위한 휴대용 초음파발생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초음파발생기는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초음파가 발생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에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상기 초음파를 제어하는 전원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고, 자력과 흡착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설치 위치에서 상기 본체유닛의 탈부착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탈착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유닛은, 초음파가 발생되는 하나 이상의 초음파단자부; 상기 초음파단자부를 감싸 밀폐시키는 하드케이스부; 상기 초음파단자부에 접속되어 전원이 인가되거나, 상호 이격된 두 초음파단자부를 상호 접속시키는 전선부; 및 상기 하드케이스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선부를 감싸 밀폐시키는 소프트연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드케이스부의 경도는, 기설정된 제1경도 이상을 나타내고, 상기 소프트연장부의 경도는, 기설정된 제1경도보다 작은 기설정된 제2경도 이하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하드케이스부와 상기 소프트연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무독성 실리콘과 열감지 시온 파우더가 배합된 보호층이 코팅되거나, 무독성 실리콘과 열감지 시온 파우더가 배합된 색변환물질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전선부는, 전원의 인가를 위한 통전선; 및 상기 하드케이스부와 상기 소프트연장부 중 적어도 상기 소프트연장부에 대응하여 상기 통전선에 권취되거나 상기 통전선과 나란하게 구비되고, 기설정된 인장강도 이상을 나타내는 보호와이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소프트연장부에는, 상기 소프트연장부의 구부러짐 또는 상기 소프트연장부의 펴짐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한 자바라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방열되는 방열부와, 전선커넥터와, 전원커넥터가 포함되는 컨트롤박스부; 상기 초음파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가 인가되도록 상기 본체유닛과 상기 전선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연장부; 외부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전원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접속부; 상기 초음파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조작하는 기능조작부; 상기 초음파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기능조작부를 통해 조작되는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초음파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제어부에는, 상기 본체유닛과 상기 전원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누전에 대응하여 누전차단신호를 생성하는 누전차단부;가 포함되고, 상기 누전차단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초음파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차단시킨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박스부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접속을 위한 사용자커넥터부; 및 상기 사용자커넥터부의 방수를 위해 상기 사용자커넥터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수캡부;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탈착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에 내장되거나 상기 본체유닛의 일측면에 노출되고, 설치 위치와의 부착을 위한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부; 및 납작한 링 형상으로 상기 본체유닛의 일측면 가장자리에서 설치 위치를 향해 경사지게 돌출되고, 설치 위치를 향해 작용하는 가압력으로 상기 본체유닛의 일측면과 설치 위치 사이의 유체가 배출됨에 따라 설치 위치와의 부착을 위한 흡착력을 발생시키는 패드링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패드링부에는, 상기 패드링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내장되는 바 형상의 방사보강부; 및 상기 패드링부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내장되는 링 형상의 링보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패드링부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설치 위치와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면에 구비되는 탈착파지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초음파발생기에 따르면, 본체유닛의 이동성, 잔 전류에 대한 안정성(잔 전류의 감전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예방), 본체유닛의 활용 다양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별도의 시공이 필요하지 않아 설치 위치에서 본체유닛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함은 물론 설치 위치에서 본체유닛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본체유닛의 탈부착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으로 개발되어 기기결함으로 인한 경우, 출장수리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배송 에프터서비스를 수월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초음파단자부와 전선부가 안정되게 접속되도록 하고, 초음파단자부와 전선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케이스부와 소프트연장부의 경도 차이를 통해 초음파의 전달을 안정화시키고, 소프트연장부에서의 구부러짐 동작 또는 펴짐 동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본체유닛의 설치 위치의 제약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케이스부와 소프트연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 한정을 통해 본체유닛에서 온도에 따른 색상 변화를 확인하여 초음파단자부와 전선부의 상태를 확인하는 한편 잔 전류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누전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부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전선부에서 통전선의 파손 또는 단락을 방지하고, 소프트연장부의 구부러짐 또는 소프트연장부의 펴짐에 대응하여 전선부의 구부러짐 동작 또는 전선부의 펴짐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소프트연장부의 구부러진 상태 또는 소프트연장부의 펴진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바라부를 통해 소프트연장부의 구부러짐 동작 또는 소프트연장부의 펴짐 동작에 대응하여 소프트연장부의 파손 또는 찢어짐을 방지하고, 소프트연장부의 구부러진 상태 또는 소프트연장부의 펴진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본체유닛에서 발생되는 초음파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본체유닛에 안정된 전원을 인가하는 한편, 기능별로 간편하게 초음파를 제어할 수 있고, 외부전원을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전기료 절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전차단부를 통해 본체유닛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누전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커넥터부를 통해 초음파의 제어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사용자커넥터부와 방수캡의 결합에 따라 사용자커넥터부에서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설치 위치에서 본체유닛의 고정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고, 설치 위치의 재질을 다양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자석부는 철과 같이 자화 가능한 재질과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패드링부는 자화 가능한 재질은 물론 플라스틱류 재질, 도기류 재질, 자기류 재질, 도자기류 재질과 같이 표면이 평평한 재질과의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드링부의 세부 구성을 통해 설치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패드링부의 접촉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패드링부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드링부의 세부 구성을 통해 설치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설치 위치로부터 패드링부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초음파발생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초음파발생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초음파발생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배치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초음파발생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초음파발생기는 본체유닛(10)과, 전원유닛(30)을 포함하고, 탈착유닛(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유닛(10)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초음파가 발생된다.
본체유닛(10)은 초음파가 발생되는 하나 이상의 초음파단자부(11)와, 초음파단자부(11)를 감싸 밀폐시키는 하드케이스부(12)와, 초음파단자부(11)에 접속되어 전원이 인가되거나 상호 이격된 두 초음파단자부(11)를 상호 접속시키는 전선부(13)와, 하드케이스부(12)에서 연장되어 전선부(13)를 감싸 밀폐시키는 소프트연장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단자부(11)에는 전선부(13)와의 구획 및 절연을 위해 절연커버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하드케이스부(12)는 소프트연장부(14)보다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초음파의 전달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특히, 하드케이스부(12)의 경도는 기설정된 제1경도 이상을 나타내고, 소프트연장부(14)의 경도는 기설정된 제1경도보다 작은 기설정된 제2경도 이하를 나타내게 된다. 이때, 소프트연장부(14)는 하드케이스부(12)보다 경도가 작아 연성의 재질을 나타내므로, 소프트연장부(14)는 외력에 의해 구부러짐 또는 펴짐이 가능하다.
하드케이스부(12)와 소프트연장부(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무독성 실리콘과 열감지 시온 파우더가 배합된 보호층이 코팅되거나, 무독성 실리콘과 열감지 시온 파우더가 배합된 색변환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시온 파우더는 열에 따라 색이 변화됨으로써, 본체유닛(10)에서의 발열 상태를 점검하고, 누전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선부(13)는 전원의 인가를 위한 통전선(131)과, 하드케이스부(12)와 소프트연장부(14) 중 적어도 소프트연장부(14)에 대응하여 통전선(131)에 권취되거나 통전선(131)과 나란하게 구비되고 기설정된 인장강도 이상을 나타내는 보호와이어(13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전선(131)은 전원이 인가되는 도체부와, 도체부를 감싸 절연시키는 절연피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보호와이어(132)가 도체부에 권취되는 경우, 절연피복부는 도체부와 보호와이어(132)를 모두 감쌀 수 있다. 다른 예로, 보호와이어(132)는 절연피복부의 외주면에 권취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소프트연장부(14)에는 소프트연장부(14)의 구부러짐 또는 소프트연장부(14)의 펴짐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한 자바라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자바라부(미도시)는 지그재그 단면을 나타내거나 요철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드케이스부(12)는 소프트연장부(14)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초음파단자부(11)에 접속된 전선부(13)는 소프트연장부(14)에 내장된 전선부(13)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하드케이스부(12)와 소프트연장부(14)의 결합 부위는 방수 처리되어 누전 사고를 예방해야 한다.
전원유닛(30)은 본체유닛(10)에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초음파를 제어한다.
전원유닛(30)은 외관을 형성하는 컨트롤박스부(31)와, 초음파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가 인가되도록 본체유닛(10)과 컨트롤박스부(31)에 구비된 전선커넥터(31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연장부(32)와, 외부전원이 인가되도록 컨트롤박스부(31)에 구비된 전원커넥터(3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접속부(33)와, 초음파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조작하는 기능조작부(38)와, 초음파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34)와, 기능조작부(38)를 통해 조작되는 정보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초음파제어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박스부(31)에는 기능조작부(38)와 디스플레이부(34)가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초음파제어부(36)가 내장된다.
컨트롤박스부(31)에는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부(311)가 포함될 수 있다. 방진부(311)는 설치 위치 주변의 진동이 컨트롤박스부(3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본체유닛(10)의 진동이 컨트롤박스부(31)에 전달될 때, 컨트롤박스부(31)를 보호하고 컨트롤박스부(31)의 떨림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컨트롤박스부(31)에는 접지부(312)가 포함될 수 있다. 접지부(312)는 방진부(311)에 의해 보호되어 접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컨트롤박스부(31)에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방열되는 방열부(313)와, 전선연장부(32)가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전선커넥터(314)와, 전원접속부(33)가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전원커넥터(315)가 포함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부(31)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접속을 위한 사용자커넥터부(316)와, 사용자커넥터부(316)의 방수를 위해 사용자커넥터부(316)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수캡부(317)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커넥터부(316)에는 USB 포트, 5핀 포트, 8핀 포트, C타입 포트 등이 구비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전기적 연결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전선연장부(32)의 일측은 본체유닛(10)의 소프트연장부(14)에 내장된 전선부(13)(통전선(131))와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전선연장부(32)의 타측은 전선단자(321)를 통해 전선커넥터(314)와 탈부착형으로 결합된다. 전선연장부(32)의 일측과 전선부(13)의 단부가 일체형으로 결합됨으로써, 누전 사고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체유닛(10)의 소프트연장부(14)에 내장된 전선부(13)(통전선(131))가 전선연장부(32)의 일측에 탈부착형으로 결합되는 경우, 전선부(13)의 단부와 전선연장부(32)의 일측 중 어느 하나에는 전선단자(321)가 구비되고, 전선부(13)의 단부와 전선연장부(32)의 일측 중 다른 하나에는 전선커넥터(3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누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전선부(13)의 단부와 전선연장부(32)의 일측이 결합되는 부위는 방수 처리되어 누전 사고를 예방해야 한다.
전원접속부(33)는 외부전원이 통전되는 전원선(331)과, 전원선(331)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원커넥터(315)와 탈부착형으로 결합되는 전원단자(332)와, 전원선(331)의 타측에 구비되어 전원콘센트와 탈부착형으로 결합되는 전원플러그(333)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조작부(38)에는 초음파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선택하는 기능선택부(381)와, 기능선택부(381)와 연계하여 초음파의 세기, 초음파의 출력 방식 등을 선택하는 초음파조절부(382)가 포함될 수 있다. 기능조작부(38)에는 본체유닛(1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동작 시간을 선택하는 타이머부(383)가 포함될 수 있다. 기능조작부(38)에는 제어신호의 인가 여부를 선택하는 신호스위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 기능조작부(38)에는 초음파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에 대응하여 부가적인 선택부를 추가할 수 있다.
일예로, 기능선택부(381)에는 초음파를 이용하 세척 기능과, 초음파를 이용한 마사지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예로, 초음파조절부(383)는 강/약의 조절, 미/약/강의 조절 등, 2단계 또는 3단계 또는 4단계 이상으로 초음파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조절부(383)는 물의 다양한 떨림 또는 다양한 마사지 방식의 구현을 위해 초음파의 출력 방식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면, 기능조작부(38)의 동작에 따라 기능조작부(38)는 초음파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선택하고, 초음파제어부(36)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제어신호는 신호스위치부의 동작 또는 초음파제어부(36)의 제어에 따라 본체유닛(10)에 전달되어 초음파단자부(11)를 동작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4)는 초음파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된다. 디스플레이부(34)에는 초음파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에 대응하여 본체유닛(10)의 동작 상태, 전선연장부(32)의 접속 상태, 전원접속부(33)의 접속 상태, 기능조작부(38)의 동작 상태, 초음파제어부(36)의 동작 상태 등이 표시되도록 한다.
초음파제어부(36)에는 본체유닛(10)과 전원유닛(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누전에 대응하여 누전차단신호를 생성하는 누전차단부(37)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누전차단신호가 생성되면, 초음파제어부(36)는 제어신호가 본체유닛(1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 시킴으로써, 본체유닛(10)을 누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전원유닛(30)은 외부전원의 인가 여부를 선택하는 전원스위치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스위치부(35)는 전원접속부(33)와 전원커넥터(315)가 접속된 상태에서 외부전원의 인가 여부를 선택함으로써, 전원유닛(30)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원유닛(30)은 외부전원이 충전되는 충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충전부(미도시)의 충전 상태는 디스플레이부(3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탈착유닛(20)은 본체유닛(10)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된다. 탈착유닛(20)은 자력과 흡착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설치 위치에서 본체유닛(10)의 탈부착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탈착유닛(20)은 자석부(21)와, 패드링부(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석부(21)는 본체유닛(10)에서 하드케이스부(12)에 내장되거나 본체유닛(10)에서 하드케이스부(12)의 일측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자석부(21)는 설치 위치와의 부착을 위한 자력을 발생시킨다. 자석부(21)는 영구자석이거나 전원유닛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화되는 전자석일 수 있다.
패드링부(22)는 납작한 링 형상으로 본체유닛(10)의 일측면 가장자리에서 설치 위치를 향해 경사지게 돌출된다. 패드링부(22)는 설치 위치를 향해 작용하는 가압력으로 본체유닛(10)의 일측면과 설치 위치 사이의 유체가 배출됨에 따라 설치 위치와의 부착을 위한 흡착력을 발생시킨다.
패드링부(22)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설치 위치와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면에 구비되는 탈착파지부(221)가 구비될 수 있다. 탈착파지부(221)는 비접촉면에 돌출 형성되어 패드링부(22)가 설치 위치에 부착된 경우, 사용자는 탈착파지부(221)를 파지한 상태에서 설치 위치로부터 잡아당김에 따라 패드링부(22)를 설치 위치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패드링부(22)에는 패드링부(2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내장되는 바 형상의 방사보강부(222)와, 패드링부(22)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내장되는 링 형상의 링보강부(2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패드링부(22)에 구비되는 보강부(222, 223)는 탄성을 가지므로, 패드링부(22)가 설치 위치에 부착되는 경우, 탄성력으로 패드링부(22)와 설치 위치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설치 위치에서 패드링부(22)의 부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초음파발생기는 탈착유닛(20)을 통해 세척수가 담겨지는 세척조에 부착된다. 여기서, 본체유닛(10)의 전선부(13)와 소프트연장부(14)는 구부리짐 또는 펴짐이 가능하므로, 두 개의 하드케이스부(12)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세척조 내부 및 세척조 주변에서 본체유닛(10)의 전선부(13)와 소프트연장부(14)는 자유롭게 구부러짐으로써, 하드케이스부(12)가 설치 위치에서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전원유닛(30)을 통해 제어신호가 본체유닛(10)의 초음파단자부(11)에 인가되면, 초음파단자부(11)에서 발생되는 초음파는 세척조 또는 세척수를 진동시킴으로써, 세척수에 침지된 세척물(식기류, 빨래, 과일, 채소 등)과, 세척수가 담겨지는 세척조 등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초음파발생기는 주방, 식당, 캠핑 등에서 음식숙성의 촉매 역할에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초음파발생기는 사용자의 목욕수가 담겨지는 목욕조에 부착시켜 목욕조 또는 목욕수를 진동시킴으로써, 목욕수가 담겨지는 목욕조의 세척은 물론 목욕수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세척하고, 목욕수가 담겨진 목욕조에서 사용자의 물리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초음파발생기는 소프트연장부(14) 또는 패드링부(22) 또는 별도로 본체유닛(10)에 결합 가능한 결합파지부재를 사용자가 파지함으로써, 자석부(21)를 통한 사용자의 지압 또는 마사지 효과를 나타내는 한편, 진동에 따른 혈액순환 촉진 효과, 근육이완 효과, 지방분해 효과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지압 또는 마사지 효과를 나타내고, 사용자가 화장할 때 화장품의 피부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초음파발생기는 이외에도 초음파의 진동이 이용되는 부분이라면 자유롭게 활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휴대용 초음파발생기에 따르면, 본체유닛(10)의 이동성, 잔 전류에 대한 안정성(잔 전류의 감전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예방), 본체유닛(10)의 활용 다양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탈착유닛(20)의 부가 구성을 통해 별도의 시공이 필요하지 않아 설치 위치에서 본체유닛(10)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함은 물론 설치 위치에서 본체유닛(10)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본체유닛(10)의 탈부착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으로 개발되어 기기결함으로 인한 경우, 출장수리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배송 에프터서비스를 수월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유닛(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초음파단자부(11)와 전선부(13)가 안정되게 접속되도록 하고, 초음파단자부(11)와 전선부(13)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하드케이스부(12)와 소프트연장부(14)의 경도 차이를 통해 초음파의 전달을 안정화시키고, 소프트연장부(14)에서의 구부러짐 동작 또는 펴짐 동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본체유닛(10)의 설치 위치의 제약을 없앨 수 있다.
또한, 하드케이스부(12)와 소프트연장부(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 한정을 통해 본체유닛(10)에서 온도에 따른 색상 변화를 확인하여 초음파단자부(11)와 전선부(13)의 상태를 확인하는 한편 잔 전류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누전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전선부(13)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전선부(13)에서 통전선(131)의 파손 또는 단락을 방지하고, 소프트연장부(14)의 구부러짐 또는 소프트연장부(14)의 펴짐에 대응하여 전선부(13)의 구부러짐 동작 또는 전선부(13)의 펴짐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소프트연장부(14)의 구부러진 상태 또는 소프트연장부(14)의 펴진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자바라부를 통해 소프트연장부(14)의 구부러짐 동작 또는 소프트연장부(14)의 펴짐 동작에 대응하여 소프트연장부(14)의 파손 또는 찢어짐을 방지하고, 소프트연장부(14)의 구부러진 상태 또는 소프트연장부(14)의 펴진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유닛(30)의 부가 구성을 통해 본체유닛(1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원유닛(30)의 세부 구성을 통해 본체유닛에 안정된 전원을 인가하는 한편, 기능별로 간편하게 초음파를 제어할 수 있고, 외부전원을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전기료 절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누전차단부(37)를 통해 본체유닛(1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누전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커넥터부(316)를 통해 초음파의 제어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사용자커넥터부(316)와 방수캡부(317)의 결합에 따라 사용자커넥터부(316)에서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탈착유닛(2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설치 위치에서 본체유닛(10)의 고정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고, 설치 위치의 재질을 다양화할 수 있다.
또한, 탈착유닛(2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자석부(21)는 철과 같이 자화 가능한 재질과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패드링부(22)는 자화 가능한 재질은 물론 플라스틱류 재질, 도기류 재질, 자기류 재질, 도자기류 재질과 같이 표면이 평평한 재질과의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패드링부(22)의 세부 구성을 통해 설치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패드링부(22)의 접촉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패드링부(22)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드링부(22)의 세부 구성을 통해 설치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설치 위치로부터 패드링부(22)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본체유닛 11: 초음파단자부 111: 절연커버부
12: 하드케이스부 13: 전선부 131: 통전선
132: 보호와이어 14: 소프트연장부 20: 탈착유닛
21: 자석부 22: 패드링부 221: 탈착파지부
222: 방사보강부 223: 링보강부 30: 전원유닛
31: 컨트롤박스부 311: 방진부 312: 접지부
313: 방열부 314: 전선커넥터 315: 전원커넥터
316: 사용자커넥터부 317: 방수캡부 32: 전선연장부
321: 전선단자 33: 전원접속부 331: 전원선
332: 전원단자 333: 전원플러그 34: 디스플레이부
35: 전원스위치부 36: 초음파제어부 37: 누전차단부
38: 기능조작부 381: 기능선택부 382: 초음파조절부
383: 타이머부

Claims (12)

  1.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초음파가 발생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에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상기 초음파를 제어하는 전원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고, 자력과 흡착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설치 위치에서 상기 본체유닛의 탈부착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탈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초음파가 발생되는 하나 이상의 초음파단자부;
    상기 초음파단자부를 감싸 밀폐시키는 하드케이스부;
    상기 초음파단자부에 접속되어 전원이 인가되거나, 상호 이격된 두 초음파단자부를 상호 접속시키는 전선부; 및
    상기 하드케이스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선부를 감싸 밀폐시키는 소프트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발생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케이스부의 경도는, 기설정된 제1경도 이상을 나타내고,
    상기 소프트연장부의 경도는, 기설정된 제1경도보다 작은 기설정된 제2경도 이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발생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케이스부와 상기 소프트연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무독성 실리콘과 열감지 시온 파우더가 배합된 보호층이 코팅되거나, 무독성 실리콘과 열감지 시온 파우더가 배합된 색변환물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발생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부는,
    전원의 인가를 위한 통전선; 및
    상기 하드케이스부와 상기 소프트연장부 중 적어도 상기 소프트연장부에 대응하여 상기 통전선에 권취되거나 상기 통전선과 나란하게 구비되고, 기설정된 인장강도 이상을 나타내는 보호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발생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연장부에는, 상기 소프트연장부의 구부러짐 또는 상기 소프트연장부의 펴짐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한 자바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발생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방열되는 방열부와, 전선커넥터와, 전원커넥터가 포함되는 컨트롤박스부;
    상기 초음파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가 인가되도록 상기 본체유닛과 상기 전선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연장부;
    외부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전원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접속부;
    상기 초음파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조작하는 기능조작부;
    상기 초음파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기능조작부를 통해 조작되는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초음파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발생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제어부에는,
    상기 본체유닛과 상기 전원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누전에 대응하여 누전차단신호를 생성하는 누전차단부;가 포함되고,
    상기 누전차단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초음파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발생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부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접속을 위한 사용자커넥터부; 및
    상기 사용자커넥터부의 방수를 위해 상기 사용자커넥터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수캡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발생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에 내장되거나 상기 본체유닛의 일측면에 노출되고, 설치 위치와의 부착을 위한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부; 및
    납작한 링 형상으로 상기 본체유닛의 일측면 가장자리에서 설치 위치를 향해 경사지게 돌출되고, 설치 위치를 향해 작용하는 가압력으로 상기 본체유닛의 일측면과 설치 위치 사이의 유체가 배출됨에 따라 설치 위치와의 부착을 위한 흡착력을 발생시키는 패드링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발생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링부에는,
    상기 패드링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내장되는 바 형상의 방사보강부; 및
    상기 패드링부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내장되는 링 형상의 링보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발생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링부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설치 위치와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면에 구비되는 탈착파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발생기.
KR1020200004925A 2020-01-14 2020-01-14 휴대용 초음파발생기 KR102287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925A KR102287853B1 (ko) 2020-01-14 2020-01-14 휴대용 초음파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925A KR102287853B1 (ko) 2020-01-14 2020-01-14 휴대용 초음파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575A true KR20210091575A (ko) 2021-07-22
KR102287853B1 KR102287853B1 (ko) 2021-08-06

Family

ID=77158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925A KR102287853B1 (ko) 2020-01-14 2020-01-14 휴대용 초음파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8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42992A (ja) * 2022-09-16 2024-03-29 パーパス株式会社 超音波洗浄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4421U (ja) * 1984-05-18 1985-12-06 ニチレイマグネツト株式会社 磁石付吸着盤
JPH0516175U (ja) * 1991-08-08 1993-03-02 康秋 内田 吸着パツト
KR200326637Y1 (ko) * 2003-06-18 2003-09-17 송원석 싱크대용 초음파 세척 진동자장치
KR20070045753A (ko) * 2005-10-28 2007-05-02 우보형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KR100905498B1 (ko) 2007-07-24 2009-07-01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과일세척장치
KR20100121756A (ko) * 2009-05-11 2010-11-19 강은석 과부하 경고용 전선 단자
KR101222681B1 (ko) 2010-12-08 2013-01-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세탁기
KR101420575B1 (ko) 2013-08-30 2014-07-17 권연식 헹굼 및 마사지 장치
KR101457400B1 (ko) 2014-06-09 2014-11-04 (주)메딕콘 초음파를 이용하는 피부 미용기기
KR101487621B1 (ko) 2013-10-18 2015-01-30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산란모듈을 포함하는 의료용 욕조
KR101705773B1 (ko) 2015-12-31 2017-02-13 기노성 싱크대용 초음파 세척기의 절연장치
KR101881798B1 (ko) 2017-04-10 2018-07-25 (주)유니폴리 휴대용 초음파 세척장치
KR101978465B1 (ko) 2018-10-10 2019-08-28 주식회사 탑소닉 초음파 집중에 의해 세척 효과가 향상된 초음파 식기세척기
KR102040957B1 (ko) 2019-04-17 2019-11-06 주식회사 세이버 복합 세척 기능을 수행하는 초음파 세척기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4421U (ja) * 1984-05-18 1985-12-06 ニチレイマグネツト株式会社 磁石付吸着盤
JPH0516175U (ja) * 1991-08-08 1993-03-02 康秋 内田 吸着パツト
KR200326637Y1 (ko) * 2003-06-18 2003-09-17 송원석 싱크대용 초음파 세척 진동자장치
KR20070045753A (ko) * 2005-10-28 2007-05-02 우보형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KR100905498B1 (ko) 2007-07-24 2009-07-01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과일세척장치
KR20100121756A (ko) * 2009-05-11 2010-11-19 강은석 과부하 경고용 전선 단자
KR101222681B1 (ko) 2010-12-08 2013-01-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세탁기
KR101420575B1 (ko) 2013-08-30 2014-07-17 권연식 헹굼 및 마사지 장치
KR101487621B1 (ko) 2013-10-18 2015-01-30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산란모듈을 포함하는 의료용 욕조
KR101457400B1 (ko) 2014-06-09 2014-11-04 (주)메딕콘 초음파를 이용하는 피부 미용기기
KR101705773B1 (ko) 2015-12-31 2017-02-13 기노성 싱크대용 초음파 세척기의 절연장치
KR101881798B1 (ko) 2017-04-10 2018-07-25 (주)유니폴리 휴대용 초음파 세척장치
KR101978465B1 (ko) 2018-10-10 2019-08-28 주식회사 탑소닉 초음파 집중에 의해 세척 효과가 향상된 초음파 식기세척기
KR102040957B1 (ko) 2019-04-17 2019-11-06 주식회사 세이버 복합 세척 기능을 수행하는 초음파 세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42992A (ja) * 2022-09-16 2024-03-29 パーパス株式会社 超音波洗浄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853B1 (ko)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9338C2 (ru) Вращающеес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одсоединения бытовых электроприборов и электроинструментов
KR102287853B1 (ko) 휴대용 초음파발생기
US20060122631A1 (en) Skin Cleaner
US3417417A (en) Scrubbing implement
CN205698458U (zh) 美容仪
KR20150129462A (ko) 피부미용장치
CN207499073U (zh) 一种超声波洗菜洗碗水槽
US4432113A (en) Back washer
CN209847034U (zh) 一种洁面仪
CN212349337U (zh) 超声波换能器、超声波装置和衣物处理设备
WO2019225618A1 (en) Portable washing device
CN104257314A (zh) 手持式电动身体清洁器
KR102133812B1 (ko) 이미용 기구
CN209122042U (zh) 硅胶洗脸器
CN206716602U (zh) 一种设有定时清洗功能的眼镜清洗装置
CN204306731U (zh) 手持式电动身体清洁器
CN205688215U (zh) 便携式超声波清洗器
CN209059923U (zh) 一种四面体按摩洁面仪
CN107812751A (zh) 一种超声波清洗装置
CN216933567U (zh) 超声波清洁器
CN107550586A (zh) 牙刷组件及电动牙刷
CN210277004U (zh) 一种高频洁肤仪
WO2010085823A1 (en) Electrolytic cleaning device
KR200239159Y1 (ko) 탈착식 초음파 식기및 과일 세척기
US3119135A (en) Electrically-operated tooth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