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5753A -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5753A
KR20070045753A KR1020050102378A KR20050102378A KR20070045753A KR 20070045753 A KR20070045753 A KR 20070045753A KR 1020050102378 A KR1020050102378 A KR 1020050102378A KR 20050102378 A KR20050102378 A KR 20050102378A KR 20070045753 A KR20070045753 A KR 20070045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ultrasonic cleaner
container
main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6556B1 (ko
Inventor
우보형
Original Assignee
우보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보형 filed Critical 우보형
Priority to KR1020050102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556B1/ko
Publication of KR20070045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3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using sonic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3Arrangements for programme selection, e.g. control panels; Indication of the selected programme, programme progress or other parameters of the programme, e.g. by using display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7Sonic or ultrasonic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척의 종류나 세척시간, 세척의 강도 및 자동/수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부가 외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초음파 세척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가 설치된 본체부와; 전선을 통해 상기 본체부 내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흡착기에 고정 설치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소자들과; 상기 진동소자들을 용기의 바닥이나 측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시켜 주는 흡착기들로 구성하거나, 세척의 종류나 세척시간, 세척의 강도 및 자동/수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부가 외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초음파 세척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가 설치된 본체부와; 전선을 통해 상기 본체부 내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중량체와 더불어 밀폐겸 완충부재 내에 고정 설치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소자들과; 상기 진동소자들이 용기의 바닥면측에 가라앉도록 하는 중량체들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휴대 및 보관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단히 설치하여 각종 야채나 과일 및 그릇 등을 포함하여 비교적 작은 용기 또는 큰 용기의 내부 등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간단히 세척할 수 있으며, 하나의 용기 내로 담겨져 세척되는 각종 야채나 과일 및 그릇 등과 같은 세척물들을 포함하여 용기 내부 자체를 균일하고 깨끗하게 세척해 낼 수 있어 초음파 세척기의 품질과 성능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초음파 세척, 진동소자, 흡착기, 중량체, 밀폐겸 완충부재

Description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A SEPARATION-TYPE ULTRASONIC WAVES CLEANER}
도 1은 본 발명 초음파 세척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초음파 세척기를 이용하여 그릇이나 야채 등을 세척하는 상태를 보인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초음파 세척기의 제 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의 (a)(b)는 본 발명 중 흡착기의 확대 단면도 및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초음파 세척기의 조작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 중 제어부의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초음파 세척기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8의 (a)(b)는 본 발명 초음파 세척기를 이용하여 작은 용기 및 큰 용기의 내부를 세척하는 상태를 보인 일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중 중량체와 진동소자 및 밀폐겸 완충부재의 결합 상태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부 2 : 진동소자
3 : 흡착기 4 : 조작부
5 : 전원공급부 6 : 제어부
7 : 전선 8 : 연결잭
9 : 콘센트 10 : 선택 및 작동상태 표시부
11 : 용기 12 : 진동소자 구동부
13 : 정류기 14 : 중량체
15 : 밀폐겸 완충부재 16 : 보조 진동판
31 : 손잡이 41 : 전원 스위치
42 : 진동소자 개수 선택 스위치
43 : 세척 종류 선택 스위치 44 : 세척시간 설정 스위치
45 : 세척 강도 조절 스위치 46 : 자동/수동 모드 선택 스위치
51 : 충전회로부 52 : 충전용 건전지
본 발명은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파 세척기를 본체부와 흡착기 또는 중량체와 함께 밀폐겸 완충부재 내에 고정 설치되는 진동소자로 구성되는 분리형으로 제조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하거나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단히 설치하여 각종 야채나 과일 및 그릇 등을 포함하여 크고 작은 용기의 내부도 간편하게 초음파 세척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나 과일 및 야채 등은 세제(액체 또는 고체)를 사용하여 싱크대나 커다란 용기에서 세척을 행한다.
이 경우에는 세제에 의한 하수의 오염이 발생하며, 식기나 과일 및 야채 등에 세제가 잔류할 가능성이 있다.
또 과일 등의 표면에 잔류되어 있는 농약 등이 완전하게 세척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더욱이, 딸기나 포도 같이 충격이나 압력에 쉽게 손상을 입는 과일의 경우에는 깨끗하게 씻는 것이 불가능하여 잔류 농약의 제거가 거의 되지 않는다.
따라서 최근에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초음파를 이용하여 식기나 과일 및 야채 등을 세척할 수 있는 초음파 세척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대부분의 초음파 세척기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진장치를 내장하고 있으며, 세척용기에 물을 채우고 식기나 과일 등을 담근 다음 초음파 발진장치를 작동시키면 초음파에 의하여 물이 미세하고 매우 빠르게 진동하면서 물에 담겨진 식기나 과일 및 야채 등에 묻은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초음파 세척기의 경우에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환경오염을 유 발하지 않으며, 미세한 이물질이나 잔류농약의 제거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초음파 세척기는 과일이나 식기 및 야채 등의 세척물에 사람이 직접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세척이 이루어지므로, 딸기나 포도 등과 같이 쉽게 손상을 입는 과일의 경우에도 깨끗하게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종래의 초음파 세척기는 초음파 발진장치와 세척용기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설치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며,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매우 비싸며, 설치장소의 이동이나 휴대가 불편하다.
특히 싱크대가 있는 부엌공간에서도 별도로 초음파 세척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싱크대 주변이 매우 복잡하고 공간활용의 면에서 매우 불리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가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93-17866호로 기재된 바 있는데, 이는 안경형태의 세척조를 일측 벽면에 콘센트가 결합되고 상부면으로 콘트롤판이 형성된 상부케이스 저면에 일체로 형성하고 세척조 일측으로 덮개판을 힌지부에 결합하며, 상기 세척조 저면으로 진동자를 부착하여 초음파 발생기가 설치 되어진 하부케이스에 상기 상부케이스를 결합하여서 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는 안경을 전문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 가정 등지에서 식기나 과일 및 야채 등과 같이 비교적 큰 물체를 세척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 상에는 진동자가 부착 설치된 세척조와 체척조 개구부를 닫아주는 덮개판이 일체로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진동 자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판이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어 단순히 휴대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고정형과 그 구성이 유사 또는 동일하다.
따라서, 구조가 복잡하고 콘트롤부로의 습기 유입을 방지해야 하는 등의 설계상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원가가 많이 들고 고장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95552호에 기재된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초음파 발진기와, 상기한 초음파 발진기에 안정적인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장치 및 상기한 초음파 발진기가 각각 설치되며 물위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부유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부유부재는 초음파 발진기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판형상 또는 내부가 빈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한 부유부재의 윗면에는 손으로 잡기 편리하도록 손잡이를 돌출하여 형성하며, 상기한 부유부재의 밑면에는 상기한 초음파 발진기를 설치하기 위한 수납홈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초음파 발진기를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별도의 세척용기를 구비하지 않고 싱크대나 물을 채울 수 있는 일반 용기를 이용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식기나 과일, 야채 등을 세척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초음파 발진기들이 부유 부재들과 함께 물 위에 떠 있는 형태를 갖게 되므로 초음파 세척기의 작동시 초음파 발진기들이 물 위에서 떠다니다가 어느 일측부로 몰리는 등의 원인으로 인해 물속에 초음파 진동력을 골고루 전달시킬 수 없어 세척력이 균일하지 못하여 하나의 용기 내에 투입된 세척물 들이라 할지라도 각각의 세척 정도가 서로 상이할 뿐더러 동일한 세척물에서도 각각의 위치별로 세척 정도가 다르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 한국 등록특허 10-0330490호에 기재된 "진동 세척장치"는 전원코드와, 상기 전원코드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구동전압으로 전환하는 구동전압 생성부를 포함하는 본체 유니트와; 상기 본체 유니트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자유단부에 장착되어 세척수내에 침지되는 진동자와,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구동전압 생성부로부터의 구동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진동자를 진동시키는 진동구동수단을 갖는 진동자 유니트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세척수를 직접 진동시키고 세척의 종류 및 세척량에 따라 세척강도와 세척시간 즉, 진동주파수와 진동폭을 적절히 조절하여 세척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임의의 장소에 사용자가 휴대하여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세척조의 세척수 내로 유입되는 진동자가 회전 케이블 또는 급전 케이블이 삽입 설치되는 보호관을 통해 본체에 연결된 형태를 갖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보호관의 길이는 한정된 길이를 갖게 되어 본체를 설치할 때 보호관의 길이에 맞춰 세척조에 근접 설치해야 하므로 세척시 본체가 걸리적거릴 우려가 있음은 물론 본체측으로 물기가 튀어 들어갈 우려가 있고, 또 하나의 본체에 하나의 진동자만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어 세척조의 크기 및 세척물의 량에 부응하여 진동자의 설치 개수 변화를 통한 세척력 조절을 자유롭게 실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대부분의 초음파 세척기는 주로 야채나 과일 및 그릇 등과 같은 세척물을 초음파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진동소자 자체를 물속에 가라앉힐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주병이나 꽃병 등과 같이 주입구가 작은 병이나, 물탱크와 같이 용적이 큰 용기에 진동소자들을 설치하고 용기 자체를 세척하는데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초음파 세척기의 본체부와 진동소자들을 직접 연결 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간편히 휴대 및 보관할 수 있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각종 야채나 과일 및 그릇 등을 포함하여 주입구가 작은 용기나 용적이 큰 용기에도 진동소자들을 부착 또는 가라앉히는 방식으로 설치하여 초음파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진동소자를 흡착기 또는 중량체를 이용하여 용기의 바닥면이나 측면 등에 원하는 개수(즉, 용기의 크기 세척물의 량 또는 용도 등에 부응하는 개수)만큼 자유롭게 부착 설치 또는 가라앉혀 하나의 용기 내로 담겨져 세척되는 각종 야채나 과일 및 그릇 등과 같은 세척물들을 포함하여 각종 용기 자체의 내부 등을 균일하고 깨끗하게 세척해 낼 수 있는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은, 세척의 종류나 세척시간, 세척의 강도 및 자동/수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부가 외부에 설치되고, 내부 에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초음파 세척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가 설치된 본체부와; 전선을 통해 상기 본체부 내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흡착기에 고정 설치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소자들과; 상기 진동소자들을 용기의 바닥이나 측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시켜 주는 흡착기들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진동소자들은 본체부 내의 제어부에 전선을 통해 직접 연결시킬 수도 있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본체부에는 진동소자들의 개수에 부응하는 개수의 콘센트들을 설치하고 일단부가 상기 진동소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의 타단부에는 상기 콘센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연결잭들을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는 필요에 따라 세척의 종류나 세척시간, 세척의 강도 및 자동/수동 모드를 표시해 주는 선택 및 작동상태 표시부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조작부는 전원 스위치와, 진동소자 개수 선택 스위치, 세척 종류 선택 스위치, 세척시간 설정 스위치, 세척 강도 조절 스위치 및 자동/수동 모드 선택 스위치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기는 실리콘이나 고무를 이용하여 단면이 갓 형상을 갖도록 사출성형하되, 상기 진동소자는 초음파 발생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면 중앙부에 매설하고, 상기 흡착기의 상면 일측부에는 흡착기를 용기로부터 분리시킬 때 잡아당겨 용기와 흡착기 사이에 공기 또는 물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를 돌출 형성시 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조작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들의 신호를 입력받고 자체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진동소자들의 구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의 스위치 입력 상태신호 및 초음파 세척상태신호를 선택 및 작동상태 표시부로 출력시켜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세척의 종류나 세척시간, 세척의 강도 및 자동/수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부가 외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초음파 세척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가 설치된 본체부와; 전선을 통해 상기 본체부 내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중량체와 더불어 용기내의 물속에 잠기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소자들과; 상기 진동소자들이 용기의 바닥면측에 가라앉도록 하는 중량체들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소자와 중량체는 밀폐겸 완충부재 내에서 상,하부에 위치하도록 삽입 설치하되, 상기 진동소자의 초음파 발생면은 상방향을 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밀폐겸 완충부재는 실리콘 또는 고무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진동소자의 외주연에는 진동소자에서 발생되는 진동력을 물속으로 전파하는 보조 진동판을 적어도 1개 이상 더 설치하되, 상기 보조 진동판을 2개 이상 설치할시 그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시켜 준 것을 특징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초음파 세척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초음파 세척기를 이용하여 그릇이나 야채 등을 세척하는 상태를 보인 일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초음파 세척기의 제 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a)(b)는 본 발명 중 흡착기의 확대 단면도 및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 초음파 세척기의 조작부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 중 제어부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초음파 세척기의 제 1 실시예는, 외부 일측에는 조작부(4)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전원공급부(5)를 포함하여 초음파 세척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6)가 설치된 본체부(1)와;
전선(7)을 통해 상기 본체부(1) 내의 제어부(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흡착기(3)에 고정 설치되어 용기(11)내의 물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소자(2)들과;
상기 진동소자(2)들을 용기(11)의 바닥이나 측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시켜 주는 흡착기(3)들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진동소자(2)들은 본체부(1) 내의 제어부(6)에 도 1 및 도 2와 같이 전선(7)을 통해 직접 연결시키거나, 도 3에 도시한 제 2 실시예와 같이 상기 본체부(1)에는 진동소자(2)들의 개수에 부응하는 개수의 콘센트(9)들을 설치하고 일 단부가 상기 진동소자(2)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7)의 타단부에는 상기 콘센트(9)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연결잭(8)들을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4)는 전원 스위치(41)와, 진동소자 개수 선택 스위치(42), 세척 종류 선택 스위치(43), 세척시간 설정 스위치(44), 세척 강도 조절 스위치(45) 및 자동/수동 모드 선택 스위치(46) 등을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본체부(1)의 외측에는 필요에 따라 세척의 종류나 세척시간, 세척의 강도 및 자동/수동 모드를 표시해 주는 선택 및 작동상태 표시부(10)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흡착기(3)는 실리콘이나 고무를 이용하여 단면이 갓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진동소자(2)는 초음파 발생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면 중앙부에 매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기(3)의 상면 일측부에는 흡착기(3)를 용기(11)로부터 분리시킬 때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당겨 용기(11)와 흡착기(3) 사이에 공기 또는 물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31)를 돌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6)는 조작부(4)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들의 신호를 입력받고 자체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진동소자(2)들의 구동을 제어하되,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4)의 스위치 입력 상태신호 및 초음파 세척 상태신호를 상기 선택 및 작동상태 표시부(10)로 출력시켜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 초음파 세척기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의 (a)(b)는 본 발명 초음파 세척기를 이용하여 작은 용기 및 큰 용기의 내부를 세척하는 상태를 보인 일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 중 중량체와 진동소자 및 밀폐겸 완충부재의 결합 상태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초음파 세척기의 제 3 실시예는, 외부 일측에는 조작부(4)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전원공급부(5)를 포함하여 초음파 세척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6)가 설치된 본체부(1)와;
전선(7)을 통해 상기 본체부(1) 내의 제어부(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중량체(14)와 더불어 용기(11)내의 물속에 잠기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소자들(2)과;
상기 진동소자(2)들이 용기(11)의 바닥면측에 가라앉도록 하는 중량체(14)들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진동소자(2)와 중량체(14)는 밀폐겸 완충부재(15) 내에서 상,하부에 위치하도록 삽입 설치하되, 상기 진동소자(2)의 초음파 발생면은 상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폐겸 완충부재(15)는 실리콘 또는 고무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진동소자(2)의 외주연에는 진동소자(2)에서 발생되는 진동력을 물 속으로 원활히 전파하기 위한 보조 진동판(16)을 적어도 1개 이상 더 설치하되, 상기 보조 진동판(16)을 2개 이상 설치할 시 그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시켜 준 것을 특징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초음파 세척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주요 기술 구성요소는, 조작부(4)를 구비한 본체부(1)와, 진동소자(2)들 및 흡착기(3)들로 이루어진 것을 기본으로 하고, 제 3 실시예의 주요 기술 구성요소는, 조작부(4)를 구비한 본체부(1)와, 진동소자(2), 중량체(14) 및 밀폐겸 완충부재(15)로 이루어진 것을 기본으로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선택 및 작동상태 표시부(10)를 더 구비시킨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부(1)는 외부 일측에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4)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전원공급부(5)를 포함하여 초음파 세척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6)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진동소자(2)들은 전선(7)을 통해 상기 본체부(1) 내의 제어부(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흡착기(3)에 고정 설치되거나, 중량체(14)와 함께 밀폐겸 완충부재(15) 내에 매립 설치되어 제어부(6)의 제어에 부응하여 용기(11)내의 물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한편, 본체부(1)와 이격되는 형태를 갖는 상기 진동소자(2)들은 본체부(1)내의 제어부(6)에 연결시켜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전선(7)을 통해 본체부(1) 내의 제어부(6) 출력단자에 직접 연결시켜 주거나, 도 3과 같이 상기 본체부(1)에는 진동소자(2)들의 개수에 부응하는 개수의 콘센트(9)들을 설치하여 제어부(6)의 출력단자들에 각각 연결하고 일단부가 상기 진동소자(2)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7)의 타단부에는 상기 콘센트(9)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연결잭(8)들을 각각 설치하여 주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의 형태를 갖는 경우 진동소자(2)들을 본체부(1)와 함께 일체로 휴대 및 보관하다가 필요에 따라 진동소자(2)들을 용기(11)내에 설치하여 사용하면 되고, 도 3의 형태를 갖는 경우는 본체부(1)로부터 진동소자(2)들을 분리시켜 보관 및 휴대하고 다니다가 필요에 따라 원하는 개수의 진동소자(2)들을 본체부(1)에 연결시킨 후 용기(11)내에 설치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때, 상기 진동소자(2)들은 본체부(1)와 함께 별도의 보관 케이스(도시 생략 됨)에 넣어 보관 및 휴대할 수도 있고, 본체부(1)의 외측면에 진동소자(2)가 고정 설치되는 흡착기(3) 걸림고리(도시 생략 됨) 등을 일체로 형성시켜 이에 걸어두는 형태로 보관 및 휴대하다가 필요에 따라 본체부(1)의 걸림고리로부터 분리시켜 용기(11)에 설치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 진동소자(2)를 본체부(1)의 제어부(6)에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전선(7)는 그 길이를 한정시킬 필요는 없으나, 초음파 세척시 본체부(1)가 걸리적거리지 않으면서도 본체부(1)의 조작부(4)를 원활히 조작할 수 있고, 또 비교적 큰 용기(11)에도 원활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3m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진동소자(2)들은 용기(11)의 바닥이나 측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시켜 줄 수 있도록 실리콘이나 고무를 이용하여 갓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한 흡착기(3)에 도 4의 (a)(b)와 같이 매립 설치하거나, 용기(11)의 바닥면에 가라앉힐 수 있도록 실리콘이나 고무제를 이용하여 대략 원추형으로 형성시킨 밀폐겸 완충부재(15) 내에 도 9와 같이 중량체(14)와 함께 매립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동소자(2)는 초음파 발생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흡착기(3)의 상면 중앙부에 매립 설치하거나, 중량체(14)의 상방부에서 초음파 발생면이 상면을 향하도록 하여 밀폐겸 완충부재(15)에 매립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경우 상기 흡착기(3)를 이용하여 진동소자(2)들을 용기(11)의 바닥면이나 측면부에 원하는 개수 만큼 부착 설치하게 되면 상기 흡착기(3)들에 의해 용기(11)내의 바닥면 및 측면부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진동소자(2)의 초음파 발생면이 용기(11) 내의 물속에 담겨져 세척되는 세척물을 향하게 되므로 물속에 초음파 진동력을 골고루 전달시킬 수 있어 세척력이 균일하게 되어 하나의 용기(11) 내에 투입된 세척물들을 모든 부위에 걸쳐 고르게 세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진동소자(2)와 중량체(14)가 도 9와 같이 매립 설치되어 있는 밀폐겸 완충부재(15)들을 용기(11) 내에 원하는 개수 만큼 넣어주면 원추형의 밀폐겸 완충부재(15)의 하방부에 매립된 중량체(14)의 자중에 의해 진동소자(2)와 중량체(14)가 매립 설치되어 있는 밀폐겸 완충부재(15)들이 물속에 가라앉으며 그의 저면이 용기(11)의 바닥면에 안착된 형태를 유지함은 물론 상기 진동소자(2)들의 초음파 발생면이 용기(11) 내에서 상방면을 향하게 되므로 물속에 초음파 진동력을 골고루 전달시킬 수 있어 세척력이 균일하게 되어 용기(11) 자체 내부를 포함하여 그 내부에 투입된 세척물들을 모든 부위에 걸쳐 고르게 세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밀폐겸 완충부재(15)는 그 내부에 매설된 중량체(14)에 의해 진동소자(2)들이 물속에 가라앉으며 용기(11)의 바닥면에 안착 될 때 진동소자(2)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뿐만 아니라 전선(7)의 일부를 포함한 진동소자(2) 및 중량체(14)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밀폐시켜 물기에 의해 단락을 방지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진동소자(2)가 흡착기(3)의 상면 중앙부에 매립 설치되어 용기(11)의 바닥면이나 측면 등에 부착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는 하나의 용기(11) 내에 각종 야채나 과일 및 그릇 등과 같은 세척물들을 담아 세척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 중량체(14)와 함께 밀폐겸 완충부재(15)에 매립 설치되어 용기(11)의 바닥면에 가라앉혀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는 꽃병이나 주병과 같이 용기(11)의 주입구가 작아 사용자의 손이 들어가지 않거나 물탱크와 같이 비교적 그 용적이 커 용기(11)의 바닥면에 흡착기(3)를 통한 진동소자(2)들의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 도 8의 (a)(b)와 같이 용기(11)의 바닥면에 가라앉히는 형태로 설치하여 용기(11)의 내부 자체를 세척하거나 그 내부에 담겨진 각종 세척물을 초음파 세척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진동소자(2)의 외주연에는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와셔 형상을 갖도록 박판으로 형성시킨 보조 진동판(16)을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진동소자(2)에서 발생되는 초음파 진동력을 진동소자(2) 자체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 진동판(16)을 통해 원활히 물속으로 전파시켜 줄 수 있어 세척력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진동판(16)은 하나의 진동소자(2)에 1개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초음파 진동력 전달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2개 이상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조 진동판(16)을 2개 이상 설치할 경우에는 각각의 보조 진동판(16)으로 전달되는 초음파 진동 주파수가 서로 같은 상태에서 위상이 서로 달라 진동력이 상쇄될 우려가 있으므로 2개 이상의 보조 진동판(16)을 설치할 시에는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흡착기(3)의 상면 일측부에는 손잡이(3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착기(3)를 용기(11)로부터 분리시키고자할 때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손잡이(31)를 잡아당겨 주는 동작만으로 용기(11)와 흡착기(3) 사이에 공기 또는 물을 유입시켜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4)에는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41)를 포함하여 용기(11)의 크기와 세척물의 종류 및 세척물의 량 등에 부응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작 및 조절하기 위한 진동소자 개수 선택 스위치(42), 세척 종류 선택 스위치(43), 세척시간 설정 스위치(44), 세척 강도 조절 스위치(45) 및 자동/수 동 모드 선택 스위치(46) 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한 조작부(4)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스위치를 이용하여 해당 세척 용기에 설치하고자 하는 진동소자 개수와, 세척물의 종류, 세척물의 량 및 종류에 따른 세척시간 및 세척 강도를 선택 및 조절하여 수동 모드에서 세척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제어부(6) 내에 기 입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 모드에서 세척을 실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부(1)의 외측에는 필요에 따라 세척의 종류나 세척시간, 세척의 강도 및 자동/수동 모드를 표시해 주는 선택 및 작동상태 표시부(10)를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조작부(4)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들을 이용하여 세척의 종류나 세척시간, 세척의 강도 등을 설정할 때 정확히 설정 및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초음파 세척기의 구동시 잔여시간 및 세척 강도 등과 같은 작동 상태를 육안으로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에서는 조작부(4)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들의 신호를 입력받고 자체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수행한 다음 그 결과에 의거하여 진동소자 구동부(12)를 통해 진동소자(2)들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6)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4)의 스위치 입력 상태신호 및 초음파 세척 상태신호 등을 상기 선택 및 작동상태 표시부(10)로 출력시켜 표시해 주어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선택 및 설정한 세척물 종류나 세척시간, 세척 강도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초음파 세척기의 구동시에는 잔여시간 및 세척 강도 등과 같은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선택 및 작동상태 표시부(10)를 통해 초음파 세척기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최적의 초음파 세척에 필요한 조치를 정확히 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초음파 세척기는 휴대용이라는 걸 감안하여 볼 때 상기 전원공급부(5)를 교류전압 공급부로 형성할 경우 트랜스 및 정류부 등이 필요하므로 본체부(1)의 내부가 커야 할 뿐만 아니라 본체부 자체가 무거워 보관 및 휴대가 불편하고, 또 교류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장소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원공급부(5)를 정류기(13)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각부에서 필요로 하는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직류전압 공급부로 구성하였는데,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5)의 출력부에는 충전회로부(51) 및 충전용 건전지(52)를 더 구비시켜 주면 교류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야외 등지에서도 본 발명의 초음파 세척기를 이용하여 각종 야채나 과일 및 그릇 등과 같은 세척물들을 포함하여 주입구가 작은 용기나 용적이 큰 용기에도 진동소자(2)들을 부착 또는 가라앉히는 방식을 통해 설치하여 초음파를 이용하여 균일하고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에 의하면, 본체부와 진동소자들을 직접 연결 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소형화 및 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각종 야채나 과일 및 그릇 등을 포함하여 주입구가 작은 용기나 용적이 큰 용기에도 진동소자들을 부착 또는 가라앉히는 방식을 통해 설치하여 간편하게 초음파 세척할 수 있으며, 진동소자를 흡착기 또는 중량체를 이용하여 용기의 바닥면이나 측면 등에 원하는 개수 만큼 자유롭게 부착 설치 또는 가라앉혀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용기 내로 담겨져 세척되는 각종 야채나 과일 및 그릇 등과 같은 세척물들을 포함하여 각종 용기 자체의 내부 등을 균일하고 깨끗하게 세척해 낼 수 있어 초음파 세척기의 품질과 성능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5)

  1. 조작부가 외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초음파 세척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가 설치된 본체부와;
    전선을 통해 상기 본체부 내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흡착기에 고정 설치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소자들과;
    상기 진동소자들을 용기의 바닥이나 측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시켜 주는 흡착기들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소자들은 본체부 내의 제어부에 전선을 통해 직접 연결시켜 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진동소자들의 개수에 부응하는 개수의 콘센트들을 설치하고, 일단부가 상기 진동소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의 타단부에는 상기 콘센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연결잭들을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전원 스위치와, 진동소자 개수 선택 스위치, 세척 종류 선택 스위치, 세척시간 설정 스위치, 세척 강도 조절 스위치 및 자동/수동 모드 선택 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5.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는 세척의 종류나 세척시간, 세척의 강도 및 자동/수동 모드를 표시해 주는 선택 및 작동상태 표시부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기는 실리콘이나 고무를 이용하여 단면이 갓 형상을 갖도록 사출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진동소자는 초음파 발생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흡착기의 상면 중앙부에 매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흡착기의 상면 일측부에는 흡착기를 용기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돌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의 정류기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각부에서 필요로 하는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직류전압 공급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부에는 충전회로부 및 충전용 건전지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11. 외부 일측에는 조작부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초음파 세척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가 설치된 본체부와;
    전선을 통해 상기 본체부 내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중량체와 더불어 용기 내의 물속에 잠기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소자들과;
    상기 진동소자가 용기의 바닥면측에 가라앉도록 하는 중량체들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진동소자와 중량체는 상,하부에 위치되게 하여 밀폐겸 완충부재 내에 매설하되, 상기 진동소자의 초음파 발생면은 상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밀폐겸 완충부재는 실리콘 또는 고무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소자의 외주연에는 진동소자에서 발생되는 진동력을 물속으로 전파하기 위한 보조 진동판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1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소자의 외주연에는 크기가 서로 다른 보조 진동판을 적어도 2개 이상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KR1020050102378A 2005-10-28 2005-10-28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KR100746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378A KR100746556B1 (ko) 2005-10-28 2005-10-28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378A KR100746556B1 (ko) 2005-10-28 2005-10-28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753A true KR20070045753A (ko) 2007-05-02
KR100746556B1 KR100746556B1 (ko) 2007-08-06

Family

ID=3827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378A KR100746556B1 (ko) 2005-10-28 2005-10-28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55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4420A (zh) * 2016-01-27 2016-05-04 厦门驭波超声技术有限公司 一种超声波地板清洁车
CN107866406A (zh) * 2016-09-23 2018-04-03 苏州润桐专利运营有限公司 一种用于超声波清洗装置的控制面板
KR20190128612A (ko) * 2019-11-08 2019-11-18 주식회사 모아바이오 초음파 세척기
KR20210091575A (ko) * 2020-01-14 2021-07-22 김진성 휴대용 초음파발생기
JP2024042992A (ja) * 2022-09-16 2024-03-29 パーパス株式会社 超音波洗浄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427Y1 (ko) 2003-02-05 2003-05-16 (주)디지링크 진동소자를 이용한 세척장치
KR20050094138A (ko) * 2004-03-22 2005-09-27 조진형 싱크대용 초음파 세척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4420A (zh) * 2016-01-27 2016-05-04 厦门驭波超声技术有限公司 一种超声波地板清洁车
CN107866406A (zh) * 2016-09-23 2018-04-03 苏州润桐专利运营有限公司 一种用于超声波清洗装置的控制面板
KR20190128612A (ko) * 2019-11-08 2019-11-18 주식회사 모아바이오 초음파 세척기
KR20210091575A (ko) * 2020-01-14 2021-07-22 김진성 휴대용 초음파발생기
JP2024042992A (ja) * 2022-09-16 2024-03-29 パーパス株式会社 超音波洗浄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6556B1 (ko) 2007-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556B1 (ko) 분리형 초음파 세척기
JP2007529264A (ja) シンク台取付型食器洗浄装置
KR102111219B1 (ko) 초음파 세척기
KR100836318B1 (ko)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
KR100692626B1 (ko) 수중부상 자기 이동식 초음파 세척장치
KR101822561B1 (ko) 초음파 세척기
JP7231914B1 (ja) 場所をとらない携帯可能超音波洗浄機及びこれを用いる洗浄方法
KR200383513Y1 (ko) 핸디형 다목적 초음파 세정기
CN219594516U (zh) 一种超声波清洗机
CN2341726Y (zh) 一种振动洗涤机
KR20180091479A (ko) 진동 세척장치
KR102110160B1 (ko) 초음파 세척기
CN108713992A (zh) 马桶刷
KR20130055735A (ko) 포터블 세척기
KR20100023180A (ko) 초음파 진동장치
JPH0810729A (ja) 超音波洗浄装置
KR200313427Y1 (ko) 진동소자를 이용한 세척장치
CN105852761A (zh) 一种商用净化水槽的超声波系统
CN220825236U (zh) 一种清洗机
CN214574363U (zh) 一种带无线遥控的超声波清洗水槽
CN105855228A (zh) 一种净化水槽的超声波清洁方法
KR200239159Y1 (ko) 탈착식 초음파 식기및 과일 세척기
CN214712471U (zh) 洗碗机烘干装置
CN105863002A (zh) 商用净化水槽的超声波系统
JP7298042B1 (ja) 超音波洗浄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