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826A - 산소 투과성이 향상된 촉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소 투과성이 향상된 촉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826A
KR20210089826A KR1020200002832A KR20200002832A KR20210089826A KR 20210089826 A KR20210089826 A KR 20210089826A KR 1020200002832 A KR1020200002832 A KR 1020200002832A KR 20200002832 A KR20200002832 A KR 20200002832A KR 20210089826 A KR20210089826 A KR 20210089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membrane
catalyst
fuel cell
ionom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홍보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2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9826A/ko
Priority to US17/028,475 priority patent/US11824242B2/en
Priority to JP2020163938A priority patent/JP2021111614A/ja
Priority to DE102020212538.4A priority patent/DE102020212538A1/de
Priority to CN202011070636.5A priority patent/CN113113648A/zh
Publication of KR20210089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826A/ko
Priority to US18/483,845 priority patent/US2024005563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53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consisting of layers of polym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ionically conduct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5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only carbon and oxygen, e.g. polyethers, sulfonated polyetheretherketones [S-PEEK], sulfonated polysaccharides, sulfonated celluloses or sulfonated poly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3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halogenated, e.g. sulfonated polyvinylidene fluo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44Mixtures of polymers, of which at least one is ionically conduct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46Mixtures of at least one polymer and at least one additive
    • H01M8/1051Non-ion-conducting additives, e.g. stabilisers, SiO2 or Zr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55Inorganic layers on the polymer electrolytes, e.g. inorganic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5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 porous support having no ion-conducting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5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 porous support having no ion-conducting properties
    • H01M8/106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 porous support having no ion-conducting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orous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81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starting from solutions, dispersions or slurries exclusively of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86After-treatment of the membrane other than by polymer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 투과성이 있는 재료로 촉매 입자를 피복한 촉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해질막은 수소 이온 전도성이 있는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이온전달층 및 상기 이온전달층 내에 분산되어 있는 촉매 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촉매 복합체는 과산화수소 분해 활성이 있는 촉매 금속을 포함하는 촉매 입자 및 상기 촉매 입자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산소 투과성이 있는 재료를 포함하는 피복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산소 투과성이 향상된 촉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AN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COMPRISING CATALYST COMPLEX WITH IMPROVED OXYGEN PERMEABILITY AND A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산소 투과성이 있는 재료로 촉매 입자를 피복한 촉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연료전지로는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가 적용되고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가 자동차의 다양한 운전조건에서 최소 수십 kW 이상 높은 출력 성능을 정상적으로 발현하려면, 넓은 전류 밀도(Current Density)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작동이 가능해야 한다.
상기 연료전지의 전기 생성을 위한 반응은 과불소 술폰산계 이오노머 기반 전해질막(Perfluorinated Sulfonic Acid (PFSA) Ionomer-Based Membrane)과 애노드(Anode)/캐소드(Cathode)의 전극으로 구성된 막-전극 접합체(MEA: Membrane-Electrode Assembly)에서 발생한다. 산화극인 애노드에 공급된 수소가 수소 이온(Proton)과 전자(Electron)로 분리된 후, 수소 이온은 막을 통해 환원극인 캐소드 쪽으로 이동하고, 전자는 외부 회로를 통해 캐소드로 이동한다. 상기 캐소드에서 산소 분자, 수소 이온 및 전자가 함께 반응하여 전기를 생성함과 동시에 반응 부산물로서 물(H2O)과 열이 생성된다.
연료전지의 반응 기체들인 수소 및 산소는 전해질막을 통해 교차이동(Crossover)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과정에서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OOH)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과산화수소가 히드록실(Hydroxyl) 라디칼(·OH) 및 히드로페록실(Hydroperoxyl) 라디칼(·OOH) 등의 산소 함유 라디칼들(Oxygen-Containing Radicals)로 분해되면 상기 라디칼들이 전해질막을 공격하여 막의 화학적 열화(Chemical Degradation)을 유발하고 결국 연료전지의 내구성을 감소시키는 악영향을 미친다.
위와 같은 전해질막의 화학적 열화를 완화(Mitigation)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산화방지제들(Antioxidants)을 전해질막에 첨가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들로는 라디칼 포집제(Radical Scavenger or Quencher) 기능을 가지는 일차 산화방지제(Primary Antioxidant)와 과산화수소 분해제(Hydrogen Peroxide Decomposer) 기능을 가지는 이차 산화방지제(Secondary Antioxidant)가 있다.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일차 산화방지제로는 세륨 산화물(Cerium Oxide or Ceria) 및 세륨 질산 육수염(Cerium (III) Nitrate Hexahydrate) 등의 세륨계 또는 테레프탈산계(Terephthalic Acid) 산화방지제 등이 있다.
상기 세륨 산화물은 크게 순수 세륨 산화물(CeO2) 및 개질 세륨 산화물(Modified CeO2)로 분류할 수 있다. 개질 세륨 산화물에는 세륨-지르코늄 산화물(CeZrOx), 세륨-망간 산화물(CeMnOx), 세륨 산화물 담지 이산화규소(Cerium Oxide Doped Silica), 세륨 산화물 담지 이트륨 산화물(Cerium Oxide Doped Yttrium) 및 세륨 산화물 담지 지르코늄 산화물(Cerium Oxide Doped Zirconium Oxide) 등이 있다.
한편, 전해질막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이차 산화방지제로는 망간 산화물(Manganese Oxide) 등의 망간계 또는 백금(Platinum: Pt) 등의 귀금속계 촉매 등이 있다. 최근에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에 백금 촉매를 첨가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연구된 결과로는 전해질막 내 도입된 백금의 양, 분포도(Degree of Distribution) 및 미세구조 등에 따라 전해질막의 내구성이 높아질 수도 있고, 낮아질 수도 있다고 밝혀져 있다. 먼저 긍정적인 영향으로는 전해질막 내 도입된 백금이 교차이동(Crossover)하는 수소 및 산소 기체를 전극에 도달하기 이전에 물로 변환시켜 전해질막 내 물양을 증가시켜 프로톤 전도성(Proton Conductivity)을 증가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막-전극 접합체의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또한 교차이동하는 수소 및 산소 기체를 차단함으로써 라디칼 생성 자체를 차단하거나 전해질막 내 생성된 과산화수소를 분해하여 전해질막의 화학적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반면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전해질막 내 도입된 백금에 의해 과산화수소를 라디칼로 변환시키거나, 교차이동하는 산소 기체를 라디칼로 직접 변환시켜서 결과적으로 전해질막 내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해질막 내 백금을 적용하여 전해질막의 화학적 내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전해질막 내에서의 백금의 작동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해질막 내 교차이동되는 수소 및 산소 기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교차이동되는 수소 및 산소 기체 모두가 과산화수소 분해 촉매에서 함께 만나야 한다. 하지만, 전해질막 자체는 기본적으로 기체 폐색성(Gas Occlusive)이기 때문에 교차이동하는 기체의 흐름은 파악하기도 조절하기도 어렵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위 교차이동하는 기체는 전해질막 내 과산화수소 분해 촉매에서 만나 분해되거나 혹은 전극으로 넘어가 과산화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교차이동하는 기체를 최대한 전해질막 내 과산화수소 분해 촉매에서 분해되어 전극에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7574호 미국등록특허공보 제9,847,533호
본 발명은 전해질막을 교차이동하는 수소 및 산소 기체가 상기 전해질막에 포함된 촉매 금속에 보다 용이하게 도달하여 분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해질막의 화학적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은 수소 이온 전도성이 있는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이온전달층; 및 상기 이온전달층 내에 분산되어 있는 촉매 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촉매 복합체는 과산화수소 분해 활성이 있는 촉매 금속을 포함하는 촉매 입자; 및 상기 촉매 입자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산소 투과성이 있는 재료를 포함하는 피복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오노머는 과불소 술폰산계 이오노머(perfluorinated sulfonic acid ionomer)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촉매 입자는 지지체 없이 촉매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 또는 촉매 금속이 지지체 상에 담지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매 금속은 백금(Pt), 금(Au), 팔라듐(Pd), 은(Ag), 오스뮴(Os), 이리듐(Ir), 루테늄(Ru)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탄소; 실리카; 제올라이트; 4B족, 5B족, 6B족, 7B족 및 8B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전이금속 또는 이의 산화물 또는 탄화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복층은 상기 촉매 입자의 표면 중 상기 촉매 금속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재료는 이온 전도성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재료는 상기 이오노머와 상용성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재료의 산소 투과도가 상기 이오노머의 산소 투과도 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재료는 30℃ 내지 150℃ 범위의 온도 및 20% 내지 100% 범위의 상대습도 내의 어떤 지점에서 측정된 산소 투과도가 3.0 x 10-9 cc·cm/(cm2·sec·cmHg) 이상인 과불소 술폰산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해질막은 상기 촉매 복합체를 0.01 mg/cm2 내지 0.90 mg/cm2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해질막은 강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강화층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이온전달층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은 과산화수소 활성이 있는 촉매 금속을 포함하는 촉매 입자 및 산소 투과성이 있는 재료를 결합하여 상기 촉매 입자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재료를 포함하는 피복층이 형성된 촉매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촉매 복합체를 이오노머와 혼합하여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산액을 도포하여 이온전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매 복합체는 상기 촉매 입자 및 상기 재료를 혼합하여 얻은 혼합물을 80℃ 내지 200℃에서 건조하여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분산액을 강화층의 적어도 일면 상에 도포하여 이온전달층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막은 그 내부를 교차이동하는 수소 및 산소 기체가 상기 전해질막에 포함된 촉매 금속에 보다 용이하게 도달하여 분해되기 때문에 상기 전해질막의 화학적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본 발명은 전해질막에 별도의 첨가제 등을 투입한 것이 아니므로 상기 전해질막의 제반 성능의 감소 없이 상기 전해질막의 화학적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막-전극 접합체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막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촉매 복합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촉매 복합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피복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전해질막 내에서 교차 이동하는 산소 기체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같이 피복층을 형성한 경우의 전해질막 내에서 교차 이동하는 산소 기체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막의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폴리머 조성물 및 배합물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막-전극 접합체(MEA, 10)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막-전극 접합체(10)는 캐소드(100), 애노드(200)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막(300)을 포함한다.
상기 캐소드(100)는 공기 중 산소 기체와 반응하는 구성이고, 상기 애노드(200)는 수소 기체와 반응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애노드(200) 는 수소 산화 반응(HOR: Hydrogen Oxidation Reaction)에 의해 수소를 수소 이온(Proton)과 전자(Electron)로 분해한다. 상기 수소 이온은 애노드(200)와 맞닿아 있는 전해질막(300)을 통해 캐소드(100)로 이동한다. 상기 전자는 외부 도선(미도시)을 통해 캐소드(100)로 이동한다.
상기 캐소드(100) 및 애노드(200)는 탄소 위에 담지된 백금(Carbon-Supported Pt) 등의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내부에서의 수소 이온의 전도를 위해 이오노머(또는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막(300)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전해질막(300)은 이온전달층(400) 및 상기 이온전달층(400)에 분산되어 있는 촉매 복합체(500)를 포함한다.
상기 이온전달층(400)은 수소 이온 전도성이 있는 이오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오노머는 수소 이온(Proton)을 전달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떠한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불소 술폰산계 이오노머(PFSA: Perfluorinated Sulfonic Acid Ionome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상기 촉매 복합체(50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촉매 복합체(500)는 촉매 입자(510) 및 상기 촉매 입자(510)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피복층(520)을 포함한다. 도 3a는 상기 피복층(520)이 상기 촉매 입자(510)를 완전히 코팅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촉매 복합체(500)를 도 3a와 같은 형태에 국한하여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피복층(520)은 상기 촉매 입자(510)의 표면 면적의 1% 이상, 또는 5% 이상, 또는 10% 이상, 또는 20% 이상, 또는 30% 이상, 또는 40% 이상, 또는 50% 이상, 또는 60% 이상, 또는 70% 이상, 또는 80% 이상, 또는 90% 이상, 또는 100%의 면적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3b는 상기 촉매 복합체(500)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촉매 입자(510)는 지지체 없이 촉매 금속(511)으로만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촉매 입자(510)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피복층(5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촉매 입자(510)를 상기 촉매 금속(511)이 상기 지지체(512) 상에 담지된 형태로 가정하고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상기 지지체(512)가 없는 형태의 촉매 입자(510)에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촉매 금속(511)은 과산화수소 분해 활성이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백금(Pt), 금(Au), 팔라듐(Pd), 은(Ag), 오스뮴(Os), 이리듐(Ir), 루테늄(Ru)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512)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탄소; 실리카; 제올라이트; 4B족, 5B족, 6B족, 7B족 및 8B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전이금속, 또는 이의 산화물 또는 탄화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512)는 비표면적이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캐소드(100) 및/또는 애노드(200)에도 촉매가 첨가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체(521)는 위와 같이 전극에 사용되는 촉매의 지지체보다 훨씬 비표면적이 훨씬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전극에 사용되는 지지체는 전극이 1V를 초과하는 고전위에 노출될 경우 빠르게 발생하는 탄소 부식(Carbon Corrosion)에 견딜 수 있도록 흑연화도(Highly Graphitized)가 높아야 한다. 다만 흑연화도와 비표면적은 서로 상충되는 인자이므로 흑연화도가 높으면서도 비표면적이 넓은 지지체를 얻는 것은 실질적으로 쉽지 않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전해질막 내에서는 0~1V 정도의 전위차만 견디면 되기 때문에 흑연화도와 관계없이 비표면적이 높은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음을 깨달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체(512)는 비표면적이 100m2/g 내지 3,000m2/g, 구체적으로는 500m2/g 내지 3,000m2/g, 보다 구체적으로는 800m2/g 내지 3,000m2/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512)에는 높은 함량으로 촉매 금속을 담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512)는 평균 입자 직경이 10nm 내지 200nm, 구체적으로는 50nm 내지 2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균 입자 직경은 시판의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기, 예를 들어 마이크로 트랙 입도 분포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전자현미경 사진에서 임의로 200개의 입자를 추출하여 산출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촉매 복합체(500)는 상기 촉매 입자(510)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산소 투과성이 있는 재료를 포함하는 피복층(5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피복층(52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전해질막(300) 내에서 교차 이동하는 산소 기체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과 같이 피복층(520)을 형성한 경우의 전해질막(300) 내에서 교차 이동하는 산소 기체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층(52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해질막(500)을 교차 이동하는 산소 기체가 상기 촉매 금속(511)에 도달하지 못하고 전극으로 넘어가게 된다. 반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층(52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촉매 금속(511)의 주변부의 기체 투과성이 주변의 이온전달층(400)에 비해 높기 때문에 산소 기체의 흐름이 유도되어 상기 산소 기체가 촉매 금속(511)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피복층(520)은 산소 투과성이 있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복층(520)은 상기 촉매 입자(510)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 그 중에서도 상기 촉매 금속(511)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그 산소 투과도가 상기 이온전달층(400)에 포함된 이오노머의 산소 투과도에 비해 더 높은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료의 산소 투과도는 30℃ 내지 150℃ 범위의 온도 및 20% 내지 100% 범위의 상대습도 내의 어떤 지점에서 측정된 산소 투과도가 3.0 x 10-9 cc·cm/(cm2·sec·cmHg) 이상, 또는 5.0 x 10-9 cc·cm/(cm2·sec·cmHg) 이상인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재료의 산소 투과도가 적어도 3.0 x 10-9 cc·cm/(cm2·sec·cmHg) 이상이어야 전술한 바와 같이 교차 이동하는 산소 기체가 촉매 금속(511)에 용이하게 도달하여 분해될 수 있다.
상기 산소 투과도는 JIS K7126-2, ISO 15105-2에 의해 측정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하기 식 1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식 1]
P=(X × k × T/(A × D × p))
상기 식 1에서 상기 P는 산소 투과도(Oxygen permeability)[cc·cm/(cm2·sec·cmHg)], 상기 X는 투과량(Permeation amount)[cc], 상기 k는 보정 계수(Correction factor), 상기 T는 막 두께(Thickness of membrane)[cm], 상기 A는 투과 면적(Permeation area)[cm2], 상기 D는 계량관 튜브 통과 시간(Tube passing time)[sec], 상기 p는 산소 분압(Oxygen partial pressure)[cmHg]이다.
상기 재료는 이온 전도성이 있고, 상기 이온전달층(400)을 구성하는 이오노머와 상용성이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용성이 있다"는 것은 양 물질의 화학적 성질이 동일 내지 유사하여 이들을 혼합하였을 때, 분자 상태까지 고르게 혼합되어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것, 또는 계면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상기 재료로는 전술한 산소 투과도를 만족하고, 상기 이오노머와 화학적 성질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료는 과불소 술폰산계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막(300)은 상기 촉매 복합체(500)를 0.01mg/cm2 내지 0.90mg/cm2, 또는 0.05mg/cm2 내지 0.40mg/cm2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촉매 복합체(500)의 함량이 과소하면 전해질막의 화학적 내구성의 증대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한편 그 함량이 과다하면 비용 상승이 커질 수 있으며 전해질막 내의 전기 절연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막(300)의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해질막(300)은 강화층(600); 및 상기 강화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상기 이온전달층(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화층(600)은 상기 전해질막(300)의 기계적 강성의 증대를 위한 구성이다. 상기 강화층(300)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확장형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벤지미다졸(PBI), 폴리이미드(PI),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많은 기공을 가지고 있는 다공성의 막일 수 있다.
상기 강화층(600)은 다공성의 것으로서, 전술한 것과 같은 이오노머가 함침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해질막(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오노머가 함침된 강화층(600)의 일면에 상기 촉매 복합체(500)를 포함하는 이온전달층(400)이 형성되고, 타면에 이오노머만으로 이루어진 이오노머층(700)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전해질막(3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오노머가 함침된 강화층(600)의 앙면에 상기 촉매 복합체(500)를 포함하는 이온전달층(400, 400')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전해질막(3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오노머가 함침된 강화층(600)의 일면에 이오노머층(700) 및 상기 촉매 복합체(500)를 포함하는 이온전달층(400)이 형성되고, 타면에 다른 하나의 이오노머층(700')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막(300)의 여러 실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일 뿐, 상기 전해질막(300)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강화층(600)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촉매 복합체(500)를 포함하는 이온전달층(400)이 형성된 것이라면 위 도 6 내지 도 8의 형태 외의 다른 형태도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막(300)에 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막(300)의 제조방법은 상기 촉매 입자(510) 및 산소 투과성이 있는 재료를 결합하여 상기 촉매 복합체(500)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촉매 복합체(500)를 이오노머와 혼합하여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산액을 도포하여 이온전달층(40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촉매 입자(510), 산소 투과성이 있는 재료, 촉매 복합체(500) 등의 각 구성에 대한 내용은 전술하였는바,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상기 촉매 복합체(500)는 상기 촉매 입자 및 상기 재료를 혼합하여 얻은 혼합물을 80℃ 내지 200℃에서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촉매 입자와 상기 재료를 용매에 투입 및 교반하여 상기 혼합물을 준비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에 대한 건조 온도가 80℃ 미만이면 상기 용매가 충분히 증발하지 않아 상기 촉매 복합체(500)를 분말화하기 어렵고, 200℃를 초과하면 상기 재료가 열분해될 수 있다.
상기 분산액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크린 프린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닥터 블레이드를 이용한 코팅법, 그라비어 코팅법, 딥코팅법, 실크 스크린법, 페인팅법 또는 슬롯 다이를 이용한 코팅법 등으로 도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해질막(300)은 강화층(6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해질막(300)은 이오노머 용액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이오노머 용액상에 다공성의 강화층(600)을 제공하여 상기 강화층(600)에 이오노머를 함침시키고 이오노머층(70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오노머층(700)에 대향하는 강화층(600)의 일면에 상기 분산액을 도포하여 이온전달층(400)을 형성하는 단계 및 건조와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조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단계의 순서, 도포 등의 구체적인 수단을 적절히 수정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포뿐만 아니라 함침, 전사 등의 다른 방법으로 전해질막(300)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할 나머지 제조방법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이온전달층(400)을 형성한 뒤, 건조하는 단계는 100℃ 이하의 온도로 30분 이상 수행할 수 있다. 건조 온도가 100℃를 초과하면 상기 이오노머가 열분해될 수 있다. 한편, 건조 시간이 30분 미만이면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는 110℃ 이상의 온도에서 20분 이하로 수행할 수 있다. 열처리의 시간이 너무 길면 이오노머가 열분해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해질막(300)은 상기 분산액 상에 다공성의 강화층(600)을 제공하여 상기 강화층(600)에 이오노머를 함침시키고 어느 하나의 이온전달층(40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온전달층(400')에 대향하는 강화층(600)의 일면에 상기 분산액을 도포하여 다른 하나의 이온전달층(400)을 형성하는 단계 및 건조와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해질막(300)은 상기 이오노머 용액상에 다공성의 강화층(600)을 제공하여 상기 강화층(600)에 이오노머를 함침시키고 어느 하나의 이오노머층(70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오노머층(700')에 대향하는 강화층(600)의 일면에 이오노머를 도포하여 다른 하나의 이오노머층(70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오노머층(700) 상에 상기 분산액을 도포하여 이온전달층(400)을 형성하는 단계 및 건조와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오노머 용액에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금속 및 제2 금속을 포함하는 촉매 입자를 첨가 및 분산시키는 단계, 그 결과물을 상기 이오노머가 함침된 강화층상에 도포하는 단계 및 건조와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조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단계의 순서, 도포 등의 구체적인 수단을 적절히 수정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포 뿐만 아니라 함침, 전사 등의 다른 방법으로 전해질막(300)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할 나머지 제조방법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막(300)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본질은 전해질막(300)에 과산화수소 분해 활성이 있는 촉매 금속(511)을 포함하는 촉매 입자(500)를 투입하되, 이의 표면에 산소 투과성이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피복층(520)을 형성하여 상기 전해질막(300)을 교차 이동하는 산소 기체가 상기 촉매 금속(511)에 쉽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갖는다면 전술한 다양한 형태에서 설계 변경된 다른 형태의 것들은 본 발명으로부터 쉽게 도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도 속할 것임은 자명하다.
10: 막-전극 접합체 100: 캐소드 200: 애노드 300: 전해질막
400: 이온전달층 500: 촉매 복합체
510: 촉매 입자 511: 촉매 금속 512: 지지체
520: 피복층 600: 강화층 700: 이오노머층

Claims (20)

  1. 수소 이온 전도성이 있는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이온전달층; 및
    상기 이온전달층 내에 분산되어 있는 촉매 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촉매 복합체는 과산화수소 분해 활성이 있는 촉매 금속을 포함하는 촉매 입자; 및 상기 촉매 입자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산소 투과성이 있는 재료를 포함하는 피복층;을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오노머는 과불소 술폰산계 이오노머(perfluorinated sulfonic acid ionomer)를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입자는 지지체 없이 촉매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입자는 촉매 금속이 지지체 상에 담지된 것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금속은 백금(Pt), 금(Au), 팔라듐(Pd), 은(Ag), 오스뮴(Os), 이리듐(Ir), 루테늄(Ru)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촉매 금속은 탄소; 실리카; 제올라이트; 4B족, 5B족, 6B족, 7B족 및 8B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전이금속 또는 이의 산화물 또는 탄화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지지체 상에 담지된 것인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상기 촉매 입자의 표면 중 상기 촉매 금속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것인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이온 전도성이 있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상기 이오노머와 상용성이 있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의 산소 투과도가 상기 이오노머의 산소 투과도 보다 높은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30℃ 내지 150℃ 범위의 온도 및 20% 내지 100% 범위의 상대습도 내의 어떤 지점에서 측정된 산소 투과도가 3.0 x 10-9 cc·cm/(cm2·sec·cmHg) 이상인 과불소 술폰산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막은 상기 촉매 복합체를 0.01mg/cm2 내지 0.90mg/cm2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막은 강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강화층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이온전달층이 구비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13. 과산화수소 활성이 있는 촉매 금속을 포함하는 촉매 입자 및 산소 투과성이 있는 재료를 결합하여 상기 촉매 입자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재료를 포함하는 피복층이 형성된 촉매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촉매 복합체를 이오노머와 혼합하여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산액을 도포하여 이온전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복합체는 상기 촉매 입자 및 상기 재료를 혼합하여 얻은 혼합물을 80℃ 내지 200℃에서 건조하여 제조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입자는 지지체 없이 촉매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 또는
    촉매 금속이 지지체 상에 담지된 것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금속은 백금(Pt), 금(Au), 팔라듐(Pd), 은(Ag), 오스뮴(Os), 이리듐(Ir), 루테늄(Ru)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탄소; 실리카; 제올라이트; 4B족, 5B족, 6B족, 7B족 및 8B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전이금속 또는 이의 산화물 또는 탄화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이온 전도성이 있고,
    상기 이오노머와 상용성이 있으며,
    산소 투과도가 상기 이오노머의 산소 투과도 보다 높은 것인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30℃ 내지 150℃ 범위의 온도 및 20% 내지 100% 범위의 상대습도 내의 어떤 지점에서 측정된 산소 투과도가 3.0 x 10-9 cc·cm/(cm2·sec·cmHg) 이상인 과불소 술폰산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오노머는 과불소 술폰산계 이오노머(perfluorinated sulfonic acid ionomer)를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액을 강화층의 적어도 일면 상에 도포하여 이온전달층을 형성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KR1020200002832A 2020-01-09 2020-01-09 산소 투과성이 향상된 촉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89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832A KR20210089826A (ko) 2020-01-09 2020-01-09 산소 투과성이 향상된 촉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17/028,475 US11824242B2 (en) 2020-01-09 2020-09-22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s containing catalyst composite having improved oxygen perme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20163938A JP2021111614A (ja) 2020-01-09 2020-09-29 酸素透過性が向上した触媒複合体を含む燃料電池用電解質膜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20212538.4A DE102020212538A1 (de) 2020-01-09 2020-10-05 Elektrolytmembran für Brennstoffzellen, die einen Katalysatorverbundstoff mit verbesserter Sauerstoffdurchlässigeit ernthält,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N202011070636.5A CN113113648A (zh) 2020-01-09 2020-10-09 用于燃料电池的包含具有改善透氧率的催化复合物的电解质膜及其制备方法
US18/483,845 US20240055639A1 (en) 2020-01-09 2023-10-10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s containing catalyst composite having improved oxygen perme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832A KR20210089826A (ko) 2020-01-09 2020-01-09 산소 투과성이 향상된 촉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826A true KR20210089826A (ko) 2021-07-19

Family

ID=7654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832A KR20210089826A (ko) 2020-01-09 2020-01-09 산소 투과성이 향상된 촉매 복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824242B2 (ko)
JP (1) JP2021111614A (ko)
KR (1) KR20210089826A (ko)
CN (1) CN113113648A (ko)
DE (1) DE1020202125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31825B2 (ja) 2020-12-10 2023-08-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7574A (ko) 2005-09-26 2008-05-29 고어 엔터프라이즈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8671B1 (en) 2013-06-05 2014-05-20 ZAF Energy Systems, Incorporated Air electrodes including perovskites
US10189927B2 (en) 2014-05-28 2019-01-29 Daikin Industries, Ltd. Ionomer having high oxygen permeability
JP6352955B2 (ja) * 2016-01-08 2018-07-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電極触媒、及び燃料電池用電極触媒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7574A (ko) 2005-09-26 2008-05-29 고어 엔터프라이즈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그의 제조 방법
US9847533B2 (en) 2005-09-26 2017-12-19 W.L. Gore & Associates, Inc. Solid polymer electrolyte and process for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0212538A1 (de) 2021-07-15
JP2021111614A (ja) 2021-08-02
US20210218045A1 (en) 2021-07-15
CN113113648A (zh) 2021-07-13
US11824242B2 (en) 2023-11-21
US20240055639A1 (en)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2803B2 (en) Radical scavenger,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membrane-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same, and fuel cell comprising same
US20110091790A1 (en) Ion-conducting membrane structures
KR20180078162A (ko)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US7785728B2 (en) Palladium-based electrocatalysts and fuel cells employing such electrocatalysts
US20040023104A1 (en) Water-based catalyst inks and their use for manufacture of catalyst-coated substrates
US9123932B2 (en) Nanofiber supported catalysts as membrane additives for improved fuel cell durability
US11791474B2 (en)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s including hydrogen peroxide generating catalyst and hydrogen peroxide decomposing catalys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00167099A1 (en) Membrance electrode assembly (mea)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144318B1 (en)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solid polymer fuel cell,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solid polymer fuel cell, and solid polymer fuel cell
JP2009026501A (ja) 電解質膜−電極接合体
WO2011013206A1 (ja) ダイレクトメタノール型燃料電池およびこれに用いるアノード
JP2009199988A (ja) 直接メタノール型燃料電池用アノード電極及びそれを用いた直接メタノール型燃料電池
US20240055639A1 (en)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s containing catalyst composite having improved oxygen perme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11355768B2 (en)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s capable of preventing poisoning of catalys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13130954B (zh) 能够防止催化剂中毒的用于燃料电池的电解质膜及其制备方法
KR102298989B1 (ko) 이온 전도성이 높고 물 배출이 용이한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00167160A1 (en)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Solid Polymer Fuel Cell, Membrane Eelctrode Assembly For Solid Polymer Fuel Cell, and Solid Polymer Fuel Cell
JP2007250214A (ja) 電極触媒とその製造方法
Uddin et al. Platinum group metal-free catalysts for fuel cells: status and prospects
US20220209259A1 (en) Highly durable electrolyte membrane having improved ion conductivity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5458774B2 (ja) 電解質膜−電極接合体
US20230220569A1 (en) Water electrolysis cell, method of producing water electrolysis cell
JP2005108508A (ja) アルコール型燃料電池用電極、アルコール型燃料電池用膜触媒層複合体及びアルコール型燃料電池。
KR20230082576A (ko) 연료 전지용 강화 복합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KR20070075992A (ko)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포함하는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