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333A -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333A
KR20210089333A KR1020200002369A KR20200002369A KR20210089333A KR 20210089333 A KR20210089333 A KR 20210089333A KR 1020200002369 A KR1020200002369 A KR 1020200002369A KR 20200002369 A KR20200002369 A KR 20200002369A KR 20210089333 A KR20210089333 A KR 20210089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image
information
sub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4101B1 (ko
Inventor
김세희
Original Assignee
(주)비상엠러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상엠러닝 filed Critical (주)비상엠러닝
Priority to KR1020200002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1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89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Abstract

보고, 듣고, 말하고, 활동(그리기)하는 학습 플로우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을 지원하도록 한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학습 지원 시스템은 학습자 단말로부터 제1 선택정보 내지 제3 선택정보를 입력받고, 선택정보에 대응하는 학습 항목 및 학습 정보로 구성된 마인드 맵 형태의 학습 맵과 학습 영상을 생성하여 학습자 단말로 제공하고,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 단말에서 생성된 개인 학습 음성, 개인 학습 이미지 및 개인 학습 맵을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여 학습자의 학습을 지원한다.

Description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LEARNING}
본 발명은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고, 듣고, 말하고, 활동(그리기)하는 학습 플로우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을 지원하는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을 지원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이 교육 지원 업체 및 학생들에게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온라인 학습 시스템은 영상 파일로 제작된 강의를 서버에 등록하고,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을 통해 서버에 등록된 강의를 시청하여 학습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온라인 학습 시스템은 단순히 강의를 보고 듣는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학습 지원 효과가 미비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오프라인 학습지와 온라인 학습 시스템을 연계하여 학습 지원 효과를 높이는 학습 시스템 등과 같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온라인 학습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00538호(명칭: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보고, 듣고, 말하고, 활동(그리기)하는 학습 플로우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을 지원하도록 한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시스템의 학습 지원 서버는 학습자 단말로부터 학습 선택을 위한 제1 선택정보를 입력받고, 제1 선택정보를 입력받은 후에 시간 차를 두고 학습자 단말로부터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제2 선택정보를 입력받고, 제2 선택정보를 입력받은 후에 시간 차를 두고 학습자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제3 선택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제1 선택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선택정보에 매칭된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검출하고, 제2 선택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매칭된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검출하는 학습 항목 검출부, 제1 선택정보에 따른 학습 항목 검출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매칭되는 학습 정보를 검출하고, 제2 선택정보에 따른 학습 항목 검출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학습 정보를 검출하고, 제3 선택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3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매칭되는 학습 정보를 검출하는 학습 정보 제공부, 제2 선택정보에 따른 학습 항목의 검출에 응답하여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학습 영상을 검출하는 학습 영상 제공부 및 제1 선택정보에 따른 학습 항목 및 학습 정보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1 선택정보에 매칭된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학습 정보를 포함하는 마인드 맵 형태의 제1 학습 맵을 생성하고, 제2 선택정보에 따른 학습 정보 검출에 응답하여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 및 학습 정보를 포함한 마인드 맵 형태의 제2 학습 맵을 생성하고, 제3 선택정보에 따른 학습 정보 검출에 응답하여 제2 학습 맵에 학습 정보를 추가한 마인드 맵 형태의 제3 학습 맵을 생성하는 학습 맵 제공부를 포함한다.
학습 영상 제공부는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제1 학습 영상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각각 연계된 복수의 제2 학습 영상을 검출하고, 제1 학습 영상 및 복수의 제2 학습 영상을 병합하여 병합 학습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학습 영상 제공부는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제1 학습 영상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이 통합된 통합 학습 영상을 검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서버는 학습자 단말의 학습자 음성 데이터 입력에 응답하여, 학습자 음성 데이터를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개인 학습 음성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학습자 음성은 제3 학습 맵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의 학습시 녹음된 학습자의 음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서버는 학습자 단말로부터의 생각 그리기 이미지 입력에 응답하여, 생각 그리기 이미지를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생각 그리기 이미지는 학습 이미지를 따라 그리는 과정에서 발행한 완성 이미지 데이터 및 완성 과정 이미지 데이터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때,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의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제공부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1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학습 항목에 각각 매칭되는 복수의 학습 이미지를 검출하고, 복수의 학습 이미지의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한 학습자 단말로부터의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에 포함된 학습 이미지에 연계된 따라 그리기 이미지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서버는 학습자 단말의 개인 학습 맵 이미지 입력에 응답하여, 개인 학습 맵 이미지를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개인 학습 맵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개인 학습 맵 이미지는 학습 맵 완성 이미지 데이터 및 학습 맵 완성 과정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방법은 학습자 단말로부터 학습 선택을 위한 제1 선택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제1 선택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선택정보에 매칭된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검출하는 단계,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의 검출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매칭되는 학습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의 검출 및 학습 정보 검출에 응답하여,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학습 정보를 포함하는 마인드 맵 형태의 제1 학습 맵을 생성하는 단계, 제1 학습 맵을 표시한 학습자 단말로부터 제1 학습 맵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 중 하나를 포함한 제2 선택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제2 선택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매칭된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검출하는 단계, 제2 서브 학습 항목 검출에 응답하여,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학습 영상을 검출하는 단계, 학습 영상을 출력한 학습자 단말로부터의 학습 영상 재생 완료 메시지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학습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제2 선택정보에 따른 학습 정보 검출에 응답하여,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 및 학습 정보를 포함한 마인드 맵 형태의 제2 학습 맵을 생성하는 단계, 제2 학습 맵을 표시한 학습자 단말로부터 제2 학습 맵에 포함된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한 제3 선택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제3 선택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3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매칭되는 학습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제3 선택정보에 따른 학습 정보 검출에 응답하여, 제2 학습 맵에 학습 정보를 추가한 마인드 맵 형태의 제3 학습 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학습 영상을 검출하는 단계에서는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제1 학습 영상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각각 연계된 복수의 제2 학습 영상을 검출하거나, 제1 학습 영상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이 통합된 통합 학습 영상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방법은 학습자 단말의 학습자 음성 데이터 입력에 응답하여, 학습자 음성 데이터를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학습자 음성은 제3 학습 맵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의 학습시 녹음된 학습자의 음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방법은 제3 학습 맵을 출력한 학습자 단말로부터의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1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학습 항목에 각각 매칭되는 복수의 학습 이미지를 검출하는 단계, 복수의 학습 이미지의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한 학습자 단말의 썸네일 이미지 선택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학습자 단말에서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학습자 이미지와 연계된 따라 그리기 이미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따라 그리기 이미지를 표시한 학습자 단말로부터의 생각 그리기 이미지 입력에 응답하여, 생각 그리기 이미지를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생각 그리기 이미지는 학습 이미지를 따라 그리는 과정에서 발행한 완성 이미지 데이터 및 완성 과정 이미지 데이터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방법은 학습자 단말의 개인 학습 맵 이미지 입력에 응답하여, 개인 학습 맵 이미지를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개인 학습 맵 이미지는 학습 맵 완성 이미지 데이터 및 학습 맵 완성 과정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은 보고, 듣고, 말하고, 활동(그리기)하는 학습 플로우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을 지원함으로써, 학습 내용을 보고, 듣는 정도의 학습 플로우를 지원하는 종래의 학습 지원 시스템에 비해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학습을 통해 접하는 정보는 학습자 머릿속에 있는 수많은 이미지만큼 오래가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은 복잡하고 어려운 학습 내용, 개념들을 단순화한 이미지로 표현함으로써,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이미지로 구성하여 학습 내용을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1의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내지 도 13은 도 1의 학습 지원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4 및 도 15는 도 1의 학습 지원 서버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 내지 도 19는 도 1의 학습 지원 서버의 다른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 내지 도 24는 도 1의 학습 지원 서버의 또 다른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방법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의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13은 도 1의 학습 지원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의 학습 지원 서버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 내지 도 19는 도 1의 학습 지원 서버의 다른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0 내지 도 22는 도 1의 학습 지원 서버의 또 다른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시스템은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 개인화 데이터베이스(400) 및 학습 지원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는 학습 지원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학습 대상을 다단계로 구분한 학습 항목을 저장한다. 학습 항목은 메인 학습 항목, 메인 학습 항목의 하위 단계인 제1 서브 학습 항목, 제1 서브 학습 항목의 하위 단계인 제2 서브 학습 항목으로 구분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학습 항목 데이터 베이스가 메인 학습 항목,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저장한 것으로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가 메인 학습 항목과 제1 서브 학습 항목 내지 제n 서브 학습 항목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는 학년, 학기 및 과목을 기준으로 설정된 메인 학습 항목을 저장한다. 일례로, 도 2를 참조하면,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는 5학년 2학기 과학 과목의 메인 학습 항목을 "국어5-2"로 저장하고, 5학년 2학기 수학 과목의 메인 학습 항목을 "수학5-2"로 저장하고, 5학년 2학기 사회 과목의 메인 학습 항목을 "사회5-2"로 저장하고, 5학년 2학기 과학 과목의 메인 학습 항목을 "과학5-2"로 저장하고, 5학년 2학기 영어 과목의 메인 학습 항목을 "영어5-2"로 저장한다.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는 메인 학습 항목의 하위 개념인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저장한다.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는 하나의 메인 학습 항목에 하나 이상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연계하여 저장한다. 일례로, 도 3을 참조하면,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는 5학년 2학기 과학 과목의 각 단원에 해당하는 "생물과 환경", "날씨와 우리 생활", "물체의 운동" 및 "산과 염기"를 제1 서브 학습 항목으로 설정하고, 메인 학습 항목인 "과학5-2"에 연계하여 저장한다.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는 제1 서브 학습 항목의 하위 개념인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저장한다.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는 하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하나 이상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연계하여 저장한다. 일례로, 도 3을 참조하면,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는 5학년 2학기 과학 과목의 "날씨와 우리 생활" 단원에 포함된 "습도", "이슬, 안개, 구름", "바람" 및 "계절별 날씨"를 제2 서브 학습 항목으로 설정하고, 제1 학습 항목인 "날씨와 우리 생활"에 연계하여 저장한다.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는 학습 지원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학습 대상에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는 학습 관련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각 영상 데이터를 학습 항목과 연계한 영상 테이블을 저장한다. 여기서, 영상 테이블은 학습 항목과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 정보(예를 들면, 물리 주소, 논리 주소)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는 서브 학습 항목별로 구분하여 학습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는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관련된 제1 학습 영상과 제1 서브 학습 항목의 하위에 연계된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관련된 제2 학습 영상을 저장한다. 일례로, 도 5를 참조하면,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는 제1 서브 학습 항목인 "날씨와 우리 생활"에 대응하여 "S5231.mpeg"를 제1 학습 영상으로 저장한다.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는 제2 서브 학습 항목인 "습도"에 대응하여 "S5232.mpeg"를 제2 학습 영상으로 저장하고, 제2 서브 학습 항목인 "이슬, 안개, 구름"에 대응하여 "S5233.mpeg"를 제2 학습 영상으로 저장하고, 제2 서브 학습 항목인 "바람"에 대응하여 "S5234.mpeg"를 제2 학습 영상으로 저장하고, 제2 서브 학습 항목인 "계절별 날씨"에 대응하여 "S5235.mpeg"를 제2 학습 영상으로 저장한다.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는 연계된 서브 학습 항목에 관련된 학습 영상 데이터들을 통합한 통합 학습 영상을 저장할 수도 있다. 즉, 학습 영상 데이터는 제1 서브 학습 항목의 제1 학습 영상과,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제2 서브 학습 항목의 제2 학습 영상을 통합한 통합 학습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도 6을 참조하면,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는 제1 서브 학습 항목인 "생물과 환경"에 대응하여 "S5220.mpeg"를 통합 학습 영상으로 저장하고, 제1 서브 학습 항목인 "날씨와 우리 생활"에 대응하여 "S5230.mpeg"를 통합 학습 영상으로 저장하고, 제1 서브 학습 항목인 "물체의 운동"에 대응하여 "S5240.mpeg"를 통합 학습 영상으로 저장하고, 제1 서브 학습 항목인 "산과 염기"에 대응하여 "S5250.mpeg"를 통합 학습 영상으로 저장한다.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통합 학습 영상인 "S5230.mpeg"는 제1 서브 학습 항목인 "날씨와 우리 생활"의 제1 학습 영상인 "S5231.mpeg"과 제1 서브 학습 항목인 "날씨와 우리 생활"에 연계된 제2 서브 학습 항목들("습도", "이슬, 안개, 구름", "바람", "계절별 날씨")의 제2 학습 영상들인 "S5232.mpeg", "S5233.mpeg", "S5234.mpeg" 및 "S5235.mpeg"를 통합(병합)한 영상 데이터이다.
한편, 도 6에서는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가 통합 학습 영상을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하여 저장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통합 학습 영상을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학습 항목에 연계된 학습 이미지, 텍스트 데이터, 음성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메인 학습 항목,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제2 서브 학습 항목 각각에 연계된 복수의 학습 이미지, 복수의 텍스트 데이터, 복수의 음성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학습 이미지에 따라 그리기 이미지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학습 정도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학습 이미지에 각각 연계된 복수의 따라 그리기 이미지를 저장한다. 여기서, 따라 그리기 이미지는 학습자가 학습 이미지를 따라서 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학습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들의 외곽선만을 추출하여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인 것을 일례로 하며, 객체는 학습 이미지에 포함된 사람, 사물, 텍스트 등일 수 있다.
개인화 데이터베이스(400)는 학습자의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 단말(10)에서 생성된 학습자 데이터를 저장한다. 개인화 데이터베이스(400)는 학습자 데이터를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학습자 데이터는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10)을 조작함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이며, 학습자 단말(10)을 통해 입력된 학습자의 음성인 개인 학습 음성, 학습자 단말(10)을 통해 학습자가 생성한 학습 맵인 개인 학습 맵, 학습자 단말(10)을 통해 학습자가 그린 이미지인 생각 그리기 이미지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학습 지원 서버(500)는 데이터베이스 및 학습자 단말(10)과의 연동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을 지원한다. 학습 지원 서버(500)는 데이터베이스들에 저장된 정보를 검출 및 재생산하고, 그 결과물을 이용해 보고, 듣고, 말하고, 활동(그리기) 등의 학습 플로우에 관련된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학습 데이터를 학습자 단말(10)로 제공하여 학습자의 학습을 지원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학습 지원 서버(500)는 입력부(510), 학습 항목 검출부(520), 학습 맵 제공부(540), 학습 정보 제공부(530) 및 학습 영상 제공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510)는 학습자 단말(10)로부터 메인 학습 항목의 선택을 위한 제1 선택정보를 입력받는다. 입력부(510)는 메인 학습 항목의 선택을 위해 학년, 학기 및 과목을 포함하는 제1 선택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일례로 한다. 입력부(510)는 제1 선택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선택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항목 검출 요청을 학습 항목 검출부(520)로 전송한다.
일례로, 학습자 단말(10)이 학습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학습 지원 서버(500) 또는 학습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함에 따라, 학습자 단말(10)에는 학습자 인증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10)을 조작하여 학습자 인증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고, 학습자 단말(10)은 입력된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자 인증 요청을 학습 지원 서버(500)로 전송한다.
학습 지원 서버(500)에서의 학습자 인증 완료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자 단말(10)은 제1 선택정보 입력 화면을 출력한다.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10)을 조작하여 학년, 학기 및 과목을 포함하는 제1 선택정보를 입력하고, 학습자 단말(10)은 제1 선택정보를 학습 지원 서버(50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입력부(510)에는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전송된 제1 선택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부(510)는 입력받는 제1 선택정보를 학습 항목 검출부(520)로 전송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입력부(510)의 학습 항목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항목을 검출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학습 항목 검출 요청에 포함된 제1 선택정보에 매칭되는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검출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검출한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제1 학습 정보 검출 요청을 학습 정보 제공부(530)로 전송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검출한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제1 학습 맵 생성 요청을 학습 맵 제공부(540)로 전송한다.
일례로, 입력부(510)로부터의 학습 항목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학습 항목 검출 요청에 포함된 제1 선택정보를 검출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제1 선택정보를 포함하는 쿼리를 생성하여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로 전송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의 쿼리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는 저장된 메인 학습 항목들 중에서 제1 선택정보에 매칭되는 메인 학습 항목을 검출하고, 검출한 메인 학습 항목을 학습 항목 검출부(520)로 전송한다.
메인 학습 항목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메인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쿼리를 생성하여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로 전송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의 쿼리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는 저장된 제1 서브 학습 항목들 중에서 쿼리에 포함된 메인 학습 항목에 연계된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검출하고, 검출한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학습 항목 검출부(520)로 전송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검출한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제1 학습 정보 검출 요청을 생성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생성한 제1 학습 정보 검출 요청을 학습 정보 제공부(530)로 전송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전송받은 메인 학습 항목과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제1 학습 맵 생성 요청을 생성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생성한 제1 학습 맵 생성 요청을 학습 맵 제공부(540)로 전송한다.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학습 항목 검출부(520)의 제1 학습 정보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학습 정보를 검출한다.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학습 정보들 중에서 제1 학습 정보 검출 요청에 포함된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학습 정보를 검출한다.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검출한 학습 정보를 학습 맵 제공부(540)로 전송한다.
일례로, 학습 항목 검출부(520)로부터의 제1 학습 정보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제1 학습 정보 검출 요청에 포함된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검출한다.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쿼리를 생성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로 전송한다.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학습 정보 제공부(530)의 쿼리 전송에 응답하여 저장된 학습 정보들 중에서 쿼리에 포함된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매칭되는 학습 정보들을 검출하고, 검출한 학습 정보를 학습 정보 제공부(530)로 전송한다. 학습 정보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전송받은 학습 정보를 학습 맵 제공부(540)로 전송한다.
학습 맵 제공부(540)는 학습 항목 검출부(520)의 제1 학습 맵 생성 요청 및 학습 정보 제공부(530)의 학습 정보 전송에 응답하여 제1 학습 맵을 생성한다. 학습 맵 제공부(540)는 제1 학습 맵 생성 요청에 포함된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과, 학습 정보 제공부(530)로부터 전송받은 학습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마인드 맵 형태의 제1 학습 맵을 생성한다. 학습 맵 제공부(540)는 메인 학습 항목이 맵의 중앙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이 메인 학습 항목에서 가지친 형태로 메인 학습 항목의 주변에 배치되고, 복수의 학습 정보들이 각각 매칭된 학습 항목의 주변에 배치된 마인드 맵 형태의 제1 학습 맵을 생성한다. 학습 맵 제공부(540)는 생성한 제1 학습 맵을 학습자 단말(10)로 전송한다.
일례로, 학습 맵 제공부(540)는 메인 학습 항목인 "과학5-2"에 매칭된 학습 정보를 맵의 중앙에 배치하고, 제1 서브 학습 항목인 "생물과 환경", "날씨와 우리 생활", "물체의 운동" 및 "산과 염기"가 메인 학습 항목에서 가지친 형태로 구성되어 메인 학습 항목의 주변에 각각 배치되고, 각각의 학습 정보가 매칭된 제1 서브 학습 항목의 주변에 배치된 제1 학습 맵을 생성한다.
학습 맵 제공부(540)는 생성한 제1 학습 맵을 학습자 단말(10)로 전송하고, 제1 학습 맵을 수신함에 따라 학습자 단말(10)에는 메인 학습 항목과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학습 정보가 포함된 제1 학습 맵이 화면에 표시된다(도 8 및 도 9 참조).
입력부(510)는 제1 학습 맵이 화면에 표시된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제2 선택정보를 입력받는다. 입력부(510)는 제1 서브 학습 항목의 선택을 위한 제2 선택정보를 입력받는다. 입력부(510)는 제1 학습 맵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들 중에서 하나인 제2 선택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일례로 한다. 입력부(510)는 제2 선택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선택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항목 검출 요청을 학습 항목 검출부(520)로 전송한다.
일례로, 학습자 단말(10)에 제1 학습 맵이 표시된 상태에서, 학습자는 제1 학습 맵이 표시된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 중 하나를 선택(터치)한다. 학습자 단말(10)은 학습자의 선택(터치)을 감지하여 학습자가 선택한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검출한다. 학습자 단말(10)은 검출한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제2 선택정보를 생성하여 학습 지원 서버(500; 즉, 입력부(51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입력부(510)에는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전송된 제2 선택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부(510)는 입력받는 제2 선택정보를 학습 항목 검출부(520)로 전송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입력부(510)의 학습 항목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항목을 검출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학습 항목 검출 요청에 포함된 제2 선택정보로부터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검출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검출한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검출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검출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학습 영상 검출 요청을 학습 영상 제공부(550)로 전송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검출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제2 학습 정보 검출 요청을 학습 정보 제공부(530)로 전송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검출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제2 학습 맵 생성 요청을 학습 맵 제공부(540)로 전송한다.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학습 항목 검출부(520)의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학습 영상을 검출한다.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학습 영상들 중에서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학습 영상을 검출한다.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검출한 학습 영상을 학습자 단말(10)로 전송한다.
일례로,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에 통합 학습 영상이 저장되고(도 6 참조), 제2 선택정보에 제1 서브 학습 항목으로 "날씨와 우리 생활"이 포함된 것으로 가정한다.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제1 서브 학습 항목인 "날씨와 우리 생활"을 포함하는 제1 학습 영상 검출 요청을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로 전송한다.
제1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는 저장된 제1 학습 영상들 중에서 제1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인 "날씨와 우리 생활"에 연계된 제1 학습 영상인 "S5231.mpeg"를 검출한다.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는 검출한 제1 학습 영상인 "S5231.mpeg"을 학습 영상 제공부(550)로 전송한다.
제1 학습 영상의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제2 서브 학습 항목인 "습도", "이슬, 안개, 구름", "바람" 및 "계절별 날씨"를 포함하는 제2 학습 영상 검출 요청을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로 전송한다.
제2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는 저장된 제2 학습 영상들 중에서 제2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포함된 제2 서브 학습 항목인 "습도", "이슬, 안개, 구름", "바람" 및 "계절별 날씨"에 각각 연계된 제2 학습 영상인 "S5232.mpeg", "S5233.mpeg", "S5234.mpeg" 및 "S5235.mpeg"를 검출한다.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는 검출한 제2 학습 영상인 "S5232.mpeg", "S5233.mpeg", "S5234.mpeg" 및 "S5235.mpeg"를 학습 영상 제공부(550)로 전송한다.
제2 학습 영상의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수신한 제1 학습 영상인 "S5231.mpeg"과 제2 학습 영상인 "S5232.mpeg", "S5233.mpeg", "S5234.mpeg" 및 "S5235.mpeg"을 학습자 단말(1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학습자 단말(10)에는 "S5231.mpeg", "S5232.mpeg", "S5233.mpeg", "S5234.mpeg" 및 "S5235.mpeg"이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한편, 제2 학습 영상의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수신한 제1 학습 영상인 "S5231.mpeg"과 제2 학습 영상인 "S5232.mpeg", "S5233.mpeg", "S5234.mpeg" 및 "S5235.mpeg"을 병합하여 병합 합성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병합 합성 영상을 학습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학습 항목 검출부(520)의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학습 영상을 검출한다.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학습 영상들 중에서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학습 영상을 검출한다.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검출한 학습 영상을 학습자 단말(10)로 전송한다.
일례로,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에 통합 학습 영상이 저장되고(도 6 참조), 제2 선택정보에 제1 서브 학습 항목으로 "날씨와 우리 생활"이 포함된 것으로 가정한다.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제1 서브 학습 항목인 "날씨와 우리 생활"을 포함하는 통합 학습 영상 검출 요청을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로 전송한다.
통합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는 저장된 통합 학습 영상들 중에서 통합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인 "날씨와 우리 생활"에 연계된 통합 학습 영상인 "S5230.mpeg"를 검출한다.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는 검출한 통합 학습 영상인 "S5230.mpeg"을 학습 영상 제공부(550)로 전송한다.
통합 학습 영상의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수신한 통합 학습 영상인 "S5230.mpeg"을 학습자 단말(1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단말(10)에는 "S5230.mpeg"이 표시(재생)된다.
한편,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통합 학습 영상이 제2 서브 학습 항목과 연계된 경우,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통합 학습 영상 검출 요청을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로 전송하고,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는 통합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포함된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통합 학습 영상을 검출하여 학습 영상 제공부(5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학습 항목 검출부(520)의 제2 학습 정보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학습 정보를 검출한다.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학습 정보들 중에서 제2 학습 정보 검출 요청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학습 정보를 검출한다.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검출한 학습 정보를 학습 맵 제공부(540)로 전송한다.
학습 맵 제공부(540)는 학습 항목 검출부(520)의 제2 학습 맵 생성 요청 및 학습 정보 제공부(530)의 학습 정보 전송에 응답하여 제2 학습 맵을 생성한다. 학습 맵 제공부(540)는 제2 학습 맵 생성 요청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과, 학습 정보 제공부(530)로부터 전송받은 학습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마인드 맵 형태의 제2 학습 맵을 생성한다. 학습 맵 제공부(540)는 제1 서브 학습 항목이 맵의 중앙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이 제1 서브 학습 항목에서 가지친 형태로 제1 서브 학습 항목의 주변에 배치되고, 복수의 학습 정보들이 각각 매칭된 학습 항목의 주변에 배치된 마인드 맵 형태의 제2 학습 맵을 생성한다.
학습 맵 제공부(540)는 학습자 단말(10)에서 학습 영상 재생 완료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 학습 맵을 학습자 단말(10)로 전송한다. 즉, 학습자 단말(10)은 학습 영상 제공부(550)로부터 수신한 학습 영상을 재생하고, 재생이 완료되면 학습 지원 서버(500)로 학습 영상 재생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학습자 단말(10)로부터의 학습 영상 재생 완료 메시지에 응답하여, 학습 맵 제공부(540)는 제2 학습 맵을 학습자 단말(1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단말(10)은 학습 맵 제공부(540)로부터 전송받은 제2 학습 맵을 화면에 표시한다.
입력부(510)는 제2 학습 맵이 화면에 표시된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제3 선택정보를 입력받는다. 입력부(510)는 제2 서브 학습 항목의 선택을 위한 제3 선택정보를 입력받는다. 입력부(510)는 제2 학습 맵에 포함된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들 중에서 하나인 제3 선택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일례로 한다.
입력부(510)는 제3 선택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3 선택정보를 포함하는 제3 학습 정보 검출 요청을 학습 정보 제공부(530)로 전송하고, 제3 선택정보를 포함하는 제3 학습 맵 생성 요청을 학습 맵 제공부(54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2 서브 학습 항목의 하위 학습 항목이 더 존재하는 경우, 입력부(510)는 제3 선택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항목 검출 요청을 학습 항목 검출부(5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2 서브 학습 항목이 마지막 단계인 것으로 가정한다.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입력부(510)의 제3 학습 정보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학습 정보를 검출한다.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학습 정보들 중에서 제3 학습 정보 검출 요청에 포함된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학습 정보를 검출한다.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검출한 학습 정보를 학습 맵 제공부(540)로 전송한다.
여기서,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최종 단계의 학습 항목 이전까지는 학습 정보 중에서 일부(예를 들면, 학습 이미지)를 검출하여 학습 맵 제공부(540)로 전송하며, 최종 단계의 학습 항목에서는 전체(예를 들면, 학습 이미지, 텍스트 데이터 및 학습 사운드 데이터 등)를 모두 검출하여 학습 맵 제공부(540)로 전송할 수 있다.
학습 맵 제공부(540)는 입력부(510)의 제3 학습 맵 생성 요청 및 학습 정보 제공부(530)의 학습 정보 전송에 응답하여 제3 학습 맵을 생성한다. 학습 맵 제공부(540)는 제2 학습 맵에 학습 정보 제공부(530)에서 검출한 학습 정보를 추가한 형태의 제3 학습 맵을 생성한다.
학습 맵 제공부(540)는 제1 서브 학습 항목이 맵의 중앙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이 제1 서브 학습 항목에서 가지친 형태로 제1 서브 학습 항목의 주변에 배치되고, 제3 선택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검출된 학습 정보들이 각각 제2 서브 학습 항목에서 가지친 형태로 제2 서브 학습 항목의 주변에 배치된 마인드 맵 형태의 제3 학습 맵을 생성한다. 학습 맵 제공부(540)는 생성한 제3 학습 맵을 학습자 단말(1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단말(10)은 학습 맵 제공부(540)로부터 전송받은 제3 학습 맵을 화면에 표시한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학습자 단말(10)은 제3 학습 맵을 표시하되,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각각 연계되는 복수의 학습 정보를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학습 정보를 가지친 형태로 표시한 후 다른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학습 정보를 가지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학습 지원 서버(500)는 개인 학습 음성 관리부(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인 학습 음성 관리부(560)는 학습자 단말(10)로부터 학습자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개인 학습 음성 관리부(560)는 입력된 학습자 음성 데이터를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한다. 여기서, 학습자 음성 데이터는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10)을 통해 녹음한 음성 녹음 데이터로, 제3 학습 맵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관련된 생각이나 이전 학습 내용을 복습하는 과정에서 발성하는 학습자의 음성을 녹음한 데이터이다.
일례로, 도 15를 참조하면, 학습자가 제3 학습 맵을 표시한 상태인 학습자 단말(10)을 통해 "말하기" 및 "녹음 시작"을 선택하면 학습자 단말(10)에서는 녹음 시작 신호가 발생한다.
학습자 단말(10)은 녹음 시작 신호에 응답하여 설정시간(예를 들면, 대략 5분 정도) 동안 녹음 기능을 실행한다. 학습자 단말(10)은 녹음 기능을 실행하는 시간 동안 학습자가 발성한 음성을 녹음하여 학습자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학습자 단말(10)은 녹음 기능이 종료되면 학습자 음성 데이터를 학습 지원 서버(50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개인 학습 음성 관리부(560)는 학습자 단말(10)로부터 학습자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개인 학습 음성 관리부(560)는 학습자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 저장 요청을 개인화 데이터베이스(400)로 전송한다.
음성 데이터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400)는 음성 데이터 저장 요청에 포함된 학습자 음성 데이터를 검출하고, 대응하는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학습자 정보는 학습자 단말(10) 또는 학습자에게 부여된 고유 식별 번호인 것을 일례로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인증과정에서 학습자 정보를 검출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학습 지원 서버(500)는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는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생각 그리기 이미지를 입력받는다.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는 입력된 생각 그리기 이미지를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한다. 여기서, 생각 그리기 이미지는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10)을 통해 그린 그리기 이미지 데이터로, 학습자가 학습 정보의 학습 이미지를 따라 그리는 과정에서 발행한 완성 이미지 데이터 또는 완성 과정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도 17을 참조하면,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10)을 통해 "그리기" 및 "생각 그리기"를 선택하면 학습자 단말(10)은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을 학습 지원 서버(50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는 학습자 단말(10)로부터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을 입력받는다.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는 학습자 단말(10)의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제공부(530)로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을 전송한다.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의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로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을 전송한다. 이때,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을 전송한다.
학습 정보 제공부(530)의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저장된 학습 정보들 중에서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에 매칭되는 학습 이미지를 검출한다. 즉,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으로부터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검출한다.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검출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들에 연계된 학습 정보들 중에서 학습 이미지만을 검출하여 학습 정보 제공부(530)로 전송한다.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의 학습 이미지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 이미지들을 학습자 단말(10)로 전송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학습자 단말(10)은 학습 정보 제공부(530)의 학습 이미지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자 이미지들의 썸네일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10)에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를 확인하여 따라 그리기를 원하는 학습자 이미지에 매칭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한다. 학습자 단말(10)은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학습자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한편, 도 18을 참조하면, 학습자 단말(10)은 학습자 이미지와 함께 따라 그리기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학습자 단말(10)은 학습자의 썸네일 이미지 선택에 응답하여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을 학습 지원 서버(500)로 전송한다. 이때, 학습자 단말(10)은 학습자가 선택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학습자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을 전송한다. 여기서, 학습자 단말(10)은 학습자 이미지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번호를 학습자 이미지 정보로 하는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는 시스템에 따라 달라지는 구성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학습자 단말(10)의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로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을 전송한다.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는 학습자 단말(10)의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에 포함된 학습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을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로 전송한다.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의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에 포함된 학습 이미지 정보를 검출한다.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저장된 따라 그리기 이미지들 중에서 검출한 학습 이미지 정보에 매치되는 학습 이미지와 연계된 따라 그리기 이미지를 검출한다.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검출한 따라 그리기 이미지를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로 전송한다.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의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에 응답하여,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는 전송받은 따라 그리기 이미지를 학습자 단말(10)로 전송한다. 학습자 단말(10)은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의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에 응답하여, 따라 그리기 이미지를 학습 이미지들의 썸네일 이미지들 및 학습자가 선택한 학습자 이미지와 함께 화면에 표시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10)에 표시된 따라 그리기 이미지를 가이드로 하여 펜 또는 손가락 등을 통해 학습 이미지를 그리면, 학습자 단말(10)은 또는 손가락 등의 이동을 감지하여 생각 그리기 이미지를 생성한다. 학습자 단말(10)은 생각 그리기 완성 이미지 데이터 또는 생각 그리기 완성 과정 이미지 데이터를 생각 그리기 이미지로 생성한다. 학습자 단말(10)은 생성한 생각 그리기 이미지를 포함하는 생각 그리기 이미지를 학습 지원 서버(50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는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생각 그리기 이미지를 입력받는다.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는 생각 그리기 이미지를 포함하는 개인 학습 이미지 저장 요청을 개인화 데이터베이스(400)로 전송한다.
개인 학습 이미지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400)는 개인 학습 이미지 저장 요청에 포함된 생각 그리기 이미지를 검출하고, 대응하는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학습자 정보는 학습자 단말(10) 또는 학습자에게 부여된 고유 식별 번호인 것을 일례로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인증과정에서 학습자 정보를 검출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학습 지원 서버(500)는 개인 학습 맵 관리부(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인 학습 맵 관리부(580)는 학습자 단말(10)로부터 개인 학습 맵 이미지를 입력받는다. 개인 학습 맵 관리부(580)는 입력된 개인 학습 맵 이미지를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한다. 여기서, 개인 학습 맵 이미지는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10)을 통해 그린 학습 맵 이미지로,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10)을 통해 학습 맵을 학습하며 그리는 과정에서 발행한 학습 맵 완성 이미지 데이터 또는 학습 맵 완성 과정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개인 학습 맵 이미지는 학습자가 학습 단말에 표시된 학습 맵을 따라 그리는 과정에서 발행한 학습 맵 완성 이미지 데이터 또는 학습 맵 완성 과정 이미지 데이터일 수도 있다.
일례로, 도 21을 참조하면,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10)을 통해 "그리기" 및 "개뼈노트 그리기"를 선택하고, "개뼈 노트"를 배경으로 선택하면 학습자 단말(10)은 학습 맵(제3 학습 맵)을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그리기 모드를 활성화한다.
한편, 도 22를 참조하면,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10)을 통해 "그리기" 및 "개뼈 노트 그리기"를 선택하고, "빈 노트"를 배경으로 선택하면 학습자 단말(10)은 빈 배경을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그리기 모드를 활성화할 수도 있다.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10)의 그리기 모드가 활성화된 이후 학습자 단말(10)에 표시된 학습 맵을 가이드로 하여 펜 또는 손가락 등을 통해 학습 맵을 그리면, 학습자 단말(10)은 또는 손가락 등의 이동을 감지하여 개인 학습 맵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때, 학습자 단말(10)은 학습 맵 완성 이미지 데이터 또는 학습 맵 완성 과정 이미지 데이터를 개인 학습 맵 이미지로 생성하고, 생성한 개인 학습 맵을 학습 지원 서버(50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개인 학습 맵 관리부(580)는 학습자 단말(10)로부터 개인 학습 맵 이미지를 입력받는다. 개인 학습 맵 관리부(580)는 개인 학습 맵 이미지를 포함하는 개인 학습 맵 저장 요청을 개인화 데이터베이스(400)로 전송한다.
개인 학습 맵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400)는 개인 학습 맵 저장 요청에 포함된 개인 학습 맵 이미지를 검출하고, 대응하는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학습자 정보는 학습자 단말(10) 또는 학습자에게 부여된 고유 식별 번호인 것을 일례로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인증과정에서 학습자 정보를 검출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시스템에서는 학습 지원 서버(500)가 학습 정보를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직접 검출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학습 지원 서버(500)는 학습 정보에 대응하는 물리적/논리적 주소를 전송하고 학습자 단말(10)에서 해당 주소에 접속하여 학습 정보를 로딩하고 이를 화면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교육학계에서는 보는 학습을 통해 대략 학습 대상의 30% 정도를 기억할 수 있고, 보고 듣는 학습을 통해 대략 학습 대상의 50% 정도를 기억할 수 있고, 말하는 학습을 통해 대략 학습 대상의 70% 정도를 기억할 수 있고, 말하고 행동하는 학습을 통해 대략 학습 대상의 90% 정도를 기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시스템은 보고, 듣고, 말하고, 활동(그리기)하는 학습 플로우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을 지원함으로써, 학습 내용을 보고, 듣는 정도의 학습 플로우를 지원하는 종래의 학습 지원 시스템에 비해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학습을 통해 접하는 정보는 학습자 머릿속에 있는 수많은 이미지만큼 오래가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시스템은 복잡하고 어려운 학습 내용, 개념들을 단순화한 이미지로 표현함으로써,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이미지로 구성하여 학습 내용을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4 내지 도 22에 대한 설명에서는 학습 지원 서버가 그리기 및 말하기(녹음)를 각각 수행한 후 학습자 음성 데이터, 생각 그리기 이미지, 따라 그리기 이미지 등을 각각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리고 녹음하기" 단계를 통해 그리기 및 말하기(녹음)를 동시에 수행하고 음성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생각 그리기 이미지, 따라 그리기 이미지)를 연계한 하나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할 수도 있다.
물론, 그리기 및 말하기(녹음)를 단계적으로 수행하고 각 단계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연계한 하나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23을 참조하면, 학습자 단말은 그리기를 완료한 후 말하기(녹음)음 선택함에 따라 그리기 단계에서 그려진 이미지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마이크를 활성화하고 학습자의 음성을 녹음하여 학습자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학습자 단말은 이미지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연계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여 학습 지원 서버로 전송하고, 학습 지원 서버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한다.
그에 따라,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단말은 학습자별로 학습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한 "내노트"를 통해 생성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리스트, 미리보디, 썸네일 등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학습자 단말은 학습자의 이미지 확대 버튼 선택에 따라 멀티미디어 파일의 이미지 데이터를 확대하여 출력하고, 녹음 버튼 선택에 따라 멀티미디어 파일의 학습자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서, 학습자 단말은 멀티미디어 파일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와 학습 음성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방법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입력부(510)는 학습자 단말(10)로부터 메인 학습 항목의 선택을 위한 제1 선택정보를 입력받는다(S105). 입력부(510)는 메인 학습 항목의 선택을 위해 학년, 학기 및 과목을 포함하는 제1 선택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일례로 한다. 입력부(510)는 제1 선택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선택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항목 검출 요청을 학습 항목 검출부(520)로 전송한다.
일례로, 학습자 단말(10)이 학습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학습 지원 서버(500) 또는 학습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함에 따라, 학습자 단말(10)에는 학습자 인증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10)을 조작하여 학습자 인증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고, 학습자 단말(10)은 입력된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자 인증 요청을 학습 지원 서버(500)로 전송한다.
학습 지원 서버(500)에서의 학습자 인증 완료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자 단말(10)은 제1 선택정보 입력 화면을 출력한다.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10)을 조작하여 학년, 학기 및 과목을 포함하는 제1 선택정보를 입력하고, 학습자 단말(10)은 제1 선택정보를 학습 지원 서버(50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입력부(510)에는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전송된 제1 선택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부(510)는 입력받는 제1 선택정보를 학습 항목 검출부(520)로 전송한다.
입력부(510)의 학습 항목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학습 항목 검출 요청에 포함된 제1 선택정보에 매칭되는 학습 항목을 검출한다(S110).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학습 항목 검출 요청에 포함된 제1 선택정보에 매칭되는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검출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검출한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제1 학습 정보 검출 요청을 학습 정보 제공부(530)로 전송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검출한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제1 학습 맵 생성 요청을 학습 맵 제공부(540)로 전송한다.
일례로, 입력부(510)로부터의 학습 항목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학습 항목 검출 요청에 포함된 제1 선택정보를 검출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제1 선택정보를 포함하는 쿼리를 생성하여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로 전송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의 쿼리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는 저장된 메인 학습 항목들 중에서 제1 선택정보에 매칭되는 메인 학습 항목을 검출하고, 검출한 메인 학습 항목을 학습 항목 검출부(520)로 전송한다.
메인 학습 항목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메인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쿼리를 생성하여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로 전송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의 쿼리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는 저장된 제1 서브 학습 항목들 중에서 쿼리에 포함된 메인 학습 항목에 연계된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검출하고, 검출한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학습 항목 검출부(520)로 전송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검출한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제1 학습 정보 검출 요청을 생성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생성한 제1 학습 정보 검출 요청을 학습 정보 제공부(530)로 전송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전송받은 메인 학습 항목과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제1 학습 맵 생성 요청을 생성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생성한 제1 학습 맵 생성 요청을 학습 맵 제공부(540)로 전송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의 제1 학습 정보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제1 학습 정보 검출 요청에 매칭되는 학습 정보를 검출한다(S115).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학습 정보들 중에서 제1 학습 정보 검출 요청에 포함된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학습 정보를 검출한다.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검출한 학습 정보를 학습 맵 제공부(540)로 전송한다.
일례로, 학습 항목 검출부(520)로부터의 제1 학습 정보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제1 학습 정보 검출 요청에 포함된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검출한다.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쿼리를 생성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로 전송한다.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학습 정보 제공부(530)의 쿼리 전송에 응답하여 저장된 학습 정보들 중에서 쿼리에 포함된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매칭되는 학습 정보들을 검출하고, 검출한 학습 정보를 학습 정보 제공부(530)로 전송한다. 학습 정보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전송받은 학습 정보를 학습 맵 제공부(540)로 전송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의 제1 학습 맵 생성 요청 및 학습 정보 제공부(530)의 학습 정보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 맵 제공부(540)는 제1 학습 맵을 생성한다(S120). 학습 맵 제공부(540)는 제1 학습 맵 생성 요청에 포함된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과, 학습 정보 제공부(530)로부터 전송받은 학습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마인드 맵 형태의 제1 학습 맵을 생성한다. 학습 맵 제공부(540)는 메인 학습 항목이 맵의 중앙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이 메인 학습 항목에서 가지친 형태로 메인 학습 항목의 주변에 배치되고, 복수의 학습 정보들이 각각 매칭된 학습 항목의 주변에 배치된 마인드 맵 형태의 제1 학습 맵을 생성한다. 학습 맵 제공부(540)는 생성한 제1 학습 맵을 학습자 단말(10)로 전송한다.
일례로, 학습 맵 제공부(540)는 메인 학습 항목인 "과학5-2"에 매칭된 학습 정보를 맵의 중앙에 배치하고, 제1 서브 학습 항목인 "생물과 환경", "날씨와 우리 생활", "물체의 운동" 및 "산과 염기"가 메인 학습 항목에서 가지친 형태로 구성되어 메인 학습 항목의 주변에 각각 배치되고, 각각의 학습 정보가 매칭된 제1 서브 학습 항목의 주변에 배치된 제1 학습 맵을 생성한다.
학습 맵 제공부(540)는 생성한 제1 학습 맵을 학습자 단말(10)로 전송하고, 제1 학습 맵을 수신함에 따라 학습자 단말(10)에는 메인 학습 항목과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학습 정보가 포함된 제1 학습 맵이 화면에 표시된다.
입력부(510)는 제1 학습 맵이 화면에 표시된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제2 선택정보를 입력받는다(S125). 입력부(510)는 제1 서브 학습 항목의 선택을 위한 제2 선택정보를 입력받는다. 입력부(510)는 제1 학습 맵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들 중에서 하나인 제2 선택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일례로 한다. 입력부(510)는 제2 선택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선택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항목 검출 요청을 학습 항목 검출부(520)로 전송한다.
일례로, 학습자 단말(10)에 제1 학습 맵이 표시된 상태에서, 학습자는 제1 학습 맵이 표시된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 중 하나를 선택(터치)한다. 학습자 단말(10)은 학습자의 선택(터치)을 감지하여 학습자가 선택한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검출한다. 학습자 단말(10)은 검출한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제2 선택정보를 생성하여 학습 지원 서버(500; 즉, 입력부(51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입력부(510)에는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전송된 제2 선택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부(510)는 입력받는 제2 선택정보를 학습 항목 검출부(520)로 전송한다.
입력부(510)의 학습 항목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제2 선택정보에 매칭되는 학습 항목을 검출한다(S130).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학습 항목 검출 요청에 포함된 제2 선택정보로부터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검출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검출한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검출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검출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학습 영상 검출 요청을 학습 영상 제공부(550)로 전송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검출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제2 학습 정보 검출 요청을 학습 정보 제공부(530)로 전송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는 검출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제2 학습 맵 생성 요청을 학습 맵 제공부(540)로 전송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의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매칭되는 학습 영상을 검출한다(S135).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학습 영상들 중에서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학습 영상을 검출한다.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검출한 학습 영상을 학습자 단말(10)로 전송한다.
일례로,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에 통합 학습 영상이 저장되고(도 6 참조), 제2 선택정보에 제1 서브 학습 항목으로 "날씨와 우리 생활"이 포함된 것으로 가정한다.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제1 서브 학습 항목인 "날씨와 우리 생활"을 포함하는 제1 학습 영상 검출 요청을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로 전송한다.
제1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는 저장된 제1 학습 영상들 중에서 제1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인 "날씨와 우리 생활"에 연계된 제1 학습 영상인 "S5231.mpeg"를 검출한다.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는 검출한 제1 학습 영상인 "S5231.mpeg"을 학습 영상 제공부(550)로 전송한다.
제1 학습 영상의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제2 서브 학습 항목인 "습도", "이슬, 안개, 구름", "바람" 및 "계절별 날씨"를 포함하는 제2 학습 영상 검출 요청을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로 전송한다.
제2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는 저장된 제2 학습 영상들 중에서 제2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포함된 제2 서브 학습 항목인 "습도", "이슬, 안개, 구름", "바람" 및 "계절별 날씨"에 각각 연계된 제2 학습 영상인 "S5232.mpeg", "S5233.mpeg", "S5234.mpeg" 및 "S5235.mpeg"를 검출한다.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는 검출한 제2 학습 영상인 "S5232.mpeg", "S5233.mpeg", "S5234.mpeg" 및 "S5235.mpeg"를 학습 영상 제공부(550)로 전송한다.
제2 학습 영상의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수신한 제1 학습 영상인 "S5231.mpeg"과 제2 학습 영상인 "S5232.mpeg", "S5233.mpeg", "S5234.mpeg" 및 "S5235.mpeg"을 학습자 단말(1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학습자 단말(10)에는 "S5231.mpeg", "S5232.mpeg", "S5233.mpeg", "S5234.mpeg" 및 "S5235.mpeg"이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한편, 제2 학습 영상의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수신한 제1 학습 영상인 "S5231.mpeg"과 제2 학습 영상인 "S5232.mpeg", "S5233.mpeg", "S5234.mpeg" 및 "S5235.mpeg"을 병합하여 병합 합성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병합 합성 영상을 학습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학습 항목 검출부(520)의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학습 영상을 검출한다.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학습 영상들 중에서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학습 영상을 검출한다.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검출한 학습 영상을 학습자 단말(10)로 전송한다.
일례로,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에 통합 학습 영상이 저장되고(도 6 참조), 제2 선택정보에 제1 서브 학습 항목으로 "날씨와 우리 생활"이 포함된 것으로 가정한다.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제1 서브 학습 항목인 "날씨와 우리 생활"을 포함하는 통합 학습 영상 검출 요청을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로 전송한다.
통합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는 저장된 통합 학습 영상들 중에서 통합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인 "날씨와 우리 생활"에 연계된 통합 학습 영상인 "S5230.mpeg"를 검출한다.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는 검출한 통합 학습 영상인 "S5230.mpeg"을 학습 영상 제공부(550)로 전송한다.
통합 학습 영상의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수신한 통합 학습 영상인 "S5230.mpeg"을 학습자 단말(1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학습자 단말(10)에는 "S5230.mpeg"이 표시(재생)된다.
한편,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통합 학습 영상이 제2 서브 학습 항목과 연계된 경우, 학습 영상 제공부(550)는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통합 학습 영상 검출 요청을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로 전송하고,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200)는 통합 학습 영상 검출 요청에 포함된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통합 학습 영상을 검출하여 학습 영상 제공부(5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의 제2 학습 정보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제2 학습 정보 검출 요청에 매칭되는 학습 정보를 검출한다(S140).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학습 정보들 중에서 제2 학습 정보 검출 요청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학습 정보를 검출한다.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검출한 학습 정보를 학습 맵 제공부(540)로 전송한다.
학습 항목 검출부(520)의 제2 학습 맵 생성 요청 및 학습 정보 제공부(530)의 학습 정보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 맵 제공부(540)는 제2 학습 맵을 생성한다(S145). 학습 맵 제공부(540)는 제2 학습 맵 생성 요청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과, 학습 정보 제공부(530)로부터 전송받은 학습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마인드 맵 형태의 제2 학습 맵을 생성한다. 학습 맵 제공부(540)는 제1 서브 학습 항목이 맵의 중앙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이 제1 서브 학습 항목에서 가지친 형태로 제1 서브 학습 항목의 주변에 배치되고, 복수의 학습 정보들이 각각 매칭된 학습 항목의 주변에 배치된 마인드 맵 형태의 제2 학습 맵을 생성한다.
학습 맵 제공부(540)는 학습자 단말(10)에서 학습 영상 재생 완료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 학습 맵을 학습자 단말(10)로 전송한다. 즉, 학습자 단말(10)은 학습 영상 제공부(550)로부터 수신한 학습 영상을 재생하고, 재생이 완료되면 학습 지원 서버(500)로 학습 영상 재생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학습자 단말(10)로부터의 학습 영상 재생 완료 메시지에 응답하여, 학습 맵 제공부(540)는 제2 학습 맵을 학습자 단말(1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학습자 단말(10)은 학습 맵 제공부(540)로부터 전송받은 제2 학습 맵을 화면에 표시한다.
입력부(510)는 제2 학습 맵이 화면에 표시된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제3 선택정보를 입력받는다(S150). 입력부(510)는 제2 서브 학습 항목의 선택을 위한 제3 선택정보를 입력받는다. 입력부(510)는 제2 학습 맵에 포함된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들 중에서 하나인 제3 선택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일례로 한다.
제3 선택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입력부(510)는 제3 선택정보를 포함하는 제3 학습 정보 검출 요청을 학습 정보 제공부(530)로 전송하고, 제3 선택정보를 포함하는 제3 학습 맵 생성 요청을 학습 맵 제공부(54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2 서브 학습 항목의 하위 학습 항목이 더 존재하는 경우, 입력부(510)는 제3 선택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항목 검출 요청을 학습 항목 검출부(5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2 서브 학습 항목이 마지막 단계인 것으로 가정한다.
입력부(510)의 제3 학습 정보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제3 선택정보에 매칭되는 학습 정보를 검출한다(S155).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학습 정보들 중에서 제3 학습 정보 검출 요청에 포함된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학습 정보를 검출한다.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검출한 학습 정보를 학습 맵 제공부(540)로 전송한다.
여기서,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최종 단계의 학습 항목 이전까지는 학습 정보 중에서 일부(예를 들면, 학습 이미지)를 검출하여 학습 맵 제공부(540)로 전송하며, 최종 단계의 학습 항목에서는 전체(예를 들면, 학습 이미지, 텍스트 데이터 및 학습 사운드 데이터 등)를 모두 검출하여 학습 맵 제공부(540)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510)의 제3 학습 맵 생성 요청 및 학습 정보 제공부(530)의 학습 정보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 맵 제공부(540)는 제3 학습 맵을 생성한다(S160). 학습 맵 제공부(540)는 제2 학습 맵에 학습 정보 제공부(530)에서 검출한 학습 정보를 추가한 형태의 제3 학습 맵을 생성한다.
학습 맵 제공부(540)는 제1 서브 학습 항목이 맵의 중앙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이 제1 서브 학습 항목에서 가지친 형태로 제1 서브 학습 항목의 주변에 배치되고, 제3 선택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검출된 학습 정보들이 각각 제2 서브 학습 항목에서 가지친 형태로 제2 서브 학습 항목의 주변에 배치된 마인드 맵 형태의 제3 학습 맵을 생성한다. 학습 맵 제공부(540)는 생성한 제3 학습 맵을 학습자 단말(1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학습자 단말(10)은 학습 맵 제공부(540)로부터 전송받은 제3 학습 맵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학습자 단말(10)은 제3 학습 맵을 표시하되,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각각 연계되는 복수의 학습 정보를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학습 정보를 가지친 형태로 표시한 후 다른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학습 정보를 가지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방법은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10)을 통해 녹음한 음성 녹음 데이터인 학습자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자 음성 데이터는 제3 학습 맵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관련된 생각이나 이전 학습 내용을 복습하는 과정에서 발성하는 학습자의 음성을 녹음한 데이터이다.
개인 학습 음성 관리부(560)는 학습자 단말(10)로부터 학습자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171). 일례로, 학습자가 제3 학습 맵을 표시한 상태인 학습자 단말(10)을 통해 "말하기" 및 "녹음 시작"을 선택하면 학습자 단말(10)에서는 녹음 시작 신호가 발생한다.
학습자 단말(10)은 녹음 시작 신호에 응답하여 설정시간(예를 들면, 대략 5분 정도) 동안 녹음 기능을 실행한다. 학습자 단말(10)은 녹음 기능을 실행하는 시간 동안 학습자가 발성한 음성을 녹음하여 학습자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학습자 단말(10)은 녹음 기능이 종료되면 학습자 음성 데이터를 학습 지원 서버(50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개인 학습 음성 관리부(560)는 학습자 단말(10)로부터 학습자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개인 학습 음성 관리부(560)는 학습자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 저장 요청을 개인화 데이터베이스(400)로 전송한다.
개인 학습 음성 관리부(560)는 입력된 학습자 음성 데이터를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한다(S172). 즉, 음성 데이터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400)는 음성 데이터 저장 요청에 포함된 학습자 음성 데이터를 검출하고, 대응하는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학습자 정보는 학습자 단말(10) 또는 학습자에게 부여된 고유 식별 번호인 것을 일례로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인증과정에서 학습자 정보를 검출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방법은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10)을 통해 그린 그리기 이미지 데이터인 생각 그리기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생각 그리기 이미지는 학습자가 학습 정보의 학습 이미지를 따라 그리는 과정에서 발행한 완성 이미지 데이터 또는 완성 과정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10)을 통해 "그리기" 및 "생각 그리기"를 선택하면 학습자 단말(10)은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을 학습 지원 서버(500)로 전송하며,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는 학습자 단말(10)로부터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을 입력받고, 학습자 단말(10)의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는 학습 정보 제공부(530)로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을 전송한다(S181).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의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로 학습 이미지를 검출한다(S182).
즉,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로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을 전송한다. 이때,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을 전송한다.
학습 정보 제공부(530)의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저장된 학습 정보들 중에서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에 매칭되는 학습 이미지를 검출한다. 즉,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으로부터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검출한다.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검출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들에 연계된 학습 정보들 중에서 학습 이미지만을 검출하여 학습 정보 제공부(530)로 전송한다.
학습 정보 제공부(530)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의 학습 이미지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 이미지들을 학습자 단말(10)로 전송한다(S183). 학습 정보 제공부(530)의 학습 이미지 전송에 응답하여, 학습자 단말(10)은 학습자 이미지들의 썸네일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10)에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를 확인하여 따라 그리기를 원하는 학습자 이미지에 매칭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한다. 학습자 단말(10)은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학습자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학습자 단말(10)은 학습자의 썸네일 이미지 선택에 응답하여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을 학습 지원 서버(500)로 전송한다. 이때, 학습자 단말(10)은 학습자가 선택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학습자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을 전송한다. 여기서, 학습자 단말(10)은 학습자 이미지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번호를 학습자 이미지 정보로 하는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는 시스템에 따라 달라지는 구성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학습자 단말(10)의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따라 그리기 이미지를 검출한다(S184). 즉, 학습자 단말(10)의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로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을 전송한다.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는 학습자 단말(10)의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에 포함된 학습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을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로 전송한다.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의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에 포함된 학습 이미지 정보를 검출한다.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저장된 따라 그리기 이미지들 중에서 검출한 학습 이미지 정보에 매치되는 학습 이미지와 연계된 따라 그리기 이미지를 검출한다.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검출한 따라 그리기 이미지를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로 전송한다.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00)의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에 응답하여,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는 전송받은 따라 그리기 이미지를 학습자 단말(10)로 전송한다(S185). 학습자 단말(10)은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의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에 응답하여, 따라 그리기 이미지를 학습 이미지들의 썸네일 이미지들 및 학습자가 선택한 학습자 이미지와 함께 화면에 표시한다.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10)에 표시된 따라 그리기 이미지를 가이드로 하여 펜 또는 손가락 등을 통해 학습 이미지를 그리면, 학습자 단말(10)은 또는 손가락 등의 이동을 감지하여 생각 그리기 이미지를 생성한다. 학습자 단말(10)은 생각 그리기 완성 이미지 데이터 또는 생각 그리기 완성 과정 이미지 데이터를 생각 그리기 이미지로 생성한다.
학습자 단말(10)은 생성한 생각 그리기 이미지를 포함하는 생각 그리기 이미지를 학습 지원 서버(500)로 전송하며,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는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생각 그리기 이미지를 입력받는다(S186).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는 입력된 생각 그리기 이미지를 개인화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한다(S187). 즉,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570)는 생각 그리기 이미지를 포함하는 개인 학습 이미지 저장 요청을 개인화 데이터베이스(400)로 전송한다.
개인 학습 이미지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400)는 개인 학습 이미지 저장 요청에 포함된 생각 그리기 이미지를 검출하고, 대응하는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학습자 정보는 학습자 단말(10) 또는 학습자에게 부여된 고유 식별 번호인 것을 일례로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인증과정에서 학습자 정보를 검출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지원 방법은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10)을 통해 그린 학습 맵인 개인 학습 맵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학습 맵 이미지는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10)을 통해 그린 학습 맵 이미지로,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10)을 통해 학습 맵을 학습하며 그리는 과정에서 발행한 학습 맵 완성 이미지 데이터 또는 학습 맵 완성 과정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개인 학습 맵 이미지는 학습자가 학습 단말에 표시된 학습 맵을 따라 그리는 과정에서 발행한 학습 맵 완성 이미지 데이터 또는 학습 맵 완성 과정 이미지 데이터일 수도 있다.
개인 학습 맵 관리부(580)는 학습자 단말(10)로부터 개인 학습 맵 이미지를 입력받는다(S191).
즉,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10)을 통해 "그리기" 및 "개뼈노트 그리기"를 선택하고, "개뼈 노트"를 배경으로 선택하면 학습자 단말(10)은 학습 맵(즉, 제3 학습 맵)을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그리기 모드를 활성화한다.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10)을 통해 "그리기" 및 "개뼈노트 그리기"를 선택하고, "빈 노트"를 배경으로 선택하면 학습자 단말(10)은 빈 배경을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그리기 모드를 활성화할 수도 있다.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10)의 그리기 모드가 활성화된 이후 학습자 단말(10)에 표시된 학습 맵을 가이드로 하여 펜 또는 손가락 등을 통해 학습 맵을 그리면, 학습자 단말(10)은 또는 손가락 등의 이동을 감지하여 개인 학습 맵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때, 학습자 단말(10)은 학습 맵 완성 이미지 데이터 또는 학습 맵 완성 과정 이미지 데이터를 개인 학습 맵 이미지로 생성하고, 생성한 개인 학습 맵을 학습 지원 서버(500)로 전송한다.
개인 학습 맵 이미지의 입력에 응답하여, 개인 학습 맵 관리부(580)는 개인 학습 맵 이미지를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한다(S192). 즉, 개인 학습 맵 관리부(580)는 개인 학습 맵 이미지를 포함하는 개인 학습 맵 저장 요청을 개인화 데이터베이스(400)로 전송한다.
개인 학습 맵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400)는 개인 학습 맵 저장 요청에 포함된 개인 학습 맵 이미지를 검출하고, 대응하는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학습자 정보는 학습자 단말(10) 또는 학습자에게 부여된 고유 식별 번호인 것을 일례로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인증과정에서 학습자 정보를 검출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학습자 단말 100: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
200: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 300: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
400: 개인화 데이터베이스 500: 학습 지원 서버
510: 입력부 520: 학습 항목 검출부
530: 학습 정보 제공부 540: 학습 맵 제공부
550: 학습 영상 제공부 560: 개인 학습 음성 관리부
570: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 580: 개인 학습 맵 관리부

Claims (15)

  1. 학습자 단말로부터 학습 선택을 위한 제1 선택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제1 선택정보를 입력받은 후에 시간 차를 두고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제2 선택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제2 선택정보를 입력받은 후에 시간 차를 두고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하는 제3 선택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제1 선택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선택정보에 매칭된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검출하고, 상기 제2 선택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매칭된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검출하는 학습 항목 검출부;
    상기 제1 선택정보에 따른 학습 항목 검출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매칭되는 학습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선택정보에 따른 학습 항목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학습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제3 선택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3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매칭되는 학습 정보를 검출하는 학습 정보 제공부;
    상기 제2 선택정보에 따른 학습 항목의 검출에 응답하여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학습 영상을 검출하는 학습 영상 제공부; 및
    상기 제1 선택정보에 따른 학습 항목 및 학습 정보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1 선택정보에 매칭된 상기 메인 학습 항목 및 상기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상기 학습 정보를 포함하는 마인드 맵 형태의 제1 학습 맵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선택정보에 따른 학습 정보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 및 상기 학습 정보를 포함한 마인드 맵 형태의 제2 학습 맵을 생성하고, 상기 제3 선택정보에 따른 학습 정보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학습 맵에 상기 학습 정보를 추가한 마인드 맵 형태의 제3 학습 맵을 생성하는 학습 맵 제공부를 포함하는 학습 지원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영상 제공부는 상기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제1 학습 영상 및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각각 연계된 복수의 제2 학습 영상을 검출하는 학습 지원 서버.
  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영상 제공부는 상기 제1 학습 영상 및 상기 복수의 제2 학습 영상을 병합하여 병합 학습 영상을 생성하는 학습 지원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영상 제공부는 상기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제1 학습 영상 및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이 통합된 통합 학습 영상을 검출하는 학습 지원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의 학습자 음성 데이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자 음성 데이터를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개인 학습 음성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자 음성은 상기 제3 학습 맵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의 학습시 녹음된 학습자의 음성인 학습 지원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의 생각 그리기 이미지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생각 그리기 이미지를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각 그리기 이미지는 학습 이미지를 따라 그리는 과정에서 발행한 완성 이미지 데이터 및 완성 과정 이미지 데이터 중 하나인 학습 지원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의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 정보 제공부는 상기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1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학습 항목에 각각 매칭되는 복수의 학습 이미지를 검출하고,
    상기 복수의 학습 이미지의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한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의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개인 학습 이미지 관리부는 상기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따라 그리기 이미지 전송 요청에 포함된 학습 이미지에 연계된 따라 그리기 이미지를 검출하는 학습 지원 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의 개인 학습 맵 이미지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개인 학습 맵 이미지를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개인 학습 맵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인 학습 맵 이미지는 학습 맵 완성 이미지 데이터 및 학습 맵 완성 과정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인 학습 지원 서버.
  9. 학습 지원 시스템을 이용해 학습자 단말의 학습을 지원하는 학습 지원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학습 선택을 위한 제1 선택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선택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선택정보에 매칭된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의 검출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매칭되는 학습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메인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의 검출 및 상기 학습 정보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학습 항목 및 상기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상기 학습 정보를 포함하는 마인드 맵 형태의 제1 학습 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습 맵을 표시한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학습 맵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서브 학습 항목 중 하나를 포함한 제2 선택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2 선택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 항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매칭된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서브 학습 항목 검출에 응답하여,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학습 영상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학습 영상을 출력한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의 학습 영상 재생 완료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학습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선택정보에 따른 학습 정보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 및 상기 학습 정보를 포함한 마인드 맵 형태의 제2 학습 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학습 맵을 표시한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학습 맵에 포함된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을 포함한 제3 선택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3 선택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3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매칭되는 학습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선택정보에 따른 학습 정보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학습 맵에 상기 학습 정보를 추가한 마인드 맵 형태의 제3 학습 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지원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영상을 검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제1 학습 영상 및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에 각각 연계된 복수의 제2 학습 영상을 검출하는 학습 지원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영상을 검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학습 영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서브 학습 항목에 연계된 제1 학습 영상 및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이 통합된 통합 학습 영상을 검출하는 학습 지원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의 학습자 음성 데이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자 음성 데이터를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자 음성은 상기 제3 학습 맵에 포함된 제1 서브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서브 학습 항목의 학습시 녹음된 학습자의 음성인 학습 지원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학습 맵을 출력한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의 학습 이미지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선택정보에 포함된 제1 학습 항목 및 복수의 제2 학습 항목에 각각 매칭되는 복수의 학습 이미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학습 이미지의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한 상기 학습자 단말의 썸네일 이미지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학습자 단말에서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학습자 이미지와 연계된 따라 그리기 이미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따라 그리기 이미지를 표시한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의 생각 그리기 이미지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생각 그리기 이미지를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지원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생각 그리기 이미지는 학습 이미지를 따라 그리는 과정에서 발행한 완성 이미지 데이터 및 완성 과정 이미지 데이터 중 하나인 학습 지원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의 개인 학습 맵 이미지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개인 학습 맵 이미지를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개인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인 학습 맵 이미지는 학습 맵 완성 이미지 데이터 및 학습 맵 완성 과정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인 학습 지원 방법.
KR1020200002369A 2020-01-08 2020-01-08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374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369A KR102374101B1 (ko) 2020-01-08 2020-01-08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369A KR102374101B1 (ko) 2020-01-08 2020-01-08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333A true KR20210089333A (ko) 2021-07-16
KR102374101B1 KR102374101B1 (ko) 2022-03-18

Family

ID=77150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369A KR102374101B1 (ko) 2020-01-08 2020-01-08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1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3357A (ko) * 2012-11-15 2014-05-27 주식회사 한솔교육 스토리텔링 및 터치 기반 파닉스 영어 학습 장치 및 방법
KR20160068639A (ko) * 2014-12-05 2016-06-15 송인호 마인드맵 소스 제어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기의 마인드 맵 소스 제어방법
KR101703321B1 (ko) * 2015-01-09 2017-02-06 주식회사 에스티유니타스 복합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066709A (ko) * 2016-12-09 2018-06-19 김은솔 동영상 강의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 및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
KR20190100538A (ko) 2018-02-09 2019-08-29 비트루브 주식회사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3357A (ko) * 2012-11-15 2014-05-27 주식회사 한솔교육 스토리텔링 및 터치 기반 파닉스 영어 학습 장치 및 방법
KR20160068639A (ko) * 2014-12-05 2016-06-15 송인호 마인드맵 소스 제어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기의 마인드 맵 소스 제어방법
KR101703321B1 (ko) * 2015-01-09 2017-02-06 주식회사 에스티유니타스 복합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066709A (ko) * 2016-12-09 2018-06-19 김은솔 동영상 강의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 및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
KR20190100538A (ko) 2018-02-09 2019-08-29 비트루브 주식회사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101B1 (ko)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gner Visual studies and empirical social inquiry
Abdel-Hack et al. Using digital storytelling and weblogs instruction to enhance EFL narrative writing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among EFL majors at faculty of education
Hartel An arts‐informed study of information using the draw‐and‐write technique
Becker Telling about society
VanHaitsma New pedagogical engagements with archives: Student inquiry and composing in digital spaces
JP5502351B2 (ja) 指導システム、指導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045162A1 (en) Device of Structuring Learning Contents, Learning-Content Selection Support System and Support Method Using the Device
KR102438587B1 (ko) 학습자의 응답신호를 반영한 참여형 콘텐츠의 리플레이가 가능한 방법
US108175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comitant augmentation via learning interstitials for books using a publishing platform
Sari TEACHERS’PERCEPTIONS ON STUDENTS’LEARNING STYLES ON LEARNING ENGLISH AT SMA NEGERI 10 KERINCI
Whitelaw Arts-based literacy learning like “New School”:(Re) framing the arts in and of students’ lives as story
KR102374101B1 (ko)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Lin The video comprehension strategies of Chinese-speaking university students
CN111915174A (zh) 基于电子绘本的小学生审辩性思维测评方法及系统
US10593366B2 (en) Substitution method and device for replacing a part of a video sequence
Woods Using digital technologies to support inclusion in the mainstream classroom
McClain Lights, Camera, Andragogy! Adult Learning and Development in Film
Navarrete et al. A Closer Look into Recent Video-based Learning Research: A Comprehensive Review of Video Characteristics, Tools, Technologies, and Learning Effectiveness
Sabahat et al. Social Meaning Making of Preschoolers through Animated Videos: A Multimodal Social Semiotic Analysis
Marlow et al. Are We There Yet?: Computers and the Teaching of Writing in American Higher Education–Twenty Years Later
JP674080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
Long et al. Media studies
Heidari et al. The Effect of Advertisements on Improving Turkish Young EFL Learners’ L2 Vocabulary Learning
Sanne Teachers’ viewpoints on the use of film in the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ESL) classroom
JP2014038140A (ja) 語学学習補助装置、語学学習補助方法、語学学習補助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