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329A - 유압 브레이커 - Google Patents

유압 브레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329A
KR20210089329A KR1020200002356A KR20200002356A KR20210089329A KR 20210089329 A KR20210089329 A KR 20210089329A KR 1020200002356 A KR1020200002356 A KR 1020200002356A KR 20200002356 A KR20200002356 A KR 20200002356A KR 20210089329 A KR20210089329 A KR 20210089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ylinder
chamber
piston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7232B1 (ko
Inventor
고광표
김진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Priority to KR1020200002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232B1/ko
Priority to CN202080091855.3A priority patent/CN114929971B/zh
Priority to EP20911752.2A priority patent/EP4056764A4/en
Priority to US17/783,459 priority patent/US20230018715A1/en
Priority to PCT/KR2020/018422 priority patent/WO2021141268A1/ko
Publication of KR20210089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9/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fluid-pressure drive, i.e. driven directly by fluids, e.g. having several percussive tool bits operated simultaneously
    • B25D9/06Means for driving the impulse member
    • B25D9/12Means for driving the impulse member comprising a built-in liquid motor, i.e. the tool being driven by hydraulic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05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9/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fluid-pressure drive, i.e. driven directly by fluids, e.g. having several percussive tool bits operated simultaneously
    • B25D9/14Control devices for the reciprocating piston
    • B25D9/16Valve arrangements therefor
    • B25D9/20Valve arrangements therefor involving a tubular-type slide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1Actuator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2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09/00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fluid-pressure drive, i.e. driven directly by fluids, e.g. having several percussive tool bits operated simultaneously
    • B25D2209/005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fluid-pressure drive, i.e. driven directly by fluids, e.g. having several percussive tool bits operated simultaneously having a tubular-slide valve, which is coaxial with the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125Hydraulic tool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02D7/06Power-driven drivers
    • E02D7/10Power-driven drivers with pressure-actuated hammer, i.e. the pressure fluid acting directly on the hamme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 브레이커에 관한 것으로, 실린더와, 피스톤과, 치즐과, 백헤드와, 실린더 부쉬, 및 밸브를 포함한다. 밸브는 실린더 부쉬의 내측면과 실린더 내경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밸브는 상단면에 실린더 상실의 압력이 작용하는 밸브 상측부와, 하단면에 실린더 상실의 압력이 작용하는 밸브 하측부와, 밸브 상측부와 밸브 하측부 사이에서 밸브 상측부와 밸브 하측부보다 큰 외경으로 확장되어 제1 상측 밸브 수압면이 제1,2 유로와 연통되는 제1 밸브 확경부와, 제1 밸브 확경부와 밸브 하측부 사이에서 제1 밸브 확경부보다 큰 외경으로 확장되어 제2 상측 밸브 수압면이 제4 유로와 연통되고 제1 상측 밸브 수압면보다 넓은 면적의 하측 밸브 수압면에 밸브 전환실의 압력이 작용하는 제2 밸브 확경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압 브레이커{Hydraulic Breaker}
본 발명은 유압을 구동원으로 해서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유압 브레이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 브레이커의 밸브 구조에 관한 것이다.
유압 브레이커는 유압에 의해 피스톤을 실린더 내에서 왕복 운동시켜 발생된 운동에너지를 치즐(chisel)에 전달해서 충격에너지로 변환하며, 이 충격에너지에 의해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장치이다. 유압 브레이커는 콘크리트 파쇄나 석재 채굴현장에서의 석재 채굴 또는 건물 내부 공사, 도로 공사시 주변의 파일박기 등에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유압 브레이커는 실린더 상실(上室)과 실린더 하실(下室)을 갖는 실린더와, 실린더를 관통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과, 피스톤에 의해 타격되도록 실린더의 하부에 설치되는 치즐과, 작동유를 제어해서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키는 밸브로 구성된다.
도 9는 종래 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의 밸브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밸브 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1)의 하단부 면적(S1)이 밸브(1)의 상단부 면적(S2)보다 작으므로, 실린더 상실(2)에 압력이 생성되면 항상 밸브(1)는 하강 상태로 있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5)이 상승하여 밸브 전환실(3)로 작동유가 공급되면, 밸브(1)의 중앙부 면적(SF)에 의해 (SF + S1) > S2 의 관계가 성립되어 밸브(1)가 올라가게 된다.
밸브(1)는 실린더 상실(2)의 압력에 따라 밸브(1)의 상하단부에 가해지는 힘이 변동되는데, 실린더 상실(2)의 압력은 밸브 오리피스(4)의 크기로 정할 수 있다.
실린더 상실(2)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밸브(1)의 상하단부에 가해지는 힘도 일정하게 유지되어 밸브(1)의 왕복 운동이 일정하게 규칙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온도 상승시 작동유의 점도가 떨어져 밸브 오리피스(4)를 통해 빠져나가는 유량이 증가하여 실린더 상실(2)의 압력이 떨어짐으로 인해 밸브(2)의 상하단부에 작용하는 압력이 변하게 된다.
또한, 실린더 상실(2)은 피스톤(5)이 왕복 운동할 때, 고압인 유로(Pr)와 저압인 유로(Ps)가 번갈아 연통되면서 압력이 수시로 바뀌게 됨으로 인해 밸브(1)의 상하단부에 걸리는 압력이 변하게 된다. 밸브(1)의 상하단부 압력이 변하게 되면, 밸브(1)의 상승, 하강 속도와 시간이 변하여 밸브(1)가 일정하게 규칙적으로 거동하지 않을 수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5,960,893호(1999. 10. 05. 등록)
본 발명의 과제는 작동유의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 및 유량 변화에도 밸브가 일정하게 규칙적으로 거동할 수 있는 유압 브레이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는 실린더와, 피스톤과, 치즐과, 백헤드와, 실린더 부쉬, 및 밸브를 포함한다. 실린더는 중심에 실린더 내경부가 형성되고, 실린더 상실과 실린더 저압실과 실린더 전환실과 실린더 하실이 하측 방향으로 차례로 형성되며, 실린더 상실에 하측 방향으로 밸브 저압실과 밸브 전환실이 차례로 형성된다. 실린더 상실과 실린더 하실을 연결한 상태로 작동유 인렛 포트에 연결되는 제1 유로와, 실린더 하실과 실린더 상실을 연결하는 제2 유로와, 실린더 전환실과 밸브 전환실을 연결하는 제3 유로와, 실린더 저압실과 밸브 저압실을 연결한 상태로 작동유 아웃렛 포트와 연결되는 제4 유로를 포함한다.
피스톤은 실린더 내경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치즐은 피스톤에 의해 타격되도록 실린더의 하측에 설치된다. 백헤드는 실린더의 상측에 배치되어 피스톤의 상단 부위를 삽입시키는 가스실을 구비한다. 실린더 부쉬는 실린더 내경부에 설치되어 피스톤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고 피스톤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밸브는 실린더 부쉬의 내측면과 실린더 내경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밸브는 상단면에 실린더 상실의 압력이 작용하는 밸브 상측부와, 하단면에 실린더 상실의 압력이 작용하는 밸브 하측부와, 밸브 상측부와 밸브 하측부 사이에서 밸브 상측부와 밸브 하측부보다 큰 외경으로 확장되어 제1 상측 밸브 수압면이 제1,2 유로와 연통되는 제1 밸브 확경부와, 제1 밸브 확경부와 밸브 하측부 사이에서 제1 밸브 확경부보다 큰 외경으로 확장되어 제2 상측 밸브 수압면이 제4 유로와 연통되고 제1 상측 밸브 수압면보다 넓은 면적의 하측 밸브 수압면에 밸브 전환실의 압력이 작용하는 제2 밸브 확경부를 포함한다.
추가 양상으로, 밸브 상측부의 상단면과 밸브 하측부의 하단면은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피스톤은 상하 방향 이동시 실린더 전환실과 실린더 저압실을 선택적으로 상호 연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유로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예의 밸브에 비해, 실린더 상실의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오로지 고압에 의해 밸브의 상하 운동이 가능하므로, 작동유의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 및 유량 변화에도 밸브가 일정하게 규칙적으로 거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은 실린더의 내경부와 실린더 부쉬의 내경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수용됨으로써, 밸브가 피스톤의 습동부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할 수 있으므로, 실린더의 길이를 단축시켜 제조원가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밸브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밸브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유압 브레이커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 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의 밸브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밸브 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밸브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밸브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는 실린더(100)와, 피스톤(200)과, 치즐(300)과, 백헤드(400)와, 실린더 부쉬(500), 및 밸브(600)를 포함한다.
실린더(100)는 중심에 실린더 내경부(110)가 형성된다. 실린더(110)는 실린더 내경부(110)에 피스톤(200)을 수용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실린더(100)는 실린더 상실(111)과 실린더 저압실(112)과 실린더 전환실(113)과 실린더 하실(114)이 하측 방향으로 차례로 형성된다. 실린더(100)는 실린더 상실(111)에 하측 방향으로 밸브 저압실(121)과 밸브 전환실(122)이 차례로 형성된다.
실린더(100)는 실린더 상실(111)과 실린더 하실(114)을 연결한 상태로 작동유 인렛 포트(135)에 연결되는 제1 유로(131)와, 실린더 하실(114)과 실린더 상실(111)을 연결하는 제2 유로(132)와, 실린더 전환실(113)과 밸브 전환실(122)을 연결하는 제3 유로(133)와, 실린더 저압실(112)과 밸브 저압실(121)을 연결한 상태로 작동유 아웃렛 포트(136)과 연결되는 제4 유로(134)를 포함한다.
실린더 상실(111)은 밸브(600)가 전환되지 않은 상태에서 밸브 오리피스(650)를 통해 제4 유로(134)와 연통되고, 밸브(600)가 전환되면 제1,2 유로(131, 132)의 분기 유로들(131a, 132a)과 연통된다. 작동유 인렛 포트(135)에는 유압 브레이커가 장착되는 장비의 유압 공급원이 연결된다.
작동유 인렛 포트(135)로 유입된 작동유는 제1,2 유로(131, 132)의 분기 유로들(131a, 132a)로 분기되었다가 제1,2 유로(131, 132)를 통해 실린더 하실(114)에 공급된다. 이로 인해, 실린더 하실(114)에는 항상 고압상태가 유지되어 피스톤(200)을 상승시키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피스톤(200)은 실린더 내경부(11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피스톤(200)은 상단부(210)와 하단부(220) 사이에 상단부(210)와 하단부(220)보다 큰 직경의 대경부(230)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피스톤(200)의 상단부(210)는 피스톤(200)의 하단부(22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피스톤(200)은 상단부(210)와 하단부(220)의 직경 차이에 의해 대경부(230)의 상면에 상단 피스톤 수압면(hydraulic pressure area, 231)이 형성되고, 대경부(230)의 하면에 하단 피스톤 수압면(232)이 형성된다. 여기서, 피스톤(200)의 상단부(210)가 피스톤(200)의 하단부(220)보다 직경이 작기 때문에, 상단 피스톤 수압면(231)이 하단 피스톤 수압면(232)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단 피스톤 수압면(231)과 하단 피스톤 수압면(232)에는 압력을 가하는 작동유가 공급되면, 그 작동유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크기 차이로 인해 피스톤(200)의 상승 및 하강 행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피스톤(200)은 상하 방향 이동시 실린더 전환실(113)과 실린더 저압실(112)을 선택적으로 상호 연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유로 홈(240)을 구비할 수 있다. 유로 홈(240)은 피스톤(200)이 하사점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실린더 전환실(113)과 실린더 저압실(112)을 상호 연통시키고, 피스톤(200)이 상사점으로 상승한 상태에서 실린더 전환실(113)과 실린더 저압실(112)을 상호 차단시킨다.
피스톤(200)에 유로 홈(240)을 형성하는 경우, 피스톤(200)에 2개 이상의 대경부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하나의 대경부(230)만 형성하여도 실린더 전환실(113)과 실린더 저압실(112)을 상호 연통시킬 수 있고, 피스톤(200)의 상승시 대경부(230) 길이를 길게 형성 가능하여 실린더 내경을 벗어나지 않아 실린더·피스톤의 스크래치에 유리하며, 동시에 구조적으로 강건한 구조의 피스톤(200)을 제작할 수 있다.
치즐(300)은 피스톤(200)에 의해 타격되도록 실린더(100)의 하측에 설치된다. 치즐(300)은 실린더(100)의 하측에 연결된 프런트 헤드(310)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프런트 헤드(310)는 상단 개구가 실린더(100)의 하단 개구와 통하게 연결된다. 치즐(300)은 프런트 헤드(310)의 하단 개구를 통해 일부 삽입되어, 피스톤(200)의 하강 운동에 의해 타격됨에 따라 피파쇄물을 파쇄한다.
백헤드(400)는 실린더(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피스톤(200)의 상단 부위를 삽입시키는 가스실(410)을 구비한다. 백헤드(400)는 실린더(100)의 상면에 조립되어 실린더 부쉬(500)의 상단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피스톤(200) 상단 부위에 가스실(410)을 형성한다. 가스실(410)은 내부에 압축 가스가 충전되어 피스톤(200) 상단면에 항상 하향력을 가하도록 한다. 이때, 가스실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은 피스톤(200)의 하단 피스톤 수압면(232)에 작용하는 상향력보다 작은 힘을 가할 정도로 설정된다.
실린더 부쉬(500)는 실린더 내경부(110)에 설치되어 피스톤(200)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고 피스톤(20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실린더 부쉬(500)는 상하로 관통된 중공을 가지며, 중공을 통해 피스톤(200)을 수용한다. 피스톤(200)은 실린더 내경부(110)와 실린더 부쉬(500)의 내경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됨으로써, 밸브(600)가 피스톤(200)의 습동부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할 수 있으므로, 실린더(100)의 길이를 단축시켜 제조원가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실린더 부쉬(500)는 내주면에 장착된 씰(520)에 의해 피스톤(200)의 외경부와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실린더 부쉬(500)는 밸브(6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밸브 오리피스(650)와 상호 연통되거나 차단되는 실린더 부쉬 오리피스(510)를 가질 수 있다. 실린더 부쉬 오리피스(510)는 제1,2 유로(131, 132)의 분기 유로들(131a, 132a)과 연통된다.
밸브(600)는 실린더 부쉬(500)의 내측면과 실린더 내경부(11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밸브(600)는 작동유 인렛 포트(135)를 통해 유입되는 작동유를 제어해서 피스톤(200)을 왕복 운동시킨다. 밸브(600)는 밸브 상측부(610)와, 밸브 하측부(620)와, 제1 밸브 확경부(630), 및 제2 밸브 확경부(640)를 포함한다. 밸브(600)는 밸브 상측부(610)와 밸브 하측부(620)와 제1 밸브 확경부(630) 및 제2 밸브 확경부(640)가 일체화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밸브 상측부(610)는 상단면(611)에 실린더 상실(111)의 압력이 작용한다. 밸브 상측부(610)는 중공을 갖고, 중공을 통해 피스톤(200)을 통과시킨다. 밸브 상측부(610)는 상하 방향으로 균일한 내경과 외경을 갖는다. 밸브 상측부(610)는 외경부가 실린더 부쉬(500)의 내경부에 맞닿아 지지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한다. 밸브 상측부(610)는 상사점으로 상승한 상태에서 실린더 부쉬(500)의 내경부 턱에 맞닿아 정지한다.
밸브 하측부(620)는 하단면(621)에 실린더 상실(111)의 압력이 작용한다. 밸브 하측부(620)는 중공을 갖고 중공을 통해 피스톤(200)을 통과시킨다. 밸브 하측부(620)는 상하 방향으로 균일한 내경과 외경을 갖는다. 밸브 하측부(620)는 밸브 상측부(610)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밸브 하측부(620)는 외경부가 실린더 내경부(110)에 맞닿아 지지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한다. 밸브 하측부(620)는 하사점으로 상승한 상태에서 실린더 내경부(110) 턱에 맞닿아 정지한다.
제1 밸브 확경부(630)는 밸브 상측부(610)와 밸브 하측부(620) 사이에서 밸브 상측부(610)와 밸브 하측부(620)보다 큰 외경으로 확장 형성된다. 제1 밸브 확경부(630)는 중공을 갖고 중공을 통해 피스톤(200)을 통과시킨다. 제1 밸브 확경부(630)는 상하 방향으로 균일한 내경과 외경을 갖는다. 제1 밸브 확경부(630)는 밸브 상측부(610)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제1 밸브 확경부(630)는 제1 상측 밸브 수압면(631)이 제1,2 유로(131, 132)의 분기 유로들(131a, 132a)과 연통된다. 따라서, 제1 상측 밸브 수압면(631)에는 상시 고압이 작용한다. 제1 밸브 확경부(630)는 밸브 오리피스(650)를 갖는다. 밸브 오리피스(650)는 밸브(600)의 하사점 이동시 제1,2 유로(131, 132)의 분기 유로들(131a, 132a)과 차단되고, 밸브(600)의 상사점 이동시 제1,2 유로(131, 132)의 분기 유로들(131a, 132a)과 연통된다.
제2 밸브 확경부(640)는 제1 밸브 확경부(630)와 밸브 하측부(620) 사이에서 제1 밸브 확경부(630)보다 큰 외경으로 확장 형성된다. 제2 밸브 확경부(640)는 중공을 갖고 중공을 통해 피스톤(200)을 통과시킨다. 제2 밸브 확경부(640)는 상하 방향으로 균일한 내경과 외경을 갖는다. 제2 밸브 확경부(640)는 밸브 하측부(620)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제2 밸브 확경부(640)는 제2 상측 밸브 수압면(641)이 제4 유로(134)와 연통되고, 하측 밸브 수압면(642)이 제3 유로(133)와 연통되며, 하측 밸브 수압면(642)은 제3 유로(133)를 통해 밸브 전환실(122)와 연통된다. 따라서, 제1 상측 밸브 수압면(631)보다 넓은 면적의 하측 밸브 수압면(642)에 밸브 전환실(122)의 압력이 작용한다. 이때, 제2 상측 밸브 수압면(641)은 상시 저압인 제4 유로(134)와 연통되어 밸브(600) 거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밸브 전환실(122)의 압력이 작용하는 하측 밸브 수압면(642)에는 고압과 저압이 선택적으로 작용한다. 하측 밸브 수압면(642)은 제1 상측 밸브 수압면(631)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므로, 밸브 전환실(122)의 압력에 의해 밸브(600)의 상승 또는 하강 행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즉, 밸브 전환실(122)에 작동유가 공급되지 않으면, 밸브(600)는 제1,2 유로(131, 132)의 분기 유로들(131a, 132a)을 통해 제1 상측 밸브 수압면(631)에 상시 고압이 작용하여 하강상태를 유지한다. 피스톤(200)이 상승하여 제3 유로(133)를 통해 작동유가 밸브 전환실(122)로 공급되면, 하측 밸브 수압면(642)이 제1 상측 밸브 수압면(631)보다 넓기 때문에 밸브(600)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밸브(600)는 밸브 상측부(610)의 상단면(611)과 밸브 하측부(620)의 하단면(621)은 실린더 상실(111)의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수준의 면적 차이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밸브 상측부(610)의 상단면(611)과 밸브 하측부(620)의 하단면(621)은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린더 상실(11)의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오로지 고압에 의해 밸브(600)의 상하 운동이 가능하므로, 작동유의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 및 유량 변화에도 밸브(600)가 일정하게 규칙적으로 거동할 수 있다.
전술한 유압 브레이커의 작용에 대해,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압 브레이커의 작동 초기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00)은 하강 상태에 있고, 밸브 전환실(122)은 제3 유로(133)를 통해 실린더 전환실(113)과 연결되어 있다. 실린더 전환실(113)은 피스톤(200)의 대경부(230)의 유로 홈(240)에 의해 실린더 저압실(112)과 연결되며, 실린더 저압실(112)은 제4 유로(134)를 통해 밸브 저압실(121)과 연결되며, 제4 유로(134)는 작동유 아웃렛 포트(136)로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 밸브 전환실(122)의 수압면에는 비교적 아주 적은 힘만 작용하고, 밸브(600)의 제1 상측 밸브 수압면(631)에 상시 고압이 작용하여 밸브(600)는 하향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하강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밸브(600)가 하강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실린더 상실(111)은 밸브 오리피스(650)를 통해 제4 유로(134)와 연통되어 작동유 아웃렛 포트(136)와 연결되어 저압상태가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유압 브레이커를 작동시키면, 실린더 하실(114)에 제1 유로(131)를 통해 고압의 작동유가 유입되어 실린더 하실(114)의 압력이 상승하며, 이에 따라 피스톤(200)의 하단 피스톤 수압면(232)에 작용하는 상향력이 커져 피스톤(200)이 상승하게 되며, 이때 백헤드(400)의 가스가 압축되어 가스실(410) 내의 압력이 상승한다.
이후, 피스톤(200)이 상승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00)의 하단 피스톤 수압면(232)이 실린더 전환실(113)을 지나게 되면 실린더 하실(114)과 실린더 전환실(113)이 연통된다. 실린더 전환실(113)은 제3 유로(133)를 통해 밸브 전환실(122)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밸브 전환실(122)에는 실린더 하실(114)과 같은 고압이 형성된다. 따라서, 밸브(600)의 제1 상측 밸브 수압면(631)보다 하측 밸브 수압면(642)이 더 넓기 때문에, 제1 상측 밸브 수압면(631)에 작용하는 하향력보다 하측 밸브 수압면(642)에 작용하는 상향력이 더 크게 작용하여 밸브(600)가 상승하게 된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600)가 상승하였을 때, 실린더 상실(111)은 밸브 오리피스(650)를 통해 제4 유로(134)와 연결이 끊기고, 제1,2 유로(131, 132)의 분기 유로들(131a, 132a)과 연통되어 제1 유로(131)와 연결된 실린더 하실(114)과 같은 고압이 형성된다. 이때, 피스톤(200)의 상단 피스톤 수압면(231)이 하단 피스톤 수압면(232)보다 큰 관계에 의해 피스톤(200)에는 하향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피스톤(200)은 상승 행정을 멈추고 하강 행정을 시작한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600)가 전환된 후, 피스톤(200)은 하강 행정을 계속하여 치즐(300)을 타격하게 되는데, 피스톤(200)이 치즐(300)과 만나는 타격점까지 이동하면 피스톤(200)의 유로 홈(240)이 실린더 저압실(112)과 실린더 전환실(113)을 차례로 지나게 된다.
이때, 밸브 전환실(122)은 제3 유로(133)를 통해 실린더 전환실(113)과 연결되고 실린더 전환실(113)과 실린더 저압실(112)이 연통된다. 따라서, 밸브 전환실(122)의 작동유가 제3 유로(133)를 통하여 실린더 전환실(113)과 실린더 저압실(112)을 거쳐 작동유 아웃렛 포트(136)로 배출되므로, 밸브 전환실(122)은 고압에서 저압 상태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밸브(600)는 상향력보다 하향력이 더 크게 작용함에 따라 복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 5에 도시된 초기 상태로 복귀하고, 다시 피스톤(200)이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 원리에 의해, 유압 브레이커는 상승 및 하강 행정을 반복하며 운동 에너지를 피파쇄물에 전달하여 피파쇄물을 파쇄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실린더 111..실린더 상실
112..실린더 저압실 113..실린더 전환실
114..실린더 하실 121..밸브 저압실
122..밸브 전환실 131..제1 유로
132..제2 유로 133..제3 유로
134..제4 유로 135..작동유 인렛 포트
136..작동유 아웃렛 포트 200..피스톤
231..상단 피스톤 수압면 232..하단 피스톤 수압면
300..치즐 400..백헤드
500..실린더 부쉬 600..밸브
610..밸브 상측부 620..밸브 하측부
630..제1 밸브 확경부 631..제1 상측 밸브 수압면
640..제2 밸브 확경부 641..제2 상측 밸브 수압면
642..하측 밸브 수압면 650..밸브 오리피스

Claims (3)

  1. 중심에 실린더 내경부가 형성되고, 실린더 상실과 실린더 저압실과 실린더 전환실과 실린더 하실이 하측 방향으로 차례로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상실에 하측 방향으로 밸브 저압실과 밸브 전환실이 차례로 형성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경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의해 타격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하측에 설치되는 치즐;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의 상단 부위를 삽입시키는 가스실을 구비하는 백헤드;
    상기 실린더 내경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고 상기 피스톤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실린더 부쉬; 및
    상기 실린더 부쉬의 내측면과 실린더 내경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는,
    상기 실린더 상실과 실린더 하실을 연결한 상태로 작동유 인렛 포트에 연결되는 제1 유로와, 상기 실린더 하실과 실린더 상실을 연결하는 제2 유로와, 상기 실린더 전환실과 밸브 전환실을 연결하는 제3 유로와, 상기 실린더 저압실과 밸브 저압실을 연결한 상태로 작동유 아웃렛 포트와 연결되는 제4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상단면에 상기 실린더 상실의 압력이 작용하는 밸브 상측부와, 하단면에 상기 실린더 상실의 압력이 작용하는 밸브 하측부와, 상기 밸브 상측부와 밸브 하측부 사이에서 상기 밸브 상측부와 밸브 하측부보다 큰 외경으로 확장되어 제1 상측 밸브 수압면이 상기 제1,2 유로와 연통되는 제1 밸브 확경부와, 상기 제1 밸브 확경부와 밸브 하측부 사이에서 상기 제1 밸브 확경부보다 큰 외경으로 확장되어 제2 상측 밸브 수압면이 상기 제4 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1 상측 밸브 수압면보다 넓은 면적의 하측 밸브 수압면에 상기 밸브 전환실의 압력이 작용하는 제2 밸브 확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상측부의 상단면과 상기 밸브 하측부의 하단면은 동일한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하 방향 이동시 상기 실린더 전환실과 실린더 저압실을 선택적으로 상호 연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유로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커.
KR1020200002356A 2020-01-08 2020-01-08 유압 브레이커 KR102317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356A KR102317232B1 (ko) 2020-01-08 2020-01-08 유압 브레이커
CN202080091855.3A CN114929971B (zh) 2020-01-08 2020-12-16 液压破碎机
EP20911752.2A EP4056764A4 (en) 2020-01-08 2020-12-16 HYDRAULIC CUT-OFF SWITCH
US17/783,459 US20230018715A1 (en) 2020-01-08 2020-12-16 Hydraulic breaker
PCT/KR2020/018422 WO2021141268A1 (ko) 2020-01-08 2020-12-16 유압 브레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356A KR102317232B1 (ko) 2020-01-08 2020-01-08 유압 브레이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329A true KR20210089329A (ko) 2021-07-16
KR102317232B1 KR102317232B1 (ko) 2021-10-22

Family

ID=76788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356A KR102317232B1 (ko) 2020-01-08 2020-01-08 유압 브레이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18715A1 (ko)
EP (1) EP4056764A4 (ko)
KR (1) KR102317232B1 (ko)
CN (1) CN114929971B (ko)
WO (1) WO2021141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583A1 (en) * 2022-05-09 2023-11-16 Inan Makin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Demolition attachment with articulated duc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955A (ko) * 2000-07-13 2003-04-23 몬타베르트 에스.에이. 유압식 충격 장치
KR100999867B1 (ko) * 2008-10-07 2010-12-09 주식회사 에버다임 유압브레이커
KR20140142436A (ko) * 2013-06-04 2014-12-12 주식회사 에버다임 유압브레이커
KR20140006394U (ko) * 2013-06-14 2014-12-24 이일재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
KR20150055592A (ko) * 2013-11-13 2015-05-21 산드빅 마이닝 앤드 컨스트럭션 오와이 임팩트 기기 및 이를 분리하는 방법
JP5960893B2 (ja) 2015-07-22 2016-08-02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光学センサ
KR101709673B1 (ko) * 2016-12-13 2017-03-09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2단 오토스트로크 유압 브레이커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8335C (de) * 1924-01-11 Ernst Rehfeld Pressluftwerkzeug mit einem den Auspuff sowohl fuer den Arbeitshub als auch fuer denRueckhub steuernden, mit vier Steuerflaechen versehenen Ventil
US3971448A (en) * 1973-09-04 1976-07-27 The Stanley Works Breaker construction and valve therefor
US3945442A (en) * 1974-10-07 1976-03-23 Chicago Pneumatic Tool Company Hydraulic rock drill with stroke responsive advance
USRE30109E (en) * 1974-11-11 1979-10-09 Hydroacoustics Inc. Hydroacoustic apparatus and valving mechanisms for use therein
FI751895A (ko) * 1975-06-26 1976-12-27 Xandor Ag
BE850812R (fr) * 1976-06-24 1977-05-16 Ingersoll Rand Co Dispositifs d'actionnement hydrauliques
ZA771338B (en) * 1977-03-04 1978-06-28 Steel Eng Co Ltd Hydraulic percussive machines
CH638587A5 (de) * 1979-02-12 1983-09-30 Uster Spindel Motoren Maschf Schlagbohrhammer.
FI60151C (fi) * 1979-06-26 1981-12-10 Tampella Oy Ab Hydraulisk slaganordning
DE3443542A1 (de) * 1984-11-29 1986-06-05 Fried. Krupp Gmbh, 4300 Essen Hydraulische schlagvorrichtung
FR2618092B1 (fr) * 1987-07-17 1989-11-10 Montabert Ets Distributeur hydraulique pour appareil a percussions mu par un fluide incompressible sous pression
EP0335994B2 (en) * 1988-04-06 1996-06-26 Nippon Pneumatic Manufacturing Co. Ltd. Hydraulic impact tool
JPH0236080A (ja) * 1988-07-26 1990-02-06 Nippon Pneumatic Mfg Co Ltd 衝撃動装置
US5022309A (en) * 1989-08-17 1991-06-11 Ingersoll-Rand Company Variable frequency control for percussion actuator
JPH03208215A (ja) * 1990-01-10 1991-09-11 Izumi Seiki Seisakusho:Kk 油圧式ブレーカー
DE4027021A1 (de) * 1990-08-27 1992-03-05 Krupp Maschinentechnik Hydraulisch betriebene schlagdrehbohrvorrichtung, insbesondere zum ankerlochbohren
DE4028595A1 (de) * 1990-09-08 1992-03-12 Krupp Maschinentechnik Hydraulisch betriebenes schlagwerk
FR2676953B1 (fr) * 1991-05-30 1993-08-20 Montabert Ets Appareil hydraulique a percussions.
US5408768A (en) * 1994-03-18 1995-04-25 Karani; Ron R. Impact hammer cylinder
DE19652079C2 (de) 1996-12-14 1999-02-25 Krupp Berco Bautechnik Gmbh Fluidbetriebenes Schlagwerk
JP2000170707A (ja) * 1998-12-02 2000-06-20 Hitachi Constr Mach Co Ltd 方向切換弁装置
US6557647B2 (en) * 2000-05-30 2003-05-06 American Piledriving Equipment, Inc. Impact hammer systems and methods
SE522213C2 (sv) * 2000-05-31 2004-01-20 Morphic Technologies Ab Hydrauliskt slag/anpressningsanordning
JP4064868B2 (ja) * 2003-05-27 2008-03-19 丸善工業株式会社 油圧ブレーカ
FR2902684B1 (fr) * 2006-06-27 2010-02-26 Montabert Roger Procede de commutation de la course de frappe d'un appareil a percussions mu par un fluide incompressible sous pression, et appareil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SE530885C2 (sv) * 2007-02-23 2008-10-07 Atlas Copco Rock Drills Ab Förfarande vid slagverk, slagverk och bergborrmaskin
SK932007A3 (sk) * 2007-07-09 2009-02-05 Konek, S. R. O. Hydraulické rozrušovacie kladivo
US8733468B2 (en) * 2010-12-02 2014-05-27 Caterpillar Inc. Sleeve/liner assembly and hydraulic hammer using same
SE536289C2 (sv) * 2011-04-05 2013-08-06 Atlas Copco Rock Drills Ab Hydrauliska slagverk för berg- eller betongavverkande utrustning samt borr- och brytutrustning
SE535757C2 (sv) * 2011-04-05 2012-12-11 Atlas Copco Rock Drills Ab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berg- och betongbearbetning
FI123187B (fi) * 2011-06-07 2012-12-14 Sandvik Mining & Constr Oy Kallionrikkomislaitteen iskulaite, menetelmä iskulaitteen ohjaamiseksi
FI124922B (fi) * 2012-01-18 2015-03-31 Yrjö Raunisto Iskulaite
SE536758C2 (sv) * 2012-11-28 2014-07-15 Atlas Copco Rock Drills Ab Slagverk till en hydraulisk bergborrmaskin, förfarande för drift av ett slagverk och hydraulisk bergborrmaskin inkluderande ett slagverk
US9555531B2 (en) * 2013-03-15 2017-01-31 Caterpillar Inc. Hydraulic hammer having co-axial accumulator and piston
US9151386B2 (en) * 2013-03-15 2015-10-06 Caterpillar Inc. Accumulator membrane for a hydraulic hammer
EP2865493A1 (en) * 2013-10-23 2015-04-29 Sandvik Mining and Construction Oy Percussion device
EP2987945B1 (en) * 2014-08-19 2018-01-31 Doofor Oy Hydraulic striking device
EP2987946B1 (en) * 2014-08-19 2018-02-14 Doofor Oy Valve of a hydraulic striking device
CH711414A1 (de) * 2015-08-13 2017-02-15 Hatebur Umformmaschinen Ag Vorrichtung zur Erzeugung impulsdynamischer Prozesskräfte.
KR101780154B1 (ko) * 2016-07-27 2017-09-20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식 타격 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 장비
US20180133882A1 (en) * 2016-11-16 2018-05-17 Caterpillar Inc. Hydraulic hammer and sleeve therefor
KR102103906B1 (ko) * 2018-05-18 2020-05-29 주식회사수산중공업 윤활유 자동공급구조가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955A (ko) * 2000-07-13 2003-04-23 몬타베르트 에스.에이. 유압식 충격 장치
KR100999867B1 (ko) * 2008-10-07 2010-12-09 주식회사 에버다임 유압브레이커
KR20140142436A (ko) * 2013-06-04 2014-12-12 주식회사 에버다임 유압브레이커
KR20140006394U (ko) * 2013-06-14 2014-12-24 이일재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
KR20150055592A (ko) * 2013-11-13 2015-05-21 산드빅 마이닝 앤드 컨스트럭션 오와이 임팩트 기기 및 이를 분리하는 방법
JP5960893B2 (ja) 2015-07-22 2016-08-02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光学センサ
KR101709673B1 (ko) * 2016-12-13 2017-03-09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2단 오토스트로크 유압 브레이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929971B (zh) 2023-03-14
EP4056764A1 (en) 2022-09-14
WO2021141268A1 (ko) 2021-07-15
CN114929971A (zh) 2022-08-19
US20230018715A1 (en) 2023-01-19
KR102317232B1 (ko) 2021-10-22
EP4056764A4 (en) 202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987B1 (ko) 자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KR100999867B1 (ko) 유압브레이커
JPH07100307B2 (ja) 気圧と液圧とを用いる打撃機構
KR100901145B1 (ko) 유압 브레이커
KR102317232B1 (ko) 유압 브레이커
KR101709673B1 (ko) 2단 오토스트로크 유압 브레이커
KR20090041823A (ko) 유압브레이커의 자동타격조정장치
KR20120130947A (ko) 유압 브레이커의 저소음진동 구조
KR200253891Y1 (ko) 공유압식 브레이커
US9840000B2 (en) Hydraulic hammer having variable stroke control
KR101490597B1 (ko) 유압브레이커
KR101778256B1 (ko) 유압 브레이커용 안전밸브
KR100524671B1 (ko) 브레이커
KR101712553B1 (ko) 유압 브레이커
KR0178906B1 (ko) 유압브레이커용 유압제어밸브장치
KR100569198B1 (ko) 유압타격장치
KR101058181B1 (ko) 브레이커용 밸브 시스템
JPH09131671A (ja) 油圧ブレーカ
KR20080078154A (ko) 브레이커 밸브 장치
CN110439455B (zh) 一种凿岩设备的工作装置
JP2003071744A (ja) 衝撃動工具
KR920000043B1 (ko) 유압식 충격 공구
KR100569195B1 (ko) 유압타격장치
KR20160103267A (ko) 브레이커용 컨트롤 밸브
KR101595247B1 (ko) 유압 브레이커의 작동유 공급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