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023A - 의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023A
KR20210089023A KR1020200002227A KR20200002227A KR20210089023A KR 20210089023 A KR20210089023 A KR 20210089023A KR 1020200002227 A KR1020200002227 A KR 1020200002227A KR 20200002227 A KR20200002227 A KR 20200002227A KR 20210089023 A KR20210089023 A KR 20210089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outlet
flow path
washing wat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석현
정도현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2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9023A/ko
Priority to CN202080090275.2A priority patent/CN114867901B/zh
Priority to EP20912394.2A priority patent/EP4083301A4/en
Priority to PCT/KR2020/015196 priority patent/WO2021141222A1/ko
Priority to US17/143,763 priority patent/US11939716B2/en
Priority to AU2021200076A priority patent/AU2021200076B2/en
Publication of KR20210089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8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disinfecting the tub or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4293Details of fluid inlet or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이 내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측에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드럼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 상기 터브의 하방에 배치되고, 세척수가 모이는 집수통, 상기 집수통의 세척수를 상기 분사 노즐에 공급하는 세척 라인, 상기 집수통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라인 및 상기 집수통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기 세척 라인 또는 상기 배수 라인에 선택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유로 변환 펌프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로 두개 이상의 수류를 형성하는 유로 변환 펌프를 활용하여 세척수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의류 처리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처리 장치는 오염된 세탁물의 세탁뿐만 아니라, 세탁이 완료되어 탈수 과정이 종료된 상태의 세탁물에 열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켜서 세탁물을 건조하는 기기이다. 다시 말해 의류 처리 장치는 세탁기와 건조기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의류 처리 장치의 드럼은 지속적인 사용에 따라 오염이 될 수 있다. 예를들어 세탁물의 세척 또는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누적되어 드럼이 오염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물의 세척과정에서는 세척된 오염물질의 일부가 드럼에 누적될 수도 있고, 세탁물의 건조과정에서 발생한 먼지가 누적되어 드럼을 오염시킬 수 있다.
드럼의 내부의 경우는 개방되어 있고 수시로 세탁물의 세척 및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오염물이 축적되는 경우가 적다. 다만, 드럼의 외주면은 터브에 의해 폐쇄되어 있어 접근성이 낮아 오염물이 축적될 수 있다. 이러한 오염물의 적절한 제거는 세탁물에서 발생하는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고 세균 등의 증식을 예방할 수 있어, 드럼의 외주면의 청결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탁수를 활용하여 드럼의 외주면에 분사함으로써 드럼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펌프 자체에서 복수개의 유로에 수류를 공급할 수 있는 유로 변환 펌프를 제공하여 세척수를 배수할 뿐만 아니라, 드럼 세척수로 재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척수의 유로 변경에 있어 유동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부품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조립이 용이한 유로 변환 펌프가 내장된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이 이탈되어 유로에 누수가 발생하거나, 다른 유로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로 변환 펌프가 내장된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이 내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측에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드럼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 상기 터브의 하방에 배치되고, 세척수가 모이는 집수통, 상기 집수통의 세척수를 상기 분사 노즐에 공급하는 세척 라인, 상기 집수통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라인 및 상기 집수통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기 세척 라인 또는 상기 배수 라인에 선택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유로 변환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로 변환 펌프는, 집수통으로부터 공급받은 세척수를 수용하고, 내부에 임펠러를 내장하며, 상기 임펠러가 회전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임펠러 회전의 접선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하우징 유출구 및 제2하우징 유출구를 포함하는 임펠러 하우징,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하우징 유출구 및 상기 제2하우징 유출구와 각각 연통되는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유입구와 각각 연통되는 제1유출구 및 제2유출구를 포함하는 유로 절환기, 상기 유로 절환기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유입구를 구분하고,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제2유출구를 구분하도록 배치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임펠러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출구는 상기 세척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2유출구는 상기 배수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로 절환기는 제1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수직인 제2방향에 대해서 폭이 점점 좁아지다가 중앙부에서 다시 넓어지는 절구형태이고,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수직인 제3방향에서 바라볼 때에는 원형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유로 절환기의 중앙부의 내측면에 내부공간을 향해 띠를 이루며 돌출된 실링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로 절환기는 상기 다이어프램을 중심으로 2개의 부품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 절환기의 조립시, 상기 다이어프램의 외곽부가 2개의 부품사이에 중첩되어 끼워진 상태에서 조립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로 절환기와 상기 다이어프램의 외곽부가 중첩된부분은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이어프램은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원형 플레이트의 중심부가 완만한 곡률을 형성하며 돌출된 형태이며, 외력에 의하여 돌출된 방향이 180° 전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이어프램은 최외곽에서 중심부로 돌출되는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한번은 곡률이 변경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이어프램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되, 최외곽에는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제1하우징 유출구,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1유출구 또는 상기 제2하우징 유출구, 상기 제2유입구 및 상기 제2유출구를 폐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이어프램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되, 최외곽에 인접하여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모터가 상기 임펠러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제1하우징 유출구, 제1유입구 및 제1유출구로 이어지는 수류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이 제2하우징 유출구, 제2유입구 및 제2유출구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모터가 상기 임펠러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제2하우징 유출구, 제2유입구 및 제2유출구로 이어지는 수류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이 제1하우징 유출구 제1유입구 및 제1유출구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분사 노즐 및 상기 드럼의 후면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드럼의 외주면에 직접적으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드럼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유로 변환 펌프의 모터 회전방향 변환만으로 유로의 변경이 가능한 간단한 구조를 제시하여 세척수의 재활용 및 세척수의 배출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변경되는 유로의 각도를 둔각이 되도록 형성하여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세척수의 유동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다이어프램과 유로 절환기의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과 동시에 유로 절환기의 밀폐가 수행되어 구조가 간단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특정 형상으로 기성형된 다이어프램을 사용하여, 지속적인 탄성 변형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류 처리 장치의 외관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드럼 세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 적용된 유로 변환 펌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 적용된 유로 변환 펌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도 4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 적용된 유로 절환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 적용된 유로 변환 펌프의 다이어프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류 처리 장치(100)의 외관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는 본체(101), 드럼(110, 도 2참조), 터브(120, 도 2 참조) 및 도어(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1)는 의류 처리 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드럼(110) 및 터브(120)를 포함하며, 드럼(110)의 회전을 위한 구동모터를 비롯하여 다양한 부품을 내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110)은, 본체(10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다. 드럼(110)은 전방과 후방에서 서포터(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120)는 내부에 드럼(110)을 포함하고, 드럼(110)과 본체(101)의 내부공간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세탁 과정에서 드럼(110) 내부에 유입되는 세탁수가 본체(101)의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드럼(110)의 세척과정에서 드럼(110)의 외주면에 분사된 세척수가 본체(101)의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102)는 본체(101)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드럼(110)의 전방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102)는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외에도 본체(101)의 내부에는 드럼(110)을 지지하고 진동을 억제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미도시)와 댐퍼(미도시), 드럼(11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드럼(110)의 하측에는 드럼(110)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하거나, 드럼(110)의 물을 인출하여 드럼(110)의 상부 영역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순환시키거나, 드럼(110)의 외주면의 세척을 위해 분사 노즐(130)로 순환시키는 유로 변환 펌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의 하부에는 지면과 일정 높이만큼 이격시켜 지지하는 다수개의 레그(103)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의류 처리 장치(100)의 드럼(110) 세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는 분사 노즐(130), 집수통(140), 세척 라인(150), 배수 라인(160) 및 유로 변환 펌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가 세탁기로서 동작하는 경우, 드럼(110) 내에 투입된 세탁물에 세탁수 및 세제를 투입 후 드럼(110)을 회전시켜 세탁물을 세척할 수 있다. 드럼(110)의 회전에 따라 세탁물은 세탁물끼리의 마찰 또는 세탁수와의 마찰에 의해 오염물질이 제거되며 세탁이 될 수 있다. 드럼(110)의 회전은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보다 효과적인 오염물 제거를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가 건조기로서 동작하는 경우, 드럼(110) 내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에 고온 건조한 열풍을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건조 대상물의 습기를 제거하는 방식이다. 고온 건조한 열풍은 히트펌프 사이클을 활용할 수도 있고, 전기를 활용한 히터를 통해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류 처리 장치(100)가 세탁기로서 동작하는 경우, 세탁물에서 제거된 오염물질은 세탁수와 함께 배출될 수 있다. 다만, 반복되는 세탁과정에서 일부의 오염물질은 배출되지 못하고 드럼(110) 및 터브(120) 사이에 남아 축적될 수 있다. 특히 드럼(110)의 하방을 통해 세탁수 및 오염물질이 함께 배출되는 특성상 세탁수의 상면에 부유하는 오염물질이 드럼(110)의 외면에 달라붙어 축적될 수 있다.
또한, 의류 처리 장치(100)가 건조기로서 동작하는 경우, 세탁물이 건조되면서 의류에서 발생하는 먼지가 열풍의 순환과정에서 드럼(110) 및 터브(120) 사이에 남아 축적될 수 있다. 터브(120)에 축적된 먼지는 세탁수의 배출과정에서 다소 세척되어 제거될 수 있다고 하더라고, 드럼(110)의 외면에 축적된 오염물질의 제거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는 드럼(110) 및 터브(120) 사이의 공간에 분사 노즐(130)을 배치하여 고압의 세척수를 드럼(110)의 외면 또는 터브(120)의 내면에 분사하여 축적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는 분사 노즐(130)이 드럼(110)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배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반대로 터브(120)의 내주면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드럼(110)의 외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을 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130)은 제1분사 노즐(131) 및 제2분사 노즐(13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분사 노즐(131)은 드럼(110)의 외주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배치되고, 제2분사 노즐(133)은 드럼(110)의 후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130)은 유로 변환 펌프(20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드럼(110)의 외면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유로 변환 펌프(200)의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세척수의 분사 압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라인(150)은 집수통(140)과 분사 노즐(130)을 연결할 수 있고, 배수 라인(160)은 집수통(140)과 배수구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110)의 외면에 분사된 세척수는 터브(120) 하방의 집수통(140)에 집수될 수 있다. 집수된 세척수는 집수통(140)에 내장된 센서(141)를 통해 일정 수준 이상 집수되면 후술할 유로 변환 펌프(2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분사 노즐(13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변환 펌프(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변환 펌프(200)는 집수통(140)과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받아, 세척 라인(150) 또는 배수 라인(160)에 공급할 수 있다.
앞서 도 2에서는 유로 변환 펌프를 배수 라인(160) 또는 세척 라인(150)에 선택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수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세탁수를 드럼(110)으로 순환시키는 순환 라인(미도시)과 세척 라인(150)을 유로 변환 펌프(200)로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세탁수 또는 세척수가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배수 라인(160)과 세척 라인(150)에 선택적으로 물이 공급되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200)를 설명함에 있어 세탁수는 세탁기로서 동작시 세탁물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활용되는 물을 의미할 수 있고, 세척수는 세탁수 또는 외부에서 직접 공급된 물 등이 분사 노즐(130)로 공급되는 물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세탁수가 세척수로 활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절대적으로 구분되는 개념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유로 변환 펌프(200)는 의류 처리 장치(100)에 배치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구체적 외형은 설계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 적용된 유로 변환 펌프(200)의 사시도이고, 도 5은 도 4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유로 변환 펌프(200)는 도 3에 도시된 유로 변환 펌프(200)의 일부분(예: 배수 라인(160)과 세척 라인(150)에 선택적으로 물이 공급되는 경우)을 도시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변환 펌프(200)는 임펠러 하우징(220), 유로 절환기(230), 다이어프램(240) 및 모터(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 하우징(220)에는 집수통(140)에 집수된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다. 임펠러 하우징(220)에는 모터(250)와 연결되어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임펠러(225)가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펠러(225)는 모터(2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임펠러(225)의 회전 방향에 따라, 유로 변환 펌프(200) 내에서 세척수의 흐름은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모터(250)의 회전방향 및 속도를 제어하여, 고압으로 세척수의 분사가 필요한 경우 고속으로 동작 시킬 수 있고, 상대적으로 저압의 세척수의 분사가 필요한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로 작동시켜 불필요한 소음의 발생과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 라인(150)을 통해 분사 노즐(13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경우 고속으로 동작 시켜 분사 노즐(130)의 분사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배수 라인(160)을 통해 세척수를 배출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로 동작시켜 소음의 발생과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 하우징(220)은 제1하우징 유출구(221) 및 제2하우징 유출구(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 유출구(221) 및 제2하우징 유출구(223)는 임펠러(225)의 회전방향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펠러(22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접선방향에 대해 제1하우징 유출구(221)가 나란하게 형성된다면, 임펠러(22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접선방향에 대해 제2하우징 유출구(223)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 유출구(221) 및 제2하우징 유출구(223)가 임펠러(225)의 회전방향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임펠러(225)에 의해 발생된 세척수의 유동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절환기(230)는 제1유입구(231), 제2유입구(233), 제1출구(235) 및 제2유출구(237)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유입구(231)는 제1하우징 유출구(221)와 연통되도록 결합할 수 있고, 제2유입구(233)는 제2하우징 유출구(223)와 연통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제1유입구(231) 및 제2유입구(233)는 제1하우징 유출구(221) 및 제2하우징 유출구(223)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임펠러(225)에 의해 발생된 수류의 유동 손실을 최소화하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제1유입구(231)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는 내부공간(239)을 거쳐 제1출구(235)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하우징 유출구(221), 제1유입구(231) 및 제1출구(235)로 이어지는 유로를 제1유로라 정의할 수 있다. 아울러 제2유입구(233)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는 내부공간(239)을 거쳐 제2유출구(237)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하우징 유출구(223), 제2유입구(233) 및 제2유출구(237)로 이어지는 유로를 제2유로라 정의할 수 있다. 유로 절환기(230)의 내부공간(239)은 후술할 다이어프램(240)에 의해 구분되어 제1유입구(231)로 유입된 세척수와 제2유입구(233)로 유입된 세척수가 섞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다이어프램(240)은 제1유입구(231)를 개방하는 경우 제2유입구(233)는 차단하고, 제2유입구(233)를 개방하는 경우 제1유입구(231)는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다이어프램(240)은 제1유로 또는 제2유로 중 어느 일측만 개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임펠러(225)의 회전방향에 따라 두가지 유로에 각각 다른 수류를 발생시켜 세척수를 공급함으로써 하나의 모터(250)로 두개의 펌프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출구(235)를 세척 라인(170, 도 2 참조)과 연결시키면 분사 노즐(150, 도 2 참조)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고, 제2유출구(237)를 배수 라인(180, 도 2 참조)과 연결시키면 세척수를 의류 처리 장치(100, 도 2 참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변환 펌프(200)를 설명함에 있어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방향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방향이란, 모터(250) 및 제1하우징 유출구(221) 및 제2하우징 유출구(223)를 동시에 바라보는 방향으로써 도 4의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좌측하단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2방향이란 제1방향과 수직이고, 도 4의 도시 상태를 기준으로 상방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3방향이란,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서 도 4의 도시 상태를 기준으로 우측 하단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향 정의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어느 하나의 방향 기준이 변경되면 이에 대응하여 나머지 방향 기준도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절환기(230)는 제1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2방향으로 연장되며 폭이 점점 좁아지다가 중앙부(238)에서 다시 넓어지는 절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로 절환기(230)는 내장된 다이어프램(240)에 의하여 어느 일측 유로를 개방하면 타측 유로를 폐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유로 절환기(230)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면, 어느 일측 유로를 개방하여 타측 유로를 폐쇄할 때, 일측 유로가 넓어지게 된다. 이 경우 갑작스런 유로의 확장에 의해 세척수의 유동 손실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다이어프램(240)을 가압하는 힘이 줄어들어 타측 유로를 폐쇄하는 힘이 부족해지고 타측 유로로 세척수가 역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로 절환기(230)의 중앙부(238)의 폭을 줄여 다이어프램(240)이 어느 일측 유로를 개방하고 타측 유로를 폐쇄하더라도 세척수의 유동 압력이 갑자기 낮아지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다이어프램(240)의 타측 유로 폐쇄를 위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절환기(230)의 중앙부(238)의 폭은 제1유입구(231) 또는 제2유입구(233)의 폭과 유사할 수 있다. 유로 절환기(230) 중앙부(238)의 폭은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함으로써, 유로의 급격한 변경을 방지하여 세척수의 유동 압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절환기(230)는 제3방향에서 바라볼 때 원형 형태일 수 있다. 후술할 다이어프램(240)의 외곽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다이어프램(240) 최외곽(241)의 일부와 중첩되어 결합됨으로써, 제1하우징 유출구(221), 제1유입구(231), 제1출구(235)로 이어지는 경로와 제2하우징 유출구(223), 제2유입구(233) 제2유출구(237)로 연결되는 경로를 구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프램(240)은 원형이고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되, 중심부가 완만한 곡률을 형성하며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다이어프램(240)은 중심부에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돌출방향이 180° 변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유로 측에 세척수가 유입되는 경우, 유동 압력에 의해 다이어프램(240)의 중심부는 제2유로 측으로 돌출되고, 유로 절환기(230)의 중앙부(238)와 맞닿아 제2하우징 유출구(223)를 차단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240)의 중심부가 돌출된 정도는 제1하우징 유출구(221) 또는 제2하우징 유출구(223)를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이다.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240)의 중심부가 후술할 실링 라인(234)과 접하거나 중심부가 소정의 정도 눌리도록 돌출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240)의 중심부가 완만한 곡률을 형성하며 돌출된 형태이고, 유로 절환기(230)가 중앙부(238)에서 제2방향을 향하며 점진적으로 폭이 다시 넓어짐에 따라, 세척수의 유동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 적용된 유로 절환기(230)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로 절환기(230)의 일부 구성을 생략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절환기(230)는 다이어프램(240)을 중심으로 2개의 파트로 나뉘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유로를 형성하는 파트와 제2유로를 형성하는 파트로 나뉘어 질 수 있다. 유로 절환기(230)는 다이어프램(240)을 사이에 두고, 다이어프램(240) 최외곽(241)의 일부와 중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고, 다이어프램(240)의 최외곽(241)과 유로 절환기(230)가 중첩된 부분은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이어프램(240) 최외곽(241)의 일부와 중첩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제1유로와 제2유로를 구분함과 동시에, 두개의 파트 결합 부분을 밀폐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유로 절환기(230)의 조립은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240)을 사이에 두고 원형으로 형성된 부분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회전시켜 조립할 수 있다. 다만 이 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두개의 파트를 결합시킬 수 있는 방법이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절환기(230)의 중앙부(238)의 내측면에는 실링 라인(234)이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라인(234)은 중앙부(238)의 내측면에서 띠를 형성하며 돌출되는 형태로서 유로 절환기(230)의 두개의 파트가 조립되면 링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실링 라인(234)은 다이어프램(240)의 돌출된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링 라인(234)과 다이어프램(240)은 서로 선접촉하거나 다이어프램(240)의 중심부가 소정의 정도 눌리도록 접촉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 적용된 다이어프램(240)을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는 다이어프램(240)의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의 (a) 내지 도 7의 (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프램(240)은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원형 플레이트의 중심부가 완만한 곡률을 형성하며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다이어프램(240)은 중심부가 돌출된 형태가 유지되도록 기 성형되어 있으며, 중심부에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돌출 방향이 180° 변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240)이 어느 일측방향으로 돌출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제1유로 또는 제2유로 중 어느 일측은 폐쇄되고, 타측은 개방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240)이 어느 일측유로를 폐쇄하도록 기 성형해 둠으로써, 어느 일측의 유로를 폐쇄하기 위해 필요한 세척수의 유동 압력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이어프램(240)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어느 일측 유로를 보다 신뢰성있게 폐쇄할 수 있고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240)의 중심부는 연속적인 형태로 완만한 곡률을 형성하며 돌출되되, 적어도 한번이상 곡률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 내지 도 7의 (b)에 도시된 기준선(L)을 중심으로 중심부의 돌출량이 적어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240)의 최외곽(241) 부분에서는 중심부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량이 많아지도록 곡률이 크게 형성되어 급격히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다이어프램(240)의 돌출 방향 변환이 보다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240)의 중심부에서는 상대적으로 돌출량이 적어지도록 곡률을 작게 형성하여 제1유로 또는 제2유로의 경로 변화를 최대한 완만하게 함으로써, 유동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프램(240)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되, 최외곽(241)에는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된 결합부(241)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로 절환기(230)는 다이어프램(240)을 사이에 두고, 다이어프램(240) 최외곽(241)의 일부와 중첩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두개의 파트 결합부분을 밀폐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최외곽(241)의 중첩부분을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다이어프램(240)의 내구성 및 밀폐력을 상향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프램(240)의 최외곽(241)에 인접해서는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 절곡부(243)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다이어프램(240)은 돌출방향 변환을 위한 별도의 액추에이터를 배치하지 않고, 제1유로 또는 제2유로를 흐르는 세척수의 유동 압력에 의해 변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25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배수 시에는 빠르게 회전하고 순환시에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모터(250)가 느리게 회전하는 경우 세척수의 유동 압력이 낮아질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절곡부(243)와 같이 두께가 얇은 부분을 두어 다이어프램(240)의 돌출방향 변환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의류 처리 장치 110 : 드럼
120 : 터브 130 : 분사노즐
140 : 집수통 150 : 세척 라인
160 : 배수 라인 200 : 유로 변환 펌프
220 : 임펠러 하우징 222 : 제1하우징 유출구
223 : 제2하우징 유출구 225 : 임펠러
230 : 유로 절환기 231 : 제1유입구
233 : 제2유입구 234 : 실링 라인
235 : 제1유출구 237 : 제2유출구
238 : 중앙부 239 : 내부공간
240 : 다이어프램 241 : 외곽부
243 : 절곡부
250 : 모터

Claims (14)

  1.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이 내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측에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드럼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
    상기 터브의 하방에 배치되고, 세척수가 모이는 집수통;
    상기 집수통의 세척수를 상기 분사 노즐에 공급하는 세척 라인;
    상기 집수통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라인; 및
    상기 집수통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기 세척 라인 또는 상기 배수 라인에 선택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유로 변환 펌프;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변환 펌프는,
    집수통으로부터 공급받은 세척수를 수용하고, 내부에 임펠러를 내장하며, 상기 임펠러가 회전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임펠러 회전의 접선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하우징 유출구 및 제2하우징 유출구를 포함하는 임펠러 하우징;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하우징 유출구 및 상기 제2하우징 유출구와 각각 연통되는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유입구와 각각 연통되는 제1유출구 및 제2유출구를 포함하는 유로 절환기;
    상기 유로 절환기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유입구를 구분하고,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제2유출구를 구분하도록 배치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임펠러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출구는 상기 세척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2유출구는 상기 배수 라인과 연결되는 의류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절환기는
    제1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수직인 제2방향에 대해서 폭이 점점 좁아지다가 중앙부에서 다시 넓어지는 절구형태이고,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수직인 제3방향에서 바라볼 때에는 원형인 의류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절환기의 중앙부의 내측면에 내부공간을 향해 띠를 이루며 돌출된 실링 라인이 형성된 의류 처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절환기는 상기 다이어프램을 중심으로 2개의 부품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 절환기의 조립시, 상기 다이어프램의 외곽부가 2개의 부품사이에 중첩되어 끼워진 상태에서 조립되는 의류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절환기와 상기 다이어프램의 외곽부가 중첩된부분은 폐곡선을 형성하는 의류 처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원형 플레이트의 중심부가 완만한 곡률을 형성하며 돌출된 형태이며, 외력에 의하여 돌출된 방향이 180° 전환되는 의류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최외곽에서 중심부로 돌출되는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한번은 곡률이 변경되는 의류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되, 최외곽에는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결합부가 형성된 의류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제1하우징 유출구,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1유출구 또는 상기 제2하우징 유출구, 상기 제2유입구 및 상기 제2유출구를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의류 처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되, 최외곽에 인접하여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 절곡부가 형성된 의류 처리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상기 임펠러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제1하우징 유출구, 제1유입구 및 제1유출구로 이어지는 수류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이 제2하우징 유출구, 제2유입구 및 제2유출구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의류 처리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상기 임펠러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제2하우징 유출구, 제2유입구 및 제2유출구로 이어지는 수류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이 제1하우징 유출구 제1유입구 및 제1유출구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의류 처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분사 노즐; 및
    상기 드럼의 후면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KR1020200002227A 2020-01-07 2020-01-07 의류 처리 장치 KR20210089023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227A KR20210089023A (ko) 2020-01-07 2020-01-07 의류 처리 장치
CN202080090275.2A CN114867901B (zh) 2020-01-07 2020-11-03 衣物处理装置
EP20912394.2A EP4083301A4 (en) 2020-01-07 2020-11-03 CLOTHING TREATMENT DEVICE
PCT/KR2020/015196 WO2021141222A1 (ko) 2020-01-07 2020-11-03 의류 처리 장치
US17/143,763 US11939716B2 (en) 2020-01-07 2021-01-07 Clothes treating apparatus
AU2021200076A AU2021200076B2 (en) 2020-01-07 2021-01-07 Clothes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227A KR20210089023A (ko) 2020-01-07 2020-01-07 의류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023A true KR20210089023A (ko) 2021-07-15

Family

ID=76889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227A KR20210089023A (ko) 2020-01-07 2020-01-07 의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90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77114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JP5785764B2 (ja) 洗濯機
CN101173441A (zh) 滚筒式洗涤干燥机及其干燥工序的控制方法
KR101290460B1 (ko) 드럼 세탁기
KR20210089023A (ko) 의류 처리 장치
US11939716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210099925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210099924A (ko) 의류 처리 장치
JP2013085686A (ja) 洗濯乾燥機
KR20210063873A (ko) 의류 건조기
KR102296054B1 (ko) 유로 변환 펌프
KR20210089025A (ko) 유로 변환 펌프
KR20210089024A (ko) 유로 변환 펌프
KR20210071596A (ko) 의류 처리 장치
JP5306312B2 (ja) 洗濯乾燥機
US20210140437A1 (en) Flow path conversion pump
JP5276753B2 (ja) 洗濯機
JP2009078067A (ja) 洗濯乾燥機
JP7106506B2 (ja) 洗濯機
JP7287927B2 (ja) 洗濯乾燥機
JP2009078068A (ja) 洗濯乾燥機
KR20210108659A (ko) 유로 변환 펌프
JP6108567B2 (ja) 洗濯機
JP2023128132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5398932B2 (ja) 洗濯機および縦型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