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052A -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 Google Patents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052A
KR20210088052A KR1020200001066A KR20200001066A KR20210088052A KR 20210088052 A KR20210088052 A KR 20210088052A KR 1020200001066 A KR1020200001066 A KR 1020200001066A KR 20200001066 A KR20200001066 A KR 20200001066A KR 20210088052 A KR20210088052 A KR 20210088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s
lifting
rotor
tilting
fusel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석
전현우
박세환
김재형
빌라 란
게리 알렉스
데카흐 매트
체스 아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1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8052A/ko
Priority to JP2020148372A priority patent/JP2021109645A/ja
Priority to US17/014,702 priority patent/US11643200B2/en
Priority to DE102020211638.5A priority patent/DE102020211638A1/de
Priority to CN202011062556.5A priority patent/CN113071275A/zh
Publication of KR20210088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9/00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 B64C29/0008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having its flight directional axis horizontal when grounded
    • B64C29/0016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having its flight directional axis horizontal when grounded the lift during taking-off being created by free or ducted propellers or by blowers
    • B64C29/0033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having its flight directional axis horizontal when grounded the lift during taking-off being created by free or ducted propellers or by blowers the propellers being tiltable relative to the fusel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5/00Other convertible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in or on different media
    • B60F5/02Other convertible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in or on different media convertible into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14Windows; Doors; Hatch covers or access panels; Surrounding frame structures; Canopie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e.g. pressure sensors, water deflectors, hinges, seals, handles, latches, windscreen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14Windows; Doors; Hatch covers or access panels; Surrounding frame structures; Canopie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e.g. pressure sensors, water deflectors, hinges, seals, handles, latches, windscreen wipers
    • B64C1/1407Doors; surrounding frames
    • B64C1/1423Passeng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1/00Propellers, e.g. of ducted type; Features common to propellers and rotors for rotorcraft
    • B64C11/46Arrangements of, or constructional features peculiar to, multiple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32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52Tilting of rotor bodily relative to fusel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9/00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 B64C29/0008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having its flight directional axis horizontal when grounded
    • B64C29/0016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having its flight directional axis horizontal when grounded the lift during taking-off being created by free or ducted propellers or by blowers
    • B64C29/0025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having its flight directional axis horizontal when grounded the lift during taking-off being created by free or ducted propellers or by blowers the propellers being fixed relative to the fusel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00Wings
    • B64C3/10Shape of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5/00Stabilising surfaces
    • B64C5/02Tailpl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1/00Power install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9/00Equipment for handling freight; Equipment for facilitating passenger embarkation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Wind Motor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탑승공간과 탑승구가 마련된 동체; 동체에 마련된 날개; 및 날개에 마련된 복수의 로터로 구성되며, 복수의 로터 중 일부는 동체의 리프팅 또는 크루징을 위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틸팅이 가능한 틸팅로터이고, 틸팅로터를 제외한 나머지는 동체의 리프팅을 위한 리프팅로터로 구성된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VERTICLA TAKEOFF AND LANDING AIR MOBILITY}
본 발명은 수직이착륙이 가능하며, 복수의 로터를 효과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일부 로터의 고장에 대응이 용이하고 소음/진동의 대응에 효과적이며 탑승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에 관한 것이다.
도심지의 환경오염과 교통문제로 인하여 최근 에어 모빌리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에어 모빌리티는 도시의 교통난 해소와 환경오염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이동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에어 모빌리에는 개인 또는 복수의 탑승자들이 탑승할 수 있어야 하며, 도심지에서의 이착륙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수직이착륙기능이 구비되어야 하고,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승하차가 유리해야 하며 로터의 작동에 따른 소음과 진동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특히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해야 하기 때문에 일부 로터의 고장시에도 나머지 로터들을 통한 비행이 가능해야 하는 기술적인 해결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 제시된 에어 모빌리티 기술들의 경우 로터의 개수가 한정적이어서 일부 로터의 고장시 비행 균형을 이루기 어려운 구조였으며, 승하차 및 소음/진동의 문제가 전혀 고려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US 2018-0334251 A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직이착륙이 가능하며, 복수의 로터를 효과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일부 로터의 고장에 대응이 용이하고 소음/진동의 대응에 효과적이며 탑승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는, 탑승공간과 탑승구가 마련된 동체; 동체에 마련된 날개; 및 날개에 마련된 복수의 로터로 구성되며, 복수의 로터 중 일부는 동체의 리프팅 또는 크루징을 위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틸팅이 가능한 틸팅로터이고, 틸팅로터를 제외한 나머지는 동체의 리프팅을 위한 리프팅로터로 구성되며, 틸팅로터는 적어도 4개 이상의 로터로 구성되고 동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씩 배치되며 리프팅로터는 2개 이상 마련됨으로써 일부 로터의 고장시에도 나머지 로터들을 통해 비행제어가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로터유닛;을 포함한다.
틸팅로터는 짝수개의 로터로 구성되고 동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동일한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리프팅로터는 적어도 4개 이상의 로터로 구성되고 동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씩 배치될 수 있다.
틸팅로터는 동체에 근접하여 마련된 근접틸팅로터와 동체와 멀리 이격되어 마련된 이격틸팅로터로 구성되며, 근접틸팅로터는 동체보다 상방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리프팅로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터는 2엽 프로펠러 타입일 수 있다.
리프팅로터는 미작동시 비행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지될 수 있다.
리프팅로터는 크루징시 비행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지될 수 있다.
리프팅로터는 미작동시 비행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지되며, 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리프팅로터 중 2엽 프로펠러 타입의 로터의 경우 상부프로펠러와 하부프로펠러의 2개의 프로펠러가 구비될 수 있다.
날개는 주익과 미익으로 구성되며 로터유닛은 주익과 미익에 마련될 수 있다.
주익에는 2개의 틸팅로터와 2개 이상의 리프팅로터가 마련되며, 틸팅로터는 주익의 양측 최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주익에는 2개의 틸팅로터와 4개의 리프팅로터가 마련되며, 2개의 틸팅로터와 2개의 리프팅로터는 주익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2개의 리프팅로터는 주익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틸팅로터 및 주익의 후방측에 배치된 2개의 리프팅로터는 주익의 양측 최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미익에는 2개의 틸팅로터가 마련될 수 있다.
미익에 마련된 2개의 틸팅로터는 동체보다 상방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미익은 동체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고, 틸팅로터는 미익의 최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날개는 주익 및 주익보다 길이가 짧은 미익으로 구성되고, 주익의 전방에는 2개의 틸팅로터와 2개의 리프팅로터가 가로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되며, 주익의 후방에는 2개의 리프팅로터가 마련되고 미익에는 2개의 틸팅로터가 마련되며, 주익 후방의 리프팅로터와 미익의 틸팅로터는 가로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주익의 틸팅로터는 주익의 최외측에 마련되며, 미익의 틸팅로터는 동체와 주익 후방의 리프팅로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리프팅로터는 동체에 근접하여 마련된 근접리프팅로터와 동체와 멀리 이격되어 마련된 이격리프팅로터로 구성되며, 근접리프팅로터는 동체와 가까운 측이 상방을 향하도록 프로펠러가 기울어질 수 있다.
탑승구는 동체의 측면에 마련되며, 동체에 근접하여 배치된 리프팅로터 및 틸팅로터의 하부공간을 통해 탑승자가 탑승구에 다다를 수 있는 근접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에 따르면, 수직이착륙이 가능하며, 복수의 로터를 효과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일부 로터의 고장에 대응이 용이하고 소음/진동의 대응에 효과적이며 탑승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의 리프팅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의 크루징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의 리프팅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의 근접공간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의 비행계획을 나타낸 그래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의 리프팅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의 크루징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의 리프팅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의 근접공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의 비행계획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는 대표적으로는 개인 또는 다수의 탑승자가 도심에서 활용할 수 있는 UAM(Urban Air Mobility)을 들 수 있으며, UAM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드론 등을 포함한 다양한 유인/무인의 수직이착륙이 필요한 비행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는 이 중 UAM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UAM용 에어 모빌리티의 경우 도심에서 승하차가 빠르고 편해야 하기 때문에 로터의 배치와 설계가 중요하다. 또한, 탑승자의 경우 택시와 같은 편안한 승차감을 원하기 때문에 소음과 진동에 대하여도 설계가 필요하며, 도심지에서의 이착륙이 필요하여 수직이착륙 기능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특히, 다수의 탑승자가 빈번히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복수의 로터를 마련하되 복수의 로터 중 일부라도 고장이 날 경우 나머지 로터들을 통해 비행의 균형제어가 가능하여 안전하게 목적지 또는 정비소까지 도착한 후 정비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최대한 승객의 안전을 보장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다목적 기능을 갖춘 에어 모빌리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의 리프팅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의 크루징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의 리프팅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는, 탑승공간과 탑승구가 마련된 동체(100); 동체(100)에 마련된 날개(300, 500); 및 날개(300, 500)에 마련된 복수의 로터로 구성되며, 복수의 로터 중 일부는 동체(100)의 리프팅 또는 크루징을 위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틸팅이 가능한 틸팅로터(T1~T4)이고, 틸팅로터(T1~T4)를 제외한 나머지는 동체의 리프팅을 위한 리프팅로터(L1~L4)로 구성되며, 틸팅로터(T1~T4)는 적어도 4개 이상의 로터로 구성되고 동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씩 배치되며 리프팅로터(L1~L4)는 2개 이상 마련됨으로써 일부 로터의 고장시에도 나머지 로터들을 통해 비행제어가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로터유닛(T1~T4, L1~L4);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 모빌리티의 경우 동체(100)와 날개(300, 500)로 구성되고, 동체(100)에는 탑승자들이 다수 탑승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운전자를 제외한 총 4명의 탑승이 가능하다. 또한 수직 이착륙과 수평 크루징을 위해 다수의 로터가 마련된다.
로터의 경우에는 복수의 로터 중 일부는 동체의 리프팅 또는 크루징을 위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틸팅이 가능한 틸팅로터(T1~T4)이고, 틸팅로터를 제외한 나머지는 동체(100)의 리프팅을 위한 리프팅로터(L1~L4)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에어 모빌리티는 전기동력을 사용하는 DEP(distributed electric propulsion) 분산 전기 추진 eVTOL(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로서, 전기동력 수직 이착륙 비행체에의 적용시 매우 유용하다. 그리고 각각의 로터들은 단일 또는 복수 개의 전기모터로 구동되며, 도 1과 같이 모터에 전기에너지의 공급을 위해 동체의 하부 및/또는 동체 내부의 탑승시트 하부 및/또는 동체로부터 미익을 향해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의 내부에 배터리(B)를 장착하게 된다.
또한, 탑승 정류장에서 동체의 지지 및 지상 이동을 위해 도 4와 같이 동체 하부에 독립적인 동력 구동이 가능한 휠(W)이 제공된다. 휠(W)은 독립적인 모터를 구비하여 지상에서는 마치 차량과 같이 동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탑승장에서는 안전을 위해 로터 구동을 통한 동체의 이동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독립적인 휠을 통하여 에어 모빌리티의 주차 또는 출차 또는 이동이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틸팅로터(T1~T4)에는 크루징시 충분한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5엽프로펠러 타입의 적용이 바람직할 것이다.
틸팅로터(T1~T4)는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구성 이외에도 로터 자체를 틸팅하기 위한 별도의 액추에이터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틸팅 액추에이터에 대하여는 다양한 수단이 공지되어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틸팅로터(T1~T4)의 경우 상방으로 틸팅시에는 지면과 대략적인 수평관계를 이루어 리프팅로터(L1~L4)와 함께 리프팅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틸팅로터(T1~T4)가 그 상태에서 하방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동체의 정면을 바라보도록 하여 동체의 비행 내지 크루징시 추력을 발생하도록 한다.
또한 동체(100)는 비행시 양력의 발생이 필요한데, 이를 틸팅로터(T1~T4)를 통해 구현하고, 필요에 따라 양력을 보강하기 위해 리프팅로터(L1~L4)가 함께 작동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러한 경우는 이착륙 전후로 동체의 속도가 빠르지 않아 충분한 양력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리프팅을 위해 틸팅로터(T1~T4)의 용량을 증대시키거나 파워를 증대시킬 경우에는 추후 크루징시 틸팅로터(T1~T4)에 의한 소음/진동이 과다한 문제가 발생하는바, 틸팅로터(T1~T4)의 용량과 파워는 리프팅과 크루징을 위한 정도로만 최소화하고, 리프팅시 충분한 양력을 형성하는 것은 리프팅로터(L1~L4)를 별도로 마련하여 대응토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예의 경우 도시된 것와 같이, 날개 중 주익(300)에 6개의 로터를 구성하고 미익(500)에 2개의 로터를 구성하는 6+2 구조를 제안하는 것이다. 그리고 주익(300)에 장착되는 로터 6개의 경우 4개는 리프팅로터(L1~L4)이고 2개는 틸팅로터(T1,T2)로 하여 탑승공간과 가까운 주익(300)에서의 크루징시 소음/진동을 최소화하고, 탑승공간과는 떨어진 미익(500)에 나머지 2개의 틸팅로터(T3,T4)를 설치하도록 한다.
틸팅로터(T1~T4)는 짝수개의 로터로 구성되고 동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동일한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평상시 균형제어를 위해서는 틸팅로터가 짝수로 마련되고 좌우 양측에 동일한 개수로 틸팅로터(T1~T4)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리프팅로터(L1~L4)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4개 이상의 로터(L1,L2,L3,L4)로 구성되고 동체(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씩 배치될 수 있다. 리프팅로터(L1~L4) 역시 짝수로 마련될 경우 균형제어 측면에서 유리하다. 틸팅로터(T1~T4)와 리프팅로터(L1~L4) 중에서 어느 하나의 로터라도 고장날 경우 다른 리프팅로터들과 틸팅로터들을 통해 리프팅시 균형제어가 용이하고, 따라서 호버링이나 과도구간과 같이 리프팅이 필요한 시점에 충분한 양력을 제공하여 동체의 균형제어가 용이하도록 하고, 비상상황에서의 제어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틸팅로터(T1~T4)는 동체(100)에 근접하여 마련된 근접틸팅로터(T3,T4)와 동체(100)와 멀리 이격되어 마련된 이격틸팅로터(T1,T2)로 구성되며, 근접틸팅로터(T3,T4)는 동체(100)보다 상방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는 도 2와 도 4를 참고하여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의 경우 틸팅로터(T1~T4)는 총 4개가 마련되는데, 이 중 2개는 주익(300)에 마련되고 2개는 미익(500)에 마련된다. 주익(300)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만약 틸팅로터가 동체(100)에 가깝게 배치될 경우 크루징시 지속적인 소음/진동을 유발하여 NVH 측면에서 악영향이 있으며 승차감을 저해시킨다. 따라서 주익(300)에 설치되는 틸팅로터(T1,T2)의 경우에는 최대한 동체(100)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익(500)에도 2개의 틸팅로터(T3,T4)가 마련된다. 이 경우 미익(500)이 주익(300)보다 길이가 짧기 때문에 미익(500)의 끝단에 틸팅로터(T3,T4)를 마련한다 하더라도 동체(100)와는 어느 정도 근접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틸팅로터(T3,T4)를 동체(100)보다 상방에 배치함으로써 소음/진동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특히 동체(100)에 가까운 로터의 경우 상객이 동체에 승하차 하는 경우에 있어 불편하고 머리를 부딪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바, 동체(100)에 가까운 틸팅로터(T3,T4)들의 경우 최대한 상방으로 배치함으로써 도 4의 경우와 같이 승객보다 상방에 위치되어 승하차를 위한 근접공간을 형성토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익(300)을 동체의 상단에 설치하여 높이를 높임으로써 이에 설치되는 리프팅로터(L1,L2)의 위치를 높게 할 수 있고, 틸팅로터(T3,T4)를 미익(500)에 배치하며 승하차시에는 이를 상방을 향하도록 틸팅함으로써 충분한 승하차 공간을 마련한다.
그러한 결과 도 4의 박스 부분과 같이 주익의 리프팅로터(L1)와 동체(100) 사이 및 미익(500)의 틸팅로터(T3) 하방에 걸쳐 근접공간(PA)이 매우 넓게 마련되고, 그 넓은 근접공간(PA)을 통하여 승객은 편하고 안전하게 동체에 접근하여 승하차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리프팅로터(L1~L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터는 2엽 프로펠러 타입일 수 있다. 그리고 리프팅로터(L1~L4)는 미작동시 비행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지될 수 있으며, 특히 리프팅로터(L1~L4)는 크루징시 비행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지될 수 있다.
또한, 리프팅로터(L1~L4)는 미작동시 비행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지되며, 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프팅로터(L1~L4)는 동체의 수직이착륙시에만 필요한 로터이다. 따라서 동체(100)의 크루징시에는 리프팅로터(L1~L4)를 정지하는 것이 오히려 비행저항을 줄이는데 있어 효율적인 것이다. 더 나아가 리프팅로터(L1~L4)를 정지시킬 경우에는 비행저항의 최소화를 위해 리프팅로터(L1~L4)의 프로펠러 방향을 동체가 비행하는 방향과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로터를 제어함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프로펠러가 나란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 리프팅로터(L1~L4)의 프로펠러는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각각 프로펠러가 하나씩 마련된 2엽 프로펠러 타입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리프팅로터(L1~L4)의 프로펠러는 직선의 형상이 되는 것이며, 그 결과 미사용시에는 비행방향과 나란하게 정렬을 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이 경우 프로펠러의 개수가 부족하여 추진력이 부족할 수 있는바, 도 1 내지 4와 같이 리프팅로터(L1~L4) 중 2엽 프로펠러 타입의 로터의 경우에는 상부프로펠러(UP)와 하부프로펠러(LP)의 2개의 프로펠러를 구비하여 추진력을 배가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주익(300)에는 2개의 틸팅로터(T1,T2)와 2개 이상의 리프팅로터(L1,L2)가 마련되며, 틸팅로터(T1,T2)는 주익(300)의 양측 최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익(300)에는 2개의 틸팅로터(T1,T2)와 4개의 리프팅로터(L1~L4)가 마련되며, 2개의 틸팅로터(T1,T2)와 2개의 리프팅로터(L1,L2)는 주익(300)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2개의 리프팅로터(L3,L4)는 주익(300)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틸팅로터(T1,T2) 및 주익(300)의 후방측에 배치된 2개의 리프팅로터(L3,L4)는 주익(300)의 양측 최외측에 배치됨으로써 로터의 고장시에도 균형제어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크루징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미익(500)에는 2개의 틸팅로터(T3,T4)가 마련될 수 있다. 미익(500)에 마련된 2개의 틸팅로터(T3,T4)는 동체(100)보다 상방으로 떨어져 배치됨으로써 승하차를 위한 근접공간을 확보하고 소음/진동이 동체에 바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아울러, 이를 구현하기 위해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미익(500)은 동체(100)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고, 틸팅로터(T3,T4)는 미익(500)의 최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익(500)의 틸팅로터(T3,T4)는 동체(100)보다 상방에 배치된다.
한편, 날개는 주익(300) 및 주익(300)보다 길이가 짧은 미익(500)으로 구성되고, 주익(300)의 전방에는 2개의 틸팅로터(T1,T2)와 2개의 리프팅로터(L1,L2)가 가로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되며, 주익(300)의 후방에는 2개의 리프팅로터(L3,L4)가 마련되고 미익(500)에는 2개의 틸팅로터(T3,T4)가 마련되며, 주익(300) 후방의 리프팅로터(L3,L4)와 미익(500)의 틸팅로터(T3,T4)는 가로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주익(300)의 틸팅로터(T1,T2)는 주익(300)의 최외측에 마련되며, 미익(500)의 틸팅로터(T3,T4)는 동체(100)와 주익(300) 후방의 리프팅로터(L3,L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구조를 통해 리프팅시와 크루징시 모두 완벽한 균형제어가 가능해진다.
특히, 도 4와 같이, 리프팅로터(L1~L4)는 동체에 근접하여 마련된 근접리프팅로터(L1,L2)와 동체와 멀리 이격되어 마련된 이격리프팅로터(L3,L4)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근접리프팅로터(L1,L2)는 동체(100)와 가까운 측이 상방을 향하도록 프로펠러가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승객(P)은 동체와 근접한 위치에서 승하차를 함이 일반적인바, 동체(100)에 근접한 부분은 승객(P)의 헤드룸을 최대한 확보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근접리프팅로터(L1,L2)는 동체(100)와 가까운 측이 상방을 향하도록 프로펠러가 기울어지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탑승구는 동체(100)의 측면에 마련되는 것이 가능해지며, 정면이나 후면이 아닌 측면에 탑승구가 마련됨으로써 마치 벤 형식의 차량과 같이 다수의 탑승환경에서도 모든 승객이 편하게 승하차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5와 같이 동체(100)에 근접하여 배치된 리프팅로터(L1,L2) 및 틸팅로터(T3,T4)의 하부공간을 통해 탑승자가 탑승구에 다다를 수 있는 근접공간(PA)을 형성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모빌리티의 비행계획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경우, 그래프의 가로축은 수평거리를 의미하고, 세로축은 수직거리를 의미한다.
먼저, 탑승단계에서 에어 모빌리티는 주익의 가운데 후방에 로터 배치가 없고 미익에 장착된 로터는 주익보다 높게 위치됨으로써 충분한 탑승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틸팅로터의 경우 승객이 탑승하는 동안에는 상방으로 틸팅되어 수평을 이룸으로써 승객의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의 높이를 보장한다.
승객의 탑승 후에는 에어 모빌리티의 틸팅로터를 수평으로 정렬하여 리프팅모드로 구현된다. 그에 따라 리프팅로터와 틸팅로터가 모두 동작하여 에어 모빌리티가 리프팅에 필요한 충분한 양력을 형성한다. 그에 따라 에어 모빌리티는 수직으로 상승하며 이륙(Hover, Takeoff, A1)을 한다. 그에 따라 일정 높이로 상승된 후 항공관제 통신을 수행하며 본격적인 비행을 위해 비행고도로 오름과 동시에 전진하는 과도구간(Transition, A3)을 비행한다. 이때 4개의 틸팅로터는 하방으로의 틸팅을 시작하며 전진속도에 따라 주익에 의한 양력이 발생된다. 동시에 4개의 리프팅로터는 주익에 의한 양력과 리프팅로터에 의한 양력의 합이 에어 모빌리티가 요구하는 양력에 상응하도록 제어된다. 주익에 의한 양력이 에어 모빌리티가 요구하는 양력을 모두 담당할 수 있게 되면 리프팅로터는 정지되고 특히, 비행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정지된다.
그 후 크루징시(Cruise, A4)에는 리프팅로터를 정지하고 비행방향과 나란하게 하여 비행저항을 최소화하며 2개 이상의 틸팅로터가 전진 비행을 위한 추력을 발생시키도록 동작한다. 그리고 목적지 주변에서는 다시 하강하는 과도구간(Transition, A5)을 거친 후 일정거리 이동하고(A6) 수직으로 착륙(Hover, Landing, A7)을 수행한다.
특히, 과도구간의 경우에는 수직이동과 수평이동이 혼재되는 상황인바, 이 경우에는 양력의 계산이 매우 중요하고, 계상되거나 측정된 양력을 통해 필요한 보충양력을 구하고, 그 만큼만 리프팅로터를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즉, 틸팅로터는 속도의 제어 없이 틸팅의 정도만을 제어할 경우 과도구간에서는 리프팅로터의 속도 제어가 필요한 것이다. 한편, 양력 자체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틸팅로터의 속도 제어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에 따르면, 수직이착륙이 가능하며, 복수의 로터를 효과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일부 로터의 고장에 대응이 용이하고 소음/진동의 대응에 효과적이며 탑승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동체 300 : 주익
500 : 미익 T1~T4 : 틸팅로터
L1~L4 : 리프팅로터

Claims (20)

  1. 탑승공간과 탑승구가 마련된 동체;
    동체에 마련된 날개; 및
    날개에 마련된 복수의 로터로 구성되며, 복수의 로터 중 일부는 동체의 리프팅 또는 크루징을 위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틸팅이 가능한 틸팅로터이고, 틸팅로터를 제외한 나머지는 동체의 리프팅을 위한 리프팅로터로 구성되며, 틸팅로터는 적어도 4개 이상의 로터로 구성되고 동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씩 배치되며 리프팅로터는 2개 이상 마련됨으로써 일부 로터의 고장시에도 나머지 로터들을 통해 비행제어가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로터유닛;을 포함하는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2. 청구항 1에 있어서,
    틸팅로터는 짝수개의 로터로 구성되고 동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동일한 개수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3. 청구항 1에 있어서,
    리프팅로터는 적어도 4개 이상의 로터로 구성되고 동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4. 청구항 1에 있어서,
    틸팅로터는 동체에 근접하여 마련된 근접틸팅로터와 동체와 멀리 이격되어 마련된 이격틸팅로터로 구성되며, 근접틸팅로터는 동체보다 상방으로 떨어져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5. 청구항 1에 있어서,
    리프팅로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터는 2엽 프로펠러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6. 청구항 1에 있어서,
    리프팅로터는 미작동시 비행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7. 청구항 1에 있어서,
    리프팅로터는 크루징시 비행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8. 청구항 5에 있어서,
    리프팅로터는 미작동시 비행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지되며, 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9. 청구항 5에 있어서,
    리프팅로터 중 2엽 프로펠러 타입의 로터의 경우 상부프로펠러와 하부프로펠러의 2개의 프로펠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날개는 주익과 미익으로 구성되며 로터유닛은 주익과 미익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주익에는 2개의 틸팅로터와 2개 이상의 리프팅로터가 마련되며, 틸팅로터는 주익의 양측 최외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주익에는 2개의 틸팅로터와 4개의 리프팅로터가 마련되며, 2개의 틸팅로터와 2개의 리프팅로터는 주익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2개의 리프팅로터는 주익의 후방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2개의 틸팅로터 및 주익의 후방측에 배치된 2개의 리프팅로터는 주익의 양측 최외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미익에는 2개의 틸팅로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미익에 마련된 2개의 틸팅로터는 동체보다 상방으로 떨어져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미익은 동체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고, 틸팅로터는 미익의 최외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날개는 주익 및 주익보다 길이가 짧은 미익으로 구성되고, 주익의 전방에는 2개의 틸팅로터와 2개의 리프팅로터가 가로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되며, 주익의 후방에는 2개의 리프팅로터가 마련되고 미익에는 2개의 틸팅로터가 마련되며, 주익 후방의 리프팅로터와 미익의 틸팅로터는 가로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주익의 틸팅로터는 주익의 최외측에 마련되며, 미익의 틸팅로터는 동체와 주익 후방의 리프팅로터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19. 청구항 1에 있어서,
    리프팅로터는 동체에 근접하여 마련된 근접리프팅로터와 동체와 멀리 이격되어 마련된 이격리프팅로터로 구성되며, 근접리프팅로터는 동체와 가까운 측이 상방을 향하도록 프로펠러가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20. 청구항 1에 있어서,
    탑승구는 동체의 측면에 마련되며, 동체에 근접하여 배치된 리프팅로터 및 틸팅로터의 하부공간을 통해 탑승자가 탑승구에 다다를 수 있는 근접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KR1020200001066A 2020-01-03 2020-01-03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KR2021008805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066A KR20210088052A (ko) 2020-01-03 2020-01-03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JP2020148372A JP2021109645A (ja) 2020-01-03 2020-09-03 垂直離着陸エアモビリティ
US17/014,702 US11643200B2 (en) 2020-01-03 2020-09-08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 mobility
DE102020211638.5A DE102020211638A1 (de) 2020-01-03 2020-09-17 Vertikal startende und landende luftmobilität
CN202011062556.5A CN113071275A (zh) 2020-01-03 2020-09-30 垂直起降的空中移动概念车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066A KR20210088052A (ko) 2020-01-03 2020-01-03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052A true KR20210088052A (ko) 2021-07-14

Family

ID=76432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066A KR20210088052A (ko) 2020-01-03 2020-01-03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43200B2 (ko)
JP (1) JP2021109645A (ko)
KR (1) KR20210088052A (ko)
CN (1) CN113071275A (ko)
DE (1) DE10202021163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364A (ko) 2021-09-01 2023-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모빌리티의 이착륙 보조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622742B1 (ko) 2023-05-09 2024-01-08 함명래 비행 안정성이 향상되는 복합형 수직이착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9696S1 (en) 2020-02-18 2024-01-02 Aurora Flight Sciences Corporation, a subsidiary of The Boeing Company Aircraft
US11554865B2 (en) * 2020-02-18 2023-01-17 Aurora Flight Sciences Corporatio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and related methods
US11472546B2 (en) 2020-02-24 2022-10-18 Aurora Flight Sciences Corporation Fixed-wing short-takeoff-and-landing aircraft and related methods
CN213974457U (zh) * 2020-08-07 2021-08-17 上海峰飞航空科技有限公司 垂直起降空中无人机
US11772773B2 (en) 2021-01-04 2023-10-03 Aurora Flight Sciences Corporation, a subsidiary of The Boeing Company Aircraft and related methods
US20220306292A1 (en) * 2021-03-29 2022-09-29 Bell Textron Inc. Tilting hexrotor aircraft
US11807357B2 (en) 2021-03-29 2023-11-07 Textron Innovations Inc. Tilting hexrotor aircraft
EP4209414A1 (en) * 2022-01-05 2023-07-12 Zuri.com S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CN114750937B (zh) * 2022-05-19 2024-04-19 重庆大学 一种高精度磁传动倾转旋翼飞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34251A1 (en) 2017-05-22 2018-11-22 Karem Aircraft, Inc. EVTOL Aircraft Using Large, Variable Speed Tilt Rotor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4826B2 (en) 2017-05-22 2021-04-13 Overair, Inc. EVTOL having many variable speed tilt rotors
IL263301B2 (en) * 2018-11-25 2023-09-01 Israel Aerospace Ind Ltd Aircraft and the method of operation of aircraft
EP3702277B1 (en) * 2019-02-27 2021-01-27 AIRBUS HELICOPTERS DEUTSCHLAND GmbH A multirotor aircraft that is adapted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EP3702276B1 (en) * 2019-02-27 2021-01-13 AIRBUS HELICOPTERS DEUTSCHLAND GmbH A multirotor joined-wing aircraft with vtol capabilities
WO2020186305A1 (en) * 2019-03-21 2020-09-24 AMSL Innovations Pty Ltd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MX2022009305A (es) * 2020-01-31 2022-10-18 Wisk Aero Llc Aeronave con montajes de helices basculantes.
US20210362849A1 (en) * 2020-05-19 2021-11-25 Archer Aviation, In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US11465764B2 (en) * 2020-12-08 2022-10-11 Archer Aviat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distribution in electric aircraf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34251A1 (en) 2017-05-22 2018-11-22 Karem Aircraft, Inc. EVTOL Aircraft Using Large, Variable Speed Tilt Roto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364A (ko) 2021-09-01 2023-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모빌리티의 이착륙 보조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622742B1 (ko) 2023-05-09 2024-01-08 함명래 비행 안정성이 향상되는 복합형 수직이착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071275A (zh) 2021-07-06
US20210206483A1 (en) 2021-07-08
JP2021109645A (ja) 2021-08-02
US11643200B2 (en) 2023-05-09
DE102020211638A1 (de)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88052A (ko) 수직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EP3184425B1 (en) Multirotor aircraft
US6561455B2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erodynamically self-sustained horizontal flight hybrid aircraft
EP1999016B1 (en) Convertible aircraft
CN205930082U (zh) 一种共轴反桨双涵道式电动飞行汽车
CN111619785A (zh) 适于垂直起飞和着陆的多旋翼飞行器
CN108116668B (zh) 陆空两用全电多旋翼载人飞行器
CN111619795A (zh) 能垂直起飞和降落的联结翼的多旋翼飞行器
JP4085799B2 (ja) 垂直離着陸機
US3652035A (en) Channel tail aircraft
EP3746364A1 (en) Vtol aircraft
WO2024066918A1 (zh) 一种电动旋翼垂直起降由燃油动力驱动向前飞行的固定翼飞机
JP4085716B2 (ja) 垂直離着陸機
US20240158075A1 (en) Flight vehicle
CN218258708U (zh) 一种电动垂直起降载人无人机
CN111498105A (zh) 飞行器
KR20240041349A (ko) 수직 이륙 및 착륙 크래프트 시스템 및 방법
US11760474B2 (en) VTOL box-wing multirotor aerial vehicle
US20030201362A1 (en) Helicarplane
US11241925B2 (en) Battery operated flying car with enclosed motors for human transportation
RU2550568C2 (ru) Экраноплан
SK500442018A3 (sk) Lietadlo s kolmým štartom a pristávaním (VTOL)
GB2592063A (en) VTOL Aircraft with contra-rotating fans
WO2019148464A1 (zh) 飞行汽车机翼、承载模块结构、动力系统、飞行汽车、飞行汽车机翼的控制方法
CN112693602A (zh) 一种侧推动力装置为涵道式的多旋翼载人飞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