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037A -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이용한 피로도 해소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이용한 피로도 해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037A
KR20210088037A KR1020200000813A KR20200000813A KR20210088037A KR 20210088037 A KR20210088037 A KR 20210088037A KR 1020200000813 A KR1020200000813 A KR 1020200000813A KR 20200000813 A KR20200000813 A KR 20200000813A KR 20210088037 A KR20210088037 A KR 20210088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igue
information
relieving
user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9458B1 (ko
Inventor
정만교
Original Assignee
정만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만교 filed Critical 정만교
Priority to KR1020200000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458B1/ko
Publication of KR20210088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65Evaluating the fitness, e.g. fitness level or fitness index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the load of the exercise apparatus being controlled in synchronism with visualising systems, e.g. hill slo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63D visua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63B2071/0644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with display speed of moving landscape controlled by the user's perform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47Visualisation of executed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A63B2213/005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with respiratory gas delivering means, e.g. O2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이용한 피로도 해소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실내에서 가상 숲 걷기 체험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발 움직임을 센싱하여 운동량을 산출하고, 운동량에 기반으로 피로도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피로도 해소 물질을 배출하여 실제 숲을 가지 않더라도 실내에서 걸으며 숲 걷기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며, 걸을 때 신선한 산소를 공급하여 피로를 줄여주며, 산소와 함께 천연 피톤치드 향을 발산하여 숲속에서 느낄 수 있는 피톤치드 효과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며, 걸을 때 새소리, 물소리 등의 음향을 들려주고, 숲 영상 등을 보여주고, 시청각적으로도 숲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이용한 피로도 해소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이용한 피로도 해소 장치{Apparatus for Recovering Fatigue by Using Exercise Amount 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이용한 피로도 해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과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칼로리 높은 음식을 섭취하고 상대적으로 운동량이 부족한 실정이다. 운동부족으로 인해 심장병, 고혈압, 당뇨병 등 성인병 발병되고 있다. 최근 들어, 고칼로리 식생활 문화와 컴퓨터를 이용한 장시간의 업무처리로 인하여 비만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러닝머신이나 계단발기와 같이 실내에서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들이 개발되어 보급되어 왔다. 이러한 실내 운동기구 중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키를 발로 밟음에 의해 키가 눌려지는 스텝 보드는 게임 또는 운동의 목적으로 존재해왔다. 스텝 보드는 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스텝 보드에 전용하는 디스플레이에 화면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에 스텝 보드의 조작을 대응시키는 방식으로 활용되어왔다.
최근의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인 스마트 폰, 스마트 TV 또는 PC가 개발되었다. 각각의 플랫폼은 각각의 입력 수단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은 터치스크린 또는 키패드를 구비할 수 있고, 스마트 TV는 리모컨을 구비할 수 있다. PC도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 패드 등의 다양한 종류의 입력 수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내에서 가상 숲 걷기 체험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발 움직임을 센싱하여 운동량을 산출하고, 운동량에 기반으로 피로도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피로도 해소 물질을 배출하여 실제 숲을 가지 않더라도 실내에서 걸으며 숲 걷기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며, 걸을 때 신선한 산소를 공급하여 피로를 줄여주며, 산소와 함께 천연 피톤치드 향을 발산하여 숲속에서 느낄 수 있는 피톤치드 효과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며, 걸을 때 새소리, 물소리 등 음향을 들려주고, 숲 영상 등을 보여주고, 시청각적으로도 숲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이용한 피로도 해소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의 발 움직임을 센싱하여 발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발 움직임 감지부; 사용자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터치패널; 상기 발 움직임 정보를 입력으로 기 학습된 운동량 산출 모델에 맵핑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산출하는 운동량 산출부; 상기 사용자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하며, 상기 운동량 정보를 기반으로 피로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선택 정보와 상기 피로도 정보를 기반으로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통합 제어부;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 사운드, 게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재생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부; 상기 영상 또는 게임이 출력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사운드 출력부; 상기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에 대응하는 피로도 해소 물질이 상기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에 대응하는 함량만큼 배출되도록 조절하는 피로도 해소 물질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도 해소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실내에서 가상 숲 걷기 체험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발 움직임을 센싱하여 운동량을 산출하고, 운동량에 기반으로 피로도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피로도 해소 물질을 배출하여 실제 숲을 가지 않더라도 실내에서 걸으며 숲 걷기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며, 걸을 때 신선한 산소를 공급하여 피로를 줄여주고, 산소와 함께 천연 피톤치드 향을 발산하여 숲속에서 느낄 수 있는 피톤치드 효과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며, 걸을 때 새소리, 물소리 등 음향을 들려주고, 숲 영상 등을 보여주고, 시청각적으로도 숲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이용한 피로도 해소 장치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정보에 따른 숲 영상을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 움직임 감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로도 해소 장치의 내부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로도 해소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이용한 피로도 해소 장치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실내에서 가상 숲 걷기 체험을 제공한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실제 숲을 가지 않더라도 실내에서 걸으며 숲 걷기를 체험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걸을 때 신선한 산소를 공급하여 피로를 줄여준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산소를 공급할 때, 천연 피톤치드 향을 발산하여 숲속에서 느낄 수 있는 피톤치드 효과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영상 출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132)을 구비하여 숲 영상 등을 보여주고, 사운드 출력부(134)를 구비하여 걸을 때 새소리, 물소리 등의 음향을 들려준다. 결과적으로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시각 및 청각적으로도 숲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사용자의 걷는 속도, 걷는 거리, 운동량에 따라 발산되는 산소와 피톤치드의 양을 조절한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많이 걸을수록 산소와 피톤치드 발산량을 증가시킨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많이 걸을수록 산소와 피톤치드 발산량이 많아지므로 사용자는 가상 숲속으로 들어가는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빨리 걸을수록 걷는 속도가 빨라지거나 걷는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산소 발산량을 증가시켜서 운동의 피로도가 감소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피로도 해소 장치(100)의 발 움직임 감지부(150)에 올라서서 많이 걷더라도 운동의 피로도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손잡이(142) 부분에 생체 신호 센싱부(144)를 구비하여 신체 정보를 센싱(예컨대, 산소 포화도, 맥박 측정, 체지방 측정, 심전도 측정)한다.
상기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등의 다양한 감각을 자극하는 숲 속 걷기 체험을 통해 정신적 스트레스와 우울증 등을 해소하고, 걷기, 산소/피톤치드 흡입을 통해 육체적 건강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한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숲속을 가지 않더라도 언제든지 실내에서 숲속 걷기 체험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운동하고 싶은 동기를 유발시킨다.
상기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발 움직임 감지부(15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 움직임을 센싱한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발 움직임 감지부(150)를 이용하여 센싱한 정보 유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는 통합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상기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통합 제어부(140)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132)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한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통합 제어부(140)를 이용하여 수신된 발 움직임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발움직임 속도, 거리를 추출한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통합 제어부(140)를 이용하여 발움직임 속도, 거리를 기반으로 운동으로 소모된 칼로리를 산출한다.
상기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통합 제어부(140)를 이용하여 발움직임 속도, 거리, 운동으로 소모된 칼로리를 기반으로 산소, 피톤치드 발생량을 산출한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통합 제어부(140)를 이용하여 산소, 피톤치드 발생량에 해당하는 산소량, 피톤치드량 만큼의 산소와 피톤치드를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통합 제어부(140)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132)로 발움직임 속도, 거리, 소모된 칼로리와 함께 산소, 피톤치드 배출량, 사용자의 발 움직임에 적합한 영상, 음악, 게임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피로도 해소 물질 조절부(120)를 이용하여 통합 제어부(140)로부터 수신된 산소 및 피톤치드 발생량에 맞게 산소 발생기(232)와 피톤치드 발생기(234)의 모터 가동 속도, 노즐, 밸브 개폐 여부를 조절한다.
상기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피로도 해소 물질 조절부(120)를 이용하여 산소 발생기(232)와 피톤치드 발생기(234)의 동작 상태와 피톤치드 보충여부를 모니터링하여 통합 제어부(140)로 유무선 통신으로 전송한다.
상기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부(110)를 이용하여 피로도 해소 물질 조절부(120)로부터 수신된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에 따라 피톤치드, 산소가 배출되어 사용자가 호흡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이용한 피로도 해소 장치에서 사용자 선택 정보에 따른 숲 영상을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영상 및 사운드를 출력할 때,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날씨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 내 날씨를 맑음, 구름 조금, 구름 많음, 비, 태풍, 뇌우 날씨가 반영된 영상과 사운드를 출력한다.
상기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영상 및 사운드를 출력할 때,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장소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한라산, 제주도 올레길, 마추픽추(Machu Picchu), 융프라우(Jungfrau)) 등에 대응하는 영상과 사운드를 출력한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영상 및 사운드를 출력할 때, 사용자가 추천 장소를 선택하면 실제 지역을 촬영한 영상이 1인칭 시점 또는 3인칭 시점으로 출력(실제 촬영한 영상 또는 실제 촬영한 영상을 렌더링한 영상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영상 및 사운드를 출력할 때,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계절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장소 선택 정보에 계정 선택 정보(봄, 여름, 가을 겨울)를 추가로 반영하여 출력한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사운드를 출력할 때, 바람 소리를 약풍, 강풍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이용한 피로도 해소 장치에서 발 움직임 감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에 구현된 발 움직임 감지부(150)는 러닝머신, 스텝머신, 바이크머신, 스텝보드 등의 발 운동기구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 피로도 해소 장치(100)에 구현된 발 움직임 감지부(150)는 러닝머신, 스텝머신, 바이크머신, 스텝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움직임 속도, 거리를 센싱하거나 카운팅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움직임 감지부(150)가 러닝머신으로 구현된 경우, 롤러가 롤링방식으로 구동하여 롤러의 구동 속도에 따라 사용자의 발 움직임을 감지하여 발 움직임 정보를 생성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움직임 감지부(150)가 스텝머신으로 구현된 경우, 사용자가 발로 누를 수 있는 복수의 발판 형태의 눌림을 감지하여 발 움직임 정보를 생성한다.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움직임 감지부(150)가 바이크머신으로 구현된 경우, 사용자가 발을 회전시키는 페달 형태의 회전을 감지하여 발 움직임 정보를 생성한다.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움직임 감지부(150)가 스텝보드로 구현된 경우, 사용자가 발로 누를 수 있는 복수의 키의 눌림을 감지하여 발 움직임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피로도 해소 장치(100)에 구현된 발 움직임 감지부(150)는 발 움직임 정보를 유무선 통신으로 통합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이용한 피로도 해소 장치에서 내부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로도 해소 장치(100)의 내부 블록은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부(110), 터치 패널(132), 멀티미디어 재생부(130), 손잡이(142), 사운드 출력부(134), 생체 신호 센싱부(144), 통합 제어부(140), 발 움직임 감지부(150), 운동량 산출부(210), 피로도 해소 물질 조절부(120), 산소 발생기(232), 피톤치드 발생기(234), 풍압 발생기(236)를 포함한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로도 해소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4에 도시된 피로도 해소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부(110)는 산소 발생기(232), 피톤치드 발생기(234), 풍압 발생기(236)와 노즐로 연결되어, 산소, 피톤치드, 바람이 피로도 해소 물질 조절부(120)의 제어에 따라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터치 패널(132)은 사용자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다. 터치 패널(132)은 영상, 게임을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부(130)는 멀티미디어 재생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 사운드, 게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시각 또는 청각으로)이 재생되도록 한다. 멀티미디어 재생부(130)는 발 움직임 정보에 따라 로컬 영상이 3차원 형태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멀티미디어 재생부(130)는 사용자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로컬 영상의 시점을 1인칭 시점 또는 3인칭 시점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손잡이(142)는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센싱부(144)를 포함한다. 생체 신호 센싱부(144)는 손잡이(142)의 일측에 구비되어 산소 포화도, 맥박 측정, 체지방 측정, 심전도 측정 등의 신체 정보를 센싱한다. 사운드 출력부(스피커)(134)는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통합 제어부(140)는 사용자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추출한다. 통합 제어부(14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한다. 통합 제어부(140)는 운동량 정보를 기반으로 피로도 정보를 산출하고, 사용자 선택 정보와 피로도 정보를 기반으로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한다.
또한, 상기 통합 제어부(140)는 사용자 선택 정보에 포함된 특정 위치 정보(한라산, 휴양림, 제주도 올레길, 마추픽추(machu picchu), 융프라우(Jungfrau))를 추출한다. 통합 제어부(140)는 특정 위치 정보(한라산, 휴양림, 제주도 올레길, 마추픽추(machu picchu), 융프라우(Jungfrau))에 대응하는 로컬 영상 정보와 로컬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여 재생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명령을 생성한다.
상기 통합 제어부(140)는 운동량 정보에 고 운동량 정보가 포함된 경우, 높은 피로도 정보를 산출한다. 통합 제어부(140)는 높은 피로도 정보에 대응하여 피로도 해소 물질이 기 설정된 일정 함량보다 높은 함량으로 포함되도록 하는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한다.
상기 통합 제어부(140)는 운동량 정보에 중간 운동량 정보가 포함된 경우, 보통 피로도 정보를 산출한다. 통합 제어부(140)는 보통 피로도 정보에 대응하여 피로도 해소 물질이 기 설정된 일정 함량만큼 포함되도록 하는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한다.
상기 통합 제어부(140)는 운동량 정보에 저 운동량 정보가 포함된 경우, 낮은 피로도 정보를 산출한다. 통합 제어부(140)는 낮은 피로도 정보에 대응하여 피로도 해소 물질이 기 설정된 일정 함량보다 낮은 함량으로 포함되도록 하는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한다.
상기 통합 제어부(140)는 사용자 선택 정보에 포함된 특정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로컬 특성 정보를 추출한다. 통합 제어부(140)는 로컬 특성 정보를 피로도 해소 물질의 함량의 가중치로 반영한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을 생성한다.
상기 통합 제어부(140)는 로컬 특성 정보가 휴양림 또는 숲인 경우, 피로도 해소 물질의 함량을 기 설정된 일정 함량보다 높이도록 하는 높은 가중치를 반영한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을 생성한다. 통합 제어부(140)는 로컬 특성 정보가 관광지인 경우, 피로도 해소 물질의 함량을 기 설정된 일정 함량만큼 포함하도록 하는 가중치를 미반영한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을 생성한다. 통합 제어부(140)는 로컬 특성 정보가 도시인 경우, 피로도 해소 물질의 함량을 기 설정된 일정 함량보다 낮아지도록 하는 가중치를 반영한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을 생성한다.
상기 통합 제어부(140)는 생체신호에 포함된 체지방정보 및 심전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추출한다. 통합 제어부(140)는 체지방정보, 심전도정보, 운동량 정보를 기반으로 피로도 정보를 산출한다.
상기 발 움직임 감지부(150)는 사용자의 발 움직임을 센싱하여 발 움직임 정보를 생성한다. 발 움직임 감지부(150)는 러닝머신, 스텝머신, 바이크머신, 스텝보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러닝머신은 롤러가 롤링방식으로 구동하여 롤러의 구동 속도에 따라 사용자의 발 움직임을 감지하여 발 움직임 정보를 생성한다. 스텝머신은 사용자가 발로 누를 수 있는 복수의 발판 형태의 눌림을 감지하여 발 움직임 정보를 생성한다. 바이크머신은 사용자가 발을 회전시키는 페달 형태의 회전을 감지하여 발 움직임 정보를 생성한다. 스텝보드는 사용자가 발로 누를 수 있는 복수의 키의 눌림을 감지하여 발 움직임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발 움직임 감지부(150)는 진동패드를 포함하며, 진동패드를 이용하여 로컬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이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운동량 산출부(210)는 발 움직임 정보를 입력으로 기 학습된 운동량 산출 모델에 매핑하여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산출한다. 운동량 산출부(210)는 발 움직임 정보로부터 발움직임 속도, 거리, 횟수를 추출하고, 발움직임 속도, 거리, 횟수를 기 학습된 운동량 산출 모델에 맵핑하여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산출한다.
상기 운동량 산출부(210)는 발움직임 속도, 거리, 횟수가 기 설정된 고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기 학습된 운동량 산출 모델을 이용하여 고 운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량 정보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운동량 산출부(210)는 발움직임 속도, 거리, 횟수가 기 설정된 고 임계치 이하이며, 중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기 학습된 운동량 산출 모델을 이용하여 중간 운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량 정보를 산출한다. 운동량 산출부(210)는 발움직임 속도, 거리, 횟수가 기 설정된 중 임계치를 이하인 경우, 기 학습된 운동량 산출 모델을 이용하여 저 운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량 정보를 산출한다.
상기 피로도 해소 물질 조절부(120)는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에 대응하는 피로도 해소 물질(산소, 피톤치드, 풍압)이 (후각 또는 촉각으로)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에 대응하는 함량만큼 배출되도록 조절한다.
상기 피로도 해소 물질 조절부(120)는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에 대응하는 피로도 해소 물질인 산소(Oxygen), 피톤치드(Phytoncide), 바람이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에 대응하는 함량만큼 배출되도록 구비된 모터, 밸브, 노즐을 조절한다.
상기 산소 발생기(232)는 피로도 해소 물질 조절부(120)의 제어에 따라 구비된 모터, 밸브를 구동하여 산소를 발생시킨다. 피톤치드 발생기(234)는 피로도 해소 물질 조절부(120)의 제어에 따라 구비된 모터, 밸브를 구동하여 피톤치드를 발생시킨다. 피톤치드 발생기(234)는 피톤치드가 캡슐 형태로 체결되면, 캡슐로부터 피톤치드가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풍압 발생기(236)는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풍압 발생기(236)는 피로도 해소 물질 조절부(120)의 제어에 따라 구비된 모터, 밸브를 구동하여 바람을 발생시킨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로도 해소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발 움직임 정보로부터 발움직임 속도, 거리, 위치, 횟수를 추출한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사용자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소리, 영상 표출한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사용자의 걷기 운동 시 산소 및 피톤치드를 발생시킨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산소 및 피톤치드 발생 명령에 대응하는 산소 및 피톤치드 발생 결과를 화면에 출력한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운동량 정보, 산소 및 피톤치드 발생 정보를 출력한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산소 및 피톤치드 발생 명령을 기반으로 산소 발생기(232), 피톤치드 발생기(234) 각각을 제어하도록 하는 모터, 밸브, 노즐 제어한다. 피로도 해소 장치(100)는 산소 발생기(232), 피톤치드 발생기(234)극 각각 제어하여 산소, 피톤치드를 각각을 배출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피로도 해소 장치
110: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부
112: 산소 노즐
114: 피톤치드 노즐
116: 풍압발생 노즐
120: 피로도 해소 물질 조절부
130: 멀티미디어 재생부
132: 터치 패널
134: 사운드 출력부
140: 통합 제어부
142: 손잡이
144: 생체 신호 센싱부
150: 발 움직임 감지부
210: 운동량 산출부
232: 산소 발생기
234: 피톤치드 발생기
236: 풍압 발생기

Claims (10)

  1. 사용자의 발 움직임을 센싱하여 발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발 움직임 감지부;
    사용자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터치패널;
    상기 발 움직임 정보를 입력으로 기 학습된 운동량 산출 모델에 맵핑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산출하는 운동량 산출부;
    상기 사용자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하며, 상기 운동량 정보를 기반으로 피로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선택 정보와 상기 피로도 정보를 기반으로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통합 제어부;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 사운드, 게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재생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부;
    상기 영상 또는 게임이 출력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사운드 출력부;
    상기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에 대응하는 피로도 해소 물질이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에 대응하는 함량만큼 배출되도록 조절하는 피로도 해소 물질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도 해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 움직임 감지부는
    롤러가 롤링방식으로 구동하여 상기 롤러의 구동 속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발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발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러닝머신;
    상기 사용자가 발로 누를 수 있는 복수의 발판 형태의 눌림을 감지하여 상기 발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머신;
    상기 사용자가 발을 회전시키는 페달 형태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발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바이크머신; 및
    상기 사용자가 발로 누를 수 있는 복수의 키의 눌림을 감지하여 상기 발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보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도 해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량 산출부는
    발 움직임 정보로부터 발움직임 속도, 거리, 횟수를 추출하고, 발움직임 속도, 상기 거리, 상기 횟수를 기 학습된 운동량 산출 모델에 맵핑하여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도 해소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량 산출부는
    발움직임 속도, 거리, 횟수가 기 설정된 고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기 학습된 운동량 산출 모델을 이용하여 고 운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량 정보를 산출하며,
    발움직임 속도, 거리, 횟수가 기 설정된 고 임계치 이하이며, 중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기 학습된 운동량 산출 모델을 이용하여 중간 운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량 정보를 산출하며,
    발움직임 속도, 거리, 횟수가 기 설정된 중 임계치를 이하인 경우, 기 학습된 운동량 산출 모델을 이용하여 저 운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량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도 해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사용자 선택 정보에 포함된 특정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특정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로컬 영상 정보와 로컬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여 재생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도 해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부는 발 움직임 정보에 따라 로컬 영상이 3차원 형태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로컬 영상의 시점을 1인칭 시점 또는 3인칭 시점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도 해소 장치.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운동량 정보에 고 운동량 정보가 포함된 경우, 높은 피로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높은 피로도 정보에 대응하여 피로도 해소 물질이 기 설정된 일정 함량보다 높은 함량으로 포함되도록 하는 상기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하며,
    상기 운동량 정보에 중간 운동량 정보가 포함된 경우, 보통 피로도 정보를 산출하고, 보통 피로도 정보에 대응하여 피로도 해소 물질이 기 설정된 일정 함량만큼 포함되도록 하는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하며,
    상기 운동량 정보에 저 운동량 정보가 포함된 경우, 낮은 피로도 정보를 산출하고, 낮은 피로도 정보에 대응하여 피로도 해소 물질이 기 설정된 일정 함량보다 낮은 함량으로 포함되도록 하는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도 해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선택 정보에 포함된 특정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로컬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로컬 특성 정보를 피로도 해소 물질의 함량의 가중치로 반영한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도 해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로컬 특성 정보가 휴양림 또는 숲인 경우, 피로도 해소 물질의 함량을 기 설정된 일정 함량보다 높이도록 하는 높은 가중치를 반영한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로컬 특성 정보가 관광지인 경우, 피로도 해소 물질의 함량을 기 설정된 일정 함량만큼 포함하도록 하는 가중치를 미반영한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로컬 특성 정보가 도시인 경우, 피로도 해소 물질의 함량을 기 설정된 일정 함량보다 낮아지도록 하는 가중치를 반영한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도 해소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도 해소 물질 조절부는 상기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에 대응하는 피로도 해소 물질인 산소(Oxygen), 피톤치드(Phytoncide), 바람이 피로도 해소 물질 배출 명령에 대응하는 함량만큼 배출되도록 구비된 모터, 밸브, 노즐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도 해소 장치.
KR1020200000813A 2020-01-03 2020-01-03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이용한 피로도 해소 장치 KR102339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813A KR102339458B1 (ko) 2020-01-03 2020-01-03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이용한 피로도 해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813A KR102339458B1 (ko) 2020-01-03 2020-01-03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이용한 피로도 해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037A true KR20210088037A (ko) 2021-07-14
KR102339458B1 KR102339458B1 (ko) 2021-12-15

Family

ID=7686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813A KR102339458B1 (ko) 2020-01-03 2020-01-03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이용한 피로도 해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4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2191A (ja) * 2004-06-03 2005-1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運動装置
KR20150132932A (ko) * 2014-05-19 2015-11-27 안성룡 스크린 자전거 건강 관리 시스템
KR20170056396A (ko) * 2015-11-13 2017-05-2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에 기반한 웨어러블 자전거 운동 강도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2191A (ja) * 2004-06-03 2005-1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運動装置
KR20150132932A (ko) * 2014-05-19 2015-11-27 안성룡 스크린 자전거 건강 관리 시스템
KR20170056396A (ko) * 2015-11-13 2017-05-2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에 기반한 웨어러블 자전거 운동 강도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458B1 (ko) 202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618B1 (ko)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
CN1753706B (zh) 控制锻炼设备的系统和方法
WO2019022706A1 (en) EXERCISE PROGRAMS
US20080191864A1 (en) Interactive Surface and Display System
US20120135825A1 (en) Interactive device for video games
US201002798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one or more audio tracks to a video stream
JPH10151162A (ja) ベッドサイド患者ウェルネスシステム
JPH11253572A (ja) 健康増進用トレーニング装置
CN105597309B (zh) 用于花式足球训练及舞蹈娱乐的练习装置
US20120184823A1 (en) Integrated health and entertainment management system for smart handheld device
KR102151321B1 (ko) Vr 스포츠를 통한 피트니스 관리방법
Gerling et al. Designing wheelchair-based movement games
US20140244008A1 (en) Using a true representation of effort for fitness
Silva et al. An adaptive game-based exercising framework
KR102339458B1 (ko)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이용한 피로도 해소 장치
Mortazavi et al. Near-realistic motion video games with enforced activity
TWI220387B (en) Exercise device with virtual-reality and physical agility training functions
JP2018201769A (ja) 介護予防のためのゴルフゲームシステム
KR20110016665A (ko) 모니터링 정보 기반 시뮬레이션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1523140A (ja) 対話的運動パッドシステム
KR101242710B1 (ko) 생체신호처리를 이용한 다이어트 게임 장치 및 방법
JP3090045U (ja) 運動器材に設置される音声及び音楽提供装置
Parker Human motion as input and control in kinetic games
KR102086985B1 (ko) 사용자의 동작을 보여주는 워킹머신 시스템
US202301575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cycling p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