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6154A -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6154A
KR20210086154A KR1020190179887A KR20190179887A KR20210086154A KR 20210086154 A KR20210086154 A KR 20210086154A KR 1020190179887 A KR1020190179887 A KR 1020190179887A KR 20190179887 A KR20190179887 A KR 20190179887A KR 20210086154 A KR20210086154 A KR 20210086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chromic
electrochromic device
substrate
io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8146B1 (ko
Inventor
김형근
박수안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스포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스포컴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79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1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86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2001/16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the electrolyte is made of poly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우수한 특성의 고신뢰성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제1기판; 제1전극층; 전기변색층; 전해질층; 계면의 부반응을 억제하고, 이온 주입 시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버퍼층; 이온저장층; 제2전극층; 및 제2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Electrochrom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특성의 고신뢰성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변색소자(electrochromic device)는 전기와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하여 변색 물질이 자극되어 화학 반응이 일어나고, 가시적으로 변색 효과가 발생하는 소자이다. 전기변색소자는 제1기판 상에 형성된 제1전극과 제2기판 상에 형성된 제2전극이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 이온저장층, 전해질층 및 전기변색층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복수의 층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복수의 층들 외측,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폴리머 등을 이용한 격벽 등이 마련된다.
전기변색소자는 제1 및 제2전극에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되면 전해질층에 포함되어 있는 이온이 전기변색층 내부로 이동하여 산화/환원 반응을 함으로써 가시적으로 색이 변하거나 색의 농담이 변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소자이다. 예를 들어, 전기변색층이 환원반응에 의하여 착색되는 소자의 경우, 전기변색층에서 이온저장층으로 전류가 흐르면 전기변색층이 착색되고, 이와 반대로 이온저장층에서 전기변색층으로 전류가 흐르면 전기변색층에서 탈색이 일어나게 된다. 전기변색층이 산화반응에 의하여 착색되는 물질일 경우에는 예시와는 반대방향의 전류 흐름에서 착색 및 탈색 반응이 일어난다.
이러한 전기변색소자는 광 투과 특성을 이용하는 스마트 윈도우(smart window), 자동차용 룸미러, 투명 디스플레이의 차광판은 물론 표시 소자 등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전기변색소자의 이용 범위 및 용이성 등을 고려할 때, 전기변색소자는 유연성(flexibility)을 갖도록 제조될 필요가 있으며, 투명도 또한 중요하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반응속도를 나타내면서도 곡면에 코팅성을 나타내야 하고 수분침투 등에 강하여 신뢰성을 나타내는 전기변색소자의 개발에 대한 요청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특성의 고신뢰성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제1기판; 제1전극층; 전기변색층; 전해질층; 계면의 부반응을 억제하고, 이온 주입 시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버퍼층; 이온저장층; 제2전극층; 및 제2기판;을 포함한다.
전해질층은 겔형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은 산화물 및 Li계 고체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산화물은 ZnO, SnOx, Ta2O5 및 Zn-SnO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Li계 고체전해질은 LiPON, NASICON, 페로브스카이트 및 Garne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은 두께가 1nm 내지 10n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제1기판 및 제1전극층을 통해 유입된 불순물의 진행을 억제하는 제1배리어층; 및 제2기판 및 제2전극층을 통해 유입된 불순물의 진행을 억제하는 제2배리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배리어층 및 제2배리어층은 AZO, ITO, GZO 및 IZ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 및 제2기판은 연성기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전기변색층 및 전해질층 사이에 계면의 부반응을 억제하고, 이온 주입 시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버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기판 상에 제1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1전극층 상에 전기변색층을 형성하여 전기변색부를 형성하는 단계; 제2기판 상에 제2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2전극층 상에 이온저장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온저장층 상에 이온저장층의 계면 부반응을 제어하고, 이온 주입 시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버퍼층을 형성하여 이온저장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광학투명접착제 및 겔형 전해질을 포함하는 젤형 전해질층을 사이에 두고, 전기변색부 및 이온저장부를 합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버퍼층은 원자층 증착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겔 타입의 전해질을 이용하고 있어 곡면코팅성이 우수하고, 버퍼층을 추가로 형성하여 계면에서 발생하는 부반응을 억제하고, 이온이 주입될 때의 저항을 감소시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기판 및 전극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 등의 불순물의 진행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리어층을 구성하여 소자 신뢰성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버퍼층이 각각 ZnO 및 SnO일 때 NiO층 상에 적층된 후의 광투과도를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버퍼층이 각각 ZnO 및 SnO일 때 이온저장층/전기변색층에 적층된 후의 광투과도를 표시한 도면과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특정 패턴을 갖도록 도시되거나 소정두께를 갖는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설명 또는 구별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특정패턴 및 소정두께를 갖는다고 하여도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요소에 대한 특징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소자(100)는 제1기판(110); 제1전극층(120); 전기변색층(130); 전해질층(140); 계면의 부반응을 억제하고, 이온 주입 시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버퍼층(150); 이온저장층(160); 제2전극층(170); 및 제2기판(180);을 포함한다.
전기변색소자(100)는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80) 사이의 제1전극층(120) 및 제2전극층(170)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전해질층에 포함되어 있는 이온이 전기변색층으로 이동하여 산화/환원 반응을 함으로써 색이 변하는 소자이다. 따라서, 전기변색소자(100)의 색상은 전기변색층(130)의 색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므로, 제1기판(110), 제2기판(180), 제1전극층(120) 및 제2전극층(170)은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80)은 투명하고 유연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80)에 사용될 수 있는 유연성(flexibility)을 나타내는 기판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등의 투명 고분자 필름 중 어느 하나의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제1전극층(120) 및 제2전극층(170)은 투명한 재질의 전도성 물질로 구현되는데,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FTO(F-doped tin oxide), ATO(antimony tin oxide), AZO(ZnO:Al), GZO(ZnO:Ga), a-IGZO(In2O3:Ga2O3:ZnO), MgIn2O4, Zn2SnO4, ZnSnO3, (Ga,In)2O3, Zn2In2O5, InSn3O12, In2O3, SnO2, Cd2SnO4, CdSnO3 및 CdIn2O4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금속산화물이거나, Cu, Al, Sn, Ni, W, Ti, Cr, Co, Zn, Ta, V, Au, Ag, TiN 및 Pt 중에서 선택되는 금속이거나, Cu 나노와이어 또는 Ag 나노와이어와 같은 금속나노와이어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전극층(120) 및 제2전극층(170)은 열증착(thermal deposition), 화학기상증착 또는 스퍼터링 등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하거나, 코팅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온저장층(160)은 전기 변색 반응에 관여하는 이온의 입출입에 관여한다. 전기변색층(130)에서 이온을 내보내는 반응을 할 경우에는 전기변색층(130)으로부터 나온 이온을 이온저장층(160)에서 수용하고, 전기변색층(130)에서 이온을 받아들이는 반응을 할 경우에는 이온저장층(160)에서 해당 이온을 제공한다. 이온저장층(160)은 수소 이온 또는 리튬 이온 등과 같은 복수의 양이온 또는 전기변색에 참여하는 다른 종류의 이온을 저장하기 위한 이온 저장 소재 또는 산화/환원 착색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이온저장층(160)은 전기변색층(130)과 더불어 소자의 변색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또 다른 전기변색층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전기변색소자의 이온저장층(160)은 전기변색층(130)과 산화환원반응에서 대응되는 반응을 가지는 전기 변색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전기변색층(130)이 환원 변색 물질의 경우, 이온저장층(160)은 산화 변색 물질일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전기변색소자의 이온저장층(160)이 또 다른 전기변색층으로 구성될 경우, 소자의 착색 투과도가 감소하여 변색 효율이 증대된다.
전기변색층(130)은 전기 신호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전기 변색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전기 변색 물질은 무기물이나 유기물일 수 있다.
이온저장층(160) 및 전기변색층(130)으로 사용되는 전기변색물질은 산화반응 또는 환원반응 중 어느 반응에 의하여 변색되느냐에 따라 유동적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이온저장층과 전기변색층이 소자로 연결되었을 때 산화환원반응이 대응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온저장층(160) 및 전기변색층(130)으로 사용되는 전기변색물질이 무기물인 경우에 박막 형태로 증착되는 전이 금속 산화물이 이용될 수 있는데, NiO, W-NiO, Cr2O3, MnO2, Rh2O3, CoOx, Ir(OH)x, Fe2O3, WO3, ZnO, NbO5, V2O5, TiO2, MoO3 등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유기물인 전기변색물질은 비올로겐(viologen) 화합물, 프타로시아닌(diphtahlocyanine) 화합물, 테트라티아풀발렌(tetrathiafulvalene) 화합물 등과 polyaniline, polythiophene, PEDOT(3,4-ethylenedioxythiophene) 등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고분자 화합물이 있다. 유기 전기변색물질은 햇빛에 분해되어 수명이 단축될 수 있는 단점이 있지만, 이들을 적절히 섞으면 원하는 색을 낼 수 있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전해질층(140)은 전기 변색 반응에 관여하는 이온이 포함된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전해질층(140)에는 고체전해질 또는 겔형 전해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100)에는 겔형 전해질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겔형 전해질이란 전기 변색 반응에 참여하는 이온을 포함하는 염이 용해된 용매에 고분자가 포함된 물질로 이후의 공정에서 광이나 열로 경화될 수 있도록 개시제, 가교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겔형 전해질에 포함되는 염으로는 LiClO4, LiPF6, LiTFSI(CF3SO2NLiSO2CF3), LiFSI(F2LiNO4S2) 등과 같은 Li+계가 통상적으로 사용되나 전기 변색 반응에 참여하는 이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겔형 전해질에 사용되는 고분자 물질로는 PEO(polyethylene oxide), PEG(poly(ethylene glycol)), PAN(poly acrylonitrile)을 기반으로 한 고분자이거나 기타 다른 종류의 고분자일 수 있다. 용매로는 전기화학반응에 안정적이며 휘발성이 낮은 유기용매가 주로 사용되며, PC(propylene carbonate), EC(ethylene carbonate) 등이 있다.
전해질층(140)에 사용되는 물질로는 위의 예시뿐만이 아니라 전기변색층(130) 및 이온저장층(160)에서 일어나는 산화환원반응과 연계하여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전기변색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기타 다양한 종류의 첨가제가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소자(100)는 계면의 부반응을 억제하고, 이온 주입 시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버퍼층(150)을 포함한다. 버퍼층(150)은 이온저장층(160)의 부피팽창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고, 이온저장층(160) 및 전해질층(140) 계면의 부반응을 억제한다. 또한, 전해질층(140)로부터 이온저장층(160)에의 이온 주입시 이온 주입에 따른 저항을 감소시켜 전기변색소자(100)의 안정성을 도모한다.
버퍼층(150)은 산화물 및 Li계 고체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150)에 포함되는 산화물은 ZnO, SnOx, Ta2O5 및 Zn-SnO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150)에 포함되는 Li계 고체전해질은 LiPON, NASICON, 페로브스카이트 및 Garne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150)은 두께가 1nm 내지 10nm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100)는 전기변색층(130) 및 전해질층(140) 사이에 계면의 부반응을 억제하고, 이온 주입 시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제2버퍼층(1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기변색소자(100)는 이온저장층(160) 및 전해질층(140) 사이의 제1버퍼층(150)과 전해질층(140) 및 전기변색층(130) 사이의 제2버퍼층(151)을 포함한다. 제1버퍼층(150) 및 제2버퍼층(151)은 각각 이온저장층(160) 및 전해질층(140) 사이의 계면에서의 부반응과 전해질층(140) 및 전기변색층(130) 사이의 계면에서의 부반응을 억제한다. 또한, 이온 입출입에 따라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화하여 전기변색소자(100)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기변색소자(100)는 제1기판(110) 및 제1전극층(120)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불순물의 진행을 억제하는 제1배리어층(191); 및 제2기판(180) 및 제2전극층(170)을 통해 유입된 불순물의 진행을 억제하는 제2배리어층(19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변색소자(100)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불순물로는 물이나 산소가 있다. 전기변색소자(100)는 물이나 산소에 의해 쉽게 열화되는데, 특히, 이온저장층(160), 전해질층(140) 및 전기변색층(130)이 불순물에 노출되면 전기변색소자(100)의 성능은 크게 낮아진다. 따라서, 제1전극층(120) 및 제2전극층(170)과의 사이에 배리어층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의 불순물 유입을 억제하면, 전기변색소자(1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배리어층(191) 및 제2배리어층(192)은 AZO, ITO, GZO 및 IZ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리어층(191, 192)은 불순물의 유입을 억제하는 내구성 높은 금속산화물일 수 있는데, 이러한 금속산화물은 투명도가 낮은 특성이 있다. 따라서, 배리어층(191, 192)이 전기변색소자(100)의 투명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배리어층(191, 192)은 가능한한 박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배리어층(191, 192)이 얇을 수록 불순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성능이 낮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100)에서는 배리어층(191, 192)을 원자층 증착(atomic layer deposition, ALD) 공정을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원자층 증착공정은 원차층이 1층, 2층과 같이 층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공정인데, ALD 공정은 증착하고자 하는 원자의 전구체 가스를 주입하고 반응가스를 함께 주입하여 증착대상 기판에 원자를 층으로 적층하여 박막을 형성시키는 공정이다.
원자층 증착공정은 원자의 배열로 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므로, 금속산화물이 층으로 바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원자단위로 배열된다. 따라서, 만약 전극층에 외부로부터 불순물이 유입될 수 있는 흠이 있다면, 흠이 있는 영역부터 원자단위로 배열되므로 전극층의 흠을 치유하면서 층이 형성될수 있다. 이에 따라, 원자층 증착공정에 의해 형성된 배리어층(191, 192)들은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배리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버퍼층이 각각 ZnO 및 SnO일 때 NiO층 상에 적층된 후의 광투과도를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으로는 PET필름, 전극으로는 ITO층, 전기변색층으로는 WO3, 전해질층으로는 OCA 겔형 전해질, 이온저장층으로는 NiO가 사용되었다.
도 4에는 전해질층과 이온저장층 사이에, ZnO층이 버퍼층으로 사용되었을 때, 각각의 두께에 따른 투명도 및 헤이즈가 도시되어 있다. ZnO의 두께가 5nm일 때, 투명도와 헤이즈 특성이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5에는 전해질층과 이온저장층 사이에, SnOx층이 버퍼층으로 사용되었을 때, 각각의 두께에 따른 투명도 및 헤이즈가 도시되어 있다. ZnO의 두께가 5nm일 때, 투명도와 헤이즈 특성이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버퍼층에 ZnO와 SnOx가 사용된 결과, ZnO가 버퍼층에 사용된 경우, 더욱 우수한 투명도 특성을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버퍼층이 각각 ZnO 및 SnO일 때 이온저장층/전기변색층에 적층된 후의 광투과도를 표시한 도면과 그래프이다. Ref는 버퍼층이 없는 상태의 전기변색소자이고, NZ-W는 이온저장층에 ZnO 버퍼층, N-WZ는 전기변색층에 ZnO 버퍼층, NZ-WZ는 이온저장층과 전기변색층에 ZnO 버퍼층, NS-W는 이온저장층에 SnOx 버퍼층, N-WS는 전기변색층에 SnOx 버퍼층, NS-WS는 이온저장층과 전기변색층에 SnOx 버퍼층을 형성한 전기변색소자를 의미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온저장층에 ZnO 버퍼층이 형성된 NZ-W의 투명도 변화량이 가장 우수하였고, 이온저장층에 SnOx 버퍼층이 형성된 NS-W의 투명도 변화량이 우수하여 이온저장층 측에 버퍼층이 형성된 경우, 성능이 우수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기판 상에 제1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1전극층 상에 전기변색층을 형성하여 전기변색부를 형성하는 단계; 제2기판 상에 제2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2전극층 상에 이온저장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온저장층 상에 이온저장층의 계면 부반응을 제어하고, 이온 주입 시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버퍼층을 형성하여 이온저장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광학투명접착제 및 겔형 전해질을 포함하는 젤형 전해질층을 사이에 두고, 전기변색부 및 이온저장부를 합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소자 제조방법에서는 2개의 서로 다른 기판에서 형성된 이온저장부 및 전기변색부를 합지하여 하나의 전기변색소자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합지단계는, 광 또는 열로 경화되는 특성을 가지는 광학투명접착제를 포함하는 겔형 전해질층을 형성하여, 양 측에 이온저장부 및 전기변색부를 접착시키고, 광 또는 열로 경화시켜 전기변색소자를 형성한다. 즉, 겔형 전해질에 포함된 고분자가 광 또는 열로 가교되어 전해질의 점도가 증가하므로 별도의 접착제 등을 이용한 부착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전기변색소자에 포함되는 전해질층을 형성하는 동시에 부착단계까지 수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전기변색소자
110 제1기판
120 제1전극층
130 전기변색층
140 전해질층
150, 151 버퍼층
160 이온저장층
170 제2전극층
180 제2기판
191 제1배리어층
192 제2배리어층

Claims (12)

  1. 제1기판; 제1전극층; 전기변색층; 전해질층; 계면의 부반응을 억제하고, 이온 주입 시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버퍼층; 이온저장층; 제2전극층; 및 제2기판;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해질층은 겔형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버퍼층은 산화물 및 Li계 고체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산화물은 ZnO, SnOx, Ta2O5 및 Zn-SnO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5. 청구항 3에 있어서,
    Li계 고체전해질은 LiPON, NASICON, 페로브스카이트 및 Garne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6. 청구항 1에 있어서,
    버퍼층은 두께가 1nm 내지 1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기판 및 제1전극층을 통해 유입된 불순물의 진행을 억제하는 제1배리어층; 및
    제2기판 및 제2전극층을 통해 유입된 불순물의 진행을 억제하는 제2배리어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1배리어층 및 제2배리어층은 AZO, ITO, GZO 및 IZ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기판 및 제2기판은 연성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전기변색층 및 전해질층 사이에 계면의 부반응을 억제하고, 이온 주입 시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11. 제1기판 상에 제1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1전극층 상에 전기변색층을 형성하여 전기변색부를 형성하는 단계;
    제2기판 상에 제2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2전극층 상에 이온저장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온저장층 상에 이온저장층의 계면 부반응을 제어하고, 이온 주입 시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버퍼층을 형성하여 이온저장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광학투명접착제 및 겔형 전해질을 포함하는 젤형 전해질층을 사이에 두고, 전기변색부 및 이온저장부를 합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버퍼층은 원자층 증착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제조방법.
KR1020190179887A 2019-12-31 2019-12-31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68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887A KR102468146B1 (ko) 2019-12-31 2019-12-31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887A KR102468146B1 (ko) 2019-12-31 2019-12-31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154A true KR20210086154A (ko) 2021-07-08
KR102468146B1 KR102468146B1 (ko) 2022-11-18

Family

ID=76894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887A KR102468146B1 (ko) 2019-12-31 2019-12-31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1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14037A2 (en) 2021-06-30 2023-01-04 LG Display Co., Ltd. Sound apparatus and sound system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4431A (ko) * 2005-09-23 2007-03-2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고체 무기전해질 보호막을 이용한 전기변색소자 및 그제조방법
KR20170090553A (ko) * 2016-01-28 2017-08-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극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변색 소자
KR20190127459A (ko) * 2018-05-04 2019-1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변색 소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4431A (ko) * 2005-09-23 2007-03-2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고체 무기전해질 보호막을 이용한 전기변색소자 및 그제조방법
KR20170090553A (ko) * 2016-01-28 2017-08-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극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변색 소자
KR20190127459A (ko) * 2018-05-04 2019-1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변색 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14037A2 (en) 2021-06-30 2023-01-04 LG Display Co., Ltd. Sound apparatus and sound system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146B1 (ko)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6640B1 (ko) 전기화학장치
US20220342268A1 (e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low-resistance transparent electrode structure
CN108164508B (zh) 紫精化合物以及包含该紫精化合物的电解质、透光率可变面板和显示装置
EP3617788B1 (en) Electrochromic film and electrochromic element comprising same
KR102149672B1 (ko) 전기변색 소자
EP403022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CN104122730A (zh) 一种反射型电致变色器件
KR102021189B1 (ko)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24830A (ko) 단열기능이 있는 스마트 윈도우 코팅
US11969970B2 (en) Electrochromic films with edge protection
JP2006030820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EP368666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chromic device
CN113376889A (zh) 基于聚合物分散液晶的电致变色装置、制备方法及电子设备
KR102468146B1 (ko)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67224B1 (ko) 겔 폴리머 전해질,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351850B1 (ko) 전기변색소자
KR102483695B1 (ko) 원자층 증착공정을 이용한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79142B1 (ko) 전기변색소자
EP3618082A1 (en) Conductive laminate and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same
KR102397828B1 (ko) 변색성능이 향상된 전기 변색소자 및 이의 구동방법
Bircan et al. Use of polymer/ionic liquid plasticizers as gel electrolytes in electrochromic devices
KR102126684B1 (ko) 전기변색소자의 구동방법
KR102126683B1 (ko) 전기변색소자의 구동방법
KR102250555B1 (ko) 밀봉 변색소자의 제조방법 및 변색소자
CN111856831A (zh) 一种电致变色器件、控制方法以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