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595A -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 - Google Patents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595A
KR20210085595A KR1020190178811A KR20190178811A KR20210085595A KR 20210085595 A KR20210085595 A KR 20210085595A KR 1020190178811 A KR1020190178811 A KR 1020190178811A KR 20190178811 A KR20190178811 A KR 20190178811A KR 20210085595 A KR20210085595 A KR 20210085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base
clamp
fixed
pa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8240B1 (ko
Inventor
박수범
Original Assignee
(주)홍익 하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홍익 하이엠 filed Critical (주)홍익 하이엠
Priority to KR1020190178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240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7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with at least two picking-up h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는 극판집속체의 전체 길이가 변경되더라도 별다른 조절없이 극판집속체를 부드럽게 그리핑할 수 있는 컨베이어 상의 극판집속체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고정 패들과 상기 각 고정 패들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이동 패들을 포함하는 컨베이어에서 고정 패들과 이동 패들 사이의 배치되어 이송되는 복수의 극판집속체를 동시에 그리핑하는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상면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동시에 동작하는 2개의 단위 그리핑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단위 그리핑 장치는: 전체 장치의 구조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컨베이어 이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집게 모듈; 공압에 의하여 구동되며, 상기 베이스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제1집게 모듈을 이송시키는 제1공압 작동기; 상기 제1집게 모듈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컨베이어 이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집게 모듈; 및 공압에 의하여 구동되며, 상기 베이스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제1집게 모듈을 이송시키는 제1공압 작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집게 모듈과 상기 제2집게 모듈 사이에 상기 복수의 극판집속체가 배치되어 그리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Gripping device for cell stacks unit}
본 발명은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상에 배치되어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된 극판집속체들을 그리핑하는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축전지를 구성하는 극판은 제조공정에서부터 자동화시스템을 통해서 이송과 함께 제조공정이 제어된다. 이것은 극판을 형성하는 재료적인 특성 상,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이 직접적으로 만지고 제조공정을 수행하기에는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축전지의 제조를 위한 자동화시스템은, 필요한 제조 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 제조 공정 수행 전에 필요한 제조 공정 위치로 극판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장치는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54122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극판집속체가 공급이송되는 컨베이어시스템으로부터 극판집속체를 분리하여 극판집속체 픽업시스템에 이송하는 극판집속체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극판집속체이송장치는 축전지 극판 컨베이어시스템의 상부중간에 이로부터 약간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이 프레임의 하측에는 축전지 극판 컨베이어시스템의 하부기대의 안내관을 통하여 전후 한쌍씩의 안내봉이 하측으로 연장되고 이들의 하측단부에 수평지지판이 착설되며, 하부기대에 하측의 중간에 체인 스프로켓이 착설되고 측부에 유압실린더가 수평으로 착설되며 수평지지판의 중간으로부터 체인이 연장되어 체인 스프로켓을 통하여 유압실린더의 피스턴에 연결되고, 극판집속체이송장치의 프레임상에는 전면측에 파지판쌍사이에 실리어 운반되는 극판집속체의 양측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집게편을 갖는 다수의 집게조립체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는 극판집속체를 집게편을 통하여 파지한 후 상단으로 이송하여, 이후 극판집속체 픽업시스템이 극판집속체를 픽업하여 후속 공정으로 전달하도록 지원하는 장치이다.
상기 특허는 극판집속체를 전자식 집게편을 이용하여 그립핑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고, 또한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는 극판집속체의 수가 사전에 설정된 것으로 한정되어 운영되는 구성이다.
만약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극판집속체의 수가 변경되거나 극판집속체가 컨베이어 상에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전자식 집게편의 중심은 항상 일정한 위치에 있어, 극판집속체가 그리핑될 경우 집게편 중심과 극판집속체 전체 길이 중심의 불일치에 따라 극판집속체가 컨베이어 바닥에 쓸리어 일부 망실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집게편이 고정된 프레임 전체가 컨베이어 이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전기식 서보 장치를 구축해야 하나, 상기와 같은 서보 방식은 열악한 작업 환경에 의하여 오동작될 우려가 있으며, 복잡한 구성에 따라 높은 제작비용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는 극판집속체의 전체 길이가 변경되더라도 별다른 조절없이 극판집속체를 부드럽게 그리핑할 수 있는 컨베이어 상의 극판집속체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고정 패들과 상기 각 고정 패들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이동 패들을 포함하는 컨베이어에서 고정 패들과 이동 패들 사이의 배치되어 이송되는 복수의 극판집속체를 동시에 그리핑하는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상면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동시에 동작하는 2개의 단위 그리핑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단위 그리핑 장치는: 전체 장치의 구조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컨베이어 이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집게 모듈; 공압에 의하여 구동되며, 상기 베이스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제1집게 모듈을 이송시키는 제1공압 작동기; 상기 제1집게 모듈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컨베이어 이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집게 모듈; 및 공압에 의하여 구동되며, 상기 베이스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제1집게 모듈을 이송시키는 제1공압 작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집게 모듈과 상기 제2집게 모듈 사이에 상기 복수의 극판집속체가 배치되어 그리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집게 모듈은 복수의 제1집게판, 상기 제1집게판에서 연장형성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집게 모듈은 복수의 제2집게판, 상기 제2집게판에서 연장형성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와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공압 작동기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 내부에서 공급되는 공압에 의하여 왕복 운동하는 제1피스톤 및 상기 제1피스톤에 연결되는 제1작동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작동로드가 상기 제1가이드부와 결합하며, 상기 제2공압 작동기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제2실린더, 상기 제2실린더 내부에서 공급되는 공압에 의하여 왕복 운동하는 제2피스톤 및 상기 제2피스톤에 연결되는 제2작동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작동로드가 상기 제2가이드부와 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개방위치에서, 상기 제1집게판은 고정 패들 후면과 후면 방향으로 이웃하는 이동 패들 전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집게판은 이동 패들 전면과 이동 패들 전면과 전면 방향으로 이웃하는 고정 패들 후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립위치에서, 상기 제1집게판의 전면은 상기 고정 패들 전면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집게판의 후면은 극판집속체의 전면과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립위치에서, 상기 제1집게판의 전면은 상기 고정 패들 전면과 전면 방향으로 1mm 내지 10mm 이격된 위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집게판의 후면은 극판집속체의 전면과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공압 작동기는 상기 제1공압 작동기가 결합된 베이스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는 컨베이어 장치의 고정 패들의 위치와 연동되는 제1집게 모듈을 짧은 거리 이송하는 제1공압 작동기와 상기 고정 패들과 최대한의 거리에 위치한 이동 패들을 넘어 배치된 제2집게 모듈을 구동하는 제2공압 작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고정 패들과 이송 패들 사이에 배치되는 모든 길이의 극판집속체를 부드럽게 그리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극판집속체를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컨베이어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3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단위 그리핑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집게 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2집게 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집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극판(1)은 납 또는 산화납으로 제조되고, 직사각형의 형태이며, 상부 일측에 단자연결부(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2개의 돌기(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극판(1)은 포장물인 엔빌로프(envelope)(4)의 내부에 수용되고, 단자연결부(2)만이 상측 개방부를 통하여 노출된다. 이와 같이 엔빌로프(4)에 삽입된 극판(1)은 각 단자연결부(2)가 좌우 교대로 배치될 수 있도록 수 개가 접속되어 극판집속체(5)를 구성하며, 상기 개수는 배터리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따라서 극판집속체(5)의 전체 길이는 극판(1)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상기 극판집속체(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컨베이어(10)를 통하여 이송하고, 컨베이어(10) 끝단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100)에 의하여 그리핑된 후 상단으로 이송되면, 별도의 극판집속체 픽업시스템에 의하여 픽업되어 다른 공정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100)는 컨베이어(10)에 의하여 다수의 극판집속체(5)가 이송된 경우, 극판집속체(5) 방향으로 전진하여 다수의 극판집속체(5)를 동시에 그리핑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컨베이어(10)의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한다.
상기 컨베이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 패들(11)과 상기 고정 패들(11)을 연결하는 고정 체인(12), 상기 고정 패들(11)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이동 패들(13), 상기 이동 패들(13)을 연결하는 이동 체인(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고정 패들(11)과 이동 패들(13)은 별도의 고정 부재들에 의하여 가이드되며, 상기 고정 체인(12)과 이동 체인(14)은 별도의 스포로켓에 의하여 이송되며, 결국 상기 고정 패들(11)과 이동 패들(13)이 같은 속도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이동 체인(14)에 결합하는 스포로켓을 상기 고정 체인(12)에 결합하는 스프로켓과 위상 차이를 주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패들(11)과 이동 패들(1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 제조를 위하여 이송되는 극판집속체(5)는 포함된 극판(1) 수가 달라, 전체 길이가 변화되더라도 상기와 같이 스프로켓의 위상 변경에 의하여 대응시킬 수 있으며, 상기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고정 패들(11)과 이동 패들(13) 사이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다양한 길이의 극판조립체(5)를 그리핑하여 상단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0)의 상단에 배치되는 별도의 부재와 상기 부재위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되는 2개의 단위 그리핑 장치(20)가 동일하게 동작하여 다수의 극판집속체(5)를 동시에 양측면에서 그리핑한다.
물론 상기 단위 그리핑 장치(20)는 상기 컨베이어(10)의 동작과 연동하며, 극판집속체(5) 이송 시에는 극판집속체(5)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극판집속체(5)와 컨베이어(10) 이송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기리 이격된 곳에 위치하고, 컨베이어(10)에 의하여 극판집속체(5)의 이송이 완료된 경우, 극판집속체(5) 방향으로 전진하며, 또한 그리핑 후에 전체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100)가 상승한다. 또한 극판집속체(5)의 전달이 완료된 경우, 하강 및 후진 동작이 수행되며, 상기와 같은 전진/후진 및 상승/하강은 별도의 액추에이터들에 의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은 극판조립체(5)를 그리핑하는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100)에 관한 구성이므로, 상기와 같은 전진/후진 및 상승/하강을 위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100)는 상기 컨베이어(10) 상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2개의 단위 그리핑 장치(20)로 구성되므로, 단위 그리핑 장치(2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단위 그리핑 장치(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0), 상기 베이스(30)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제1집게 모듈(40), 상기 베이스(30)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제2집게 모듈(60), 상기 제1집게 모듈(40)을 구동하는 제1공압 작동기(50), 상기 제2집게 모듈(60)을 구동하는 제2공압 작동기(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30)는 단위 그리핑 장치(20)를 지지하는 구조물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진동과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집게 모듈(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1집게판(41)과 상기 제1집게판(41)에서 연장되는 제1연결부(42)와 상기 제1연결부(42)의 끝단과 결합하며, 상기 베이스(30)에서 컨베이어(10) 이송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제1가이드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집게 모듈(40)은 상기 베이스(30)에서 컨베이어(10) 이송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30)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43)를 수용하는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부(43)의 끝단에는 제1공압 작동기(50)가 결합한다. 상기 제1공압 작동기(50)는 복동식으로, 원통형상의 제1실린더(51)와 상기 제1실린더(51) 내부에서 이송하는 제1피스톤(52)과 상기 제1피스톤(52)에 연장되는 제1작동로드(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실린더(51)의 일측이 상기 베이스(30)에 고정되고, 상기 제1작동로드(53)의 끝단이 상기 제1가이드부(43)의 끝단과 결합하여, 제1실린더(51)에 공급되는 공압에 따라 상기 제1작동로드(53)가 전진 또는 후퇴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제1가이드부(43)를 이송한다.
상기 제2집게 모듈(60)은 상기 제1집게 모듈(4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나, 상기 제1집게 모듈(40)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30)에 결합한다.
상기 제2집게 모듈(6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2집게판(61)과 상기 제2집게판(61)에서 연장되는 제2연결부(62)와 상기 제2연결부(62)의 끝단과 결합하며, 상기 베이스(30)에서 컨베이어(10) 이송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제2가이드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집게 모듈(40)과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제2연결부(62)의 위치, 길이 등을 조절하고,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63)가 배치되는 베이스(30)의 위치를 제1가이드부(43)와 다른 위치로 배치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제2집게 모듈(60)의 제2가이드부(63)는 베이스(30)의 하면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집게 모듈(60)은 상기 베이스(30)에서 컨베이어(10) 이송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30)에는 상기 제2가이드부(63)를 수용하는 가이드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부(63)의 끝단에는 제2공압 작동기(60)가 결합하나, 상기 제1공압 작동기(50)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한 경우 간섭이 발생하지 하도록 배치되어 같은 방향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공압 작동기(70) 역시 복동식으로, 원통형상의 제2실린더(71)와 상기 제2실린더(71) 내부에서 왕복 이송하는 제2피스톤(72)과 상기 제2피스톤(72)에 연장되는 제2작동로드(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실린더(71)의 일측이 상기 베이스(30)에 고정되고, 상기 제2작동로드(73)의 끝단이 상기 제2가이드부(63)의 끝단과 결합하여, 제2실린더(71)에 공급되는 공압에 따라 상기 제2작동로드(73)가 전진 또는 후퇴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제2가이드부(63)를 이송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위 그리핑 장치(20)는 제1집게판(41)과 제2집게판(61)이 서로 이동하면서, 극판조립체(5)를 그리핑한다.
상기 제1집게판(41)의 이동은 상기 제1공압 작동기(50)에 의하여 수행되고, 상기 제2집게판(61)은 상기 제2공압 작동기(70)에 의하여 수행되며, 이하에서는 컨베이어(10)의 고정 패들(11)과 이동 패들(13)과 연동하여 각 판(41, 61)의 개방위치와 그립위치에 대하여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8은 한쌍의 집게판(41, 61)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각 집게의 거리는 고정 패들(11)의 배치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므로, 나머지 집게판(41, 61) 역시 동일한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개방위치(A)는 각 판(41, 61)이 상기 고정 패들(11)과 이동 패들(13) 사이에 위치하여 이송되어 온 극판조립체(5)를 잡기전에 배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1공압 작동기(50)와 제2공압 작동기(70)의 작동로드(53, 73)은 최소 스트로크 상태에 해당한다.
그리고 그립위치(B)는 극판조립체(5)의 전후면을 각 판(41, 61)의 일면이 접촉하여 극판조립체(5)를 잡은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제1공압 작동기(50)는 최대 스트로크 상태에 해당하나, 제2공압 작동기(70)는 극판조립체(5)의 길이에 따라 스트로크 상태가 결정되고, 일정한 공압이 작용하여 극판조립체(5)를 일정한 힘으로 항상 가압하는 상태이다.
또한 상기 고정 패들(11)과 이동 패들(13)은 컨베이어(10) 이송 방향을 향하는 면을 전면, 반대 방향을 후면이라 하면, 극판조립체(5)는 항상 고정 패들(11)의 전면과 이동 패들(13)의 후면 사이에 배치되어 이송된다.
또한 상기 판(41, 61) 역시 상기 패들(11, 13)과 동일한 방식으로 전면과 후면을 정의한다.
개방위치(A)에서 제1집게판(41)은 고정 패들(11) 후면을 기준으로 컨베이어(10) 이송 반대 방향으로 일정거리(c)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고정 패들(11) 후면에서 이격된 위치는 우측 이웃에 위치하는 이동 패들(13) 사이에 배치되어 간섭을 피해야 하며, 가능한 한 상기 고정 패들(11) 후면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집게판(61)은 이동 패들(13)의 전면에서 컨베이어(10) 이송 방향으로 일정거리(d)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2집게판(61)의 거리 d는 적어도 생산할 수 있는 극판조립체(5) 길이 이상이며,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좌측 이웃에 위치하는 고정 패들(13) 후면 이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2집게판(61)을 위치를 설정하는 경우 어떠한 길이의 극판조립체(5)를 이송하더라도 중심점 설정에 관계없이 극판조립체(5)를 공압으로 안전하게 그립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그립위치(B)에서는 상기 제1집게판(41)의 전면과 고정 패들(11)의 전면이 일치하도록 상기 제1집게판(41)의 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제1집게판(41)은 고정 패들(11)과 동일한 전면이 배치되도록 하여 극판조립체(5)의 후면에 접촉하도록 한다.
필요한 경우, 제1집게판(41)의 전면이 고정 패들(11) 전면보다 약간의 거리(e) 컨베이어(10) 이송 방향으로 전진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거리 e는 1mm 내지 10mm 이내로 설정되며, 특히 극판조립체(5)가 뒤틀려서 상기 패들(11, 13)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정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제2집게판(61)은 최대 스트로크 이내로 동작되도록 설정하여, 극판조립체(5)의 전면에 상기 제2집게판(61)의 후면이 접촉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2공압 작동기(70)에 공압을 공급하여 최대스크로크 방향으로 작동로드(73)를 동작하도록 하면, 극판조립체(5)의 전면에 접촉하면서 이동이 중지되고, 공급된 공압에 의하여 극판조립체(5)를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극판조립체(5)는 상기 판(41, 61) 사이에 배치되어 다른 부분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공급되는 공압에 의하여 그리핑된다.
특히 상기 제2공압 작동기(70)는 개방위치(A)에서 최소 스트로크로 배치되고, 그립위치(B)에서는 공압에 의하여 스트로크를 증가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며, 극판조립체(5)의 길이와 연동되어 스트로크의 결정되므로, 극판조립체(5)에 길이에 관계없이 일정한 가압력을 극판조립체(5)에 인가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극판 2: 단자연결부
3: 돌기 4: 엔빌로프
5: 극판집속체 10: 컨베이어
11: 고정 패들 12: 고정 체인
13: 이동 패들 14: 이동 체인
20: 단위 그리핑 장치 30: 베이스
40: 제1집게 모듈 41: 제1집게판
42: 제1연결부 43: 제1가이드부
50: 제1공압 작동기 51: 제1실린더
52: 제1피스톤 53: 제1작동로드
60: 제2집게 모듈 61: 제2집게판
62: 제2연결부 63: 제2가이드부
70: 제2공압 작동기 71: 제2실린더
72: 제2피스톤 73: 제2작동로드
100: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

Claims (7)

  1. 복수의 고정 패들과 상기 각 고정 패들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이동 패들을 포함하는 컨베이어에서 고정 패들과 이동 패들 사이의 배치되어 이송되는 복수의 극판집속체를 동시에 그리핑하는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상면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동시에 동작하는 2개의 단위 그리핑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단위 그리핑 장치는:
    전체 장치의 구조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컨베이어 이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집게 모듈;
    공압에 의하여 구동되며, 상기 베이스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제1집게 모듈을 이송시키는 제1공압 작동기;
    상기 제1집게 모듈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컨베이어 이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집게 모듈; 및
    공압에 의하여 구동되며, 상기 베이스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제1집게 모듈을 이송시키는 제1공압 작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집게 모듈과 상기 제2집게 모듈 사이에 상기 복수의 극판집속체가 배치되어 그리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집게 모듈은 복수의 제1집게판, 상기 제1집게판에서 연장형성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집게 모듈은 복수의 제2집게판, 상기 제2집게판에서 연장형성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와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공압 작동기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 내부에서 공급되는 공압에 의하여 왕복 운동하는 제1피스톤 및 상기 제1피스톤에 연결되는 제1작동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작동로드가 상기 제1가이드부와 결합하며,
    상기 제2공압 작동기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제2실린더, 상기 제2실린더 내부에서 공급되는 공압에 의하여 왕복 운동하는 제2피스톤 및 상기 제2피스톤에 연결되는 제2작동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작동로드가 상기 제2가이드부와 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개방위치에서,
    상기 제1집게판은 고정 패들 후면과 후면 방향으로 이웃하는 이동 패들 전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집게판은 이동 패들 전면과 이동 패들 전면과 전면 방향으로 이웃하는 고정 패들 후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그립위치에서,
    상기 제1집게판의 전면은 상기 고정 패들 전면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집게판의 후면은 극판집속체의 전면과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청구항 3에 있어서, 그립위치에서,
    상기 제1집게판의 전면은 상기 고정 패들 전면과 전면 방향으로 1mm 내지 10mm 이격된 위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집게판의 후면은 극판집속체의 전면과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공압 작동기는 상기 제1공압 작동기가 결합된 베이스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
KR1020190178811A 2019-12-31 2019-12-31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 KR102308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811A KR102308240B1 (ko) 2019-12-31 2019-12-31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811A KR102308240B1 (ko) 2019-12-31 2019-12-31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595A true KR20210085595A (ko) 2021-07-08
KR102308240B1 KR102308240B1 (ko) 2021-10-05

Family

ID=76893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811A KR102308240B1 (ko) 2019-12-31 2019-12-31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2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6520A (zh) * 2021-11-30 2022-03-08 苏州增华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电芯模组堆叠的夹紧机构
KR20230015611A (ko) * 2021-07-23 2023-01-31 (주)신일팜글라스 정밀 이송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6317A (ja) * 1998-07-21 2000-02-02 Furukawa Battery Co Ltd:The 極板群搬送用ホル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6317A (ja) * 1998-07-21 2000-02-02 Furukawa Battery Co Ltd:The 極板群搬送用ホル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611A (ko) * 2021-07-23 2023-01-31 (주)신일팜글라스 정밀 이송장치
CN114156520A (zh) * 2021-11-30 2022-03-08 苏州增华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电芯模组堆叠的夹紧机构
CN114156520B (zh) * 2021-11-30 2024-01-16 苏州增华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电芯模组堆叠的夹紧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240B1 (ko)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240B1 (ko) 극판집속체 그리핑 장치
CN105619789A (zh) 一种用于木塑地板生产的自动化涂胶贴面装置及其方法
CN113353614B (zh) 用于折叠二次电池电芯的处理的二次电池电芯传送装置
CN111151868A (zh) 自动超声焊接用的工件夹取机械手
KR102043902B1 (ko) 이차전지용 전극적층장치
KR102201842B1 (ko) 철근 가로 스테핑 반송 설비 및 그 제어 방법
CN110677799A (zh) 一种扬声器磁路胶合自动生产线
CN217394961U (zh) 一种变距抓手及组装系统
CN110391721B (zh) 一种直条定子铁芯绕线机的上下料方法
CN211708362U (zh) 自动超声焊接用的工件夹取机械手
CN210986429U (zh) 一种扬声器磁路胶合自动生产线
CN211680507U (zh) 自动超声焊接用的终焊工位工件夹取机械手
CN111151869A (zh) 自动超声焊接用的终焊工位工件夹取机械手
CN210175188U (zh) 一种物料排列装置
CN108987093B (zh) 一种铁芯铰合工件装配设备及其装配方法
CN216348385U (zh) 一种长宽尺寸检测装置
KR102358140B1 (ko) 철망 절곡장치
CN212988775U (zh) 一种高压断路器机械跑和测试设备
CN115571543A (zh) 一种物流用自动化码垛装置
KR100541228B1 (ko) 축전지 극판집속체 운반용 취급장치
CN111071743B (zh) 压紧装置和输送系统
CN210735764U (zh) 一种用于塑料成型片材的自动接料装置
CN211140776U (zh) 一种接力式搬运线
CN206373561U (zh) 一种限位块上料设备
CN221050908U (zh) 线路板的快速上下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