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210A - 디스크 방식과 섬유여재를 이용한 2단계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방식과 섬유여재를 이용한 2단계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210A
KR20210085210A KR1020190178004A KR20190178004A KR20210085210A KR 20210085210 A KR20210085210 A KR 20210085210A KR 1020190178004 A KR1020190178004 A KR 1020190178004A KR 20190178004 A KR20190178004 A KR 20190178004A KR 20210085210 A KR20210085210 A KR 20210085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screw
filtration device
fiber filt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1054B1 (ko
Inventor
김군수
Original Assignee
김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군수 filed Critical 김군수
Priority to KR1020190178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05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9/00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39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hollow discs side by side on, or around, one or more tubes, e.g. of the leaf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7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방식과 섬유여재를 이용한 2단계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디스크 여과방식의 여과기와 섬유여재 여과기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2단계 여과장치로서, 상기 디스크 여과방식은 디스크 한쪽면은 직선형 홈과 디스크 아랫면은 트랙 형태의 홈이 형성하고, 활성탄을 함유한 섬유여재와 상기 섬유여재의 공극을 이동봉과 연결된 실린더를 포함하는 디스크 방식과 섬유여재를 이용한 2단계 여과장치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크 여과방식의 여과기와 섬유여재 여과기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2단계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여과방식의 여과기는, 상기 디스크(20)는, 한쪽면(21)에는 직선형 태의 홈(23)을 형성하고, 아랫면(22)에는 트랙 형태의 홈(24)이 형성하고, 상기 스크류(30)는, 한 개 이상의 나선 형태의 스크류 나선(53)과; 상기 스크류 나선(53) 양끝단부와 체결되며, 유체 유입 홈(51)을 포함하는 플레이트(52);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류(30)의 회전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스크류(30) 상단부에 한 개 이상의 터빈 날개(61)를 포함하는 터빈(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크 방식과 섬유여재를 이용한 2단계 여과장치 {2-stage filtration device using disk method and fiber}
본 발명은 디스크 방식과 섬유여재를 이용한 2단계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디스크 여과방식의 여과기는 디스크 내부측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나선형 스크류를 더 포함하고, 디스크 한쪽면에만 직선형 홈을 형성하며, 상기 디스크 방식의 여과기 이후 바로 부상식 섬유여재로 필터링을 하는 2단계 여과장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수처리 분야에서는 설치 공간 면적이 적으면서 고도 정화능력을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원수를 여과시키는 여과공정과 필터의 이물질을 자가 세척할 수 있는 역세척 공정을 이용하여 정화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내구성과 필터의 교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여과와 역세의 효율성이 더 크게 강조되고 있다.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출원이전에 부상식 섬유여과장치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1369호(등록일자: 2012.12.06)와 제10-1769354호 (등록일자: 2017.08.11.)를 통하여 공지한 바 있으며, 디스크 방식의 여과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164호(등록일자: 2017.11.21.)와 공개특허 제 10-2019-0097841호(공개일자: 2019.08.21.)를 통하여 공지하였다.
상기 디스크 방식의 여과장치는 입자상 물질을 큰 것을 제거하기에 유리하며, 입자상 물질의 직경이 작은 미세한 이물질 제거성능은 섬유여재를 이용한 여과장치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디스크 방식의 여과장치로 1차 여과를 거친 이후, 부상식 섬유여과장치를 통하여 2차 여과를 거치는 2단계 여과장치를 개시하고자 한다.
상기 공개특허 제 10-2019-0097841호(공개일자: 2019.08.21.)의 공지기술은 디스크 형상으로 인한 유로저항이 높아서 디스크 한쪽면에서만 직선 홈을 구비한 디스크를 개시하고자 하면, 디스크 외측 뿐만 이나라 내측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나선형 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기술을 공직하고자 한다.
1. KR 10-0670658, '여과탱크용 스트레이너', 등록일자: 2007.01.11. 2. KR 10-2013-0001450, '수처리용 여과장치', 공개일자:2013.01.04. 3. KR 20-0424863, '다중원판을 이용한 스크류타입의 재활용수 여과처리장치', 등록일자: 2006.08.21. 4. KR 10-1801642, '수처리용 여과장치', 등록일자: 2017.11.21. 5. KR 10-2019-0097841,'2단계 여과기', 공개일자: 2019.08.21. 6. KR 10-1769354, '지그재그형 부상식 섬유여과장치', 등록일자: 2017.08.11.
본 발명의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디스크 여과방식의 여과기는 디스크 내부측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나선형 스크류를 더 포함하고, 디스크 한쪽면에만 직선형 홈을 형성하며, 상기 디스크 방식의 여과기 이후 바로 부상식 섬유여재로 필터링을 하는 디스크 방식과 섬유여재를 이용한 2단계 여과장치를 개시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발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스크 여과방식의 여과기와 섬유여재 여과기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2단계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여과방식의 여과기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침전수를 배출하기 위한 침전수 배출구(14)와, 2차 여과장치인 섬유여재 여과기와 연결되는 배출구(12)와, 내부 수용부를 구비한 원통 형태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 내부 수용부에 체결되며, 박막형 원판을 적층한 디스크(20)와; 상기 디스크(20)를 고정하는 지지대(30)와; 상기 디스크(20) 외주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류(50)와; 상기 스크류(5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32)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크(20)는 한쪽면에서만 직선형 태의 홈(23)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류(30)는, 한 개 이상의 나선 형태의 스크류 나선(53)과; 상기 스크류 나선(53) 양끝단부와 체결되며, 유체 유입 홈(51)을 포함하는 플레이트(52);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류(30)의 회전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스크류(30) 상단부에 한 개 이상의 터빈 날개(61)를 포함하는 터빈(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방식과 섬유여재를 이용한 2단계 여과장치를 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크 여과방식의 여과기와 섬유여재 여과기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2단계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여과방식의 여과기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침전수를 배출하기 위한 침전수 배출구(14)와, 2차 여과장치인 섬유여재 여과기와 연결되는 배출구(12)와, 내부 수용부를 구비한 원통 형태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 내부 수용부에 체결되며, 박막형 원판을 적층한 디스크(20)와; 상기 디스크(20)를 고정하는 지지대(30)와; 상기 디스크(20) 외주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류(50)와; 상기 디스크(20) 내주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안쪽 스크류(70)와; 상기 스크류(50) 내지 안쪽 스크류(7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32)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크(20)는, 한쪽면에서만 직선형 태의 홈(23)을 형성하고, 상기 안쪽 스크류(70)는, 한 개 이상의 나선 형태의 스크류 나선(73)과; 상기 스크류 나선(73) 양끝단부와 체결되며, 유체 유입 홈(71)을 포함하는 플레이트(72);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류(30)의 회전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스크류(30) 상단부에 한 개 이상의 터빈 날개(61)를 포함하는 터빈(60);을 포함하여 디스크(2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 운동에너지로 상기 안쪽 스크류(70)가 회전하면서 상기 디스크(20) 내주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방식과 섬유여재를 이용한 2단계 여과장치를 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항 내지 제 2항 어느항에 있어서, 컴퓨레셔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는 유입관(81)과; 상기 유입관(81) 끝단부와 체결되어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실린더(82)와; 상기 실린더(82)의 일측면부와 체결된 배관으로 디스크(20) 중심부에 위치하는 배출관(83)과; 상기 배출관(83)과 연결되며, 제어부 신호에 따라 배출관(83)을 개폐하여 실린더(82)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분출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85);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유입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방식과 섬유여재를 이용한 2단계 여과장치를 개시하고자 한다.
상기 해결수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디스크 한쪽면에만 직선형태의 홈을 형성하고 있어서, 유로저항은 낮아지면서도 필터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둘째, 디스크 외주면과 내주면에 스크류가 설치되어 디스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해 줌으로써 장시간 원판형 여과기를 사용할 수 있다.
셋째, 나선형 구조의 스크류와 터빈을 구비함으로써, 여과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유체의 운동에너지로 상기 스크류와 터빈을 회전시킴으로서, 에너지 절감효과와 부가적 전기설비가 필요하지 않아도 된다.
도 1은 2단계 여과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디스크 방식의 여과기 외형 사시도(A)와 내부 사시도(B)이다.
도 3은 디스크 방식의 여과기 정면도(A)와 내부 구성도(B)이다.
도 4는 디스크(A)와 디스크 확대도(B)이다.
도 5은 안쪽 스크류(70)와 압축공기 유입부(80)가 추가된 원판형 여과기의 정면도(A)와 내부 구성도(B)이다.
도 6은 압축공기 유입부(80)의 상세도(A)와 안쪽 스크류(70)의 상세도(B)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전기회로, 기타 소요 부품 등과 같은 제반사항)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색상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별 색상을 도면에서와 같이 표현하였지만 특허 권리 범위는 다양한 색상을 다 포함하는 것이 자명하다.
도면 내지 구성요소의 두께 내지 크기 또한 표현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 부분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디스크 방식과 섬유여재를 이용한 2단계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디스크 여과방식의 여과기는 디스크 내부측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나선형 스크류를 더 포함하고, 디스크 한쪽면에만 직선형 홈을 형성하며, 상기 디스크 방식의 여과기 이후 바로 부상식 섬유여재로 필터링을 하는 2단계 여과장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2단계 여과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디스크 여과방식의 여과기와 섬유여재 여과기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2단계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작은 공간에서 높은 정화 능력을 구비한 수처리 여과장치를 개시하고자 한다.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출원이전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01642호(수처리용 여과장치, 등록일자: 2017.11.21.)를 통하여 디스크 방식의 여과장치의 기술을 공지하였다.
그러나, 디스크 외주면에 입자가 큰 이물질 부착 정도가 많아서, 필터의 막힘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9-0097841호(2단계 여과기, 공개일자: 2019.08.21)를 통하여, 디스크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한 개 이상의 스크류 나선을 구비한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의 회전력을 높이기 위하여 여과기 유입구 근처에 터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계 여과기를 개시하였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9-0097841호(2단계 여과기, 공개일자: 2019.08.21)의 공지기술로 제품을 제조한 결과, 2가지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첫번째는 디스크 양면에 다양한 홈을 구비한 디스클 적층하여 사용한 결과, 홈의 깊이가 낮고, 양면에 홈을 형성하고 있어서 유로 저항이 높아져서 처리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한 단점이 발생하였다.
두번째는 6개월 동안 현장에 적용한 결과, 역세 과정에서 디스크 내측에 이물질을 부착된 것이 발견되어 이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입자상 물질 직경이 큰 것은 디스크 방식의 여과장치로 제거하고, 탁도 및 입자장 물질 낮은 직경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부상식 섬유여재를 이용한 여과장치를 조합한 2단계 여과장치를 창안하게 되었다.
상기 공지된 기술을 바탕으로 개선된 기술만 개시하고자 하면, 상기 공지기술(에 해당되는 구체적 기술(부상식 섬유여과장치의 기술(제10-1211369호(등록일자: 2012.12.06)와 제10-1769354호(등록일자: 2017.08.11.))과 디스크 방식의 여과장치(제10-180164호(등록일자: 2017.11.21.)와 공개특허 제 10-2019-0097841호(공개일자: 2019.08.21.))은 생략하기로 하였다.
도 2는 디스크 방식의 여과기 외형 사시도(A)와 내부 사시도(B)이며, 도 3은 디스크 방식의 여과기 정면도(A)와 내부 구성도(B)이며, 도 4는 디스크(A)와 디스크 확대도(B)이다.
본 발명은, 디스크 여과방식의 여과기와 섬유여재 여과기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2단계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여과방식의 여과기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침전수를 배출하기 위한 침전수 배출구(14)와, 2차 여과장치인 섬유여재 여과기와 연결되는 배출구(12)와, 내부 수용부를 구비한 원통 형태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 내부 수용부에 체결되며, 박막형 원판을 적층한 디스크(20)와; 상기 디스크(20)를 고정하는 지지대(30)와; 상기 디스크(20) 외주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류(50)와; 상기 스크류(5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32)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크(20)는, 한쪽면에서만 직선형 태의 홈(23)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류(30)는, 한 개 이상의 나선 형태의 스크류 나선(53)과; 상기 스크류 나선(53) 양끝단부와 체결되며, 유체 유입 홈(51)을 포함하는 플레이트(52);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류(30)의 회전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스크류(30) 상단부에 한 개 이상의 터빈 날개(61)를 포함하는 터빈(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2단계 여과장치로, 1차적으로는 디스크 방식의 여과장치에서 입자가 크거나, 입자상 물질 직경이 큰 이물질을 필터링하면된다. 따라서 디스크를 적층하여 필터링하는 디스크 방식에서 디스크 양면에 홈을 형성하기 보다는 한쪽면에서만 직선 형태의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선 형태의 홈은 디스크 센터축을 기준으로 방사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디스크 센터축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경사직선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크의 직선홈의 깊이는 유로저항과 필터링를 고려하여 달라질 수 있다.
도 5는 안쪽 스크류(70)와 압축공기 유입부(80)가 추가된 원판형 여과기의 정면도(A)와 내부 구성도(B)이며, 도 6은 압축공기 유입부(80)의 상세도(A)와 안쪽 스크류(70)의 상세도(B)이다.
본 발명의 상기 디스크 여과방식의 여과기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침전수를 배출하기 위한 침전수 배출구(14)와, 2차 여과장치인 섬유여재 여과기와 연결되는 배출구(12)와, 내부 수용부를 구비한 원통 형태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 내부 수용부에 체결되며, 박막형 원판을 적층한 디스크(20)와; 상기 디스크(20)를 고정하는 지지대(30)와; 상기 디스크(20) 외주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류(50)와; 상기 디스크(20) 내주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안쪽 스크류(70)와; 상기 스크류(50) 내지 안쪽 스크류(7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32)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크(20)는, 한쪽면에만 직선형 태의 홈(23)을 형성하고, 상기 안쪽 스크류(70)는, 한 개 이상의 나선 형태의 스크류 나선(73)과; 상기 스크류 나선(73) 양끝단부와 체결되며, 유체 유입 홈(71)을 포함하는 플레이트(72);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류(30)의 회전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스크류(30) 상단부에 한 개 이상의 터빈 날개(61)를 포함하는 터빈(60);을 포함하여, 디스크(2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 운동에너지로 상기 안쪽 스크류(70)가 회전하면서 상기 디스크(20) 내주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요 기술중에 하나는, 디스크 내측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크류(20)를 디스크 내부에 추가 설치하는 기술이다.
상기 안쪽 스크류(70)는 스크류(5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쪽 스크류(70)는, 한 개 이상의 나선 형태의 스크류 나선(73)과; 상기 스크류 나선(73) 양끝단부와 체결되며, 유체 유입 홈(71)을 포함하는 플레이트(72);를 구비한다
상기 안쪽 스크류(70)는 터빈(60)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2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 운동에너지로 터빈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안쪽 스크류(70)가 회전하면서 상기 디스크(20) 내주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원리이다.
도 6은 압축공기 유입부(80)의 상세도(A)와 안쪽 스크류(70)의 상세도(B)이다.
본 발명의 주요 기술중에 또 다른 하나는, 디스크(20)의 홈(24)에 부착될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디스크 내부에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역압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방법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레셔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는 유입관(81)과; 상기 유입관(81) 끝단부와 체결되어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실린더(82)와; 상기 실린더(82)의 일측면부와 체결된 배관으로 디스크(20) 중심부에 위치하는 배출관(83)과; 상기 배출관(83)과 연결되며, 제어부 신호에 따라 배출관(83)을 개폐하여 실린더(82)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분출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85);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유입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A는 압축공기 유입부(80)의 상세도이다.
상기 실린더(82)와 유입관(81)사이에는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크 밸브는 실린더(82)에 압축공기를 설정 압력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축공기 유입부(80)는 스크류(50) 내지 안쪽 스크류(70)가 제거하지 못하는 이물질을 압축공기의 팽창압력으로 디스크 중심부에서 바깥쪽으로 역압력을 발생시켜 디스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한다.
10: 몸체, 11: 유입구, 12: 배출구,
13: 침전수 배출구, 14: 칸막이,
20: 디스크, 21: 한쪽면, 22: 아래면,
23: 직선 홈, 24: 트랙 홈, 25: 사선 홈,
30: 지지대, 31: 고정볼트, 32: 베어링,
40: 섬유여재,
50: 스크류, 51: 유입 홈, 52: 플레이트,
53: 스크류 나선,
60: 터빈, 61: 터빈 날개,
70: 안쪽 스크류, 71: 유입 홈, 72: 플레이트,
73: 스크류 나선,
80: 압축공기 유입부, 81: 유입관, 82: 실린더,
83: 배출관, 85: 솔레노이드 밸브.

Claims (3)

  1. 디스크 여과방식의 여과기와 섬유여재 여과기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2단계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여과방식의 여과기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침전수를 배출하기 위한 침전수 배출구(14)와, 2차 여과장치인 섬유여재 여과기와 연결되는 배출구(12)와, 내부 수용부를 구비한 원통 형태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 내부 수용부에 체결되며, 박막형 원판을 적층한 디스크(20)와; 상기 디스크(20)를 고정하는 지지대(30)와; 상기 디스크(20) 외주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류(50)와; 상기 스크류(5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32);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크(20)는,
    한쪽면에만 직선형 태의 홈(23)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류(30)는, 한 개 이상의 나선 형태의 스크류 나선(53)과;
    상기 스크류 나선(53) 양끝단부와 체결되며, 유체 유입 홈(51)을 포함하는 플레이트(52);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류(30)의 회전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스크류(30) 상단부에 한 개 이상의 터빈 날개(61)를 포함하는 터빈(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방식과 섬유여재를 이용한 2단계 여과장치.
  2. 디스크 여과방식의 여과기와 섬유여재 여과기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2단계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여과방식의 여과기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침전수를 배출하기 위한 침전수 배출구(14)와, 2차 여과장치인 섬유여재 여과기와 연결되는 배출구(12)와, 내부 수용부를 구비한 원통 형태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 내부 수용부에 체결되며, 박막형 원판을 적층한 디스크(20)와; 상기 디스크(20)를 고정하는 지지대(30)와; 상기 디스크(20) 외주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류(50)와; 상기 디스크(20) 내주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안쪽 스크류(70)와; 상기 스크류(50) 내지 안쪽 스크류(7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32);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크(20)는,
    한쪽면에만 직선형 태의 홈(23)을 형성하고,
    상기 안쪽 스크류(70)는,
    한 개 이상의 나선 형태의 스크류 나선(73)과;
    상기 스크류 나선(73) 양끝단부와 체결되며, 유체 유입 홈(71)을 포함하는 플레이트(72);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류(30) 상단부에 한 개 이상의 터빈 날개(61)를 포함하는 터빈(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방식과 섬유여재를 이용한 2단계 여과장치.
  3. 제 1항 내지 제 2항 어느항에 있어서,
    컴퓨레셔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는 유입관(81)과;
    상기 유입관(81) 끝단부와 체결되어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실린더(82)와;
    상기 실린더(82)의 일측면부와 체결된 배관으로 디스크(20) 중심부에 위치하는 배출관(83)과;
    상기 배출관(83)과 연결되며, 제어부 신호에 따라 배출관(83)을 개폐하여 실린더(82)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분출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85);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유입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방식과 섬유여재를 이용한 2단계 여과장치.
KR1020190178004A 2019-12-30 2019-12-30 디스크 방식과 섬유여재를 이용한 2단계 여과장치 KR102361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004A KR102361054B1 (ko) 2019-12-30 2019-12-30 디스크 방식과 섬유여재를 이용한 2단계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004A KR102361054B1 (ko) 2019-12-30 2019-12-30 디스크 방식과 섬유여재를 이용한 2단계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210A true KR20210085210A (ko) 2021-07-08
KR102361054B1 KR102361054B1 (ko) 2022-02-08

Family

ID=76893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004A KR102361054B1 (ko) 2019-12-30 2019-12-30 디스크 방식과 섬유여재를 이용한 2단계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05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7208A (ja) * 2003-02-06 2004-08-26 Corona Industry Co Ltd 固液分離機のフィルタ構造
KR200424863Y1 (ko) 2006-06-12 2006-08-25 남동산업주식회사 다중원판을 이용한 스크류타입의 재활용수 여과처리장치
KR100670658B1 (ko) 2005-07-15 2007-01-17 (주)청록환경엔지니어링 여과탱크용 스트레이너
KR20130001450A (ko) 2011-06-27 2013-01-04 (주) 동양이엔지 수처리용 여과장치
KR20130107907A (ko) * 2012-03-23 2013-10-02 (주)광산 회전 날개로 구동되는 세척 브러쉬를 가지는 필터 엘리먼트 및 그를 포함하는 여과장치
KR101769354B1 (ko) 2016-02-17 2017-08-18 김군수 지그재그형 부상식 섬유여과장치
KR101801642B1 (ko) 2017-05-23 2017-11-27 김군수 수처리용 여과장치
KR20190097841A (ko) 2018-02-13 2019-08-21 김군수 2단계 여과기
KR102048894B1 (ko) * 2019-02-22 2019-11-26 (주)테스 폐수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7208A (ja) * 2003-02-06 2004-08-26 Corona Industry Co Ltd 固液分離機のフィルタ構造
KR100670658B1 (ko) 2005-07-15 2007-01-17 (주)청록환경엔지니어링 여과탱크용 스트레이너
KR200424863Y1 (ko) 2006-06-12 2006-08-25 남동산업주식회사 다중원판을 이용한 스크류타입의 재활용수 여과처리장치
KR20130001450A (ko) 2011-06-27 2013-01-04 (주) 동양이엔지 수처리용 여과장치
KR20130107907A (ko) * 2012-03-23 2013-10-02 (주)광산 회전 날개로 구동되는 세척 브러쉬를 가지는 필터 엘리먼트 및 그를 포함하는 여과장치
KR101769354B1 (ko) 2016-02-17 2017-08-18 김군수 지그재그형 부상식 섬유여과장치
KR101801642B1 (ko) 2017-05-23 2017-11-27 김군수 수처리용 여과장치
KR20190097841A (ko) 2018-02-13 2019-08-21 김군수 2단계 여과기
KR102048894B1 (ko) * 2019-02-22 2019-11-26 (주)테스 폐수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054B1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0056B1 (ja) 濾過装置の運転方法
US5500134A (en) Microfiltration system with swirling flow around filter medium
KR100501524B1 (ko) 와류 발생용 로터 및 이를 채용한 여과장치
EP2070584B1 (en) Filtering apparatus employing multistage rotor generating variable vortex flow
KR20130107907A (ko) 회전 날개로 구동되는 세척 브러쉬를 가지는 필터 엘리먼트 및 그를 포함하는 여과장치
JPS6190716A (ja) 動的ろ過装置
JP4413622B2 (ja) 流体処理方法及び流体処理装置
KR20140047997A (ko)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KR100438460B1 (ko) 멀티형 공극제어 섬유여과기
KR102361054B1 (ko) 디스크 방식과 섬유여재를 이용한 2단계 여과장치
JP3641077B2 (ja) ろ過装置
UA125063C2 (uk) Фільтрувальний елемент дискового фільтрувального пристрою
KR20190097841A (ko) 2단계 여과기
FI125430B (en) Disc filter device
BR112015028970B1 (pt) Um aparelho de filtro de tambor
KR100921976B1 (ko) 와류를 발생시키는 디스크형 비대칭 필터 및 그 필터를 사용하는 필터어셈블리
US20070210017A1 (en) Filter system for filtering water or wastewate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filter system
EP2578288A1 (en) Unit for the advanced pretreatment of wastewater
CN209885313U (zh) 微灌用纤维过滤器
JP4003193B2 (ja) 連続濾過分離装置
CN220860784U (zh) 一种抗氧剂生产用横向堆叠式不锈钢过滤器
JPH08252411A (ja) スクリーン装置
WO2022041089A1 (zh) 一种过滤网及污水处理装置、方法
US20050121400A1 (en) Multiple parallel layer filter and filtration method
US20080257801A1 (en) Device For Filtering Solid Particles For Liquids Containing Such 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