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4953A -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 - Google Patents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4953A
KR20210084953A KR1020190177501A KR20190177501A KR20210084953A KR 20210084953 A KR20210084953 A KR 20210084953A KR 1020190177501 A KR1020190177501 A KR 1020190177501A KR 20190177501 A KR20190177501 A KR 20190177501A KR 20210084953 A KR20210084953 A KR 20210084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handle
switching assembly
rotation stopper
stopp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3990B1 (ko
Inventor
권태훈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7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990B1/ko
Publication of KR20210084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4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alternative use on the right-hand or left-hand side of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2001/0076The handle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positions, e.g. the bolt can be retracted by moving the handle either upwards or down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세트 구조를 갖는 핸들의 좌우수 변경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본체부에 설치된 한 쌍의 카세트 부재에 회전 스토퍼 부재가 위치되어 일정각도로 회전된 핸들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로서, 상기 한 쌍의 카세트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카세트 부재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세팅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스토퍼 부재에는 상기 세팅부재가 하강된 상태에서 간섭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Left and Right Switching Assembly for Cassette Handle}
본 발명은 좌우수 전환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핸들, 모티스 및 부속들을 포함하며 문의 개폐 및 보안을 담당하는 부분을 말한다. 여기서 모티스는 출입문의 내부에 설치되며, 핸들과 연결되어 핸들의 회전에 따라 래치 볼트를 좌우로 움직여서 잠금 또는 해정시킴으로써 문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도어락은 좌수형(左手形)과 우수형(右手形)으로 분류되는데, 도어락과 모티스가 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의 도어락을 좌수형이라고 하고, 반대로, 도어의 경첩은 우측에 달려 있으며 도어락과 모티스가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의 도어락을 우수형이라고 한다.
즉, 좌수형은 사용자가 왼손으로 도어를 열고 닫기 편하게 되어 있으며 우수형은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도어를 열고 닫기 편리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락 핸들은, 시공자가 도어에 도어락을 좌수형 또는 우수형으로 설치하는 과정에서 도어의 열림 방향에 맞추어 내측 핸들 및 외측 핸들의 끼움 방향을 결정한 다음 작업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시공자가 핸들의 끼움 방향에만 신경을 쓴 나머지 내측 핸들과 샤프트를 결합하는데 소홀하여 느슨한 나사 체결로 인해 장치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도어락 핸들은 일단 설치 후에 좌우수 변경하기 위해서는 핸들을 모두 분해하여 재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92921호(공개일: 2005년09월23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카세트 구조를 갖는 핸들의 좌우수 변경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체부에 설치된 한 쌍의 카세트 부재에 회전 스토퍼 부재가 위치되어 일정각도로 회전된 핸들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로서, 상기 한 쌍의 카세트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카세트 부재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세팅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스토퍼 부재에는 상기 세팅부재가 하강된 상태에서 간섭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형성된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 스토퍼 부재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후면 중 일면에는 원형의 회전림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림의 양측에 복수의 상기 걸림부가 연장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세팅부재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가 직각으로 구부려진 형상이고, 상기 제1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는 인장 스프링의 일단이 장착되며,상기 카세트 부재에는 상기 인장 스프링의 타단이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부에 별도의 토션 스프링 없이도 상하에 위치한 카세트 부재를 통해 선회된 상태의 핸들부를 원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구조를 보다 간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팅부재를 카세트 부재에서 들어 올리는 동작만으로 핸들부의 좌우수를 변경이 가능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핸들의 분해 없이도 핸들 좌우수 변경이 가능하여 작업 편의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의 좌우수 전환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의 좌우수 전환 상태를 확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의 회전 스토퍼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의 세팅부재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의 세팅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는 핸들부(20)가 설치된 도어락 본체부(10) 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에는 장착공(11)이 형성되고, 이 장착공(11)에는 부싱부재(21)가 개재된 상태로 핸들부(20)가 장착공(11)에 삽입설치되어 핸들부(20)의 좌우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제1 카세트 부재(31)와 제2 카세트 부재(32)가 다수개의 스프링(S)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또한 이들 카세트 부재(31,32)의 사이에는 회전 스토퍼 부재(50)가 끼인 상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회전 스토퍼 부재(50)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회전 스토퍼 부재(50)는 핸들부(20)의 핸들 샤프트(80; 도 5)가 장착되어 핸들부(20)가 선회되면 회전 스토퍼 부재(50)도 함께 회전된다.
이때 회전 스토퍼 부재(50)는 상하에 각각 밀착된 제1 카세트 부재(31) 및 제2 카세트 부재(32)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되었다가도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즉 도 2와 같이 핸들부(20)에는 별도의 토션 스프링을 구비하지 않고도, 상하에 위치한 카세트 부재(31,32)에 의해 핸들부(20)를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 2의 (b)의 상태처럼 핸들부(20)를 선회시켰다가 핸들부(20)를 놓게 되면 회전 스토퍼 부재(50)의 상하에 배치된 가압력에 의해 직사각형의 회전 스토퍼 부재(50)는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게 된다(도 2의 (c)의 상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별도의 도어락 분해 없이 좌우수를 간편하게 전환시키기 위해 세팅부재(40)가 제공된다. 즉 세팅부재(40)를 조작하는 것으로 핸들부(20)를 예를 들어 좌수형에서 우수형으로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회전 스토퍼 부재(50)는 일측면에 회전림(53)이 원형링의 형태로 형성되고, 회전림(53)의 양측으로는 걸림부(51,52)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걸림부(51,52) 사이에는 핸들부(20)의 선회각도와 대응하는 선회영역(54)이 형성된다. 즉 회전 스토퍼 부재(50)의 선회각도는 걸림부(51,52)가 걸리지 않는 범위인 선회영역(54)에 대응하게 된다.
한편 회전 스토퍼 부재(50)에는 샤프트 결합공(56)이 중앙에 형성되어, 핸들부(20)의 장착시 핸들 샤프트(80)가 이 샤프트 결합공(56)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볼트(60; 도 1)를 통해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도 3과 같이 회전 스토퍼 부재(50)에 형성된 걸림부(51,52)에는 세팅부재(40)의 지지단(45)이 걸리게 되어 핸들부(20)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걸림부(51,52)에 세팅부재(40)의 지지단(45)이 걸리도록 구성함으로써 핸들부(20)의 유효 회전각도를 제한하게 된다(도 3의 (a)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좌우수 변경시 핸들부(20)를 분해하지 않고도 핸들부(20)를 180도 이상으로 회전시켜 좌우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 카세트 부재(31)에는 세팅부재(31)가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세팅부재(31)는 도 6과 같이 제1 단부(41)와 제2 단부(42)가 직각으로 구부려진 대략 'ㄴ'자 형상의 편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1 단부(41)에는 걸림턱(43)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43)에는 도 5와 같이 인장 스프링(90)이 장착되고, 이 인장 스프링(90)은 제1 카세트 부재(31)에 마련된 스프링 고정구(35)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도 3과 같이 세팅부재(40)는 평상시에는 도 3의 (a)와 같이 인장 스프링(90)에 의해 하강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핸들부(20)의 각도(회전 스토퍼 부재의 선회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3의 (b)와 같이 세팅부재(40)를 제1 카세트 부재(31)에서 들어 올리게 되면 세팅부재(40)의 지지단(45)은 회전 스토퍼 부재(50)의 걸림부(51)에서 벗어나(즉 간섭영역에서 벗어나) 제한각도없이 핸들부(20)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세팅부재(40)를 인장 스프링(90)의 탄성력에 반하여 들어 올리고 이 상태에서 핸들부(20)를 180도 이상으로 전환시켜 좌우수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평상시에는 인장 스프링에 의해 세팅부재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함). 즉 핸들부(20)를 원하는 방향으로 전환시킨 후에 다시 세팅부재(40)를 놓게 되면 도 3의 (a)와 같이 좌우수가 전환된 상태에서 세팅부재(40)가 하강하여 선회영역(54) 상에 지지단(45)이 위치하게 되고, 다시 세팅부재(40)에 의해 회전 스토퍼 부재(50)의 걸림부(51,52)가 걸리게 됨으로써 핸들부(20)의 선회각도를 제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카세트 구조를 갖는 핸들의 좌우수 변경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본체부
11: 장착공
20: 핸들부
21: 부싱부재
31: 제1 카세트 부재
32: 제2 카세트 부재
40: 세팅부재
41: 제1 단부
42: 제2 단부
43: 걸림턱
44: 관통공
45: 지지단
50: 회전 스토퍼 부재
51,52: 걸림부
53: 회전림
54: 선회영역
55: 고정공
56: 샤프트 결합공
60: 고정볼트
70: 고정너트

Claims (3)

  1. 본체부에 설치된 한 쌍의 카세트 부재에 회전 스토퍼 부재가 위치되어 일정각도로 회전된 핸들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로서,
    상기 한 쌍의 카세트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카세트 부재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세팅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 스토퍼 부재에는 상기 세팅부재가 하강된 상태에서 간섭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스토퍼 부재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후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원형의 회전림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림의 양측에 상기 걸림부가 각각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부재는 일부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제1 단부와 제2 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는 인장 스프링의 일단이 장착되며,
    상기 카세트 부재에는 상기 인장 스프링의 타단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
KR1020190177501A 2019-12-30 2019-12-30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 KR102623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501A KR102623990B1 (ko) 2019-12-30 2019-12-30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501A KR102623990B1 (ko) 2019-12-30 2019-12-30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953A true KR20210084953A (ko) 2021-07-08
KR102623990B1 KR102623990B1 (ko) 2024-01-11

Family

ID=76894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501A KR102623990B1 (ko) 2019-12-30 2019-12-30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9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752A (ko) * 2022-04-06 2023-10-13 (주) 솔리티 핸들 회동 각도 범위 가변 기능을 구비한 도어록 핸들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585830U (zh) * 2018-09-10 2019-11-05 江门市安臣五金配件厂 一种快速换向的门把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585830U (zh) * 2018-09-10 2019-11-05 江门市安臣五金配件厂 一种快速换向的门把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752A (ko) * 2022-04-06 2023-10-13 (주) 솔리티 핸들 회동 각도 범위 가변 기능을 구비한 도어록 핸들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990B1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971B1 (ko) 세탁물 처리장치
JP3156516U (ja) 蝶番
US6672632B1 (en) Mortise lock
US7526835B2 (en) Stable hinge
US7604265B2 (en) Latch assembly for sliding doors
EP2508700B1 (en) Case latch assembly
US11549285B2 (en) Lock assembly
JP2002535518A (ja) 箱錠用レバー・ハンドル制御機構
US7484778B2 (en) Portable computer having improved latch mechanism
EP2682549B1 (en) Case latch assembly
KR20210084953A (ko)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
KR100903256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US7293807B2 (en) Door handle assembly
CA2885447A1 (en) Installation body for door and/or window handles and handle arrangement with one installation body
KR101704060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조립 구조
US20060091679A1 (en) Latch assembly for sliding doors
CN110042624B (zh) 衣物处理设备的门组件和衣物处理设备
KR20030046856A (ko) 컴퓨터
KR102338924B1 (ko) 창호용 열림 보조장치
JP5460449B2 (ja) 高周波加熱調理器
KR101817247B1 (ko) 디지털 도어락의 브래킷
KR200190952Y1 (ko) 도어 클로우저용 자동 스토퍼
US11993969B1 (en) Hinge
KR20070009188A (ko) 컴퓨터의 도어
KR200381329Y1 (ko) 다용도 힌지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