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700A -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700A
KR20210083700A KR1020190176265A KR20190176265A KR20210083700A KR 20210083700 A KR20210083700 A KR 20210083700A KR 1020190176265 A KR1020190176265 A KR 1020190176265A KR 20190176265 A KR20190176265 A KR 20190176265A KR 20210083700 A KR20210083700 A KR 20210083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tire
sealant layer
sealant
width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8492B1 (ko
Inventor
황민석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6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492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042Reinforcements made of 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입 타이어의 내측에 배치되는 흡음부재와, 상기 흡음부재와 공기입 타이어의 내측 사이에 배치되는 실란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란트부재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내측에 부착되는 제1 실란트층 및 상기 제1 실란트층과 상기 흡음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실란트층을 포함하는 이중 층 구조로 형성되는, 공기입 타이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차량의 하중을 지탱하고,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으로 전달하며, 노면에서의 충격을 완화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 타이어 개발 동향은 타이어 노면에 접촉하는 트레드부가 광폭으로 이루어져 있고 타이어 측면에 해당하는 사이드월(Side wall)의 편평비가 낮은 UHP(Ultra high performance) 타이어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타이어는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사이드 월의 강성이 증가하게 되는데, 사이드월의 강성 증가는 노면에서 전달된 충격을 타이어 자체 구조에서의 적절한 댐핑(Damping) 역할을 저해시켜 소음 유발에 관련된 음압을 상승 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는 타이어 내측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공명 진동(cavity noise)에 의한 소음을 유발하여, 승차감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 내측에 흡음부재를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내측에 배치되는 흡음부재와, 상기 흡음부재와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내측 사이에 배치되는 실란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란트부재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내측에 부착되는 제1 실란트층 및 상기 제1 실란트층과 상기 흡음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실란트층을 포함하는 이중 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란트부재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원주방향에 대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란트층의 폭은, 상기 제2 실란트층의 폭과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란트층의 폭은, 상기 제2 실란트층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의 폭은 상기 제1 실란트층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2 실란트층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층의 폭은,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원주방향에 대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는, 상기 제2 실란트층의 측면 에지를 덮는 측면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에는 상기 실란트부재와 인접한 일면에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실란트층은 상기 수용홈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실란트와 흡음재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차량 주행 중 도로의 이물질에 의한 타이어 펑크를 예방하고, 타이어 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는 흡음재의 형상 변경을 통해 부착면적을 증가시키고 부착면을 고르게 만들어, 차량 주행 중 흡음재가 타이어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는 실란트 이중 도포를 통해 형성된 이중 층 구조에 의해 실란트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긴 길이의 이물질이 타이어에 침투하는 경우 흡음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공기입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입 타이어(1)는, 타이어 트레드(10), 타이어 트레드(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월(20)들, 타이어 트레드(10)와 한 쌍의 사이드 월(20)들 사이의 한 쌍의 숄더부(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입 타이어(1)는 사이드 월(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비드부(40), 타이어 트레드(10)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디 플라이(50), 타이어 트레드(10)와 바디 플라이(50) 사이의 벨트층(60)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어 트레드(10)는, 타이어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고, 두꺼운 고무층으로 이루어져 바디 플라이(50)를 보호하며,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타이어 트레드(10)의 표면에는 배수 작용, 조종 안정성, 견인력, 제동성을 위한 그루브들(12, 22)과 그루브들(12, 22)에 의해 구획된 블록들(14, 31)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블록들(14, 31)에는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시 수분을 흡수하여 수막을 끊는 역할을 하는 사이프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들(12, 22)은 제1 그루브(12)와 제2 그루브(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루브(12)는 타이어 트레드(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그루브(12)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종그루브일 수 있다. 제1 그루브(12)에 의해 타이어 트레드(10)에는 메인 블록(14)이 구획될 수 있다. 메인 블록(14)은 타이어 트레드(10)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영역으로,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제2 그루브(22)는 제1 그루브(12)들 사이에서 제1 그루브(12)들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그루브(22)는 트레드(10)의 원주 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을 따라 제1 그루브(12)들을 연결하는 횡그루브일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월(20)들 각각은, 일 측이 타이어 트레드(10)의 측부와 연결되고, 타 측은 비드부(4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이드 월(20)은 공기입 타이어(1)의 옆부분으로, 바디 플라이(50)를 보호하고, 공기입 타이어(1)의 측면 안정성을 제공하며, 굴신운동을 함으로써 승차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월(20)은 드라이브 샤프트를 통해 받은 엔진의 토크를 타이어 트레드(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비드부(40)는 사이드 월(20)의 단부에 형성되어, 공기입 타이어(1)를 림(Rim)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비드부(40)는 비드 코어와 비드 충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 비드 코어는 고무가 코팅된 강철 와이어를 복수 개 꼬아 형성될 수 있으며, 비드 충전재는 비드 코어에 부착된 고무일 수 있다. 비드부(40)는 비드 코어와 비드 충전재를 스틸체퍼로 감싼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디 플라이(50)는 공기입 타이어(1)의 골격을 형성하며, 공기입 타이어(1)가 받는 하중, 충격 등을 견디고 공기입 타이어(1)의 공기압을 유지시킨다. 바디 플라이(50)는 스틸 또는 폴리에스터, 레이온 등과 같은 고강도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드지를 겹친 후,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타이어 트레드(10)와 바디 플라이(50) 사이의 벨트층(60)은 바디 플라이(50)를 보호하며, 타이어 트레드(10)와 바디 플라이(5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벨트층(60)은 차량의 주행시 노면 충격을 감소시키고 노면에 닿은 타이어 트레드(10) 부위를 넓게 하여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벨트층(60)은 스틸 혹은 유기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벨트 코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타이어 트레드(10)와 벨트층(60) 사이에는 캡 플라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캡 플라이는 벨트층(60) 위에 부착되는 특수 코드지로 주행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 플라이는 일 예로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디 플라이(50)의 내측면에는 이너 라이너가 부착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는 튜브 대신 공기입 타이어(1)의 공기 누출을 방지하는 층으로,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너 라이너는 밀도가 높은 부틸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기입 타이어(1)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1)는 공기입 타이어(1)의 내측에 배치되는 실란트부재(80)와 흡음부재(9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란트부재(80)는, 공기입 타이어(1)의 내측에 부착되는 제1 실란트층(81) 및 제1 실란트층(81)과 흡음부재(90)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실란트층(8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란트부재(80)는 제1 실란트층(81)과 제2 실란트층(82)을 포함하는 이중 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란트부재(80)는 공기입 타이어(1)의 원주방향에 대한 중심선(C)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실란트층(81)은 공기입 타이어(1)의 내측에 부착되며, 공기입 타이어(1)가 내측에 이너라이너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실란트층(81)은 이너라이너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실란트층(81)은 띠형상으로 공기입 타이어(1)의 내측벽을 따라 연장되고, 양 끝 단이 서로 만나서 공기입 타이어(1)와 같이 링 형상이 될 수 있다.
제1 실란트층(81)은 공기입 타이어(1) 내측에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실란트층(81)은 접착제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 등의 접착층에 의하여 공기입 타이어(1) 내측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실란트층(82)은 공기입 타이어(1)의 내측에 부착되는 제1 실란트층(81)의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실란트층(82)은 제1 실란트층(81)의 일면에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실란트층(82)은 접착제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 등의 접착층에 의하여 제1 실란트층(81)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실란트층(82)은 띠형상으로 제1 실란트층(81)을 따라 연장되고, 양 끝 단이 서로 만나서 공기입 타이어(1)와 같이 링 형상이 될 수 있다.
제1 실란트층(81)의 폭(w1)은, 제2 실란트층(82)의 폭(w2)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실란트층(81)의 폭(w1)은 제2 실란트층(82)의 폭(w2)보다 클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1 실란트층(81)의 폭(w1)은 제2 실란트층(82)의 폭(w2)보다 10 mm 이상 클 수 있다. 이 때, 제1 실란트층(81)은 공기입 타이어(1)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공기입 타이어(1)의 트레드(10)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란트층(82)의 폭(w2)은 흡음부재(90)의 폭(w3)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실란트층(82)의 폭(w2)은 흡음부재(90)의 폭(w3)보다 작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2 실란트층(82)의 폭(w2)은 흡음부재(90)의 폭(w3)보다 10mm 이상 작을 수 있다.
한편, 트레드(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그루브들(12)의 양 측단 사이의 폭은 L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실란트층(82)의 폭(w2)은, 상기한 폭(L)보다 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중 층 구조로 형성되는 실란트부재(80)는, 긴 길이의 이물질(예컨대, 못 등)이 공기입 타이어(1)의 트레드(10)를 관통하여 펑크가 발생한 경우, 관통한 이물질을 완전히 둘러싸서 밀봉하여, 공기입 타이어(1)로부터 압축 공기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운전자가 손상된 타이어를 즉시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운전자의 불편함을 덜고, 타이어 펑크 발생에 의한 갑작스런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중 층 구조로 형성되는 실란트부재(80)는, 긴 길이의 이물질이 흡음부재(90)까지 도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흡음부재(9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흡음부재의 소음 저감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실란트부재(80)는, 공기입 타이어(1)의 원주방향에 대한 중심선(C)을 기준으로 대칭인, 계단 형상을 갖는 단일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실란트부재(80)는 차량의 주행 중 충분히 버틸 수 있도록 강한 접착성 및 온도안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실란트부재(80)는 부틸고무, 폴리이소부틸렌, 무기첨가제 및 가류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실란트부재(80)는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실란트 조성물을 가교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실란트부재(80)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착제로는, 예를 들어, 페놀계 레진, 로진(rosin)계 수지 또는 테르펜(terpene)계 수지와 같은 천연수지계와 석유수지, 콜타르(coal tar) 또는 알킬 페놀계 수지 등의 합성수지계를 사용할 수 있다. 실란트 조성물은 가류촉진제, 가류촉진조제, 접착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음부재(90)는 공기입 타이어(1)의 내측에 배치되고, 실란트부재(80)에 부착될 수 있다. 흡음부재(90)는 제2 실란트층(82)에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흡음부재(90)는 접착제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 등의 접착층에 의하여 실란트부재(80)에 부착 및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흡음부재(90)는 실란트부재(80)와 마찬가지로, 띠형상으로 공기입 타이어(1)의 내측벽을 따라 연장되고, 양 끝 단이 서로 만나서 공기입 타이어(1)와 같이 링 형상이 될 수 있다.
흡음부재(90)의 폭(w3)은 공기입 타이어(1)의 원주방향에 대한 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흡음부재(90)의 폭(w3)은 제1 실란트층(81)의 폭(w1) 및 제2 실란트층(82)의 폭(w2)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흡음부재(90)의 폭(w3)은 제1 실란트층(81)의 폭(w1)보다 작고, 제2 실란트층(82)의 폭(w2)보다 클 수 있다.
흡음부재(90)의 두께(d3)는 제1 실란트층(81)의 두께(d1) 및 제2 실란트층(82)의 두께(d2)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흡음부재(90)의 두께(d3)는 제2 실란트층(82)의 두께(d2)보다 두꺼울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흡음부재(90)의 두께(d3)는 제1 실란트층(81)의 두께(d1)보다 두꺼울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흡음부재(90)의 두께(d3)는 실란트부재(80)의 총 두께(d1+d2)보다 두꺼울 수 있다.
흡음부재(90)는 제2 실란트층(82)의 측면 에지를 덮는 측면 커버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커버부(100)는, 흡음부재(90)가 실란트부재(80)에 부착되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흡음부재(90)의 접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넓은 부착면적으로 인해 흡음부재(90)가 실란트부재(80)와 견고하게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차량의 주행 중 흡음부재(90)가 공기입 타이어(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음부재(90)에는 실란트부재(80)와 인접한 일면에 공기입 타이어(1)의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수용홈(9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실란트층(82)은 수용홈(9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흡음부재(90)는 타이어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공명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흡음부재(90)는, 일 예로, 다공성 부직포, 다공성 폼 및 이들의 적층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공성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또는 폴리스티렌계 부직포일 수 있고, 상기 다공성 폼은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일 수 있고,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은 기본적으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polyisocyanate compound)과 폴리올(polyhydroxycompound)을 우레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공기입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공기압 타이어(1)는 흡음부재(90)와, 실란트부재(8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란트부재(80)는 제1 실란트층(81)과 제2 실란트층(82)을 포함하는 이중 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흡음부재(90)와 실란트부재(80)의 고정 방법, 두께 및 재질 등은 전술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실란트층(81)의 폭(w1)은, 제2 실란트층(82)의 폭(w2)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실란트층(81)의 폭(w1)은 제2 실란트층(82)의 폭(w2)보다 클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1 실란트층(81)의 폭(w1)은 제2 실란트층(82)의 폭(w2)보다 10mm 이상 클 수 있다.
흡음부재(90)의 폭(w3)은, 제2 실란트층(82)의 폭(w2)과 동일할 수 있으며, 흡음부재(90)는 측면 커버부(10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흡음부재(90)는 그 전체 폭에 걸쳐, 실란트부재(8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실란트부재(80)의 이중 층 구조에 의해 흡음부재(90)의 전체 폭이 보호됨으로써, 긴 길이의 이물질에 의해 타이어 펑크가 발생한 경우에도 흡음부재(90)의 손상을 전체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공기압 타이어(1)는 흡음부재(90)와, 실란트부재(8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란트부재(80)는 제1 실란트층(81)과 제2 실란트층(82)을 포함하는 이중 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흡음부재(90)와 실란트부재(80)의 고정 방법, 두께 및 재질 등은 상기에서 전술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실란트층(81)의 폭(w1)은, 제2 실란트층(82)의 폭(w2)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실란트층(81)의 폭(w1)은 제2 실란트층(82)의 폭(w2)보다 클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1 실란트층(81)의 폭(w1)은 제2 실란트층(82)의 폭(w2)보다 10mm 이상 클 수 있다.
흡음부재(90)의 폭(w3)은 제1 실란트층(81)의 폭(w1)과 동일할 수 있다. 흡음부재(90)는 제1 실란트층(81)의 상부면과, 제2 실란트층(82)의 측면 에지를 덮는 측면 커버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커버부(100)는 제2 실란트층(82)의 상부면과 측면 에지 및 제1 실란트층(81)의 상부면에 부착됨으로써 부착면적을 증가시키고, 이에 의해 흡음부재(90)의 접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측면 커버부(100)는 제1 실란트층(81)의 측면 에지를 덮지 않음으로써, 측면 커버부(100)가 공기입 타이어(1)의 내측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긴 길이의 이물질이 공기입 타이어(1)의 트레드(10)를 관통하여 펑크가 발생한 경우에도, 흡음부재(9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실란트와 흡음재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차량 주행 중 도로의 이물질에 의한 타이어 펑크를 예방하고, 타이어 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 공기입 타이어
10: 타이어 트레드
12: 제1 그루브
14: 블록
20: 사이드 월
22: 제2 그루브
30: 숄더부
40: 비드부
50: 바디 플라이
60: 벨트층
70: 측정부
80: 실란트부재
81: 제1 실란트층
82: 제2 실란트층
90: 흡음부재
91: 수용홈
100: 측면 커버부
C: 중심선

Claims (8)

  1.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내측에 배치되는 흡음부재; 및
    상기 흡음부재와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내측 사이에 배치되는 실란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란트부재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내측에 부착되는 제1 실란트층 및 상기 제1 실란트층과 상기 흡음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실란트층을 포함하는 이중 층 구조로 형성되는, 공기입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트부재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원주방향에 대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공기입 타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란트층의 폭은, 상기 제2 실란트층의 폭과 상이한, 공기입 타이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란트층의 폭은, 상기 제2 실란트층의 폭보다 큰, 공기입 타이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의 폭은 상기 제1 실란트층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2 실란트층의 폭보다 큰, 공기입 타이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의 폭은,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원주방향에 대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공기입 타이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는, 상기 제2 실란트층의 측면 에지를 덮는 측면 커버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에는 상기 실란트부재와 인접한 일면에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실란트층은 상기 수용홈 내에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KR1020190176265A 2019-12-27 2019-12-27 공기입 타이어 KR102288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265A KR102288492B1 (ko) 2019-12-27 2019-12-27 공기입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265A KR102288492B1 (ko) 2019-12-27 2019-12-27 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700A true KR20210083700A (ko) 2021-07-07
KR102288492B1 KR102288492B1 (ko) 2021-08-10

Family

ID=76862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265A KR102288492B1 (ko) 2019-12-27 2019-12-27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861A (ko) * 2021-09-08 2023-03-15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저소음 공기입 타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331B1 (ko) * 2021-10-20 2023-11-29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32637A (ja) * 2015-11-05 2018-11-08 コンティネンタル・ライフェン・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空気圧式車両タイヤ
JP2019108087A (ja) * 2017-12-20 2019-07-0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32637A (ja) * 2015-11-05 2018-11-08 コンティネンタル・ライフェン・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空気圧式車両タイヤ
JP2019108087A (ja) * 2017-12-20 2019-07-0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861A (ko) * 2021-09-08 2023-03-15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저소음 공기입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492B1 (ko)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6593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US8430143B2 (en) Pneumatic tire
US11124030B2 (en) Pneumatic tire
JP4427007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3934621B2 (ja) 空気入りタイヤとリムとの組立体
US11117424B2 (en) Pneumatic tire
JP3964878B2 (ja) 空気入りタイヤとリムとの組立体
WO2015076382A1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9562645B (zh) 泄气保用轮胎
KR102288492B1 (ko) 공기입 타이어
JP2011020479A (ja) 制音体付空気入りタイヤ
US20180319224A1 (en) Pneumatic Tire
US11001105B2 (en) Pneumatic tire
KR101993303B1 (ko) 소음 저감부재가 구비된 공기입 타이어
JP4769078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11453254B2 (en) Pneumatic tire
WO2020121572A1 (ja) 乗用車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KR102099916B1 (ko) 탈부착형 중량체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타이어
KR102267438B1 (ko) 타이바 및 타이바가 삽입된 공기입 타이어
JP2009286271A (ja) 吸音部材、かかる吸音部材を具えるタイヤ及びかかる吸音部材を具えるタイヤとリムの組立体
US10933700B2 (en) Pneumatic tire
US20200376889A1 (en) Tire
KR102412976B1 (ko) 이너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US9440500B2 (en) Pneumatic tire
US11752801B2 (en) Pneumatic ti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