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310A - 주름형 멤브레인을 갖는 밀봉 탱크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에지에 연결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주름형 멤브레인을 갖는 밀봉 탱크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에지에 연결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310A
KR20210083310A KR1020217016055A KR20217016055A KR20210083310A KR 20210083310 A KR20210083310 A KR 20210083310A KR 1020217016055 A KR1020217016055 A KR 1020217016055A KR 20217016055 A KR20217016055 A KR 20217016055A KR 20210083310 A KR20210083310 A KR 20210083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ffener
pleated
tank wall
pleats
connecting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6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엘 투
패트릭 마르땡
마르 보요
브루노 들레트레
레이널드 제르벨라
모하메드 사시
세바스티앙 쿠아우자
Original Assignee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filed Critical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ublication of KR20210083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17C2201/0157Polygo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2Size large (>1000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8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in form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75Thermal insulations by gas
    • F17C2203/0379Ine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1Improving str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8Detecting leaked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일 부분의 에지(65)에 배열된 주름부 보강재(12, 14)에 연결 구성요소(16)를 부착하도록 설계된 로킹 장치(36)에 관한 것이며,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은 탱크 벽(1)을 구성한다. 본 출원은 LNG 탱크 또는 선박의 연료 탱크와 관련된다.

Description

주름형 멤브레인을 갖는 밀봉 탱크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에지에 연결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본 발명의 분야는 유체를 저장 및/또는 수송하기 위한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corrugated sealed membrane)을 갖는 수송 탱크, 특히 액화 가스를 위한 밀봉 및 단열 탱크의 분야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50 ℃ 내지 0 ℃의 온도를 갖는, LPG로 지칭되는 액화 석유 가스를 수송하거나, 대기압에서 약 -162 ℃의 액화 천연 가스(LNG)를 수송하기 위한 탱크와 같은, 저온에서 액체를 저장 및/또는 수송하기 위한 밀봉 및 단열 탱크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탱크는 육상에 또는 부유 구조물(floating structure)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부유 구조물의 경우에, 탱크는 액화 가스를 수송하거나, 부유 구조물을 추진하기 위한 연료로서 사용되는 액화 가스를 수용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문헌 FR-A-2936784는 주름부(corrugation)에 보강재(reinforcement)를 포함하는 주름형 멤브레인으로 구성된 탱크 벽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주름부 보강재의 목적은 탱크의 변형의 경우에 주름형 멤브레인의 주름부를 기계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주름형 멤브레인에의 주름부 보강재의 조립은 처음에 주름형 멤브레인의 주름부에 의해 형성된 공동(cavity)에 보강재를 배열함으로써 수평으로 수행된 후에, 두 번째로, 조립된 모든 구성요소를 상승시켜서 탱크의 벽에 대해 가압하여 수행되거나, 제 1 주름형 멤브레인의 연결 구성요소가 제 2 주름형 멤브레인의 주름부 보강재 내로 도입되도록 제 1 주름형 멤브레인을 제 2 주름형 멤브레인 상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러한 조립의 단점은 주름형 멤브레인의 에지에 위치된 연결 구성요소가 주름부 보강재로부터 분리되어, 주름형 멤브레인, 그 주름부 보강재 및 그 연결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된 조립체를 취급할 때 낙하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이 탱크의 생산 프로세스를 방해한다는 사실에 부가하여, 이것은 이러한 연결 구성요소가 수 미터에 달할 수 있는 높이에서 위로부터 아래로 낙하할 수 있으므로 생산에 관련된 작업자에 대한 사고의 위험을 수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름형 멤브레인 단부에 연결 구성요소를 고정하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일련의 주름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밀봉 탱크 벽으로서, 밀봉 탱크 벽은 일련의 주름부에 배열된 주름부 보강재를 포함하고, 주름부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는 연결 구성요소와 주름부 보강재를 조립 방향으로 조립함으로써 연결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상기 밀봉 탱크 벽에 관한 것으로서, 밀봉 탱크 벽은 주름부 보강재의 재료에 공동을 형성하는 연결 구성요소의 재료의 재료 변형부에 의해 형성되고 조립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주름부 보강재에 대해 연결 구성요소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블로킹 장치는 조립 축을 따른 연결 구성요소의 이동을 기계적으로 방지하여, 연결 구성요소가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블로킹 장치는 연결 구성요소의 재료의 적어도 2개의 국부적인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주름부 보강재의 재료에 2개의 공동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변형부는 연결 구성요소와 주름부 보강재가 서로 접촉하는 구역에서 수행되는 펀칭 작업에 의해 얻어진다. 따라서, 연결 구성요소의 재료의 변형부는 연결 구성요소와 주름부 보강재의 조립 후에 수행된다.
탱크 벽이 제조되는 경우, 주름부 보강재가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주름부에 위치될 때,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단부에 배치된 연결 구성요소가 블로킹 장치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는,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일 부분을 상승시켜서 탱크 벽에 대해 가압할 때 연결 구성요소가 낙하할 수 없다는 점에서, 탱크 벽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가속화시킨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연결 구성요소는 단일 재료의 구성요소, 즉 모노블록(monobloc)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연결 구성요소는 주름부 보강재와 협력하는 연결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밀봉 탱크 벽은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 주름부 보강재 및 연결 구성요소(들)가 접하여 있는 제 1 단열 배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탱크 벽은 또한 제 2 단열 배리어, 및 이러한 제 2 단열 배리어에 접하여 있는 제 2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밀봉 탱크 벽은 제 1 일련의 평행한 주름부, 제 2 일련의 평행한 주름부, 및 일련의 주름부 사이에 위치된 평면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일련의 주름부 및 제 2 일련의 주름부는 교차 방향, 특히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예에 따르면, 밀봉 탱크 벽은 제 1 일련의 주름부에 배열된 제 1 주름부 보강재 및 제 2 일련의 주름부에 배열된 제 2 주름부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일련의 주름부에 있는 2개의 연이은 주름부 보강재는 연결 구성요소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 구성요소는 특히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2개의 부분들 사이의 교차점에 있는 바아 형태이거나,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동일한 부분 내에 있는 십자형부 형태이다. 그러한 부분들은 예를 들어 평행한 제 1 일련의 주름부 및 제 2 일련의 주름부를 포함하는 접힌 금속 시트이다.
연결 구성요소는 주름부 보강재 내로 도입되는 수형 구성요소(male component)를 형성할 수 있으며, 주름부 보강재는 수형 구성요소를 위한 암형 구성요소(female component)를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연결 구성요소는 형상 적합화(shape adaptation)에 의해 주름부 보강재 내로 삽입된다. 대안적으로, 연결 구성요소는 주름부 보강재가 도입되는 암형 구성요소를 형성할 수 있으며, 주름부 보강재는 수형 구성요소를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주름부 보강재는 형상 적합화에 의해 연결 구성요소 내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킹 장치는 연결 구성요소를 주름부 보강재에 연결하는 접착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착제는 주름부 보강재의 벽 중 적어도 하나 및 연결 구성요소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접착제는 하나의 요소가 다른 요소에 접착 접합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물질 또는 재료인 것으로 이해되도록 의도된다. 접착제는 예를 들어 양면 접착제 또는 아교(glue)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킹 장치는 주름부 보강재에 대한 연결 구성요소의 강제 끼워맞춤이다. 강제 끼워맞춤은 연결 구성요소의 조립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측정된, 통로의 폭이 연결 구성요소의 폭보다 엄격히 작다는 사실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도록 의도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킹 장치는 주름부 보강재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 벽의 재료 변형부이며, 그러한 변형부는 연결 구성요소의 리세스에서 연장된다. 이러한 재료 변형부는 연결 구성요소의 리세스에 대향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 벽을 펀칭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주름부 보강재는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주름부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상부 부분을 갖는다. 상부 부분의 형상은, 상부 부분 또는 주름부에 대한 단면에서 볼 때, 주름부의 프로파일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프로파일을 따른다는 점에서 상보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주름부 보강재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 벽,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 벽과 대향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개구, 및 2개의 베이스 플레이트 측벽으로 구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가지며, 이들 베이스 플레이트 벽 및 베이스 플레이트 개구는 공간을 한정한다. 그러한 공간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 벽, 베이스 플레이트 측벽 및 베이스 플레이트 개구에 의해 둘러싸인 리세스 구역을 형성하고, 이러한 공간은 연결 구성요소를 수용한다.
이러한 특징은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부분들이 서로 나란히 가압될 수 있게 하여, 제 1 멤브레인 부분의 에지를 제 2 멤브레인 부분의 에지 상에 중첩시킴으로써 탱크 벽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배치될 멤브레인 부분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개구는 밀봉 멤브레인이 멤브레인의 일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위치될 때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에 제공된 공간에, 이미 제자리에 있는 멤브레인 부분의 연결 구성요소가 수용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탱크 벽의 조립을 복잡하게 하는 측방향 슬라이딩에 의해 제 2 멤브레인 부분 상에 제 1 멤브레인 부분을 조립하는 것이 방지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 측벽에 부가하여, 주름부 보강재 벽은 주름부 보강재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주름부 보강재의 벽은 베이스 플레이트 측벽 대신에 공간을 한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름부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 부분은 내부 리세스를 갖도록 종방향으로 펀칭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름부 보강재(들)의 상부 부분의 이러한 리세스는 상부 부분에 배열된 내부 웨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 웨브는 예를 들어 주름부 보강재의 상부 부분의 일 면에 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구성요소는 제 1 부분, 및 제 1 부분과 반대측에 있는 제 2 부분으로 구성된 바아이며, 제 2 부분은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일 부분의 에지를 넘어서 연장된다. 이러한 경우에, 에지는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 부분의 섹션에 의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아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단면을 가지는 대체로 평행육면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구성요소는 중앙 부분과, 중앙 부분에서 시작하여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쌍의 아암과, 중앙 부분에서 시작하여 종방향에 수직인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쌍의 아암으로 구성된 십자형부이다. 그러한 십자형부는 달리 노드로 알려진 주름부의 교차점 아래에 배열된다. 이러한 경우에, 블로킹 장치는 최종 주름부 보강재가 최종 십자형부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이러한 주름부 보강재가 주름부로부터 미끄러져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멤브레인 부분의 에지를 넘어서 연장되는 바아의 경우도 마찬가질 수 있다.
따라서, 십자형부에 대한 주름부 보강재의 그러한 블로킹은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을 갖는 탱크의 사용 동안에 주름부 보강재의 임의의 이동을 방지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이것은 주름부 보강재가 이동할 수 없고 따라서 주름형 멤브레인과 기계적으로 간섭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멤브레인의 절단 및 이러한 절단 후의 누출의 어떠한 위험도 방지된다.
상기로부터, 본 발명은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을 갖는 탱크 벽에 관한 것으로서, 멤브레인의 일 부분의 에지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바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킹 장치를 사용하여 그것의 주름부 보강재로 블로킹되고, 적어도 하나의 주름부 보강재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킹 장치를 사용하여 십자형부로 블로킹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을 갖는 탱크 벽에 관한 것으로서, 멤브레인의 일 부분의 에지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바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킹 장치를 사용하여 그것의 주름부 보강재로 블로킹되는 반면, 적어도 하나의 주름부 보강재는 단순히 십자형부에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을 갖는 탱크 벽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주름부 보강재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킹 장치를 사용하여 십자형부로 블로킹되는 반면, 바아는 단순히 주름부 보강재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탱크 벽을 포함하는, 액체 가스를 수송하기 위한 용기 탱크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탱크 벽은 탱크 벽의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제 1 부분 및 제 1 부분에 인접한 탱크 벽의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제 2 부분에 의해 덮여 있는 연결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연결 구성요소는 탱크 벽의 제 1 멤브레인 부분의 최종 주름부 보강재와 탱크 벽의 제 2 멤브레인 부분의 제 1 주름부 보강재 사이의 기계적 연결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세부사항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순수하게 예로서 주어진 하기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보다 명확하게 인해될 것이다:
도 1은 탱크 벽에 고정된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일반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 연결 구성요소를 갖는 주름부 보강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정 연결 구성요소를 갖는 주름부 보강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고정 연결 구성요소를 갖는 주름부 보강재를 포함하는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 부분의 에지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성요소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변형부에 의한 블로킹의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면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상세한 방식으로 본 발명을 예시하며, 도면은 물론 필요한 경우에 본 발명을 보다 양호하게 규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나머지 설명에서, 종방향 또는 횡방향, 상부, 하부, 전방, 후방에 대한 언급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배향을 지칭한다. 종방향(L)은 대체로 연장되는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축에 대응하는 반면, 횡방향 배향은 횡방향(T)과 관련하여, 동일점에서 교차하는 직선형 라인, 즉 종방향과 교차하는 라인, 특히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종방향(L)에 수직인 라인에 대응한다. V로 표시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 중 하나는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두께에 대응한다.
상기에 나타낸 방향은 도면에 나타낸 직교 기준계(LVT)에서 볼 수 있다.
도 1은 밀봉 탱크(1)에 수용된 유체와 접촉하도록 의도되고 단열 배리어(thermally insulating barrier)(3)에 고정된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을 부분적으로 도시한다.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은, 수직방향(V)으로 측정된, 예를 들어 0.5 ㎜ 내지 1.5 ㎜, 유리하게는 1.2 ㎜의 두께와, 종방향(L)으로 측정된 680 ㎜ 내지 3060 ㎜의 길이와, 횡방향(T)으로 측정된 680 ㎜ 내지 1030 ㎜의 폭을 갖는 스테인리스강 또는 인바(Invar)의 플레이트 형태인 멤브레인 부분으로 구성된다.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은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종방향(L)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일련의 상호 평행한 주름부(4)를 포함한다.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은 또한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횡방향(T)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2 일련의 상호 평행한 주름부(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은 3 개의 제 1 일련의 주름부(4) 및 9 개의 제 2 일련의 주름부(6)를 포함한다. 주름부는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표면의 수직방향(V)으로의 변형부(deformation)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름부(4, 6)는, 단면에서, 그리고 탱크(1)의 외부측에서 보았을 때, 주름부(4, 6)의 팁(7)의 영역에서 연결된 제 1 오목 부분(5a) 및 제 2 오목 부분(5b)을 갖는다.
제 1 일련의 주름부(4) 및 제 2 일련의 주름부(6)는 서로 수직이고 그 교차점에서 노드(10)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제 1 일련의 주름부(4) 및 각각의 제 2 일련의 주름부(6)는 연이은 종방향 또는 횡방향 부분(9) 및 노드(10)를 포함한다.
노드(10)는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이 내접되는 평면(AB)으로부터 수직방향(V)으로 연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노드(10)의 팁은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일련의 주름부(4, 6)의 팁(7)보다 높다.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은 사각형 형태의 평면 부분(8)을 포함하고,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종방향(L)으로 연장되는 평면 부분(8)의 2개의 에지는 2개의 제 1 일련의 주름부(4)에 의해 한정되고,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횡방향(T)으로 연장되는 평면 부분(8)의 2개의 에지는 2개의 제 2 일련의 주름부(6)에 의해 한정된다. 평면 부분(8) 전체는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평면(AB)에서 연장되고 밀봉 탱크(1)가 조립될 때 단열 배리어(3)와 접촉하는 비변형 표면을 한정한다.
도 1은 또한 주름부 보강재(12, 14)의 존재를 보여준다. 이러한 보강재는 제 1 주름부 보강재(12)와 제 2 주름부 보강재(14)로 나누어진다.
제 1 주름부 보강재(12)는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종방향(L)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라인을 형성하도록 정렬된다.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기술적 특징은 도 2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 2 주름부 보강재(14)는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횡방향(T)으로 연장되는 라인을 형성하도록 정렬된다. 따라서, 제 2 주름부 보강재(14)의 라인은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라인과 교차한다.
제 1 주름부 보강재(12)는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제 1 일련의 주름부(4)에 배열된다. 제 1 주름부 보강재(12)는 주름부(4)의 변형부에 중첩되도록 위치되며,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리지(ridge)(11)는 주름부(4)의 팁(7)과 대향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 2 주름부 보강재(14)는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제 2 일련의 주름부(6)에 배열된다. 따라서, 제 2 주름부 보강재(14)는 주름부(6)의 변형부에 중첩되도록 위치되며, 제 2 주름부 보강재(14)의 형상은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제 2 일련의 주름부(6)의 형상과 상보적이다.
또한, 제 2 주름부 보강재(14)의 라인과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라인 사이의 교차점이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노드(10) 아래에 위치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2개의 연이은 제 1 주름부 보강재(12)를 종방향(L)으로 분리하는 거리는 제 2 주름부 보강재(14)의 폭보다 크다. 2개의 연이은 제 2 주름부 보강재(14)를 횡방향(T)으로 분리하는 거리는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폭보다 작다.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제 1 부분의 에지(65)에 위치된 제 1 주름부 보강재(12)를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제 1 부분에 인접한 제 2 부분의 제 1 주름부 보강재(12)와 연결하기 위해,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제 1 부분의 제 1 주름부 보강재(12) 및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제 2 인접 부분의 제 1 주름부 보강재(12)에 연결 구성요소(16)가 끼워맞춰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제 1 부분의 에지(65)를 넘어서 연장되는 연결 구성요소(16)는 중실형 또는 중공형일 수 있고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바아(19)이다. 본 경우에, 그러한 바아는 단일 재료로 제조되고,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까지 일체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바아(19)는 또한 서로 조립되는 몇 개의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름부 보강재(12, 14)가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일련의 주름부(4, 6) 아래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제 1 주름부 보강재(12) 및 제 2 주름부 보강재(14)에 십자형부(cross)(17) 형태의 연결 구성요소(16)가 배열된다. 따라서, 그러한 십자형부(17)는 노드(10)와 일렬로 배치된다. 십자형부(17)의 구조는 하기에서 도 5의 상세한 설명에서 나타날 것이다.
도 2는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구조 및 바아(19) 형태의 연결 구성요소(16)의 구조와, 주름부 보강재(12)에 있는 이러한 연결 구성요소의 블로킹 장치(blocking device)(36)의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의 특징은 제 2 주름부 보강재(14)와, 이러한 제 2 주름부 보강재(14) 내로 삽입되는 연결 구성요소(16)에도 적용된다.
바아(19)는 종방향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까지 동일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평행육면체의 형태이다. 바아(19)는 제 1 부분(50)과,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종방향(L)으로 제 1 부분(50)과 반대측에 있는 제 2 부분(52)을 갖는다.
주름부 보강재(12)는 상부 부분(18) 및 베이스 플레이트(20)를 포함한다. 단면(HT)에서 볼 때, 상부 부분(18)은 리지(11)에 의해 종단되는 제 1 볼록 벽(21a) 및 제 2 볼록 벽(21b)으로 구성된다. 주름부 보강재(12)의 상부 부분(18)은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제 1 일련의 주름부의 주름부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부분(18)은 종방향으로 펀칭되어 내부 리세스(internal recess)(60)를 형성한다. 따라서, 내부 리세스(60)는 불활성 가스의 순환을 가능하게 하거나,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을 통한 누출 검출을 촉진한다.
유리하게는, 상부 부분(18)은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상부 부분(18)을 보강하는 2개의 내부 웨브(internal web)(34)를 포함한다. 2개의 내부 웨브(34)는 내부 리세스(60)에 십자형부를 형성하도록 서로 교차한다.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상부 부분(18)의 길이보다 긴 길이에 걸쳐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상부 부분(18)을 넘어서 종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 위치(32)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간극이 노드의 영역에서 생성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노드와 제 1 주름부 보강재(12) 사이의 어떠한 기계적 간섭도 방지될 수 있게 한다.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베이스 플레이트(20)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 벽(22), 도 4에서 볼 수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 개구, 및 2개의 측벽(26a, 26b)을 포함하며,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 벽(22, 26a, 26b) 및 베이스 플레이트 개구는 바아(19) 형태의 연결 구성요소(16)가 수용되는 공간(29)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서 볼 수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 개구는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하부 벽(24)에 제공된다. 베이스 플레이트 개구는 2개의 멤브레인 사이에서의 종방향(L) 슬라이딩보다는 탱크 벽이 조립될 때 바닥부를 통해 공간(29)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주름부 보강재 벽(30a) 및 제 2 주름부 보강재 벽(30b)은 하부 벽(24)을 상부 벽(22)에 연결하는 공간(29)을 한정할 수 있다. 이들 주름부 보강재 벽(30a, 30b)은 베이스 플레이트(20)를 보강하고, 특히 상당한 응력 하에서도 베이스 플레이트(20)가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탱크 벽이 장착된 후에, 바아(19)는 2개의 인접한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공간(29)에 수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아(19)의 제 1 부분(50)은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공간(29)에 수용되고, 바아(19)의 제 2 부분(52)은 제 2의 인접한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수용되고 동일한 일련의 주름부(4)로 정렬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구성요소(16)의 제 1 블로킹 장치(36)를 나타낸다. 블로킹 장치(36)는 본 예에서 연결 구성요소(16)와 대향하는 적어도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부 벽(22) 상에서 연장되는 접착제(38)이다. 따라서, 접착제(38)는 연결 구성요소(16)와 접촉하고, I로 표시된 화살표로 나타낸 조립 방향과 적어도 반대 방향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공간(29)에 연결 구성요소(16)를 유지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조립 방향(I)은 종방향(L)과 평행하거나, 수직방향(V)과 평행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접착제(38)의 위치는 상부 벽(22)에 제한되지 않고, 접착제(38)는 또한 2개의 보강재 벽(30a, 30b) 중 하나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은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연결 구성요소(16)를 고정하기 위한 제 2 변형예를 나타낸다. 블로킹 장치(36)는 상이하지만, 도 2에 나타낸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모든 기술적 특징은 도 3의 제 1 주름부 보강재(12)에 적용된다.
본 경우에, 바아(19) 형태의 연결 구성요소(16)는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공간(29)에 강제 끼워맞춤된다. 강제 끼워맞춤(force-fitting)은 바아(19) 및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공간(29)이 각자의 벽들 사이에 어떤 유격도 갖지 않는 조립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제로, 주름부 보강재 벽(30a 및 30b)을 분리하는 거리는 횡방향(T)으로 측정된 연결 구성요소(16)의 폭(C)보다 엄격히 작다. 강제 끼워맞춤에 의해 수행되는 블로킹은 I로 표시된 화살표로 나타낸 조립 방향과 적어도 반대 방향으로 생성된다. 이러한 조립 방향(I)은 종방향(L)과 평행하거나, 수직방향(V)과 평행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암(19)의 제 1 부분(50)만이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공간(29) 내로 강제로 삽입된다. 바아(19)의 제 2 부분(52)은 제 1 주름부 보강재(12)로부터 자유롭고, 제 2 부분(12)은 인접한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 부분의 제 1 주름부 보강재를 수용하는 데 이용 가능하다.
도 4는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연결 구성요소(16)를 고정하기 위한 제 3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는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 제 1 주름부 보강재(12), 제 2 주름부 보강재(14) 및 연결 구성요소(16)를 도시한다.
제 1 주름부 보강재(12)는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제 1 일련의 주름부(4) 아래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1 주름부 보강재(12) 중 하나는 일련의 제 1 주름부 보강재 중 첫 번째 것이며,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 부분(2)의 에지(65)에 직접 인접하여 배치된다.
바아(19)의 제 1 부분(50)은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공간(29) 내로 삽입되고, 제 1 부분(50)과 종방향으로 반대측에 있는 제 2 부분(52)은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 부분(2)의 에지(65)를 넘어서 연장된다.
제 1 주름부 보강재(12)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하부 벽(24)을 통해 제공된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개구(62)를 갖는다. 이러한 특징은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 부분(2)을 서로 조립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이는 의도된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 부분(2)이 탱크 벽에 대해 이미 고정된 제 1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 부분(2)을 넘어서 연장되는 바아(19)의 2개의 부분(52) 상에 가압되도록 위치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바아(19)가 조립 동안에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공간(29)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블로킹 장치(36)는 제 1 주름부 보강재(12)에의 연결 구성요소(16)의 종방향(L)으로의 조립 방향(I)과 적어도 반대 방향으로,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공간(29)에서 바아(19)를 블로킹하는 재료 변형부(40)의 형태이다. 변형부(40)는 공동(66)을 생성하고, 그에 따라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 부분(2)의 에지(65)에 위치된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베이스 플레이트(20)에서 바아(19)가 종방향(L)으로 블로킹될 수 있게 한다.
변형부(4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측벽(26a, 26b) 중 하나의 재료 내로의 바아(19)의 재료의 이동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형부(40) 및 공동(66)은 수동 또는 자동 펀치(punch)에 의해 생성되며, 이러한 작업은 연결 구성요소(16)를 제 1 주름부 보강재(12) 내로 삽입한 후에 수행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4는 바아(19)와 제 1 측벽(26a) 사이의 단일 변형부(40) 및 공동(66)을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아(19)와 제 2 측벽(26b) 사이에 변형부(40) 및 공동(66)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부(40) 및 그 공동(66)에 관한 본 발명의 다른 대안적 또는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킹 장치(36)는, 수동 또는 자동 펀치를 사용하여 또한 생성되는,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하부 벽(24)의 재료 변형부(72)일 수 있다. 재료 변형부(72)의 기술적 특징은 도 6에서 나타날 것이다.
도 4는 또한, 제 1 주름부 보강재(12)의 라인과 제 2 주름부 보강재(14)의 라인의 교차점에서 노드 아래에 배치될 때의 연결 구성요소(16)의 제 2 구성을 도시한다. 연결 구성요소(16)는 본 예에서 십자형부(17)의 형태이고, 십자형부는 2개의 제 1 주름부 보강재(12) 및 2개의 제 2 주름부 보강재(14)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성요소(16)를 도시한다. 도 5의 연결 구성요소(16)는 십자형부(17)의 형태이다. 십자형부는 중앙 부분(46)을 포함하며, 이 중앙 부분(46)으로부터, 제 1 쌍의 아암(42)이 종방향(L)으로 연장되고 제 2 쌍의 아암(44)이 횡방향(T)으로 연장된다. 제 1 쌍의 아암(42) 및 제 2 쌍의 아암(44)은 함께 십자형부(17)를 형성한다.
제 1 쌍의 아암(42)은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제 1 일련의 주름부의 2개의 연이은 제 1 주름부 보강재 내로 삽입된다. 제 2 쌍의 아암(44)은 제 1 쌍의 아암(42)보다 작은 폭 및 길이를 가지며,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제 2 일련의 주름부의 2개의 연이은 제 1 주름부 보강재 내로 삽입된다.
십자형부(17)는 또한 블로킹 장치가 주름부 보강재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 벽의 재료 변형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게 하는 간극(70)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도 4에서 볼 수 있는 평면(D)을 따른 재료 변형부(72)의 단면이다. 도 6에 나타나지 않은 주름부 보강재(12)의 요소에 대해서는 도 2 또는 도 3의 설명이 참조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연결 구성요소(16)는 십자형부(17)의 형태이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블로킹 수단(36)의 실시예는 이러한 십자형부(17) 또는 바아가 간극(70)을 포함하는 한, 바아를 블로킹하는 데도 사용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간극(70)은 연결 구성요소(16)의 관통 구멍 형태이지만, 연결 구성요소(16)에 제공되는 블라인드 구멍(blind hole)일 수도 있다. 그러한 간극(70)은 도 6에 도시된 삼면체의 수직방향(V)으로 연장된다.
연결 구성요소(16)가 주름부 보강재(12)의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공간(29)에 삽입되면, 펀치(71)는 주름부 보강재(12)의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하부 벽(24)에 기계적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주름부 보강재(12)를 변형시켜서 재료 변형부(72)를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름부 보강재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연결 구성요소의 블로킹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정시키는 목적을 달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배타적으로 설명 및 도시된 수단 및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동등한 임의의 수단 또는 구성, 및 그러한 수단 또는 구성의 임의의 조합에도 적용된다. 특히,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의 임의의 형상 및/또는 크기에 적용된다는 것이 자명하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일련의 주름부(4, 6)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을 포함하는 밀봉 탱크 벽(1)으로서, 상기 밀봉 탱크 벽(1)은 상기 일련의 주름부(4, 6)에 배열된 주름부 보강재(12, 14)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부 보강재(12, 14) 중 적어도 하나는 연결 구성요소(16)와 상기 주름부 보강재(12, 14)를 조립 방향(I)으로 조립함으로써 상기 연결 구성요소(16)에 연결되는, 상기 밀봉 탱크 벽(1)에 있어서,
    상기 밀봉 탱크 벽(1)은 상기 주름부 보강재(12, 14)의 재료에 공동(66)을 형성하는 상기 연결 구성요소(16)의 재료의 재료 변형부(40)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조립 방향(I)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주름부 보강재(12, 14)에 대해 상기 연결 구성요소(16)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장치(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탱크 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일련의 평행한 주름부(4), 제 2 일련의 평행한 주름부(6), 및 상기 일련의 주름부(4, 6) 사이에 위치된 평면 부분(8)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일련의 주름부(4) 및 제 2 일련의 주름부(6)는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는
    밀봉 탱크 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일련의 주름부(4)에 배열된 제 1 주름부 보강재(12) 및 상기 제 2 일련의 주름부(4)에 배열된 제 2 주름부 보강재(14)를 포함하는
    밀봉 탱크 벽.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름부 보강재(12, 14)는 상기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주름부(4, 6)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상부 부분(18)을 갖는
    밀봉 탱크 벽.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름부 보강재(12, 14)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 벽(22),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 벽(22)과 대향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개구(62), 및 2개의 베이스 플레이트 측벽(26a, 26b)으로 구성된 베이스 플레이트(20)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벽(22, 26a, 26b)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개구(62)는 공간(29)을 한정하는
    밀봉 탱크 벽.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 보강재(12, 14)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 부분(18)은 종방향으로 펀칭되는
    밀봉 탱크 벽.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성요소(16)는 제 1 부분(50), 및 상기 제 1 부분(50)과 반대측에 있는 제 2 부분(52)으로 구성된 바아(19)이며, 상기 제 2 부분(52)은 상기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일 부분의 에지(65)를 넘어서 연장되는
    밀봉 탱크 벽.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성요소(16)는 중앙 부분(46)과, 상기 중앙 부분(46)에서 시작하여 상기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종방향(L)으로 연장되는 제 1 쌍의 아암(42)과, 상기 중앙 부분(46)에서 시작하여 상기 종방향(L)에 수직인 횡방향(T)으로 연장되는 제 2 쌍의 아암(44)으로 구성된 십자형부(17)인
    밀봉 탱크 벽.
  9. 액체 가스를 수송하기 위한 용기 탱크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탱크 벽(1)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용기 탱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성요소(16)는 상기 탱크 벽(1)의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에 인접한 상기 탱크 벽(1)의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2)의 제 2 부분에 의해 덮여 있는
    용기 탱크.
KR1020217016055A 2018-10-31 2019-10-24 주름형 멤브레인을 갖는 밀봉 탱크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에지에 연결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KR202100833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60123 2018-10-31
FR1860123A FR3087871B1 (fr) 2018-10-31 2018-10-31 Securisation de pieces de liaison au bord d’une plaque constitutive d’une cuve etanche a membranes ondules
PCT/EP2019/078973 WO2020089021A1 (fr) 2018-10-31 2019-10-24 Sécurisation de pièces de liaison au bord d'une plaque constitutive d'une cuve étanche à membrane ondulé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310A true KR20210083310A (ko) 2021-07-06

Family

ID=65444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6055A KR20210083310A (ko) 2018-10-31 2019-10-24 주름형 멤브레인을 갖는 밀봉 탱크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에지에 연결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20210083310A (ko)
CN (1) CN113167434B (ko)
CA (1) CA3117736A1 (ko)
FR (1) FR3087871B1 (ko)
WO (1) WO20200890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8267B1 (fr) * 2020-03-23 2023-04-14 Gaztransport Et Technigaz Outil de poinçonnage et système pour la connexion d’une pluralité de renforts d’onde d’une membrane corruguée d’une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FR3109979B1 (fr) * 2020-05-05 2022-04-08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comprenant des éléments de remplissage anti-convecti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0608A (en) * 1975-11-03 1977-09-27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Cross-shaped joint cover member for generally rectangular composite insulating panels forming wall portion of insulated cryogenic liquid container
EP2261110B1 (en) * 2008-03-03 2019-08-21 Samsung Heavy IND. CO., LTD. Reinforcement member for membrane of liquefied natural gas cargo, membrane assembly having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ame
FR2936784B1 (fr) * 2008-10-08 2010-10-08 Gaztransp Et Technigaz Cuve a membrane ondulee renforcee
JP2010255378A (ja) * 2009-04-28 2010-11-1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床パネル
FR2963818B1 (fr) * 2010-08-11 2014-01-03 Gaztransp Et Technigaz Structure de paroi etanche
KR101349881B1 (ko) * 2012-06-13 2014-0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
FR3004510B1 (fr) * 2013-04-12 2016-12-09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de stockage d'un fluide
FR3039248B1 (fr) * 2015-07-24 2017-08-18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munie d'une piece de renfort
GB2554862A (en) * 2016-10-04 2018-04-18 Torgy Lng Holding As Secondary barri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67434B (zh) 2023-06-06
CN113167434A (zh) 2021-07-23
FR3087871A1 (fr) 2020-05-01
FR3087871B1 (fr) 2022-09-09
WO2020089021A1 (fr) 2020-05-07
CA3117736A1 (fr)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9536B2 (ja) 補強片を備えた密封断熱タンク
KR102502222B1 (ko) 보강된 주름진 멤브레인을 가진 밀봉 벽
KR20210083310A (ko) 주름형 멤브레인을 갖는 밀봉 탱크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에지에 연결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JP5746346B2 (ja) 不透過性壁構造
CN113226914B (zh) 用于液化天然气储罐的拐角部分的热绝缘结构
KR20210028746A (ko) 불침투성 배리어의 파동 형상부들의 분리
US20170227164A1 (en) Corner structure of lng storage tank
KR101290800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방벽 구조체 및 그 설치방법
KR101031242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보강구조
KR101337627B1 (ko)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구조체
KR101826684B1 (ko) 멤브레인형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102538602B1 (ko) 멤브레인 손상 방지를 위한 브릿지 구조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EP2671820B1 (en) Vacuum insulation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973086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37626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구조체
KR101792700B1 (ko) 방벽 시공 방법
KR101669532B1 (ko) 앵커 구조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방벽 구조체 조립방법, 상기 방벽 구조체, 및 상기 방벽 구조체를 갖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20140123452A (ko) 불침투성 멤브레인 및 이를 생산하는 방법
KR101664261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방벽 구조체, 상기 방벽 구조체의 조립방법, 및 상기 방벽 구조체를 갖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101588661B1 (ko) 화물창 및 이에 사용되는 방벽 보강부재
KR101346569B1 (ko) 저장탱크 및 저장탱크의 제조방법
KR20210143872A (ko) 탱크 벽의 설치 동안에 주름부 보강재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RU2817222C2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стенки резервуар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или хранения сжиженного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KR20210011775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배치구조
CN114502875B (zh) 修理用于运输和/或储存液化天然气的罐的壁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