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2123A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플렉시블 버스바 - Google Patents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플렉시블 버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2123A
KR20210082123A KR1020200183677A KR20200183677A KR20210082123A KR 20210082123 A KR20210082123 A KR 20210082123A KR 1020200183677 A KR1020200183677 A KR 1020200183677A KR 20200183677 A KR20200183677 A KR 20200183677A KR 20210082123 A KR20210082123 A KR 20210082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fuel cell
solid oxide
oxide fuel
meta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7622B1 (ko
Inventor
이용현
Original Assignee
피엔피에너지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엔피에너지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엔피에너지텍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82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 플렉시블관 내부에 금속케이블을 넣고, 상기 플렉시블관 일측을 제1플레이트로 밀폐시키는 단계와, 제2플레이트에 통공을 형성한 후, 상기 플렉시블관 타측에 상기 제2플레이트를 결합시켜 플렉시블 결합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를 진공챔버에 투입 후 상기 진공챔버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진공 상태가 되면, 상기 진공챔버에 형성된 윈도우를 통해 레이저를 상기 통공에 조사하여 상기 통공을 실링하는 단계와,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를 상기 진공챔버 밖으로 빼내어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 양단부를 압착하여 상기 금속케이블과 상기 플렉시블관을 완전히 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 양단부에 연결단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금속케이블 주위를 인위적으로 진공상태로 만들어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금속케이블의 전기저항 증가나 단선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플렉시블 버스바{High temperature flexible bus-bar for solid oxide fuel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us-bar thereby}
본 발명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 장기 운전에 따른 버스바의 표면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플렉시블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화석연료를 태움으로써 생기는 배기가스에 의한 환경 오염 문제와 화석연료 고갈에 의한 에너지 위기 등에 대처하기 위하여 무공해 대체에너지 개발을 위한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무공해 대체에너지로서의 수소 연료의 사용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무한한 자원의 활용으로써 그 의미가 있으며, 수소 연료를 사용하는 연료전지는 수소에너지 응용기술의 핵심이다.
이러한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연료전지중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연료인 수소를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시켜 물을 생성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장치로, 수소 또는 수소를 포함하는 합성가스를 스택의 연료극(anode)에 공급되고, 블로워와 같은 공기 공급장치를 통해 대기 중의 공기를 스택의 공기극(cathode)으로 공급된다.
스택의 연료극으로 공급된 수소는 수소 이온으로 분리되고, 공기극의 산소는 이온으로 형태로 고체 전해질을 통해 연료극으로 이동하고, 이때 전자는 외부 도선을 통해 연료극으로 이동한다. 고체 전해질을 통해 연료극으로 이동한 산소 이온은 연료극의 수소이온과 결합하여 물을 생성하면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600~800℃의 높은 온도에서 운전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Ni이 다량 함유된 전류케이블을 사용한다.
기존의 전류케이블은 Ni 함량이 많아 고온에 사용하더라도 stainless steel보다 표면산화가 느리지만 결국에는 장기운전에 따라 표면이 산화될 수밖에 없다.
전류선 표면에 산화막이 생성되고 이 산화막이 고온에 노출됨에 따라 전류선의 중심부까지 산화가 되면 저항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전기전도 성능이 저하되거나 결국에는 전류선 단선에 이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기 운전에 따른 버스바의 표면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플렉시블 버스바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렉시블관 내부에 금속케이블을 넣고, 상기 플렉시블관 일측을 제1플레이트로 밀폐시키는 단계와, 제2플레이트에 통공을 형성한 후, 상기 플렉시블관 타측에 상기 제2플레이트를 결합시켜 플렉시블 결합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를 진공챔버에 투입 후 상기 진공챔버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진공 상태가 되면, 상기 진공챔버에 형성된 윈도우를 통해 레이저를 상기 통공에 조사하여 상기 통공을 실링하는 단계와,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를 상기 진공챔버 밖으로 빼내어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 양단부를 압착하여 상기 금속케이블과 상기 플렉시블관을 완전히 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 양단부에 연결단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렉시블관 내부에 금속케이블을 넣고, 상기 플렉시블관 양측단 중 어느 하나에 통공이 형성된 연결단자를 형성하고 다른쪽은 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연결단자를 형성하여 플렉시블 결합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를 진공챔버에 투입하고, 상기 연결단자의 통공에 이송관을 연결하고, 브레이징 필러가 수용된 용기를 상기 이송관과 연결시키고, 상기 진공챔버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진공챔버 내부의 온도를 올려 상기 브레이징 필러를 녹이는 단계와, 상기 연결단자의 통공을 통해 상기 브레이징 필러가 공급되어 플렉시블관, 금속케이블 및 연결단자 사이에 상기 브레이징 필러가 충진되는 단계와,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를 상기 진공챔버 밖으로 빼내고, 상기 이송관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을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케이블과, 상기 금속케이블을 둘러싸는 플렉시블관과, 상기 플렉시블관 양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금속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관 내부 상기 금속케이블 주위가 진공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를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상기 플렉시블관은, 인코넬, STS 400 계열, crofer, Ni-합금, 460FC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케이블은, 금속연선으로 구리, 알루미늄, Stainless steel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장기 운전에 따른 전류선(금속케이블)의 표면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금속케이블 주위를 인위적으로 진공상태로 만들어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금속케이블의 전기저항 증가나 단선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에 대한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에 대한 단면도.
도 3 및 도 4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에 대한 모식도.
본 발명은 장기 운전에 따른 전류선(금속케이블)의 표면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플렉시블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금속재질의 전류선 주위를 인위적으로 진공상태로 만들어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전류선의 전기저항 증가나 단선을 차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은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100)는 금속케이블(110)과, 상기 금속케이블(110)을 둘러싸는 플렉시블관(120)과, 상기 플렉시블관(120) 양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금속케이블(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130) 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관(120) 내부 상기 금속케이블(110) 주위가 진공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운전온도가 600~800℃에서 운전됨에 따라 금속재질의 전류선(본 발명에서는 금속케이블과 동일한 의미임)의 산화는 급속도로 이루어지는데 이로 인해 전기저항이 증가되고 급기야는 전류선이 단선에 이르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금속케이블(110) 주위를 인위적으로 진공상태로 만들어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금속케이블(110)의 전기저항 증가나 단선을 차단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플렉시블관(120)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운전온도와 동일한 환경에 노출되기 때문에 고온재료, 예컨대 인코넬, STS 400 계열, crofer, Ni-합금, 460FC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관(120)은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전류선의 휨이나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금속케이블(110)은, 전도성 재질로 금속연선 예컨대 구리, 알루미늄, Stainless steel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이러한 상기 플렉시블관(120) 내부 상기 금속케이블(110) 주위의 진공 상태는, 플렉시블관(120) 내부 상기 금속케이블(110) 주위를 진공 상태로 형성한 이후 레이저용접을 통해 실링하거나 또는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실링하여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은 플렉시블관 내부 상기 금속케이블 주위를 진공 상태로 형성한 이후 레이저용접을 통해 실링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플렉시블관 내부 상기 금속케이블 주위를 진공 상태로 형성한 이후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실링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은, 플렉시블관 내부에 금속케이블을 넣고, 상기 플렉시블관 일측을 제1플레이트로 밀폐시키는 단계와, 제2플레이트에 통공을 형성한 후, 상기 플렉시블관 타측에 상기 제2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단계(a)와,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를 진공챔버에 투입 후 상기 진공챔버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하는 단계(b), 상기 진공 상태가 되면, 상기 진공챔버에 형성된 윈도우를 통해 레이저를 상기 통공에 조사하여 상기 통공을 실링하는 단계(c),(d),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를 상기 진공챔버 밖으로 빼내어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 양단부를 압착하여 상기 금속케이블과 상기 플렉시블관을 완전히 밀착시키는 단계(e)와,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 양단부에 연결단자를 형성하는 단계(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a)는 플렉시블관 내부에 금속케이블을 넣고, 상기 플렉시블관 일측을 제1플레이트로 밀폐시키고, 제2플레이트에 통공을 형성한 후, 상기 플렉시블관 타측에 상기 제2플레이트를 결합시켜 플렉시블 결합체를 형성키는 것이다.
양단부가 오픈된 플렉시블관 내부에 금속케이블을 넣고, 상기 플렉시블관 양측에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위치시킨 후, 상기 금속케이블과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용접하여 상기 플렉시블관을 일차로 밀폐시킨다.
이때 상기 제2플레이트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플렉시블관은 완전히 밀폐되어 있지는 않다.
상기 제2플레이트에 형성된 통공은 30~50㎛ 정도 크기로,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플렉시블관 내부의 진공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a)에 상기 제2플레이트에 형성된 통공을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상기 플렉시블관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운전온도와 동일한 환경에 노출되기 때문에 고온재료, 예컨대 인코넬, STS 400 계열, crofer, Ni-합금, 460FC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관은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전류선의 휨이나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금속케이블은, 전도성 재질로 금속연선 예컨대 구리, 알루미늄, Stainless steel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도 3(b)는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를 진공챔버에 투입 후 상기 진공챔버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한다. 상기 진공챔버 일측에는 레이저 조사가 가능하도록 윈도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진공챔버 내부의 진공도는 1~3 x 10-3 torr 정도이며, 상기 진공챔버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의 내부도 상기 제2플레이트의 통공을 통해 배기되어 진공상태가 된다.
도 3(c),(d)는 상기 진공챔버에 형성된 윈도우를 통해 레이저를 상기 통공에 조사하여 상기 통공 녹여 이를 메워 실링을 한다. 도 3(c)는 상기 진공챔버의 윈도우를 통해 상기 통공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d)는 상기 레이저로 통공을 녹여 상기 통공이 실링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의해 플렉시블관 내부에 형성된 금속케이블은 진공 상태에서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게 된다.
도 3(e)는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를 상기 진공챔버 밖으로 빼내어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 양단부를 압착하여 상기 금속케이블과 상기 플렉시블관을 완전히 밀착시키는 것이다.
도 3(f)는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 양단부에 연결단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 양단의 직격이 들어갈 수 있는 연결단자를 준비하여 용접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가 제조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관 내부 상기 금속케이블 주위가 진공 상태가 되어 금속케이블의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전기저항 증가나 단선을 차단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은, 플렉시블관 내부에 금속케이블을 넣고, 상기 플렉시블관 양측단 중 어느 하나에 통공이 형성된 연결단자를 형성하고 다른쪽은 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연결단자를 형성하여 플렉시블 결합체를 형성하는 단계(a)와,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를 진공챔버에 투입하고, 상기 연결단자의 통공에 이송관을 연결하고, 브레이징 필러가 수용된 용기를 상기 이송관과 연결시키고, 상기 진공챔버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하는 단계(b), 상기 진공챔버 내부의 온도를 올려 상기 브레이징 필러를 녹이고, 상기 연결단자의 통공을 통해 상기 브레이징 필러가 공급되어 플렉시블관, 금속케이블 및 연결단자 사이에 상기 브레이징 필러가 충진되는 단계(c),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를 상기 진공챔버 밖으로 빼내고, 상기 이송관을 절단하는 단계(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a)는 플렉시블관 내부에 금속케이블을 넣고, 상기 플렉시블관 양측단 중 어느 하나에 통공이 형성된 연결단자를 형성하고 다른쪽은 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연결단자를 형성하여 플렉시블 결합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플렉시블관 양측단에 형성된 연결단자 중 어느 하나에만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이때 상기 플렉시블관은 완전히 밀폐되어 있지는 않다.
상기 플렉시블관과 연결단자는 완전히 밀폐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일측단만 압착 후 연결단자를 미리 용접하여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압착 공정은 필수적이지는 않다.
상기 연결단자에 형성된 30~50㎛ 정도 크기로,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플렉시블관 내부의 진공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4(a)에 상기 연결단자에 형성된 통공을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상기 플렉시블관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운전온도와 동일한 환경에 노출되기 때문에 고온재료, 예컨대 인코넬, STS 400 계열, crofer, Ni-합금, 460FC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관은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전류선의 휨이나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금속케이블은, 전도성 재질로 금속연선 예컨대 구리, 알루미늄, Stainless steel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도 4(b)는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를 진공챔버에 투입하고, 상기 연결단자의 통공에 이송관을 연결하고, 브레이징 필러가 수용된 용기를 상기 이송관과 연결시키고, 상기 진공챔버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한다.
상기 진공챔버 내부의 진공도는 1~3 x 10-3 torr 정도이며, 상기 진공챔버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의 내부도 상기 연결단자를 통해 통해 배기되어 진공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단자와 이송관은 연결되며, 상기 이송관에는 브레이징 필러가 수용된 용기가 연결되게 된다. 상기 연결단자에 형성된 통공의 위치보다 상기 브레이징 필러가 수용된 용기가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중력에 의해 브레이징 필러가 상기 연결단자의 통공에 도달되도록 구현한다.
상기 브레이징 필러는 Ni-합금계 고온용 필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c)는 상기 진공챔버 내부의 온도를 올려 상기 브레이징 필러를 녹이고, 상기 연결단자의 통공을 통해 상기 브레이징 필러가 공급되어 플렉시블관, 금속케이블 및 연결단자 사이에 상기 브레이징 필러가 충진되는 것이다.
상기 진공챔버 내부의 온도는 600~1200℃까지 올려 상기 브레이징 필러를 녹인다. 상기 플렉시블관과 연결단자 사이가 진공상태이면서 중력을 받을 수 있게 용기가 상기 통공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녹은 브레이징 필러는 자연스럽게 플렉시블관, 금속케이블 및 연결단자 사이에 들어가 충진되게 된다.
이에 의해 플렉시블관 내부에 형성된 금속케이블은 진공 상태에서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게 된다.
도 4(d)는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를 상기 진공챔버 밖으로 빼내고, 상기 이송관을 절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가 제조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관 내부 상기 금속케이블 주위가 진공 상태가 되어 금속케이블의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전기저항 증가나 단선을 차단하고자 하는 것이다.
100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110 : 금속케이블
120 : 플렉시블관
130 : 연결단자

Claims (13)

  1. 플렉시블관 내부에 금속케이블을 넣고, 상기 플렉시블관 일측을 제1플레이트로 밀폐시키는 단계;
    제2플레이트에 통공을 형성한 후, 상기 플렉시블관 타측에 상기 제2플레이트를 결합시켜 플렉시블 결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를 진공챔버에 투입 후 상기 진공챔버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진공 상태가 되면, 상기 진공챔버에 형성된 윈도우를 통해 레이저를 상기 통공에 조사하여 상기 통공을 실링하는 단계;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를 상기 진공챔버 밖으로 빼내어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 양단부를 압착하여 상기 금속케이블과 상기 플렉시블관을 완전히 밀착시키는 단계;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 양단부에 연결단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관은,
    인코넬, STS 400 계열, crofer, Ni-합금, 460FC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케이블은,
    금속연선으로 구리, 알루미늄, Stainless steel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관은,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
  5. 플렉시블관 내부에 금속케이블을 넣고, 상기 플렉시블관 양측단 중 어느 하나에 통공이 형성된 연결단자를 형성하고 다른쪽은 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연결단자를 형성하여 플렉시블 결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를 진공챔버에 투입하고, 상기 연결단자의 통공에 이송관을 연결하고, 브레이징 필러가 수용된 용기를 상기 이송관과 연결시키고, 상기 진공챔버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진공챔버 내부의 온도를 올려 상기 브레이징 필러를 녹이는 단계;
    상기 연결단자의 통공을 통해 상기 브레이징 필러가 공급되어 플렉시블관, 금속케이블 및 연결단자 사이에 상기 브레이징 필러가 충진되는 단계;
    상기 플렉시블 결합체를 상기 진공챔버 밖으로 빼내고, 상기 이송관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관은,
    인코넬, STS 400 계열, crofer, Ni-합금, 460FC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케이블은,
    금속연선으로 구리, 알루미늄, Stainless steel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관은,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
  9. 금속케이블;
    상기 금속케이블을 둘러싸는 플렉시블관;
    상기 플렉시블관 양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금속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관 내부 상기 금속케이블 주위가 진공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관은,
    인코넬, STS 400 계열, crofer, Ni-합금, 460FC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케이블은,
    금속연선으로 구리, 알루미늄, Stainless steel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관은,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관 내부 상기 금속케이블 주위의 진공 상태는,
    플렉시블관 내부 상기 금속케이블 주위를 진공 상태로 형성한 이후 레이저용접을 통해 실링하거나 또는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KR1020200183677A 2019-12-24 2020-12-24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플렉시블 버스바 KR102517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73993 2019-12-24
KR1020190173993 2019-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123A true KR20210082123A (ko) 2021-07-02
KR102517622B1 KR102517622B1 (ko) 2023-04-04

Family

ID=7689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677A KR102517622B1 (ko) 2019-12-24 2020-12-24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플렉시블 버스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6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1627A (ja) * 2003-11-11 2005-06-09 Okazaki Mfg Co Ltd シール部付管状ケーブル及び管状ケーブルのシール方法並びに温度センサ
JP2006032329A (ja) * 2004-06-17 2006-02-02 Mitsubishi Materials Corp 燃料電池用電力ケーブル
JP2008505461A (ja) * 2004-07-05 2008-02-21 ヴァーサ パワー システムズ リミテッド 可撓性高温ケーブル
JP2012240091A (ja) * 2011-05-20 2012-12-10 Hitachi Cable Ltd 超電導ビレットの真空溶接部の仮止め方法及び仮止め構造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1627A (ja) * 2003-11-11 2005-06-09 Okazaki Mfg Co Ltd シール部付管状ケーブル及び管状ケーブルのシール方法並びに温度センサ
JP2006032329A (ja) * 2004-06-17 2006-02-02 Mitsubishi Materials Corp 燃料電池用電力ケーブル
JP2008505461A (ja) * 2004-07-05 2008-02-21 ヴァーサ パワー システムズ リミテッド 可撓性高温ケーブル
JP2012240091A (ja) * 2011-05-20 2012-12-10 Hitachi Cable Ltd 超電導ビレットの真空溶接部の仮止め方法及び仮止め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622B1 (ko)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56514B (zh) 一种盖板组件和含有该盖板组件的锂离子电池
CN101488536B (zh) 太阳能光伏组件汇流带及汇流带组装太阳能板的方法
JP6486219B2 (ja) 太陽電池の製造方法
CN104521052A (zh) 燃料电池用集电板及包含其的堆结构物
JPWO2017145378A1 (ja) バイポーラ電池
KR20210082123A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플렉시블 버스바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플렉시블 버스바
WO2022076672A1 (en) Bipolar flow battery
CN106953035A (zh) 电池盖板组件和包括该电池盖板组件的电池
CN212434669U (zh) 一种固体氧化物燃料电池用电连接器及包含其的连接电路
JP2017162887A (ja) 光発電素子の製造方法及び光発電素子
JP2008535149A (ja) 高温燃料電池用の相互接続部
JP5600784B2 (ja) モジュール化されたアルカリ金属熱電変換器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209507B (zh) 使用铜极耳的锂电池
JP4519089B2 (ja) 太陽電池、太陽電池ストリング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114784525A (zh) 铜铝转换连接件的加工工艺应用其的光伏系统连接模块
CN112186057B (zh) 一种并联-串联结构光伏组件
CN205051118U (zh) 一种燃料电池金属双极板巡检接线结构
TW201411866A (zh) 太陽能電池背面鈍化局部擴散結構及其製造方法
CN102651482B (zh) 一种电池的密封组件及其制作方法、以及一种锂离子电池
CN103022388B (zh) 一种电池的密封组件及其制作方法、以及一种锂离子电池
CN112139622A (zh) 一种基于对称双阴极结构固体氧化物燃料电池电芯的阳极密封方法
CN110380074A (zh) 一种熔融碳酸盐燃料电池轻型双极板的制备方法
CN206422139U (zh) 一种用于软包电芯极耳与盖板的连接件连及连接结构
KR102409185B1 (ko) Sofc 스택용 분리판과 셀프레임 접합방법
CN216648527U (zh) 一种铅酸蓄电池及电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