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2092A -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2092A
KR20210082092A KR1020200180007A KR20200180007A KR20210082092A KR 20210082092 A KR20210082092 A KR 20210082092A KR 1020200180007 A KR1020200180007 A KR 1020200180007A KR 20200180007 A KR20200180007 A KR 20200180007A KR 20210082092 A KR20210082092 A KR 20210082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slice
slices
information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식
윤국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CN202080090254.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930814A/zh
Priority to PCT/KR2020/018991 priority patent/WO2021133055A1/ko
Priority to US17/787,853 priority patent/US20230032884A1/en
Publication of KR20210082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은, 현재 픽처가 복수의 타일들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타일 중에서 현재 타일이 복수의 슬라이스로 분할된 경우,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를 복호화 하는 단계,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를 복호화 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개수와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VIDEO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본 개시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현재 픽처(picture) 내에 슬라이스(slice)와 타일(tile)과 브릭(brick)을 이용하여 영상을 부호화/복호화 하는 방법, 장치 및 본 개시의 영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HD(High Definition) 영상 및 UHD(Ultra High Definition) 영상과 같은 고해상도, 고품질의 영상에 대한 수요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증가하고 있다. 영상 데이터가 고해상도, 고품질이 될수록 기존의 영상 데이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데이터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존의 유무선 광대역 회선과 같은 매체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기존의 저장 매체를 이용해 저장하는 경우, 전송 비용과 저장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영상 데이터가 고해상도, 고품질화 됨에 따라 발생하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더 높은 해상도 및 화질을 갖는 영상에 대한 고효율 영상 부호화(encoding)/복호화(decoding) 기술이 요구된다.
본 개시는 압축 효율이 향상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현재 픽처를 슬라이스로 분할하여 영상을 부호화/복호화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현재 픽처 내에 타일을 브릭으로 분할하여 영상을 부호화/복호화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슬라이스를 타일로 분할하여 영상을 부호화/복호화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타일을 슬라이스로 분할하여 영상을 부호화/복호화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본 개시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현재 픽처가 복수의 타일들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타일 중에서 현재 타일이 복수의 슬라이스로 분할된 경우,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 및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 중에서 마지막 슬라이스에 대한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는 생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현재 픽처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이 직사각형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직사각형 슬라이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이 직사각형인 경우,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 및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가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현재 픽처에 하나의 슬라이스만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픽처 내 단일 슬라이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재 픽처에 복수의 슬라이스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 및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가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현재 픽처에 복수의 슬라이스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픽처의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픽처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현재 픽처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들 중 현재 슬라이스의 타일 단위의 크기를 나타내는 슬라이스 크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재 슬라이스의 크기가 상기 현재 타일의 크기와 같거나 작은 경우,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의 종류의 개수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의 개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현재 픽처에 복수의 타일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픽처 내 단일 타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픽처에 복수의 타일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타일의 높이를 나타내는 타일 높이 정보 및 상기 복수의 타일의 너비를 나타내는 타일 너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타일 중에서 상기 현재 픽처의 우측 경계에 있는 우측 경계 타일의 너비에 대한 타일 너비 정보는 생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타일 중에서 상기 현재 픽처의 하단 경계에 있는 하단 경계 타일의 행의 높이에 대한 타일 높이 정보는 생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는 상기 타일의 마지막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연속되는 동일한 높이의 복수의 슬라이스 중에서, 최초의 슬라이스에 대하여만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현재 픽처가 복수의 타일들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타일 중에서 현재 타일이 복수의 슬라이스로 분할된 경우,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를 복호화 하는 단계;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를 복호화 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개수와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는 CTU(Coding Tree Unit) 단위 또는 CTB (Coding Tree Block)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 중에서 마지막 슬라이스는 상기 현재 타일의 높이와 상기 마지막 슬라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슬라이스들의 높이를 이용하여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현재 픽처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이 직사각형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직사각형 슬라이스 정보를 복호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이 직사각형인 경우,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 및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가 복호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현재 픽처에 하나의 슬라이스만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픽처 내 단일 슬라이스 정보를 복호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재 픽처에 복수의 슬라이스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 및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가 복호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현재 픽처에 복수의 슬라이스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픽처의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픽처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를 복호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현재 픽처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들 중 현재 슬라이스의 타일 단위의 크기를 나타내는 슬라이스 크기 정보를 복호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재 슬라이스의 크기가 상기 현재 타일의 크기와 같거나 작은 경우,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가 복호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의 종류의 개수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개수 정보를 복호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현재 픽처에 복수의 타일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픽처 내 단일 타일 정보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픽처에 복수의 타일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타일의 높이를 나타내는 타일 높이 정보 및 상기 복수의 타일의 너비를 나타내는 타일 너비 정보를 복호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타일 중에서 상기 현재 픽처의 우측 경계에 있는 우측 경계 타일의 너비는 상기 현재 픽처의 너비와 상기 우측 경계 타일과 같은 행의 나머지 타일들의 너비를 이용하여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타일 중에서 상기 현재 픽처의 하단 경계에 있는 하단 경계 타일의 행의 높이는 상기 현재 픽처의 높이와 상기 하단 경계 타일과 같은 열의 나머지 타일들의 높이를 이용하여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는 상기 타일의 마지막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연속되는 동일한 높이의 복수의 슬라이스 중에서, 최초의 슬라이스에 대하여만 복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방법에 따라 복호화되는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영상 복호화 방법은, 현재 픽처가 복수의 타일들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타일 중에서 현재 타일이 복수의 슬라이스로 분할된 경우,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를 복호화 하는 단계;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를 복호화 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개수와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압축 효율이 향상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현재 픽처를 슬라이스로 분할하여 영상을 부호화/보호화 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현재 픽처 내에 타일을 브릭으로 분할하여 영상을 부호화/복호화 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슬라이스를 타일로 분할하여 영상을 부호화/복호화 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타일을 슬라이스로 분할하여 영상을 부호화/복호화 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복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영상을 부호화 및 복호화할 때의 영상의 분할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a는 부호화 유닛(Coding Unit)이 포함할 수 있는 예측 유닛(Prediction Unit)의 형태를 도시한다.
도 4b는 수직/수평으로 분할된 바이너리 트리(Binary Tree)와 수직/수평으로 분할된 터너리 트리(Ternary Tree)를 설명한다.
도 5는 부호화 유닛이 포함할 수 있는 변환 유닛(Transform Unit)의 형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처를 구성하는 슬라이스와 타일과 CTUs(Coding Tree Units)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처를 구성하는 슬라이스와 타일과 CTUs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처를 구성하는 슬라이스와 타일과 CTUs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처를 구성하는 슬라이스와 타일과 CTUs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화면분할 정보가 PPS를 통해 시그널링되는 방법(Syntax)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0의 시그널링에 따라 픽처 내에 타일이 분할된 것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PS를 통해 브릭의 분할 정보가 시그널링되는 방법(Syntax)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0 및 도 12의 시그널링에 따라 복수개의 타일 및/또는 브릭으로 분할된 것을 설명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PS를 통해 슬라이스의 분할 정보가 시그널링되는 방법(Syntax)을 설명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재 픽처 내의 브릭이 15개의 직사각형 슬라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처를 구성하는 타일을 설명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PS를 통해 픽처 내의 타일 정보가 시그널링되는 방법(Syntax)을 설명한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처 내의 타일 열의 너비 정보가 시그널링되는 방법(Syntax)을 설명한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처 내의 타일 행의 높이 정보가 시그널링되는 방법(Syntax)을 설명한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처를 구성하는 슬라이스와 타일을 설명한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처와 타일 내의 슬라이스 정보가 시그널링되는 방법(Syntax)을 설명한다.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을 구성하는 슬라이스를 설명한다.
도 23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처와 타일 내의 슬라이스 정보가 시그널링되는 방법(Syntax)을 설명한다.
도 24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처와 타일 내의 슬라이스 정보가 시그널링되는 방법(Syntax)을 설명한다.
도 2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복호화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부호화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후술하는 예시적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실시예를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개시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실시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예시적 실시예들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개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포함한 것으로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개시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개시에서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기술하는 내용은 해당 구성 이외의 구성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추가적인 구성이 본 개시의 실시 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일부의 구성 요소는 본 개시에서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고 단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개시는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제외한 본 개시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구성부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선택적 구성 요소를 제외한 필수 구성 요소만을 포함한 구조도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영상은 동영상(video)을 구성하는 하나의 픽처를 의미할 수 있으며, 동영상 자체를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영상의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는 "비디오의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를 의미할 수 있으며, "비디오를 구성하는 영상들 중 하나의 영상의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를 의미할 수도 있다. 여기서, 픽처는 영상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용어 설명
부호화기(Encoder): 부호화를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복호화기(Decoder): 복호화를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파싱(Parsing): 엔트로피 복호화하여 구문 요소(Syntax Element)의 값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엔트로피 복호화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블록(Block): 샘플(Sample)의 MxN 배열이며, 여기서 M과 N은 양의 정수 값을 의미하며, 블록은 흔히 2차원 형태의 샘플 배열을 의미할 수 있다.
샘플: 블록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며, 비트 깊이 (bit depth, Bd)에 따라 0부터 2Bd - 1 까지의 값을 표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화소 및 픽셀은 샘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유닛(Unit):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의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에 있어서, 유닛은 하나의 영상의 분할에 의해 생성된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유닛은 하나의 영상을 세분화된 유닛으로 분할하여 부호화 혹은 복호화 할 때 그 분할된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에 있어서, 유닛 별로 기정의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유닛은 유닛에 비해 더 작은 크기를 갖는 하위 유닛으로 더 분할될 수 있다. 기능에 따라서, 유닛은 블록(Block), 매크로블록(Macroblock), 부호화 트리 유닛(Coding Tree Unit), 부호화 트리 블록(Coding Tree Block), 부호화 유닛(Coding Unit), 부호화 블록(Coding Block), 예측 유닛(Prediction Unit), 예측 블록(Prediction Block), 변환 유닛(Transform Unit), 변환 블록(Transform Block)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유닛은 블록과 구분하여 지칭하기 위해 휘도(Luma) 성분 블록과 그에 대응하는 색차(Chroma) 성분 블록 그리고 각 블록에 대한 구문 요소를 포함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유닛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유닛의 형태는 직사각형뿐만 아니라 정사각형, 사다리꼴, 삼각형, 오각형 등 2차원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하학적 도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닛 정보에는 부호화 유닛, 예측 유닛, 변환 유닛 등을 가리키는 유닛의 타입, 유닛의 크기, 유닛의 깊이, 유닛의 부호화 및 복호화 순서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복원된 주변 유닛(Reconstructed Neighbor Unit): 부호화/복호화 대상 유닛 주변에 공간적(Spatial)/시간적(Temporal)으로 이미 부호화 혹은 복호화되어 복원된 유닛을 의미할 수 있다.
유닛 깊이(Depth): 유닛이 분할된 정도를 의미하며, 트리 구조(Tree Structure)에서 루트 노드(Root Node)는 깊이가 가장 얕고, 리프 노드(Leaf Node)는 깊이가 가장 깊다고 할 수 있다.
심볼(Symbol): 부호화/복호화 대상 유닛 구문 요소 및 부호화 파라미터(coding parameter), 변환 계수(Transform Coefficient)의 값 등을 의미할 수 있다.
파라미터 세트(Parameter Set): 비트스트림 내의 구조 중 헤더 정보에 해당할 수 있으며,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video parameter set),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equence parameter set), 픽처 파라미터 세트(picture parameter set), 적응 파라미터 세트(adaptation parameter set)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파라미터 세트에는 슬라이스(slice) 헤더 및 타일(tile) 헤더 정보를 포함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비트스트림(Bitstream): 부호화된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의 열을 의미할 수 있다.
예측 유닛(Prediction Unit): 화면 간 예측 또는 화면 내 예측 및 그에 대한 보상을 수행할 때의 기본 유닛이며, 하나의 예측 유닛은 크기가 작은 복수의 파티션(Partition)으로 분할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파티션 각각이 상기 예측 및 보상 수행 시의 기본 유닛이 되며, 예측 유닛이 분할된 파티션도 예측 유닛이라고 할 수 있다. 예측 유닛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예측 유닛의 형태는 직사각형뿐만 아니라 정사각형, 사다리꼴, 삼각형, 오각형 등 2차원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하학적 도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측 유닛 파티션(Prediction Unit Partition): 예측 유닛이 분할된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참조 영상 리스트(Reference Picture List): 화면 간 예측 혹은 움직임 보상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참조 영상이 포함된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참조 영상 리스트의 종류는 LC (List Combined), L0 (List 0), L1 (List 1), L2 (List 2), L3 (List 3) 등이 있을 수 있으며, 화면 간 예측에는 1개 이상의 참조 영상 리스트가 사용될 수 있다.
화면 간 예측 지시자(Inter Prediction Indicator): 화면 간 예측 시에 부호화/복호화 대상 블록의 화면 간 예측 방향(단방향 예측, 쌍방향 예측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부호화/복호화 대상 블록이 예측 블록을 생성할 때 사용하는 참조 영상 수를 의미할 수 있으며, 부호화/복호화 대상 블록이 화면 간 예측 혹은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때 사용하는 예측 블록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참조 영상 색인(Reference Picture Index): 참조 영상 리스트에서 특정 참조 영상에 대한 색인을 의미할 수 있다.
참조 영상(Reference Picture): 화면 간 예측 혹은 움직임 보상을 위해서 특정 유닛이 참조하는 영상을 의미할 수 있으며, 참조 영상을 참조 픽처라고도 지칭할 수 있다.
움직임 벡터(Motion Vector): 화면 간 예측 혹은 움직임 보상에 사용되는 2차원 벡터이며, 부호화/복호화 대상 영상과 참조 영상 사이의 오프셋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vX, mvY)는 움직임 벡터를 나타낼 수 있으며, mvX는 가로(horizontal) 성분, mvY는 세로(vertical) 성분을 나타낼 수 있다.
정보, 참조 영상, 움직임 벡터 후보, 움직임 벡터 후보 색인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움직임 벡터 후보(Motion Vector Candidate): 움직임 벡터를 예측할 때 예측 후보가 되는 유닛 혹은 그 유닛의 움직임 벡터를 의미할 수 있다.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Motion Vector Candidate List): 움직임 벡터 후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움직임 벡터 후보 색인(Motion Vector Candidate Index):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 내의 움직임 벡터 후보를 가리키는 지시자, 움직임 벡터 예측기(Motion Vector Predictor)의 색인(index)이라고도 할 수 있다.
움직임 정보(Motion Information): 움직임 벡터, 참조 영상 색인, 화면 간 예측 지시자(Inter Prediction Indicator) 뿐만 아니라 참조 영상 리스트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머지 후보 리스트(Merge Candidate List): 머지 후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머지 후보(Merge Candidate): 공간적 머지 후보, 시간적 머지 후보, 조합된 머지 후보, 조합된 양예측 머지 후보, 제로 머지 후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머지 후보는 예측 종류 정보(prediction type information), 각 리스트에 대한 참조 영상 색인(reference picture index), 움직임 벡터(motion vector) 등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머지 색인(Merge Index): 머지 후보 리스트 내 머지 후보를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머지 색인은 공간적/시간적으로 현재 블록과 인접하게 복원된 블록들 중 머지 후보를 유도한 블록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머지 색인은 머지 후보가 가지는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지시할 수 있다.
변환 유닛(Transform Unit): 변환, 역변환, 양자화, 역양자화, 변환 계수 부호화/복호화와 같이 잔여 신호(residual signal) 부호화/복호화를 수행할 때의 기본 유닛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하나의 변환 유닛은 분할되어 크기가 작은 복수의 변환 유닛으로 분할될 수 있다. 변환 유닛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변환 유닛의 형태는 직사각형뿐만 아니라 정사각형, 사다리꼴, 삼각형, 오각형 등 2차원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하학적 도형을 포함할 수 있다.
스케일링(Scaling): 변환 계수 레벨에 인수를 곱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으며, 결과로 변환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스케일링을 역양자화(dequantization)라고도 부를 수 있다.
양자화 매개변수(Quantization Parameter): 양자화 및 역양자화에서 변환 계수 레벨(transform coefficient level)을 스케일링(scaling)할 때 사용하는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양자화 매개변수는 양자화 스텝 크기(step size)에 매핑된 값일 수 있다.
잔여 양자화 매개변수(Delta Quantization Parameter): 예측된 양자화 매개변수와 부호화/복호화 대상 유닛의 양자화 매개변수의 차분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스캔(Scan): 블록 혹은 행렬 내 계수의 순서를 정렬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차원 배열을 1차원 배열 형태로 정렬하는 것을 스캔이라고 하며, 1차원 배열을 2차원 배열 형태로 정렬하는 것도 스캔 혹은 역 스캔(Inverse Scan)이라고 부를 수 있다.
변환 계수(Transform Coefficient): 변환을 수행하고 나서 생성된 계수 값, 본 개시에서는 변환 계수에 양자화를 적용한 양자화된 변환 계수 레벨(transform coefficient level)도 변환 계수의 의미에 포함될 수 있다.
넌제로 변환 계수(Non-zero Transform Coefficient): 변환 계수 값의 크기가 0이 아닌 변환 계수 혹은 값의 크기가 0이 아닌 변환 계수 레벨을 의미할 수 있다.
양자화 행렬(Quantization Matrix): 영상의 주관적 화질 혹은 객관적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양자화 혹은 역양자화 과정에서 이용하는 행렬을 의미할 수 있다. 양자화 행렬을 스케일링 리스트(scaling list)라고도 부를 수 있다.
양자화 행렬 계수(Quantization Matrix Coefficient): 양자화 행렬 내의 각 원소(element)를 의미할 수 있다. 양자화 행렬 계수를 행렬 계수(matrix coefficient)라고도 할 수 있다.
기본 행렬(Default Matrix): 부호화기와 복호화기에서 미리 정의되어 있는 소정의 양자화 행렬을 의미할 수 있다.
비 기본 행렬(Non-default Matrix): 부호화기와 복호화기에서 미리 정의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서 전송/수신되는 양자화 행렬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부호화 장치(100)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 또는 영상 부호화 장치일 수 있다. 비디오는 하나 이상의 영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는 비디오의 하나 이상의 영상들을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부호화 장치(100)는 움직임 예측부(111), 움직임 보상부(112), 인트라 예측부(120), 스위치(115), 감산기(125), 변환부(130), 양자화부(140), 엔트로피 부호화부(150), 역양자화부(160), 역변환부(170), 가산기(175), 필터부(180) 및 참조 픽처 버퍼(190)를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는 입력 영상에 대해 인트라 모드 및/또는 인터 모드로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장치(100)는 입력 영상에 대한 부호화를 통해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예측 모드로 인트라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스위치(115)는 인트라로 전환될 수 있고, 예측 모드로 인터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스위치(115)는 인터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인트라 모드는 화면 내 예측 모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인터 모드는 화면 간 예측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는 입력 영상의 입력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장치(100)는 예측 블록이 생성된 후, 입력 블록 및 예측 블록의 차분(residual)을 부호화할 수 있다. 입력 영상은 현재 부호화의 대상인 현재 영상으로 칭해질 수 있다. 입력 블록은 현재 부호화의 대상인 현재 블록 혹은 부호화 대상 블록으로 칭해질 수 있다.
예측 모드가 인트라 모드인 경우, 인트라 예측부(120)는 현재 블록의 주변에 이미 부호화된 블록의 픽셀 값을 참조 화소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120)는 참조 화소를 이용하여 공간적 예측을 수행할 수 있고, 공간적 예측을 통해 입력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인트라 예측은 화면 내 예측을 의미할 수 있다.
예측 모드가 인터 모드인 경우, 움직임 예측부(111)는, 움직임 예측 과정에서 참조 영상으로부터 입력 블록과 가장 매치가 잘 되는 영역을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영역을 이용하여 움직임 벡터를 도출할 수 있다. 참조 영상은 참조 픽처 버퍼(190)에 저장될 수 있다.
움직임 보상부(112)는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움직임 벡터는 인터 예측에 사용되는 2차원 벡터일 수 있다. 또한 움직임 벡터는 현재 영상 및 참조 영상 간의 오프셋(offset)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인터 예측은 화면 간 예측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예측부(111)와 움직임 보상부(112)는 움직임 벡터의 값이 정수 값을 가지지 않을 경우에 참조 영상 내의 일부 영역에 대해 보간 필터(Interpolation Filter)를 적용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화면 간 예측 혹은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기 위해 부호화 유닛을 기준으로 해당 부호화 유닛에 포함된 예측 유닛의 움직임 예측 및 움직임 보상 방법이 스킵 모드(Skip Mode), 머지 모드(Merge mode), AMVP 모드(AMVP Mode) , 현재 픽쳐 참조 모드 중 어떠한 방법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각 모드에 따라 화면 간 예측 혹은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픽쳐 참조 모드는 부호화 대상 블록이 속한 현재 픽쳐 내의 기-복원된 영역을 이용한 예측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기-복원된 영역을 특정하기 위해 현재 픽쳐 참조 모드를 위한 움직임 벡터가 정의될 수 있다. 부호화 대상 블록이 현재 픽쳐 참조 모드로 부호화되는지 여부는 부호화 대상 블록의 참조 영상 색인을 이용하여 부호화 될 수 있다.
감산기(125)는 입력 블록 및 예측 블록의 차분을 사용하여 잔여 블록(residual block)을 생성할 수 있다. 잔여 블록은 잔여 신호로 칭해질 수도 있다.
변환부(130)는 잔여 블록에 대해 변환(transform)을 수행하여 변환 계수(transform coefficient)를 생성할 수 있고, 변환 계수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변환 계수는 잔여 블록에 대한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계수 값일 수 있다. 변환 생략(transform skip)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 변환부(130)는 잔여 블록에 대한 변환을 생략할 수도 있다.
변환 계수에 양자화를 적용함으로써 양자화된 변환 계수 레벨(transform coefficient level)이 생성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에서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 레벨도 변환 계수로 칭해질 수 있다.
양자화부(140)는 변환 계수를 양자화 매개변수에 따라 양자화함으로써 양자화된 변환 계수 레벨(transform coefficient level)을 생성할 수 있고, 양자화된 변환 계수 레벨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양자화부(140)에서는 양자화 행렬을 사용하여 변환 계수를 양자화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양자화부(140)에서 산출된 값들 또는 부호화 과정에서 산출된 부호화 파라미터(coding parameter) 값들 등에 대하여 확률 분포에 따른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함으로써 비트스트림(bitstream)을 생성할 수 있고, 비트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영상의 픽셀의 정보 외에 영상의 복호화를 위한 정보에 대한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의 복호화를 위한 정보는 구문 요소(syntax eleme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가 적용되는 경우, 높은 발생 확률을 갖는 심볼(symbol)에 적은 수의 비트가 할당되고 낮은 발생 확률을 갖는 심볼에 많은 수의 비트가 할당되어 심볼이 표현됨으로써, 부호화 대상 심볼들에 대한 비트열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엔트로피 부호화를 통해서 영상 부호화의 압축 성능이 높아질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엔트로피 부호화를 위해 지수 골롬(exponential golomb), CAVLC(Context-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CABAC(Context-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과 같은 부호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가변 길이 부호화(Variable Length Coding/Code; VLC) 테이블을 이용하여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대상 심볼의 이진화(binarization) 방법 및 대상 심볼/빈(bin)의 확률 모델(probability model)을 도출한 후, 도출된 이진화 방법 또는 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산술 부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변환 계수 레벨을 부호화하기 위해 변환 계수 스캐닝(Transform Coefficient Scanning) 방법을 통해 2차원의 블록 형태 계수를 1차원의 벡터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라이트(up right) 스캐닝을 이용하여 블록의 계수를 스캔함으로써 1차원 벡터 형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변환 유닛의 크기 및 화면 내 예측 모드에 따라 업라이트 스캔 대신 2차원의 블록 형태 계수를 열 방향으로 스캔하는 수직 스캔, 2차원의 블록 형태 계수를 행 방향으로 스캔하는 수평 스캔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변환 유닛의 크기 및 화면 내 예측 모드에 따라 업라이트 스캔, 수직 방향 스캔 및 수평 방향 스캔 중 어떠한 스캔 방법이 사용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부호화 파라미터(Coding Parameter)는 구문 요소와 같이 부호화기에서 부호화되어 복호화기로 전송되는 정보뿐만 아니라, 부호화 혹은 복호화 과정에서 유추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할 때 필요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내 예측 모드, 화면 간 예측 모드, 화면 내 예측 방향, 움직임 정보, 움직임 벡터, 참조 영상 색인, 화면 간 예측 방향, 화면 간 예측 지시자, 참조 영상 리스트, 움직임 벡터 예측기, 움직임 병합 후보, 변환 종류, 변환 크기, 추가 변환 사용 유무, 루프 내 필터 정보, 잔여 신호 유무, 양자화 매개변수, 문맥 모델, 변환 계수, 변환 계수 레벨, 부호화 블록 패턴(Coded Block Pattern), 부호화 블록 플래그(Coded Block Flag), 영상 디스플레이/출력 순서, 슬라이스 정보, 타일 정보, 픽처 타입, 움직임 병합 모드 사용 유무, 스킵 모드 사용 유무, 블록 크기, 블록 깊이, 블록 분할 정보, 유닛 크기, 유닛 깊이, 유닛 분할 정보 등의 값 및/또는 통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부호화 파라미터에 포함될 수 있다.
잔여 신호는 원 신호 및 예측 신호 간의 차이(difference)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잔여 신호는 원신호 및 예측 신호 간의 차이를 변환(transform) 함으로써 생성된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잔여 신호는 원 신호 및 예측 신호 간의 차이를 변환 및 양자화함으로써 생성된 신호일 수 있다. 잔여 블록은 블록 단위의 잔여 신호일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가 인터 예측을 통한 부호화를 수행할 경우, 부호화된 현재 영상은 이후에 처리되는 다른 영상(들)에 대하여 참조 영상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부호화 장치(100)는 부호화된 현재 영상을 다시 복호화할 수 있고, 복호화된 영상을 참조 영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복호화를 위해 부호화된 현재 영상에 대한 역양자화 및 역변환이 처리될 수 있다.
양자화된 계수는 역양자화부(160)에서 역양자화(dequantization)될 수 있고. 역변환부(170)에서 역변환(inverse transform)될 수 있다. 역양자화 및 역변환된 계수는 가산기(175)를 통해 예측 블록과 합해질 수 있다, 역양자화 및 역변환된 계수 및 예측 블록을 합함으로써 복원 블록(reconstructed block) 이 생성될 수 있다.
복원 블록은 필터부(180)를 거칠 수 있다. 필터부(180)는 디블록킹 필터(deblocking filter), 샘플 적응적 오프셋(Sample Adaptive Offset; SAO), 적응적 루프 필터(Adaptive Loop Filter; AL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복원 블록 또는 복원 영상에 적용할 수 있다. 필터부(180)는 인루프 필터(in-loop filter)로 칭해질 수도 있다.
디블록킹 필터는 블록들 간의 경계에 생긴 블록 왜곡을 제거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를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블록에 포함된 몇 개의 열 또는 행에 포함된 픽셀을 기초로 현재 블록에 디블록킹 필터 적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블록에 디블록킹 필터를 적용하는 경우 필요한 디블록킹 필터링 강도에 따라 강한 필터(Strong Filter) 또는 약한 필터(Weak Filter)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디블록킹 필터를 적용함에 있어 수직 필터링 및 수평 필터링 수행시 수평 방향 필터링 및 수직 방향 필터링이 병행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샘플 적응적 오프셋은 부호화 에러를 보상하기 위해 픽셀 값에 적정 오프셋(offset) 값을 더할 수 있다. 샘플 적응적 오프셋은 디블록킹을 수행한 영상에 대해 픽셀 단위로 원본 영상과의 오프셋을 보정할 수 있다. 특정 픽처에 대한 오프셋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 영상에 포함된 픽셀을 일정한 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후 오프셋을 수행할 영역을 결정하고 해당 영역에 오프셋을 적용하는 방법 또는 각 픽셀의 에지 정보를 고려하여 오프셋을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적응적 루프 필터는 복원 영상 및 원래의 영상을 비교한 값에 기반하여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에 포함된 픽셀을 소정의 그룹으로 나눈 후 해당 그룹에 적용될 하나의 필터를 결정하여 그룹마다 차별적으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적응적 루프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에 관련된 정보는 휘도 신호는 부호화 유닛(Coding Unit, CU) 별로 전송될 수 있고, 각각의 블록에 따라 적용될 적응적 루프 필터의 모양 및 필터 계수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적용 대상 블록의 특성에 상관없이 동일한 형태(고정된 형태)의 적응적 루프 필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필터부(180)를 거친 복원 블록은 참조 픽처 버퍼(19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복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복호화 장치(200)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 또는 영상 복호화 장치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복호화 장치(200)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10), 역양자화부(220), 역변환부(230), 인트라 예측부(240), 움직임 보상부(250), 가산기(255), 필터부(260) 및 참조 픽처 버퍼(270)를 포함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는 부호화 장치(100)에서 출력된 비트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는 비트스트림에 대하여 인트라 모드 또는 인터 모드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호화 장치(200)는 복호화를 통해 복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복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복호화에 사용되는 예측 모드가 인트라 모드인 경우 스위치가 인트라로 전환될 수 있다. 복호화에 사용되는 예측 모드가 인터 모드인 경우 스위치가 인터로 전환될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는 입력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원된 잔여 블록(reconstructed residual block)을 획득할 수 있고,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복원된 잔여 블록 및 예측 블록이 획득되면, 복호화 장치(200)는 복원된 잔여 블록과 및 예측 블록을 더함으로써 복호화 대상 블록인 복원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복호화 대상 블록은 현재 블록으로 칭해질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부(210)는 비트스트림에 대한 확률 분포에 따른 엔트로피 복호화를 수행함으로써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심볼들은 양자화된 변환 계수 레벨(transform coefficient level) 형태의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은 상술된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은 상술된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의 역과정일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부(210)는 변환 계수 레벨을 복호화하기 위해 변환 계수 스캐닝(Transform Coefficient Scanning) 방법을 통해 1차원의 벡터 형태 계수를 2차원의 블록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라이트(up right) 스캐닝을 이용하여 블록의 계수를 스캔함으로써 2차원 블록 형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변환 유닛의 크기 및 화면 내 예측 모드에 따라 업라이트 스캔 대신 수직 스캔, 수평 스캔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변환 유닛의 크기 및 화면 내 예측 모드에 따라 업라이트 스캔, 수직 방향 스캔 및 수평 방향 스캔 중 어떠한 스캔 방법이 사용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양자화된 변환 계수 레벨은 역양자화부(220)에서 역양자화될 수 있고, 역변환부(230)에서 역변환될 수 있다. 양자화된 변환 계수 레벨이 역양자화 및 역변환 된 결과로서, 복원된 잔여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역양자화부(22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 레벨에 양자화 행렬을 적용할 수 있다.
인트라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인트라 예측부(240)는 복호화 대상 블록 주변의 이미 복호화된 블록의 픽셀 값을 이용하는 공간적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움직임 보상부(250)는 움직임 벡터 및 참조 픽처 버퍼(270)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영상을 이용하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보상부(250)는 움직임 벡터의 값이 정수 값을 가지지 않을 경우에 참조 영상 내의 일부 영역에 대해 보간 필터(Interpolation Filter)를 적용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기 위해 부호화 유닛을 기준으로 해당 부호화 유닛에 포함된 예측 유닛의 움직임 보상 방법이 스킵 모드(Skip Mode), 머지 모드(Merge 모드), AMVP 모드(AMVP Mode) , 현재 픽쳐 참조 모드 중 어떠한 방법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각 모드에 따라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픽쳐 참조 모드는 복호화 대상 블록이 속한 현재 픽쳐 내의 기-복원된 영역을 이용한 예측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기-복원된 영역을 특정하기 위해 현재 픽쳐 참조 모드를 위한 움직임 벡터가 이용될 수 있다. 복호화 대상 블록이 현재 픽쳐 참조 모드로 부호화된 블록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혹은 인덱스가 시그널링될 수도 있고, 복호화 대상 블록의 참조 영상 색인을 통해 유추될 수도 있다. 현재 픽쳐 참조 모드를 현재 픽쳐는 복호화 대상 블록을 위한 참조 영상 리스트 내에서 고정된 위치(예를 들어, refIdx=0인 위치 또는 가장 마지막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참조 영상 리스트 내에 가변적으로 위치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현재 픽쳐의 위치를 나타내는 별도의 참조 영상 색인이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복원된 잔여 블록 및 예측 블록은 가산기(255)를 통해 더해질 수 있다. 복원된 잔여 블록 및 예측 블록이 더해짐에 따라 생성된 블록은 필터부(260)를 거칠 수 있다. 필터부(260)는 디블록킹 필터, 샘플 적응적 오프셋 및 적응적 루프 필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복원 블록 또는 복원 영상에 적용할 수 있다. 필터부(260)는 복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복원 영상은 참조 픽처 버퍼(270)에 저장되어 인터 예측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영상을 부호화 및 복호화할 때의 영상의 분할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나의 유닛이 복수의 하위 유닛으로 분할되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영상을 효율적으로 분할하기 위해, 부호화 및 복호화에 있어서, 부호화 유닛(Coding Unit; CU)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 유닛은 코딩 유닛을 의미할 수 있다. 유닛은 1) 구문 요소(syntax element) 및 2) 영상 샘플들을 포함하는 블록을 합쳐서 지칭하는 용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닛의 분할"은 "유닛에 해당하는 블록의 분할"을 의미할 수 있다. 블록 분할 정보에는 유닛의 깊이(depth)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깊이 정보는 유닛이 분할되는 회수 및/또는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300)은 최대 부호화 유닛(Largest Coding Unit; LCU) 단위로 순차적으로 분할되고, LCU 단위로 분할 구조가 결정된다. 여기서, LCU는 부호화 트리 유닛(Coding Tree Unit; CTU)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유닛은 트리 구조(tree structure)를 기초로 깊이 정보(depth)를 가지고 계층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분할된 하위 유닛은 깊이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깊이 정보는 유닛이 분할된 회수 및/또는 정도를 나타내므로, 상기 하위 유닛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분할 구조는 LCU(310) 내에서의 부호화 유닛(Coding Unit; CU)의 분포를 의미할 수 있다. CU는 영상을 효율적으로 부호화하기 위한 유닛일 수 있다. 이러한 분포는 하나의 CU를 복수(2, 4, 8, 16 등을 포함하는 2 이상의 양의 정수)의 CU들로 분할할지 여부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분할에 의해 생성된 CU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는 각각 분할 전의 CU의 가로 크기의 절반 및 세로 크기의 절반이거나, 분할된 개수에 따라 분할 전의 CU의 가로 크기보다 작은 크기 및 세로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분할된 CU는 동일한 방식으로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가 감소된 복수의 CU로 재귀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CU의 분할은 기정의된 깊이까지 재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깊이 정보는 CU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고 각 CU마다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LCU의 깊이는 0일 수 있고, 최소 부호화 유닛(Smallest Coding Unit; SCU)의 깊이는 기정의된 최대 깊이일 수 있다. 여기서, LCU는 상술된 것과 같이 최대의 부호화 유닛 크기를 가지는 부호화 유닛일 수 있고, SCU는 최소의 부호화 유닛 크기를 가지는 부호화 유닛일 수 있다.
LCU(310)로부터 분할이 시작되고, 분할에 의해 CU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가 줄어들 때마다 CU의 깊이는 1씩 증가한다. 각각의 깊이 별로, 분할되지 않는 CU는 2Nx2N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분할되는 CU의 경우, 2Nx2N 크기의 CU가 NxN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CU들로 분할될 수 있다. N의 크기는 깊이가 1씩 증가할 때마다 절반으로 감소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부호화 유닛이 4개의 부호화 유닛으로 분할 될 경우, 분할된 4개의 부호화 유닛의 가로 및 세로 크기는 분할되기 전 부호화 유닛의 가로 및 세로 크기와 비교하여 각각 절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32x32 크기의 부호화 유닛이 4개의 부호화 유닛으로 분할 될 경우, 분할된 4개의 부호화 유닛은 각각 16x16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부호화 유닛이 4개의 부호화 유닛으로 분할 될 경우, 부호화 유닛은 쿼드트리(quad-tree) 형태로 분할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부호화 유닛이 2개의 부호화 유닛으로 분할 될 경우, 분할된 2개의 부호화 유닛의 가로 혹은 세로 크기는 분할되기 전 부호화 유닛의 가로 혹은 세로 크기와 비교하여 절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32x32 크기의 부호화 유닛이 2개의 부호화 유닛으로 세로로 분할 될 경우, 분할된 2개의 부호화 유닛은 각각 16x32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32x32 크기의 부호화 유닛이 2개의 부호화 유닛으로 가로로 분할 될 경우, 분할된 2개의 부호화 유닛은 각각 32x16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부호화 유닛이 2개의 부호화 유닛으로 분할 될 경우, 부호화 유닛은 이진트리(binary-tree) 형태로 분할되었다고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깊이가 0인 LCU는 64x64 화소들일 수 있다. 0은 최소 깊이일 수 있다. 깊이가 3인 SCU는 8x8 화소들일 수 있다. 3은 최대 깊이일 수 있다. 이때, LCU인 64x64 화소들의 CU는 깊이 0으로 표현될 수 있다. 32x32 화소들의 CU는 깊이 1로 표현될 수 있다. 16x16 화소들의 CU는 깊이 2로 표현될 수 있다. SCU인 8x8 화소들의 CU는 깊이 3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CU가 분할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CU의 분할 정보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분할 정보는 1비트의 정보일 수 있다. SCU를 제외한 모든 CU는 분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할 정보의 값이 0이면, CU가 분할되지 않을 수 있고, 분할 정보의 값이 1이면, CU가 분할될 수 있다.
도 4a는 부호화 유닛(CU)이 포함할 수 있는 예측 유닛(PU)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LCU로부터 분할된 CU 중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CU는 하나 이상의 예측 유닛(Prediction Unit; PU)들로 나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처리 또한, 분할로 칭해질 수 있다.
PU는 예측에 대한 기본 단위일 수 있다. PU는 스킵(skip) 모드, 화면 간 모드 및 화면 내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부호화 및 복호화될 수 있다. PU는 모드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유닛은 예측 유닛으로 분할되지 않고, 부호화 유닛과 예측 유닛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4a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스킵 모드에서는, CU 내에 분할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스킵 모드에서는 분할 없이 CU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2Nx2N 모드(410)가 지원될 수 있다.
화면 간 모드에서는, CU 내에서 8가지로 분할된 형태들이 지원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 간 모드에서는 2Nx2N 모드(410), 2NxN 모드(415), Nx2N 모드(420), NxN 모드(425), 2NxnU 모드(430), 2NxnD 모드(435), nLx2N 모드(440) 및 nRx2N 모드(445)가 지원될 수 있다. 화면 내 모드에서는, 2Nx2N 모드(410) 및 NxN 모드(425)가 지원될 수 있다.
부호화 트리 유닛(Coding Tree Unit): 하나의 휘도 성분(Y) 부호화 트리 블록과 관련된 두 색차 성분(Cb, Cr) 부호화 트리 블록들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부호화 트리 유닛은 부호화 유닛, 예측 유닛, 변환 유닛 등의 하위 유닛을 구성하기 위하여 쿼드 트리(quad tree), 바이너리 트리(binary tree), 터너리 트리(ternary tree) 등 하나 이상의 분할 방식을 이용하여 분할될 수 있다. 입력 영상의 분할처럼 영상의 복/부호화 과정에서 처리 단위가 되는 픽셀 블록을 지칭하기 위한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b는 수직/수평으로 분할된 바이너리 트리(Binary Tree)와 수직/수평으로 분할된 터너리 트리(Ternary Tre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수직으로 분할된 바이너리 트리(SPLIT_BT_VER), 수평으로 분할된 바이너리 트리(SPLIT_BT_HOR), 수직으로 분할된 터너리 트리(SPLIT_TT_VER), 수평으로 분할된 터너리 트리(SPLIT_TT_HOR)는 분할된 각각의 파티션이 CU이자 PU이자 TU가 되어 부호화 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코딩 블록이 SPLIT_TT_VER인 경우, 2개의 직사각형 형태의 파티션 각각은 직사각형 가로 및 세로 크기와 동일한 크기 및 형태의 CU, PU 및 TU 로 부호화 될 수 있다.
부호화 트리 블록(Coding Tree Block): Y 부호화 트리 블록, Cb 부호화 트리 블록, Cr 부호화 트리 블록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부호화 유닛(CU)이 포함할 수 있는 변환 유닛(TU)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변환 유닛(Transform Unit; TU)은 CU 내에서 변환, 양자화, 역변환 및 역양자화의 과정을 위해 사용되는 기본 단위일 수 있다. TU는 정사각형 형태 또는 직사각형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U는 CU의 크기 및/또는 형태에 의존적으로(dependent) 결정될 수도 있다.
LCU로부터 분할된 CU 중, 더 이상 CU들로 분할되지 않는 CU는 하나 이상의 TU들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TU의 분할 구조는 쿼드트리(quad-tree)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CU(510)가 쿼드트리 구조에 따라서 한 번 혹은 그 이상 분할될 수 있다. 하나의 CU가 한 번 이상으로 분할 될 경우 재귀적으로 분할된다고 할 수 있다. 분할을 통해, 하나의 CU(510)는 다양한 크기의 TU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CU를 분할하는 수직 선(vertical line) 및/또는 수평 선(horizontal line)의 개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TU로 분할될 수도 있다. CU는 대칭형의 TU로 분할될 수도 있고, 비대칭형의 TU로 분할될 수도 있다. 비대칭형의 TU로의 분할을 위해 TU의 크기/형태에 관한 정보가 시그널링될 수도 있고, CU의 크기/형태에 관한 정보로부터 유도될 수도 있다.
또한, 부호화 유닛은 변환 유닛으로 분할되지 않고, 부호화 유닛과 변환 유닛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CTU (Coding Tree Unit)의 크기 및/또는 형태는 가로x세로의 크기가 2Nx2N의 정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CTU는 128x128 크기 또는 64x64 크기 또는 32x32 크기 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CTU는 휘도 샘플에 해당하는 CTB(Coded Tree Block)과 색차(컬러) 샘플에 해당하는 CTB를 가질 수 있다. 이때 CTU의 개수는 휘도 샘플의 CTB의 개수와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픽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로 분할 될 수 있으며, 이때 분할된 임의의 슬라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CTU로 구성 될 수 있다. 슬라이스는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일 예로 하나의 슬라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CTU로 구성된 정사각형 및/또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슬라이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한 장의 픽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로 분할 된 경우, 분할된 모든 슬라이스가 직사각형 및/또는 정사각형 형태를 가진다면 픽처는 직사각형 슬라이스로 분할 되었다고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장의 픽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로 분할 된 경우, 분할된 모든 슬라이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가 직사각형 및/또는 정사각형 형태가 아니라면, 픽처는 래스터 스캔(Raster-Scan) 슬라이스로 분할 되었다고 정의 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픽처가 복수개의 타일로 구성된 경우, 해당 픽처 내의 타일은 임의의 래스터 스캔 슬라이스 내에서 타일 래스터 스캔순서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픽처 및/또는 슬라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일로 분할 될 수 있으며, 이때 분할된 임의의 타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CTU로 구성 될 수 있다. 타일은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일 예로 하나의 타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CTU로 구성된 정사각형 및/또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직사각형 슬라이스 및/또는 래스터 스캔 슬라이스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일로 구성된 경우, 각 타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릭(Brick)으로 분할 될 수 있다. 이때, 분할된 임의의 브릭은 타일을 구성하는 CTU 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브릭의 세로 크기는 하나의 CTU 및/또는 CTB의 세로 크기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타일이 브릭으로 분할 되지 않은 경우, 해당 타일은 하나의 브릭으로 간주될 수 있다. 반면, 하나의 타일이 다수의 브릭으로 분할 된 경우, 타일에서 분할된 임의의 브릭은 타일로 간주될 수 없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일 및/또는 브릭을 가리키는 인덱스(idx)는 항상 0에서 시작될 수 있다.
상술된 슬라이스, 타일, 브릭의 정의에 따라, 하나의 슬라이스는 하나의 타일 및/또는 브릭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타일 및/또는 브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스가 복수개의 타일 및/또는 브릭으로 구성된 경우, 각 브릭은 픽처 및/또는 해당 브릭을 포함하는 슬라이스 내에서 브릭 래스터 스캔 순서에 따라 부/복호화 될 수 있다.
상술된 예와 달리, 픽처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타일 및/또는 브릭 각각이 하나의 슬라이스로 정의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타일이 복수개의 슬라이스로 분할 되고, 분할된 슬라이스 내에서 복수개의 브릭으로 분할 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처를 구성하는 슬라이스와 타일과 CTU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나의 픽처가 가로로 18개, 세로로 12개의 CTU로 구성되는 경우, 픽처는 3개의 래스터 스캔 슬라이스 및 12개의 타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처를 구성하는 슬라이스와 타일과 CTU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나의 픽처가 가로로 18개, 세로로 12개의 CTU로 구성되는 경우, 픽처는 9개의 직사각형 슬라이스 및 24개의 타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처를 구성하는 슬라이스와 타일과 CTU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나의 픽처는 4개의 타일로 구성되고, 1사분면(top-left) 타일은 곧 브릭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리고, 2사분면(top-right) 타일은 2개의 슬라이스로 구성되고 각 슬라이스가 2개 및 3개의 브릭으로 분할되어 5개의 브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3사분면(bottom-left) 타일은 2개의 브릭으로 구성되며, 4사분면(bottom-right) 타일은 3개의 브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픽처가 4개의 타일, 11개의 브릭, 4개의 직사각형 슬라이스로 구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상술한 슬라이스, 타일, 브릭으로 구성된 픽처의 분할 구조가 시그널링 되기 위한 정보는 SPS (sequences parameter set), PPS (picture parameter set), VPS (video parameter set), SEI (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 슬라이스 헤더(slice header), 타일 그룹 헤더(tile group head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부호화기에서 복호화기로 전송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처를 구성하는 슬라이스와 타일과 CTU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가로 및 세로 해상도가 1,920x1,080인 픽처에서 CTU의 크기가 128x128 이라고 가정할 때, 픽처는 가로로 총 15개의 CTU, 세로로 9개의 CTU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픽처는 2개의 직사각형 슬라이스, 12개의 타일 (각 슬라이스에 6개의 타일로 구성), 15개의 브릭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픽처의 분할 구조는 픽쳐 파라미터 세트를 이용하여 시그널링될 수 있다.
픽처에 구성된 브릭의 개수가 15개인 이유는 픽처의 제일 오른쪽 열에 위치한 3개의 타일이 각각 2개의 브릭으로 분할되었고, 나머지 타일은 모두 하나의 브릭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픽처내에 브릭의 총 개수는 15개에 해당될 수 있다.
픽처 내 각각의 CTU에 명시된 숫자는 슬라이스 및/또는 타일에 속한 CTU들이 래스터 스캔 방식에 따라 실제 부/복호화 되는 순서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처 내 첫 번째 슬라이스의 첫 번째 타일내 CTU에 명시된 숫자인 0부터 9는 래스터 스캔에 따라 부/복호화 되는 순서에 해당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화면분할 정보가 PPS를 통해 시그널링되는 방법(Syntax)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현재 픽처가 하나의 타일로 구성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single_tile_in_pic_flag)가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는 복수개의 타일로 분할된 경우에 해당되므로 현재 픽처가 하나의 타일로 구성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single_tile_in_pic_flag)가 0을 나타낼 수 있다.
만약 현재 픽처가 복수개의 타일 로 구성된 경우, 현재 픽처가 하나의 타일로 구성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single_tile_in_pic_flag)는 0을 나타내고, 픽처를 구성하는 복수 개 타일의 구성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타일들이 동일한 가로 및 세로 크기의 직사각형 및/또는 정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지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uniform_tile_spacing_flag)가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는 타일들이 서로 다른 크기의 타일로 구성되었음에 따라 복수개의 타일들이 동일한 가로 및 세로 크기의 직사각형 및/또는 정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uniform_tile_spacing_flag)가 0을 나타낼 수 있다.
만약, 복수개의 타일들이 동일한 가로 및/또는 세로 크기의 직사각형 및/또는 정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경우, 즉 복수개의 타일들이 동일한 가로 및 세로 크기의 직사각형 및/또는 정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지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uniform_tile_spacing_flag)가 1에 해당되는 경우, 타일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가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타일의 가로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cols_width_minus1) 및/또는 타일의 세로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rows_height_minus1)는 (CTB의 개수-1)을 나타낼 수 있다. 예외적으로, 오른쪽 및/또는 아래쪽에 위치한 타일들은 픽처의 크기로 인해 시그널링되는 타일의 가로 크기 및/또는 세로 크기를 가지지 못할 수 있다.
만약, 복수개의 타일들이 동일한 가로 및 세로 크기의 직사각형 및/또는 정사각형 형태를 가지지 않는 경우, 즉 복수개의 타일들이 동일한 가로 및 세로 크기의 직사각형 및/또는 정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지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uniform_tile_spacing_flag)가 0인 경우, 현재 픽처를 구성하는 타일의 열의 개수 및/또는 행의 개수가 전송될 수 있다. 이때 타일의 열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tile_columns_minus1) 및 타일의 행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tile_rows_minus1)가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는 픽처가 타일의 열이 4개, 타일의 행이 3개 이므로, 총 12개 (4x3)의 타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타일의 열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 (예를 들어, num_tile_columns_minus1)는 3을, 타일의 행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tile_rows_minus1)는 2를 나타낼 수 있다.
이후, 각 타일의 열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column_width_minus1[i]) 및 각 타일의 행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row_height_minus1[i])가 전송될 수 있다. 이때 i는 타일 열 및 행의 인덱스로 정의될 수 있으며, 각 타일의 열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 (예를 들어, tile_column_width_minus1[i])는 i번째 타일 열의 가로 크기로써 (CTB개수 -1)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유사하게 각 타일의 행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row_height_minus1[i])는 i번째 타일의 행의 세로 크기로써 (CTB개수 -1)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0의 시그널링에 따라 픽처 내에 타일이 분할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일이 브릭으로 분할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brick_splitting_present_flag)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1의 12개의 타일중에 타일 인덱스가 3, 7, 11에서 브릭으로 분할 된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일이 브릭으로 분할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brick_splitting_present_flag)는 1을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일이 브릭으로 분할 된 경우,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일이 브릭으로 분할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brick_splitting_present_flag)는 1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균등한 크기로 타일이 분할 된 경우, 즉 복수개의 타일들이 동일한 가로 및 세로 크기의 직사각형 및/또는 정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지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uniform_tile_spacing_flag)가 1 경우, 현재 픽처의 타일의 크기는 현재 픽처 내 타일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tiles_in_pic_minus1)를 통해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현재 픽처의 분할된 모든 타일 각각에 대해 해당 타일이 브릭으로 분할 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brick_split_flag[i])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때 i는 도 11에 도시한 숫자와 같이 현재 픽처 내에 분할된 타일들의 래스터 스캔 순서상 인덱스로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도 11의 타일 인덱스가 3, 7, 11에서 브릭으로 분할 된 경우, 인덱스가 3인 타일이 브릭으로 분할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brick_split_flag[3]), 인덱스가 7인 타일이 브릭으로 분할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brick_split_flag[7]), 인덱스가 11인 타일이 브릭으로 분할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brick_split_flag[11])는 모두 1을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임의의 i번째 타일의 세로 크기가 RowHeight[i]로 정의될 때, RowHeight[i]의 크기가 1개의 CTB 세로 크기와 동일한 경우 (RowHeight[i]==12), 해당 타일은 브릭으로 분할 될 수 없으므로 브릭의 분할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brick_split_flag)는 명시적으로 전송되지 않고, 복호화기에서 묵시적으로 유도(infer)될 수 있다.
만약 임의의 i번째 타일이 브릭으로 분할 된 경우, 즉 i번째 타일이 브릭으로 분할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brick_split_flag[i])는 1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해당 타일의 RowHeight[i]의 크기가 CTB 세로 크기의 2배인 경우 (RowHeight[i]==2), 해당 타일은 균등하게 2개의 브릭으로 분할되고, 해당 브릭의 세로 크기는 1 (CTB 세로크기)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해당 타일 내의 브릭의 세로 크기가 균등하게 분할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uniform_brick_spacing_flag[i]) 및/또는 해당 브릭의 세로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brick_height_minus1[i])는 복호화기에서 묵시적으로 유도(infer) 될 수 있다.
만약, i번째 타일이 적어도 N개 이상의 브릭으로 분할 된 경우, 즉 i번째 타일이 브릭으로 분할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brick_split_flag[i])가 1인 경우, 해당 타일 내의 브릭의 세로 크기가 균등하게 분할 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uniform_brick_spacing_flag[i])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때 N은 0보다 큰 양의 정수이며, 일 예로 3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만약, i번째 타일이 균등한 세로 크기를 가지는 브릭으로 분할 된 경우, 즉 해당 타일 내의 브릭의 세로 크기가 균등하게 분할 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uniform_brick_spacing_flag[i])가 1인 경우, 브릭의 균등한 세로 크기는 해당 브릭의 세로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brick_height_minus1[i])를 통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때, 해당 브릭의 세로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brick_height_minus1[i])는 (CTB의 개수-1)를 나타낼 수 있다.
만약, i번째 타일이 서로 다른 세로 크기를 가지는 브릭으로 분할 된 경우, 즉 해당 타일 내의 브릭의 세로 크기가 균등하게 분할 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uniform_brick_spacing_flag[i])가 0인 경우, 해당 타일에서 분할된 복수개의 브릭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brick_rows_minus1[i]) 및 각 브릭의 세로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brick_row_height_minus1[i][j])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때, 각 브릭의 세로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brick_row_height_minus1[i][j])는 (CTB의 개수-1)를 나타낼 수 있고, j는 i번째 타일의 j번째 브릭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도 9에서 타일 인덱스 3 및 7이 서로 다른 세로 크기를 가지는 2개의 브릭으로 분할 된 경우, 인덱스 3인 타일에서 분할된 복수개의 브릭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brick_rows_minus1[ 3 ]) 및 인덱스 7인 타일에서 분할된 복수개의 브릭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brick_rows_minus1[ 7 ]) 는 1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덱스가 3인 타일에서 첫 번째 브릭의 세로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brick_row_height_minus1[3][0]) 및 인덱스 7인 타일에서 첫 번째 브릭의 세로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brick_row_height_minus1[7][0])는 1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전체 브릭의 개수가 2개이므로 두번째 브릭의 세로 크기는 별도 시그널링 없이 묵시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9에서 인덱스 11인 타일이 서로 다른 세로 크기를 가지는 2개의 브릭으로 분할 된 경우, 인덱스 11인 타일에서 분할된 복수개의 브릭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brick_rows_minus1[11])는 1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덱스 11인 타일의 첫 번째 브릭의 세로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brick_row_height_minus1[11][0])는 0을 나타낼 수 있고, 전체 브릭의 개수가 2개이므로 두번째 브릭의 세로 크기는 별도 시그널링 없이 묵시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PS를 통해 브릭의 분할 정보가 시그널링되는 방법(Syntax)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0 및 도 12의 시그널링에 따라 복수개의 타일 및/또는 브릭으로 분할된 것을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하나의 타일은 하나의 브릭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픽처는 총15개의 브릭으로 분할 되었다고 간주될 수 있다. 이때, 현재 픽처 내에 분할된 브릭들의 래스터 스캔 순서상 인덱스(brick_idx)는 도 13에 도시된 숫자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PS를 통해 슬라이스의 분할 정보가 시그널링되는 방법(Syntax)을 설명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재 픽처 내의 브릭이 15개의 직사각형 슬라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3과 같이 분할된 모든 브릭 각각이 하나의 슬라이스로 구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single_brick_per_slice_flag)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만약 분할된 모든 브릭 각각이 하나의 슬라이스로 구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single_brick_per_slice_flag)가 1인 경우, 도 15와 같이 현재 픽처 내의 15개의 브릭은 15개의 직사각형 슬라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만약 분할된 모든 브릭 각각이 하나의 슬라이스로 구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single_brick_per_slice_flag)가 0인 경우, 현재 픽처의 슬라이스가 직사각형 슬라이스가 맞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rect_slice_flag)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만약 현재 픽처의 슬라이스가 직사각형 슬라이스가 맞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rect_slice_flag)가 1이고, 하나의 슬라이스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의 브릭으로 구성되는 경우, 현재 픽처에 포함된 슬라이스의 총 개수에서 1을 뺀 값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slices_in_pic_minus1)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픽처에 포함된 슬라이스의 총 개수가 전송될 수 있다.
복수개의 슬라이스 각각에 대해 도 13에 정의된 현재 픽처 내에 분할된 브릭들의 래스터 스캔 순서상 인덱스(brick_idx)를 이용하여 현재 픽처를 구성하는 각 슬라이스의 i번째 슬라이스와 i-1번째 슬라이스의 bottom_right_brick_idx의 차분 값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bottom_right_brick_idx_delta[i])가 전송될 수 있다. 단, 첫 번째 슬라이스인 경우(i==0), 즉 bottom_right_brick_idx_delta[0]은 첫 번째 슬라이스의 bottom_right_brick_idx 값 자체가 전송될 수 있다.
이때, bottom_right_brick_idx_delta[i]가 양수인지 음수인지를 나타내는 사인 정보(예를 들어, brick_idx_delta_sign_flag[i])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일 예로, i번째 슬라이스의 brick_idx_delta_sign_flag[i]가 1이면, bottom_right_brick_idx_delta[i]가 양수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첫 번째 슬라이스의 bottom_right_brick_idx_delta[0]은 첫 번째 슬라이스의 bottom_right_brick_idx 값 자체가 전송되기 때문에 항상 양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brick_idx_delta_sign_flag[0]은 부호화기에서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될 필요 없이, 복호화기에서 첫 번째 슬라이스의 brick_idx_delta_sign_flag[0]은 1이 된다는 것이 묵시적으로 유도(infer)될 수 있다.
마지막 슬라이스의 경우, bottom_right_brick_idx가 모든 brick_idx 값들 중에서 가장 큰 값을 가지므로 brick_idx_delta_sign_flag는 항상 양수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마지막 슬라이스의 brick_idx_delta_sign_flag 정보는 명시적으로 전송되지 않고 복호화기에서 묵시적으로 1로 유도(infer)될 수 있다.
마지막 슬라이스의 bottom_right_brick_idx를 복호화기가 알고 있고, 직전 슬라이스의 bottom_right_brick_idx_delta가 파싱되고 나면, 복호화기가 직전 슬라이스의 bottom_right_brick_idx 값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마지막 슬라이스의 bottom_right_brick_idx_delta 정보는 명시적으로 전송하지 않고 복호화기에서 묵시적으로 유도(infer)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처를 구성하는 타일을 설명한다. 하나의 픽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픽처(Sub Picture)로 분할될 수 있다. 이 때, 서브 픽처는 하나의 픽처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로 구성된 직사각형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픽처 또는 서브 픽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일 열 및/또는 타일 행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때, 타일 열 및/또는 타일 행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일로 구성된 직사각형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픽처 또는 서브 픽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스는 래스터 스캔 슬라이스 또는 직사각형 슬라이스로 분할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타일 및/또는 슬라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CTB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타일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 및/또는 서브 픽처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슬라이스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일 및/또는 서브 픽처로 분할될 수 있다. 분할된 타일의 총 개수는 타일 열의 개수에 타일 행의 개수를 곱한 수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하나의 픽처 및/또는 서브 픽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일로 분할될 수 있다. 타일 열의 개수는 5, 타일 행의 개수는 4에 해당될 수 있다. 5개의 타일 열의 너비는 모두 3개의 CTB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일 열의 너비는 모두 3의 값에 해당될 수 있다. 픽처 내의 타일을 부호화 할 때, 중복적으로 타일 열의 너비를 보낼 필요없이 한번의 타일 열의 너비가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타일 열의 너비가 모두 3이므로 전송할 타일 열의 너비 개수는 1에해당될 수 있다. 타일 행의 높이는 인덱스 0인 타일부터 3인 타일까지 각각 3,2,1,4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전송할 타일 행의 높이 개수는 3에해당될 수 있다.
전송할 타일 열의 너비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exp_tile_columns_minus1)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송할 타일 열의 너비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exp_tile_columns_minus1)는 0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타일 열의 너비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column_width_minus1[i])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인덱스 0인 타일 열의 너비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column_width_minus1[0])는 2를 나타낼 수 있다. 나머지 인덱스 1부터 4인 타일 열의 너비는 인덱스 0인 타일 열의 너비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column_width_minus1[0])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경계에 있는 마지막 타일 열의 너비는 픽처 및/또는 서브 픽처의 너비를 통해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경계에 있는 마지막 타일 열은 도 18의 타일 열의 너비를 저장하는 변수(예를 들어, colWidth[i])와 같이 묵시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여기서 인덱스는 타일 열에 대한 인덱스를 나타낼 수 있다. 인덱스는 0부터 타일 열의 개수-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전송할 타일 행의 높이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exp_tile_rows_minus1)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송할 타일 행의 높이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exp_tile_rows_minus1)는 2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타일 행의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row_height_minus1[i])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인덱스 0인 타일 행의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row_height_minus1[0])는 2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덱스 1인 타일 행의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row_height_minus1[1])는 1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덱스 2인 타일 행의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row_height_minus1[2])는 0을 나타낼 수 있다. 경계에 있는 마지막 타일 행의 높이는 픽처 및/또는 서브 픽처의 높이를 통해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경계에 있는 마지막 타일 행은 도 19의 타일 행의 너비를 저장하는 변수(예를 들어, RowHeight[i])와 같이 묵시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여기서 인덱스는 타일 행에 대한 인덱스를 나타낼 수 있다. 인덱스는 0부터 타일 행의 개수-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16과 다르게 타일 열의 개수가 5개이고 각 타일 열의 너비가 3,3,2,2,2이라면, 전송할 타일 열의 너비 개수는 3에해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송할 타일 열의 너비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exp_tile_columns_minus1)는 2를 나타낼 수 있다. 인덱스 0인 타일 열의 너비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column_width_minus1[0])는 2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덱스 1인 타일 열의 너비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column_width_minus1[1])는 2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덱스 2인 타일 열의 너비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column_width_minus1[2])는 1을 나타낼 수 있다. 나머지 인덱스 3, 4인 타일 열의 너비는 인덱스 2인 타일 열의 너비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column_width_minus1[2])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경계에 있는 마지막 타일 열의 너비는 픽처 및/또는 서브 픽처의 너비를 통해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8의 타일 열의 너비를 저장하는 변수(예를 들어, colWidth[i])와 같이 묵시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여기서 인덱스는 타일 열에 대한 인덱스를 나타낼 수 있다. 인덱스는 0부터 타일 열의 개수-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도 16과 다르게 타일 열의 개수가 5개이고 각 타일 열의 너비가 3,4,5,4,3이라면, 전송할 타일의 열의 너비 개수는 4에해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송할 타일 열의 너비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exp_tile_columns_minus1)는 3을 나타낼 수 있다. 인덱스 0인 타일 열의 너비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column_width_minus1[0])는 2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덱스 1인 타일 열의 너비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column_width_minus1[1])는 3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덱스 2인 타일 열의 너비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column_width_minus1[2])는 4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덱스 3인 타일 열의 너비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column_width_minus1[3])는 3을 나타낼 수 있다. 나머지 픽처 경계에 있는 타일 열인 인덱스 4인 타일 열의 너비는 픽처 및/또는 서브 픽처의 너비를 통해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8의 타일 열의 너비를 저장하는 변수(예를 들어, colWidth[i])와 같이 묵시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여기서 인덱스는 타일 열에 대한 인덱스를 나타낼 수 있다. 인덱스는 0부터 타일 열의 개수-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PS를 통해 픽처 내의 타일 정보가 시그널링되는 방법(Syntax)을 설명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타일 열의 너비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column_width_minus1[i])는 전송할 타일 열의 너비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exp_tile_columns_minus1)가 0보다 큰 경우에만 전송될 수 있다. 전송할 타일 열의 너비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exp_tile_columns_minus1)가 0인 경우, 현재 픽처 및/또는 서브 픽처가 하나의 타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픽처 및/또는 서브 픽처의 너비를 통해 타일 열의 너비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column_width_minus1[i])가 유도될 수 있다.
현재 픽처가 하나의 타일인 경우, 픽처(타일)의 너비는 PPS의 픽처의 너비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pic_width_in_luma_samples)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CTU(CTB)의 크기인 CtbSizeY는 CtbLog2SizeY = sps_log2_ctu_size_minus5 + 5 또는 CtbLog2SizeY = pps_log2_ctu_size_minus5 + 5를 통해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CtbSizeY = 1 << CtbLog2SizeY를 통해 유도될 수 있다. 픽처의 너비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pic_width_in_luma_samples)를 CtbSizeY로 나누거나 또는 나머지 연산을 통해 인덱스 0인 타일 열의 너비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column_width_minus1[0])가 유도될 수 있다.
타일 행을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row_height_minus1[i])는 전송할 타일 행의 높이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exp_tile_rows_minus1)가 0보다 큰 경우에만 전송될 수 있다. 전송할 타일 행의 높이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exp_tile_rows_minus1)가 0인 경우, 현재 픽처 및/또는 서브 픽처가 하나의 타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픽처 및/또는 서브 픽처의 높이를 통해 타일 행의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row_height_minus1[i])가 유도될 수 있다.
현재 픽처가 하나의 타일인 경우, 픽처(타일)의 높이는 PPS의 픽처의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pic_height_in_luma_samples)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CTU(CTB)의 크기인 CtbSizeY는 CtbLog2SizeY = sps_log2_ctu_size_minus5 + 5 또는 CtbLog2SizeY = pps_log2_ctu_size_minus5 + 5를 통해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CtbSizeY = 1 << CtbLog2SizeY를 통해 유도될 수 있다. 픽처의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pic_height_in_luma_samples)를 CtbSizeY로 나누거나 또는 나머지 연산을 통해 인덱스 0인 타일 행의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tile_row_height_minus1[0])가 유도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처 내의 타일 열의 너비 정보가 시그널링되는 방법(Syntax)을 설명한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처 내의 타일 행의 높이 정보가 시그널링되는 방법(Syntax)을 설명한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처를 구성하는 슬라이스와 타일을 설명한다. 하나의 픽처 및/또는 서브 픽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타일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래스터 스캔 및/또는 직사각형 슬라이스 분할 정보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타일 분할 정보는 타일 인덱스로 정의될 수 있다. 하나의 타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로 분할될 수 있다. 현재 픽처 및/또는 서브 픽처에 포함된 슬라이스에서 직사각형 슬라이스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rect_slice_flag)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한, 현재 픽처 및/또는 서브 픽처에 포함된 슬라이스 전체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slice_in_pic_minus1)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타일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로 분할된 경우, 슬라이스의 가로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width_in_tiles_minus1) 및 슬라이스의 세로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tiles_minus1)가 0을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타일내에 분할된 슬라이스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slices_in_tile_minus1)가 전송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슬라이스 4는 4개의 타일인 타일 1, 타일 2, 타일 5, 타일 6으로 분할될 수 있다. 슬라이스 4의 가로 및 세로 크기는 타일 단위 개수로 나타낼 수 있다. 슬라이스 4의 슬라이스 너비 및 높이는 2개의 타일로 분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스 4의 슬라이스 너비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width_in_tiles_minus1)는 1을 나타낼 수 있다. 슬라이스 4의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tiles_minus1)는 1을 나타낼 수 있다.
타일 0과 타일 4는 각각 2개의 슬라이스로 분할될 수 있다. 타일 0과 타일 4의 슬라이스에서, 슬라이스의 가로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width_in_tiles_minus1) 및 슬라이스의 세로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tiles_minus1)가 0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타일 0과 타일 4는 각각 타일내에 분할된 슬라이스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slices_in_tile_minus1)가 1을 나타낼 수 있다.
타일내에 분할된 슬라이스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slices_in_tile_minus1)가 1보다 같거나 큰 경우, 현재 타일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슬라이스로 분할될 수 있다. 이 때,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가 슬라이스 개수-1번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현재 타일의 높이를 통해 마지막 슬라이스의 높이는 묵시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타일 0의 경우, 첫번째 슬라이스인 슬라이스 0만이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타일 4의 경우, 첫번째 슬라이스인 슬라이스 2만이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스 높이는 CTU 및/또는 CTB 단위에 해당될 수 있다. 일 예로, 타일내에 분할된 슬라이스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slices_in_tile_minus1)가 0인 경우, 타일이 곧 슬라이스이므로 타일의 높이가 슬라이스의 높이와 동일하므로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가 시그널링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처와 타일 내의 슬라이스 정보가 시그널링되는 방법(Syntax)을 설명한다.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을 구성하는 슬라이스를 설명한다. 하나의 픽처 및/또는 서브 픽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일로 분할될 수 있다. 하나의 타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의 중복성을 제거하기 위해 도 17에서 설명한 타일 정보의 시그널링 방법과 유사하게 슬라이스 정보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하나의 픽처가 2개의 타일인 타일 0과 타일 1로 분할될 수 있다. 타일 0과 타일 1은 5개의 슬라이스로 분할될 수 있다. 현재 픽처에 포함된 슬라이스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면, num_slices_in_pic_minus1)는 9를 나타낼 수 있다. 타일 0은 5개의 슬라이스인 슬라이스 0, 슬라이스 1, 슬라이스 2, 슬라이스 3, 슬라이스 4로 분할될 수 있다. 슬라이스 0의 높이는 4이고 나머지 슬라이스 1, 슬라이스 2, 슬라이스 3 및 슬라이스 4의 높이는 모두 2에 해당될 수 있다. 타일 0의 슬라이스 1에서 타일 0의 슬라이스 4로 증가되기 위해 인덱스가 증가될 수 있다.
타일 0에서 타일내에 분할된 슬라이스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slices_in_tile_minus1)는 4를 나타낼 수 있다. 인덱스 0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0])는 3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덱스 1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1])는 1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덱스 2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2])는 1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덱스 3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3])는 1을 나타낼 수 있다. 마지막 슬라이스인 슬라이스 4의 경우, 인덱스 4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4])는 현재 타일의 높이 값을 이용해 유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덱스 4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4])는 현재 타일의 높이 값에 인덱스 0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0])에 1을 더한 값, 인덱스 1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1])에 1을 더한 값, 인덱스 2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2])에 1을 더한 값 및 인덱스 3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3])에 1을 더한 값을 뺀 값으로 유도될 수 있다.
타일 0에서 인덱스 1인 슬라이스부터 인덱스 4인 슬라이스의 높이가 모두 2이므로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가 모두 1을 나타낼 수 있다. 타일 0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슬라이스가 2개 이므로 전송할 타일내 슬라이스의 높이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exp_tile_columns_minus1)가 1을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인덱스 0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0])는 3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덱스 1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1])는 1을 나타낼 수 있다. 나머지 슬라이스 2, 슬라이스 3 및 슬라이스 4는 인덱스 1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1])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마지막 슬라이스인 슬라이스 4는 현재 타일의 높이를 이용하여 유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덱스 4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4])는 현재 타일의 높이 값에 인덱스 0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0])에 1을 더한 값 , 인덱스 1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1])에 1을 더한 값, 묵시적으로 유도되는 인덱스 2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2])에 1을 더한 값 및 묵시적으로 유도되는 인덱스 3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3])에 1을 더한 값을 뺀 값으로 유도될 수 있다.
타일 0은 타일의 높이가 CTU 및/또는 CTB단위로 12에 해당될 수 있다. 전송할 타일내 슬라이스의 높이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num_exp_tile_columns_minus1)가 1을 나타낼 수 있다. 인덱스 1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1])는 1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타일 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슬라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세번째 슬라이스부터는 모두 동일한 높이인 2를 가진다는 것이 유도될 수 있다. 타일 0의 높이가 12일 때, 인덱스 0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0])와 인덱스 1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1])를 통해 슬라이스 0과 슬라이스 1을 제외한 나머지 슬라이스의 높이(RemainSlicesHeight)가 유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일 0의 높이 12에 인덱스 0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0])에 1을 더한 값과 인덱스 1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1])에 1을 더한 값을 뺀 값으로 유도될 수 있다. 슬라이스 0과 슬라이스 1을 제외한 나머지 슬라이스의 높이(RemainSlicesHeight)는 6에 해당될 수 있다. 슬라이스 0과 슬라이스 1을 제외한 나머지 슬라이스의 높이(RemainSlicesHeight)는 모두 인덱스 1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1])가 적용되므로 나머지 슬라이스 개수가 유도될 수 있다.
나머지 슬라이스 높이(RemainSlicesHeight)를 식으로 표현하면 구체적으로, 나머지 슬라이스 높이(RemainSlicesHeight) = 타일높이(TileHeight)-{인덱스 0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0])+ 인덱스 1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1]) + 전송할 타일내 슬라이스의 높이 개수(NumExpSliceInTile)}로 표현될 수 있다.
슬라이스 개수 나눈 정보(DivSliceNum)를 식으로 표현하면 구체적으로, 슬라이스 개수 나눈 정보(DivSliceNum) = 나머지 슬라이스 높이(RemainSlicesHeight)/{인덱스 1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1]) + 1}로 표현될 수 있다.
if [나머지 슬라이스 높이(RemainSlicesHeight) % {인덱스 1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1]) + 1}]에서 슬라이스 나머지 연산 정보(RemSliceNum)는 1 아니면 0에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나머지(%) 연산은 Modular 연산으로 대체될 수 있다.
나머지 슬라이스 높이(RemainSlicesHeight)가 0보다 크면서 동시에 인덱스 1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1])에 1을 더한 값보다 작으면 현재 타일 내의 나머지 슬라이스 개수는 1로 유도될 수 있다.
나머지 슬라이스 높이(RemainSlicesHeight)가 인덱스 1인 슬라이스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slice_height_in_ctu_minus1[1])에 1을 더한 값과 같거나 크다면 현재 타일 내의 나머지 슬라이스 개수는 {슬라이스 개수 나눈 정보(DivSliceNum) + 슬라이스 나머지 연산 정보(RemSliceNum)}로 유도될 수 있다.
도 23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처와 타일 내의 슬라이스 정보가 시그널링되는 방법(Syntax)을 설명한다.
도 24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처와 타일 내의 슬라이스 정보가 시그널링되는 방법(Syntax)을 설명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pps_num_slices_in_pic_minus1 plus 1은 PPS를 참조하는 각 픽처의 직사각형 슬라이스 수를 나타낼 수 있다. pps_num_slices_in_pic_minus1의 값은 0 ~ MaxSlicesPerAu-1 범위에 해당될 수 있다. pps_no_pic_partition_flag가 1이면 pps_num_slices_in_pic_minus1의 값은 0으로 유도될 수 있다. pps_single_slice_per_subpic_flag가 1이면 pps_num_slices_in_pic_minus1의 값은 sps_num_subpics_minus1과 같은 것으로 유도될 수 있다.
pps_tile_idx_delta_present_flag가 0인 경우, pps_tile_idx_delta_val [i] 구문 요소가 PPS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PPS를 참조하는 모든 픽처가 슬라이스 래스터 순서로 직사각형 슬라이스 행과 직사각형 슬라이스 열로 분할될 수 있다. pps_tile_idx_delta_present_flag가 1인 경우, pps_tile_idx_delta_val [i] 구문 요소가 PPS에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PPS를 참조하는 픽처의 모든 직사각형 슬라이스가 i의 증가 값에서 pps_tile_idx_delta_val [i]의 값에 표시된 순서대로 지정될 수 있다. pps_tile_idx_delta_val [i] 구문 요소가 PPS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pps_tile_idx_delta_present_flag가 1로 유도될 수 있다.
pps_slice_width_in_tiles_minus1 [i] plus 1은 타일 열 단위로 i 번째 직사각형 슬라이스의 너비를 나타낼 수 있다. pps_slice_width_in_tiles_minus1 [i]의 값은 0 ~ NumTileColumns-1 범위에 해당될 수 있다. pps_slice_width_in_tiles_minus1 [i]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pps_slice_width_in_tiles_minus1 [i]의 값은 0으로 유도될 수 있다.
pps_slice_height_in_tiles_minus1 [i] plus 1은 pps_num_exp_slices_in_tile [i]이 0 일 때 타일 행 단위로 i 번째 직사각형 슬라이스의 높이를 나타낼 수 있다. pps_slice_height_in_tiles_minus1 [i]의 값은 0 ~ NumTileRows-1 범위에 해당될 수 있다. pps_slice_height_in_tiles_minus1 [i]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SliceTopLeftTileIdx [i] / NumTileColumns가 NumTileRows ? 1과 같다면, pps_slice_height_in_tiles_minus1 [i]의 값은 0으로 유도될 수 있다. SliceTopLeftTileIdx [i] / NumTileColumns가 NumTileRows ? 1과 같지 않다면, pps_slice_height_in_tiles_minus1 [i]의 값은 pps_slice_height_in_tiles_minus1 [i ? 1]과 같은 것으로 유도될 수 있다.
pps_num_exp_slices_in_tile [i]는 i 번째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타일의 슬라이스에 대해 명시적으로 제공된 슬라이스 높이의 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타일은 SliceTopLeftTileIdx [i]와 동일한 타일 인덱스를 가진 타일에 해당될 수 있다. pps_num_exp_slices_in_tile [i]의 값은 0 ~ RowHeight [SliceTopLeftTileIdx [i] / NumTileColumns] ? 1 범위에 해당될 수 있다. pps_num_exp_slices_in_tile [i]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pps_num_exp_slices_in_tile [i]의 값은 0으로 유도될 수 있다. pps_num_exp_slices_in_tile [i]가 0인 경우, i 번째 조각을 포함하는 타일은 여러 조각으로 분할되지 않을 수 있다. pps_num_exp_slices_in_tile [i]가 0이 아닌 경우, i 번째 조각을 포함하는 타일이 여러 조각으로 분할되거나 분할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pps_num_exp_slices_in_tile [i]가 0보다 클 수 있다.
pps_exp_slice_height_in_ctus_minus1 [i] [j] plus 1은 pps_num_exp_slices_in_tile [i]가 0보다 큰 경우, 0 ~ pps_num_exp_slices_in_tile [i] ? 1 범위에있는 j에 대해 i 번째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타일에서 j 번째 직사각형 슬라이스의 높이를 CTU 행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 pps_exp_slice_height_in_ctus_minus1 [i]은 pps_num_exp_slices_in_tile [i] ? 1보다 큰 i 번째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타일에서 직사각형 슬라이스의 높이를 유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pps_exp_slice_height_in_ctus_minus1 [i] [j]의 값은 0 ~ RowHeight [SliceTopLeftTileIdx [i] / NumTileColumns] ? 1 범위에 해당될 수 있다.
pps_tile_idx_delta_val [i]는 (i + 1) 번째 직사각형 슬라이스의 첫 번째 CTU를 포함하는 타일의 타일 인덱스와 i 번째 직사각형 슬라이스의 첫 번째 CTU를 포함하는 타일의 타일 인덱스 간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pps_tile_idx_delta_val [i]의 값은 ?NumTilesInPic + 1에서 NumTilesInPic ? 1 범위에 해당되어야 한다. pps_tile_idx_delta_val [i]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pps_tile_idx_delta_val [i]의 값은 0으로 유도될 수 있다. pps_tile_idx_delta_val [i]가 존재하는 경우, pps_tile_idx_delta_val [i]의 값은 0이 아니다. pps_rect_slice_flag가 1이고 SubpicIdxForSlice [idxA]가 SubpicIdxForSlice보다 작은 경우, 동일한 픽처와 다른 서브 픽쳐에 속하는 그림 레벨 슬라이스 인덱스 idxA 및 idxB를 갖는 임의의 두 조각에 대해 idxA의 값은 idxB보다 작아야 한다. 상기 조건은 비트스트림 적합성 요구사항에 해당될 수 있다.
도 2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부호화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현재 픽처가 복수의 타일들로 구성되고 복수의 타일 중 현재 타일이 복수의 슬라이스로 분할된 경우, 현재 타일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S2510).
그리고, 현재 타일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S2520).
그리고,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 및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이 생성될 수 있다(S253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타일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 중에서 마지막 슬라이스에 대한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는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픽처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이 직사각형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직사각형 슬라이스 정보가 생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이 직사각형인 경우,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 및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가 부호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픽처에 하나의 슬라이스만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픽처 내 단일 슬라이스 정보가 생성될 수 있고, 현재 픽처에 복수의 슬라이스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 및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가 부호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픽처에 복수의 슬라이스가 포함되는 경우, 현재 픽처의 복수의 슬라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픽처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픽처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들 중 현재 슬라이스의 타일 단위의 크기를 나타내는 슬라이스 크기 정보가 생성될 수 있고, 현재 슬라이스의 크기가 현재 타일의 크기와 같거나 작은 경우,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타일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의 종류의 개수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개수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픽처에 복수의 타일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픽처 내 단일 타일 정보가 생성될 수 있고, 현재 픽처에 복수의 타일이 포함되는 경우, 복수의 타일의 높이를 나타내는 타일 높이 정보 및 복수의 타일의 너비를 나타내는 타일 너비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타일 중에서 현재 픽처의 우측 경계에 있는 우측 경계 타일의 너비에 대한 타일 너비 정보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타일 중에서 현재 픽처의 하단 경계에 있는 하단 경계 타일의 행의 높이에 대한 타일 높이 정보는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는 상기 타일의 마지막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연속되는 동일한 높이의 복수의 슬라이스 중에서, 최초의 슬라이스에 대하여만 생성될 수 있다.
도 2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복호화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6을 참조하면, 현재 픽처가 복수의 타일들로 구성되고 복수의 타일 중 현재 타일이 복수의 슬라이스로 분할된 경우, 현재 타일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가 복호화될 수 있다(S2610).
그리고, 현재 타일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가 복호화될 수 있다(S2620).
그리고, 현재 타일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 개수와 현재 타일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S263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가 나타내는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는 CTU(Coding Tree Unit) 단위 또는 CTB (Coding Tree Block)단위에 해당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타일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 중에서 마지막 슬라이스는 현재 타일의 높이와 마지막 슬라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슬라이스들의 높이를 이용하여 유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픽처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이 직사각형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직사각형 슬라이스 정보가 복호화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이 직사각형인 경우,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 및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가 복호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픽처에 하나의 슬라이스만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픽처 내 단일 슬라이스 정보가 복호화될 수 있고, 현재 픽처에 복수의 슬라이스가 포함되는 경우,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 및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가 복호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픽처에 복수의 슬라이스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픽처의 복수의 슬라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픽처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가 복호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픽처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들 중 현재 슬라이스의 타일 단위의 크기를 나타내는 슬라이스 크기 정보가 복호화될 수 있고, 현재 슬라이스의 크기가 현재 타일의 크기와 같거나 작은 경우,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가 복호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타일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의 종류의 개수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개수 정보가 복호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픽처에 복수의 타일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픽처 내 단일 타일 정보가 복호화될 수 있고, 현재 픽처에 복수의 타일이 포함되는 경우, 복수의 타일의 높이를 나타내는 타일 높이 정보 및 복수의 타일의 너비를 나타내는 타일 너비 정보가 복호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타일 중에서 현재 픽처의 우측 경계에 있는 우측 경계 타일의 너비는 현재 픽처의 너비와 상기 우측 경계 타일과 같은 행의 나머지 타일들의 너비를 이용하여 유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타일 중에서 현재 픽처의 하단 경계에 있는 하단 경계 타일의 행의 높이는 현재 픽처의 높이와 하단 경계 타일과 같은 열의 나머지 타일들의 높이를 이용하여 유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는 상기 타일의 마지막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연속되는 동일한 높이의 복수의 슬라이스 중에서, 최초의 슬라이스에 대하여만 복호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복호화 방법에 따라 복호화되는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으로서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으나, 본 개시는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난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개시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이상 설명된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개시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개시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개시가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개시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개시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개시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0)

  1. 현재 픽처가 복수의 타일들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타일 중에서 현재 타일이 복수의 슬라이스로 분할된 경우,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 및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 중에서 마지막 슬라이스에 대한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는 생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픽처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이 직사각형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직사각형 슬라이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이 직사각형인 경우,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 및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가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픽처에 하나의 슬라이스만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픽처 내 단일 슬라이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재 픽처에 복수의 슬라이스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 및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가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픽처에 복수의 슬라이스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픽처의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픽처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픽처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들 중 현재 슬라이스의 타일 단위의 크기를 나타내는 슬라이스 크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재 슬라이스의 크기가 상기 현재 타일의 크기와 같거나 작은 경우,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의 종류의 개수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개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픽처에 복수의 타일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픽처 내 단일 타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픽처에 복수의 타일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타일의 높이를 나타내는 타일 높이 정보 및 상기 복수의 타일의 너비를 나타내는 타일 너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타일 중에서 상기 현재 픽처의 우측 경계에 있는 우측 경계 타일의 너비에 대한 타일 너비 정보는 생성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타일 중에서 상기 현재 픽처의 하단 경계에 있는 하단 경계 타일의 행의 높이에 대한 타일 높이 정보는 생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는,
    상기 타일의 마지막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연속되는 동일한 높이의 복수의 슬라이스 중에서, 최초의 슬라이스에 대하여만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10. 현재 픽처가 복수의 타일들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타일 중에서 현재 타일이 복수의 슬라이스로 분할된 경우,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를 복호화 하는 단계;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를 복호화 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개수와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는 CTU(Coding Tree Unit) 단위 또는 CTB (Coding Tree Block)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 중에서 마지막 슬라이스는 상기 현재 타일의 높이와 상기 마지막 슬라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슬라이스들의 높이를 이용하여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픽처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이 직사각형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직사각형 슬라이스 정보를 복호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이 직사각형인 경우,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 및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가 복호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픽처에 하나의 슬라이스만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픽처 내 단일 슬라이스 정보를 복호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재 픽처에 복수의 슬라이스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 및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가 복호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픽처에 복수의 슬라이스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픽처의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픽처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를 복호화 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픽처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들 중 현재 슬라이스의 타일 단위의 크기를 나타내는 슬라이스 크기 정보를 복호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재 슬라이스의 크기가 상기 현재 타일의 크기와 같거나 작은 경우,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가 복호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의 종류의 개수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개수 정보를 복호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픽처에 복수의 타일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픽처 내 단일 타일 정보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픽처에 복수의 타일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타일의 높이를 나타내는 타일 높이 정보 및 상기 복수의 타일의 너비를 나타내는 타일 너비 정보를 복호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타일 중에서 상기 현재 픽처의 우측 경계에 있는 우측 경계 타일의 너비는 상기 현재 픽처의 너비와 상기 우측 경계 타일과 같은 행의 나머지 타일들의 너비를 이용하여 유도되고,
    상기 복수의 타일 중에서 상기 현재 픽처의 하단 경계에 있는 하단 경계 타일의 행의 높이는 상기 현재 픽처의 높이와 상기 하단 경계 타일과 같은 열의 나머지 타일들의 높이를 이용하여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는,
    상기 타일의 마지막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연속되는 동일한 높이의 복수의 슬라이스 중에서, 최초의 슬라이스에 대하여만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20. 영상 복호화 방법에 따라 복호화되는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영상 복호화 방법은,
    현재 픽처가 복수의 타일들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타일 중에서 현재 타일이 복수의 슬라이스로 분할된 경우,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개수 정보를 복호화 하는 단계;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를 나타내는 타일 내 슬라이스 높이 정보를 복호화 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개수와 상기 현재 타일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의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00180007A 2019-12-24 2020-12-21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210082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90254.0A CN114930814A (zh) 2019-12-24 2020-12-23 图像编码/解码方法以及装置
PCT/KR2020/018991 WO2021133055A1 (ko) 2019-12-24 2020-12-23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17/787,853 US20230032884A1 (en) 2019-12-24 2020-12-23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73689 2019-12-24
KR1020190173689 2019-1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092A true KR20210082092A (ko) 2021-07-02

Family

ID=7689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007A KR20210082092A (ko) 2019-12-24 2020-12-21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20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21881A1 (en) * 2020-07-14 2022-01-20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Signaling of rectangular slices in the vvc video compression standar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21881A1 (en) * 2020-07-14 2022-01-20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Signaling of rectangular slices in the vvc video compression standard
US11616955B2 (en) * 2020-07-14 2023-03-28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Signaling of rectangular slices in the VVC video compression stand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0907B1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2410424B1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102424240B1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102397475B1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102321394B1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KR20220127801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20210145111A (ko)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장치
KR20220080062A (ko) 채널들 간의 선택적인 정보 공유를 사용하는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135466A (ko) 화면내 예측 모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230074452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20180001485A (ko) 변환 기반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70113384A (ko) 픽쳐 분할 정보를 사용하는 비디오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058838A (ko) 화면간 예측 향상을 위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70058837A (ko) 화면내 예측모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210065051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102480967B1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200144509A (ko) 화면 간 예측 정보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20220224932A1 (en)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bitstream
KR20210065063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20210003604A (ko) 화면내 예측 방법 및 장치
KR20210082092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50048637A (ko) 색 성분 간 예측 방법 및 장치
KR20210034536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20210025510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20230032884A1 (en)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