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764A -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 - Google Patents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764A
KR20210081764A KR1020190174030A KR20190174030A KR20210081764A KR 20210081764 A KR20210081764 A KR 20210081764A KR 1020190174030 A KR1020190174030 A KR 1020190174030A KR 20190174030 A KR20190174030 A KR 20190174030A KR 20210081764 A KR20210081764 A KR 20210081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atellite
balance weight
rotation
modu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5857B1 (ko
Inventor
조창래
우성현
임종민
은희광
전종협
문남진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74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857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5/00Ground equipment for vehicles, e.g. starting towers, fuel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고, 인공위성 본체에 결합될 판넬이 장착되는, 판넬 결합 프레임; 및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판넬은 수평 상태로 판넬 결합 프레임에 장착되고, 부품들이 조립되어 판넬 모듈이 되고, 판넬 모듈을 수직하게 회전시켜서, 판넬을 인용위성 본체에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SATELLITE PANEL MODULE ASSEMBLY AND ROTATION HANDLING DEVICE}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가 개시된다.
인공위성 제작과정은 고도의 정밀도와 안정성이 요구되며, 인공위성 부품들은 민감하기 때문에 섬세하게 다뤄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인공위성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인공위성에 부품을 조립 및 장착하는 기계도 접근성 및 정확도를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 즉, 인공위성의 부품을 안착한 구조체를 미리 조립하고 미리 조립한 부분 구조체들을 운반하여 인공위성의 몸체에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한 기계들의 필요성이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 2008년 8월 7일자로 출원된 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018844호는 '위성체의 조립작업을 위한 달리'를 개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판넬이 안착된 프레임으로부터 판넬을 용이하게 분리하는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판넬을 수직하게 회전시킨 상태로 인공위성 몸체에 결합시킬 수 있는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판넬의 회전 시 무게 중심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회전을 구현할 수 있는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부품들을 운반하여 인공위성 몸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고, 인공위성 본체에 결합될 판넬이 장착되는, 판넬 결합 프레임; 및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판넬은 수평 상태로 판넬 결합 프레임에 장착되고, 부품들이 조립되어 판넬 모듈이 되고, 판넬 모듈을 수직하게 회전시켜서, 판넬을 인용위성 본체에 결합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무게중심을 조정하는, 무게 밸런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무게 밸런스부는 밸런스 웨이트; 상기 판넬이 안착되는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이동시키는, 밸런스 웨이트 길이방향 구동 요소; 및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이동시키는, 밸런스 웨이트 폭방향 구동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밸런스 웨이트 길이방향 구동요소는, 상기 밸런스 웨이트와 나사 결합으로 관통하는, 길이방향 회전축; 상기 길이방향 회전축의 좌우에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밸런트 웨이트를 관통하는, 길이방향 슬라이더; 및 상기 길이방향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밸런스 웨이트 폭방향 구동요소는, 상기 밸런스 웨이트가 장착된, 밸런스 웨이트 프레임; 상기 밸런스 웨이트 프레임을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폭방향 축; 상기 폭방향 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수직 및 수평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 및 수평 조절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 사이의 수직 길이를 조절하는, 수직 조절 레버;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 사이의 수평 길이를 조절하는, 수평 조절 레버; 및 수직 길이 및 수평 길이를 지시하는, 수평 및 수직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고, 인공위성 본체에 결합될 판넬이 장착되는, 판넬 결합 프레임; 및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에 배치되고, 인공위성 본체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판넬을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결합 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해제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면으로 전진 및 후퇴하는, 전후진 부재; 상기 전후진 요소 주위에 돌출되고 탄성을 구비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전후진 부재는, 상기 몸체와 나사결합식으로 관통하는, 바; 상기 바의 전단에 구비되고, 후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전단 요소; 상기 바의 타단에 구비된, 손잡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에 의하면, 판넬이 안착된 프레임으로부터 판넬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에 의하면, 판넬이 수직하게 회전시킨 상태로 인공위성 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에 의하면, 판넬의 회전 시 무게 중심이 조절되어 안정적인 회전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에 의하면, 부품들이 운반되어 인공위성 몸체에 대한 접근성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의 결합 해제부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의 무게 밸런스부를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의 수직 및 수평 조절부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10)의 정면을 나타낸다. 상기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10)는 조립용 위성판넬(1), 지지 프레임(100), 판넬 결합 프레임(200), 회전부(300), 결합 해제부(400), 무게 밸런스부(500), 수직 및 수평 조절부(600), 및 이동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를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100)의 상단에 판넬 결합 프레임(200)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00)의 측면에 지지 프레임(1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높이 조절용 핸들(11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또한, 지지 프레임(100)의 하단에는 배터리(1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배터리(120)는 후술하는 이동부(700)로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20)의 동력은 후술하는 회전부(300)의 판넬 회전용 서보모터(320), 무게 밸런스부(500)의 구동모터(523, 533)에도 공급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10)의 측면을 나타내며, 회전부(300)의 작동으로 인한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1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2(a)에서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200)은 평면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도 2(b)에서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200)은 회전부(300)의 작동으로 회전되어 평면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200)은 평면이 수평 방향으로 있을 때,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200)의 상단에 인공위성 본체에 부착할 조립용 위성판넬(1)의 판넬이 설치되고 조립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00)와 판넬 결합 프레임(200)의 연결 부분에 회전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300)는 지지 프레임(100)을 중심으로 판넬 결합 프레임(20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부(300)는 힌지 회전축(310), 판넬 회전용 서보모터(320), 및 힌지 스토퍼(33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회전축(310)은 판넬 결합 프레임(200)과 결합될 수 있어서, 상기 힌지 회전축(310)의 회전에 의해 판넬 결합 프레임(200)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힌지 회전축(310)은 판넬 회전용 서보모터(320)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힌지 스토퍼(330)는 힌지 회전축(31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결합해제부(400)는 판넬 결합 프레임(200)으로부터 판넬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200)이 회전부(300)로 인하여 회전할 때, 무게 밸런스부(500)가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10)의 무게중심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회전부(300)로 인한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200)이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회전한 후,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200)의 무게중심이 전면 쪽으로 이동되므로,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10)의 무게중심 안정화를 위하여, 무게 밸런스부(500)의 밸런스 웨이트(510)가 후면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 프레임(100)과 판넬 결합 프레임(200) 사이의 연결 부분(예를 들어, 회전부(300))에 수직 및 수평 조절부(6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및 수평 조절부(600)는 지지 프레임(100)에서의 판넬 결합 프레임(200)의 수직 및 수평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인공위성 본체에 조립용 위성판넬(1)을 결합시킬 때, 판넬 결합 프레임(200)의 위치가 미세하게 조절되어, 조립용 위성판넬(1)의 판넬모듈들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지지 프레임(100)의 하단에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 (10)의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동부(7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부(700)는 캐스터(7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10)의 결합 해제부(400)를 상세히 나타낸다. 결합 해제부(400)는 판넬 결합 프레임(200)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 3(a)에서 상세히 나타낸 결합 해제부(400)는 조립용 위성판넬(1)을 판넬 결합 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몸체(410), 전후진 부재(420), 및 탄성 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은 탄성 부재(430)를 전면에 도시한 것으로, 탄성 부재(430)는 십(+)자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410)의 양 단이 개방될 수 있고, 상기 몸체(410)를 관통하여 전후진 부재(420)는 몸체(410)의 전면으로 전진 및 후퇴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430)는 상기 전후진 부재(420) 요소 주위를 둘러싼 형태로, 탄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후진 부재(420)는 바(421), 전단 요소(422), 손잡이 요소(4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421)는 상기 몸체(410)와 나사결합식으로 관통될 수 있고, 볼트일 수 있다. 상기 바(421)의 전단에 전단 요소(422)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전단 요소(422)의 형태는 후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모양일 수 있다. 상기 바(421)의 타단에 손잡이 요소(423)가 구비될 수 있다.
판넬 결합 프레임(200)에 조립용 위성판넬(1)이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전후진 부재(420)는 몸체(410)에서 후면으로 위치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전후진 부재(420)의 일 단에 구비된 전단 요소(422)는 몸체(410)의 일 단에 가까이 가면서, 전후진 부재(420)를 둘러싼 탄성 부재(430)는 십(+)자 형태로 벌어질 수 있다. 이에, 조립용 위성판넬(1) 및 판넬 결합 프레임(200) 사이의 거리가 좁아도, 결합 해제부(400)가 차지하는 거리가 좁아, 조립용 위성판넬(1) 및 판넬 결합 프레임(200) 사이의 결합이 방해되지 않는다.
판넬 결합 프레임(200)으로부터 조립용 위성판넬(1)이 분리되고자 할 때, 전후진 부재(420)의 손잡이 요소(423)가 전면 쪽으로 미는 힘을 받음으로써 결합 해제부(400)가 작동될 수 있다. 전후진 부재(420)가 전면 쪽으로 이동되면서, 탄성 부재(430)가 펴질 수 있다. 이에, 전후진 부재(420)의 전단 요소(422)가 전면 쪽으로 이동되면서, 조립용 위성판넬(1)을 밀 수 있다. 이에, 조립용 위성판넬(1)이 판넬 결합 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10)의 무게 밸런스부(500)를 상세히 나타낸다. 도 4(a)에 상세히 나타낸 무게 밸런스부(500)는 밸런스 웨이트(510), 밸런스 웨이트 길이방향 구동 요소(520), 밸런스 웨이트 폭방향 구동 요소(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는 밸런스 웨이트(510)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무게 밸런스부(500)는 지지 프레임(100) 및 판넬 결합 프레임(200) 사이의 연결 부분(예를 들어, 회전부(300))에 설치될 수 있고, 판넬 결합 프레임(200)의 회전 시 판넬 결합 프레임(200)의 무게중심 이동에 대응하여 반대방향으로 무게 밸런스부(500)의 밸런스 웨이트(510)의 이동으로 무게중심을 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런스 웨이트 길이방향 구동 요소(520)는 상기 조립용 위성판넬(1)이 안착되는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200)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이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밸런스 웨이트(5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밸런스 웨이트 길이방향 구동 요소(520)는 길이방향 회전축(521), 길이방향 슬라이더(522), 구동모터(523), 워엄기어 구동 모터 정지용 리미트 스위치(5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길이방향 회전축(521)은 상기 밸런스 웨이트(510)와 나사 결합으로 상기 밸런스 웨이트(510)의 중앙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길이방향 슬라이더(522)는 상기 길이방향 회전축(521)의 좌우에 나란히 배열될 수 있고 상기 밸런스 웨이트(510)를 관통할 수 있다. 이에, 상기 길이방향 슬라이더(522)는 밸런스 웨이트(510)만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밸런스 웨이트(510)가 길이방향 회전축(521)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모터(523)는 상기 길이방향 회전축(52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23)의 구동력 공급으로 상기 길이방향 회전축(521)이 회전되면, 상기 길이방향 회전축(521)과 나사결합한 밸런스 웨이트(510)가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200)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워엄기어 구동 모터 정지용 리미트 스위치(524)는 밸런스 웨이트(510))의 이동을 제한하여 원하는 위치에 밸런스 웨이트(510)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밸런스 웨이트 폭방향 구동 요소(530)는 상기 조립용 위성판넬(1)이 안착되는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200)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이하, '폭 방향')으로 상기 밸런스 웨이트(5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밸런스 웨이트 폭방향 구동 요소(530)는 밸런스 웨이트 프레임(531), 폭방향 축(532), 구동모터(5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런스 웨이트 폭방향 구동 요소(530)는 밸런스 웨이트 프레임(531)의 일 단에 밸런스 웨이트 축 좌우 이동용 슬라이더(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밸런스 웨이트 프레임(531)은 밸런스 웨이트(510)를 내부에 포함한 형태일 수 있고 지지 프레임(100) 및 판넬 결합 프레임(200) 사이의 연결 부분(예를 들어, 회전부(300))에 연장한 프레임일 수 있다. 폭 방향 축(532)은 상기 밸런스 웨이트 프레임(531)을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33)는 상기 폭방향 축(5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10)의 수직 및 수평 조절부(600)를 나타낸다. 도 5(a)에 상세히 나타낸 수직 및 수평 조절부(600)는 수직 조절 레버(610), 수평 조절 레버(620), 수평 및 수직 지시자(630), 리미트 스위치(6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b)에 수직 조절 레버(610), 수평 조절 레버(620)의 일부인 프레임 수직 조절용 손잡이(650)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 조절 레버(610)는 상기 지지 프레임(100)과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200) 사이의 수직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조절 레버(620)는 상기 지지 프레임(100)과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200) 사이의 수평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및 수직 지시자(630)는 수직 길이 및 수평 길이를 지시할 수 있다. 수직 조절 레버(610), 수평 조절 레버(620)의 일 단에 리미트 스위치(640)가 설치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판넬 결합 프레임(200)의 수직 및 수평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수직 조절 레버(610), 수평 조절 레버(620)에서, 리미트 스위치(640)가 연결된 프레임 수직 조절용 손잡이(6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10)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판넬 결합 프레임(200)이 수평한 상태에서 조립용 위성판넬(1)이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200)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조립용 위성판넬(1) 위에 부품들이 설치 및 조립될 수 있다. 판넬 결합 프레임(200)이 회전부(30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전하고 나서,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10)가 인공위성 본체로 이동부(700)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판넬 결합 프레임(200)의 회전 시 무게 밸런스부(500)가 무게중심을 조절하여 안정화한다. 판넬 결합 프레임(200)이 수직 방향으로 놓여 장착 위치에 놓이면, 결합 해제부(400)가 조립용 위성판넬(1)을 판넬 결합 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하여 인공위성 본체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10)는 판넬이 안착된 프레임으로부터 판넬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10)는 판넬이 수직하게 회전시킨 상태로 인공위성 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10)는 판넬의 회전 시 무게 중심이 조절되어 안정적인 회전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10)는 부품들이 운반되어 인공위성 몸체에 대한 접근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조립용 위성판넬
10: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
100: 지지 프레임
110: 높이 조절용 핸들
120: 안정용 무게 및 서보 모터 기동용 배터리
200: 판넬 결합 프레임
300: 회전부
310: 힌지 회전축
320: 판넬 회전용 서보모터
330: 힌지 스토퍼
400: 결합 해제부
410: 몸체
420: 전후진 부재
421: 바
422: 전단 요소
423: 손잡이 요소
430: 탄성 부재
500: 무게 밸런스부
510: 밸런스 웨이트
520: 밸런스 웨이트 길이방향 구동 요소
521: 길이방향 회전축
522: 길이방향 슬라이더
523: 구동모터 (무게 회전 축 기동용 워엄 기어와 모터)
524: 워엄기어 구동 모터 정지용 리미트 스위치
530: 밸런스 웨이트 폭방향 구동 요소
531: 밸런스 웨이트 프레임
532: 폭방향 축
533: 구동모터
600: 수직 및 수평 조절부
610: 수직 조절 레버
620: 수평 조절 레버
630: 수평 및 수직 지시자
640: 리미트 스위치
650: 프레임 수직 조절용 손잡이
700: 이동부
710: 캐스터

Claims (10)

  1.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고, 인공위성 본체에 결합될 판넬이 장착되는, 판넬 결합 프레임; 및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를 포함하고,
    판넬은 수평 상태로 판넬 결합 프레임에 장착되고, 부품들이 조립되어 판넬 모듈이 되고, 판넬 모듈을 수직하게 회전시켜서, 판넬을 인용위성 본체에 결합하는,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무게중심을 조정하는, 무게 밸런스부를 더 포함하는,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밸런스부는
    밸런스 웨이트;
    상기 판넬이 안착되는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이동시키는, 밸런스 웨이트 길이방향 구동 요소; 및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이동시키는, 밸런스 웨이트 폭방향 구동 요소;
    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 길이방향 구동요소는,
    상기 밸런스 웨이트와 나사 결합으로 관통하는, 길이방향 회전축;
    상기 길이방향 회전축의 좌우에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밸런트 웨이트를 관통하는, 길이방향 슬라이더; 및
    상기 길이방향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 폭방향 구동요소는,
    상기 밸런스 웨이트가 장착된, 밸런스 웨이트 프레임;
    상기 밸런스 웨이트 프레임을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폭방향 축;
    상기 폭방향 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수직 및 수평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 및 수평 조절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 사이의 수직 길이를 조절하는, 수직 조절 레버;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 사이의 수평 길이를 조절하는, 수평 조절 레버; 및
    수직 길이 및 수평 길이를 지시하는, 수평 및 수직 지시자;
    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
  8.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고, 인공위성 본체에 결합될 판넬이 장착되는, 판넬 결합 프레임; 및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에 배치되고, 인공위성 본체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판넬을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결합 해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해제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면으로 전진 및 후퇴하는, 전후진 부재;
    상기 전후진 요소 주위에 돌출되고 탄성을 구비하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 부재는,
    상기 몸체와 나사결합식으로 관통하는, 바;
    상기 바의 전단에 구비되고, 후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전단 요소;
    상기 바의 타단에 구비된, 손잡이 요소;
    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 결합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를 더 포함하는,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

KR1020190174030A 2019-12-24 2019-12-24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 KR102315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030A KR102315857B1 (ko) 2019-12-24 2019-12-24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030A KR102315857B1 (ko) 2019-12-24 2019-12-24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764A true KR20210081764A (ko) 2021-07-02
KR102315857B1 KR102315857B1 (ko) 2021-10-21

Family

ID=7689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030A KR102315857B1 (ko) 2019-12-24 2019-12-24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8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6943A (zh) * 2022-01-04 2022-04-15 航天科工空间工程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卫星装配的调整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021A (ko) * 2009-12-24 2011-06-3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 몸체패널 장착 및 핸들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021A (ko) * 2009-12-24 2011-06-3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 몸체패널 장착 및 핸들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6943A (zh) * 2022-01-04 2022-04-15 航天科工空间工程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卫星装配的调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857B1 (ko)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5942B2 (en) Roll axis assembly and gimbal platform using same
US11252312B2 (en) Lens bracket assembly and gimbal used therewith
US20210054967A1 (en) Translation axis assembly and gimbal platform using same
US9482605B2 (en) Bond testing machine and cartridge for a bond testing machine comprising a plurality of test tools
KR102315857B1 (ko)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
CN104254725A (zh) 云台
US9108828B2 (en) Lift mechanism
CN104603516B (zh) 云台
CN203868619U (zh) 云台
CN109140153B (zh) 一种液晶面板光学检测相机微调装置
KR20110068087A (ko) 액체로켓엔진에서의 터보펌프 조립 장치
KR100986640B1 (ko) 프로브 유닛 및 검사장치
US9490038B2 (en) X-ray optical component device and X-ray analyzer
CN203868620U (zh) 云台
SE453580B (sv) Robothandled med glappjustering
US99504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an ingot with mounting block
CN107845461B (zh) 定位夹具
US4935694A (en) Probe card fixture
CN110065413B (zh) 一种电动车快换式电池安装座
JP3473533B2 (ja) 穿孔装置及び穿孔装置に使用される穿孔用ユニット
US9272442B2 (en) Methods for aligning an ingot with mounting block
CN207065002U (zh) 一种装载相机及光源的轻便型可调装置
CN109425997B (zh) 投影镜头组装设备
KR101760352B1 (ko) 차량 조립용 패널 검사용 방향조절 검사구
CN220552761U (zh) 一种调节装置及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