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626A -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를 삽입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를 삽입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626A
KR20210081626A KR1020190173771A KR20190173771A KR20210081626A KR 20210081626 A KR20210081626 A KR 20210081626A KR 1020190173771 A KR1020190173771 A KR 1020190173771A KR 20190173771 A KR20190173771 A KR 20190173771A KR 20210081626 A KR20210081626 A KR 20210081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xid
transmission
transmission identifi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5280B1 (ko
Inventor
안성준
권선형
박성익
이재영
임보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73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2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0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broadcast or relay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8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broadcast or distribution via plur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41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using special codes as synchronising sig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방법은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신호동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에 상응하는 전력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한 송신기에 상응하는 전송 식별자 신호를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하여 TxID 제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TxID 제거 송신 신호에 동일채널 중계기에 상응하는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여 송신 방송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를 삽입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METHOD OF INJECTING TRANSMITTER IDENTIFICATION IN ON-CHANNEL REPEATER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송 시스템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 송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중계기 고유의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단일 주파수 망(Single Frequency Network; SFN)은 높은 주파수 효율성을 가지나, 복수의 송신기들이나 중계기들이 하나의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간섭이 문제된다.
송신기와 송신기, 송신기와 중계기, 그리고 중계기와 중계기 사이의 단일 주파수 사용에 따른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방송망에 대한 채널 프로파일과 각각의 송신기 또는 중계기로부터의 개별 수신 전력이 필요하다. 채널 프로파일과 개별 수신 전력을 산출하기 위해, 전송 식별자(transmitter identification; TxID)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이 소개된 바 있다.
전송 식별자 신호는 RF 워터마크 기술에 기반하고, 좋은 코릴레이션 특성(correlation properties)을 갖는다.
전송 식별자 신호를 통해 얻어진 채널 프로파일과 추정된 수신 파워는 각각의 송신기의 파워와 딜레이를 제어하여 단일 주파수 망이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송신기만으로 방송망을 구성하여 전국적인 방송 권역을 커버하는 것은 인프라 구축 및 망 유지/관리 비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통상적인 지상파 방송망에서는 송신기와 중계기가 혼용되며, 이러한 방송망에서 중계기는 주요 거점에 설치된 송신기의 송출 신호를 수신 및 재송출하여 음영지역을 없애고 방송 권역을 확장한다. 이 때, SFN 지상파 방송망에서는 수신신호를 증폭하여 같은 주파수 대역으로 재송출하는 동일채널 중계기(on-channel repeater)가 사용된다.
결국, SFN 지상파 방송망의 분석을 위해서는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 뿐만 아니라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신호도 독립적으로 측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송 신호 동일채널 중계기는 수신된 방송 신호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TxID 신호)를 제거하거나 추가 삽입하지 않고 수신된 신호를 단순히 재송출한다.
따라서, 중계기로부터 송신되는 방송 신호를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한국공개특허 10-2017-0080495호에 ATSC 3.0 시스템을 위한 전송 식별자 신호 삽입 기술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중계기 고유의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채널 중계기가 전송 식별자 신호를 포함한 방송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여, SFN 지상파 방송망의 망 분석 및 망 구축/관리가 용이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계기가 송신기의 전송 식별자 신호를 제거한 후 자신의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함으로써, 중계기 전송 식별자 신호 삽입에 따른 프리앰블 디코딩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신기로부터 중계기까지의 다중경로 채널들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송신기의 전송 식별자 신호를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방법은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신호동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에 상응하는 전력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한 송신기에 상응하는 전송 식별자 신호를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하여 TxID 제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TxID 제거 송신 신호에 동일채널 중계기에 상응하는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여 송신 방송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TxID 제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를 재생성하는 단계; 전송 식별자 제거 신호 삽입 레벨에 상응하는 제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TxID 제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TxID 제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둘 이상의 송신기들로부터 송신된 복수개의 전송 식별자 신호들을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TxID 제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전송 식별자 시퀀스들과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 사이의 교차상관값들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교차상관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둘 이상의 송신기들로부터 송신된 복수개의 전송 식별자 신호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들 각각에 상응하는 제거 신호 삽입 레벨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거 신호 삽입 레벨들을 이용하여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들을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거 신호 삽입 레벨들은 각각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들 각각에 상응하는 전력 계수; 및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 각각에 상응하는 다중경로 채널들을 고려하기 위한 세부 전력 계수들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세부 전력 계수들 각각에 상응하는 시간 인덱스에 동기되어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들 중 하나의 상기 다중경로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성분을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제거 신호 삽입 레벨들은 상기 전력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측정된 프리앰블 신호 전력, 전송 식별자 신호 전력 및 잡음 전력 스펙트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장치는,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신호동기를 획득하는 신호 동기부; 상기 방송 신호에 상응하는 전력 측정을 수행하는 전력 스펙트럼 측정부;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한 송신기에 상응하는 전송 식별자 신호를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하여 TxID 제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기 TxID 신호 제거부; 및 상기 TxID 제거 송신 신호에 동일채널 중계기에 상응하는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여 송신 방송 신호를 생성하는 중계기 TxID 신호 삽입부를 포함한다.
이 때, 송신기 TxID 신호 제거부는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를 검출하는 TxID 검출부;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를 재생성하는 TxID 신호 재생성부; 전송 식별자 제거 신호 삽입 레벨에 상응하는 제거 신호를 생성하는 TxID 제거 신호 삽입 전력 조정부; 및 상기 제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TxID 제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감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송신기 TxID 신호 제거부는 둘 이상의 송신기들로부터 송신된 복수개의 전송 식별자 신호들을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TxID 검출부는 복수개의 전송 식별자 시퀀스들과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 사이의 교차상관값들을 산출하는 자기상관 검출부들; 및 상기 교차상관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둘 이상의 송신기들로부터 송신된 복수개의 전송 식별자 신호들을 식별하고,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들 각각에 상응하는 제거 신호 삽입 레벨들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는 송신기별 TxID 신호 상호 전력비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거 신호 삽입 레벨들은 각각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들 각각에 상응하는 전력 계수; 및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 각각에 상응하는 다중경로 채널들을 고려하기 위한 세부 전력 계수들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TxID 제거 신호 삽입 전력 조정부는 상기 세부 전력 계수들 각각에 상응하는 시간 인덱스에 동기되어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들 중 하나의 상기 다중경로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성분을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하도록 상기 제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거 신호 삽입 레벨들은 상기 전력 스펙트럼 측정부에서 측정된 프리앰블 신호 전력, 전송 식별자 신호 전력 및 잡음 전력 스펙트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중계기 고유의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채널 중계기가 전송 식별자 신호를 포함한 방송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여, SFN 지상파 방송망의 망 분석 및 망 구축/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계기가 송신기의 전송 식별자 신호를 제거한 후 자신의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함으로써, 중계기 전송 식별자 신호 삽입에 따른 프리앰블 디코딩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기로부터 중계기까지의 다중경로 채널들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송신기의 전송 식별자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TxID 검출부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TxID 검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동일채널 중계기가 수신신호를 그대로 증폭하여 재송출할 경우, 이를 수신한 TxID 신호분석기는 중계기로부터 TxID 신호분석기에 도달하는 신호의 성분을 측정할 수가 없고, 송신기에서 송출된 신호가 중계기를 거치며 TxID 신호분석기까지 도달하는 경로의 종합적인 영향만이 측정된다.
또한, 동일채널 중계기가 수신신호에서 송신기 별 TxID 신호를 제거하지 아니하고 고유의 TxID 를 추가 삽입하여 방송 신호를 재송출할 경우, 이를 수신한 TxID 신호분석기에서는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후 중계기를 거쳐 도달한 신호에 대해 송신기의 TxID 신호와 중계기의 TxID 신호가 함께 검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추가 삽입된 TxID 신호가 프리앰블 신호 디코딩에 추가 간섭으로 작용하여 방송 신호 수신 성능을 크게 열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TxID 신호(전송 식별자 신호)가 삽입된 방송신호를 송신하는 지상파 방송망을 위한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수신신호에 포함된 TxID 신호를 제거하고 중계기 고유의 TxID 신호를 삽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장치는 신호 동기부(101), 전력 스펙트럼 측정부(102), 송신기 TxID 신호 제거부(103), 중계기 TxID 신호 생성부(107) 및 중계기 TxID 신호 삽입 전력 조정부(108)를 포함한다.
신호 동기부(101)는 추후 프리앰블에서의 TxID 제거 및 삽입을 위해,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신호동기를 획득한다.
전력 스펙트럼 측정부(102)는 상기 방송 신호에 상응하는 전력 측정을 수행한다.
즉, 전력 스펙트럼 측정부(102)는 수신 신호의 전력 스펙트럼을 측정한다. 이 때, ATSC 3.0 등의 방송 시스템에서 TxID 신호의 송신 대역폭이 방송 프리앰블 신호보다 크다는 것에 입각하여(6MHz 대역폭 기반 전송 기준 프리앰블 송신대역폭은 5.509MHz, TxID 신호 송신대역폭은 6.912MHz), 전력 스펙트럼 측정부(102)는 수신된 프리앰블 신호 전력과 수신 TxID 신호의 전력, 그리고 잡음 전력 스펙트럼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수신 프리앰블 신호 전력은 프리앰블 송신대역폭 내 신호 전력 스펙트럼 평균치에서 TxID 신호만이 송신되는 송신대역폭 내 수신 신호 전력 스펙트럼 평균치를 뺀 다음 프리앰블 송신대역폭을 곱한 값일 수 있다. 또한, 수신 TxID 신호의 전력은 TxID 신호만이 송신되는 송신대역폭 내 수신신호 전력 스펙트럼 평균치에 TxID 신호가 송신되는 총 대역폭을 곱한 값일 수 있다.
TxID 신호 제거부(103)는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한 송신기에 상응하는 전송 식별자 신호를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하여 TxID 제거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즉, TxID 신호 제거부(103)는 동기화된 수신 방송신호를 입력 받아서 각 송신기가 송출한 TxID 신호를 검출해낸 뒤 수신 방송신호에서 제거한다.
이 때, 송신기 TxID 신호 제거부(103)는 둘 이상의 송신기들로부터 송신된 복수개의 전송 식별자 신호들을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송신기 TxID 신호 제거부(103)는 TxID 검출부(104), TxID 신호 재생성부(105) 및 TxID 제거 신호 삽입 전력 조정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TxID 검출부(104)는 전송 식별자 신호(TxID 신호)를 검출한다. 즉, TxID 검출부(104)는 수신 방송신호에 포함된 송신기별 TxID 신호를 검출한다.
TxID 신호 재생성부(105)는 전송 식별자 신호를 재생성한다. 즉, TxID 신호 재생성부(105)는 검출된 각 송신기별 TxID 신호를 TxID 신호 시퀀스 시드(seed)로부터 재생성한다.
TxID 제거 신호 삽입 전력 조정부(106)는 전송 식별자 제거 신호 삽입 레벨에 상응하는 제거 신호를 생성한다. 즉, TxID 제거 신호 삽입 전력 조정부(106)는 TxID 신호 재생성부(105)에서 재생성된 각 송신기별 TxID 신호의 전력을 수신 방송신호에 포함된 각 송신기별 TxID 신호 성분과 같은 전력으로 맞추어 제거 신호를 생성한다. TxID 제거 신호 삽입 전력 조정부(106)에 의해 전력조정된 송신기별 TxID 재생성 신호들은 수신 방송신호에 포함된 송신기별 TxID 신호 각각과 반대위상으로 더해져서 수신 방송신호로부터 TxID 신호 성분이 제거될 수 있다.
즉, 제거 신호는 감산기에 의해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감산기의 출력은 TxID 제거 송신 신호가 될 수 있다.
중계기 TxID 신호 생성부(107)는 중계기 고유의 TxID 신호를 생성한다.
중계기 TxID 신호 삽입 전력 조정부(108)는 프리앰블에 비하여 기설정된 중계기 TxID 신호 삽입 레벨만큼 낮은 전력으로 해당 중계기 TxID 신호 전력을 조정한다.
이 때, 중계기 TxID 신호 삽입 레벨은 수신받은 신호의 TxID 삽입 레벨과 동일하게 설정하거나 사용자 의도에 따라 이와 별개로 설정될 수도 있다.
중계기 TxID 신호 삽입 전력 조정부(108)에서 출력된 전력조정된 중계기 TxID 신호는 송신기 TxID 신호 제거부(103)에서 출력된, TxID 제거 송신 신호(수신 방송신호로부터 TxID 성분을 제거한 신호)와 결합된 뒤 송신된다.
도 1에서 중계기 TxID 신호 생성부(107), 중계기 TxID 신호 삽입 전력 조정부(108) 및 가산기는 중계기 TxID 신호 삽입부(110)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중계기 TxID 신호 삽입부(110)는 상기 TxID 제거 송신 신호에 동일채널 중계기에 상응하는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여 송신 방송 신호를 생성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TxID 검출부(104)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TxID 검출부(104)는 자기상관 검출부들(210) 및 송신기별 TxID 신호 상호 전력비 측정부(205)를 포함한다.
동일채널 중계기의 설치 위치에서 송출신호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송신기들(예를 들어, 총 M개)에 대한 정보가 주어질 수 있다. 실제로 중계기의 수신부에서 N(N은 M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개의 송신기에서 송출된 방송신호가 수신된다고 할 때, 중계기에서는 M번의 TxID 교차 상관 기반 검출을 통해 N개의 송신기별 TxID 신호들을 모두 검출할 수 있다.
TxID 검출부(104)의 자기상관 검출부들(210)은 복수개의 전송 식별자 시퀀스들과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 사이의 교차상관값들을 산출한다.
따라서, 자기상관 검출부들(210)은 M개의 활성화된 송신기별 TxID 자기상관 검출부들(202, 202..., 204)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별 TxID 자기상관 검출부들(202, 202..., 204)은 각각 특정 송신기에 할당된 TxID 신호 시퀀스를 수신 방송신호와 교차상관한다. 교차상관 값에서 기설정된 값을 넘는 피크(peak)가 발생할 때 해당 송신기의 TxID 신호가 검출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이 때, 송신기별 TxID 자기상관 검출부들(202, 202..., 204)은 각각 다중경로 채널을 고려하여 교차상관 값의 최대 피크 대비 기설정된 범위(비율 또는 값) 내의 교차상관 값의 피크들(최대 피크 포함)을 모두 더한 값, 그리고 그 피크들 각각의 교차상관 값을 송신기별 TxID 신호 상호 전력비 측정부(205)로 검출 결과와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송신기 TxID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M-N개의 송신기별 TxID 신호에 대해서는 해당 결과가 전달되지 않는다.
송신기별 TxID 신호 상호 전력비 측정부(205)는 상기 교차상관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둘 이상의 송신기들로부터 송신된 복수개의 전송 식별자 신호들을 식별하고,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들 각각에 상응하는 제거 신호 삽입 레벨들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생성한다.
송신기 #i(i=1, 2, ..., N)의 TxID 신호에 대한 상기 교차상관 피크 합산 결과를 ai라고 할 때, 송신기별 TxID 신호 상호 전력비 측정부(205)는 전달받은 ai(i=1, 2, ..., N) 값들을 이용하여 이후 TxID 제거 신호 삽입 전력 조정부(106)에서 각 송신기별 TxID 재생성 신호의 전력 조정에 사용될 전력 계수를 계산한다.
송신기 #i의 TxID 재생성 신호를 위한 전력 계수 bi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수학식 1]
b i =a i /(a 1+a 2+...+a N ), for i=1, 2, ..., N
송신기별 TxID 자기상관 검출부들(202, 202..., 204)은 TxID 교차상관 값의 피크들이 나타나는 시간축상의 인덱스도 제공할 수 있다. 송신기 #i(i=1, 2, ..., N)의 TxID 신호에 대해, 교차상관 값의 최대 피크 대비 기설정된 범위 내의 교차상관 값의 피크들의 시간 인덱스와 해당 교차상관값은 각각 ti,j 및 ai,j로 표현될 수 있다(j=1, 2, ..., Ji)(Ji는 송신기 #i의 TxID 신호에 대한 교차상관 값의 최대 피크 대비 기설정된 범위 내의 교차상관 값의 피크들의 총 개수). 이 때, 송신기 #i의 TxID 재생성 신호를 위한 세부 전력 계수 ci,j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된다.
[수학식 2]
c i,j = a i,j /(a i, 1+a i, 2 +...+a i,Ji ), for j=1, 2, ..., J i
도 1의 전력 스펙트럼 측정부(102)에서 측정된 수신 프리앰블 신호 전력 Pp와 수신 TxID 신호 전력 PT에 대해, TxID 제거 신호 삽입 전력 조정부(106)는 TxID 신호 재생성부(105)에서 재생성한 송신기 #i의 TxID 신호를 Ji개 복사하여, 각 복사 TxID 신호가 ci,jbi(PT2BT)의 전력(즉, 송신기 #i의 TxID 재생성 신호에 대해 총 bi(PT2BT)의 전력)을 갖도록 전력을 조정한다. 이 때, σ2는 잡음 전력 스펙트럼의 측정치이고, BT는 TxID 신호의 송신대역폭이다. 전력 조정된 각 복사 TxID 신호는 ti.j의 시간 인덱스에 동기화되어 수신 방송신호에 포함된 송신기별 TxID 신호 각각과 반대위상으로 합산된다.
즉, 상기 제거 신호 삽입 레벨들은 각각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들 각각에 상응하는 전력 계수(bi) 및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 각각에 상응하는 다중경로 채널들을 고려하기 위한 세부 전력 계수들(ci,j)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거 신호 삽입 레벨들은 상기 전력 스펙트럼 측정부에서 측정된 프리앰블 신호 전력, 전송 식별자 신호 전력 및 잡음 전력 스펙트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 때, TxID 제거 신호 삽입 전력 조정부(106)는 상기 세부 전력 계수들 각각에 상응하는 시간 인덱스에 동기되어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들 중 하나의 상기 다중경로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성분을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하도록 상기 제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중계기에서의 계산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Ji가 1이 되도록 교차상관 값의 최대 피크 대비 기설정된 범위(최대 교차상관 피크 대비 교차상관 피크값 처리 범위)를 결정하고, ci.j의 계산 및 TxID 재생성 신호 복사 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 때, 1개를 초과하는 복사 TxID 신호에 대한 동기화 및 합산 과정이 생략되어 계산복잡도가 추가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송신기의 TxID 신호 삽입 레벨이 동일하게 Δ로 지정되고 이 값이 알려져 있는 경우, TxID 제거 신호 삽입 전력 조정부(106)는 PT 대신 ΔPp를 사용하여 송신기별 TxID 재생성 신호 전력을 조정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TxID 검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계기에서의 계산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가장 전력이 큰 1개의 송신기 TxID 신호만이 검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TxID 검출부는 송신기별 TxID 자기상관 검출부(302)를 포함한다.
중계기에서의 계산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가장 전력이 큰 1개의 송신기 TxID 신호만이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송신기 송출신호만이 수신되는 경우,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TxID 신호)를 삽입하는 장치는 송신기별 TxID 신호 상호 전력비 측정부(205) 없이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송신기의 TxID 신호 삽입 레벨이 Δ로 알려져 있는 경우, TxID 제거 신호 삽입 전력 조정부(106)는 PT 대신 ΔPp를 사용하여 송신기별 TxID 재생성 신호 전력을 조정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방법은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신호 동기를 획득한다(S41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방법은 상기 방송 신호에 상응하는 전력 측정을 수행한다(S42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방법은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한 송신기에 상응하는 전송 식별자 신호를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하여 TxID 제거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S430).
이 때, 단계(S430)는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를 재생성하는 단계, 전송 식별자 제거 신호 삽입 레벨에 상응하는 제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TxID 제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TxID 제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전송 식별자 시퀀스들과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 사이의 교차상관값들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교차상관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둘 이상의 송신기들로부터 송신된 복수개의 전송 식별자 신호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들 각각에 상응하는 제거 신호 삽입 레벨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거 신호 삽입 레벨들을 이용하여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들을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거 신호 삽입 레벨들은 각각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들 각각에 상응하는 전력 계수, 및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 각각에 상응하는 다중경로 채널들을 고려하기 위한 세부 전력 계수들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제거 신호 삽입 레벨들은 상기 전력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측정된 프리앰블 신호 전력, 전송 식별자 신호 전력 및 잡음 전력 스펙트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세부 전력 계수들 각각에 상응하는 시간 인덱스에 동기되어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들 중 하나의 상기 다중경로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성분을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430)는 둘 이상의 송신기들로부터 송신된 복수개의 전송 식별자 신호들을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방법은 상기 TxID 제거 송신 신호에 동일채널 중계기에 상응하는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여 송신 방송 신호를 생성한다(S44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방송신호를 중계할 때, 수신된 방송신호에서 송신기의 TxID 신호 성분을 제거하고 중계기 고유의 TxID 신호를 삽입하여 재송출함으로써, 동일채널 중계기가 포함된 지상파 SFN 망 분석 및 구축/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600)은 버스(62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610), 메모리(6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6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650) 및 스토리지(6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600)은 네트워크(68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메모리(630)나 스토리지(660)에 저장된 프로세싱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630) 및 스토리지(66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631)이나 RAM(6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방법 및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1: 신호 동기부
102: 전력 스펙트럼 측정부
103: 송신기 TxID 신호 제거부
104: TxID 검출부
105: TxID 신호 재생성부
106: TxID 제거 신호 삽입 전력 조정부
107: 중계기 TxID 신호 생성부
108: 중계기 TxID 신호 삽입 전력 조정부

Claims (14)

  1.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신호동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에 상응하는 전력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한 송신기에 상응하는 전송 식별자 신호를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하여 TxID 제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TxID 제거 송신 신호에 동일채널 중계기에 상응하는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여 송신 방송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TxID 제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를 재생성하는 단계;
    전송 식별자 제거 신호 삽입 레벨에 상응하는 제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TxID 제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TxID 제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둘 이상의 송신기들로부터 송신된 복수개의 전송 식별자 신호들을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TxID 제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전송 식별자 시퀀스들과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 사이의 교차상관값들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교차상관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둘 이상의 송신기들로부터 송신된 복수개의 전송 식별자 신호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들 각각에 상응하는 제거 신호 삽입 레벨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거 신호 삽입 레벨들을 이용하여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들을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거 신호 삽입 레벨들은 각각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들 각각에 상응하는 전력 계수; 및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 각각에 상응하는 다중경로 채널들을 고려하기 위한 세부 전력 계수들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세부 전력 계수들 각각에 상응하는 시간 인덱스에 동기되어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들 중 하나의 상기 다중경로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성분을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거 신호 삽입 레벨들은
    상기 전력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측정된 프리앰블 신호 전력, 전송 식별자 신호 전력 및 잡음 전력 스펙트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방법.
  8.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신호동기를 획득하는 신호 동기부;
    상기 방송 신호에 상응하는 전력 측정을 수행하는 전력 스펙트럼 측정부;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한 송신기에 상응하는 전송 식별자 신호를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하여 TxID 제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기 TxID 신호 제거부; 및
    상기 TxID 제거 송신 신호에 동일채널 중계기에 상응하는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여 송신 방송 신호를 생성하는 중계기 TxID 신호 삽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TxID 신호 제거부는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를 검출하는 TxID 검출부;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를 재생성하는 TxID 신호 재생성부;
    전송 식별자 제거 신호 삽입 레벨에 상응하는 제거 신호를 생성하는 TxID 제거 신호 삽입 전력 조정부; 및
    상기 제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TxID 제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감산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TxID 신호 제거부는
    둘 이상의 송신기들로부터 송신된 복수개의 전송 식별자 신호들을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TxID 검출부는
    복수개의 전송 식별자 시퀀스들과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 사이의 교차상관값들을 산출하는 자기상관 검출부들; 및
    상기 교차상관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둘 이상의 송신기들로부터 송신된 복수개의 전송 식별자 신호들을 식별하고,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들 각각에 상응하는 제거 신호 삽입 레벨들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는 송신기별 TxID 신호 상호 전력비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거 신호 삽입 레벨들은 각각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들 각각에 상응하는 전력 계수; 및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 각각에 상응하는 다중경로 채널들을 고려하기 위한 세부 전력 계수들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장치.
  13.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TxID 제거 신호 삽입 전력 조정부는
    상기 세부 전력 계수들 각각에 상응하는 시간 인덱스에 동기되어 상기 전송 식별자 신호들 중 하나의 상기 다중경로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성분을 상기 동기된 방송 신호로부터 제거하도록 상기 제거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거 신호 삽입 레벨들은
    상기 전력 스펙트럼 측정부에서 측정된 프리앰블 신호 전력, 전송 식별자 신호 전력 및 잡음 전력 스펙트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 신호를 삽입하는 장치.
KR1020190173771A 2019-12-24 2019-12-24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를 삽입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55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771A KR102455280B1 (ko) 2019-12-24 2019-12-24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를 삽입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771A KR102455280B1 (ko) 2019-12-24 2019-12-24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를 삽입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626A true KR20210081626A (ko) 2021-07-02
KR102455280B1 KR102455280B1 (ko) 2022-10-18

Family

ID=76896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771A KR102455280B1 (ko) 2019-12-24 2019-12-24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를 삽입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2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9043A (ko) * 2004-05-12 2005-1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일채널 중계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51446A (ko) * 2006-12-05 2008-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산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9043A (ko) * 2004-05-12 2005-1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일채널 중계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51446A (ko) * 2006-12-05 2008-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산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280B1 (ko)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5460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ducing channel estimation noise in a wireless transceiver
JP4918082B2 (ja) ハイブリッドラジオ波形のアナログ及びデジタル音声を整合する方法
CN110086742A (zh) 用于恢复接收信号中的有效载荷数据的接收器和方法
JP2008532379A (ja) 無線受信機を同期させる方法及び装置
US7616723B2 (en) Method for symbol timing synchronization and apparatus thereof
US201002544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transmitter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CA2342158A1 (en) Adaptive path selection threshold setting for ds-cdma receivers
US20110206137A1 (en) Watermarked based physical layer authentication method of transmitters in ofd communications systems
JP2006211671A (ja) 反復的なプリアンブル信号を有する直交周波数の分割多重伝送方式信号の受信方法
US7570577B2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detecting communication parameter
WO20100815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searching
JP2021521716A (ja) 非協調システムにおける干渉検出および抑制
JP3783078B2 (ja) 粗同期中における早晩テストを用いる受信機の送信機との改善された同期
Lee et al. Transmitter identification signal detection algorithm for ATSC 3.0 single frequency networks
KR102455280B1 (ko)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전송 식별자를 삽입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30031292A (ko) Lte 하향링크에서의 개선된 기지국 셀 동기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1786917B (zh) 信道估计方法、接收机及存储介质
KR101347127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식별 장치 및 방법
JP2008538166A (ja) デジタルテレビ信号の存在を検出する方法及び機器
KR100932332B1 (ko)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9245533A1 (en) Estmating a delay
JP3630581B2 (ja) 拡散変調信号受信装置
JP2006203291A (ja) 受信装置
KR100900151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신호 수신에 대한 신호 중첩도측정장치 및 방법
US7352778B2 (en) Synchronizing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