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543A -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543A
KR20210081543A KR1020190173624A KR20190173624A KR20210081543A KR 20210081543 A KR20210081543 A KR 20210081543A KR 1020190173624 A KR1020190173624 A KR 1020190173624A KR 20190173624 A KR20190173624 A KR 20190173624A KR 20210081543 A KR20210081543 A KR 20210081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gift certificate
seller
general
consu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2768B1 (ko
Inventor
남기원
박길주
Original Assignee
남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원 filed Critical 남기원
Priority to KR1020190173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768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5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 G06Q20/045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the tickets being sent electroni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06Q20/3267In-app pay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액면 고정상품권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발행 액면 이하의 결제 금액에 대해서도 효율적으로 결제할 수 있고, 소비자는 상품권을 이용한 결제 여부를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판매자와 운영사간의 정산 처리를 통해 상품권의 리워드를 그대로 소비자가 누릴 수 있게 되며, 자영업자도 상품권 발행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된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MULTI-PAYMENT SYSTEM USING FIX FACE VALUE GIFT CARD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기존의 액면 고정상품권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발행 액면 이하의 결제 금액에 대해서도 효율적으로 결제할 수 있고, 소비자는 상품권을 이용한 결제 여부를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판매자와 운영사간의 정산 처리를 통해 상품권의 리워드를 그대로 소비자가 누릴 수 있게 되며, 자영업자도 상품권 발행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된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 오프라인 상품권은 물론이고, 전자상품권 등의 모든 상품권은 특정 상품과 교환하기 앞서서 미리 소비자가 구매하여 보유한 상태에서, 차후 어느 한 상품과 교환할 수 있는 교환가치를 갖는 상품권인 바, 이러한 상품권은 소비자가 그 권면에 표시된 금액만큼의 댓가를 이미 지불한 상태지만 실제로는 여러번 분할해서 사용하지도 못하고 심지어는 구매 기간에 제한이 있는 등 소비자의 사용에는 여러 가지 제약이 있어서 불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제약이 상품원 유통 시스템을 활성화시키지 못하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상품권을 발행하는 판매자는 미리 상품대금을 받게 되므로 상당한 매리트가 있지만, 상품권 발행처에서 작은 금액단위의 상품권을 발행하게 되면, 해당 상품권을 결제수단으로 사용할 때 처리해야 하는 리소스가 작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개인 자영업자 등은 상품권 발행 및 유통 시스템을 갖추지도 못하였지만 해당 상품권의 유통을 촉진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마케팅을 수행할 수 없다는 발행업체의 여러 가지 경제적인 문제가 있었다.
한편, 소비자에게는 기존의 오프라인 상품권이 익숙한 바, 갑자기 온라인 상품권을 유통시키는 경우에는 별도의 온라인 상품권에 대한 마케팅은 물론이고, 해당 온라인 상품권의 사용에 대한 별도의 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당한 비용이 온라인 상품권 시스템 구축에 소요되기도 하지만, 소비자에게 익숙해지기 위한 별도의 마케팅과 교육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존의 액면 고정상품권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발행 액면 이하의 결제 금액에 대해서도 효율적으로 결제할 수 있고, 소비자는 상품권을 이용한 결제 여부를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판매자와 운영사간의 정산 처리를 통해 상품권의 리워드를 그대로 소비자가 누릴 수 있게 되며, 자영업자도 상품권 발행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된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라인에서 기발행된 상품권 유통권리를 위임받고, 각 판매자별 상품권의 코드 정보와 발행 액면정보를 등록하는 판매자별 상품권 등록부와; 소비자의 충전금에 연동하여 각 판매자별 상품권과 유통 페이(Pay)를 통해 자동으로 상품 대금이 결제될 수 있도록 페이를 충전관리하는 소비자 충전관리부 및; 각 판매자별 소비자의 매장 진입 또는 결제 요청 트랜잭션에 의해 해당 소비자의 충전 금액으로 결제를 수행하고, 해당 판매자의 상품권으로 1차 결제를 처리하고, 미결제 차액에 대해 페이를 통한 2차 결제를 연속하여 수행하는 자동 결제 및 정산을 수행하는 자동 결제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 판매자가 상품권 결제조건으로 부여한 상품별 할인정보를 등록하는 상품별 할인정보 등록부가 포함되고, 소비자의 특정 판매점 진입시 해당 판매점의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별 할인정보가 해당 판매자의 기발행 상품권의 잔여 여부 및 소비자의 결제금액과 상품권 액면단위를 비교하여 최종 결제금액을 소비자 단말기에 표시되게 하는 결제 금액 재정산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동 결제 처리부는 소비자의 결제금액에 대해, 운영사가 보유한 해당 판매자의 상품권으로 결제하는 1차 결제를 수행하는 상품권 결제 정산부와, 남은 미결 잔액에 대해 페이로 결제하는 페이 결제처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소비자의 결제로 인해 변동되는 판매자의 기등록 상품권 정보를 갱신 처리하는 상품권 등록정보 갱신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판매자별 상품권 등록부는 상품권의 고유 식별코드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 가입 대상 판매자에게 코드를 부여하여, 매장 진입전 소비자가 서비스 가입 대상 판매점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판매자 코드를 관리하는 판매자 코드 관리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 판매자의 상품권을 통한 상품 대금 결제 완료시, 해당 판매자에게 선지급된 상품권 대금이 해당 결제분만큼 자동 상환된 것으로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바람직하게 a) 범용 결제서버가 다수의 판매자로부터 상품권 액면과 코드 정보를 포함한 발행 정보를 수신하고 등록하는 과정과; b) 소비자가 상기 범용 결제서버에서 운영하는 페이에 소정 비용을 충전하는 과정과; c) 상기 범용 결제서버가 판매자 또는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결제 요청 트랜젝션을 수신하는 과정과; d) 상기 범용 결제서버가 해당 판매자의 기등록 상품권과 해당 상품정보 및 결제 금액을 비교하여 최종 결제금액을 재정산하는 과정과; e) 상기 범용 결제서버가 소비자의 결제 요청 트랜젝션에 의해 해당 액면의 상품권으로 1차 결제를 수행하고, 미결 잔액에 대해 페이로 2차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과; f) 해당 결제 내역 및 상품권 정산 내역에 대해 판매자 단말기와 범용 결제서버가 공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과정은 상기 범용 결제서버가 판매자별 상품권 비용을 선입금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b)와 c) 사이에는 소비자의 특정 판매점 진입시, 해당 판매점에 대한 정보 입력 또는 자동 인식을 바탕으로, 해당 판매점의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별 할인정보가 소비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c) 과정은 판매자 단말기 또는 소비자 단말기 또는, 판매자의 결제 단말기를 통해 발생되는 소비자의 상품 구매에 대한 결제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e) 과정은 상기 범용 결제서버가 먼저 해당 결제 요청금액을 페이로 결제하고, 이어서 차후 상품권으로 재정산하는 과정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e) 과정에서 상품 결제금액의 할인은 상품권 결제일 경우에 제한되어 처리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f) 과정은 상기 범용 결제서버와 판매자 단말기가 기사용 상품권에 대한 소멸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f) 과정이후에, 소비자 단말기는 상기 범용 결제서버로부터 해당 상품 결제시 할인된 할인금액 정보 및 페이 잔액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a)과정은 상기 범용 결제서버가 해당 상품권 코드와 매칭되는 QR코드를 생성하여 판매자 단말기와 공유하는 과정인 경우라면, 상기 c) 과정으로,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기를 통해 제시한 QR 코드 스캔을 통해 해당 QR코드의 상품권이 어느 판매자의 상품권인지, 또한 액면이 얼마의 상품권인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범용 결제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이고; 상기 e) 과정으로, 상기 범용 결제서버와 판매자 단말기 및 소비자 단말기가 해당 QR코드의 상품권을 결제용으로 사용하는 처리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은 기존에 유통되는 액면 고정상품권을 통한 결제를 더욱 활성화시키면서 소비자와 판매자의 상호 이익에 부합되게 복합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페이의 새로운 유통 및 결제방식을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판매자는 소정 금액의 상품권 대금을 선지급받음으로 인해 선매출을 발생시킬 수 있고, 재정 건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을 통해 기등록 상품권에 대한 자동 추출과 결제처리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을 통한 상품권 결제와, 기존 오프라인 상품권 결제처리를 각각 비교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범용 결제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을 통해 상품권 및 페이의 자동 결제 및 할인처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을 통해 기등록 상품권에 대한 자동 추출과 결제처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은 기존의 액면 고정상품권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발행 액면 이하의 결제 금액에 대해서도 효율적으로 결제할 수 있고, 소비자는 상품권을 이용한 결제 여부를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판매자와 운영사간의 정산 처리를 통해 상품권의 리워드를 그대로 소비자가 누릴 수 있게 되며, 자영업자도 상품권 발행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된 시스템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은 범용 결제서버(14)를 기반으로 다수의 판매자가 이미 발행중인 고정 액면 상품권 정보 및 리워드 데이터를 등록받고, 다수의 소비자가 유통페이(12)에 충전된 금액으로 특정 판매점에서의 결제를 시도할 때, 해당 판매자가 회원사인 경우 자동으로 해당 판매자가 미리 발행한 고정 액면 상품권(18)을 활용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페이를 통한 선결제후 차후 상기 고정 액면 상품권(18)을 통한 정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소비자는 더 큰 리워드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더 큰 리워드 혜택을 제공받은 소비자는 상기 유통 페이(12)를 이용한 상품 결제 시스템에 대한 충성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회원사로 가입된 판매자들의 상품 판매가 지속적으로 활성화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은 궁극적으로 소비자에게 더 많은 리워드를 제공하여 더 많은 판매자들이 회원사로 가입하는 선순환을 발생시켜 소비자에게 리워드가 더 많이 제공되는 판매자 POOL이 커지게 하기 위함이 있다.
실제 결제시 소비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을 통한 상품권의 구체적인 정산에 대해 인지할 필요는 없다. 다만, 소비자는 해당 판매점이 회원사인지를 인지할 필요가 있다.
즉, 해당 판매점에서 특정 상품을 구매할 때 할인가격을 감산하여 최종 결제금액이 얼마이고, 얼마의 리워드를 제공받았는 지는 인지할 필요가 있고, 그 시점의 판매자와 상기 범용 결제서버(14)간의 상품권 정산에 대해서는 굳이 알 필요가 없다.
소비자는 범용 결제서버(14)를 통해 유통되는 유통페이(12)에 충전하기만 어떠한 인지가 없어도 모든 판매점에서 상품 결제가 가능하고, 다만 어느 판매점을 진입하기 전에 해당 판매점이 회원사인지, 어느 정도의 리워드가 제공되는 지를 자신의 소비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상기 범용 결제서버(14)와 통신하여 얻을 수 있다.
통상 자영업 또는 프랜차이즈 판매점에서 발행한 액면 고정 상품권(18)들은 자신의 매장 또는 프랜차이즈 매장내의 상품 결제에만 제한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호환성과 범용성이 매우 떨어지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은 그러한 액면 고정상품권(18)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유통페이(12)와 함께 결제수단으로 연동되게 하여 범용성과 호환성을 극대화시킨 것이다.
일반적인 액면 고정상품권(18)은 액면 고정 상품권 발행 시스템(2)하에 구성된 공지의 상품권 식별코드 생성부(4)와 식별코드 인쇄부(6)에 의해 액면 고정상품권(18)이 발생된다.
상기 액면 고정상품권(18)은 디지털 상품권일 수 있으며, 또는 오프라인에서 유통되는 지류 상품권일 수도 있다. 만약, 지류 상품권인 경우라면 상기 식별코드 인쇄부(6)가 필요하다.
기존에 유통되는 모든 일반적인 액면 고정상품권(18)은 고유한 식별코드가 존재하는 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을 통해 해당 액면 고정상품권(18)을 유통시키기 위해서는 판매자가 상기 액면 고정상품권(18)을 통한 결제시 상품대금을 어느 정도 할인해줄 것인가에 대한 정보와, 해당 액면 고정상품권(18)의 고유한 식별코드를 상기 범용 결제서버(14)에 등록해야만 한다.
이때, 상기 상품권 식별코드 생성부(4)는 상기 범용 결제서버(14)에 신호 연동되도록 구축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을 통한 결제처리는 액면 고정상품권(18)과 유통페이(12)를 통한 복합 결제이다.
결제 요청 트랜잭션은 소비자 단말기(10) 또는 판매자 단말기(8) 또는 카드 결제단말기(20)를 통해 상기 범용 결제서버(14)가 수신하게 되는 바,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는 해당 판매자가 회원사인지를 판단하고 해당 소비자의 상품 결제대금에 대해 해당 판매자가 기발행한 액면 고정상품권(18)을 조합하며, 액면 고정상품권(18)으로 미결제된 잔액이 얼마인지를 연산하여 해당 잔액은 유통페이(12)로 결제 처리한다.
상기 유통 페이(12)의 경우, 마치 삼성페이나 네이버 페이를 결제수단으로 인정하도록 밴사나 PG사에 등록하면 가맹점 결제단말기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결제 시스템이고, 최종 결제 승인 트랜잭션을 생성시키는 주체는 유통페이(12)를 관리하는 상기 범용 결제서버(14)가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범용 결제서버(14)가 결제 트랜잭션을 생성시키는 주체인 것을 예시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은 더 많은 판매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상기 범용 결제서버(12)는 판매자로부터 상품권 정보를 입력받고 그에 해당하는 금액을 선입금하여 미리 운영사가 구매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당연히, 미래에 유통될 상품권 대금을 미리 상기 범용 결제서버(14)가 판매자에게 지급하게 된 것이므로,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는 리스크가 발생된다.
하지만, 해당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는 각 판매자의 추가 상품권 유통에 대해 통제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리스크는 최소화될 수 있으며, 첫 상품권 유통시에도 제한된 금액만큼만 액면 고정상품권(18)의 유통을 요청하는 것이므로 판매자의 상품권 유통을 통제할 수 있다.
액면 고정상품권(18)과 유통페이(12)의 복합 결제는 예컨대, A 판매점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유통을 위탁한 상품권이 10만원권(18a)과, 5만원권(18b), 1만원권(18c) 및 오천원권(18d)으로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각 상품권마다 고유한 식별번호가 부여되어져 있으며, 소비자의 상품 결제에 각 상품권이 상기 범용 결제서버(14)에 의해 자동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A 판매점에 방문한 제 1소비자의 결제 금액이 63,000원인 경우라면, 상기 범용 결제서버(14)에 미리 등록된 A 판매자의 상품권 정보를 추출하여 자동으로 5만원권과, 1만원권 상품권을 이용하여 결제되게 처리한다.
그러면, 미리 등록된 해당 상품권들의 고유 식별코드인 “A-5-4033”, "A-1-23582"가 사용된 것으로 소멸되고, 미결제 금액인 3,000원은 페이로 결제하여 해당 판매자에게 지급한다.
그리고,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는 해당 소비자의 유통페이(12)에 충전된 총액에서 63,000원을 차감하는 정산을 수행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하게 되면, 판매자들은 미리 발행한 상품권을 소비자가 사용하기도 전에 상기 범용 결제서버(14)의 선입금으로 매출이 발생되게 되므로 광고 수수료보다 더 많은 비용을 소비자에게 할인해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유통페이(12)를 통해 자신들의 개별적인 상품권에 대한 마케팅도 함께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품권에 대한 판매대금을 더 많이 할인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을 통해, 판매자의 판매점에서 판매되는 다수의 상품중, 특정 상품을 다른 상품들보다 더 적극적으로 판매할 수 있다.
예컨대, 판매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을 통해, 주력으로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더 많은 할인율을 적용하여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기(1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매욕구가 더 증가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는 이러한 다수 판매자들의 상품권으로 변환될 수 있는 유통페이(12)를 이용하여 상품 대금을 결제할 수 있는 판매자 정보 및 각 판매자별 상품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판매자 풀(16)이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을 통해, 소비자는 대중적인 인지도가 높은 금융기관의 유통페이(12)에 대해 충전금을 입금하거나 또는 카드 결제를 통해 해당 유통페이(12)에 대한 충전을 수행한 다음, 소비자가 어느 한 판매점에 진입하면 해당 판매점에서 판매하는 상품 정보가 할인정보와 함께 열람 가능하게 제공된다.
특히, 소비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을 통해 판매 상품은 기본적으로 할인판매가 되므로, 소비자는 유통페이(12)에 충전한 금액보다 더 많은 금액을 결제대금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소비 촉진 효과는 더욱 크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은 삼성페이나 또는 카카오 페이와 동일하게, 가맹점의 결제단말기로 결제 가능한 결제수단의 하나로 상기 유통페이(12)를 등록하고, 밴사나 PG사에 해당 유통페이(8)에 관련된 결제 트랜잭션을 중계하도록 하면 간단하게 상기 유통페이(12)를 이용한 상품 대금의 결제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판매자가 선지급받은 상품권 대금과, 실제 상품 판매로 인해 상환되는 대금 정산은 실시간일 필요는 없으며, 일일 또는 일주일 정도의 주기를 갖고 처리하면 충분하다.
다만, 어느 한 소비자가 특정 가맹점의 상품 대금에 대한 결제를 위해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로 결제 요청 트랜잭션을 생성시킨 경우,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는 해당 결제 요청 트랜잭션의 금액 누적분이 해당 가맹점의 발행 상품권이 남아 있는 지를 체크해야 한다.
만약, 해당 결제 요청 트랜잭션의 금액에 대응될 수 있는 해당 가맹점의 기발행 상품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면, 판매자는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로 추가적인 상품권 발행 및 그 상품권 정보 등록을 수행해야만 한다.
이때,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는 각 판매자의 상품권 유통에 대해 통제하고, 그 통제는 해당 판매자의 판매 상황을 다양하게 모니터링하여 차후 추가로 발행되는 유통량, 보다 정확하게는 상품권 유통규모를 통제한다.
한편, 소비자가 비가입 판매자의 매장에 진입하였거나, 비가입 판매자의 결제 단말기로부터 결제 트랜잭션 신호가 유입될 경우에는 상기 범용 결제서버(14)가 상기 소비자 단말기(10)로 리워드 불가정보 즉, 해당 판매점이 회원사가 아님을 화면 출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순히 상기 유통페이(12)를 통해 할인되지 않은 정상 가격의 상품 대금을 결제하면 된다.
이때, 소비자의 매장 진입 여부에 대한 판단은 소비자가 직접 해당 판매자 코드를 입력하거나 또는 근거리 통신수단과 센서를 통해 소비자 단말기의 매장 진입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겠으나, 이는 이미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은 자동으로 소비자가 특정 판매자 매장에 위치하고 있는 지 또는 소비자 스스로 수동으로 해당 판매자를 특정하는 식별정보를 입력하든지, 해당 판매자의 식별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시스템은 기부여한 판매자 코드를 저장 및 관리한다.
소비자의 특정 상품에 대한 상품권 결제가 이루어지면, 소비자의 경우 해당 유통페이(12) 충전금 총액에서 해당 결제금액만큼 차감하고 남은 잔액을 갱신하는 처리를 상기 범용 결제서버(14)가 수행하고, 판매자에 대해서는 총 상품권 발행대금에 대한 미래 상환총액에서 해당 결제금액만큼 차감하여 정산함으로써 해당 결제분만큼 자동 상환되도록 처리한 것과 동일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은 소비자가 유통페이(12) 기반의 상품권으로 특정 판매점에서 결제를 수행하게 되면,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는 해당 판매자에게 선지급된 상품권 대금이 해당 결제분만큼 자동 상환되도록 처리하고 가맹점별 미상환 금액을 관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은 판매자의 결제 단말기를 매개하여 수신한 소비자의 구매 상품코드와, 미리 등록된 상품별 할인정보를 기초로, 소비자가 지불해야하는 최종 결제금액을 연산하고, 결제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바, 바람직하게는 소비자가 특정 판매자의 판매점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특정 판매점에 진입하였을 때, 해당 판매점에서 판매하는 상품 정보 및 할인정보를 소비자 단말기(10)로 열람할 수 있게 제공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을 통한 상품권 결제와, 기존 오프라인 상품권 결제처리를 각각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을 통한 결제처리는 액면 고정상품권(18)과 유통페이(12)를 통한 복합 결제이다.
결제 요청 트랜잭션은 소비자 단말기(10) 또는 판매자 단말기(8) 또는 카드 결제단말기(20)를 통해 상기 범용 결제서버(14)가 수신하게 되는 바,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는 해당 판매자가 회원사인지를 판단하고 해당 소비자의 상품 결제대금에 대해 해당 판매자가 기발행한 액면 고정상품권(18)을 조합하며, 액면 고정상품권(18)으로 미결제된 잔액이 얼마인지를 연산하여 해당 잔액은 유통페이(12)로 결제 처리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은 기존의 오프라인에서 이미 사용되던 상품권(예컨대, 구별을 위해 18B라 함.)과 다른 새로운 상품권을 추가로 발행하는 것이 아니고, 기존의 상품권과 동일한 액면 고정상품권을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하여 범용적인 결제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판매자가 기존의 상품권처럼 발행한 액면 고정상품권(18)중 일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범용 결제서버(14)에 등록함으로써 해당 액면 고정상품권(18)을 유통을 본 발명의 시스템 운영사에 의뢰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판매자가 상기 범용 결제서버(14)에 의뢰한 상품권 외에, 스스로 유통시키는 상품권의 경우 소비자는 기존의 상품권 결제와 동일하게 상품을 구매하고 해당 상품권을 제시하여 결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범용 결제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는 그 내부에, 판매자 단말기(8) 및 소비자 단말기(10) 또는 카드 결제단말기(20)에 대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20)과; 오프라인에서 기발행된 상품권 유통권리를 위임받고, 각 판매자별 상품권의 코드 정보와 발행 액면정보를 등록하는 판매자별 상품권 등록부(24)와; 판매자의 신상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판매자 정보 등록부(22)와; 소비자의 충전금에 연동하여 각 판매자별 상품권(18)과 유통 페이(Pay)(12)를 통해 자동으로 상품 대금이 결제될 수 있도록 페이를 충전관리하는 소비자 충전관리부(28) 및; 각 판매자별 소비자의 매장 진입 또는 결제 요청 트랜잭션에 의해 해당 소비자의 충전 금액으로 결제를 수행하고, 해당 판매자의 상품권(18)으로 1차 결제를 처리하고, 미결제 차액에 대해 페이(12)를 통한 2차 결제를 연속하여 수행하는 자동 결제 및 정산을 수행하는 자동 결제처리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판매자별 상품권 등록부(24)는 상품권(18)의 고유 식별코드를 등록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는 그 내부에, 상기 각 판매자가 상품권 결제조건으로 부여한 상품별 할인정보를 등록하는 상품별 할인정보 등록부(26)가 포함되고, 소비자의 특정 판매점 진입시 해당 판매점의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별 할인정보가 해당 판매자의 기발행 상품권의 잔여 여부 및 소비자의 결제금액과 상품권 액면단위를 비교하여 최종 결제금액을 소비자 단말기에 표시되게 하는 결제 금액 재정산부(36)가 포함된다.
또, 상기 자동 결제 처리부(32)는 소비자의 결제금액에 대해, 운영사가 보유한 해당 판매자의 상품권(18)으로 결제하는 1차 결제를 수행하는 상품권 결제 정산부(38)와, 남은 미결 잔액에 대해 페이로 결제하는 페이 결제처리부(34)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는 그 내부에, 소비자의 결제로 인해 변동되는 판매자의 기등록 상품권 정보를 갱신 처리하는 상품권 등록정보 갱신부(40)가 더 포함된다.
한편,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는 그 내부에, 상기 서비스 가입 대상 판매자에게 코드를 부여하여, 매장 진입전 소비자가 서비스 가입 대상 판매점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판매자 코드를 관리하는 판매자 코드 관리부(3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상품권 결제정산부(38)는 상기 각 판매자의 상품권을 통한 상품 대금 결제 완료시, 해당 판매자에게 선지급된 상품권 대금이 해당 결제분만큼 자동 상환된 것으로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또,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는 그 내부에, 앞서 설명한 구성들을 제어하여 상품권과 페이를 이용한 상품 대금에 대한 복합 결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2)가 포함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을 통해 상품권 및 페이의 자동 결제 및 할인처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는 다수의 판매자로부터 상품권 액면과 코드 정보를 포함한 발행 정보를 수신하고 등록한다. 상품권을 상기 범용 결제서버(14)에 등록하는 것은 상품권 유통 위탁을 요청한 회원사로 등록하는 것이다.
이때, 상품권 코드를 상기 범용 결제서버(14)에 등록함으로서 회원사가 된 경우, 해당 상품권의 액면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기 범용 결제서버(14)가 선입금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품권 선입금 시스템으로 인해 더 많은 판매자가 회원사로 가입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소비자는 상기 범용 결제서버(14)에서 운영하는 유통페이(12)에 소정 비용을 충전할 수 있는 바, 해당 유통페이(12)를 통해 회원사에서 결제를 수행할 때 상품권에 대한 기본 할인과, 특정 상품에 대한 할인율 증대로 전략 상품에 대해서는 더 큰 리워드를 줄 수 있는 원리를 적용하여 비록 소비자가 결제시 해당 판매자의 액면 고정상품권(18)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였다 하여도 큰 리워드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소비자의 대금 결제는 상기 범용 결제서버(14)가 유통페이(18)를 통해 처리한다.
이때, 바람직하게 소비자의 특정 판매점 진입시, 해당 판매점에 대한 정보 입력 또는 자동 인식을 바탕으로, 해당 판매점의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별 할인정보가 소비자 단말기(10)에 표시된다.
소비자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10)를 통해 화면 출력되는 해당 판매점의 상품중 특정 상품에 대해 상기 소비자 단말기(10)를 통해 결제 요청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상기 판매자 단말기(8) 또는 카드 결제단말기(20)를 통해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로 결제 요청 트랜젝션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는 소비자의 상품 구매에 대한 결제 트랜잭션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는 해당 판매자의 기등록 상품권과 해당 상품정보 및 결제 금액을 비교하여 최종 결제금액을 재정산하는 바,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는 소비자의 결제 요청 트랜젝션에 의해 해당 액면의 상품권으로 1차 결제를 수행하고, 미결 잔액에 대해 페이로 2차 결제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범용 결제서버(14)가 먼저 해당 결제 요청금액을 페이로 결제하고, 이어서 차후 상품권으로 재정산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또한, 본 시스템에서, 상품 결제금액의 할인은 상품권 결제일 경우에 제한되어 처리되는 바, 물론 현금 결제시에도 할인해주는 경우라면 예외이다.
다음으로, 해당 결제 내역 및 상품권 정산 내역에 대해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는 판매자 단말기(8)로 제공하여 공유한다.
또한, 상기 범용 결제서버(14)와 판매자 단말기(8)가 기사용 상품권에 대한 소멸정보를 공유한다.
그러면, 판매자는 어느 상품에 대해서 어느 소비자가 얼마의 할인을 받아서 구매하였으며, 어느 식별코드의 상품권이 해당 결제 트랜젝션 실행으로 소멸되었는 지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는 소비자 단말기(10)로 해당 상품 결제시 할인된 할인금액 정보 및 페이 잔액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상기 범용 결제서버(14)가 해당 상품권 코드와 매칭되는 QR코드를 생성하여 판매자 단말기(8)와 공유하는 경우라면,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기(10)를 통해 제시한 QR 코드 스캔을 통해 해당 QR코드의 상품권이 어느 판매자의 상품권인지, 또한 액면이 얼마의 상품권인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범용 결제서버(14)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범용 결제서버(14)와 판매자 단말기(8) 및 소비자 단말기(10)가 해당 QR코드의 상품권을 결제용으로 사용하는 처리정보를 공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2:액면고정 상품권 발행시스템, 4:상품권 식별코드 생성부,
8:판매자 단말기, 10:소비자 단말기,
12:유통페이, 14:범용 결제서버,
16:회원사 POOL, 18:액면 고정상품권,
24:판매자별 상품권 등록부, 32:자동결제 처리부.

Claims (16)

  1. 오프라인에서 기발행된 상품권 유통권리를 위임받고, 각 판매자별 상품권의 코드 정보와 발행 액면정보를 등록하는 판매자별 상품권 등록부와;
    소비자의 충전금에 연동하여 각 판매자별 상품권과 유통 페이(Pay)를 통해 자동으로 상품 대금이 결제될 수 있도록 페이를 충전관리하는 소비자 충전관리부 및;
    각 판매자별 소비자의 매장 진입 또는 결제 요청 트랜잭션에 의해 해당 소비자의 충전 금액으로 결제를 수행하고, 해당 판매자의 상품권으로 1차 결제를 처리하고, 미결제 차액에 대해 페이를 통한 2차 결제를 연속하여 수행하는 자동 결제 및 정산을 수행하는 자동 결제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판매자가 상품권 결제조건으로 부여한 상품별 할인정보를 등록하는 상품별 할인정보 등록부가 포함되고, 소비자의 특정 판매점 진입시 해당 판매점의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별 할인정보가 해당 판매자의 기발행 상품권의 잔여 여부 및 소비자의 결제금액과 상품권 액면단위를 비교하여 최종 결제금액을 소비자 단말기에 표시되게 하는 결제 금액 재정산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결제 처리부는 소비자의 결제금액에 대해, 운영사가 보유한 해당 판매자의 상품권으로 결제하는 1차 결제를 수행하는 상품권 결제 정산부와, 남은 미결 잔액에 대해 페이로 결제하는 페이 결제처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소비자의 결제로 인해 변동되는 판매자의 기등록 상품권 정보를 갱신 처리하는 상품권 등록정보 갱신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별 상품권 등록부는 상품권의 고유 식별코드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입 대상 판매자에게 코드를 부여하여, 매장 진입전 소비자가 서비스 가입 대상 판매점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판매자 코드를 관리하는 판매자 코드 관리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판매자의 상품권을 통한 상품 대금 결제 완료시, 해당 판매자에게 선지급된 상품권 대금이 해당 결제분만큼 자동 상환된 것으로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
  8. a) 범용 결제서버가 다수의 판매자로부터 상품권 액면과 코드 정보를 포함한 발행 정보를 수신하고 등록하는 과정과;
    b) 소비자가 상기 범용 결제서버에서 운영하는 페이에 소정 비용을 충전하는 과정과;
    c) 상기 범용 결제서버가 판매자 또는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결제 요청 트랜젝션을 수신하는 과정과;
    d) 상기 범용 결제서버가 해당 판매자의 기등록 상품권과 해당 상품정보 및 결제 금액을 비교하여 최종 결제금액을 재정산하는 과정과;
    e) 상기 범용 결제서버가 소비자의 결제 요청 트랜젝션에 의해 해당 액면의 상품권으로 1차 결제를 수행하고, 미결 잔액에 대해 페이로 2차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과;
    f) 해당 결제 내역 및 상품권 정산 내역에 대해 판매자 단말기와 범용 결제서버가 공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a) 과정은 상기 범용 결제서버가 판매자별 상품권 비용을 선입금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와 c) 사이에는 소비자의 특정 판매점 진입시, 해당 판매점에 대한 정보 입력 또는 자동 인식을 바탕으로, 해당 판매점의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별 할인정보가 소비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과정은 판매자 단말기 또는 소비자 단말기 또는, 판매자의 결제 단말기를 통해 발생되는 소비자의 상품 구매에 대한 결제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 과정은 상기 범용 결제서버가 먼저 해당 결제 요청금액을 페이로 결제하고, 이어서 차후 상품권으로 재정산하는 과정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 과정에서 상품 결제금액의 할인은 상품권 결제일 경우에 제한되어 처리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f) 과정은 상기 범용 결제서버와 판매자 단말기가 기사용 상품권에 대한 소멸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f) 과정이후에, 소비자 단말기는 상기 범용 결제서버로부터 해당 상품 결제시 할인된 할인금액 정보 및 페이 잔액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과정은 상기 범용 결제서버가 해당 상품권 코드와 매칭되는 QR코드를 생성하여 판매자 단말기와 공유하는 과정인 경우라면,
    상기 c) 과정으로,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기를 통해 제시한 QR 코드 스캔을 통해 해당 QR코드의 상품권이 어느 판매자의 상품권인지, 또한 액면이 얼마의 상품권인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범용 결제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이고;
    상기 e) 과정으로, 상기 범용 결제서버와 판매자 단말기 및 소비자 단말기가 해당 QR코드의 상품권을 결제용으로 사용하는 처리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방법.
KR1020190173624A 2019-12-24 2019-12-24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52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624A KR102352768B1 (ko) 2019-12-24 2019-12-24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624A KR102352768B1 (ko) 2019-12-24 2019-12-24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543A true KR20210081543A (ko) 2021-07-02
KR102352768B1 KR102352768B1 (ko) 2022-01-18

Family

ID=7689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624A KR102352768B1 (ko) 2019-12-24 2019-12-24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7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807A (ko) * 2002-07-23 2004-01-31 구미영 직불카드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카드상품권 운용 방법
KR20100009971A (ko) * 2008-07-21 2010-01-29 최상혁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용 카드 및 상품권 결제 시스템및 방법
KR20120087304A (ko) * 2010-12-31 2012-08-07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충당부채 인수 기반의 포인트 교환 서버와 그 방법
KR20150055651A (ko) * 2013-11-13 2015-05-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매장 출입 정보 기반의 쿠폰 관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807A (ko) * 2002-07-23 2004-01-31 구미영 직불카드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카드상품권 운용 방법
KR20100009971A (ko) * 2008-07-21 2010-01-29 최상혁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용 카드 및 상품권 결제 시스템및 방법
KR20120087304A (ko) * 2010-12-31 2012-08-07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충당부채 인수 기반의 포인트 교환 서버와 그 방법
KR20150055651A (ko) * 2013-11-13 2015-05-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매장 출입 정보 기반의 쿠폰 관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768B1 (ko)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9136B2 (en)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credit
JP7391402B2 (ja) 暗号通貨を活かした電子金融取引システム
JP6616529B2 (ja) オープンマーケット上の電子商取引において決済後のランダム追加割引を提供する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1487492B1 (ko) 소셜 경매방식을 통한 온라인 판매 시스템
KR102094101B1 (ko) 연동형 디지털화폐 시스템 및 그 방법, 전용 디지털화폐와 연동되는 전자지갑 간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2486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refundable taxes
CN104040572A (zh) 支付网络中的优惠管理和结算
GB2525920A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refundable taxes
KR102352766B1 (ko) 상품권 관리 플랫폼용 결제시스템 및 그 결제 처리방법
KR20190016014A (ko) 뷰티/헬스/라이프 m2m iot 공유스마트 m2m iot 통합판매결제고객관리 플랫폼 시스템
WO2011046469A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роведения транзакций
KR20110123107A (ko) 약정식 구매 상품권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JP5876942B2 (ja) 参加者支援型オークション方式を用いたイベント販売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2352768B1 (ko) 액면고정 상품권을 이용한 범용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08229A (ko) 청구금액 분할 결제 방법
KR102027728B1 (ko) 기능성 디지털화폐 시스템, 기능성 디지털화폐를 위한 전자지갑시스템, 기능성 디지털화폐 발행, 유통 및 사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23947A (ko)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자상품권 관리 시스템 및 그관리방법
KR102363594B1 (ko) 페이 기반 통합 상품권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2469B1 (ko) 창업 카드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1082069B1 (ko) 공동구매 할인상품 구매시 결제 서비스 서버를 통한 클라이언트의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소셜커머스 활성화를 위한 영업 방법 및 시스템
KR102352767B1 (ko) 상품권 통합 유통 플랫폼 연동 대출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264514A1 (en) Method and system of creating and marketing stored value
KR102066341B1 (ko) 전자화폐의 신용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94477A (ko) 결제대금 입금 시점을 개선하는 오프라인 전자 상품권 결제 방법 및 장치
WO2013109067A1 (ko) 소셜 경매방식을 통한 이벤트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