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0906A - 전력 증폭 모듈 - Google Patents

전력 증폭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0906A
KR20210080906A KR1020190172976A KR20190172976A KR20210080906A KR 20210080906 A KR20210080906 A KR 20210080906A KR 1020190172976 A KR1020190172976 A KR 1020190172976A KR 20190172976 A KR20190172976 A KR 20190172976A KR 20210080906 A KR20210080906 A KR 20210080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as
sub
current
transisto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수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2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0906A/ko
Priority to US16/855,408 priority patent/US11271531B2/en
Priority to CN202010587109.5A priority patent/CN113098414A/zh
Publication of KR20210080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bipolar transist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03F3/245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33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output signal, e.g. bootstrapping the voltage supp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2Circuit arrangements for protecting su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6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1Bias resistors are added at the input of an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47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protected to temperature influe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은,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증폭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에 바이어스 전류를 제공하는 바이어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에 서브 바이어스 전류를 제공하는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바이어스부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및 상기 바이어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 각각에 제어 전류를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바이어스 전류에 따라 상기 제어 전류를 가변하고, 상기 서브 바이어스 전류의 레벨은 상기 바이어스 전류의 레벨 보다 낮을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증폭 모듈{POWER AMPLIFIER MODULE}
본 발명은 전력 증폭 모듈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에 송신하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 모듈을 채용하고 있다. 전력 증폭 모듈은 RF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증폭기의 바이어스 포인트를 제어하는 바이어스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부하 임피던스의 변동, 배터리 전압의 변동 등에 따라, 증폭된 RF 신호의 전력이 안테나 스위치의 내압을 초과하면, 안테나 스위치를 구성하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전류 누설에 의해, 증폭된 RF 신호의 전력이 강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검출되는 바이어스 전류에 따라,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제한할 수 있는 전력 증폭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은,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증폭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에 바이어스 전류를 제공하는 바이어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에 서브 바이어스 전류를 제공하는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바이어스부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및 상기 바이어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 각각에 제어 전류를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바이어스 전류에 따라 상기 제어 전류를 가변하고, 상기 서브 바이어스 전류의 레벨은 상기 바이어스 전류의 레벨 보다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되는 바이어스 전류에 따라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제한하여, 안테나 스위치를 구성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을 상세히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을 상세히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 예로,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력 증폭 모듈(10)은 전력 증폭기(10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전력 증폭기(100)는 입력단(IN)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RFin)를 제어 전류(Icon)에 따라 증폭하여, 출력 신호(RFout)를 생성하고, 생성된 출력 신호(RFout)를 출력단(OUT)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전력 증폭기(100)는 입력 신호(RFin)의 전력을 기지국에 송신하기 위해 필요한 레벨까지 증폭하여, 출력 신호(RFout)를 출력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100)의 출력단(OUT)은 소정의 안테나와 연결되어, 출력 신호(RFout)는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될 수 있다.
전력 증폭기(100)는 소정의 단자로부터, 제1 구동 전압(Vcc), 및 제2 구동 전압(Vbat)을 공급받아서, 구동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1 구동 전압(Vcc), 및 제2 구동 전압(Vbat)을 공급하는 단자를 각각 제1 구동 전압(Vcc) 단자, 및 제2 구동 전압(Vbat) 단자로 지칭하도록 한다.
전력 증폭기(100)는 입력 신호(RFin)를 증폭하는 증폭부(110) 및 제어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전류(Icon)에 따라, 바이어스 전류(Ibias)를 생성하고, 생성된 바이어스 전류(Ibias)를 증폭부(110)로 제공하는 바이어스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부(110)는 제1 구동 전압(Vcc) 단자와 연결되고, 바이어스부(120)는 제2 구동 전압(Vbat)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 전력 증폭기(100)가 하나의 증폭부(11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전력 증폭기(100)는 다단 접속된 복수의 증폭부(110)를 포함할 수 있고, 다단 접속된 복수의 증폭부(110)는 입력 신호(RFin)를 순차적으로 증폭하여, 출력 신호(RFin)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다단 접속된 복수의 증폭부(110) 사이에는 정합 회로가 마련되어, 전단의 증폭부와 후단의 증폭부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력 증폭기(100)의 입력단(IN)의 전단에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베이스 밴드 IC 및 베이스 밴드 신호를 입력 신호(RFin)로 변조하는 RF IC가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밴드 IC는 사전에 결정된 통신방식에 따라, 통신 정보의 부호화 및 변조를 행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에 의해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RF IC는 베이스 밴드 신호에 중첩된 정보에 따라 반송파를 변조하여 입력 신호(RFin)를 생성한다.
제어부(200)는 전력 증폭기(100)에 제어 전류(Icon)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전력 증폭기(100)에 제공되는 제어 전류(Icon)를 바이어스 전류(Ibias)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을 상세히 나타낸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증폭기(100)는 증폭부(110) 및 바이어스부(120)를 포함한다.
증폭부(110)는 바이어스부(120)로부터 제공되는 바이어스 전류(Ibias)에 따라, 입력단(IN)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RFin)를 증폭하여, 출력 신호(RFout)를 생성하고, 생성된 출력 신호(RFout)를 출력단(OUT)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증폭부(110)는 이미터 접지 방식의 증폭 트랜지스터(PTR)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베이스는 입력단(IN)과 연결되어,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베이스에는 입력 신호(RFin)가 입력된다. 실시예에 따라,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베이스는 소정의 커패시터를 통해, 입력단(IN)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베이스는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의 이미터에 접속되어, 바이어스 전류(Ibias)가 입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베이스는 소정의 밸러스트 저항(R)을 통해,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의 이미터에 접속될 수 있다.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콜렉터는 출력단(OUT)과 연결되어, 출력 신호(RFout)를 출력한다. 실시예에 따라,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콜렉터는 소정의 커패시터를 통해, 출력단(OUT)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콜렉터는 제1 구동 전압(Vcc) 단자에 접속된다. 실시예에 따라,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콜렉터는 소정의 인덕터를 통해, 제1 구동 전압(Vcc) 단자에 접속된다.
증폭 트랜지스터(PTR)는 바이어스 전류(Ibias)에 따라, 입력단(IN)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RFin)를 증폭하여, 출력단(OUT)을 통해 출력 신호(RFout)를 출력할 수 있다.
바이어스부(120)는, 바이어스 전류 생성부(121), 및 온도 보상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어스 전류 생성부(121)는 제어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전류(Icon)에 따라 바이어스 전류(Ibias)를 생성하여, 증폭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바이어스 전류 생성부(121)는 제어 전류(Icon)에 따라 바이어스 전류(Ibias)를 생성하는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의 베이스는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의 베이스에는 제어 전류(Icon)가 입력된다.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의 콜렉터는 제2 구동 전압(Vbat) 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의 이미터는 소정의 밸러스트 저항(R)을 통해,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바이어스 전류(Ibias)를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와 이미터 간의 전압을 일정하게 증폭 트랜지스터(PTR)를 구동하면 온도 상승에 따라 콜렉터 전류가 증가한다. 콜렉터 전류의 증가에 의해, 소비 전력이 증가하면,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온도가 상승하고, 이에 의해, 콜렉터 전류가 더욱 증가하는 열폭주 현상이 발생한다.
상술한 열폭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의 베이스와 접지 사이에는 온도 보상부(122)가 마련될 수 있다.
온도 보상부(122)는 직렬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D1, D2)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보상부(122)의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D1, D2)는 제어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전류(Icon)에 따라, 온도 보상 전압을 생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D1, D2)의 온도 보상 전압은 온도 상승에 따라 하강하므로,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의 베이스 전압은 온도 상승에 따라 하강한다. 이에 의해,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열폭주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D1, D2) 각각은 다이오드 결선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 결선 트랜지스터 각각은 콜렉터와 베이스가 연결되는 형태로 결선될 수 있다.
한편, 출력단(OUT)에 연결되는 부하 임피던스의 변동, 배터리 전압의 변동 등에 따라, 출력 신호(RFout)의 전력이 안테나 스위치의 내압을 초과하면, 안테나 스위치를 구성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전류 누설에 의해, 출력 신호(RFout)의 전력이 강하되고, 안테나 스위치의 내압을 초과하는 출력 신호(RFout)에 의해, 안테나 스위치가 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10)의 제어부(200)는 바이어스 전류(Ibias)를 검출하고, 검출된 바이어스 전류(Ibias)에 따라 제어 전류(Icon)를 가변하여, 전력 증폭기(100)의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검출 전압 출력부(210), 전류 레벨 결정부(220), 및 제어 전류 생성부(230)를 포함한다.
검출 전압 출력부(210)는 바이어스 전류의 경로에 배치되는 검출 저항(Rsen)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 저항(Rsen)은 제2 구동 전압(Vbat) 단자와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의 콜렉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의 턴 온 동작시, 제2 구동 전압(Vbat) 단자와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의 콜렉터 사이에 연결되는 검출 저항(Rsen)에는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의 콜렉터로부터 이미터로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Ibias)가 인가된다.
검출 전압 출력부(210)는 바이어스 전류(Ibias)가 인가되는 검출 저항(Rsen) 양 단에서, 검출 전압(Vsen)을 출력할 수 있다.
전류 레벨 결정부(220)는 검출 전압(Vsen)에 따라 바이어스 전류(Ibias)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전류 레벨 결정부(220)는 검출 전압(Vsen)의 레벨과 바이어스 전류(Ibias)의 레벨에 대한 룩 업 테이블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검출 전압(Vsen)의 레벨에 따라 바이어스 전류(Ibias)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전류 생성부(230)는 전류 레벨 결정부(220)에서 결정되는 바이어스 전류(Ibias)의 레벨에 따라, 제어 전류(Icon)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전류 생성부(230)는 바이어스 전류(Ibias)의 레벨의 변동에 대응하여, 제어 전류(Icon)의 레벨을 가변할 수 있다. 제어 전류 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전류(Icon)에 따라, 바이어스 전류(Ibias)가 변경되어, 전력 증폭기(100)의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10)은 바이어스 전류(Ibias)에 따라, 제어 전류(Icon)를 가변하여, 전력 증폭기(100)로부터 출력을 제한할 수 있으나, 검출 저항(Rsen)에 의한 제2 구동 전압(Vbat)의 전압 강하로 인하여, 전력 증폭기(100)의 증폭 효율이 열화되는 문제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을 상세히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력 증폭 모듈(10)은 전력 증폭기(10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전력 증폭기(100)는 입력단(IN)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RFin)를 제어 전류(Icon)에 따라 증폭하여, 출력 신호(RFout)를 생성하고, 생성된 출력 신호(RFout)를 출력단(OUT)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전력 증폭기(100)는 입력 신호(RFin)의 전력을 기지국에 송신하기 위해 필요한 레벨까지 증폭하여, 출력 신호(RFout)를 출력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100)의 출력단(OUT)은 소정의 안테나와 연결되어, 출력 신호(RFout)는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될 수 있다.
전력 증폭기(100)는 소정의 단자로부터, 제1 구동 전압(Vcc), 제2 구동 전압(Vbat), 및 제3 구동 전압(Vldo)을 공급받아서, 구동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1 구동 전압(Vcc), 제2 구동 전압(Vbat), 및 제3 구동 전압(Vldo)을 공급하는 단자를 각각 제1 구동 전압(Vcc) 단자, 제2 구동 전압(Vbat) 단자, 및 제3 구동 전압(Vldo) 단자로 지칭하도록 한다.
전력 증폭기(100)는 입력 신호(RFin)를 증폭하는 증폭부(110) 및 제어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전류(Icon)에 따라, 바이어스 전류(Ibias)를 생성하고, 생성된 바이어스 전류(Ibias)를 증폭부(110)로 제공하는 바이어스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부(110)는 제1 구동 전압(Vcc) 단자와 연결되고, 바이어스부(120)는 제2 구동 전압(Vbat) 단자, 및 제3 구동 전압(Vldo)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서, 전력 증폭기(100)가 하나의 증폭부(11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전력 증폭기(100)는 다단 접속된 복수의 증폭부(110)를 포함할 수 있고, 다단 접속된 복수의 증폭부(110)는 입력 신호(RFin)를 순차적으로 증폭하여, 출력 신호(RFin)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다단 접속된 복수의 증폭부(110) 사이에는 정합 회로가 마련되어, 전단의 증폭부와 후단의 증폭부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전력 증폭기(100)에 제어 전류(Icon)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전력 증폭기(100)에 제공되는 제어 전류(Icon)를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력 증폭기(100)는 증폭부(110), 및 바이어스부(120)를 포함한다.
증폭부(110)는 바이어스부(120)로부터 제공되는 바이어스 전류(Ibias) 및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에 따라, 입력단(IN)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RFin)를 증폭하여, 출력 신호(RFout)를 생성하고, 생성된 출력 신호(RFout)를 출력단(OUT)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증폭부(110)는 이미터 접지 방식의 증폭 트랜지스터(PTR)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베이스는 입력단(IN)과 연결되어, 입력 신호(RFin)가 입력된다. 실시예에 따라,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베이스는 소정의 커패시터를 통해, 입력단(IN)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베이스는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 및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SBTR)의 이미터에 접속되어,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베이스에는 바이어스 전류(Ibias) 및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가 입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베이스는 소정의 밸러스트 저항(R)을 통해,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의 이미터 및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SBTR)의 이미터에 접속될 수 있다.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콜렉터는 출력단(OUT)과 연결되어, 출력 신호(RFout)를 출력한다. 실시예에 따라,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콜렉터는 소정의 커패시터를 통해, 출력단(OUT)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콜렉터는 제1 구동 전압(Vcc) 단자에 접속된다. 실시예에 따라,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콜렉터는 소정의 인덕터를 통해, 제1 구동 전압(Vcc) 단자에 접속된다.
증폭 트랜지스터(PTR)는 바이어스 전류(Ibias) 및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에 따라, 입력단(IN)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RFin)를 증폭하여, 출력단(OUT)을 통해 출력 신호(RFout)를 출력할 수 있다.
바이어스부(120)는 바이어스 전류 생성부(121), 온도 보상부(122), 및 서브 바이어스 전류 생성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어스 전류 생성부(121)는 제어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전류(Icon)에 따라 바이어스 전류(Ibias)를 생성하여, 증폭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바이어스 전류 생성부(121)는 제어 전류(Icon)에 따라 바이어스 전류(Ibias)를 생성하는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의 베이스는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의 베이스에는 제어 전류(Icon)가 입력된다.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의 콜렉터는 제2 구동 전압(Vbat) 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의 이미터는 소정의 밸러스트 저항(R)을 통해,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바이어스 전류(Ibias)를 제공할 수 있다.
서브 바이어스 전류 생성부(123)는 제어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전류(Icon)에 따라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를 생성하여, 증폭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브 바이어스 전류 생성부(123)는 제어 전류(Icon)에 따라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를 생성하는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SBTR)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SBTR)의 베이스는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SBTR)의 베이스에는 제어 전류(Icon)가 입력된다.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SBTR)의 콜렉터는 제3 구동 전압(Vldo) 단자에 접속된다.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SBTR)의 이미터는 소정의 밸러스트 저항(R)을 통해,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를 제공할 수 있다.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의 베이스와 접지 사이에는 온도 보상부(122)가 마련될 수 있다.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SBTR)의 베이스는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의 베이스와 연결되어, 온도 보상부(122)는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SBTR)의 베이스와 접지 사이에도,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온도 보상부(122)는 직렬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D1, D2)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보상부(122)의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D1, D2)는 제어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전류(Icon)에 따라, 온도 보상 전압을 생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D1, D2)의 온도 보상 전압은 온도 상승에 따라 하강하므로, 바이어스 트랜지스터(BTR)의 베이스 전압, 및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SBTR)의 베이스 전압은 온도 상승에 따라 하강한다. 이에 의해, 증폭 트랜지스터(PTR)의 열폭주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D1, D2) 각각은 다이오드 결선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 결선 트랜지스터 각각은 콜렉터와 베이스가 연결되는 형태로 결선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를 검출하고, 검출된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에 따라 제어 전류(Icon)를 가변하여, 전력 증폭기(100)의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바이어스 전류(ISbias)를 검출하고, 검출된 바이어스 전류(Ibias)에 따라 제어 전류(Icon)를 가변하는데 비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를 검출하고, 검출된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에 따라 제어 전류(Icon)를 가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구동 전압(Vldo)의 레벨은 제2 구동 전압(Vbat)의 레벨 보다 낮을 수 있다. 제3 구동 전압(Vldo)의 레벨은 제2 구동 전압(Vbat)의 레벨 보다 낮으므로, 제3 구동 전압(Vldo)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의 레벨은, 제2 구동 전압(Vbat)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바이어스 전류(Ibias)의 레벨 보다 낮을 수 있다.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의 레벨이 바이어스 전류(Ibias)의 레벨 보다 낮으므로, 검출 저항(Rsen)에 의한 제3 구동 전압(Vldo)의 전압 강하는 검출 저항(Rsen)에 의한 제2 구동 전압(Vbat)의 전압 강하 보다 낮을 수 있고, 이로써,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10)에 비하여, 증폭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출력단(OUT)에 연결되는 부하 임피던스의 변동 등에 따라,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의 레벨이 변화하는 경우, 바이어스 전류(Sbias)의 레벨 또한 공통으로 변화하므로,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를 검출하는 경우, 바이어스 전류(Ibais)를 검출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검출 전압 출력부(210), 전류 레벨 결정부(220), 및 제어 전류 생성부(230)를 포함한다.
검출 전압 출력부(210)는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의 경로에 배치되는 검출 저항(Rsen)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 저항(Rsen)은 제3 구동 전압(Vldo) 단자와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SBTR)의 콜렉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SBTR)의 턴 온 동작시, 제3 구동 전압(Vldo) 단자와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SBTR)의 콜렉터 사이에 연결되는 검출 저항(Rsen)에는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SBTR)의 콜렉터로부터 이미터로 흐르는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가 인가될 수 있다.
검출 전압 출력부(210)는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가 인가되는 검출 저항(Rsen) 양 단에서, 검출 전압(Vsen)을 출력할 수 있다.
전류 레벨 결정부(220)는 검출 전압(Vsen)에 따라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전류 레벨 결정부(220)는 검출 전압(Vsen)의 레벨과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의 레벨에 대한 룩 업 테이블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검출 전압(Vsen)의 레벨에 따라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전류 생성부(230)는 전류 레벨 결정부(220)에서 결정되는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의 레벨에 따라, 제어 전류(Icon)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전류 생성부(230)는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의 레벨의 변동에 대응하여, 제어 전류(Icon)의 레벨을 가변할 수 있다. 제어 전류 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전류(Icon)에 따라, 바이어스 전류(Ibias) 및 서브 바이어스 전류(ISbias)가 변경되어, 전력 증폭기(100)의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전력 증폭 모듈
100: 전력 증폭기
110: 증폭부
120: 바이어스부
121: 바이어스 전류 생성부
122: 온도 보상부
123: 서브 바이어스 전류 생성부
200: 컨트롤러
210: 검출 전압 출력부
220: 전류 레벨 결정부
230: 제어 전류 생성부

Claims (16)

  1.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증폭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에 바이어스 전류를 제공하는 바이어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에 서브 바이어스 전류를 제공하는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바이어스부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및
    상기 바이어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에 제어 전류를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바이어스 전류에 따라 상기 제어 전류를 가변하고, 상기 서브 바이어스 전류의 레벨은 상기 바이어스 전류의 레벨 보다 낮은 전력 증폭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바이어스 전류의 경로에 배치되는 검출 저항을 포함하여, 상기 검출 저항의 양 단에서 검출 전압을 출력하는 검출 전압 출력부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저항은,
    상기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의 구동 전압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전력 증폭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 전압의 레벨에 따라 상기 서브 바이어스 전류의 레벨을 결정하는 전류 레벨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 증폭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레벨 결정부는,
    상기 검출 전압의 레벨과 서브 바이어스 전류의 레벨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바이어스 전류의 레벨에 따라 상기 제어 전류를 생성하는 제어 전류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 증폭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는,
    상기 제어 전류에 따라 온도 보상 전압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는,
    콜렉터와 베이스가 연결되는 형태로 결선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 모듈.
  9.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증폭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에 바이어스 전류를 제공하는 바이어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에 서브 바이어스 전류를 제공하는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바이어스부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및
    상기 바이어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에 제어 전류를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바이어스 전류에 따라 상기 제어 전류를 가변하고, 상기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에 제공되는 제1 구동 전압의 레벨은 상기 바이어스 트랜지스터에 제공되는 제2 구동 전압의 레벨 보다 낮은 전력 증폭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바이어스 전류의 경로에 배치되는 검출 저항을 포함하여, 상기 검출 저항의 양 단에서 검출 전압을 출력하는 검출 전압 출력부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저항은,
    상기 서브 바이어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구동 전압의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전력 증폭 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 전압의 레벨에 따라 상기 서브 바이어스 전류의 레벨을 결정하는 전류 레벨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 증폭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레벨 결정부는,
    상기 검출 전압의 레벨과 서브 바이어스 전류의 레벨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 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바이어스 전류의 레벨에 따라 상기 제어 전류를 생성하는 제어 전류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 증폭 모듈.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는,
    상기 제어 전류에 따라 온도 보상 전압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는,
    콜렉터와 베이스가 연결되는 형태로 결선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 모듈.
KR1020190172976A 2019-12-23 2019-12-23 전력 증폭 모듈 KR20210080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976A KR20210080906A (ko) 2019-12-23 2019-12-23 전력 증폭 모듈
US16/855,408 US11271531B2 (en) 2019-12-23 2020-04-22 Power amplifier module
CN202010587109.5A CN113098414A (zh) 2019-12-23 2020-06-24 功率放大器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976A KR20210080906A (ko) 2019-12-23 2019-12-23 전력 증폭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906A true KR20210080906A (ko) 2021-07-01

Family

ID=76439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976A KR20210080906A (ko) 2019-12-23 2019-12-23 전력 증폭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71531B2 (ko)
KR (1) KR20210080906A (ko)
CN (1) CN11309841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95034A (ja) * 2019-05-27 2020-12-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力増幅回路
CN114070212A (zh) * 2022-01-18 2022-02-18 唯捷创芯(天津)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电流保护功能的射频前端模块及相应的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6516A (ko) 2004-12-29 2006-07-04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용 전력증폭기의 과전류방지회로
US8026767B2 (en) * 2009-08-21 2011-09-27 Richwave Technology Corp. Adaptive bias circuit and system thereof
US9698853B2 (en) 2013-07-31 2017-07-04 Skyworks Solutions, Inc. Power amplifier open loop current clamp
JP2018152714A (ja) 2017-03-13 2018-09-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力増幅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94442A1 (en) 2021-06-24
US11271531B2 (en) 2022-03-08
CN113098414A (zh) 202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5837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tecting load mismatch, and a radio device utilizing the same
US7554407B2 (en) Multi-mode power amplifier with low gain variation over temperature
JP4562525B2 (ja) Rf増幅器の直線性の保持
US6980780B2 (en) Power controller
CN102142817B (zh) 输入功率过载保护电路和系统及输入功率过载保护方法
US6359514B1 (en) Switchable path power amplifier with combining network
US11398805B2 (en) Power amplification module
KR20210080906A (ko) 전력 증폭 모듈
US11444582B2 (en) Power amplifier circuit
US7102445B2 (en) Power amplifier module
CN113472304A (zh) 功率放大电路
US20170026008A1 (en) Protection circuit of power amplification circuit and power amplification circuit using the same
KR20210080905A (ko) 전력 증폭 모듈
US10680558B2 (en) Power amplifier circuit
US10236828B2 (en) Power amplifier
CN107112960B (zh) 电力管理方法与装置
KR20210093568A (ko) 전력 증폭기 및 전력 증폭 모듈
KR20210006851A (ko) 전력 증폭 회로
JP2022036687A (ja) 無線周波数増幅回路
JP2005217997A (ja) 高周波増幅器
KR20080078286A (ko) 전력증폭모듈
KR20240061667A (ko) 바이어스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 장치
CN117240224A (zh) 应用于功率放大器的辅助电路、补偿方法和相关设备
KR20020065052A (ko) 무선단말기용 고출력 전력증폭회로
JP2006050053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高周波電力増幅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