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0140A -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0140A
KR20210080140A KR1020200011133A KR20200011133A KR20210080140A KR 20210080140 A KR20210080140 A KR 20210080140A KR 1020200011133 A KR1020200011133 A KR 1020200011133A KR 20200011133 A KR20200011133 A KR 20200011133A KR 20210080140 A KR20210080140 A KR 20210080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isitor
location
management server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 장
오주병
홍승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이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이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이노
Publication of KR20210080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1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 G01C21/12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6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nav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은, 관리 서버가 전시회에 참여하는 부스들의 부스정보 및 위치정보를 등록하고 전시회장의 실내지도를 획득하여 실내지도에 참여 부스의 위치를 맵핑하는 단계와, 방문자 단말이 실시간으로 외부를 촬영하여 촬영 영상으로부터 시각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각정보로부터 주변환경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관리 서버가 방문자 단말로부터 주변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주변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관리 서버가 인식된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 {Indoor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실내에서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큰 공간을 제공하는 전시회 또는 멀티 플렉스 등과 같은 실내의 경우, 수백 개의 부스 및 매장들이 전시나 영업을 하고 있어 방문자가 원하는 목적지를 찾아가기가 매우 어렵다. 찾더라도 원하는 목적지로 가기 위해 빙빙 돌아 도착하는 시행착오를 겪으므로 비효율적이다.
중간중간 이정표를 준비하거나 맵을 제공하지만, 넓은 곳에서 방문자가 다수의 전시회나 매장을 찾기 위해서는 기록하거나 암기해야 하는데, 사실상 사진을 찍어놓거나 하더라도 참여 부스나 매장이 너무 많으면 찾기가 어렵고, 찾더라도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특히 전시회 등 단기간 전시의 경우 어려움이 더 크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실내에 방문한 방문자가 전시회나 매장을 빠르게 찾을 수 있게 가이드 하며 가상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는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은, 관리 서버가 전시회에 참여하는 부스들의 부스정보 및 위치정보를 등록하고 전시회장의 실내지도를 획득하여 실내지도에 참여 부스의 위치를 맵핑하는 단계와, 방문자 단말이 실시간으로 외부를 촬영하여 촬영 영상으로부터 시각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각정보로부터 주변환경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관리 서버가 방문자 단말로부터 주변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주변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관리 서버가 인식된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참여 부스의 부스정보는 참여 부스의 회사명, 로고, 브랜드, 입구 형태 및 입구 내 전시회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주변환경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추출하는 시각정보는 회사명, 로고, 브랜드, 입구 형태 및 입구 내 전시회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문자 또는 이미지일 수 있다.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은 관리 서버가 방문자 단말로부터 시작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획득된 주변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은, 관리 서버가 방문자 단말로부터 방문하고자 하는 목적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와, 관리 서버가 확인된 방문자의 현재위치 및 내부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목적지 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단계와, 관리 서버가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방문자 현재위치와, 목적지 위치와, 방문자 현재위치에서 목적지 위치까지의 거리 및 이동경로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방문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증강현실로 표시하는 단계와 내비게이션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서 음성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은, 관리 서버가 참여 부스 별 가상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관리 서버가 방문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다가 방문자가 가상 이벤트를 제공하는 소정의 참여 부스에 진입하면 이벤트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은, 방문자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보행자 추측 항법을 통해 실내공간 내부에서 방문자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관리 서버가 보행자 추측 항법 기반 방문자 위치정보를 보조적으로 주변환경 정보 기반 방문자 위치정보에 연동하여 방문자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전시회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사용하며, 운영자로부터 각 전시회에 참여하는 부스의 부스정보 및 위치정보를 입력 받는 운영자 단말과, 전시회에 참여하고자 하는 방문자가 사용하며, 실시간으로 외부를 촬영하여 촬영 영상으로부터 시각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각정보로부터 주변환경 정보를 인식하는 방문자 단말과, 운영자 단말로부터 참여 부스의 부스정보와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등록하고 전시회장의 실내지도를 획득하여 실내지도에 참여 부스의 위치를 맵핑하며 방문자 단말로부터 인식된 주변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인식한 후 인식된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참여 부스의 부스정보는 참여 부스의 회사명, 로고, 브랜드, 입구 형태 및 입구 내 전시회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추출된 시각정보는 회사명, 로고, 브랜드, 입구 형태 및 입구 내 전시회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문자 또는 이미지일 수 있다.
방문자 단말은, 방문자의 신체에 착용 되는 시력 보조장치와, 시력 보조장치에 장착되어 실시간으로 외부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촬영 영상으로부터 시각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각정보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와, 영상 분석부의 영상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주변환경 정보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와, 인식된 주변환경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내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시각정보를 청각정보로 변환하여 출력부에 제공하는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인식부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보행자 추측 항법을 통해 실내공간 내부에서 방문자 위치를 인식하고, 보행자 추측 항법 기반 방문자 위치정보를 보조적으로 주변환경 정보 기반 방문자 위치정보에 연동하여 방문자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출력부는 방문자 현재위치와, 목적지 위치와, 방문자 현재위치에서 목적지 위치까지의 거리 및 이동경로를 방문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증강현실로 표시하고, 변환부에서 방문자의 현재위치 및 목적지 위치까지 가는 이동경로가 음성정보로 변환되면, 변환된 음성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참여 부스의 부스정보와 위치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부와, 전시회장의 실내지도를 획득하는 실내지도 획득부와, 방문자 단말로부터 인식된 주변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환경정보 획득부와, 실내지도에 참여 부스의 위치를 맵핑하고 방문자 단말로부터 인식된 주변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실내지도 상에서 확인하며, 방문자 현재위치와, 목적지 위치와, 방문자 현재위치에서 목적지 위치까지의 거리 및 이동경로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실내지도에 기반하여 생성하는 모니터링부와, 내비게이션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방문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다가 방문자가 가상 이벤트를 제공하는 소정의 참여 부스에 진입하면 이벤트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 제공하는 이벤트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시회나 매장들이 있는 실내공간에서 방문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력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시력 보조장치를 이용할 경우 음성 지시로 내비게이션을 제공하여 시력 취약계층이 가고자 하는 전시회나 매장을 쉽고 빨리 찾을 수 있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실내지도에 방문자의 현재위치와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방문자가 쉽고 편리하게 가고자 하는 전시회나 매장을 찾을 수 있다.
나아가, 가상 이벤트를 제공하여 방문자가 소정의 전시회나 매장에 진입하면 가상 이벤트에 참여하도록 유도함에 따라 고객들을 끌어들이며 광고 확장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문자 단말 또는 운영자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문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프로세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내비게이션 정보 제공 프로세스를 보여주기 위해 주체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문자 단말의 시각정보 인식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1)은 운영자 단말(2), 방문자 단말(3), 관리 서버(4) 및 네트워크(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1)은 실내공간에 마련되는 전시회나 매장 등과 같은 실내 구조물을 방문자가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실내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단기간 전시회가 열리는 참여 부스를 쉽게 찾아가고 부스 방문율을 높이며 제품을 홍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시회가 열리는 참여 부스에 대한 내비게이션 기능 제공을 위주로 설명하나, 참여 부스뿐만 아니라 매장과 같은 다른 실내 구조물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운영자 단말(2)은 전시회를 운영(개최를 포함) 하는 운영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전시회 참여 부스의 부스정보와 위치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등록을 위해 관리 서버(4)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참여 부스의 부스정보는 참여 부스의 회사명, 로고, 브랜드, 입구 형태 및 입구 내 전시회명 등이 있다. 참여 부스의 위치정보는 Nokia - Booth 1층 101호, Nike - Booth 2층 203호 등이 있다.
방문자 단말(3)은 실내공간에서 열리는 전시회에 참여하고자 하는 방문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실시간으로 외부를 촬영하고 촬영 영상으로부터 시각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시각정보로부터 주변환경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영상으로부터 회사명, 로고, 브랜드, 입구 형태 및 입구 내 전시회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문자 또는 이미지를 시각정보로서 추출한다. 가령, 방문자 앞에 "Nokia"가 운영하는 참여 부스가 있으면, 방문자 단말(3)을 통해 " Nokia" 간판을 인식할 수 있다. 방문자는 방문자 단말(3)을 가지고 현재위치에서 주위를 둘러보면 방문자 단말(3)에서 촬영을 통해 회사이름과 로고 등의 주변환경 정보를 인식하여 인식한 주변환경 정보를 관리 서버(4)에 전송한다. 관리 서버(4)는 주변환경 정보를 가지고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인식하며 실내지도 상에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표시한다. 다른 예로, 방문자 단말(3)에서 주변환경 정보를 이용한 방문자의 현재위치 인식까지 수행한 후 인식된 현재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4)에 전송할 수도 있다.
방문자 단말(3)은 위치인식을 위한 보조 수단으로 보행자 추측 항법(Pedestrian Dead Reckoning: PDR, 이하 'PDR'이라 칭함)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방문자 단말(3)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하고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PDR을 통해 실내공간 내부에서 방문자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PDR은 각종 센서를 사용하여 사람이 이동하는 속도나 방향, 거리 등을 파악함에 따라 사용자의 상대위치를 산출하는 기술이다. 실외뿐만 아니라, GPS 신호로는 측정이 어려운 실내에서도 위치 측정이 가능하다. 특히, 실내나 GPS 신호가 통하지 않는 내부에서 위치를 측정하는 데 유용하다.
관리 서버(4)는 운영자 단말(2)로부터 참여 부스의 부스정보 및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등록하고, 전시회장의 실내지도를 획득하여 부스 위치를 실내지도에 맵핑 한다. 또한, 방문자 단말(3)로부터 주변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실내지도 상에서 확인한 후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방문자 단말(3)에 제공한다. 이때, 방문자 단말(3)은 일반인을 위해 내비게이션 정보를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시력 취약계층을 위해 시력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청각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시력 취약계층이란 시력이 정상인과는 다른 계층으로, 스마트폰 사용 등으로 인해 노안, 원시, 근시, 난시 등이 빨리 온 계층과, 기존 원시, 근시, 난시군, 고령층, 시각 장애인층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1)은 시력 취약계층의 길 찾기에 대한 불편함을 극복하고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방문자 단말(3)을 부담 없는 가격에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문자 단말(3)은 시력 취약계층을 위해 방문자가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착용 및 소지가 용이한 액세서리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예로는 방문자가 착용한 안경의 안경 테 또는 안경 다리 등에 탈부착하는 형태가 있다. 전면에 촬영부가 장착되어, 촬영부를 통해 영상을 실시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기존 안경에도 탈부착할 수 있으며, 무게를 최소화하여 착용하기 편리하도록 한다. 방문자 단말(3)은 본체 및 제어장치가 결합한 단독형일 수 있으며, 본체와 스마트폰이 연동한 연동형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문자 단말(3)은 촬영부로 들어오는 영상으로부터 시각정보를 추출하며 추출한 시각정보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청각정보로 가공하여 출력한다. 시각정보는 객체, 문자, 이미지 등이다. 청각정보는 음성신호, 경고음 등이다. 예를 들어, 방문자 단말(3)은 인쇄 형태의 문자를 읽어 소리로 들려준다. 이에 따라, 사용자인 시력 취약계층이 사물에 대한 인지를 쉽게 하고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전시회장 내에서 방문자가 찾고자 하는 목적지의 위치를 알려준다. 목적지는 전시회장 내 찾고자 하는 전시회이다. 예를 들어, 전시회장 내에서 방문자가 'Nokia 전시회"를 찾기 원하는 경우, Nokia 이름을 입력한다. 일반적으로 전시회장 내 위치파악을 위해서는 전시회장 안에 위치정보를 송출하거나 기준위치를 알려주는 GPS나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 무선통신(NFC) 기반 모듈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1)은 이러한 별도의 모듈 구비 없이도 방문자 단말(3)이 가진 본래의 시각정보 인식 기능과 기존 파악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전시회장 내 위치를 파악한다. 물론 이를 확장하여 GPS나 블루투스, NFC 기반 모듈, PDR 모듈을 통해 위치정보 신호를 이용하면 더 정확한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1)은 실시간으로 외부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시각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시각정보로부터 주변환경 정보를 인식한 후 인식된 주변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파악한다.
방문자 단말(3)의 핵심은 전면의 객체 인식에 있다. 인공지능 기반 기계학습을 통해 사람과 동물, 사물을 구분해 이를 음성으로 알려줄 수 있다. 기계학습의 특성 상 사용자가 많을수록 정확도는 더 높아진다. 방문자 단말(3)은 전면 객체와의 거리도 계산해 알려준다. 나아가, 부딪히지 않도록 경고한다. 촬영 영상에서 문자 이미지를 추출해 이를 읽어주기도 한다. 방문자가 원하는 객체를 지목하면, 방문자 단말(3)은 지목한 객체를 대상으로 시력 보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원하는 객체를 지목할 때 사용하는 기기 입력방식으로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반 포인터를 이용하여 손가락이 지목하는 객체에 대해 바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문자가 검지만 세우면 증강현실 속 포인터가 된다. 음식점에서 메뉴판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면 촬영부가 인지해 해당 글자를 읽어준다. 책이나 잡지도 혼자서 읽을 수 있다. 손가락으로 'V' 자를 표현하면 책과 잡지로 인지해 자동으로 계속 읽어준다. 손바닥을 펴면 주변 사물과 부딪히지 않도록 깊이 추정 모드로 전환된다. 영상왜곡 처리 이미지 프로세싱으로 정확한 깊이를 계산해낼 수 있다.
방문자 단말(3)에는 인공지능(AI) 기술, 증강현실(AR), 음성변환(text to speech: TTS) 기술 등의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다. 원격제어(remote control)도 가능하다. 인공지능 기술은 기계학습을 통해 영상으로부터 자동으로 객체, 문자, 거리 등의 시각정보를 인식하는 기술을 포함한다. 증강현실 기술은 사용자와 떨어진 객체를 지목하더라도 사용자가 지목한 객체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음성으로 알려주는 것과 같이 가상의 세계와 현실의 세계가 결합한 기술이다. 여기서, 사용자의 제스처를 증강현실 포인터로 인식하고 인식된 증강현실 포인터가 지시하는 위치를 인식하는 기술이 포함된다. 음성변환 기술은 인식된 시각정보, 예를 들어 문자 이미지를 문자(text) 정보로 변환하고 이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청각정보로 변환하여 음성 출력하는 기술을 포함한다. 원격제어는 방문자 단말(3)이 네트워크(5)를 통해 연결된 관리 서버(4)로부터 원격제어를 지원받고 관리 서버(4)가 방문자 단말(3)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을 포함한다.
네트워크(5)는 운영자 단말(2), 방문자 단말(3) 및 관리 서버(4) 간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유무선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5)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Wi-Fi, WLAN(Wireless LAN), Wibro,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블루투스, DSL, LTE, PCS, 2G, 3G, 4G, 5G, LAN, CDMA, TDMA, GSM, WDM 등의 무선 통신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전술한 통신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문자 단말 또는 운영자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문자 단말(3) 또는 운영자 단말(2)은 시력 보조장치(70)와 제어장치(72)로 분리된 형태일 수 있다. 시력 보조장치(70)는 사용자 안경의 안경 다리에 탈부착하는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연결부(76)는 시력 보조장치(70)와 제어장치(72)를 연결한다. 연결부(76)는 유선으로 시력 보조장치(70)와 제어장치(72)를 연결할 수 있다. 무선방식을 이용하여 연결하거나 무선방식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시력 보조장치(70)에 PDR 기능을 위한 센서와 촬영부가 장착되고 제어장치(72)에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다.
시력 보조장치는 사용자가 착용 및 소지가 용이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예로는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의 안경 테 또는 안경 다리 등에 탈부착하는 형태가 있다. 전면 또는 측면에 촬영부가 장착되어, 촬영부를 통해 영상을 실시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기존의 일반적인 안경에 탈부착 가능하며, 무게를 최소화하여 착용하기 편리하도록 한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문자 단말(3) 또는 운영자 단말(2)은 시력 보조장치(70)가 스마트 기기(74)과 연동된 형태일 수 있다. 스마트 기기(74)는 스마트폰 등이 있다. 연결부(76)는 시력 보조장치(70)와 스마트 기기(74)를 연결한다. 연결부(76)는 유선으로 시력 보조장치(70)와 스마트 기기(74)를 연결할 수 있다. 무선방식을 이용하여 연결하거나 무선방식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시력 보조장치(70)에 PDR 기능을 위한 센서와 촬영부가 장착되고 스마트 기기(74)의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문자 단말(3) 또는 운영자 단말(2)은 시력 보조장치 없이 스마트 기기(74)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력 보조장치(70)를 착용하는 것 없이, 스마트 기기(74)만을 이용하여 전술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기기(74) 자체에 장착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PDR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운영자 단말은 운영자 단말(2)의 앱을 설치하여 참여 부스의 부스정보와 위치정보를 입력 하고, 관리 서버(4)로부터 수신되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문자 단말 또는 운영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방문자 단말(3)은 위치정보 수신부(31), 프로세서(32), 입력부(33), 출력부(34), 촬영부(35), 통신부(36), 메모리(37) 및 배터리(38)를 포함한다.
위치정보 수신부(31)는 GPS나 블루투스, NFC 등을 이용하여 위치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32)에 전달한다. 프로세서(32)는 수신된 위치정보를 보조수단으로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전시회장 내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PDR을 이용한 실내 위치 파악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촬영부(35)는 외부의 전면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한다. 촬영부(35)는 카메라일 수 있다. 객체의 깊이를 인식하기 위해 촬영부(35)는 ToF 카메라일 수 있다. 촬영부(35)는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정면을 바라보도록 배치되어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부(35)는 사용자가 안경의 안경 테나 안경 다리에 착용 가능한 본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시점에 따른 실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프로세서(32)는 방문자 단말(3)의 구성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면서, 촬영 영상으로부터 시각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각정보로부터 주변환경 정보를 인식한다.
입력부(33)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이를 프로세서(32)에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33)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데, 음성신호는 찾고자 하는 전시회 명일 수 있다. 입력부(33)는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버튼, 볼륨 조절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력 취약계층을 고려하여 버튼을 양각 처리하거나, 진동을 주는 것과 같이 손의 감각으로 버튼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등 시력 취약계층 위주의 입력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출력부(34)는 프로세서(32)에 의해 처리된 정보, 통신부(36)를 통해 수신된 정보 등을 외부로 출력한다. 출력부(34)는 프로세서(32)에서 변환된 청각정보를 출력한다. 출력 형태는 음성신호일 수 있으며, 음성신호는 경고 메시지, 경고 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34)는 스피커와 골 전도 이어폰을 포함한다. 스피커는 청각정보를 출력하며, 골 전도 이어폰은 뼈를 통해 청각정보를 전달한다. 골 전도 이어폰은 진동을 통해 두개골에 음파를 전달한다. 골 전도 이어폰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귀를 자유롭게 해준다는 점이다. 즉, 고막의 손상이나 피로를 줄여주고 다른 외부의 소리까지 추가로 들을 수 있도록 해준다. 골 전도 이어폰은 도서관,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수단, 공공장소 등에서 사용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골 전도 이어폰이 장착되면 골 전도 이어폰을 통해 청각정보를 출력한다. 이에 비해, 골 전도 스피커가 장착 해제되면 스피커를 통해 청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34)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해 촬영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촬영 영상에 사용자의 제스처 포인터가 합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를 위해, 방문자 단말(3)은 스마트 글라스(smart glass)와 같은 안경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34)를 통해 음성신호로 사용자가 지정한 음식 메뉴를 읽어줄 수 있고, 책이나 잡지 등의 글을 자동으로 읽어줄 수 있다. 전방에 위험요소가 있는 경우 이를 음성 또는 경고음으로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3m 이내에 위험요소가 있으니 조심하세요", "돌발상황입니다. 멈추세요." 등을 음성으로 전달하거나, "삐-" 등의 경고음을 전달할 수 있다. 위험 상황이 발생하면, 위험 경보신호를 즉각적으로 전달하여 위험한 상황에 사전 대응하도록 한다.
통신부(36)는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외부로 정보를 전송한다. 통신부(36)는 네트워크(5)를 이용할 수 있다. 외부는 관리 서버(4)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36)는 관리 서버(4)와 네트워크(5) 연결되어 통신하면서, 전시회장 리스트 정보와 맵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방문자 단말(3)의 기기 상태정보를 관리 서버(4)에 전송하고 관리 서버(4)로부터 기기 상태에 따른 사전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37)는 방문자 단말(3)에서 동작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동작 수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메모리(37)에는 촬영 영상에서 객체를 인식하기 위해, 기계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와, 객체의 형상 패턴, 색 패턴, 신호 패턴 등의 패턴에 대해 기계학습된 데이터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4)로부터 통신부(36)를 통해 수신된 정보들을 다운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배터리(38)는 방문자 단말(3)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방문자 단말(3)이 본체와 제어장치로 분리된 경우, 배터리(38)는 제어장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장치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착용하는 본체의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다. 본체를 스마트폰과 같은 방문자 단말과 연동하는 경우, 배터리(38)는 방문자 단말(3)의 배터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배터리(38)는 교체식, 충전식 또는 이 두 방식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적으로 교체식 배터리를 통해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교체식 배터리를 모두 사용할 경우 충전식 배터리는 예비 전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은 방문자 단말(3)을 위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운영자 단말(2)의 구성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프로세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32)는 위치 인식부(320), 영상 분석부(322) 및 정보 변환부(324)를 포함한다.
영상 분석부(322)는 촬영부(35)를 통해 획득된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시각정보를 인식한다. 정보 변환부(324)는 영상 분석부(322)를 통해 인식된 시각정보를 청각정보로 변환한다. 시각정보는 회사명, 로고, 브랜드, 입구 형태 및 입구 내 전시회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문자 또는 이미지일 수 있다. 청각정보는 음성신호, 경고음 등이다. 관리 서버(4)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면, 정보 변환부(324)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청각정보로 변환한 후 출력부(34)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위치 인식부(320)는 영상 분석부(322)의 영상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주변환경 정보를 인식한다. 주변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위치 인식부(320)는 GPS, 블루투스, NFC, 센싱 정보 등을 보조적으로 이용하여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인식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PDR을 통해 실내공간 내부에서 방문자 위치를 인식하고, PDR 기반 방문자 위치정보를 보조적으로 주변환경 정보 기반 방문자 위치정보에 연동하여 방문자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4)는 사용자 관리부(40), 등록부(41), 실내지도 획득부(42), 환경정보 획득부(43), 모니터링부(44), 내비게이션 제공부(45) 및 이벤트 제공부(46)를 포함한다.
사용자 관리부(4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운영자 단말(2) 및 방문자 단말(3)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고 그 유효성을 검증한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개인에 대한 정보로서, 성향, 나이, 성별, 직업, 연락처 등이 될 수 있다.
등록부(41)는 참여 부스의 부스정보와 위치정보를 등록한다. 실내지도 획득부(42)는 전시회장의 실내지도를 획득한다. 환경정보 획득부(43)는 방문자 단말(3)로부터 인식된 주변환경 정보를 획득한다. 참여 부스의 부스정보는 참여 부스의 회사명, 로고, 브랜드, 입구 형태 및 입구 내 전시회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44)는 실내지도에 참여 부스의 위치를 맵핑하고 방문자 단말(3)로부터 인식된 주변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실내지도 상에서 확인한다. 그리고 방문자 현재위치와, 목적지 위치와, 방문자 현재위치에서 목적지 위치까지의 거리 및 이동경로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실내지도에 기반하여 생성한다. 내비게이션 제공부(45)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방문자 단말(3)에 제공한다.
이벤트 제공부(46)는 참여 부스 별 가상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여, 모니터링부(44)를 통해 방문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다가 방문자가 가상 이벤트를 제공하는 소정의 참여 부스에 진입하면 이벤트 정보를 방문자 단말(3)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방문자는 퀴즈 등을 풀거나 당첨 여부 등을 통지 받을 수 있다. 다수 참여 이벤트 시나 주최 측의 고객 만족도 조사 등의 용도로도 활용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내비게이션 정보 제공 프로세스를 보여주기 위해 주체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운영자 단말(2)이 전시회에 참여하는 부스들의 부스정보 및 위치정보를 입력 받아 관리 서버(4)에 등록한다(700). 관리 서버(4)는 전시회장의 실내지도를 획득(710) 하여 실내지도에 참여 부스의 위치를 맵핑한다. 이때, 관리 서버(4)는 맵핑된 맵 정보 또는 수시정보를 방문자 단말(3)에 전송할 수 있다(720).
이어서, 방문자 단말(3)은 임의의 시작 위치정보를 관리 서버(4)에 전송(730) 하고, 실시간으로 외부를 촬영하여 촬영 영상으로부터 시각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각정보로부터 주변환경 정보를 인식한 후, 인식된 주변환경 정보를 관리 서버(4)에 전송한다(740).
관리 서버(4)는 방문자 단말(3)로부터 주변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주변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인식한다. 관리 서버(4)가 방문자 단말(3)로부터 시작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한 경우, 획득된 주변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이어서, 관리 서버(4)는 인식된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방문자 단말(3)에 제공한다(750).
나아가, 관리 서버(4)는 방문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다가 방문자가 가상 이벤트를 제공하는 소정의 참여 부스에 진입하면 이벤트 정보를 방문자 단말(3)에 제공할 수 있다(760). 예를 들어, 방문자는 퀴즈 등을 풀거나 당첨 여부 등을 통지 받을 수 있다. 다수 참여 이벤트 시나 주최 측의 고객 만족도 조사 등의 용도로도 활용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문자 단말의 시각정보 인식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방문자 단말(3)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영상으로부터 시각정보를 획득하여 입구에서 전시회명 등의 문자를 인식하거나 출입구를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문자가 이동하면서 주위 화면에 들어오는 회사명 및 로고 등을 인지 후 이를 관리 서버(4)에 전송하며 방문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4)가 전시회에 참여하는 부스들의 부스정보 및 위치정보를 등록(810) 하고, 전시회장의 실내지도를 획득하여 실내지도에 참여 부스의 위치를 맵핑한다(820).
이어서, 방문자 단말(3)이 실시간으로 외부를 촬영하여 촬영 영상으로부터 시각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각정보로부터 주변환경 정보를 인식하면, 관리 서버(4)가 방문자 단말(3)로부터 주변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주변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인식한다(830). 참여 부스의 부스정보는 참여 부스의 회사명, 로고, 브랜드, 입구 형태 및 입구 내 전시회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추출되는 시각정보는 회사명, 로고, 브랜드, 입구 형태 및 입구 내 전시회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문자 또는 이미지일 수 있다.
방문자의 현재위치 인식 단계(830)에서, 방문자 단말(3)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PDR을 통해 실내공간 내부에서 방문자 위치를 인식하면, 관리 서버(4)가 PDR 기반 방문자 위치정보를 보조적으로 주변환경 정보 기반 방문자 위치정보에 연동하여 방문자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관리 서버(4)가 방문자 단말(3)로부터 시작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고,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인식하는 단계(830)에서 획득된 주변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이어서, 관리 서버(4)가 인식된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방문자 단말(3)에 제공한다(840). 관리 서버(4)가 방문자 단말(3)로부터 방문하고자 하는 목적지 정보를 입력 받으면, 관리 서버(4)가 확인된 방문자의 현재위치 및 내부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목적지 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생성한 후, 내비게이션 정보 제공 단계(840)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방문자 단말(3)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방문자 단말(3)은 방문자 현재위치와, 목적지 위치와, 방문자 현재위치에서 목적지 위치까지의 거리 및 이동경로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방문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증강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내비게이션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서 음성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관리 서버(4)는 이벤트 정보를 방문자 단말(3)에 제공할 수 있다(850). 예를 들어, 관리 서버(4)가 참여 부스 별 가상 이벤트 정보를 획득한 후, 방문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다가 방문자가 가상 이벤트를 제공하는 소정의 참여 부스에 진입하면 이벤트 정보를 방문자 단말(3)에 제공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관리 서버가 전시회에 참여하는 부스들의 부스정보 및 위치정보를 등록하고 전시회장의 실내지도를 획득하여 실내지도에 참여 부스의 위치를 맵핑하는 단계;
    방문자 단말이 실시간으로 외부를 촬영하여 촬영 영상으로부터 시각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각정보로부터 주변환경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방문자 단말로부터 주변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주변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및
    관리 서버가 인식된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참여 부스의 부스정보는 참여 부스의 회사명, 로고, 브랜드, 입구 형태 및 입구 내 전시회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주변환경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추출하는 시각정보는 회사명, 로고, 브랜드, 입구 형태 및 입구 내 전시회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문자 또는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은
    관리 서버가 방문자 단말로부터 시작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는
    획득된 주변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은
    관리 서버가 방문자 단말로부터 방문하고자 하는 목적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관리 서버가 확인된 방문자의 현재위치 및 내부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목적지 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관리 서버가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방문자 현재위치와, 목적지 위치와, 방문자 현재위치에서 목적지 위치까지의 거리 및 이동경로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방문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증강현실로 표시하는 단계;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서 음성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은
    관리 서버가 참여 부스 별 가상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관리 서버가 방문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다가 방문자가 가상 이벤트를 제공하는 소정의 참여 부스에 진입하면 이벤트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은
    방문자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보행자 추측 항법을 통해 실내공간 내부에서 방문자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및
    관리 서버가 보행자 추측 항법 기반 방문자 위치정보를 보조적으로 주변환경 정보 기반 방문자 위치정보에 연동하여 방문자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
  8. 전시회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사용하며, 운영자로부터 각 전시회에 참여하는 부스의 부스정보 및 위치정보를 입력 받는 운영자 단말;
    전시회에 참여하고자 하는 방문자가 사용하며, 실시간으로 외부를 촬영하여 촬영 영상으로부터 시각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각정보로부터 주변환경 정보를 인식하는 방문자 단말; 및
    운영자 단말로부터 참여 부스의 부스정보와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등록하고 전시회장의 실내지도를 획득하여 실내지도에 참여 부스의 위치를 맵핑하며 방문자 단말로부터 인식된 주변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인식한 후 인식된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 제공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참여 부스의 부스정보는 참여 부스의 회사명, 로고, 브랜드, 입구 형태 및 입구 내 전시회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추출된 시각정보는 회사명, 로고, 브랜드, 입구 형태 및 입구 내 전시회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 문자 또는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비게이션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방문자 단말은
    방문자의 신체에 착용 되는 시력 보조장치;
    시력 보조장치에 장착되어 실시간으로 외부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촬영 영상으로부터 시각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각정보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
    영상 분석부의 영상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주변환경 정보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
    인식된 주변환경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내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시각정보를 청각정보로 변환하여 출력부에 제공하는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위치 인식부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보행자 추측 항법을 통해 실내공간 내부에서 방문자 위치를 인식하고, 보행자 추측 항법 기반 방문자 위치정보를 보조적으로 주변환경 정보 기반 방문자 위치정보에 연동하여 방문자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출력부는
    방문자 현재위치와, 목적지 위치와, 방문자 현재위치에서 목적지 위치까지의 거리 및 이동경로를 방문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증강현실로 표시하고,
    변환부에서 방문자의 현재위치 및 목적지 위치까지 가는 이동경로가 음성정보로 변환되면, 변환된 음성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
  13. 제 8 항에 있어서, 관리 서버는
    참여 부스의 부스정보와 위치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부;
    전시회장의 실내지도를 획득하는 실내지도 획득부;
    방문자 단말로부터 인식된 주변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환경정보 획득부;
    실내지도에 참여 부스의 위치를 맵핑하고 방문자 단말로부터 인식된 주변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현재위치를 실내지도 상에서 확인하며, 방문자 현재위치와, 목적지 위치와, 방문자 현재위치에서 목적지 위치까지의 거리 및 이동경로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실내지도에 기반하여 생성하는 모니터링부;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관리 서버는
    방문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다가 방문자가 가상 이벤트를 제공하는 소정의 참여 부스에 진입하면 이벤트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 제공하는 이벤트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
KR1020200011133A 2019-12-20 2020-01-30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0801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781 2019-12-20
KR20190171781 2019-1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140A true KR20210080140A (ko) 2021-06-30

Family

ID=76602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133A KR20210080140A (ko) 2019-12-20 2020-01-30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01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6495A1 (ko) * 2022-01-12 2023-07-20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시각적 측위방법, 이를 이용하는 제어서버 및 건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6495A1 (ko) * 2022-01-12 2023-07-20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시각적 측위방법, 이를 이용하는 제어서버 및 건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5012B2 (en) Server, client terminal,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922236B2 (en) Wearable eyeglasses for providing social and environmental awareness
US10024667B2 (en) Wearable earpiece for providing social and environmental awareness
US10024678B2 (en) Wearable clip for providing social and environmental awareness
KR102047988B1 (ko) 시력 취약계층을 위한 시력 보조장치와 원격관리장치 및 시력 보조방법
JP6705124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情報システム、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CN104983511A (zh) 针对全盲视觉障碍者的语音帮助智能眼镜系统
JP2010061265A (ja) 人物検索登録システム
JPWO2008066093A1 (ja) 位置依存情報表現システム、位置依存情報表現制御装置および位置依存情報表現方法
WO2016199248A1 (ja) 情報提示システム及び情報提示方法
KR102242681B1 (ko)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를 사용한 3차원 얼굴과 공간 정보 인식 방법 및 시스템
US11257111B2 (en) Content output system, terminal device, content outpu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503718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サーバ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KR20150064418A (ko)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Vítek et al. New possibilities for blind people navigation
KR20210080140A (ko)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82848B1 (ko) 분리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제어장치로 구성된 시력 취약계층용 시력 보조장치
KR20160015142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긴급시 비상연락방법 및 프로그램
JP6500139B1 (ja) 視覚支援装置
JP2020154569A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システム
CN111611812A (zh) 翻译成盲文
KR20200062002A (ko) 시력 취약계층을 위한 쇼핑 보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력 보조장치
KR20160024140A (k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매장정보 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6138852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グラス型デバイス及び装置間連携方法
KR20160053472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벤트정보 제공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어플리케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