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795A -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795A
KR20210079795A KR1020190171942A KR20190171942A KR20210079795A KR 20210079795 A KR20210079795 A KR 20210079795A KR 1020190171942 A KR1020190171942 A KR 1020190171942A KR 20190171942 A KR20190171942 A KR 20190171942A KR 20210079795 A KR20210079795 A KR 20210079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play
enlarged
display area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7903B1 (ko
Inventor
이한오
김병수
김영제
황지현
백정희
박진아
조은비
김형중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1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903B1/ko
Priority to US17/123,348 priority patent/US20210191605A1/en
Priority to JP2020210440A priority patent/JP7351828B2/ja
Publication of KR20210079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4Tree-structured documents
    • G06F40/143Markup, e.g.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GML] or Document Type Definition [DT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7Optimising the visualization of content, e.g. distillation of HTML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6Display of layout of documents; Preview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4Tree-structured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은,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웹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웹 컨텐츠에 대한 확대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확대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웹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Method for displaying web browser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본 출원은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이용하여 확대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컴퓨터, 전자, 인터넷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무선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가 각광을 받게 되었으며 이와 함께 모바일 단말기용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각종 콘텐츠도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는 중이다.
모바일 단말기를 위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중, 특히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의 인터넷 사용을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웹 브라우저는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웹 서버로부터 로드되고 콘텐츠를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페이지를 조회하고 다른 웹페이지를 이어 탐색하거나 새로운 웹페이지를 탐색할 수 있다.
한편, 최근 듀얼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모바일 기기 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2개의 영역으로 가상으로 분할하여 2개의 화면을 사용할 수 있는 폴더블 모바일 기기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웹 브라우저 등도 개발되고 있다.
본 출원은, 복수의 디스플레이영역을 이용하여 확대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장점을 활용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전체 웹 컨텐츠 중 확대되는 확대대상영역의 위치와 크기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확대된 웹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웹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웹 컨텐츠에 대한 확대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확대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웹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컨텐츠 디스플레이 방법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컨텐츠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 중인 컨텐츠에 대한 확대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확대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 중인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사용자가 인가하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널부; 및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웹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웹 컨텐츠에 대한 확대요청을 입력받으면, 상기 웹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의하면, 듀얼 디스플레이영역을 이용한 확대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웹 컨텐츠 내의 텍스트나 이미지가 작아 확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반복적인 스크롤이나 웹 컨텐츠의 확대 또는 축소없이 용이하게 웹 컨텐츠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의하면,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전체 웹 컨텐츠 중 확대되는 확대대상영역의 위치와 크기가 표시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확대된 웹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확대대상영역의 위치와 크기를 변경하면서 편리하게 확대된 웹 컨텐츠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터치하는 면적을 확대대상영역으로 특정하고, 특정된 확대대상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자신이 확대하고자 하는 영역을 특정할 수 있으며, 터치면적을 확장시키는 간단한 방식으로 확대대상영역을 넓힐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웹 브라우징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웹 브라우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에서 수행한 웹 브라우저의 확대보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에서 수행한 확대보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에서 수행한 웹 브라우저 확대보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웹 브라우징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웹 브라우징 시스템은, 단말장치(100) 및 서비스 서버(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쇼핑 시스템을 설명한다.
단말장치(100)는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으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시각이나 청각 등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을 인가받는 입력부,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단말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데스크탑 등의 고정형 장치도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앱 스토어(App store) 또는 플레이 스토어(play store) 등에 접속하여, 웹 브라우저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비스 서버 또는 타 기기(미도시)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다운로드받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서비스 서버(1)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에는 공지의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이 포함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네트워크는 상기 열거된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고, 공지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나 공지의 전화 네트워크,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웹 브라우저 상에 웹 페이지들을 로드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서비스 서버(1)로 웹 페이지, 웹 문서 등의 웹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1)로부터 제공받은 웹 컨텐츠를 웹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는 서비스 서버(1)로부터 제공받은 웹 컨텐츠를 단말장치(1)에 실장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는 단말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단말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의 요청에 대응하여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에는 단말장치(100)로 제공될 수 있는 웹 컨텐츠들이 저장될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단말장치(100)로 웹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웹 문서 등을 확인하는 경우, 웹 문서 내의 글씨가 너무 작아 확대하여 글씨를 읽어야 하는 등의 경우가 자주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인 단말장치의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만을 포함하므로, 사용자는 단말장치 또는 웹 브라우저가 제공하는 확대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웹 문서를 확대하여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웹 문서가 확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 가로 또는 세로의 스크롤이 생길 수 있으며, 전체 웹 문서의 내용을 한 눈에 보거나 현재 확대된 영역이 어디인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시 웹 문서를 축소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확대된 상태에서 웹 문서의 텍스트를 읽어 나가다가 줄바꿈이 발생하는 경우, 다시 웹 문서의 좌측 하단의 문장으로 이동하기 위해, 사용자는 스크롤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거나, 웹 문서를 축소하여 이동한 후 다시 확대하여야 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100)는 듀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므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에 웹 문서를 표시하는 동시에,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에 해당 웹 문서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반복적인 스크롤이나 웹 문서의 확대 또는 축소없이 용이하게 웹 문서에 대한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입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단말장치(100)에서 출력하는 웹 브라우저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을 구분하여, 각각의 웹 페이지, 웹 문서 등의 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은 크기와 화면비율이 서로 동일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은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영역을 가상으로 구분하여 각각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으로 구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부(110)를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이 대향하도록 접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foldable display)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20)는 터치패널(121), 펜 센서, 압력 센서, 키,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널(121)은,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펜 센서는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키는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단말장치(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말장치(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단말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터치패널(121)의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가하는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웹 브라우저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웹 페이지나 웹 문서 등을 찾기 위한 터치입력들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터치패널(121)를 이용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 내에 인가하는 사용자의 다양한 터치입력들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터치입력들은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메모리 내에 로드하고, 프로세서를 통하여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대응하여 최적화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에 디스플레이 중인 웹 문서 등의 웹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 내에 확대하여 표시하는 확대보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웹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 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웹 컨텐츠에 포함된 텍스트나 이미지 등의 크기가 작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사용자는 해당 웹 컨텐츠에 대한 확대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확대요청에 대응하여 웹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 내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확대요청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저 내에 표시되는 확대아이콘(M)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확대아이콘(M)에 터치입력을 인가하면, 제어부(13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에 표시 중인 웹 컨텐츠(W) 중 일부를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 내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외에도, 웹 브라우저 내에 확대보기 기능을 위한 사용자의 제스처 동작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단말장치(100) 상에서 수행하는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여 해당 웹 컨텐츠(W)에 대한 확대보기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단말장치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을 손바닥으로 가렸다가 떼는 동작이나, 손바닥을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리는 동작, 또는 손바닥을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의 좌에서 우로 넘기는 동작 등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으며, 해당 제스쳐에 대응하여 확대보기 기능을 실행하도록 미리 설정해둘 수 있다. 여기서, 확대보기를 위한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가능하다.
한편, 확대보기가 실행되는 경우,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 내에 확대대상영역(A)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 내에는 확대대상영역(A)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확대대상영역(A)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의 전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확대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확대대상영역(A)에 대한 확대비율을 조절하여, 확대대상영역(A)이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 내에 가득차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확대대상영역(A)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130)는 확대대상영역(A)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확대대상영역(A)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는 확대대상영역(A)을 원하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확대대상영역(A)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확대대상영역(A)의 위치이동에 대응하여, 이동된 확대대상영역(A)의 내부에 포함되는 웹 컨텐츠(W)가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 내에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확대대상영역(A)의 크기를 변경하고자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130)는 확대대상영역(A)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확대대상영역(A)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는 확대대상영역을 핀치-인(pinch-in)하여 확대대상영역(A)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확대대상영역을 핀치-아웃(pinch-out)하여 확대대상영역(A)의 크기를 늘릴 수 있다. 여기서, 확대대상영역(A)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 입력은 핀치-인 또는 핀치-아웃 이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가능하다.
이때, 확대대상영역(A)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의 화면비율과 동일한 고정비를 가질 수 있으며, 확대대상영역(A)의 크기 변경시 제어부(130)는 상기 고정비에 따라 확대대상영역(A)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확대대상영역(A)의 화면비율을 변경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 내에 표시 중인 확대대상영역(A)의 꼭지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이를 드래그 하는 등의 방식으로 확대대상영역(A)의 고정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확대대상영역(A)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입력을 인가하면, 제어부(130)는 변경된 고정비에 따라 확대대상영역(A)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에서 확대 또는 축소입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130)는 해당 확대 또는 축소입력에 대응하여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의 확대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의 확대비율 변경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에 표시하는 확대대상영역(A)의 크기도 함께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을 확대하는 경우에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 내에 표시하는 확대대상영역(A)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을 축소하는 경우에는 확대대상영역(A)의 크기를 확대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에 스크롤 입력을 인가하면, 제어부(130)는 확대대상영역(A)을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확대대상영역(A)을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 내에서,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확대대상영역(A)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은 서로 대응하므로, 각각에 대한 위치이동이나 확대 또는 축소입력이 인가되면, 대응하도록 위치이동이나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확대대상영역(A)이나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의 인터렉션(interaction) 등이 수행되면, 확대대상영역(A)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에 동일하게 해당 인터렉션이 반영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즉,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 내에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선택된 영역(S)은 반전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 내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였으나, 확대대상영역(A)의 동일한 위치에도 반전표시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대대상영역(A)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에는 인터렉션이 동일하게 반영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확대대상영역(A)이나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에 텍스트나 이미지, 이모티콘, 메모 등의 객체를 입력하는 인터렉션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제어부(130)는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하게 해당 인터렉션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130)가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확대대상영역(A)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확대대상영역(A)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의 경계면에 도달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경계면에 도달한 방향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을 스크롤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이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에 표시된 웹 컨텐츠(W)가 스크롤가능한 경우에 한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웹 컨텐츠(W)가 스크롤 불가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스크롤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스크롤이 불가함을 나타내는 햅틱(haptic)이나 시각적 효과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 중 확대대상영역(A)의 외부에서 확대 또는 축소 입력을 인가하면, 제어부(130)는 웹 컨텐츠(W)를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 내에서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이때, 확대대상영역(A)의 크기는 웹 컨텐츠(W)의 확대 또는 축소에 불구하고 동일하게 유지되거나, 웹 컨텐츠(W)의 확대 또는 축소에 따라 동일한 비율로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여기서, 확대대상영역(A)의 크기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경우에는, 웹 컨텐츠(W)의 확대 또는 축소에 따라, 확대대상영역(A) 내에 포함되는 웹 컨텐츠(W)의 범위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 내에 표시되는 웹 컨텐츠들의 범위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반면에, 확대대상영역(A)의 크기가 동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는 경우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 내 표시되는 웹 컨텐츠(W)들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확대대상영역(A)이 웹 컨텐츠(W)와 함께 확대 또는 축소되는지 여부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확대대상영역(A) 내부에서 확대 또는 축소 입력을 인가하면, 확대대상영역(A)의 크기가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이 경우, 확대대상영역(A) 내에 포함되는 웹 컨텐츠(W)의 범위가 달라지므로,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 내에 표시되는 웹 컨텐츠들도 확대 또는 축소되어 변경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실시예에 따라서는, 확대대상영역(A)을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 내에서 터치하는 면적으로 특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 내에 인가하는 터치입력의 위치 및 면적에 대응하여, 확대대상영역(A)을 특정할 수 있다. 특정된 확대대상영역(A)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 내에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 하나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을 터치한 경우에는, 하나의 손가락이 터치된 면적을 확대대상영역(A)으로 특정하고, 해당 확대대상영역(A)을 확대하여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 내에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 2개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을 터치한 경우에는, 2개의 손가락이 터치된 면적을 확대대상영역(A)으로 특정하고, 해당 확대대상영역(A)을 확대하여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자신이 확대하고자 하는 영역을 특정할 수 있으며, 터치면적을 확장시키는 간단한 방식으로 확대대상영역을 넓힐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터치면적을 넓히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130)가 복수의 터치입력 사이의 면적을 인식하여 확대대상영역(A)으로 특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 내에 복수의 터치입력이 동시에 입력되면, 복수의 터치입력 중 적어도 2개의 터치입력을 선택하고, 선택된 터치입력 사이의 영역을 확대대상영역(A)으로 특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격하는 터치입력들 사이의 공간이 확대대상영역(A)으로 특정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확대대상영역(A)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복수의 손가락들이 각각 이격하여 디스플레이부(120)를 터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130)는 가장 멀리 떨어진 2개의 터치입력 사이의 간격을 특정하여 확대대상영역(A)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터치입력 중에서 수평에 가장 가까운 2개의 터치입력을 선택하여 확대대상영역(A)으로 특정하거나, 복수의 터치입력들을 연결한 다각형을 형성한 후 해당 다각형의 면적을 확대대상영역(A)으로 특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는, 단말장치의 운영체제에서 확대보기 기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웹 브라우저 등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장치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들은 모두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단말장치로 확대요청을 인가할 수 있으며,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확대요청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 중인 컨텐츠들을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의 바탕화면 중 일부를 확대하여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는 등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단말장치 내에 다운로드한 문서나, 이미지 등에 대하여도 확대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단말장치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웹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10). 여기서, 단말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동일한 크기와 화면비율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웹 컨텐츠는 단말장치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웹 컨텐츠 내의 글씨나 이미지 등이 너무 작아 확대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웹 컨텐츠에 대한 확대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S120). 여기서, 확대요청은 웹 브라우저 내에 표시되는 확대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나, 확대요청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확대요청을 입력받으면, 단말장치는 확대요청에 대응하여, 웹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30). 이 경우, 단말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확대대상영역을 표시할 수 있으며, 확대대상영역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후, 단말장치는 확대대상영역을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때 확대대상영역이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확대대상영역에 대한 확대비율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장치는 확대대상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확대대상영역의 위치 또는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들어, 확대대상영역을 드래그하여 확대대상영역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확대대상영역에 대한 핀치-인 또는 핀치-아웃에 대응하여 확대대상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확대대상영역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비율에 대응하는 고정비를 가질 수 있으며, 확대대상영역의 크기 변경시 상기 고정비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확대대상영역의 고정비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변경된 고정비에 따라 확대대상영역이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확대 또는 축소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 단말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확대비율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는 확대비율의 변경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확대대상영역의 크기도 함께 변경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스크롤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확대대상영역을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스크롤의 방향으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는 확대대상영역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웹 컨텐츠에 대한 인터렉션(interaction)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장치는 확대대상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동일하게 인터렉션을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인가하는 인터렉션에는 텍스트나 이미지, 이모티콘, 메모 등의 객체를 삽입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에 대한 반전표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확대대상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확대대상영역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면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경계면에 도달한 방향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스크롤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확대하고자 하는 영역을 편리하게 지정할 수 있도록, 확대대상영역의 이동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스크롤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중 확대대상영역 외부에서 확대 또는 축소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웹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확대 또는 축소하고, 사용자가 확대대상영역 내부에서 확대 또는 축소 입력을 인가하면, 확대대상영역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등의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인가하는 터치입력의 위치 및 면적에 대응하여 확대대상영역을 특정할 수 있다. 이때, 특정된 확대대상영역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복수의 터치입력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터치입력 중 적어도 2개의 터치입력을 선택하고, 선택된 터치입력 사이의 영역을 확대대상영역으로 특정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 서비스 서버 100: 단말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입력부
121: 터치패널 130: 제어부

Claims (16)

  1.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웹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웹 컨텐츠에 대한 확대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확대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웹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요청은
    상기 웹 브라우저 내에 표시되는 확대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나, 상기 확대요청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확대대상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확대대상영역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확대대상영역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확대대상영역에 대한 확대비율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확대대상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확대대상영역의 위치 또는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대상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비율에 대응하는 고정비를 가지고, 상기 확대대상영역의 크기 변경시 상기 고정비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확대 또는 축소 입력을 인가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확대비율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확대비율의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확대대상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스크롤 입력을 인가하면, 상기 확대대상영역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상기 스크롤의 방향으로 위치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확대대상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된 상기 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렉션(interaction)이 수행되면, 상기 확대대상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동일하게 상기 인터렉션이 반영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확대대상영역이 이동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면에 도달하면, 상기 경계면에 도달한 방향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스크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확대대상영역 외부에서 확대 또는 축소 입력을 인가하면, 상기 웹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확대 또는 축소하고, 사용자가 상기 확대대상영역 내부에서 확대 또는 축소 입력을 인가하면, 상기 확대대상영역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인가하는 터치입력의 위치 및 면적에 대응하여 확대대상영역을 특정하고, 상기 확대대상영역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복수의 터치입력이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터치입력 중 적어도 2개의 터치입력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터치입력 사이의 영역을 상기 확대대상영역으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14.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5.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컨텐츠 디스플레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 중인 컨텐츠에 대한 확대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확대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 중인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컨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사용자가 인가하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널부; 및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웹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웹 컨텐츠에 대한 확대요청을 입력받으면, 상기 웹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KR1020190171942A 2019-12-20 2019-12-20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KR102297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942A KR102297903B1 (ko) 2019-12-20 2019-12-20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US17/123,348 US20210191605A1 (en) 2019-12-20 2020-12-16 Method for displaying web browser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JP2020210440A JP7351828B2 (ja) 2019-12-20 2020-12-18 ウェブブラウザの表示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る端末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942A KR102297903B1 (ko) 2019-12-20 2019-12-20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795A true KR20210079795A (ko) 2021-06-30
KR102297903B1 KR102297903B1 (ko) 2021-09-06

Family

ID=7643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942A KR102297903B1 (ko) 2019-12-20 2019-12-20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191605A1 (ko)
JP (1) JP7351828B2 (ko)
KR (1) KR102297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575B1 (ko) * 2022-10-27 2023-10-12 주식회사 엠투소프트 직원 단말이 고객 단말에서 고객 단말과 공유된 문서의 확대가 필요한 확대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42839A (ja) * 2021-09-15 2023-03-28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3350A (ko) * 2005-08-24 2007-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40046329A (ko) * 2012-10-10 201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20150033183A1 (en) * 2011-01-03 2015-01-29 Freedom Scientific, Inc. View Locking Multi-Monitor Screen Magnifi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6744A (ja) * 2002-03-29 2003-10-17 Se Kk イラスト作成プログラム
US20050193330A1 (en) * 2004-02-27 2005-09-01 Exit 33 Education,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Book storage and presentation
JP5229084B2 (ja) * 2009-04-14 2013-07-0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343692B2 (ja) * 2009-05-12 2013-11-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304467B2 (ja) * 2009-06-18 2013-10-02 凸版印刷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表示方法、携帯端末表示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141753A (ja) * 2010-01-07 2011-07-21 Sony Corp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8656296B1 (en) * 2012-09-27 2014-02-18 Google Inc. Selection of characters in a string of characters
EP3564806B1 (en) * 2012-12-29 2024-02-2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etermining whether to scroll or select contents
JP5414920B2 (ja) * 2013-02-22 2014-0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318034B1 (en) * 2016-09-23 2019-06-11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user interface objects via proximity-based and contact-based inpu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3350A (ko) * 2005-08-24 2007-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20150033183A1 (en) * 2011-01-03 2015-01-29 Freedom Scientific, Inc. View Locking Multi-Monitor Screen Magnifier
KR20140046329A (ko) * 2012-10-10 201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575B1 (ko) * 2022-10-27 2023-10-12 주식회사 엠투소프트 직원 단말이 고객 단말에서 고객 단말과 공유된 문서의 확대가 필요한 확대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51828B2 (ja) 2023-09-27
KR102297903B1 (ko) 2021-09-06
US20210191605A1 (en) 2021-06-24
JP2021099807A (ja)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721B1 (ko)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5373011B2 (ja) 電子装置およびその情報表示方法
KR102097496B1 (ko) 폴더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2983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split view in portable terminal
KR10180276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177978B1 (en)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virtual keypad
US9082350B2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display control program
KR10186392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735960A2 (en) Electronic device and page navigation method
US20100013782A1 (en) Touch-sensitive mobile comput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applied thereto
KR10230417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130147849A1 (en)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method thereof
KR20110006021A (ko) 휴대 단말기의 스크롤 방법 및 장치
EP2282259A2 (en) User interface method used in web browsing,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40098904A (ko)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JP5254399B2 (ja) 表示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8144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3536964A (ja) アイテムをディスプレーする方法及び装置
EP2442240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219484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97903B1 (ko)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KR20140075424A (ko) 컨텐츠 확대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5906344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表示方法
WO2014132882A1 (ja) 端末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記録媒体
JP2015022675A (ja) 電子機器、インターフェース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