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711A -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 - Google Patents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711A
KR20210079711A KR1020190171771A KR20190171771A KR20210079711A KR 20210079711 A KR20210079711 A KR 20210079711A KR 1020190171771 A KR1020190171771 A KR 1020190171771A KR 20190171771 A KR20190171771 A KR 20190171771A KR 20210079711 A KR20210079711 A KR 20210079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ooling plate
refrigerant
fuel cell
polymer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4615B1 (ko
Inventor
이성근
정재훈
이하늘
전철희
Original Assignee
동아퓨얼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퓨얼셀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퓨얼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1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615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6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having heating or cooling means, e.g. heaters or coolant flow chan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택 온도 균일화를 위한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에 관한 것으로, 상하로 적층된 복수 개의 분리판과, 상기 분리판과 분리판 사이에 적층되는 하드스토퍼 가스켓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셀 유닛과, 상기 복수 개의 셀 유닛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복수 개의 셀 유닛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일부가 상기 셀 유닛의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공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냉각판과,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 개의 냉각판으로 각각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유입 통로 및 상기 유입 통로에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냉각판으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토출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 통로 및 토출 통로는 상기 냉각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1 연결관과, 상기 냉각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2 연결관과, 상기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의 외주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원통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High-temperature polymer electrolyte membrance fuel cell stack}
본 발명은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택 온도 균일화를 위한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 전지는 고효율, 친환경, 높은 출력밀도 등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유망한 미래 청정 에너지기술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기존의 저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Low-Temperatur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LT-PEMFC)가 상용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저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를 운전하기 위해서는 가습기, 수분 트랩 등과 같은 물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연료 공급의 어려움 및 특정 불순물의 농도가 낮은 수소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저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의 운전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열은 배열온도가 낮아 사용 목적이 제한적이다. 저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의 대안으로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HT-PEMFC)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는 인산이 도핑된 폴리벤즈이미다졸(polybenzimidazole, PBI)계 전해질막을 사용하여 별도의 가습 없이 운전이 가능하며, 연료 전지 운전을 통해 발생하는 물이 증기 형태로 발생하기 때문에 별도의 수분트랩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를 150℃ ~ 180℃의 운전 온도에서 CO의 피독으로 인한 막 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의 성능저하 현상이 현저히 감소하여 CO 농도 3%까지 내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수소개질과정에서 CO 제거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100℃에 가까운 높은 배열온도를 얻을 수 있어 열에너지의 활용도가 높다.
최근에는,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는 아직 많은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이론적으로 높은 전기화학 반응 속도를 갖으나 실제 개발된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의 성능은 저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의 성능에 다소 미치지 못한다. 인산노출 및 고온의 가혹한 운전 조건으로 인해 내구성이 취약하며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고온의 운전 조건하에서 연료 전지의 일부에 파손이 생기면, 냉매가 막 전극 접합체(MEA)로 침투됨으로써, 연료 전지 스택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의 냉매로 사용되는 오일은 물에 비하여 높은 점성을 가지므로, 오일이 순환 경로 상에서 높은 차압을 일으키게 되고, 이 또한 연료 전지의 파손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되어 왔다.
이때,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의 냉매로 사용되는 오일은 고온에서 작동하므로 연료 전지의 분리판 내부에 형성된 냉매 유로를 순환하는 동안 분리판의 부피 변화를 일으켜 파손을 촉진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택을 냉각시키기 위해 스택 사이에 결합된 냉각판과, 냉각판으로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유입 통로와, 냉각판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토출 통로가 마련되며, 냉각판, 유입 통로 및 토출 통로는 각각 조립되어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각각 조립된 냉각판, 유입 통로 및 토출 통로에서는 냉매가 유입 및 토출되는 과정에서 냉매가 조립 위치에서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냉매가 누수됨에 따라 스텍의 온도를 낮추지 못하여 연료 전지 스텍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68128호 '독립형 냉각판을 구비하는 고온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지 스택 및 그 제조 방법'(등록일자 : 2016.02.1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텍 사이에 구비된 냉각판으로 냉매의 유입을 안내하는 유입 통로와, 냉각판으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토출 통로의 구조를 개선하여 냉매의 누수를 제거하여 연료 전지 스텍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은, 상하로 적층된 복수 개의 분리판과, 상기 분리판과 분리판 사이에 적층되는 하드스토퍼 가스켓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셀 유닛과, 상기 복수 개의 셀 유닛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복수 개의 셀 유닛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일부가 상기 셀 유닛의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공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냉각판과,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 개의 냉각판으로 각각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유입 통로 및 상기 유입 통로에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냉각판으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토출 통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드스토퍼 가스켓은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며, SUS금속 및 유연성을 가지는 고무소재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은 복수 개의 셀 유닛 사이에 각각 냉각판이 배치되고, 냉각판으로 냉매를 안내하는 유입 통로와 토출 통로는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 및 원통관으로 이루어지며, 냉각판의 상하부에 연결관이 각각 냉각판에 밀착 결합되어 냉매가 냉각판으로 유입 또는 냉각판으로부터 토출될 때 유입 통로 및 토출 통로 외부로 누수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은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원통관은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 사이 공간으로 연결관이 돌출 형성되어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을 지지할 수 있으며,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이 일정 간격 배치됨에 따라 냉매의 이동에 따른 부피 팽창 및 수축에 따른 편차를 보상함으로써 파손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1 연결관과 원통관 사이 및 제2 연결관과 원통관 사이에는 패킹 유닛이 결합되어 냉매가 유입 통로 및 토출 통로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통관과 연결관 간에 결합력을 향상시켜 수명 연장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지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냉각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냉각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1000)은 복수 개의 셀 유닛(100), 지지부(200), 냉각판(300), 유입 통로(400) 및 토출 통로(500)를 포함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셀 유닛(100)은 후술할 복수 개의 냉각판(300)의 사이에 배치되며, 셀 유닛(100)과 냉각판(300)이 반복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셀 유닛(100)은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 개의 분리판(101)과, 상기 분리판과 분리판 사이에 적층되는 하드스토퍼 가스켓을 포함한다.
상기 셀 유닛(100)에는 수소가 유입되는 애노드 유입 포트(A_in)와, 셀 유닛(100)으로부터 수소가 토출되는 애노드 토출 포트(A_out)와, 셀 유닛(100)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캐소드 유입 포트(C_in)와, 셀 유닛(100)으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는 캐소드 토출 포트(C_out)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판(101)의 내부에는 수소가 유동되는 수소 유로와,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로를 포함하여 수소와 공기가 유입 및 토출되면서 냉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드스토퍼 가스켓은,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 개의 분리판 사이에 추가로 적층되어, 셀 유닛(100)을 씰링하고 분리판(101) 간에 스토퍼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
상기 하드스토퍼 가스켓은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며, SUS금속 및 유연성을 가지는 고무소재를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덧붙여, 상기 하드스토퍼 가스켓에는, 상기 분리판(101)에 형성된 관통홀(수소유로, 공기유로 등)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하드스토퍼 가스켓이 상기 수소유로 및 공기유로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하드스토퍼 가스켓은 상기 분리판의 외측 가장자리와 관통홀의 가장자리를 씰링하여, 외부물질(냉각수, 수분 등)로부터 상기 분리판 및 셀 유닛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상기 하디스토퍼 가스켓은 상기 분리판의 내, 외측을 이중으로 씰링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드스토퍼 가스켓은, 상기 분리판과 분리판이 적층 될 경우, 상기 분리판에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을 분산시키는 완충재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 5개의 분리판(101)이 적층되어 하나의 셀 유닛(100)을 이루도록 하였으나, 상기 셀 유닛을 이루는 분리판의 개수 등은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달리 되어질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200)는 복수 개의 셀 유닛(100)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며, 지지부(200)의 사이에 결합된 복수 개의 셀 유닛(100)과 냉각판(300), 유입 통로(400) 및 토출 통로(500)를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200) 중 셀 유닛(100)의 상부에 위치한 상측 지지부(200)에는 복수의 셀 유닛(100)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릴리프 스프링(210)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00)와 냉각판(300)의 각 모서리에는 클램핑 홀(h)이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클램핑 홀(h)은 지지부(200)와 냉각판(30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릴리프 스프링(210)의 위치 및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셀 유닛(100)을 구성하는 분리판에 일정한 압력 분포가 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200)는 복수 개의 셀 유닛(100)의 상부와 하부 외에 복수 개의 셀 유닛(100)의 중간에 위치하여 결합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간 지지부(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지지부는 상하부에 배치된 지지부(200)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판으로써,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1000)은 고온에서 운전되는 특성상, 저온 PEMFC 스택에 비하여 열팽창의 정도가 크다.
따라서, 셀 유닛(100)을 구성하는 분리판(101)이 열팽창에 의해 파손될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위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리판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으나, 분리판(101)이 두꺼워지게 되면 단순히 셀 유닛(100)의 상하부에 배치된 지지부(200)만으로는 고정하기에 무리가 있으므로, 추가적으로 셀 유닛(100)의 중앙에 중간 지지부를 삽입함으로써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애노드 유입 포트(A_in)와, 애노드 토출 포트(A_out)와, 캐소드 유입 포트(C_in) 및 캐소드 토출 포트(C_out)에 대응되는 유입 및 토출 포트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셀 유닛(100)과 지지부(200)는 최적의 공간 활용성을 위하여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변에 제1 냉매 유입 포트(201)와 제1 냉매 토출 포트(203)가 형성되고, 다른 한 변에 제2 냉매 유입 포트(202)와 제2 냉매 토출 포트(204)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냉매 유입 포트(201)와 제1 냉매 토출 포트(203)는 제2 냉매 유입 포트(202)와 제2 냉매 토출 포트(204)와 서로 바주보는 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냉매 유입 포트(201)와 제2 냉매 유입 포트(202)는 후술할 유입 통로(400)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냉매 토출 포트(203)와 제2 냉매 토출 포트(204)는 토출 통로(500)에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판(300)은 본 발명의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1000)에서 발생되는 열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외부 매니폴드 방식으로 냉매를 유동시킴으로써, 셀 유닛(100)에서 발생되는 열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판(300)은 복수 개의 셀 유닛(100) 사이에 배치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며, 일부가 셀 유닛(100)의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320)와, 상기 돌출부에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공(310)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냉각판(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유닛(100)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방향이 일정한 패턴을 가지도록 반복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의 돌출 방향이 서로 대향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냉각판(300)은 셀 유닛(100)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냉각판(301)과, 셀 유닛(100)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냉각판(30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냉각판(301)은 본 발명의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1000)의 하부에서 홀수 번째에 배치되어 셀 유닛(100)의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제2 냉각판(302)은 제1 냉각판(301)에 대향되는 방향인 셀 유닛(100)의 좌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제1 냉각판(301)과 제2 냉각판(302)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냉각판(300)에는 한 쌍의 결합공(310)이 형성되며, 한 쌍의 결합공(310)은 유입 통로(400)가 결합되는 제1 결합공(311)과 토출 통로(500)가 결합되는 제2 결합공(31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냉각판(300)의 재질은 셀 유닛(100)의 재질보다 강도가 높은 금속 재질, 일 예로, SUS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냉각판에 비하여 기계적인 강도가 높아지므로, 고온의 운전 조건하에서도 냉각판(300)이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경우, 셀 유닛의 내부에 일체로 냉각 유로를 형성하여 내부 매니폴드형 냉각 구조를 갖도록 하였으나, 고온의 운전조건으로 인하여 냉각 유로가 파손되면서, 냉매가 누출되어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셀 유닛으로는 다공성 매질 및 다공성 매질을 메우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흑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온 PEMFC 스팩에서는 표면 장력이 높은 물을 냉매로 사용하므로 크게 문제되지 않으나, 고온 PEMFC 스택에서는 냉매로 비등점이 높은 오일을 사용하므로, 오일의 높은 온도 및 낮은 표면 장력으로 인하여 이종 재질로 이루어진 분리판 자체의 내부로 오일이 침투하여 스며드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실시예와 같이 셀 유닛(100)을 구성하는 각각의 분리판이 냉매 유로를 포함하지 않도록 외부 매니폴드형 냉각 방식을 갖추고, 기계적 강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독립형 냉각판(300)을 이용하면, 분리판(101)의 파손 기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으며, 파손되더라도 직접적으로 분리판으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월등하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판(300) 및 셀 유닛(100)이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될 경우, 같은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양 표면 사이에 접촉 저항이 크므로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냉각판(300) 및 셀 유닛(100) 사이에 완충 레이어(도면 미도시)를 삽입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1000)은 냉각판(30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완충 레이어가 배치되며, 완충 레이어는 전도성이 높고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완충 레이어는 기체확산층(Gas Diffusion Layer, GDL), 미세다공층(MPL)이 적층된 기체확산층(GDL), 그라포일 및 메탈 폼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확산층(GDL)은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탄소종이(Carbon Paper)나 탄소 천(Carbon Cloth)등과 같은 다기공성 탄소 기재로 형성되며, 가스확산층은 우수한 전기 전도성과 기공 구조를 가지고 있어 분리판(101)과의 접촉 저항을 낮출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유입 통로(400)는 제1 결합공(311)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냉각판(300)으로 각각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도록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입 통로(400)는 제1 냉각판(301)의 제1 결합공(311)에 결합되는 제1 유입 통로(401)와, 제2 냉각판(302)의 제1 결합공(311)에 결합되는 제2 유입 통로(402)와, 제1 유입 통로(401)와 제2 유입 통로(402)를 연결하며 냉매를 제1 유입 통로(401)와 제2 유입 통로(402)에 각각 안내하는 제1 연결 통로(40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 통로(500)는 제2 결합공(312)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냉각판(300)으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토출 통로(500)는 제1 냉각판(301)의 제2 결합공(312)에 결합되는 제1 토출 통로(501)와, 제2 냉각판(302)의 제2 결합공(312)에 결합되는 제2 토출 통로(502)와, 제1 토출 통로(501)와 제2 토출 통로(502)를 연결하며 제1 토출 통로(501)와 제2 토출 통로(502)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연결 통로(50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냉각판(301)은 도 4를 추가로 참조하면, 제1 유입 통로(401)와 제1 토출 통로(501)와 각각 연결되며, 내부에 형성된 냉매 유로와 연통되는 제1 결합공(311) 및 제2 결합공(312)이 형성된다.
제1 냉각판(301)에서는 제1 유입 통로(401)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는 복수 개의 제1 냉각판(301)에 형성된 각각의 제1 결합공(311)으로 유입되고, 각각의 제1 냉각판(301)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셀 유닛(100)에서 발생된 열을 제거하며, 각각의 제2 결합공(312)을 통하여 제1 토출 통로(501)로 토출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냉각판(302)은 제2 유입 통로(402)와 제2 토출 통로(502)와 각각 연결되며, 내부에 형성된 냉매 유로와 연통되는 제1 결합공(311) 및 제2 결합공(3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냉각판(302)에서는 제1 유입 통로(402)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는 복수 개의 제2 냉각판(302)에 형성된 각각의 제1 결합공(311)으로 유입되고, 각각의 제2 냉각판(302)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셀 유닛(100)에서 발생된 열을 제거하며, 각각의 제2 결합공(312)을 통하여 제2 토출 통로(502)로 토출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개의 외부 매니폴드형 냉각 구조에 의하면, 서로 반대편에서 각각 지그재그 형태로 냉매가 유동하면서 셀 유닛(100)을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냉매 유입 통로 및 냉매 토출 통로를 각각 복수 개로 설치함으로써, 냉매 유입 통로(400) 및 토출 통로(500)를 각각 복수 개로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유입 통로 및 토출 통로가 형성된 것에 비하여 냉매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 통로(400)는 냉각판(30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 연결관(410)와, 냉각판(300)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2 연결관(420)와, 제1 연결관(410) 및 제2 연결관(420)의 외주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원통관(430)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연결관(410)는 냉각판(300)의 돌출부(320) 하면에 결합되고, 결합공(310)에 연통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관(420)은 냉각판(300)의 돌출부(320) 상면에 결합되며, 결합공(310)에 연통되면서, 제2 연결관(420)의 상면이 상기 제1 연결관(410)의 하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관(410) 및 제2 연결관(420)는 돌출부(320)에 용접을 통해 결합되며, 돌출부(320)와 연결관(410) 사이로 냉매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통관(430)은 제1 연결관(410)과 제2 연결관(420)의 외주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제1 연결관(410)의 하부와 제2 연결관(420)의 상부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원통관(430)은 PEEK(Poly Ether Ether Ketone) 재질로 이루어지며, PEEK 재질은 연속 사용 온도가 250℃에 달하며, 고온 PEMFC 스팩에서 내열성, 내화학성 및 내마모성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원통관(430)은 제1 연결관(410)의 하부와 제2 연결관(420)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연결관(431)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원통관(430)은 상부에 위치한 냉각판(300)의 하면과, 하부에 위치한 냉각판(300)의 상면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관(410)의 외주면과 원통관(430)의 내주면 사이 및 제2 연결관(420)의 외주면과 원통관(420)의 내주면 사이에는 패킹 유닛(440)이 결합되며, 상기 패킹 유닛(440)은 제1 및 제2 연결관(410, 420)과 원통관(430) 사이로 냉매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1 및 제2 연결관(410, 420)과 원통관(430)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관(431)은 제1 연결관(410)의 하면과 제2 연결관(420)의 상면이 접촉되지 않도록 사이에 형성되며, 하측 냉각판(300)의 상면에 제2 연결관(420)가 용접된 상태에서 원통관(430)을 제2 연결관(420)의 상부로 결합시키고, 제1 연결관(410)를 원통관(430)의 상부로 삽입하여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토출 통로(500)는 상기 유입 통로(400)와 동일하게 제1 연결관(510), 제2 연결관(520) 및 원통관(530)으로 구성되어 냉각판(300)과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 통로(400) 및 토출 통로(50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연결관, 제2 연결관 및 원통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입 통로(400) 및 토출 통로(500) 모두 제1 연결관, 제2 연결관 및 원통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 통로(400) 및 토출 통로(500)는 제1 연결관(410), 제2 연결관(420) 및 원통관(430)으로 이루어져 냉각판(300)과 결합이 용이하며, 제1 및 제2 연결관(410, 420)과 냉각판(300) 사이에는 용접을 통해 결합되므로 냉매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및 제2 연결관(410, 420)과 원통관(430) 사이에는 패킹 유닛(440)이 개재되어 냉매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통관(430) 내부에 이동되는 냉매의 온도 변화에 따른 부피 팽창 및 수축에 의해 파손 시 원통관(430)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조립 후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
100 : 복수 개의 셀 유닛 101 : 분리판
200 : 지지부 201 : 제1 냉매 유입 포트
202 : 제2 냉매 유입 포트 203 : 제1 냉매 토출 포트
204 : 제2 냉매 유출 포트 210 : 릴리프 스프링
300 : 냉각판 310 : 결합공
311 : 제1 결합공 312 : 제2 결합공
320 : 돌출부 400 : 유입 통로
401 : 제1 유입 통로 402 : 제2 유입 통로
403 : 제1 연결 통로 410 : 제1 연결관
420 : 제2 연결관 430 : 원통관
431 : 연결관 440 : 패킹 유닛
500 : 토출 통로 501 : 제1 토출 통로
502 : 제2 토출 통로 503 : 제2 연결 통로

Claims (2)

  1. 상하로 적층된 복수 개의 분리판과, 상기 분리판과 분리판 사이에 적층되는 하드스토퍼 가스켓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셀 유닛;
    상기 복수 개의 셀 유닛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복수 개의 셀 유닛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일부가 상기 셀 유닛의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공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냉각판;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 개의 냉각판으로 각각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유입 통로; 및
    상기 유입 통로에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냉각판으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토출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스토퍼 가스켓은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며, SUS금속 및 유연성을 가지는 고무소재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
KR1020190171771A 2019-12-20 2019-12-20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 KR102284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771A KR102284615B1 (ko) 2019-12-20 2019-12-20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771A KR102284615B1 (ko) 2019-12-20 2019-12-20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711A true KR20210079711A (ko) 2021-06-30
KR102284615B1 KR102284615B1 (ko) 2021-08-02

Family

ID=76602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771A KR102284615B1 (ko) 2019-12-20 2019-12-20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6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434B1 (en) * 2003-01-29 2003-10-04 Fuelcell Power Inc Polymer electrolyte-type fuel cell having reliable sealing structure
KR101768128B1 (ko) 2016-02-16 2017-08-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독립형 냉각판을 구비하는 고온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지 스택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434B1 (en) * 2003-01-29 2003-10-04 Fuelcell Power Inc Polymer electrolyte-type fuel cell having reliable sealing structure
KR101768128B1 (ko) 2016-02-16 2017-08-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독립형 냉각판을 구비하는 고온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지 스택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615B1 (ko)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128B1 (ko) 독립형 냉각판을 구비하는 고온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지 스택 및 그 제조 방법
US6974648B2 (en) Nested bipolar plate for fuel cell and method
US6528196B1 (en) Fuel cell stack having bent section flow passage grooves
JP4789949B2 (ja) 水素生成のためのアノードセパレータプレート、イオンポンプ、及びアノードセパレータプレート形成方法
CN107732278B (zh) 燃料电池堆组件
RU2351041C2 (ru) Распределение газа в топливных элементах
CN101281973B (zh) 带有整合的负荷传递结构的密封水蒸气传递单元组件
RU2545508C2 (ru) Компресс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опливных или электролитических элементов в батарее топл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или в батарее электролитических элементов
KR102105588B1 (ko) 균일한 가스 분배를 위한 박판 기반 엠보싱 구조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US20180131016A1 (en) Metal bead seal tunnel arrangement
US8722271B2 (en) Flow field plate with relief ducts for fuel cell stack
CN101331632B (zh) 燃料电池和密封垫
JP5063350B2 (ja) オフセットを有するバイポーラプレート
US20240105967A1 (en) Bipolar plate for fuel cell stack
US20090110991A1 (en) Bipolar plate and fuel cell stack including the same
KR101095664B1 (ko) 에어브리더 및 이를 가지는 연료전지
US8298714B2 (en) Tunnel bridge with elastomeric seal for a fuel cell stack repeating unit
US20110008703A1 (en) Fuel cell with dead-end anode
KR102284615B1 (ko)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
US7871732B2 (en) Single reactant gas flow field plate PEM fuel cell
KR101979837B1 (ko)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KR20230081981A (ko) 고온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지 스택
US20080145741A1 (en) Fuel battery cell and fuel cell stack
US10964956B2 (en) Fuel cell stack assembly
KR20230081982A (ko) 연료전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