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673A -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 고강도 강섬유 및 이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 고강도 강섬유 및 이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673A
KR20210079673A KR1020190171698A KR20190171698A KR20210079673A KR 20210079673 A KR20210079673 A KR 20210079673A KR 1020190171698 A KR1020190171698 A KR 1020190171698A KR 20190171698 A KR20190171698 A KR 20190171698A KR 20210079673 A KR20210079673 A KR 20210079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wire rod
steel fiber
strength steel
excl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2327B1 (ko
Inventor
양요셉
이만재
박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71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327B1/ko
Priority to US17/786,511 priority patent/US20230031552A1/en
Priority to EP20900918.2A priority patent/EP4060071A4/en
Priority to CN202080093191.4A priority patent/CN114981463B/zh
Priority to PCT/KR2020/015532 priority patent/WO2021125554A2/ko
Publication of KR20210079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02Drawing metal wire or like flexible metallic material by drawing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drum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02Hardening articles or materials formed by forging or rolling, with no further heating beyond that required for the form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2Hardening by 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6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8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for concrete reinfor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25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for wire, for ro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성 가공 중 LP 열처리 없이 1,500MPa 이상의 고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강섬유용 선재, 강섬유 및 이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는 중량%로, C: 0.01 내지 0.03%, Si: 0.05 내지 0.15%, Mn: 1.0 내지 2.0%, P: 0.05 내지 0.15%, Al: 0.005% 이하(0은 제외), N: 0.01% 이하(0은 제외), S: 0.03% 이하(0은 제외), Sn: 0.02 내지 0.08%,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은 페라이트 단상이다.

Description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 고강도 강섬유 및 이들의 제조 방법 {WIRE ROD FOR HIGH STRENGTH STEEL FIBER, HIGH STRENGTH STEEL FI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 고강도 강섬유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선 중 LP 열처리를 수행하지 않고도 1,50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강섬유용 선재, 강섬유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섬유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최종 성형을 위한 굴곡 특성이 요구되나,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특성은 강도이다. 현재까지는 1,000 내지 1,100Mpa의 인장강도를 갖는 연강선이 요구되었으나, 화약폭발 방식이 아닌 NATM 터널 시공 방식이 최근에 조명 받으면서 1,500Mpa 이상의 고강도 강섬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탄소강에서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는 Hall-Petch Eq.에 따라 결정립 사이즈를 줄이는 방법과, 가공량의 인가를 통해 강도를 확보하는 방법이 있다. 특히, 신선가공을 통해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은 가장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인 방법이다.
한편, 선재의 미세조직이 펄라이트로만 구성되는 경우에는, 신선 가공시 강도는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한다. 펄라이트 내부 세멘타이트가 소성변형을 거치면서도, 세멘타이트 분해에 따른 탄소와 전위와의 결합에 의한 강도증가가 동반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펄라이트와 페라이트가 공존하거나 또는 페라이트 분율이 큰 경우에는, 펄라이트가 상대적으로 경한 상(hard phase)이기 때문에 신선 가공 중 단선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신선 가공 전, 소재에 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LP 열처리(Lead Patenting, 납조 열처리)를 거치는데, 많은 열처리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다. 따라서, 강섬유 제조사들은 LP 열처리를 가급적 생략하고자 하는 추세이므로, 신선 가공 중 단선을 일으키는 펄라이트를 형성하는 고탄소강의 도입을 고려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추가 LP 열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저탄소 성분계의 강섬유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탄소함량을 줄이면서도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강섬유용 선재, 강섬유 및 이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는, 중량%로, C: 0.01 내지 0.03%, Si: 0.05 내지 0.15%, Mn: 1.0 내지 2.0%, P: 0.05 내지 0.15%, Al: 0.005% 이하(0은 제외), N: 0.01% 이하(0은 제외), S: 0.03% 이하(0은 제외), Sn: 0.02 내지 0.08%,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은 페라이트 단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횡단면을 기준으로 -D/4 ~ D/4범위에서, 방위차 각도(Misorientation angle)가 15°이상인 고경각 입계를 갖는, 평균 결정립 크기가 30 내지 50㎛인 페라이트 면적분율이 60 내지 80%일 수 있다. 여기서, D는 선재의 직경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횡단면을 기준으로 -D/4 ~ D/4범위에서, 방위차 각도(Misorientation angle)가 15°이상인 고경각 입계를 갖는, 평균 결정립 크기가 50㎛ 초과인 페라이트 면적분율이 25%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D는 선재의 직경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페라이트 면적분율이 99.5%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장강도가 450 MPa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C: 0.01 내지 0.03%, Si: 0.05 내지 0.15%, Mn: 1.0 내지 2.0%, P: 0.05 내지 0.15%, Al: 0.005% 이하(0은 제외), N: 0.01 % 이하(0은 제외), S: 0.03% 이하(0은 제외), Sn: 0.02 내지 0.08%,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빌렛을 1,050 내지 1,150℃의 가열로에서 90 내지 120분 유지한 후, 압연하여 선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선재를 800 내지 850℃의 온도범위에서 권취하는 단계; 및 상기 선재를 400℃까지 2 내지 5℃/초의 속도로 냉각하고, 180 내지 220℃까지 20 내지 30℃/초의 속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강섬유는, 중량%로, C: 0.01 내지 0.03%, Si: 0.1% 이하(0은 제외), Mn: 1.0 내지 2.0%, P: 0.05 내지 0.15%, Al: 0.01 내지 0.05%, N: 0.01 % 이하(0은 제외), S: 0.03% 이하(0은 제외), Sn: 0.02 내지 0.08%,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인장강도가 1,500MPa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 100D 기준으로, 딜라미네이션(Delamination)이 발생하지 않는 비틀림 횟수가 60회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D는 강선의 직경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4시간 상온시효 후, 인장강도 증가량은 40 MPa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4시간 상온시효 후, 비틀림 횟수 감소량이 2회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강섬유의 제조 방법은,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를 건식 신선하는 단계; 및 직경 0.4 내지 1.0mm까지 습식 신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건식 신선 후 상기 습식 신선 전에 LP 열처리 없이도, 인장강도를 1,500MPa 이상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섬유용 선재를 이용하여 강섬유 강선을 제조할 경우, 저탄소 성분계에서도 1,500MPa 이상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신선 중 연성회복공정인 LP 열처리를 생략할 수 있어, 제조 공정상의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 고강도 강섬유를 사용할 경우 기존 터널 시공 시 화약 폭발이 아닌 NATM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터널 무너짐 방지 및 터널 수명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합금원소별 전위와의 결합에너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터널 시공 시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보강 강섬유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경한 상(hard phase)인 펄라이트 조직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 탄소 함량을 낮추는 것과 탄소 함량 저감에 따른 강도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신선가공 중 단선을 발생시키는 펄라이트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 탄소의 함량을 극저로 제어하고, P 함량을 증가시켜 강도를 확보하면서도 Sn 을 첨가하여 동적 및 정적시효를 억제함에 따라, 추가적인 LP 열처리 없이 신선 가공을 거치더라도 최종 강선에서의 인장강도를 1,500MPa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서는 신선 가공 시 단선을 유발시키는 펄라이트의 형성을 억제하고, 주 조직을 상대적으로 연한 상(soft phase)인 페라이트로 구성하기 위해 탄소 함량을 0.03% 이하로 제어하고자 하였다.
C, N은 0.1% 증량 시 100MPa, P는 80MPa 수준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고강도 강섬유를 제조하기 위해, 미세조직을 전부(Fully) 페라이트로 구성한 상태에서, P를 이용한 고용강화 효과를 도입함으로써 강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한편, 신선 가공 시 페라이트 조직 내 형성되는 전위밀도는 1015개/ nm2 이상으로, 전위는 침입형 원소 즉, C, N와 결합하여 강도를 증가시켜 연성을 낮추고, 이는 신선 가공 시 단선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합금원소별 전위와의 결합에너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Sn은 전위와의 결합력이 Hf 수준으로 높아, N와 전위의 결합을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Sn 함량을 최적화하여 동적 및 정적 시효에 의한 강도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연성회복공정인 LP 열처리를 도입하지 않고도 신선한계를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는, 중량%로, C: 0.01 내지 0.03%, Si: 0.05 내지 0.15%, Mn: 1.0 내지 2.0%, P: 0.05 내지 0.15%, Al: 0.005% 이하(0은 제외), N: 0.01% 이하(0은 제외), S: 0.03% 이하(0은 제외), Sn: 0.02 내지 0.08%,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재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역할 및 그 함량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성분에 대한 %는 중량%를 의미한다.
C의 함량은 0.01 내지 0.03%이다.
탄소(C)는 세멘타이트(Cementite)를 형성하는 원소로서, 세멘타이트는 페라이트(Ferrite)와 함께 층상 구조의 펄라이트(Pearlite)를 형성하는 원소로, 본 발명에서는 선재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0.01% 이상 첨가할 수 있다. 강섬유는 가공사에서 연성을 부여하는 LP열처리 공정없이 건식 신선 후 습식 신선하여 마무리 하는데, C 함량이 과다할 경우, 펄라이트 분율이 1% 이상 초과되어 신선 가공 중 단선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는바, 그 상한을 0.03%로 한정할 수 있다.
Si의 함량은 0.05 내지 0.15%이다.
Si(실리콘)은 페라이트 경화원소로,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용강 내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0.05% 이상 첨가할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모재와 결합력이 우수한 Fe2SiO4를 형성하여 스케잉 박리성 측면에서 불리하고, 페라이트 경화에 의한 습식 신선 시 단선 가능성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는 바, 그 상한을 0.15%로 한정할 수 있다.
Mn의 함량은 1.0 내지 2.0%이다.
Mn(망간)은 은 소입성 향상 및 강 중 S을 제어하기 위해 첨가하는 원소로서, 결정립을 미세화함으로써 선재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1.0% 이상 첨가할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망간편석이 발생하여 신선 시 단선 가능성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는 바, 그 상한을 2.0%로 한정할 수 있다.
P의 함량은 0.05 내지 0.15%이다.
P(인)는 통상적으로 강 중 C함량이 높을 경우 결정립계에 편석하거나, 입계에 FeP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신선 중 단선을 유발하는 바, 불순물로 관리하는 원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C함량이 0.03중량% 이하인 극저탄소강 설계에 따른 강도 보상을 위해 고용강화 효과가 우수한 P를 첨가한다. P는 0.1중량% 첨가 시 강도를 약 90MPa 증가시키는 고용강화 원소로, 본 발명에서는 P를 0.05중량% 이상 첨가하여 목표 강도를 확보한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중심부 편석제어가 어려워 그 상한을 0.15%로 한정할 수 있다.
Al의 함량은 0.005% 이하(0은 제외)이다.
알루미늄(Al)은 산소와 반응하기 쉬운 원소로, 제강의 탈산 반응에 활용하기 위해 첨가하는 원소이다. 다만, 그 함량이 과도할 경우, 연주시 개재물에 의한 노즐 막힘이 발생하고, 특히 Al2O3 등의 경질 개재물이 형성되어, 신선 중 가공 단선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어, 그 상한을 0.005%로 한정할 수 있다.
N의 함량은 0.01% 이하(0은 제외)이다.
질소(N)는 고용 강화 효과가 있으나, 그 함량이 과다하면 전위와 N의 결합으로 시효강도가 증가하여 소재의 연성이 열위해지고, 제조원가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어, 본 발명에서는 그 상한을 0.01%로 한정할 수 있다.
S의 함량은 0.03% 이하(0은 제외)이다.
황(S)은 강 제조과정 중에 불가피하게 첨가되는 원소로서, 결정립계에 MnS 개재물을 형성하여 가공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어, 그 상한을 0.03%로 한정할 수 있다.
Sn의 함량은 0.02 내지 0.08%이다.
주석(Sn)은 전위와 결합 에너지가 높은 원소로, 신선 가공 중 페라이트 내부에 형성되는 전위가 N 및 C와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동적 및 정적 시효에 의한 소재의 강도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 Sn을 0.02% 이상 첨가한다. 다만, 그 함량이 과도할 경우, 제조원가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어, 본 발명에서는 그 상한을 0.08%로 한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머지 성분은 철(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의 미세조직은 페라이트 단상이다. 구체적으로, 면적분율로 99% 이상의 페라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C함량이 0.03중량% 이하인 극저탄소강에서, 펄라이트 조직의 형성을 억제하고, 강의 주 조직을 페라이트로 구성함에 따라, 신선 가공 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입계 구조(grain boundary structure)에서, 입계를 사이에 둔 결정립간 방위차(misorientation)를 통해 고경각 입계와 저경각 입계를 구분하고, 고경각 입계의 평균 결정립 크기를 제어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웃 결정립과의 상호 관계를 방위차 각도(Misorientation angle) 값으로 정량화 하였고, 15°를 기준으로 15°이상의 고경각 입계와 15°미만의 저경각 입계로 구분하였다.
선재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결정립을 최대한 미세화하여 상대적인 입계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고경각 입계를 다량 확보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결정립을 미세화하기 위해서는 압연부하가 증가하여 설비 수명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선재의 중심부에서, 방위차 각도가 15°이상인 고경각 입계의 평균 결정립 크기를 제어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선재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D/4 ~ D/4범위에서, 방위차 각도(Misorientation angle)가 15°이상인 고경각 입계를 갖는, 평균 결정립 크기가 30 내지 50㎛인 페라이트 면적분율이 60 내지 80%이다. 여기서, D는 선재의 직경을 의미한다.
선재 표면부는 C 함량이 낮지만, 탈탄, 스케일 등의 불균일 조직이 존재하여 결정립 크기 차이가 있으므로, 비교적 균일한 조직을 갖는 -D/4 ~ D/4범위로 한정한 것이다. 또한, 선재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D/4 ~ D/4범위에서, 방위차 각도(Misorientation angle)가 15°이상인 고경각 입계를 갖는, 평균 결정립 크기가 50㎛ 초과인 페라이트 면적분율이 25%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의 인장강도는 450MPa 이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인 베어링용 선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선재는 상술한 합금조성을 가지는 빌렛(Billet)을 제작한 후, 이를 재가열 - 선재 압연 - 권취 - 냉각 과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C: 0.01 내지 0.03%, Si: 0.05 내지 0.15%, Mn: 1.0 내지 2.0%, P: 0.05 내지 0.15%, Al: 0.005% 이하(0은 제외), N: 0.01 % 이하(0은 제외), S: 0.03% 이하(0은 제외), Sn: 0.02 내지 0.08%,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빌렛을 1,050 내지 1,150℃의 가열로에서 90 내지 120분 유지한 후, 압연하여 선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선재를 800 내지 850℃의 온도범위에서 권취하는 단계; 및 상기 선재를 400℃까지 2 내지 5℃/초의 속도로 냉각하고, 180 내지 220℃까지 20 내지 30℃/초의 속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상술한 조성성분을 갖는 빌렛(Billet)을 제조한 후, 오스테나이트 단상으로 균질화하는 가열 단계를 거친다.
이 때, 가열온도의 범위를 1,050 내지 1,150℃로 한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후속하는 선재 압연의 온도 영역을 확보하고, 빌렛의 미세조직을 오스테나이트 단상으로 확보하기 위해, 빌렛의 가열 온도를 1,050℃ 이상으로 설정하였다. 한편, 상기 가열 온도가 과도할 경우에는, 스케일 생성 및 탈탄 현상으로 인해 표면 품질이 열위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가열 온도의 상한을 1,150℃로 한정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가열은 90분 내지 120분 동안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0분 이상 가열함으로써, 강도 확보를 위한 고용강화 원소를 충분히 고용시킬 수 있다. 한편, 120분을 초과하여 가열하는 경우에는 선재 표면의 탈탄층 깊이가 두꺼워져 압연종료 후 탈탄층이 잔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가열된 빌렛에 조압연, 중간 조압연/사상압연 및 마무리 압연으로 순차적으로 구성된 열간압연을 수행하여 선재를 제조한다.
이이서, 링 형태로 권취하는 단계를 거친다. 본 발명에서 권취 단계는 800 내지 850℃의 온도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권취온도가 800℃ 미만인 경우, 스케일 두께가 얇아 박리성 측면에서 불리하다. 반면에, 권취온도가 850℃를 초과하는 경우, 권취 형상이 적합하지 않고 스케일 두께 또한 크게 증가되지 않기 때문에 800 내지 850
Figure pat00001
의 온도범위에서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 후에는 고용 N 및 고용 P의 양을 확보하고, 입계에서의 FeP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 400℃ 이하인 영역에서의 잔류시간을 최소화하는 냉각 방식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상기 권취된 선재를 400℃까지 2 내지 5℃/초의 속도로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냉각 단계에서, 냉각 속도가 2℃/초의 미만인 경우, Reforming tube에 코일이 적취될 때 코일 온도가 높기 때문에, 시험반까지 코일 운송 후 작업자가 핸들링하기 어렵고 이 때문에 코일을 식히기 위한 후속 작업이 요구된다. 반면, 냉각 속도가 5℃/초를 초과하는 경우, 인장강도 확보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기 때문에, 냉각량 증가에 따른 부대비용(전기료 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180 내지 220℃까지 20 내지 30℃/초의 속도로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 속도가 20℃/초의 미만인 경우, 선재 중심부 편석대 자리에 존재하는 결정립계에 FeP가 형성되는 문제가이 있다. 반면, 냉각 속도가 30℃/초를 초과하는 경우, 설비 냉각능의 한계로 이를 초과하여 송풍을 인가할 수 없고, 설비투자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냉각된 선재의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99% 이상의 페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에 따라 제조된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는 인장강도가 450MPa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고강도 강섬유는, 상기 제조된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를 신선 가공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고강도 강섬유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를 건식 신선하는 단계; 및 직경 0.4 내지 1.0mm까지 습식 신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강섬유 강선은 건식 신선 및 습식 신선 후 총 감면율 92.4% 이상에서 인장강도가 1,500MPa 이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는 주 조직이 페라이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건식 신선 후 LP 열처리 수행 없이도 습식 신선 시 강선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C, N, P, Sn 을 제어한 성분계 조성을 통해 기존 강섬유용 강선에 요구되는 수준에 해당하는 1,50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강도 강섬유는 100D(D는 강선의 직경) 기준으로 딜라미네이션(Delamination)이 발생하지 않는 비틀림 횟수가 60회 이상으로 비틀림 특성 또한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시예
표 1에 기재된 합금조성을 만족하는 강을 전로에서 제강한 다음, 통상적인 조건에서 주조(1.8m/분)하여 연주 빌렛(단면: 160*160mm2)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가열로 온도 1,090℃에서 90분 동안 유지한 후 선경 5.5mm로 선재 압연을 실시하였다. 이후 압연된 선재를 850℃에서 권취한 후 400℃까지 3℃/s로 냉각하고, 이후 FeP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 200℃까지 23℃/s로 균일하게 냉각하였다. 제조된 선재는 기계적 박리법을 이용하여 표면에 존재하는 스케일을 일부 제거하였으며, 선속 2.0m/s로 건식 신선 하였다.
(중량%)  C P Mn Sn Si Al N S
실시예1 0.020 0.120 1.500 0.050 0.100 0.005 0.008 0.020
실시예2 0.020 0.120 1.800 0.049 0.120 0.005 0.007 0.022
실시예3 0.021 0.110 1.520 0.030 0.100 0.005 0.007 0.022
실시예4 0.023 0.110 1.500 0.080 0.120 0.003 0.006 0.021
비교예1 0.008 0.110 1.510 0.050 0.110 0.004 0.007 0.023
비교예2 0.035 0.110 1.500 0.049 0.110 0.004 0.008 0.023
비교예3 0.021 0.040 1.510 0.051 0.110 0.004 0.007 0.021
비교예4 0.022 0.210 1.500 0.050 0.120 0.005 0.007 0.022
비교예5 0.021 0.110 0.800 0.049 0.110 0.004 0.008 0.020
비교예6 0.022 0.120 2.100 0.048 0.100 0.004 0.007 0.019
비교예7 0.020 0.120 1.490 0.010 0.110 0.004 0.008 0.020
비교예8 0.020 0.130 1.520 0.100 0.110 0.004 0.007 0.023
비교예9 0.021 0.120 1.500 0.052 0.200 0.005 0.006 0.020
비교예10 0.021 0.110 1.520 0.049 0.120 0.020 0.007 0.019
이후,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 선재의 인장강도, 선재 단면부 구체적으로, 횡단면을 기준으로 -D/4 ~ D/4영역에서의 평균결정립 크기에 따른 페라이트 면적분율, 및 펄라이트 형성 유무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 건식 신선재의 인장강도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건식 신선재를 가공량 92.4%의 조건으로 습식 신선 하였다. 이 때, 습식 신선 시 단선 발생 유무를 표 2에 기재하였다.
EBSD 분석 조건으로는, tolerance 15도 설정하고, step 간격을 0.1 um로 설정했을 시, (-D/4 ~ +D/4) 범위에서 <001>, <010>, <100> 방향을 갖는 페라이트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선재
인장강도(MPa)
선재 단면부(-D/4 ~ +D/4)영역에서, 건식 신선재 인장강도
(MPa)
가공단선
유무
결정립 크기 30~50um인
페라이트 분율
(%)
결정립 크기 50um초과
페라이트 분율
(%)
펄라이트 형성
유무
실시예1 480 62 18 없음 1060 없음
실시예2 500 60 17 없음 1130 없음
실시예3 470 62 16 없음 1080 없음
실시예4 480 64 19 없음 1090 없음
비교예1 430 53 24 없음 930 없음
비교예2 550 49 19 형성 1140 발생
비교예3 420 61 19 없음 1020 없음
비교예4 580 62 20 없음 1210 발생
비교예5 420 60 19 없음 1050 없음
비교예6 590 49 18 없음 1220 발생
비교예7 490 64 18 없음 1100 없음
비교예8 490 63 20 없음 1080 없음
비교예9 495 62 21 없음 1070 발생
비교예10 480 60 20 없음 1060 발생
하기 표 3에는 실시예 및 비교예 습식 신선재의 인장강도 및 비틀림 특성을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에서 x는 습식 신선 시 단선이 발생한 경우를 표현한 것이다.
비틀림 실험은 범용 비틀림 시험기(back load: 파단응력x0.2)를 이용하였으며, 시험재의 길이는 100D(D: 강선의 직경)로 설정하였다.
  습식 선선재 인장강도 시효증가에 의한 강도량 습식 선선재 비틀림(회) 1hr시효 습식 선선재
비틀림(회)
24hr시효
(1hr 후)-a (6hr 후)-b (12hr 후)-c (24hr 후)-d (d-a)
실시예1 1530 1550 1560 1560 30 66 64
실시예2 1610 1640 1650 1650 40 63 60
실시예3 1540 1570 1580 1580 40 65 63
실시예4 1540 1560 1570 1570 30 66 65
비교예1 1410 1450 1460 1460 50 69 68
비교예2 x x x x x x x
비교예3 1460 1490 1520 1520 60 67 66
비교예4 x x x x x x x
비교예5 1460 1480 1490 1510 50 67 65
비교예6 x x x x x x x
비교예7 1590 1670 1700 1710 120 61 40
비교예8 1550 1580 1580 1580 30 67 60
비교예9 x x x x x x x
비교예10 x x x x x x x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합금 조성을 만족하는 실시예 1 내지 4의 선재는, 신선 가공 시 단선을 유발하는 펄라이트가 형성되지 않았고, 방위차 각도(Misorientation angle)가 15°이상인 고경각 입계를 갖는, 평균 결정립 크기가 30 내지 50㎛인 페라이트의 면적분율을 60% 이상으로 확보함에 따라 인장강도가 450 MPa 이상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에는, 건식 신선 후 습식 신선 전에 LP 열처리 없이도, 최종 강선의 인장강도를 1,500MPa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길이 100D(D는 강선의 직경) 기준으로 딜라미네이션(Delamination)이 발생하지 않는 비틀림 횟수가 60회 이상으로 나타나 강선을 꼬아서 제품화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에는, 24시간 상온시효 후, 인장강도 증가량은 40 MPa 이하로, 비틀림 횟수 감소량이 2회 이하로 나타나 정적시효에 따라 발생하는 안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비교예 1은 C 함량이 부족하여, 선재 및 최종 강선의 인장강도 값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경우이다. 반대로, 비교예 2의 경우에는, C 함량이 0.035%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상한인 0.03%를 초과하여 펄라이트가 형성됨에 따라 습식 신선 시 단선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3은 P 함량이 0.04%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하한인 0.05%에 미달함에 따라, 최종 강선 목표 인장강도 값인 1500MPa을 달성하지 못하였다.
비교예 4는 P 함량이 0.21%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상한인 0.15%를 초과하여, 결정립계에서의 P 편석 및 페라이트 경도 증가에 의한 영향으로 습식 신선 시 단선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5은 Mn 함량이 0.8%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하한인 1.0%에 미달함에 따라, 최종 강선 목표 인장강도 값인 1500MPa을 달성하지 못하였다.
비교예 6은 Mn 함량이 2.1%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상한인 2.0%를 초과하여, 망간편석이 발생함에 따라 습식 신선 시 단선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주요 원소인 Sn의 첨가 효과는 비교예 7 및 비교예 8에서 확인할 수 있다. 표 2를 참조하면, Sn은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소가 아니므로 선재, 건식 신선재에서 강도의 차이는 없다. 다만, 비교예 7은 Sn 함량이 0.01%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하한인 0.02%에 미달함에 따라, 최종 습식 신선 후 상온 시효를 거치면서 인장강도가 1590MPa에서 1710MPa로 크게 증가하고, 비틀림 횟수도 61회에서 40회로 크게 감소하여 시효현상을 고려한 기계적 특성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었다.
비교예 9는 Si 함량이 0.2%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상한인 0.15%를 초과하여, 페라이트 경도 증가에 의한 영향으로 습식 신선 시 단선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10은 Al 함량이 0.02%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상한인 0.005%를 초과하여, 경질 개재물이 형성되어, 습식 신선 시 단선이 발생하였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에 기재하는 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중량%로, C: 0.01 내지 0.03%, Si: 0.05 내지 0.15%, Mn: 1.0 내지 2.0%, P: 0.05 내지 0.15%, Al: 0.005% 이하(0은 제외), N: 0.01% 이하(0은 제외), S: 0.03% 이하(0은 제외), Sn: 0.02 내지 0.08%,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은 페라이트 단상인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
  2. 제1항에 있어서,
    횡단면을 기준으로 -D/4 ~ D/4범위에서,
    방위차 각도(Misorientation angle)가 15°이상인 고경각 입계를 갖는, 평균 결정립 크기가 30 내지 50㎛인 페라이트 면적분율이 60 내지 80%인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
    (여기서, D는 선재의 직경을 의미한다.)
  3. 제1항에 있어서,
    횡단면을 기준으로 -D/4 ~ D/4범위에서,
    방위차 각도(Misorientation angle)가 15°이상인 고경각 입계를 갖는, 평균 결정립 크기가 50㎛ 초과인 페라이트 면적분율이 25% 이하인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
    (여기서, D는 선재의 직경을 의미한다.)
  4. 제1항에 있어서,
    페라이트 면적분율이 99.5% 이상인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
  5. 제1항에 있어서,
    인장강도가 450 MPa 이상인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
  6. 중량%로, C: 0.01 내지 0.03%, Si: 0.05 내지 0.15%, Mn: 1.0 내지 2.0%, P: 0.05 내지 0.15%, Al: 0.005% 이하(0은 제외), N: 0.01 % 이하(0은 제외), S: 0.03% 이하(0은 제외), Sn: 0.02 내지 0.08%,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빌렛을 1,050 내지 1,150℃의 가열로에서 90 내지 120분 유지한 후, 압연하여 선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선재를 800 내지 850℃의 온도범위에서 권취하는 단계; 및
    상기 선재를 400℃까지 2 내지 5℃/초의 속도로 냉각하고, 180 내지 220℃까지 20 내지 30℃/초의 속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의 제조방법.
  7. 중량%로, C: 0.01 내지 0.03%, Si: 0.1% 이하(0은 제외), Mn: 1.0 내지 2.0%, P: 0.05 내지 0.15%, Al: 0.01 내지 0.05%, N: 0.01 % 이하(0은 제외), S: 0.03% 이하(0은 제외), Sn: 0.02 내지 0.08%,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인장강도가 1,500MPa 이상인 고강도 강섬유.
  8. 제7항에 있어서,
    길이 100D 기준으로, 딜라미네이션(Delamination)이 발생하지 않는 비틀림 횟수가 60회 이상인 고강도 강섬유.
    (여기서, D는 강선의 직경을 의미한다.)
  9. 제7항에 있어서,
    24시간 상온시효 후, 인장강도 증가량은 40 MPa 이하인 고강도 강섬유.
  10. 제7항에 있어서,
    24시간 상온시효 후, 비틀림 횟수 감소량이 2회 이하인 고강도 강섬유.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를 건식 신선하는 단계; 및
    직경 0.4 내지 1.0mm까지 습식 신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건식 신선 후 상기 습식 신선 전에 LP 열처리 없이도, 인장강도를 1,500MPa 이상 확보할 수 있는 고강도 강섬유의 제조방법.
KR1020190171698A 2019-12-20 2019-12-20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 고강도 강섬유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2312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698A KR102312327B1 (ko) 2019-12-20 2019-12-20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 고강도 강섬유 및 이들의 제조 방법
US17/786,511 US20230031552A1 (en) 2019-12-20 2020-11-06 Wire rod for high-strength steel fiber, high-strength steel fi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20900918.2A EP4060071A4 (en) 2019-12-20 2020-11-06 ROLL ROD FOR HIGH-STRENGTH STEEL FIBER, HIGH-STRENGTH STEEL 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202080093191.4A CN114981463B (zh) 2019-12-20 2020-11-06 高强度钢纤维用线材、高强度钢纤维和用于制造其的方法
PCT/KR2020/015532 WO2021125554A2 (ko) 2019-12-20 2020-11-06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 고강도 강섬유 및 이들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698A KR102312327B1 (ko) 2019-12-20 2019-12-20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 고강도 강섬유 및 이들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673A true KR20210079673A (ko) 2021-06-30
KR102312327B1 KR102312327B1 (ko) 2021-10-14

Family

ID=7647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698A KR102312327B1 (ko) 2019-12-20 2019-12-20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 고강도 강섬유 및 이들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31552A1 (ko)
EP (1) EP4060071A4 (ko)
KR (1) KR102312327B1 (ko)
CN (1) CN114981463B (ko)
WO (1) WO202112555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2123A (zh) * 2021-10-31 2022-06-14 江苏沙钢集团有限公司 用于刮长丝的低碳钢棉钢纤维用盘条生产方法和盘条
CN114635082A (zh) * 2022-02-24 2022-06-17 包头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钢棉纤维用热轧盘条的生产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430B1 (ko) * 2002-11-15 2007-04-18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피삭성이 우수한 강과 그 제조 방법
KR20160082363A (ko) * 2014-12-26 2016-07-08 주식회사 포스코 쾌삭성이 우수한 연자성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2890A (ko) * 2015-08-19 2017-03-02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피복 강재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7106099A (ja) * 2015-12-03 2017-06-1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破断分離型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用鋼、破断分離型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20190123303A (ko) * 2017-02-28 2019-10-31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절삭 가공용 선재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140A (ja) * 1998-04-21 2000-01-11 Kobe Steel Ltd 線状または棒状鋼、および機械部品
JP3409055B2 (ja) * 1998-10-16 2003-05-19 浦項綜合製鐵株式会社 伸線加工性が優れた高強度鋼線用線材及び高強度鋼線の製造方法
DE60114139T2 (de) * 2000-06-07 2006-07-20 Nippon Steel Corp. Stahlrohr mit hoher verformbarkeit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JP2007284774A (ja) * 2006-04-20 2007-11-01 Jfe Bars & Shapes Corp 耐遅れ破壊特性および冷間加工性に優れる線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562428B (zh) * 2011-05-25 2015-11-25 新日铁住金株式会社 冷轧钢板及其制造方法
JP6180351B2 (ja) * 2013-03-28 2017-08-1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生引き性に優れた高強度鋼線用線材および高強度鋼線
KR101611724B1 (ko) * 2014-09-04 2016-04-14 주식회사 포스코 고강도 선재 및 강선과 그 제조 방법
KR20160082608A (ko) * 2014-12-26 2016-07-08 주식회사 포스코 연신율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이를 이용한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
KR101819371B1 (ko) * 2016-10-04 2018-01-17 주식회사 포스코 콘크리트 보강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 강선 및 그 제조 방법
KR101917461B1 (ko) * 2016-12-22 2018-11-09 주식회사 포스코 신선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열처리 선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047403B1 (ko) * 2017-12-26 2019-11-22 주식회사 포스코 냉간압조용 선재, 이를 이용한 가공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90078210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절삭성이 우수한 연자성 강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430B1 (ko) * 2002-11-15 2007-04-18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피삭성이 우수한 강과 그 제조 방법
KR20160082363A (ko) * 2014-12-26 2016-07-08 주식회사 포스코 쾌삭성이 우수한 연자성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2890A (ko) * 2015-08-19 2017-03-02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피복 강재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7106099A (ja) * 2015-12-03 2017-06-1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破断分離型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用鋼、破断分離型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20190123303A (ko) * 2017-02-28 2019-10-31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절삭 가공용 선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327B1 (ko) 2021-10-14
EP4060071A2 (en) 2022-09-21
WO2021125554A2 (ko) 2021-06-24
CN114981463A (zh) 2022-08-30
EP4060071A4 (en) 2024-02-21
US20230031552A1 (en) 2023-02-02
WO2021125554A3 (ko) 2021-08-12
CN114981463B (zh) 202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1772A (en) Wire rod for high strength and high toughness fine steel wire, high strength and high toughness fine steel wire, twisted products using the fine steel wires, and manufacture of the fine steel wire
JP6485612B1 (ja) 高強度鋼線
KR102312327B1 (ko)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 고강도 강섬유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676109B1 (ko) 신선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및 고강도 강선과 선재의 제조방법
KR20200042118A (ko)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 고강도 강섬유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304744B1 (ko) 고강도 pc강연선용 선재, pc강연선 및 그 제조방법
KR101889178B1 (ko) 고탄소 고강도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69480B1 (ko) 콘크리트 보강 강섬유용 선재, 강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819371B1 (ko) 콘크리트 보강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 강선 및 그 제조 방법
KR102229284B1 (ko)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 고강도 강섬유 및 이들의 제조 방법
CN110819903B (zh) 扭结特性优异的钢丝、钢丝线材及它们的制造方法
KR102467201B1 (ko) 고강도 강섬유용 선재, 고강도 강섬유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839238B1 (ko) 연성이 우수한 고탄소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8602B1 (ko) 비틀림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선의 제조방법
KR101758501B1 (ko) 중심편석이 감소된 선재,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
KR102490054B1 (ko) 강도 및 가공성이 향상된 강섬유용 선재, 강선 및 그 제조 방법
KR102405038B1 (ko) 고강도 강 섬유용 선재, 강선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448751B1 (ko) 충격인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선재, 강선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508884B1 (ko) 도금성이 우수한 초고장력 냉연강판, 용융아연도금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69291A (ko) 강도 및 연화저항성이 향상된 선재, 강선 및 그 제조방법
KR101262454B1 (ko) 고강도 pc강연선용 선재, 신선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240097400A (ko) 강섬유용 선재, 콘크리트 보강용 강섬유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220169248A (ko) 강도 및 연화저항성이 향상된 선재, 강선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4874A (ko) 고탄소 고강도 선재, 이를 이용한 강선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30125980A (ko) 강도가 우수한 고탄소 선재 및 강선과 이들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