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544A -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using induction heating furnace - Google Patents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using induction heating furn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544A
KR20210079544A KR1020190171447A KR20190171447A KR20210079544A KR 20210079544 A KR20210079544 A KR 20210079544A KR 1020190171447 A KR1020190171447 A KR 1020190171447A KR 20190171447 A KR20190171447 A KR 20190171447A KR 20210079544 A KR20210079544 A KR 20210079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heating
crucible
unit
opening
insul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4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5009B1 (en
Inventor
이시화
최수강
이상용
조문규
김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71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009B1/en
Publication of KR20210079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5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0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01B32/205Pr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6Crucible or pot furnaces heated electrically, e.g. induction crucible furnaces with or without any other source of heat
    • F27B14/061Induction furnaces
    • F27B2014/066Construction of the induction furn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2014/0837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01Heating elements or systems
    • F27D99/0006Electric heating elements or system
    • F27D2099/0015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A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is disclosed.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disclosed present invention includes: i) a crucible transfer unit transferring crucibles charged with graphitized materials along a set transfer path; ii) an induction heating unit induction heating the crucibles transferred through the crucible transfer unit in at least one induction heating chamber, and graphitizing the graphitized materials; iii) a cooling unit cooling the crucibles discharged from the induction heating unit to a temperature set in a cooling chamber.

Description

유도 가열을 이용한 연속식 흑연화 장치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USING INDUCTION HEATING FURNACE}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using induction heating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USING INDUCTION HEATING FURNAC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흑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크스 분체 등과 같은 흑연화 재료를 가열하여 흑연화 하는 흑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phitiz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aphitizing apparatus for graphitizing a graphitizing material such as coke powder by heating.

일반적으로, 리튬이온 배터리용 음극재료로 사용되는 흑연계 탄소 재료는 크게 자연에서 생성되어 채굴되는 천연흑연과, 석탄계 및 석유계 피치 등을 열처리 하여 제조되는 인조흑연이 있다.In general, graphite-based carbon materials used as an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include natural graphite that is generated and mined in nature, and artificial graphite manufactured by heat-treating coal-based and petroleum-based pitch.

천연흑연에 비해 수명, 급속충전에 장점을 가지는 인조흑연은, 용량을 천연흑연 수준으로 높이고 제조원가를 낮추기 위해, 흑연화 최적화가 필요하다.Artificial graphite, which has advantages in lifespan and rapid charging compared to natural graphite, requires optimization of graphitization to increase capacity to the level of natural graphite and lower manufacturing cost.

인조흑연 흑연화는 주로 애치슨 로(acheson furnace)를 이용한다. 이 공정은 흑연 도가니에 코크스를 담고 패킹코크스를 덮은 후, 통전, 정전, 냉각, 출로, 도가니 배출 순으로 진행되며, 전력주입 및 유지시간에 따른 전력소모량이 크고 단전 및 냉각 시간을 포함하면,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Artificial graphite graphitization mainly uses an acheson furnace. This process puts coke in a graphite crucible and covers packing coke, and then proceeds in the order of energization, blackout, cooling, exit, and crucible discharge. It is taking time.

이에 따라 종래에는 코크스와 같은 흑연화 재료를 연속으로 흑연화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인조흑연을 제조하는 공정들이 시도되고 있다.Accordingly, conventionally, by continuously graphitizing a graphitizing material such as coke,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graphite more efficiently have been attempted.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Matters described in this background section are prepar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that are no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technology belongs.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가니에 장입된 흑연화 재료를 연속 공정으로 유도 가열하여 흑연화 할 수 있도록 한 연속식 흑연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capable of graphitizing the graphitization material charged in a crucible by induction heating in a continuous proces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흑연화 장치는, ⅰ)흑연화 재료를 장입한 도가니들을 설정된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도가니 이송유닛과, ⅱ)상기 도가니 이송유닛을 통해 이송된 상기 도가니를 적어도 하나의 유도 가열 챔버에서 유도 가열하며, 상기 흑연화 재료를 흑연화 하는 유도 가열유닛과, ⅲ)상기 유도 가열유닛에서 배출된 상기 도가니를 냉각 챔버에서 설정된 온도로 냉각하는 냉각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i) a crucible transport unit for transporting crucibles charged with graphitized material along a set transport path, and ii) at least the crucible transported through the crucible transport unit. An induction heating unit for induction heating in one induction heating chamber and graphitizing the graphitized material, and iii) a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crucible discharged from the induction heating unit to a temperature set in the cooling chamber.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속식 흑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챔버는 상기 도가니 이송유닛과 상기 냉각유닛 사이에 격벽을 통해 복수 개로서 상호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on heating chamber may be provided to be interconnected as a plurality through a partition wall between the crucible transfer unit and the cool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속식 흑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챔버는 상기 이송 경로 측에 형성되는 제1 개폐구와,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제2 개폐구와, 상기 냉각 챔버 측에 형성되는 제3 개폐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on heating chamber includes a first opening/closing opening formed on the transport path side, a second opening/closing opening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and the cooling chamber side. It may include a third opening and closing opening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속식 흑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챔버는 상기 제1,2,3 개폐구를 각각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on heating chamber may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openings,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속식 흑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챔버는 내측 공간으로 비활성 가스 및 반응성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 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on heating chamber may include a gas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n inert gas and a reactive gas into the inner sp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속식 흑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유닛은 상기 유도 가열 챔버의 내부 바닥 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도가니를 지지하는 고정 단열 모듈과, 상기 고정 단열 모듈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단열 모듈과, 상기 가동 단열 모듈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 단열 모듈 상의 상기 도가니를 내측에 두고 감싸는 유도 가열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on heating un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induction heating chamber, and a fixed insulation module supporting the crucible; It may include a movable heat insulation module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dule, and an induction heating coil part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movable heat insulation module and surrounding the crucible on the fixed heat insulation module insi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속식 흑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챔버는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 단열 모듈에 대해 상기 도가니를 로딩 및 언 로딩하는 그리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on heating chamber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and may include a gripper module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cruci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속식 흑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유닛은 상기 도가니와 동일한 소재로서, 상기 가동 단열 모듈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가동 단열 모듈의 하강 시 상기 도가니의 상단에 하단이 위치하는 온도 측정도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on heating unit is the same material as the crucible, and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movable insulation modu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hen the movable insulation module is lowered It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measuring tool having a lower end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crucib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속식 흑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도구는 흑연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폐쇄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is made of a graphite material, and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end and a closed lower en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속식 흑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챔버는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온도 측정도구의 하단을 외부로 노출하는 석영 소재의 투명 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on heating chamber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and may further include a transparent window made of a quartz material exposing the lower end of 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to the outside.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속식 흑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챔버는 상기 온도 측정도구의 하단에서 방사되는 에너지를 상기 투명 창을 통해 감지하여 상기 도가니의 가열 온도를 측정하는 파이로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on heating chamber detects energy radia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to measure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crucible. It may further include a romme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속식 흑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 챔버는 상기 유도 가열유닛에서 배출된 상기 도가니를 내부 공간으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와, 상기 도가니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상기 내부 공간으로 냉각매체를 주입하기 위한 냉각매체 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chamber has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crucible discharged from the induction heating unit into an internal space,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crucible to the outside. and a cooling medium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the cooling medium into the inner sp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속식 흑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 챔버는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chamber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closing memb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nd the outle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속식 흑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냉각 챔버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unit may include a conveyor dispos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in the inner space of the cooling chamb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속식 흑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는 흑연 소재로 이루어지며, 전류 침투 깊이의 0.1~4.0 배를 만족하는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ucible is made of a graphite material, and may be provided with a thickness satisfying 0.1 to 4.0 times the current penetration depth.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속식 흑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서브 도가니들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ub crucibles may be disposed inside the crucibl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흑연화 재료를 유도 가열하며 연속 공정으로 흑연화 할 수 있으므로, 설비 가동률 및 조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흑연화 재료의 가열 설비를 축소함으로써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Sinc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raphitize the graphitized material by induction heating and graphitization in a continuous process, the facility utilization rate and operational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nd the investment cost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heating equipment of the graphitized material.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In addition, the effects obtainable or predic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disclosed directly or implicitly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various effects predi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흑연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흑연화 장치에 적용되는 온도 측정도구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흑연화 장치에 적용되는 도가니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연속식 흑연화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ince these drawings are for reference in describ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a temperature measuring tool applied to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rucible applied to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bar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thickness is enlarged to clearly express various parts and regions.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 reason for dividing the names of components into first, second, etc. is to distinguish them due to the same relationship, and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means, ... part, ... member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of a comprehensive configuration tha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흑연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흑연화 장치(100)는 흑연화 재료로서 석탄계 및 석유계 피치 등을 열처리 하여 인조흑연을 제조하는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process of manufacturing artificial graphite by heat-treating coal-based and petroleum-based pitch as a graphitizing material.

예를 들면, 상기 흑연화 재료로는 코크스 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흑연화 재료를 흑연화 하여 제조된 인조흑연은 리튬이온 전지의 음극재로 활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graphitization material may include coke powder. Artificial graphite prepared by graphitizing such a graphitized material can be used as an anode material for a lithium ion battery.

이하에서는 구성 요소들의 장착 위치를 기준으로 할 때, 상측을 향하는 부분을 상부, 상단, 상면 및 상단부로 정의하며, 하측을 향하는 부분을 하부, 하단, 하면 및 하단부로 정의하기로 한다.Hereinafter, based on the mounting positions of the components, the upper portion is defined as the upper portion, the upper portion,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is defined as the lower portion, the lower portion, the lower surface and the lower portion.

더 나아가, 하기에서의 단(한쪽/일측 단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은 어느 한쪽의 끝으로 정의될 수 있고, 그 끝을 포함하는 일정 부분(한쪽/일측 단부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부)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Furthermore, an end (one/one end or the other/one end) in the following may be defined as either end, and a certain part (one/one end or the other/one end) including the end. may be defin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흑연화 장치(100)는 도가니(1)(당 업계에서는 트레이 라고도 한다)에 장입된 흑연화 재료를 연속 공정으로 유도 가열하여 흑연화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capable of graphitizing the graphitized material charged in the crucible 1 (also referred to as a tray in the industry) by induction heating in a continuous process.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속식 흑연화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도가니 이송유닛(10), 유도 가열유닛(20), 그리고 냉각유닛(70)을 포함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o this end,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crucible transfer unit 10, an induction heating unit 20, and a cooling unit 70, which will be described for each configuration. If you do: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요소들은 베이스 프레임(3)에 구성되는 바, 베이스 프레임(3)은 공정 작업장의 바닥에 공정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하나의 프레임 또는 서로 연결된 둘 이상의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are configured in the base frame 3 , the base frame 3 is disposed along the process direction on the floor of the process workshop, and may be provided as one frame or two or more frames connected to each other.

더 나아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3)은 구성 요소들을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 바아, 로드, 플레이트, 블록, 칼라 등과 같은 각종 부속 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base frame 3 may include various accessory elements such as brackets, bars, rods, plates, blocks, collars, etc. for mounting the components.

그러나, 상기한 부속 요소들은 이하에서 더욱 설명될 각각의 구성 요소들을 베이스 프레임(3)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한 부속 요소들을 베이스 프레임(3)으로 통칭한다.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accessory elements are for installing each component to be further described below on the base frame 3,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exceptional cases, the aforementioned accessory elements are installed on the base frame 3 referred to as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도가니 이송유닛(10)은 흑연화 재료가 장입된 도가니(1)들을 설정된 이송 경로를 따라 공정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ucible transport unit 10 is for transporting the crucibles 1 loaded with the graphitized material in the process direction along a set transport path.

여기서, 상기 도가니(1)는 흑연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폐쇄된 원통 형태로 구비된다.Here, the crucible 1 is made of a graphite material, and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end and a closed lower end.

상기 도가니 이송유닛(10)은 베이스 프레임(3) 상에 설치된 제1 컨베이어(1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컨베이어(11)는 공지 기술의 컨베이어 장치로서, 도가니(1)들을 지지하며 무한 궤도 상으로 공정 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crucible transfer unit 10 includes a first conveyor 11 installed on the base frame (3). The first conveyor 11 is a known art conveyor device, which supports the crucibles 1 and is provided to be traversable along a process direction on a crucib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유도 가열유닛(20)은 도가니 이송유닛(10)을 통해 이송된 적어도 하나의 도가니(1)를 유도 가열 챔버(21, 22)에서 설정된 온도로 유도 가열하며, 흑연화 재료를 흑연화 하기 위한 것이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inductively heats at least one crucible 1 transferred through the crucible transfer unit 10 to a temperature set in the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and graphite It is for graphitizing the graphitization material.

여기서,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이라 함은 시간적으로 변하는 자기장에 의해 폐 회로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유도 가열은 도전체와 같은 가열 대상물 주위에 코일을 배치하여 교류 전류가 흐르도록 하면, 가열 대상물에 와전류 손실과 히스테리시스 손실 등에 의하여 열이 발생되어 가열되는 현상이다.Here, induction heating uses the principle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in which a current flows in a closed circuit by a magnetic field that changes with time. Such induction heating is a phenomenon in which when an alternating current flows by arranging a coil around a heating object such as a conductor, heat is generated and heated in the heating object by eddy current loss and hysteresis loss.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유도 가열은 흑연화 재료가 장입된 도가니(1)의 외부에 유도 가열 코일을 배치하고, 그 유도 가열 코일에 전류를 흘려 도가니(1) 내의 흑연화 재료를 유도 가열시키는 것이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on heating is performed by placing an induction heating coil on the outside of the crucible (1) in which the graphitized material is charged, and flowing a current to the induction heating coil to inductively heat the graphitized material in the crucible (1). will be.

상기 유도 가열 챔버(21, 22)는 베이스 프레임(3) 상에 설치된다. 상기 유도 가열 챔버(21, 22)는 내부에 유도 가열 공간(23)을 형성한다. 상기 유도 가열 챔버(21, 22)는 도가니 이송유닛(10)과 냉각유닛(70) 사이에 배치된다.The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are installed on the base frame 3 . The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form an induction heating space 23 therein. The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are disposed between the crucible transfer unit 10 and the cooling unit 70 .

이러한 유도 가열 챔버(21,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격벽(25)을 통해 복수 개로서 상호 연결되게 구비된다. 복수 개의 상기 유도 가열 챔버(21, 22)들은 공정 방향을 따라 상호 독립적으로 구획된 유도 가열 공간(23)을 형성한다.The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are provided to be interconnected as a plurality through the partition wall 25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form an induction heating space 23 partitioned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along a process direction.

상기 유도 가열 챔버(21, 22)들은 도면에서와 같이 2 개소로서 격벽(25)을 통해 2 영역의 유도 가열 공간(23)을 형성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조흑연의 제조 용량에 따라 격벽(25)들을 통하여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form two regions of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through the partition wall 25 as shown in the drawing,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depending on the manufacturing capacity of the artificial graphite Various numbers may be provided through the partition walls 25 .

이하에서는 도가니 이송유닛(10) 측에 위치하는 유도 가열 챔버(21)를 편의 상 제1 유도 가열 챔버(21)라 하고, 냉각유닛(70) 측에 위치하는 유도 가열 챔버(22)를 제2 유도 가열 챔버(21)라고 한다.Hereinafter, the induction heating chamber 21 located on the crucible transfer unit 10 side is referred to as a first induction heating chamber 21 for convenience, and the induction heating chamber 22 located on the cooling unit 70 side is a second It is called induction heating chamber 21 .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유도 가열 챔버(21)는 도가니 이송유닛(10)의 제1 컨베이어(11) 측에 제1 개폐구(31)를 형성하고, 격벽(25)에는 제2 개폐구(32)를 형성하며, 제2 유도 가열 챔버(22)는 냉각유닛(70) 측에 제3 개폐구(33)를 형성하고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duction heating chamber 21 forms a first opening 31 on the side of the first conveyor 11 of the crucible transfer unit 10 ,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opening on the partition wall 25 . Forming (32), the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 (22) forms a third opening (33) on the cooling unit (70) side.

상기 제1 개폐구(31)는 도가니 이송유닛(10)의 이송 경로 측과 제1 유도 가열 챔버(21)의 유도 가열 공간(23)을 상호 연결한다. 상기 제2 개폐구(32)는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의 유도 가열 공간(23)을 상호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3 개폐구(33)는 냉각유닛(70) 측과 제2 유도 가열 챔버(22)의 유도 가열 공간(23)을 상호 연결한다. 이러한 제1,2,3 개폐구(31, 32, 33)는 공정 방향을 따라 동일 선 상에 위치한다.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opening 31 interconnects the transfer path side of the crucible transfer unit 10 and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of the first induction heating chamber 21 . The second opening 32 interconnects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 In addition, the third opening 33 interconnects the cooling unit 70 side and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of the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 22 . The first, second, and third openings 31, 32, and 33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along the process direction.

나아가, 상기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에는 제1,2,3 개폐구(31, 32, 33)를 각각 개폐시키기 위한 제1 개폐부재(35)가 설치된다. 상기 제1 개폐부재(35)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1,2,3 개폐구(31, 32, 33)를 각각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개폐부재(35)는 유압 실린더 등과 같은 공지 기술의 구동부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Furthermore, a first opening/closing member 3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openings 31, 32 and 33, respectively, is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 The first opening/closing member 35 ma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open and close the first, second, and third openings 31, 32, and 33, respectively. The first opening/closing member 35 may be reciprocal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 known technology driving unit such as a hydraulic cylinder.

더 나아가, 상기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는 유도 가열을 도모하기 위한 비활성 가스 및 반응성 가스를 유도 가열 공간(23)으로 주입하는 가스 주입부(37)를 포함하고 있다.Further,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include a gas injection unit 37 for injecting an inert gas and a reactive gas for induction heating into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

여기서, 상기 비활성(불황성) 가스는 질소 가스 및 아르곤 가스를 포함하며, 반응성 가스는 극 미량의 수소와 극 미량의 산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의 유도 가열 공간(23)에 대해 질소 가스 및 아르곤 가스 중 어느 하나의 가스가 가스 주입부(37)를 통해 각각 주입될 수 있다.Here, the inert (inert) gas may include nitrogen gas and argon gas, and the reactive gas may include a very small amount of hydrogen and a very small amount of oxyge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nitrogen gas and argon gas is injected into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through the gas injection unit 37 , respectively.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의 유도 가열 공간(23)에 대해 질소 가스 및 아르곤 가스가 가스 주입부(37)를 통해 각각 주입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itrogen gas and argon gas may be respectively injected into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through the gas injection unit 37 . .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유도 가열유닛(20)은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로 도입된 도가니(1) 주위에 코일을 배치하여 그 코일에 교류 전류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와전류 손실과 히스테리시스 손실 등에 의한 열로서 가열 대상물의 도가니(1)를 가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il is disposed around the crucible 1 introduc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and an alternating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By doing so, the crucible 1 of the object to be heated can be heated with heat due to eddy current loss and hysteresis loss.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유도 가열유닛(20)은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에 각각 구성되는 고정 단열 모듈(41), 가동 단열 모듈(43) 및 유도 가열 코일부(45)를 포함하고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includes a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1, a movable thermal insulation module 43 and an induction heating coil unit configured in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respectively. (45) is included.

상기 고정 단열 모듈(41)의 각 유도 가열 챔버(21, 22)의 유도 가열 공간(23)에서 내부 바닥 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 단열 모듈(41)은 단열 소재(예를 들면, 세라믹 또는 다공성 흑연 등)로 이루어진 블록 형태로 구비되며, 상면을 통하여 도가니(1)를 지지하게 된다.In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of each induction heating chamber 21, 22 of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1 is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floor surface.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1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lock made of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eg, ceramic or porous graphite, etc.), and supports the crucible 1 through the upper surface.

상기 가동 단열 모듈(43)은 유도 가열 공간(23)에서 고정 단열 모듈(41)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동 단열 모듈(43)은 단열 소재(예를 들면, 세라믹 또는 다공성 흑연 등)로 이루어진 블록 형태로 구비된다.The movable thermal insulation module 43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1 in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 The movable thermal insulation module 4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lock made of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eg, ceramic or porous graphite, etc.).

여기서, 상기 가동 단열 모듈(43)은 유도 가열 공간(23)에 구비된 구동부(47)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부(47)는 공지 기술의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고, 서보 모터의 구동으로서 이동체를 가이드 기구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공지 기술의 이동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Here, the movable thermal insulation module 43 may be install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driving unit 47 provided in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47 may include a hydraulic cylinder of a known art, and may include a moving device of a known art for reciprocating a movable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a guide mechanism as driving a servo motor.

그리고, 상기 유도 가열 코일부(45)는 가동 단열 모듈(43)의 하강 시, 고정 단열 모듈(41) 상의 도가니(1)를 내측에 두고 감쌀 수 있는 것으로, 그 가동 단열 모듈(43)의 하단에 연결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induction heating coil part 45 can wrap the crucible 1 on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1 inside when the movable thermal insulation module 43 is lowered, and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thermal insulation module 43 .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상기 유도 가열 코일부(45)에 설정된 주파수의 교류 전류가 공급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유도 가열 코일부(45)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전자기 유도에 의해 도가니(1) 및/또는 도가니(1) 내의 흑연화 재료에 와전류 손실과 히스테리시스 손실에 의한 열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유도 가열에 의해 흑연화 재료의 열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When an alternating current of a set frequency is supplied to the induction heating coil unit 45, a 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induction heating coil unit 45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rucible 1 and/or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 due to eddy current loss and hysteresis loss is generated in the graphitized material in the crucible 1 , and heat treatment of the graphitized material may be performed by such induction heating.

상기한 유도 가열 코일부(45)는 예를 들어, 다 권형의 코일로서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의 권선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도가니(1)는 고정 단열 모듈(41) 상에서 가동 단열 모듈(43)의 하강에 의해 유도 가열 코일부(45)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induction heating coil unit 45 is, for example, a multi-wound coil, and may have a circular, oval or rectangular winding shape, and the crucible 1 as described above is movable on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1 . It may be located inside the induction heating coil unit 45 by the lowering of the module 43 .

이 경우, 상기 유도 가열 코일부(45)에 교류 전류가 흐름에 따라, 전자기 유도에 의해 도가니(1)에 전류의 흐름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도가니(1) 내측의 흑연화 재료에도 전류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an alternating current flows in the induction heating coil part 45, a current flow occurs in the crucible 1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also current flows in the graphitized material inside the crucible 1 This can happen.

상기 유도 가열 코일부(45)로 흐르는 교류 전류의 주파수는 유도 가열 조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어느 특정한 수치 범위로 한정하지 않는다.Since the frequency of the alternating current flowing to the induction heating coil unit 45 may be set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induction heating condition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ny specific numerical range.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도가니(1)의 두께는 하기의 수식으로 정의되는 전류 침투 깊이(δ)의 0.1~4.0 배를 만족할 수 있다.Here, the thickness of the crucib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atisfy 0.1 to 4.0 times the current penetration depth δ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수식에서 ρ는 도가니의 비저항(resistivity, Ωㅇm)이고, f는 유도 가열 전류의 주파수(Hz)이고,

Figure pat00002
은 도가니의 비투자율,
Figure pat00003
는 진공 투자율(4π x 10-7H/m)이다.In the above formula, ρ is the resistivity (Ω om) of the crucible, f is the frequency (Hz) of the induction heating current,
Figure pat00002
The relative permeability of the silver crucible,
Figure pat00003
is the vacuum permeability (4π x 10 -7 H/m).

상기 도가니(1)의 두께가 상기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고, 그 조건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유도 가열 코일부(45)에 의한 도가니(1)와 흑연화 재료의 전류 흐름이 원활하지 않고, 상기 조건보다 얇은 경우에는 유도 가열 코일부(45)에 의한 자속에 영향을 미쳐 도가니(1) 및/또는 흑연화 재료에 대한 유도 가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If the thickness of the crucible 1 does not satisfy the above conditions, and is thicker than the condition, the current flow between the crucible 1 and the graphitized material by the induction heating coil unit 45 is not smooth, and more than the above conditions If it is thin, induction heating of the crucible 1 and/or the graphitized material may not be performed efficiently by affecting the magnetic flux by the induction heating coil unit 45 .

더 나아가, 도가니의 설정된 사이즈를 기준으로, 유도 가열 주파수가 가변 될 때, 그 유도 가열 주파수가 너무 높으면 전류 침투 깊이가 작아지기 때문에, 흑연화 재료의 외부 표면 부분만 가열되어 외부로의 열 방출이 커져 효율이 낮아지게 되며, 이와 반대로 전류 침투 깊이가 깊으면 즉, 유도 가열 주파수가 너무 낮으면 흑연화 재료의 중앙까지 에너지가 침투되면서 자속이 서로 상쇄되어 이 또한 효율이 낮아지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절한 유도 가열 주파수의 선택은 흑연화 재료로부터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양상과 중앙 부위에서의 자력선 상쇄의 인자를 고려해서 선택하여야 한다.Furthermore, based on the set size of the crucible, when the induction heating frequency is varied, if the induction heating frequency is too high, the current penetration depth becomes small, so only the outer surface part of the graphitized material is heated, so that the heat emission to the outside is reduced. In contrast, if the current penetration depth is deep, that is, if the induction heating frequency is too low, energy penetrates to the center of the graphitized material and the magnetic flux cancels each other out, thereby reducing the efficiency. Accordingly, the selection of an appropriate induction heating frequency should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pattern of heat radiating from the graphitized material to the outside and the factor of offsetting the magnetic field lines in the central region.

또한, 유도 가열 주파수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가니의 사이즈가 너무 작으면, 자속이 상쇄되고, 반대로 도가니의 사이즈가 너무 크면 외부 표면 부분만 가열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induction heating frequency has already been set, if the size of the crucible is too small, the magnetic flux is canceled. Conversely, if the size of the crucible is too large, only the outer surface portion is heated.

그리고, 도가니의 두께가 너무 얇은 경우, 유도 가열 방식에서 코일에 의한 유도 전류에 의해 도가니 측면에 저항 발열이 일어나기 때문에, 도가니의 가장 외곽으로부터 발열되어 소모됨에 따라, 가열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도가니가 버틸 수 있는 시간이 짧아지는 한계가 있다.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crucible is too thin, resistance heating occurs on the side of the crucible by the induced current by the coil in the induction heating method. There is a limit to how short the time it can endure.

따라서, 자속의 상쇄, 도가니의 표면만 가열되지 않도록 적절한 온도 구배, 도가니의 한계 사용 시간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도가니의 두께를 설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crucible can be set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offset of magnetic flux, an appropriate temperature gradient so that only the surface of the crucible is not heated, and the limited use time of the crucible.

이와 같은 도가니(1)의 두께는 도가니(1)의 크기, 흑연화 재료의 종류 및 양, 교류 전류의 주파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느 특정한 수치로 한정하지 않는다.Since the thickness of the crucible 1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rucible 1, the type and amount of graphitized material, the frequency of an alternating current, etc., it is not limited to any specific numerical valu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는 유도 가열 공간(23)에 설치되는 그리퍼 모듈(39)이 설치된다. 상기 그리퍼 모듈(39)은 도가니(1)를 그리핑 하며, 고정 단열 모듈(41)에 대해 그 도가니(1)를 로딩 및 언 로딩하기 위한 것이다.Meanwhile, the gripper module 39 installed in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is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as described above. The gripper module 39 grips the crucible 1 , and is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crucible 1 with respect to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1 .

상기 그리퍼 모듈(39)은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로서 핑거 작동하며, 도가니(1)를 그리핑 하는 공지 기술의 핑거 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과, 그 핑거 수단을 다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지 기술의 다축 이동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축 이동수단은 작동 실린더 및 서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체를 다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The gripper module 39 is a hydraulic cylinder actuated by hydraulic pressure, which is finger-operated, and includes a known art finger means (not shown) for gripping the crucible 1, and a multi-axial movement of the finger means for gripping the crucible 1 . It may include a multi-axis moving means (not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known art for For example, the multi-axis moving means may reciprocate the movable body in a multi-axis direction by driving a working cylinder and a servo motor.

여기서, 상기 그리퍼 모듈(39)은, 제1 유도 가열 챔버(21)의 유도 가열 공간(23)에서 제1 개폐부재(35)를 통해 제1 개폐구(31)를 개방한 상태로, 도가니 이송유닛(10)에 의해 이송된 도가니(1)를 그리핑 하고, 그 도가니(1)를 제1 유도 가열 챔버(21)의 유도 가열 공간(23)으로 이동시키며, 고정 단열 모듈(41) 상에 로딩할 수 있다.Here, the gripper module 39 opens the first opening 31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35 in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of the first induction heating chamber 21, and the crucible transfer unit Gripping the crucible (1) transferred by (10), moving the crucible (1) to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of the first induction heating chamber (21), and loading on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1) can do.

그리고, 상기 그리퍼 모듈(39)은, 제2 유도 가열 챔버(22)의 유도 가열 공간(23)에서 제1 개폐부재(35)를 통해 제2 개폐구(32)를 개방한 상태로, 제1 유도 가열 챔버(21) 내의 고정 단열 모듈(41) 상에 위치하고 있는 도가니(1)를 그리핑 하고, 그 도가니(1)를 제2 유도 가열 챔버(22)의 유도 가열 공간(23)으로 이동시키며, 고정 단열 모듈(41) 상에 로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per module 39 opens the second opening 32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35 in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of the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 22, Grip the crucible (1) located on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1) in the heating chamber (21), and move the crucible (1) to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of the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 (22), It can be loaded onto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1 .

또한, 상기 그리퍼 모듈(39)은, 제2 유도 가열 챔버(22)의 유도 가열 공간(23)에서 제1 개폐부재(35)를 통해 제3 개폐구(33)를 개방한 상태로, 제2 유도 가열 챔버(22) 내의 고정 단열 모듈(41) 상에 위치하고 있는 도가니(1)를 그리핑 하고, 그 도가니(1)를 냉각유닛(7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per module 39 opens the third opening/closing opening 33 through the first opening/closing member 35 in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of the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 22, allowing the second induction The crucible 1 positioned on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1 in the heating chamber 22 may be gripped, and the crucible 1 may be moved to the cooling unit 70 side.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유도 가열유닛(20)은 도가니(1) 및/또는 흑연화 재료의 가열 온도를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게 측정하기 위한 온도 측정도구(51)와 파이로미터(61)를 더 포함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erature measuring tool 51 and a pyrometer (51) for stably and reliably measuring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crucible (1) and/or graphitized material. 61) is further included.

상기 온도 측정도구(51)는 도가니(1)와 동일한 소재(흑연 소재)로서, 가동 단열 모듈(43)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온도 측정도구(51)는 가동 단열 모듈(43)의 하강 시, 고정 단열 모듈(41) 상에 지지된 도가니(1)의 상단에 하단이 위치하게 된다.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51 is the same material (graphite material) as the crucible 1, and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movable insulation module 43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end of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51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crucible 1 supported on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1 when the movable thermal insulation module 43 is lowered.

이러한 온도 측정도구(5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폐쇄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온도 측정도구(51)의 상단부에는 그 상단에서 가장자리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형성하며, 그 플랜지를 통해 가동 단열 모듈(43)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51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end and a closed lower end. At the upper end of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51 , a flange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to the outside of the edge is form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thermal insulation module 43 can be supported through the flange.

여기서, 상기 온도 측정도구(51)의 하단은 가동 단열 모듈(43)의 하단으로 돌출되는데, 그 가동 단열 모듈(43)의 하단에 부착된 마감 판(53)을 관통하며 그 마감 판(53)에 고정된다. 상기한 마감 판(53)은 가동 단열 모듈(43)의 하강 시, 고정 단열 모듈(41) 상에 지지된 도가니(1)의 상단을 폐쇄하는 기능 및 가동 단열 모듈(43)의 하단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Here, the lower end of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51 protrudes to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thermal insulation module 43 , passes through the closing plate 53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thermal insulation module 43 and the closing plate 53 . is fixed on The above-mentioned closing plate 53 has a function of closing the upper end of the crucible 1 supported on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1 and protecting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thermal insulation module 43 when the movable thermal insulation module 43 is lowered. will function.

이와 같은 온도 측정도구(51)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의 상단에는 온도 측정도구(51)의 상단(개방 단)을 통해 하단을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석영 소재의 투명 창(55)이 설치된다.A quartz material for exposing the lower en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end (open end) of the temperature measuring instrument 51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51 as described above of the transparent window 55 is installed.

그리고, 상기 파이로미터(61)는 투명 창(55)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의 외부 상단에 고정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pyrometer 61 is fixedly installed on the outer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to correspond to the transparent window 55 .

상기 파이로미터(61)는 온도 측정도구(51)의 하단에서 방사되는 에너지를 투명 창(55)을 통해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그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도가니(1) 및/또는 흑연화 재료의 가열 온도를 측정하는 고온계로 구비된다.The pyrometer 61 senses the energy radia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51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55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 signal, and processes the electric signal to the crucible 1 and/or graphite It is equipped with a pyrometer to measure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material.

상기 파이로미터(61)는 가열 대상체의 온도에 따라 표면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 에너지의 세기에 의해 가열 대상체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비 접촉식 고온 계기이다.The pyrometer 61 is a non-contact high-temperature instrument that measures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object by the intensity of radiant energy emitted from the surfac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object.

구체적으로, 파이로미터(61)는 가열 대상체로부터 방사 에너지가 생기게 되면, 광학계(optical system)를 통해 방사되는 에너지를 수집한다. 이에 검출기(detector)에서는 수집된 방사 에너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게 되고, 내부 회로에서는 주위 온도 보상 회로 및 방사율 조정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방사율 조정은 가열 대상체의 방사 특성과 온도계 눈금을 일치시키기 위해서 방사율을 조정하는 것이다.Specifically, when radiation energy is generated from a heating object, the pyrometer 61 collects energy radiated through an optical system. Accordingly, the detector converts the collected radiant energy into an electric signal, and the internal circuit undergoes an ambient temperature compensation circuit and emissivity adjustment process. The emissivity adjustment adjusts the emissivity to match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heating object and the thermometer scale. is to adjust

여기서, 흑연화 재료가 흑연화 과정을 거치며 물성이 바뀌게 되면, 방사율이 바뀔 수 있고, 광학계에서 방사되는 에너지를 수집하기 때문에 가열 대상체의 평탄도가 중요하다. 이에 방사율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단이 평탄한 온도 측정도구(51)를 삽입함에 따라, 방사율의 항상성과, 온도 측정 포인트의 평탄도를 확보하여 온도 측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Here, when the graphitized material undergoes a graphitization process and the physical properties are changed, the emissivity may be changed, and since energy radiated from the optical system is collected, the flatness of the heating object is important. Accordingly, by inserting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51 with a flat lower end in a state where the emissivity is set, the stability of the emissivity and the flatness of the temperature measurement point are secured,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emperature measurement.

이러한 파이로미터(61)의 구성은 당 업계에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파이로 복사 고온계 또는 광 온도계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pyrometer 61 is configured of a pyro-radiation pyrometer or an optical thermometer of a well-known technique in the art,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herein.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냉각유닛(70)은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에서 배출된 도가니(1)를 냉각 챔버(71)에서 설정된 온도로 냉각하기 위한 것이다.Fin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unit 70 is configured to cool the crucible 1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to a temperature set in the cooling chamber 71 . will be.

상기에서 냉각 챔버(71)는 베이스 프레임(3) 상에 설치된다. 상기 냉각 챔버(71)는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에서 배출된 도가니(1)를 내부 공간으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73)와, 그 도가니(1)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75)와, 내부 공간으로 냉각매체를 주입하기 위한 냉각매체 주입부(77)를 형성하고 있다.In the above, the cooling chamber 71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3 . The cooling chamber 71 includes an inlet 73 for introducing the crucible 1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into the internal space, and an inlet 73 for discharging the crucible 1 to the outside. An outlet 75 for the purpose and a cooling medium injection unit 77 for injecting the cooling medium into the inner space are formed.

그리고, 상기 냉각 챔버(71)에는 투입구(73)와 배출구(75)를 각각 개폐시키기 위한 제2 개폐부재(79)가 설치된다. 상기 제2 개폐부재(79)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투입구(73)와 배출구(75)를 각각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개폐부재(79)는 유압 실린더 등과 같은 공지 기술의 구동부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A second opening/closing member 79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73 and the outlet 75, respectively, is installed in the cooling chamber 71 . The second opening/closing member 79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open and close the inlet 73 and the outlet 75, respectively. The second opening/closing member 79 may be reciprocal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 known technology driving unit such as a hydraulic cylinder.

상기에서 냉각매체 주입부(77)는 냉각매체로서 질소 가스 또는 아르곤 가스를 냉각 챔버(71)의 내부 공간으로 주입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cooling medium injection unit 77 may inject nitrogen gas or argon gas as a cooling medium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oling chamber 71 .

더 나아가, 상기 냉각유닛(70)은 냉각 챔버(71)의 내부 바닥 측에 설치되는 제2 컨베이어(81)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 컨베이어(81)는 냉각 챔버(71)의 내부 공간에서 투입구(73)와 배출구(75) 사이에 배치된다.Furthermore, the cooling unit 70 further includes a second conveyor 81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side of the cooling chamber 71 . The second conveyor 81 is disposed between the inlet 73 and the outlet 75 in the inner space of the cooling chamber 71 .

상기 제2 컨베이어(81)는 공지 기술의 컨베이어 장치로서, 냉각 챔버(71)의 내부 공간에서 도가니(1)들을 지지하며 무한 궤도 상으로 공정 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제2 컨베이어(81)는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에서 배출된 도가니(1)를 투입구(73) 측에서 배출구(75) 측으로 공정 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다.The second conveyor 81 is a known art conveyor device, which supports the crucibles 1 in the inner space of the cooling chamber 71 and is provided to be traversable along the process direction on a caterpillar. The second conveyor 81 may transport the crucible 1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from the inlet 73 side to the outlet 75 side along the process direction.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흑연화 장치(100)의 작용 및 효과를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ly disclosed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코크스 분체 등과 같은 흑연화 재료를 장입한 도가니(1)들을 도가니 이송유닛(10)의 제1 컨베이어(11)를 통해 설정된 이송 경로를 따라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 측으로 이송시킨다.Firs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ucibles 1 charged with graphitization material such as coke powder ar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ed along a transport path set through the first conveyor 11 of the crucible transport unit 10 . It is transferred to the chamber (21, 22) side.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의 제1,2,3 개폐구(31, 32, 33)는 제1 개폐부재(35)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에서 유도 가열유닛(20)의 가동 단열 모듈(43)은 고정 단열 모듈(41)을 하측에 두고 구동부(47)의 구동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다.Here, the first, second, and third openings 31 , 32 , and 33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are in an open state by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35 . In addition, in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 the movable thermal insulation module 43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puts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1 o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side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47 . moved in the direction.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가니 이송유닛(10)에 의해 이송된 도가니(1)를 그리퍼 모듈(39)을 통해 그리핑 하며, 제1 유도 가열 챔버(21)의 유도 가열 공간(23)에서 고정 단열 모듈(41) 상에 로딩한다.In this stat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ucible 1 transferred by the crucible transfer unit 10 is gripped through the gripper module 39, and the induction heating space of the first induction heating chamber 21 ( 23) in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1 is loaded.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유도 가열 챔버(21)의 유도 가열 공간(23)에서 고정 단열 모듈(41) 상에 로딩되어 있는 도가니(1)를 그리퍼 모듈(39)을 통해 그리핑 하며, 제2 유도 가열 챔버(22)의 유도 가열 공간(23)에서 고정 단열 모듈(41) 상에 로딩한다.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ucible 1 loaded on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1 in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of the first induction heating chamber 21 is gripped through the gripper module 39 . and loaded on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1 in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of the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 22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가니 이송유닛(10)에 의해 이송된 다른 도가니(1)를 그리퍼 모듈(39)을 통해 그리핑 하며, 제1 유도 가열 챔버(21)의 유도 가열 공간(23)에서 고정 단열 모듈(41) 상에 로딩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crucible 1 transferred by the crucible transfer unit 10 is gripped through the gripper module 39, and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of the first induction heating chamber 21 is ) is loaded on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1 i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개폐부재(35)를 통해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의 제1,2,3 개폐구(31, 32, 33) 모두를 폐쇄한다.Nex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openings 31, 32 and 33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are closed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35 do.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동부(47)의 구동에 의해 가동 단열 모듈(43)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유도 가열유닛(20)의 유도 가열 코일부(45)는 고정 단열 모듈(41) 상의 도가니(1)를 내측에 두고 그 도가니(1)의 외 표면 측을 감싸게 된다.The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thermal insulation module 43 is moved downward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47 . Accordingly, the induction heating coil part 45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wraps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crucible 1 with the crucible 1 on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1 inside.

이 경우, 온도 측정도구(51)의 하단은 가동 단열 모듈(43)을 통해 도가니(1)의 상단에 위치하게 되고, 그 가동 단열 모듈(43) 하단의 마감 판(53)은 온도 측정도구(51)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도가니(1)의 상단을 폐쇄한다.In this case, the lower end of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51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crucible 1 through the movable heat insulating module 43, and the closing plate 53 at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heat insulating module 43 is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 51) to close the upper end of the crucible (1) while supporting the lower end.

이 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의 유도 가열 공간(23)에 대해 비활성 가스로서의 질소 가스 및 아르곤 가스를 가스 주입부(37)를 통해 유도 가열 공간(23)으로 각각 주입한다.Thereaft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itrogen gas and argon gas as inert gases are introduced through the gas injection unit 37 to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 Each is injected into the heating space (23).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 중 어느 하나의 유도 가열 공간(23)에 질소 가스를, 다른 하나의 유도 가열 공간(23)에 아르곤 가스를 가스 주입부(37)를 통해 주입할 수 있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itrogen gas is supplied to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and argon gas is supplied to the other induction heating space 23 . It may be injected through the gas injection unit 37 .

부연 설명하면, 분위기 가스에 따라서 같은 온도에서라도 흑연화 재료의 흑연화도에 다른 영향을 줄 수 있고, 흑연화 재료의 종류에 따라서도 분위기 가스에 따른 흑연화도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흑연화 재료를 투입하거나 서로 다른 흑연화도 제어를 위해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에 서로 다른 비활성 가스를 독립적으로 구분하여 주입할 수 있다.To explain further, depending on the atmospheric gas, even at the same temperature, the graphitization degree of the graphitization material may be affected differently, and the type of graphitization material may also affect the graphitization degree depending on the atmospheric gas. Different inert gases may be separately injec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in order to input the graphitization material or to control different graphitization degrees.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에 각각 주입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비활성 가스는 도가니(1)의 크기, 도가니(1)에 장입된 흑연화 재료의 종류 및 양, 유도 가열 공간(23)의 압력 조건, 유도 가열의 주파수 조건 등에 의한 흑연화 재료의 흑연화도 경험 치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In this way, different types of inert gases injec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respectively, are the size of the crucible 1, the type and amount of graphitization material charged in the crucible 1, and induction heating. The graphitization of the graphitized material by the pressure condition of the space 23, the frequency condition of induction heating, etc. can also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experience value.

상기한 가스 주입 과정의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2 개폐구(32)를 제1 개폐부재(35)를 통해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의 유도 가열 공간(23)에 대해 질소 가스 및 아르곤 가스 중 어느 하나의 가스를 가스 주입부(37)를 통해 유도 가열 공간(23)으로 주입한다.As another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gas injection proces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opening 32 is opened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35,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 any one of nitrogen gas and argon gas is injected into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through the gas injection unit 37 into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of the .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의 유도 가열 공간(23)을 제2 개폐구(32)를 통해 상호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의 유도 가열 공간(23)에 동일한 비활성 가스(질소 가스 및 아르곤 가스 중 어느 하나)를 주입할 수 있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is interconnect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32,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The same inert gas (any one of nitrogen gas and argon gas) may be injected into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of the heating chambers 21 and 22 .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의 유도 가열 공간(23)에 비활성 가스를 주입하며, 그 유도 가열 공간(23)의 내부를 비활성 가스를 통해 퍼징하게 된다.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ert gas is injected into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and the inert gas is injected into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purging through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가스 주입부(37)를 통해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의 유도 가열 공간(23)으로 비활성 가스를 주입하는 과정에, 그 가스 주입부(37)를 통해 유도 가열 공간(23)에 반응 가스로서 극 미량의 수소와 극 미량의 산소를 주입할 수도 있다.Furtherm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injecting the inert gas into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through the gas injection unit 37 as described above, the A very small amount of hydrogen and a very small amount of oxygen may be injected as reaction gases into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through the gas injection unit 37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류 발생기를 통하여 교류 전류를 유도 가열 코일부(45)에 인가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유도 가열 코일부(45)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전자기 유도에 의해 도가니(1)에 전류의 흐름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도가니(1) 내측의 흑연화 재료에도 전류의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Nex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lternat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induction heating coil unit 45 through a current generator. The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induction heating coil unit 45, and a current flow is generated in the crucible 1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also graphitization inside the crucible 1 The material also causes an electric current to flow.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가니(1) 및/또는 도가니(1) 내의 흑연화 재료에 와전류 손실과 히스테리시스 손실에 의한 열이 발생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유도 가열에 의해 상기 도가니(1)만이 가열될 수도 있고, 그 도가니(1)와 흑연화 재료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가열될 수도 있다.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at due to eddy current loss and hysteresis loss is generated in the crucible 1 and/or the graphitized material in the crucible 1 .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crucible 1 may be heated by induction heating, and the crucible 1 and the graphitized material may be heat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여기서, 상기 동시 가열이라 함은 도가니(1)와 흑연화 재료가 동시에 유도 가열되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simultaneous heating means that the crucible 1 and the graphitized material are induction heated at the same time.

그리고, 상기 순차적 가열이라 함은 도가니(1)가 유도 가열됨에 따라 그 도가니(1)의 상승된 온도에 의해 흑연화 재료가 가열되고, 순차적으로 가열된 흑연화 재료가 유도 가열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도가니(1)가 유도 가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그 도가니(1)의 열에 의해 흑연화 재료가 가열(간접 가열)되는 것을 의미한다.And, the sequential heating means that the graphitized material is heated by the elevated temperature of the crucible 1 as the crucible 1 is inductively heated, and the sequentially heated graphitized material is inductively heated. 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crucible 1 is raised by induction heating to generate heat, and the graphitized material is heated (indirectly heated) by the heat of the crucible 1 .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일 예로서, 유도 가열에 의해 상기 도가니(1)와 흑연화 재료가 동시에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흑연화 재료에 대해, 저온에서는 도가니(1)의 가열에 의한 간접 가열을 하고, 고온에서는 그 간접 가열과 유도 가열(직접 가열)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the crucible 1 and the graphitized material may be simultaneously heated by induction heating. In addition, the graphitized material may be indirectly heated by heating the crucible 1 at a low temperature, and indirect heating and induction heating (direct heating)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at a high temperature.

이때, 상기한 가열 시에 산소 등으로 인해 도가니(1), 고정 단열 모듈(41) 및 가동 단열 모듈(43) 등이 산화(에칭)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비활성 가스에 의해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의 유도 가열 공간(23)을 퍼징하거나 비산화성 분위기로 만들어 도가니(1), 고정 단열 모듈(41) 및 가동 단열 모듈(43) 등을 보호하고 외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rucible 1,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1, the movable thermal insulation module 43, etc. may be oxidized (etched) due to oxygen during heating, etc., bu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on heating space 23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is purged or made into a non-oxidizing atmosphere to protect the crucible 1,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1 and the movable thermal insulation module 43, etc. contamination can be prevent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가니(1)의 열에 의해 그 도가니(1) 내부의 흑연화 재료를 가열하며 흑연화시키는데, 그 흑연화 재료가 가열(간접 가열)되어 일부가 탄화되거나 흑연화 되며, 이후 그 일부가 탄화되거나 흑연화 된 흑연화 재료가 유도 가열(직접 가열)되면서 흑연화 재료에 대한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phitized material inside the crucible 1 is heated and graphitized by the heat of the crucible 1, and the graphitized material is heated (indirectly heated) to carbonize or graphitize a part. Then, as the graphitized material, which is partially carbonized or graphitized, is induction heating (direct heating),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graphitized material can be increased.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은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에서 각각의 도가니(1)를 동시에 유도 가열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리퍼 모듈(39)을 통해 도가니(1)를 이동시키며,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에서의 유도 가열유닛(20)에 의하여 도가니(1)를 순차적으로 가열할 수도 있다.The series of processes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as induction heating of each crucible 1 at the same time in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gripper module 39 is The crucible 1 may be moved, and the crucible 1 may be sequentially heated by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in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유도 가열유닛(20)을 통하여 도가니(1)를 유도 가열하는 과정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가니(1) 및 흑연화 재료에서 발생하는 열이 그 도가니(1)와 동일 소재인 온도 측정도구(51)로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induction heating the crucible 1 through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generated in the crucible 1 and the graphitized material is the crucible 1 and It is transmitted to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51 which is the same material.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파이로미터(61)는 온도 측정도구(51)의 하단에서 방사되는 에너지를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 상단의 투명 창(55)을 통해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그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도가니(1) 및/또는 흑연화 재료의 가열 온도를 측정한다.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yrometer 61 transmits energy radia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51 to the transparent window 55 at the top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 It is sensed and converted into an electric signal, and the electric signal is processed to measure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crucible 1 and/or the graphitized material.

다른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치며, 제1 및 제2 유도 가열 챔버(21, 22)에서 유도 가열유닛(20)을 통해 도가니(1) 내부의 흑연화 재료를 흑연화 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동부(47)의 구동에 의해 가동 단열 모듈(43)을 유도 가열 코일부(45)와 함께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graphitized material inside the crucible 1 is graphitized through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in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s 21 and 22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as described above.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thermal insulation module 43 is moved upwardly together with the induction heating coil unit 45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47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개폐부재(35)를 통해 제1,2,3 개폐구(31, 32, 33) 전부 또는 제3 개폐구(33)를 개방하고, 고정 단열 모듈(41) 상에 로딩되어 있는 도가니(1)를 그리퍼 모듈(39)을 통해 그리핑 하며, 제2 유도 가열 챔버(22)의 제3 개폐구(33)를 통해 도가니(1)를 취출한다.Nex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openings 31 , 32 , 33 or the third opening 33 are opened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35 , and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1 . The crucible 1 loaded thereon is gripped through the gripper module 39 , and the crucible 1 is taken out through the third opening 33 of the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 22 .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각 챔버(71)의 투입구(73)를 제2 개폐부재(79)를 통해 개방한 상태에서, 그리퍼 모듈(39)을 통해 도가니(1)를 냉각 챔버(71) 내부의 제2 컨베이어(81) 상에 로딩한다.Nex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73 of the cooling chamber 71 is open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79, the crucible 1 is moved through the gripper module 39 to the cooling chamber 71 . Loaded on the second conveyor 81 inside.

그러면, 상기 도가니(1)는 제2 컨베이어(81)에 의해 공정 방향을 따라 배출구(75) 측으로 이송되는데, 그 배출구(75)는 제2 개폐부재(79)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가니(1)들은 냉각 챔버(71)의 내부에 수용되는데, 제2 컨베이어(81)의 가동을 멈춘 상태에서 제2 개폐부재(79)를 통해 투입구(73)를 폐쇄한다.Then, the crucible 1 is transferred to the outlet 75 side along the process direction by the second conveyor 81 , and the outlet 75 is closed by the second opening/closing member 79 . Accordingly, the crucibles 1 are accommodated in the cooling chamber 71 , and the inlet 73 is clos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79 in a state where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onveyor 81 is stopp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각매체 주입부(77)를 통해 냉각매체로서의 질소 가스 또는 아르곤 가스를 냉각 챔버(71)의 내부로 주입하며, 그 냉각매체를 통해 도가니(1)들을 냉각한다.Nex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itrogen gas or argon gas as a cooling medium is injected into the cooling chamber 71 through the cooling medium injection unit 77, and the crucibles 1 are cooled through the cooling medium. .

이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냉각된 도가니(1)들을 냉각 챔버(71)의 배출구(75)를 통해 외부로 취출한다.The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ucibles 1 cooled as described above are taken out through the outlet 75 of the cooling chamber 71 .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연속 공정을 통해 코크스 분체 등과 같은 흑연화 재료를 유도 가열하여 흑연화 한 인조흑연을 제조할 수 있다.Therefor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aphitized artificial graphite may be manufactured by induction heating a graphitizing material such as coke powder through a series of continuous processes as described abov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흑연화 장치에 적용되는 도가니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rucible applied to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도가니(1)(이하에서는 편의 상 메인 도가니 라고 한다)에 흑연화 재료를 장입하지 않고, 흑연화 재료가 장입된 복수 개의 서브 도가니(99)들을 메인 도가니(1)의 내부에 배치할 수도 있다. 3,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phitization material is not charged in the crucible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main crucible for convenience) as described above, but a plurality of sub crucibles ( 99) may be arranged inside the main crucible (1).

상기 메인 도가니(1)는 서브 도가니(99)들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가니(99)들은 메인 도가니(1)의 내부에서 한 쌍씩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더 나아가, 상기 서브 도가니(99)들에는 서로 다른 재질의 흑연화 재료가 장입될 수 있으며, 그 서로 다른 재질의 흑연화 재료가 섞이지 않도록 상기 서브 도가니(99)들의 상단에는 그 상단을 폐쇄하기 위한 커버(99a)가 설치될 수 있다.The main crucible 1 is provided with a size that can accommodate the sub crucibles (99). In addition, the sub crucibles 99 are stacked up and down in pairs inside the main crucible 1 . Furthermore, graphitization materials of different materials may be charged in the sub crucibles 99, and the upper ends of the sub crucibles 99 are for closing the upper ends so that the graphitization materials of different materials do not mix. A cover 99a may be installed.

예를 들면, 상기 서브 도가니(99)들은 메인 도가니(1)의 내부 중심으로부터 균등하게 구획된 4 영역에서 한 쌍씩 상하 방향으로 각각 적층된 8개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b crucibles 99 may be provided in eight stacked pair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pairs in four regions equally partitioned from the inner center of the main crucible 1 .

여기서, 상기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각 한 쌍씩의 서브 도가니(99)들은 메인 도가니(1)의 내부 중심을 기준으로 메인 도가니(1)의 내측 벽에 접촉되게 배치된다. 이는 메인 도가니(1)에서 발생된 열을 서브 도가니(99)들로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Here, each pair of sub crucibles 99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r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main crucible 1 based on the inner center of the main crucible 1 . This is to easily transfer the heat generated in the main crucible 1 to the sub crucibles 99 .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서브 도가니(99)들이 수용된 메인 도가니(1)를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연속 공정으로 유도 가열하며, 그 서브 도가니(99)들에 장입된 흑연화 재료를 흑연화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rucible 1 in which the plurality of sub crucibles 99 are accommodated as described above is inductively heated in a series of continuous processes as described above, and the graphite charged in the sub crucibles 99 . Graphitized materials can be graphitized.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흑연화 장치(100)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ffect of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연속식 흑연화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도면에서의 실시 예 1)는 유도 가열유닛(20)의 가동 단열 모듈(43)에 온도 측정도구(51)를 삽입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들(도면에서의 실시 예 2)은 전기 실시 예(도면에서의 실시 예1)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메인 도가니(1)의 내부에 소형 도가니(도면 기재)로서 복수 개(8개)의 서브 도가니(99)들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다.Firs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 1 in the drawing)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51 is inserted into the movable insulation module 43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 And other embodiments (Example 2 in the drawing) are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electric embodiment (Example 1 in the drawing), and a plurality of (8) as a small crucible (described in the drawing) inside the main crucible 1 Dog)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b crucibles 99 are arrang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비되는 비교 예들로서는, 에치슨로를 적용한 흑연화로 구조(도면에서의 비교 예 1), 저항 가열로를 적용한 흑연화로 구조(도면에서의 비교 예 2), 및 가동 단열 모듈(43)에 온도 측정도구(51)를 적용하지 않은 유도 가열 구조(도면에서의 비교 예 3)를 제시하기로 한다.As comparative examples in contras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phitization furnace structure to which the Etcheson furnace is applied (Comparative Example 1 in the drawing), the graphitization furnace structure to which the resistance heating furnace is applied (Comparative Example 2 in the drawing), and An induction heating structure (Comparative Example 3 in the drawing) in which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51 is not applied to the movable thermal insulation module 43 will be presented.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과 상기한 비교 예들에 대해 XRD를 통한 흑연화 결정성을 비교해 볼 때,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에서의 흑연화도(흑연화 결정성)가 비교 예들에 비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4, when comparing the graphitization crystallinity through XRD for the Examp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described above, the graphitization degree (graphitization crystallinity) in Examples 1 and 2 is compared It can be seen that it is superior to the examples.

여기서, d002 는 결정체 내의 면간 거리로서 흑연화도가 높아질수록 값이 작아지게 되고, Lc(002)는 C축 방향으로의 결정체 크기로서 흑연화도가 높아질수록 값이 증가하며, La(110)는 a축 방향으로의 결정체 크기로서 흑연화도가 높아질수록 값이 증가한다.Here, d 002 is the interplanar distance in the crystal, and the value decreases as the graphitization degree increases, Lc (002) is the crystal size in the C-axis direction, and the value increases as the graphitization degree increases, and La (110) is a As the crystal size in the axial direction, the value increases as the graphitization degree increases.

따라서, 상기한 d002와 흑연화도 뿐만 아니라, 뒤에서 더욱 설명될 전극밀도, 초기용량, 3rd 용량, 초기효율 및 장비출력의 안정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실시 예 1이 우수하다는 알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Example 1 is excellent when comprehensively considering not only the above d 002 and graphitization degree, but also electrode density, initial capacity, 3 rd capacity, initial efficiency, and stability of equipment output, which will be described further later.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과 상기한 비교 예들을 통해 흑연화 재료를 흑연화 한 인조 흑연을 배터리의 음극재에 적용한 경우, 그 음극재에 대한 전기 화학적 특성을 비교해 볼 때,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에서의 전극밀도, 초기용량(충/방전 용량) 및 세 번째 용량(3rd용량)이 비교 예들에 비해 증가함을 알 수 있고, 이로 인해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에서의 초기 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 when artificial graphite obtained by graphitizing a graphitized material through the examp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th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of the battery, when comparing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It can be seen that the electrode density, the initial capacity (charge/discharge capacity) and the third capacity (3rd capacity) in Examples 1 and 2 are increased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and due to this, in Examples 1 and 2, It can be seen that the initial efficiency of

부연 설명하면, 전극밀도가 높을수록 같은 부피 내에 많은 활물질을 충진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용량을 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1번째 충방전 시 SEI층이 형성되면서 용량손실이 가장 크게 되며, 초기 효율이 높을수록 이후 충방전 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손실 값이 적기 때문에 초기 효율 값이 클수록 좋다.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electrode density, the greater the capacity can be because many active materials can be filled in the same volume. In general, the capacity loss is the greatest as the SEI layer is formed during the first charge/discharge, and the higher the initial efficiency, the smaller the loss value that affects the subsequent charge/discharge capacity, so the larger the initial efficiency value is.

여기서, 3rd 용량이 높다는 것은 안정적으로 충방전을 반복할 때 용량이 이 정도 나온다는 지표이므로 이 값 또한 높을수록 좋다. 결과적으로는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를 보면, 전극밀도, 3rd용량, 초기효율이 비교 예들에 비하여 높으므로, 유도 가열 방식 및 온도 측정도구(51)의 적용에 따른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Here, 3 rd is the high capacity, the capacity index may be higher because the degree emerges when repeatedly charging and discharging stably also the value. As a result, referring to Examples 1 and 2, since the electrode density, 3rd capacity, and initial efficiency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example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n advantag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induction heating method and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51 . .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 1과 비교 예 1을 통해 흑연화 재료를 흑연화 한 인조 흑연을 배터리의 음극재에 적용한 경우, 그 음극재에 대해 라만 분광법을 통한 영역별 흑연화도를 비교해 볼 때, 실시 예 1에서의 흑연화도가 비교 예 1에 비해 균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when artificial graphite obtained by graphitizing the graphitized material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of the battery, the graphitization degree by region through Raman spectroscopy for th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When comparing , it can be seen that the graphitization degree in Example 1 is uniform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

구체적으로, 라만 분광법의 D peak 강도(Id)는 흑연화도가 떨어지는 결함이 많을 경우 검출되는 peak이며, G peak(Ig)는 흑연화도가 높을 경우 검출되는 peak이다. 따라서 흑연화도가 떨어지면 Id/Ig의 값이 커지고, Ig/Id 값이 작아지게 된다.Specifically, the D peak intensity (Id) of Raman spectroscopy is a peak detected when there are many defects with a low graphitization degree, and the G peak (Ig) is a peak detected when the graphitization degree is high. Accordingly, when the graphitization degree is decreased, the Id/Ig value increases and the Ig/Id value decreases.

이로써, Id/Ig의 경우 빨간색 영역이 많을수록 흑연화도가 떨어지는 것이며, Ig/Id의 경우 초록색 영역이 많을수록 흑연화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Id/Ig + Ig/Id에서 초록영역이 많고 빨간 영역이 적을수록 흑연화도가 높은 것이며, 실시 예 1의 경우, 비교 예 1보다 초록 영역이 더 많으므로 흑연화도가 높은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Id/Ig, the graphitization degree decreases as the number of red regions increases, and in the case of Ig/Id, the graphitization degree increases as the number of green regions increases. As a result, in the case of Id / Ig + Ig / Id, the more green areas and less red areas, the higher the graphitization degree, and in the case of Example 1, since there are more green areas than Comparative Example 1,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graphitization degree is high. .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 1과 비교 예 3을 통해 흑연화 재료를 흑연화 하는 경우, 설비의 전기적인 출력특성 변화를 비교해 볼 때, 실시 예 1에서는 비교 예 3과 달리 가동 단열 모듈(43)에 도가니와 동일 소재의 온도 측정도구(51)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온도 측정도구(51)의 하단에서 방사되는 에너지를 통해 안정적인 온도 측정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7 , when graphitizing a graphitized material through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mparing changes in electrical output characteristics of equipment, Example 1 operates differently from Comparative Example 3 Since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51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rucible is applied to the insulation module 43 , stable temperature measurement is possible through energy radia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51 .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서는 온도 측정도구(51)를 통한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온도 측정이 가능하므로, 교류 전류를 인가하여 도가니/흑연화 재료를 유도 가열하는데 따른 전기적인 출력 변화가 비교 예 3에 비해 안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서는 도가니/흑연화 재료를 설정된 온도로 도달시키는데 따른 전력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Therefore, in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stable and reliable temperature measurement is possible through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51, the change in electrical output due to induction heating of the crucible/graphitized material by applying an alternating current is shown in Comparative Example 3 It can be seen that it is more stable than For this reason,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reaching the crucible/graphitizing material to a set temperature.

즉, 온도 측정도구(51)를 사용하지 않는 비교 예 3의 경우는 측정면의 평탄도, 방사율의 항상성 확보가 어렵기 때문, 유도 가열의 출력(MFG Power) 편차가 크고 에너지를 많이 투입해야 되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3, which does not use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51,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flatness of the measuring surface and the constancy of the emissivity.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limits.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 1과 비교 예 3을 통해 흑연화 재료를 흑연화 하는 경우, 비교 예 3에서는 유도 가열을 통한 흑연화 재료의 흑연화 도중, 가동 단열 모듈(43)의 단열재 분해로 인해 도가니/흑연화 재료의 정상적인 온도 측정이 불가능 하다.8, in the case of graphitizing the graphitized material through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ative Example 3, during graphitization of the graphitized material through induction heating, the movable insulation module 43 It is impossible to measure the normal temperature of the crucible/graphitized material due to the decomposition of the insulation material.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서는 가동 단열 모듈(43)에 도가니와 동일 소재의 온도 측정도구(51)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 단열 모듈(43)의 단열재 분해가 일어나더라도 온도 측정도구(51)의 하단에서 방사되는 에너지를 통해 도가니/흑연화 재료의 안정적인 온도 측정이 가능하다.However, in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51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rucible is applied to the movable thermal insulation module 43, even if th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decomposition of the movable thermal insulation module 43 occurs, the temperature measurement tool 51 ),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stable temperature of the crucible/graphitized material through the energy radiated from the lower end.

따라서, 본 실시 예 1에서는 도가니/흑연화 재료의 열이 온도 측정도구(51)의 하단을 통해 방사되는 에너지를 감지하여 도가니/흑연화 재료의 가열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온도 측정 부위의 항상성 및 평탄도 확보, 열 방사율의 향상, 그리고 단열재 분해로 인한 온도 측정 장애의 제거로, 도가니/흑연화 재료의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온도 측정이 가능하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1, since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crucible/graphitization material can be measured by sensing the energy radiat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51 of the heat of the crucible/graphitized material, the homeostasis of the temperature measurement site And by securing flatness, improving the thermal emissivity, and removing the temperature measurement disturbance due to the decomposition of the insulating material, stable and reliable temperature measurement of the crucible/graphitized material is possible.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식 흑연화 장치(100)에 의하면, 흑연화 재료 도가니 장입, 도가니의 유도 가열 공정 및 냉각 공정을 포함하는 연속 공정으로서 도가니를 유도 가열하며, 흑연화 재료를 흑연화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so far, the crucible is inductively heated as a continuous process including the graphitizing material crucible charging, the induction heating process of the crucible, and the cooling process, and the graphite Graphitized materials can be graphitiz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흑연화 재료를 유도 가열하며 연속 공정으로 흑연화 할 수 있으므로, 설비 가동률 및 조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흑연화 재료의 가열 설비를 축소함으로써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raphitized material can be graphitized in a continuous process by induction heating, the facility utilization rate and operational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nd the investment cost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heating equipment of the graphitized material. .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흑연화 재료를 유도 가열하며 흑연화 할 수 있으므로, 유도 가열의 원리로 인해 흑연화 재료의 가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흑연화 된 인조흑연의 고 품위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흑연화 재료를 가열하는데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raphitized material can be graphitized by induction heating,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graphitized material can be increased due to the principle of induction heating, and thereby the high quality of the graphitized artificial graphite Quality can be secured, and the cost of heating the graphitized material can be reduc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 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gur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technical spirit. Other embodiments may be easily proposed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elements, but this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도가니 3: 베이스 프레임
10: 도가니 이송유닛 11: 제1 컨베이어
20: 유도 가열유닛 21: 제1 유도 가열 챔버
22: 제2 유도 가열 챔버 23: 유도 가열 공간
25: 격벽 31: 제1 개폐구
32: 제2 개폐구 33: 제3 개폐구
35: 제1 개폐부재 37: 가스 주입부
39: 그리퍼 모듈 41: 고정 단열 모듈
43: 가동 단열 모듈 45: 유도 가열 코일부
47: 구동부 51: 온도 측정도구
53: 마감 판 55: 투명 창
61: 파이로미터 70: 냉각유닛
71: 냉각 챔버 73: 투입구
75: 배출구 77: 냉각매체 주입부
79: 제2 개폐부재 81: 제2 컨베이어
99: 서브 도가니 99a: 커버
100: 연속화 흑연화 장치
1: Crucible 3: Base frame
10: crucible transfer unit 11: first conveyor
20: induction heating unit 21: first induction heating chamber
22: second induction heating chamber 23: induction heating space
25: bulkhead 31: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
32: second opening 33: third opening
35: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37: gas injection unit
39: gripper module 41: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43: movable insulation module 45: induction heating coil unit
47: driving unit 51: temperature measuring tool
53: finish plate 55: transparent window
61: pyrometer 70: cooling unit
71: cooling chamber 73: inlet
75: outlet 77: cooling medium injection unit
79: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81: second conveyor
99: sub crucible 99a: cover
100: continuous graphitization device

Claims (15)

흑연화 재료를 장입한 도가니들을 설정된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도가니 이송유닛;
상기 도가니 이송유닛을 통해 이송된 상기 도가니를 적어도 하나의 유도 가열 챔버에서 유도 가열하며, 상기 흑연화 재료를 흑연화 하는 유도 가열유닛; 및
상기 유도 가열유닛에서 배출된 상기 도가니를 냉각 챔버에서 설정된 온도로 냉각하는 냉각유닛;
을 포함하는 연속식 흑연화 장치.
a crucible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crucibles charged with the graphitized material along a set transfer path;
an induction heating unit for induction heating the crucible transferred through the crucible transfer unit in at least one induction heating chamber and graphitizing the graphitized material; and
a cooling unit cooling the crucible discharged from the induction heating unit to a temperature set in a cooling chamber;
A continuous graphitization device comprising 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챔버는,
상기 도가니 이송유닛과 상기 냉각유닛 사이에 격벽을 통해 복수 개로서 상호 연결되게 구비되되,
상기 이송 경로 측에 형성되는 제1 개폐구와,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제2 개폐구와, 상기 냉각 챔버 측에 형성되는 제3 개폐구를 포함하는 연속식 흑연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duction heating chamber,
Doedoe provided to be interconnected as a plurality through a partition wall between the crucible transfer unit and the cooling unit,
A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opening/closing opening formed on the transfer path side; a second opening/closing opening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and a third opening/closing opening opening formed on the cooling chamber sid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챔버는,
상기 제1,2,3 개폐구를 각각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연속식 흑연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duction heating chamber,
A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openings, respectively.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챔버는,
내측 공간으로 비활성 가스 및 반응성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 주입부를 포함하는 연속식 흑연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duction heating chamber,
A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including a gas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n inert gas and a reactive gas into the inner sp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유닛은,
상기 유도 가열 챔버의 내부 바닥 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도가니를 지지하는 고정 단열 모듈과,
상기 고정 단열 모듈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단열 모듈과,
상기 가동 단열 모듈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 단열 모듈 상의 상기 도가니를 내측에 두고 감싸는 유도 가열 코일부
를 포함하는 연속식 흑연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duction heating unit,
a fixed insulation module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induction heating chamber and supporting the crucible;
a movable thermal insulation module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An induction heating coil unit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movable thermal insulation module and surrounding the crucible on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inside
A continuous graphitization device comprising a.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챔버는,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 단열 모듈에 대해 상기 도가니를 로딩 및 언 로딩하는 그리퍼 모듈을 포함하는 연속식 흑연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duction heating chamber,
A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including a gripper module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and configured to load and unload the cruci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thermal insulation modul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유닛은,
상기 도가니와 동일한 소재로서, 상기 가동 단열 모듈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가동 단열 모듈의 하강 시 상기 도가니의 상단에 하단이 위치하는 온도 측정도구
를 더 포함하는 연속식 흑연화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induction heating unit,
A temperature measuring tool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rucible, which is installed through the movable insulation modu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end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crucible when the movable insulation module is lowered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도구는,
흑연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폐쇄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연속식 흑연화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is
A continuous graphitizing device made of a graphite material and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nd a closed bottom.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챔버는,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온도 측정도구의 하단을 외부로 노출하는 석영 소재의 투명 창을 더 포함하는 연속식 흑연화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induction heating chamber,
The continuous graphitiza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and further comprises a transparent window made of a quartz material exposing the lower end of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to the outsid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챔버는,
상기 온도 측정도구의 하단에서 방사되는 에너지를 상기 투명 창을 통해 감지하여 상기 도가니의 가열 온도를 측정하는 파이로미터
를 더 포함하는 연속식 흑연화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induction heating chamber,
A pyrometer for measuring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crucible by sensing energy radia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temperature measuring tool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챔버는,
상기 유도 가열유닛에서 배출된 상기 도가니를 내부 공간으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와,
상기 도가니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상기 내부 공간으로 냉각매체를 주입하기 위한 냉각매체 주입부
를 포함하는 연속식 흑연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oling chamber,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crucible discharged from the induction heating unit into an internal space;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crucible to the outside;
A cooling medium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 cooling medium into the inner space
A continuous graphitization device comprising a.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챔버는,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연속식 흑연화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oling chamber,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nd outlet.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냉각 챔버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연속식 흑연화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oling unit is
and a conveyor dispos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in the inner space of the cooling chamb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는,
흑연 소재로 이루어지며, 전류 침투 깊이의 0.1~4.0 배를 만족하는 두께로 구비되는 연속식 흑연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rucible is
A continuous graphitization device made of graphite material and provided with a thickness satisfying 0.1 to 4.0 times the depth of current penetr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서브 도가니들이 배치되는 연속식 흑연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sub crucibles are disposed inside the crucible.
KR1020190171447A 2019-12-20 2019-12-20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using induction heating furnace KR1023250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447A KR102325009B1 (en) 2019-12-20 2019-12-20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using induction heating furn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447A KR102325009B1 (en) 2019-12-20 2019-12-20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using induction heating furn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544A true KR20210079544A (en) 2021-06-30
KR102325009B1 KR102325009B1 (en) 2021-11-10

Family

ID=76602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447A KR102325009B1 (en) 2019-12-20 2019-12-20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using induction heating furn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00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4868A (en) * 2022-04-07 2022-06-10 杨以柯 Graphite purification furnace
WO2023189752A1 (en) * 2022-03-28 2023-10-05 株式会社Ihi機械システム Heat treatment device and heat treatment metho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559B1 (en) * 2006-07-21 2007-03-14 진성중공업 주식회사 The processing apparatus using inducting heating of the part in the steel plate and a method thereof
KR101146050B1 (en) * 2003-07-31 2012-05-14 시크리스탈 아게 Method and device for ain single crystal production with gas-permeable crucible walls
KR101190193B1 (en) * 2012-08-17 2012-10-15 주식회사 영풍열처리 The heat-treatment system that an individual heating room and cooling room were constructed
KR20150077553A (en) * 2013-12-27 2015-07-08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Thin-film forming apparatus and thin-film forming method of using it
KR101571544B1 (en) * 2011-05-31 2015-11-24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Graphitization furnace and method for producing graphite
KR20190072017A (en) * 2017-12-15 2019-06-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Glass forming apparatus using induction heat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050B1 (en) * 2003-07-31 2012-05-14 시크리스탈 아게 Method and device for ain single crystal production with gas-permeable crucible walls
KR100694559B1 (en) * 2006-07-21 2007-03-14 진성중공업 주식회사 The processing apparatus using inducting heating of the part in the steel plate and a method thereof
KR101571544B1 (en) * 2011-05-31 2015-11-24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Graphitization furnace and method for producing graphite
KR101190193B1 (en) * 2012-08-17 2012-10-15 주식회사 영풍열처리 The heat-treatment system that an individual heating room and cooling room were constructed
KR20150077553A (en) * 2013-12-27 2015-07-08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Thin-film forming apparatus and thin-film forming method of using it
KR20190072017A (en) * 2017-12-15 2019-06-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Glass forming apparatus using induction heat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9752A1 (en) * 2022-03-28 2023-10-05 株式会社Ihi機械システム Heat treatment device and heat treatment method
CN114604868A (en) * 2022-04-07 2022-06-10 杨以柯 Graphite purification furn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009B1 (en) 202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5009B1 (en) Continuous graphitization apparatus using induction heating furnace
JP6055443B2 (en) Graphitization furnace and method for producing graphite
EP1499842B1 (en) Induction furnace for high temperature operation
KR102325756B1 (en) Graphitization apparatus
JP7076487B2 (en) A system for efficiently manufacturing multiple high-quality semiconductor single crystal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m.
JP50299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highly functional carbon fiber
KR20020092803A (en) Vacuum heat treatment furnace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arbon concentration in atmoshere having reduced pressure
US10392723B2 (en) Reaction chamber for epitaxial growth with a loading/unloading device and reactor
JP4782537B2 (en) Carbon material firing furnace and carbon material firing method
CN101151395B (en) Rapid and homogenous heat treatment of large metallic sample using high power microwaves
TW202229893A (en) Method of measuring a graphite article, apparatus for a measurment, and ingot growing system
JPS63232422A (en) Thermal treatment equipment for semiconductor wafer
CN111595151A (en) Carbonization furnace for carbonizing lithium ion battery negative electrode material
US820250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arbon nanotubes
CN116026143B (en) Composite crucible for carbonizing lithium battery cathod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323736B1 (en) Heat treatment apparatus and heat treatment method
CN216663300U (en) Silicon carbide substrate processing device
CN212512529U (en) Carbonization furnace for carbonizing lithium ion battery negative electrode material
KR101971276B1 (en) Glass molding apparatus
KR100942458B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producting carbon nano tube
KR20210142474A (en) Apparatus for preparing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KR20210142473A (en) Apparatus for preparing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KR20230024514A (en) Continuous heat treatment system with non-opened atmosphere
CN114921633A (en) High-flux gradient heat treatment device and process for metal bar
JP2021085623A (en) Heat treatment furn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