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883A - Lactic acid bacterial fermentation products using fruits or vegetab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Lactic acid bacterial fermentation products using fruits or vegetab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883A
KR20210078883A KR1020190170799A KR20190170799A KR20210078883A KR 20210078883 A KR20210078883 A KR 20210078883A KR 1020190170799 A KR1020190170799 A KR 1020190170799A KR 20190170799 A KR20190170799 A KR 20190170799A KR 20210078883 A KR20210078883 A KR 20210078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lactic acid
hours
acid bacteria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7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5870B1 (en
Inventor
서승오
김근형
양민규
정진영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0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870B1/en
Publication of KR20210078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8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8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additives
    • A23C9/133Fruit 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ctobacillus fermented food using an excellent strain and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s for the strain,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 granular food containing the strai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 lactobacillus-containing fermented food healthful and easy to take in can be manufactured effectively. When the fermented food is manufactured, various fruit and vegetable are used, and thus new demand creation can be achieved and income can be created for fruit and vegetable farmers. In addition, the fermented food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contains functional components in quantity, is easy to take in anytime and anywhere, and can be helpful for health promotion.

Description

과채류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LACTIC ACID BACTERIAL FERMENTATION PRODUCTS USING FRUITS OR VEGETAB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Lactobacillus fermented food using fruits and vegetab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ACTIC ACID BACTERIAL FERMENTATION PRODUCTS USING FRUITS OR VEGETAB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과채류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food using fruits and vegetable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식품은 김치, 장아찌, 된장, 고추장, 막걸리 등 곡류, 서류, 채소 등의 식이섬유 및 전분을 이용한 식물성 발효식품이 많다. 이러한 식물성 발효식품은 현대 과학기술을 통해 건강기능성과 그 우수함이 인정되었는데, 이는 장내 유익균인 유산균이 풍부한 점과 식물성 식품에 있는 식이섬유 때문이다.There are many traditional fermented foods in Korea using dietary fiber and starch such as kimchi, pickled vegetables, soybean paste, gochujang, and makgeolli. These fermented plant foods have been recognized for their health functionality and superiority through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because of the abundance of lactic acid bacteria, beneficial intestinal bacteria, and dietary fiber in plant foods.

장내 미생물 균총인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장관 내에서 영양소의 흡수와 대사, 면역작용, 다양한 질환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며 인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주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유산균은 장내 영양성분에 대한 유해균과의 경쟁 및 항균 물질 분비에 의해 유해균의 생장을 억제하고, 유해균의 장 상피세포 부착 방지 및 유해균의 독소 생성 억제 등의 효과를 통해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을 좋은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로서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microbiome, the intestinal microbiome, affects the absorption and metabolism of nutrients, immunity, and the occurrence of various diseases in the intestinal tract, and plays a major role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Lactobacillus inhibits the growth of harmful bacteria by competition with harmful bacteria for nutrients in the intestine and secretion of antibacterial substances, prevents harmful bacteria from adhering to intestinal epithelial cells, and promotes the intestinal microbiome in a positive direction through effects such as inhibition of toxin production. They can play a big role as transformative probiotics.

또한, 발효식품에 포함된 식이섬유는 보통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라 불리며 장내 유익균들의 먹이가 될 수 있어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의 장관 내 생장과 정착을 도울 수 있다. 전통 발효식품 중 유산균과 식이섬유가 풍부한 대표적인 발효식품인 김치나 된장은 맛 성분 및 기능성 물질 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과채류를 이용한 마시는 발효음료와 같은 발효식품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 In addition, dietary fiber contained in fermented foods is usually called prebiotics and can serve as food for beneficial intestinal bacteria, thereby helping the growth and settlement of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in the intestinal tract. Among traditional fermented foods, kimchi and doenjang, which are representative fermented foods rich in lactic acid bacteria and dietary fiber, are being studied for taste and functional substances.

과채류 중 당근은 500 여 가지의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 즉 식물성 천연성분을 가지고 있는 식품이다. 당근이 함유한 영양 및 기능성 성분으로는 베타카로틴, 플라보노이드류, 비타민 A, C, B1, B3, B5, K, 칼륨, 마그네슘, 엽산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항산화 효과, 암 예방, 눈의 피로개선, 고혈압 예방, 노화방지 등의 건강기능성을 가진다. 그러나 통계청 농작물 생산 조사에 따르면 국내의 당근 생산량은 2015년에 118,594톤에서 2016년 73,061톤, 2017년 74.027톤, 2018년 73,143톤으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Among fruits and vegetables, carrots are a food with about 500 kinds of phytochemicals, that is, natural plant ingredients. Nutritional and functional ingredients contained in carrots include beta-carotene, flavonoids, vitamins A, C, B1, B3, B5, K, potassium, magnesium, and folic acid. , high blood pressure prevention, anti-aging, and other health functionalities. However, according to a crop production survey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domestic carrot production is declining from 118,594 tons in 2015 to 73,061 tons in 2016, 74.027 tons in 2017, and 73,143 tons in 2018.

또 하나의 기능성 채소인 청경채는 중국에서 많이 생산되고 이용되는 식재료로서 연하고 특별한 향이나 맛이 느껴지지 않아 일반적인 엽록소를 가진 채소의 쓴 맛에 대한 거부감이 적고, 칼슘이나 비타민 A, C, 베타카로틴 등의 각종 영양소와 식이섬유 또한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프리바이오틱스 및 건강기능 식품 소재로 이용 가치가 높다. 하지만 이들을 이용한 발효식품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Another functional vegetable, bok choy, is a food ingredient produced and used a lot in China. It is soft and does not have a special smell or taste, so there is less resistance to the bitter taste of vegetables with general chlorophyll, calcium, vitamins A, C, beta-carotene. It also contains a lot of nutrients and dietary fiber, so it has high value as a material for prebiotics and health functional food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fermented foods using them.

한국등록특허 제10-0426279호 (2004.04.08. 공고)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26279 (2004.04.08. Announcemen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균주와 이의 최적의 발효 조건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ctic acid bacterium fermented food using an excellent strain and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s thereof,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균주를 함유한 과립형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nular food containing the strai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은 건 과채류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원액에 물과 당원을 첨가하는 단계;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또는 이의 혼합 유산균을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한 후, 상기 물과 당원이 첨가된 원액에 상기 배양된 유산균 균체를 혼합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dry fruit and vegetable stock solution; adding water and a sugar source to the prepared stock solution; And Lactobacillus rhamnosus ( Lactobacillus rhamnosus ),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plantarum ), or a mixed lactic acid bacteria thereof was inoculated into the medium and cultured, and then the cultured lactic acid bacteria cells were mixed with the stock solution to which the water and the sugar source were added. It may include; fermenting.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발효식품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The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함유 과립형 식품 제조방법은 과채 분말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유산균, 또는 상기 유산균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산균 발효액을 혼합하여 과채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과채 원액을 과립화하는 단계; 및 상기 과립화된 과채 원액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a granular food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uit and vegetable powder and Lactobacillus rhamnosus ( Lactobacillus rhamnosus ) or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or a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broth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lactic acid bacteria is mixed preparing a stock solution; granulating the prepared fruit and vegetable stock solution; and drying the granulated fruit and vegetable stock solution.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함유 과립형 식품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The granular food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건강에 유익하고 섭취가 편리한 유산균 함유 발효식품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다양한 과채류를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수요 창출을 일으켜 과채류를 재배하고 있던 농가의 수익 창출에 도움이 될 수 있다.By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oduce a fermented food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that is beneficial to health and convenient to consume. By using a variety of fruits and vegetables, it can create new demand and help generate profits for farmers who were cultivating fruits and vegetables.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발효식품 및 과립형 식품은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쉽게 유통되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어,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Fermented food and granular food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contain a large amount of functional ingredients, are easily distributed, and can be easily consumed anytime, anywhere, which can help promote healt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준비예에 따라 배양된 균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Lactobacillus fermentum; 이하, L. fermentum)의 25℃ 발효 중 흡광도(OD)와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L. fermentum의 25℃ 발효 중 글루코오스(glucose), 락테이트(lactate), 아세테이트(acetate) 및 에탄올(ethanol)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L. fermentum의 30℃ 발효 중 OD와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5는 L. fermentum의 30℃ 발효 중 글루코오스, 락테이트, 아세테이트 및 에탄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6은 L. fermentum의 37℃ 발효 중 OD와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은 L. fermentum의 37℃ 발효 중 글루코오스, 락테이트, 아세테이트 및 에탄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8은 L. fermentum의 발효 중 배양 온도에 따른 변화를 비교한 결과로, (A)는 배양 온도에 따른 OD와 pH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 (B)는 배양 온도에 따른 글루코오스의 소모와 락테이트의 생성을 비교한 그래프, (C)는 배양 온도에 따른 아세테이트와 에탄올의 생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이하, L. plantarum)의 25℃ 발효 중 OD와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0은 L. plantarum의 25℃ 발효 중 글루코오스, 락테이트, 아세테이트 및 에탄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1은 L. plantarum의 30℃ 발효 중 OD와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2는 L. plantarum의 30℃ 발효 중 글루코오스, 락테이트, 아세테이트 및 에탄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3은 L. plantarum의 37℃ 발효 중 OD와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4는 L. plantarum의 37℃ 발효 중 글루코오스, 락테이트, 아세테이트 및 에탄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5는 L. plantarum의 발효 중 배양 온도에 따른 발효 특성을 비교한 결과로, (A)는 배양 온도에 따른 OD와 pH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 (B)는 배양 온도에 따른 글루코오스의 소모와 락테이트의 생성을 비교한 그래프, (C)는 배양 온도에 따른 아세테이트와 에탄올의 생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이하, L. rhamnosus)의 25℃ 발효 중 OD와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7은 L. rhamnosus의 25℃ 발효 중 글루코오스, 락테이트, 아세테이트 및 에탄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8은 L. rhamnosus의 30℃ 발효 중 OD와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9는 L. rhamnosus의 30℃ 발효 중 글루코오스, 락테이트, 아세테이트 및 에탄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0은 L. rhamnosus의 37℃ 발효 중 OD와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1은 L. rhamnosus의 37℃ 발효 중 글루코오스, 락테이트, 아세테이트 및 에탄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2는 L. rhamnosus의 발효 중 배양 온도에 따른 변화를 비교한 결과로, (A)는 배양 온도에 따른 OD와 pH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 (B)는 배양 온도에 따른 글루코오스의 소모와 락테이트의 생성을 비교한 그래프, (C)는 배양 온도에 따른 아세테이트와 에탄올의 생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Leuconostoc mesenteroides; 이하, L. mesenteroides)의 25℃ 발효 중 OD와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4는 L. mesenteroides의 25℃ 발효 중 글루코오스, 락테이트, 아세테이트 및 에탄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5는 L. mesenteroides의 30℃ 발효 중 OD와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6은 L. mesenteroides의 30℃ 발효 중 글루코오스, 락테이트, 아세테이트 및 에탄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7은 L. mesenteroides의 37℃ 발효 중 OD와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8은 L. mesenteroides의 37℃ 발효 중 글루코오스, 락테이트, 아세테이트 및 에탄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9는 L. mesenteroides의 발효 중 배양 온도에 따른 변화를 비교한 결과로, (A)는 배양 온도에 따른 OD와 pH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 (B)는 배양 온도에 따른 글루코오스의 소모와 락테이트의 생성을 비교한 그래프, (C)는 배양 온도에 따른 아세테이트와 에탄올의 생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이하, L. acidophilus)의 25℃ 발효 중 OD와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1은 L. acidophilus 25℃ 발효 중 글루코오스, 락테이트, 아세테이트 및 에탄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2는 L. acidophilus의 30℃ 발효 중 OD와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3은 L. acidophilus의 30℃ 발효 중 글루코오스, 락테이트, 아세테이트 및 에탄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4는 L. acidophilus의 37℃ 발효 중 OD와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5는 L. acidophilus의 37℃ 발효 중 글루코오스, 락테이트, 아세테이트 및 에탄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6은 L. acidophilus의 발효 중 배양 온도에 따른 변화를 비교한 결과로, (A)는 배양 온도에 따른 OD와 pH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 (B)는 배양 온도에 따른 글루코오스의 소모와 락테이트의 생성을 비교한 그래프, (C)는 배양 온도에 따른 아세테이트와 에탄올의 생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Lactobacillus reuteri; 이하, L. reuteri)의 25℃ 발효 중 OD와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8은 L. reuteri의 25℃ 발효 중 글루코오스, 락테이트, 아세테이트 및 에탄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9는 L. reuteri의 30℃ 발효 중 OD와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0은 L. reuteri의 30℃ 발효 중 글루코오스, 락테이트, 아세테이트 및 에탄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1은 L. reuteri의 37℃ 발효 중 OD와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2는 L. reuteri 37℃ 발효 중 글루코오스, 락테이트, 아세테이트 및 에탄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3은 L. reuteri의 발효 중 배양 온도에 따른 변화를 비교한 결과로, (A)는 배양 온도에 따른 OD와 pH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 (B)는 배양 온도에 따른 글루코오스의 소모와 락테이트의 생성을 비교한 그래프, (C)는 배양 온도에 따른 아세테이트와 에탄올의 생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균주의 열 저항성을 분석한 결과로, (A)는 45℃로, (B)는 55℃로, (C)는 65℃로 열충격(heat shock)을 준 경우의 그래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율을 달리한 건당근 및 건청경채의 혼합액 결과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발효음료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대조군 원액의 생균수 및 pH 변화를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48은 상기 대조군 원액의 당 성분 소비 및 발효 산물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L. fermentum의 생균수 및 pH 변화를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50은 L. fermentum의 당 성분 소비 및 발효 산물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L. plantarum의 생균수 및 pH 변화를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52는 L. plantarum의 당 성분 소비 및 발효 산물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L. rhamnosus의 생균수 및 pH 변화를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54는 L. rhamnosus의 당 성분 소비 및 발효 산물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L. mesenteroides의 생균수 및 pH 변화를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56은 L. mesenteroides의 당 성분 소비 및 발효 산물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L. acidophilus의 생균수 및 pH 변화를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58은 L. acidophilus의 당 성분 소비 및 발효 산물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9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L. reuteri의 생균수 및 pH 변화를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60은 L. reuteri의 당 성분 소비 및 발효 산물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1 내지 도 66은 6가지 균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음료의 저온 저장성 평가 결과이다.
도 6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발효음료이다.
도 68 내지 도 70은 당원 농도에 따른 발효 특성을 분석한 결과로, 도 68은 정제수 20mL과 당원 15g, 도 69는 정제수 10mL과 당원 25g, 도 70은 당원 35g을 첨가하여 발효한 것이다.
도 71 내지 도 73은 배양 온도에 따른 발효 특성을 분석한 결과로, 도 71은 25℃, 도 72는 30℃, 도 73은 37℃에서 발효한 것이다.
도 74 내지 도 76은 초기 균주 농도에 따른 발효 특성을 분석한 결과로, 도 74는 5mL, 도 75는 25mL, 도 76은 50mL의 농도로 발효한 것이다.
도 7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과립 제품을 소보장한 이미지이다.
도 7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유산균 함유 당근, 청경채 과립 제품의 저장성 평과 결과이다.
1 is a strain cultured according to a prepar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absorbance (OD) and pH during fermentation at 25° C. of Lactobacillus fermentum (hereinafter, L. fermentum )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changes in glucose (glucose), lactate (lactate), acetate (acetate) and ethanol (ethanol) during 25 ℃ fermentation of L. fermentum.
Figure 4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change in OD and pH during 30 ℃ fermentation of L. fermentum.
5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glucose, lactate, acetate and ethanol during fermentation of L. fermentum at 30°C.
6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change in OD and pH during 37 ℃ fermentation of L. fermentum.
7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changes in glucose, lactate, acetate and ethanol during 37 ℃ fermentation of L. fermentum.
8 is a result of comparing the change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during fermentation of L. fermentum , (A) is a graph comparing the change in OD and pH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B) is glucose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and A graph comparing the production of lactate, (C) is a graph comparing the production of acetate and ethanol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9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OD and pH during fermentation at 25° C. of Lactobacillus plantarum (hereinafter, L. plantarum )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glucose, lactate, acetate and ethanol during fermentation of L. plantarum at 25°C.
11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change in OD and pH during 30 ℃ fermentation of L. plantarum.
12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glucose, lactate, acetate and ethanol during fermentation of L. plantarum at 30°C.
13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change in OD and pH during 37 ℃ fermentation of L. plantarum.
14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glucose, lactate, acetate, and ethanol during 37° C. fermentation of L. plantarum.
15 is a result of comparing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ulture temperature during fermentation of L. plantarum , (A) is a graph comparing changes in OD and pH according to culture temperature, (B) is glucose consumption according to culture temperature A graph comparing the production of lactate and lactate, (C) is a graph comparing the production of acetate and ethanol according to the incubation temperature.
16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OD and pH during fermentation at 25° C. of Lactobacillus rhamnosus (hereinafter, L. rhamnosus )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glucose, lactate, acetate and ethanol during fermentation of L. rhamnosus at 25°C.
18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OD and pH during 30° C. fermentation of L. rhamnosus.
19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glucose, lactate, acetate and ethanol during fermentation of L. rhamnosus at 30°C.
20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OD and pH during 37 °C fermentation of L. rhamnosus.
21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glucose, lactate, acetate and ethanol during 37° C. fermentation of L. rhamnosus.
22 is a result of comparing the change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during fermentation of L. rhamnosus , (A) is a graph comparing the change in OD and pH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B) is the consumption of glucose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and A graph comparing the production of lactate, (C) is a graph comparing the production of acetate and ethanol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23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OD and pH during 25° C. fermentation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hereinafter, L. mesenteroides )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glucose, lactate, acetate and ethanol during fermentation of L. mesenteroides at 25°C.
25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change in OD and pH during 30 ℃ fermentation of L. mesenteroides.
26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glucose, lactate, acetate and ethanol during fermentation of L. mesenteroides at 30°C.
27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change in OD and pH during 37 ℃ fermentation of L. mesenteroides.
28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glucose, lactate, acetate, and ethanol during 37° C. fermentation of L. mesenteroides.
29 is a result of comparing the change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during fermentation of L. mesenteroides , (A) is a graph comparing the change in OD and pH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B) is glucose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and A graph comparing the production of lactate, (C) is a graph comparing the production of acetate and ethanol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30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OD and pH during fermentation at 25° C.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hereinafter, L. acidophilus )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glucose, lactate, acetate and ethanol during fermentation of L. acidophilus at 25°C.
32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OD and pH during fermentation of L. acidophilus at 30°C.
33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glucose, lactate, acetate and ethanol during fermentation of L. acidophilus at 30°C.
34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OD and pH during 37° C. fermentation of L. acidophilus.
35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glucose, lactate, acetate and ethanol during fermentation of L. acidophilus at 37°C.
Figure 36 is a result of comparing the change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during fermentation of L. acidophilus , (A) is a graph comparing the change in OD and pH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B) is glucose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and A graph comparing the production of lactate, (C) is a graph comparing the production of acetate and ethanol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37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OD and pH during fermentation at 25° C. of Lactobacillus reuteri (hereinafter, L. reuteri )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38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glucose, lactate, acetate and ethanol during fermentation of L. reuteri at 25°C.
Figure 39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change in OD and pH during 30 ℃ fermentation of L. reuteri.
40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glucose, lactate, acetate and ethanol during fermentation of L. reuteri at 30°C.
41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change in OD and pH during 37 ℃ fermentation of L. reuteri.
42 is a result of measuring changes in glucose, lactate, acetate and ethanol during fermentation of L. reuteri at 37°C.
43 is a result of comparing the change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during fermentation of L. reuteri , (A) is a graph comparing the change in OD and pH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B) is glucose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and A graph comparing the production of lactate, (C) is a graph comparing the production of acetate and ethanol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Figure 44 is a result of analyzing the heat resistance of each strain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at 45 ℃, (B) at 55 ℃, (C) at 65 ℃ (heat shock) It is a graph in the case of giving
45 is a result of a mixture of dried carrots and dried bok choy in different ratio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6 is a fermented beverage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47 is a graph analyzing the number of viable cells and changes in pH of a control stock solution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48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sugar component consumption and fermentation products of the control stock solution.
49 is a graph analyzing the number of viable cells and changes in pH of L. fermentum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50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sugar component consumption and fermentation products of L. fermentum.
51 is a graph analyzing the number of viable cells and changes in pH of L. plantarum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52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sugar component consumption and fermentation products of L. plantarum.
53 is a graph analyzing the number of viable cells and changes in pH of L. rhamnosus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54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sugar component consumption and fermentation products of L. rhamnosus.
55 is a graph analyzing the number of viable cells and changes in pH of L. mesenteroides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56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sugar component consumption and fermentation products of L. mesenteroides.
57 is a graph analyzing the number of viable cells and changes in pH of L. acidophilus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58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sugar component consumption and fermentation products of L. acidophilus.
59 is a graph analyzing the number of viable cells and changes in pH of L. reuteri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60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sugar component consumption and fermentation products of L. reuteri.
61 to 66 are results of evaluation of low-temperature storage properties of fermented beverages prepared using six types of bacteria.
67 is a fermented beverage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68 to 70 are results of analysis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ugar source, FIG. 68 shows 20 mL of purified water and 15 g of sugar source, FIG. 69 shows 10 mL of purified water and 25 g of sugar source, and FIG. 70 shows fermentation with the addition of 35 g of sugar source.
71 to 73 are results of analyzing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and FIG. 71 shows fermentation at 25° C., FIG. 72 shows 30° C., and FIG. 73 shows fermentation at 37° C.
74 to 76 are results of analysis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initial strain concentration, and FIG. 74 is 5 mL, FIG. 75 is 25 mL, and FIG. 76 is fermented at a concentration of 50 mL.
77 is an image of the granule product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78 is a storage evaluation result of lactic acid bacteria-containing carrots and bok choy granulated product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자는 식약청에서 사용을 허가한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균주를 이용하여 이의 발효특성을 파악하고, 당근과 청경채, 그리고 자두, 복숭아 과즙 함량에 따른 적절한 발효조건을 탐색하여 최적 배합비 및 발효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품의 다양화를 위하여 유산균 또는 그 발효액을 포함하는 당근, 청경채 유산균 과립 분말 제품을 생산하고자 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 present inventor tried to establish the optimal mixing ratio and fermentation conditions by using the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strain approved for use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by exploring the appropriate fermentation conditions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carrots, bok choy, plums, and peaches. In addition, in order to diversify products,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trying to produce a powder product of carrot and bok choy lactic acid bacteria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or a fermented solution thereof.

본 발명은 건 과채류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원액에 물과 당원을 첨가하는 단계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또는 이의 혼합 유산균을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한 후, 상기 물과 당원이 첨가된 원액에 상기 배양된 유산균 균체를 혼합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p of preparing a dry fruit and vegetable stock solution, adding water and a sugar source to the prepared stock solution, and Lactobacillus rhamnosus , Lactobacillus plantarum ), or a mixed lactic acid bacteria thereof in a medium After inoculation and culturing,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fermented lactic acid bacteria food comprising the step of fermenting by mixing the cultured lactic acid bacteria cells in the stock solution added with the water and sugar source.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발효식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 과채류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물에 상기 건 과채류를 넣고 분쇄한 후, 110 내지 130℃,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25℃에서, 10 내지 30분, 바람직하게는 20분간 고압 살균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reparing the dried fruit and vegetable stock solution is to put the dried fruit and vegetable in water and pulverize it, then at 110 to 130° C., preferably at 120 to 125° C., for 10 to 30 minutes. , preferably by autoclaving for 20 minutes.

상기 건 과채류는 당근, 청경채, 아보카도, 케일, 샐러리, 비트 또는 이의 혼합 건조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dried fruits and vegetables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arrots, bok choy, avocados, kale, celery, beets, or a mixture thereof.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 과채류는 건당근 및 건청경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건당근 및 건청경채는 (5 내지 15) : 1의 중량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량비일 때 색상 및 기호도가 발효 음료 제조에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Preferably, the dried fruits and vegetables may include dried carrots and dried bok choy, and the dried carrots and dried bok choy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5 to 15): 1, more preferably 10: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or and the preference when the weight ratio is suitable for manufacturing a fermented beverage.

상기 건당근 및 건청경채는 당근과 청경채를 재배 또는 구입한 뒤 건조시켜 준비할 수 있고, 또는 건당근 및 건청경채 형태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할 수 있다.The dried carrots and dried bok choy can be prepared by cultivating or purchasing carrots and bok choy, or dried carrots and dried bok choy.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발효식품의 주 원료인 과채류는 건조된 상태의 건 과채류를 이용하기에 저장과 유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Fruits and vegetables, which are the main raw materials of the fermented lactic acid bacteria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advantage of easy storage and distribution because dried fruits and vegetables are used.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발효식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 과채류 원액을 제조한 후, 상기 제조된 원액에 물과 당원을 첨가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물 및 당원은 상기 건 과채류 원액 중량의 1/3 내지 1/5로 첨가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fermented lactic acid bacteria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dried fruit and vegetable stock solution is prepared, the step of adding water and a sugar source to the prepared stock solution may be performed. The water and sugar source may be added in 1/3 to 1/5 of the weight of the dried fruit and vegetable stock solution.

상기 당원은 자두, 복숭아, 사과, 포도, 배, 복숭아 등의 과일 착즙액 또는 농축액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일을 이용한 당원을 선택하여 제조함으로써 첨가당 없이 건강하고 다양한 맛과 향을 구현할 수 있다.The sugar sourc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juice or concentrate of fruits such as plums, peaches, apples, grapes, pears, and peaches. By selecting and manufacturing a sugar source using the fruit, it is possible to realize a healthy and diverse taste and flavor without added sugar.

바람직하게는, 상기 당원은 복숭아 또는 자두 과즙 농축액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물과 상기 당원은 1 : (1 내지 4)의 중량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2 내지 3)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상기 원액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물과 당원이 상기 원액에 첨가될 때, 상기 유산균의 발효를 촉진시킬 수 있고, 맛과 향 또한 우수하다.Preferably, the sugar source may include peach or plum juice concentrate, and the water and the sugar source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 (1 to 4), more preferably 1: (2 to 3) by weight. It may be added to the stock solution. When water and sugar source in the above range are added to the stock solution,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fermentation of the lactic acid bacteria, and the taste and aroma are also excellent.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발효식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또는 이의 혼합 유산균,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한 후, 상기 물과 당원이 첨가된 원액에 상기 배양된 유산균 균체를 혼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lactic acid fermented fo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tep of the fermentation, Lactobacillus ramno suspension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Planta column (Lactobacillus plantarum), or a mixture of lactic acid bacteria, preferably Lactobacillus ramno suspension (Lactobacillus rhamnosus ) after inoculation and culturing in the medium, it can be carried out by mixing the cultured lactic acid bacteria cells in the stock solution to which the water and the sugar source are added.

상기 유산균은 전배양하여 상기 배양액을 이용하거나 또는 원심분리하여 상기 배양액의 상층액을 제거한 균체만을 취하여 발효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산균을 MRS 배지 20 내지 50mL, 보다 바람직하게는 25mL에 접종하여 배양한 후, 이를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상기 유산균 균체를 상기 물과 당원이 첨가된 원액에 혼합하여, 30 내지 40℃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37℃에서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배양 또는 발효조건에서 발효될 때, 생산성을 높여 효율적으로 발효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The lactic acid bacteria can be fermented by pre-culturing and using the culture solution or by centrifuging to remove only the cells from which the supernatant of the culture solution is removed. Preferably, the lactic acid bacteria are inoculated into 20 to 50 mL of MRS medium, more preferably 25 mL, and then centrifuged, and the lactic acid bacteria cells obtained by centrifugation are mixed with the stock solution to which the water and the sugar source are added, and 30 to 40 ° C. In, more preferably, it can be fermented at 37 ℃. When fermented in the above range of culture or fermentation condition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ufacture fermented food by increasing productivity.

본 발명은 상기 유산균 발효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유산균 발효식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food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food.

상기 발효식품은 음료, 유제품 및 각종 드링크, 통조림, 잼 등의 가공식품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유산균 발효 과채 음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식품에 적용될 수 있다. The fermented food may include beverages, dairy products, and processed foods such as various drinks, canned food, and jam, and may preferably be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fruit and vegetable beverag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foods.

또한, 본 발명은 과채 분말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유산균, 또는 상기 유산균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산균 발효액을 혼합하여 과채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과채 원액을 과립화하는 단계 및 상기 과립화된 과채 원액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산균 함유 과립형 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fruit and vegetable stock solution by mixing a vegetable powder and Lactobacillus rhamnosus or Lactobacillus plantarum lactic acid bacteria, or a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broth containing one or more of the above lactic acid bacteria;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granular food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comprising the steps of granulating the prepared fruit and vegetable stock solution and drying the granulated fruit and vegetable stock solution.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함유 과립형 식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과채 원액 제조 단계는 과채 분말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중 하나 이상의 유산균, 또는 상기 유산균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산균 발효액,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또는 이의 발효액을 혼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granular food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reparing the raw vegetable and vegetable solution comprises one or more lactic acid bacteria of fruit and vegetable powder and Lactobacillus rhamnosus or Lactobacillus plantarum, or the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fermentation broth containing one or more, preferably Lactobacillus rhamnosus ( Lactobacillus rhamnosus ) Or it can be carried out by mixing its fermentation broth.

상기 과채 분말은 상기 식품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과채 분말 및 상기 유산균 또는 유산균 발효액은 (2 내지 4) : 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과채 원액을 제조해야, 이후 과립화 단계에서 과립이 잘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The fruit and vegetable powd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5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food, and the fruit and vegetable powder and the lactic acid bacteria or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broth may be mixed in a weight ratio of (2 to 4): 1. The above range is preferable because the fruit and vegetable stock solution must be prepared within the above range so that granules can be well formed in the subsequent granulation step.

상기 과채 분말은 당근, 청경채, 아보카도, 케일, 샐러리 및 비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과채류의 분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당근 분말, 청경채 분말 또는 이의 혼합 분말일 수 있다. The fruit and vegetable powder may be a powder of one or more fruits and vegetabl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rots, bok choy, avocado, kale, celery and bee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Preferably, it may be carrot powder, bok choy powder, or a mixed powder thereof.

상기 과채 분말은 상기 과채를 재배 또는 구입하여 건조시켜 후 분쇄하여 준비할 수 있고, 또는 과채 분말 형태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할 수 있다.The fruit and vegetable powder may be prepared by cultivating or purchasing the fruits and vegetables, drying them, and then pulverizing them, or may be purchased in the form of fruits and vegetables powder.

상기 과채 원액은 유당, 덱스트린, 포도당, 옥수수전분, 정제염, DHA, 분당 및 핵산I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vegetable stock solu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ctose, dextrin, glucose, corn starch, refined salt, DHA, powdered sugar, and nucleic acid IG,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함유 과립형 식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과채 원액을 과립화하는 단계는 압출식 과립기를 이용하여 과립화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granular food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nulating of the prepared fruit and vegetable stock solution may be granulated using an extrusion granula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함유 과립형 식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과립화된 과채 원액을 건조시키는 단계는 과립화된 과채 원액의 수분 함량이 2 내지 4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가 되도록 6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65℃에서 수행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granulated food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ing of the granulated fruit and vegetable stock solution is 60% so that the water content of the granulated fruit and vegetable stock solution is 2 to 4 wt%, preferably 2.5 to 3.5%. to 70°C, preferably at 65°C.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함유 과립형 식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건조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건조된 과립을 진동체를 이용하여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과립을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granular food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selecting the dried granules using a vibrating sieve after the drying and packaging the selected granules. can

본 발명은 상기 유산균 함유 과립형 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유산균 과립형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은 스낵, 가공식품, 식품 첨가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또는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에 함유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은 과채류를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신바이오틱(synbiotic) 효과를 가질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건강 기능성이 부여된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ctic acid bacteria-containing granular food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granular food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The food may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such as snacks, processed food, food additives, or may be prepared in a form contained in food in a conventional sense. Since the food is manufactured using fruits and vegetables, it can have a synbiotic effect and thus can be prepared as food to which various types of health functionalities are imparted.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준비예 1> 균주 선별<Preparation Example 1> Strain selection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균주로 알려진 6가지 유산균을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KACC)에서 분양 받았다. 유산균 성장용 배지는 MRS broth와 bacto agar (Difco, MI, USA)를 사용하였다.Six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known as probiotics were sold from the Korea Agricultural and Microbiology Resource Center (KACC). MRS broth and bacto agar (Difco, MI, USA) were used as the medium for lactic acid bacteria growth.

KACC에서 분양받은 6종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KACC1144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KACC1145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KACC11953),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KACC12312),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KACC12419),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KACC11452)의 앰플을 앰플 커터기를 사용하여 절단하였다. 절단한 후 앰플에 있는 코튼 플러그(Cotton plug)를 제거하고 화염 멸균하였다. 이후 멸균된 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균체를 현탁한 후, MRS 배지와 MRS agar 배지에 동시에 접종하였다. 각 시료별 배지에서 나타난 단일 콜로니(colony)를 선별하여 MRS 액체 배지에 분리, 배양하였다.6 kinds of lactic acid bacteria sold from KACC, Lactobacillus fermentum KACC11441, Lactobacillus plantarum KACC11451, Lactobacillus rhamnosus KACC11953, Leuconostok mesenteroides KACC12312 ),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KACC12419), and Lactobacillus reuteri (Lactobacillus reuteri KACC11452) ampoules were cut using an ampoule cutter. After cutting, the cotton plug in the ampoule was removed and flame sterilized. Thereafter, the cells were suspended using sterile physiological saline, and then inoculated into MRS medium and MRS agar medium at the same time. A single colony appeared in each sample medium was selected, separated and cultured in MRS liquid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준비예에 따라 배양된 균주로, A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B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C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D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E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F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이다.1 is a strain cultured according to a prepar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Lactobacillus fermentum ( Lactobacillus fermentum ), B is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plantarum ), C is Lactobacillus rhamnosus ( Lactobacillus rhamnosus ), D is Leuconostoc mesenteroides ( Leuconostoc mesenteroides ), E is Lactobacillus acidophilus ( Lactobacillus acidophilus ), F is Lactobacillus reuteri ( Lactobacillus reuteri ).

<실험예 1> 균주 특성 분석<Experimental Example 1> Analysis of strain characteristics

KACC에서 분양받은 균을 당근, 청경채 발효 음료에 적용을 목적으로 선별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우선 온도가 각 균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5℃, 30℃, 37℃의 세 가지 조건에서 발효를 진행하였고, 흡광도 600nm와 pH를 측정하였다. 또한 발효 산물의 분석을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발효 음료에 사용할 균주의 선별 기준을 설정하였다.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elect the bacteria acquired from KACC for the purpose of application to fermented drinks of carrots and bok choy.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each strain, fermentation was performed under three conditions of 25°C, 30°C, and 37°C, and absorbance of 600 nm and pH were measured. Analysis of fermentation products was also used.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selection criteria for strains to be used for fermented beverages were set.

1. 유산균 발효 방법1. Lactobacillus fermentation method

발효를 위해 시험관에 MRS 배지 5mL씩 분주하고 -80℃에서 보관한 KACC 균주의 1%를 접종하여 진탕 배양기 (shaking incubator, VS-8480, Vision Scientific, Bucheon, Korea)에 80rpm으로 밤샘 배양하였다. 250mL 삼각 플라스크에 분주한 50mL의 MRS 액체 배지에 배양액을 1% 농도로 접종하여 25℃, 30℃, 37℃의 조건에서 진탕 배양기에 80rpm으로 48시간 발효하여 실험하였다. For fermentation, 5mL of MRS medium was dispensed into test tubes and 1% of the KACC strain stored at -80°C was inoculated and cultured overnight at 80rpm in a shaking incubator (VS-8480, Vision Scientific, Bucheon, Korea). The culture was inoculated at a concentration of 1% in 50 mL of MRS liquid medium dispensed in a 250 mL Erlenmeyer flask, and fermented for 48 hours at 80 rpm in a shaking incubator at 25°C, 30°C, and 37°C.

2. 이화학적 특성 분석2.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1) 세포 성장 (Cell growth)1) Cell growth

각 균주의 세포 성장을 관찰하기 위하여 흡광도(Optical density, OD)를 측정하였다. 흡광도는 UV-1800 spectrophotometer (Shimadzu Inc., Kyoto, Japan)를 사용하여 600nm에서 측정하였다Absorbance (Optical density, OD) was measured to observe the cell growth of each strain. Absorbance was measured at 600 nm using a UV-1800 spectrophotometer (Shimadzu Inc., Kyoto, Japan).

2) pH2) pH

각 균주의 발효 중 배지 내의 pH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Beckman 390 pH meter (Beckman Coulter Inc., CA, USA)를 이용하여 발효액 1mL 시료를 취해 pH를 측정하였다. In order to observe the change in pH in the medium during fermentation of each strain, a 1 mL sample of the fermentation broth was taken and the pH was measured using a Beckman 390 pH meter (Beckman Coulter Inc., CA, USA).

3) HPLC3) HPLC

각 균주의 발효 산물의 정량분석을 위하여 발효액 1mL의 시료를 취하여 13,500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 700μL를 0.2μm Nalgene syringe filter (Thermo Scientific Inc., MA, USA)로 여과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HPLC는 Agilent 1260 Infinity Ⅱ (Agilent, Santa Clara CA, USA)를 사용하였고, 컬럼은 Aminex HPX-87H Column (300mm×7.5mm, 9μm, Bio-Rad, CA, USA)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용매 0.005M 황산(sulfuric acid)을 사용하였다. 컬럼 오븐의 온도는 60℃, 시료 주입량은 10μL, 유속 0.6 mL/mi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For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fermentation product of each strain, a sample of 1 mL of fermentation broth was taken, centrifuged at 13,500 rpm for 10 minutes, and 700 μL of the supernatant was filtered with a 0.2 μm Nalgene syringe filter (Thermo Scientific Inc., MA, USA), followed by HPLC. was analyzed with For HPLC, an Agilent 1260 Infinity Ⅱ (Agilent, Santa Clara CA, USA) was used, and the column was an Aminex HPX-87H Column (300mm×7.5mm, 9μm, Bio-Rad, CA, USA), and the mobile phase was solvent 0.005. M sulfuric acid was used. The temperature of the column oven was 60° C., the sample injection amount was 10 μL, and the flow rate was 0.6 mL/min.

3. 분석 결과3. Analysis Results

3-1.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3-1. Lactobacillus Fermentum ( Lactobacillus fermentumLactobacillus fermentum ; 이하, ; Below, L. fermentumL. fermentum )의 세포 성장, pH, 발효산물 분석) cell growth, pH, fermentation product analysis

1) 25℃1) 25℃

도 2를 참조하면, L. fermentum 25℃ 발효의 OD 값은 발효 후 36시간에 7.06으로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발효 48시간 이후에는 6.46까지 감소하였다. pH 값은 36시간에 최저치인 4.48에 도달하였고, 발효 36시간 이후 pH 값이 점차 상승하여 발효 48시간 이후에는 pH 값이 4.52까지 상승하였다. Referring to FIG. 2 , the OD value of L. fermentum fermentation at 25° C. reached a maximum of 7.06 at 36 hours after fermentation and decreased to 6.46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The pH value reached the lowest value of 4.48 at 36 hours, and the pH value gradually increased after 36 hours of fermentation, and the pH value increased to 4.52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도 3을 참조하면, 글루코오스(glucose)는 36시간 때에 0g/L로 분석되었으며, 글루코오스의 소모가 가장 많았던 시간은 12시간과 24시간 사이로 7.3g/L 소모하였다. 락테이트(lactate)는 48시간까지 계속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9.7g/L로 분석되었다. 아세테이트(acetate)는 발효 초기 3.8g/L에서 48시간 발효를 마친 후 4.3g/L까지의 증가만을 보였고, 에탄올(ethanol)은 48시간 발효를 동안 4.2g/L을 생성하였다.Referring to FIG. 3 , glucose was analyzed as 0 g/L at 36 hours, and 7.3 g/L was consumed between 12 hours and 24 hours during the time when glucose was most consumed. Lactate continued to increase until 48 hours and was finally analyzed to be 9.7 g/L. Acetate (acetate) showed only an increase from 3.8 g/L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to 4.3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and ethanol (ethanol) produced 4.2 g/L during fermentation for 48 hours.

2) 30℃2) 30℃

도 4를 참조하면, L. fermentum 30℃ 발효의 OD 값은 24시간에 최고치인 7.14에 도달하였으며 발효 48시간 이후에는 6.24로 감소하였다. pH 값은 24시간에 최저치인 4.44에 도달하였고, 발효 24시간 이후에는 pH 값이 상승하여 48시간 발효 후에 4.50으로 상승하였다.Referring to FIG. 4 , the OD value of L. fermentum fermentation at 30° C. reached a maximum of 7.14 at 24 hours and decreased to 6.24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The pH value reached the lowest value of 4.44 at 24 hours, and after 24 hours of fermentation, the pH value increased and rose to 4.50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도 5를 참조하면, 글루코오스는 24시간에 0g/L로 분석되었으며, 글루코오스의 소모가 가장 많았던 시간은 12시간과 24시간 사이로 8.3g/L을 소모하였다. 락테이트는 36시간에 9.9g/L을 생성하여 락테이트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발효 초기에 크게 증가하였다. 아세테이트는 48시간의 발효 동안 3.9g/L에서 4.3g/L까지 증가하였으며, 에탄올은 48시간 발효 이후 4.1g/L로 분석되었다.Referring to FIG. 5 , glucose was analyzed as 0 g/L at 24 hours, and 8.3 g/L was consumed between 12 and 24 hours during the time when glucose was most consumed. Lactate produced 9.9 g/L at 36 hours, reaching the maximum lactate level, and greatly increased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Acetate increased from 3.9 g/L to 4.3 g/L during 48 hours of fermentation and ethanol was analyzed to be 4.1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3) 37℃3) 37℃

도 6을 참조하면, L. fermentum 37℃ 발효의 OD 값은 12시간에 최고치인 6.41에 도달하였으며 발효 48시간 이후 4.8로 감소하였다. pH 값은 12시간에 최저치인 4.44에 도달하였고, 12시간 이후에는 pH 값이 상승하여 발효 48시간 이후에 4.5로 상승하였다. Referring to FIG. 6 , the OD value of L. fermentum fermentation at 37° C. reached a maximum of 6.41 at 12 hours and decreased to 4.8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The pH value reached the lowest value of 4.44 at 12 hours, and the pH value increased after 12 hours and rose to 4.5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도 7을 참조하면, 글루코오스는 12시간에 0g/L로 분석되었고, 글루코오스의 소모가 가장 많았던 시간은 6시간과 12시간 사이로 15.3g/L을 소모하였다. 락테이트는 36시간에 최고치인 9.7g/L에 도달하였으며 발효 초기 크게 증가하였다. 아세테이트는 발효 초기 3.9g/L에서 48시간의 발효 이후 4.3g/L까지 증가하였다. 에탄올은 48시간 발효를 통해 4g/L이 측정되었다.Referring to FIG. 7 , glucose was analyzed as 0 g/L at 12 hours, and 15.3 g/L was consumed between 6 hours and 12 hours when glucose was most consumed. Lactate reached the maximum value of 9.7 g/L at 36 hours and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initial stage of fermentation. Acetate increased from 3.9 g/L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to 4.3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Ethanol was measured at 4 g/L through 48 hours of fermentation.

4) 4) L. fermentumL. fermentum 의 배양 온도에 따른 변화change with the incubation temperature of

도 8을 참조하면, L. fermentum의 25℃, 30℃, 37℃에서의 발효를 비교했을 때 유산균의 성장 속도는 25℃에서 37℃로 증가할수록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산균의 성장 속도와는 달리 유산균의 최고 성장 수치는 온도에 상승에 비례하지 않았다. 25℃와 30℃ 발효의 OD 최고치에 비해 37℃ 발효의 OD 최고치는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L. fermentum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균의 성장 속도는 증가하지만 30℃보다 높은 온도에서 발효 시 다른 온도에 비하여 균의 성장이 적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8, when comparing the fermentation at 25 ℃, 30 ℃, 37 ℃ of L. fermentum , the growth rate of lactic acid bacteria was found to be faster as it increased from 25 ℃ to 37 ℃. However, unlike the growth rate of lactic acid bacteria, the maximum growth value of lactic acid bacteria was not proportional to the increase in temperature. Compared to the OD peaks of 25°C and 30°C fermentations, the highest OD values of the 37°C fermentation were lower.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L. fermentum increases the growth rate of bacteria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but the growth of bacteria may be less when fermented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30° C. compared to other temperatures.

pH 그래프를 비교했을 때 각 온도별로 최저치에 도달하는 시간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 온도에 따른 pH 그래프는 온도 차이에 따른 최저치의 변화가 적게 나타났다. OD 그래프와 pH 그래프를 비교했을 때 OD 값이 최고치에 도달한 시간에 pH 값이 최저치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pH graph was compared, the time to reach the minimum value for each temperature was found to be faster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and the pH graph for each temperature showed less change in the minimum valu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When the OD graph and the pH graph are compared, it can be seen that the pH value is at the lowest value when the OD value reaches the highest value.

온도 변화에 따른 글루코오스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온도가 증가할수록 글루코오스가 빨리 소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락테이트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온도가 높아질수록 락테이트가 생성되는 속도는 점차 빨라지지만 온도가 변해도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락테이트의 양의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글루코오스의 감소가 많은 시간에 락테이트가 많이 생성되었고, 글루코오스를 모두 소모했을 때 락테이트 양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omparing the glucose graph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it was found that the glucose was consumed faster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Comparing the lactate graphs, it can be seen that although the rate of lactate formation gradually increases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lactate finally produced even when the temperature is chang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 large amount of lactate was produced at a time when glucose was decreased, and there was no change in the amount of lactate when all of the glucose was consumed.

아세테이트는 온도 변화에 따른 생성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에탄올의 경우 온도가 높아질수록 에탄올이 생산되는 속도가 빨라졌지만 48시간 발효 후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에탄올의 양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oduction of acetate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and in the case of ethanol, the rate of ethanol production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amount of ethanol finally produced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이를 통해, L. fermentum은 온도가 높을수록 당의 소모 속도와 대사산물의 생산 속도가 증가하지만, 온도 변화에 의한 대사산물의 최종 생산량에 대한 영향은 적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유산균의 성장 또한 온도가 높을수록 성장 속도가 빨라지지만, 유산균의 최대량은 25℃와 30℃가 37℃ 보다 더 높게 측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L. fermentum increases the consumption rate of sugar and the production rate of metabolites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but the effect on the final production of metabolites by temperature change is small.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lso increases the growth rate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but it can be seen that the maximum amount of lactic acid bacteria is measured at 25 ℃ and 30 ℃ higher than 37 ℃.

3-2.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3-2.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plantarumLactobacillus plantarum ; 이하, ; Below, L. plantarumL. plantarum )의 세포 성장, pH, 발효산물 분석) cell growth, pH, fermentation product analysis

1) 25℃1) 25℃

도 9를 참조하면, L. plantarum 25℃ 발효의 OD 값은 36시간에 최고치인 13.56에 도달하였으며 36시간 이후에는 점차 감소하여 48시간에는 13.08로 감소하였다. pH 값은 30시간에 최저치인 4.01에 도달하였고, 30시간 이후에는 pH 값이 상승하여 발효 후 48시간에 4.19로 상승하였다. Referring to FIG. 9 , the OD value of L. plantarum fermentation at 25° C. reached a maximum of 13.56 at 36 hours, and gradually decreased after 36 hours to 13.08 at 48 hours. The pH value reached the lowest value of 4.01 at 30 hours, and after 30 hours, the pH value increased and rose to 4.19 at 48 hours after fermentation.

도 10을 참조하면, 글루코오스는 36시간에 0g/L로 분석되었으며, 글루코오스의 소모가 가장 많았던 시간은 6시간과 12시간 사이로 9.9g/L을 소모하였다. 락테이트는 36시간에 19g/L을 생성하여 락테이트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아세테이트는 발효 초기 3.6g/L에서 48시간의 발효 이후 5g/L까지 증가하였다. 그리고 에탄올은 48시간 발효 동안 생성되지 않았다.Referring to FIG. 10 , glucose was analyzed as 0 g/L at 36 hours, and 9.9 g/L was consumed between 6 hours and 12 hours when glucose was most consumed. Lactate produced 19 g/L at 36 hours, reaching the maximum lactate level, and acetate increased from 3.6 g/L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to 5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And no ethanol was produced during the 48 hour fermentation.

2) 30℃2) 30℃

도 11을 참조하면, L. plantarum 30℃ 발효의 OD 값은 18시간에 최고치 11.96에 도달하였으며 18시간 이후 점차 감소하여 48시간에는 10.12로 감소하였다. pH 값은 24시간에 최저치인 3.94에 도달하였고, 24시간 이후에는 pH 값이 상승하여 발효 48시간 이후에 4.01로 상승하였다.Referring to FIG. 11 , the OD value of L. plantarum fermentation at 30° C. reached a maximum value of 11.96 at 18 hours and gradually decreased after 18 hours to decrease to 10.12 at 48 hours. The pH value reached the lowest value of 3.94 at 24 hours, and after 24 hours, the pH value increased and rose to 4.01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도 12를 참조하면, 글루코오스는 24시간에 모두 소모되었으며, 글루코오스의 소모가 가장 빨리 이루어진 시간은 6시간과 12시간 사이로 6시간 동안 10.4g/L를 소모하였다. 락테이트는 발효 36시간째에 최고치에 도달하였고, 아세테이트는 발효 초기에 3.7g/L에서 48시간 발효 이후 4.7g/L까지의 증가를 보였다. 또한 에탄올은 48시간 발효 동안 생성되지 않았다.Referring to FIG. 12 , glucose was all consumed in 24 hours, and 10.4 g/L was consumed for 6 hours between 6 hours and 12 hours when the consumption of glucose was the fastest. Lactate reached a maximum at 36 hours of fermentation, and acetate increased from 3.7 g/L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to 4.7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Also, no ethanol was produced during the 48 hour fermentation.

3) 37℃3) 37℃

도 13을 참조하면, L. plantarum 37℃ 발효의 OD 값은 18시간에 최고치 8.1에 도달하였으며 18시간 이후에는 점차 감소하여 48시간에는 6.1로 감소하였다. pH 값은 36시간에 최저치인 4.02에 도달하였다. Referring to FIG. 13 , the OD value of L. plantarum fermentation at 37° C. reached a maximum value of 8.1 at 18 hours and gradually decreased after 18 hours to decrease to 6.1 at 48 hours. The pH value reached the lowest value of 4.02 at 36 hours.

도 14를 참조하면, 글루코오스는 24시간에 모두 소모되었고, 글루코오스의 소모가 가장 많았던 시간은 6시간과 12시간 사이로 13.5g/L을 소모하였다. 락테이트는 48시간까지 계속 증가하여 17.5g/L을 생성하여 락테이트 최고치에 도달하였다. 아세테이트는 발효 초기 3.7g/L에서 48시간 발효 이후 4.7g/L로 증가하였고, 에탄올은 48시간 발효 동안 생성되지 않았다.Referring to FIG. 14 , glucose was all consumed in 24 hours, and 13.5 g/L was consumed between 6 hours and 12 hours when the consumption of glucose was the highest. Lactate continued to increase until 48 hours to produce 17.5 g/L, reaching the maximum lactate level. Acetate increased from 3.7 g/L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to 4.7 g/L after 48 h fermentation, and ethanol was not produced during 48 h fermentation.

4) 4) L. plantarumL. plantarum 의 배양 온도에 따른 변화change with the incubation temperature of

도 15를 참조하면, L. plantarum의 25℃, 30℃, 37℃에서의 발효를 비교해볼 때, 유산균 성장의 최고치에 도달하는 속도는 25℃에서 37℃로 증가할수록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고치에 도달하는 시간과는 달리 유산균의 최고 성장 값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지 않았고, 낮은 온도일 때 유산균의 최고 성장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L. plantarum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균이 최고치에 도달하는 시간은 빨라지지만 낮은 온도에서 발효를 진행했을 때 더 많은 유산균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5, when comparing the fermentation at 25 ℃, 30 ℃, 37 ℃ of L. plantarum , the rate of reaching the maximum of lactic acid bacteria growth was found to be faster as it increased from 25 ℃ to 37 ℃. However, unlike the time to reach the maximum value, the maximum growth value of lactic acid bacteria did not increase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and the maximum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was achieved at a low temperature.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L. plantarum can obtain more lactic acid bacteria when fermentation is performed at a low temperature, although the time for the bacteria to reach the maximum value increases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pH 그래프를 비교했을 때, 30℃와 37℃의 pH 그래프는 비슷한 값을 갖지만, 두 온도와는 달리 25℃의 pH 그래프는 처음 12시간 동안 pH 값이 천천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의 pH 값은 12시간 이후부터는 30℃와 37℃의 pH 값과 비슷한 값을 갖게 되지만 36시간 이후에는 점차적으로 높아져 48시간의 발효 이후 다른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pH 값을 나타내었다.When the pH graphs were compared, the pH graphs at 30°C and 37°C had similar values, but unlike the two temperatures, the pH graph at 25°C showed that the pH value decreased slowly during the first 12 hours. The pH value of 25 ℃ had similar values to the pH values of 30 ℃ and 37 ℃ after 12 hours, but gradually increased after 36 hours, indicating a relatively higher pH value than other temperatures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글루코오스 그래프를 비교했을 때, 30℃와 37℃에 비하여 25℃ 발효는 글루코오스의 소모속도가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L. plantarum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글루코오스의 소모 속도가 빨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30℃와 37℃ OD 그래프가 18시간에서 최대치에 도달한 것을 통해, 30℃와 37℃ 발효에서 글루코오스는 18시간 내에 모두 소모되었다고 예측할 수 있다. When the glucose graphs were compared,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glucose consumption was slow in fermentation at 25°C compared to 30°C and 37°C. Through this, L. plantarum can be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e faster the consumption rate of glucose. In addition, from the fact that the OD graphs at 30°C and 37°C reached their maximum values at 18 hours, it can be predicted that glucose was all consumed within 18 hours in the fermentation at 30°C and 37°C.

락테이트 생산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37℃에서 발효한 결과는 12시간까지 30℃의 발효 결과와 비슷한 값을 갖지만, 24시간부터 차이가 나타나 30℃의 락테이트 생성량보다 낮은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5℃의 경우에는 락테이트는 다른 두 온도에 비해 천천히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가장 많은 양의 락테이트를 얻기 위해서는 30℃에서의 발효를 진행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아세테이트는 37℃를 제외한 25℃와 30℃ 발효에서는 증가하였으며, 에탄올의 경우 세 가지 온도 모두에서 생성되지 않았다.Comparing the lactate production graph, the result of fermentation at 37°C had a similar value to that of fermentation at 30°C up to 12 hours, but showed a difference from 24 hours, showing a lower value than the lactate production at 30°C. , at 25°C, lactate was produced slowly compared to the other two temperatures. Through this,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is appropriate to proceed with fermentation at 30° C. in order to obtain the greatest amount of lactate. Acetate was increased in fermentations at 25°C and 30°C except for 37°C, and in the case of ethanol, it was not produced at all three temperatures.

결론적으로 L. plantarum은 25℃에 발효를 진행했을 때 가장 많은 유산균 균체를 얻을 수 있지만 30℃에서 발효를 진행했을 때보다 발효 시간이 더 오래 걸림을 확인할 수 있다.In conclusion, L. plantarum can obtain the most lactic acid bacteria when fermentation is carried out at 25℃, but it can be confirmed that fermentation takes longer than when fermentation is performed at 30℃.

3-3.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3-3. Lactobacillus rhamnosus ( Lactobacillus rhamnosusLactobacillus rhamnosus ; 이하, ; Below, L. rhamnosusL. rhamnosus )의 세포 성장, pH, 발효산물 분석) cell growth, pH, fermentation product analysis

1) 25℃1) 25℃

도 16을 참조하면, L. rhamnosus 25℃ 발효의 OD 값은 30시간에 최고치인 12.6에 도달하였으며 발효 후 30시간 이후에는 점차 감소하여 48시간에는 11.66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pH 값은 30시간에 최저치인 4.19에 도달하였다. Referring to FIG. 16 , the OD value of L. rhamnosus fermentation at 25° C. reached the maximum value of 12.6 at 30 hours, and gradually decreased after 30 hours after fermentation, and decreased to 11.66 at 48 hours. Also, the pH value reached the lowest value of 4.19 at 30 hours.

도 17을 참조하면, 글루코오스는 36시간에 모두 소모되었고, 글루코오스의 소모가 가장 빠른 구간은 12시간과 24시간 사이로 총 8g/L을 소모하였다. 락테이트는 48시간 발효 동안 15g/L을 생성하였고, 아세테이트는 발효 초기 3.7g/L에서 발효 48시간 이후 4g/L로 증가하였다. 에탄올은 48시간 발효 동안 생성되지 않았다.Referring to FIG. 17 , glucose was all consumed at 36 hours, and the fastest period of glucose consumption was between 12 and 24 hours, consuming a total of 8 g/L. Lactate produced 15 g/L during 48 hours of fermentation, and acetate increased from 3.7 g/L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to 4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No ethanol was produced during the 48 hour fermentation.

2) 30℃2) 30℃

도 18을 참조하면, L. rhamnosus 30℃ 발효의 OD 값은 30시간에 최고치인 12.86에 도달하였으며 30시간 이후에는 점차 감소하여 48시간에는 11.86으로 감소하였다. pH 값은 36시간에 최저치인 4.14에 도달하였다.Referring to FIG. 18 , the OD value of L. rhamnosus fermentation at 30° C. reached the maximum value of 12.86 at 30 hours and gradually decreased after 30 hours to 11.86 at 48 hours. The pH value reached a minimum of 4.14 at 36 hours.

도 19를 참조하면, 글루코오스는 24시간에 0g/L로 측정되었고, 글루코오스의 소모가 가장 많았던 시간은 12시간과 24시간 사이로 8.7g/L을 소모하였다. 락테이트는 24시간에 최대치인 14.5g/L에 도달하였으며 이후에는 천천히 감소하여 48시간 발효 후 13.6g/L이 되었다. 아세테이트는 발효 초기 3.7g/L에서 48시간 발효 후 4.6g/L까지의 증가를 보였고, 에탄올은 48시간 발효 동안 생성되지 않았다.Referring to FIG. 19 , glucose was measured to be 0 g/L at 24 hours, and 8.7 g/L was consumed between 12 and 24 hours during the time when glucose was most consumed. Lactate reached a maximum of 14.5 g/L at 24 hours, and then slowly decreased to 13.6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Acetate increased from 3.7 g/L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to 4.6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and ethanol was not produced during 48 hours of fermentation.

3) 37℃3) 37℃

도 20을 참조하면, L. rhamnosus 37℃ 발효의 OD 값은 발효 18시간에 최고치인 11.14에 도달하였으며 발효 18시간 이후에는 점차 감소하여 발효 48시간 이후에는 10.58로 감소하였다. pH 값은 18시간에 최저치인 4.09에 도달하였고, 18시간 이후부터 점차 증가하여 48시간 발효 이후 4.14까지 증가하였다.Referring to FIG. 20 , the OD value of L. rhamnosus fermentation at 37° C. reached the maximum value of 11.14 at 18 hours of fermentation, and gradually decreased after 18 hours of fermentation, and decreased to 10.58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The pH value reached the lowest value of 4.09 at 18 hours, and gradually increased after 18 hours to 4.14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도 21을 참조하면, 글루코오스는 24시간에 0g/L까지 감소하였으며, 글루코오스의 소모가 가장 많았던 시간은 6시간과 12시간 사이로 12.3g/L을 소모하였다. 락테이트는 24시간에 최대치인 16.1g/L에 도달하였으며 이후에는 천천히 감소하여 48시간 발효 후에는 15.3g/L이 되었다. 아세테이트는 발효 초기 3.7g/L에서 48시간 발효 후 4.6g/L까지의 증가를 보였다. 에탄올은 48시간 발효 동안 생성되지 않았다.Referring to FIG. 21 , glucose decreased to 0 g/L at 24 hours, and 12.3 g/L was consumed between 6 and 12 hours during the time when glucose consumption was the highest. Lactate reached a maximum of 16.1 g/L at 24 hours, and then slowly decreased to 15.3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Acetate increased from 3.7 g/L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to 4.6 g/L after fermentation for 48 hours. No ethanol was produced during the 48 hour fermentation.

4) 4) L. rhamnosusL. rhamnosus 의 배양 온도에 따른 변화change with the incubation temperature of

도 22를 참조하면, L. rhamnosus의 25℃, 30℃, 37℃의 발효에서 유산균 성장의 최고치에 도달하는 속도는 25℃에서 37℃로 온도가 증가할수록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고치에 도달하는 시간과는 달리 유산균의 최고 성장 값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지 않았다. 37℃ 발효의 OD 최고치는 11.14, 30℃ 발효의 OD 최고치는 12.86, 37℃ 발효의 OD 최고치는 12.6으로 30℃ 때 유산균의 최고 성장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22, the rate of reaching the maximum value of lactic acid bacteria growth in the fermentation of L. rhamnosus at 25 ℃, 30 ℃, 37 ℃ was found to be faster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from 25 ℃ to 37 ℃. However, unlike the time to reach the maximum value, the maximum growth value of lactic acid bacteria did not increase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The highest OD of the 37℃ fermentation is 11.14, the highest OD of the 30℃ fermentation is 12.86, and the highest OD of the 37℃ fermentation is 12.6, confirming that the highest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 achieved at 30℃.

또한, pH 그래프를 비교했을 때, 높은 온도에서 발효한 경우에 더 빠른 속도로 pH 최저치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H의 감소는 락테이트의 생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락테이트가 생성되는 경향도 높은 온도에서 발효할수록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H graphs were compared, it was found that the pH minimum was reached at a faster rate when fermented at a higher temperature. Since the decrease in pH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lactate, it can be seen that the tendency to produce lactate also increases at a faster rate as the fermentation is carried out at a high temperature.

글루코오스 그래프를 비교했을 때, 25℃ 발효에 비하여 30℃와 37℃ 발효는 글루코오스의 소모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L. rhamnosus는 낮은 온도에 비하여 높은 온도일 때 글루코오스의 소모 속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37℃ OD 그래프가 발효 18시간 후 최대치에 도달한 것을 통해, 37℃ 발효에서 글루코오스는 18시간 근처에서 모두 소모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glucose graph was compared,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glucose consumption was faster in the fermentation at 30°C and at 37°C compared to the fermentation at 25°C.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L. rhamnosus increases the rate of glucose consumption when the temperature is high compared to the low temperature. In addition, through the 37 ℃ OD graph reached the maximum value after 18 hours of fermentation, it can be determined that glucose was all consumed around 18 hours in the 37 ℃ fermentation.

락테이트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37℃ 락테이트 그래프가 가장 빠른 시간에 최고치에 도달했고, 최고치 또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0℃와 37℃의 락테이트 그래프에서 글루코오스가 모두 소모된 이후 락테이트의 양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가장 많은 락테이트를 얻기 위해서는 글루코오스를 모두 소모한 시기에 발효를 끝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Comparing the lactate graphs, it was found that the 37°C lactate graph reached the highest value in the fastest time, and the highest value was also the highest. Also, in the lactate graphs at 30° C. and 37° C., it was found that the amount of lactate decreased after all of the glucose was consumed. From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in order to obtain the greatest amount of lactate, fermentation must be finished when all of the glucose is consumed.

아세테이트는 30℃와 37℃에 비하여 25℃에서 생성이 적었고, 에탄올은 25℃와 30℃, 37℃ 모두 생성하지 않았다.Acetate was less produced at 25 °C than at 30 °C and 37 °C, and ethanol was not produced at either 25 °C, 30 °C, or 37 °C.

결론적으로, L. rhamnosus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글루코오스의 소모와 락테이트의 생산속도 및 생산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산균의 성장 속도 또한 높은 온도에서 빠르게 나타났지만 유산균 성장의 최대치는 37℃에 비하여 30℃와 25℃에 높게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락테이트를 얻기 위해서는 37℃에서 발효를 진행하는 것이 적절하고, 더 많은 유산균 균체를 얻기 위해서는 30℃에서 발효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다.In conclusion, in L. rhamnosus , the consumption of glucose and the production rate and production of lactate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The growth rate of lactic acid bacteria was also rapid at high temperature, but the maximum growth rate of lactic acid bacteria was 30 compared to 37℃. It was measured to be high at ℃ and 25℃.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appropriate to proceed with the fermentation at 37° C. in order to obtain more lactate, and it is preferable to proceed with the fermentation at 30° C. to obtain more lactic acid bacteria cells.

3-4.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3-4. Leukonostok mecenteroides ( Leuconostoc mesenteroidesLeuconostoc mesenteroides ; 이하, ; Below, L. mesenteroidesL. mesenteroides )의 세포 성장, pH, 발효산물 분석) cell growth, pH, fermentation product analysis

1) 25℃1) 25℃

도 23을 참조하면, L. mesenteroides 25℃ 발효의 OD 값은 30시간에 최고치인 4.61에 도달하였으며 30시간 이후 점차 감소하여 발효 48시간 이후에는 4.52로 감소하였다. pH 값은 30시간에 최저치인 4.40에 도달하였다. Referring to FIG. 23 , the OD value of L. mesenteroides fermentation at 25° C. reached a maximum of 4.61 at 30 hours and gradually decreased after 30 hours to decrease to 4.52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The pH value reached a minimum of 4.40 at 30 hours.

도 24를 참조하면, 글루코오스는 36시간에 0g/L로 측정되었으며, 락테이트는 48시간 발효 이후 10g/L로 측정되었다. 아세테이트는 발효 초기 4g/L에서 48시간 발효 이후 5.8g/L까지의 증가를 보였고, 에탄올은 48시간의 발효 이후 3.3g/L을 생성하였다.Referring to FIG. 24 , glucose was measured to be 0 g/L at 36 hours, and lactate was measured to be 10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Acetate increased from 4 g/L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to 5.8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and ethanol produced 3.3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2) 30℃2) 30℃

도 25를 참조하면, L. mesenteroides 30℃ 발효의 OD 값은 36시간에 최고치인 4.69에 도달하였으며 점차 감소하여 발효 48시간 이후에 4.52로 감소하였다. pH 값은 24시간에 최저치인 4.39에 도달한 후 점차 증가하여 발효 48시간 이후 4.47로 증가하였다. Referring to FIG. 25 , the OD value of L. mesenteroides fermentation at 30° C. reached a maximum of 4.69 at 36 hours and gradually decreased to 4.52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After reaching the lowest value of 4.39 at 24 hours, the pH value gradually increased and increased to 4.47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도 26을 참조하면, 글루코오스는 24시간에 0g/L로 측정되었고, 락테이트는 48시간 발효 이후 9.4g/L을 생성하였다. 아세테이트는 발효 초기 3.9g/L에서 48시간의 발효 이후 5.9g/L로 증가하였고, 에탄올은 48시간의 발효 이후 2.8g/L을 생성하였다.Referring to FIG. 26 , glucose was measured at 0 g/L at 24 hours, and lactate produced 9.4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Acetate increased from 3.9 g/L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to 5.9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and ethanol produced 2.8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3) 37℃3) 37℃

도 27을 참조하면, L. mesenteroides 37℃ 발효의 OD 값은 36시간에 최고치인 2.83에 도달하였으며 점차 감소하여 발효 48시간 이후 2.58로 감소하였다. pH 값은 24시간에 최저치인 4.79에 도달하여 48시간까지 큰 변화가 없었다. Referring to FIG. 27 , the OD value of L. mesenteroides fermentation at 37° C. reached a maximum of 2.83 at 36 hours and gradually decreased to 2.58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The pH value reached the lowest value of 4.79 at 24 hours and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until 48 hours.

도 28을 참조하면, L. mesenteroides 37℃ 발효의 글루코오스는 48시간 동안 모두 소모하지 못했고, 5.7g/L의 글루코오스가 남았다. 그리고 락테이트는 48시간 발효 동안 5.8g/L을 생성하였다. 아세테이트는 발효 초기 3.9g/L에서 48시간의 발효 후 5.2g/L까지의 증가를 보였으며, 에탄올은 48시간의 발효 후 1.7g/L을 생성하였다.Referring to FIG. 28 , the glucose of L. mesenteroides fermentation at 37° C. was not consumed for 48 hours, and 5.7 g/L of glucose remained. And lactate produced 5.8 g/L during 48 hours of fermentation. Acetate increased from 3.9 g/L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to 5.2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and ethanol produced 1.7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4) 4) L. mesenteroidesL. mesenteroides 의 배양 온도에 따른 변화change with the incubation temperature of

도 29를 참조하면, L. mesenteroides의 25℃, 30℃, 37℃에서의 발효를 비교해볼 때 유산균의 세포 생장의 최고치에 도달하는 속도는 30℃에서 가장 빠른 모습을 보였다. 25℃와 37℃에서는 30℃보다 늦게 자라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37℃에서 발효를 진행했을 때 다른 온도에 비해 가장 세포의 성장이 낮았다. pH의 경우에는 OD 그래프 때와 마찬가지로 다른 두 온도에 비해 37℃에서 발효할 때 pH가 가장 적게 감소하였다.Referring to Figure 29, when comparing the fermentation of L. mesenteroides at 25 ℃, 30 ℃, 37 ℃, the speed of reaching the maximum cell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showed the fastest appearance at 30 ℃. At 25°C and 37°C, it was found to grow later than 30°C, and in particular, when fermentation was performed at 37°C, the cell growth was the lowest compared to other temperatures. In the case of pH, as in the OD graph, the pH decreased the least when fermented at 37° C. compared to the other two temperatures.

글루코오스 그래프를 비교했을 때, 25℃ 발효에 비하여 30℃의 발효는 글루코오스의 소모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12시간 이후 글루코오스의 소모 값이 이전의 소모 값에 비하여 급격히 감소함을 볼 수 있는데, 이때부터 유산균의 성장이나 pH, 락테이트, 아세테이트, 에탄올의 생산이 적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glucose graphs were compared, it was found that the fermentation at 30°C had a faster rate of glucose consumption compared to the fermentation at 25°C. It can be seen that the consumption value of glucose after 12 hours is sharply de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consumption value.

아세테이트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다른 온도에 비해 30℃에서 아세테이트가 빨리 최고치에 도달하였고, 37℃에서는 48시간 발효 이후 다른 온도에 비하여 낮은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에탄올 역시 37℃는 다른 온도에 비해서 낮은 양을 생성하였고, 30℃보다 25℃가 약간 더 많은 양의 에탄올을 생산하였다. Comparing the acetate graph, it can be seen that the acetate reached the maximum value faster at 30°C compared to other temperatures, and had a lower value than other temperatures at 37°C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Ethanol also produced a lower amount at 37 °C compared to other temperatures, and 25 °C produced a slightly higher amount of ethanol than 30 °C.

L. mesenteroides는 37℃에서 발효를 진행한 경우, 다른 온도에서 진행한 발효에 비하여 성장이 완전히 이뤄지지 못하고 발효가 종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L. mesenteroides는 37℃에서의 세포활성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In L. mesenteroides , when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at 37°C, it was found that the growth was not completed completely and the fermentation was terminated compared to the fermentation carried out at other temperatures.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L. mesenteroides has decreased cell activity at 37°C.

25℃와 30℃에서의 발효 중 12시간 이후에 글루코오스 소비 속도가 감소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L. mesenteroides의 pH가 세포활성이 떨어지는 pH 4.5 근처에 도달했기 때문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아세테이트와 에탄올이 락테이트와 더불어 함께 생산되는 것으로 보아 헤테로락틱(heterolactic) 발효를 진행하는 균주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rate of glucose consumption decreased after 12 hours during fermentation at 25°C and 30°C, which can be judged because the pH of L. mesenteroides reached a pH of 4.5 where cell activity was low. Also, since acetate and ethanol are produced together with lactat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train is performing heterolactic fermentation.

3-5.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3-5. Lactobacillus acidophilus ( Lactobacillus acidophilusLactobacillus acidophilus ; 이하, ; Below, L. acidophilusL. acidophilus )의 세포 성장, pH, 발효산물 분석) cell growth, pH, fermentation product analysis

1) 25℃1) 25℃

도 30을 참조하면, L. acidophilus 25℃ 발효의 OD 값은 48시간까지 계속 증가하여 1.14에 도달하였고, pH 값 또한 계속 감소하여 48시간에 5.21에 도달하였다. Referring to FIG. 30 , the OD value of L. acidophilus fermentation at 25° C. continued to increase until 48 hours to reach 1.14, and the pH value also continued to decrease to reach 5.21 at 48 hours.

도 31을 참조하면, 글루코오스는 48시간의 발효 동안 모두 소모하지 못했고, 13.2g/L의 글루코오스를 남겼다. 락테이트는 48시간 발효 동안 3.5g/L을 생성하였으며, 아세테이트와 에탄올은 생산하지 않았다.Referring to FIG. 31 , glucose was not consumed during 48 hours of fermentation, leaving 13.2 g/L of glucose. Lactate produced 3.5 g/L during 48 hours of fermentation, and no acetate and ethanol were produced.

2) 30℃2) 30℃

도 32를 참조하면, L. acidophilus 30℃ 발효의 OD 값은 48시간까지 계속 증가하여 6.08에 도달했고, pH 값 또한 계속 감소하여 48시간에 4.24에 도달하였다.Referring to FIG. 32 , the OD value of L. acidophilus 30° C. fermentation continued to increase until 48 hours to reach 6.08, and the pH value also continued to decrease to reach 4.24 at 48 hours.

도 33을 참조하면, 글루코오스는 48시간의 발효 동안 모두 소모하지 못했고, 6.2g/L의 글루코오스를 남겼다. 락테이트는 48시간 발효 동안 11.8g/L을 생성하였으며 아세테이트는 발효 초기 3.7g/L에서 48시간의 발효 후 4.2g/L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에탄올은 생산하지 않았다.Referring to FIG. 33 , glucose was not consumed during the 48 hours of fermentation, leaving 6.2 g/L of glucose. Lactate produced 11.8 g/L during 48 hours of fermentation and acetate increased from 3.7 g/L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to 4.2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And no ethanol was produced.

3) 37℃3) 37℃

도 34를 참조하면, L. acidophilus 37℃ 발효의 OD 값은 30시간에 최고치인 7.08에 도달하였고, 발효 30시간 이후 점차 감소하여 발효 후 48시간에는 6.08까지 감소했다. pH 값은 48시간 동안 계속 감소하여 3.958에 도달하였다. Referring to FIG. 34 , the OD value of L. acidophilus 37° C. fermentation reached a maximum of 7.08 at 30 hours, gradually decreased after 30 hours of fermentation, and decreased to 6.08 at 48 hours after fermentation. The pH value continued to decrease for 48 hours and reached 3.958.

도 35를 참조하면, 글루코오스는 48시간째에 0g/L에 도달하였고, 락테이트는 48시간 발효 동안 17.4g/L을 생성하였다. 아세테이트는 발효 초기 3.7g/L에서 48시간 발효 이후 4.5g/L로 증가하였고, 에탄올은 생산하지 않았다.Referring to FIG. 35 , glucose reached 0 g/L at 48 h, and lactate produced 17.4 g/L during 48 h fermentation. Acetate increased from 3.7 g/L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to 4.5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and ethanol was not produced.

4) 4) L. acidophilusL. acidophilus 의 배양 온도에 따른 변화change with the incubation temperature of

도 36을 참조하면, L. acidophilus의 25℃, 30℃, 37℃에서의 발효를 비교해볼 때 유산균 성장의 최고치에 도달하는 속도는 37℃에서 가장 빠른 모습을 보였고, 특이하게도 25℃에서는 유산균의 성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pH 그래프를 비교했을 때 25℃의 pH 감소량은 가장 적었으며, 30℃의 pH 감소량, 37℃의 pH 감소량 순서로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ferring to Figure 36, when comparing the fermentation at 25 ℃, 30 ℃, 37 ℃ of L. acidophilus , the speed to reach the maximum value of lactic acid bacteria growth was the fastest at 37 ℃, specifically, at 25 ℃ lactic acid bacteria Almost no growth was observed. When the pH graph was compared, the decrease in pH at 25°C was the smallest, and the decrease in pH at 30°C followed by a decrease in pH at 37°C.

글루코오스 그래프를 비교했을 때,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글루코오스 소모량과 소모 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 발효 때는 글루코오스를 거의 소모하지 못했지만, 30℃의 발효 때는 25℃의 발효 때에 비하여 글루코오스의 소모량이 증가했지만 모두 소모하지 못했고, 37℃에서만 모든 글루코오스를 소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L. acidophilus는 낮은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당의 소모가 잘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락테이트는 글루코오스의 소모가 가장 많았던 37℃에서의 락테이트의 생성이 가장 많았고, 글루코오스의 소모가 가장 적었던 25℃에서 락테이트의 생성이 가장 적었다.When the glucose graphs were compared, it was found that the glucose consumption and consumption rate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at 25°C, almost no glucose was consumed, but during fermentation at 30°C, the consumption of glucose increased compared to fermentation at 25°C, but not all was consumed, and all glucose was consumed only at 37°C.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L. acidophilus shows better consumption of sugar at high temperature than at low temperature. Lactate produced the most lactate at 37°C, where the consumption of glucose was the highest, and the lowest at 25°C, where the consumption of glucose was the lowest.

아세테이트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다른 온도에 비해 37℃에서 아세테이트가 가장 많이 생성되었지만, 총 생산량은 1g/L 이하로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탄올의 경우에는 모든 온도에서 생성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Comparing the acetate graph, the most acetate was produced at 37°C compared to other temperatures, but the total production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at 1 g/L or less. Ethanol was not produced at all temperatures.

L. acidophilus는 25℃에서는 세포의 성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온도가 이보다 높아질수록 세포의 성장 속도와 글루코오스의 소모 속도, 락테이트의 생산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L. acidophilus는 30℃ 이상의 고온에서 더 잘 자라는 균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L. acidophilus showed almost no cell growth at 25℃, and it can be seen that the cell growth rate, glucose consumption rate, and lactate production rate increase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L. acidophilus is a bacterium that grows better at a high temperature of 30℃ or higher.

3-6.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3-6. Lactobacillus reuteri ( Lactobacillus reuteriLactobacillus reuteri ; 이하, ; Below, L. reuteriL. reuteri )의 세포 성장, pH, 발효산물 분석) cell growth, pH, fermentation product analysis

1) 25℃1) 25℃

도 37을 참조하면, L. reuteri 25℃ 발효의 OD 값은 36시간에 최고치인 5.26에 도달하였고, 36시간 이후 점차 감소하여 5.17로 감소했다. pH 값은 18시간까지 변화가 적다가 18시간 이후부터 크게 감소되기 시작해 48시간 발효 후에는 4.51까지 감소하였다.Referring to FIG. 37 , the OD value of L. reuteri fermentation at 25° C. reached a maximum of 5.26 at 36 hours, and gradually decreased after 36 hours to decrease to 5.17. The pH value showed little change until 18 hours, and started to decrease significantly after 18 hours, and decreased to 4.51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도 38을 참조하면, 글루코오스는 48시간째에 모두 소모하였고, 24시간부터 36시간까지 글루코오스의 소모가 6.8g/L로 가장 많았다. 락테이트는 48시간 발효 이후 8.4g/L을 생성하였다. 아세테이트는 발효 초기 4g/L에서 48시간 발효 이후 5.7g/L로 증가하였고, 에탄올은 3g/L를 생산하였다.Referring to FIG. 38 , glucose was all consumed at 48 hours, and glucose consumption was the most at 6.8 g/L from 24 hours to 36 hours. Lactate produced 8.4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Acetate increased from 4 g/L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to 5.7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and ethanol produced 3 g/L.

2) 30℃2) 30℃

도 39를 참조하면, L. reuteri 30℃ 발효의 OD 값은 30시간에 최고치인 9.46에 도달한 후 점차 감소하여 48시간 발효 이후 8.92로 감소했다. pH 값은 30시간에 최저치인 4.48까지 감소하였고, 발효 30시간 이후에 조금씩 증가하여 발효 48시간 이후에는 4.6까지 증가하였다. Referring to FIG. 39 , the OD value of L. reuteri fermentation at 30° C. reached a maximum of 9.46 at 30 hours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to 8.92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The pH value decreased to the lowest value of 4.48 at 30 hours, increased little by little after 30 hours of fermentation, and increased to 4.6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도 40을 참조하면, 글루코오스는 24시간째에 모두 소모하였고, 글루코오스의 소모가 가장 많은 시간은 12시간부터 24시간으로 10.9g/L을 소모하였다. 락테이트는 24시간에 최고치인 8.2g/L에 도달했고, 점차 감소하여 48시간 발효 후에 7g/L까지 감소했다. 아세테이트는 발효 초기 3.9g/L에서 48시간 발효 이후 6.3g/L로 증가하였고, 에탄올은 발효 초기 0.3g/L에서 24시간째에 최고치인 3g/L에 도달한 후 점차 감소해 발효 48시간 이후에는 2.8g/L이 되었다.Referring to FIG. 40 , glucose was all consumed at 24 hours, and 10.9 g/L was consumed from 12 hours to 24 hours during the most consumed time of glucose. Lactate reached a maximum of 8.2 g/L at 24 hours and gradually decreased to 7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Acetate increased from 3.9 g/L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to 6.3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and ethanol reached a maximum of 3 g/L at 24 hours from 0.3 g/L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and gradually decreased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was 2.8 g/L.

3) 37℃3) 37℃

도 41을 참조하면, L. reuteri 37℃ 발효의 OD 값은 30시간에 최고치인 7.08에 도달하였고, 그 후 점차 감소하여 발효 48시간 이후에는 6.08로 감소하였다. pH 값은 30시간에 최저치인 4.47까지 감소하였고, 그 이후에 조금씩 증가하여 발효 48시간 이후에는 4.57까지 증가하였다.Referring to FIG. 41 , the OD value of L. reuteri at 37° C. fermentation reached a maximum of 7.08 at 30 hours,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to 6.08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The pH value decreased to the lowest value of 4.47 at 30 hours, and then gradually increased to 4.57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도 42를 참조하면, 글루코오스는 12시간째에 모두 소모하였고, 12시간부터 24시간까지 글루코오스의 소모가 11.5g/L로 가장 많았다. 락테이트는 12시간에 최고치인 9g/L에 도달했고, 점차 감소하여 발효 48시간 이후에는 8.8g/L로 감소했다. 아세테이트는 발효 초기 3.9g/L에서 48시간 발효 이후 4.9g/L로 증가하였고, 에탄올은 발효 초기 0.2g/L에서 12시간째에 최고치인 3.8g/L에 도달한 후 점차 감소해 48시간째에는 3.7g/L이 되었다.Referring to FIG. 42 , glucose was all consumed at 12 hours, and the consumption of glucose from 12 hours to 24 hours was the most at 11.5 g/L. Lactate reached a maximum of 9 g/L at 12 hours and gradually decreased to 8.8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Acetate increased from 3.9 g/L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to 4.9 g/L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and ethanol reached a maximum of 3.8 g/L at 12 hours from 0.2 g/L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and gradually decreased at 48 hours. was 3.7 g/L.

4) 4) L. reuteriL. reuteri 의 배양 온도에 따른 변화change with the incubation temperature of

도 43을 참조하면, L. reuteri의 25℃, 30℃, 37℃에서의 발효를 비교해볼 때 유산균 성장 속도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유산균의 성장은 30℃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높은 온도는 37℃ 이었다. 또한 25℃에서는 18시간까지 유산균의 성장이 거의 나타나지 못하였고, 유산균의 성장 또한 가장 적게 나타났다.Referring to Figure 43, when comparing the fermentation at 25 ℃, 30 ℃, 37 ℃ of L. reuteri, the growth rate of lactic acid bacteria showed an increase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but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was the highest at 30 ℃, , and the next highest temperature was 37°C. In additi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did not appear until 18 hours at 25 ℃, and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was also the least.

pH 그래프를 비교했을 때, 가장 먼저 최소치까지 감소하는 온도는 37℃였으며, 그 다음 감소 온도는 30℃로 나타났다. 25℃에서의 pH는 OD 그래프와 같이 18시간까지 거의 변화가 없다가 18시간 이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세 온도 모두 최종적으로 pH 4.5에 도달하였다.When the pH graphs were compared, the first temperature decreasing to the minimum value was 37°C, and then the decreasing temperature was 30°C. The pH at 25° C. showed little change until 18 hours as shown in the OD graph, and then started to decrease after 18 hours, and finally reached pH 4.5 at all three temperatures.

글루코오스 그래프를 비교했을 때,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글루코오스를 모두 소모하는 시간이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5℃ 발효 때는 글루코오스를 48시간에 모두 소모했지만, 30℃의 발효 때는 글루코오스를 24시간에 모두 소모하였고, 37℃에서는 12시간에 글루코오스를 모두 소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L. reuteri는 낮은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당의 소모가 잘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glucose graphs were compared, it was found that the time to consume all the glucose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At 25°C, all glucose was consumed in 48 hours, but at 30°C, all glucose was consumed in 24 hours, and at 37°C, all glucose was consumed in 12 hours.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L. reuteri consumes more sugar at a higher temperature than at a lower temperature.

락테이트 그래프를 비교했을 때, 37℃에서의 락테이트의 생성이 가장 많았고 가장 빨리 생성되었다. 30℃의 경우에는 24시간 때 최고치에 도달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락테이트가 감소하였고, 25℃에서는 락테이트의 생성이 가장 늦게 증가하였다.When the lactate graphs were compared, the production of lactate at 37° C. was the highest and the fastest. In the case of 30°C, the maximum value was reached at 24 hours, but the lactate decreased over time, and the production of lactate increased the latest at 25°C.

아세테이트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다른 온도에 비해 30℃에서 아세테이트가 가장 많이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었고, 많은 경우 2g/L까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에탄올의 경우 37℃에서 가장 빨리 최고치 (4g/L)에 도달하였으며, 세 온도 중 가장 많은 양을 생성하였다. 30℃에서는 24시간에 최고로 생성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감소하였고, 25℃에서는 천천히 증가하여 48시간에 최고치에 도달하였다.Comparing the acetate graph, it could be seen that the most acetate was produced at 30 ° C compared to other temperatures, and in many cases it was increased to 2 g/L. In the case of ethanol, it reached the maximum value (4 g/L) the fastest at 37°C, and produced the largest amount among the three temperatures. At 30°C, the peak was produced at 24 hours, but gradually decreased over time, and at 25°C, it increased slowly and reached a maximum at 48 hours.

L. reuteri의 경우 25℃에서는 18시간까지 유산균의 성장이 거의 나타나지 않다가 그 이후부터 성장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나, 저온에서는 유산균의 세포 생장이 더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30℃에서는 유산균 성장의 최고치가 높지만 락테이트의 생성이 떨어지고, 37℃에서는 유산균 성장의 최고치가 낮지만 락테이트와 에탄올의 생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L. reuteri는 온도에 따라 발효 산물과 생장 속도가 큰 폭으로 변하는 균주이며, 아세테이트와 에탄올을 락테이트와 함께 생산하는 헤테로락틱(heterolactic) 발효를 수행하는 균주임을 알 수 있다. In the case of L. reuteri ,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hardly appeared until 18 hours at 25℃, and then it started to grow, so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ell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 slow at low temperatur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at 30° C., the highest value of lactic acid bacteria growth is high, but the production of lactate is low, and at 37° C., although the maximum value of lactic acid bacteria growth is low, the production of lactate and ethanol is high.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L. reuteri is a strain whose fermentation product and growth rate change significantly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is a strain that performs heterolactic fermentation to produce acetate and ethanol together with lactate.

<실험예 2> 열 저항성 분석<Experimental Example 2> Heat resistance analysis

시험관에 MRS 배지를 5mL씩 분주하고 -80℃ 초저온 냉동고에서 보관한 균주의 1%를 접종하여 30℃ 진탕 배양기(shaking incubator)에 80rpm으로 1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의 5mL중 1mL은 MRS 4mL가 분주된 시험관으로 옮겨 5mL을 30℃ 진탕 배양기에 80rpm으로 12시간 배양하여 OD를 측정하였다. 5mL each of MRS medium was dispensed into test tubes, and 1% of the strain stored in a -80°C ultra-low temperature freezer was inoculated and cultured for 12 hours at 80rpm in a 30°C shaking incubator. 1 mL out of 5 mL of the culture solution was transferred to a test tube in which 4 mL of MRS was dispensed, and 5 mL was incubated at 30° C. in a shaking incubator at 80 rpm for 12 hours to measure OD.

남은 4mL의 배양액 중 3mL을 1mL씩 1.5mL 튜브에 분주하고, 이 3개의 튜브를 각각 45℃, 55℃, 65℃에 3시간 동안 Heat block (VWR Scientific, PA, USA)과 Water bath (DAIHAN Scientific Co., Seoul, Korea)를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열처리 후 시험관에 4mL씩 분주된 MRS 배지에 재접종하여 30℃ 진탕 배양기에서 80rpm으로 12시간 배양한 후 600nm에서 OD를 측정하였다.Dispense 3mL of the remaining 4mL of the culture solution into 1.5mL tubes at a time of 1mL, and place these three tubes in a heat block (VWR Scientific, PA, USA) and water bath (DAIHAN Scientific) at 45℃, 55℃, and 65℃, respectively, for 3 hours. Co., Seoul, Korea). After heat treatment, the test tube was re-inoculated in MRS medium dispensed by 4 mL each, incubated for 12 hours at 80 rpm in a shaking incubator at 30 ° C.

도 44를 참조하면, L. fermentrum은 열충격(heat shock)을 하지 않았을 때 OD 값이 5.94로 측정되었는데, 45℃로 heat shock을 주었을 때는 5.74, 55℃로 heat shock을 주었을 때는 2.18, 65℃로 heat shock을 주었을 때는 1.42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45℃에는 96.63% 생존하였고, 55℃에는 36.7%, 65℃에는 24% 정도만 생존하였다.Referring to FIG. 44 , L. fermentrum had an OD value of 5.94 when no heat shock was applied. When heat shock was given at 45° C., it was 5.74, 55° C., and when heat shock was given, it was 2.18, 65° C. When heat shock was given, it was measured as 1.42. Therefore, 96.63% survived at 45°C, 36.7% at 55°C, and only about 24% at 65°C.

L. plantarum은 heat shock을 하지 않았을 때 10.88이 측정되었고, 45℃로 heat shock을 주었을 때는 4.5, 55℃로 heat shock을 주었을 때는 3.16, 65℃로 heat shock을 주었을 때는 2.15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45℃에는 41.4% 생존하였고, 55℃에는 29.0%, 65℃에는 19.8% 정도만 생존하였다. In L. plantarum , 10.88 was measured when no heat shock was applied, 4.5 when 45 ℃ heat shock was given, 3.16 when 55 ℃ heat shock was given, and 2.15 when 65 ℃ heat shock was applied. Therefore, 41.4% survived at 45°C, 29.0% at 55°C, and only 19.8% at 65°C.

L. rhamnosus는 heat shock을 하지 않았을 때 11.8이 측정되었는데, 45℃로 heat shock을 주었을 때는 8.86, 55℃로 heat shock을 주었을 때는 4.97, 65℃로 heat shock을 주었을 때는 2.63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45℃에는 75.1% 생존하였고, 55℃에는 42.1%, 65℃에는 22.3% 정도만 생존하였다. In L. rhamnosus , 11.8 was measured when no heat shock was applied, 8.86 when heat shock was applied at 45°C, 4.97 when heat shock was applied at 55°C, and 2.63 when heat shock was applied at 65°C. Therefore, 75.1% survived at 45°C, 42.1% at 55°C, and only 22.3% at 65°C.

L. mesenteroides는 heat shock을 하지 않았을 때 3.54이 측정되었고, 45℃로 heat shock을 주었을 때는 3.02, 55℃로 heat shock을 주었을 때는 2.8, 65℃로 heat shock을 주었을 때는 1.16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45℃에는 85.3% 생존하였고, 55℃에는 79.1%, 65℃에는 32.8% 정도만 생존하였다. L. mesenteroides measured 3.54 when no heat shock was applied, 3.02 when the heat shock was applied at 45℃, 2.8 when the heat shock was applied at 55℃, and 1.16 when the heat shock was applied at 65℃. Therefore, at 45°C, 85.3% survived, at 55°C, 79.1%, and at 65°C, only about 32.8% survived.

L. acidophilus는 heat shock을 하지 않았을 때 10.96이 측정되었는데, 45℃로 heat shock을 주었을 때는 5.85, 55℃로 heat shock을 주었을 때는 2.31, 65℃로 heat shock을 주었을 때는 1.33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45℃에는 53.4% 생존하였고, 55℃에는 21.1%, 65℃에는 12.1% 정도만 생존하였다. In L. acidophilus , 10.96 was measured when no heat shock was applied, 5.85 when the heat shock was applied at 45℃, 2.31 when the heat shock was applied at 55℃, and 1.33 when the heat shock was applied at 65℃. Therefore, 53.4% survived at 45°C, 21.1% at 55°C, and only 12.1% at 65°C.

L. reuteri는 heat shock을 하지 않았을 때 7.43이 측정되었고, 45℃로 heat shock을 주었을 때는 6.23, 55℃로 heat shock을 주었을 때는 1.37, 65℃로 heat shock을 주었을 때는 1.054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45℃에는 83.8% 생존하였고, 55℃에는 18.4%, 65℃에는 14.2% 정도만 생존하였다. In L. reuteri , 7.43 was measured when no heat shock was applied, 6.23 when heat shock was applied at 45℃, 1.37 when heat shock was applied at 55℃, and 1.054 when heat shock was applied at 65℃. Therefore, 83.8% survived at 45°C, 18.4% at 55°C, and only 14.2% at 65°C.

이를 통해, L. fermentrum, L. rhamnosus, L. mesenteroides, L. acidophilus, L. reuteri의 5가지 균주들은 45℃의 heat shock를 가한 후에도 절반 이상 생존하는 균주이고, L. plantarum은 열에 상대적으로 약한 균주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균주는 55℃와 65℃ heat shock를 가한 후에는 생존율이 크게 감소하지만, L. mesenteroides는 55℃의 heat shock를 가해도 높은 생존율을 나타냄을 통해 다른 균주들보다 열 저항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five strains of L. fermentrum , L. rhamnosus , L. mesenteroides , L. acidophilus , and L. reuteri are strains that survive more than half of them even after applying heat shock at 45°C, and L. plantarum is relatively weak to heat.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a strain. In addition, most strain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survival rate after applying heat shock at 55°C and 65°C, but L. mesenteroides showed high survival rate even when heat shock at 55°C was applied, confirming that heat resistance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strains. can

<실시예 1> 발효 음료 제조<Example 1> Preparation of fermented beverage

당근, 청경채를 이용하여 다양한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 음료를 제조한 후 발효 음료의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당근, 청경채 발효 음료 제조에 사용할 건당근, 건청경채의 적정 배합비를 검토한 후, 6종의 유산균을 당근, 청경채 발효 원액에 접종하였고, 이렇게 제조된 발효 음료의 이화학적 분석을 위하여 집락형성단위(colony forming unit, CFU), pH, HPLC 측정을 실시하였다. 72시간 동안 발효한 음료를 4℃에서 저장하면서 일정 간격으로 생균수를 측정함으로써 발효 음료 내 유산균의 저온 저장성 평가를 실시하였다.Carrots and bok choy were inoculated with various lactic acid bacteria to prepare fermented beverages,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ed beverages were analyzed. First, after reviewing the appropriate mixing ratio of dried carrots and dried bok choy to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carrots and bok choy fermented beverages, 6 kind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inoculated into the carrot and bok choy fermented stock solutions, and colonies were formed for physicochemical analysis of the fermented beverages thus prepared. Unit (colony forming unit, CFU), pH, HPLC was measured. The low-temperature storage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n the fermented beverage were evaluated by measuring the number of viable cells at regular intervals while storing the beverage fermented for 72 hours at 4°C.

1. 재료1. Material

발효 음료 제작에 사용되는 주재료는 ㈜푸른농산에서 판매하는 유통과 저장이 용이한 2mm로 파쇄된 건당근과 건청경채를 사용하였다. 당원으로 사용한 복숭아, 자두 과즙 농축액은 ㈜웰파인의‘진한웰 더 진한 복숭아 자두’제품을 사용하였다. 이화학적 특성 분석에 사용된 균주는 앞서 분석한 KACC에서 분양 받은 균주 6종 (Lactobacillus fermentum KACC11441, Lactobacillus plantarum KACC11451, Lactobacillus rhamnosus KACC11953, Leuconostoc mesenteroides KACC12312, Lactobacillus acidophilus KACC12419, Lactobacillus reuteri KACC11452)을 사용하였다. 유산균용 배지에는 MRS broth와 Bacto agar (Difco, MI, USA)를 사용하였다.The main ingredients used in the production of fermented beverages were dried carrots and dried bok choy sold by Purun Nongsan Co., Ltd., which are shredded into 2mm pieces that are easy to distribute and store. For the peach and plum juice concentrate used as a sugar source, Wellfine Co., Ltd.'s 'Jinhanwell Darker Peach Plum' product was used. For the strains used for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6 strains ( Lactobacillus fermentum KACC11441, Lactobacillus plantarum KACC11451, Lactobacillus rhamnosus KACC11953, Leuconostoc mesenteroides KACC12312, Lactobacillus acidophilus KACC12419, Lactobacillus reuteri KACC11452) purchased from KACC were used. As a medium for lactic acid bacteria, MRS broth and Bacto agar (Difco, MI, USA) were used.

2. 당근, 청경채 적정 배합비 검토2. Review of proper mixing ratio of carrots and bok choy

발효 음료 제조에 사용될 당근, 청경채 발효 원액의 적정 배합비를 찾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물 100mL에 건당근과, 건청경채의 비율을 다음 4가지 조건, (건당근 10g : 건청경채 10g)(A), (건당근 10g : 건청경채 5g)(B), (건당근 10g : 건청경채 1g)(C), (건당근 5g : 건청경채 1g)(D)으로 나누어 믹서기에 1분간 분쇄한 후 색도와 기호성 등을 비교하였다.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an appropriate mixing ratio of the carrot and bok choy fermented undiluted solutions to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fermented beverages. The ratio of dried carrots to dried bok choy in 100mL of water was measured under the following 4 conditions: (10g dried carrots: 10g dried bok choy)(A), (10g dried carrots: 5g dried bok choy)(B), (10g dried carrots: dried bok choy) 1g)(C), (Dried carrot 5g: Dried bok choy 1g)(D) and ground in a blender for 1 minute, and then color and palatability were compared.

도 45를 참조하면, (건당근 10g : 건청경채 1g)(C), (건당근 5g : 건청경채 1g)(D), (건당근 10g : 건청경채 5g)(B), (건당근 10g : 건청경채 10g)(A) 순으로 밝은 주황색의 원액이 생성되었고, (D), (C), (B), (A) 순으로 묽은 농도의 원액이 생성되었다. 이에 따라, (건당근 10g : 건청경채 1g)(C)의 배합비가 밝은 색도와 기호성을 갖춘 농후한 형태의 발효 음료 제작에 적정하다고 판단하였고, 이후 발효 음료 제조에 사용할 발효 원액을 위의 배합비로 제작하였다. 45, (Dried carrot 10g: dried bok choy 1g)(C), (dried carrot 5g: dried bok choy 1g)(D), (dried carrot 10g: dried bok choy 5g) (B), (dried carrot 10g: 10 g of dried bok choy) (A), a bright orange undiluted solution was produced, and a dilute undiluted solution was generated in the order of (D), (C), (B), and (A). Accordingly, it was judged that the mixing ratio of (10 g dried carrots: 1 g dried bok choy) (C) was appropriate for the production of a rich fermented beverage with bright color and palatability. produced.

3. 발효 음료 제조3.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발효 음료 제작을 위한 발효 원액은 정수된 물 100mL에 건당근 10g, 건청경채 1g을 넣고 믹서기를 이용하여 1분간 분쇄한 후, 121℃에 20분간 고압 살균하여 준비하였다. 당원은 자두, 복숭아 과즙 농축액 15g, 정제수 20mL을 혼합하여 주입하였다. 음료 발효에 사용할 6종의 균주는 시험관에 담긴 MRS 배지 5mL에 글리세롤(glycerol) 균주 스탁을 1% 농도로 접종하여 진탕 배양기 (Vision Scientific, Bucheon, Korea)에 80rpm으로 밤샘 배양하였다. 균의 생장 후 배양액은 13,5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한 후 균체만 취하여 사용하였다. 각 균주의 흡광도는 600nm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배양액 1mL의 흡광도는 0.1로 맞추어 발효 원액에 접종하였다. 균체 희석에는 0.85% NaCl 용액을 이용하였다. 모든 발효 음료는 30℃, 80rpm으로 72시간 동안 발효하였다(도 46).The fermented undiluted solution for making fermented beverages was prepared by adding 10 g of dried carrots and 1 g of dried bok choy to 100 mL of purified water, pulverizing them for 1 minute using a mixer, and sterilizing them at 121°C for 20 minutes under high pressure. Dangwon was injected by mixing 15 g of plum, peach juice concentrate, and 20 mL of purified water. Six strains to be used for beverage fermentation were inoculated with a 1% concentration of glycerol strain stock in 5mL of MRS medium contained in a test tube, and cultured overnight at 80rpm in a shaking incubator (Vision Scientific, Bucheon, Korea). After the growth of the bacteria, the culture medium was centrifuged at 13,500 rpm for 5 minutes to remove the supernatant, and only the cells were taken and used. The absorbance of each strain was measured under 600 nm conditions. The absorbance of 1 mL of the culture solution was adjusted to 0.1 and inoculated into the fermentation stock solution. 0.85% NaCl solution was used for cell dilution. All fermented beverages were fermented at 30° C. and 80 rpm for 72 hours ( FIG. 46 ).

<실험예 3> 발효 음료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Experimental Example 3> Analysi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ermented beverages

1. 분석 방법1. Analysis method

1) 생균수 측정1) Measurement of viable cell count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발효 음료에서 유산균의 성장을 측정하기 위하여 발효액 1mL을 취하여 십진희석법을 통해 희석한 후 MRS agar plate 배지에 도말하였다. Plate는 30℃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자란 콜로니의 수를 측정하여 희석배수를 곱해 배양액의 생균수를 CFU로 계산하였다.In order to measure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n the fermented beverage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1 mL of the fermented solution was diluted through decimal dilution and then spread on an MRS agar plate medium. Plates were cultured at 30°C for 48 hours, then the number of grown colonies was measured and multiplied by a dilution factor to calculate the number of viable cells in the culture solution as CFU.

2) pH2) pH

각 균주의 발효 중 발효 음료 내의 pH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Beckman 390 pH meter (Beckman Coulter Inc., CA, USA)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마다 발효액 1mL을 취하여 pH를 측정하였다.In order to observe the change in pH in the fermented beverage during fermentation of each strain, 1 mL of the fermentation broth was taken every predetermined time using a Beckman 390 pH meter (Beckman Coulter Inc., CA, USA) to measure the pH.

3) HPLC3) HPLC

각 균주의 발효 산물의 정량분석을 위하여 발효액 1mL의 시료를 취하여 13,500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 한 후 상층액 700μL를 2μm syringe 필터로 여과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HPLC 기기는 Agilent 1260 Infinity Ⅱ (Agilent, Santa Clara CA, USA), 컬럼은 Aminex HPX-87H Column (300mm×7.5mm, 9μm, Bio-Rad, CA, USA)을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용매 0.005M 황산(sulfuric acid)을 사용하였으며 용매 조건은 30분간 용매 0.005M 황산을 흘러 분석하였다. 컬럼 오븐의 온도는 60℃로 유지하였고, 시료 주입량은 10μL, 유속 0.6mL/min으로 측정하였다. 모든 시료는 RID (refractive index detector)를 이용하여 정량분석하였다.For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fermentation product of each strain, a sample of 1 mL of the fermentation broth was taken, centrifuged at 13,500 rpm for 10 minutes, and then 700 μL of the supernatant was filtered with a 2 μm syringe filter and analyzed by HPLC. The HPLC instrument used for the analysis was an Agilent 1260 Infinity Ⅱ (Agilent, Santa Clara CA, USA), and the column was an Aminex HPX-87H Column (300 mm×7.5 mm, 9 μm, Bio-Rad, CA, USA). As the mobile phase, a solvent of 0.005 M sulfuric acid was used, and the solvent condition was analyzed by flowing a solvent of 0.005 M sulfuric acid for 30 minutes. The temperature of the column oven was maintained at 60° C., the sample injection amount was 10 μL, and the flow rate was 0.6 mL/min. All sample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RID (refractive index detector).

2. 분석 결과2. Analysis Results

1) 접종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 원액1) Uninoculated control (CONTROL) stock solution

도 47 및 도 48을 참조하면, 균주를 접종하지 않은 발효 원액 CONTROL의 경우 모든 수치에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당근, 청경채 발효 원액의 고압살균이 잘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효 원액은 글루코오스 약 60g/L, 수크로오스(sucrose) 50g/L, 및 프룩토오스(fructose) 16g/L 정도를 포함하였고, 이는 당원으로 사용된 자두, 복숭아 과즙 농축액에서 온 것으로 확인되었다.Referring to Figures 47 and 48, in the case of the fermentation stock CONTROL that was not inoculated with the strain, there was no change in any of the values.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high-pressure sterilization of the carrot and bok choy fermented undiluted solution was well performed. In addition, the fermentation stock solution contained about 60 g/L of glucose, about 50 g/L of sucrose, and about 16 g/L of fructose,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came from the plum and peach juice concentrates used as sugar sources.

따라서 식품위생학적으로 적절한 발효 원액으로 균주 발효 실험에 사용하기 적당하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120℃에서 고압증기멸균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색도가 많이 변하지 않고 묽은 토마토 색깔을 띰을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it was judged to be suitable for use in strain fermentation experiments as a food hygienically appropriate fermentation stock solution. In addition, despite autoclaving at 120° C., it can be seen that the color does not change much and has a thin tomato color.

2)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2) Lactobacillus Fermentum ( Lactobacillus fermentumLactobacillus fermentum )이 접종된 발효음료) inoculated fermented beverage

도 49를 참조하면, L. fermentum는 초기 24시간 동안 거의 성장하지 않았지만, 이후 72시간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 fermentum의 pH 값은 72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초기 24시간의 감소세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ferring to FIG. 49, L. fermentum did not grow almost during the initial 24 hours, but it was found to grow continuously until 72 hours thereafter. The pH value of L. fermentum decreased continuously for 72 hours, and the decrease was highest in the initial 24 hours.

도 50을 참조하면, L. fermentum는 초기 24시간 동안 프룩토오스에 비해 글루코오스와 수크로오스의 감소량이 많았고 이후 72시간까지는 프룩토오스의 감소세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72시간 동안 에탄올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아세테이트와 락테이트는 72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1.4g/L, 2.8g/L을 기록했다.Referring to FIG. 50 , L. fermentum showed a large decrease in glucose and sucrose compared to fructose during the initial 24 hours, and a clear decrease in fructose until 72 hours thereafter. Ethanol was almost unchanged for 72 hours, and acetate and lactate increased continuously for 72 hours, finally recording 1.4 g/L and 2.8 g/L.

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3)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plantarumLactobacillus plantarum )이 접종된 발효음료) inoculated fermented beverage

도 51을 참조하면, L. plantarum은 초기 24시간 동안 성장이 빠르게 나타났고, 이후 72시간까지 꾸준히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 plantarum의 pH 값은 초기 24시간 동안 빠르게 감소하였고 이후 72시간까지도 꾸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ferring to FIG. 51 , L. plantarum was shown to grow rapidly during the initial 24 hours, and then grow steadily until 72 hours. The pH value of L. plantarum decreased rapidly during the initial 24 hours and then decreased steadily until 72 hours thereafter.

도 52를 참조하면, L. plantarum은 72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당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2시간 동안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글루코오스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초기 24시간 동안은 글루코오스가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72시간 동안 에탄올과 아세테이트는 거의 증가하지 않았으며, 락테이트는 72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6.3g/L을 기록했다.Referring to FIG. 52, L. plantarum showed a continuous decrease in saccharides for 72 hours. During 72 hours, sucrose, fructose, and glucose all tended to decrease, and during the first 24 hours, glucose decreased the most. Ethanol and acetate hardly increased during 72 hours, and lactate increased continuously for 72 hours, finally recording 6.3 g/L.

4)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4) Lactobacillus rhamnosus ( Lactobacillus rhamnosusLactobacillus rhamnosus )가 접종된 발효음료) inoculated fermented beverage

도 53을 참조하면, L. rhamnosus는 초기 24시간 동안 빠르게 성장하다가 이후 72시간까지 완만하게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 rhamnosus의 pH 값은 48시간까지 빠른 감소세를 보였고 이후 72시간에는 완만하게 감소하였다.Referring to Figure 53, L. rhamnosus was shown to grow rapidly for the initial 24 hours and then slowly grow up to 72 hours. The pH value of L. rhamnosus showed a rapid decrease up to 48 hours and then slowly decreased after 72 hours.

도 54를 참조하면, L. rhamnosus는 72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당류가 감소하였고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글루코오스가 모두 감소하였다. 초기 24시간 동안은 프룩토오스에 비해 글루코오스와 수크로오스가 많이 감소하였고 48시간 이후에는 프룩토오스가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72시간 동안 에탄올은 거의 증가하지 않았으며, 아세테이트와 락테이트는 72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2.2g/L, 3.7g/L을 기록했다.Referring to FIG. 54, L. rhamnosus continuously decreased saccharides for 72 hours, and sucrose, fructose, and glucose all decreased. During the first 24 hours, glucose and sucros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fructose, and after 48 hours, fructose decreased the most. Ethanol hardly increased during 72 hours, and acetate and lactate increased continuously for 72 hours, finally recording 2.2 g/L and 3.7 g/L.

5)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5) Leukonostok mecenteroides ( Leuconostoc mesenteroidesLeuconostoc mesenteroides )가 접종된 발효음료) inoculated fermented beverage

도 55를 참조하면, L. mesenteroides는 72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하였고, 특히 24시간 이후 빠르게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 mesenteroides의 pH 값은 초기 24시간 이후 빠르게 감소하였으며 72시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Referring to FIG. 55, L. mesenteroides continued to grow for 72 hours, and in particular, it was found to grow rapidly after 24 hours. The pH value of L. mesenteroides decreased rapidly after the initial 24 hours and continued to decrease until 72 hours.

도 56을 참조하면, L. mesenteroides는 72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당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글루코오스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초기 24시간에는 수크로오스가 가장 많이 감소하였고 이후 48시간까지는 글루코오스와 프룩토오스의 감소율이 높았다. 72시간 동안 아세테이트와 에탄올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락테이트는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72시간에는 3.7g/L을 기록했다.Referring to FIG. 56 , L. mesenteroides showed a continuous decrease in saccharides for 72 hours, and all of sucrose, fructose, and glucose tended to decrease. In the first 24 hours, sucrose was decreased the most, and the decrease in glucose and fructose was high until 48 hours thereafter. Acetate and ethanol were almost unchanged for 72 hours, and lactate continued to rise, recording 3.7 g/L at 72 hours.

6)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6) Lactobacillus acidophilus ( Lactobacillus acidophilusLactobacillus acidophilus )가 접종된 발효음료) inoculated fermented beverage

도 57을 참조하면, L. acidophilus는 72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하였고, pH 값은 72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초기 24시간 이후 빠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ferring to FIG. 57 , L. acidophilus was continuously grown for 72 hours, and the pH value was continuously decreased for 72 hours, and in particular, it was shown to decrease rapidly after the initial 24 hours.

도 58을 참조하면, L. acidophilus는 72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당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글루코오스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초기 24시간까지 글루코오스가 가장 많은 감소량을 보였다. 72시간 동안 아세테이트와 에탄올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락테이트는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72시간에는 4.1g/L을 기록했다.Referring to FIG. 58, L. acidophilus showed a continuous decrease in saccharides for 72 hours, and all of sucrose, fructose, and glucose tended to decrease, and glucose showed the greatest decrease until the initial 24 hours. Acetate and ethanol were almost unchanged for 72 hours, and lactate continued to rise, recording 4.1 g/L at 72 hours.

7)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7) Lactobacillus reuteri ( Lactobacillus reuteriLactobacillus reuteri )가 접종된 발효음료) inoculated fermented beverage

도 59를 참조하면, L. reuteri는 48시간까지 성장을 하지만 이후 72시간에는 성장을 멈추고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 reuteri의 pH 값은 0시간 때에 비해 72시간에 감소하였으나 그 감소세는 0.01로 매우 작았다.Referring to FIG. 59 , L. reuteri grew up to 48 hours, but then stopped growing and decreased after 72 hours. The pH value of L. reuteri decreased at 72 hours compared to 0 hours, but the decrease was very small at 0.01.

도 60을 참조하면, L. reuteri는 72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당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글루코오스가 모두 감소하였으며, 초기 72시간까지 글루코오스가 가장 많은 감소량을 보였다. 72시간 동안 아세테이트와 에탄올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락테이트도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Referring to FIG. 60 , L. reuteri showed a continuous decrease in saccharides for 72 hours, and all of sucrose, fructose, and glucose were decreased, and the amount of glucose decreased the most until the initial 72 hours. During 72 hours, there was little change in acetate and ethanol, and little change in lactate.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모든 균주는 발효 음료 발효 시 생균 수 증가에 따라 pH가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락테이트를 대사산물로 생성하는 유산균에 특징에 따른 것으로 예상된다. 균의 성장에 따라 락테이트의 생성 역시 증가하고 이에 따라 pH가 감소하는 것이다.Combining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H of all strains decreases as the number of live cells increases during fermentation of the fermented beverage. This is expected to depend on the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that produce lactate as a metabolite. As the bacteria grow, the production of lactate also increases and the pH decreases accordingly.

L. fermentum은 당근, 청경채 발효 원액 발효시에 에탄올은 거의 증가하지 않고 아세테이트와 락테이트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MRS 배지를 이용한 특성 분석에서는 에탄올을 과량 생산하는 헤테로(Hetero) 타입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균체 수의 증가와 pH의 감소는 발효 초기에 빠르게 일어나지만, 헤테로 타입의 경우 에탄올을 생산하기 때문에 비알코올성 발효 음료 제조에는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될 수 있다. L. fermentum showed little increase in ethanol and an increase in acetate and lactate during fermentation of carrot and bok choy fermented stock solution, but in characterization using MRS medium,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a hetero type that produces an excess of ethanol. .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ells and a decrease in pH occur rapidly in the initial stage of fermentation, but in the case of a heterotype, it may be determined that it is not suitable for manufacturing a non-alcoholic fermented beverage because it produces ethanol.

L. plantarum은 락테이트만 생산하여 호모(Homo) 타입임을 확인할 수 있다. 초기 균체와 락테이트의 생산속도가 매우 빠른 편이기 때문에, 발효 음료 생산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때문에 L. plantarum은 발효 음료에 적합한 균주로 판단될 수 있다. It can be confirmed that L. plantarum produces only lactate and is a Homo type. Since the production rate of the initial cells and lactate is very fast, there is an advantage in the production of fermented beverages. Therefore, L. plantarum can be determined as a suitable strain for fermented beverages.

L. rhamnosus 또한 Homo 타입의 유산균임을 확인할 수 있다. 초기의 균체 생산과 락테이트, 아세테이트의 생산이 많기 때문에 발효 음료 제작 시 빠른 생산이 가능하고 유해균의 번식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발효 음료 제조에 적합한 균주로 판단될 수 있다. It can be confirmed that L. rhamnosus is also a Homo type lactic acid bacterium. Since the initial production of cells and the production of lactate and acetate are large, rapid production is possible when manufacturing fermented beverages and the reproduction of harmful bacteria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so it can be judged as a suitable strain for manufacturing fermented beverages.

L. mesenteroides는 초기에 생장이 잘 이루어지지 않다가 24시간 이후에 성장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 초기 많은 균체 생산과 락테이트 생산이 권장되는 발효음료 제조에는 적합하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또한, 도 26에 따르면 헤테로 타입의 유산균임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에탄올 생산 가능성이 있어 비알코올성 발효 음료 제조시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L. mesenteroides did not grow well in the early stage, but showed an increase after 24 hours, showing that it is not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fermented beverages, where the production of a large number of cells and lactate in the initial stage is recommended. In addition, according to Figure 26, since it can be seen that it is a heterotype lactic acid bacteria, there is a possibility of ethanol production, so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is not suitable for manufacturing a non-alcoholic fermented beverage.

L. acidophilus는 초기 균체의 생산이 적고 pH의 감소도 거의 없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발효 음료 제작 시 생산성이 감소하고 유해균에 취약한 발효 음료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발효 음료를 위한 균주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L. acidophilus shows little initial production of cells and little decrease in pH. This may be judged to be unsuitable as a strain for fermented beverages because productivity decreases during production of fermented beverages and may form fermented beverages susceptible to harmful bacteria.

L. reuteri는 발효 72시간 내에 pH의 감소도 적었고 균체의 성장 역시 적은 모습을 보였으며, 락테이트의 증가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기에 이는 발효 음료 제조 원액이 L. reuteri의 생장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에 따라 당근, 청경채 발효 음료 제조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L. reuteri showed little decrease in pH and little growth of cells within 72 hours of fermentation, and almost no increase in lactate, which is thought to be because the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stock solution is not suitable for the growth of L. reuteri. do. Accordingly,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arrot and bok choy fermented beverages are not suitable for manufacturing.

초기 24시간 동안 성장 속도가 가장 빠른 균주이자, 최종 72시간에서 가장 많이 성장한 균주는 L. plantarum 이고, 72시간 동안 가장 성장이 적은 균주는 L. reuteri 였다. 72시간 후 pH가 가장 낮은 균주는 L. plantarum 이고, pH가 가장 높은 균주는 L. reuteri 이었다. 빠른 시간 내에 많은 수의 프로바이오틱스를 확보하거나 유해균의 증식을 막기 위해 낮은 pH를 유지하고 싶을 경우 L. plantarum 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The strain with the fastest growth rate during the initial 24 hours and the most grown strain in the final 72 hours was L. plantarum, and the strain with the least growth for 72 hours was L. reuteri . After 72 hours, the strain with the lowest pH was L. plantarum, and the strain with the highest pH was L. reuteri . L. plantarum is considered appropriate if you want to secure a large number of probiotics in a short time or maintain a low pH to prevent the growth of harmful bacteria.

이를 통해 유추해보면, 당근, 청경채 발효음료의 프로바이오틱스 확보와 유해균 증식 억제를 위해선 L. plantarum 균주가 적절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72시간 동안 락테이트를 가장 많이 생성한 균주는 L. plantarum, L. rhamnosus, L. mesenteroides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72시간 동안 당원 소모대비 락테이트 생성률은 L. plantarum 이 47%로 가장 높았다.Judging from this, it can be judged that L. plantarum strain is appropriate for securing probiotics and suppressing the growth of harmful bacteria in fermented drinks of carrots and bok choy. The strains that produced the most lactate for 72 hours were L. plantarum , L. rhamnosus , and L. mesenteroides in the order, and L. plantarum had the highest rate of lactate production compared to sugar source consumption for 72 hours (47%).

그러므로 최종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의 확보와 유해균 증식 억제를 위한 락테이트 생성을 요구하는 유산균 발효 음료 제작에는 L. plantarum KACC11451, L. rhamnosus KACC11953 등의 균주들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Therefore, it was determined that strains such as L. plantarum KACC11451 and L. rhamnosus KACC11953 were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beverages that ultimately require the production of lactate to secure probiotics and suppress the growth of harmful bacteria.

<실험예 4> 발효 음료의 저온 저장성 평가<Experimental Example 4> Evaluation of low-temperature storage properties of fermented beverages

1. 평가 방법1. Evaluation method

각 발효 음료는 72시간 발효 후 4℃에 저장하면서 생균수 분석을 통해 저온 저장성을 평가하였다. 생균수 분석은 CFU 측정을 이용하였다. CFU 측정은 저장 중인 발효 음료의 발효액 1mL을 취하여 십진희석법을 통해 희석한 후 MRS agar plate에 도말하였다. plate는 30℃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자란 colony의 수를 세어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최종 CFU는 colony 개수에 희석배수를 곱하여 계산하였다.Each fermented beverage was fermented for 72 hours and stored at 4° C., and low-temperature storage properties were evaluated through live cell count analysis. CFU measurement was used for live cell count analysis. For CFU measurement, 1 mL of the fermented beverage in storage was diluted using the decimal dilution method, and then spread on an MRS agar plate. After the plate was incubated at 30°C for 48 hours, the number of grown colonies was counted to measure the number of viable cells. The final CFU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number of colonies by the dilution factor.

2. 평가 결과2. Evaluation results

도 61 내지 도 66을 참조하면, L. fermentum, L. rhamnosus, L. acidophilus는 저온 저장 시작부터 168시간까지 초기 CFU 값보다 높은 CFU 값을 유지하였으며 pH가 3.8이하로 유지되었다. 이 결과에 따라 실제 발효 음료의 생산 후 유통 시 7일 이상 프로바이오틱스 생균의 수를 유지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으며, 낮은 pH로 인해 유해균의 발육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균주는 저온 저장 시에도 프로바이오틱스 생균의 수를 유지해야하는 발효 음료 제작에 균주로 적합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61 to 66, L. fermentum , L. rhamnosus , L. acidophilus maintained a CFU value higher than the initial CFU value from the start of low-temperature storage to 168 hours, and the pH was maintained below 3.8. According to this result, it can be expected that the number of live probiotics can be maintained for more than 7 days during distribution after production of the actual fermented beverage, an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growth of harmful bacteria can be suppressed due to the low pH. Accordingl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train is suitable as a strain for production of fermented beverages that must maintain the number of live probiotics even when stored at a low temperature.

L. plantarum, L.mesenteroides, L. reuteri는 저온 저장 시작 168시간 이후에 CFU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제 발효 음료 생산 후 유통과정에서 7일 이후에는 출고시의 프로바이오틱스 생균의 수를 유지할 수 없다고 예상할 수 있으며, L. reuteri는 pH가 3.9 이상으로 유지되어 유해균 생장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L. plantarum, L. mesenteroides, L. reuteri는 장시간 프리바이오틱스 생균의 수를 유지해야하는 발효 음료 제작에 사용하기에는 비교적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L. plantarum , L. mesenteroides , and L. reuteri showed a decrease in CFU after 168 hours from the start of cold storage. It can be expected that the number of live probiotics at the time of shipment cannot be maintained after 7 days in the distribution process after production of the actual fermented beverage,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L. reuteri is difficult to effectively prevent the growth of harmful bacteria as the pH is maintained above 3.9. there was. Therefore , it can be judged that L. plantarum , L. mesenteroides , and L. reuteri are relatively unsuitable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fermented beverages that need to maintain the number of live prebiotics for a long time.

<실시예 2> 발효 조건 최적화를 위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Example 2> Lactobacillus rhamnosus for optimizing fermentation conditions ( Lactobacillus rhamnosusLactobacillus rhamnosus )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음료 제조) Production of fermented beverages using strains

상기 균주의 특성 분석 이후 당근, 청경채 발효 음료에서의 특성 분석, 저온 저장성 평가를 통하여 당근, 청경채 발효 음료의 상품화를 위한 최종 유산균 균주를 선정하였다. 6종의 균주를 이용한 당근, 청경채, 발효 음료에서의 특성 분석에서 L. plantarum, L. rhamnosus 등이 발효 음료 생산에 적합한 균주로 판단되었고, 저온 저장성에서는 L. fermentum, L. rhamnosus, L. acidophilus가 발효 음료 생산에 적합한 균주로 판단되었다. 특성 분석과 저온 저장성 평가에서 모두 발효 음료 생산에 적합하다고 판단된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로, 이를 이용하여 청경채 발효 음료의 발효 조건 최적화를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당원의 농도, 배양 온도, 초기 균주 농도를 달리하여 음료 발효를 진행하였다. 발효액의 생균수, pH, HPLC 측정을 통하여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조건을 달리하여 발효한 음료에 대해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당근, 청경채에 L. rhamnosus를 첨가하여 저장성이 길고 보관이 용이한 과립 제품을 제작하였다. 제조된 과립 제품의 관능 평가 및 저장성 평가를 실시하였다.After characterization of the strain, the final lactic acid bacteria strain for commercialization of carrot and bok choy fermented drinks was selected through characterization of carrot and bok choy fermented beverages and evaluation of low-temperature storage properties. In the characterization analysis of carrots, bok choy, and fermented beverages using 6 strains, L. plantarum , L. rhamnosus, etc. were judged to be suitable strains for the production of fermented beverages, and L. fermentum , L. rhamnosus , L. acidophilus for low-temperature storage properties. was determined to be a suitable strain for the production of fermented beverages. The strain determined to be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fermented beverages in both the characterization and low-temperature storage evaluation was Lactobacillus rhamnosus , and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optimizing the fermentation conditions of the fermented bok choy drink using this. Beverage fermentation was performed by vary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ugar source, the culture temperature, and the initial strain concentration. The effect on fermentation was analyzed by measuring the number of viable cells, pH, and HPLC of the fermentation broth.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on beverages ferment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L. rhamnosus was added to carrots and bok choy to prepare granulated products with long shelf life and easy storage. Sensory evaluation and storag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repared granule product were performed.

1. 재료1. Material

발효 음료 제작에 사용되는 주재료인 당근과 청경채는 ㈜푸른농산의 건당근, 건청경채 제품을 사용하였다. 당원으로 사용한 복숭아, 자두 과즙 농축액은 ㈜웰파인의 ‘진한웰 더 진한 복숭아 자두’를 사용하였다. 발효 음료 제조 및 과립 제품 제조에 사용된 균주는 KACC에서 분양받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를 사용했다. 유산균이 함유된 당근, 청경채 과립 제품 제조에는 당근 분말, 청경채 분말, L. rhamnosus 발효 용액, 유당, 덱스트린, 포도당, 옥수수 전분, 정제염, DHA, 분당, 핵산 IG 그리고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유산균 성장용 배지에는 MRS broth와 bacto agar (Difco, MI, USA)를 사용하였다. Carrots and bok choy, which are the main ingredients used in making fermented beverages, were made from dried carrots and dried bok choy from Purun Nongsan. For the peach and plum juice concentrate used as a sugar source, Wellfine Co., Ltd.'s 'Jinhan Well Darker Peach Plum' was used. As the strain used for manufacturing fermented beverages and manufacturing granulated products, Lactobacillus rhamnosus acquired from KACC was used. Carrot powder, bok choy powder, L. rhamnosus fermentation solution, lactose, dextrin, glucose, corn starch, refined salt, DHA, powdered sugar, nucleic acid IG and purified water were used to manufacture carrot and bok choy granules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MRS broth and bacto agar (Difco, MI, USA) were used as a medium for lactic acid bacteria growth.

2. 발효 음료 제조2. Fermented beverage manufacturing

발효 음료 제작을 위한 발효 원액은 정제수 100mL에 건당근 10g, 건청경채 1g을 넣고 믹서기를 이용하여 1분간 분쇄한 후 121℃에 20분간 가열하여 살균하여 준비하였다. 음료 발효에 사용할 균주는 시험관에 담긴 MRS 배지 5mL에 -80℃에서 보관한 선별 균주를 1% 농도로 접종하여 진탕 배양기 (VS-8480, Vision Scientific, Bucheon, Korea)에 80rpm으로 밤샘 배양하였다. 균의 생장 후 배양액은 13,500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 (Smart 12, Hanil Science Inc., Kimpo, Korea)하여 상층액을 제거한 후 균체만 취하여 전량 접종하였다. The fermented undiluted solution for making fermented beverages was prepared by adding 10 g of dried carrots and 1 g of dried bok choy to 100 mL of purified water, pulverizing them for 1 minute using a mixer, and sterilizing them by heating at 121° C. for 20 minutes. The strain to be used for beverage fermentation was inoculated with a 1% concentration of the selected strain stored at -80 ° C in 5 mL of MRS medium contained in a test tube, and cultured overnight at 80 rpm in a shaking incubator (VS-8480, Vision Scientific, Bucheon, Korea). After the growth of the bacteria, the culture medium was centrifuged at 13,500 rpm for 5 minutes (Smart 12, Hanil Science Inc., Kimpo, Korea) to remove the supernatant, and then only the cells were taken and inoculated with the entire amount.

당원 농도에 따른 발효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L. rhamnosus을 접종한 발효 원액 3개에 정제수 20mL, 당원 15g을 혼합한 용액, 정제수 10mL, 당원 25g을 혼합한 용액, 당원 35g을 각각 첨가 30℃, 80rpm으로 72시간 발효하였다. To check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ugar source , add 20 mL of purified water, 15 g of sugar source, 10 mL of purified water, 25 g of sugar source, and 35 g of sugar source to three fermentation stock solutions inoculated with L. rhamnosus, respectively. 30℃, 80rpm was fermented for 72 hours.

배양 온도에 따른 발효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L. rhamnosus을 접종한 발효 원액 3개에 정제수 20mL, 당원 15g을 혼합한 용액을 넣고 각각 25℃, 30℃, 37℃에서 80rpm으로 72시간 발효하였다. To check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a solution of 20 mL of purified water and 15 g of sugar source was added to three fermentation stock solutions inoculated with L. rhamnosus , and fermented for 72 hours at 25 ° C, 30 ° C, and 37 ° C at 80 rpm, respectively.

초기 균주 농도에 따른 발효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발효 원액 3개에 정제수 20mL, 당원 15g을 혼합한 용액을 넣고 각각 5mL, 25mL, 50mL MRS broth에서 밤샘 발효 후 원심분리하여 채취한 L. rhamnosus를 접종하여 30℃, 80rpm으로 72시간 발효하였다(도 67).In order to check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initial strain concentration, a solution of 20 mL of purified water and 15 g of sugar source was added to three fermentation stock solutions, and L. rhamnosus collected by centrifugation after overnight fermentation in 5 mL, 25 mL, and 50 mL MRS broth, respectively, was inoculated. It was fermented for 72 hours at 30° C. and 80 rpm ( FIG. 67 ).

<실험예 5> 발효 음료의 최적 발효 조건 분석<Experimental Example 5> Analysis of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s for fermented beverages

1. 분석 방법1. Analysis method

1) 생균수 측정1) Measurement of viable cell count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발효 음료에서 유산균의 성장을 측정하기 위하여 발효액 1mL을 취하여 십진희석법을 통해 희석한 후 MRS agar plate에 도말하였다. Plate는 30℃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자란 Colony의 수를 구해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최종 CFU는 희석배수를 곱하여 구하였다.In order to measure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n the fermented beverage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2, 1 mL of the fermented broth was diluted through decimal dilution and spread on an MRS agar plate. The plate was incubated at 30°C for 48 hours, and the number of grown colonies was counted to measure the number of viable cells. The final CFU wa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dilution factor.

2) pH2) pH

각 조건에서 발효 중 발효 음료 내의 pH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Beckman 390 pH meter (Beckman Coulter Inc., CA, USA)를 이용하여 발효액 1mL 시료를 취해 pH를 측정하였다. In order to observe the change in pH in the fermented beverage during fermentation under each condition, a 1 mL sample of the fermentation broth was taken and pH was measured using a Beckman 390 pH meter (Beckman Coulter Inc., CA, USA).

3) HPLC3) HPLC

각 조건에서 발효 산물의 정량분석을 위하여 발효액 1mL의 시료를 취하여 13,500 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 (Smart 12, Hanil Science Inc., Kimpo, Korea) 한 후, 상층액 700μL를 2μm syringe 필터로 여과하여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HPLC 기기는 Agilent 1260 Infinity Ⅱ (Agilent, Santa Clara CA, USA), 컬럼은 Aminex HPX-87H Column (300mm×7.5mm, 9μm, Bio-Rad, CA, USA)을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용매 0.005M 황산(sulfuric acid)을 사용하였다. 컬럼 오븐 (Agilent G7130A)의 온도는 60℃, 시료 주입량은 10μL, 유속 0.6 mL/min으로 측정하였다. 표준용액은 RID (refractive Index detector)을 이용하여 정량분석하였다.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fermentation products under each condition, a sample of 1 mL of fermentation broth was taken, centrifuged at 13,500 rpm for 10 minutes (Smart 12, Hanil Science Inc., Kimpo, Korea), and 700 μL of the supernatant was filtered with a 2 μm syringe filter. It was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HPLC). The HPLC instrument used for the analysis was an Agilent 1260 Infinity Ⅱ (Agilent, Santa Clara CA, USA), and the column was an Aminex HPX-87H Column (300 mm×7.5 mm, 9 μm, Bio-Rad, CA, USA). As the mobile phase, a solvent of 0.005 M sulfuric acid was used. The temperature of the column oven (Agilent G7130A) was measured at 60°C, the sample injection amount was 10 μL, and the flow rate was 0.6 mL/min. The standard solution was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RID (refractive index detector).

2. 분석 결과2. Analysis Results

1) 당원 농도가 발효 음료의 발효에 미치는 영향 확인1) Confirmation of effect of sugar source concentration on fermentation of fermented beverages

도 68 내지 도 70을 참조하면, 72시간 발효 시 균의 가장 높은 성장을 보인 것은 정제수 10mL, 당원 25g을 혼합한 용액을 첨가한 발효 음료로, 9.24 log CFU/mL를 기록했다. 정제수 20mL, 당원 15g을 혼합한 용액을 첨가한 발효 음료에서는 72시간 발효 시 9.18 log CFU/mL가 기록되었고 당원 35g을 첨가한 발효 음료에서는 9.03 log CFU/mL을 기록했다. 발효 후 24시간까지의 균 성장이 가장 높은 것은 정제수 10mL, 당원 25g을 혼합한 용액을 첨가한 발효 음료였다.68 to 70, the highest growth of bacteria during 72 hours of fermentation was a fermented beverage to which 10 mL of purified water and 25 g of sugar were added, and 9.24 log CFU/mL was recorded. In the fermented beverage to which a mixture of 20 mL of purified water and 15 g of sugar source was added, 9.18 log CFU/mL was recorded during 72 hours of fermentation, and 9.03 log CFU/mL was recorded in the fermented beverage to which 35 g of sugar was added. The highest bacterial growth up to 24 hours after fermentation was a fermented beverage containing a mixture of 10 mL of purified water and 25 g of sugar source.

당근, 청경채 발효 음료는 많은 프로바이오틱스 확보가 중요하며, 대량생산의 효율성을 위해선 발효 초기 균의 성장률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당근, 청경채 발효 음료는 발효 원액에 정제수 10mL, 당원 25g을 혼합한 용액을 첨가하여 발효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It is important to secure a lot of probiotics for fermented drinks with carrots and bok choy, and for the efficiency of mass production, the growth rate of bacteria in the early stage of fermentation is important.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it is appropriate to ferment carrot and bok choy fermented drinks by adding a solution of 10 mL of purified water and 25 g of sugar source to the fermented stock solution.

2) 배양 온도가 발효 음료의 발효에 미치는 영향 확인2) Confirmation of influence of culture temperature on fermentation of fermented beverages

도 71 내지 도 73을 참조하면, 25℃에서 균의 성장이 가장 느린 것으로 나타났고 37℃에서는 초기 24시간 동안의 균의 성장률이 가장 높았으며 같은 시간동안 락테이트의 증가량, pH의 감소량도 가장 높았다. 프로바이오틱스 발효음료 생산은 빠른 시간 내에 균체의 수를 늘리는 것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당근, 청경채 발효 음료 제조에는 37℃에서 배양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71 to 73, the growth rate of the bacteria was the slowest at 25°C, and the growth rate of the bacteria during the initial 24 hours was the highest at 37°C, and the amount of increase in lactate and the decrease in pH were also the highest during the same time. . In the production of probiotic fermented beverages, increasing the number of cells within a short time can increase productivity. Accordingly, it was determined that culturing at 37° C. was most suitable for the manufacture of fermented drinks with carrots and bok choy.

3) 초기 균주 농도가 발효 음료의 발효에 미치는 영향 확인3) Confirmation of effect of initial strain concentration on fermentation of fermented beverages

도 74 내지 도 76을 참조하면, 50mL의 균체를 접종한 발효 음료에서 균체의 증가량, pH 감소량, 락테이트 생산량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5mL의 균체를 접종한 발효 음료에서는 균체의 증가량, pH 감소량, 락테이트 생산량이 가장 낮을 모습을 보였다. 이에 따르면 많은 프로바이오틱스 균체를 성장시키고 빠른 pH 감소로 유해균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서 당근, 청경채 발효 음료에는 50mL의 균체를 접종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74 to 76 , it can be seen that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cells, the decrease in pH, and the lactate production are the highest in the fermented beverage inoculated with 50 mL of the cells. In the fermented beverage inoculated with 5 mL of cells,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cells, the decrease in pH, and the lactate production were the lowest. According to this, in order to grow many probiotic cells and to suppress the growth of harmful bacteria by rapidly decreasing the pH, it is appropriate to inoculate 50 mL of the fermented drinks with carrots and bok choy.

하지만 유산균의 접종량을 늘리려면 보다 많은 양의 균체를 전배양해야 하기 때문에 이 또한 비용이 소모되어 발효 음료 생산에 있어 비경제적일 수 있다. 50mL의 균체에 비해 절반의 양을 접종한 25mL 균체 접종 발효 음료는 50mL의 균체 접종 발효 음료에 비해 접종 균체량 대비 효율적으로 락테이트를 생산하고 있으므로 25mL의 균체를 접종하는 것이 보다 더 효율적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 발효 음료 생산에 더욱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inoculum of lactic acid bacteria, it is necessary to pre-culture a larger amount of cells, which also consumes cost, which may be uneconomical in the production of fermented beverages. Compared to 50mL of cells, 25mL of inoculated fermented beverage produces lactate more efficiently than 50mL of inoculated fermented beverage. It is considered to be more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fermented beverages.

<실험예 6> 발효 음료의 관능 평가<Experimental Example 6> Sensory evaluation of fermented beverages

당근, 청경채 발효 음료의 관능 평가는 관능 평가 경험이 있는 관능요원 10명을 대상으로 단맛, 신맛, 향, 농후도, 개인 기호도 등의 평가항목에 대해 5점 평점법으로 수행하였다.The sensory evaluation of carrot and bok choy fermented beverages was performed using a 5-point scoring method for evaluation items such as sweetness, sourness, flavor, richness, and personal preference for 10 sensory personnel with experience in sensory evaluation.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당근, 청경채 발효 음료의 관능 평가 결과이다.Table 1 shows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s of the carrot and bok choy fermented beverage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당원 농도에 따른 비교를 했을 때, 35g의 당원을 첨가한 발효 음료가 단맛, 향, 농후도, 개인 기호도 부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는 또한 모든 비교군에서 가장 높은 점수이다. Referring to Table 1 above, when comparing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ugar source, the fermented beverage to which 35 g of the sugar source was added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sweetness, flavor, concentration, and personal preference. It is also the highest score in all comparison groups.

발효 온도별 비교를 했을 때, 37℃에서 발효한 발효 음료가 신맛과 개인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25℃에서 발효한 발효 음료가 향과 농후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When comparing by fermentation temperature, the fermented beverage fermented at 37°C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acidity and personal preference, and the fermented beverage fermented at 25°C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aroma and concentration.

초기 균주 농도에 따른 비교를 했을 때, 50 mL의 균체를 접종한 발효 음료가 신맛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전체에서 가장 낮은 개인 기호도와 향 점수를 받았다. When compared according to the initial strain concentration, the fermented beverage inoculated with 50 mL of the bacteria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sour taste and the lowest personal preference and flavor score overall.

이러한 결과에 따라 최종 당근, 청경채 발효 음료의 당원 농도는 자두, 복숭아 과즙 농축액 35g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프로바이오틱스 발효 음료의 특성상 달지 않은 건강한 발효 음료라는 이미지의 마케팅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므로 단맛이 가장 높았던 35g 당원 농도 다음으로 소비자 기호도가 높았던 25g 당원 농도가 최종 당원 농도로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seems that 35g of plum and peach juice concentrate is appropriate for the final fermented drink of carrots and bok choy.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probiotic fermented beverages, it is predicted that marketing of the image of a healthy fermented beverage that is not sweet is necessary.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25g sugar source concentration, which had the highest consumer preference after the 35g sugar source concentration with the highest sweetness, would be suitable as the final sugar source concentration.

발효 온도는 3가지 조건 중 개인 기호도가 가장 높고 음료의 신맛을 증가시킬 수 있는 37℃가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초기 균체 농도의 경우 5mL에서 50mL로 증가할수록 개인 기호도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과도한 신맛 때문으로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적당한 신맛의 증가와 도 75에서 보이는 빠른 균체 증가 속도를 바탕으로 25mL 균체 접종이 당근, 청경채 발효 음료 제조에 가장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The fermentation temperature seems to be appropriate at 37℃, which has the highest personal preference among the three conditions and can increase the sour taste of beverages. In the case of the initial cell concentr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individual preference decreases as it increases from 5mL to 50mL, which is thought to be due to the excessive sour taste. As a result, based on the moderate increase in acidity and the rapid growth rate of the cells shown in FIG. 75, it is thought that 25mL cell inoculation is most appropriate for the manufacture of fermented drinks with carrots and bok choy.

최종적으로 발효 음료의 발효 조건 최적화와 관능 평가 검사에 따라, 프로바이오틱스 균체의 생산력이 뛰어나며 효과적으로 유해 미생물의 억제를 할 수 있고 소비자의 기호도와 유산균 발효 음료의 취지에 맞는 마케팅 방안을 고려하였을 때, L. rhamnosus를 이용한 당근, 청경채 발효 음료 제조에는 발효 원액에 정제수 10ml과 당원 25g을 혼합한 용액을 첨가하고 MRS broth 25mL에서 생산된 균체를 접종한 후 37℃에서의 발효하는 조건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Finally, according to the optimization of the fermentation conditions of the fermented beverage and the sensory evaluation test, the probiotic cell production capacity is excellent, it can effectively suppress harmful microorganisms, and when considering the marketing plan that meets the consumer's preference and the purpose of the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beverage, L. For the production of fermented carrot and bok choy drinks using rhamnosus, a solution of 10 ml of purified water and 25 g of sugar source is added to the fermentation stock, inoculated with the cells produced in 25 ml of MRS broth, and fermentation at 37° C. is considered the most suitable.

<실시예 3> 유산균이 함유된 당근, 청경채 과립 제품의 제조 및 평가<Example 3>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carrot and bok choy granulated products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1. 제조방법1. Manufacturing method

유산균이 함유된 당근, 청경채 과립 제품의 제조에 사용한 L. rhamnosus 발효액은 삼각 플라스크에 담긴 MRS 배지 400mL에 -80℃에서 보관한 선별 균주를 1% 농도로 접종하여 진탕 배양기 (VS-8480, Vision Scientific, Bucheon, Korea)에 80rpm으로 밤샘 배양하였다. 균의 생장 후 배양액은 13,500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 (Smart 12, Hanil Science Inc., Kimpo, Korea)하여 상층액을 제거한 후 균체만 500mL 정제수에 수집하였다. 당근, 청경채 과립 제품은 원료를 정량에 맞게 계량한 후 고속 혼합기에서 혼합하였다. 혼합한 당근 원액은 압출식 과립기를 이용하여 과립화하였다. 과립화된 당근 원액은 65℃에서 수분함량 2.5~3.5%에 도달할 때까지 건조하였다. 건조된 과립은 5mm*5mm 진동체를 통과하여 선별하였다. 선별된 과립제품은 금속검출기(Fe : 1.2mm, SUS : 1.5mm)를 통과한 후 소포장 하였다(도 77). The L. rhamnosus fermented broth used for the production of carrot and bok choy granulated products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was inoculated with the selected strain stored at -80 ° C in 400 mL of MRS medium in an Erlenmeyer flask at 1% concentration in a shaking incubator (VS-8480, Vision Scientific , Bucheon, Korea) was cultured overnight at 80 rpm. After the growth of the bacteria, the culture medium was centrifuged at 13,500 rpm for 5 minutes (Smart 12, Hanil Science Inc., Kimpo, Korea) to remove the supernatant, and only the cells were collected in 500 mL purified water. Carrot and bok choy granulated products were mixed in a high-speed mixer after measuring the raw materials according to the quantity. The mixed carrot stock solution was granulated using an extrusion granulator. The granulated carrot undiluted solution was dried at 65°C until the moisture content reached 2.5-3.5%. The dried granules were screened through a 5mm*5mm vibrating sieve. The selected granular product was passed through a metal detector (Fe: 1.2 mm, SUS: 1.5 mm) and then packaged in small packages (FIG. 77).

2. 배합 비율2. Blending ratio

1) 유산균 발효액 함유 당근 맛 과립 제품1) Carrot-flavored granulated product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liquid

사전 실험으로 유산균 발효액 10% 함유한 배합물(과립형성 전)의 물성을 확인한 결과, 지나치게 질어 과립 형성이 불가하다 판단하여, ‘(습식)압출형 과립제조’ 방식의 일반적인 가수 비율인 6%로 고정하여 적절한 배합 비율을 확인하였다. 원료의 종류에 따라 가수 비율은 달라질 수 있다.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ormulation (before granulation) containing 10% of the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broth as a preliminary experiment, it was determined that granules could not be formed because it was too sticky. Thus, an appropriate mixing ratio was confirmed. The valence ratio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raw material.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당근 맛 과립 제품의 성분 및 배합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Table 2 is a table showing the ingredients and mixing ratio of the carrot-flavored granulated product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농산물의 원물 분말인 ‘당근분말’의 함량이 일정 비율 이하가 되어야만, 과립망을 통과 했을 때, 그리고 건조 후에도 과립 형태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Sample #3의 경우가 가장 적절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당근분말’이 많이 함유되어 있을 때는 힘들게 과립망을 통과함은 물론이고, 통과되어 나온 과립이 유지되지 않고 풀어짐 현상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유당, 덱스트린, 포도당 등 압출과립방식의 부형제로써 캐리어 역할을 하고 있는 원료의 함량이 일정 이상 유지되어야 함을 의미하기도 한다.Referring to Table 2, when the content of 'carrot powder', which is the raw material powder of agricultural products, is below a certain ratio, it appears that the granular form is maintained when it passes through the granulation network and even after drying. appropriateness can be checked. When a lot of 'carrot powder' was contained, not only did it pass through the granulation network with difficulty, but the passed granules were not maintained and loosened. This is an excipient in the extruded granulation method such as lactose, dextrin, and glucose, which acts as a carrier. It also means that the content of raw materials being used must be maintained over a certain level.

2) 유산균 발효액 함유 청경채 맛 과립 제품2) Cheonggyeongchae flavor granule product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liquid

당근과 마찬가지로, 사전 실험으로 유산균 발효액 10% 함유한 배합물(과립형성 전)의 물성을 확인한 결과, 지나치게 질어 과립 형성 불가하다 판단하여, ‘(습식)압출형 과립제조’ 방식의 일반적인 가수 비율인 6%로 고정하여 적절한 배합 비율을 확인하였다. 원료의 종류에 따라 가수 비율은 달라질 수 있다.As with carrot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ormulation (before granulation) containing 10% of the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broth in the prior experiment, it was judged that granules could not be formed because it was too sticky. % was fixed to confirm an appropriate mixing ratio. The valence ratio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raw material.

표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청경채 맛 과립 제품의 성분 및 배합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Table 3 is a table showing the ingredients and mixing ratio of the bok choy flavor granule product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농산물의 원물 분말인 ‘청경채 분말’의 함량이 일정 비율 이하가 되어야만, 과립망을 통과 했을 때, 그리고 건조 후에도 과립 형태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Sample #3의 경우가 가장 적절함을 확인할 수 있다. ‘청경채 분말’이 많이 함유되어 있을 때는 힘들게 과립망을 통과함은 물론이고, 통과되어 나온 과립이 유지되지 않고 풀어짐 현상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유당, 덱스트린, 포도당 등 압출과립방식의 부형제로써 캐리어 역할을 하고 있는 원료의 함량이 일정 이상 유지되어야 함을 의미하기도 한다.Referring to Table 3, when the content of 'bok choy powder', which is the raw powder of agricultural products, is below a certain ratio, it appears that the granule form is maintained when it passes through the granulation network and even after drying, so Sample #3 is the most appropriateness can be checked. When a lot of 'bok choy powder' was contained, not only did it pass through the granulation network with difficulty, but also the passed granules were not maintained and loosened. This is an excipient of the extruded granulation method such as lactose, dextrin, and glucose, which acts as a carrier. It also means that the content of raw materials being used must be maintained over a certain level.

3. 평가3. Evaluation

유산균이 함유된 당근, 청경채 과립 제품의 관능 평가는 관능요원 4명을 대상으로 과립 제품의 시식 후 제품의 대한 평가를 서술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과립 제품의 저장성 평가를 위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과립 제품의 생균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험관에 담긴 MRS 배지 5mL에 당근, 청경채 과립 제품 1g을 혼합하여 그 중 1mL을 취하고 십진희석법을 통해 희석한 후 MRS agar plate에 도말하여 CFU를 측정하였다. 최종 CFU는 희석배수를 곱하여 구하였다.The sensory evaluation of carrot and bok choy granulated products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was performed by describing the evaluation of the product after tasting the granulated product targeting 4 sensory personnel. The number of viable cells was measured to evaluate the shelf life of the granule product. To measure the number of viable cells in the granule product, 1 g of carrot and bok choy granulated products were mixed with 5 mL of MRS medium contained in a test tube, 1 mL of which was taken, diluted through decimal dilution, and smeared on an MRS agar plate to measure CFU. The final CFU wa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dilution factor.

1) 관능 평가1) Sensory evaluation

유산균이 함유된 당근, 청경채 과립 제품은 다소 거친 조직감을 가지고 있으며 입안에서의 풀림성은 우수하지 않다. 조미 양념에 첨가할 수 있도록 짠 맛을 가지고 있으며 부원료인 DHA에 첨가에 의한 약한 비린 맛과 핵산 IG에 인한 감칠맛이 느껴진다. 하지만 후리카케 형태로 다른 재료와 함께 2차 가공품의 재료로 사용되었을 때는 조화롭게 다양한 형태로 섭취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각종 생리활성 성분과 섬유소가 풍부한 당근과, 청경채가 포함된 유산균 과립 제품은 그 자체로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가 모두 함유된 신바이오틱스(synbiotics)로서 어느 식품에나 첨가하여 섭취되어도 건강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식재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Carrots and bok choy granulated products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have a somewhat rough texture and do not have good loosening properties in the mouth. It has a salty taste so that it can be added to seasoning seasonings. It has a mild fishy taste due to the addition of DHA, which is an auxiliary ingredient, and a umami taste due to nucleic acid IG. However, it was judged that when it was used in the form of furikake together with other ingredients as a material for secondary processing, it could be consumed in various forms harmoniously. Lactobacillus granule products containing carrots and bok choy, which are rich in various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and fiber, are synbiotics containing both probiotics and prebiotics. It is believed that it could be a possible food ingredient.

2) 저장성 평가2) Storage evaluation

도 78을 참조하면, 제조 후 2일 후부터 12일까지 상온 보관할 시 생균수가 점차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므로 유산균 과립 제품은 오랜 시간 상온 보관 시 지속적으로 생균의 수가 감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인 과립 제품의 유통기한이 12개월이므로 유산균이 함유된 과립의 경우 이보다는 유통기한이 짧게 설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생균수의 감소를 막기 위해서는 직사광선을 피하고 서늘한 곳에 상온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과립의 최종 수분 함량은 2.5~3.5%로 소포장시에 수분의 재흡수가 예상된다. 대량 벌크 포장시에는 흡습제를 동봉하여 수분 흡수를 막을 필요가 있다.Referring to FIG. 78 , the number of viable cells gradually decreased when stored at room temperature from 2 days after production to 12 day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live bacteria will decrease continuously when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a long time. Since the shelf life of general granule products is 12 months, it is expected that the shelf life of granules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will be shorter than this. In order to prevent a decrease in the number of viable cells, it is considered desirable to avoid direct sunlight and store at room temperature in a cool place. The final moisture content of the granules is 2.5~3.5%, and reabsorption of moisture is expected during small packaging. In bulk packaging, it is necessary to enclose a desiccant to prevent moisture absorption.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즉,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 specific part of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clear that this specific description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Do. That is, the substanti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14)

건 과채류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원액에 물과 당원을 첨가하는 단계;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또는 이의 혼합 유산균을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한 후, 상기 물과 당원이 첨가된 원액에 상기 배양된 유산균 균체를 혼합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preparing a dried fruit and vegetable stock solution;
adding water and a sugar source to the prepared stock solution; and
Lactobacillus rhamnosus ( Lactobacillus rhamnosus ),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plantarum ), or a mixed lactic acid bacteria thereof was inoculated into the medium and cultured, followed by fermentation by mixing the cultured lactic acid bacteria in the stock solution to which the water and the sugar source were added. A method of producing a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fo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 과채류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물에 상기 건 과채류를 넣고 분쇄한 후, 110 내지 130℃에서 10 내지 30분간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preparing the dried fruit and vegetable stock solution,
A method for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food,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ed fruits and vegetables are put in water and pulverized, and then sterilized at 110 to 130° C. for 10 to 30 minut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 과채류는 건당근 및 건청경채를 포함하고,
상기 건당근 및 건청경채가 (5 내지 15) : 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ed fruits and vegetables include dried carrots and dried bok choy,
The dried carrots and dried cheonggyeongchae (5 to 15): A method for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fo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당원은 복숭아 또는 자두 과즙 농축액을 포함하고,
상기 물과 당원은 1 : (1 내지 4)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ugar source includes peach or plum juice concentrate,
The water and the sugar source are 1: (1 to 4) a method for producing a fermented lactic acid bacteria food characterized in that mixed in a weight ratio.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상기 유산균을 MRS 배지 20 내지 50mL에 접종하여 배양한 후, 이를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상기 유산균 균체를 혼합하여 30 내지 40℃에서 발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ermenting step is
After inoculating and culturing the lactic acid bacteria in 20 to 50 mL of MRS medium, the method for producing a lactic acid fermented fo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ermentation is performed at 30 to 40 ℃ by mixing the lactic acid bacteria obtained by centrifugation.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유산균 발효식품.A fermented lactic acid bacterium food prepare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발효식품은,
유산균 발효 과채 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발효식품.
7. The method of claim 6,
The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food,
Lactobacillus fermented fo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fruit and vegetable beverage.
과채 분말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유산균, 또는 상기 유산균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산균 발효액을 혼합하여 과채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과채 원액을 과립화하는 단계; 및
상기 과립화된 과채 원액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산균 함유 과립형 식품 제조방법.
Preparing a fruit and vegetable stock solution by mixing the fruit and vegetable powder and Lactobacillus rhamnosus or Lactobacillus plantarum lactic acid bacteria, or a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broth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e lactic acid bacteria;
granulating the prepared fruit and vegetable stock solution; and
Drying the granulated fruit and vegetable stock solution; Lactic acid bacteria-containing granular food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과채 분말은,
상기 식품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과채 분말 및 상기 유산균 또는 유산균 발효액은 (2 내지 4) : 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함유 과립형 식품 제조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ruit and vegetable powd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whole food, 15 to 30 parts by weight may be included,
The lactic acid bacteria-containing granular food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ruit and vegetable powder and the lactic acid bacteria or fermented lactic acid bacteria (2 to 4)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과채 분말은,
당근, 청경채, 아보카도, 케일, 샐러리 및 비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과채의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함유 과립형 식품 제조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ruit and vegetable powder,
Carrots, bok choy, avocado, kale, celer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granular food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der of one or more fruits and vegetabl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et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시키는 단계는,
상기 과립화된 과채 원액의 수분 함량이 2 내지 4 중량%가 되도록 60 내지 7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함유 과립형 식품 제조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rying step is
Lactic acid bacteria-containing granular food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rried out at 60 to 70 ℃ so that the water content of the granulated fruit and vegetable stock solution is 2 to 4 w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과채 원액은,
유당, 덱스트린, 포도당, 옥수수전분, 정제염, DHA, 분당 및 핵산I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함유 과립형 식품 제조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ruit and vegetable undiluted solution,
Lactobacillus-containing granular food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ctose, dextrin, glucose, corn starch, refined salt, DHA, powdered sugar and nucleic acid IG.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유산균 함유 과립형 식품.A granular food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prepare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신바이오틱(synbiotic)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함유 과립형 식품.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food is
A granular food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ynbiotic effect.
KR1020190170799A 2019-12-19 2019-12-19 Lactic acid bacterial fermentation products using fruits or vegetab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358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799A KR102435870B1 (en) 2019-12-19 2019-12-19 Lactic acid bacterial fermentation products using fruits or vegetab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799A KR102435870B1 (en) 2019-12-19 2019-12-19 Lactic acid bacterial fermentation products using fruits or vegetab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883A true KR20210078883A (en) 2021-06-29
KR102435870B1 KR102435870B1 (en) 2022-08-24

Family

ID=76626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799A KR102435870B1 (en) 2019-12-19 2019-12-19 Lactic acid bacterial fermentation products using fruits or vegetab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87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68304A (en) * 2022-01-12 2022-05-13 华南理工大学 Lactobacillus plantarum DMDL9010 microcapsule as well as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CN117229969A (en) * 2023-09-27 2023-12-15 西南大学 Lactobacillus rhamnosus, starter and application thereof in preparing rice flou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261A (en) * 2000-10-31 2002-05-09 추후제출 Lactobacillus rhamnosus strain and uses thereof
KR100426279B1 (en) 2000-02-03 2004-04-08 주식회사 디히 Lactic acid bacterial fermentation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9124948A (en) * 2007-11-20 2009-06-11 Asahi Kasei Chemicals Corp Fermented fruit juice
KR101828494B1 (en) * 2016-11-23 2018-02-13 주식회사 발효예스 Manufacturing method for fermented beverage using lactic acid bacterias
KR20190081582A (en)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풀무원 Fermented product having an anti-obesity effect containing apigenin or naringenin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279B1 (en) 2000-02-03 2004-04-08 주식회사 디히 Lactic acid bacterial fermentation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20034261A (en) * 2000-10-31 2002-05-09 추후제출 Lactobacillus rhamnosus strain and uses thereof
JP2009124948A (en) * 2007-11-20 2009-06-11 Asahi Kasei Chemicals Corp Fermented fruit juice
KR101828494B1 (en) * 2016-11-23 2018-02-13 주식회사 발효예스 Manufacturing method for fermented beverage using lactic acid bacterias
KR20190081582A (en)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풀무원 Fermented product having an anti-obesity effect containing apigenin or naringenin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68304A (en) * 2022-01-12 2022-05-13 华南理工大学 Lactobacillus plantarum DMDL9010 microcapsule as well as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CN114468304B (en) * 2022-01-12 2023-09-22 华南理工大学 Lactobacillus plantarum DMDL9010 microcapsule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CN117229969A (en) * 2023-09-27 2023-12-15 西南大学 Lactobacillus rhamnosus, starter and application thereof in preparing rice flo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870B1 (en) 202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26972B (en) Directly thrown leaven for effectively degrading nitrite in pickled vegetables and preparation thereof
Islam et al. Development of probiotic beverage using whey and pineapple (Ananas comosus) juice: Sensor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robiotic survivability during in-vitro gastrointestinal digestion
CN102919922A (en) Method for preparing blueberry juice powder fermented by composite probiotics
CN106234891A (en) High-activity probiotics fermenting plant beverage that a kind of room temperature preserv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6261363A (en) A kind of probiotic bacteria fruit and vegerable enzyme beverag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hmad et al. Effect of polyphenol from apple peel extract on the survival of probiotics in yoghurt ice cream
KR102435870B1 (en) Lactic acid bacterial fermentation products using fruits or vegetab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064360A (en) Fruit Jam Comprising Fermented Stevia Extract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02676333A (en) Fruit wine production process of citrus fruit
JP2001252012A (en) Lactic acid bacterium beverage capable of being subjected to long-term chilled storag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Lascano et 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probiotic stabi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plantarum S20–supplemented passion fruit (Passiflora edulis f. flavicarpa Deg.) juice powder
KR101461116B1 (e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Makgeolli kit with GABA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KR100319377B1 (en) Preparation Method for Lactic Acid Bacterial Juice Using Vegetable and Oriental Medicine
Gumus et al. Survivability of probiotic strains, Lactobacillus fermentum CECT 5716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DSM 20079 in grape juic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juice during refrigerated storage
JPH07170933A (en) Yellowish green vegetable-fermented new food material and its production
JP2014128216A (en) Lactic acid bacterium-fermented food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mizan et al. Effect of incorporation of honey on chilled storage and sensory acceptance of probiotic Melon Manis Terengganu (Cucumis melo var inodorus cv. Manis Terengganu 1) juice
KR100889952B1 (en) Fermented food using carro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dedeji et al. Development and quality evaluation of a non-alcoholic beverage from cocoyam (Xanthosoma sagittifolium and Colocasia esculenta)
Akpeji et al. Production and Properties of Probioticic Soursop Juice Using Pediococcus pentosaceus LBF2 as Starter
El-Sayed et al. FERMENTED TOMATO JUICE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PRODUCED VIA LACTIC ACID BACTERIA DURING COLD STORAGE.
Mwanzia et al. Formulation, processing and characterization of fermented probiotic mango juice using selected starter cultures
Rathod et al. Storage study of prepared probiotic beverage by blending apple and orange juice
Mao et al. Lactic acid bacteria and fermented fruits and vegetables
KR101924392B1 (en) Method for Preparing Yogurt and the Yogurt Obtained There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