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814A -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814A
KR20210078814A KR1020190170641A KR20190170641A KR20210078814A KR 20210078814 A KR20210078814 A KR 20210078814A KR 1020190170641 A KR1020190170641 A KR 1020190170641A KR 20190170641 A KR20190170641 A KR 20190170641A KR 20210078814 A KR20210078814 A KR 20210078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unit
arm
rotating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0281B1 (ko
Inventor
원경훈
Original Assignee
원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경훈 filed Critical 원경훈
Priority to KR1020190170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281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균열 측정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열 측정 시스템은, 균열 측정 장치와, 센서부와, 서버를 포함하는 균열 측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균열 측정 장치는, 제1본체부와, 상기 제1본체부의 상면 일 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제1스토퍼를 포함하고, 측면에는 제1결합구조가 형성되는 제1암부; 하면이 상기 제1본체부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호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의 하면 일 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고, 측면에는 상기 제1결합구조가 형성되는 제2암부; 일면에 상기 제1결합구조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축 부재가 고정되는 제1결합판과, 측면에 상기 제1결합구조에 대응되는 제2결합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축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회전부; 및 일면에 상기 제2결합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제1암부와, 상기 제2암부 및 상기 회전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암부와 상기 제2암부 사이에 장착되는 제1센서부;와, 상기 회전부재에 장착되는 제2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센서부의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결합구조를 갖는 구성들의 다양한 결합 관계를 통해, 구조물의 형상과 관계없이 균열의 크기를 확인하고 균열의 1차원, 2차원, 3차원 진행을 측정하며, 이를 단말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MEASURING SYSTEM FOR CRACK 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의 크기나 그 균열의 진행을 측정하며, 측정된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분석할 수 있는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균열 원인은 구조물의 건조 수축이나 과다한 응력의 발생 또는 재료적인 문제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 된다. 이러한 균열 중에는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에 영향이 없는 균열도 있으나, 어떤 균열은 구조물의 구조적인 결함을 야기하고 종국적으로는 구조물의 붕괴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구조물의 안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균열의 발생 여부를 조사하여야 하고 특히 진행 중인 균열은 정밀하고 세심하게 관찰해야 한다.
종래의 균열 측정기는 균열이 형성된 지점에 눈금자를 형성한 게이지를 설치하여 눈금자 접점부위의 이동 수치를 읽어내거나 버니아켈리퍼스 등의 다른 측정자를 이용하여 눈금자의 변위량을 계측하는 방법으로 균열을 측정하였다. 또는, 크랙게이지나 마이크로스코프, 스트레인 게이지 등을 통해 특정 지점의 균열의 폭이나 균열의 깊이를 측정한 다음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동일 지점의 균열을 다시 측정하여 균열의 진행 여부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크랙게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가 고정되고, 균열의 폭이 증가할수록 제1 및 제2고정부 사이의 거리가 좌우 방향으로 멀어지게 되고, 제1고정부의 표면에 표시된 눈금을 통해 균열의 폭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균열 측정기는 측정자가 손과 눈을 이용하여 직접 측정함으로써 균열 측정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실시간으로 균열의 진행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구조물에 형성된 균열은 x축, y축, z축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진행되거나 또는 모든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종래의 균열 측정기는 1방향 또는 2방향의 균열 측정만 가능하여 실제 균열의 진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3차원의 균열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가 개발된 바 있으나,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가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4803호 (2019.09.1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44959호 (2019.11.0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5440호 (2017.07.3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5706호 (2019.08.2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장치는,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의 크기나 그 균열의 진행을 측정하며, 측정된 결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장치는, 동일한 결합구조를 갖는 구성들의 다양한 결합 관계를 통해, 구조물의 형상에 제약없이 균열의 크기를 확인하고, 균열의 1차원, 2차원, 3차원 진행을 측정할 수 있는 구조물의 균열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열 측정 시스템은, 균열 측정 장치와, 센서부와, 서버를 포함하는 균열 측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균열 측정 장치는, 제1본체부와, 상기 제1본체부의 상면 일 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제1스토퍼를 포함하고, 측면에는 제1결합구조가 형성되는 제1암부; 하면이 상기 제1본체부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호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의 하면 일 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고, 측면에는 상기 제1결합구조가 형성되는 제2암부; 일면에 상기 제1결합구조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축 부재가 고정되는 제1결합판과, 측면에 상기 제1결합구조에 대응되는 제2결합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축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회전부; 및 일면에 상기 제2결합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제1암부와, 상기 제2암부 및 상기 회전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암부와 상기 제2암부 사이에 장착되는 제1센서부;와, 상기 회전부재에 장착되는 제2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센서부의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1센서부는, 상기 제1암부와 상기 제2암부의 이동에 따라 저항값 변하는 가변저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센서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가변저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제1암부와 상기 제2암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제1회전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결합판의 말단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연장되며, 일면에는 상기 제1결합구조가 형성되는 제2결합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암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결합구조 또는 상기 제2결합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암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2결합구조 또는 상기 제1결합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제1암부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장치는,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의 크기나 그 균열의 진행을 측정하며, 측정된 결과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의 다양한 결합 관계를 통해, 구조물의 형상에 제약없이 균열의 크기를 확인하고, 균열의 1차원, 2차원, 3차원 진행을 측정할 수 있는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제1암부와, 제2암부와, 회전부 및 고정부는 동일한 결합관계를 가지며, 여러 위치에 상기 결합관계를 형성함으로써 결합의 경우의 수가 증가하여 구조물의 다양한 형상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를 조합함으로써 균열의 1차원, 2차원, 3차원 진행을 측정할 수 있는 바, 제조 단가가 절감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의 균열 측정 장치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의 균열 측정 장치의 제1암부 및 제2암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의 균열 측정 장치의 회전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의 균열 측정 장치의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의 균열 측정 장치의 다양한 결합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균열의 x축 방향으로의 진행 측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균열의 x,y축 방향으로의 진행 측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균열의 x,y,z축 방향으로의 진행 측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은,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의 크기나 그 균열의 진행을 측정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한 결합구조를 갖는 구성들의 다양한 결합 관계를 통해, 구조물의 형상과 관계없이 균열의 크기를 확인하고 균열의 1차원, 2차원, 3차원 진행을 측정하며, 이를 단말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1000)은, 균열 측정 장치(100)와, 센서부(200)와, 서버(30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의 균열 측정 장치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구조물의 균열 측정 장치(1000)는, 제1암부(110)와, 제2암부(120)와, 회전부(130) 및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의 균열 측정 장치의 제1암부 및 제2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암부(110)와 제2암부(120)는 구조물에 형성된 균열의 크기 및 균열의 x축 방향으로의 진행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측정대상인 구조물은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이 환경요인 등에 의해 균열이 형성된는 것을 의미한다.
제1암부(110)는 제1본체부(111)와 제1스토퍼(112)를 포함한다.
제1본체부(11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면에는 균열폭의 크기 및 도면 상에서 x축 방향으로의 진행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이 형성된다.
또한, 제1본체부(111)의 상면 일 영역에는 제1스토퍼(112)가 형성된다. 제1스토퍼(112)는 제1본체부(111)의 상면 끝부분으로부터 상방(도면상 z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제1스토퍼(112)에 의해 제1본체부(111)/제2본체부(121)의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된다. 제1스토퍼(112)의 말단은 균열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점이 될 수도 있다.
제2암부(120)는 제2본체부(121)와 제2스토퍼(122)를 포함한다.
제2본체부(12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2본체부(121)의 하면은 제1본체부(111)의 하면에 놓여져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균열이 x축 방향을 따라 진행하게 되면 후술하는 고정부(140)가 균열의 진행과 함께 진행되고, 이를 통해 제2암부(120)가 제1암부(1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여기서, 제2암부(120)가 제1암부(1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된다는 것은 상대적인 이동으로서, 제2암부(120)가 고정되고 제1암부(110)만 이동하는 것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다시 말해, 제2암부(120)가 제1암부(1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된다는 것은, 제2암부(120)와 제1암부(110) 간의 접촉되는 면적이 변화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제1암부(110)는 고정된 상태에서 제2암부(120)만 이동된다는 의미가 아니다.
그리고, 제2본체부(121)의 하면 일 영역에는 제2스토퍼(122)가 형성된다. 제2스토퍼(122)는 제2본체부(121)의 하면 끝부분으로부터 하방(도면상 z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제2스토퍼(122)에 의해 제1본체부(111)/제2본체부(121)의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된다.
제1암부(110)와 제2암부(120)의 측면에는 제1결합구조(150)가 형성된다. 제1결합구조(150)는 회전부(130), 고정부(140) 등의 제2결합구조(160)를 통해 제1암부(110)/제2암부(120)가 회전부(130), 고정부(14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구조(150)는 돌기이며, 제2결합구조(160)는 홈부이다. 본 실시예는 다양한 조립 경우의 수를 통해 구조물의 형상과 관계없이 균열의 크기를 확인하고 진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회전부(130)의 제1결합구조(150)도 제1암부(110)와 제2암부(120)의 제1결합구조(150)와 동일하며, 제2결합구조(160) 또한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구조(150)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2결합구조(160)는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제1결합구조(150)와 제2결합구조(160)를 서로 결합할 때 직접적으로 끼우지 않고 않고 슬라이딩 결합을 하며, 이를 통해 결합된 구성 간의 이탈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제1암부(110)의 상면에 제1결합구조(150)가 형성되고, 제2암부(120)의 하면에 제2결합구조(160)가 형성됨으로써, 제1암부(110)와 제2암부(120)가 서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센서부(200)는 제1센서부(210)와 제2센서부(220)를 포함한다. 제1센서부(210)는 제1암부(110)와 제2암부(120)가 상호 슬라이딩 이동 할 때 이동량을 센싱하기 위한 구성이며, 제2센서부(220)는 제1회전부(131)와 제2회전부(132)의 회전부재(135)의 회전각도를 센싱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센서부(210)는 제1암부(110)와 제2암부(120) 사이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센서부(210)는 가변저항으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암부(110)와 제2암부(120)가 슬라이딩 이동하면 그 위치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도록 구성된다.
제1센서부(210)가 센싱한 저항값은 직접 서버(300)로 전송되어 길이로 환산되거나, 또는 길이로 환산된 뒤 길이값이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의 균열 측정 장치의 회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회전부(130)는 구조물에 형성된 균열의 크기 및 균열의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의 진행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130)는 제1회전부(131)와 제2회전부(132)를 포함한다. 그러나, 제1회전부(131)와 제2회전부(132)가 서로 다른 것은 아니며,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어떠한 구성에 결합되는 것인지를 구분하기 위해 제1회전부(131), 제2회전부(132)로 정의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제1회전부(131)는 제1암부(110)/제2암부(120)에 결합되는 것이며, 제2회전부(132)는 제1회전부(131)에 결합되는 것으로 정의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회전부(131)와 제2회전부(132)의 구성은 동일한 바 그 구성은 함께 설명한다.
회전부(130)는 제1결합판(133)과, 제2결합판(134) 및 회전부재(135)를 포함한다.
제1결합판(133)은 대략 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면에 제1결합구조(150)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축 부재(136)가 고정된다.
제2결합판(134)은 대략 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 면에 제2결합구조(160)가 형성된다. 제2결합판(134)은 제1결합판(133)의 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제1결합판(133)과 제2결합판(134)은 축 부재(136)가 고정되는지 여부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형상은 동일하고, 제1결합판(133)과 제2결합판(134)은 일체로 형성되어 대략 "ㄴ" 형상일 수 있다.
회전부재(135)는 대략 중앙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축 부재(136)에 끼워질 수 있도록 마련되며 축 부재(136)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회전부재(135)의 일측면에는 제2결합구조(160)가 형성된다. 이 제2결합구조(160)를 통해 제1암부(110)/제2암부(120)에 결합되며(제1회전부(131)), 제1회전부(131)에 결합될 수 있다.(제2회전부(132))
회전부(130)는 제1결합판(133)과 제2결합판(134) 각각 제1결합구조(150)가 형성되며, 제1결합판(133)과 제2결합판(300)은 서로 90°를 이루는 바, 다양한 조립 구조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회전부(131)는 구조물의 형상, 균열의 진행 측정방향 등에 의해 제1암부(110) 및/또는 제2암부(1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회전부(131)는 제1암부(110) 또는 제2암부(120)에만 결합되거나, 2개로 마련되어 제1암부(110)와 제2암부(120) 모두에 결합되거나 또는 제1암부(110) 및 제2암부(120) 어느 것에도 결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술한 제2센서부(220)는 회전부재(135)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센서부(220) 또한 가변저항으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회전부재(135)가 회전하면 저항값이 변하도록 구성된다. 즉 각 저항값으로부터 회전부재(135)가 회전된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제2센서부(220)가 센싱한 저항값은 직접 서버(300)로 전송되어 회전부재(135)가 회전된 각도로 환산되거나, 또는 이 각도로 환산된 뒤 해당값이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의 균열 측정 장치의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고정부(140)는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고정부(14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2결합구조(160)가 형성된다. 제2결합구조(160)가 형성되지 않은 면은 구조물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140)는 2개로 마련되며, 제2결합구조(160)를 통해 제1암부(110), 제2암부(120), 회전부(130)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의 균열 측정 장치의 다양한 결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만일 균열의 x축 방향으로의 진행만 측정을 하는 경우, 고정부(140)는 각각 제1암부(110)와 제2암부(120)에 결합되거나, 또는 제1회전부(131)에 결합되거나, 또는 제2회전부(132)에 결합되며, 제2결합구조(160)가 형성되지 않은 면 중 하나가 구조물에 고정된다.
균열의 x축 및 y축 방향으로의 진행만 측정하는 경우 고정부(140)는 각각 제1회전부(131)에 결합되거나 또는 제2회전부(132)에 결합되며, 균열의 x축, y축 및 z축 모든 방향으로의 진행을 측정하는 경우 고정부(140)는 각각 제2회전부(132)에 결합된다.
서버(300)는 센서부(200)로부터 수신한 값을 단말로 전송한다. 서버(300)는 센서부(200)가 센싱한 저항값을 수신하여 변화된 길이/각도로 환산하거나, 또는 환산된 값을 수신하여 단말로 전송한다.
단말은 유무선 통신기능을 통해 서버(300)로부터 환산된 값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PC,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랩탑(laptop) 등일 수 있다. 단말에는 소정의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값을 직접적으로 나타내거나 도식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센서부(200)가 센싱한 값은 실시간 또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서버(300)로 전송되며, 서버(300)는 해당값을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환산된 값을 통해 균열의 진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일의 균열 측정 장치(100)로부터 센서부(200)가 센싱한 저항값을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균열 측정 장치(100)를 서로 다른 위치에 여러 개 설치하고, 각각의 균열 측정 장치(100)로부터 센서부(200)가 센싱한 저항값을 수신하는 것도 당연히 포함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의 작동은 x축 방향의 균열 진행 측정, x축과 y축 방향의 균열 진행 측정, x축과 y축 및 z축 방향의 균열 진행 측정을 구분하여 설명한다.
1. x축 방향의 균열 진행 측정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균열의 x축 방향으로의 진행 측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균열의 x축 방향으로의 진행만 측정하는 경우, 회전부(130) 없이 고정부(140)가 직접 제1암부(110)와 제2암부(120)에 결합되고 제2결합구조(160)가 형성되지 않은 면 중 하나가 구조물에 고정된다. 또는, 제1회전부(131)만 제1암부(110)와 제2암부(120)에 각각 결합되며 고정부(140)는 제1회전부(131)에 결합되고 제2결합구조(160)가 형성되지 않은 면 중 하나가 구조물에 고정된다. 또는, 제1회전부(131)는 제1암부(110)와 제2암부(120)에 각각 결합되며, 제2회전부(132)는 제1회전부(131)에 결합되고, 고정부(140)는 제2회전부(132)에 결합되고 제2결합구조(160)가 형성되지 않은 면 중 하나가 구조물에 고정된다.
제1센서부(210)의 최초 저항값이 서버(300)로 전송되고, 최초 저항값을 통해 균열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균열의 크기는 단말로 전송되어 표시된다.
균열이 x축 방향으로 진행하면, 구조물에 고정된 각각의 고정부(140)가 균열의 진행에 의해 위치가 이동하게 되며, 고정부(14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제1암부(110)와 제2암부(120) 간의 접촉된 면적이 변화된다.
이를 통해 제1센서부(210)의 저항값이 변화되고, 변화된 저항값을 통해 균열의 진행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서버는 균열의 x축 방향으로의 크기 변화값(진행정도)를 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도록 한다.
2. x축, y축 방향의 균열 진행 측정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균열의 x,y축 방향으로의 진행 측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균열의 x축, y축 방향으로의 진행을 측정하는 경우, 제1회전부(131)만 제1암부(110)와 제2암부(120)에 각각 결합되며 고정부(140)는 제1회전부(131)에 결합되고 제2결합구조(160)가 형성되지 않은 면 중 하나가 구조물에 고정된다. 또는, 제1회전부(131)만 제1암부(110)와 제2암부(120)에 각각 결합되며, 제2회전부(132)는 제1회전부(131)에 결합되고, 고정부(140)는 제2회전부(132)에 결합되고 제2결합구조(160)가 형성되지 않은 면 중 하나가 구조물에 고정된다.
센서부(200)의 최초 저항값이 서버(300)로 전송되고, 최초 저항값을 통해 균열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균열의 크기는 단말로 전송되어 표시된다.
균열이 x축과 y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만 진행하면, 고정부(140)의 위치가 변하여 제2암부(120)가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제1암부(110)와 제2암부(120) 간의 접촉된 면적이 변화된다. 또한 y축 방향으로의 진행에 의해 제1회전부(131)가 각각 회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1센서부(210)와 제2센서부(220)의 저항값이 변화되고, 변화된 저항값을 통해 균열의 진행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y축 방향으로의 진행은 x축 방향으로의 균열의 크기와 제1회전부(131)의 회전 각도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서버는 균열의 x축, y축 방향으로의 크기 변화값(진행정도)를 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도록 한다.
3. x축, y축, z축 방향의 균열 진행 측정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균열의 x,y,z축 방향으로의 진행 측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균열의 x축, y축 및 z축 모든 방향으로의 진행을 측정하는 경우 고정부(140)는 각각 제2회전부(132)에 결합된다.
센서부(200)의 최초 저항값이 서버(300)로 전송되고, 최초 저항값을 통해 균열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균열의 크기는 단말로 전송되어 표시된다.
균열이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진행하면, 고정부(140)의 위치가 변하여 제2암부(120)가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제1암부(110)와 제2암부(120) 간의 접촉된 면적이 변화된다. 또한 y축 방향으로의 진행에 의해 제1회전부(131)가 각각 회전하게 되며, z축 방향으로의 진행에 의해 제2회전부(132)가 각각 회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1센서부(210)와 제2센서부(220)의 저항값이 변화되고, 변화된 저항값을 통해 균열의 진행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y축 방향으로의 진행은 x축 방향으로의 균열의 크기와 제1회전부(131)의 회전 각도로부터 산출될 수 있고, z축 방향으로의 진행은 x축 방향으로의 균열의 크기와 제2회전부(132)의 회전 각도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서버는 균열의 x축, y축, z축 방향으로의 크기 변화값(진행정도)를 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결합구조를 갖는 구성들의 다양한 결합 관계를 통해, 구조물의 형상과 관계없이 균열의 크기를 확인하고 균열의 1차원, 2차원, 3차원 진행을 측정하며, 이를 단말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
100 : 균열 측정 장치 110 : 제1암부
111 : 제1본체부 112 : 제1스토퍼
120 : 제2암부 121 : 제2본체부
122 : 제2스토퍼 130 : 회전부
131 : 제1회전부 132 : 제2회전부
133 : 제1결합판 134 : 제2결합판
135 : 회전부재 136 : 축 부재
140 : 고정부 150 : 제1결합부재
160 : 제2결합부재 200 : 센서부
210 : 제1센서부 220 : 제2센서부
300 : 서버

Claims (6)

  1. 균열 측정 장치와, 센서부와, 서버를 포함하는 균열 측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균열 측정 장치는,
    제1본체부와, 상기 제1본체부의 상면 일 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제1스토퍼를 포함하고, 측면에는 제1결합구조가 형성되는 제1암부;
    하면이 상기 제1본체부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호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의 하면 일 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고, 측면에는 상기 제1결합구조가 형성되는 제2암부;
    일면에 상기 제1결합구조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축 부재가 고정되는 제1결합판과, 측면에 상기 제1결합구조에 대응되는 제2결합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축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회전부; 및
    일면에 상기 제2결합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제1암부와, 상기 제2암부 및 상기 회전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암부와 상기 제2암부 사이에 장착되는 제1센서부;와, 상기 회전부재에 장착되는 제2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센서부의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로 전송하는
    균열 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부는,
    상기 제1암부와 상기 제2암부의 이동에 따라 저항값 변하는 가변저항인 균열 측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가변저항인 균열 측정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제1암부와 상기 제2암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제1회전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물의 균열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결합판의 말단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연장되며, 일면에는 상기 제1결합구조가 형성되는 제2결합판을 더 포함하는 구조물의 균열 측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결합구조 또는 상기 제2결합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암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2결합구조 또는 상기 제1결합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제1암부와 결합되는 구조물의 균열 측정 장치.
KR1020190170641A 2019-12-19 2019-12-19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 KR102320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641A KR102320281B1 (ko) 2019-12-19 2019-12-19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641A KR102320281B1 (ko) 2019-12-19 2019-12-19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814A true KR20210078814A (ko) 2021-06-29
KR102320281B1 KR102320281B1 (ko) 2021-10-29

Family

ID=76626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641A KR102320281B1 (ko) 2019-12-19 2019-12-19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28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289A (ko) * 2001-06-23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갭 및 단차 측정공구
KR20080064747A (ko) * 2007-01-05 2008-07-09 주식회사 마이크로로봇 조립용 블럭
KR20110091619A (ko) * 2010-02-06 2011-08-12 임원 조립블록 세트
KR20120006561U (ko) * 2011-03-15 2012-09-25 신영측기(주) 크랙진행측정장치
KR101655734B1 (ko) * 2016-03-16 2016-09-08 탄탄안전 주식회사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측정기
KR20170035184A (ko) * 2015-09-22 2017-03-30 유니트러스트개발(주)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KR101765440B1 (ko) 2017-04-21 2017-08-23 신윤섭 다방향 균열 측정장치
KR102015706B1 (ko) 2017-11-23 2019-08-28 울산과학기술원 콘크리트 표면 균열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024803B1 (ko) 2018-11-19 2019-11-11 주식회사 엠로 IoT를 이용하는 스마트 균열 측정 장치
KR102044959B1 (ko) 2018-12-19 2019-11-14 시설물안전연구원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변위량 측정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289A (ko) * 2001-06-23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갭 및 단차 측정공구
KR20080064747A (ko) * 2007-01-05 2008-07-09 주식회사 마이크로로봇 조립용 블럭
KR20110091619A (ko) * 2010-02-06 2011-08-12 임원 조립블록 세트
KR20120006561U (ko) * 2011-03-15 2012-09-25 신영측기(주) 크랙진행측정장치
KR20170035184A (ko) * 2015-09-22 2017-03-30 유니트러스트개발(주) 연결블록을 구비한 블록 조립 완구
KR101655734B1 (ko) * 2016-03-16 2016-09-08 탄탄안전 주식회사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측정기
KR101765440B1 (ko) 2017-04-21 2017-08-23 신윤섭 다방향 균열 측정장치
KR102015706B1 (ko) 2017-11-23 2019-08-28 울산과학기술원 콘크리트 표면 균열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024803B1 (ko) 2018-11-19 2019-11-11 주식회사 엠로 IoT를 이용하는 스마트 균열 측정 장치
KR102044959B1 (ko) 2018-12-19 2019-11-14 시설물안전연구원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변위량 측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281B1 (ko)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4331B2 (en) Dimension measuring instrument and height gauge
US20050235517A1 (en) Slide caliper assembly and method of use
CN104285124A (zh) 用来测量物体表面的表面微结构纹理或粗糙度的测量设备和方法
CN105674885A (zh) 板材检测方法
CN105180819A (zh) 基于激光位移传感器的轴径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Woźniak et al. Measurement hysteresis of touch-trigger probes for CNC machine tools
JP4323267B2 (ja) 形状測定装置、形状測定方法、形状解析装置、形状解析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203719599U (zh) 用于测量间隙宽度的测量装置
KR102320281B1 (ko) 구조물의 균열 측정 시스템
KR102260449B1 (ko) 구조물의 균열 측정 장치
KR20210131993A (ko) 작업편의 프로파일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RU255916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параметров паза, не сопряженного с отверстием детали
Jakubiec et al. First coordinate measurements uncertainty evaluation software fully consistent with the GPS philosophy
KR20140005682U (ko) 치수 측정장치
KR200207112Y1 (ko) 휴대용 감리 수평수직 검측 자
US7748135B1 (en) Diameter template
CN215676980U (zh) 阴阳角方正检测尺
KR102105985B1 (ko) 크랙 게이지 장치
KR102299724B1 (ko)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직각도 측정기
KR102237864B1 (ko) 평탄도 측정장치
KR101284284B1 (ko) 표점거리 가변형 익스텐소미터
JP3240456U (ja) 角度ゲージ及び角度ゲージセット
JP2005221320A (ja) 測定ヘッド及びプローブ
CN207816148U (zh) 厚度检测装置
CN208505197U (zh) 测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