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646A -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646A
KR20210078646A KR1020190170139A KR20190170139A KR20210078646A KR 20210078646 A KR20210078646 A KR 20210078646A KR 1020190170139 A KR1020190170139 A KR 1020190170139A KR 20190170139 A KR20190170139 A KR 20190170139A KR 20210078646 A KR20210078646 A KR 20210078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watch
sensor
transaction
paym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8869B1 (ko
Inventor
이정진
박승희
강지연
이민해
안담하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고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고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고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0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8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5Transaction verification using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워치의 앱과 연동 가능한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은,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통지된 거래알림과 연계된 결제를 상기 스마트워치의 앱을 개입시켜 처리하기 위한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결제 인증정보를 등록받거나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거래알림을 제공할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대상정보를 등록받거나 설정하여 지정된 운영DB에 저장하고, 상기 대상정보에 대한 거래알림을 위한 알림조건을 설정하는 제3 단계와, 상기 대상정보에 대한 알림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하는 제4 단계와, 상기 대상정보의 알림조건 만족 확인 시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획득된 워치 결제코드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제6 단계와, 상기 결제 인증정보를 통해 상기 수신된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제7 단계와, 상기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 인증 시 상기 거래알림에 대응하는 대상의 거래를 위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Method for Transaction by Using Notice Based on Smart watch}
본 발명은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거래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결제 인증정보를 저장하고, 거래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대상정보와 알림조건을 등록받아, 상기 대상정보에 대한 알림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여 사용자 스마트워치를 통해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상품을 판매 및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쇼핑몰 등이 많이 등장하였다. 온라인에서의 쇼핑은 오프라인 상의 쇼핑과는 달리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가 상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해주며, 판매자에게는 오프라인 상의 상점을 열지 않아도, 입지 좋은 상권에 위치하지 않아도 다양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온라인 상의 쇼핑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상품 구매의 편리성 등으로 인하여 급격하게 시장규모가 성장하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스마트폰을 소지하게 되면서,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더욱더 편리한 온라인 쇼핑을 즐기게 되었다.
그러나, 스마트폰이 가방에 있는 등, 직접 바로 보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쇼핑몰로부터의 원하는 정보(예컨대, 예약 상품이나 세일 정보 등)를 실시간 확인하기는 어려웠다.
한편, 최근 웨어러블 컴퓨터가 여러 분야에 적용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점차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스마트워치는 가장 보편화된 웨어러블 컴퓨터의 하나로 사용자의 손목에 시계 형태로 착용하게 된다.
스마트워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거나 직접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에게 오는 간단한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예컨대, 위치, 심박, 운동 상태 등)를 측정하는 등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스마트워치의 인터페이스 상의 한계로 스마트폰에 대한 활용도가 높은 실정이며, 스마트워치로 소정의 알림을 받았다 하더라도 실제적인 대응은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특히 온라인 쇼핑 분야에서는 더욱 그러한 경향이 클 수 밖에 없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통지된 거래알림과 연계된 결제를 상기 스마트워치의 앱을 개입시켜 처리하기 위한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결제 인증정보를 등록받거나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 후,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거래알림을 제공할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대상정보를 등록받거나 설정하여 지정된 운영DB에 저장하고, 상기 대상정보에 대한 거래알림을 위한 알림조건을 설정하여, 상기 대상정보에 대한 알림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되면,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획득된 워치 결제코드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면, 상기 결제 인증정보를 통해 상기 수신된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고, 상기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 인증 시 상기 거래알림에 대응하는 대상의 거래를 위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함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은, 스마트워치의 앱과 연동 가능한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통지된 거래알림과 연계된 결제를 상기 스마트워치의 앱을 개입시켜 처리하기 위한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결제 인증정보를 등록받거나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거래알림을 제공할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대상정보를 등록받거나 설정하여 지정된 운영DB에 저장하고, 상기 대상정보에 대한 거래알림을 위한 알림조건을 설정하는 제3 단계와, 상기 대상정보에 대한 알림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하는 제4 단계와, 상기 대상정보의 알림조건 만족 확인 시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획득된 워치 결제코드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제6 단계와, 상기 결제 인증정보를 통해 상기 수신된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제7 단계와, 상기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 인증 시 상기 거래알림에 대응하는 대상의 거래를 위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고유식별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거래알림과 연계된 거래의 결제를 위한 사용자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보안매체에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획득 가능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포함하는 결제 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에 구비된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 가능한 지정된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지정된 (i≥1)개의 횟수만큼 획득한 i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될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기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로 매칭 인증 가능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에 구비된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 가능한 지정된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지정된 (i≥1)개의 횟수만큼 획득하고 판독하여 상기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될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기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로 매칭 인증 가능하게 생성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에 구비된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 가능한 지정된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지정된 (i≥1)개의 횟수만큼 획득한 i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될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기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로 매칭 인증 가능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인증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상기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제공하여 상기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경우, 상기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센서 기반 인증정보는, 상기 스마트워치의 앱에서 상기 스마트워치에 구비된 s개의 센서를 통해 상기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지정된 (i≥1)개의 횟수만큼 획득하고 판독하여 생성된 후 상기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사용자 스마트워치에 구비된 S(S≥1)개의 센서 중 지정된 s(1≤s≤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N(N≥1)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획득되는 M(M≥2)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s개의 센서는, 스마트워치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기반 결제코드는, 스마트워치를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거나 손에 든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움직임 전 멈춤 자세를 센싱한 센싱값, 상기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움직임 방향을 센싱한 센싱값, 상기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움직임 거리를 센싱한 센싱값, 상기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움직임 거리와 방향을 센싱한 센싱값, 상기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움직임 후 멈춤 자세를 센싱한 센싱값 중 둘 이상 센싱값의 지정된 순차적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상기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경우, 상기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센서 기반 인증정보는, 상기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n(1≤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 및 (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n(1≤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m(1≤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상기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경우, 상기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센서 기반 인증정보는, 상기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m(1≤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 및 (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m(1≤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n(1≤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s개의 센서는, 스마트워치에 구비된 심박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기반 결제코드는, 상기 심박 센서를 통해 센싱된 심박 센싱값을 유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사용자 스마트워치에 구비된 S(S≥1)개의 센서 중 지정된 s(1≤s≤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N(N≥1)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알림을 제공할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대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대상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운영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알림을 제공할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대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대상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운영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거래대상은, 사용자가 구매하거나 매매 가능한 실물상품, 디지털컨텐츠, 음원상품, 서비스, 티켓, 주식, 금융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알림조건은, 거래대상의 금액 범위 조건, 거래대상의 출시/입고 조건, 거래대상의 판매 개시 조건, 거래대상의 거래 시간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워치 결제코드에 터치스크린을 통해 획득되는 터치 기반 결제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 인증정보에 포함된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상기 워치 결제코드에 포함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비교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워치 결제코드에 지정된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센서 기반 결제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워치 결제코드에 포함된 센서 기반 결제코드가 상기 결제 인증정보에 포함된 센서 인증 정보의 기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 매칭되는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거래대상이 배송 가능한 물건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결제 절차의 승인 시 기 등록된 주문자정보와 배송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물건의 배송을 개시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워치를 통해 쇼핑몰 등으로부터 특정 거래대상에 대한 알림을 받을 수 있으며, 스마트워치를 통해 간편하게 거래대상에 대한 결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지정된 거래대상에 대한 거래알림을 통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스마트워치로부터 획득된 워치 결제코드를 통해 거래알림에 대응하는 대상의 거래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145)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통지된 거래알림과 연계된 결제를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개입시켜 처리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운영서버(100)로부터 거래대상에 대한 거래알림을 통지받고, 상기 거래알림에 대응하는 대상의 거래를 위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워치 결제코드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기 위한 앱(160)이 설치되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와,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로 거래대상에 대한 거래알림을 통지받기 위해 사용자 식별정보와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에 등록하는 사용자 단말(185)과,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기능과,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통지된 거래알림과 연계된 결제를 상기 스마트워치의 앱을 개입시켜 처리하기 위한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결제 인증정보를 등록받거나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기능과,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거래알림을 제공할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대상정보를 등록받거나 설정하여 지정된 운영DB에 저장하고, 상기 대상정보에 대한 거래알림을 위한 알림조건을 설정하는 기능과, 상기 대상정보에 대한 알림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하는 기능과, 상기 대상정보의 알림조건 만족 확인 시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기능과,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획득된 워치 결제코드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기능과, 상기 결제 인증정보를 통해 상기 수신된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기능과, 상기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 인증 시 상기 거래알림에 대응하는 대상의 거래를 위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운영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는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동하여 거래대상에 대한 거래알림을 제공받는 사용자가 이용하며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심박 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컴퓨터 장치의 총칭으로서, 비단 손목에 착용하는 워치 헝태에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는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거래알림을 통지받는 기능과,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을 통해 획득 가능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기능과, 상기 스마트워치(155)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획득 가능한 지정된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기능과, 상기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사용자 스마트워치(155)를 통해 인증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생성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기능과,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에 구비된 S(S≥1)개의 센서 중 지정된 s(1≤s≤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N(N≥1)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획득되는 M(M≥2)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의 조합을 포함하는 워치 결제코드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기능과,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기능과,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알림을 제공할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대상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기능을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차를 수행하는 앱(Application)(160)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를 주체로 하여 설명하는 기능은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에 설치된 앱(160)을 통해 구현되는 것임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165)은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동하며, 상기 스마트워치(155)를 착용하거나 소지하여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거래대상에 대한 거래알림을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컴퓨터 장치의 총칭으로서, 유선망에 연결된 컴퓨터, 노트북 등의 유선단말과, 무선망에 연결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무선단말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165)은 사용자 식별정보와,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기능과, 거래알림과 연계된 거래의 결제를 위한 사용자 결제수단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기능과, 거래알림과 연계된 거래의 주문자정보와 배송지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기능과,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획득 가능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기능과, 사용자 식별정보와, 상기 거래알림을 제공할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대상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기능을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차를 수행하는 프로그림이나 앱(Application)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중 일부의 구성은 웹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상기 사용자 단말(165)을 주체로 하여 설명하는 기능은 상기 사용자 단말(165)에 설치된 프로그램(또는 앱)이나 웹 방식을 통해 구현되는 것임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05)와,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와 연동하는 결제를 위한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결제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등록부(110)와, 대상정보에 대한 거래알림을 위한 알림조건을 설정하는 조건 설정부(115)와, 알림조건의 만족여부를 확인하는 조건 확인부(120)와,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는 알림 통지부(125)와, 워치 결제코드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코드 수신부(130)와, 워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코드 인증부(135)와, 거래알림에 대응하는 대상의 거래 절차를 개시하는 결제 절차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1의 실시예는 편의상 상기 운영서버(100)를 하나의 서버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운영서버(100)를 구현하는 실시예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 또는 서버 시스템 형태로 구현되거나 기 구축된 서버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14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사용자 단말(165)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고유식별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45)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토큰이나 고유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사용자 단말(165)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할당하거나 수신한 후, 상기 고유식별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4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할당하거나 수신한 후, 상기 고유식별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45)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사용자 단말(165)을 통해 상기 거래알림과 연계된 거래의 결제를 위한 사용자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보안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사용자 단말(165)을 통해 기 등록된 사용자 결제수단정보를 통해 워치 기반 결제를 제공하는 경우, 또는 제휴된 PG나 결제서버 등에 기 등록된 사용자 결제수단정보를 통해 워치 기반 결제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결제수단정보 수신 과정은 생략해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보안매체는 상기 운영서버(100)에 구비되거나 연동하는 저장매체(145), 결제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대행사서버나 결제서버의 저장매체, 금융사의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사용자 단말(165)을 통해 상기 거래알림과 연계된 거래의 주문자정보와 배송지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식별정보와 연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등록부(110)는 상기 정보 저장부(105)를 통해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가 지정된 저장매체(145)에 저장된 이후,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통지된 거래알림과 연계된 결제를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개입시켜 처리하기 위한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결제 인증정보를 등록받거나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4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등록부(110)는 사용자 단말(165)을 통해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획득 가능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포함하는 결제 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14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등록부(110)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획득 가능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포함하는 결제 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14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등록부(110)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155)에 구비된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 가능한 지정된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지정된 (i≥1)개의 횟수만큼 획득한 i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될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기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로 매칭 인증 가능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14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등록부(110)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0155에 구비된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 가능한 지정된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지정된 (i≥1)개의 횟수만큼 획득하고 판독하여 상기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될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기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로 매칭 인증 가능하게 생성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생성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등록부(110)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155)에 구비된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 가능한 지정된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지정된 (i≥1)개의 횟수만큼 획득한 i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될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기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로 매칭 인증 가능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인증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제공하여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경우, 상기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센서 기반 인증정보는,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에서 상기 스마트워치(155)에 구비된 s개의 센서를 통해 상기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지정된 (i≥1)개의 횟수만큼 획득하고 판독하여 생성된 후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스마트워치(155)에 기본 설정된 제스쳐 중 하나를 센서 기반 결제코드로 이용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은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i번 획득하여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생성할 필요 없이, 기본 설정된 제스쳐 중에서 특정한 제스처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에 구비된 S(S≥1)개의 센서 중 지정된 s(1≤s≤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N(N≥1)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획득되는 M(M≥2)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 기반 결제코드는 스마트워치(155)를 손목에 차고 손을 들어 수평 상태에서 팔목을 회전시키는 움직임(=시계보기) 등의 센싱 값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개의 센서는 스마트워치(155)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기반 결제코드는 스마트워치(155)를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거나 손에 든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움직임 전 멈춤 자세를 센싱한 센싱값,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움직임 방향을 센싱한 센싱값,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움직임 거리를 센싱한 센싱값,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움직임 거리와 방향을 센싱한 센싱값,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움직임 후 멈춤 자세를 센싱한 센싱값 중 둘 이상 센싱값의 지정된 순차적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먼저 인식하고 터치 기반 결제코드(=PIN)을 나중에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상기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경우, 상기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센서 기반 인증정보는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n(1≤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 및 (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하거나, n(1≤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m(1≤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상기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경우, 상기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센서 기반 인증정보는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하거나, m(1≤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 및 (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하거나, m(1≤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n(1≤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개의 센서는 스마트워치(155)에 구비된 심박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기반 결제코드는 상기 심박 센서를 통해 센싱된 심박 센싱값을 유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워치(155)의 착용 여부도 센서 기반 결제코드로 추가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에 구비된 S(S≥1)개의 센서 중 지정된 s(1≤s≤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N(N≥1)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터치 기반 결제코드 없이 센서 기반 결제코드만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건 설정부(115)는, 상기 정보 등록부(110)를 통해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통지된 거래알림과 연계된 결제를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개입시켜 처리하기 위한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결제 인증정보가 지정된 저장매체(145)에 저장된 이후,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거래알림을 제공할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대상정보를 등록받거나 설정하여 지정된 운영DB(150)에 저장하고, 상기 대상정보에 대한 거래알림을 위한 알림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조건 설정부(115)는 사용자 단말(165)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알림을 제공할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대상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대상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운영DB(15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조건 설정부(115)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알림을 제공할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대상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대상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운영DB(15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래대상은 사용자가 구매하거나 매매 가능한 실물상품, 디지털컨텐츠, 음원상품, 서비스, 티켓, 주식, 금융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알림조건은 거래대상의 금액 범위 조건, 거래대상의 출시/입고 조건, 거래대상의 판매 개시 조건, 거래대상의 거래 시간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림조건은 거래대상에 따라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자동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대상정보를 등록한 사용자 단말(165)이나 스마트워치(155)를 통해 대상정보와 함께 등록될 수 있다.
상기 조건 확인부(120)는, 상기 조건 설정부(115)를 통해 상기 대상정보에 대한 거래알림을 위한 알림조건이 설정된 이후, 상기 대상정보에 대한 알림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알림 통지부(125)는, 상기 조건 확인부(120)를 통해 상기 대상정보에 대한 알림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되면,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코드 수신부(130)는, 상기 알림 통지부(125)를 통해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거래알림이 통지된 이후,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획득된 워치 결제코드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코드 인증부(135)는, 상기 코드 수신부(130)를 통해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획득된 워치 결제코드의 적어도 일부가 수신되면, 상기 결제 인증정보를 통해 상기 수신된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 인증부(135)는 상기 워치 결제코드에 터치스크린을 통해 획득되는 터치 기반 결제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 인증정보에 포함된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상기 워치 결제코드에 포함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비교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 인증부(135)는 상기 워치 결제코드에 지정된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센서 기반 결제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워치 결제코드에 포함된 센서 기반 결제코드가 상기 결제 인증정보에 포함된 센서 인증 정보의 기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 매칭되는 인증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절차부(140)는, 상기 코드 인증부(135)를 통해 상기 수신된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거래알림에 대응하는 대상의 거래를 위한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 절차부(140)는 상기 거래대상이 배송 가능한 물건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결제 절차의 승인 시 기 등록된 주문자정보와 배송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물건의 배송을 개시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지정된 거래대상에 대한 거래알림을 통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운영서버(100)에서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정보와,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통지된 거래알림과 연계된 결제를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개입시켜 처리하기 위한 정보와, 거래알림을 제공할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대상정보 및 알림조건을 저장하고, 상기 대상정보에 대한 알림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과정은,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운영서버(100)에서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145)에 저장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2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65)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고유식별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45)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토큰이나 고유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65)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할당하거나 수신한 후, 상기 고유식별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4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할당하거나 수신한 후, 상기 고유식별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45)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65)을 통해 상기 거래알림과 연계된 거래의 결제를 위한 사용자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보안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사용자 단말(165)을 통해 기 등록된 사용자 결제수단정보를 통해 워치 기반 결제를 제공하는 경우, 또는 제휴된 PG나 결제서버 등에 기 등록된 사용자 결제수단정보를 통해 워치 기반 결제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결제수단정보 수신 과정은 생략해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보안매체는 상기 운영서버(100)에 구비되거나 연동하는 저장매체(145), 결제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대행사서버나 결제서버의 저장매체, 금융사의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65)을 통해 상기 거래알림과 연계된 거래의 주문자정보와 배송지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식별정보와 연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가 지정된 저장매체(145)에 저장된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통지된 거래알림과 연계된 결제를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개입시켜 처리하기 위한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결제 인증정보를 등록받거나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45)에 저장한다(2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65)을 통해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획득 가능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포함하는 결제 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14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획득 가능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포함하는 결제 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14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155)에 구비된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 가능한 지정된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지정된 (i≥1)개의 횟수만큼 획득한 i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될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기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로 매칭 인증 가능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14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0155에 구비된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 가능한 지정된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지정된 (i≥1)개의 횟수만큼 획득하고 판독하여 상기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될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기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로 매칭 인증 가능하게 생성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생성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155)에 구비된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 가능한 지정된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지정된 (i≥1)개의 횟수만큼 획득한 i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될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기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로 매칭 인증 가능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인증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제공하여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에 구비된 S(S≥1)개의 센서 중 지정된 s(1≤s≤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N(N≥1)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획득되는 M(M≥2)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 기반 결제코드는 스마트워치(155)를 손목에 차고 손을 들어 수평 상태에서 팔목을 회전시키는 움직임(=시계보기) 등의 센싱 값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개의 센서는 스마트워치(155)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기반 결제코드는 스마트워치(155)를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거나 손에 든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움직임 전 멈춤 자세를 센싱한 센싱값,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움직임 방향을 센싱한 센싱값,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움직임 거리를 센싱한 센싱값,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움직임 거리와 방향을 센싱한 센싱값,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움직임 후 멈춤 자세를 센싱한 센싱값 중 둘 이상 센싱값의 지정된 순차적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먼저 인식하고 터치 기반 결제코드(=PIN)을 나중에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상기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경우, 상기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센서 기반 인증정보는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n(1≤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 및 (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하거나, n(1≤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m(1≤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상기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경우, 상기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센서 기반 인증정보는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하거나, m(1≤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 및 (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하거나, m(1≤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n(1≤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개의 센서는 스마트워치(155)에 구비된 심박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기반 결제코드는 상기 심박 센서를 통해 센싱된 심박 센싱값을 유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워치(155)의 착용 여부도 센서 기반 결제코드로 추가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에 구비된 S(S≥1)개의 센서 중 지정된 s(1≤s≤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N(N≥1)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터치 기반 결제코드 없이 센서 기반 결제코드만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통지된 거래알림과 연계된 결제를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개입시켜 처리하기 위한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결제 인증정보가 지정된 저장매체(145)에 저장된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거래알림을 제공할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대상정보를 등록받거나 설정하여 지정된 운영DB(150)에 저장한다(210). 여기서, 상기 거래대상은 사용자가 구매하거나 매매 가능한 실물상품, 디지털컨텐츠, 음원상품, 서비스, 티켓, 주식, 금융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65)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알림을 제공할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대상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대상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운영DB(15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알림을 제공할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대상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대상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운영DB(15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대상정보가 저장된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대상정보에 대한 거래알림을 위한 알림조건을 설정한다(215).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알림조건은 거래대상의 금액 범위 조건, 거래대상의 출시/입고 조건, 거래대상의 판매 개시 조건, 거래대상의 거래 시간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림조건은 거래대상에 따라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자동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대상정보를 등록한 사용자 단말(165)이나 스마트워치(155)를 통해 대상정보와 함께 등록될 수 있다.
상기 대상정보에 대한 거래알림을 위한 알림조건이 설정된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대상정보에 대한 알림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하고(220), 상기 대상정보에 대한 알림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되면,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한다(225).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스마트워치로부터 획득된 워치 결제코드를 통해 거래알림에 대응하는 대상의 거래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지정된 대상정보에 대한 거래알림이 통지된 이후,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부터 워치 결제코드를 수신하고 이를 인증하여 상기 거래알림에 대응하는 대상의 거래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과정은,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으로 지정된 대상정보에 대한 거래알림이 통지된 이후,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획득된 워치 결제코드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300).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앱(160)을 통해 획득된 워치 결제코드의 적어도 일부가 수신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결제 인증정보를 통해 상기 수신된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한다(3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워치 결제코드에 터치스크린을 통해 획득되는 터치 기반 결제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 인증정보에 포함된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상기 워치 결제코드에 포함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비교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워치 결제코드에 지정된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센서 기반 결제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워치 결제코드에 포함된 센서 기반 결제코드가 상기 결제 인증정보에 포함된 센서 인증 정보의 기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 매칭되는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거래알림에 대응하는 대상의 거래를 위한 결제 절차를 수행한다(310).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거래대상이 배송 가능한 물건을 포함하는지 확인하여(315), 배송 가능한 물건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결제 절차의 승인 시 기 등록된 주문자정보와 배송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물건의 배송을 개시한다(320).
100 : 운영서버 105 : 정보 저장부
110 : 정보 등록부 115 : 조건 설정부
120 : 조건 확인부 125 : 알림 통지부
130 : 코드 수신부 135 : 코드 인증부
140 : 결제 절차부 145 : 저장매체
150 : 운영DB 155 : 스마트워치
160 : 앱 165 : 사용자 단말

Claims (27)

  1. 스마트워치의 앱과 연동 가능한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1 단계;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통지된 거래알림과 연계된 결제를 상기 스마트워치의 앱을 개입시켜 처리하기 위한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결제 인증정보를 등록받거나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2 단계;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거래알림을 제공할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대상정보를 등록받거나 설정하여 지정된 운영DB에 저장하고, 상기 대상정보에 대한 거래알림을 위한 알림조건을 설정하는 제3 단계;
    상기 대상정보에 대한 알림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하는 제4 단계;
    상기 대상정보의 알림조건 만족 확인 시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5 단계;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획득된 워치 결제코드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제6 단계;
    상기 결제 인증정보를 통해 상기 수신된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워치 결제코드의 유효성 인증 시 상기 거래알림에 대응하는 대상의 거래를 위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거래알림을 통지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고유식별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거래알림과 연계된 거래의 결제를 위한 사용자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보안매체에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획득 가능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포함하는 결제 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에 구비된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 가능한 지정된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지정된 (i≥1)개의 횟수만큼 획득한 i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될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기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로 매칭 인증 가능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에 구비된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 가능한 지정된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지정된 (i≥1)개의 횟수만큼 획득하고 판독하여 상기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될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기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로 매칭 인증 가능하게 생성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에 구비된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 가능한 지정된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지정된 (i≥1)개의 횟수만큼 획득한 i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될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기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로 매칭 인증 가능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인증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센서 기반 인증정보를 상기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제공하여 상기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경우,
    상기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센서 기반 인증정보는, 상기 스마트워치의 앱에서 상기 스마트워치에 구비된 s개의 센서를 통해 상기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지정된 (i≥1)개의 횟수만큼 획득하고 판독하여 생성된 후 상기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사용자 스마트워치에 구비된 S(S≥1)개의 센서 중 지정된 s(1≤s≤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N(N≥1)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획득되는 M(M≥2)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s개의 센서는, 스마트워치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기반 결제코드는, 스마트워치를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거나 손에 든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움직임 전 멈춤 자세를 센싱한 센싱값, 상기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움직임 방향을 센싱한 센싱값, 상기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움직임 거리를 센싱한 센싱값, 상기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움직임 거리와 방향을 센싱한 센싱값, 상기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움직임 후 멈춤 자세를 센싱한 센싱값 중 둘 이상 센싱값의 지정된 순차적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상기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경우,
    상기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센서 기반 인증정보는, 상기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n(1≤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 및 (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n(1≤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m(1≤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상기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경우,
    상기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인증하는 센서 기반 인증정보는, 상기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상기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1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m(1≤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 및 (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18.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m(1≤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n(1≤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와 (M-m)개의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N-n)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의 순차적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19.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s개의 센서는, 스마트워치에 구비된 심박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기반 결제코드는, 상기 심박 센서를 통해 센싱된 심박 센싱값을 유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워치 결제코드는,
    사용자 스마트워치에 구비된 S(S≥1)개의 센서 중 지정된 s(1≤s≤S)개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N(N≥1)개의 센서 기반 결제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알림을 제공할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대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운영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앱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알림을 제공할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대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운영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23. 제 1항 또는 제 21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대상은,
    사용자가 구매하거나 매매 가능한 실물상품, 디지털컨텐츠, 음원상품, 서비스, 티켓, 주식, 금융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조건은,
    거래대상의 금액 범위 조건, 거래대상의 출시/입고 조건, 거래대상의 판매 개시 조건, 거래대상의 거래 시간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워치 결제코드에 터치스크린을 통해 획득되는 터치 기반 결제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 인증정보에 포함된 터치 기반 결제코드와 상기 워치 결제코드에 포함된 터치 기반 결제코드를 비교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워치 결제코드에 지정된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센서 기반 결제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워치 결제코드에 포함된 센서 기반 결제코드가 상기 결제 인증정보에 포함된 센서 인증 정보의 기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 매칭되는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2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대상이 배송 가능한 물건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결제 절차의 승인 시 기 등록된 주문자정보와 배송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거래대상에 대응하는 물건의 배송을 개시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KR1020190170139A 2019-12-18 2019-12-18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KR102438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139A KR102438869B1 (ko) 2019-12-18 2019-12-18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139A KR102438869B1 (ko) 2019-12-18 2019-12-18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646A true KR20210078646A (ko) 2021-06-29
KR102438869B1 KR102438869B1 (ko) 2022-09-02

Family

ID=7662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139A KR102438869B1 (ko) 2019-12-18 2019-12-18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8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096A (ko) * 2009-06-09 2010-12-17 (주) 지겟츠 증권 거래 정보 전달 방법
KR20170141782A (ko) * 2015-06-05 2017-12-26 애플 인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로열티 계좌 및 자체 브랜드 계좌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180123705A (ko) * 2016-03-22 2018-11-19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한 지불 인가 및 지불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096A (ko) * 2009-06-09 2010-12-17 (주) 지겟츠 증권 거래 정보 전달 방법
KR20170141782A (ko) * 2015-06-05 2017-12-26 애플 인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로열티 계좌 및 자체 브랜드 계좌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180123705A (ko) * 2016-03-22 2018-11-19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의한 지불 인가 및 지불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869B1 (ko) 2022-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0596B1 (en) Systems for providing and processing pre-authorized customizable gift tokens
US20230186279A1 (en) Electronic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system
TWI585701B (zh) 交易請求的方法、裝置以及記錄媒體
US11057390B2 (en) Systems for providing electronic items having customizable locking mechanism
EP3244357A1 (en) Electronic apparatus providing electronic pay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50026233A (ko) 디지털 카드 기반의 결제 시스템 및 방법
US20150120549A1 (en) Mobile authentication for web payments using single sign on credentials
KR20140095745A (ko) 결제 지원 방법과 시스템
WO2020024710A1 (zh) 一种支付二维码的生成方法和装置
US11004057B2 (en) Systems for providing and processing customized location-activated gifts
US20210374737A1 (en) Split path data communication
US11349978B2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 including emoji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20170046712A1 (en) Enhancing information security via the use of a dummy credit card number
JP2018116435A (ja)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2583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lectronic items
KR102438869B1 (ko) 스마트워치 기반의 알림을 이용한 거래 방법
KR101516409B1 (ko) 온라인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KR20160047970A (ko) 온라인 결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방법
KR101628835B1 (ko)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방법 및 시스템
KR101369905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신용카드 결제 대행 방법 및 시스템
JP2021196843A (ja)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90002383A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신용카드 결제 대행 방법 및 시스템
JP2003044772A (ja) 移動体端末用プログラム、移動体端末、サーバ、商品購入・決済システムおよび商品購入・決済方法
KR20170001941A (ko)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방법 및 시스템
KR20140053618A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신용카드 결제 대행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