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941A -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941A
KR20170001941A KR1020160068665A KR20160068665A KR20170001941A KR 20170001941 A KR20170001941 A KR 20170001941A KR 1020160068665 A KR1020160068665 A KR 1020160068665A KR 20160068665 A KR20160068665 A KR 20160068665A KR 20170001941 A KR20170001941 A KR 20170001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information
payment
terminal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재광
Original Assignee
배재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광 filed Critical 배재광
Priority to KR1020160068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941A/ko
Publication of KR20170001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Abstract

사기 거래 방지를 위한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 방법은, 구매 요청된 상품의 주문 번호와 연관하여 상기 구매 요청을 수행한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상품을 수령함에 따라 제공되는 이미지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인식됨에 따라, 상기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와 상기 구매 요청시 등록된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상품에 대한 대금 집행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방법 및 시스템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SAFE SHOPPING WITH ENHANCED SECURIT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초기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휴대용 전화기의 기능만을 가지고 있었으나,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히 전화 통화의 기능을 넘어서, MP3, 무선 인터넷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들을 겸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많은 부가 서비스(예를 들어, 모바일 게임, 무선 인터넷 등)들이 제공되고 있다.
대부분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예를 들어, WAP 브라우저, ME 브라우저 등)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수행이 가능하고, 또한 무선 인터넷 플랫폼(예를 들어, GVM, BREW, Java 등)을 이용하여 쇼핑 및 결제를 언제 어디서든 할 수 있게 되었다. 인터넷 또는 모바일 인터넷 사이트에서 쇼핑 및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판매자가 구매자가 구매한 상품을 배송하지 않거나, 다른 상품, 하자가 있는 상품을 배송하는 것으로부터 구매자를 보호하기 위해 에스크로(Escrow) 결제 등이 이용되고 있다. 에스크로 결제는 상품의 결제 대금을 판매자에게 바로 지급하지 않고, 결제 대행사 서버에서 결제 대금을 예치하고 있다가 구매자에 의해 구매 확인(예컨대, 상품을 구매한 사이트에서 구매 확정 선택)이 발생하면, 결제 대금을 판매자에게 지급하는 결제 방식이다.
그런데, 구매 확정을 반드시 구매자만 하는 것이 아니라, 판매자가 구매확정을 할 수 있음에 따라, 판매자가 악의를 가진 경우, 인터넷 또는 모바일 인터넷을 통한 안전한 전자 상거래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추세에 따라 무선 인터넷 플랫폼이 설치된 휴대 단말에서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4676호에 제시되어 있다.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가 구매 확정한 경우에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 집행을 처리함으로써, 안전한 모바일 결제를 제공하고 사기 거래를 방지하는 안전 결제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 단말 이외에 미리 등록된 단말을 통해 결제 집행이 처리되도록 함에 따라 결제 융통성을 제공하는 안전 결제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 방법은, 구매 요청된 상품의 주문 번호와 연관하여 상기 구매 요청을 수행한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상품을 수령함에 따라 제공되는 이미지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인식됨에 따라, 상기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와 상기 구매 요청시 등록된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상품에 대한 대금 집행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등록된 단말 정보를 대상으로, 상기 수신된 단말 정보와 매칭하는 단말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기기 인증 또는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품을 구매 요청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구매 요청된 상품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 수단 정보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제 수단 정보는, 복수의 대칭키를 이용하여 이중 암호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 집행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을 수령함에 따른 에스크로(Escrow) 결제를 집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 집행을 수행하는 단계는, 미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결제 수단 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결제 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과 관련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 집행을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의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정보,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정보, 및 사용자 단말 번호(Mobile Phone Number)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등록할 수 있다.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은, 구매 요청된 상품의 주문 번호와 연관하여 상기 구매 요청을 수행한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정보 등록부, 상기 상품을 수령함에 따라 제공되는 이미지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인식됨에 따라, 상기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와 상기 구매 요청시 등록된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말 인증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상품에 대한 대금 집행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집행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말 인증부는, 상기 등록된 단말 정보를 대상으로, 상기 수신된 단말 정보와 매칭하는 단말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기기 인증 또는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가 구매 확정한 경우에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 집행을 처리함으로써, 안전한 모바일 결제를 제공하고 사기 거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 단말 이외에 미리 등록된 단말을 통해 결제 집행이 처리되도록 함에 따라 결제 융통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10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안전 결제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하여 상품 결제를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에스크로 결제를 이용하여 결제 집행을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후불 결제를 이용하여 결제 집행을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결제 집행을 위한 단말 정보를 지정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매체 목록을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가 등록된 단말 정보 등록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및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은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을 인증함에 따라, 상품을 구매 또는 결제한 사용자 단말과 서 구매 확정, 수령 확인 등의 결제 집행을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에스크로(Escrow) 결제 시, 구매 확정을 요청한 단말이 상품 구매 또는 상품 결제를 요청한 단말인지 여부를 인증하여 에스크로 결제 등을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 서비스 앱이 실행됨에 따라, 해당 결제 서비스 앱을 통해 상품 구매, 구매한 상품에 대한 구매 확정, 및 구매 확정된 상품에 대한 결제 집행을 모두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서, '단말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고유 번호로서, 단말 제조시 부여되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정보, 단말의 SIM 카드에 부여되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정보, 및 사용자 단말 번호(Mobile Phone number)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이미지 코드'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며, '이미지 코드'는 QR 코드 이외에 바코드(barcode), 데이터 매트릭스(Data Matrix), 맥시 코드(Maxi Code) 등 다양한 종류의 2차원 코드를 나타낼 수도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카드 번호' 는 신용 카드 또는 체크 카드 등을 발급할 때 발급된 카드에 인쇄는 번호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온라인/모바일 결제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가상 카드 번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 및 사용자 단말(101)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화살표는 사용자 단말(101)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 (100) 간에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101)은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스마트 TV(smart Television) 등으로,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과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이하, '결제 서비스 앱'이라 칭함)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1)은 웹/모바일 사이트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은 클라이언트(client)를 대상으로 온라인 또는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역할을 한다. 예컨대,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은 온라인 또는 모바일에서 카드 결제, 간편 카드 결제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역할을 한다.
이때,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01) 상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특히,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 (100)은 구매 요청한 사용자 단말과 수령된 상품에 대한 결제 집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이후에 상품에 대한 결제 집행을 처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안전 결제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200)은 프로세서(210), 버스(2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 메모리(240) 및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운영체제(241) 및 서비스 제공 루틴(24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정보 등록부(211), 단말 인증부(212), 및 집행 제어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200)은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메모리(24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40)에는 운영체제(241)와 서비스 제공 루틴(242)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24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40)에 로딩될 수도 있다.
버스(220)는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200)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220)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200)을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200)을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50)는 결제 서비스 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에스크로(Escrow) 결제, 선불 결제, 후불 결제 등을 위해 미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정보, 결제 서비스에 회원가입된 사용자의 식별정보(예컨대, 사용자 ID, 사용자 단말 번호), 회원가입 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패스워드(예컨대, 핀정보) 등을 저장 및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200)의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4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그리고 버스(220)를 통해 프로세서(210)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정보 등록부(211), 단말 인증부(212), 및 집행 제어부(213)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24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정보 등록부(211), 단말 인증부(212), 및 집행 제어부(213)는 도 3의 단계들(301 내지 305 단계)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301 단계에서, 정보 등록부(211)는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상품의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101)은 홈쇼핑 방송 중에 표시되는 이미지 코드(401), 상품 홍보용 전단지 등에 부착된 이미지 코드(401)를 스캔할 수 있다. 상기 부착된 이미지 코드(401)는 상품 구매를 위한 상품 정보가 수록된 이미지 코드(401)를 나타낼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01)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상기 이미지 코드가 스캔되며, 이미지 코드가 스캔됨에 따라 해당 상품의 웹 사이트와의 연결없이 사용자 단말(101)에 곧 바로 해당 상품을 주문 또는 결제하기 위한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200)에서 주문 또는 결제하기 위한 화면을 사용자 단말(101)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주문 또는 결제 화면에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주문/구매" 등의 표시 정보(예컨대, 버튼, 아이콘 등)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정보 등록부(212)는 상품을 구매 요청한 사용자 단말(101)의 단말 정보를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등록부(212)는 구매 요청된 상품의 주문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101)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상기 이미지 코드가 스캔되며, 스캔된 이미지 코드에 수록된 URL 정보 등이 인식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1)은 상기 URL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상품의 모바일 사이트로 연결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된 모바일 사이트에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주문/구매" 등의 표시 정보가 선택된 경우, 정보 등록부(212)는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구매 요청된 상품의 주문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101)은 인터넷 또는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웹 사이트/모바일 웹 사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웹 사이트/모바일 웹 사이트에서 상품 구매가 요청된 경우, 정보 등록부(212)는 구매 요청된 상품의 주문 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상품을 구매 요청한 단말의 단말 정보를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302 단계에서, 정보 등록부(211)는 상기 생성된 주문 번호와 상기 상품을 구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250)에 등록할 수 있다.
303 단계에서, 단말 인증부(212)는 상기 상품을 수령함에 따라 제공되는 이미지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인식됨에 따라, 상기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결제 서비스 앱을 통해 구매 요청한 상품을 배송받은 경우, 상품 배송 시 이용된 포장재료(예컨대, 택배 상자, 택배 봉투 등)에 결제 집행을 위한 이미지 코드가 부착될 수 있다. 이외에, 상품 구매 내역서에 결제 집행을 위한 이미지 코드가 부착(또는 인쇄)될 수도 있다. 상기 포장 재료에 부착된 이미지 코드는 구매 확정 또는 상품 수령 후 후불 결제 처리 등의 결제 집행을 위한 정보가 수록된 이미지 코드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1)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상기 부착된 이미지 코드가 스캔됨에 따라, 단말 인증부(212)는 이미지 코드에 수록된 주문 정보(예컨대, 주문 번호)를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주문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인증부(212)는 이미지 코드를 스캔한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304 단계에서, 단말 인증부(212)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와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을 인증할 수 있다. 단말 인증부(212)는 상기 주문 정보와 일치하는 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50)에서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인증부(212)는 일치하는 주문 정보에 매칭된 단말 정보와 상기 수신된 단말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단말 인증부(212)는 상품을 구매 시 이용된 사용자 단말과 상품 수령 후 결제 집행을 위해 이용된 사용자 단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을 인증할 수 있다.
일례로, 단말 정보가 IMEI 정보이거나 또는 IMSI 정보인 경우, 단말 인증부(212)는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수신된 IMEI 정보 또는 IMSI 정보와 데이터베이스(250)에 등록된 IMEI 정보 또는 IMSI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기 인증을 통해 사용자 단말(101)을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IMEI 정보는 사용자 단말 제조 시에 제조사에서 부여한 단말 고유의 정보를 나타내며, IMSI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 삽입되는 SIM 카드에 부여된 고유의 가입자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 정보가 사용자 단말 번호 정보(예컨대, 모바일 폰 번호)인 경우, 단말 인증부(212)는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단말 번호 정보와 데이터베이스(250)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 정보를 기초로 본인 인증을 수행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인증할 수도 있다.
305 단계에서, 집행 제어부(213)는 사용자 단말이 인증됨에 따라 사용자가 수령한 상품에 대한 결제 집행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집행 제어부(213)는 에스크로 결제(Escrow), 후불 결제 등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도 5를 참고하면, 에스크로 결제를 처리하는 경우, 집행 제어부(213)는 사용자 단말이 인증됨에 따라 결제 처리 화면(500)을 사용자 단말(101)에 제공할 수 있다. 결제 처리 화면(500)에는 주문 번호, 구매한 상품의 상품명, 결제 금액, 구매 확정을 위한 표시 정보(501), 및 구매 취소를 위한 표시 정보(502)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 정보(501)가 사용자 단말(101)에서 선택됨에 따라, 집행 제어부(213)는 결제 집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집행 제어부(213)는 위의 301 단계에서 상품의 구매 요청 시에 선택 또는 입력된 결제 수단 정보에 따라 예치된 결제 대금을 상품 판매자에게 제공되도록 결제 집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집행 제어부(213)는 상품 판매자에 의해 사전에 지정된 계좌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은행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계좌로 상기 예치된 결제 대금이 입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집행 제어부(213)는 '구매 확정이 완료 처리되었습니다' 등의 메시지(502)를 사용자 단말(101)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6을 참고하면, 후불 결제를 처리하는 경우, 집행 제어부(213)는 사용자 단말(101)이 인증됨에 따라 결제 처리 화면(500)을 사용자 단말(101)에 제공할 수 있다. 결제 처리 화면(500)에는 주문 번호, 상품 관련 정보(601), 결제 수단 정보, 결제관련 표시 정보(602) 및 구매 취소 관련 표시 정보(603)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결제 수단 정보는, 사전 등록된 결제 수단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된 결제 수단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전 등록되거나 직접 입력된 신용 카드 정보, 계좌 정보, 체크 카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처리 화면(500)에 표시되는 결제 수단 정보 중 어느 하나의 결제 수단이 선택되어, 결제가 요청된 경우(결제 표시 정보(602)가 선택된 경우), 집행 제어부(213)는 해당 결제 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의 결제가 처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용카드가 선택된 경우, 집행 제어부(213)는 상기 선택된 신용카드사 서버와 연동하여 이미 수령한 상품에 대한 후불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외에, 계좌 정보가 선택된 경우, 집행 제어부(213)는 상기 선택된 계좌의 은행 서버와 연동하여 상품에 대한 후불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가 완료되면, 집행 제어부(213)는 결제 승인 결과를 사용자 단말(101)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집행 제어부(213)는 '정상적으로 결제 처리가 완료되었습니다' 등의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1)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구매 취소 표시 정보(603)가 선택된 경우, 집행 제어부(213)는 해당 상품의 결제를 취소하고, 결제 처리 화면(600)을 반송 처리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반송 처리 화면은 사용자가 이미 수령한 상품을 반송하기 위해, 반송 사유, 반송 방법(직접 택배 발송 또는 택배 기사 방문 등) 등을 직접 입력받거나 선택받기 위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결제 집행을 위한 단말 정보를 지정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상품을 구매 요청한 사용자 단말의 고장 또는 분실, 구매자가 병원, 해외 출장 등의 이유로 구매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 집행 처리를 요청하기 어려운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매 요청한 사용자 단말 이외에도 결제 집행을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을 구매자가 지정할 수 있다. 즉, 구매한 상품의 결제 집행 처리를 요청할 수 있는 다른 사용자 단말을 구매자가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본인 소유의 다른 단말 또는 가족 등이 소지한 단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품을 구매 요청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결제 집행 처리를 위한 다른 사용자 단말을 지정할 수 있다.
일례로, 도 7을 참고하면, 상품 구매가 요청된 경우, 정보 등록부(211)는 사용자 단말(101)에 단말 정보 등록 화면(700)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 등록부(211)는 구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 A의 단말 정보를 기본 정보로서 단말 정보 등록 화면(700)의 첫 번째 라인(line)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등록하기 위해 결제 수단 추가 하기(701)가 선택된 경우, 정보 등록부(211)는 사용자 단말 A(101)로부터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 B의 단말 정보를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고, 매체 목록(702)을 통해 선택된 사용자 단말 B의 단말 정보를 등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정보 등록부(211)는 선택되거나 또는 직접 입력된 사용자 단말 B의 단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50)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정보 등록부(211)는 사용자 단말 B의 단말 정보를 주문 번호, 사용자 단말 A의 단말 정보와 함께 매칭하여 등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매체 목록을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매체 목록(702)에서 특정 매체(예컨대, 메신저)가 선택되면, 정보 등록부(211)는 선택된 특정 매체의 앱에 등록된 친구 목록 또는 사용자 단말 A(101)에 등록된 전화번호 목록을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등록부(211)는 기본 앱 양식에 맞게 전화번호 리스트(710)를 보여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 A(101)에서 번호 리스트(710)에 포함된 적어도 한 명의 친구 중 적어도 하나의 친구가 선택된 경우, 정보 등록부(211)는 선택된 친구에게 단말 정보 등록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선택된 친구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A(1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 등록부(211)는 상기 선택된 친구가 소유한 사용자 단말 B의 사용자 단말 번호(모바일 )폰 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도 8과 같이, 정보 등록부(211)는 사용자 단말 B에 단말 정보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810)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 B에 전송되는 메시지(810)는 결제 서비스 앱을 통해 단말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URL(81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B에서 URL이 선택된 경우, 정보 등록부(211)는 요청 수락 화면(820)을 사용자 단말 B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B의 단말 정보 등록을 수락(821)한 경우, 정보 등록부(211)는 사용자 단말 B로부터 사용자 단말 B의 IMEI 정보, IMSI 정도 또는 사용자 단말 번호 정보 등의 단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등록부(211)는 수신된 사용자 단말 B의 단말 정보를 주문 번호 및 사용자 단말 A의 단말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250)에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 A(101)에게 사용자 단말 B의 단말 정보가 등록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예컨대, 도 9를 참고하면, 정보 등록부(211)는 단말 정보 등록 화면(900)의 두 번째 라인에 사용자 단말 B의 단말 정보를 추가하여 사용자 단말 A(101)에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 단말 B의 단말 정보가 추가 등록됨에 따라, 도 3의 304 단계에서 설명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단말 인증부(212)는 사용자 단말 B에서 이미지 코드를 스캔함에 따라 인식된 주문 번호와 사용자 단말 B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B에 대한 기기 인증 또는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B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 집행 제어부(213)는 사용자 단말 B를 통해 사용자 단말 A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한 결제 집행이 처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및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에서는, 결제 정보의 일례로서, 카드 정보를 선택받아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10에서, 결제 수단에 대한 인증은 단말 인증부(21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에서, 사용자 단말(1001)은 사용자로부터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회원가입정보, 결제 수단(예컨대,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을 등록하기 위한 정보들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입력된 정보들을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0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1001)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입력된 정보들을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으로 전달할 수 있다.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은 사용자 단말(1001)과 카드사 서버(1003) 간에 카드 결제 서비스를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카드사 서버(1003)는 카드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 및 관리하고 있는 사용자들의 카드 정보들을 암호화하여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은 암호화된 카드 정보들을 다시 암호화하여 사용자 단말(1001)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1)로 전달되는 카드 정보가 카드사 서버(1003) 및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에서 이중으로 암호화됨에 따라, 카드 정보가 해킹되거나,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 또는 카드사 서버(1003)로부터 유출되더라도 카드사 서버(1003)에서 암호화에 이용한 대칭키 및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에서 암호화에 이용한 대칭키를 알지 못하므로, 위/변조를 방지하고 안전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101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1)은 기등록한 결제 수단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직접 입력받거나, 또는 사전에 등록된 카드를 선택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01은 신용 카드 정보, 계좌 정보 등을 직접 입력받거나, 선택받을 수 있다.
1020 단계에서, 사전 등록된 카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카드 정보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1)은 사용자 단말의 내부 메모리에서 상기 선택된 카드의 카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이중 암호화된 카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메모리에는 등록된 카드의 카드 식별 정보 및 이중 암호화된 카드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여기서, 이중 암호화는 카드사 서버(또는 은행 서버)에서 제1 대칭키(K3)를 이용하여 한번 암호화하고,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에서 제2 대칭키(K4)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칭키(K3)로 암호화된 정보를 다시 한번 암호화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1)은 이중 암호화된 카드 정보를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로부터 받은 개인키(KV)를 이용하여 전자 서명할 수 있다.
103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1)은 전자 서명된 카드 정보를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 로 전송할 수 있다.
1040 단계에서,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는 사용자 단말(1001)로부터 수신된 카드 정보를 인증할 수 있다. 예컨대,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는 공개키(KB)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1)로부터 수신된 카드 정보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를 통해 이중 암호화된 카드 정보의 서명값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은 상기 추출된 서명값에 기초하여 이중 암호화된 카드 정보를 인증할 수 있다.
이때,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은 사용자 단말(1001)의 단말 번호 정보(예컨대, 모바일 폰 번호), 카드 식별 정보(카드 ID) 등을 상기 이중 암호화된 카드 정보의 인증 시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는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카드 식별 정보 중 상기 카드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개인 정보를 대상으로, 개인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1001)의 단말 번호(예컨대, 모바일 폰 번호)와 일치하면 인증 성공, 불일치하면 인증 실패로 결정할 수 있다.
1050 단계에서, 인증에 성공한 경우,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은 제2 대칭키(K4)를 이용하여 이중 암호화된 카드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제2 대칭키(K4)로 복호화됨에 따라, 카드 정보는 제2 대칭키(K3)로 단일 암호화된 카드 정보일 수 있다.
1060 단계에서,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은 제2 대칭키(K4)로 복호화된 카드 정보를 카드사 서버(1003)로 전송할 수 있다.
1070 단계에서, 카드사 서버(1003)는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으로부터 수신된 카드 정보를 제1 대칭키(K3)로 다시 복호화할 수 있다.
1080 단계에서, 카드사 서버(1003)는 제2 대칭키(K3)로 복호화된 카드 정보가 카드사 서버(1003)에 저장된 카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면,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카드사 서버(1003)는 복호화된 카드 번호, CVC 번호, 유효 기간이 카드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서로 매칭되어 저장된 카드 번호, CVC 번호, 유효 기간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일치하는 경우, 카드사 서버(1003)는 결제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카드사 서버(1003)는 카드 인증 성공 결제 진행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은 결제 진행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01)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1) 화면에는 결제 진행 중 등의 메시지, 결제 진행을 나타내는 화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 카드사 서버(1003)는 결제 완료 메시지를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으로 전달하고,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은 결제 완료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01)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1)의 화면에는 '결제가 완료되었습니다' 등의 메시지, 결제 완료 화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상의 도 10에서는,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과 카드사 서버/ 또는 은행 서버에서 각각의 대칭키(K3, K4)를 이용하여 결제 수단 정보를 이중 암호화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에 해당되며, 카드사 서버 또는 은행 서버가 암호화에 개입하지 않고,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에서 생성 또는 기저장된 대칭키들(K3, K4)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 수단 정보를 이중 암호화할 수도 있다. 또한,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1002)은 이중 암호화 이외에,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결제 수단 정보를 단일 암호화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컴퓨터 시스템(11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1110), 메모리(memory, 112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 113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 전력 회로(1150) 및 통신 회로(116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시스템(1100)은 사용자 단말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는 컴퓨터 시스템(11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는 컴퓨터 시스템(11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 및 메모리(11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메모리(11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터 시스템(11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1의 실시예는, 컴퓨터 시스템(11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터 시스템(1100)은 도 11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1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은 도 11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 방식(WiFi, 3G, LET,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터 시스템(11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결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인-앱(in-app)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결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 서비스 앱을 실행함에 따라 구매한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에 해당되며,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은,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결제 방식 이외에 제3자가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획득 가능한 모든 형태의 결제 방법을 이용하여 구매 상품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인-앱 결제, 오프라인(off-line) 매장에서 상품을 구매하고, 구매한 상품에 대한 결제를 홀딩(holding)하고 모바일 폰 번호만 제공하거나 판매자 단말에 등록하는 경우, 차후 상기 구매한 상품에 대한 결제를 상기 제공/등록한 모바일 폰 번호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 모바일 폰 소액 결제 등과 같이,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통신사 서버와 연계하여, 모바일 폰 번호 만으로 인증을 수행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정보 등록부, 단말 인증부 및 집행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심쇼핑 인증 시스템이 수행하는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등록부에서, 구매 요청된 상품의 주문 번호와 연관하여 상기 구매 요청을 수행한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단말 인증부에서, 상기 상품을 수령함에 따라 제공되는 이미지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인식됨에 따라, 상기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상기 구매 요청시 등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집행 제어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상품에 대한 대금 집행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등록된 식별 정보를 대상으로, 이미지 코드가 인식됨에 따라 상기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매칭하는 식별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상품에 대한 대금 집행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됨에 따라, 구매를 확정하고, 결제 수행에 따른 대금 집행이 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단말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을 구매 요청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단말 인증부에서, 상기 구매 요청된 상품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 수단 정보가 인증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수단 정보는,
    복수의 대칭키를 이용하여 이중 암호화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에 대한 대금 집행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을 수령함에 따른 에스크로(Escrow) 결제를 집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에 대한 대금 집행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미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결제 수단 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결제 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과 관련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한 사용자 단말 외에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다른 사용자의 식별 정보도 등록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 방법.
KR1020160068665A 2016-06-02 2016-06-02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방법 및 시스템 KR20170001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665A KR20170001941A (ko) 2016-06-02 2016-06-02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665A KR20170001941A (ko) 2016-06-02 2016-06-02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755A Division KR101628835B1 (ko) 2015-06-25 2015-06-25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560A Division KR20170138068A (ko) 2017-09-22 2017-09-22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방법 및 시스템
KR1020170127507A Division KR20170117352A (ko) 2017-09-29 2017-09-29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941A true KR20170001941A (ko) 2017-01-05

Family

ID=5783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665A KR20170001941A (ko) 2016-06-02 2016-06-02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9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42312A1 (en) Authent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location matching
KR101617569B1 (ko) 허브 앤드 스포크 핀 검증
US89789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near field communcation financial transactions
AU2018243809A1 (en) Static token systems and methods for representing dynamic real credentials
US20150066778A1 (en) Digital card-based payment system and method
WO2016130764A1 (en) Peer forward authorization of digital requests
US116941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payment device specific functions
KR20140125449A (ko) 거래 프로세싱 시스템 및 방법
US11210623B2 (en) Authentication system for purchase delivery
US2017002474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a consumer identity to perform electronic transactions
KR101828742B1 (ko) 보안이 강화된 간편 결제 시스템 및 그 결제방법
KR102574524B1 (ko) 원격 거래 시스템, 방법 및 포스단말기
KR101628835B1 (ko)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방법 및 시스템
KR20170138068A (ko)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방법 및 시스템
KR20170117352A (ko)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방법 및 시스템
KR20170001941A (ko)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방법 및 시스템
KR20170001940A (ko) 보안이 강화된 안심쇼핑 인증방법 및 시스템
KR20210068976A (ko) 휴대폰 요금 자동 납부 결제 정보를 이용한 간편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101548200B1 (ko) 모바일 Push를 이용한 충전식 전자상거래시스템
KR102055923B1 (ko) Nfc 단말의 결제 동글 기능을 위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