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970A - 온라인 결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결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970A
KR20160047970A KR1020150056210A KR20150056210A KR20160047970A KR 20160047970 A KR20160047970 A KR 20160047970A KR 1020150056210 A KR1020150056210 A KR 1020150056210A KR 20150056210 A KR20150056210 A KR 20150056210A KR 20160047970 A KR20160047970 A KR 20160047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credit card
card
inform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욱
Original Assignee
(주) 맑은생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맑은생각 filed Critical (주) 맑은생각
Priority to PCT/KR2015/00402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064053A1/ko
Publication of KR20160047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06Q20/3415Cards acting autonomously as pay-med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실물 카드를 이용하여 온라인 결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결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온라인 결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방법은 온라인 쇼핑몰의 결제 시에도 사용자가 신용카드 정보의 입력 없이 실물카드를 사용하여 오프라인에서의 결제방식과 같은 방법으로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의 해킹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안 및 편리성을 모두 가질 수 있어 안전한 결제를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결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방법{ONLINE PAYMENT SYSTEM AND PAYMENT METHOD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온라인 결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물 카드를 이용하여 온라인 결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결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라인 쇼핑몰이 증가하면서 온라인을 통한 물품의 구매가 많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결제방법도 계좌이체, 포인트 결제, 신용카드 결제 등 다양한 결제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온라인을 통한 신용카드 결제의 경우, 사용자가 온라인상에서 신용카드 식별번호, 비밀번호, 유효기간 및 CVC 코드를 입력하고, 공인인증서 또는 일회용 안심클릭 비밀번호의 입력을 통해 사용자와 신용카드의 인증을 수행한 이후, 물품 구매를 위한 결제 프로세스를 완료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온라인상에서 신용카드 정보를 직접 기입해야 하고, 그 이후의 인증절차도 복잡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신용카드 정보를 모바일 폰에 내장시킨 모바일 신용카드를 출시하여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 모바일 신용카드는 모바일 폰의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환경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점을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신용카드의 발급시 동일하게 발급된 플라스틱 카드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카드 리더기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 신용카드는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폰에 신용카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신용카드 정보가 해킹되어 무단 사용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신용카드는 신용카드 정보가 내장된 하나의 모바일 폰 이외의 다른 전자기기, 예를 들어 일반 PC나 태플릿 또는 다른 모바일 폰으로는 상품 구매 및 결제를 수행할 수 없다. 즉, 신용카드의 호환성이 떨어짐으로써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모바일 신용카드가 내장된 모바일 폰이 아닌 모바일 폰이나 PC로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모바일 신용카드 발급 시 같이 발급된 플라스틱 카드를 이용하는데, 이 때,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신용카드 정보가 해킹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온라인 쇼핑몰의 결제 시에도 사용자가 신용카드 정보의 입력 없이 실물카드를 사용하여 오프라인에서의 결제방식과 같은 방법으로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의 해킹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안 및 편리성을 모두 가질 수 있는 온라인 결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용카드를 읽어 사용자 단말기가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카드 리더부와, 사용자 단말기에 쇼핑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주문정보를 받아 결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카드 리더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되는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PG 서버로 승인요청을 하고, 이후 상기 PG 서버로부터 결제승인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 단말기에 주문완료 표시를 전송하는 쇼핑몰 서버와, 상기 신용카드 식별정보 및 결제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카드 사 서버로 전송하여 카드 유효성 검증요청을 하고, 상기 카드 사 서버로부터 수신한 유효성 검증정보를 토대로 신용카드 식별정보와 대응하는 카드결제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쇼핑몰 서버 및 카드 사 서버로 전송하는 PG 서버 및, 상기 PG 서버로부터 신용카드 식별정보 및 결제정보를 전송받아 카드 사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신용카드 식별번호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생성한 유효성 검증정보를 PG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PG 서버로부터 카드결제 승인정보를 전송받아 결제금액을 상기 카드 사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하는 카드 사 서버를 포함하는 온라인 결제시스템을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카드 리더부는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단자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어 실물 신용카드와의 접촉을 통하여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읽을 수 있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카드 리더부는 신용카드의 접촉 또는 근접을 통하여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근접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신용카드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쇼핑몰 서버는 사용자가 상기 카드 리더부를 통한 결제방식 또는 기존의 직접입력을 통한 결제방법을 포함하는 다양한 결제방식 중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창을 표시하고, 상기 카드 리더부를 통한 결제가 선택되면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결제 창으로 바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코드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식별코드를 촬영하여 정보를 읽고, 카드 리더부를 이용하여 결제를 할 수 있도록 결제 창으로 바로 연결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식별코드는 QR코드 또는 바코드 중 적어도 한 가지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쇼핑몰 서버는 사용자가 카드 리더부를 통한 결제 또는 기존의 직접입력을 통한 결제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창을 표시하고, 카드 리더부를 통한 결제가 선택되면 결제 창으로 바로 연결할 수 있는 URL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쇼핑몰 서버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주문정보를 전송받는 단계와, (b)쇼핑몰 서버가 상기 주문정보에 따른 결제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결제 창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c)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카드 리더부를 통하여 입력된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전송받는 단계와, (d)상기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PG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e)상기 PG 서버가 수신한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카드 사 서버로 전송하여 유효성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와, (f)상기 카드 사 서버가 신용카드 식별번호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PG 서버로 유효성 검증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g)상기 PG 서버가 전송받은 유효성 검증정보에 따라 카드결제를 승인하고, 카드결제 승인정보를 상기 쇼핑몰 서버 및 카드 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h)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카드결제 승인정보를 전송받아 결제를 완료하는 결제 완료 창을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기로 주문 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결제방법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신용카드 식별정보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한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b) 단계는 카드 리더부를 통한 결제방식 또는 기존의 직접입력을 통한 결제방법을 포함하는 결제방식 중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창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결제 창으로 바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식별코드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결제 창으로 바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URL 링크를 문자메시지로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c) 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단자에 삽입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어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읽을 수 있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부를 사용하고, (c-11) 상기 카드 리더부의 연결부를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단자에 연결하는 단계와, (c-12) 신용카드의 마그네틱 부분 또는 IC칩 부분이 접촉부를 지나가거나 접촉하도록 하여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읽는 단계 및, (c-13) 상기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연결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c)단계에서 카드 리더부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설치되어 있는 근접 통신부를 사용하고, (c-21) 상기 근접 통신부에 신용카드를 접촉시키는 단계와, (c-22) 상기 근접 통신부가 상기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읽는 단계와, (c-23) 상기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실물카드를 직접 사용하기 때문에 신용카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 내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고, 결제가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자 단말기의 카드 리더부를 통하여 입력된 신용카드 정보를 사용하기 때문에 해킹의 우려가 없는 안전한 결제를 실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실물카드를 카드 리더부에 읽혀 정보를 전송하므로 사용자가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오프라인에서 직접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결제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결제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근접 통신부를 사용하는 경우, 신용카드의 비밀번호를 함께 입력하여 같이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지갑에 있는 신용카드가 잘못 읽히거나 고의적으로 읽혀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결제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결제시스템의 카드 리더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결제시스템의 근접 통신부를 통한 결제방식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쇼핑몰에 접속하여 결제가 완료될 때까지의 과정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비밀번호 입력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쇼핑몰에 접속하여 결제가 완료되기 까지 과정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사용자가 PC를 이용하여 쇼핑을 한 후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사용자가 PC를 이용하여 실물카드 결제를 선택했을 경우에 결제페이지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결제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결제시스템의 카드 리더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100), 카드 리더부(200), 쇼핑몰 서버(300), PG 서버(400) 및, 카드사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및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퍼스널 PC,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을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
카드 리더부(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연결되거나 설치되어 신용카드의 실물카드로부터 식별정보를 읽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카드 리더부(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되며, 실물 신용카드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하여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읽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는 카드 리더기(21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물 신용카드와의 접촉은 신용카드의 마그네틱부 또는 IC칩과의 접촉을 통하여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읽을 수 있다.
상기 카드 리더기(2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211)와, 신용카드를 읽을 수 있는 접촉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1)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이어폰 단자, 케이블 연결단자, 충전단자와 접속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으며, 블루투스,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통신을 통해서도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212)는 실물 신용카드의 마그네틱 또는 IC칩으로부터 신용카드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카드 리더기(210)는 연결부(211)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되며, 상기 접촉부(212)를 통하여 신용카드 식별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카드 리더기(210)를 사용자 단말기의 이어폰 접속단자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일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카드 리더기(210)는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211)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211)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이어폰 단자, 케이블 접속단자, 충전단자등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이어폰 잭 접속단자를 통하여 연결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드 리더기(210)의 연결부(211)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형성된 이어폰 잭 접속단자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접촉부(212)는 그 일측면에 신용카드에 구비된 마그네틱과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신용카드의 마그네틱에 삽입된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읽어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카드 리더기(210)를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 카드정보의 입력은 카드 리더기(210)를 통해서만 입력이 가능하고, 스마트 폰의 키패드 또는 터치입력은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드 리더부(200)의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근접 통신부(220)를 통하여 신용카드와의 접촉으로 신용카드 식별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결제시스템의 근접 통신부를 통한 결제방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근접 통신부(220)에 신용카드(10)를 접촉하게 되면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읽어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근접 통신부(220)를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 카드정보의 입력은 근접 통신부(220)를 통해서만 입력이 가능하고, 스마트 폰의 키패드 또는 터치입력은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접 통신부(220)를 통하여 신용카드의 정보를 읽은 후에는 신용카드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신용카드 식별정보와 같이 전송함으로써 신용카드 소유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가 신용카드 소유자 모르게 신용카드의 접촉을 통하여 신용카드의 정보를 읽는 것과 같이 악용될 수 있는 여지를 없애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갑에 들어있는 신용카드는 접촉을 통해서 카드정보를 읽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데, 신용카드 정보를 읽더라도 비밀번호가 입력되어야만 다음 단계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비밀번호와 신용카드 식별정보가 같이 전송되어 인증되도록 함으로써 카드 사용자가 모르게 자신의 카드가 사용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근접 통신부(220)는 NFC, RFID등과 같이 서로 접촉 또는 근접할 때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드 리더부(200)를 통해 신용카드 식별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되면, 사용자 단말기(100)에서는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제공되는 결제 창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암호화하여 쇼핑몰 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암호화 된 신용카드 식별정보는 PG 서버(400)로 승인요청신호와 함께 전송되어 복호되어 결제승인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쇼핑몰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 망으로 온라인을 쇼핑을 할 수 있도록 웹페이지 상에 상품정보를 개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한 물품 또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주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쇼핑몰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주문정보에 따른 결제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쇼핑몰 서버(300)는 결제를 위하여 상기 결제정보를 바탕으로 결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제 창을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한다. 상기 결제 창을 통하여 전송되는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결제정보와 함께 PG 서버(400)로 전송하여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쇼핑몰 서버(300)는 사용자가 카드 리더기를 통한 결제 또는 기존의 직접입력을 통한 결제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창을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다. 이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온라인 신용카드 결제방식과, 본 발명에 따른 실물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결제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에 맞는 결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에 대한 주문정보를 입력한 후 결제하기를 클릭하였을 때 결제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창이 나타나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결제방식을 선택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결제방식인 실물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결제방식이 선택되면, 쇼핑몰 URL, 로그인 정보, 주문정보 및 결제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결제 창으로 바로 접속 가능한 식별코드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식별코드는 다른 단말기에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촬영한 후 판독하게 되면 주문정보 및 결제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결제가 가능한 결제 창으로 바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식별코드는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정보를 읽게 되면, 카드 리더부(200)를 통하여 결제를 실시할 수 있도록 결제 창으로 바로 연결된다. 즉, 상기 식별코드에 로그인 정보, 주문정보 및 결제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결제할 수 있는 결제 창으로 바로 접속이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PC를 통하여 쇼핑을 완료한 후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실물카드 결제를 하고자 할 경우 사용될 수 있으며, 실물카드로 결제하기 위하여 스마트 폰에서 다시 쇼핑몰에 접속하고 로그인을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쉽게 결제 창으로 접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식별코드는 QR코드 또는 바코드 중 적어도 한 가지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별코드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다양한 식별코드로 제작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코드 대신에 로그인 정보, 주문정보 및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URL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문자메시지 등을 통하여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바로 결제 창으로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에 쇼핑몰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면 푸시(push)알림을 통하여 스마트 폰으로 결제 창으로 바로 접속할 수 있는 URL을 전송할 수 있다.
PG 서버(400)는 상기 신용카드 식별정보 및 결제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카드 사 서버(500)로 전송하고, 상기 카드 사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유효성 검증정보를 토대로 신용카드 식별정보와 대응하는 카드결제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쇼핑몰 서버(300) 및 카드 사 서버(500)로 전송한다.
카드 사 서버(500)는 상기 PG 서버(400)로부터 신용카드 식별정보 및 결제정보를 전송받아 카드 사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신용카드 식별번호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생성한 유효성 검증정보를 PG 서버(400)로 전송하고, 상기 PG 서버(400)로부터 카드결제 승인정보를 전송받아 결제금액을 상기 카드 사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한다. 한편, 신용카드 식별정보와 같이 비밀번호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신용카드 식별번호의 유효성과 신용카드의 비밀번호의 일치여부를 검증하여 생성한 유효성 검증정보를 PG 서버(4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결제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결제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결제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결제방법은 쇼핑몰 서버(300)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주문정보를 전송받는 단계(a)와, 상기 쇼핑몰 서버(300)가 상기 주문정보에 따른 결제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결제 창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b)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된 카드 리더부(200)를 통하여 입력된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전송받는 단계(c)와, 상기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PG 서버(400)로 전송하는 단계(d)와, 상기 PG 서버(400)가 수신한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카드 사 서버(500)로 전송하여 유효성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e)와, 상기 카드 사 서버(500)가 신용카드 식별번호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PG 서버(400)로 유효성 검증정보를 전송하는 단계(f)와, 상기 PG 서버가(400) 전송받은 유효성 검증정보에 따라 카드결제를 승인하고, 카드결제 승인정보를 상기 쇼핑몰 서버(300) 및 카드 사 서버(500)로 전송하는 단계(g)와, 상기 쇼핑몰 서버(300)는 상기 카드결제 승인정보를 전송받아 결제를 완료하는 결제 완료 창을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기(100)로 주문 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h)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단계는 쇼핑몰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주문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로, 사용자가 사용자 PC 또는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을 통하여 쇼핑몰 서버(300)에 접속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선택하고, 쇼핑몰 서버(300)는 상기 선택된 물품에 대한 주문정보를 생성한다.
(b)단계는 쇼핑몰 서버(300)가 전송받는 주문정보에 따른 결제정보를 생성하고, 결제를 위한 결제 창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이다. 즉, 사용자가 물품을 선택하고 주문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결제를 위한 결제창이 표시된다.
이때, 상기 결제 창에는 카드 리더부(200)를 통한 결제방식 또는 기존의 직접입력을 통한 결제방법을 포함하는 다양한 결제방식 중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창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결제방식과,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리더부(200)를 이용한 결제방식 중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이 표시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리더부(200)를 이용한 결제방식이 선택되었을 경우 상기 결제 창에 식별코드를 표시하여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결제 창으로 바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제 창에 QR코드를 생성하여 스마트 폰에서 QR코드를 이용하여 결제 창으로 바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사용자가 PC를 사용하여 쇼핑을 완료하고, 스마트 폰과 연결되는 카드 리더부(200)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스마트 폰에서 바로 결제 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카드 리더부(200)를 이용하기 위하여 스마트 폰에서 쇼핑몰 주소를 입력하고 로그인을 해서 다시 주문정보 페이지로 이동할 필요가 없이 바로 결제 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제를 바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함을 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식별코드가 아닌 URL 링크를 생성하고, 이를 문자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링크를 통하여 바로 결제 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문자메시지의 전송은 미리 입력되어 있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으로 전송되거나, 다른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다른 사용자의 스마트 폰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쇼핑몰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푸시(push)알림을 통하여 접속 URL을 전송할 수 있다.
(c)단계는 결제를 위하여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된 카드 리더부(200)를 통하여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상기 카드 리더부(200)는 일측에 사용자 단말기(100)의 접속단자에 삽입되는 연결부(211)와, 상기 연결부(211)의 타측에 형성되어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읽을 수 있는 접촉부(212)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21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물카드를 카드 리더기(210)의 접촉부(212)를 지나가도록 하여 신용카드 정보가 바로 결제 창에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는 이어폰 잭 접속단자. 케이블 접속단자, 충전단자 등일 수 있으며,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과 같은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c)단계는 상기 카드 리더기(210)의 연결부(211)를 사용자 단말기(100)의 접속단자에 연결하는 단계(c-11)와, 신용카드의 마그네틱 부분, 또는 IC칩이 상기 접촉부(212)를 지나가거나 접촉하도록 하여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읽는 단계(c-12)와, 상기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카드 리더기(210)의 연결부(211)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단계(c-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드 리더기(210)를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하고, 신용카드의 마그네틱 부분을 카드 리더기(210)의 접촉부(212)에 통과시키면 신용카드의 식별정보가 사용자 단말기의 결제창에 입력된다. 또한, 신용카드의 IC칩 부분을 상기 카드 리더기(210)의 접촉부(212)에 접촉시켜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결제 창에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카드 리더부(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근접 통신부(220)를 통하여 신용카드와의 접촉으로 신용카드 식별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근접 통신부(220)에 신용카드(10)를 접촉하게 되면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읽어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근접 통신부(220)를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 카드정보의 입력은 근접 통신부(220)를 통해서만 입력이 가능하고, 스마트 폰의 키패드 또는 터치입력은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접 통신부(220)를 통하여 신용카드의 정보를 읽은 후에는 신용카드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에 다음 단계로 진행이 가능하고 신용카드 식별정보와 함께 전송되어 승인 받도록 함으로써 다른 사용자가 모르게 신용카드의 접촉을 통하여 신용카드의 정보를 읽는 것과 같이 악용될 수 있는 여지를 없애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갑에 들어있는 신용카드는 접촉을 통해서 카드정보를 읽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데, 신용카드 정보를 읽어 들이더라도 비밀번호가 입력되어야만 다음 단계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신용카드 식별정보와 함께 비밀번호가 같이 승인을 받도록 함으로써 카드 사용자가 모르게 자신의 카드가 사용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근접 통신부(220)는 NFC, RFID등과 같이 서로 접촉 또는 근접할 때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c)단계는 상기 근접 통신부(220)에 신용카드를 접촉시키는 단계(c-21)와, 상기 근접 통신부(220)가 상기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읽는 단계(c-22)와, 상기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c-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근접 통신부(220)가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에서 신용카드를 근접 통신부(220) 가까이 접촉하게 되면 상기 근접 통신부(220)가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읽은 후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신용카드의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신용카드 식별정보와 함께 신용카드의 비밀번호가 PG서버(400)로 같이 전송되며, 카드 사 서버(500)에서 신용카드 식별정보와 비밀번호를 확인한 후 승인을 하여 결제가 완료될 수 있도록 한다.
(d)단계는 결제 창에 입력된 상기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PG 서버(4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카드 리더부(200)를 통해 입력된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PG 서버(400)로 전송하여 승인을 요청한다.
(e)단계는 승인을 위하여 상기 PG 서버(400)가 수신한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카드 사 서버(500)로 전송하여 유효성 검증을 요청한다.
(f)단계는 상기 카드 사 서버(500)가 검증을 요청받은 신용카드 식별번호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PG 서버(400)로 유효성 검증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
(g)단계는 상기 PG 서버(400)가 상기 카드 사 서버(500)로부터 전송받은 유효성 검증정보에 따라 카드결제를 승인하고, 상기 카드결제 승인정보를 상기 쇼핑몰 서버(300) 및 카드 사 서버(500)로 전송한다.
(h)단계는 상기 쇼핑몰 서버(300)가 상기 카드결제 승인정보를 전송받아 결제를 완료하는 결제 완료 창을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기(100)로 주문 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카드 사 서버(500)는 결제금액을 상기 카드 사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결제시스템을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쇼핑몰에 접속하여 결제가 완료될 때까지의 과정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쇼핑몰에 접속하고 필요한 물품을 구매하기 위하여 쇼핑을 시작한다(S1).
이때, 상기 쇼핑 페이지는 쇼핑몰 서버에 의해 제공되며, 사용자가 쇼핑을 완료하면 쇼핑몰 서버는 주문정보 및 결제정보를 생성한다(S2).
상기와 같이 주문정보 및 결제정보가 생성되면 결제하기 버튼이 생성된다(S3).
또한, 결제하기 버튼을 누르게 되면 결제를 위한 결제창이 표시된다(S4).
이때, 사용자의 스마트 폰으로 신용카드 결제버튼을 클릭하고, 스마트 폰의 카드 리더부(200)를 이용하여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읽게 되면 신용카드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된다(S5).
이때, S5 단계의 카드 리더부(200)를 통하여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읽는 방법을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실시 예는, 카드 리더기(210)를 이용하여 식별하는 방법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카드 리더기(210)를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 스마트 폰의 이어폰 단자에 카드 리더기(210)의 연결부(211)를 삽입한 후 신용카드 결제버튼을 클릭하고, 상기 카드 리더기(210)의 접촉부(212)에 신용카드의 마그네틱 부분이 지나가거나, IC칩 부분을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접촉부(212)가 신용카드의 정보를 읽어 연결부(211)를 통하여 신용카드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된다. 카드가 안 읽힌 경우에는 다시읽기 버튼을 클릭한 후 카드 리더기에 신용카드를 읽히면 신용카드 정보가 입력된다.
즉, 사용자는 스마트 폰의 접속단자에 카드 리더기(210)를 연결하고, 상기 카드 리더기(210)를 통하여 실물 신용카드를 직접 읽혀 신용카드 정보가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직접 카드번호를 입력하고 비밀번호 입력 및 공인인증의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신용카드 정보를 쉽게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두 번째 실시 예는, 근접 통신부(220)를 통한 식별방법이다.
도 5는 비밀번호 입력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쇼핑몰에 접속하여 결제가 완료되기 까지 과정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근접 통신부(220)를 이용하는 방법은 신용카드 결제버튼을 클릭하고 사용자 스마트 폰에 신용카드를 근접하게 되면, 상기 근접 통신부(220)와의 근접 통신을 통하여 신용카드의 정보를 읽고, 비밀번호를 입력시키는 입력창을 출력한다(S5-1). 사용자가 상기 비밀번호 입력창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신용카드의 정보와 같이 PG서버로 전송되어 카드 사 서버를 통하여 승인을 받게 된다.
즉,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받게 되면 스마트 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입력된 신용카드 식별정보와 비밀번호를 결합하여 PG서버로 전송되고, PG서버에서는 카드 사 서버로 승인요청을 하여 신용카드 식별정보와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결제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은 카드 리더기를 이용하는 실시 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카드 리더기(21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카드를 직접 접촉부에 접촉시켜야 하기 때문에 비밀번호의 사용을 생략해도 신용카드의 악용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적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스마트 폰의 접속단자에 카드 리더기를 연결하거나, 근접 통신부에 신용카드를 근접하는 방식을 통하여 실물카드로부터 신용카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드 결제정보를 직접 입력하고 비밀번호 입력 및 공인인증의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신용카드는 통하여 쉽게 결제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근접 통신부를 이용하는 경우 스마트 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과 근접 통신을 이용해서 결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카드 결제정보 및 비밀번호, 공인인증의 절차를 생략하면서도 보다 편리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할부 개월 수를 입력한 후에 거래요청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서명을 위한 창이 표시된다(S6). 서명을 완료하고 확인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상기 신용카드 식별정보는 쇼핑몰 서버로 전송되게 되고, 상기 쇼핑몰 서버는 PG 서버로 결제정보와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승인을 요청하게 된다. 승인요청을 받은 PG 서버는 카드 사 서버로 신용카드 카드 사 서버로 전송하여 유효성 검증을 요청한다. 상기 카드사 서버는 신용카드 식별번호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PG 서버로 유효성 검증정보를 전송하고, PG 서버는 전송받은 유효성 검증정보에 따라 카드결제를 승인하여 카드결제 승인정보를 상기 쇼핑몰 서버 및 카드 사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카드결제 승인정보를 전송받아 결제를 완료하는 거래승인 창을 표시하고(S7), 사용자 단말기로 주문 완료 정보를 전송하고(S8), 물품을 배송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PC를 이용하여 쇼핑을 했을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 폰과 접속되는 카드 리더부를 이용한 결제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사용자가 PC를 이용하여 쇼핑을 한 후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사용자가 PC를 이용하여 실물카드 결제를 선택했을 경우에 결제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PC를 이용하여 쇼핑을 완료한 후 결제수단을 선택할 때, 실물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방식을 선택한 후 결제하기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 7에 나타난 것과 같이 결제페이지가 전환되면서 금액과 QR코드 및 문자메시지 보내기 버튼이 생성된다.
이때, 상기 QR코드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읽게 되면 사용자가 PC에서 쇼핑한 금액을 결제할 수 있는 결제 창으로 바로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문자메시지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사용자 정보에 입력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결제페이지로 바로 접속할 수 있는 URL링크가 전달된다. 상기 QR코드 및 URL링크는 로그인 정보 및 주문정보, 결제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스마트 폰에서 쇼핑몰로 다시 로그인하거나 주문정보를 찾아보지 않고서도 바로 결제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 이후는 앞서 설명한 도 4의 (S5)단계와 같은 결제페이지로 바로 연결되며, 그 이후에는 카드 리더기를 스마트 폰에 연결하여 도 4의 (S5)~(S8)단계를 거치면서 결제가 진행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PC를 이용하여 쇼핑을 완료한 후에 스마트 폰에 연결되는 카드 리더부를 이용하여 결제하기 위하여 다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쇼핑몰에 접속할 필요가 없이 QR코드를 촬영하여 읽거나, URL링크를 이용하여 바로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좀 더 편리한 결제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실물카드를 이용하기 때문에 카드 정보의 해킹 우려가 없고, 공인인증서를 사용하지 않고 오프라인에서 결제하는 것과 같은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보다 빠르고 정확한 결제가 가능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결제 창에는 결제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결제방법은 계좌입금, 신용카드 결제, 휴대폰 결제 등의 다양한 결제방법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카드 리더부를 이용한 결제방식이 추가되어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일 예로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신용카드 100: 사용자 단말기
200: 카드 리더부 210: 카드 리더기
211: 연결부 212: 접촉부
220: 근접 통신부 300: 쇼핑몰 서버
400: PG 서버 500: 카드 사 서버

Claims (15)

  1. 신용카드를 읽어 사용자 단말기가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카드 리더부;
    사용자 단말기에 쇼핑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주문정보를 받아 결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카드 리더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되는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PG 서버로 승인요청을 하고, 이후 상기 PG 서버로부터 결제승인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 단말기에 주문완료 표시를 전송하는 쇼핑몰 서버;
    상기 신용카드 식별정보 및 결제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카드 사 서버로 전송하여 카드 유효성 검증요청을 하고, 상기 카드 사 서버로부터 수신한 유효성 검증정보를 토대로 신용카드 식별정보와 대응하는 카드결제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쇼핑몰 서버 및 카드 사 서버로 전송하는 PG 서버; 및
    상기 PG 서버로부터 신용카드 식별정보 및 결제정보를 전송받아 카드 사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신용카드 식별번호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생성한 유효성 검증정보를 PG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PG 서버로부터 카드결제 승인정보를 전송받아 결제금액을 상기 카드 사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하는 카드 사 서버를 포함하는 온라인 결제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리더부는,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어 실물 신용카드와의 접촉을 통하여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읽을 수 있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결제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리더부는,
    신용카드의 접촉 또는 근접을 통하여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근접 통신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결제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신용카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결제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서버는 사용자가 상기 카드 리더부를 통한 결제방식 또는 기존의 직접입력을 통한 결제방법을 포함하는 다양한 결제방식 중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창을 표시하고,
    상기 카드 리더부를 통한 결제가 선택되면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결제 창으로 바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코드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결제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식별코드를 촬영하여 정보를 읽고, 카드 리더부를 이용하여 결제를 할 수 있도록 결제 창으로 바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결제시스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QR코드 또는 바코드 중 적어도 한 가지가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결제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서버는,
    사용자가 카드 리더부를 통한 결제 또는 기존의 직접입력을 통한 결제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창을 표시하고,
    카드 리더부를 통한 결제가 선택되면 결제 창으로 바로 연결할 수 있는 URL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결제시스템.
  9. (a) 쇼핑몰 서버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주문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b) 쇼핑몰 서버가 상기 주문정보에 따른 결제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결제창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카드 리더부를 통하여 입력된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d) 상기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PG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PG 서버가 수신한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카드 사 서버로 전송하여 유효성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
    (f) 상기 카드 사 서버가 신용카드 식별번호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PG 서버로 유효성 검증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PG 서버가 전송받은 유효성 검증정보에 따라 카드결제를 승인하고, 카드결제 승인정보를 상기 쇼핑몰 서버 및 카드 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카드결제 승인정보를 전송받아 결제를 완료하는 결제 완료 창을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기로 주문 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결제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카드 식별정보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결제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카드 리더부를 통한 결제방식 또는 기존의 직접입력을 통한 결제방법을 포함하는 결제방식 중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창을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결제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결제 창으로 바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식별코드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결제방법.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결제 창으로 바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URL 링크를 문자메시지로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결제방법.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단자에 삽입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어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읽을 수 있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부를 사용하고,
    (c-11) 상기 카드 리더부의 연결부를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단자에 연결하는 단계;
    (c-12) 신용카드의 마그네틱 부분 또는 IC칩 부분이 접촉부를 지나가거나 접촉하도록 하여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읽는 단계; 및
    (c-13) 상기 신용카드 식별정보를 연결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결제방법.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카드 리더부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설치되어 있는 근접 통신부를 사용하고,
    (c-21) 상기 근접 통신부에 신용카드를 접촉시키는 단계;
    (c-22) 상기 근접 통신부가 상기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읽는 단계; 및
    (c-23) 상기 신용카드의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결제방법.
KR1020150056210A 2014-10-23 2015-04-21 온라인 결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방법 KR201600479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4025 WO2016064053A1 (ko) 2014-10-23 2015-04-22 온라인 결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4533 2014-10-23
KR1020140144533 2014-10-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970A true KR20160047970A (ko) 2016-05-03

Family

ID=56022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210A KR20160047970A (ko) 2014-10-23 2015-04-21 온라인 결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79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340B1 (ko) * 2022-11-09 2023-09-21 주식회사 피르스트 온라인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340B1 (ko) * 2022-11-09 2023-09-21 주식회사 피르스트 온라인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8736B2 (en) Mobile checkout systems and methods
US10032143B2 (en) Payment support method and system
US20170116596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Proximity Based Communication Circuitry
TWI599970B (zh) 行動結帳系統及方法
EP3207515B1 (en) Securely authenticating a person depending on context
KR101236957B1 (ko) 모바일 otp 보안을 이용한 휴대단말기의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07614B1 (ko) 음파 신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KR20120112927A (ko) Nfc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4513825A5 (ko)
KR101384846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간편결제방법
KR20120074497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신용카드 모바일 안심클릭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82703A (ko) 결제 방법 및 그를 위한 결제 서버
KR20150106198A (ko) 인증 방법, 인증 중계 서버 및 단말
US20140258046A1 (en) Method for managing a transaction
KR101629174B1 (ko) 가맹점 인증형 결제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13971B1 (ko) Otp 카드를 이용한 본인인증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76692A (ko) 결제채널 관리방법
US20210133726A1 (en) Transaction support program and system
KR20120075607A (ko) 모바일 일회용 안심클릭을 이용한 휴대단말기의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16409B1 (ko) 온라인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KR20160047970A (ko) 온라인 결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방법
JP2014127138A (ja) オンライン決済を提供する認証サーバ、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KR101190745B1 (ko) 인터넷 otp 보안을 이용한 휴대단말기의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49512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에서의 결제 방법
KR20140033679A (ko) 금액인증을 이용한 전자결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