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163A - 자활수 생성을 위한 마그넷 클램프 - Google Patents

자활수 생성을 위한 마그넷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163A
KR20210078163A KR1020190169946A KR20190169946A KR20210078163A KR 20210078163 A KR20210078163 A KR 20210078163A KR 1020190169946 A KR1020190169946 A KR 1020190169946A KR 20190169946 A KR20190169946 A KR 20190169946A KR 20210078163 A KR20210078163 A KR 20210078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gnet clamp
magnet
pipe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4719B1 (ko
Inventor
권인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마그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마그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마그네텍
Priority to KR1020190169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7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02F1/48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located on the outer wall of the treatment device, i.e. not in contact with the liquid to be treated, e.g. detach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활수 생성을 위한 마그넷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 알루미늄, 플라스틱, 고무 등 비자성체를 소재로 제작된 배관에 외면에 체결되어 배관을 유동하는 물을 활성화하기 위해 배관을 절단할 필요 없이 배관 외면에 간편하게 설치함으로써, 배관을 유동하는 물을 활성화할 수 있는 자활수 생성을 위한 마그넷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활수 생성을 위한 마그넷 클램프 {Magnet clamp for water activating}
본 발명은 자활수 생성을 위한 마그넷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 알루미늄, 플라스틱, 고무 등 비자성체를 소재로 제작된 배관을 절단할 필요 없이 배관 외면에 간편하게 설치함으로써, 배관 속을 유동하는 물을 활성화할 수 있는 자활수 생성을 위한 마그넷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물은 인간의 생명 유지 및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물질임과 동시에 경제, 산업, 문화 등의 사회 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중요한 기분적인 자원인 까닭에 역사적으로도 양질의 물을 확보, 공급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왔고, 산업의 발전, 생활의 고도화 등 사회적 여건의 변화에 따라 물에 대한 질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대기의 오염이 극심해지고, 산업 발달의 부산물로서 생겨나는 폐기물들이 그대로 매립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환경이 오염되고, 그 결과 식수원 등의 오염에 따라 지하수를 그대로 마실 수 없게 되거나, 공업용수로 바로 사용할 수 없어 취수장에서 물을 정수 처리한 후에 일반 가정이나 각종 산업시설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취수장에서 정수된 물이라 하더라도 일반 가정이나 산업 시설까지 공급되기 위해서는 상수도관을 경유해야 하는데, 상수도관의 대부분이 오래된 것이기 때문에 관의 내면에 녹이 발생하거나 이물질이 쌓이게 되어 최종적으로 일반 가정에 공급되는 물이 깨끗하지 않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정수를 위하여 염소 등의 화학 약품이 투여되기 때문에 마시기 전에 물속에 함유된 염소 성분을 증발시키거나, 물속에 함유된 이물질을 가라앉히기 위하여 일정 시간 동안 정치시킨 뒤에 음료용으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이 일반 가정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이나 각종 산업 시설로 공급되는 공업용수는 수많은 물 분자들이 상호 수소 결합되면서 거대 복합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물 자체의 활성이 매우 낮아 본래 물이 보유하고 있는 정화효과, 조정효과, 석출효과, 환원효과 등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일반 가정이나 각종 산업 시설로 공급되는 물에는 상수도관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유해 미생물이 함유되기 때문에 물의 선명도가 현저히 떨어짐은 물론 악취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일반 가정에서는 수도꼭지에 정수기를 장착하여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고 있고, 각종 산업 시설에서는 별다른 정수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급되는 물을 그대로 공업용수로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물을 여과시킨 후 이용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정수기 또는 여과 장치는 단순히 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만 할 뿐, 공급되는 물을 활성화시키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물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물이 유동하는 배관에 자기 활성수 장치를 설치하여 자기력으로 물을 활성화하고 있는데, 종래의 제품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 활성수 장치(20)가 설치될 위치의 배관(10)을 끊고 자기 활성수 장치(20)를 연결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과정이 매우 번거롭다.
또한, 자기 활성수 장치(20)를 설치하기 위하여 배관(10)을 유동하는 물의 유동을 중지시킨 후 자기 활성수 장치(20)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시스템 또는 플랜트를 중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3186호, "영구자석을 이용한 연료활성화장치"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5267호, "대칭 두 반원자석으로 된 배관용 조립자화장치" 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811787호, "자화활성수 제조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배관을 끊지 않고 배관 외면에 간편하게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마그넷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다양한 규격의 배관에도 체결하여 배관을 유동하는 물을 활성화할 수 있는 마그넷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생산비용을 절감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마그넷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활수 생성을 위한 마그넷 클램프는 반원 형태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 내부에 형성되어 자력을 생성하는 자력 생성부(120)로 제1 마그넷 클램프(100A) 및 제2 마그넷 클램프(100B)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마그넷 클램프(100A)와 제2 마그넷 클램프(100B)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110)는 판 형태의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1) 양측이 연장된 형태로 경사진 경사면(112)과, 상기 베이스(110)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각각의 경사면(112)이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 월(113)로 구성되고, 상기 자력 생성부(120)는 상기 경사면(112)의 내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 수단은 천공된 체결공(115)을 구비하여 몸체(110)의 양측 단이 외 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플랜지(114)와, 상기 플랜지(114)의 체결공(115)에 삽입되어 제1,2 마그넷 클램프(100A,100B)를 체결하는 체결볼트(10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10)는, 금속 소재로 구조물(116)이 형성되고, 상기 구조물(116)의 외면에는 코팅층(11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10)에는 홈 형태의 꺽임부(118)가 형성되고, 상기 꺽임부(118)를 중심으로 몸체(110)의 일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10)에는 3개 내지 12개의 자력 생성부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설치를 위해 배관을 끊을 필요 없이 배관 외면에 체결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배관에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배관의 규격에 따라 여러 가지 크기로 클램프를 생산할 필요가 없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므로 생산비용을 절감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기 활성수 장치가 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넷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넷 클램프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넷 클램프가 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넷 클램프가 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그넷 클램프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그넷 클램프가 작은 직경의 배관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그넷 클램프가 큰 직경의 배관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넷 클램프(100)는 배관(10)의 외면에 제1 마그넷 클램프(100A)와, 제2 마그넷 클램프(100B)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제1,2 마그넷 클램프(100A,100B)는 동일한 형태로 제조되어 한 쌍의 클램프(100A,100B)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관(10) 외면에 체결된다.
제1,2 마그넷 클램프(100A,100B)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원 또는 다각 형태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 내부에 형성된 자력 생성부(120)와, 상기 몸체(110) 한 쌍을 배관(10) 외면에 체결, 고정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2 마그넷 클램프(100A,100B)를 구성하는 몸체(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형태의 베이스(111)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11) 양측에 베이스(111)가 연장된 형태로 베이스(111)과 직교하는 월(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1)와 월(113) 사이에 경사진 경사면(11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몸체(110) 내부에 자력 생성부(120)가 설치되는데, 상기 자력 생성부(120)는 한 개의 자석(121)이나 여러 개의 자석(121)이 적층되어 경사면(112)의 내면에 형성된다.
상기 자석(121)은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형태로 경사면(112) 내면에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석(113)은 소결자석을 생체에 유리한 N극이 설치 대상물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자력선 N극이 배관(10)을 유동하는 액체 중심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호 밀어내는 N극 자력선이 배관의 축 방향으로 퍼져 나가서 더 효과적으로 자기 활성수를 생성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2 마그넷 클램프(100A,100B)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력 생성부(120)가 설치 대상물인 배관(10)을 향하도록 제1,2 마그넷 클램프(100A,100B)를 배관(10)에 설치하고, 제1,2 마그넷 클램프(100A,100B)를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배관(10)에 고정한다.
상기 체결수단은 제1,2 마그넷 클램프(100A,100B)의 월(113)이 외 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14)에는 체결공(115)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115)에 체결볼트(101)를 삽입하여 제1,2 마그넷 클램프(100A,100B)를 체결, 고정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10)에 제1,2 마그넷 클램프(100A,100B)를 체결하면 제1,2 마그넷 클램프(100A,100B)의 자력 생성부(120)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자력이 배관(10) 내부를 유동하는 물에 작용하여 물이 활성화된다.
도 5와 같이 자력 생성부(120)가 제1,2 마그넷 클램프(100A,100B)의 경사면(112) 내면에 설치되므로 제1,2 마그넷 클램프(100A,100B)를 배관(10)에 체결하면 상기 자력 생성부(120)의 폴(pole)이 배관(10) 중심부를 향하여 배관(10)을 유동하는 물이 효과적으로 활성화된다.
그리고 4개의 자력 생성부(120)가 배관(10)에 밀착되므로 마그넷 클램프(100)가 안정적으로 체결된다.
자력에 의해 물이 활성화되는 원리는 1831년 파라데이가 발견한 자력선에 의한 전자기 유도현상을 응용한 것으로서, 자력선과 직각 방향으로 움직이는 도체에는 전자의 흐름이 발생하여 전류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물 분자가 쉽게 전기적 성질을 띠는 이온화가 더 많이 진행되어 물이 수소 이온(H+)과 수산화이온(OH-)으로 분해된다는 점, 그리고 물 분자는 단독으로 존재할 수 없어 아주 짧은 시간 동안에 형성된 후 붕괴되고 다시 형성을 반복하고 있는데, 이때 오염으로 커진 물 분자 클러스터의 크기가 강한 자력선에 의하여 다시 원래의 모습으로 작게 되돌아간다는 점을 응용한 것이다.
도심에서 사용하는 수돗물 등에도 수많은 염소, 클로르칼키, 세탁제, 농약, 방부제, 암모니아 등 수많은 화학물질이 클러스터 사이에 끼여 오염되어 있어 물의 클러스터 크기가 매우 커져 있고, 이 때문에 눈의 결정처럼 육각형의 결정 구조를 이루지 못하고 오각형 심지어 어느 각형 형태로도 결정을 이루지 못하는 매우 큰 클러스터로 커지는데, 자력에 의해 물이 활성화되면 커진 물 분자 클러스터의 크기가 다시 원래의 모습으로 작게 되돌아 간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마그넷 클램프(100)를 배관(10)에 설치하면, 배관(10)을 유동하는 물이 자력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자력에 의해 물이 활성화된다.
그리고 몸체(110)는 소정의 강도를 갖도록 금속 등의 구조물(116)을 형성하고, 이 구조물(116)이 녹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3과 같이 구조물(116)을 PVC로 코팅하여 코팅층(117)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야외의 배관(10)에 설치된 마그넷 클램프(100)는 수분 등에 의해 녹슬며 부식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PVC로 코팅층(117)을 구성함으로써, 우천 등에 노출된 곳에서도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그넷 클램프(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은 상술한 도 3의 구성과 동일하고, 몸체(110)를 구성하는 베이스(111)와 경사면(112)의 경계, 경사면(112)과 월(113)의 경계에 홈 형태로 꺽임부(118)를 형성한다.
상기 꺽임부(118)를 중심으로 몸체(110)를 구성하는 베이스(111), 경사면(112) 또는 월(113)이 회전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규격의 배관(10)에 마그넷 클램프(100)를 체결할 수 있다.
도 7은 직경이 작은 크기의 배관(10)에 본 발명의 마그넷 클램프(100)를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마그넷 클램프(100)를 직경이 큰 크기의 배관(10)에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직경이 작은 크기의 배관(10) 또는 직경이 큰 크기의 배관(10)에 마그넷 클램프(100)를 체결할 때 꺽임부(118)를 중심으로 베이스(111), 경사면(112) 또는 월(113)이 회전하면서 자력 생성부(120)의 폴(pole)이 배관(10)과 수직하는 상태로 접하면서 설치된다.
다만, 도 6 및 도 7과 같이 직경이 작은 크기의 배관(10)에 마그넷 클램프(100)를 체결할 때는 짧은 길이의 체결볼트(101)를 사용하여 제1,2 마그넷 클램프(100A,100B)를 체결하고, 직경이 큰 크기의 배관(10)에 마그넷 클램프(100)를 체결할 때는 긴 길이의 체결볼트(101)를 사용하여 제1,2 마그넷 클램프(100A,100B)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체결볼트(101) 대신에 케이블 타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6과 같이 꺽임부(118)를 중심으로 몸체(110) 일부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꺽임부(118) 내부에 구조물(116)을 형성하지 않았으나, 꺽임부(118) 내부에도 구조물(116)을 형성하고, 꺽임부(118)가 형성된 위치에 해당하는 구조물(116) 부분에도 홈 형태로 꺽임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배관(10)을 절단할 필요 없이 다양한 규격의 배관(1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배관(10)의 크기와 내부를 지나는 수량에 따라 자석 재질과 규격 및 극을 2극(2개의 자력 생성부)부터 늘려가며 총 자속량을 계산하여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하는 대규모 아쿠아리움, 목욕탕, 수영장, 양식장, 벼농사 등은 물론 기존의 아파트 단지 전체에 중앙 설치함으로써, 모든 가정에 자활수가 공급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2 마그넷 클램프(100A,100B)에 2개의 자력 생성부(120)를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각각의 마그넷 클램프(100A,100B)에 1개의 자력 생성부(120)를 설치할 수도 있다.
각 마그넷 클램프(100A,100B)에 1개의 자력 생성부(120)를 설치한 경우 배관 속을 유동하는 물을 활성화시킬 수는 있으나, 배관(10)에 안정적으로 설치하기가 힘드므로 본 발명에에 총 3개부터 배관(10)의 직경 크기에 따라 12개 까지 자력 생성부(12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마그넷 클램프(100)를 사용하여 배관(10)을 유동하는 물을 활성화시켜 다양한 분야로 자기 활성수를 사용할 수 있다.
채소나 과일을 재배하는데 자활수를 사용하면 생장이 빠르고 품질이 향상되고, 꽃의 개확가 빠르며 꽃이 생생하게 오래 지속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마그넷 클램프(100)를 사용하면 대장균, 일반 세균 녹조 등의 번식을 억제시켜주고, 씨앗의 발아율을 높여주고 병충해를 낮춰준다.
또한, 양식장의 치어 생장이 빠르고 치사율을 낮춰주고, 냉매의 표면 장력을 낮춰 열 교환율을 높여 열 교환율을 높여주며, 수영장에서 잡균의 번식을 억제해 화학약품의 사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벼의 재배시 뿌리내림이 좋아지고 수확량이 증대되고, 배관 내의 녹조방지, 녹?? 방지에 매우 효율적이며, 디젤 연료 등의 절감과 매연가스 배출량을 줄여준다.
또한, 환원작용이 강해 건물 외벽 물청소나 자동차 세차시 효율이 증대되는 등의 여러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설치를 위해 배관을 끊을 필요 없이 배관 외면에 체결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배관에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배관의 규격에 따라 여러 가지 크기로 클램프를 생산할 필요가 없고, 구조가 간단하므로 생산비용을 절감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 : 배관
100 : 마그넷 클램프
100A : 제1 마그넷 클램프
100B : 제2 마그넷 클램프
101 : 체결 볼트
110 : 몸체
111 : 베이스
112 : 경사면
113 : 월
114 : 플랜지
115 : 체결공
116 : 구조물
117 : 코팅층
118 : 꺽임부
120 : 자력 생성부
121 : 자석

Claims (6)

  1. 반원 형태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 내부에 형성되어 자력을 생성하는 자력 생성부(120)로 제1 마그넷 클램프(100A) 및 제2 마그넷 클램프(100B)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마그넷 클램프(100A)와 제2 마그넷 클램프(100B)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활수 생성을 위한 마그넷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판 형태의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1) 양측이 연장된 형태로 경사진 경사면(112)과,
    상기 베이스(110)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각각의 경사면(112)이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 월(113)로 구성되고,
    상기 자력 생성부(120)는 상기 경사면(112)의 내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활수 생성을 위한 마그넷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천공된 체결공(115)을 구비하여 몸체(110)의 양측 단이 외 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플랜지(114)와
    상기 플랜지(114)의 체결공(115)에 삽입되어 제1,2 마그넷 클램프(100A,100B)를 체결하는 체결볼트(10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활수 생성을 위한 마그넷 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금속 소재로 구조물(116)이 형성되고,
    상기 구조물(116)의 외면에는 코팅층(11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활수 생성을 위한 마그넷 클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에는 홈 형태의 꺽임부(118)가 형성되고, 상기 꺽임부(118)를 중심으로 몸체(110)의 일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활수 생성을 위한 마그넷 클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에는 3개 내지 12개의 자력 생성부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활수 생성을 위한 마그넷 클램프.
KR1020190169946A 2019-12-18 2019-12-18 자활수 생성을 위한 마그넷 클램프 KR102484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946A KR102484719B1 (ko) 2019-12-18 2019-12-18 자활수 생성을 위한 마그넷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946A KR102484719B1 (ko) 2019-12-18 2019-12-18 자활수 생성을 위한 마그넷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163A true KR20210078163A (ko) 2021-06-28
KR102484719B1 KR102484719B1 (ko) 2023-01-09

Family

ID=76607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946A KR102484719B1 (ko) 2019-12-18 2019-12-18 자활수 생성을 위한 마그넷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71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371U (ko) * 1993-08-04 1995-03-20 김시옥 자화기
JP2000107766A (ja) * 1998-10-02 2000-04-18 Yuki:Kk 磁気による水道管の水処理装置
JP2002045863A (ja) * 2000-08-02 2002-02-12 Furappu:Kk 液体磁気処理装置
KR200283209Y1 (ko) * 2002-05-07 2002-07-26 한복열 수관형 자화장치
KR200355267Y1 (ko) 2004-01-14 2004-07-03 강두경 대칭 두 반원자석으로 된 배관용 조립자화장치
KR200413186Y1 (ko) 2006-01-18 2006-04-04 이행사 영구자석을 이용한 연료활성화장치
KR100811787B1 (ko) 2006-10-10 2008-03-10 주식회사 가온 자화활성수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371U (ko) * 1993-08-04 1995-03-20 김시옥 자화기
JP2000107766A (ja) * 1998-10-02 2000-04-18 Yuki:Kk 磁気による水道管の水処理装置
JP2002045863A (ja) * 2000-08-02 2002-02-12 Furappu:Kk 液体磁気処理装置
KR200283209Y1 (ko) * 2002-05-07 2002-07-26 한복열 수관형 자화장치
KR200355267Y1 (ko) 2004-01-14 2004-07-03 강두경 대칭 두 반원자석으로 된 배관용 조립자화장치
KR200413186Y1 (ko) 2006-01-18 2006-04-04 이행사 영구자석을 이용한 연료활성화장치
KR100811787B1 (ko) 2006-10-10 2008-03-10 주식회사 가온 자화활성수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719B1 (ko) 202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3954B2 (en) Method for conditioning fluids utilizing a magnetic fluid processor
CA2617669A1 (en) Magnetized filtering device
KR20120045186A (ko) 자기이온활성수 제조장치
CN104150581A (zh) 硬底景观水体水质净化系统
KR20210078163A (ko) 자활수 생성을 위한 마그넷 클램프
CN201381240Y (zh) 内置式磁水处理器
US20100095847A1 (en) System for conditioning fluids utilizing a magnetic fluid processor
KR101461128B1 (ko) 난류 형성 자화공기생성기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KR200399115Y1 (ko) 정수 자화기
JP3106416U (ja) 磁気流体活性化装置
CN101955248A (zh) 冷却水磁化处理器
JP4056556B1 (ja) 配管内を流れる液体を磁気処理する装置
CN2818466Y (zh) 净水磁化器
JPH09308888A (ja) 磁気水処理装置およびその組立て方法
KR20080072596A (ko) 식물성장촉진 자화수기
CN211004710U (zh) 一种分散式污水超磁分离水质净化系统
CN204058053U (zh) 一种地下水除铁除锰装置
CN210367087U (zh) 冷却塔除藻系统
EP0462103A4 (en) An improved magnetic-field amplifier
KR200251421Y1 (ko) 자화수 발생장치
KR200463348Y1 (ko) 자기처리 활수장치
AU2008200797B2 (en) Magnetic treatment of fluids
JP2006159171A (ja) 水配管外部取り付け形の「磁化水カセット」
KR200336218Y1 (ko) 자화수기
CN2835226Y (zh) 防腐除垢环保节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