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044A - 이중귀마개 - Google Patents

이중귀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044A
KR20210078044A KR1020190169706A KR20190169706A KR20210078044A KR 20210078044 A KR20210078044 A KR 20210078044A KR 1020190169706 A KR1020190169706 A KR 1020190169706A KR 20190169706 A KR20190169706 A KR 20190169706A KR 20210078044 A KR20210078044 A KR 20210078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lugs
sound
double
present
absorb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서진
Original Assignee
하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서진 filed Critical 하서진
Priority to KR1020190169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8044A/ko
Publication of KR20210078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0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14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external, e.g. earcaps or earm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61F11/12External moun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귀마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리를 줄일수 있는 소리가 통하는 통로를 막는 부분을 2개로 해서 일반 귀마개보다 더욱 소리를 줄일 수 있는 귀마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품은 일반적인 귀마개가 너무 큰 소리는 막지 못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리를 줄이는 부분을 2부분 넣음으로써 일반 귀마개보다 소음차단률이 더 큰 귀마개를 만드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품은 소리를 일차적으로 차단해주는 귀덮개(20), 소리를 이차적으로 차단해주는 귓구멍막이(10), 두 부분을 서로 연결해주는 연결부분(15), 귓구멍에 걸어 귀덮개를 밀착시켜주는 귀걸이(30)의 4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Description

이중귀마개 {double earplug}
본 발명은 강화 귀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차단장치를 이중으로 함으로써 소음 차단률이 일반 귀마개에 비해 높은 이중귀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마개는 귀의 소리가 통하는 통로를 막음으로써 주변의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막아주는 장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귀마개는 두가지가 있다. 하나는 스펀지로 만들어져 접은 뒤에 귓구멍에 밀어넣어 귀마개가 팽창하며 귓구멍을 완전히 막아서 소음을 막는 방식이고 또 하나는 U자 모양 양쪽 끝에 귀마개가 달려 있어서 귓바퀴를 전부 덮는 것으로 소음을 차단하는 방식이 이다.
하지만 이러한 귀마개는 모든 소리를 완벽하게 막지는 못한다. 귀마개가 줄일수 있는 소리는 한계가 있어서 귀마개를 껴도 주변의 소리가 어렴풋이 들린다. 주변의 소리가 작으면 딱히 문제는 없지만 주변의 소리가 크다면 수면이나 집중에 방해가 될 만큼 큰 소리가 들릴수가 있다.
따라서 주변이 너무 시끄럽다면 귀마개가 소리를 충분히 막지 못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변이 시끄럽더라도 충분히 소리를 줄여서 착용자에게 수면이나 집중하는데 필요한 환경 조용한 환경을 만들 수 있는 소음차단강화 귀마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귓구멍을 막음으로써 소리가 통하는 통로를 차단해 소리를 줄여주는 2차소음차단장치; 귓바퀴를 덮음으로써 소리를 추가적으로 줄여주는 1차소음차단장치; 1차소음차단장치에 연결되고 귓바퀴에 거는 것으로 귀 덮개가 귓바퀴에 밀착되도록 해주는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중귀마개의 두 부분을 이어주어 이중귀마개가 둘로 분할되지 않도록 하고 2차소음차단장치 부분을 귓구멍에 넣을 수 있도록 힘을 전달해주는 연결부분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귀마개는 소음을 일반 귀마개에 비하여 더욱 차단해 사용자에게 수면이나 집중하는데 필요한 조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귀마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귀마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입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귓바퀴를 다 덮도록 설계된 타원형의 1차소음흡수장치(20) 및 귓구멍을 막도록 설계된 2차소음흡수장치(10)로 이루어지고 여기에 귓바퀴에 걸 수 있도록 설계된 본 발명품을 고정하는 고정장치(30)와 2차소음흡수장치(10)와 1차소음흡수장치(20)르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분(15)로 이루어진다. 각 부분은 고정장치(30)을 제외한 나머지는 전부 플라스틱심과 그를 둘러싸는 스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때 플라스틱심을 넣는 이유는 일반 귀마개보다 크기가 크다는 것을 감안해 귀에 넣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1차소음흡수장치(20)은 귓바퀴를 덮기 위해 모서리를 둥글게 깎아낸 타원 기둥 형태의 부품이다. 이 부품은 안쪽에 귀 덮개를 축소한 모양으로 플라스틱 심이 들어가 있고 나머지 바깥쪽 부분은 전부 스펀지로 만들어졌다. 여기서 모서리를 깎아내기 전 밑변 부분이 각각 귀의 바깥쪽 부분과 귀의 안쪽 부분을 향하고 있으며 각 밑변의 귀의 바깥쪽으로 향하는 부분에는 고정장치(30), 귀의 안쪽으로 향하는 부분에는 연결 부분(15)을 통해서 2차소음흡수장치(10)과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분(15)와 고정장치(30)이 연결되어있는 부분은 타원의 초점 부분이고 연결부분과 귀걸이는 서로 반대쪽 면의 같은 방향의 초점에 연결되어 있어서 두 부분은 연결부분(15)는 4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기둥은 스펀지로 둘러쌓인 플라스틱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플라스틱심은 2차 소음흡수장치(10)과 1차소음흡수장치(20)의 플라스틱 심부분과 연결되어 있었다. 연결부분(15)의 네 기둥은 사각형 모양과 같이 배열되어 있다.
2차소음흡수장치(10)는 원기둥의 한쪽 끝에 반구가 달려있는 모양이다. 역시 안쪽에는 1차소음흡수장치(20)의 경우와 같이 2차소음흡수장치(10)를 축소한 모양의 플라스틱심이 들어있고 그 주위를 스펀지가 둘러싸고 있다. 원기둥의 반구가 있지 않은 부분의 밑면은 연결부분(15)와 연결되어있고 연결부분은 이 원기둥의 밑면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연결부분(15)의 플라스틱심부분과 2차소음흡수장치(10)의 플라스틱심 부분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고정장치(30)는 대문자 U의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으로 반 정도 선을 그은 모양과 닮아있다. 이 때 글자의 중앙쪽에 있는 끝이 1차소음흡수장치(20)와 연결되어 있으며, 1차소음흡수장치(20)의 플라스틱심 부분과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귀걸이는 U의 밑부분을 귓바퀴의 윗부분에 거는 것이고 1차소음흡수장치(20)의 바깥쪽으로 만들고 또한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드는 것으로 이중귀마개를 귓구멍 안쪽으로 미는 힘을 얻는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일반 귀마개보다 더욱 소리를 줄이는 귀마개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학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형태에 속한다.
10: 2차소음흡수장치
15: 연결부분
20: 1차소음흡수장치
30: 고정장치

Claims (3)

  1. 이중귀마개에 있어서,
    귀의 외부에서 소리가 통하는 통로를 막는 것으로 소음을 줄여주는 1차소음흡수장치;
    귀의 내부에서 소리가 통하는 통로를 막는 것으로 소음을 줄여주는 2차소음흡수장치;
    귀에 장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고정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귀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소음흡수장치는 플라스틱 주위를 스펀지가 둘러쌈으로서 귀에 밀어넣기 쉽고 또한 소음역시 줄여주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중귀마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소음흡수장치를 플라스틱 주위를 스펀지가 둘러쌈으로써 귀에 밀어넣기 쉽고 소음 역시 차단해주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중귀마개
KR1020190169706A 2019-12-18 2019-12-18 이중귀마개 KR202100780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706A KR20210078044A (ko) 2019-12-18 2019-12-18 이중귀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706A KR20210078044A (ko) 2019-12-18 2019-12-18 이중귀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044A true KR20210078044A (ko) 2021-06-28

Family

ID=7660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706A KR20210078044A (ko) 2019-12-18 2019-12-18 이중귀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80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7701A (ko) 2021-12-09 2023-06-1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전제품의 소음 감소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7701A (ko) 2021-12-09 2023-06-1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전제품의 소음 감소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965B1 (ko) 서브 트래직 이어 유닛
US9848257B2 (en) In-ear hearing device and broadcast streaming system
US9438989B2 (en) Headphone structure for adjusting audio frequencies
KR101762142B1 (ko) 이어윙
US10117016B2 (en) Earphone capable of reducing pressure in ear canal and providing enhanced sound qualit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WO2018058879A1 (zh) 一种耳机
WO2021083326A1 (zh) 一种智能头戴设备
JPH0319599A (ja) ヘッドホン
ATE181343T1 (de) Schalldämpfende ohrabdeckung
ATE298550T1 (de) Ohrenschützer mit kopfhörer
JP2007082256A (ja) 補聴のための耳への取付具
US20150059776A1 (en) Earplug
KR20210078044A (ko) 이중귀마개
KR101535916B1 (ko) 음향필터가 설치된 이어피스 및 이어폰
JP5894322B1 (ja) 簡易型補聴器具
US20200016005A1 (en) Ear protection device
US20150059775A1 (en) Earplug
CN208821021U (zh) 一种无线耳机
CN204482008U (zh) 一种缓冲式耳套
KR101601859B1 (ko) 인 이어 이어폰
KR20060064803A (ko) 이어 플러그
WO2024090030A1 (ja) 骨伝導スピーカユニット
KR100963821B1 (ko) 귓속형 보청기용 고정구
US20230370759A1 (en) Self-sealing ear-tip for in-ear headphones
KR102222624B1 (ko) 안경용 음량 증폭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