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7924A - 필터 교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필터 교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7924A
KR20210077924A KR1020190169431A KR20190169431A KR20210077924A KR 20210077924 A KR20210077924 A KR 20210077924A KR 1020190169431 A KR1020190169431 A KR 1020190169431A KR 20190169431 A KR20190169431 A KR 20190169431A KR 20210077924 A KR20210077924 A KR 20210077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filter
air
loading space
pi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남
김동현
김현아
오정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9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7924A/ko
Priority to PCT/KR2020/014435 priority patent/WO2021125537A1/ko
Publication of KR20210077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9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35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공기조화기에 장착 가능한 필터 교체 장치가 개시된다. 본 필터 교체 장치는 복수개의 에어 필터가 적재된 적재 공간, 적재 공간에 적재된 복수의 에어 필터 중 하나를 픽업하는 픽업 장치 및 픽업된 에어 필터가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에어 필터가 고정되도록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한 에어 필터를 가압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터 교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FILTER REPLAC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본 개시는 필터 교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낱장의 에어 필터가 주기적으로 자동 교체될 수 있는 필터 교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중에는 먼지, 분진, 악취 물질 및 그 밖의 이물질 등이 포함되어 있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다양한 공기조화기의 경우, 공기조화기 내부로 먼지 등이 유입되어 공기조화기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고장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에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주는 프리필터(prefilter)가 사용된다. 그런데 프리필터를 오랜 시간 사용하는 경우, 프리필터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적층되어 공기조화기의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필터를 세척하거나 교체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기존의 공기조화기는 서비스 기사에 의해 필터를 세척 또는 교체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세척 또는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세척 또는 교체하는 경우, 과세척에 따른 필터 매쉬(mesh)망의 마모 및 손상이 발생하거나, 필터 교체 중 공기조화기 제품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낱장의 에어 필터가 주기적으로 자동 교체될 수 있는 필터 교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장착 가능한 필터 교체 장치는, 복수개의 에어 필터가 적재된 적재 공간,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된 복수의 에어 필터 중 하나를 픽업하는 픽업 장치 및 상기 픽업된 에어 필터가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에어 필터가 고정되도록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한 에어 필터를 가압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구동 장치는 픽업된 에어 필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롤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롤러와 닙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동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닙은 상기 에어 필터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장치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며, 닙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롤러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 교체 장치는 상기 픽업된 에어 필터가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피동 롤러 사이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픽업된 에어 필터가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에어 필터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양 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 교체 장치는 상기 에어 필터가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양 측면과 다른 두 측면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 교체 장치는 사용된 에어 필터를 수용하는 회수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 교체 장치는 상기 사용된 에어 필터가 상기 회수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에어 필터 각각은, 일 영역에 돌출 형성된 픽업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픽업 장치는 원통 몸체와 상기 원통 몸체의 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중심각 영역이 돌출된 돌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픽업 장치는 상기 원통 몸체가 1회전함에 따라 상기 돌출 영역이 상기 픽업 돌기와 체결되어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된 복수의 에어 필터 중 하나를 픽업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메인 필터, 에어 필터가 적재된 적재 공간,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된 에어 필터를 픽업하는 픽업 장치 및 상기 픽업된 에어 필터가 상기 메인 필터의 전면에 위치하면 에어 필터가 고정되도록 상기 메인 필터의 전면에 위치한 에어 필터를 가압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메인 필터의 전면에 위치하는 에어 필터를 이동시키고,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된 에어 필터가 픽업되어 상기 메인 필터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픽업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는 에어 필터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 경로 상의 에어 필터의 위치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픽업된 에어 필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재 공간은 상기 메인 필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된 에어 필터는 상기 적재 공간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메인 필터의 전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메인 필터의 전면에 위치하는 에어 필터를 배출하고 상기 적재 공간에 위치하는 에어 필터가 상기 메인 필터의 전면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픽업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재 공간은 상기 메인 필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된 에어 필터는 상기 적재 공간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메인 필터의 전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메인 필터의 전면에 위치하는 에어 필터를 배출하고 상기 적재 공간에 위치하는 에어 필터가 상기 메인 필터의 전면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픽업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 장치는 픽업된 에어 필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롤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롤러와 닙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동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닙은 상기 에어 필터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픽업된 에어 필터가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에어 필터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양 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에어 필터가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양 측면과 다른 두 측면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필터 교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A 부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필터 교체 장치의 이송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필터 교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필터 교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설명에 있어서 각 단계의 순서는 선행 단계가 논리적 및 시간적으로 반드시 후행 단계에 앞서서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각 단계의 순서는 비제한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위와 같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후행 단계로 설명된 과정이 선행단계로 설명된 과정보다 앞서서 수행되더라도 개시의 본질에는 영향이 없으며 권리범위 역시 단계의 순서에 관계없이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측면',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의 각 실시 예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설명한 것이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부 구성요소는 변경 또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독립적인 장치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가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개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공기청정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조화해서 내보내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예를 들면, 에어컨, 냉난방 장치, 공기청정기, 가습기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의 전면 패널(13)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본체(11), 전면 패널(13), 필터 교체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교체 장치(100)는 공기조화기(10)의 에어 필터를 교체하기 위한 장치이다. 에어 필터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여과지나 여과 장치이다. 필터 교체 장치(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체(11)는 대략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흡입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의 흡입구(12)는 본체(11)의 전면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의 흡입구(12)를 통해 공기가 본체(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체(11)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패널(13)은 흡입구(12)를 커버하여 본체(11)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공기조화기(10)에는 회전을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켜 공기조화기(10) 내부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팬, 흡입한 공기가 공기조화기(10)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토출구가 포함될 수 있다.
본체(11) 내부에는 공기조화기(10)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를 공기청정기로 구현하는 경우, 본체(11)의 내부에 에어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는 적층된 복수의 필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필터는 프리필터(prefilter) 및 헤파 필터(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숯 탈취 필터, 집진 필터 등의 메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필터(prefilter)는 공기조화기에서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필터로, 공기 중의 큰 먼지를 1차적으로 거름으로써 헤파 필터, 숯 탈취 필터 등의 고성능 필터를 보호하고 수명을 늘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필터 교체 장치(1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의 본체(11) 내부에는 프리필터를 교체하기 위한 필터 교체 장치(100)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 내부에서 프리필터는 흡입구(12)와 메인 필터(미도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리필터는 낱장의 종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낱장의 종이 형태를 가진 프리필터를 에어 필터(150)라고 지칭한다.
에어 필터(150)는 흡입구(12)로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에어 필터(15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는 공기조화기(10)의 본체(11) 후면에 배치된 토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다만, 토출구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11)의 상면, 하면, 측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필터 교체 장치(100)는 복수개의 에어 필터가 적재된 적재 공간(110), 적재 공간(110)에 적재된 복수의 에어 필터 중 하나를 픽업하는 픽업 장치(130) 및 픽업된 에어 필터(150)가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에어 필터(150)가 고정되도록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한 에어 필터(150)를 가압하는 구동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 교체 장치(100)는 사용된 에어 필터(150)를 수용하는 회수 공간(120), 픽업 장치(130)에 의해 픽업된 에어 필터(150)를 구동 장치(140)로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부재(111), 사용된 에어 필터(150)를 회수 공간(120)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 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필터 교체 장치(100)는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구성들을 지지하는 지지체, 픽업 장치(130) 및 구동 장치(14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 픽업 장치(130) 및 구동 장치(140)에 연결된 모터 등 필터 교체 장치(100)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재 공간(110)에는 복수개의 에어 필터를 수용하여 적재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적재 공간(110)은 공기조화기(10)에서 따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재 공간(110)은 열고 닫히는 서랍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적재 공간(110)에 복수개의 에어 필터(150)를 적재시킬 수 있다. 적재 공간(110)에 적재한 에어 필터(150)가 모두 사용된 경우, 사용자는 새로운 에어 필터(150)를 적재 공간(110)에 보충할 수 있다.
픽업 장치(130)는 적재 공간(110)에 적재된 복수의 에어 필터 중 하나를 픽업할 수 있다. 픽업 장치(130)의 구조 및 픽업 장치(130)가 적재 공간(110)에 적재된 복수의 에어 필터 중 하나를 픽업하는 동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6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구동 장치(140)는 픽업 장치(130)에 의해 픽업된 에어 필터(150)를 받아 이동시킬 수 있고, 픽업된 에어 필터(150)가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에어 필터(150)가 고정되도록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한 에어 필터(150)를 가압할 수 있다. 구동 장치(140)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회수 공간(120)은 사용된 에어 필터(150)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회수 공간(120)은 공기조화기(10)에서 따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수 공간(120)은 열고 닫히는 서랍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된 에어 필터(150)는 회수 공간(120)에 자동으로 회수되어 수용된다. 사용자는 회수 공간(120)을 공기조화기(10)로부터 분리하여 회수된 사용된 에어 필터(150)를 회수 공간(120)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사용된 에어 필터(150)로부터 분리된 먼지 및 이물질 또한 회수 공간(120)에 수용되어, 사용된 에어 필터(150)와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번거롭게 공기조화기(10)의 에어 필터(150)를 교체할 필요 없이, 적재 공간(110)에 에어 필터(150)를 보충하고, 회수 공간(120)에 자동으로 회수된 사용된 에어 필터(150)를 폐기함으로써 공기조화기(10)의 필터를 유지, 보수할 수 있다.
회수 공간(120)은 적재 공간(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된 에어 필터(150)에서 분리되는 먼지 및 이물질이 적재 공간(110)에 적재된 사용 전의 에어 필터(150)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111)는 픽업 장치(130)에 의해 픽업된 에어 필터(150)를 구동 장치(140)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111)는 에어 필터(150)가 적재된 적재 공간(110)과 메인 필터 전면을 연결하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픽업 장치(130)에 의해 픽업된 에어 필터(150)가 가이드면(112)을 따라 구동 장치(140)로 제공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부재(121)는 사용된 에어 필터(150)를 회수 공간(120)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부재(121)는 회전할 수 있는 롤러의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된 에어 필터(150)는 제2 가이드 부재(121)가 회전함에 따라 사용된 에어 필터(150)에 가하는 마찰력으로 인해 회수 공간(120)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다만, 제2 가이드 부재(121)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수 공간(120)으로 사용된 에어 필터(15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을 가지는 구조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필터 교체 장치(100)는 픽업된 에어 필터(150)가 메인 필터 전면에 위치할 때 에어 필터(150)의 상부와 하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필터(150)가 메인 필터 전면에 위치하는 경우, 구동 장치(140)에 의해 에어 필터(150)의 양 측면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재는 구동 장치(140)에 의해 고정되지 않는 에어 필터(150)의 다른 두 측면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 필터(150)가 메인 필터의 전면에 고정되어 공기조화기(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정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고정부재는 에어 필터(150)의 양면을 가압하는 장치이거나, 에어 필터(150)의 구조에 포함되는 자석과 자력으로 체결될 수 있는 자석일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장치(100)의 필터 교체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픽업 장치(130)가 적재 공간(110)에 적재된 에어 필터(150)를 픽업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 후, 도 7을 참고하여 에어 필터(150)가 이송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픽업 장치(130)가 적재 공간(110)에 적재된 에어 필터(150)를 픽업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픽업 장치(130)는 에어 필터(150)를 픽업하기 전이다. 픽업 장치(130)는 원통 몸체와 원통 몸체의 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중심각 영역이 돌출된 돌출 영역(131)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돌출 영역(131)은 픽업 장치(130)의 돌출되지 않은 부분과 단차를 가지고 돌출면(13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픽업 장치(130)가 에어 필터(150)를 픽업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픽업 장치(13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업 장치(130)는 롤러의 형태를 가지고 회전축이 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1회전할 수 있다.
에어 필터(150)는 일 영역에 돌출 형성된 픽업 돌기(151)를 포함할 수 있다. 픽업 돌기(151)는 에어 필터(150)의 일단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고, 원통 형태일 수 있다.
픽업 장치(130)가 회전함에 따라 픽업 장치(130)의 돌출 영역(131)과 에어 필터(150)의 픽업 돌기(151)가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픽업 장치(130)의 돌출면(132)과 픽업 돌기(151)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픽업 장치(130)와 에어 필터(150)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픽업 장치(130)가 1회전함에 따라 하나의 에어 필터(150)가 적재 공간(110)으로부터 사출되어 구동 장치(140)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 필터(150)는 제1 가이드 부재(111)에 형성된 가이드면(1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 에어 필터(150)가 기설정된 이송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에어 필터(150)가 픽업 장치(130)에 의해 픽업될 때 힌지(113)를 가압하여 힌지(113)가 열림에 따라 적재 공간(110)으로부터 사출될 수 있다. 힌지(113)의 높이는 에어 필터(150)의 픽업 돌기(151)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재 공간(110)에 적재된 에어 필터(150)가 한장씩 적재 공간(110)으로부터 사출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필터 교체 장치(100)의 에어 필터(150) 이송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7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장치(100)의 필터 교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 장치(140)는 픽업된 에어 필터(150)를 이동시키는 구동 롤러(142a, 142b), 구동 롤러와 닙(nip)을 형성하는 피동 롤러(141a, 14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롤러(142a)는 피동 롤러(141a)와 닙을 형성하고, 구동롤러(142b)는 피동 롤러(141b)와 닙을 형성할 수 있다. 구동 롤러(142a, 142b) 및 피동 롤러(141a, 141b) 사이에 형성된 닙은 에어 필터(15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구동 롤러(142a, 142b)에는 각각 모터(미도시)가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구동 롤러(142a, 142b)에 대응되는 피동 롤러(141a, 141b)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다만, 피동 롤러(141a, 141b)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동 롤러(141a, 141b) 각각에도 모터가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각각의 구동 롤러(142a, 142b) 및 피동 롤러(141a, 141b) 세트는 에어 필터(150)가 메인 필터의 전면에 위치하는 영역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픽업 장치(130)에 의해 픽업된 에어 필터(150)를 구동 롤러(142a, 142b) 및 피동 롤러(141a, 141b) 사이에 형성된 닙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구동 롤러(142a, 142b) 및 피동 롤러(141a, 141b)가 회전함에 따라 닙으로 제공된 에어 필터(150)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에어 필터(150)가 이동할 수 있다.
구동 장치(140)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며, 닙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롤러쌍(143a, 144a, 143b, 144b)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롤러쌍(143a, 144a, 143b, 144b)은 전면 롤러(143a, 143b) 및 후면 롤러(144a, 144b)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 롤러(143a, 143b) 및 후면 롤러(144a, 144b) 사이에 닙이 형성될 수 있다. 전면 롤러(143a, 143b) 및 후면 롤러(144a, 144b) 사이에 형성된 닙은 에어 필터(15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구동 롤러(142a, 142b) 및 피동 롤러(141a, 141b)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되는 에어 필터(150)는 전면 롤러(143a, 143b) 및 후면 롤러(144a, 144b) 사이에 형성된 닙으로 제공될 수 있다. 롤러쌍(143a, 144a, 143b, 144b)은 구동 롤러(142a, 142b) 및 피동 롤러(141a, 141b)의 회전으로 인한 구동력으로 인해 이동하는 에어 필터(150)를 받아 회전할 수 있다.
다만, 롤러쌍(143a, 144a, 143b, 144b)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롤러쌍(143a, 144a, 143b, 144b) 각각에도 모터가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롤러쌍(143a, 144a, 143b, 144b)은 구동 롤러(142a, 142b) 및 피동 롤러(141a, 141b)에 의해 이동되는 에어 필터(150)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롤러(142a, 142b) 및 피동 롤러(141a, 141b)를 통과한 후 에어 필터(150)의 이동 방향(-Z축 방향)에 대응되는 에어 필터(150)의 양 측면을 따라 복수의 롤러쌍(143a, 144a, 143b, 144b)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롤러쌍(143a, 144a, 143b, 144b)이 배열되는 간격은 에어 필터(150)의 크기 및 에어 필터(150)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구동 장치(140)에 포함된 구동 롤러(142a, 142b) 및 피동 롤러(141a, 141b), 복수의 롤러쌍(143a, 144a, 143b, 144b)은 에어 필터(150)가 메인 필터 전면에 위치하는 경우 에어 필터(150)가 고정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롤러(142a, 142b)는 에어 필터(150)의 전면을 가압하는 방향(+Y축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고, 피동 롤러(141a, 141b)는 에어 필터(150)의 후면을 가압하는 방향(-Y축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면 롤러(143a, 143b)는 에어 필터(150)의 전면을 가압하는 방향(+Y축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고, 후면 롤러(144a, 144b)는 에어 필터(150)의 후면을 가압하는 방향(-Y축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 필터(150)가 메인 필터의 전면에 고정되어 공기조화기(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정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필터 교체 장치(10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10)는 에어 필터(15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에어 필터(150)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여 에어 필터(15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에어 필터(150)에 적층된 먼지 및 이물질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필터 교체 장치(10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10)는 픽업 장치(130) 및 구동 장치(14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는 공기조화기(10) 및 필터 교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에 연결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센서로부터 에어 필터(150)에 대한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픽업 장치(130) 및 구동 장치(140)를 제어하여 에어 필터(150)의 이송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픽업 장치(130) 및 구동 장치(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픽업 장치(130) 및 구동 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센서로부터 메인 필터 전면에 위치한 에어 필터(150)에 대한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메인 필터 전면에 위치한 에어 필터(150)의 교체를 위해 픽업 장치(130) 및 구동 장치(140)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메인 필터 전면에 위치한 에어 필터(15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프로세서는 메인 필터 전면에 위치한 에어 필터(150), 즉 사용된 에어 필터(150)를 회수 공간(120)으로 배출하도록 구동 장치(140)를 제어한다.
사용된 에어 필터(150)가 회수 공간(120)으로 배출이 완료된 후, 프로세서는 픽업 장치(130)가 적재 공간(110)에 적재된 에어 필터(150) 중 하나를 픽업하도록 제어한다. 픽업된 에어 필터(150)는 구동 장치(140)에 제공되고, 프로세서는 구동 장치(140)를 제어하여 구동 장치(140)의 회전에 의해 픽업된 에어 필터(150)가 메인 필터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다.
센서는 픽업된 에어 필터(150)가 메인 필터의 전면을 커버하는 위치, 즉 필터링을 수행하는 위치에 배치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센서로부터 픽업된 에어 필터(150)의 위치에 대한 신호를 입력 받아, 픽업된 에어 필터(150)가 필터링을 수행하는 위치에 배치된 경우 구동 장치(140)를 제어하여 구동 장치(140)에 의한 픽업된 에어 필터(150)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 교체 장치(100)는 자동으로 사용된 에어 필터를 배출하고 새로운 에어 필터를 메인 필터 전면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필터를 교체할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공기조화기(10)의 필터를 유지, 보수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장치(100)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필터 교체 장치(100)의 기본적인 구조 및 동작과 관련된 특징은 도 1 내지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장치(200)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장치(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필터 교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필터 교체 장치(200)의 적재 공간(210)은 메인 필터(미도시)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재 공간(210)에 적재된 에어 필터(250)는 픽업 장치(230) 및 구동 장치(240)에 의해 적재 공간(210)으로부터 상방향(+Z축 방향)으로 이송되어 메인 필터의 전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된 에어 필터(250)를 회수 공간(220)으로 배출하는 경우, 사용된 에어 필터(250)는 구동 장치(240)에 의해 메인 필터 전면으로부터 하방향(-Z축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장치(300)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장치(3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필터 교체 장치(3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필터 교체 장치(300)의 적재 공간(310)은 메인 필터(미도시)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재 공간(310)에 적재된 에어 필터(350)는 픽업 장치(330) 및 구동 장치(340)에 의해 적재 공간(210)으로부터 상방향(+Z축 방향)으로 이송되고, 메인 필터의 상부에 위치한 구동 롤러(347) 및 피동 롤러(348)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이송되어 메인 필터의 전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된 에어 필터(350)를 회수 공간(320)으로 배출하는 경우, 사용된 에어 필터(350)는 구동 장치(340)에 의해 메인 필터 전면으로부터 하방향(-Z축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공기조화기 100, 200, 300: 필터 교체 장치
110: 적재 공간 120: 회수 공간
130: 픽업 장치 140: 구동 장치
150: 에어 필터 151: 픽업 돌기

Claims (20)

  1. 공기조화기에 장착 가능한 필터 교체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에어 필터가 적재된 적재 공간;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된 복수의 에어 필터 중 하나를 픽업하는 픽업 장치; 및
    상기 픽업된 에어 필터가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에어 필터가 고정되도록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한 에어 필터를 가압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필터 교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픽업된 에어 필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롤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롤러와 닙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동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닙은 상기 에어 필터의 두께보다 작은, 필터 교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며, 닙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롤러쌍;을 더 포함하는, 필터 교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된 에어 필터가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피동 롤러 사이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필터 교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픽업된 에어 필터가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에어 필터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양 측면을 가압하는, 필터 교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필터가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양 측면과 다른 두 측면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필터 교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된 에어 필터를 수용하는 회수 공간;을 더 포함하는, 필터 교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된 에어 필터가 상기 회수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필터 교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에어 필터 각각은,
    일 영역에 돌출 형성된 픽업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픽업 장치는,
    원통 몸체와 상기 원통 몸체의 축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중심각 영역이 돌출된 돌출 영역을 갖는, 필터 교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장치는,
    상기 원통 몸체가 1회전함에 따라 상기 돌출 영역이 상기 픽업 돌기와 체결되어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된 복수의 에어 필터 중 하나를 픽업하는, 필터 교체 장치.
  11.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메인 필터;
    에어 필터가 적재된 적재 공간;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된 에어 필터를 픽업하는 픽업 장치; 및
    상기 픽업된 에어 필터가 상기 메인 필터의 전면에 위치하면 에어 필터가 고정되도록 상기 메인 필터의 전면에 위치한 에어 필터를 가압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1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메인 필터의 전면에 위치하는 에어 필터를 이동시키고,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된 에어 필터가 픽업되어 상기 메인 필터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픽업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에어 필터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에어 필터의 위치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픽업된 에어 필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공간은 상기 메인 필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된 에어 필터는 상기 적재 공간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메인 필터의 전면으로 이동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메인 필터의 전면에 위치하는 에어 필터를 배출하고 상기 적재 공간에 위치하는 에어 필터가 상기 메인 필터의 전면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픽업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공간은 상기 메인 필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된 에어 필터는 상기 적재 공간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메인 필터의 전면으로 이동하는, 공기조화기.
  17. 제16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메인 필터의 전면에 위치하는 에어 필터를 배출하고 상기 적재 공간에 위치하는 에어 필터가 상기 메인 필터의 전면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픽업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픽업된 에어 필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롤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롤러와 닙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동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닙은 상기 에어 필터의 두께보다 작은 공기조화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픽업된 에어 필터가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에어 필터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양 측면을 가압하는, 공기조화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필터가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양 측면과 다른 두 측면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90169431A 2019-12-18 2019-12-18 필터 교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20210077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431A KR20210077924A (ko) 2019-12-18 2019-12-18 필터 교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CT/KR2020/014435 WO2021125537A1 (ko) 2019-12-18 2020-10-21 필터 교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431A KR20210077924A (ko) 2019-12-18 2019-12-18 필터 교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924A true KR20210077924A (ko) 2021-06-28

Family

ID=7647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431A KR20210077924A (ko) 2019-12-18 2019-12-18 필터 교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77924A (ko)
WO (1) WO202112553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96430C (en) * 2010-04-30 2016-01-05 Diversitech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filter
KR101460481B1 (ko) * 2014-07-25 2014-11-11 박광혁 모듈형 자동 필터교체 장치
KR101752664B1 (ko) * 2016-09-09 2017-06-30 주식회사 에어메이저 패널에어콘의 모듈형 롤필터 장치
US11666849B2 (en) * 2017-11-16 2023-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module and air purifier having the same
KR20190105189A (ko) * 2018-03-02 2019-09-16 (주)쿨트론 필터자동교체 기능을 갖는 필터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25537A1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3156B1 (ko) 공기조화기
KR101752664B1 (ko) 패널에어콘의 모듈형 롤필터 장치
KR10239063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3000372B1 (en) Robot cleaner
CN113679315A (zh) 集尘装置及清洁机器人系统
KR20200109348A (ko) 집진 박스 및 로봇 청소기
US20180216883A1 (en) Device and method for drying grain
KR20210077924A (ko) 필터 교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US20120174785A1 (en) Air filtr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CN116633003A (zh) 一种具有防尘效果的ups及其防尘控制方法
WO2012099095A1 (ja) フィルタユニットを具えた電気機器
KR101442113B1 (ko) 공기조화기
EP4227589A1 (en) Air conditioner
KR102208194B1 (ko) 오일 미스트 집진기
CN111503744B (zh) 空调机
KR20200141974A (ko) 공기조화기
JP2011255288A (ja) エアーフィルター清掃機構及びプロジェクター装置
JP6829433B2 (ja) 集塵機
KR20080105535A (ko) 로봇 청소기의 끼임 방지장치
KR20200095956A (ko) 공기조화기
KR102463318B1 (ko) 공기조화기
CN212157442U (zh) 一种除湿机进风机构
KR102553491B1 (ko) 공기처리장치
CN211906194U (zh) 一种具有防尘作用的计算机机箱
KR20220006862A (ko) 공기청정기